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도자기보다 완벽한 것은 세상 어디에도 없습니다. " - 모우리 교수의 도자기에 대한 강의

  Рет қаралды 919,522

유튜브 지식 쇼츠 S

유튜브 지식 쇼츠 S

Жыл бұрын

#한국 #도자기 #미국
미국의 한 미술관에서 한국 도자기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긴 시간 강의가 이어졌지만..
서양인들은 오히려 한국에 대한 궁금증을 키워갔고
강의가 끝나자 폭풍질문을 쏟기 시작하는데요

Пікірлер: 723
@rukiki2778
@rukiki2778 Жыл бұрын
저 내용 보면 자긴 중국에 지원을 받는데 한국도자기 중국도자기만큼 매우 좋다. 당시 도자기만들 수 있는 나라 중국이랑 한국이다. 자기가 도자기 하나 선택해 가져갈 수밌으면 한국도자기 하나를 가져가고 싶다. 둘러서 한국도자기 좋다는 걸 알려주는 거임. 중국도자기 연구 교수인데도 한국도자기에 빠져있음.
@user-be5jh2km7r
@user-be5jh2km7r Жыл бұрын
처음 볼때는 중국도자기가 눈에 들어오다 한국의 도자기를 보면 다른 나라의 도자기는 잊게 되는가 봅니다
@salt8172
@salt8172 Жыл бұрын
중국 본토에 고구려 백제 신라가 있었다. 중국이란 나라의 실체는 없다.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 Жыл бұрын
중국은 아랍 인도 느낌이 나는데 한국은 확실이 이질적 or 신비롭긴합니다
@turkiyeguclukal
@turkiyeguclukal Жыл бұрын
사실 지금 영국왕실에 사용되는 자기류도 한국에서 제작해 남품된다고 하던데요? 역시 그 피는 못속이나 봅니다.
@user-gb8fh2od8w
@user-gb8fh2od8w Жыл бұрын
중국도자기가 고도의 혹은 정교한 기술로 만드는 장인의 작품이라면 한국의 도자기에는 기품과 품격 그리고 유머와 예술에 대한 심상이 엿보입니다. 아마추어 이긴 하지만 전통문화에 관심이 많아 대만 국립박물관에 방문했을때 정교한 중국 도자 기술에 눈을 크게 뜨고 봤습니다만 용산 국립박물관 도자기전시관에서 느꼈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을 느낄수는 없었습니다. 물론 한국인이어서 더 감정이 깊었는지도 모르겠지만 중국도자기가 화려함에 취해 보면서 감탄하면 끝인데 반해 한국 도자기는 숨겨두고 보고 또 보고 싶다고 할까요..아마추어가 넘 사설이 길었네요.
@user-xy4xr4ht9k
@user-xy4xr4ht9k Жыл бұрын
중국자본을 받으면서도 용기있게 한국문화와 자기들에 대해 강의를 해주신 모우리박사님께 심심한 존경의 마음을 가집니다. 전문가의 시각으로봐도 중국자기의 화려함보다는 절제된 미를 추구한 우리의 것이 세계최고로 인정해주심에 감사함을 느끼게됩니다. 그럼에도 영국이나 미국의 경매장에서는 중국의 도자기들이 우리의것보다 수십 수백배의 가치를 매긴다는것이 안따깝습니다.
@user-cz2nq7od8r
@user-cz2nq7od8r Жыл бұрын
진짜인가요?
@user-un3xq2iv5q
@user-un3xq2iv5q Жыл бұрын
여백의미 순수의미를 모르는 외국인들이네요
@Jft860
@Jft860 Жыл бұрын
심심한,안따까운 노린거지
@evvue
@evvue Жыл бұрын
중국 자기를 중국인들이 경쟁해서 사들이니까요 차이나머니
@user-ix1hp7cr2v
@user-ix1hp7cr2v Жыл бұрын
현직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은 양심 문제 이전에 "우리게 무조건 최고" 라는 식으로 말하지 않는데...("배끼긴 뭘 배껴 주고 받는거지." 라고 하죠...) 꼭 사이비 사학도들이 그런 환빠스러운 발언들을 하면서 지지자를 모으죠....
@user-np8xn2dy4p
@user-np8xn2dy4p Жыл бұрын
백마디 칭찬보다 "집에 가져 가고 싶다" 가 제일 와닿는 표현이네요ㅋㅋㅋㅋ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Жыл бұрын
사진들로 봐서는 왜 대단한지 얼마나 아름다운지 몰라요. 직접 봐야.. 마치 영기를 내뿜는다고 해야하나? 숨이 멎을 정도로 아름답구나 느낄 수 있음.교과서에서 반가사유상 그렇게 본건데도 박물관에서 처음 보고 충격 먹었어요. 그냥 압도적임. 자기도 모르게 눈물이 남.
@GrimReaper-sd1yp
@GrimReaper-sd1yp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론 사진만 봐도 알겠습니다ㅋ 디자인에서도 저렇게 무늬 꽉채운거 별로 안좋아합니다. 오히려 포인트라고 해서 한쪽에 시선 집중시키는걸 선호한답니다ㅋ 한국의 도자기중 위나 아래에 포인트로 사물 한두개 그리고, 나머진 비워두는게 정말 멋지고 세련된 디자인 같아욤ㅋ
@user-lk9hp4bq6v
@user-lk9hp4bq6v Жыл бұрын
중국은 현란한 잔기술로 잘만들면 명인임. 한국은 그냥 실리적으로 만듬 그냥만듬 그냥 잘하는놈 그뿐임. 일본은 별것도아닌걸 대단한걸로 과장해서 만들고 명인이라함.
@naricafe8722
@naricafe872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실제 보니까 울컥하는 감동이 밀려오고 뭔가 기를 강하게 받는 느낌이 들었어요♡
@hc7719
@hc7719 Жыл бұрын
오바하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반가사유상 얘기인거 보고 바로 납득했어요 ㅋㅋㅋㅋ 반가사유상은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user-jz4bb7om9s
@user-jz4bb7om9s Жыл бұрын
명작들을 보면 정말 장인의 숨결이나 영혼이 들어가 있다는 걸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 작품을 만들면서 고뇌했을 시간이나 노력이 천년의 세월을 건너 뛰는 기품이 되는 것이죠.
@FastosoZ
@FastosoZ Жыл бұрын
중국은 웅장한것을 좋아했죠 과하면 과할수록 웅장해집니다 그래서 디테일이 높고 여백이 적습니다 우리 경우는 여백의 미가 훨씬 중요시 되었죠 비어있는듯 꽉차있고 간결하되 깊다 중국의 무술이 동작의 화려함을 강조하다보니 실전성이 떨어지는것도 같은 영향 아닐까 싶네요 중국이 빨강 파랑 노랑 강렬한 원색을 좋아할때 우리는 염색기술이 떨어져서 대부분 은은한 색이였다고 오해도 하는데 염색기술 나쁘지 않았습니다 화려한듯하나 과하진 않고 수수한듯하나 초라하진 않아 잘 어우러진다라는 그냥 추구하는게 다른겁니다 현대 화장법이나 패션을 보고 한국인을 알아맞춘다는것도 멋을 낸듯 안낸듯 자연스럽게 빛이 나는걸 추구하는건 여전하기 때문 아닐까 싶네요
@vampirekiss2
@vampirekiss2 Жыл бұрын
천을 백색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합니다. 누런색이 아니라 하얗게 만드는 것. 우린 백의 민족이라 불릴 정도로 백색을 좋아해 왕이 못하게 할 정도 였다고 하니까요. 그만큼 염색 기술이 뛰어났나고 하더라구요
@user-zl5gc8jd7d
@user-zl5gc8jd7d Жыл бұрын
화면으로 보는데도 참 예쁘네요.
@warizin7202
@warizin7202 Жыл бұрын
100추천
@unknown-tw1fn
@unknown-tw1f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화장하는것만 봐도 자연스러운게 중요하고, 조선시대 건축물만 봐도 선조들이 건물의 화려함 보다 주변 환경과 조화로움을 우선으로 두셨음. 심지어 정원도 보면 우린 자연을 그대로 활용한 정원인데 반해 일본은 딱 인위적으로 배열이 딱딱 맞는 그런 정원들이 많음. 무엇이 옳다고 할 순 없겠지만 현재 K드라마가 나라가 달라도 공감을 얻고 희노애락을 같이 느낄 수 있는건 이런 자연과 인간에 대한 솔직함과 정직한 모습이 아닌가 싶음. 우리 국민성도 일본과 중국처럼 자기게 아닌데도 자기거다 떼쓰지 않고 우린 그들 문화는 그들거라 인정하고 우리가 배운것들이 어느나라였건 진실을 알길 바라는 민족임
@kakaspeed7764
@kakaspeed7764 Жыл бұрын
울나라 90년대 여자들 화장 보면 엄청 두껍고 진했죠 변장이냐 놀릴 정도로요 안해본거 아닙니다 ㅋ 그러다가 자연 색조로 발전한거 보면 국민성은 현대에도 살아있습니다
@nkkim387
@nkkim387 Жыл бұрын
도자기에 크렉이 있는건 구운 후 찬공기가 식기전에 들어가면 유약이 깨진것인디 이전 선조들은 이것을 조절해 가장아름다운 크랙을 만든거입니다 도자기 기초 테크닉인데 기술을 보면 시간의 기준이 보입니다
@Aegithalos-
@Aegithalos- Жыл бұрын
오오.. 모우리교수님한테 말해주고싶은 정보로군요
@PianoHymn1611
@PianoHymn1611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빙열이 없는 것들은 다 부숴버렸다는데 모우리교수님이 그 부분에 대해서 모르셨나봅니다 그 빙열을 나타내기 위해서 도공들의 가장 높은 기술이 필요했지 말입니다~ 그 부분에서 좀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mjhd9982
@mjhd9982 Жыл бұрын
옹 똑똑해
@user-cd6dw4qi7l
@user-cd6dw4qi7l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조선시대 일제치하에에 얼마나 많은 국보급 문화재가 반출된 것일까?
@pajusi
@pajusi Жыл бұрын
이미 그전에 조선시대 때부터 인력유출이 심각했음 장인들 대우를 잿같이 해서 헬조선에서 사느니 일본 가서 대접 받겠다고 해서 고려청자 조선백자가 맥이 끊김
@stepedit
@stepedit Жыл бұрын
@@pajusi 미안한데 당시 동북아 3국에서 장인들의 대우는 도진개진 엇비슷 했습니다. 일본 가서 대접이요?ㅋ 피로인 도공들의 삶이 어땠는지 아리타에 가면 자세히 알 수 있으니 한번 가 보시고 그딴 헛소리 지껄이시길. 오히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인 도공들의 상당수가 포로로 끌려 갔지만, 17세기 이 후에도 조선의 도자기 기술은 여전했고 최절정에 달했던건 18세기 입니다. 조선에서 도자기가 쇠락한 이유는 사대부들의 취향이 도자기에서 유기로 바뀌었기 때문임. 다른 이유 없어요.
@user-qb2bx5by4f
@user-qb2bx5by4f Жыл бұрын
전세계 18만점이상이 아직 돌아오지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중 일본이 8만점 이상을 보유하고있고요 그걸 경매로 내놓구 있는데 우리한국인들이 사들인다고 하더라고요 기가찰 노릇이죠 우리문화재를 우리가 돈주고 사야한다니 ㅋㅋ 지금도 어의가 없네요
@user-dq9uv8rq3b
@user-dq9uv8rq3b Жыл бұрын
무덤까지 전부다 못가져간건 군산앞바다에 수장했다고 합니다 외할아버지가 배까지 빼앗기고 해주신말씀....배 안주실려고 도망가시다 손가락까지 꺽고 빼앗아갔답니다. 군산앞바다에 버리는것도 직접 보시고요.
@young1851
@young1851 Жыл бұрын
일본이 그들 박물관에 일본것인것 처럼 교묘하게 전시하고있는 유물중 한국에서 훔쳐간것이 무려 3/4이 넘는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어요
@jhlee3712
@jhlee3712 Жыл бұрын
한국인들만의 절제미에 다들 안달하고 미칩니다. 시 노래 그림 도자기 화장법 모두 한결같이 과하지 않게 잘 덜어낸 아름다움
@honshin23
@honshin23 Жыл бұрын
도자기에 문양이 과하면 음식이 잘 안보이고 눈이 아픔..... 중국, 일본 도자기들은 여백을 꽉꽉채워서 답답함... 그걸 유럽이 그대로 따라했고...
@jhlee3712
@jhlee3712 Жыл бұрын
옛날 가구만 봐도 어찌그리 심플하고 은은한 지. 거기에 문신처럼 새겨진 작은 문양. 정숙한 여자의 수줍은 요염함이 살짝 깃든.. 어찌 다 말로 표현하나요..
@mnklkl
@mnklkl Жыл бұрын
우리 조상님들은 몇 백년전에부터 현대의 유행인 미니멀리즘을 추구했죠.
@joncert4844
@joncert4844 Жыл бұрын
@@mnklkl 자기 고유문화를 자기언어로 설명못하는 한국인이군
@younggiltak7719
@younggiltak7719 Жыл бұрын
요즘으로 치면 꾸안꾸 같은 건가
@user-js8rf7yp8k
@user-js8rf7yp8k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춘천 선사 유적지와 토기들이 중요한 거여. 한반도서 오래전 부터 토기를 빗어서 사용했고 발전 되어 왔다는 증거로. .
@honshin23
@honshin23 Жыл бұрын
토기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다 제작했음..... 문제는 1000도 이상의 고온으로 도자기를 완성했냐의 차이지... 1200도 넘어가면 표면 자체가 다름...
@user-vi4kq9wg5n
@user-vi4kq9wg5n Жыл бұрын
@Honshin 맞습니다. 춘천 선사 유적지와 토기도 중요할지도 모릅니디 단순히, 도자기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근원, 세계사를 다시 쓸, 중공의 동북공정을 허물어뜨릴지도 모를 고고학의 승리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서입니다.
@imgmkr
@imgmkr Жыл бұрын
레고랜드..
@user-sf8oe2uf2t
@user-sf8oe2uf2t Жыл бұрын
Justice ⚖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 Жыл бұрын
@@honshin23 도자기는 온도의 차이가 중요합니다.그러나 토기는 다양한조형미를 보는게 포인트입니다.
@user-lc3gn8zi6d
@user-lc3gn8zi6d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청자 백자의 역사를 외국인한테 자세히 배우네요 우리나라도 우리나라역사를 좀더 세분히 연구하고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ec4810
@ec4810 Жыл бұрын
@ᄀᄋᄒ 당연히 의도적인거죠. 찌질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민족이 잡아 먹기 편하지 않겠습니까. 정부에서 지원하는 세금도 식민사학자들이 독식하고 있고, 중국, 일본에서도 지원을 해주겠죠. 이덕일 역사TV에서 언급하는 내용을 보면 이 말이 틀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아니라면 그 놈들이 고소하고 난리가 났겠지만 조용한 것을 보면 더욱 신빙성 있다고 보여지네요. 식민 사학자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보면 뭔가 연결이 잘 안되고 이상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 이러니 역사가 재미가 없고, 머리 아프고, 멀리하게 되니 이 모든 방향이 역사와 멀어지게하려는 의도인 것 같습니다. 해결해야하는게 한둘이 아니니 걱정되네요.
@joncert4844
@joncert4844 Жыл бұрын
남이 칭찬해야 관심가지는건 식민의식이 잇기때문임 남들이 무시하면 같이 무시할건가 남이야 머라건 내조상의 문화는 귀하고 위대하게 여기고 보존하고 계승해야 함 내 강아지 내가 아껴야 남이 발로 못차는 거임 식민사관과 극우 설치는 영향으로 현대 한국인들은 자부심이 서구 일본 중국등 다른 나라에 비해 약함
@user-pu9ww7sv1l
@user-pu9ww7sv1l Жыл бұрын
대가리에 먹물이 잘못든 쇜기들이 문제임. 보통의 경우엔 저런 역사에 접할수 기회가 한정되어 잘 모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전문가의 식견에 의지하는거고 그걸이용해 사실을 호도한다면 그넘들이 잘못이지 일반인을 비난 할 일은 아닌듯합니다.
@user-oi1rh4vs1w
@user-oi1rh4vs1w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부끄럽고 감동적이네요 많이 반성하게 됩니다
@soan_atelier5565
@soan_atelier5565 Жыл бұрын
강연자의 한국사랑에 짐심이 느껴져서 가슴이 뭉클하네요...한국 예술의 우수성에 자부심이 느껴집니다.
@user-cf6fv2zq4g
@user-cf6fv2zq4g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의 우수성은 최고지요. 작은땅과 많은 침범 속에서도 우리것을지키고 보존해왔으니...
@seanhello2
@seanhello2 Жыл бұрын
작은 땅이 아닙니다. 우리는 큰 나라였으나, 최근 역사를 통해서 줄어들었으나, 조선강역은 매우 컸습니다. 고려도 그렇고.. 거짓 역사, 반도사관은 일제와 매국노의 작품이고, 현재까지 배우고 외우고 국가시험에 치뤄지죠. 한심한 현실이죠. 아직 기득권이 일제 잔당들이니까요.
@user-gv2gw5oh1v
@user-gv2gw5oh1v Жыл бұрын
근현대를 제외하곤 많이 축소 왜곡된 것이 한국사이고 중국과 일본 그리고 식민사학자들에 의해 그것이 정설로 굳어가는 중이죠
@user-qx2fd9pm2w
@user-qx2fd9pm2w Жыл бұрын
우리 역사 바로 알기가 시급합니다 왜곡시킨 역사학자들의 양심 선언도 필요합니다
@user-ym1zc8zn5w
@user-ym1zc8zn5w Жыл бұрын
내가 잘 모르는 한국의 도자기에 대해 외국학자에게서 설명을 듣다니..
@joncert4844
@joncert4844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말하면 안듣고 서양이나 남이 칭찬하면 귀기울이는 건 식민의식임 빨리 벗어나삼
@yuja-tea
@yuja-tea Жыл бұрын
@테스트 이 악물고 부정해라ㅋㅋ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Жыл бұрын
모우리 교수는 한국문화에 대한 조혜가 매우 깊은 인물이네요.
@youtubessam
@youtubessam Жыл бұрын
조혜x 조예ㅇ
@hwan9375
@hwan9375 Жыл бұрын
동해가 아니라 일본해라고 쓰인 지도를 사용해 많이 아쉽습니다.
@user-ld3pb2gw1s
@user-ld3pb2gw1s Жыл бұрын
백제 금동대향로 보면 천년을 앞서 가는 기술과 섬세함, 그 안에 든 철학을 보면 절로 고개가 숙여져요.
@kakaspeed7764
@kakaspeed7764 Жыл бұрын
그거 처음 발굴한 고고학자는 흙에 파묻힌거 봤는데도 손이 벌벌 떨렸다고 합니다 얼마나 감격스러울까요
@user-mh4zj3dh4m
@user-mh4zj3dh4m Жыл бұрын
요즘 기술로도 복제가 안된다던데 신기할 따름이네요
@user-ew6ls7ry1s
@user-ew6ls7ry1s Жыл бұрын
그나마 교수라는...본분에 충실한 당신께 박수를 보냅니다.
@deunggulee5698
@deunggulee5698 Жыл бұрын
한국 도자기 예술이 수천년에 걸쳐 변천 해온 과정과 이를 관계하여 설명한 역사는 간략하지만 매우 잘 설명 해준 훌륭한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user-pn3vj8sq6g
@user-pn3vj8sq6g Жыл бұрын
사랑에 빠진 모습으로 설명해주시는데 마치 어린아이같은 순수함이 묻어납니다. 참 감사한 마음입니다.
@jsj0113k
@jsj0113k Жыл бұрын
중국 지원으로도 막을수 없는 수준 문론 양심적인 교수님도 대단하신분
@user-oj8en4gp8h
@user-oj8en4gp8h Жыл бұрын
가장 완전하고 완벽함이 한국에 있는... 아름답고 또 아름다운 우리나라 대한민국 어머니의 나라 사랑합니다💐
@user-pn2io9hk8q
@user-pn2io9hk8q Жыл бұрын
이런 귀중한 강의를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고 우리 조상님들이 한없이 자랑스럽습니다
@nadanada8365
@nadanada8365 Жыл бұрын
궁도 마찬 가지였어요. 베르사유궁전 예쁘고 화려하고 멋진데 다 보고 나오니 딱 거기까지. 뭔가 질리는 느낌. 왜 그럴까싶었는데 갑자기 우리나라 궁의 아름다움이 떠올랐죠. 단아한 듯 화려하고 고급지게 위엄있으면서 편안한. 그래서 외국 사람들도 우리 궁궐에 극찬하나 싶네요.
@ShangriLa_
@ShangriLa_ Жыл бұрын
저 미국학자도 아쉬운점은 당시의 문화권을 현재의 국경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한계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중국의 서부해안지역과 동북3성지역은 동이족의 문화권이었다고 봐야하니까요. 현재의 국가들이 과거 자기들의 역사를 어느범위까지 포용하느냐는 그 현재국가의 의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중국은 자신들의 화하족과 명백히 구분짓던 동이족의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로 편입시키려는 동북공정을 진행하고 있고 대한민국은 자신들의 뿌리인 동이족의 역사를 조선시대부터 일제까지 이르러 철저히 버리고 있다는게 아쉬을 따름입니다.
@cloudkim62
@cloudkim62 Жыл бұрын
적어도 역사를 공부하시는 분들은 삼국사를 지도와 함께 공부했으면 하네요.. 옛 지명을 모른다고 아무데나 비정하면 안돼죠..
@jongpark9777
@jongpark9777 Жыл бұрын
** 중공 땅에 버젓이 자리 차지하고 있는 의 지형 지물 지명들 .. 대부분의 한국인만 모르는 우리나라 의 놀라운 진실 /2022_ kzfaq.info/get/bejne/nNWBYJmduK6qoJ8.html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Жыл бұрын
판타지 역사는 그만ㅎ 선진시대 동이와 이후 동이 구분 좀 합시다 동이라 해서 다 같은 동이가 아닙니다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역사는 일제사관을 배제하고 다양한 시선으로새롭게 반추해볼필요가있습니다. 이병도를 시작으로해서 철옹성같은 식민지적사고를 바탕으로한 지금의 역사가 아닌 다양한 시선으로 역사를 해석할필요가 이습니다. 그렇게해도 역사의진실을 20프로도 알수 없다는 미지의 영역임을 인정하고 보아야합니다. 역사는 빙산의일각만 알수있는 추정일뿐 사실이 될순없습니다.
@user-ih1pm6hm1y
@user-ih1pm6hm1y Жыл бұрын
이게 환단고기인지 뭔지 그건가요? 정신이 어질어질해지네요
@vcxzmnb1267
@vcxzmnb1267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울컥한다 일제의 잔재로 아름다운 우리문화 역사를 우리가 귀하게 생각하지 않는게 안타깝다..
@user-rz7wh1ws2l
@user-rz7wh1ws2l Жыл бұрын
도자기도 아름답지만 고택 지붕 기와도 보전해야할 가치가있읍니다 기와 모양과 무뉘가 지방마다 다틀리며 자세이 보면 투박하면서도 각각 에 새겨진 무뉘도 눈여겨보면 고상하며 아름답다고 느껴습니다. 고택이나 열여문 제각 관청 이엿던곳 지붕을 허물면서 깨서 없애고 땅에묻는것 이 너무 안타까워습니다. 백년넘어 이백년 기와들 기와장인들이 한장한장 손으로 만들어 구운 우리조상들의 얼이 새겨 있있다고 생각합니다 나라에서 보젼을못하면 나와같은 생각을 갓고있으신 분들이라도 눈여겨 보시고 아껴 보전 하는방향 으로가면 좋겠습니다"
@reset21
@reset21 Жыл бұрын
기술자 개차반 취급하는건 일제가 아니라 우리 조상들때부터 만연했다 조선시대 일본에 잡혀간 도공들 기회가 있었음에도 대부분 귀국 거부했던건 알고있나?
@vcxzmnb1267
@vcxzmnb1267 Жыл бұрын
@@reset21 친일매국노
@reset21
@reset21 Жыл бұрын
@@vcxzmnb1267 뭔 개소리야 사농공상 모르냐? 평민의 대부분을 이루는 농민보다 못한 취급을 받은게 도공들이었다 천민에 속했자나? 태생적으로 과거시험 응시자격도 없고 직업선택 자유는 커녕 거주지 이전의 자유도 박탈당한 노비에 가까운 신분이 도공들임 덕분에 집단으로 굶어죽은 사건도 있었지 그러다가 일본으로 끌려간 대부분의 도공들이 거의 귀족급 대우를 받으니까 조선으로 안돌아온거 못들어봤냐?
@johnnypotterim
@johnnypotterim Жыл бұрын
기술자 개차반 취급한건 조상이라보단 조선의 유교사상이라 하는게 맞죠. 고려 청자는 정말 대단하거든요. 일본은 옹호하며 굳이 조상탓이라 하는건 식민사관처럼 보이긴 합니다. 조선이라는 암흑기와 일제를 거치고도 지금 다시 세계 문화예술에 발이라도 담그고 있는게 신기하긴 해요. 조선의 도자기를 그대로 계승해서 지금까지 맥을 이어온 일본 도자기의 깊이는 따라잡아야 할 부분이기도 하네요. 중국은 음.. 아웃오브안중
@skp50208
@skp50208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수천 년동안 깨끗한 도자기 그릇에 철로 된 수저로 음식을 받아 먹고 있을 때 서양 애들은 나무 그릇에 손으로 빵을 먹고 지냈지. 또한 동시에 추운 겨울이면 따뜻한 구들 위에 몸을 눕혀 자면서 하루의 피로를 풀었을 때 서양 애들은 벽난로 앞에서 허연 입김을 연신 뿜어 내며 덜덜 떨며 겨우 손불을 쬐고 살았지. 그런데 이게 16~17세기부터 뒤집어 진 거지. 안타깝게도 화약이 서양으로 넘어 가면서 부터...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먼 개소리지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에도 유럽문명이 세계 중심으로 떠오르는 시기는 르네상스 시대 이후라고 명확하게 서술하고 있단다.. 이후 실학.. 실증학문의 융성과 함께 과학 기술발전.. 생산량증대는 폭발적인 인구 증가를 가져왔고..
@skp50208
@skp50208 Жыл бұрын
@@user-jm8km6zl4d 한다는 소리가 겨우 르네상스지? 그 다음엔 뭐가 있지...제네들 르네상스 이후엔 일반 시민들 전부 사기그릇에 철로된 식기 도구 썼겠지? 너같 얘 때문에 정확히 알라고 르네상스 이전 서양 일반인들의 생활상을 말한 거다. 하기사 영화에서 본 수준 가지고 웅캉캉하는 얘니 내가 더 이상 댓구할 가치도 못 느끼겠구나.
@mnklkl
@mnklkl Жыл бұрын
@@user-jm8km6zl4d 실질적으로 유럽이 아시아를 넘어선건 1800년대 산업혁명 이후입니다. 르네상스시대부터 아시아를 넘어설 그 발전의 단초가 시작되었지만 유럽 사회 모두가 그 혜택을 받았던건 아닙니다. 여전히 일부 귀족을 제외한 피지배층 대부분은 아시아의 피지배층보다 궁핍한 삶을 살았습니다.
@user-kr3ky2pc4w
@user-kr3ky2pc4w Жыл бұрын
웅캉캉님 교과서를 잘못 꿰뚫어 보신 듯
@user-jx5vd7bw6u
@user-jx5vd7bw6u Жыл бұрын
수천년은 잘못된 표현인듯. 도자기가 등장한게 중국 송나라 때이고 이것이 고려에 넘어와 고려자기 탄생이 11세기이고 일반에 자기가 대중화된 게 고려 중엽부터니까 조상님들의 본격사용은 약 900년 전부터임. 그리고 그 이전은 동서양이나 모두 토기를 사용함.
@user-bf7gu6fo9p
@user-bf7gu6fo9p Жыл бұрын
저도 몰랐던 우리 문화에 대해 많이 배웠네요. 교수님이 할 말은 많고 시간은 부족한 듯한 모습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수님의 깊은 애정을 느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b9ou4ru8z
@user-jb9ou4ru8z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도자기는 절제미가 있어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것 같아요...^^ 특히 달항아리는...햐~~~~~ 건 그렇고 시작점 영상 지도에 우리나라 동해가 sea of japan 이라고만 기록되어 있네요...ㅜ.ㅜ 너무 가슴 아픕니다...
@jinyouri
@jinyouri Жыл бұрын
기침과 덕질은 숨길수없다는데 한국 예술사랑하는 마음이 너무 잘느껴지네요ㅎㅎ
@kim.serenaemery7569
@kim.serenaemery7569 Жыл бұрын
한국 도작 기술은 최고였죠. 그나저나 저 박사님 이후에 금전적인 후원이 계속 되었나 걱정되네요. 계속 연구를 이어나가시길..
@twsbg
@twsbg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불구 유럽에서는 중국 일본도자기만 알려진거 보고 얼마나 많은 역사가 왜곡되어있는지 다시 한번 느꼈음.
@user-rf5pr3ec2l
@user-rf5pr3ec2l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지만 또다시 우리 도자기의 우아함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leeshmd
@leeshmd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예술을 외국 교수님께 더 잘 배우게 되네요.
@i-smr8468
@i-smr8468 Жыл бұрын
원래 노래하고 춤추는 그이상으로 좋아하던것이 바로 무용의 사치품에 가까운 예술품에 환장하던 민족.....눈이번쩍뜨일만큼 화려한 아름다움을 넘어서는 혼을 빼놓는 담백하고 절제된 고차원의 미를 즐길줄아는 민족......하지만 이런공정 저런공정 당하며 우리 역사는 너덜너덜해지는중
@byeongal
@byeongal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보고 취해서 국뽕 맞은 것 처럼 될 수도 있는데, 이 영상은 강의해주시는 교수님이 한국의 미를 아주 많이 사랑하고 계신다는 느낌에 마음이 따뜻해졌습니다. 우리가 국뽕국뽕 하면서 멀리했던(?) 우리나라의 우수했던 부분에 대해, 할 말은 많은데 다 전하지 못할까봐 다급하게 강의하시는 서양의 한 교수님께 들으니 부끄럽기도 하고.. 여러모로 많은 생각이 드는 영상이었습니다 :) 감사해요
@BCJO-ft7jy
@BCJO-ft7jy Жыл бұрын
동해표기가 ㅡㅡ sea of japan 동해동해
@MrKwairon
@MrKwairon Жыл бұрын
2분 이후 나오는 지도의 왼쪽은 sea of Japan 오른쪽은 east sea네요. 개판이네 ㅋ
@Hkhkonj
@Hkhkonj Жыл бұрын
근데 궁금한게 동해도 한국기준 동쪽이라 그렇게부르는거임?? 그게맞다면 일본해라는표현도 동해라는표현도 둘다 객관적이지않은 표현아님?? 진짜 딱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한국 일본 다 이해가능한 명칭을 정해야 옳은거아님?? 갑자기 궁금해져서 적어봐요
@incantoheaven939
@incantoheaven939 Жыл бұрын
@@Hkhkonj 맞는 말임. 동해 서해라는 말도 지극히 우리나라 기준이라 오히려 세계적 입장에선 차라리 일본해 황해가 나음. 국가의 자부심이나 주체성 이런거랑은 다른 문제죠. 한국해라고 하든 일본해라고 하든 ㅋㅋㅋㅋ동해는 진짜 병신같은 오래된 생각이죠
@user-fn1lj8ne7z
@user-fn1lj8ne7z Жыл бұрын
우리 일반인들도 모르는 한국 도자기의 탄생부터 발자취와 현재까지 감사하게 잘 보았습니다. ^^
@jyk2136
@jyk2136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말 뛰어난 재주와 머리를 갖고 있는거 같아요! 어떤 문화든 역사와 떨어질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는것도… 참 어렸을때는 역사 죽도록 싫었는데 나이가 드니 재밌습니다~
@user-ze9ez1gl6c
@user-ze9ez1gl6c Жыл бұрын
중국이나 한국이나 아주옛날 토기시대부터 도자기를 만드는때까지 모두같이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 그것이 천이백년경부터 점점 예술적 으로 차이가나기 시작했다.왜냐하면 그때부터 고려국이 매우 안정되었기때문이다 그래서 도자 기에 바르는 유액이나 질감이나 특히 회화나 모양 강도 채색등이 매우 발달하게 되었기때문이다. 그래서 고려청자나 상감청자는 그의 기술을 모방 하기 난해할정도라 동일하게 만들수가 없없다. 이걸보면 옛부터 우리민족의 예술성 기술력은 매우 특별하다고 볼수있다.
@user-vh6ub3ej6j
@user-vh6ub3ej6j Жыл бұрын
사실 흰색은 엄청 사치스런색이다. 저시대 기술로 옷감을 표백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려면 얼마나 많은 공임이 필요했을지. 돈이 없어 흰색옷을 못입었다거나 왕들이 흰색옷을 금지하였단 기록도 많다.
@jhlee261
@jhlee261 Жыл бұрын
강의에 감사하고 한국인인 저도 감명 받았습니다!!! 고맙습니다.
@stj0308
@stj0308 Жыл бұрын
한국에 대한 관심과 한국 도자기에 대한 큰 마음에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 잘 봤습니다.
@user-dl6dz3ls9g
@user-dl6dz3ls9g Жыл бұрын
되게 유능하신분 같다. 최대한 간결하고 핵심적인부분을 심플하고 깔끔한 자료로 프레젠팅하시는데... 강의 시간을 많이 늘리면 엄청난 강의를 뽑아내실듯 한분이시네요
@byeongal
@byeongal Жыл бұрын
아, 그리고 우라나라는 정말 오래동안 여백의 미를 중요하게 여기고 아름답게 표현했구나를 다시 한 번 제대로(!) 느꼈습니다 ㅎㅎ
@user-jj2ch6eh6j
@user-jj2ch6eh6j Жыл бұрын
교과서에서나 보던걸 이렇게 다른 나라 외국인의 설명으로 들으니 기분이 참 오묘하네요ㅎㅎㅎ 저보다 아니 일반적인 한국인보다 저분이 더 많이 알고 한국을 더 사랑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ㅎㅎㅎ
@user-ym8fh6ft6h
@user-ym8fh6ft6h Жыл бұрын
예나 지금이나 아름답게 깐깐하게 생각하는 문화는 안 바꼈나 봅니다. 완벽을 추구하는 민족 맞네요..너무 멋진 도자기 잘 보았습니다
@hyejunghan98
@hyejunghan98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진심이 느껴지는 강의 입니다
@rose-wn3og
@rose-wn3og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한국 도자기 전시를 하는 데 가 본 적이 있는데 중국인 도슨트가 도자기의 용도를 묻는 관람객 질문에 간장 등 온갖 것들을 보관하는 데 쓰인다고 답했던 게 생각나네요. 그땐 저도 아직 도자기에 대해 잘 모를 때라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냥 듣고만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 간장을 보관하는 건 옹기죠! 도자기 항아리는 순수하게 감상용 미술품!
@portress77
@portress77 Жыл бұрын
감상품이라고 다분히 오해를 살만한 아름답고 큰 크기의 도자기들이 있는데 조선 회화를 공부하다보면 술이나 음료 따위를 담아 연회에 쓰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감에 실용성을 두루 갖춘 조선특유의, 우리 선조들의 실사용을 알지 못한 채 그저 감상용으로만 알려지고 내려져 오고 있는 것 같아 한편으론 아쉽기도 합니다. 여담이지만 아름다운 한국 도자기라며 감상하고 있는 것이 요강일 때도 있고요.
@user-oc8kt6gg4r
@user-oc8kt6gg4r Жыл бұрын
고려청자가 선물용 참기름병으로 쓰였다고합니다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 Жыл бұрын
꼭 그런것만은 아닙니다. 우수한 청자,백자도 생활에 사용되었습니다.다만 계층간 사용할수있는 한계가있었죠.
@yunnyhome
@yunnyhome Жыл бұрын
잘모르셧네 ㅎㅎ
@shunya118
@shunya118 Жыл бұрын
현대의 시각으로 과거를 보니까 그런 황당한 말을 할 수 있는겁니다. 오늘날 우리 주방과 식탁에서 쓰이는 유리병이나 컵, 스테인리스, 일부 멜라민 같은 플라스틱을 제외하면 뭐가 남죠? 조선시대에 유리는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로 귀했고, 스테인리스 스틸, 플라스틱은 있었을리 없으니 모든 주방과 식탁에서 사용하는 용기류, 물병, 식기는 모두 도자기였어요. 그외 일부 나무도 쓰였을거고, 유기 그릇은 일부 계층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건 전세계 어디나 똑 같았어요. 유럽이 18세기 들어 자기를 만들기 전까지 중국, 우리나라, 일본(임진왜란때 도공들을 납치해서 만들기 시작), 베트남 북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지구 상의 모든 나라가 한 단계 낮은 도기를 사용하거나 나무 그릇을 사용했습니다. 극히 일부 계층만 은 같은 금속 그릇을 사용했을 뿐이예요. 님이 말한 옹기가 도기입니다. 즉, 동아시아를 제외한 모든 나라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두껍고 무거운 옹기(물론 작게 만든) 식기로 식사를 했어요. 물론 지금 남아있는 문화재급 도자기들은 그때 당시에도 아주 비싼 고급품이었습니다. 그당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자기 그릇은 설령 지금까지 남아있다해도 그렇게 가치가 있지는 않아요. 골든구스 스니커즈가 비싸다고 그걸 순수 감상용으로 소장하는 사람은 없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두나 운동화, 랜드로버 이런걸 신는거고 골든구스를 사는 사람도 그냥 신고다니는겁니다.
@nadanada8365
@nadanada8365 Жыл бұрын
국중박 청자도 정병도 예쁘고 멋있지만 진짜 리움미술관 청자는 보는데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더라고요. 도자기 보고 울 줄은 미처 몰랐답니다. 전생에 내 꺼였나싶게 왜 눈물이 났는지.. ^^;; 그 후에 한국사 최태성샘 강의 들었는데 샘께서도 리움 청자 꼭 보라시더라고요.
@Fuck_96
@Fuck_96 Жыл бұрын
왜 눈물이 나는지 이해는 안되지만 한번 경험해보고 싶네요
@user-ex3jp7wx7j
@user-ex3jp7wx7j Жыл бұрын
@@Fuck_96 평소엔 못느끼다가 마치 깨달음을 얻은 선승마냥 그렇게 감동이옵니다. 미의 극치는 깨달음같은 감동이 아닌가싶어요.
@kakaspeed7764
@kakaspeed7764 Жыл бұрын
서양 얘기해서 미안한데 고흐 같은 서양 작가 그림도 사진 말고 직접 보면 색이 튀어나올꺼 같은 입체감에 압도된다고 하죠 박물관 전시관 많이 돌아다니면 아는만큼 보인다고 자주 다닐려구요
@user-yx2si6hs3g
@user-yx2si6hs3g Жыл бұрын
이 교수님은 한국을 너무너무 사랑하시네요 느껴집니다~~! 좋아요~~! 꾸욱!!!
@sequaier
@sequaier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도자기 역사를 미국 교수님 통해서 얼마나 훌륭한지 알게됐네요. 자부심납니다. 멀지않던 고조할아버지들께서는 단군왕조를 줄줄 외고 다니셨다는데, 우리 사학이 선조들의 찬란한 역사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Adam_Lilith
@Adam_Lilith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Aegithalos-
@Aegithalos-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재밌다 ..!!! 좋은기술을 받아들이고 우리나라 고유의것으로 발전시키는게 마치 양념치킨이나 짜장면을 생각나게 하네요..ㅋㅋㅋㅋ 강의하시는분 진짜 한국도자기 찐사랑이 느껴진다.. 영상이 30분인데 너무 재밌게 봤어요!! 유물 많이 안남아잇능거 맴찢이다 ㅠ
@ky244891
@ky244891 Жыл бұрын
도자기 기술은 현재의 반도체♡감사합니다 ~배우고 갑니다♡사랑하는 내나라♡
@user-lv4db3tu5m
@user-lv4db3tu5m Жыл бұрын
감사하고, 응원합니다.
@JiNo-JiNo
@JiNo-JiNo Жыл бұрын
보충설명은 왕실이 안니더라도 당시 사대부나 지방에 부가 있었던 양반들은 유명 화가와 도공에게 협업으로 도자기를 주문 즉 사치품이였던것 ㅎㅎ 그래서 퀄리티가 정교했었다는
@user-wy1kr9yv3s
@user-wy1kr9yv3s Жыл бұрын
아주 인상적인 내용입니다.
@thekite3h
@thekite3h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정작 한국인인데 중국자기랑 큰 차이 있나? 생각했는데.. 저 분이 보여주시는 사진들을 보니까 차이가 명확하네요. 뭐 한국 사람이라 그런 지 몰라도 여백이라던가 비대칭 이라던가 확실히 한국 자기가 제 취향에는 더 맞는듯..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Жыл бұрын
비대칭 자기는 버리기 아까워 남긴 겁니다.자기의 완성도는 논외로 하고 예술적으로 보기에는 대칭보다 좀 허술해 보이는게 낫죠 드라마 이런데서 나오는 것 처럼 좀 흠이 있다고 다 깨서 버리지 않았음 자기 하나 만드는데 돈이 얼마나 들어가는데 흠이 좀 있다가 깨서 버림 ㅎ
@simsime-nx4tk
@simsime-nx4tk Жыл бұрын
중국의 것은 화려함을 추구해서 그냥 보여지는 것 자체. 우리의 것은 절제와 여백의 미가 상상력을 크게 자극하기도 하고 보면 볼 수록 아름다움을 느낍니다.
@user-vx4gy7pg1k
@user-vx4gy7pg1k Жыл бұрын
🎯 우리 자신부터 ㅡ 우리 민족의 과거에 대해 과도한 암울함에서 벗어나야 한다. ㅡ 부유한 문화, 세겨적으로 가장 긴 왕조들의 역사 , 우리의 더 많은 평화의 역사 등
@user-yd2gt7su8u
@user-yd2gt7su8u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이 보다 잘 된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user-ie3oj3bt1c
@user-ie3oj3bt1c Жыл бұрын
한국인 저보다도 훨씬 많은 걸 알고 가르침을 주네요~ 감사!
@user-vy3ek3hk2w
@user-vy3ek3hk2w Жыл бұрын
전반적으로 강사가 잘 모르는것 같습니다. 균열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진것 입니다. 세월때문에 만들어진것이 아닙니다.
@honshin23
@honshin23 Жыл бұрын
도예가가 아닌 이상 디테일 잘 모름.....
@vinsentkim1584
@vinsentkim1584 Жыл бұрын
도자기를 고온에서 성형할때, 유약내 석영성분들이 녹고 냉각을 시키면서 유리질화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크랙이 발생합니다.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에 생긴 크랙과 더불어 크랙이 더 생기기도 하지만 도자기를 만들때 자연적으로 발생한다고 보면 됩니다.
@KnightSchumacher
@KnightSchumacher Жыл бұрын
@@vinsentkim1584 케바케입니다. 소소한행복님이 말씀하신건 크랙마저 의도적으로 넣어서 작품의 한 부분으로 만드는 걸 말하는 것이고. 빈센트님이 말하시는 건 실생활에서 쓰이는 품질의 제품들 기준에서 말하시는 듯.
@dufwjd
@dufwjd Жыл бұрын
영상에 식민사학이 기정사실처럼 보여주는 고구려 백제 신라 영토 영역이네요 아쉽습니다 언젠간 식민사학에 벗어나 제대로된 우리조상들 역사를 밝힐날이 올거라 믿습니다
@honshin23
@honshin23 Жыл бұрын
그러기엔 근 100년 동안 너무 많은 조작이 일어남... 요동반도와 압록강 위쪽 문명도 중국에 의해 훼손 됬음...
@youtubessam
@youtubessam Жыл бұрын
내 코끝이 찡하네요. 감사합니다.
@wejofksdjf
@wejofksdjf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한국도자기가 좋냐 중국도자기가 좋냐는 그냥 취향문제라고 생각하고 무엇보다 저 교수님한테 고마운점은 고구려를 우리역사로 소개해줬다는 점임 요새 서양에서는 공신력이 있다는 곳들도 중국돈 받아먹고 고구려를 중국역사로 표시하는 곳들이 많아지고 있다는데 실제로는 원나라와 청나라를 제외하면 만주지역 전체를 손에 넣은 국가는 없었는데... 원나라랑 청나라가 온전히 중국역사냐는 제쳐두고도 말이지
@happy-nb9jd
@happy-nb9jd Жыл бұрын
한국도자기 기술은 역사적으로 엄청 최고로 알려짐.
@dragon9947
@dragon9947 Жыл бұрын
고대 중국은 어떤 나라을 의미하는지 아나요? 고대 중국은 없었습니다. 중원대륙을 통치한 국가는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단군조선이 있었죠.
@ssssohn1
@ssssohn1 Жыл бұрын
크랙이 가는 것은 온도 및 수축 차이로 발생하는 기술적 결함으로 시작되었지만 고려청자에서는 이 조차 일정하게 하기 위한 기술적 영역으로 올라왔다고 합니다. 이를 빙렬현상이라고 합니다. 교수님이 이것을 좀더 연구하셨더라면...^^
@qnwk9278
@qnwk9278 Жыл бұрын
지식쇼츠님 영상 두번째보는데 근거없는 국뽕이아닌 실제영상을 올려주셔서 신뢰가 갑니다~~^^
@IBJES
@IBJES Жыл бұрын
한국인조차도 한국의 문화와 문화제 유적 유물이 얼마나 가치 있고 좋은것들이 남아있는지 모르는 경향이 있고 애써 가치를 떨어트리는 사람들도 있죠 중국도자기는 분명 확실히 좋고 우월합니다. 근원지이기도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도자기의 매력에 빠져서 한국도자기 사랑을 하는 교수님을 보고있자면 다시한번 우리문화제의 가치를 느끼게 됩니다.
@97Crystal
@97Crystal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unholee8236
@sunholee8236 Жыл бұрын
정말 감동적인 강의 였습니다
@user-ig4uu9yd5n
@user-ig4uu9yd5n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진정한 선생님을 봤습니다.
@masatohtakahasi1288
@masatohtakahasi1288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한 방송 이었습니다..ㅎㅎㅎ
@user-gt4fb7ye6p
@user-gt4fb7ye6p Жыл бұрын
이분도 기본을 모르는게 있네요 자기표면에균열을 주는 유약이있고 균열을 주지 않는 유약이 있다는것을 ,,,,,,
@HaanNet
@HaanNet Жыл бұрын
설롬홈즈 소설에도 등장 할 정도의 고려 상감청자는 그 시대 최고 기술 집약체
@strategy_safari
@strategy_safar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cp6pf5gv6r
@user-cp6pf5gv6r Жыл бұрын
한국도자기의 아름답고 우수성을 말하면서 교묘하게 은근히 중국도자기를 같이 물태우기 살짝 살짝 잘하네. 그런데도 별로 밉진 않네요. 좋다는걸 알려주니까...
@MomitoSeo
@MomitoSeo Жыл бұрын
영상 제대로 안 보셨나 보네요. 원래 이 강의는 한국 도자기를 위한 강의가 아닙니다. 저 교수는 중국문화를 홍보하는 단체에 소속되어 있고 거기에서 연구 자금 등 지원을 받는 학자입니다. 그런데 한국 도자기의 가치와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있어 일부러 중국도자기를 말하는 척 하면서 사실은 한국도자기의 우수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 강의한 것입니다. 중국 돈을 받고 하는 활동에서 말이죠. 이해하셨나요? 즉 우리는 저 교수에게 돈 한푼 준 적도 없고 어떤 지원을 한 적도 없습니다. 중국 돈을 받고 연구하고 홍보활동 하는 교수가 중국 돈 받고 한국도자기를 홍보한 겁니다. 중국 돈 받았으니 생색이라도 내야겠고 그래서 중국 도자기를 강의하는 척 하면서 사실은 한국 도자기를 소개하고 싶었던 겁니다.
@user-cp6pf5gv6r
@user-cp6pf5gv6r Жыл бұрын
@@MomitoSeo ㅎㅎㅎ 글로 성세하게 또 설명 잘해 주셔서 감사해요.
@shakla-zq5oi
@shakla-zq5oi Жыл бұрын
역쉬 중국의 넘치는 자금은 이렇게 쓰여지는구나 이 분의 신념에 박수를 보냅니다!
@lotusjeong1058
@lotusjeong1058 Жыл бұрын
모우리형 고마워~ 건강하게 오래 사셔야 돼. 식사 잘 잡숫고...
@user-gu4kv7zl3o
@user-gu4kv7zl3o Жыл бұрын
고려와 조선의 유물을 보면, 과장미나 화려함 보다는 안정감과 단아함 그리고 정교함이 공통으로 베어있는 것 같습니다.
@user-uw4dq7du8x
@user-uw4dq7du8x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다 떠나서.. 감사한 분 입니다 감사합니다
@hebulhebul
@hebulhebul Жыл бұрын
처음으로 가장 유익한 유튜브를 봤네요
@yunnyhome
@yunnyhome Жыл бұрын
고집스럽고 고고하게 진실을 대하는 태도는 옛날 저 아름다운 도자기들을 구우신 분들과 같아 보입니다.
@user-jh1qu6vi6o
@user-jh1qu6vi6o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HYPark-yl9dv
@HYPark-yl9dv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이네요. 갑자기 박물관 가고싶어지는..ㅋ
@dontuchme
@dontuchme Жыл бұрын
아름다움과 멋을 아시는 분
@kiansung5586
@kiansung5586 Жыл бұрын
안내하신 목소리가 참 듣기 좋습니다.
@hie-eunlee6213
@hie-eunlee6213 Жыл бұрын
베리 굿~입니다
@scorpio5358
@scorpio5358 Жыл бұрын
이런 소중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선조의 그림, 도자기 보니 눈물납니다.
@bro_ujinsoo
@bro_ujinsoo Жыл бұрын
와... 연구를 많이 하셨네요. 정말. 배경역사까지 다 알고...
@user-oq9wm3fm6f
@user-oq9wm3fm6f Жыл бұрын
남에돈 먹기는 쉬워도 뱉기는 힘드나 이분은 정말 중국돈 먹었지만 한국을 사랑하는게 보이네~
@enoftmrw
@enoftmrw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정말 열정이 있으신거 같네요.
@r2sf123
@r2sf123 Жыл бұрын
중국도 한국 처럼 도자기 기술이 그렇게 좋았다면 신안 앞바다에 중국으로 가다 침몰한 상선에서 그 많은 도자기들이 나왔을꼬?? 구지 침몰 할거 각오 하고 한국 까지 와서 도자기를 왜 사갔은꼬?ㅎㅎ
@user-lu5zi2fj7g
@user-lu5zi2fj7g Жыл бұрын
거기것 가져온것도 많은데.. 시대마다 유물은 중국것이 널려 있지요
@user-ex5fn6jk2r
@user-ex5fn6jk2r Жыл бұрын
답글 두놈 조선족이가? 아님 한글 아는 중국놈?
@user-cu5ct2uo9q
@user-cu5ct2uo9q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지금 중국 물건 대량 사고 있는거와 같음...
@user-kr3ky2pc4w
@user-kr3ky2pc4w Жыл бұрын
내가 맞니? 지금 중국제 사는 건 싸기 때문인데 어찌 도자기와 비교하시는지
@jjunbee9136
@jjunbee9136 Жыл бұрын
뭐라고 할 게 없는 좋은 명강의 였습니다......ㅋㅋ
@user-uu4kk8kk6b
@user-uu4kk8kk6b Жыл бұрын
지도가 나와있는 자료에 동해 Sea of Japan,서해는 Yellow Sea로 명칭되어 있는게 마음이 아프네요
@PingMi_
@PingMi_ Жыл бұрын
Thank you professor
@user-up9pu1fc1w
@user-up9pu1fc1w Жыл бұрын
아시아 최고의 1000년 황제국 신라의 가려진 역사가 제대로 조명받는 날이 신속히 도래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우리는 우리역사를 너무 잘못 알고 있습니다.
@user-kn8ck3hf6v
@user-kn8ck3hf6v Жыл бұрын
미술관과 박물관 다니는걸 좋아하는데 삼국의 도자기를 한곳에 전시한것도 보고 유럽이나 미국쪽에 있는것도 다는 아니더라도 봤는데 그때 한국 청자랑 백자가 얼마나 아름다운지..저분말씀대로 작은건 주머니에 넣고 가고싶죠. 큰것두요.ㅎㅎ 경주박물관도 둘러보면 세공이 엄청섬세합니다. 오묘한빛이 아침공기와 새벽이슬, 가벼운걸음걸이의 여인같습니다.
@user-vc4zk8yt1f
@user-vc4zk8yt1f Жыл бұрын
달항아리의 아름다움을 설명듣고싶었는데 까막눈인 저만 아름다워 보이나봅니다 ㅎㅎㅎ
@21ship69
@21ship69 Жыл бұрын
Dr. Robert Mowry, who speaks the truth in his conscience, is a very knowledgeable man.
NO NO NO YES! (Fight SANTA CLAUS) #shorts
00:41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Суд над Бишимбаевым. 24 апреля | ОНЛАЙН
7:26:50
사건과 인물로 본 일본 전국 시대(feat. 사무라이의 모든 것)
34:16
下西さん、逃げても無駄です🍰👹#stop #time #ウィルオブ #willof #人材業界
0:49
Самый добрый осьминог вернулся🤯
0:32
Astronaut-Stories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Nonomen funny video😂😂😂 #magic
0:29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