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에서 집을 만들어 드립니다. 파격 시공 기간! 직접 배달해 주는 이동식 주택 공장

  Рет қаралды 1,459,641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4 жыл бұрын

펜션형 전원주택을 제작 중인 이동식 주택 공장.
이곳에서 연간 생산하는 모듈 주택은 연간 1,500여 채로, 설계에서 인테리어까지 모든 공정은 약 한 달 정도 소요된다.
짧은 기간 안에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집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Пікірлер: 843
@user-uf4tw5wr3h
@user-uf4tw5wr3h 4 жыл бұрын
방송국에서 나와서 촬영하는데도 군데군데 대충작업하는게 보이고 마지막 집 놓을때 바닥청소도 안하고 올려놓는거 보고 평상시에는 어떨지 예상가능하네요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2 жыл бұрын
극한직업 나오는 업체들 보면 개판오분전인 업체들 많이 나오네요 방송국 촬영 영상인데도 어휴..
@sandi579
@sandi579 Жыл бұрын
그게 그거임 촬영한다고 작업자에게 떡하나 주는 것도 아니고
@user-tu5vk7qr9b
@user-tu5vk7qr9b 4 жыл бұрын
고생이 많으십니다! 안전작업들 하시고 건강 하시길! 😍
@grapemeow1754
@grapemeow1754 4 жыл бұрын
와 너무너무 멋집니다 존경합니다 힘내세요
@user-ov2ui5eg1y
@user-ov2ui5eg1y 4 жыл бұрын
기초가 되는 바닥과 레벨이 생명인데 기본적으로 저런작업류는 오차 없이 정확하게 레벨링된 두꺼운 바둑판같은 정반으로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정반위에서 기본 틀을 완성후 들어올려 내린후 후속공정이 들어가야합니다. 공장 호이스트도 좋은거 달렸잖아요? 수요가 많아지면 그에 맞게 정반대수를 늘려야 하는 것 이구요. 맨 바닥에 저런 난잡한 나무 받침으로 수평을 맞추는건 정말 황당하네요...단단한 침목류도 아닌 각재와 합판 쪼가리는 하중을 받으면서 압착되어 점점 내려가는데요? 또한 보시는 빨간선이 나오는 레이저 레벨기가 절대적인것도 아닙니다 그역시 따로 자체 내장된 수평좌로 조절을 해주어야 하는데 보는 사람 눈에따라 차이가 꽤납니다. 그리고 바닥기초로 쓰이는 각관두께를 보니...드릴링없이 철판피스로 뚫리는 것을 보니 참.... 사람이 사는 건물입니다. 저런 피스는 소소한 창틀이나 목가구를 결합시키는 용도로 쓰는것이구요....드릴로 구멍뚫고 최소8mm 이상 볼팅으로 가야하지 않겠습니까? 제가 너무 깐깐한게 아니고 그냥 기본적인것들을 말씀 드렸습니다.
@user-ge6ud4ef1g
@user-ge6ud4ef1g 3 жыл бұрын
건축이라곤 1도 모르는 제가 봐도 바닥 수평맞추는데 합판쪼가리 쓰는거 보고 했네요.
@madass-kim5670
@madass-kim5670 4 жыл бұрын
모듈식 집생각하면 컨테이너만 생각했는디 훨 좋아보이네요
@hwangmangeum
@hwangmangeum 2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요
@joosewoog
@joosewoog 4 жыл бұрын
집이 저렇게도 만들어지는군요... 옥상까지 이용할 수 있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shiningi8525
@shiningi8525 4 жыл бұрын
철판이 스테인레스라고 했는데. 보니까 스테인레스가 아니라 일반 칼라강판같은데. 특히 하부 바닥 프레임은 그냥 각파이프에 하부 도장만 한거네요. 그것도 작은걸로... 하부 프레임을 많이 키우고 전부 스테인 레스로 하면 어떨까 싶은데. 그렇게 해도 자재비 차이가 차지하는 포지션이 그렇게 크지는 않을것 같은데. 조금만더 개선하고 보완하면 훨씬 더 좋을것 같은데. 제생각에는 아직까지는...
@user-ux1ul7uq9p
@user-ux1ul7uq9p 2 жыл бұрын
새해도 건강하세
@user-gr1zp5hd8w
@user-gr1zp5hd8w 4 жыл бұрын
여름에 고단열 겨울에 시원한
@g.mendoza8138
@g.mendoza8138 4 жыл бұрын
nice👍😀👍 좋은 joh-eun
@domfreeetr633
@domfreeetr633 4 жыл бұрын
마무리도 꼼꼼하게 하시는... 그대들이 애국자들입니다... 존경합니다..✌✌✌✌✌
@user-ds9lu7rw6u
@user-ds9lu7rw6u 2 жыл бұрын
요즘 사기꾼도 애국자라부르는구나
@azeoy
@azeoy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부실시공,실력없는 전원주택,단독주택 업자들이 이 동영상을 싫어합니다!!
@user-gs3ir7mp7q
@user-gs3ir7mp7q 4 жыл бұрын
와우!!!!!!!!!!!!!!!!!!!!!!!!!!!!!!
@yanghun-25jin-wandoojourna53
@yanghun-25jin-wandoojourna53 4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 아이디어네.
@JamesLEE-vv5ub
@JamesLEE-vv5ub 3 жыл бұрын
바닥에 온돌깔고 지붕으로 철판 23°~35°로 하나더 올리고 그 사이에 폼 뿌리면 더 좋을듯해요. 수고들 많으세요
@user-mk1mp2ig6c
@user-mk1mp2ig6c 3 жыл бұрын
에비건축주입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user-zo7ou2pl3u
@user-zo7ou2pl3u 4 жыл бұрын
용접안하는거보고 ㄷㄷㄷ 바닥 콘크리했어도 지반 몇센치만 내려않으며 하중땜시 뒤틀릴것같은뎅 ㅡㅡ 용접해도 뒤틀릴것같고....
@user-df9gy2jh4l
@user-df9gy2jh4l 3 жыл бұрын
바닥 에는 최소한 빔 정도 해야합니다.!,
@user-zq5we3bw2o
@user-zq5we3bw2o 3 жыл бұрын
단층이쟈냐 무너져도 안뒈져 ㅋ
@Sonbongig
@Sonbongig 4 жыл бұрын
바닥 정밀수평공사를 하는게 더 좋을듯합니다 정밀수평작업하는 업체 있을텐데 추석이나 설이나 휴가기간에 발주내서 한번 작업하시지요
@ssammais
@ssammais 4 жыл бұрын
육각스크류피스 < 용접< 셋트볼트 베이스 가공할때 볼팅자리 샤링해서 하지 ... 지진은 견딘다는 저 자신감!
@jamiedarren2384
@jamiedarren2384 2 жыл бұрын
sorry to be so offtopic but does someone know a tool to get back into an Instagram account..? I was stupid lost my password. I would appreciate any help you can offer me
@user-ex7ip2fu4v
@user-ex7ip2fu4v 2 жыл бұрын
내진구조계산이 완료된 공법이지 않을까요
@user-vr4jg9pb8c
@user-vr4jg9pb8c 4 жыл бұрын
이쁘네요.펜션 하실분들 이용하면 좋을듯.
@user-ud5ly9mu2o
@user-ud5ly9mu2o 4 жыл бұрын
주거용으로는 살고 싶지 않지만 펜션이나 사업용으로는 저렴한가격일시에 이용할만 할것 같네요
@ls-ql3xk
@ls-ql3xk 9 ай бұрын
될수있으면 모두자동화가 되서저렴 해젔으면 좋겠네요
@stanfordleeham8922
@stanfordleeham8922 4 жыл бұрын
조립식 하우스로 밑장에 넣고 크래인가지고 들어서 콘크리트 넣고 하우스 완성시키는 방법도 있음
@jdj6866
@jdj6866 4 жыл бұрын
기대하고 들어왔다가 헛웃음만 짓다 가네요
@ysyoon2586
@ysyoon2586 4 жыл бұрын
매번 바닥 수평잡을바엔 수평을 정확하게 맞도록 시공하는게 훨씬 효율적일듯. 그리고 바닥을 피스로 채결하는건 좀 아닌듯
@user-gs3ir7mp7q
@user-gs3ir7mp7q 4 жыл бұрын
공장 바닥 지을때 제대로 안함...!! 전부다 고생할듯염.!! 무게 문제인듯 합니다. 처음 부터 수평이 안된다면 추후 수평은..ㅎㅎ 날쎈거 아닐까 싶습니다. 모든 공사관계자들이 일 할때 제대로 해야 할듯 합니다.
@rudiments77
@rudiments77 4 жыл бұрын
공장이 저렇게 큰데 아무리 수평을 잡아도 저런 물건 만들때는 또 다릅니다... 그리고 수평잡는데 사흘 걸린다는건 좀 뻥튀기~~~
@casawooki
@casawooki 4 жыл бұрын
@@rudiments77 한채 수평 잡는데 3일이 아니라 한번 전체 제작할때 3일 걸린다는 것 같네요.
@jeonohnam
@jeonohnam 4 жыл бұрын
바닥에 수평틀 만들어서 고정하면 될것을 불필요하게 시간낭비 하네요~
@tkdtn9795
@tkdtn9795 3 жыл бұрын
피스로 변형안가게 잡은다음에 용접하는지 알았는데 진짜 피스만 박네요. 차라리 하이텐션 볼트로 볼팅을하지
@user-ck9pq8tq3g
@user-ck9pq8tq3g 4 жыл бұрын
샌드위치판넬로작업시에도 드릴로 시작해서 드릴로끝납니다 이것도 같은원리인데 의외로 튼튼합니다
@ssm7776
@ssm7776 3 жыл бұрын
영상보다 댓글이더잼있네요
@user-jo5zc5qu4c
@user-jo5zc5qu4c 3 жыл бұрын
재밌당
@user-ld6vx1xr1h
@user-ld6vx1xr1h 4 жыл бұрын
자세히 보시면 바닥, 벽체 만남시 재료 분리현상으로 단열 안돨 듯 합니다. 특별 기술이라 공개 안한거라면 할말 없지만....단열재끼리 맞물리는게 아니고, 그 사이 0.5t 철판이라도 끼어 있으면 단열 실패입니다.
@myaccord7
@myaccord7 4 жыл бұрын
저도 보면서 그 부분이 제일 불편하더군요.... 저게 무슨 고단열이야....하는 느낌...
@coffeetruck5224
@coffeetruck5224 4 жыл бұрын
이런 이동식하우스는 직접 지을수 있습니다. 구매하지 마시고 셀프로 용접이랑 목수일 좀 배우시면 조립식으로 충분히 만드니 직접 찬찬히 만들어서 사용하시는거 추천드립니다. 영상보시면 알겠지만 피스 하나도 대충 박고 구배도 대충 단열도 대충 오래 못가서 크랙가고 그다지...
@lkh0120
@lkh0120 4 жыл бұрын
목수일은 어디서 배워요?
@coffeetruck5224
@coffeetruck5224 4 жыл бұрын
@@lkh0120 정식코스는 목수학교 1년 코스 야매는 노가다 목수 시다로 돈벌면서 따라다니면 배웁니다 한번 보면 대강 알게되고 나머지는 본인이 숙달하면 됩니다 실제 노가다로 미니하우스 짓는거 하고 직접 집 지은 친구도 있습니다
@plantece
@plantece 4 жыл бұрын
@@coffeetruck5224 겨우 저 돈 아끼자고 노가다 뛰라고? 백수임?
@coffeetruck5224
@coffeetruck5224 4 жыл бұрын
@@plantece 은퇴이후 캠핑카 DIY할려는 분을 위한 댓글입니다 직장인이 바쁜데 무슨 노가다 뛰나요 ㅡ_ㅡ
@user-ih3ug3tl8x
@user-ih3ug3tl8x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인테리어기사로 1~2년만 일해도 목공, 타일, 전기, 시트 붙이기, 실리콘 등등 많이 배움. 인테리어기사가 개 잡부라서 ㅋㅋ
@FASOLASl
@FASOLASl 4 жыл бұрын
저런 대지는 특히.조심... 시멘으로 바닥 맞추고 시작했는데 비 오고나이 시멘 하부 흙들이 소실 되었는지 바닥 금 가고 부서지고 결국 기울어버림 ㅠ
@user-qm2ws8js2p
@user-qm2ws8js2p 4 жыл бұрын
같은생각..^^
@user-kh5bo8kj8q
@user-kh5bo8kj8q 4 жыл бұрын
그렌데요~~~~~
@Meoseum
@Meoseum 4 жыл бұрын
판넬과 판넬사이에 폼 사용 안했내요 단열재 종류와 등급도 안 알려주시내요 단열재 접촉부에도 폼 사용 안하내요 바닥과 천정 단열은 없내요 설치시 Anchor에 고정도 없내요
@REALDDOONG
@REALDDOONG 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컨테이너 하우스보다 훨씬 좋아보임 저도 하나 갖고 싶네요..
@SupporterYi
@SupporterYi 4 жыл бұрын
컨테이너 하우스는 외벽이 녹이 슬지 않게 페인트칠 매년 한번정도 해주는 거만 안 잊으면 저거보다 훨씬 오래감
@brianyi6569
@brianyi6569 4 жыл бұрын
외국거 카피잘하네요 좋ㅇ아요
@FlyingFlowerFantasy
@FlyingFlowerFantasy 4 жыл бұрын
샤워기 비싼게들어가네요 와우
@YangYANG-vx9st
@YangYANG-vx9st 4 жыл бұрын
멋있네요 ㅇ_ㅇ 2층 3층 까지 올릴수 있는 설계는 아니지만(하충량이나 아래 진동 소음이..) 그런 제품도 있겠죠 ㅎㅎ 가격만 된다면 적당한 땅이 저런 건물 아래 5개 위에 5개 해서 2층 또는 3층 까지 올리고 배란다 쪽 공간 확보 해서 1층은 땅 2층은 배란다(오픈 방식을 거꾸로) 3층은 배란다+빛 가림막 (배란다에 건조대 소형을 설치 하거나 ) 안전대 를 설치 하면 좋겠죠 방식으로 하면 ㅇ_ㅇ 설계 할때 물론 반대편은 계단+통로(오픈형)에 배관을 그쪽으로 빼면 1층은 문제 없고 2층 3층 전부 잘 빼면 ㅇ_ㅇ 물론 2층3층 나둘때 중간에 20~30cm정도 공간을 확보하는 바디를 설치해서 전기.물.오물. 소음.진동을 감소하도록 채우면 되겠죠 (바디만 따로 트럭으로 이동 시키거나 해야 겠지만 ) 근데 건물 전체가 용접 방식이거나 볼트 체결 방식이 아니라 피스 박는 방식이라서 1층 건물 이라면 가능하겠지만 2층 3층 건물 이라면 하중량이나 진동에 취약할꺼 같음 따로 금속 프레임 으로 해서 무게.진동을 버틸수 있도록 하면 모르겠지만... 콘크리트 바닦에 H빔 사이에 나두고 볼트 체결하고 2층 올리고 볼트 체결하고 그런식이 되겠네요 X체결도 하고 아니면 저 집 자체가 튼튼하게 보강하거나... 개인적으로 컨테이너 방식을 좋아하는게 하중량을 톤 단위로 그양 버티다 보니.. 보강만 적당히 하면서 내부 개조하고 외부 보강하면 3층까지는 그양 올라가니.. 저기 에서 사용하는 외부 보강재가 순서대로 들어가는 방식을 컨테이너 외벽에 적당히 조합하면 생각보다 잘나올꺼 같은데? ㅇ_ㅇ 물론 높이나 공간이 감소하지만
@user-ho5ko3yh4s
@user-ho5ko3yh4s 4 жыл бұрын
설치할때 공구리 바닥좀 쓸면 완벽했을것을!!! 사소함이 완벽함을 만드는건데...
@jaymeshwang7069
@jaymeshwang7069 4 жыл бұрын
다들 안전모가 막 포장 뜯은 거 마냥 ㅎㅎ
@clipe7087
@clipe7087 4 жыл бұрын
신병 마냥 어설프네요 ㅋㅋ
@user-de5rz1qn4g
@user-de5rz1qn4g 3 жыл бұрын
테레비 나온다고 작업반장님이 A급으로 나눠줬읍니다 ㅋㅋㅋ
@brienkim8471
@brienkim8471 3 жыл бұрын
항상 패턴대로 움직이는 공장에선 화이바가 필요없죠. 예측불가능한 건설현장에선 언제든 사고위험이 크니깐 헬멧이 필요한거고
@waganeero
@waganeero 3 жыл бұрын
@@brienkim8471 모든현장에서 안전모는 필수입니다. 온갖 보험보다 안전모 1개가 더싸고 더 확실하죠
@CoolBoricha
@CoolBoricha 4 жыл бұрын
소음 쪽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저걸 2층으로 올릴 경우 층간 진동이나 소음 또한 궁금. 농장 근처 간편하우스로 쓰기엔 나쁘지 않은 듯
@user-fy6fj5zk6v
@user-fy6fj5zk6v 4 жыл бұрын
철근콘크리트가 훨씬강하고 오래갑니다 각파이프는 아연각관은 생각보다 약해요 진동도있고 농막이나 데크에씁니다
@user-lv8cc4jz8y
@user-lv8cc4jz8y 4 жыл бұрын
이동 주택도 철근 콘크리트로 하나요? 하나 사고 싶은데
@user-fy6fj5zk6v
@user-fy6fj5zk6v 4 жыл бұрын
@@user-lv8cc4jz8y 아뇨 영상초반에 하는말의 반박입니다
@domathu3403
@domathu3403 4 жыл бұрын
혹시 h빔은 어때요?
@user-fy6fj5zk6v
@user-fy6fj5zk6v 4 жыл бұрын
@@domathu3403 이동주택요? 걍 아연각관 쓰시고 용접꼼꼼히하시면되죠 H빔갈거면 좀거한거같은데..
@_Tojang_
@_Tojang_ 4 жыл бұрын
각파이프 데크 기초로된거 철거알바할때 오함마로 몇번치고 양손으로 뜯으니까 뜯어짐 (본인 데드 210치는 헬린이)
@user-it6vy9ue6k
@user-it6vy9ue6k 4 жыл бұрын
스퀘어바로 프레임만드는거 보고 뭔가 다를거라고 기대하던거 팍 다 죽음 어디 공사장 창고만드는 자재로 건물 프레임을 만들고있냐
@herethere1849
@herethere1849 4 жыл бұрын
몸에 해롭지 않은 재료로, 방열만 제대로 된다면, 싼값에 집을 짓는 거니까 고려해볼만하죠. 결정의 핵심은 돈
@user-wn9cw1nt5h
@user-wn9cw1nt5h 4 жыл бұрын
흠 그냥 컨테이너 대용으로 쓰지 않을까요. 컨테이너는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우니.;
@madass-kim5670
@madass-kim5670 4 жыл бұрын
우와~어느공사장 창고길레....좀 알려주세요 어느 공사장 착고인지? ㅋㅋㅋ
@user-gs3ir7mp7q
@user-gs3ir7mp7q 4 жыл бұрын
@@herethere1849 인정!! 그리고 엄청 따듯해 보입니다.!! 촌집에 사는 이로써. 격어 봐야 알 사람들이 부모의 공덕으로 너무 모르고 글 적는 듯한. 저 정도라면 엄청 따뜻 할듯. 하나더 촌놈에 쎄끼들 박정희 찬양 하는 세끼들아... 정치색 묻쳐서 미안한데 .. 테클 사양이고..! 초가지붕 양철지붕으로 바꾸고 황토벽을 시멘트 3구블록으로 지은집에 기본도 없이 지어진 집에 살아 봐야.. 너희가 알 긋지. 정말 난방이 무엇인지 냉방이 무엇인지 알긋지. 3단벽 최고!!다 보온 보냉에 관련되 격벽인 생이지. 직접 살아 보거나 , 팬션하우스 하는 사람들은 말이 없음. 댓글 보다 보니. 그냥 병신들 댓글 쇼를 볼뿐.!! 핵심은 단 1천만원이라도 단가를 줄이고 싶은 자들의 마음과 이해 탄산의 산물.!!! 컨테이너 하우스 보다는 정말 좋아 보임.!~!!
@user-hd7ee2ls9t
@user-hd7ee2ls9t 4 жыл бұрын
조선소 데크하우스 선실 웰판넬 이구만 강도도 약하고 보온재 물먹으면 판넬 잘썩겠네
@SunAtPensacola
@SunAtPensacola 4 жыл бұрын
관리층이 작업효율개선에 관심이 없네요. 나사 사선으로 박는거나 고정도 없이 낙엽위에 건물 올리는거보니... 뭐 답나오긴하지만.
@user-nd6hs6zp5w
@user-nd6hs6zp5w 4 жыл бұрын
바닥 파이프 엄청 가늘고, 얇네. 잘 뒤틀려서 지진에도 무너지지 않고 버티겠네. 우리나라에 그만한 지진이 났던가?
@user-iq9ye2le4q
@user-iq9ye2le4q 4 жыл бұрын
남파간첩 쉼터입니다
@dwk4028
@dwk4028 4 жыл бұрын
블로워로 30초면 바닥 불어내겠구먼 그걸 안하네. 플로워는 스텐도 아니고 방청 페이트칠로 얼마나 버틸까.
@user-ti8mg8qr2y
@user-ti8mg8qr2y 4 жыл бұрын
가격대만 괜찮으면 좋을거 같내요 ㅎㅎ
@hyo3377
@hyo3377 4 жыл бұрын
천장 단열은 따로 뭐 더 했겠죠? 뚜껑올리는거만 보여줘서 궁금하네요. 바닥은 어떤 식인걸까... 바닥 난방관도 안깔던데 단열재깔고 전기필름같은거로 난방하는걸까... 거기에 상하수도는.. 공동으로 따로 쓰는건가? 너무 짧게 보여줘서 그런지 주택같지가 않아요.
@showtrue65
@showtrue65 4 жыл бұрын
그냥 콘크리트와 철근써서 직접 짓는게 내구력이 훨씬 더 좋을듯
@user-ot9ny8ud6c
@user-ot9ny8ud6c 4 жыл бұрын
14:21 단열 잘한 컨테이너 하우스가 나을거같은데..?
@user-ys2pb5jg1y
@user-ys2pb5jg1y 4 жыл бұрын
해외수출하면 대박입니다 힘내세요 사장님 고생이 많으세요
@Moon-ek3on
@Moon-ek3on 4 жыл бұрын
그냥 콘크리트 위에 얹어 놓는데 저건 아주 위험할뿐더러 바닥 단열조차 미흡해 보입니다. 조립식이나 모듈이나 모서리 단열에 더욱 더 신경써야 기밀성 유지가되어 단열이 되는건데 이런걸 고단열 주택이라며 방송하기엔 무리한게 아닐까 합니다.
@user-xn4qg9un2q
@user-xn4qg9un2q 2 жыл бұрын
가격이 궁금하네요
@ossososos7889
@ossososos7889 4 жыл бұрын
수평을 맞추는데 사흘 이라니.. 그냥 공사장 일부분 바닥만 평평하게 깔고 거기서 작업하면 안되나.. 이동은 머 천장에 이동고리 설치..그게 비싸거나 인되면 지게차위에 올리거나..발통달아도 될듯
@user-pc2dn2vm2y
@user-pc2dn2vm2y 4 жыл бұрын
수평수평 많이 강조되는데 , 바닥의 낙엽은 괜찮은건가요????궁금하네요..
@shinohfilm838
@shinohfilm838 4 жыл бұрын
사장분이 바닥 수평 조금씩만 맞춰서 바닥 만들어 놓으면 능률도 오르고 수익도 더 좋을건데
@user-zl4gk8nl7b
@user-zl4gk8nl7b 4 жыл бұрын
순진하네..ㅋㅋ 누가 몰라서 저렇게 수평작업하는 줄 아냐? ㅋㅋ 이래서 뇌피셜들이 정치 하면 개판 되는거지..ㅋㅋ
@SupporterYi
@SupporterYi 4 жыл бұрын
@@user-zl4gk8nl7b 뭘 순진해 골재 바닥 수평맞추는 데만 3일씩 걸린다는데 한딱가리 할 때마다 3일씩 줄일 거 생각하면 바닥 다시 하는 게 맞지. 공장 굴리는 놈아가 돈쓸줄 몰라서 저러는거거나, 아니면 대출이 너무 많아서 잠시도 못 쉴 만큼 분수에 넘치는 짓 해서 저러는거임
@minhyeong
@minhyeong 4 жыл бұрын
바닥으론안됨 밀리미터단위로 싸우려면 전문 철테이블 데밀러같은거 갔다놔야되는데 비싸 존나게. 저공장은 그냥 계속 나무 쪼가리 뿌러진거 꽂으면서 쓸듯. 웨지도 없는듯
@ckscks99
@ckscks99 4 жыл бұрын
바닥 수평 맞춰봐야 헛거야 쇠도 틀어짐이 있단다. 중요포인트 수평 미리 잡아 놓으면 될텐데. 쟈들 하는거 봐라.. 전문가라 하기에도 애매해 걍 조립하는 애들이지
@user-fi8lx1pw5r
@user-fi8lx1pw5r 3 жыл бұрын
바닥 공사 힘들면 스큐류 레벨좌 갔다놓으면 돼는데 얼마나 한다고..
@user-mg2qk2jw3g
@user-mg2qk2jw3g 4 жыл бұрын
밭에 농막으로 쓰면 좋을것같은데
@user-wq7sm3hi5d
@user-wq7sm3hi5d 4 жыл бұрын
조방을 크게 수평 맞춰서 만들어놓지 작업자들 고생하고 시간도 더 걸리고
@jyzzang1101
@jyzzang1101 4 жыл бұрын
20집을 한번에...하나씩 완성도 있게 만드는게 중요하고 ...집터가 평평하지만은 않을텐데...
@roze4154
@roze4154 4 жыл бұрын
집터에 미리방문해서 터작업하는듯합니다 그래서 영상에 설치된집도 콘크리트로 지반 올려놨네요
@user-ys7ij7ph9b
@user-ys7ij7ph9b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은 위대합니다. 내가 아닌 남이 잘자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짓습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은 다릅니다! 너를위해 사는 사람들... 감사합니다!
@user-iv1ln7rx8x
@user-iv1ln7rx8x Жыл бұрын
고하중 슬 라이드 레일로 서랍장처럼 주택을 지어 보시죠 프로파일 슬라이딩 레일 취급제작
@user-jg3tw5ij8s
@user-jg3tw5ij8s 3 жыл бұрын
H빔으로 바닦시공해야지 각파이프가 ㅠㅠ 바닦잡는데 4일 ㅠㅠ 벽체 4일 ㅠㅠ 기초작업 일주일 허허 ㅋㅋ
@wjyoun
@wjyoun Жыл бұрын
수고하십니다! 우리 모듈러 하우징! 아직은 가설 또는 임시건물 수준이네요! 아직은 절대 홈이 될 수 없는 숙소수준... 곧 자동차 같은 자동화 공정, 아이폰 같은 디자인을 기대해 봅니다! ^^ 철재프레임바닥+SS단열패널샌드위치벽+SS천장틀패널+설비공사+인테리어공사!
@user-uy5si3es1x
@user-uy5si3es1x 8 ай бұрын
포스코a&c, 현대엔지니어링이 만든 모듈 공동주택들 보시면 얘기 달라집니다. 외관은 어느정도 따라잡았고 영상에서 보여준 소규모 모듈 주택은 저렴하게 지은거여서 어쩔수 없는걸로 보여지네요
@yuyujink
@yuyujink 4 жыл бұрын
댓글들 맞는 말.. 고강도 소재라고 보기도 어렵고 볼팅 프레임 제작..
@chsh851016
@chsh851016 4 жыл бұрын
3:00 내가 공장장이었다면 바닥에 두꺼운 철판부터 수평으로 저 집 크기대로 블럭처럼 하나씩 하나씩 깔아줬을꺼다. 수평잡는데도 한참 걸리네 그 시간을 1년 2년 3년 단위로 묶으면, 집을 여러기 더 지을수 있을꺼다.
@maizer2
@maizer2 4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 그러네
@ABCDEUX
@ABCDEUX 4 жыл бұрын
말한 그 작업도 어마어마한 작없이고 그 블럭과 블럭끼리의 균형과 수평 맞추는 것도 어마어마한 일 근데 그렇게 한다해도 정확한 수평은 나오지 않음 물론 그 위에서 작업하는게 훨 편하긴 하겠음
@chsh851016
@chsh851016 4 жыл бұрын
@@ABCDEUX 생각보다 쉽습니다. 강철판 두께가 어마어마합니다. 저희 공장 바닦에 깔려있는데 넓이도 5m 길이도 10m 두께도 10cm입니다. 이게 바닦이 조금 차이가 난다고 그 부위만 푹 꺼질꺼라 생각하십니까? 휘지도 않습니다. 별다른 평타화 하지않고 놓는것 만으로도 충분한 수평이 잡힙니다. 거기에서 철판 몇개넣어서 수평 잡아주면 완벽하죠. 저희공장도 그렇게했는데 30분도 안걸림. 저기보다 더 심각했는데요
@effectpowerful7797
@effectpowerful7797 3 жыл бұрын
바닥 수평은 1세기때 지어진 건축물이라해도 기초인데 정말 중요한 기초작업임. 작업장 자체가 수평이 안맞으면 수평맞는 철판을 깔고 작업을 해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써서 더 많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생각을 하지. 저거 인력으로 맞추니까 시간도 걸리고 시간 걸리면 가격은 더 오를 것 아녀..;; 컨테이너박스 이런 집들은 놓을때 수평작업이 정말 중요함.
@user-rz8hh8jn1k
@user-rz8hh8jn1k 3 жыл бұрын
@@maizer2 어차피 집지을때마다 매번하는건데 한번해놓고 그위에 올리는게 쉽죠 ㅋㅋ
@lasmill8609
@lasmill8609 4 жыл бұрын
설치하면서, 바닦에 솔입은 치우고 올려놓는게 좋을꺼 같은데, 그냥 올려놓네요. 저러면 철로된 바닦이 훨씬 더 빨리 녹이습니다.
@user-gs3ir7mp7q
@user-gs3ir7mp7q 4 жыл бұрын
저도 보면서... 좀 치워 주시지라는 생각이 들지만, 어짜피 바닥이 노출이라면..ㅠㅠ 이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청소 부탁 해요!!
@stanfordleeham8922
@stanfordleeham8922 4 жыл бұрын
조립식 건설부품 및 건설설비부품 또는 개조부품 또는 큰 빌딩형 부품과 여러가지의 크래인
@user-vo8sm3gx6w
@user-vo8sm3gx6w 4 жыл бұрын
개발 예정지역에 알박기 주택! ㅋㅋㅋ
@tms6548
@tms6548 4 жыл бұрын
피스 사선으로 박는데 나만 불편한가...
@SSangtan19
@SSangtan19 3 жыл бұрын
주말 세컨하우스로 봐야할듯
@user-hg2hf9re3t
@user-hg2hf9re3t 4 жыл бұрын
스틸 소재로 저렇게 용접하고 페인트 대충 발라서 시공 하면 3년도 못가서 녹쓸어 내려 안음 ! 조선소 경력 25년차 경험으로 말함 !
@user-zs9wm8hs3d
@user-zs9wm8hs3d 4 жыл бұрын
점뭉가 의견 인정!
@user-lk5pu8hv7r
@user-lk5pu8hv7r 4 жыл бұрын
스테인레스스틸인데요?
@user-bh8ko6rb5b
@user-bh8ko6rb5b 4 жыл бұрын
녹 진짜 쓸어요..
@user-hd6zr8li9c
@user-hd6zr8li9c 4 жыл бұрын
서스는 바닷가에 10년세워놔도 녹은 안쓸던데
@user-hg2hf9re3t
@user-hg2hf9re3t 4 жыл бұрын
@@user-lk5pu8hv7r 스틸은 일반 쇠를 말합니다 금속 녹이 쓰는 제질 입니다 녹안쓰는 제질은 서스(일명 스텐레스) 304,309,316 SUS(서스)316 제질이 녹이 안쓸고 자석에 안붙어요 우리가 흔히 가정에 쓰는 수ㆍ저는 304 제질 입니다 자석에 붙어요 SUS 단가는 비싸도 장기간 사용을 한다면 서스제질로 만드네요 !
@chasukmin1115
@chasukmin1115 3 жыл бұрын
지진 에 안전 할것 같네요. 화재,지진,에 운전할것이다 같네요.
@il3584
@il3584 2 жыл бұрын
녹 잘나는 각관 쓰시네
@kkoopper
@kkoopper 4 жыл бұрын
과거 도장부스만드는 회사 다닌적있는데 바닥 시공 용접으로 다하고 판넬 벽씌우고 했는데 볼팅으로 집짓는건 첨보네요 볼팅 많이 박으면 하중 버티긴 하나보네요
@bitgunzang
@bitgunzang 4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요 단열제 뭐로 하는건가요? 석면처럼 보이던데 위험하지는 않나요?
@user-fp9op1ht7f
@user-fp9op1ht7f 4 жыл бұрын
일반 각파이프랑 아연각파이프 가격 차이가 5천원 나요 큰각파이프 기준
@user-pf1jd2di3h
@user-pf1jd2di3h 2 жыл бұрын
공장 바닥을 외부용 수평몰탈로 수평을 잡기가 편합니다 수평 몰탈을 방통치듯하면 강도가 뛰어나서 작업하는데 좋을듯합니다 아님 콘크리트 바닥을 면갈기를 하든지 해서 공장 수평 부터 잡고 하시지 ......
@graybit0x282
@graybit0x282 4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좀 안되네요. 작업장 바닥 수평이 안맞는다고 나무 목판을 받히고, 레이저 수평기로 수평을 재는 작업을 4일간 한다는데 매 작업마다 그럴바에는 공장 바닥을 전체적으로 수평 맞추는 작업을 진행하는게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에초에 수평 작업을 저렇게 하는 것 자체가 정밀적인 수평작업이 이뤄지지 않지 않나...싶기도 하고, 그 외에도 철골을 용접이 아닌 드릴로 나사와 볼트를 이용해 고정시키는 것이라던가 뭔가 작업이 부실하게 보이는듯한 느낌은 착각이겠죠..?
@user-wr7kv7tk3b
@user-wr7kv7tk3b 4 жыл бұрын
명색에 집인데 바닥 프레임을 피스로 박으면 피스가 그 무게를버텨줄까요...
@hrhsjpstar7691
@hrhsjpstar7691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건축자재도 조립식이 거의다 콘테이너 하우스같다 트레일러에 실어서 이동 하우스 재해하우스로 적격
@johnbollinger83
@johnbollinger83 3 жыл бұрын
단열은 잘될지 몰라도 결로 엄청생길듯
@tinyhouse74
@tinyhouse74 3 жыл бұрын
주택짓는거 몰랐을때는 오~~그랬는데 좀 알고 보니 댓글들이 모두 이해가 갑니다. 고단열이라고 하는데 머가 고단열인지 도대체 아니무리이다~~~.
@heaven4261
@heaven4261 3 жыл бұрын
단열 하나는 마음에 드는데 기초 프레임 나중에 분명히 녹슬 것 같네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크기와 가격을 알려주어야 제대로된 정보지
@verymue
@verymue 4 жыл бұрын
온돌이 없어서 춥겠네요.
@user-wf1bm7bd4w
@user-wf1bm7bd4w 4 жыл бұрын
배워보고 싶은 기술이긴 한데 집으로는 좀 힘들지 않을까???하는 걱정도 있네요 ㅎㅎ
@zomkim1412
@zomkim1412 4 жыл бұрын
1.기초 프레임은 볼팅만 하고 용접은 스킵. 볼팅도 사선으로 대충 때려박음 2.시공현장 기초 위에 낙엽은 수북하게 그대로인데 그냥 올림 3.사이드 외벽 단열은 열심히 하는데 한기가 올라오는 바닥과 천장 단열은 설명이 스킵된건지 작업이 없는건지 솔루션 제안 기초 프레임을 수출입 선박용 컨테이너로 교체하고 내외벽 천장 바닥 단열을 동일규격으로 실시하면 수평작업 공기 축소와 강도에 대한 우려가 줄어듬
@user-ds9lu7rw6u
@user-ds9lu7rw6u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목재 콘크리트보다 단단하다는것에 바로 끄고 나갑니다 ㅋㅋㅋ
@yahooooooooooooooooooo
@yahooooooooooooooooooo 4 жыл бұрын
천장이 부실하네요
@user-hb1di4mh2x
@user-hb1di4mh2x 4 жыл бұрын
가전이랑 다해서 원자재비 1000도 안될거같은데..글고 프레임에 나사박으면 저게견딤?
@user-fx8mq2ji9p
@user-fx8mq2ji9p 3 жыл бұрын
와아 용접도 안해 방송나오는데 바닥정도는 치울수도 있을건데 뿌듯하다니 ㅋㅋ
@jangkibaek1419
@jangkibaek1419 3 жыл бұрын
와관이 뽀다구가 없다!
@lolplo6115
@lolplo6115 3 жыл бұрын
괜찬은거 같은데요..조금더 크게 만들지
@erickyee4198
@erickyee4198 3 жыл бұрын
한국 처럼 겨울 여름에 온도차가 심한 지역에 쇠파이프로 뼈대를 하는 것이 수명이 짧을텐데.. 철판 콘테이너로 만든 집도 수명이 길지 않습니다. 해마다 방청작업을 해야 하고..
@user-pd7nv9do8m
@user-pd7nv9do8m 4 жыл бұрын
18:40초쯤부터 나오는 천막같은거는 이름이 뭔가요? 자체제작인가요?
@user-qy3ul8ms4t
@user-qy3ul8ms4t 4 жыл бұрын
가격이 얼마인가요?
@onair1010
@onair1010 4 жыл бұрын
벽체 단열은 그렇다치고 벽과 바닥, 천장 만나는 부분은 단열이? 거기다 완성품 올려놓을때 바닥 콘크리트 솔잎 쓰레기들 그대로인 상태로 올리는거 개불편... 바닥 단열재인줄
@pamhpamar919
@pamhpamar919 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부분이 상당히 걸리더군요. 벽과 바닥 천장과 벽부분 빈부분들이 많던데 잉? 저게끝? 싶더군요. 폼이라도 쏴서 채우던가 저게 뭔지..@@ 벽자체는 일반 목조주택보다 단열이 상당히 좋긴한데 이음새부분들이 저래놓으면 뭔 의미인지
@user-fm7um3et7y
@user-fm7um3et7y 4 жыл бұрын
Lee Jason / 제 생각도 그렇습니다. 한번 쓸어주는데 시간과 힘이 얼마나 들어간다고.. 성의 없이 작업을하네요. 나중에 밑에서 썩을듯..감독하는 사람 경력이 8년이라면서 개념이 없는듯..
@user-fw8jv4pi3j
@user-fw8jv4pi3j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아파트도 그렇게 만듦ㅋㅋㅋㅋㅋ 존나더러움 새집 화장실 천장안에 함 보세요 똥 담배곽 등등 존나 드러운거 많이나옴 더러워 진짜.. 나는 이거 일하던 친구한테 다들어서 아파트도 깨림찍해.. 안그래도 새집인데 화장실 등쪽에 검은나방파리 졸라많다는 민원이 많이 들어온다그럼
@liveroutine66
@liveroutine66 4 жыл бұрын
솔가지 나뭇가지좀 빗자루로 쓸어주고 앉히지~ 디테일 하지 않은 일처리가 쫌 그렇네요
@HUI2650
@HUI2650 4 жыл бұрын
저 주택은 천정과 벽이 만나는 부분이 철로 연결되어 결로현상과 열손실이 생겨납니다. 만약 일반 주택이라고 하면 하자덩어리이죠. 기초도 부실한데 단열도 부실합니다.
@skycoko
@skycoko 2 жыл бұрын
자동화 대량생산이 시급하다!
@user-vm2rm4mv3c
@user-vm2rm4mv3c 3 жыл бұрын
공장이나 창고등을 빠르게 짓는 경량철골 칸막이 방식으로 시공하는건데 저게 생각보다 튼튼하고 단열도 잘됨, 피스몇개로 고정해서 내구성이 별로다 라고 할 수도 있는데 육각피스를 시방서에 맞게만 박으면 엄청튼튼함 레이저도 수평수직잡는것도 허술해보여도 왠만한 아파트나 집도 저런식으로 잡음 측량을 암만 따도 어차피 공구리치면 비뚤어짐 내부는 저런식으로 잡음 피스로 박아서 안튼튼한게 아니라 피스간격이랑 개수를 봐야함 저 이상으로 하려면 H빔을 갖다 써야되는데 그러면 이동식주택을 못할듯 저렇게 많이 짓는곳이 학원, 상가, 학교, 공장, 창고등 빠르고 저비용으로 할수있고 개보수가 편리함
@user-gf9oc3hp1t
@user-gf9oc3hp1t 4 жыл бұрын
코킹은 영상에서 뺀거여? 아니면 안하는거여?
@user-zi3ik9co3s
@user-zi3ik9co3s 3 жыл бұрын
지방 건설시공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대충 지은 가건물 보다 저렇게 지어진 건물에서 지낸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면 큰 장점이 될것 같습니다. 저기서 평생사는게 아니니까
극한직업 - Extreme JOB_빠르게 뚝딱! 조립식 주택_#001
27:56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Full] 극한직업 - 문(門) 만드는 사람들 20140402
43:56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267 М.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738 М.
극한직업 - Extreme JOB_빠르게 뚝딱! 조립식 주택_#002
34:57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785 М.
자연이 숨 쉬는 건축, 한옥 / YTN 사이언스
44:53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78 М.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