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좋다는 양평 문호리, 맨 얼굴은 이렇습니다. (마을답사 079)

  Рет қаралды 988,331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기본정보
주소: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 소구니마을 (내비에 '서종어린이집')
(23.11) 대지 추정가: 260만/평
면적: 85~400평
용도: 계획관리지역(계획관리), 가축사육제한구역, 배출시설설치제한지역, 자연보전권역
그 외: 건폐율 40%, 용적률 100%
도시가스: X
★단독/전원주택 가격 추정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blog.naver.com/hwasahomes/223...
★글로 정리한 단독/전원마을 답사기, 수도권 동서남북으로 리스트업!
찍사홍 카페에 가입해 더 많은 정보를 얻어가세요.
cafe.naver.com/filmhong
★'수도권단독전원주택지도' 책 구매 링크
교보: bit.ly/3Rgg5D6
예스24: bit.ly/466kgFD
알라딘: bit.ly/48lrOq6

Пікірлер: 375
@user-of7td2fg2b
@user-of7td2fg2b Жыл бұрын
모두가 꿈꾸는 전원주택 부지는 수도권에는 사실상 없다고 봐야합니다. 수도권에서 조성한 전원단지는 집터로써 맞지 않는 싸구려 산을 업자들이 사서 개간한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렇다고 개별로 땅을 알아보았자 정말로 좋은 터는 절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한 좋은 땅은 희소가치가 뛰어나 오래전에 상류층에서 싹쓸이해서 부동산 업소 백날 다녀봐야 쓸만한 땅 없습니다. 오히려 대형마트,대형병원 등 있을 것 다 있는 지방도시를 낀 시골이야말로 제대로 된 전원주택 터가 있습니다. 문제는 수도권을 벗어날 각오가 없으면 안 된다는 사실. 수도권을 벗어날 각오가 없으면 그냥 아파트에서 사십시오. 그래야 후회 안 합니다.
@goodluckmint
@goodluckmint Жыл бұрын
궁금합니다 좋은터는 어떤건가요??
@tpsy76
@tpsy76 4 ай бұрын
@@goodluckmint 신도시 1종 일반주거지구가 좋은 터죠ㅋㅋ
@jmadpamr
@jmadpamr 3 ай бұрын
지방에도 아파트사는게 백번 나아요. 지방엔 자연있는 아파트에서도 충분히 전원생활가능한곳 많아요. 혹시나 팔때 아파트만 팔립니다. 전원주택 살겠다고 몇년살다 안맞아서 내놔도 급매가 넘쳐나도 아무도안사죠.
@user-uz8dn3yh5c
@user-uz8dn3yh5c Жыл бұрын
양평자란 1인 1.언덕. 눈오면 난리남. 눈 일주일이든 한달이든 안녹음~ 누가 치움 ㅋ서울이니까 치우고 녹이는거임 2 땅값오르고 시인이고 예술인 들어온건 ㅇㅈ. 그러나 대다수가 이혼 한 후 부모님 계신 시골집에 맡긴경우가많음.(생각한 교육환경안나옴) 3. 다떠나서 집짓는다고 계약서에 적은 금액 추가추가나옴. 1톤트럭 10잡고 계약했어도 근처에서 똑같이 공사하고있다 지금 바로오려면 차당 14만원 줘야한다하면서 양아치처럼 배째라식으로 나옴 (이런대서 남겨먹음.) 기한안에 못지으면 패널티식으로 계약서를 잡아야함^^ 식비계산해서줬더니 시골인심어디갔냐며 인부들 개소리함.ㅋㅋㅋ(다시 생각하면 진짜 멋모르고당한듯) . 꾹참고 집 완공되면 인테리어고 뭐고 추가금 또 달라함. 업자들이보통와서 따짐. 못준다고하면 옥상올라가서 빗물빠지는관에 플라스틱관넣어서 화장실냄새 올라오게함(이거 원인몰라서 엄청고생함.) 암튼 돈좀 생겨서 내려오려고하면 생각한 그 거주의 의미보다 스트레스를 더얻음. 이영상에도 덤프가 보인다는건 지금도 짓고잇는집이 많다는거임. 난 안당해 라고생각하지만 계약서에 아주아주 세밀하게 작성해야하고 돈이 엄청많아서 상관없는사람빼고 가서 지키고 봐야함^^
@user-uz8dn3yh5c
@user-uz8dn3yh5c Жыл бұрын
걍 진짜 공기좋은곳 산다고 내려와도 깡촌에 가는이상 분리수거의미가 없고 걍소각해서 밤이면 냄새나고 축사나 이런거 체크해야하고 양평이라고하지만 진짜 서울은 횡단보도 건너면 역삼동 논현동 반포동 이런데 여긴 차로 30분가도 양평임. 저포인트도양평인지 첨들음 그만큼거주민도없다는소리임. 덩그러니 집만 짓고 뭐하자는건지모르겠지만(마트,병원 거리체크필수.) 양평인으로써 서울? 가는거오는거 헬임. 평일에도 막힐땐막히는데 주말은 걍 답안남. (서울로 가는길이 빠르다 홍보하는데 난 아니라봄. 구리하남도 막히는판국에) 아직도 경기도에 군이라는건 인구 10만안되는거고 상수도 보호지역이라 큰건물안들어설거고 절대 10만 넘길일없다봄. 그래도 귀농해서 당하는영상보면 그거에 비해 양평은 사람들은 순함. 정말 귀농생각있으면 추천함. 여기서 돈벌직업은 거의없는거같음 한전다니거나 그런거아닌이상 여기서 돈벌순없음(그래서 여기서 애기들 자라나도 20살이면 서울가는 테크트리인듯.위내용과같이 이로인해10만될일없을듯).젤중요한게 저기 시내도아님. 허허벌판인거같은데 난좀 고즈넉하게 살거다해도 집으로가는도로 좁은거보소. 저녁에집들어가면 음침 그자체일거같은데.. 시골은 해 참빨리지고 어두컴컴함.. 참고하셈.. 여름보다 겨울에 진짜 너무추움 .. 살아보면알거임 .그렇다고 여름이좋냐? 시골이라 모기도 건강하다. 거미 등등 벌레많고 저녁에 불키면 창문으로 싹몰려옴.. . 조금만관리안해도 잡초무성~~피맨날뽑을자신잇음 굿굿 단점만말한거같은데.. 장점은 .. 포카리스워ㅣ트 광고같은하늘을 참자주봄 .날씨 끝내주는날이많음 .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자세한 경험담 들려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uz8dn3yh5c
@user-uz8dn3yh5c Жыл бұрын
추가로 손해보더라도 팔고싶어도 저집 살 정도로 돈잇는사람이없음. 전세 겨우맞쳐달라 울어도 , 차있어도 양평시내에서 접근성 멀어서 누가 들어가겟음 . . . (가격도비쌀거고) 다시생각해도 돈은잇고 물정모르는사람들이내려오는듯 . . . 집짓지말고 근처 거주해보던가 지어진집에 1년이라도살아보고결정하시길? .. . . .
@user-uz8dn3yh5c
@user-uz8dn3yh5c Жыл бұрын
참! 지도상엔아직 길이안나온다고하셧죠? 가로등없다는소리입니다~ 시골은 가로등잇어도 안켜주는곳이 참많습니다. 면사무소가서 민원넣어야해요~ 글고 저동네 죄다 차없음못다니는곳인데 도로가 딱! 차만댕길수잇게되엇죠? 저걸뭐라고하지 양방으로도못다님 앞에차왓다고생각하면아찔하져? 소방도로도없고 ㅋ ㅋ 평당 비싸게 말한사람 봣는데 웃겻음 ㅋ ㅋ 알고들어오는거면 다행인데 조금만공부하세용
@smoogh80
@smoogh80 Жыл бұрын
글에서 진심 이 느껴지네요....역시 전원주택은 함부로 덤빌게 아님.....
@user-uv2vs6ou8i
@user-uv2vs6ou8i Жыл бұрын
어?? 수입리 문호리 이동네 카페도 자주가는데 ㅋㅋ 장점 1. 강 조망권 좋음 ( 근처 카페 잘해놓음 ) 2. 서종ic 서울 가기 좋음 3. 자연적 공기좋음 수입리 계곡 물깨끗 단점 : 1. 해가 지면 암흑임... 2. 오래까지 여는 상점이없음 있다면 (편의점정도?) 3. 아프거나 그럴때면 늘 서울쪽 병원으로 4. (대중교통 이용할생각 하면 NO ) 5. 겨울되서 눈 많이오면 서울처럼 재설차가 알아서 재깍 재깍 눈치워줄생각은 No 산속 전원은 강원도태백경험하게됨 6. 아디다스 모기가 너무 많음 애가 바지도 뚫고 티도 뚫음
@choich5659
@choich5659 Жыл бұрын
서종 노문리쪽에서 잠깐 살아봤습니다. 출퇴근하면서 살면 어떤지 연습?삼아 잠깐 살아봤네요. 장점은 딱하나입니다. 시골이라서 공기좋고 풍경좋다. 나머지 모두가 단점이었어요. 겨울에 눈많이 오면 시골길힘듬니다. 서울처럼 바로바로 치우지않습니다. 언덕쪽에 있는집은 눈오면 긴장해야하구요 여름에 비많이와도 토사물과 무너지는 흙더미들에 이거 산사태나는거 아냐.. 라고 걱정도되고 특히 천둥번개치면 서울과 다르게 소리가 찢어집니다. 왜 번개소리에 산이 무너지는지 알게됩니다. 집이 흔들릴정도니까요. 또한 대다수 전원주택들이 아파트처럼 기초파일공사없이 땅위에 짓다보니 지반이 약합니다. 성토하고 보강토쌓은데가 점점 내려앉고 무너져가는게 눈에 보입니다. 양평은 가급적 산옆과 계곡쪾은 무조건피하세요. 산옆 산밑은 산사태에 매우취약하고(경사가심한산이 많음) 계곡쪽은 잠깐은 좋은데 습하고 폭우오면 걱정이죠. 폭우 올때마다 깎여서 계곡의 모양이 바뀌는걸 볼수있습니다. 뭐 교통이나 편의시설은 비교자체가 안되고 콜라하나 사먹으려해도 차끌고 가야하고. 배달안되는 동네도 많고. 주말주택이면 모를까 사는동네로는 저는 아니라는결론입니다.
@user-sz4xb1dd2q
@user-sz4xb1dd2q Жыл бұрын
평일도 주말도 언제나 막히는 .... 2년살다 이사 왔습니다. 정말 힘듭니다.
@ofcoursewhynott
@ofcoursewhynott 6 ай бұрын
서종면은 진짜 답 없습니다
@MrBoss0212
@MrBoss0212 4 ай бұрын
지금은 리버마켓 안해서 별로 안막힙니다
@ejej616
@ejej616 4 ай бұрын
안막히는데요.....​@@ofcoursewhynott
@user-xh1ge8wi4t
@user-xh1ge8wi4t 3 ай бұрын
이사온지 3년 좀 넘었는데 전혀 안막혀요~
@user-wm8re3yu8t
@user-wm8re3yu8t 2 ай бұрын
김건희 옆집으로 이사가세요..
@theweekendstudio_seoul
@theweekendstudio_seoul Жыл бұрын
구독하지 않고 있었는데 돌아보니 1일 2영상 하고 있네요. 그래서 오늘 구독 눌러버렸습니다. 전원주택을 살 것도 아닌데 말이죠. 설명이 너무 편안하고 재밌습니다. 대한민국 동네 다 소개해주시는 그날까지!👍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화이팅할게요~!^^
@moonsoojeong9423
@moonsoojeong9423 Жыл бұрын
전 서종에 들어온지 만 4년 약간 넘었습니다. 서울에서만 살았었는데, 혹시 몰라서 전세로 왔다가 마을이 마음에 들어서 땅사고 집사고 자리 잡았습니다. 전원주택이 저희 가족 취향에 맞았습니다. 분명 일상은 아파트가 편하지만 서울에서는 느끼지 못하는 여유가 있지요. 이 동넨 여름에 열대야가 없습니다. 아이가 집에서 소리지르고 뛰어도 아무도 뭐라할 사람이 없구요. 전 아이가 너무 좋아해서 아 우리가 잘 했구나... 라고 느끼며 재미있게 살고 있습니다.
@user-si9vw9fc5h
@user-si9vw9fc5h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기분에 살까 했다가 다시 나가는 사람은 원래 전원생활이 지루한 사람인거죠~ 자연에 살면서도 필요한 인프라는 가끔 근처 도시로 나가도 되고 하늘ㆍ숲ㆍ꽃ㆍ강을 보면서 건강하게 사는게 좋답니다~^^
@MrHanCia
@MrHanCia Жыл бұрын
참 수고하셨습니다 .
@16zkskek43
@16zkskek43 Жыл бұрын
북향은 살데가 못됨 겨울에 진짜 고생 그리고 큰주택 많은곳인데 주변에 걸어서 갈 산책로나 마트등 생활 편의시설이 없다면 그냥 집좋은 감옥임 집이 클수록 외부와 멀리하는 성격들이라 갈곳없으면 그냥 집콕임 어느 정도 시간 지나면 나오고 싶지만 이미 산가격에 2-30프로를 내려도 엄청 안팔림
@user-ik9uy6zb6j
@user-ik9uy6zb6j 4 ай бұрын
딩동댕 ......집좋은 감옥 ...아주 멋진 표현 ....
@avantec3019
@avantec3019 Жыл бұрын
진짜 다른 이들은 좋은점만 보여주는데 여긴 실질적인걸 보여줘서 좋은 영상임. ㅎ
@user-xz8tw8dm8n
@user-xz8tw8dm8n Жыл бұрын
서종 문호리 여기도 거품이 무척 심한곳이죠 서울사람들이 부동산값 엄척 올려서리 ~ 볼것도 없고 공기도 그딱 ~~~ 부동산 쟁이들 부추기지마세요
@user-qi9hh3zs1j
@user-qi9hh3zs1j 5 ай бұрын
눈틴만 하지만 3년째 보고 있습니다. 딱 세 분 꼽는, 믿을 수 있는 내용 알려 주시는 유투버이십니다. 감사합니다.
@user-hg7gt9ui5j
@user-hg7gt9ui5j 5 ай бұрын
눈틴-이 아니고 눈팅이라 하드만...
@boolta
@boolta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너무 잘 봤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아참 그리고 차 바꾸셨네요~~
@breadsic6517
@breadsic6517 Жыл бұрын
농촌에서 살기 좋은 곳은 일단 읍 이라는 지역이 터가 가장 좋습니다. 전통적으로 농사하기에 좋고 관계수로 공사를 하지 않아도 물난리가 나지 않는 장소거든요. 읍이라고 붙은 지역 중에 스스로 보기에 경관이 좋은 곳에 귀촌하는게 좋습니다. 농촌과 도시 둘 다 접근성이 좋거든요.
@user-zl2kj2jn7i
@user-zl2kj2jn7i Жыл бұрын
맞아요~~!!
@user-fb9bf1ik9j
@user-fb9bf1ik9j 5 ай бұрын
농사요 에라이... 돈자랑하려고 가는동네
@user-nh9dw2vl3c
@user-nh9dw2vl3c Жыл бұрын
저도 땅을찿고 있는데 힘드네요 유튜버님들의 소개와 다르게 넘넘 멀리 들어가는 탕들이 엄청 많더라구요 ㅠㅠ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dallineungicha
@dallineungicha Жыл бұрын
문호리 괜히 비싸기만 하고 좀 내려와 부용리, 목왕리, 용담리가 백번 낫지요, 좀만 가면 양수역 있고. 암튼 춥긴 더럽게 추운 데가 그 곳!
@vaxehi
@vaxehi Жыл бұрын
그냥 산동네네요......자동차 미션도 언덕 자주오르면 2년이면 소음 진동 타 커지죠.... 그리고 언덕오르는 차들로 소음 장난 아닙니다. 자도에 열선을 깔려 있겠죠??? 눈온다고 출근 못하면 안되잖아요.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user-hg7gt9ui5j
@user-hg7gt9ui5j 5 ай бұрын
차도...자도가 아니고.
@user-hs2ur2wf5s
@user-hs2ur2wf5s Жыл бұрын
집만 그러사 할뿐 엄청난 고지대에 자리한 집들 조작된 부동산업자들의 농간인듯
@user-mp5gi6du5j
@user-mp5gi6du5j Жыл бұрын
구독했어요 ㅎㅎ 수고마니하셈
@user-bb8cr7cu6w
@user-bb8cr7cu6w 4 ай бұрын
현실적으로 보여줘서 좋습니다 앞으로도 장단점을 잘보여주세요 구독하고갑니다 자주올께요~
@jyheo1285
@jyheo1285 4 ай бұрын
제가 양평 인근에서 토목 계통 으로 일 했었는데 시간이 좀 지났지만 양평에 거주 하시거나 애착있으신 분들께 죄송 하지만 입지 접근성 그런 걸로 접근하시면 정말 큰일 납니다 양평은 한 겨울에도 일교차가 큰데다 강을 끼고 있는 지역이라 사시사철 안개가 끼고 공기중 습도 가 엄청 높아요 지금 공개된 영상도 잘보시면 정원에 자라있는 풀 관리기 된 집이 거의 없을 겁니다 그게 뭐 하시겠지만 잔디를 그러니까 마당을 관리할 수 가 없어요 무슨 우기에 동네 뒷산 잡풀 자라듯이 늦 가을 까지 미친듯이 자라납니다 그럼 잔디 모종을 심고 관리해볼까 하시면 토양 자체가 이미 수분을 잔뜩 머금고 있기때문에 그 지역에서 자생하는 잡풀 아니면 전부 뿌리부터 썩어요 쉽게 얘를들면 양평은 특산 물이 없습니다 (냉면 을 특산물 이라고 하면--;;;)자라질 못 하고 다 썩어 버리니까요 조금만 양평 돌아보셔도 부추밭 말고는 보실수 없을거에요 이렇게 흙자체가 습기를 잔뜩 머금고 있다보니 산을 까든 논밭을 메우든 기초 공사비가 많이들어 감니다 안그럼 밑 바닥이 건물을 못 버티고 흘러버리까요 한번 직접 경험해보시면 와 세상에 이런 안개가 하실걸요 정말 30-40m앞이 안 보이는 안개가 뭔지 보시게 될겁니다 이런 높은 습도 그리고 산을 깍거나 골짜기 지형 (양평 구 주거지 들은 군청 주변을 제외하고는 거의 골짜기 들로 이루져 있습니다 유사 강원도?)은 겨울에 폭발적인 수온주 하강을 가져옵니다 철원?풋 기상청 가서 평균 기온 찾아보세요 강원도는 정말 귀여운 곳이 양평입니다 원래 기상청에서 온도정보를 수집하는 백엽상 이 하도 온도가 낮게 나오니까 군수가 기상청에 항의해서 지금은 양평에서 제일 핵볕잘 드는 곳에 모셔져 있어요 (원래 군청 관내에 있었는데 군청 다리건너 정 암향으로) 여름엔 높은 습도에 겨울엔 강원도를 압살하는 수온주에(겨울에 소주를 실외에 두면 소주가 터지는 몇 안된 곳이 양평입니다) 다시한번 사시는 분들께 죄송하지만 정말 주거지에 맞지 않다고 생각 합니다 제가 하던 토목일을 접어서 한탄 하는게 아니라 그 산깍아 주택 부지 만들던게 저였거든요 이게맞나 생각을 정말 많이 했는데 입지 접근성 상권 이런거 못지 않게 환경도 무시 못 합니다 어따피 큰 투자해서 집 지으실 생각 까지 갖고 계시면 한두번 림장 하시지 말고 한철 어디 여행 한다 생각하시고 근처 쉬엄쉬엄 다녀 보세요 그 안개와 엄청난 습도로 쪄 때는 여름과 ‘와 이건 뭐야’하는 양평의 겨울 바람을 습도가 높으면 정말 여름 나는 것도 고역입니다
@user-fc3ot3nx2b
@user-fc3ot3nx2b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신경통,우울증 있으신분 안좋구요
@swtohv
@swtohv Жыл бұрын
10만 구독자 축하드립니다
@Korea_1964
@Korea_1964 Жыл бұрын
저런 집 살 돈도 없는 놈이 위안삼아 한마디 하자면... 저런집은 그냥 잠시 살기엔 좋을지 모르나 주거의 여러가지 목적으로 보자면 상시거주하기엔 실용성이 없는 그야말로 여유있는 사람들의 세컨하우스로 맞다고 본다.
@sue8692
@sue8692 6 ай бұрын
전원생활 한다고 퇴직하고 들어갔다 70,80되면 다시 도시로 컴백. 부부중 한분 돌아가시면 난감한 상황.
@user-gh6ns3lb2k
@user-gh6ns3lb2k 7 күн бұрын
그때 집내놔도 팔리지않는건 어쩌구요
@Venpert
@Venpert Жыл бұрын
문호리에는 돈 있고 시간 있는 사람들만 들어와 살아야 해요. 대충 전원생활 꿈꾸고 들어오면 2년 정도 살다 집값 오를 때 기다려서 도시로 나갑니다. 풀, 벌레, 눈, 비, 텃새, 교통, 교육 이거 도시하고는 천지차입니다. 1년에 집값 오르는 거 계산해서 연봉 나오겠다 싶으면 들어와 살면서 땅,잔디,나무,건물 관리 깨끗하게 하고 되파시면 그나마 남는 장사입니다. 애들 어리면 들어와서 살기 좀 버겁죠. 지역 유치원이나 학교도 은근히 학부형들이 워낙 잘나신 분들이라 심각한 면이 있고요.ㅋㅋ 그래서 애들은 도시에서 학교 보내고 부부가 와서 사는 경우도 꽤 있죠. 양평 지역에서는 문호리가 옛날 문호리가 아니라면서 별로 인식이 안 좋아요. 그냥 큰 냉장도 몇 대 놓고 대형마트에서 잔뜩 시장봐다 쟁여놓고 살면서 집관리, 나무, 잔디 관리하면서 연봉 번다 생각하고 살 수 있으면 문호리는 꽤 조용하고 좋은 곳입니다. 어설픈 전원생활 꿈갖고 들어올 곳은 못됩니다. 건축업자들 아주 벼르고 있고요. 하나만 호구 잡혀라 하고 있어요. 안 당하려면 돈 들더라도 서울에 믿을 수 있는 큰 건축업자 섭외하세요. 지역에는 양아치들이 많아서 돈 뜯기고 스트레스로 삶의 질 확 떨어집니다. 요새 사방에 짓다 말고 튄 데가 많은 것도 다 업자들 장난 때문입니다.
@pcscoolguy
@pcscoolguy Жыл бұрын
정확하군요. 펙트폭행... 주변 비오면집에 빗물로인해 누수가되서이사할사람2명있습니다.집을대충짓나봐요.
@Venpert
@Venpert Жыл бұрын
@@pcscoolguy 누수 한번 되면 딱 1년만 지나면 곰팡이 핍니다. 애들 있으면 건강에 해롭고요. 주변에 비가 오면 누수 된다는 건 습도가 엄청 높아진단 얘기기 때문에 집이 전세든 매매든 팔고 나가기도 쉽지 않습니다. 집 내놓으실 땐 장마철 피하시고 겨울에 눈 녹을 때도 피하세요. 들어와서 보는 순간 집 안 삽니다. 물론 좀 아는 사람들은 장마철에 와서 보기도 하죠. 물 새는 거 확인하기 좋으니까요.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user-mj2bx3gp4c
@user-mj2bx3gp4c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저기 엄청 돈 많은 사람들이 가서 막 돈 도배로 처발랐다죠, 서울 아파트 팔아서 저거 꿈도 못 꿨쥬, 근데 지금은 저거 팔아서 서울에서 내로라하는 아파트 한 채 겨우 살 걸요, 조금 더 세월 흐르면 저거 팔아서 서울 아파트 살 꿈도 못 꿀 날이 올 것 같음요,
@user-sn5em6cv8u
@user-sn5em6cv8u Жыл бұрын
ㅎㅎ 지금 저기 어느 곳도 서울 최저가(10억)에도 못 들어 옵니다, 팔리지도 않고!!
@aesth4
@aesth4 Жыл бұрын
나레이션 좋습니다 👍👍
@jj-cz1gc
@jj-cz1gc Жыл бұрын
화면빨도 끝네줍니다
@sevenoh9397
@sevenoh9397 Жыл бұрын
입지가 최고예요. 그림같은 이쁜 집 보고 샀다가 간신히 탈출
@keyong-donpark6598
@keyong-donpark6598 Жыл бұрын
가끔 머무르는 세컨하우스나 별장쯤으로 여긴다면 괜찮(?)겠지만...별장 관점에서도 경치나올만한 땅은 없고.. 별장으로서의 집 크기 너무 커서 유지관리비 니올듯하구요. 주거로 한다면 적극 말리고싶네요. 환금성. 편의성. 접근성. 보안. 주차. 출퇴근...난감하네요.
@user-fw9wt3jx1w
@user-fw9wt3jx1w 2 ай бұрын
조용하다못해 고요했던.. 새벽녁 싱그러운 풀내음 ..넋놓고 보게되는 노을..새소리,물흐르는 소리 참 좋왔는데..
@jindao600
@jindao600 Жыл бұрын
문호리가 왜 인기있는지 진짜 모르겠음 경치가 좋은것도 아니고, 도로도 최악인데, 갈만한 극장도 없고, 당연히 병원도 갈곳없음. 관광지라 주말에 시끄럽고. 막상 살면 그냥 시골임.
@user-de7hm8zr3t
@user-de7hm8zr3t Жыл бұрын
재미나네요 그리고 도움이 마니 마니 됩니다 내년 따뜻해 지면 함 뵙고 쉽네요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당~
@Flowerscent7
@Flowerscent7 19 күн бұрын
깊은 산중이구만 인생 마지막에 조용히가서 정리할곳이네
@user-rz2hr4qg8v
@user-rz2hr4qg8v Жыл бұрын
예전 문호리라면 생각나는 전원주택이 있었지요. 한 때 인테리어, 외관등이 정말 각 매스컴 지면을 통해 소개되기도 하고... 정말 근사한 주택이었는데.. 요즘엔 집주인분이 원하시지 않으시는지 자료들을 찾아 볼 수 없네요.
@moisson74
@moisson74 Жыл бұрын
요즘 부동산 관련 채널마다 양평 살리기 많은거 같네요 인구는 줄고 부동산 하향시작이라 인프라 취약한곳에 젊은세대가 들어가 살기에는 ....
@user-bd9ch8co8s
@user-bd9ch8co8s Жыл бұрын
전원생활 7년차에 느낀점이 있다면 전원주택은 입지도 중요하지만 출퇴근 또한 굉장히 중요합니다. 저는 출퇴근 10분거리로 이사를 와서 평생 고층아파트를 어떻게 살았나 싶을 정도로 만족감이 크지만 막연히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으로 들어오셨다가 출퇴근의 압박과 아파트 관리비 이상으로 들어가는 주택에 대한 비용소요를 견디지 못해 이사가는 분들도 꽤 계십니다. 은퇴 후에 오신 분들을 보면 원래 시골에 사셨던 분들은 큰 불편없이 지내시는데, 경제적으로 수입원이 없으시거나 도시생활에 익숙해지신 분들이 시내로 다시 이사가시는 경우도 종종 보게됩니다. 제가 살던 곳만 해도 공무원이나 군인연금 받으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으셨습니다.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sy5358
@lsy5358 Жыл бұрын
문호리 가격이 좋은이유는 이영애? ㅎ 북한강팔당호 강가에 있는 단독주택은 유지보수 비용상관없고 출퇴근시간 상관없고 주택짓는데 비용상관없는데 집돌이하고싶은 분들이 주로 매입하시는곳이니 부동산 투자를하시거나 은퇴후전원주택을 꿈꾸시는분들이 라면 포기하세요 저긴 일단 억대종부세가 껌값이거나 부가세와 소득세 환급금으로 종부세 내실수있는분들이 구입하시는 동네이니...눈버리는 동네입니다
@heekim5188
@heekim5188 Жыл бұрын
주변 환경에따라 보이는 조망이 훌륭하다면 북향도 뭐 상관없지요.. 단 남쪽에 크게 가린 무언가때문에 전체적으로 그늘진곳은 안됩니다.. 습하고 춥고 조망은 잠깐 즐겁지만 늘 그늘진곳은 사는 내내 영향을 줍니다.. 이런건 직접 가서 둘러봐야 확실히 알수있죠.
@user-mr4co7fv7v
@user-mr4co7fv7v Жыл бұрын
기분에 시골 살고 싶단 생각이 들어서 덜컹 집을 짓거나 사는데...2년 살면 도망나옵니다....ㅋㅋㅋ
@user-bc9wq1qr4g
@user-bc9wq1qr4g Жыл бұрын
제주도는 잠간 왔다 간다는게 눌러 살게 됩니다. 제주 이외의 시골 마을들은 점점 유령화가 되어 갈 것이 라는 것의 저의 생각 입니다.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Жыл бұрын
2년이나요? 1년이면 다 빤스런 합니다. 제가 전원주택 겪어봐서 잘 알죠. ㅋㅋ 자연환경? 어차피 집안 방에서 테레비나 볼텐데 뭐가 다르다고..
@stevewi4786
@stevewi4786 Жыл бұрын
@@Panorama-memory 게으른 사람의 충고인가 ㅎㅎㅎ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Жыл бұрын
시골길 지나다 어..집들 이뿌다...하고 드가보믄 따악!!! 저렇씀다. 좁은 대지 위에 밭으게 마주보고 좋은집들이 다닥다닥 높은 경사면위에 고립된 동네 모습으루다...줘두 안살겨~~~
@user-vf4bg7wg3v
@user-vf4bg7wg3v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user-ls8ep6pr7f
@user-ls8ep6pr7f Жыл бұрын
차 없으면 살기가..... 저 라면 패스......
@user-kf6ud7kw4u
@user-kf6ud7kw4u Жыл бұрын
난 문호리좋아해서 집장만 해서살려다 직장 지방으로 발령나서 이사 직전에 불발 되었는데 이제 정년 되서 이사 계획하니 집값이 많이 올랐어요
@user-ch7ki9po2m
@user-ch7ki9po2m Жыл бұрын
어느날 산불이라도 붙어 오면 내재산 ~잿더미 되는 건 순식간일터, 산불 나덜말라고 늘 빌어야겠다.
@user-qd3xr1ix9v
@user-qd3xr1ix9v 2 ай бұрын
전원주택하더니 폭망했네요 인구도 줄고 있는데 생산성 없고 병원도 멀고 삶의 편의성도 떨어지는 이런 곳에서 사는 전원주택 삶이 바람직할지 의문입니다
@japs815
@japs815 Жыл бұрын
언덕에 눈비 특히 겨울에 눈오고 얼고 하면.. 벌레들도 장난 아닐듯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Жыл бұрын
전원주택 같은 소리하고 자빠졌네. 1년만 살아봐라.. 밤엔 나가지도 못해. 멧돼지랑 레슬링 하고 싶음 나가던가. 꼭 전원주택 안해본 사람들이나 헛된 로망을 갖는거지. 해본 사람은 다 도망쳐 나왔다. 차라리 원룸에서 사는게 100배 나아. 진지하게 말하는 거다.
@greenmountain7662
@greenmountain7662 22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맞고요.
@kim-pu7jb
@kim-pu7jb Жыл бұрын
3주 전에 경매로 나온 물건이 있어서 집을 보러 갔었습니다. 영상에 나오는 길을 따라 올라가는데 생각보다 경사가 심하고 커브 길도 많더군요. 절대 차 없으면 다니지 못하겠으며 높은 곳이라 더 덥고 겨울에 눈 오면 집에 올라가지 못하고 내려가지도 못하겠습디다. 경치는 좋더군요. 경치 하나만 보고 살 거 아니면 저는 별로였습니다.
@333movie
@333movie 4 ай бұрын
직접 가지 않고 간 느낌 좋은 정보입니다.
@RomanticPapa
@RomanticPapa Жыл бұрын
제가 대학시절 참 많이 스쳐지나갔던 동네 양평/서종... 이제 집을 보러 오네요~. 뭐 어차피 집들 스케일이 달라 넘볼 수준은 아니지만 강 남쪽에 있어서 그런가요?! 강 뷰는 북서향이란게 느무 아쉽네요.ㅜ 근데, 전 왜 분리수거장이 자꾸 눈에 들어올까요?!ㅋㅋ 부럽! 설명이 명쾌하셔서 자막 없이도 편하게 볼 수 있네요~^^ 구독 확 박고 좋은 인연 두고 갑니다~~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jj-cz1gc
@jj-cz1gc Жыл бұрын
분리수거장 깔끔한것도 그 동네 주민 자존심이겠죠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Жыл бұрын
저런 전원주택 붐에 울 엄니 맘대로 했다가... 나중에 아무도 가자는 말조차 안꺼냄. 나중에 처분함. 왜인지는 해봐 해보면 알아. 이건 무슨 노동하러 가는 것도 아니고.. 가면 뭐 할꺼나 있나? 어차피 망에서 테레비나 볼거 그냥 본래 집에서 봐. 바베큐? 가는 기름값에 시간이면 최고급 고기집을 가. 주변이 자연이면 뭐하게? 어차피 집안에 있을건데. 산책도 한두번이지. 나중엔 하라고 돈 줘도 안함. 하지말라면 하지마!
@user-hx1db6nq6g
@user-hx1db6nq6g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그렇군요. 조용한 시골 텃밭과 정원 가꾸며 살려하는데 어디에 정착해야할 지 도통 모르겠음.
@user-fw3tb3kp7q
@user-fw3tb3kp7q 6 ай бұрын
마자요 고기 몇번구워 먹어면 지루하고 재미없어요 어차피 거실에서 이야기 하고 놀아요 몇 번 오면 사람들 안 옴 처음만 신기해서 오는거지.. 가는 시간 기름값 등 생각하면 그냥 고기집이 싸고 좋음 .
@xd400
@xd400 Жыл бұрын
휴가철만 막히는게아니라 봄부터 시작해서 단풍지는 초겨울까지 길엄청 막히는데 그렇다고 우회로도 없음 그래서 대성리쪽으로 갔어요
@vip2800
@vip2800 Жыл бұрын
이곳 답사 갔었는데.... 장점 - 서종ic 서울 접근성 정말 좋다. 필지가 큼직큼직하다. 도로가 잘되있다. / 단점 - 해가 안들어온다. 그래서 으스스하다.무서운 느낌마저 듬... 언덕 경사가 가파르다.
@user-iv8tk5yy9g
@user-iv8tk5yy9g Жыл бұрын
산그늘이 지는 곳은 별로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향은 관계없지요 거실창이 북향이면 반대편은 남향이니까 생각하기 나름입니다 차 운행이 불안한 경사만 아니면 겨울에 눈은 동네 사람끼리 협력하면 송풍기로 금방 치웁니다
@mong1209
@mong1209 6 ай бұрын
균형잡힌 객관적 평가
@user-gx5pw8zr7i
@user-gx5pw8zr7i 4 ай бұрын
66
@ho-ppang-i-TV
@ho-ppang-i-TV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가요 😊😊👍👍👍👍
@user-co2xm3lm7n
@user-co2xm3lm7n Жыл бұрын
에고 보기엔 멋진데 언덕이 많아 연세있고 다리 불편한 가족이 있는 사람은 절대 악조건이네요 바로 나가면 슈퍼 조금가도 시장 좀 시끄러워도 각자 맞는 패턴이 있는 듯 합니다
@h72h72h
@h72h72h Жыл бұрын
겨울에 겁나 춥고...서울에 조금 붙어있지만 "극심한 정체" 겪어보면...ㅠㅠ 양평 별로입니다.
@hhk294
@hhk294 Жыл бұрын
집을 개떡같이 지으니 춥지, 도대체 겨울에 춥다는 집은 얼마나 개판으로 지었으면 춥다하지? 원시시대인가? ㅋㅋ
@h72h72h
@h72h72h Жыл бұрын
@@hhk294 집만 따뜻하면 되나요? 집에서만 사십니까?
@user-ic6jv3li9i
@user-ic6jv3li9i 5 ай бұрын
양수리주변관광지 때문에 주말에 오도가도 못함. 주말에 집콕하고 있을각오하고 살아야함.
@hj95
@hj95 Жыл бұрын
서종면 참 좋은 곳이죠. 문호리, 수입리 다 좋은 곳이죠. 황순원의 소나기 마을이 이곳 아닐까 하기도 하죠. 그냥 지나다니면 참 좋죠. 살기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예전에 비포장도로일때가 오히려 더 좋았는지도 모르겠네요. 요즘은 북한강변을 너무 개발해서 아깝다는 생각도 들어요. 4월중순에 이 길을 드라이브하면 벚꽃터널을 감상할 수 있죠. 세컨드하우스로는 강추. 거주로는 비추
@user-ic6jv3li9i
@user-ic6jv3li9i 2 ай бұрын
서울살다가 양평읍으로 이사왔는데 더이상 한적한 시골마을로는 안가렵니다. 몇년동안 둘러보니....문호리는 토, 일, 공휴일 양수리 두물머리통과만 안한다면 교통은 괜찮아요. 부푼꿈에 1년정도살다가 보면 원래살던 곳이 그리워지죠. 여간 시골생활 좋아하지 않는다면 보통 유효기간 1년이라보시면 됩니다. 이름난 문호리라해서 특별한거 하나도없고 시골은 어딜가나 마찬가지...그리고 시골집이란것은 차를 샀는데 카센타없어서 내가직접 차수리 관리 해야하는 상황과 같음. 게다가 중고로 내놔도 제값 못받음.
@silverspoonhomecooking5758
@silverspoonhomecooking5758 6 ай бұрын
문호리 자주가는데 맛있는 점심먹고 북한강 쪽으로 걷다 오면 좋아요 👍
@user-tk5ug6rv3i
@user-tk5ug6rv3i 6 ай бұрын
맞아요. 여느 시골동네와 다를것이 없어요.
@1stepofall918
@1stepofall918 Жыл бұрын
양평도 그렇고 우리나라는 걍변의 조망을 카페나 모텔같은 건물들이 다 막고 있어서 참 안타깝네요 모두가 누려야할 자연을 일부가 독점하는 방식으로 개발한것이 참 미련스러운것 같습니다.
@furykim5363
@furykim5363 Жыл бұрын
뭐.. 우리나라만 그런건 아니긴 하지요.
@hope_opportunity
@hope_opportunity Жыл бұрын
글쎄요....공감이 안되네요
@user-ss9dl3qt2l
@user-ss9dl3qt2l Жыл бұрын
카페나 모텔이 막으면 얼마나 막겠습니까? 그것보다는 실질적으로 막고있는건 나무들이죠
@a-bomal-in-water
@a-bomal-in-water Жыл бұрын
뭔 개소리 .... 저게 없으면 .. 저기 왜가? 전세계 유명 관광지에 카페 나 레스토랑 다있다. 여유있게 자연환경보려면 .. 저런곳이 있어야해.
@WhopperKing_
@WhopperKing_ Жыл бұрын
이런 한심한 댓글에 좋아요 수봐 ㅋㅋㅋ
@user-iv8tk5yy9g
@user-iv8tk5yy9g Жыл бұрын
아직 젊은 분들은 전원,불편합니다 자녀들 등교,출근이 어렵지요 은퇴를 앞둔 분들은 괜찮습니다 좋은 공기,물,경치를 누리고 살면 몸과 마음이 건강해집니다 도시 소음과 매연 속에서 왜 사는지 모르겠어요 면이나 군소재지가 10~20분 내에 있고 한적하고 조용한 곳이 좋습니다 면에 가면 운동시설,농협마트,의원등등 없는 것없이 다 있습니다 대여섯평 되는 텃밭 가꾸고 정원가꾸는 것이 괜찮으면 금상첨화구요 조용히 독서,음악 듣고 그림 그리고, 꽃 가꾸고,적당히 일하고, 산책하고, 면에 가서 헬쓰,골프연습하고... 저는 63세에 퇴촌에 와서 220평에 40평 짓고 아주 만족하고 산 지 7년째입니다
@user-xu2js2rp6i
@user-xu2js2rp6i Жыл бұрын
퇴촌 좋은 곳이죠
@Ratel4Moon
@Ratel4Moon Жыл бұрын
은퇴를 앞둔 사람들은 대학병원 종합병원 가까운 곳에서 살아야 합니다. 의원 있으면 뭘합니까? 오밤중에 아프면 의원 문 열어놓나요?
@user-iu2uo8rx5y
@user-iu2uo8rx5y 2 ай бұрын
문호리 쪽 낚시하러 다녀봤는데.... 자연인처럼 살거면 몰라도... 서울사람은 적응힘들듯.... 인프라가 거의 없음. 해지면 흑암됨... 겨울에는 고립될수도있음....
@zicka21
@zicka21 Жыл бұрын
음 이걸 보고 절대로 서울을 벗어나지 않아야 겠다고 마음먹음
@user-qi1cp4qu6f
@user-qi1cp4qu6f Жыл бұрын
도시가 최고다. 전원생활 3년 반값에 집팔고 다시 도시로 왔다. 손해 3억...
@Buruma2011
@Buruma2011 9 ай бұрын
서종도 가 봤는데 그냥 예쁘게 짓다 만 마을 같은 느낌 .. 한동안 집이나 땅 보러 다녔었는데 다니면서 느낌점이 차라리 어디던 내가 땅 사서 내가 짓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명당이 뭐 따로 있나요 내 스타일에 맞게 고르고 정성스레 지으면 그게 명당인 것을.
@user-go8zs3bz5k
@user-go8zs3bz5k 4 ай бұрын
전라도, 경상도 충청 강원도까지 땅 매입 하려고 다녀 봤는데 토지, 주택 대부분 안 좋은 매물만 나온다. 원하는 좋은 부동산, 만나려면 몇 년을 발품 팔아야 할 수도 있다.
@user-iz1eb4st6z
@user-iz1eb4st6z Жыл бұрын
해당 마을은 네이버 뷰로 보면 11년도에도 몇채 정도 집들이 들어와 있고 부지 조성한 곳이 곳곳에 있는데 11년 넘게 터랑 옹벽 조성해두고 방치된 곳도 많네요. 지금도 여기저기 많이 비어 있는거 보면 이유가 있죠.
@mdk4140
@mdk4140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현재 전원주택을 고민중이라 영상들이 더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런데 혹시 용인쪽으로 추가 영상 작업 예정이 있으실까요? 동천동?쪽은 어떨지도 궁금하고... 계획 되시면 용인 쪽도 한번 더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넵, 다녀오겠습니다~
@samjeong413
@samjeong413 Жыл бұрын
서종면 안좋으니 오지마세요 지금도 사람많아요 ㅋㅋ 조용한곳에서 살고싶습니다
@alkj2004
@alkj2004 3 ай бұрын
수도권을 떠나선 아무리 좋아도 살수 없는게 도시인들이다. 한달만 살면 고독을 금방 느낄것이다.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분도 계시고 싫어하는 분도 계시겠죠. 제가 생각할때 가장 큰 문제는 애초에 개발업자들이 난개발을 하는것부터 문제인것 같네요. 요즘처럼 폭우에 별 피해는 없는지....
@emstv777
@emstv777 Жыл бұрын
딱 이사 하는 순간 호불호 입니다 ㅋㅋㅋㅋㅋ 😂
@user-co8pp1si4d
@user-co8pp1si4d Жыл бұрын
은퇴후 무료한 시간 텃밭까꾸는 재미가 쏠쏠 재정상황에 맞게 살아가면됨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4 ай бұрын
양평~~~~~~~~좋쵸 드라이브 갈때만.
@stasera4136
@stasera4136 Жыл бұрын
여름이라 푸릇푸릇해서 모르겟지만 겨울엔 을씨년스럽고 무서울것같네요 전원주택이고뭐고 저는 아직 도시 한복판이 좋습니다 먼지맛이 나는 오뎅이 있는 도시한복판 ;;;;;
@s.p2483
@s.p2483 Жыл бұрын
언덕집은 경상남도 지역에서나 살만합니다. 나머지 지역은 겨울에 자택에 고립되는 수가 있어요..☃
@hot9689
@hot9689 Жыл бұрын
이영상은 목적이 뭔가요 집을 축대로 올려놨다? 차타고 다니면서 집이 안보인다? 아직 개발이 안된곳이 많다? 전원주택을 다정비하면 신도시아닌가?
@user-nd7hc7mq3f
@user-nd7hc7mq3f 4 ай бұрын
어록: 입지가 먼저다~!!!!!!!!!!! 캬~~~~~~~~~~~~~~ 감사합니다~~!!! 찍사홍님 덕에 좋은 집 사고 잘살고 있습니다. 정말좋은집 소개 드리고 싶은데 연락주세요~ㅋㅋ
@user-qt4bi8ue7c
@user-qt4bi8ue7c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문호리의 민낯이 적나라하게 보이는군요.
@user-lt3uj4dg9l
@user-lt3uj4dg9l Жыл бұрын
문호리 그 동네는 수입리 쪽이구요 별로입니다
@user-cj4tj2gu5z
@user-cj4tj2gu5z 5 ай бұрын
아파트는 비교도 가능하고 가격이 투명 하지만 어느정도인지 쉽게 알수 있지만 전원 주택 가격은 너무 변수가 많아 힘든듯 합니다. 쉽게 가격을 계산할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좀 알고 싶습니다.. 위 영상 집들은 어느 정도 인가요??? 영상 잘 봤습니다.
@cosmos9647
@cosmos9647 8 ай бұрын
서종면 문호리 아버님이 계신 공원묘지 입구에서 약간 떨어져 있지만, 입구는 입구인데 전원주택 및 카페 펜션이 많이 들어서 있어 놀람!
@user-qx1ht3fv9t
@user-qx1ht3fv9t Жыл бұрын
누구나 귀촌 전원 꿈 꿔보지만 2년 이면 도망 나와
@ADSO_21
@ADSO_21 Жыл бұрын
급경사, 눈 내리면 지옥이겠다.
@jayk8420
@jayk8420 Жыл бұрын
문호리로 이사와서 2년 다 되어가는데, 아주 만족합니다. 아파트에서 살 때 보다, 주택 관리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출퇴근이 서울 안 보다는 힘듧니다. 따라서, 주택 관리 비용에 개의치 않고, 출퇴근에 시간을 억압받지 않는 분들에게는 최고의 장소입니다. 공기 좋고, 강변 뷰 좋고, 시골이지만 근처에 생활편의 시설 다 있고, 자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 땅값이 많이 올라서, 보통 땅을 150평 정도로 구입하고 관리지역 적용해 40% 용적율로 집을 지으면, 문제가 옆집과 다닥다닥 붙어 있는 걸 많이 봤습니다. 그래서, 용적율 20%인 보전관리지역이나 아니면 관리지역이라도 땅이 200평 이상이면, 아주 쾌적하게 살 수 있습니다. 다닥다닥 붙어있는 전원주택을 보면 아파트보다는 낫겠지만 답답해 보이더군요. 가평 2곳에서 주말주택도 5년 경험해 보고 여기 저기 많이 알아봤는데, 서울근교의 전원주택은 서울접근성 및 기타 생활편의시설 등 측면에서 문호리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영상에서 보이는 지역은 문호리에서는 외진 곳입니다. 문호리에서 제일 좋은 지역은 면사무소를 중심으로 위치하여 북한강이 보이는 장소입니다. 북한강이 보이는 뷰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땅을 성토하여 위치를 높이는 이웃을 보면 짜증이 나긴 합니다. 그래서, 저도 나중에 지금 2층인데 4층으로 증축하려고 합니다.
@찍사홍
@찍사홍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user-wu7vl8cs2x
@user-wu7vl8cs2x Жыл бұрын
저도 문호리사는데 대만족입니다
@jayk8420
@jayk8420 Жыл бұрын
@@user-ud1pj4nz3v 문호리 곳곳에 부자 마을이 많이 있다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위치 상으로 보았을때 해당 영상에 나오는 마을이 문호리 중심지에서는 좀 떨어진 외진 곳이라는 의미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진짜 부자들은 외진 곳을 오히려 선호하더군요.
@aesth4
@aesth4 Жыл бұрын
전원주택지에 4층은 아닌 것 같네요.
@aesth4
@aesth4 Жыл бұрын
@@mhk17 전원주택 단지에 4층은 아니라니깐.
@user-xn6zz6rz9b
@user-xn6zz6rz9b Жыл бұрын
문호리가좋다니요 ㅋ 그옆에 사는데 그닥 남양주사는데진짜 별로에요 거기 왜사는지
@oh-happy
@oh-happy Жыл бұрын
저쪽 지역은 주말에 바이크 타고 라이딩 갈때만 좋은 동네임 자동차는 안됨 차막혀 뒤짐.. 거주하는건 별로...
@formyfaterland
@formyfaterland Жыл бұрын
경기권에서 저정도 경사면 눈오면 그냥 고립이라고 봐야 됩니다. 배달등등도 못들어 옵니다. 날씨가 너무 극단적으로 가고 있어서 폭설에 며칠씩 고립되는것도 각오는 해야될겁니다. 폭우에도 지대와 물길, 집보다 더 윗쪽 공사 상황을 잘 살피세요. 예전 서초구 우면산 산사태도 누구도 예상 못하던 일이었습니다.
@user-lu5wq3mf6m
@user-lu5wq3mf6m Жыл бұрын
홍님 딱 장단점 팩트를 알려주시네요 북향 단독 전원주택이 피해야할 1순위
@user-nq9gt7uz5x
@user-nq9gt7uz5x 4 ай бұрын
문호리 배우 이영애가 살다 이사 가서 유명 해진곳 아닌가요? 너무 언덕이라 겨울에 불편하겠다
@atomc4699
@atomc4699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저마을에 살려면 마을발전기금이라고 일이천 정도 안내주면 길막고 못살게 군다는 소문들었는데 지금도 그럴려나 모르겠음
@user-jp1no4wp5h
@user-jp1no4wp5h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양평에서는 이동네가 살기 좋은것 같아요. 지역 커뮤니티도 공감대가 잘 형성되어 있는것 같구요. 저는 다른 면에서 살아 봤지만 누가 어떤 사람들이 사느냐도 중요한것 같습니다.
@user-lt3uj4dg9l
@user-lt3uj4dg9l Жыл бұрын
제가 사는 곳인데 그 장소는 아닙니다 정배리나 문호5리 서후리 수링리도 좋습니다
@user-fy1fe4ni8z
@user-fy1fe4ni8z Жыл бұрын
저곳에서 보강토 공사했습니다. 나오시는길에 유명한 커피숍이 있구요. 차막혀서 꼼짝도 안합니다.... 참고하세요.
@seung3170
@seung3170 Жыл бұрын
양평군에서 마을안길 도로사정 최악에동내가 서종면 문호리입니다 마을안길한번가보세요 옛날경운기다니던길 그대로포장만해서 차 가교차로안되는곳이고 도로사정나뿝니다
@user-iz7pi7ip5i
@user-iz7pi7ip5i Жыл бұрын
우연히 일때문 들어갔다가 길 상태보고 욕하고 나옴. 초보운전 식은땀 날거임. 마주치는 상황에 마냥 서있어요
@user-fv7dd2ti8b
@user-fv7dd2ti8b Жыл бұрын
문호리 우리집도 있는데요~
@user-rc5md3zi8o
@user-rc5md3zi8o 8 ай бұрын
큰 송전탑이 너무 많네요 건강에 진짜 안좋다는데 언덕이나ㅇ길도 ᆢ 눈내리고 비오면 집에 갖히겠어요 한국은 마을형성하면서 단독 집들짓기전 도로들 정비들은 왜 그리 안하는건지 참 ᆢ집짓기허가가 쉬운가?싶기도 하네요 우리어릴땐 시골마을 매달 마을 청소 도로정비 모여서 했는데 요샌ㅇ그런걸 거의 안하니 지자체서 개입이라도 어느정도 있던가 해야지 싶은데
@coyoteincity
@coyoteincity Жыл бұрын
이동네 고압철탑 반경 1킬로 안인 것 같습니다. 발암 주원인인 고압철탑...저는 절대로 집이나 땅 살 때 고압철탑 유무부터 봅니다
@user-mq6qg9rc2u
@user-mq6qg9rc2u Жыл бұрын
양평가는길 차가 너무 많이 막혀서 난 별로 힐링하러 가는데 차가 막히면 짜증나서 스트레스 받기 때문에 , 경기북부(파주 연천)쪽은 주말에도 차가 안 막힌다고 하던데 가봤더니 정말이더라고요. 근데 그쪽은 북쪽으로 가는 길이 막혀 길이 한산한거겠죠. 하지만 언제가는 남북교류가 되면 대박나는 곳이긴하죠 .
@user-ss9dl3qt2l
@user-ss9dl3qt2l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단독주택은 미국처럼 표준규격으로 시스템화 되어있지 않아서 가성비가 나쁜것 같네요. 반면에 우리나라 아파트는 표준규격이 정해져 있어서 어느지역 어느 회사가 지은 아파트에 살든 일정수준의 주거품질은 보장이 됩니다. 각 나라마다 가성비가 좋은 주거형태가 있고 한국은 아파트가 어느모로 보나 최선인거같네요
@user-ss9dl3qt2l
@user-ss9dl3qt2l Жыл бұрын
@@lesser-panda 님 생각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고 그 이유도 궁금하네요
@user-ss9dl3qt2l
@user-ss9dl3qt2l Жыл бұрын
@@banrang8111 대도시에는 아파트가 필수입니다. 인구밀도 높은 나라도 필수죠. 유럽에도 아파트가 굉장히 많습니다
@Ratel4Moon
@Ratel4Moon Жыл бұрын
@@user-ss9dl3qt2l 일정수준의 주거품질이라고 하셨는데 아파트 하자 혹시 보셨는지? 층간소음은 경험해 보셨는지? 애들 노이로제 걸리는 거는요? 아파트는 어느 나라건 층당 1세대 이런 아파트 아니면 모두 가난한 사람들 몰아넣고 사는 주거형태입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선분양 후시공으로 하자가 수백군데 튀어나오는 괴상한 건물일 뿐이구요. 유럽 아파트가 우리나라 아파트라고 생각하시는지?
@Ratel4Moon
@Ratel4Moon Жыл бұрын
아, 그리고 도대체 미국에 무슨 단독주택이 표준규격이 있습니까? 뭔 박스집 사다 둘러쓰는 줄 아나. 조금 전에도 미국의 천억대 주택들 구경하는데 표준규격 없던데요? ㅋㅋㅋ
@janes7627
@janes7627 Ай бұрын
@@Ratel4Moon 프랑스 티비 고발프로에서 , 프랑스 임대주택 현황을 고발하는데 아파트 안에 비가 줄줄 새고 곰팡이 천지인데도 임대회사가 눈도 꿈쩍 안하더군요. 진짜 놀랬슴. 유럽은 좀 다를 줄 알았는데 사람 사는덴 다 같나 봄.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4 ай бұрын
양평~~~~~~~~쥑이죠 주말교통체증이~~~💀
@hibury6373
@hibury6373 Жыл бұрын
수요가 많다고 가격은 계속 오르는데 막상 가보면 빈땅 짓다만땅 엄청많음...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Кушать Хочу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Is it Cake or Fake ? 🍰
00:53
A4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아, 탐나는 마을! (마을답사 025)
10:41
찍사홍
Рет қаралды 226 М.
[Full] 건축탐구- 집 - 어서 와, 회장님 집은 처음이지?
46:19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Кушать Хочу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