[

  Рет қаралды 593,747

디글 :Diggle

디글 :Diggle

Жыл бұрын

편집자는 덕질 중! 본격 편집자 덕업일치 자랑하는 영상 모음집🎬 #어쩌다어른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we’re :DIGGLE family
회차정보 : 71,72화

Пікірлер: 205
@user-vs9xq5dt1g
@user-vs9xq5dt1g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사춘기...제발 올바르게 성장해서 훌륭한 어른이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지금의 해괴한 상황이 마지막 성장통이 되는 거라 희망을 가져봅니다.
@user-rz3kp2ne9b
@user-rz3kp2ne9b Жыл бұрын
@billykim7179
@billykim7179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이라 성장하기 전에 뒤져버리겠누ㅋㅋㅋㅋ
@kolkim7958
@kolkim7958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비행청소년
@66I77I8
@66I77I8 Жыл бұрын
나라가 60~70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너무 급하게 발전해서 민도의 수준이 그 속도를 따라오질 못함 ㅋㅋㅋㅋ
@user-rt1sz5cg7e
@user-rt1sz5cg7e Жыл бұрын
@@66I77I8 그래서 다른나라는 치안이 그래 안좋나
@nnjjhh5231
@nnjjhh5231 Жыл бұрын
가족확장성이 같은 집단이라고 부패와 범죄까지 감싸주고 편들어주는 시대로 되고 있는게 현실이라 막막합니다.
@beelybeelyful
@beelybeelyful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의가..많이 많이 알려지고 다른 분들도 들으셨으면 좋겠어요. 특히 후반부 가난의 대물림..그리고 죽어라 공부했는데..지금의 모습에 대해...속도보다는 방향의 중요성... 지금 저 역시 방향성을 중요시하는데...이 마음 초심 잘 지키겠습니다.
@user-dc4vn9to1m
@user-dc4vn9to1m Жыл бұрын
잘듣고 또들어야 겠어요
@user-zm1pw9jk3j
@user-zm1pw9jk3j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듣고 또 들어도 가슴에 와 닿네요. 👍
@ilove6301
@ilove6301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맞고요...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죠...ㅠㅠ... 그리고... 아무도... 몰랐죠....
@16zkskek43
@16zkskek43 Жыл бұрын
공부는 진짜 타고난 사람만 하는게 정상 어중간하면 대기업나오고 은행 지점장해도50대 은퇴되면 할수있는게 없다 기술가진 사람이 제일 부럽다
@user-is3or2wi8z
@user-is3or2wi8z Жыл бұрын
젊었을때는 기술자가 그리 부럽지 않았을 겁니다. 기술자는 굶어죽지 않지만 그대신 영혼이 빈약하고 인생이 단조로워 재미없게 살 가능성이 많지요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Жыл бұрын
@@user-is3or2wi8z 그건 기술자 아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지 않나요? 본인 하기 나름이라 생각합니다.
@rye8078
@rye8078 Жыл бұрын
@최용선 어느별에서왔니?무슨 남의영혼까지 타령이야?오히려 기술직아닌사람이 무미건조해서 님말대로 영혼이빈곤하면빈곤하지.거꾸로 말하고있네.본인직업은 무엇?ㅋㅋㅋㅋ남말할때가아닌듯. 님영혼의빈곤이나 챙기시길...
@jung4058
@jung4058 Жыл бұрын
많은걸 생각하고 알게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강의는 언제나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han-seung-hee-and-frends
@han-seung-hee-and-frends Жыл бұрын
철학이 있는 생활 ~~ 철학이 있는 강의~~ 올바른 강의입니다. 관객과 선생님의 호흡이 일치됨을 느끼는 강의입니다.
@yeonglanhan4806
@yeonglanhan4806 Жыл бұрын
전세계 속의 , 한국의 현대 문화정리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m6wm2fm1k
@user-im6wm2fm1k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내용 참 잘 봤습니다~ 어디가 모르게 무의식 중에 이런 저런 생각과 행동을 했던 것 들이 다 이유가 있는 거였구나 하는 생각 마저 들게 만드는 ㅎㅎ
@yangpas
@yangpas Жыл бұрын
주차자리 없어도 교차로 부근은 안대었으면 좋겠음. 본인 가족이 교차로 지나가다가 사고나도 그럴수도 있다고 넘어갈수있는지가 궁금
@user-mj9jk9dl8z
@user-mj9jk9dl8z Жыл бұрын
강의가 좋아서 벌서 여러번 들어 보는대 들어도 들어도 너무 좋네요...
@user-sv2zm6ld7f
@user-sv2zm6ld7f Жыл бұрын
이런좋은 강의를 이제서야 봤네요 잘보고 갑니다...!!
@user-nx6by5kr4p
@user-nx6by5kr4p Жыл бұрын
엄청공감하면서 재미있게 들었어요 ㅎㅎㅎ
@user-kv8gy9cv1j
@user-kv8gy9cv1j Жыл бұрын
3번째 들었습니다. 들어도들어도 너무 가슴에 와닿네요^^;;
@user-jc4kp6hz1k
@user-jc4kp6hz1k Жыл бұрын
들어도 들어도 재밌어요😄 강의를 너무 맛깔나게 하시는 분🙆
@user-fj7fx5qt2i
@user-fj7fx5qt2i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ㆍ많이배웁니다ㆍ맞는말씀 이네요
@user-jj3rq5ir5h
@user-jj3rq5ir5h Жыл бұрын
명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tv-wz1xu
@tv-wz1xu Жыл бұрын
말씀 넘 잘하십니다. 구독 합니다.😍👍👏
@user-cd8ot5kb7t
@user-cd8ot5kb7t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부분 강의에서 먹먹해지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Flower_Jooma
@Flower_Jooma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user-fv7bh8lh3h
@user-fv7bh8lh3h Жыл бұрын
명강의네요.. 한국은 이제 바껴야됩니다
@johnlee8459
@johnlee8459 Жыл бұрын
명강 잘 들었습니다!! 전 국민이 봤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kmint6601
@kmint6601 Жыл бұрын
속도가 아니라 방향성이다. 추상적인것 같지만 사실 뼈때리는 말입니다.
@chimahangju6041
@chimahangju6041 Жыл бұрын
격하게 공감되는 강의였습니다 잘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uy3dw6xe2h
@user-uy3dw6xe2h Жыл бұрын
좋은 점도 많지만, 바꾸어야하는 것도 있지요. 자존감을 중시한다는 것은 그만큼 자존감이 없어서, 콤프렉스가 강하다는 겁니다.
@djj9774
@djj9774 Жыл бұрын
관계성과 주체성 이 성장속도뿐만 아니라. 빨리빨리 추진력 세계1위라. 경제발전이 .. 순식간에 ...
@user-cj7xv9hl6l
@user-cj7xv9hl6l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입니다.교육에 있어서는 중고등학교때부터 적성검사와 자녀의 적성과 뜻을 살려주는 교육과 시스템이 최고로 중요합니다.흔히 우등생보다 농띠부리던 학생이 사회 성공률이 높다고 하는 이유는 자신의 적성을 고집대로 살려 나가서 일찍 성공한 반면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이나 의지와 상관없이 일관된 공부라는 시간에 허비하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공부던 기술이던 운동이던 방향을 제대로 찾아가는게 최고로 중요합니다.
@user-my5zo6no3m
@user-my5zo6no3m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user-xs2im3zk8t
@user-xs2im3zk8t Жыл бұрын
한국인들은 세계에서 가장열등한민족이다!! 저출산이 왜터지겠냐!!
@venges1369
@venges1369 Жыл бұрын
몇번이고 또 보고 봐야하는 영상 감사합니다
@chang249589
@chang249589 Жыл бұрын
100퍼센트 공감되는 강의, 감사합니다.
@user-hongjihoon
@user-hongjihoon Жыл бұрын
지금 가장 우리 다울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한다. 개인적인걸 좋다 나쁘다 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타인을 존중하되 나를 낮추지 않으며 사회적 개인적 위치에 해당하는 적절한 행동을 해야하는데 일본 여탕에 남자가 보일러 수리 하는게 잘한건 아니라고 봅니다. 인간의 본성과 사회마다 특성이 있는것이지 그 문화가 잘 된거다 그래야 인류가 바른길로 간다라고 말 할 수 없음.
@hs-vp6mg
@hs-vp6mg Жыл бұрын
와 뒤로 갈수록 복습하고싶은 강의네요bbb
@user-dz9sl5ki2n
@user-dz9sl5ki2n Жыл бұрын
강의가 넘 좋아요 👍👍👍👍👍👍👍👍👍👍👍👍👍
@rainywolf3536
@rainywolf3536 Жыл бұрын
이시람 강의는 배울점 느낄점이많네요
@user-wm5hq5co4r
@user-wm5hq5co4r Жыл бұрын
정말명강이시네요
@user-xz9lt6hx6f
@user-xz9lt6hx6f Жыл бұрын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님..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s3or2wi8z
@user-is3or2wi8z Жыл бұрын
심리학이 인문계열 처럼 보이죠? 좌우당간 내가 볼땐 제일 재미있는 인간생각공학과같어요
@user-wu1xu7re4r
@user-wu1xu7re4r Жыл бұрын
마지막 🐎! 울고싶은데 눈물을 흘릴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네요
@mezz635
@mezz635 Жыл бұрын
스토리 텔링 능력이 대단하시다.
@wkb8409
@wkb8409 Жыл бұрын
수년전 티비로 한편? 봤었는데 유튜브에 떠서 다시 한번 저분 강의가 맘에 들어 다시 봤는데 정말 명강의 같습니다 우리가 왜 현재와 같은 현실속에 살수바껭 없는지를 쏙쏙 알려주는 강의이고 앞으로 어떻게 우리가 우리 사회가 살아가야 할지 미리 알려주는 강의같습니다 다른 주제로 다시 보고싶네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강사님으로 인정합니다 !! 대통령,국회,정부 인사들 모여놓고 교육 하고 그 다음으로 기업주들에게 교육좀 헤주시기 바랍니다 !!!!
@user-wu1xu7re4r
@user-wu1xu7re4r Жыл бұрын
공장에서 찍어나오는 문화에서 나를보고 내일과 모레를 설계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kj-wu7xt
@kj-wu7xt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잘들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젊은세대들이 자신들의 부모세대들을 원망만 하게될까봐 걱정입니다 부모의세대를 인정하면서 자신의 스스로의 주체성과 자존감을 찾아서 살아가는 강의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sungwookryu7933
@sungwookryu7933 Жыл бұрын
눈물이 다 납니다...내가 존중받는 느낌이 들어서... 잘 봤습니다
@Bottesini-yf9if
@Bottesini-yf9if Жыл бұрын
변화 와 질서 예의 도덕 배려는 시기상조 지금 어린 학생들이 기성세대가 되는 그때가 개인주위로 가겠지만 질서는 잡히지 않을까 합니다
@bsmomo3962
@bsmomo3962 Жыл бұрын
가족 확장성에 대해 다시 들어보니 지금 정부가 귀담아 들어야 할것 같네요
@user-wu1xu7re4r
@user-wu1xu7re4r Жыл бұрын
월드컵에서 내일이 함께하는 것을 보게 되네요 신기해요
@victorgim4046
@victorgim4046 Жыл бұрын
개인주의를 추구하다 보면 이기주의로 간다. 그리고 서양인 중 대체적으로 선진국이라 평가 받는 국가의 경우 개인의 자유, 권리, 선호를 중시하느데 이때문에 규칙을 중시하지 않고 이기주의인 경우가 아주 강하다. 그래서 그것이 남에게 피해를 준다는걸 인식조차 하지 않고 그냥 지 편하게 해버리면 ㄱ만이다. 만약 컴플레인을 들을 경우 아무런 진심이 담겨져 있지 않은 형식적 '쏘리(sorry)' 만을 남발한다. 그것은 단지 상대가 귀찮아서 하는 말일 뿐이다. 상대가 강하게 따지고 나오면 그들은 상대를 죽일듯 이기려 드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상대가 자기보다 약해 보일때가 그렇다.
@user-xv9rn8sn6k
@user-xv9rn8sn6k Жыл бұрын
개인주의가 왜 규칙을 중시하지 않나요? 이상한 논리네요. 그리고 한국처럼 남의 영역을 침범하면서 피해를 주느니 개인주의로 피해(이게 뭘 말하는 건지 모르겠지만)를 주는 게 더 나아요. 요즘 젊은 사람들이 왜 결혼을 안 하는데요.
@user-eb4hr3js3g
@user-eb4hr3js3g Жыл бұрын
명강의네요ᆢ
@user-se2tt5zm2m
@user-se2tt5zm2m Жыл бұрын
열심히 할줄 아는 자, 그냥 열심히 하는 자, 둘 다 같이 가야 합니다. 열심히 한다는게 뭔지 모르는 자, 열심히 하지 않는자도 우리예요, 조금 뜬구름 잡는 말이지만 아직 우리는 데리고 가는 자, 따라 가는자를 좀 더 조직화, 체계화할 인재가 백마를 타고 나타나기를 기다립니다. 결론은 미미했어요.
@user-rs1sq7qb9l
@user-rs1sq7qb9l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누구나 이기적이죠 이기적으로 살지 않으면 살기가 힘들기 때문에 이기적으로 살 수 밖에요
@user-mp4so3br8n
@user-mp4so3br8n Жыл бұрын
내 마음에 속 드네 좋은 강의 감사 감사 세계속에 대한민국 현실에 만족하지말고 유비무환 정신으로 더더욱 연구하고 노력하여 세계1등이 되도록 하이팅합시다
@aejakammerer7023
@aejakammerer7023 Жыл бұрын
아니지요. 사회의 책임이 아니라, 한국에선 부모님이 아이들의 어떤학교에 가야된다, 어떤대학에 가야된다, 누구와 결혼해야된다, 모든 한 인간의 삶을 부모님이 만들어놓는 방법은 자식은 부모 소유것이라 잘못 인식 생활입니다. 스스로 몰라서, 원하지도 않게 자식 인생을 망치고, 또 한국엔 복종 의식이 부모ㅡ선생, 사장에서 아직 강하게 남아있는 잘못. 독일에서 인사드립니다. 대한민국만세.
@user-tf4yt2hh1t
@user-tf4yt2hh1t Жыл бұрын
제도와 부모들의 연대책임이죠.
@AguaViva_0616
@AguaViva_0616 Жыл бұрын
다이나믹 코리아~~~ ㅋ
@jkim7042
@jkim7042 Жыл бұрын
* 내 삶에 스스로 나만의 주인공이 되는날입니다 남들보다 더 멋진 영화가 될려고 노력/ 비교 하지 말고 묵묵히 나와 우리 아이가 주인공인 영화를 만들고 아이가 아이만의 영화를 스스로 만들때 인정해 주고 즐거워 해줘야 겠습니다. * 열심 열심이라는 강도보다 나에게 맞는 방향을 찾아보자
@user-li7dq1jd6m
@user-li7dq1jd6m Жыл бұрын
이분 개그맨하셔도 잘하실듯 ㅋㅋ
@user-qf7kd1gd1s
@user-qf7kd1gd1s Жыл бұрын
굿
@erotikaJJang
@erotikaJJang Жыл бұрын
와! 천재적이다. 관점이. 와! 나만 이렇게 느끼나? 심리학자들의 관점은 다 저렇나? 와!
@TheHanja
@TheHanja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user-nh1np1px3y
@user-nh1np1px3y Жыл бұрын
윤떵려리 좀 들어라
@user-kf5km4oo1u
@user-kf5km4oo1u Жыл бұрын
북한학생들에게 사춘기는 어떻게지내는지가. 제일궁금하네요 우리 어릴때시대에도 사춘기발광이 존재 하지 않았는데요
@user-wu1xu7re4r
@user-wu1xu7re4r Жыл бұрын
소셜리스트에 변수가 너무 많아지면 그것이 곧 변명이죠
@youngsoo7199
@youngsoo7199 Жыл бұрын
진짜 책임자를 처벌 해야 이런 대물림 없어 집니다
@hyungyujoo1873
@hyungyujoo1873 Жыл бұрын
세상을 이해하는데 정말 좋은 강의네요. 가족확장성은 정말 많은 시사점을 주네요. 이태원 참사 때 국민들의 분노와 정부의 태도 등등...
@user-nw1hn4vi2s
@user-nw1hn4vi2s Жыл бұрын
재밌다 ㅎ
@mycallful
@mycallful Жыл бұрын
이 명강의를 주체성 강하신 기성세대 분들이 보셔야 하는데
@junholee7520
@junholee7520 Жыл бұрын
언변이.. 대단.
@user-so1zp8yz6u
@user-so1zp8yz6u Жыл бұрын
전이거 본방때 보고...진짜...이마를 몇번을 탁!! 쳤는지 몰라요;;;ㅠㅠ
@k_onig3884
@k_onig3884 Жыл бұрын
사춘기가 기네요...2030년쯤엔 벗어날 수 있을까요?
@SuperSandpiper
@SuperSandpiper Жыл бұрын
심리학 이제 좀 먹고 살만하니까 다른곳에 눈을 돌릴 여유가 생긴것이다
@billykim7179
@billykim7179 Жыл бұрын
먹고 살만하기만 하고 잘 살기는 어려우니까 그런듯
@jihyun6489
@jihyun6489 Жыл бұрын
둥지가 좋아야 알을 낳죠 ㅎ ㅎ ㅎ 그 애가 기초수급자가 되면 어떻게 생각하나요? ㅎ ㅎ ㅎ
@user-tf4yt2hh1t
@user-tf4yt2hh1t Жыл бұрын
법대로 안하는건 시민의식이 부족한겁니다.
@user-qw8tl8by5y
@user-qw8tl8by5y Жыл бұрын
다른나라도 마찬가지
@sseonyh9091
@sseonyh9091 Жыл бұрын
리더를 정말 잘 뽑아야 하는 이유
@eunryeahn8143
@eunryeahn8143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도영업을몇십년해도 개인전화번호모르는경우가많아요 회사용전화로만연락하다 퇴사하면연락이끈기는거죠.
@user-lx5yq1pr4s
@user-lx5yq1pr4s Жыл бұрын
레이 달리오의 국가 평가 방법을 적용하면 우린 사춘기가 맞음. 사춘기 나라의 국민들 특징은 나라를 실제보다 스스로 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일본 같은 진짜 중년 위기 국가를 보면, 나라를 고평가함.
@user-zw3mm5rk5j
@user-zw3mm5rk5j Жыл бұрын
깊이가 있는 내용이네요
@Ds-gu5dn
@Ds-gu5dn Жыл бұрын
주체성 하나 제대 하루두고 말년 병장이 내가 제대하면 군대가 돌아가겠나 하는 걱정~
@good5402
@good5402 Жыл бұрын
,명강,의,
@peachmoodusa
@peachmoodusa Жыл бұрын
불법유턴이랑 무단횡단은 한국이 미국보다 10분의 일도 안될걸요..미국도 질서라는게 없는 나라드만요..중국보다 쬐금 더 나은정도?
@user-ss6zp5ec6f
@user-ss6zp5ec6f Жыл бұрын
미합"중국"
@yhk8267
@yhk8267 Жыл бұрын
@@user-ss6zp5ec6f ㅋㅋㅋ
@user-iu2vb2fz5s
@user-iu2vb2fz5s Жыл бұрын
@@user-ss6zp5ec6f 그러네 ㅎㅎㅎㅎ
@djj9774
@djj9774 Жыл бұрын
@@user-ss6zp5ec6f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user-se1rv3dv3i
@user-se1rv3dv3i Жыл бұрын
흠....님 말이 통계에는 맞습니다만....미국이랑 중국이랑 한국은 생각이나 사상이 다르기에 생기는 경우 및 크기가 더 비중을 차지하지않나 생각해봅니다.
@user-pj1bi8dp8w
@user-pj1bi8dp8w Жыл бұрын
클?! 좋은세뇌네
@user-nd5bs5ly3p
@user-nd5bs5ly3p Жыл бұрын
시민의식이란게 정확히 뭘까?
@user-wf1cp6nj9x
@user-wf1cp6nj9x Жыл бұрын
왜 이렇게 많은생각을하고 살아야하지? 드라마 대사가생각나네 “꼰대너희들이 세상을이렇게만들어놓고 꼰대너희들보고배운 우리가 잘못이야?” 강의는 강의일뿐 오해하지말자~|~
@patriot3916
@patriot3916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인데 기성세대를 지나친 주체성으로 규정하는 듯한 건 아쉽네요.
@user-sp7tr2oc9t
@user-sp7tr2oc9t Жыл бұрын
나도 일본 목욕탕 갔는데 여자분이 청소하려 들어와서 깜짝 놀랐는데... 어찌 보면 일본 시각이 더 유연한 듯 ... 어느 나라가 목욕탕을 남,여 혼탕으로 사용하듯...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이 문제이기도 하겠네요. 세계적으로 경제발전 요인을 분석해 교육이 그 방향으로 가야... 외우고 시험 위주의 교육 말고...
@user-ks3fd7pf8w
@user-ks3fd7pf8w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중산층기준이각나라마다틀린거예요
@user-dq9rt6pw3v
@user-dq9rt6pw3v Жыл бұрын
이 교수님은 일부 발생하는 내용을 일반화하려 과장하는 태도가 있으신듯
@user-bp2cd9sk2u
@user-bp2cd9sk2u Жыл бұрын
교수가 괞히 교수가 아님 연구 와 연구 끝에 나온 결론임
@rudals1281
@rudals1281 Жыл бұрын
사강이다!
@user-dr.08
@user-dr.08 Жыл бұрын
내가 누구인지를 알리고 싶어 하는 건 우리나라 사람들만이 아닙니다. 인간의 본능이며 세계인이 다 그렇습니다. 그리고 요즘 심리학과 인문학에 열광하는 건.. 방송과 언론이 분위기를 몰고가니 그렇게 된 것.. 근세에 들어 인간사회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트렌드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user-kf5km4oo1u
@user-kf5km4oo1u Жыл бұрын
내주변에서 몇몇사람들이 심리학배워서 사기치는것만 봤어요.아마 빌라왕도 심리학전공 아닌가요?
@user-bt7vo9dn6b
@user-bt7vo9dn6b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끝까지 듣고 갑니다.감사 합니다. 모셔가서 공유 합니다.
@jyj5242
@jyj5242 Жыл бұрын
침범을 많이당한 상태어서 누구나 엄마 이모 고모가 됩니다..슬프죠..
@user-vs3qn9me3m
@user-vs3qn9me3m Жыл бұрын
잘나보이고 싶은 본성,외제차타고 강남수퍼아파트 사는 허세,
@Bottesini-yf9if
@Bottesini-yf9if Жыл бұрын
사회분위는 반복되고 있지요 과거 쌍놈이 양반을 돈으로 사서 행하는 모습 똑같습니다
@user-is3or2wi8z
@user-is3or2wi8z Жыл бұрын
허세는 통합니다 그것도 대단히 효율적으로요 공작새
@user-yo7lt7pq9f
@user-yo7lt7pq9f Жыл бұрын
*인문학+심리학은 밥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HarinB0214
@HarinB0214 9 ай бұрын
먼 광고가 매들리로 나오네;;
@spy7907
@spy7907 Жыл бұрын
특히 정치인들 완전 불통 자기만 옳아 말이 안되도 자기가 옳다는 생각을 넘어 우겨서 넘어가려고 하니 불통중에 불통 돌아이로 보입니다
@user-qt8kg6de3f
@user-qt8kg6de3f Жыл бұрын
일제 감정기? 일정때라고 어른들이 말했는대
@user-lr3qe8ph5f
@user-lr3qe8ph5f Жыл бұрын
일제 강점기라는 말은 북한이 만들어 낸 말이고, 학생 때 그런 영향을 받은 세대가 사회 주류로 등장한 이후 널리 쓰이는 말입니다 예전에는ㅓ그냥 일제시대라고 하였습니다
@user-eu3vd4fd8t
@user-eu3vd4fd8t Жыл бұрын
한국인과 중국인의 차이점은 쪽수가 적고 힘이 없다는거 뿐이다.
@whisperinghope7141
@whisperinghope7141 Жыл бұрын
이것이 한국과 미국의 차이점 이였다 미국: 하라는대로해서 세계 1등 한국: 하라는대로 안해서 세계 1등됀 나라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asdfghj814
@asdfghj814 Жыл бұрын
한국이 뭐가 세계1등인데??
@user-ks3fd7pf8w
@user-ks3fd7pf8w Жыл бұрын
그것두미국이뒤에있었얼쓸때일입니다
@yumikim8386
@yumikim8386 Жыл бұрын
이 나라는 수많은 선조들의 목숨과 기도로 이루어진 경제입니다! 아무리 훌륭해도 물이 오래 고이면 썩습니다.. 모든 세대가 흘러갑시다. 제발 과거에 묵이지 말고.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독서는 '일'이어야만 한다 (최재천 교수 레전드 강연)
39:15
Random passerby 😱🤣 #demariki
0:18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1 or 2?🐄
0:12
Kan Andrey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Pass or fail?🤔 @Colapsbbx #pedro #beatbox #beatboxchallenge
0:45
BEATPELLA HOUSE
Рет қаралды 72 МЛН
Пугает людей игрушкой аллигатора в воде
0:14
Короче, новости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