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전기설비 발송배전 기술사 공부 방법의 차이점

  Рет қаралды 46,957

이타아카데미

이타아카데미

5 жыл бұрын

건축전기설비 발송배전 기술사 공부 방법의 차이점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발송배전 기술사
www.eeta.co.kr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사공부방법 #기술사공부전략 #기술사합격키워드 #전기기술사

Пікірлер: 73
@user-kw4nj6ei4r
@user-kw4nj6ei4r 3 жыл бұрын
깔끔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uuiko10
@uuiko10 3 жыл бұрын
이분 말씀 하시는거 보면 머리 상당히 좋아 보이심 그냥 느껴짐
@gretage
@gretage 3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hyj3338
@hyj3338 5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5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시고 많은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user-jc2ek5ww3t
@user-jc2ek5ww3t 4 жыл бұрын
영상 및 댓글로 많이 배우고갑니다. 올해 서른셋에 기사자격증취득후 발송배전까지 목표로두고있습니다. 교수님께 배웠으면 하네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제가 20여년전에 박진훈 님과 비슷한 생각을 했고, 20개월 정도 공부하고 발송배전기술사 시험에 합격을 했습니다.발송배전기술사는 집중만 하면 6개월 공부하고도 합격할 수 있는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박진훈 님께서도 목표한 바를 이루시길 바라고, 기사 자격 취득 후에 함께 공부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다리겠습니다.
@hyunjukim4677
@hyunjukim4677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sinaepark2002
@sinaepark2002 4 жыл бұрын
큰 도움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열공하세요~
@sinaepark2002
@sinaepark2002 4 жыл бұрын
답글 감사합니다 올해 전기기사시험 준비시작해서 먼저 합격후 바로 기술사공부 시작할 계획입니다 우연히 유튜브통해 이타아카데미 알게되어 행운이라 생각되네요
@user-nv1tx2xs1l
@user-nv1tx2xs1l 4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자기 성향에 따라 발송배전으로로 할지 건축전기로 할지 정하라고 하셨는데요. 이 두 자격증 차이 없나요? 그러니까 발송배전이 한국전력같은 공겹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따기 유리한 자격증이라고 알고있는데요. 저는 한전에서 일하는 사람도 아니고 제가 거기 들어갈 능력도 부족해서 일할 일 없을거같은데요, 그렇지만 성향은 확실히 발송배전인거 같습니다. 근데 또 전 앞으로 건축전기 뭐 이런쪽에서 일할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교수님 질문있습니다. 성향은 발송배전이지만 일하는분야는 건축전기쪽인 사람은 뭘 따야하나요? 건축전기쪽 일하는 사람이 발송배전을 따도되나요? 아직 자격요건조차 안되지만 조금씩 알아보려고 하고있습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발송배전기술사는 원래 전기분야 최고의 기술사 자격입니다. 발송배전기술사가 한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하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 것 같은데요, 전기의 모든 분야에서 활동을 하실 수가 있고요,특히 플랜트 분야에서는 건축전기보다는 더 높게 보는 경향도 있습니다.다만, 일부 기관에서 건축전기 또는 발송배전 기술사로 참여 제한을 두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그렇다고 해서 발송배전기술사가 아파트 설계를 할 수 없고,건축전기설비기술사 전력구 설계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또, 한전이 아니더라도 엔지니어링 회사나 1군 건설사에도 발송배전기술사 분들이 많이 근무하고 계시기 떄문에,본인의 적성에 맞는 분야를 먼저 공부하시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user-fh4tn1zq4d
@user-fh4tn1zq4d 4 жыл бұрын
권준오 교수님 너무 보고싶네요 갑자기 안나오셔서 너무 깜짝놀랐네요 그래도 자기분야에서 활약하는 모습보니까 보기 좋습니다. 폴리텍 제자올림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윤교군 잘 지내고 있지? 너희들이 벌써 졸업을 하고 취업을 하니, 시간이 참 빠르네~~^^ 대학에 몸담고 있지는 않지만.. 사제간에 맺은 인연은 오래 간단다. 앞으로 만날 수 있는 날들이 많을 거야..열심히 일배우고..꾸준히 공부도 했으면 하는 것이 내 바램이다..^^
@user-fh4tn1zq4d
@user-fh4tn1zq4d 4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저도 기술사따서 교수님이랑 같이 일하고 싶은게 제 소원입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열정과 끈기만 있으면 꿈은 반드시 이루어 진다~~함께 일할 수 있는 날을 기다리고 있을께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반가워요..제자들이 좋은 직장에 다니고 있어서 흐믓하네요~~한국폴리텍대학에서도 건축전기설비기술사들이 배출되고 있으니, 열심히 공부해서 꼭 합격하길 바랍니다.한국폴리텍대학 전기과 출신의 수만명의 전기인들이 각 현장에서 자기의 역할을 잘 해주고 있고, 또 최고의 자격인 기술사도 취득을 해서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주역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kissheyo5721
@kissheyo5721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좋은 말씀 항상 감사합니다. 저는 한전 재직중이며 배전업무를 2년 해왔습니다. 기술사 시험을 위해 아직 2년의 실무경험이 더 필요하고 매우 많이 부족하지만 벌써부터 기술사 취득을 하고 싶은 마음이 강합니다. 혹시 저와 같은 경우에 공부를 시작하는 시기는 언제쯤으로 잡으면 좋을지 궁금하고, 조언해주실 부문 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후배로서 교수님처럼 강의하시는 분들 너무 존경하고 저 역시 회사일만 하는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현재 한전에서 배전분야의 업무를 맡고 있으시고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2년정도 부족하시다고 하셨는데요, 기술사를 꼭 취득하고 싶으시다면 지금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목은 발송배전기술사를 먼저 공부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고요, 발송배전기술사는 기술사 전체 종목 중에서 합격률이 가장 낮은 분야입니다. 따라서 발송배전기술사 시험에 합격을 하시면 그보다 합격률이 높은 종목은 보다 쉽게 접근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술사 시험에 있어서 빨리 합격을 하시는 분들은 6개월만에 합격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확률적으로는 0.1%미만이라고 보고요, 일반적으로 3년에서 5년, 길게는 10년이상 공부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사 시험에 도전하기로 마음을 굳히셨다면 최대한 빨리 공부를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발송배전기술사를 먼저 취득을 했는데, 자격조건이 2년정도 부족한 상태에서 시작을 해서, 응시자격을 다 채운 해에 합격을 했던 것 같습니다. 기술사는 최대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유리한데요, 그 이유가 신체적인 우위, 직장에서 직급이 올라갈 수록 업무에 대한 부담 증가, 결혼을 하게 되면 더욱더 시간을 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30대 중반에서 50대 초반까지는 직장과 가정을 위해서 모든 시간을 쏟아부어야 하기 때문에 기술사를 하기에는 젊은 나이가 훨씬 유리하다고 봅니다. 또 빨리 시작을 해야 하는 이유가 기술사는 빨리 취득할 수록 많은 기회가 주어집니다. 저의 경우에도 34살에 발송배전기술사 1차 시험에 합격을 하고서 당시 국내 수주순위 5위권의 종합 엔지니어링사(5년전쯤에 가음아프게 흑자부도(?)로 없어졌지만요..) 임원을 거쳐서, 고용노동부 산하의 전문대학(특수목적대학-한국폴리텍대학) 전임교수, 그리고 대학에 사직서를 제출하고 공직자 신분으로는 할 수 없었던 교육콘텐츠를 제작하는 회사를 설립하고 제가 하고 싶은 일 마음껏 하면서 재미있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기술사 공부뿐만 아니라 모든 일들이 같은 이치라고 생각을 합니다. 수많은 반대, 두려움, 부정적인 생각들을 이겨내고 진짜로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이거다 싶으면 과감하게 뛰어드세요.. 그 다음은 될때까지 계획한 대로 밀어붙이면 됩니다. 운이 좋거나 해당 분야에 타고난 능력이 있다면 남들이 5년, 10년이 걸릴 일을 6개월만에 해내실 수도 있을 겁니다. 만약에 제가 질문자님의 나이대로 돌아간다면 지금 바로 기술사 공부를 시작할 겁니다. 한번 사는 인생, 하고 싶은 일 하면서 살아도 시간이 모자랍니다. 50대인 저도 새로운 일들에 도전할 생각을 하면 20대와 같이 심장이 뜁니다. 10대의 엘론 머스크가 가졌던 원대한 꿈을 50대인 제가 지금부터 기획하고 실천해 나간다면 70대가 되었을 때에는 엘론 머스크가 20년동안 이루었던 성과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미친 생각도 가끔 해 봅니다. 부디 좋은 선택하시길 바라고, 기술사 시험에 꼭 합격하시길 기원드리겠습니다. 기술사 합격 후에 좋은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날도 기대하겠습니다...^^
@kissheyo5721
@kissheyo5721 4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진심으로 후배를 위한 조언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기술사가 되어 웃으며 만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건강하시고 좋은 일 다양한 활동 계속 부탁드립니다.
@weishen183
@weishen183 2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와 정말 멋지십니다 교수님 마인드를 읽으면서 가슴이 뜨거워졌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yy1yf9bj7o
@user-yy1yf9bj7o Ай бұрын
교수님 질문이있습니다 4년대 전자공학과 졸업하고 기사 취득후 전기 공사 쪽에서 근무 하고있습니다 근무한지는 1년 조금 안됐습니다 실무쪽도 나름대로 적성에 맞아서 힘들지만 괜찮게 일하고 있습니다 기사를 취득 했다보니깐 상위자격증을 따고 싶고 더 좋은 기술자가 되기위해서 공부를 하고싶은데 발송배전 기술사를 공부하는게 맞을까요? 기능장 시험도 있지만 기술사 공부 하고싶어서 고민중에 있는데 제가 일하는 분야가 전기 쪽이기는 하지만 발송배전 기술사에서 배우는게 많이 다를고 낯선 부분들이 많은데 발송배전 기술사를 공부하는게 맞을까요? 많은 고민중에 있습니다 교수님!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Ай бұрын
발송배전기술사가 적성에 맞는 것 같으시면, 바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건축전기나 발송배전의 업무영역에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현재의 전기 공사 경력과도 잘 맞는 종목이기 때문에 시험 준비, 자격 취득 후 진로에 대해서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user-yy1yf9bj7o
@user-yy1yf9bj7o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yz3jd9wc8f
@user-yz3jd9wc8f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유튜브 영상 잘 시청하였습니다. 앞선 내용은 잘 보았고 무엇을 선택을 해야하는지 감이 옵니다. 그런데 제 업무가 과연 이것과 맞을지 막연한 의문이 계속 들기에 이렇게 질문을 드려 교수님을 귀찮게 하는게 아닌가 하는 죄송함이 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저를 간단히 소개하면 현재 전기안전공사에 재직 중입니다. 취업 전에는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를 취득한 상태였고, 2년전에 소방설비기사(전기)를 취득하였고 올해는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를 공부하고있었습니다. 그러다 문득 너무 기사자격증만 취득하려고 하는게 아닌지 이러다 나중에 산업안전기사나 기타 전기 유사 기사 자격증 모으는데 시간을 낭비할 것 같아 기술사 관련 영상이나 자료를 찾아보다가 우연히 교수님을 소개 받아 이타아카데미를 알게 되었습니다. 영상을 보고 저는 암기가 약하고, 숫자놀이를 하는걸 그나마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그렇게 잘하는것도 아니지만 고등학교, 대학교 때 좋아하는 과목이 수학이었습니다.) 공업수학을 대학교 때 배웠는데 잘하지는 않았고 열심히 노력은 해서 A+은 받았습니다. 지금은 십여년이 지나 다 까먹어서 조금 막연한 두려움이 있긴합니다. 왜냐하면 기술사는 외부에서 박사급 대우를 해주니 그 수험서 내용의 깊이가 얼마나 자세하고 심오할지, 이걸 내가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 시작하기도 전에 제가 쫄아버린것같습니다. 그리고 회사 내에서 기술사를 보유하신 선배님들을 보면 건축전기설비기술사가 발송배전기술사보다 더 많이 취득하신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공부방법 관련 유튜브를 보았는데 공부법은 발송배전이 조금 더 맞을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도 공부방법이 영상을 다독 하는것을 좋아합니다. 빨리 1회독을 해서 완강을 할 수 있는건 시간적으로 봤을 때 발송배전인것 같습니다. 평일 2시간, 주말 5시간 정도 투자한다면 1년에 3~4회독 2년이면 최소 5회독이상 가능하기에 이후에 본격적으로 준비한다면 넉넉잡아 5년안에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물론 더 빨리 취득하려고 노력하는게 더 중요합니다. 제가 충분히 도전해서 성취할 수 있다는 믿음을 얻는다면 그리고 발송배전기술사가 제 업무와 이타적이지 않고 잘 부합한다면 열심히 해보고싶습니다. 올해 중으로 꼭 강의 수강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3 жыл бұрын
EETA를 찾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또 소개를 해 주신분을 알 수는 없지만 그 분께도 감사드리는 마음입니다. 현재 안전공사에 재직중이라고 하셨는데요, 발송배전기술사 자격과는 잘 맞는 다고 봅니다. 분들이 발송배전기술사 자격의 명칭만을 보고 한전과 관련있는 기술사라고 생각하는데, 많은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는 1977년도에 전기기술사(발송배전 분야)로 시작을 했으며, 당시 전기분야에는 발송배전분야, 전기기기분야, 전기응용분야로 나눠 있었고, 전기분야의 모든 설계, 감리, 진단 엔지니어링의 권한을 갖게 되었는데요, 실제로는 한전의 업무와는 크게 상관이 없고, 전기 전체분야를 대표하는 전문 자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자격을 취득하시게 되면 한전과 관련된 일은 거의 하지 않을 겁니다. 플랜트, 건설, SOC, 환경, 오피스, 아파트 등 전체적인 일들에 참여하실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업무와 연관성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고민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또, 전기기술사를 준비함에 있어서 이론적인 부분과 수학 등에 대해서 고도의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고민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을 잘 하면 어느정도는 유리한 것은 맞지만, 이러한 이론을 잘 안다고 해서 기술사 시험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술사라는 자격이 실무의 현장 중심, 현장의 전문가라는 것을 인정해 주는 자격이기 때문에 현장 중심의 내용을 익히고 이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를 평가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평가 시 수학이나 전기공학의 심도깊은 내용은 거의 묻지 않습니다. 기사 시험에서 암기했던 20여가지 수학공식과 공업고등학교 교재인 전기이론, 전기기기의 기초적인 수준만 알고 있으면 기술사를 공부하는데 충분하다고 봅니다.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전기자기학 책이나 공업수학 책을 들고 가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전문자료, 기술서적, 제조사의 자료 등을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게 될 겁니다. 기술사 문제가 이런 유형의 문제들입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시험에 꼭 도전하시고요, 최대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술사 시험에 합격하실 응원하겠습니다.
@user-yz3jd9wc8f
@user-yz3jd9wc8f 3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감사합니다. 열심히 준비하여 합격하겠습니다. 건강하십시오.
@user-ef6vx6qx6d
@user-ef6vx6qx6d 4 жыл бұрын
영상잘봤습니다 전기기술사는 합격후 어디서근무하고 무슨일하는지 얼만큼버시는지 궁금합니다 한전다니다가 기술사합격후 그만둘까고려중인데 기술사님 의견이궁금합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전기분야 기술사는 다른 기술사에 비해서 활동영역이 상당히 넓습니다. 지금까지 배출한 기술사가 30여분 정도 되는 것 같은데요, 이 분들이 하고 있는 일들이 대학교수(정교수 임용, 정년트랙 보장), 개업, 대기업, 공무원, 엔지니어링사 임원, 한전, 토지주택공사, 도로공사 임직원, 학회, 협회 활동, 설계자문위원, 심의위원, 공무원 임용고시 출제위원, 기술사, 기사 국가자격 출제 및 면접위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봉은 개인의 능력과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나겠지만, 기본적으로 대기업 차, 부장급 이상은 되지 않을까 싶고요,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또는 발송배전기술사를 취득하시고, 본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신다면 상당히 높은 수입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기분야 기술사는 정년이 없기 때문에 80, 90세가 되셔도 건강만 유지가 된다면 높은 연봉과 직책을 유지하면서 대우받고 일할 수 있는 최상위 직업군입니다.
@user-xx1ru4cb1r
@user-xx1ru4cb1r 3 жыл бұрын
전기안전과 전기응용은 건축전기와 발송배전보다 수요가 적은게 사실인가요? 전력 기술인 협회 구인란 보면 건축전기와 발송배전은 많이 구인하는데 전기안전과 응용은 구인이 별로 없는것 같아서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3 жыл бұрын
전기안전기술사는 안전분야로 분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 분야 보다는 감리분야에서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기응용기술사는 전기분야 기술사로 발송배전기술사, 건축전기설비기술사와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기술사 자격 요건에 따라서 수요가 발생이 될 겁니다. 전기안전과 전기응용기술사 구인에 대해서는 한국기술사회에서 찾아보시는 것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제가 아는 사항은 여기까지이며, 추가적인 답변은 하지 않겠습니다.
@joeyseo4287
@joeyseo4287 4 жыл бұрын
발송합격 후 건축전기합격까지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기출문제보니깐 건축전기로가서쳐도 45~50은 나올것같긴한데요 그리고 기술사님처럼 두개 가지고 계신분은 몇명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합격한 후에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1년 뒤에 공부를 시작을 해서 5~6개월 정도 공부한 것 같습니다. 발송배전과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두개 종목을 모두 보유한 기술사가 정확하게 몇 분이 계신지는 알 수가 없고요, 대략 50~60분 정도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user-ne6og7xq4b
@user-ne6og7xq4b 8 ай бұрын
현재 한전 송변전 직군애서 근무중인 수험생입니다. 저는 아직 경력 4년이 되기까지 2년 반 정도가 남았고, 30이 되기 전애 경력을 채우자 마자 합격하는 것을 목표로 노력중입니다. 저는 도전적인 목표를 갖고 싶어서 자격증을 취득하면 PQ점수가 찼을때 한전을 나와서 개인 사업을 하고 싶은데, 기술사 라이센스로 할 수 있는 사업이 물론 많겠지만 법적으로 하한이 보장된다거나, 발송배전만이 할 수 있는 사업분야갸 있를까요? 예를 들면, 의사가 개업하는 병원같이 법적으로 라이센스가 있어야 하는 분야 말이죠. 또한 다른 종류에는 어떤 일이 있을까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8 ай бұрын
기술사는 고유의 업역이 정해져 있고, 특히 발송배전기술사와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토목구조, 건축구조기술사와 함께 기술사 업역히 확실하게 정해져 있는 몇 안되는 분야입니다. 전기시설물의 설계와 감리는 아주 작은 시설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전력시설물의 설계와 감리는 건축전기 또는 발송배전기술사가 있어야만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이 하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전기분야 엔지니어링 업체에서는 설계와 감리를 동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두가지 분야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건축전기, 또는 발송배전기술사 중 한 가지 이상 자격을 선임하려고 합니다. 발송배전기술사는 전력시설물의 모든 설계와 감리의 책임엔지니어로 참여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공공기관에서 건축전기로 제한하는 경우도 있으나 경우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전기의 모든 분야에 책임엔지니어로서 참여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발송배전기술사를 취득한 후 설계, 감리 이외에도 진단, 보호계전, 컨설팅 등 본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서 사업화시키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설계와 감리가 가장 적합한 종목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의사, 즉 전문의의 경우에도 병원에서 치료 등의 의료활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가장 안정적입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의들은 병원 이외에 의료관련 사업, 의료 기자, 건강식품 제조 등 본인의 성향에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업종을 선택해서 대박이 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망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도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향후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발송배전기술사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현재는 발송배전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는데 집중하시고, 자격 취득 후 엔지니어링을 기본으로 해서 여러가지 일들을 직접 경험해 보시고 본인의 성향에 맞는 분야를 찾아서 도전하시면 될 겁니다.
@user-ne6og7xq4b
@user-ne6og7xq4b 8 ай бұрын
@@user-yc3kr6vu1e 의문을 가지던 점이 많이 풀렸습니다. 결국 기술사 라이센스를 따더라도 설계 능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더 노력하겠습니다.
@user-yh5bf5wq4z
@user-yh5bf5wq4z 2 жыл бұрын
전기산업기사 취득후 철강회사에 근무하고 있고 경력인정으로 시험자격은 되는데 업무가 전기분야가 아니라서 공부시작이 망설여지네요... 만약 1차합격한다면 2차면접 통과 가능할까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2 жыл бұрын
기술사 필기 시험 합격자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겠으나, 철저하게 준비를 한다면 충분히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user-re1pe8kv2o
@user-re1pe8kv2o 4 жыл бұрын
두 기술사가 하는 일은 어떻게 다른가요? 서로가 서로의 업무도 할 수 있나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발송배전기술사와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전기분야의 기술사로 하는 일은 동일합니다. 다만, 발주처에서 설계 또는 감리의 용역을 발주할 때 참여자격에 대한 제한을 두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서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선로의 감리 용역에 있어서는 발송배전기술사만이 PM(Project Mamager)으로 참여가 가능하고, LH 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는 건축전기설비기술사만이 PM으로서 참여가 가능하도록 제한을 두기는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전기분야의 설계, 감리의 모든 분야에서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업무적인 차이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user-ge5yr2hg7
@user-ge5yr2hg7 9 ай бұрын
너무 오래된 영상이라 댓글이 안달릴꺼같지만..진짜 궁금한게 타 기술사에 비해 유독 발송배전은 면접이 굉장히 까다롭지않나요? 실제로 초고압을 다룬사람 아니고서 예를들어 감리나 시설관리 경력으로 발송배전 1차는 통과한다고해도 면접이 답이안나올꺼같은데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9 ай бұрын
건축전기설비기술사나 발송배전기술사 모두 면접이 대단히 어렵습니다. 초고압 경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해당 경력을 물어보고, 공항 조명 설계 경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해당 경력을 물어 봅니다. 여기서 해당 경력이 유무와 관계 없이 대응능력을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면접은 사전에 철저한 준비를 해야만 합니다. EETA에서는 경력과는 관계없이 함께 면접을 준비하신 분들의 80%이상이 한번에 면접을 통과합니다. EETA에서 1차 필기와 서류 및 면접준비를 하신 분들 중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2회안에 합격을 했으며, 나머지 2명도 3번만에 합격을 했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면접도 철저히 준비하시면 경력과 관계없이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sogood3279
@sogood3279 Жыл бұрын
제가 비전공자이고, 문과 인문대를 나왔습니다. 직업은 CNC자동화 OP, 기기 보수, 공정개선 및 외주업체 관리입니다. 일을 하다보니 전기기사 자격증까지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저처럼 아무 관련없는 곳에서 시작하여 독학으로 전기기사 취득한 사람이 발공배전기술사 취득하는건 이상한건가요? 너무 분에 넘치는 도전일까요?? 제가 기술사에 대해 아는게 없다보니 이렇게 댓글을 남깁니다. 취득목적은 안정된 노후와 높은 급여와 대우 때문입니다. 제가 이상한 생각인가요?? 잘모르고 적는 댓글이니 잘 봐주시고 답변 잘 부탁드립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Жыл бұрын
전기분야 기술사인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를 준비하는데는 순수 전공자와 전기분야 엔지니어링 경력자분들 보다는 다소 어려움은 있겠지만, 꼭 도전해 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은 EETA 홈페이지 질문과 답변(비공개)에 글을 올려주시거나 전화주시면 이야기를 들어보고 상담 드리겠습니다.
@user-ud1rk8qh5l
@user-ud1rk8qh5l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건축전기설비기술사를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하고 있는 업무가 제조업에서 전기안전관리 ,설비 공사 관리감독, 수전설비관리, 각종 전기기기들을 유지 보전 및 관리하는 업무인데요. 업무가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내용과 유사하여 막연하게 건축전기설비로 정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론적으로 심도있게 공부하고 수학을 좋아하고 증명하고 계산하고 탐구하는걸 좋아하는편이라서 교수님 설명을 들어보니 저는 발송배전에 유리하지 않을지 생각이 됩니다. 만약 발송배전을 취득하여도 저의 업무영역과 상관이 있는지 또 추후 취압시 경력으로 인정이 될런지 혼란스럽습니다. 바쁘시겠지만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를 공부해 보면 증명과정이나 계산 등의 공학적인 요소 보다는 현장 실무와 관련된 내용들이 많고, 출제범위가 방대하기 때문에 공부의 방향을 잡는 것이 쉽지는 않으실 겁니다. 위에 올려 주신 글처럼 수학을 좋아하시고 증명하는 것이 재미가 있다면, 발송배전기술사가 맞다고 봅니다. 지금 걱정을 하시는 부분이 경력과 자격증이 맞는가라는 것인데요, 발송배전기술사는 전기분야의 모든 영역이 업역에 해당이 되기 때문에 자격증을 활용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원래 전기분야에서는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보다는 발송배전기술사가 먼저 생겼고, 발전과 송배전 뿐만 아니라 플랜트, 건축물, 토목, 환경 모든 분야에서 활동할 수가 있습니다. 오히려 대기업에서는 발송배전기술사를 선호하고 있으니 기술사 취득 후 진로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user-ei9fk2kz3j
@user-ei9fk2kz3j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발송배전 기본서가 정해져있다고 하셨는데 책이름이 뭔가욤?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2 жыл бұрын
동일출판사, 송길영 교수님 저, 최신 송배전공학, 최신 발전공학, 전력계통공학 3권과 송배전기술용어해설집(한국전력공사 - 비매품) 4권을 기본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laveofthering
@slaveofthering 4 ай бұрын
이타아카데미 건축전기 프로그램 등록하고 수강한지 약 3개월째 되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첫번째는 전기기기, 두번째 최신송배전공학 듣고 있는데, 송배전 공학은 내용이 매우 깊이있고 난해해서 이해하는데 꽤 시간이 걸릴거 같습니다. 정말 궁금한건 송배전 공학에서 건축전기기술사와 관련된 내용은 어느부분까지 깊이 공부해야되는건지 구분점을 모르겠습니다. 물론 다 마스터 하면야 좋겠지만, 두마리 토끼를 다잡기엔 제 능력이 턱없이 부족하네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ай бұрын
수강 신청하셨을 때, 송배전공학 중에서 건축전기설비기술사를 공부하시는 분들이 공부해야 할 내용을 정리해서 가이드북과 함께 보내드렸을 겁니다. 가이드북과 안내서대로 공부하시기 어려운 점이 있으실 경우 EETA 홈페이지 질문과 답변에 편하게 글을 올려 주시면 질문자님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user-zw3bl7qh5g
@user-zw3bl7qh5g 2 жыл бұрын
기술사님 발송배전 기술사는 한전 출신이 아니면 메리트가 없을 까요? 건축전기설비 기술사는 너무 어려워서 발송배전 기술사 생각하고 있는데 비한전 출신이 발송배전기술사 취득해도 노후 준비가 가능할까요?
@user-tx9iu6jb6c
@user-tx9iu6jb6c 2 жыл бұрын
단종설계업체에 걸어놓고 비상주급여정도 받는건 가능한데, 그 이상은 무리입니다. 전기는 건축전기이든 발송이든 경력 많이 필요해요.
@user-eh8si5dv6x
@user-eh8si5dv6x 4 жыл бұрын
전기기사는 있는데 미분적분 한번도 해본적없는데 발송배전기술사 수학적인걸 할수있을까요? 수학학원 별도로 다녀야되는지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모든 교과목 중에서 수학을 가장 좋아하는 사람 중에 하나입니다. 또 EETA 아카데미에는 공업수학이 개설되어 있고, 패키지 강의를 수강하시는 분들께 추가비용없이 수강하실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필요한 수학의 공식을 도구처럼 사용만 하시면 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을 드리자면, 발송배전기술사는 증명하는 과정과 공학적인 요소들이 건축전기에 비해서는 굉장히 많은 편인데요.. 수학을 잘 하는 사람이 유리한 것은 맞지만, 또 수학을 굉장히 잘 할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공식 20여가지 정도, 미, 적분에 대해서는 회로이론이나 전기자기학의 뒷편에 보면 자주 사용되는 공식들이 있을 겁니다. 이 정도의 수식만을 암기해 두시면 됩니다. 저에게 기술사를 배웠던 수험생분 중에는 수학과를 나오시고 수학 강사를 하셨던 분도 계신데요. 지금 5년째 기술사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수학하고는 관계없이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시고 하루 3시간씩 공부해서 2년만에 건축전기, 발송배전기술사 합격하신 분도 계시고요.. 저는 기술사 시험에 빨리 합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것이고요, 미분, 적분에 대해서 제대로 공부하시고서 전기공학 그리고 기술사를 공부해야 되는 것도 맞는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간단한 공식 20여가지로 시작을 하시고, 공부하시다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라고 하면, 주말에 하루 정도 시간을 내셔서 부족한 수학의 이론을 하나씩 보충해 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봅니다.
@user-sd3ef7jh3z
@user-sd3ef7jh3z 9 ай бұрын
건축전기설비 기본서가 무엇인가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8 ай бұрын
건축전기설비기술사는 기본서가 정해져 있는 것이 없고, 출제경향에 따라서 변화가 있습니다. 기출문제 분석 자료와 문제의 출처 등을 파악해서 기본서를 선정해야 합니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가 어려운 것이 정확한 출제 범위가 없고, 정해져 있는 기본서가 없기 때문입니다. 도움을 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user-tl3ky9jx7z
@user-tl3ky9jx7z 4 жыл бұрын
전기응용기술사,전기철도기술사는 한수아래로 취급하던데 그 이유를 알수 있을까요? 제가 알기로는 관급공사에서는 전기응용 전시철도를 취급안하더라고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모든 기술사에는 수가 높고 낮음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 다만, 엔지니어링 용역의 특성상 많이 찾는 종목이 있고 이에 따라서 종목별 기술사에 대한 대우도 차이가 날 수 있겠죠...전기철도기술사분들도 연봉 1억 넘는 분들이 많이 있고 또 대단히 좋은 기술사 자격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의 역량과 경력, 자격증의 활용가치, 건설경기의 흐름 등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어떤 자격 종목이던지 본인과 맞는 종목을 정해서 취득하시는 것이 우선인 것 같고요, 전기철도기술사 또는 전기응용기술사를 합격하신 후에 건축전기, 발송배전이 필요하다고 느껴지신다면 추가로 공부해서 복수의 자격을 취득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봅니다.
@user-tl3ky9jx7z
@user-tl3ky9jx7z 4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어떤학원에 문의를 해보니 발송배전 건축전기 외엔 그냥 종이쪼가리 취급을 하는듯이 말하더군요 전기응용 전기철도는 취득을 해도 취업도 안되고 아예 헛수고 하는거라고 질책을 할정도였으니까요
@user-tl3ky9jx7z
@user-tl3ky9jx7z 4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그런데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전기응용 기술사의 경우 축전지,변압기,직류기,동기기 등이 비중이 높은 자격증이죠(실제 시험문제는 그렇진 않지만) 그러면 전기기기와 관련된 업체에서 수요가 많은 자격증일까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기술사를 비롯한 모든 자격증은 법적으로 업무영역이 보호 받고 있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따라서 수요와 그에 맞는 대우가 달라지게 됩니다. 전기분야의 자격증이 대우를 받는 이유는 법적으로 의무고용을 해야하기 때문이며, 또 전기가 쓰이지 않는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전기응용기술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전기응용기술사가 법적으로 쓰여질 수 있는 분야는 전기 엔지니어링 분야입니다. 전기엔지니어링은 크게 설계와 감리 분야로 나눠지며 이 두가지 분야에서 일정규모의 이상의 설계 또는 감리현장에는 반드시 기술사가 근무를 해야 합니다. 제조업의 경우에는 기술사가 의무적으로 근무를 해야 하는 조항이 없을 겁니다. 따라서 전기응용기술사의 경우에도 전기기 관련 업체에 수요가 있기 보다는 설계 또는 감리 분야에 쓰이는 전문 자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병원을 개업하기 위해서는 의사 면허가 있어야 하고, 로펌에는 변호사가 있어야 하는 것처럼, 설계 또는 감리업에는 일정규모 이상에서는 기술사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전기분야의 기술사에는 발송배전, 건축전기, 전기응용, 전기철도, 전기철도 신호의 6가지 종목이 있으며, 전기분야 모든 설계에 참여를 할 수가 있습니다. 다만, 발주처에서 기술사 종목을 제한해서 발주를 하기 때문에 많이 활용되는 기술사가 있고, 또 그 활용도가 적은 기술사 종목이 있습니다. 설계나 감리 용역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이 국토교통부, 환경부, 산자부의 일들이며, 국토교통부 산하의 LH공사, 철도공사, 환경부 산하의 환경관리공단, 산자부 산하의 한국전력공사 등이 대표적인 발주처로 해당 기관의 용역 발주 안내서를 확인해 보시면 어느 분야의 자격종목의 수요가 많고 또 대우를 받는가를 확인해 보실 수 있을 겁니다.
@user-pt5eg4hj8h
@user-pt5eg4hj8h 4 жыл бұрын
엄두가안나요 기술사는 박사급 기사는 초등생수준이라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기술사는 박사급, 기사는 초등생 수준이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요?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전기기사 자격도 합격률이 대단히 낮기 때문에 취득하기가 어렵습니다. 단, 문제를 푸는데 주어지는 시간이 1분으로 주어기 때문에 1분안에 풀수 있는 문제들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기술사도 자격증, 기사도 자격증이기 때문에 학문을 연구하는 것처럼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격증에 맞는 공부를 하는 것이 좋다라는 의미로 말씀을 드린겁니다.
@user-pt5eg4hj8h
@user-pt5eg4hj8h 4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죄송 오해 제가생각하기에 기사는 기술사보다 한참 수준 이하라는 겁니다 죄송해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전기기사 자격도 사회적으로 높은 대우를 받고 있고, 대단히 좋은 자격증입니다. 정규 대학 2년의 교육 과정을 마쳐야 시험을 볼 수 있는 국가 공인 자격증이기 때문에 아무나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Report-02
@Report-02 4 жыл бұрын
@@user-yc3kr6vu1e 기사자격증은 4년제 졸업 아닌가요????
@user-yc3kr6vu1e
@user-yc3kr6vu1e 4 жыл бұрын
대학 3학년이 되면 기사자격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최근에 기준이 바뀌었는지는 다시 확인을 해봐야 겠네요..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기술사 고수 들이 알려주는 기술사 공부전략
19:36
금호건설TV, Tube Vitamin
Рет қаралды 15 М.
발송배전기술사 공부방법 (이승재 기술사)
25:57
전기쟁이들의 공부방
Рет қаралды 14 М.
예전만 못한 건축전기, 발송배전기술사? 전기기술사 연봉은?
4:36
LEE기술사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Рет қаралды 72 М.
제131회 발송배전기술사 1교시 풀이 - 김진혁 기술사
1:56:59
대한전기학원
Рет қаралды 4,3 М.
기술사 합격하는 사람, 포기하는 사람
20:49
모아 소방TV
Рет қаралды 2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