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의 시대와 저출산의 관계⎮타이거자산운용 오종태 이사

  Рет қаралды 19,105

이효석아카데미

이효석아카데미

Күн бұрын

#저출산 #대한민국 #국민연금 #MZ #출산율
🌟 [무료 신청] 간단한 패턴학습으로 뉴스 속 투자 힌트 찾아내기(~6/9까지 신청) 👉🏻vo.la/AMNKi
🌟 [오픈알림신청] 4주간의 눈높이 집중 교육으로 투자 기초 마스터하기 👉🏻 vo.la/tgydS
✅ 바쁜 투자자를 위한 알짜배기 투자정보 - 이효석아카데미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 bit.ly/45jA33C
✅ 텔레그램 - bit.ly/44YOM3Y
*촬영일 6/5
00:00 하이라이트
01:53 저출산 문제, 왜 해결되지 않을까
10:04 만성 스트레스의 원인과 대책
15:37 승자독식의 전쟁논리, AI전쟁에도 적용되나
18:16 저출산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생각
21:07 저출산 문제 해결될 수 있을까
#저출산 #대한민국 #국민연금 #MZ #출산율
✅ 비즈니스/광고/협업 문의 : contact@hs-academy.kr

Пікірлер: 143
@hs_academy
@hs_academy 21 күн бұрын
🌟 [무료 신청] 간단한 패턴학습으로 뉴스 속 투자 힌트 찾아내기(~6/9까지 신청) 👉🏻vo.la/AMNKi 🌟 [오픈알림신청] 4주간의 눈높이 집중 교육으로 투자 기초 마스터하기 👉🏻 vo.la/tgydS ✅ 바쁜 투자자를 위한 알짜배기 투자정보 - 이효석아카데미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 bit.ly/45jA33C ✅ 텔레그램 - bit.ly/44YOM3Y
@zmfreeroo
@zmfreeroo 21 күн бұрын
한국은 20대까지 교육을 받고 나머지 7,80년을 각자도생하는 시스템입니다. 현대사회 생존력은 지식에 의해 좌우되는데 20대 졸업 이후 교육의 단절은 생존의 위협을 야기하고, 그래서 살기 위해 본능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군중심리입니다. 맞건 틀리건 일단 다수가 선택하는걸 따라하면 생존 가능성이 높다는걸 본능적으로 아는거죠. 이 현상이 수십년간 이어져오며 무지한 성인들은 생존을 위해 부동산 몰빵 세대가 되었고, 20대까지의 교육으로 100년을 살아야되니 태어나는 순간부터 대학 간판 쟁탈전이 벌어집니다. 그리고 군중심리로 어느정도 세력을 이루면 그들의 생존을 위해 다른 집단을 배척하는 집단 이기주의가 발생합니다. 이것이 세대갈등, 남녀갈등, 정치갈등 등을 야기합니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최신 정보력이 떨어집니다. 다른 말로 생존력이 떨어집니다. 생존을 위해 현재 안정적인 집단을 벗어날 수가 없으니 사회 곳곳에 고인물이 넘쳐납니다. 직장은 전쟁터인데 나가면 지옥이란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닙니다. 게임을 예로 들면 고인물 유저가 많은 게임은 신규 유저가 진입을 못합니다. 모든 자원과 룰이 다수의 고인물에 맞춰져 있으니 신규유저는 진입하면 그들의 먹잇감만 되고, 어느순간부터 진입이 끊깁니다. 그렇게 그 게임은 고인물과 함께 사라집니다. 이게 현재 출산율 0으로 향하는 한국입니다. 결국 모든 사회 문제가 21세기인 지금도 8,90년대 수능 시스템을 운영하는 교육 시스템에서 발생되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직장으로 이어지는 평생 교육과 그런 교육 기관을 서울 중심이 아닌 전국에 골고루 설치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살다보면 다니던 직장을 쉬어야 하는 순간이나 다른 직종을 해보고 싶은 경우든 뭐가 됐든 발생하는데 이런 교육기관을 통해 죽을때까지 언제든 내가 새로운 것을 배워서 새롭게 시작할 수 있도록 해야 많은 것들이 고쳐집니다. 특히나 인적 자원 빼고 모든 자원을 수입하는 한국에서는 평생교육이 필요합니다. 영상에서처럼 직장내 2,30년 고인물이 더이상 자랑이 아닙니다. 고인물이 많은 곳은 직장 내 괴롭힘, 사내정치, 연줄 만들기 등 그 폐쇄성을 이용해 법을 넘어서는 온갖 문제를 일으킵니다. 다양한 분야의 경험이 융합되어야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합니다.
@ttkk9040
@ttkk9040 21 күн бұрын
좀 배우신분 댓글. 부분적으로 동감. 고인물의 정치싸움. 난 민주당이고 고용에대해 민감한 사람이지만 이렇게 무너질거면. 고용유연화해서 고인물 사내정치 속아내기만 해도 아직은 더 성장할 거리가 있다고 보는 입장임. 그정도로 지금상황이 돌파구가 없으니 나도 극단적생각도 하는거임.
@user-mv4ct1vg4q
@user-mv4ct1vg4q 20 күн бұрын
기본 복지국가로 인간성을 회복시켜야 ᆢ
@chan87241
@chan87241 19 күн бұрын
교육이 너무구시대인게 너무 큰거같네요..ㅠ세상은 빠르게변하는데 ..
@user-mo7ww1gq6n
@user-mo7ww1gq6n 19 күн бұрын
학생들은 여전히 수능시험 좋아하던데 공정하고 생각의 깊이를 넓혀주는 시험이라고 난 수능 안보고 해외대학 가서 잘 모르겠지만 교육의 당사자인 학생들이 변화의 필요성을 못느끼는데 바꾸는게 가능은 한 일인가? 근데 또 요새 들어보면 고교학점제 도입원활히 됐다던데 이정도면 교육 선진화 거의 이룬거 아님? 수능만 향후 5년에 걸쳐 자격고사화 & 수시 제도와 완전한 결합 시켜버리면 태초 미국 대입을 본뜬 수시 제도가 완벽한 유사성을 띠게 되는거 아님? 믈론 외부단체 주관 과목별 심화시험 (AP) 시스템은 또 어떻게 모방할지 고민은 해봐야겠지 내신만으로 미국의 내신+ap 시스템을 퉁칠순 없음 수능은 sat와 유사하게 만든다 치고.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7 күн бұрын
여성들은 결혼 , 출산 안하겠다고 통계에 나와 있음. 싫다는 사람에게 아무리 지원해준다고 애 낳지 않습니다. 대신 모로코 , 터키 , 그리스 , 폴란드 , 일본 , 러시아 같은 나라는 한국인에게 관심 많고 한국 남자와 결혼 원하는 여자들 많다고 한다. 정부가 싱글 남성들에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는게 인구 감소 , 저출산 해결에 100 배는 더 도움 될겁니다. 장담합니다. 평범한 남자가 이런 나라들에 가서 국제결혼하기 어려우니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어서 쉽게 외국 여성을 사귈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합니다. 터키 여행 가서 터키 여자 만나서 결혼하는 사례를 많이 보네요. 한국은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합법적으로 출산.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축구선수 호날두는 총각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짐. 싱글 남자 아나운서나 , 싱글 남성 , 싱글 남자 연예인 중에 결혼은 싫은데 자기 애는 갔고 싶다고 말하는 남자들 많이 봤습니다. 근데 할수가 없죠. 한국은 모든게 불법이고 성과 핏줄에 대해서 옹졸, 편협 , 지독 , 경직된 나라.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법이 완전 남자를 노예화 하는 법이죠. 이혼시 재산분할이 남자에게 너무 불리 하구요. 그래서 남자들이 결혼 안하는 겁니다. 프랑스 팍스(동거 등록 제도)와 똑같은 법이 있어야 남자들도 아무 부담없이 그냥 느낌 가는 대로 동거 할수 있죠. (한쪽이 동록 해제 하면 되고 재산 분할 없음) 한국의 결혼을 생각하면 법 뿐만 아니라 그 어마어마한 의무 , 책임 , 희생 , 눈치 , 시댁 - 처가 인간관계 부담감 ........ 아무도 결혼 안합니다. 팍스가 도입되어야 부담 없이 동거 하는 사람 많아지고 출산은 둘째치고 인간답게 ,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많아질겁니다. 그럼 출산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구요.
@pokachicken
@pokachicken 21 күн бұрын
우연히 들어왔는데 감탄하고갑니다. 사회전체의 스트레스레벨이라
@jeongsunhong9250
@jeongsunhong9250 21 күн бұрын
저출산 문제를 유전자의 관점으로 보시는것에 심히 동감합니다 ❤❤❤😊😊😊
@user-iy6bz7iy9m
@user-iy6bz7iy9m 21 күн бұрын
'인간성 종말의 시대' 가 아닐까 합니다. 유전적으로 우리는 기계가 아닌데 기계로 대접받고 행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공감이 되네요.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7 күн бұрын
여성들은 결혼 , 출산 안하겠다고 통계에 나와 있음. 싫다는 사람에게 아무리 지원해준다고 애 낳지 않습니다. 대신 모로코 , 터키 , 그리스 , 폴란드 , 일본 , 러시아 같은 나라는 한국인에게 관심 많고 한국 남자와 결혼 원하는 여자들 많다고 한다. 정부가 싱글 남성들에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는게 인구 감소 , 저출산 해결에 100 배는 더 도움 될겁니다. 장담합니다. 평범한 남자가 이런 나라들에 가서 국제결혼하기 어려우니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어서 쉽게 외국 여성을 사귈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합니다. 터키 여행 가서 터키 여자 만나서 결혼하는 사례를 많이 보네요. 한국은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합법적으로 출산.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축구선수 호날두는 총각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짐. 싱글 남자 아나운서나 , 싱글 남성 , 싱글 남자 연예인 중에 결혼은 싫은데 자기 애는 갔고 싶다고 말하는 남자들 많이 봤습니다. 근데 할수가 없죠. 한국은 모든게 불법이고 성과 핏줄에 대해서 옹졸, 편협 , 지독 , 경직된 나라.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법이 완전 남자를 노예화 하는 법이죠. 이혼시 재산분할이 남자에게 너무 불리 하구요. 그래서 남자들이 결혼 안하는 겁니다. 프랑스 팍스(동거 등록 제도)와 똑같은 법이 있어야 남자들도 아무 부담없이 그냥 느낌 가는 대로 동거 할수 있죠. (한쪽이 동록 해제 하면 되고 재산 분할 없음) 한국의 결혼을 생각하면 법 뿐만 아니라 그 어마어마한 의무 , 책임 , 희생 , 눈치 , 시댁 - 처가 인간관계 부담감 ........ 아무도 결혼 안합니다. 팍스가 도입되어야 부담 없이 동거 하는 사람 많아지고 출산은 둘째치고 인간답게 ,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많아질겁니다. 그럼 출산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구요.
@user-ob6jt8xk3d
@user-ob6jt8xk3d 21 күн бұрын
우리 이미 기계였군요 ㅜㅜ 사람을 사람 취급 안 하고 부품 취급에 잘 났거나 못 났거나 모두 품질 평가하는, 인간이란 게 가치가 없는 사회라서 2세에 대한 생각조차 못 하는 거라고 생각됩니다 살기 힘들어서 새끼를 안 낳는다는 생물학적 관점을 지나 더 끔찍한 미래를 상상할 수 있는 인간이라서 더 아이를 안 낳는 것 같아요 아이 키우는 행복이란 게 사회적으로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느껴지지 않으신가요
@user-jr4wk6kc5w
@user-jr4wk6kc5w 21 күн бұрын
국가의 디자인이 잘못되어 있어서 국가 전체가 다 바뀌어야 하는 차원의 문제라서 개선이 불가능합니다. 개인의 입장에서 인구구조 붕괴가 벌어진다는 걸 현실로 받아들이고 각자도생 준비를 해야 합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국가 시스템이 붕괴될 거 같지만… 그 상황은 대비할 수가 없다는 게 문제지만.
@mil-dae_angel
@mil-dae_angel 20 күн бұрын
국가는 개인이 만든거 아니에요? 결혼할때 부터 아파트 찾고 필요이상의 유기농 위생 추구하고 헬리콥터 맘 육아하고 애들 명품입히고 학원 뺑뺑이 돌리는게 국가 탓이에요?
@triptravel3327
@triptravel3327 20 күн бұрын
이십댄데 육아, 학원뺑뺑이는 생각도 못하겠고 빌라에서 시작하면 아파트 살 수 있어요?
@user-jr4wk6kc5w
@user-jr4wk6kc5w 20 күн бұрын
@@triptravel3327 제가 20대라면 외국어 공부를 해서 나가겠습니다. 지금 부동산은 절대 접근하시면 안 됩니다. 현 세대가 선생님 같은 다음 세대에게 거품을 빼려는 노력은 1도 안 하고 고스란히 대출과 함께 떠넘기려는 거니까요. 정말 살 집이 필요해서 하나 구입하시더라도 이 맥락은 분명하게 생각하고 계셔야 합니다. 이 나라는 국가가 나서서 거품 꺼지는 걸 인위적으로 막고 있습니다.
@user-jr4wk6kc5w
@user-jr4wk6kc5w 20 күн бұрын
@@mil-dae_angel 그런 개인들이 만들어내는 산출물은 국가의 책임이죠. 국가는 개인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주택을 매입하거나, 과도한 위생을 찾게 하거나… 그런 현상들의 선호를 차단해서 개인들이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책을 통해 신호를 줘야 할 책임이 있는 거죠. 하지만 그러지 않았고, 지금 그 대가를 치를 때가 된 거죠. 문제는 일을 저지른 당사자들은 저 세상 가고 그 다음 세대가 독박을 쓰는 '시차'문제가 있다는 거죠.
@mil-dae_angel
@mil-dae_angel 20 күн бұрын
@@user-jr4wk6kc5w 님이 남탓 하는거 보니까, 왜 저출산인지 알겠네요...
@insight7095
@insight7095 21 күн бұрын
미래와 자신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고 생존 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을 때 출산이 줄어든다는 포인트는 최재천 교수님도 얘기한적이 있어서 동감됩니다 주택과 연금, 고임금 일자리를 고집할 이유가 적은 5060이 주택X 연금부담↑ 생애소득 관점에서 저임금 일자리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2030보다 여유는 있지만 한편으론 자녀와 부모 사이에 끼인 사회적 스트레스가 높다는 점에서 서로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도 있어보입니다 문제는 세대 차이를 이해가 아닌 갈등으로 만들고 이를 통해 이득을 취하는 정치인들과 언론, 이에 동조하며 문제해결보다 남탓에 익숙한 사람들이 아닐까 싶네요
@user-mh7rg9ez6g
@user-mh7rg9ez6g 20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은 글로벌한 트랜드인데 지구전체가 양극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user-zm8gw1ch9v
@user-zm8gw1ch9v 21 күн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ph3548
@ph3548 21 күн бұрын
생각할거리많은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kukheechun2821
@kukheechun2821 21 күн бұрын
오종태 이사님 기다렸습니다 🎉🎉
@zitnbit
@zitnbit 21 күн бұрын
출산율문제, 교육문제, 환경문제 등 모두 저 어렸을때부터 계속 말이 나오던 문제입니다. 하지만 30년 가까이 줄곧 안좋아져왔지 좋아진적이 없는데 과연 앞으로 좋아질수 있을까 싶습니다. 의대 증원 문제에서도 알수있지만 이 시스템을 고칠수 있을만한 위로 올라간 자들은 내가 얼마나 힘들게 여기로 올라왔는데 이 시스템을 고치냐 주의인지라...
@jgh8132
@jgh8132 20 күн бұрын
내가 놀라운건 삼성 하청 파견직을 잠깐 해봤음(안전기사) 세상에.. 일급 11만원을 주네????????(처음에 20만원이였는데 이것도 사기였음. 이것저것 막 붙여서 일급 11만원 ㅋㅋㅋㅋ) 그것도 현장직인데??????? 노가다 조공일도 이렇게 안받음. 그냥 사람 후려친 댓가를 받는거라 생각합니다. 각자 도생합시다. 이 나라는 망해도 쌈.
@user-gr4lg3bs6t
@user-gr4lg3bs6t 11 күн бұрын
삼성만 그런게 아니라 대기업의 하청구조는 모두 그렇죠 사기를 안치면 사람이 안오니 ㅋㅋㅋㅋㅋㅋ 그래서 거기 남아있는 사람들은 누구냐? 나이가 많이 들어 갈곳없는 어르신들이 정년퇴직까지 박혀있는경우가 허다함 대기업에 정직원들은 소수요 사내에 때거지처럼 몰려있는 다양한 하청 좆소들은 다수요 그 다수에있는 청년들은 박봉중에 박봉을 받으며 살면서 국민들이 집사라 애낳아라 미친소린지도 모르고 ㅋㅋㅋ 인간같지도 않은 대우받으면서 장시간 갈려나가는 청년들이 머리에 총맞았다고 낳냐? 참 드러운 민족인게 사람들은 이런 청년들을 손가락질 하면서 노력이 부족하다 꼬우면 너도 대기업 가지그랬냐 조롱이나 하는데 즈그들 성과금 잔치하고 보너스 받는이유가 아랫 기반 노예들 저임금 장시간으로 긁어모은돈으로 받는건데도 참 지옥에서 꾸득꾸득 기어올라온 사탄처럼 이야기하는 쓰레기들이 참 많은 유사국가에요 망하는게 맞음 ㅇㅇ
@oklm1711
@oklm1711 20 күн бұрын
기성세대들이 경제 발전에 도움이 전혀 안되는 부동산 몰빵 정책을 피겠금 만든 사회에서 왜 애를 안낳느냐고 쏘아부치고만 있는데 이미 선점한 사람들이 욕심이 그득그득한데 오히려 청년들 문제로 돌린다 참 역설적인 상황이다
@user-ti8wl1mn9o
@user-ti8wl1mn9o 21 күн бұрын
이사님 너무 좋아요❤
@user-mv4ct1vg4q
@user-mv4ct1vg4q 20 күн бұрын
참 훌륭한 의견 이네요
@hambak01
@hambak01 21 күн бұрын
유전자 관점을 얘기하려면 전세계 국가들의 스트레스 레벨과 출산율 데이터를 근거로 얘기해야 하지 않을까요?
@dennisy5368
@dennisy5368 20 күн бұрын
미국 어느 대학의 쥐실험도 동일한 결과였다고 들었음 결국 생존의 문제로 가가 때문에 dna 자체가 출산에 대한 의식 자체가 없어진다고 함.
@soohaanii
@soohaanii 21 күн бұрын
오종태이사님~😊
@sanghoonchoi3830
@sanghoonchoi3830 21 күн бұрын
문제는 유전자다! 이거 멋진 아이디어입니다.
@jonggoolee5707
@jonggoolee5707 20 күн бұрын
생존이 우선시되면 생식은 밀리는게 상식이죠. ^^ 자연의 섭리입니다.
@beyondmoney6828
@beyondmoney6828 20 күн бұрын
최재천교수의 생물학적 관점의 저출산 영상 보시면 같은 이야기입니다 좀더쉽게 얘기해준 영상이라 추천드립니다
@wolfk3893
@wolfk3893 20 күн бұрын
뭔가 사람을 빡쎄게 갈아넣기는 하는데, 그만큼 남겨먹진 못해서 정작 중요한 신입교육도 비용부담하기 싫다고 경력직만 찾아다니고, 시대에 맞는 재교육 부담하기 싫다고 학습시간도 안주고 나이들면 휙휙 갈아치우고 그만큼 개인에겐 생존본능을 자극하는 압력과 스트레스로 돌아오는 샘
@user-tu7fj7qh7d
@user-tu7fj7qh7d 18 күн бұрын
결국 2030은 못살겠으니 애를 안낳겠다고 하는 거고 40대 이상은 자기들은 안겪어봤고 현재 안정되어있으니 공감을 못하는거고 10대는 권력도 없고 끼어들 상황도 아니고...
@user-kw3bz1se3f
@user-kw3bz1se3f 20 күн бұрын
0.1 기대해 본다 제발 0.1까지 떨어뜨려주라 mz들이여!!!
@eg1tqnxu1
@eg1tqnxu1 20 күн бұрын
서서히 내려가니깐 보채기 금지
@user-cs8xn9pv7f
@user-cs8xn9pv7f 20 күн бұрын
먹고살기 힘들다+판단능력이 똑똑 해졌다=결과는 뭐겠어요?
@muse1971
@muse1971 20 күн бұрын
하시는 말씀 다 맞습니다! 정치 부분도 우리가 지금 관심갖고 목소리 내지 않으면 우리보다 멍청한 인간들한테 지배받고 더 힘들게 살 수 밖에 없다는 말씀 너무나 동감합니다!!!!
@The-ph7ug
@The-ph7ug 20 күн бұрын
둥지가 있어야 새끼를 낳지
@taxhong
@taxhong 21 күн бұрын
종합적인 스트레스를 낮춘다는 건 방법이 없다는 걸 듯한다
@ratiosharp926
@ratiosharp926 12 күн бұрын
최소한 고1부터 투표권 줘야합니다. 가족도 못알아보는 90대도 투표권이 있는데.
@haekyoungjung3064
@haekyoungjung3064 21 күн бұрын
❤❤❤❤
@user-wy5lc4jj9o
@user-wy5lc4jj9o 20 күн бұрын
10대 투표권 제한한것처럼 90대 80대도 투표를 제한해야 함
@user-zf9kc3gm6p
@user-zf9kc3gm6p 21 күн бұрын
19:30 청년들이 국민연금에 관심이 없다? 젊은애들이 하는 온갖 커뮤니티에 언급되고 화를 내고있는데.. 그냥 귀꽉막고 그대로 진행하는게 기성세대 아닌가요.
@user-vd9gx8uu3w
@user-vd9gx8uu3w 21 күн бұрын
옳은소리 유전자는,환경의지배를받는다 환경과사회분위기, 철학이담긴국가비젼이 있어야한다
@user-tq8vk4ev6d
@user-tq8vk4ev6d 20 күн бұрын
이악물고 아무도 예기안하는거같은데 실제 문제는 sns로 인해 박살난 자기객관화 및 낮은 자존감으로 인하여 오는 남들과의 비교질이 문제고 기존 전통적 가족의 가치 및 성 역할을 강조해오던 문화가 다 박살나고 천민자본주의가 팽배해진 우리 나라의 문화 자체가 원인 아닌가? 세상에 어느나라 젊은사람들이 돈이 많아서 애를 낳는거도 아니고 애초에 자녀의 가치를 돈과 비교하는거 자체가 우리나라 문화자체가 썩어 문드러졋다고 본다
@iliiillilil
@iliiillilil 20 күн бұрын
부탄이 행복순위1위국가 아니었습니까 sns들어오고 94위로 바로 하락했다고 합니다
@user-ri9yt5dv3t
@user-ri9yt5dv3t 20 күн бұрын
생물유전학쪽 전공이 아니실텐데 레퍼런스를 자기 의견처럼 얘기하시는거같네요.. 출처를 말씀해주시면서 말했음 더 신뢰성이 높아졌을듯
@orrenbuffett
@orrenbuffett 18 күн бұрын
어디서 줏어들은거 출처 대라고 해도 기억도 못할듯. 저분 책 사서 읽었는데 수박 겉핧기식으로 알고 깊이는 없고 관련 책 몇번 읽으면 다 아는내용을 유튜브 나와서 말하고 시청자들은 박수치고 그냥 그들만의 커뮤니티일 뿐. 투자로 수익은 내는지 궁금할 뿐..
@ray-78787
@ray-78787 17 күн бұрын
유전자 라는 이름에다가 이거저거 묻어서 순화되었지만 더 직접적으로는 갈등에 대한 이야기 젠더갈등, 세대갈등
@user-up2kg8wk9x
@user-up2kg8wk9x 20 күн бұрын
나라가 미래를 보고 가는게 없는해요
@tycoon1
@tycoon1 18 күн бұрын
너무 뻔한 주제라서 한참 안보다가 봤는데 너무도 현명하신것 같네요 감탄 자체입니다
@user-mlk9em25tzy
@user-mlk9em25tzy 20 күн бұрын
ai가 본격적으로 나오기전부터 이미 결혼출산은 박살나기 시작했는데 좀 억지로 갖다붙이는 느낌이네요 양극화와 sns발달과 맞물린 한국특유의 눈치주고 눈치보는 문화가 더 영향이 클듯
@sangolman4785
@sangolman4785 20 күн бұрын
월급 500이상 정규직이 출산정책입니다 쓸데업는데 세금낭비그만
@lemonred7013
@lemonred7013 21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은 사고다 사고는 막아야지 개선하는게 아니다
@falconi771
@falconi771 21 күн бұрын
기득권이 부동산으로 모든걸 망쳤다 😢
@user-ny9cd2ku3h
@user-ny9cd2ku3h 12 күн бұрын
리차드 도킨슨 책 보시고 오셨넹
@steel7492
@steel7492 21 күн бұрын
오이사님 말씀은 재미있지만 어렵고, 다시 보자하지만 다시 보지않는다. 감사합니다.
@user-cm3rj2lf8p
@user-cm3rj2lf8p 21 күн бұрын
유전자 관점에서는 어떤 상황 어떤 환경에서도 후손을 많이 낳으려할텐데, 개체적 관점에서 본다는게 맞는거 같네요
@currykim91
@currykim91 19 күн бұрын
이분은 말을 어렵게 하고, 똑똑해 보여서 들을때는 그런가? 싶은데 결국엔 맞는게 별로 없는거같아요.
@mincheoloh7992
@mincheoloh7992 20 күн бұрын
기업들이 직원 해고를 자유롭게 할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러면 기업들이 큰 걱정없이 대졸 신입을 많이 뽑을수 있다.
@Archimpresson
@Archimpresson 19 күн бұрын
한 나라의 문제를 인류의 존속 문제로 접근하네… 인류의 유전자는 현 상황에 만족하지 않을까요? 세계 인구는 증가하고 있어요. 우리 나라 인구가 줄고 있을 뿐
@pinetreehi6094
@pinetreehi6094 21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은 인공배아 ,인공자궁으로 해결이 가능해다. 단지 윤리적인문제인거지. 그건 법으로 해결하고 ..
@bravogametv
@bravogametv 20 күн бұрын
19세기 초 추정 전세계 인구 20억 명이고 현재 추정 전세계 인구 80억 명입니다. 섬 같은 곳에 천적 없는 동물 개체 수가 확 늘었다가 결국 다 죽거나 적당한 숫자로 유지되 듯 인류도 무제한으로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하진 않다고 봅니다.
@ploi1218
@ploi1218 18 күн бұрын
2030이 목소리를 내면 된다고 하셨지만, 절대적인 수가 적어서 목소리를 열심히 내도 묻히는거 뿐입니다
@user-lr3lz5ej7y
@user-lr3lz5ej7y 20 күн бұрын
지금 10~30초반 학교 댕기면서 본내용 적어드림 거진 반이 이혼 가정임. 우리 집도 그렇고 친구 집을 가도 맨날 돈돈돈 거리면서 부부싸움을 계속하더라 그걸 보고 자란 가정이 수두룩 빽빽인데 과연 그 모습을 보고 결혼하고 싶을까? 오히려 부모들이 결혼하고 행복 하지 않은 모습에 나도 똑같애서 보자마자 아 결혼하면 맨날 돈돈돈 거리면서 싸우겠구나 생각 들자마자 포기했다. 왜 우리가 물직적 풍요를 1위로 뽑았는지도 알게 되고 지원금 풀어도 왜 출산율이 줄어드는가 보면 지원금이 적어서가 아니라 이혼율이 급등하기 시작했을 때 부터 임. 1년에 결혼은 20만쌍이 하는데 이혼을 1년에 20만쌍이함 오히려 아이를 키우는데 예전과 다르게 지원금, 학교책값, 우유값 오히려 돈을 덜 들어간다. 사교육비만 높아진거지 오히려 돈 집때문에 결혼을 못하는게 아님 돈 있으면 결혼한다? 돈이 없어서 결혼을 못 한다는건 개소리다. 뭐 좀 적기는 하겠지 나는 솔로나 이런데 보면 다 대기업에 연봉 억대에 집있고 차있고 의사 변호사 차고 넘치는데 왜 결혼을 안 했겠냐 보면 됨
@user-wt8gw8we6p
@user-wt8gw8we6p 21 күн бұрын
5060때도 그랬음. 그세대들이 이거해바 막던짐. 그걸 버틴게 3040
@user-io3zk3wx8e
@user-io3zk3wx8e 18 күн бұрын
대통령 나이제한을 낮춰야한다 프랑스처럼 젊은 대통령 정치인들이 많아져야한다
@SJ-cv2zw
@SJ-cv2zw 18 күн бұрын
효석아.. 안낼건데 라고 생각하고 관심이 없다고..? 기성세대는 그렇게 바라보는구나.. '눈만 가리고 내가 안보면 안보이는줄 안다'라니 해결은 생각없고 또산률로 영상 찍을 생각 밖에 없는게 너무 티난다
@allofmoney340
@allofmoney340 20 күн бұрын
이악물고 90년대생이 희망이래, 누구좋으라고 희망이래
@user-yj5ku8ir9s
@user-yj5ku8ir9s 20 күн бұрын
최소한 가정에서 가족을 위한 시간을 주고, 애를 낳아도 걱정없이 키울 수 있는 환경이 되야 해결 될 것 같아요. 윗대가리들은 쪼이기 댄스같은 해괴망측한 정책을 내놓고, 국민을 그저 애낳는 기계로만 생각하니 절대 해결되지 않는거죠.
@user-kx7he2ht3i
@user-kx7he2ht3i 18 күн бұрын
스트레스가 오른게 아니고 욕구가 상승한 거겠죠.
@koreapol
@koreapol 21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진짜 문제는 대기업 14%가, 산업의 80%를 독점하고 있다는것. 덕분에 14%와 86%의 임금격차가 배 이상 차이나는데, 이것이 모든 문제의 원흉 이란 사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7 күн бұрын
여성들은 결혼 , 출산 안하겠다고 통계에 나와 있음. 싫다는 사람에게 아무리 지원해준다고 애 낳지 않습니다. 대신 모로코 , 터키 , 그리스 , 폴란드 , 일본 , 러시아 같은 나라는 한국인에게 관심 많고 한국 남자와 결혼 원하는 여자들 많다고 한다. 정부가 싱글 남성들에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는게 인구 감소 , 저출산 해결에 100 배는 더 도움 될겁니다. 장담합니다. 평범한 남자가 이런 나라들에 가서 국제결혼하기 어려우니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어서 쉽게 외국 여성을 사귈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합니다. 터키 여행 가서 터키 여자 만나서 결혼하는 사례를 많이 보네요. 한국은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합법적으로 출산.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축구선수 호날두는 총각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짐. 싱글 남자 아나운서나 , 싱글 남성 , 싱글 남자 연예인 중에 결혼은 싫은데 자기 애는 갔고 싶다고 말하는 남자들 많이 봤습니다. 근데 할수가 없죠. 한국은 모든게 불법이고 성과 핏줄에 대해서 옹졸, 편협 , 지독 , 경직된 나라.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법이 완전 남자를 노예화 하는 법이죠. 이혼시 재산분할이 남자에게 너무 불리 하구요. 그래서 남자들이 결혼 안하는 겁니다. 프랑스 팍스(동거 등록 제도)와 똑같은 법이 있어야 남자들도 아무 부담없이 그냥 느낌 가는 대로 동거 할수 있죠. (한쪽이 동록 해제 하면 되고 재산 분할 없음) 한국의 결혼을 생각하면 법 뿐만 아니라 그 어마어마한 의무 , 책임 , 희생 , 눈치 , 시댁 - 처가 인간관계 부담감 ........ 아무도 결혼 안합니다. 팍스가 도입되어야 부담 없이 동거 하는 사람 많아지고 출산은 둘째치고 인간답게 ,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많아질겁니다. 그럼 출산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구요.
@user-zc3me3le9g
@user-zc3me3le9g 20 күн бұрын
늙은이하고 젊은이하고 둘다 손해라고하네 늙은이들이 기득권잡고 흔드는데 왜 늙은이들이 손해냐>? 둘다 양보하라는 논리같은데 어쩔수없는 스윗영포티네
@taxhong
@taxhong 21 күн бұрын
국민연금 없어질 것이다
@user-vs4mu3jd6r
@user-vs4mu3jd6r 19 күн бұрын
여자들도 같은 한표인게 문제다
@kapohh1
@kapohh1 6 күн бұрын
말장난...? 허허허...
@allofmoney340
@allofmoney340 21 күн бұрын
국민연금 수급연령부터는 투표권 박탈하는게 맞다고 생각함. 어딜 받아쓰는 인간들이 요구사항을 말하려고 함.
@user-gg5ez9hn8m
@user-gg5ez9hn8m 20 күн бұрын
내가 낸 돈 내가 받는데 마치 당신이 주는 것 같은 표현 웃기네요
@user-cj7xg4gz8n
@user-cj7xg4gz8n 20 күн бұрын
본인이 20대 직작생활 하면서부터 쭈욱 내온 연금을 이제야 타는 사람에게 니가 먼 돈을 보태줬다고 생각하냐?
@allofmoney340
@allofmoney340 20 күн бұрын
​@@user-gg5ez9hn8m 니가 낸거만큼만 돌려받아 그러면.
@allofmoney340
@allofmoney340 20 күн бұрын
​@@user-cj7xg4gz8n니가 낸거만큼만 돌려받으면 될듯. 젊은이들한테 강제징수 하지말고.
@eg1tqnxu1
@eg1tqnxu1 20 күн бұрын
깝노
@user-io1jo8kg5p
@user-io1jo8kg5p 21 күн бұрын
10대 투표권 줘야되요. 안그러면 세상이 안변함. 이래야 변화가능성이라도 생기지 너무 투표권이 노령화되있어서 사회가 알면서 노인위주로 세상이 변화됨 미래가안변함 좀 만 지나면 10대 투표권 줘도 늦음 이것도 젊은 세대는 미래가 망하는 걸로 정해진 미래라 엄청난 스트레스 아니면 아이가 많으면 아이수만큼 어른 투표권을 늘리던지
@tjehdals
@tjehdals 21 күн бұрын
10대 투표권보다 차라리 70살 초과 투표권을 앗아야한다고 생각함.
@jaewoolee283
@jaewoolee283 21 күн бұрын
국가에 대한 의무 이행을 안하고 투표권을가진다고!?
@honneon
@honneon 21 күн бұрын
여자 군대가지도 않는데 투표하자너
@shinjak1058
@shinjak1058 21 күн бұрын
투표는 아무나 못하게해야하고 중국인한테 준 투표권도 뺐어야함
@user-ob2bq4gm7u
@user-ob2bq4gm7u 21 күн бұрын
당신의 미래도 노인임. 10대한테 투표권 주면 세상이 바뀐다는 생각하는 당신 같은 어른이 문제지. 어른들이 잘하면 될일이지..
@user-fp4uv3td8l
@user-fp4uv3td8l 20 күн бұрын
여성들을 편하게 하면 시집을 않간다. 거꾸로 정책하면 된다.
@bosedigit
@bosedigit 19 күн бұрын
뭔 이상한 소린지 모르겠네. 상상속에서만 생각한게 너무 티가나는데. 현 IT업계 시니어가 대부분 40댄데 뭔 AI 가지고 뭘좀 해봐라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꼰대 김부장이야 모야. 언제적 얘길
@user-vd9gx8uu3w
@user-vd9gx8uu3w 21 күн бұрын
서양,미국,영국,유럽의일부국가 세계를지배하는나라들 그들국가에 사람이 먼저인 나라가있는가,돈이먼저지? 겉과속이 다른세상에서 보이는것과보이지앟는것 즉..... 인간을잘속이는세상 지금의세계다
@user-rw4yw6be4h
@user-rw4yw6be4h 20 күн бұрын
인간의 이성은 브레이크페달이고 욕망인 본성은 악셀페달인데 본성이 이성보다 더 강력해서 이런 결과가 만들어진건 아닌지.. 그렇습니다.. 이성적으로 행동했으면 이런 결과들이 나오지 않았을겁니다.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쳐 박겠지요.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그냥효] 변화하지 않으면 낙오되는 세상
13:21
이효석아카데미
Рет қаралды 17 М.
후회없는 40대를 위해 2030이 꼭 해야하는 것 | 요즘선배 (with 정재경)
1:0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