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과정31] 26.도장공사_로프작업은 왜 꼭 2줄로 할까?

  Рет қаралды 30,314

우리건설 이야기

우리건설 이야기

7 ай бұрын

외부 작업시 로프를 2줄로 하는 이유

Пікірлер: 56
@user-yjj0621
@user-yjj0621 7 ай бұрын
생명을 지켜주는 줄과 고리를 보니 작업자 분들께 감사하고 마음이 찡~하네요 오늘도 잘 듣고갑니다
@user-ve7dl6bp6o
@user-ve7dl6bp6o 7 ай бұрын
주로프와 보조로프! 줄은 두줄! 옥상 고정도 2개소 -다만, 옥상에 고정된 부위가 파단되거나 하는 위험에 대비해서 주로프와 보조로프는 다른 개소로 분산하는게 더 안전합니다
@user-uh6uy7pc2u
@user-uh6uy7pc2u 6 ай бұрын
외벽청소할때 로프 작업하시는분 볼때마다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대단하신분들~ 박수를 보냅니다.
@ex1juiceliter
@ex1juiceliter 7 ай бұрын
같은 곳에 작업줄과 안전줄이 걸려 있으면 안됩니다. 작업줄 고리 따로 안전줄 고리 따로 해야만 작업줄 고리파손으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sangwooklee541
@sangwooklee541 6 ай бұрын
요샌 새롭게 골조갱폼 말고도 외벽에 필요한 일체의 작업을 위해서 또 갱폼을 설치하는 건축방식도 활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중대재해다 뭐다 해서 특별위험작업에 관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마 대부분의 건설사가 그렇게들 바꿔나갈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어쩔 수 없이 로프작업물량은 있을 수 밖에 없겠지만 되도록이면 사용을 점차 지양 하려고 할 것 입니다. 저도 저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지만 pp로프는 효율성활용측면에서 사용하는 구시대적인 작업방식인데 말 그대로 중구난방, 5호16국은 저리가라 할 정도로 아시리판 입니다. 기준이 되는 규정과 규제도 없고 건설현장마다 안전관리자의 개인인식수준차이로 코걸이.귀걸이급 자체규정 강요, 그나마도 공정이 급하면 다 무시되는 사태 등 진짜 말 그대로 아사리판 입니다. 영상속 작업자분도 지적당할 것이 아주 많네요. 요즘 말많은 순살치킨현장 가시면 퇴출이십니다. 근데 굴지의 대림에선 작업 잘 하고 계신 것 보세요. 추락방지대 길이가 너무 길고요. 알루미늄카라비너는 추락계수를 못 버티고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사용금지이고요. 추락방지대연결로프를 달비계에 고정하시면 안되고요. 사다리 말고 비계설치 하셔야 하고요. 보여주신 철근관통설치 앙카고리도 빠진 사례도 있고요. 작업자가 믿질 못 해서 콘크리트골조에 결속하겠다 해도 마찰면 때문에 파단위험 있다고 보양하라고 하니 시간이 돈인 작업자들은 결국 앙카고리 결속 합니다. 포장은 사고방지이지만 진심은 면피를 위해서 온갖 규제를 디미는 것이 건설사 입장이니 갱폼설치작업이 피차간에 좋은 대안이 될 것 같단 개인적인 생각이 듭니다. 영상 아주 잘 봤습니다.
@user-rb9mi8mx1b
@user-rb9mi8mx1b 6 ай бұрын
의외네요 그렇게까지 깊이보실줄은.. 현직이실까요??
@user-uv1kh3ql1l
@user-uv1kh3ql1l 5 ай бұрын
@@user-rb9mi8mx1b 현직 관련 아니면 이정도로 깊이 알수 없음,
@user-wv6bg2et2x
@user-wv6bg2et2x 7 ай бұрын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추후에 슬라이딩갱폼, 입면변화갱폼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7 ай бұрын
저런 로프작업시 미친놈이 올라와서 끊지 않도록 통제해야하겠고, 난간에 갈려서 끊어지지않도록 신경쓰기도 해야겠더라고요
@zerofourk
@zerofourk 7 ай бұрын
그래서 요즘엔 옥상에 상주하는 사람 별도로 cctv 설치하기도 합니다
@user-gl2lo8zd3q
@user-gl2lo8zd3q 6 ай бұрын
소장님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user-eq8cx8ce8s
@user-eq8cx8ce8s Ай бұрын
언제 들어도 마지막에 "끝!" 재밌습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안전!!"~~^^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Ай бұрын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f3rq3cd3m
@user-nf3rq3cd3m 6 ай бұрын
정주행 중인데 진짜 대단하신 분이네요.존경하고 많이 배우고 있네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6 ай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MakerLee953
@MakerLee953 7 ай бұрын
4:05 나가는데 순간 움찔..😅 좋은 영상 감사하지만.. 공사현장에서 항상 몸 조심 하세요..😊
@rtfm8708
@rtfm8708 7 ай бұрын
진짜 위험해 보이는데 고생 많으시네요ㄷㄷ
@sadanjang
@sadanjang 6 ай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한 영상이네요 ㅎㅎ
@hunlee2020
@hunlee2020 2 ай бұрын
명강의 감사합니다 소장님
@AsumiKana0609
@AsumiKana0609 6 ай бұрын
용역사무소 다니던 시절 생각나네요. 외벽 보수작업 - 로프작업 보조로 간 적이 있는데, 옥상에 앉아서 로프 감시만 잘 하면 끝난다 해서 하루종일 편안했던 기억이 납니다.
@angel10004
@angel10004 7 ай бұрын
옥의티가 있어요.. 추운 날씨에 반팔입으셨어요😅
@user-zd2zv5cg1u
@user-zd2zv5cg1u 6 ай бұрын
바람불때 가장 위험한 작업이죠 지상에서 부는 바람과 고층에서 부는 바람 세기는 엉청납니다 특히 해안 지방은 5월달에도 바닷바람때문에 진짜 작업중지 안시키나할정도로 벽 발로 차가면서 작업하기도하죠.. 실제 안전쪽에서 작업 안된다고했는데 공사쪽에서 작업 강행 시켜서 벽체에 충돌하면서 사망한 재해도있었습니다.. 유가족과 합의보고 조용히 마무리하더라구요
@Exynos3
@Exynos3 7 ай бұрын
사실 군대와 같죠 군대도 레펠 훈련 할때 줄 구조는 똑같이 운영했죠 ㅎㅎ 그리고 로보프린트가 창호쪽은 지금도 앞으로도 자동화 하기 힘들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뭔지 자세히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HK-yb3vc
@HK-yb3vc 7 ай бұрын
재도장하는곳은 거의다 1줄로합니다. 신축현장에서는 관리감독이 철저하기 때문에 2줄을 사용하지만요.
@taeannet1
@taeannet1 13 күн бұрын
로프공 전문 하이만 로프는 마린마트에서 공급합니다
@ssibalnyeoni
@ssibalnyeoni 6 ай бұрын
신축은 원청이 관리하니 2줄! 보수현장들은 입주자들도 잘모르고 작업감독도 없으니 1줄! 꼭 봐주세요 전국민분들 보조로프는 생명줄입니다
@user-pw7ik1lm7i
@user-pw7ik1lm7i 7 ай бұрын
하나가 끊어지면 하나는 남아있어야쥬..의자에 하나걸고 코브라에 하나 거나요
@user-zi3yv3up9c
@user-zi3yv3up9c 7 ай бұрын
요즘은 견출을 줄타면서 하는가봅니다 전에는 갱폼 올라가면서 바로바로 했던 기억이 있는데...
@user-zi3yv3up9c
@user-zi3yv3up9c 7 ай бұрын
@@liillliiil335 ㅎㅎㅎㅎㅎ 제가 그걸 못봤군요 ㅎㅎㅎㅎ 맞아요 최상부(엘리베이터실 등)는 갱폼이 아니죠 ㅋㅋㅋ
@tsalvengi-jangpersimmon64
@tsalvengi-jangpersimmon64 6 ай бұрын
PP작업인지라 자일로프시스템과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4:55 의 추락방지장치(보조제동장치, 일명 코브라)의 위치는 잘못되었습니다. 코프라의 위치는 작업자의 어깨높이보다 위에 있어야합니다. 그래야 주로프에 문제가 생길 경우, 추락하는 거리가 줄어들어 작업자가 충격을 받지 않습니다. 지금 영상의 코프라는 작업자의 어깨높이는 고사하고, 작업자의 발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는데 이 경우, 작업자의 추락거리는 코브라까지의 거리+코브라와 몸을 연결해주는 웨빙의 길이+충격흡수장치가 터지며 추가되는 길이를 포함해서 5미터 이상입니다. 이렇게 추락거리가 늘어나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계수가 증가하여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더라도 작업자의 허리등이 크게 다칠 수 있습니다. 현재 신축현장에선 안전관리자들의 감시가 철저하여 보조로프를 반드시 사용하고 있다지만, 이 역시 아직은 눈에 보이는 것만 간신히 지키고 있는 상황이고, 실제 안전과는 거리가 있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user-cm1ob5sf4r
@user-cm1ob5sf4r 5 ай бұрын
코브라를 작업자의 벨트에 연결 해야되는데 어떻게 어깨 위에 있을 수 있습니까 ㅋㅋ 작업자가 내려가면 동시에 코브라도 자연스레 내려가야 작업이 되는건데 코브라가 어깨 위에 존재해야 되는 거면 작업자 하이바에 붙여놔야겠네요
@tsalvengi-jangpersimmon64
@tsalvengi-jangpersimmon64 5 ай бұрын
@@user-cm1ob5sf4r 자일로프의 백업장비도 길이가 1미터정도 뿐이고, 하네스의 가슴 D링과 연결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 어깨위에 위치시킵니다. 영상에선 허리는 커녕 발 아래 코브라가 있는데, 안전벨트의 허리부분에 연결시켜도 어깨 위에 위치시킬 정도의 충분한 길이가 있습니다. 코브라는 자동으로 사람을 따라다니지 않고, 하강시 일일히 손으로 내려줘야 하니 어깨 위에 있으면 불편하고, 그래서 하강시 같이 따라가게 허리아래에 위치시키거나, 아예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거꾸로 매달아 놓는 경우가 많은데, 안전공학 원칙상 어깨 위가 맞는 겁니다.
@user-cp2do5ub4s
@user-cp2do5ub4s 5 ай бұрын
​@@user-cm1ob5sf4r코브라 착용이나 해보셨는지 그리고 코브라 착영하시고 추락시험을 실제로 해보셨는지요 코브라는 절대 x반도 허리 위에서 작동을 할수없습니다 이론적인것만 아시고 글쓰시는거 같아서 말씀 드립니다 조금만 위에 있어도 코브라 내려가지 않고 잘못하면 몸이 떠서 더위험합니다 잘못된 상식으로 실험이나 실제 경험없이 쓰는글은 모르시는 분들한테는 잘못된 정보가 될수 있습니다
@로프공
@로프공 6 ай бұрын
👍💯💯
@user-vt3cw8qc7y
@user-vt3cw8qc7y 6 ай бұрын
와~
@doodleboodle3965
@doodleboodle3965 6 ай бұрын
저 고리 게임에서나 보던 거였는데 실제로 다 있는 거군요. 만약 보조로프에 장치를 걸어둔 상태로 작업자가 추락한다면 그 자리에서 매달려 있나요? 아니면 줄 타고 천천히 떨어지나요?
@user-cs5fs8gm2r
@user-cs5fs8gm2r 5 ай бұрын
매달려있습니다. 보조로프 제동장치는 천천히 내려가면 움직이지만 순간적으로 큰힘이 걸리면 로프를 물면서 브레이크가 걸려 정지하게 됩니다. 천천히 떨어지지않아요.
@BBamBBa_Shin
@BBamBBa_Shin 7 ай бұрын
로프 작업 하시는 분들 일당이 더 많겠죠?
@han002k
@han002k 7 ай бұрын
보조작업자는 없나요? 요즘 줄을 자르는 뉴스 보니깐 무섭더라구요
@ssibalnyeoni
@ssibalnyeoni 6 ай бұрын
상 하부 다 보조작업자 있습니다.업체에서 못데리고오면 안전감시단 지원해서라도 상하부 감시하며 작업합니다 걱정하시마세요 ㅎㅎ
@alsid_
@alsid_ 6 ай бұрын
줄 자르는 사고는 시공 과정보다는 입주 후 보수작업 과정에서 발생한 경우만 들어봤었습니다.
@tsalvengi-jangpersimmon64
@tsalvengi-jangpersimmon64 6 ай бұрын
신축현장에서 다른 작업자에게 위해를 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게 가능하면 굳이 로프공을 표적으로 하지 않고, 주변 다른 사람들한테도 충분히 가능하겠죠. 어지간한 작업공구는 다 흉기가 될 수 있으니까요. 로프공에게 위험한 현장은 신축현장이 아니라 개보수현장입니다. 관리사무실이나 입주자들이 이들에게 협조적이지 않거든요. 옥상구조물이 손상되니 로프를 묶지 말라는 되도 않는 소리를 하고 있죠.
@user-os3bf4gx5w
@user-os3bf4gx5w 23 күн бұрын
좋아요 구독했습니다. 입문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절실히 필요합니다. 그리고 입문할려면 기본 교육기관이 있나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23 күн бұрын
직업전문학교에서 교육받을 수 있고, 도장공사협의회에서 자세한 내용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ww.paints.or.kr
@bullzzz4755
@bullzzz4755 6 ай бұрын
추천 추천
@user-fz5ls9iu9l
@user-fz5ls9iu9l 7 ай бұрын
왜 에어리스로 안칠하나요?
@user-sy8iw5hs7t
@user-sy8iw5hs7t 13 күн бұрын
난 특공대? 안전작업합시다ㅋㅋ
@user-gv1qb4jv5g
@user-gv1qb4jv5g 6 ай бұрын
코브라 안쓰는 개인업자들 ㅠㅠ
@rukky2230
@rukky2230 5 ай бұрын
아예 레미콘 부을 때 염료를 집어 넣어서 이쁘게 나오는 거는 안 되는 건가요??
@jao2022
@jao2022 2 ай бұрын
큰일납니다....
@namja2yagi
@namja2yagi 6 ай бұрын
그럼 뭐해... 미친놈이 줄 두개 다 끊어 버림 사망이다 ㅋ
@user-mx3jb7xn3i
@user-mx3jb7xn3i 2 ай бұрын
진짜 한줄타는 사람들 신고점 해주세요 저게 문화가 되면 안하는 사람이 이상한 사람이 됨 하.. ㄴㄴ
@user-yd1eq7xw5s
@user-yd1eq7xw5s 6 ай бұрын
대형건설사 신축이나 두줄이지.. 보조 밧줄 아무리 강조해도 나는 야 한줄로 탄다네.. 왜?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80 МЛН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주차장 차단기 앞엔 뭘 묻어놨길래 차만오면 열릴까?
5:26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81 М.
실전 자일로프 교육 part.2 "하강" #윈도우랩얼라이언스
18:19
윈도우랩 얼라이언스 WINLab.
Рет қаралды 2,9 М.
[건축시공과정31] 3.외부창호공사_'창틀 브라켓' 이런 이유가.
7:46
무몰딩 절대 하지 마세요
14:47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475 М.
왜 배관이 투명할까?
6:47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100 М.
문틀 선(Line)이 벽에서 10mm 튀어나온 이유
5:38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86 М.
공사 현장 철근 배근 항상 이걸로 싸웁니다ㅠㅠ
7:26
ARCHI YOON 아키윤 [건축설계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
Asus  VivoBook Винда за 8 часов!
1:00
Sergey Delaisy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YOTAPHONE 2 - СПУСТЯ 10 ЛЕТ
15:13
ЗЕ МАККЕРС
Рет қаралды 103 М.
ИГРОВОВЫЙ НОУТ ASUS ЗА 57 тысяч
25:33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23 М.
💅🏻Айфон vs Андроид🤮
0:20
Бутылочка
Рет қаралды 738 М.
Хотела заскамить на Айфон!😱📱(@gertieinar)
0:21
Взрывная История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