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역대 최고치 근접, 왜?…내년에도 오를까 / SBS / 친절한 경제

  Рет қаралды 92,090

SBS 뉴스

SBS 뉴스

6 ай бұрын

〈앵커〉
목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와 함께 합니다. 오늘(30일)은 오랜만에 금 얘기네요. 금 값이 최근 들어 다시 급격히 오르면서 역대 최고가를 넘어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요?
〈기자〉
이달 말 들어서 국제 금 가격이 6개월 만에 다시 온스당 2천 달러 선을 돌파했고요. 특히 이번주 들어서면서 계속 치솟고 있습니다.
역대 금값 최고치는 코로나로 인한 위기감이 극에 달했던 2020년 7월입니다.
온스당 2천69달러까지 갔었는데요. 어젯밤을 기준으로 2천40달러 선을 넘기면서 역대 최고치 바로 턱밑까지 다시 와 있습니다.
금을 셀 때 국제적으로 많이 쓰는 트로이온스는 우리 식으로 따지면 8.3돈 정도입니다.
한 돈 짜리 돌반지 재룟값만 지금 국제시세로 우리 돈 32만 원 가까이하는 겁니다.
원화로 계산하는 한국거래소 금값 시세가 딱 이 정도입니다.
세공비 같은 것까지 합쳐서 요즘 한 돈 짜리 돌반지 실물 사려면 40만 원은 족히 각오해야 합니다.
〈앵커〉
앞으로가 궁금합니다. 금값이 이렇게 계속 오를까요?
〈기자〉
참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긴 하지만 내년까지도 금 가격은 계속 들썩일 거란 전망이 지금으로선 훨씬 더 많습니다.
지금 금값이 오르는 이유 중에 중요한 하나로 꼽히는 거는요.
이른바 신냉전시대라고 하는 지금 세계의 분위기와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최근에 세계에서 제일 금을 열심히 쓸어 담은 건 개인 부자들보다 각국의 중앙은행들입니다.
특히 미국과 계속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이 달러로 된 미 국채 보유량은 꾸준히 줄이고요.
대신에 금 보유량을 공격적으로 늘려왔습니다.
중국뿐만이 아닙니다.
지금 국제적으로 여러 제재 아래 놓여있는 러시아가 이 와중에도 금 보유량을 지난 2분기에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이 늘린 나라고요.
중동 국가들을 비롯해서 신흥국들이 금을 집중적으로 사들이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중국처럼 달러 위주의 세계경제 질서를 대놓고 탈피하고 싶어 하는 나라들은 물론이고요.
러·우 전쟁 이후의 러시아를 보니까 달러로 자산을 갖고 있으면 돈이 아무리 많아도 미국이 그냥 동결해 버리는 게 가능하구나, 신흥국들 사이에서도 달러가 예전에 생각한 것만큼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커진 겁니다.
또 하나 앞으로 금값이 좀 더 오를 거란 전망이 커지는 이유는요. 미국의 금리인상이 사실상 끝났다는 기대감 때문입니다.
사실 금값은 늘 금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보통 금리인상 사이클이 끝난 직후 하락기에, 그리고 달러의 가치가 좀 떨어질 때 세상의 돈이 금으로 몰려가는 경향이 있거든요.
그런데 지금이 바로 그런 때가 아닌가 금리는 이제 내려갈 것 같다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금을 좀 사두자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앵커〉
이걸 보면 지금이라도 금을 좀 사둬야 되나, 이런 생각하시는 분들 계실 텐데 이거는 좀 다른 문제죠?
〈기자〉
굉장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일단 이미 역대 최고가에 근접했기 때문에 가격 부담이 조금 있는 상태기도 하고요.
만약 실제 금리가 내려가는 속도가 지금 시장에 퍼져있는 기대감보다 느리게 되면 금에 지금 투자했다가 실망하실 수도 있다는 건 말씀드려야겠습니다.
일단 오를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자신할 수는 없는 문제라는 것입니다.
다만 금리변동기에 자산을 분산한다는 차원, 자산의 10% 미만 정도로 금에도 관심을 가져보겠다는 차원에서는 언제든 금 투자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거니까요.
간략하게만 투자법 좀 정리해 보면요, 일단 보통 사람들에게 금괴를 실제로 사는 건 추천드리기 어렵습니다.
세금이 부가가치세만 10%고요, 수수료도 5% 정도 나갑니다.
앞으로 금값이 좀 더 오른다고 해도 지금 가격에서 15% 이상 더 올라야 이익이 나기 시작한단 얘기입니다.
게다가 금은 실물을 들고 있는 것만으로는 먹을 수도 없고, 이자나 배당금도 전혀 없고, 금고도 있어야죠.
자산 배분 차원에서 조금만 가져보겠다는 분들께 실물은 작은 것도 추천할 만하지 않습니다.
대신 한국거래소 금 현물 이른바 '종이 금' 거래 많이 거래하시죠. 중요한 것은, 여기는 세금이 붙지 않고, 수수료도 제일 적은 편입니다.
가장 적은 돈으로도 접근해 볼 수 있는 건 은행들의 금 통장입니다.
0.01g씩 사고팔 수도 있는 게 장점입니다.
하지만 이건 수익에 15.4%의 소득세가 붙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금과 연계된 여러 ETF 금광 ETF 같은 데 투자해서 금에 간접투자하는 것도 인기가 있는데요.
금 통장과 마찬가지로 15.4%의 소득세와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건 알고 거래하셔야 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443426
☞[친절한 경제] 기사 모아보기
news.sbs.co.kr/y/t/?id=100000...
#SBS뉴스 #금값 #시세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65
@13sarang84
@13sarang84 6 ай бұрын
천만의 말씀! 금은 반드시 실물을 갖고 있어야 함. 23년전 돌반지 5만원대였는데 10프로 수수료 해봐야 6만원이 안되었음. 그 때 금을 산 사람들은 5배 넘게 번 꼴이고 양도차익이나 세금이 전혀 없음. 금을 실물로 보유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금은 재테크 수단이라기 보단, 국가 부도 위기나 전쟁 같은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비상 식량과 같은 것이기 때문임. 자국의 화폐가 쓰레기가 되어서 불쏘시개로 사용하는 상황에서도 금을 보유한 자는 버틸 수 있음. 채널을 믿지마시길~~ 금을 10프로 혹은 20프로 이익 보려고 사는 사람은 거의 없음. 그거 하려면 차라리 주식이 낫지.
@user-ix8go7rr5n
@user-ix8go7rr5n 6 ай бұрын
30년전엔 한돈에 35,000원....ㅎ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5 ай бұрын
23년전부터 뭐라도 사고 지금까지 들고 있었으면 그쯤 벌었음.
@dia4816
@dia4816 6 ай бұрын
2070달러 정도 3번이나 갔었는데 이번에 오르기 시작하면 다시는 이 가격대까지 안 옴...3중 고점 넘는 거라서 ...짜장면이 다시 5000원대 오지 않는 것과 같음
@user-se1wg2jz5b
@user-se1wg2jz5b 6 ай бұрын
오늘 돌파함 ㄷㄷ
@yyb804
@yyb804 5 ай бұрын
진짜 내가 사금 채취해봐서 아는데 금반돈에 20만원도 싸다 차라리 노가다하지 정말 힘듬
@user-sm1uc5mk2x
@user-sm1uc5mk2x 6 ай бұрын
고점이구나 팔아야겟다
@HHS__TV
@HHS__TV 6 ай бұрын
언론과 반대로가면 된다
@user-xk6uk3hv8x
@user-xk6uk3hv8x 6 ай бұрын
이런데 뜨면 그때가 고점이다....
@bonbon.n9374
@bonbon.n9374 6 ай бұрын
홈쇼핑에서 다들 금반지목걸이팔기시작하면, 금팔면된다.
@user-mf5wd9bw7n
@user-mf5wd9bw7n 2 ай бұрын
금고까지 필요없어요
@user-qj3ur8we2j
@user-qj3ur8we2j 5 ай бұрын
통일신라 전성기때는 금이 넘쳐나서 개도 목에 금을 차고 다녔다는 웃지 못할 얘기가..... 괜히 금(김)씨가 아님.
@lifestylek8983
@lifestylek8983 6 ай бұрын
금 샀어야 되는데..
@user-ky4nx4js9m
@user-ky4nx4js9m 6 ай бұрын
4만원대 할때 샀어야 하는데 ㅜㅜ
@user-gq4om5gl7q
@user-gq4om5gl7q 6 ай бұрын
이러다가 금 한돈에 50만원 하는거 아닙미까 으악 그때 금샀으면 저같이 후회하시는 분들 있겠네요 세상 돌아가는것 아시면 그분은 신이죠,😅😂😢🎉
@user-my6ds5mi8z
@user-my6ds5mi8z 6 ай бұрын
은도 많이 올랏음 금못사면 은이라도 사겟지뭥
@rema868
@rema868 5 ай бұрын
달라하락=금리인하 금상승=엔상승
@kjs3133
@kjs3133 5 ай бұрын
23년 12월 20일 금 한돈 가격이 324.000원 에 샀어요
@user-dy3ug9pw7y
@user-dy3ug9pw7y 6 ай бұрын
100% 오른다 ㅡ.ㅡ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5 ай бұрын
오르긴 하겠지 근데 얼마나 더 오를까? 고점에 근접했다고 봄.
@user-ie2uw7lk3y
@user-ie2uw7lk3y 6 ай бұрын
슈퍼사이클임
@user_yong
@user_yong 6 ай бұрын
2020년에 금 사라고 닦달하신 넷째이모 감사합니다.
@fcuk1818
@fcuk1818 6 ай бұрын
엔화 긴축종료로 오른다던 여기다 그 이후로 더 떨어지고 800원대 왔다 의견을 말하지 말고 팩트로 전해라
@howims1165
@howims1165 6 ай бұрын
저렴하게 사서 고가에 팔아야 투자 가치가 있는데
@user-dy3ug9pw7y
@user-dy3ug9pw7y 6 ай бұрын
그런건 이제 없음. 비싸게 사서, 더 비싸게 ㅡ.ㅡ
@user-zp8nx4mq8e
@user-zp8nx4mq8e 6 ай бұрын
금리를 쳐안올리니 원화가치가 떨어지니 금가격이 오르는거지 초딩도아는소리를
@user-xv7qk5jp8v
@user-xv7qk5jp8v 6 ай бұрын
금이 우리나라만의것인가요? 초딩도 아는소리를
@BSKIM-iy1tu
@BSKIM-iy1tu 6 ай бұрын
이미 오를때로 올랐기때문에 떨어질때가 왔는지도~ 아마도 내년 후반쯤이면~
@user-cb9vg4ur9f
@user-cb9vg4ur9f 6 ай бұрын
50만 가자
@user-se1wg2jz5b
@user-se1wg2jz5b 6 ай бұрын
​@@user-cb9vg4ur9f 100만 갑시다
@user-fl6fu7wb2e
@user-fl6fu7wb2e 6 ай бұрын
금은 불안심리를 먹고 산다
@user-ze4qv3xo8g
@user-ze4qv3xo8g 6 ай бұрын
최고치라고? 난 왜 -2.6%냐?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5 ай бұрын
그럼 이제 거의 고점이란 거네요. 미국이 금리 내릴때 최고점 찍고 그뒤론 좀 떨어지.......겠죠?
@user-wk1wo4iq8h
@user-wk1wo4iq8h 6 ай бұрын
저말은 곧 내린다는거다 사지말라 뉴스에 안나올때 오른다😊 돈많은 사람들은 사놔도 되지만 사이클에 맞춰 팔아야함
@emotion.116
@emotion.116 6 ай бұрын
역대최고?? 국내시장은 아직인데?? 지금 2달전인가 그때가 최고가였는데 그당시 1돈 팔때 32만원 지금 1돈 팔때 305000원수준
@user-wz3ho4ke3d
@user-wz3ho4ke3d 6 ай бұрын
시세좀보고와서 글 다소ㅋㅋㅋ
@lovej4565
@lovej4565 6 ай бұрын
@@user-wz3ho4ke3d 그러게요...30.5만원이면 제가 살게요. 저에게 매도해주세요.
@user-wz3ho4ke3d
@user-wz3ho4ke3d 6 ай бұрын
@@lovej4565 주디만 띠면 지말이 다맞다는 저런부류들 많음ㅋㅋㅋ
@user-se1wg2jz5b
@user-se1wg2jz5b 6 ай бұрын
​​@@lovej4565ㅋㅋ나한테 3kg파소 ㅋ돈당 31.5만 줄께요
@yk-rq8xo
@yk-rq8xo 6 ай бұрын
얘 뭔소리하는거나? 30.5에 팔아주라 나한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lfie4us
@alfie4us 6 ай бұрын
경제회복을 위해 제2의 금모의기 운동이 필요합니다
@aastar9779
@aastar9779 6 ай бұрын
지금 애국마케팅해도 광고비도 안 나올 겁니다.
@user-jm1vk9dk6v
@user-jm1vk9dk6v 6 ай бұрын
미쳤니
@user-qp3dz3vy1h
@user-qp3dz3vy1h 6 ай бұрын
금모아봣자 돈훔쳐가는나랏도둑이 많이서 하기시러요
@user-qy1tl5xz7d
@user-qy1tl5xz7d 6 ай бұрын
너나 해라..ㅋㅋ..조선시대에서 왔냐? 금모으면 요즘정치인들 단체들이 가만히둘것같냐? 어떻게해서든 자기주머니에 '한 돈'이라도 더 쑤셔넣을려고하지. 아님 잼버리처럼 사적 여행유흥비로 탕진하던가. 금 많은 너.나.하.세.요.
@myaaak
@myaaak 5 ай бұрын
머래
@user-cn6ks7mj3u
@user-cn6ks7mj3u 2 ай бұрын
절대싸지마세요
@user-xn8ig4zm2g
@user-xn8ig4zm2g 5 ай бұрын
금 화학적으로 만들수는 없나ㅋㅋ
@aastar9779
@aastar9779 6 ай бұрын
제작년에 골드바 한개 29만원엔가 샀는데 시세 올라서 금은방 가서 팔아도 딱 그 돈 받을 듯 ㅋㅋ 실물 사는 거 아니다.. 돈이 억수로 많으면 몰라도
@blue-sky114
@blue-sky114 6 ай бұрын
15년에 17만원씩 1억 사서 얼마 전에 거의 두배로 팔았네요
@user-iu8fh6kk5w
@user-iu8fh6kk5w 6 ай бұрын
​@@blue-sky114아우씨 좋겠다ㅠ대단하심
@user-rj6kw7fj4l
@user-rj6kw7fj4l 6 ай бұрын
​@@blue-sky11432000원에 100돈 샀는데...아직도 가지고 있음...
@lovej4565
@lovej4565 6 ай бұрын
지금 돈당 개인간 거래해도 32~33만원은 되는데;;
@user-ly4mg9xi9u
@user-ly4mg9xi9u 6 ай бұрын
@@blue-sky114 나는 코인 주식으로 10억 벌었는데.ㅉㅉ
@user-uz9fd1nt1q
@user-uz9fd1nt1q 6 ай бұрын
금을 팔때가 됐나보다
@jaewonkim7961
@jaewonkim7961 6 ай бұрын
비트코인 사라 금은 이제 재테크 아니다
@BLifeis
@BLifeis 4 ай бұрын
정신 차리세요
@user-hx7ic1he1r
@user-hx7ic1he1r 6 ай бұрын
원화가 저만치 똥값인가 헛웃음나오넵
@user-hv5pc2ji6g
@user-hv5pc2ji6g 6 ай бұрын
00:39 아나운서 고장
@alfie4us
@alfie4us 6 ай бұрын
금모으기운동 다시 해야할듯 하네요
@user-qy1tl5xz7d
@user-qy1tl5xz7d 6 ай бұрын
너나하세요. '총 맞은것처럼 정신이 너무없어~'정신차려요...나라경제와 정치개판만들고 권력을 이용해 자기주머니와 자기자리 챙기기 바쁜 정치인들이 나라를 말아먹고있는데 왜 국민들이 다시 살려야하나요. 똥은 정치인이 싸고, 치우는건 국민들이 하라는거야? 너 정치인과 관련있지?
@minkim6390
@minkim6390 5 ай бұрын
응 내년 50만원이다
@user-ef5hi9fo6m
@user-ef5hi9fo6m 6 ай бұрын
🇮🇱🇰🇷🇮🇱🇰🇷🇮🇱🇰🇷🇮🇱🇰🇷🇮🇱🇰🇷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Cute Barbie Gadget 🥰 #gadgets
01:00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