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건축탐구- 집 - 섬에서 살아 볼 결심

  Рет қаралды 60,050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Ай бұрын

염부의 집에서 예술가를 위한 스믜집으로
신안 증도, 넓게 펼쳐진 염전 따라 걷다 보면 갈대들 사이로 기다란 집이 눈에 띈다. 삼각 지붕의 시옷자, 창틀의 미음자, 벽의 수직선, 그리고 바닥 데크의 수평선을 따라 지어진 이름 ‘스믜집’. 헌 집인 듯, 새 집인 듯 헷갈리는 이 건물엔 특별한 사연이 담겨 있다.
이 곳은 바로 37년 전 염부의 숙소로 지어진 집. 가로로 긴 단층 건물을 8칸으로 나눠 사용했던 공동주택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은 줄고, 숙소는 신축되면서 염부의 집은 빈집이 됐다.
오랜 시간 버려져 있던 집을 다시 찾은 건 건축주. 2012년부터 사장으로 일을 시작하며 서울과 신안을 오고갔다는데, 섬에서만 2일을 지내야 하니 기거할 곳이 필요했다. 폐허 같았던 집이지만, 다시 누군가 살 수 있는 집으로 고치기 시작했다고.
리모델링을 하다 보니 이 집이 가진 가치들이 눈에 보였다는 건축주. 단순히 나 혼자 지내는 것뿐만 아니라 예술하고 접목시켜 보잔 욕심이 들었다. 그렇게 아트 프로젝트가 시작됐고, 염부의 집은 예술가들에게도 개방된 복합 공간 ‘스믜집’으로 재탄생! 두 칸은 건축주가 직접 리모델링한 숙소지만, 나머지는 신안을 찾는 전 세계 예술가들을 위해 6개월간 무료로 제공되는 공간이다.
사실 섬에서 건축하기란 쉽지 않은 일. 다리로 연결돼 있긴 하지만, 외딴 곳이라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염전 직원, 마을 이장님과 주민들까지 동원되어 공사를 진행했다는데. 레미콘이나 크레인 같은 중장비도 들여올 수 없어 손으로 들 수 있는 시멘트 블록, 경량 철골조, 나무로 지어야 했다.
기능적으론 완벽해야 했지만, 본래 염부의 집이 지녔던 가치만큼은 보존하고 싶었던 건축주. 옛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벽체의 깨진 부분도 그대로 살렸다. 공간감을 위해 천장은 철거하되, 벽체는 원래 높이 그대로! 건물 외벽은 염전 지역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소금창고를 본 떠 자연소재의 나무를 사용했다. 방부처리를 위해 농업용 가스 토치를 이용해 마을 주민들이 직접 목재를 하나하나 태웠다고.
새로 깨끗하게 만들기보다, 옛 것을 그대로 지키느라 더 힘들었던 공사. 하지만 덕분에 역사를 고스란히 품은 집이 됐다. 스믜집을 시작으로 이 일대를 갤러리로 꾸밀 계획이라는 건축주. 아직 고치지 못한 다른 염부 숙소와 물탱크까지 예술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꿀 예정이다.
염부의 집에서 예술가를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 했다는 스믜집을 탐구해 본다.
돌아온 고향, 섬마을 엄마의 집
고흥 금산, 거센 섬 바람 맞으며 도착한 바닷가 앞 하얀 집. 무릇 집이란 남향이거늘, 푸른 바다 풍경을 뒤로하고 서쪽을 바라보는 오늘의 집은 어머니의 기억이 담긴 남편의 고향집이다.
남편이 나고 자란 첫 집은 바로 초가집. 그런데 도로보다 낮았던 집이라 빗물에 밀려오는 흙을 이기지 못하고 묻혀버렸다. 당시엔 어머니 혼자 사셨던 집이라, 건설업을 했던 작은 형님이 속초에서 고흥까지 오가며 새로 집을 짓기 시작했다고. 거센 섬 바람을 피하기 위해 남쪽이 아닌 서쪽으로 향을 내고, 다시는 무너지지 않도록 튼튼한 콘크리트 집으로 지었다는 형님. 다리가 없던 시절이라 배로 일일이 자재를 나르며 고생해서 지었지만, 덕분에 그 시절 섬마을에선 보기 힘들었다는 콘크리트 양옥집이 탄생했다.
시간 지나 어머니께서 돌아가신 후 홀로 남겨졌던 집. 부부가 다시 이 집을 찾은 건, 삶에 지친 몸을 기댈 곳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고흥으로 오기 전 김해에서 식당을 운영했던 부부. 남편의 음식솜씨가 좋아 손님이 줄 설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는데, 두 사람에겐 마냥 기쁜 일은 아니었다. 원래 미술과 음악을 했던지라, 식당 경험도 없이 덤벼든 일에 몸과 마음이 다 지쳐버린 부부. 이건 아니라는 생각이 든 아내는 남편을 설득해 시어머니가 사셨던 고향집으로 남편과 함께 도망쳤다. 그렇게 섬 마을에 살 결심을 한 부부. 두 사람은 어머니의 집을 셀프로 리모델링하기 시작했다.
부부의 목표는 최소한의 경비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는 것! 집은 어머니가 살았던 구조에서 크게 바뀌지 않았다. 콘크리트가 너무 단단해서 집을 허무는 게 더 힘들었을 정도. 대신 천장을 철거해서 콘크리트 벽을 드러내고, 방문을 없애 개방감을 높였다. 페인트는 아내가 칠하고 남편은 전기, 배관, 수도까지 손수 작업해 고쳤다. 가구마저 재활용으로 만든 거라, 1층 공사비용은 무려 1100만원! 집 옆에 있던 창고도 직접 고쳐 작은 카페로 만들어낸 금손 남편 덕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하지만 집짓기에 고난은 필수. 집을 리모델링한 뒤 2층 공간을 증축했다는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예기치 못한 사고로 기초만 덩그러니 남아버려 온전히 전문가에게 맡기겠다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던 것. 리모델링이 아닌, 신축을 남편 혼자 하다 보니 천장에 누수가 생겨 웃지 못할 에피소드도 있다는데….
부부가 내려온 후 어머니의 집은 북적이기 시작했다. 마당엔 고양이 아파트가 생기고, 부부의 집은 남편의 음식 솜씨와 음악을 찾아온 친구들의 아지트가 됐다. 이곳이 섬 마을의 또 다른 문화공간이 되길 꿈꾼다는 두 사람.
고향에 돌아와 엄마의 집을 새롭게 가꾸며 산다는 부부의 집을 탐구해 본다.
#건축탐구집#섬에서살아볼결심#신안증도#염부의집#스믜집#고흥금산#섬마을엄마의집#리모델링#콘크리트양옥집#고향집#문화공간

Пікірлер: 27
@user-xq8hp8vw8m
@user-xq8hp8vw8m Ай бұрын
아유~~^ 스믜집 좋아요 리포터 영재님 멋집니다 섬생활도 해보고싶고 한번 가고픈 바닷가 마을 바람과 파도소리 생각만해도 낭만적인걸요~~^
@gayoungyoo_
@gayoungyoo_ Ай бұрын
스믜집에 조금 허전한 부분이 있네요... 명불허전
@user-xq8hp8vw8m
@user-xq8hp8vw8m Ай бұрын
앞으로도 건축탐구 좋은곳 많이 소개해 주시면 감사할 것 같아요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영재님 화이팅!!!
@yaesodam
@yaesodam Ай бұрын
스믜집~ 정말 대단합니다. 사라져 가는 옛 것들을 되살려 아름다운 공간으로 탈바꿈한다는 것은 정말 가치 있는 일이니까요. 그리고 아무나 할 수 있는 일도 아니고요^^ 꼭 한 번 들러보고 싶네요^^
@yujinsim715
@yujinsim715 Ай бұрын
이런 구옥들이 멋지게 리모델링된 공간이 많이 남길 바랍니다. 스믜집 참 멋집니다 :)
@sikyungmoda9241
@sikyungmoda9241 Ай бұрын
10년후면 50대 한국으로 역이민 생각중인 1인으로 대단하십니다~ 스믜의 집과 카페 꼭 방문 해 보고 싶네요.. 👏👏👏👍👍
@normal77079
@normal77079 Ай бұрын
보통 바닷가 마을쪽이 목재 한쪽을 태워서 집을 짓는데 소금기에 강하다하죠. 거기에 벌레 유입을 막아줘서 많이 사용했다는데 지금은 거의 사라진 기술이에요.
@unkim5767
@unkim5767 Ай бұрын
유튜브 영상보면 외국 목조주택에선 흔하게 사용합니다. ㅎㅎ
@mind_is_east
@mind_is_east Ай бұрын
오크통같은건가
@meaninglessbeing
@meaninglessbeing Ай бұрын
신안 실종 많이 일어남
@nowizpresent
@nowizpresent Ай бұрын
스믜집 거품이 좀 있네요... 언빌리버블
@user-eo2ub4xy2k
@user-eo2ub4xy2k Ай бұрын
신안에 안좋은 인식도 이제 지방소멸로 그사람들이 사라지면 더이상 안타까운 일도 사라지겠죠. 과거에 연연할 필요없이 지금보다 더 발전하는 모습이 됐으면 하네요.
@ksin12345
@ksin12345 28 күн бұрын
에술로 이미지메이킹 하는구나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다 안다 얼마나 끔찍한 일이 자행된 곳인지
@sykang4732
@sykang4732 Ай бұрын
춘식이의 눈물..
@juwanhong4225
@juwanhong422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chulsuda
@chulsuda Ай бұрын
한국은 섬같은거 그린벨트에 묶여있나? 좀 개발허용 조건을 완화했음 좋겠네.. 서양가보면 섬에도 멋진 성이 지어져 있고.. 그렇던데.. 개인이 사서 개발하는걸 좀 관대하게.. 물론 외국인제외
@user-bt8xb3pf1p
@user-bt8xb3pf1p Ай бұрын
나오시마나 일본 구옥들 리모델링하는거 좀 벤치마킹하지 스미집은지키냐 고치느냐에서 균형을 잃어버려 이도 저도 아니게 되어버렸네 그렇다고 독창적인 아름다움이 있는거도 아니고
@TonyWoongheeCho
@TonyWoongheeCho Ай бұрын
스믜집을 설계한 건축가 조웅희입니다. 스믜집은 과거 건축의 복원(restoration)이 아니라 수명이 다한 건물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그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개조하는 레노베이션(renovation)을 목적으로 지어졌습니다. 장소성과 역사성이 강한 사이트에 새로운 건물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펜실베니아 대학교의 David Leatherbarrow 교수의 저작 중 라는 에세이를 여러 차례 읽으며 개념을 설정했습니다. 특히 "성공적인 작품은 항상 그 장소에 속해 있으면서 동시에 그곳을 벗어난다"는 시각을 되뇌면서 방향을 잡으려고 노력했습니다. TCA는 독창성을 좇기 보다는 다층의 의미를 건축에 녹여내어 건축이 이야기를 촉발할 수 있는 매개가 되도록 노력하며, 그런 면에서 타 작품을 단순히 벤치마킹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작업하고 있습니다. 작품에 대한 비평을 감사히 받아들이겠습니다. 그러나 소통가능한 근거가 없는 비평은 피상적인 감상의 한계를 넘지 못하며,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하여 가능하면 자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oname-tl7fs
@Noname-tl7fs Ай бұрын
"천사의 섬" 역겹네.....노동력 착취로 악명 높은 신안
@user-bv5vd5jy8j
@user-bv5vd5jy8j Ай бұрын
동네사람들 알고도 쉬쉬함 😂
@bumyongkim4110
@bumyongkim4110 Ай бұрын
가 보기나 햇나요? 요즘 염전에서 일할사람이 부족해서 25만원 지급해도 농번기에는 구하기 힘들답니다.
@user-hw7xq1zf3j
@user-hw7xq1zf3j Ай бұрын
이미지 바꾸려고 무던히도 노력허네 ㅋㅋㅋㅋㅋ 한번 이미지는 절대ㅡ안바뀌지...
@sh-go1fc
@sh-go1fc Ай бұрын
1004개의 섬이라고 해서 천사섬임. 뭘좀 알고.....
@hlalsd5hlf
@hlalsd5hlf Ай бұрын
@@sh-go1fc 실제로 1004개가 있는것도 아님 ^^
@user-cy6lv4mh9w
@user-cy6lv4mh9w Ай бұрын
스믜집? 그냥 꼴시럽네요.
@stevekoo3509
@stevekoo3509 Ай бұрын
흐미 무서웡
[Full] 건축탐구- 집 - 집으로 밥먹고 삽니다
46:58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87 М.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IS THIS REAL FOOD OR NOT?🤔 PIKACHU AND SONIC CONFUSE THE CAT! 😺🍫
00:41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Full] 건축탐구- 집 - 가족끼리 왜 이래?
46:04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36 М.
[Full] 건축탐구- 집 - 재밌게 짓거나, 재밌게 살거나
45:01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98 М.
[Full] 건축탐구- 집 - 운명의 집터 찾아 시골에 살 결심
45:28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28 М.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