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국에 둘러싸인 가난한 나라에서 세계 1위 부자 국가로…작지만 강한 나라 룩셈부르크 / 14F

  Рет қаралды 333,273

14F 일사에프

14F 일사에프

Жыл бұрын

1억 7천만 원. 인구 65만 명, 제주도 면적의 1.4배인 작은 나라 룩셈부르크의 1인당 GDP입니다. (23년 4월 IMF 통계 기준) 우리나라의 4배에 달하는 경제 부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죠. 이 소국은 오늘날 대표적인 국제 금융산업 중심지이자 유럽에서 금융기관들이 가장 집중된 국가이기도 한데요. 19세기 이전만 해도 작고 가난한 나라였던 룩셈부르크는 어떻게 오늘날 금융 강국, 경제 대국이 될 수 있었던 걸까요?
#룩셈부르크 #경제 #부자

Пікірлер: 464
@vnfma7
@vnfma7 Жыл бұрын
국가차원의 대전략을 정말 잘 짜는거같네요 놀랍습니다
@user-kb9us7wv4f
@user-kb9us7wv4f Жыл бұрын
소국에 인구도 적어서 가능한 일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Жыл бұрын
그냥 세금 낮추어서 기업 유치한 것입니다. 거기에 물류기지 유치하고요.
@vnfma7
@vnfma7 Жыл бұрын
@@user-xm9mp1fx6k 단순히 과세경쟁으로 나라가 잘산다기엔 그럼 다른 소국들도 했겠죠. 타고난 주변환경을 잘 이용해 대국가전략을 잘짠다는 느낌을 받네요
@user-ec5jb1gb1c
@user-ec5jb1gb1c Жыл бұрын
룩셈부르크 정치인들이 하는 일은 우리 조세회피처 아니라고~~~ 합법적으로 깍아준거라고~~~~~ 해외기업 유치해 고소득 일자리와 그에 따른 금융발달 미국의 다국적 기업은 룩셈부르크에 유럽본사를 두고 있음 해도 해도 너무 하니까 이제 직접적으로 지적을 하는걸 국가의 생존을 걸고 조세회피처 아니라고 우기는게 정치인의 일 세계가 손가락질 해도 우리만 잘 살면 된다는거 입헌군주제 왕도 있어요 그런데 왕이 아닌 그랜드 듀크, 작은 영토를 실효지배 하고 있는 귀족 현재 유일한 대공국 이라고 하네요 프랑스 독일 사이에서 아주 작은 영토로 살아남았어요 그러니 국민이 잘 사는게 생존 전략 뭘 해도 국가는 약하겠죠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Жыл бұрын
@@vnfma7 다른 소국들도 했자나요? 모나코(5년간 면세, 20년간 수출 대상 8.75%)도 했고, 리히덴슈타인(법인세 단일세율 12.5%)도 했고
@oxox6758
@oxox6758 Жыл бұрын
저런나라들 공통점 정치인들이 잘함
@Mung-md9bv
@Mung-md9bv Жыл бұрын
정치쪽 부패가 덜함 확실히
@hconstant-
@hconstant- Жыл бұрын
ㄹㅇ
@crimsonpark2979
@crimsonpark2979 Жыл бұрын
저런 나라엔 문재인 이재명이 없음
@dreamusakmuim
@dreamusakmuim Жыл бұрын
우린 글렀다ㅋㅋ
@user-tr4bq9xg5i
@user-tr4bq9xg5i Жыл бұрын
이나라는 여야 모두 지나가는 똥개를 공천 해줘도 찍는 종자들이 너무 많아서
@user-tv5iq6ft4g
@user-tv5iq6ft4g Жыл бұрын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셔서 항상 잘 듣고 있어요 거기다 아나운서 같은 딕션과 편안한 톤은 덤... 듣기 넘 편안해여
@Giant_Q
@Giant_Q 11 ай бұрын
진행자분 목소리 차분하고 건조하게 정버전달력이 뛰어나십니다. 감탄하고 갑니다.
@hayeonkim7838
@hayeonkim7838 Жыл бұрын
오 옛날부터 지도에서 이름만 본 국가라 호기심이 있어왔었는데 이런 컨텐츠 정망 좋아요! ㅎㅎ
@marine_peng
@marine_peng Жыл бұрын
목소리와 또렷한 발음이 귀에 쏙쏙 꽂힙니다. ❤❤❤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11 ай бұрын
과거엔 지리적 특성이 약점이었는데, 현대에는 완벽한 이점으로 활용됐네요! 룩셈부르크 1인당 GDP 볼 때마다 궁금했는데 오늘 꽤 많은 정보 얻어갑니다 ㅎㅎ 감사해요!
@wjd_dn
@wjd_dn Жыл бұрын
지리적 위치로 인한 단점을 강점으로 만드는게 진짜 본받고싶네요
@user-yv9sx9rg5c
@user-yv9sx9rg5c 11 ай бұрын
우린 이용하고 싶어도 북쪽때문에 안돼..
@dongjoshin588
@dongjoshin588 Жыл бұрын
목소리톤이 차분해서 좋으세요
@cklee3001
@cklee3001 Жыл бұрын
금융국가.... 지구 전체 시스템이 잘 돌아갈 때야 행복한 시스템이네요. 농, 제조업이 없는 국가는 지속가능하기 정말 힘들죠.
@user-fh7hv6hx6d
@user-fh7hv6hx6d Жыл бұрын
한국 걱정이나 하자아 ㅠㅠ 사우디 등 중동 석유떨어지면 망한단 소리 비슷해보임 ㅠㅠ 저 국가는 규모 등이 다르니까 이제 준비해가면 부자 유지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Жыл бұрын
반면에 제조업은 전쟁할때나 좋지 평소에는 그냥 저부가가치 쓰레기에 불과한데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z9hu1vn2z
@user-pz9hu1vn2z Жыл бұрын
@@user-lq6lm8fh6m전쟁이 없는 때가 없죠 그래서 미국도 중국과의 전쟁을 대비하느라 부랴부랴 반도체 공장 유치하는 거구요. 심지어 코로나 때도 마스크 제조 공장 없는 나라는 마스크 없이 지내야 했음
@user-fh7hv6hx6d
@user-fh7hv6hx6d Жыл бұрын
@@user-pz9hu1vn2z 돈 거래 없는때 없고 대출이 없는 때 없음 ㅠㅠ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Жыл бұрын
​@@user-lq6lm8fh6m그럼 자원 하나 없고 발전도 늦게 시작한 갓한민국에 제조업 말고 다른 방법이 뭐 있었을까나~~ 다른 방법이 없는걸 어떡해 한국 현실에
@user-kq8we2sc9o
@user-kq8we2sc9o Жыл бұрын
국민이 평균3개언어를 하니 금융업이 발달할수밖에 없군요....
@vincent1980
@vincent1980 Жыл бұрын
유럽연합이 국가간 비자나 여권 없이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었던 것도 룩셈부르크 셍겐 조약 덕입니다!
@LHhhhhhhhh
@LHhhhhhhhh Жыл бұрын
좌파가 설치는 나라에서는 어떻게든 당장의 고혈을 빨아먹어야기 때문에 불가능한 전략
@IIIIlII
@IIIIlII Жыл бұрын
룩룩 룩샘부르크~🎵 아아 아르핸티나~🎶 노래 가사처럼 경제도 극과극
@Gyhttna
@Gyhttna Жыл бұрын
13.8유로 얼만가 검색해보니 19000원... 한달 427만원이 최저임금...
@soohyun-tv9es
@soohyun-tv9es 11 ай бұрын
세금 많이 낼듯..... 현존 파라다이스는 카타르가 최고 ㅋ
@KimMaeMil
@KimMaeMil Жыл бұрын
부양해야할 인구 수가 적으니 세금을 써야하는 곳이 적어서 세율을 줄여도 문제가 없는거 같네요. ㄷㄷ
@user-yx8ze6tm6c
@user-yx8ze6tm6c 6 ай бұрын
인구수가 줄어들면 그만큼 국부도 줄어들죠
@SUNGJINMOON-mz7uh
@SUNGJINMOON-mz7uh 3 ай бұрын
근데 결국 인구감소 하면 외국인 불러들일 수밖에 없음
@Delmn
@Delmn Жыл бұрын
룩셈부르크가 라인강을 끼고 있어서 그런지 전간기까지도 철강생산량이 많긴 하더라고요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Жыл бұрын
최소인구 1천만명과 페이퍼컴퍼니가 주가 되고 제조업이 기반되지 않은 국가는 비교대상에서 제외하는게 . . .
@user-jl8mh1rt3n
@user-jl8mh1rt3n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부자가 됐기는 유럽부자들 조세회피처로 사용돼서 된거지
@user-df3nv2ig6z
@user-df3nv2ig6z 11 ай бұрын
승원님 살이 많이 빠지신것같아여 저 한상 이거 올라오길 기다리는 구독자에요 어려운 세계 이야기를 가장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owleyez
@owleyez Жыл бұрын
65만명 만으로 부국이 되다니 대단하네요.
@rhduddls1
@rhduddls1 Жыл бұрын
대신 지금같이 세계가 평화로울땐 평화로울지 몰라도 저런 작고 산간지가 적으며 주변에 땅크고 인구많은 강대국들이 버티고 있는 나라는 주변 큰 국가들이 진짜 총력전 모드로 변해 싸우기 시작하면 아무리 외교를 쳐 잘해도 한방에 뒤진다는걸 수도없이 역사가 증명함. 결국 나라는 땅이 크고 인구가 많거나 산간지가 버티고 있어야 유리함.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Жыл бұрын
대신 중국, 인도처럼 되면 불결한 땅그지처럼 살기 십상이죠..
@NADA--NADA.
@NADA--NADA. Жыл бұрын
아일랜드도 대박이던데 브렉시트해가지고 런던있든 글로벌 기업 본사들 다 바로 옆 아일랜드로 이전해서 GDP 뻥튀기 미쳤음 금융업 허브되려면 일단 환경이 중요한데 홍콩만 해도 영국식민지라 영어가 되는지역이지만 일본 한국에서 영어 생활권이 아니니깐 그렇다고 세금 혜택 메리트가 큰 것도 아니고.. 홍콩서 탈주한 글로벌 금융기업들 대부분 싱가폴로 갔다고합니다
@swordfish2990
@swordfish2990 Жыл бұрын
룩~룩~룩셈부르크~
@user-leeheeyeon
@user-leeheeyeon Жыл бұрын
리더들이 참신.창의.헌신적
@user-ob4pp5dg1b
@user-ob4pp5dg1b Жыл бұрын
미리 자신들을 알고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았죠. 스위스 처럼 ㅋ 자유대한도 이렇게 되려면은 얼마나 걸릴까요??
@qwertasdfgzxc
@qwertasdfgzxc 10 ай бұрын
근대이후에 인류가 만든 사회시스템에서 시행착오와 발전을 거듭해 가장 높은 완성도라고 보여지긴 함 평등 자유 분배 의료 복지 시민풀뿌리 정치 투명성 모든것이 다만 분명 인종간에 문제와 세금운영에 있어 절대적 평등에 도 맹점은 있다는것
@user-ym8pk9iv9c
@user-ym8pk9iv9c Жыл бұрын
스위스같이 중립을 지키고 지조가 있으면 유럽에 위기가 찾아와도 버텨낼 수 있는데 아일랜드나 룩셈부르크같이 유럽의 성장에 빌붙는 나라들은 경제위기나 전쟁 등 여러가지 위기에 가장 쉽게 무너지는 국가들임
@user-rb9ec7ul4j
@user-rb9ec7ul4j Жыл бұрын
지금 경제위기에도 잘나감
@omokgyo
@omokgyo Жыл бұрын
틀린 말은 아닌데, 그럼 빌붙지 않고 성장해야할 때 성장하지 않으면 유럽 경제위기 때 더 괜찮음? 그것도 아니잖어...
@argobros
@argobros Жыл бұрын
@@omokgyo 글쓴이 말도 맞고 님 말도 맞음
@Flanders_nationalist
@Flanders_nationalist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Жыл бұрын
지정학적으로 위협이 안되는 국가들이라 위치 선정 기가맥히죠~~
@Unitedstatesofchina24
@Unitedstatesofchina24 10 ай бұрын
인구 대비 가장 많은 군인들을 보낸 한국전쟁 참전국이죠..... 고맙습니다
@user-fx2dq9df49
@user-fx2dq9df49 Жыл бұрын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도덕과 윤리가 기본으로 깔려있는 정직한 민족, 국가입니다. 한국과는 차원이 다르죠.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Жыл бұрын
정답입니다. 서양을 가보면 의외로 산수랑 영어 못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일도 많이 안하죠. 그럼에도 왜 서양이 세계 패권을 잡고 좌지우지 하고 있을까요? 국가 정부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질서가 잘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사회에서 1등~3등에게 리더쉽 + 협동심을 교육하고 있죠. 이는 사회 경쟁에서 도태가 되더라도 리더들이 함께 이끌고 갈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그리하여 사회에서 각자 맡은바 일에 집중할수 있고 안전한 정부의 복지가 유지되는거죠. 반면, 세계에서 내놓으라 하는 인재를 배출하는 인도, 중국은 왜 그렇게 못살까요? 국가 시스템이 진부하기 때문이고 국민이 신뢰있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죠.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어때서! 도덕 윤리 탄탄한 나라가 조세 회피 지역이냐?
@mkjeong1810
@mkjeong1810 Жыл бұрын
거기다 자존감 빵점 자괴감만 가득찬 댓글러...ㅋ
@gentlemen4070
@gentlemen4070 11 ай бұрын
우리 따위는 고사하고 대표적인 인종차별 국가입니다. 장단점을 얘기하시길. 그래야 합리적일 것입니다.
@JK-xy3zn
@JK-xy3zn 11 ай бұрын
페이퍼컴퍼니는 도덕과 윤리로 설명되나요??
@kkamcc123
@kkamcc123 10 ай бұрын
부러운 정부네요 흔들림없이 오랜기간 꾸준히 잘하는게 보통일이 아닐텐데..
@7rings493
@7rings493 Жыл бұрын
리히텐슈타인이랑 공통점이 많은거같다
@user-xl7lg6sf9i
@user-xl7lg6sf9i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금융 강국으로 될수도 있었을것 같네요...이미 물 건너 갔지만
@user-dh5mn9yu4v
@user-dh5mn9yu4v Жыл бұрын
관치금융때문에..
@user-qd6rm8ee3q
@user-qd6rm8ee3q 11 ай бұрын
그만큼 물가가 미친나라죠
@user-kk3ce9ij9u
@user-kk3ce9ij9u Ай бұрын
멋진 나라 룩셈부르크를 응원합니다.
@user-pm9wp6jj7u
@user-pm9wp6jj7u Жыл бұрын
유럽 패키지 여행으로 첨 가봤는데 정말 갈만한 나라였습니다 짦게 갔다왔지만 만약 한곳만 유럽여행 짦은 기간 간다면 여길 추천합니다
@sammy5030
@sammy5030 Жыл бұрын
룩셈부르크 삽니다. 아이들 3명 학비 무료로 국제학교 보내고 있구요. 매달 1000유로 이상씩 아이들 양육수당이 지급됩니다. 제가 룩셈부르크에서 내는 세금, 4대보험보다 정부에서 제공받는 복지혜택이 훨씬 더 크네요. Long Live The Grand Duke~~!!
@user-tp6mx1st1g
@user-tp6mx1st1g 8 ай бұрын
세금을 얼마나 내나요?
@sammy5030
@sammy5030 8 ай бұрын
@@user-tp6mx1st1g 한국하고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어요. 아니 오히려 이런저런 복지혜택 등을 고려하면 한국보다 덜 내는 편입니다. '룩셈부르크 세금' 정도로 검색해보시면 이런저런 자료들이 나올겁니다.
@iforu83
@iforu83 11 ай бұрын
작은 나랑지만..부국으로 성장한 룩셈부르크, 싱가폴, 홍콩, 노르웨이, 아닐랜드 등 그 나라의 성장은 시대를 앞서간 정책도 있지만... 정치적인 결단이 빨랐다는거다. 정치적 부패가 없고 의회가 국가와 국민을 위해 멀 해야 하는지 정확히 찝고 실행한것이 주요한 성공 요인..
@user-ii7gx3tt8q
@user-ii7gx3tt8q Жыл бұрын
근데 도시국가 느낌인 홍콩 싱가폴 룩셈 모나코 같은 국가는 사실상 국가로 보기가 힘들지 우리나라도 울산시로 따지면 국민소득 8만불정도 되는데 다른지역이 평균을 잡아먹어서 그렇지
@dvkim0228
@dvkim0228 Жыл бұрын
바티칸도요
@vanderwoodsonian4773
@vanderwoodsonian4773 Жыл бұрын
울산6만불이에요 참고로 뉴욕은 9만달러 서울은4만달러
@vanderwoodsonian4773
@vanderwoodsonian4773 Жыл бұрын
싱가포르는 인구600만에 7만달러 그보다 인구작은 한국최고울산은 겨우 6만달러...인구가 작다고 1인당gdp가 무조건 높진않죠ㅋㅋ 나름 한국에서 제일높은 인구도 100만으로 싱가폴보다 훨적은데 겨우6만이에요ㅋㅋ
@Flanders_nationalist
@Flanders_nationalist Жыл бұрын
울산 6만불인데요...
@Flanders_nationalist
@Flanders_nationalist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미국 1인당 gdp 7만달러고 투발루는 인구 몇십만명에 1인당 gdp 5천달러..
@user-id3yg7dv6l
@user-id3yg7dv6l Жыл бұрын
룩!룩! 룩셈부르크! 아!아! 아리헨티나!! 아이슬란드의 선배격인 국가로 룩셈부르크가 있었던거 같네요. 당연히 둘의 상황이 다르긴 했겠지만요
@Ssaljib_ajussi
@Ssaljib_ajussi Жыл бұрын
룩룩룩셈부르크 크라잉넛이 생각나네요 ㅎㅎ
@jaeyoungpark2132
@jaeyoungpark2132 Жыл бұрын
자기나라 하나를 지킬힘 조차없는 작은국가는 국제정세에 따라 목숨줄이 좌지우지되기에 우습게볼 이유는 없지만 지나치게 과대평가할 이유도 없다고 봐요
@slee8601
@slee8601 11 ай бұрын
은행이 거기 다 있으면 얘기가 달라져요. 자금줄 쥐고 있기 때문에. 전쟁도 돈이 있어야 함.
@hylee6857
@hylee6857 6 ай бұрын
친기업 정책으로 자국내 대기업을 유치시켜서 국가 전부를 잘살게 한거군요. 이번에 룩셈부르크 여행 계획중인데 도움 많이 됐습니다.
@joungwookim4259
@joungwookim4259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여행관광대국들로 둘러쌓인 나라라..., 실제로도 가면 정말 볼것도 없고, 물가도 비싸기만하고..., 일찍이 정신차린거죠~ 다행히도, 제대로된 정신제대로 박힌 정치인, 왕족, 귀족들때매 날개를 달듯햇구요~ 독재자가 생길법한데 안생긴것도 신의 한수~
@user-ct6rb2je7e
@user-ct6rb2je7e Жыл бұрын
아아르헨티나 룩룩셈부르크 저작권으로 부자나라가 됐다니 대단하다 😅
@user-dd1ui3fn5s
@user-dd1ui3fn5s Жыл бұрын
도시국가는 잘 살아도 국제적으로 영향도 제로고 진짜 힘듬 국력을 측정할때 인구나 토지면접도 봐서 현대에 와서 전쟁이 별로 없지만 전쟁나면 바로 나락감 대만도 미국이랑 일본이 주변에 있어서 살아남는거지 진짜 전쟁나면 개박살남
@user-ms9vb8iv6r
@user-ms9vb8iv6r 8 ай бұрын
어쩐지 룩셈부르크 친구가 4개국어를 하더라 진짜 대단하다 생각했는데 그런 이유가 있었네
@user-ml1fj4ds6e
@user-ml1fj4ds6e Жыл бұрын
19세기 가난한 나라 작은나라에서 국민1인당 소득이 가장 높은나라 대단하네요 이나라가 잘될수 있는 이유중 하나는 국가 지도자들의 능동적인 행동과 개혁 갇혀있지 않고 자유로운 사고 체계가 가장 큰 이유라고 보여지네요 우리나라도 이런 사고체계와 마인드를 높이 사 제발 머리좋은 사람과 정치인 돈많은 ceo들 기업들 본인들만 잘 살려는 이기적인 행동으로부터 벗어나 나라를 생각하는 체제와 미래를 보는 사고방식이 이나라 반만큼이나 생겼으면 결국엔 인력자본이 힘이 엄청나다는 것을 단 일이라도 느꼈으면🙏
@We_do_not_sow
@We_do_not_sow 11 ай бұрын
영상에 다국적기업들의 조세피난처가 되어준다는 비판을 받고있다고 나오는데..
@ftmstem9705
@ftmstem9705 Жыл бұрын
'룩셈부르크+싱가포르'을 섞어서 금융강국이 되어야하는 한국이네요.
@user-yx7dj8os1f
@user-yx7dj8os1f Жыл бұрын
말은쉽지, 휴전국가에서 무슨 금융강국이야 ,
@anonymous-kim
@anonymous-kim Жыл бұрын
휴전국이라 신용도가 불안함 북한에서 뭐만하면 외국인들 뱅크런하는데....되겠냐..
@user-cr1gu7zq4v
@user-cr1gu7zq4v Жыл бұрын
저긴 안보환경이 안정적이라 국방비 지출 안해도 됨 그리고 유럽연합 소속이라 경제 환경도 독고다이 서는 우리나라랑 비교도 안되게 좋음
@Kinglsjbd
@Kinglsjbd Жыл бұрын
댓글에서 바로 반박해서 속시원
@LUNA_Moon_MARS
@LUNA_Moon_MARS Жыл бұрын
북한이랑 통일해도 위에 china 🇷🇺 😅
@chlgudgh630
@chlgudgh630 Жыл бұрын
누나 오늘 민주주의극장에서 영화 "여명이 비추는 길" 진행 잘하고 조심히 퇴근하세여~~❤
@hongjunlee714
@hongjunlee714 11 ай бұрын
나라의 안보는 어떻게 해결하는지 ᆢ
@1day4meals85
@1day4meals85 10 ай бұрын
뱃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간다는말이 있듯 저 나라 직접가보시면 알겟지만(전 가봄) 엄청 작고 외곽은 넓은 초원에 집이랑 기차길 자동차도로만 있고 중앙에 많이몰려있고 지리적으로도 좋았던거같음 물론 정치를 잘한것도있겟지만
@user-jf2mk1qu7y
@user-jf2mk1qu7y Жыл бұрын
저런 나라들이 조세회피처 역할을 하는 한 세계적 빈부격차는 심화되고 복지국가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 주변국들이 압박을 해서 세율을 정상화시켜야 함.
@user-pd8ct7bg6h
@user-pd8ct7bg6h Жыл бұрын
부자가 될생각은 안하고 부자들 뜯어먹을 생각만 하노 ㅉㅉ
@user-jf2mk1qu7y
@user-jf2mk1qu7y Жыл бұрын
@@user-pd8ct7bg6h 모든 사람이 부자가 될 수 있는가? 룩셈부르크보다 세율이 높은 나라들(북유럽, 독일, 프랑스 등등)은 다 부자들을 시기질투해서 그런 것인가?
@user-pd8ct7bg6h
@user-pd8ct7bg6h Жыл бұрын
@@user-jf2mk1qu7y 북유럽의 납세는 단일세에요 부자든 서민이든 세율이 비슷하고 한국은 급격한 누진구조로 되있어요 근로자의 절반정도는 세금을 한푼도 안내고 소수의 부자들이 전체세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있어요
@user-jf2mk1qu7y
@user-jf2mk1qu7y Жыл бұрын
@@user-pd8ct7bg6h 세금 구조는 본질이 아니죠 그래서 북유럽의 부자와 한국의 부자 중 누가 더 높은 세금부담을 지나요? 북유럽의 서민과 한국의 서민 중 누가 더 나은 경제적 여건을 누리나요?
@user-pd8ct7bg6h
@user-pd8ct7bg6h Жыл бұрын
@@user-jf2mk1qu7y 한국의부자가 더높은 세금을 내고 북유럽의 서민들이 생활수준은 더 낫죠
@sehwarous
@sehwarous Жыл бұрын
작은데 강한 나라는 정치인들이 특권 의식없이 박봉에 봉사개념으로 일하고 다님. 개인비서. 사무실. 의전도 없고. 이코노미. 기차. 자차로 출장 다니면서 빡시게 일함. 그래서 인기 많은 직업도 아니고 사회공헌의 목적을 둔 순수한 정당 일원들이 일한다고함. 그래서 부패지수가 낮음.
@mandu8257
@mandu8257 Жыл бұрын
룩! 룩! 룩.셈.부르크!!
@ssss-ou4bn
@ssss-ou4bn Жыл бұрын
한국의.룰 모델이네요
@heavenhaven7254
@heavenhaven7254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이 연구해야 할만한 요점이네요..
@danielkim7013
@danielkim7013 Жыл бұрын
한국도 룩셈브르크나라처 럼 되기위하여는 정치인들 이 나라와 민족을 위해 자신들을 헌신봉사와 희생 하면 가능다
@user-hw7pt7mp5d
@user-hw7pt7mp5d Жыл бұрын
멸공!!! 👍
@user-bk7ts6bt8z
@user-bk7ts6bt8z 11 ай бұрын
자원에서 금융업으로 강국이 된 작은 나라지만 강한 나라....그에 반해 중동은 자원만 믿고 돈 펑펑 쓰고 다문화적 차별을 두고 계급사회를 유지..자원이 사라지면 한순간에 몰락 할수도..
@mandol1972
@mandol1972 Жыл бұрын
룩! 룩! 룩셈부르크!
@art0411
@art0411 Жыл бұрын
역시 정치랑 운빨이 중요해.....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Жыл бұрын
정치랑 운빨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더러운 일을 묵인해주고, 범죄를 도와주느냐가 중요하지요...룸섹부르크, 말이 좋아 금융으로 먹고 사는 거지. 솔까, 조세회피처 아닌가요?...아일랜드, 싱가폴, 룸셈부르크, 케이만 군도, 버진 아일랜드. 전부 다 더러운 돈들 끌어다 돈세탁 해주고, 조세 회피해 주고 , 뽀찌 때먹는 나라들 아닌가요? 바꿔 말하면 강대국들 정치지형이 변해서 조세회피에 중과세 때리고, 더러운 돈 추적해서 회수하기 시작하면 어쩔건가요? 전국민이 금융인들 대상으로 밥해주고, 빨래해주고, 청소해주던 나라가 뭘할줄 아나요? 전세계로 가정부 수출할 건가요?
@art0411
@art0411 Жыл бұрын
​@@MAXIM_MOCA_GOLD 그것도 안 했으면...국민들은 더 힘들게 살았겠죠....아무것도 안 하면서 가만히 있는것 보단 전 좋아 보이네여...그리고 정치 지형이 변한다는 조건을 달면 살아 남을 나라가 몇개나 되나여....핵보유국 빼고 다 털리는거 아닌가여....?
@lockdown-e34r
@lockdown-e34r Жыл бұрын
​@@MAXIM_MOCA_GOLD댓글목록 수준보니 진짜 가관이네요 아니 우리나라는 더러운짓 안한줄 아나?😂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Жыл бұрын
@@lockdown-e34r 그럼, 그럼, 니 말이 다 맞아. 왜뽕토왜야.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Жыл бұрын
@@lockdown-e34r 다른나라 더러운 짓거리가 대한민국도 더러운 짓거리하면 없어지냐? 논리하고 담 쌓고 사는 건 말투보면 알겠다만. ㅉㅉ 너같은 족속들 특징이 꼭 한국은 안 그렇냐? 조선은 안 그렇냐, 이 딴식이지. 왜? 북조선 빙다리 짓에도 한국은 안 그렇냐고 그러지?
@dhmoon6637
@dhmoon6637 Жыл бұрын
현재 평화로운 프랑스-독일-벨기에 사이에 있고 인구가 중소도시 정도이니 금융으로 먹고 사는 거지.
@user-yn6ed4sx7e
@user-yn6ed4sx7e 3 ай бұрын
포인트는 앞서간다.. 하지만 한국은 따라간다..
@user-dw4et7ec8b
@user-dw4et7ec8b Жыл бұрын
룩셈브르크 금융강국 맞음. 코인 등등
@user-qz9mh4tc7w
@user-qz9mh4tc7w Жыл бұрын
룩셈부르크 가봤쥐롱
@johnny0320
@johnny0320 Жыл бұрын
룩셈부르크는 세계적인 철강생산국가 아르셀로_미탈에서 아르셀로가 룩셈부르크 소유였음
@mikeryu61
@mikeryu61 11 ай бұрын
룩셈부르크가 무슨 부자 나라냐? 공부 좀 하고 쓰자. 이런 소국들은 모든 물품들이 다 수입되어야 하고, 시장이 작으므로 판매자는 마진을 높이게 되요. 또한 많은 공급자들이 자유 경쟁을 하지 않아 가격이 높지요. 특별한 산업이랄 게 없는 이런 소국들은 판매 수입에서 많은 세금을 거두고 그래서 모든 게 비싸다보니 소득의 크기도 커지는 것일 뿐이에요. 우리 나라에서 2 찬만원 하는 차가 여기서는 1 억원 합니다. 다 그런 식임. 소국들은 다 그렇게 되요. 홍콩 싱가폴, 이스라엘, 스위스, 로스트리아 등등..
@nagrokim5800
@nagrokim5800 9 ай бұрын
동네와 나라를 구분조차 못하는 방송.
@vanderwoodsonian4773
@vanderwoodsonian4773 4 ай бұрын
@@nagrokim5800스위스가 한국보다 대기업많은건 아세요?? 네슬레 로슈 노바티스 ubs 각종시계회사 등등 세계100대영업이익에 스위스3개회사 한국은 단 한개입니다ㅋㅋㅋㅋ 스위스사람이 얼마나웃길까요 5000만인구가지고도 대기업도 몇개없는데ㅋㅋㅋㅋ스위스은행또한 유럽최대은행으로 한국은행들보다 10배규모입니다. 모르면 씨부이지말고 공부하세요^^ 그저 제조업원툴 한국인님
@song44560
@song44560 3 ай бұрын
그래도 한국만큼 다양한 산업군 가진 나라가 많이 없어요... 두분다 리스펙합니다,.@@vanderwoodsonian4773
@jeonplace
@jeonplace Жыл бұрын
역시 인간은 똑똑해야돼 똑똑한 나라의 부러운 모습. 시기 질투가 많은 사람들은 다른 핑계로 저 국가를 비난하는데 시간낭비 하겠지...
@jeonplace
@jeonplace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팩트를 말하면 21년 기준 룩셈부르크 GDP는 867억 1,080만 달러고 한국 GDP는 1조 8,102억으로 약 20배 차이, 인구는 대한민국 5150만 룩셈부르크 65만 80배 차이, 즉 개개인 인간으로 평균으로 내면 룩셈부르크 국민이 대한민국 국민보다 4배 더 경제적으로 잘 살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국가적으로 보면 20배 대한민국이 더 잘 사는 국가라서 돈많으면 룩셈부르크 보다 한국이 더 살기좋은나라.
@JS-tu3lu
@JS-tu3lu Жыл бұрын
국내 친기업정책은 찬미할 수 있지만 국제적으로 볼 때 시장 교란으로도 볼 수 있어.
@Milky_Peko
@Milky_Peko Жыл бұрын
다른 것보다 이 분이 76년생이라는 게 놀라움!!!
@tpK-kx8lc
@tpK-kx8lc Жыл бұрын
인구 65만 안되고 그중 외국인 비율이 40프로가 넘어가는데 국가라기 보단 그냥 유럽의 있는 도시느낌..
@user-gl7cj4nl7n
@user-gl7cj4nl7n 11 ай бұрын
미래는 그다지... 그냥 룩셈부르크는 인구 100만도 안되는 도시국가라 우리나라가 참고만 해야지, 따라해보기는 어렵다는...
@abcdeereijgfhd3215
@abcdeereijgfhd3215 6 ай бұрын
65만명이면 작은도시 하나급인데 국가라 부르기도 민망한 수준
@hornet107
@hornet107 4 ай бұрын
경제는 좋지만 축구는 못하는 룩셈부르크 경제는 나쁘나 축구는 잘하는 아르헨티나 크라잉넛 당신은 대체 무슨 생각으로 룩셈부르크라는 노래를 만든 겁니까
@tthwang3169
@tthwang3169 Жыл бұрын
왜 대륙 횡단 철도와 맞물린 부산 국제 금융도시화가 낮은 가능성에도 한국 경제의 치트키로 여겨지는 이유임 이제는 날아가버림 대륙 횡단은 커녕, 한일 해저터널로 부산 물동량 감소나 안 맞으면 다행
@IlllIllllIIlIlIIIlII
@IlllIllllIIlIlIIIlII 11 ай бұрын
인구가 적으니깐 할수있는거지 1인당 gdp 높아도 체급자체가 겁나낮음. 싱가포르도 비슷함 구글이 한국에서 돈 벌고 세금은 싱가포르로 우회함.
@last_warrior_999
@last_warrior_999 4 ай бұрын
지리적인 잇점을 최대한 잘 활용하고 스위스를 벤치마킹한 듯한 금융전략으로 성장했군요.
@user-rg3qe1fc3n
@user-rg3qe1fc3n 11 ай бұрын
군축 시대였기때문에 가능한 일.. 상비군 900명이라더라ㅋㅋ 금융 탈세해주고, 돈번거지 사실.. 안보 무임승차시대가 끝나면 앞으론 또 모른다. 제일 먼저 몰락할 위치 및 산업임. 지킬 힘은 없는데 인구도 적으면서 돈만 많다? 게다가 돈도 선진국 세금 탈세로 번거다?
@fhhhjhhjjjjjjjj
@fhhhjhhjjjjjjjj Жыл бұрын
법인세 높여서 복지늘린 나라들은 망 욕먹든말든 법인세 내린 나라들은 gdp 최상위국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싱가폴
@user-gh3ys5rx7b
@user-gh3ys5rx7b Жыл бұрын
😊😊😊
@user-sm2cs9lj5d
@user-sm2cs9lj5d 11 ай бұрын
기득권들논리론 인구감소를 들고나오니 저곳은 인구가폭발저으로 증가하나보지
@user-ng9ik6ik1
@user-ng9ik6ik1 Жыл бұрын
룩셈부르크 한국 국방비 지출 차이를 보면 룩셈부르크보단 한국이 더 위대합니다.
@user-zz5jn8cx8k
@user-zz5jn8cx8k Жыл бұрын
▶ 개인이든 기업이든 국가든간에 시대의 흐름에 맞춰 빠르게 ⟨진화⟩하면 앞서나가고 뒤처지면 퇴보하는게 역사의 순리입니다!
@user-hg6wp4wn7s
@user-hg6wp4wn7s 9 ай бұрын
65만 인구를 가지고 강한 나라라고 할 수 있을까?서로 눈치 안보는 혼란의 시대였다면 순식간에 사라질 나라.
@danielyoon1724
@danielyoon1724 11 ай бұрын
킬포는 노동자의 70%가 외국인... GDP GNP 많고 국가가 부국이라고 좋아할 시대는 아닌듯...
@user-il6fg8ow3s
@user-il6fg8ow3s 4 ай бұрын
정보의 내용이 거의 씨스키밍 수준....
@LevisKIM
@LevisKIM Жыл бұрын
법인세 낮추고, 고소득자에게 세금 낮추고... 고소득층이 선호하는 주거 환경, 근무 환경을 빨리 안 만들면 한국도 빠르게 도태됨. 이미 중국에게 제조업이 밀리고 있기 때문에..
@user-ot3se9iq5g
@user-ot3se9iq5g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기업들에게 세금 혜택을 주면 잘 살게 되겠네. 잘사는 나라들은 모두 법인세나 각종 세금이 적어서 세계 큰회사들이 몰려온다. 우리나라 정치인들만 모르고 있네. 오 신기하다. 아니 어떻게 알아야 할 사람들만 모를 수 있을까? 경제부장관은 이런거 안보나? 왜 이리 우리나라는 발전이 안되나
@user-ux4qm7pj7d
@user-ux4qm7pj7d Жыл бұрын
자신이 부자인게 아니고 유대 유럽 부자들에게 세금 싸게 해주고 수수료를 엄청 먹는거지. 철저한 비밀주의라는게 사실 그렇고 그런거지. 자리만 빌려주는 거지. 금융 꼭대기헤드들은 사실 유대 유럽엘리트들이고. 거리에 보면 사람들이 거의 없대. 일반인들은 별로 할 일이 없으니
@user-ur6xu8un8y
@user-ur6xu8un8y Жыл бұрын
1등~ 잘보겠습니다.
@yeonwoo_ths
@yeonwoo_ths Жыл бұрын
법인세율 인하, 친기업 정책, 낙수 효과.. 우리 정치인들이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0nething7777
@0nething7777 11 ай бұрын
그 기조로 계속 와서 지금의 문제가 있는 거죠.
@yeonwoo_ths
@yeonwoo_ths 11 ай бұрын
@@0nething7777 영상 안 보셨나요? 그리고 그 기조로 계속 와서 고도 압축성장을 이뤄냈고, MB가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비교적 잘 대처한 것이죠. 문 정권 들어서서 소주성 정책과 기업 총수 구속으로 청년 실업 문제와 기업 경쟁력 하락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최저임금제로 자영업에 타격을 줬고, 부동산 규제로 이에 대한 불안으로 부동산 가격과 임대료는 더 올랐습니다. 여기에 우한 폐렴(대국 국민들의 입국 거부는 감히 상상도 못했으므로)이 막타를 치면서 자영업은 붕괴 됐고요. 증시는 당시 미연준의 금리인하로 회복되었긴 한데 다 버블이었고 지금 다 터졌죠. 그리고 현재, 세계적으로 법인세율 인하 경쟁을 하여 대기업을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해 각국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법인세율 인하, 친기업 정책, 낙수효과 기조를 취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심지어 민주당 정치인들도 마지못해 법인세율 인하에 동의한 판입니다. 알아보고 말씀하시길..
@CME-qn7lp
@CME-qn7lp 4 күн бұрын
조세 피난처들은 통계의 오류가 있는 것이...대충 전세계 권력자와 부자들의 자금이 은닉된 추산된 자금이 50조달러...미국 2년치 국내 총생산 금액과 비슷한데...룩셈부르크나 아일랜드도 도 외국 글로벌 기업들이 지적재산권 등을 룩셈부르크나 아일랜드 법인에 주고...자금을 자국으로 반입 안함...게다가 이런 곳에 억만장자...아니 조만장자 들의 자산을 관리하고 상속을 계획해주는 신탁과 패밀리 오피스 많음...여기에 근무하는 사람들 연봉은 이 사람들이 기존에 근무하던 금융회사보다 훨씬 많이 줘야 함...즉 일반 사람들은 사는 거 다 똑같다는 것임....두바이도 부자들이 돈을 은닉하려고 반입해서 그런거지...실상은 보통 직장인 연봉 우리나라 수준임...소득세 등이 없고...주택비, 교육비 지원 받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이지...카리브해 섬들인....버뮤다, 바하마, 케이먼군도, 브리티시 버진 아일랜드, 세인트 키츠 네비스 특징? 여기도 1인당 국민소득 10만달러 넘거나 근처임...그런데 현지인들은? 관광업에 종사하거나 허드렛일 하고 삶을 이어감....대신 신탁이나 금융회사 다니며 자산관리 하는 사람들은 연봉 장난 아님...룩셈부르크도 마찬가지임...스위스도 마찬가지고...전세계에서 빼돌려진 돈으로 자산 운용하고 이 사람들이 고액 연봉 받아서 돈 쓰고...선순환이 되는 것이지...억만장자의 나라이자 1인 평균 소득 1위국가 모나코? 모나코에 집 못 구해서...인근 프랑스 니스 등지에서 출퇴근 하는 모나코인들도 많음....
@user-dc8xg3lh5e
@user-dc8xg3lh5e Жыл бұрын
저런 나라에서 태어나고 싶네... 이런 공부 안하면 디지는 나라...
@-9dw
@-9dw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종전선언 하면 주변국가들 투자도 많이 할꺼고 자원 풍부해질꺼고 건설붐으로 취업율 도 높아질꺼고 ...반쪽짜리 땅으로도 성장 했는데 얼마나 큰성장 할수있을까..휴전70년인데 이제는 종전선언 이라도 꼭 했으면 좋겠어요...
@-9dw
@-9dw 11 ай бұрын
​@@user-eo7hw9vo3z전작권환수도 받고 미군철수 시키고 주체적으로 자킬수있죠 군사력6위인 대한민국 입니다 ..생각이 없는건 너님 이야
@user-of9zb1fm3n
@user-of9zb1fm3n 3 ай бұрын
우리도 북한과 휴전만 아니었어도, 아시아의 금융 중심및 아시아 본사를 둘 만하기 매력적인 곳인데. 아쉬움
@user-uk5bq6sv9u
@user-uk5bq6sv9u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바뀌지 않았나? 아랍 에미리트로
@user-ri1ic8nv8l
@user-ri1ic8nv8l Жыл бұрын
부자 국가가 아니라 그냥 부자 동네지. 비교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음. 우리가 유럽에 있었다면 아마도 최강대국 됐을 것.
@Skdjdn137
@Skdjdn137 10 ай бұрын
우리가 유럽에있었다면 멸망 or 식민지로 평생
@user-lm4sv9md8b
@user-lm4sv9md8b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 기업들을 낮은 세율로 꼬시면 분쟁 안생기나...?
@user-jk8kj5wx5z
@user-jk8kj5wx5z Жыл бұрын
인구 백만도 안되고 국방도 거의 없는 나라를 영상만들어서 우리나라하고 비교하는게 웃긴다
@roadfightermr.878
@roadfightermr.878 Жыл бұрын
나라가 망하거나 부흥하는건~~"정치지도자와 공직자들의 퀄리티"의 문제다. 이게 가장 중요하다!! @@ 그래서 일본한테 침략당한건 조선말 왕과 신하들이 무능한거다~~@@ 싱가포르/룩셈부르크/스위스가 잘사는 이유는 반대로 정치지도자가 솔선수범하고, 똑똑하고, 오로지 국민과 나라를 위한 희생정신이 가득하다.
@user-hw7pt7mp5d
@user-hw7pt7mp5d Жыл бұрын
@@user-si1zt1zq9m 멸공!!👍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