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지도자 "두 분"께서 존경하던 이 일본군 장교는 어떻게 일본 재계를 장악했을까?! (feat. 세지마 류조)

  Рет қаралды 130,699

Cinemory

Cinemory

Ай бұрын

"불모지대"입니다. 재밌게 보시고 좋아요, 구독 부탁드려요~
감독 : 야마모토 사츠오
출연 : 나카다이 다츠야, 탐바 테츠로
Kevin MacLeod의 Ishikari Lore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
아티스트: incompetech.com/
Twin Musicom의 Video Game Soldiers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출처: www.twinmusicom.org/song/295/v...
아티스트: www.twinmusicom.org
Kevin MacLeod의 Bushwick Tarentella Loop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
아티스트: incompetech.com/
Twin Musicom의 Video Game Soldiers 라이선스가 부여되었습니다.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 creativecommons.org/licenses/... ) 출처: www.twinmusicom.org/song/295/v...
아티스트: www.twinmusicom .org ------------------------------------------------ -----------------------
- 1HMNC가 홍보하는 음악 - 저작권 없음 음악
• 트윈 뮤지콤 - 비디오 게임 솔저스 [C...
Audionautix의 Pendulum Waltz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아티스트: audionautix.com/
----------------------------------------------------------------------------
Song : 세상을 뒤바꿀 음악 - 전쟁
Follow Artist : bit.ly/3xEw7uC
Music promoted by DayDreamSound : • Video
----------------------------------------------------------------------------
Song : 세상을 뒤바꿀 음악 - 전쟁의 서막
Follow Artist : bit.ly/3xEw7uC
Music promoted by DayDreamSound : bit.ly/3LpZTvQ
⁃ Track Title : Final Impact
⁃ Music by yblmusic library
⁃ Track Link : • FINAL IMPACT | 비장하고 웅장...
----------------------------------------------------------------------------
Ashes Of A Fallen Year
• Scott Buckley - 'Ashes...
----------------------------------------------------------------------------
⁃ Track Title : Take Off
⁃ Music by yblmusic library
⁃ Track Link :
• 무료음악 | TAKE OFF |...

Пікірлер: 630
@user-charlesmililab
@user-charlesmililab Ай бұрын
정말 잘 봤습니다.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oh8gh5ms4e
@user-oh8gh5ms4e Ай бұрын
샤를 성님 영화에도 관심 있으시군용
@deepinside8049
@deepinside8049 Ай бұрын
이 형은 왜 또 여기에...ㅋㅋ
@Anonymous-yp6sg
@Anonymous-yp6sg Ай бұрын
형이 여기서 왜나와 ㅋㅋㅋ 아주 밀리터리 다 먹을거야 ㅋㅋㅋ
@R2D2NEKO
@R2D2NEKO Ай бұрын
오오 샤를공 !!
@newton9047
@newton9047 Ай бұрын
헐!!! 샤를대공께서 여기 오시다니!!!! 반갑습니다!!!
@dal22
@dal22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parkupaku8866
@parkupaku8866 Ай бұрын
쇼와육군이라는 책보면 저 양반 소련군 포로 있을 때 장교라서 굳은 일 안 했다고 합니다. 한 마디로 소설이 뻥
@Agent-qd6ch
@Agent-qd6ch Ай бұрын
밀고해서 좋은 대접 받았다는 소문도 있었다죠 ㅎㅎㅎ
@user-ix4uj4uz1y
@user-ix4uj4uz1y Ай бұрын
궃은
@user-te7dl7yp9b
@user-te7dl7yp9b Ай бұрын
​@@user-ix4uj4uz1y궂은
@pillseung1804
@pillseung1804 Ай бұрын
대본영 참모면 그냥 장교가 아니라 최 고위급 인데 일은 안했겠지
@user-uz4qr8bn8u
@user-uz4qr8bn8u Ай бұрын
굳은 일 안했으면... 말랑말랑한 일만 했나? ㅋ
@schmitt77
@schmitt77 Ай бұрын
이영화 불모지대의 실제 모델인 세지마 류조 라는 사람의 행적이 정말 우리나라의 70-80년대의 당시의 정치 경제 기획의 원류가 되었다니, 충격이 아닐수 없네요.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vintorezvss3554
@vintorezvss3554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화 소개 감사합니다
@Vulcanshin
@Vulcanshin Ай бұрын
한국에도 이 영화의 주인공과 유사한 경험을 한 사람이 있죠. 초대 공군 참모총장이었고 19대 국무총리를 지냈던 고 김정렬씨는 일본 육군에서 전투기 파일럿으로 복무했는데(종전시 ki-61 비연의 전대장 이었다고) 항복후 주둔지였던 버마에서 새 발령지인 일본 본토로 돌아가던 도중 중간 비행편을 육사 선배가 '넌 다음편을 타고 오라'고 하며 가로채서 할수없이 비행기를 양보했다가 그대로 발이 묶여 포로수용소 신세를 지게 되었다고 하죠. 이 영화 주인공하고 똑같은 코스를 밟은건데 이쪽은 양보를 강요당해 할수없이 먼저 가시라 했다가 붙잡힌거. 그래도 소련군한테 잡힌건 아니라서 그냥저냥 포로수용소에서 얼마간 있다가 귀국을 했는데 그사이 조선에선 좌익과 우익의 대립에 독립군과 일본군출신의 갈등 등등의 정치혼란으로 온 나라가 아사리판이 나있었던 터라 오히려 그런 혼란이 어느정도 가라앉고 난 뒤에 귀국한게 전화위복이 되어 무사할수 있었고 이전 직장 경력을 살려 신생 공군에 입대하게 됨니다. 그리고 영화에 나왔던 각종 부패와 뇌물의 향연 말인데... 무기거래 라는게 어느나라든지 구린내가 진동하는 사업이라 옛날부터 그랬고 지금도 그판은 향응과 뇌물이 기본입니다. 얼마전에 당선된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국방장관이던 시절 뇌물을 받고 무기도입 사업을 하는걸로 유명했지요. 한국도 무기도입사업만 하면 옛날부터 율곡비리니 뭐니 온갖 비리가 터져나왔습니다. (가장 어이없던건 미모의 로비스트가 벌인 몸로비를 받은 고위장성들이 그녀가 요구한 기체로 신형 정찰기를 선정한 사건이랄까...) 뭐만 하면 지랄 난리가 나는꼴이 징글징글해서 만든게 방위사업청인데 방사청이 생긴 이후로 그런 과거형 비리사건은 사라져 그 효과를 톡톡히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엔 국내 기업들이 전역한 군장성을 고용해 정부기관을 상대로 로비를 하거나 정보를 빼돌린다던가 하는 짓을 한다던지 정책자문기관이 자기네 기관의 영향력을 확대하느라고 독자 개발이 가능한 무기를 타국과 공동개발해 리스크를 줄이라고 요구한다든지 그 공동개발국이 돈도 제때 안주고 배짱부리는 속에서도 제대로 개발이 완료되어가자 이번엔 숫자를 반반으로 나눠 양산해 리스크를 줄이라고 한다든지 하면서 국내 기업과 기관이 분탕을 치더군요.
@expoexpo21
@expoexpo21 Ай бұрын
숭구리당당 숭당당~~
@ADSO_21
@ADSO_21 Ай бұрын
린다 킴 이죠? 신문 보도상이지만 정말 미모였죠. 그 로비스트와 관련된 이모장관이 구속될 때 우연히 만난적이 있었는데, 가혹행위를 당했다고 의사 진료를 몰래 요청하였죠. 사람들이 못들은 척 하니, 아무한테나 하소연한 셈인데, 사회 초년생으로서 당황했던 그 당시의 복잡한 제 심정이 떠오르네요.
@borishenkel9703
@borishenkel9703 Ай бұрын
일본은 돈. 한국은 여자 나부랭이. 가이 풍류의 민족답다.
@waveofwind
@waveofwind 27 күн бұрын
그 린다킴이랑 주고 받은 연서를 보면 기가 찹니다 ㅋㅋㅋ
@johncarre7135
@johncarre7135 26 күн бұрын
​@@waveofwind그것도 당시 안기부 권영해 부장쪽에서 이양호 장관의 내용을 과장, 부각시켜 실제 의도와 다르게 보도가 된 것입니다.
@joominjae1927
@joominjae1927 Ай бұрын
이번 주도 일요일 오전을 씨네모리로 시작하네요. 감사합니다^^
@dailynews365
@dailynews365 Ай бұрын
15:23~15:26분에 나오는 장면. 행진하는 장면은 2공화국 장면 총리가 정권의 핵심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던 경제 개발 사업 때 화면입니다. 모르시는 분들은 박정희 대통령 때 모습으로 오해할 수 있을 듯 해서 올립니다.
@user-qo8em1bk9s
@user-qo8em1bk9s 26 күн бұрын
쿠데타만 아니였어도...
@goraekikisan1231
@goraekikisan1231 26 күн бұрын
장면 장면 총리가 정권의 핵심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던 경제 개발 사업 웃기지 않는군요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수립하였다. 한국정부에 의한 경제개발계획은 그 이전에도 수립된 적이 있었다.이승만정권은 1958년 3월 대통령령에 의해 부흥부 내에 산업개발위원회를 설치하여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시하였다 곧 1960년을 기준으로 하는 경제개발 7개년 계획의 전반계획으로서 3개년계획 작성에 착수하였다. 1959년 초 시안이 완성되어 4월에 국무회의에 제출되었으나 관심을 끌지 못하다가 1960년 4월 15일에야 채택되었다. 부흥부 산하 산업개발위원회가 주도한 〈경제개발 3개년계획(1960~1962)〉(이하 ‘3개년계획’)은 미국의 원조가 삭감되고 난 뒤에 수립된 것으로 원조삭감에 따른 위기감을 반영하고 있었다. 즉, 미국은 1960년도부터 수혜국의 원조액을 매년 줄이고 중단해도 자활할 수 있는 장기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조건을 설정하였는데, 이에 따라 유솜당국이 한국경제자립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3개년계획에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실패한이유는 정실 및 정치적 압력도 국토개발사업의 진행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국토개발사업의 예산배정이 지방의 실정이나 요구를 무시하고 국회의원들의 정치적 협상에 의해 결정되었고 민주당 소속의원들이 시공업자들과 결탁하여 국토개발사업의 계획을 변경하기도 하여 물의를 빚어내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국토개발사업은 장기적인 계획이 아니고 임기응변적이고 전시적인 계획에 불과하였으며, 공사지선택에 정실과 정치적 압력이 개입하여 실패할 수 밖에 없었다. 이승만 정권때 만들었고 윤보선 정권때 재수정 했지만 민주당이 비리로 다시 개판이 됨 전면수정한것이 바로 박정희 정권때 완성된것임 그 윤보선하고 장면하고 이승만 정권 독재타도 때문에 정권이 들어와도 그들은 대가리 안돌아가는 인간들인데 무슨 경제개발을 말도 안되지 그리고 제3공화국 떄부터 만듣게 전면 재검토와 수출을 해야만 산다 미국에 많이 수출해서 돈을 벌어야 한다 그 기초가 된게 경부고속도로 입니다. 그걸 만든이유가 연암 박지원 열하일기 나온것이고 청나라 발전돼는 이유는 바로 규격에 맞는 벽돌 규격에 맞는 제품을 만들었고 길을 바르게 놓아서 유통망이 빠르게 발전한것임 그래서 만든것이 경부고속도로입니다. 금융실명제 제5공화국 장영자 사건으로 김재익 경제수석비서관 전두환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실행할려고 했지만 3허중 허화평이 반대를 많이 해서 무산됨 YS정권때 만들어짐
@kidultvideo1504
@kidultvideo150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상의 코멘트에 더더욱 감사합니다 😊
@idealist_87
@idealist_87 Ай бұрын
언제나 잘보고있습니다 ❤❤❤
@bianhwa4961
@bianhwa4961 23 күн бұрын
몰랐었던 이야기를 많이 듣고 가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user-cm3kh1qs5d
@user-cm3kh1qs5d Ай бұрын
일단 좋아요 먼저박고 감상
@user-gi4hg2rg1r
@user-gi4hg2rg1r Ай бұрын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KoreanSpy1997
@KoreanSpy1997 Ай бұрын
솔직히 부상당한 동기생을 그대로 뒀다면 심문당하다 죽었을텐데 구해준건 이성적으론 정답은 아닐지언정 비판당할 선택은 아니라보네요.
@user-dr3cj3hk3z
@user-dr3cj3hk3z Ай бұрын
책에서는 일본에 다시 돌아와 근 1년 동안은 도서관에서 십년전 신문부터 지금까지 다 읽고 그 사이 군에서의 동료,부하 모두 자기의 인맥을 통해 취직 시키고 나중에 마루베니 종합상사 총수가 되는 내용 입니다. 저도 신입사원때 감명깊게 읽었던 책 입니다
@Mangomilk123
@Mangomilk123 Ай бұрын
같이 갈 수는 없었나요?
@grimmfill
@grimmfill Ай бұрын
세지마 류조는 작전 능력 부족에 좌천되어 관동군으로 갔다가 소련군에 잡혔습니다. 영관급 장교에다 소련군에 동료를 밀고한 대가로 편안한 사무직으로 포로 생활을 했습니다. 특정 인물이 소설이나 영화 때문에 실재와 전혀 다르게 미화되고 영웅시되는 일이 있는데 이 인물이 딱 거기에 해당하는 인물입니다. 허풍 세고 거만하고 무능력하면서도 비급한 것이 무타구치 렌야와 츠지 마사노부를 섞어 놓은 것 같은 인물입니다. 우리나라에 많이 연결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truth1472
@truth1472 Ай бұрын
​@@Mangomilk123 경비행기였겠죠. 자리가 없으면 못 탑니다.
@yowa5642
@yowa5642 Ай бұрын
@@Mangomilk123 저때 경비행기는 거의 글라이더 수준이라... 거기에 의무병들도 동승시켰을거고, 만주에서 일본 열도까지의 거리와 그에 필요한 연료도 생각하면 자리가 없는게 더 그럴듯하죠.
@hanniballecter4874
@hanniballecter4874 Ай бұрын
일본 종합상사는 진짜 대단하지 쟤들이 일종의 정보원이라서 평시에도 온갗 정보 다 가져다줌
@joonhoseok6624
@joonhoseok6624 Ай бұрын
당시 일본에게는 가장 큰 위협인 소련군의 폭격기를 요격하는데 레이더+20mm발칸+속도(마하2)를 가진 F-104만한 전투기가 없었죠. 항자대가 20년간 230대를 운용하면서 손실한 기체는 3대에 불과합니다.
@buckston201
@buckston201 14 күн бұрын
사실 스타파이터 자체는 요격기로서는 큰 문제가 없었죠 다만 그걸 가지고 유럽에서는 전폭기로 써먹을려고 하다보니 과부제조기가 된것이죠
@coolpis614
@coolpis614 25 күн бұрын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user-pf1ze2fv4b
@user-pf1ze2fv4b Ай бұрын
15:25 만주에 10년 살면서 불모지대 등으로 만주국과 한국의 연결점을 깨달았었습니다. 영화 리뷰에 머물지않고 이런점까지 코멘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ndersonic4176
@andersonic4176 29 күн бұрын
민주국처럼 소멸을, 중공과 북괴가 대한민국의 앞길에 공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 것인가?????????? 사실 가장 심각한 문제인데...............??????????????????????
@gogowow54
@gogowow54 22 күн бұрын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네요. 잘 봤습니다. 고마워요.
@user-gl3yr7rp1b
@user-gl3yr7rp1b 28 күн бұрын
일본 대학에서 전쟁영화에 관한 수업을 듣고 있는데 옛날 영화들이 많아서 이해하기 좀 힘들었는데 씨네모리님 영상을 보니깐 이해가 굉장히 잘 되더라구요 ... 늘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lobbopus72
@Clobbopus72 29 күн бұрын
이 불모지대 소설을 쓴 작가가 하얀거탑도 집필한 야마사키 토요코입니다. 야마사키 토요코가 우파성향이 있었죠. 불모지대 드라마도 티빙, 웨이브, 왓챠에 있으니 한번 보세요 재밌습니다 ㅎㅎ 2003년판 하얀거탑 주연이었던 카라사와 토시아키가 불모지대 드라마판에서도 주연으로 나오는데 쇼와시대 연기를 잘해요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17 күн бұрын
우와 티빙에 있네요 봐야겠다 감사합니다. 하얀거탑 진짜 재밌게 봤었는데 대박
@user-rr6oz9qi1m
@user-rr6oz9qi1m Ай бұрын
33년전 고등학교때 국어 선생님이 극찬했던 불모지대가 영화화된것이 있었군요..
@rokafis535
@rokafis535 Ай бұрын
5:05 하필 참관을 해도 과부제조기 연필을 참관하시다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ppleJimed
@AppleJimed Ай бұрын
동맹국들한텐 저거 외엔 대안이 없었는데 어캄 ㅋㅋㅋㅋㅋ
@user-rz8hp1oo1y
@user-rz8hp1oo1y Ай бұрын
근데 과부제조기가 무슨 말이에요?
@rokafis535
@rokafis535 Ай бұрын
@@user-rz8hp1oo1y 비전투손실이 엄청나서 과부가 많이 만들어졌다는 의미입니다.
@PPSh.41
@PPSh.41 Ай бұрын
의외로 일본은 거의 손실 없이 잘써먹었다고 하네요
@rokafis535
@rokafis535 Ай бұрын
@@PPSh.41 요격기 임무에 충실했다고 하죠 ㅎㅎ
@junkim4735
@junkim4735 Ай бұрын
세지마 류죠 .박정희가 육사선배로서 존경했죠..김종필 일본으로 보내 항상 의견들었다고.전두환에게는 올림픽 개최로 정치적 위기 벗어나라고 조언하고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Ай бұрын
신경 군관학교가 언제 일본 육사가 돾나 ? 좀 알고 써라. 박정희는 신경군관학교 위탁생으로 일본육사에 본과 위탁교육을 받고 1944년애 신경 군관 학교로 와서 졸업하고 소대장으로 임관한 사람이다. 길림에서 생존했던 박정희 신경군관학교 동창의 증언들이 버젖이 있는데 이딴 개 구라를 치고 있냐 ? 신경군관 학교는 2+2 (예과 2년 + 본과 2년)로 되어있는데 반도출신 조선인과 일본인은 예과2년만 만주에서 교육받고 본과 2년은 일본육사에서 위탁교육후 본교로와서 졸업과 임관을 하는구조다, 이런 구조를 잘 모르는 자들이 박정희가 장학생으로 일본 육사에 편입했느니 하는 개 구라를 시전한게 진짜 처럼 된거다. 우리나라 식으로 말하면 자동소총 무장도 금지되서 방위 정도 바게 안되는 만주군 소대장에 일본육사 졸업생이 임관 된다는게 말이 되나 거기다 전쟁 말기라 일본군도 소대장이 귀한 판국인데.
@han7594
@han7594 29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한국인 일본인은 조금만 친해지면 통하는 부분이 있으니..국적이나 정책과는 다르게 물심양면으로 도와주는 면이 있죠...
@juyeoungoh4166
@juyeoungoh4166 24 күн бұрын
친일파들끼리 잘 놀았지 특히 이병철 밀수범
@SGT_Bong
@SGT_Bong Ай бұрын
일요일 아침 최고의 선택
@user-ie6kw8vs9q
@user-ie6kw8vs9q Ай бұрын
45년전 군생활때 진중문고에 전집으로 있던 新大閥 꽤나 감명깊게 읽었는데 나중에 불모지대로 다시 나왔었죠. 감회가 새롭네요
@yowa5642
@yowa5642 Ай бұрын
소련의 5개년 계획 - 만주국의 5개년 계획 - 한국의 5개년 계획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는 경제정책들이죠. 한국의 경제성장 모델은 사실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들이 많았다는 이야기도 사실 여기서 나온 모순이고요.(사채동결조치나 그린벨트나 등등)
@user-rp4wp6gw6e
@user-rp4wp6gw6e 25 күн бұрын
잘 알고 계시군요. 박정희 대통령을 뺄수가 없는데. 이걸 장면정부꺼라고 역사왜곡자들이 요즘 많이 떠들고 다니네요.
@user-sh8ye8qb8k
@user-sh8ye8qb8k 2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소련이 잘살아?? 망했어~~ 만주국 잘살아?? 망했어..~~ 대한민국 잘살아?? 존나 잘살어 ㅋㅋㅋ 이게 팩트다 ~~ 박정희 대통령께서는 5천년간 그 누구도 못한 경제 성장을 이룸 ㅋㅋ
@chrisliem100
@chrisliem100 23 күн бұрын
한국 의 경제 발전이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하여서는 않된다는 헛소리. 유럽은 200년을 아프리카 와 남미를 식민지로 하여서 경제 를 일으킨것은 알고나 있는지 모르겠다.
@pastmemories1035
@pastmemories1035 21 күн бұрын
한국의 경제시스템은 소련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고스쁠란, 콤비나트,콜호즈 등) 주민통제 관련 제도 등은 동독(슈타지가 통일 직전까지 설립 운용한 전국 중앙집중 카메라 감시 동선추적 시스템, 학도호국단, 과거 출입국법, 국토건설대) , 주민등록번호는 구 유고연방의 JMBG(자리수 및 공식 동일, 현재 크로아티아를 제외한 구 유고 6개국 그대로 사용중) 에서 도입되었습니다. 다만 사법체제는 영국 미국 캐내다의 영미법을 도입했습니다.
@mrcha0501
@mrcha0501 20 күн бұрын
박정희 대통령의 만주군벌에서의 경력이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도움이된거죠...
@danjjakchinguTV
@danjjakchinguTV 21 күн бұрын
'불모지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t5je5uw5z
@user-jt5je5uw5z 29 күн бұрын
이런 영화가 있었군요...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Empire_KOREA_1897
@Empire_KOREA_1897 Ай бұрын
이번 주 일요일에도 씨네모리님 영상으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매주 일요일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w3sn3kz1u
@user-xw3sn3kz1u Ай бұрын
샤를이 직접 와서 찬사를 보낼만한 채널 답다, 뭐 영상사학이란 분야기 있다면 이분은 토인비급
@user-yb3kq7de4c
@user-yb3kq7de4c Ай бұрын
샤를이 누구??..??😊
@truth1472
@truth1472 Ай бұрын
​@@user-yb3kq7de4c 이세환 기자의 별명입니다.
@user-qm6uz3fk8c
@user-qm6uz3fk8c Ай бұрын
진짜요? 혹시 무슨 영상에서 그리 말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Korean_Bubbeger
@Korean_Bubbeger 28 күн бұрын
​@@user-yb3kq7de4c샤를 드골이라고 프랑스에 유명한 장군님이 있습니다
@centurionkwk
@centurionkwk Ай бұрын
역시 세지마 류조 얘기였네요. 저도 이 사람한테서 배운 게 있어요. 군에 있던 시기에서는 별로 관심 없지만. 저 양반 덕에 이토추상사는 오일쇼크의 와중에 남들 다 죽는다고 난리칠 때 홀로 돈에 깔리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오일쇼크를 미리 예측하는 과정이 정말 비범합니다. 저도 저 사람이 롤모델이에요.
@user-iu4lh8wm7s
@user-iu4lh8wm7s 23 күн бұрын
와 형 멋지다!! 마지막 짤 인정
@Kemal_Pasha
@Kemal_Pasha Ай бұрын
어려운 영화를 재미있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pair9151
@repair9151 Ай бұрын
아무리 포로 생활이 편해도 13년이면 나락 갈만한데 버틴 것도 대단하고 40대에 재기해서 비지니스맨으로 성공까지..약간이지만 저도 생기가 도네요
@haengbok-yee2662
@haengbok-yee2662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영화 감사합니다
@mohanchoi4194
@mohanchoi4194 27 күн бұрын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씨네모리!
@johncarre7135
@johncarre7135 26 күн бұрын
세지마류조는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에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게이단렌의 운영자로 일본이 러시아의 무역 관계 개선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TV-xy8qh
@TV-xy8qh 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좋냐? ㅋㅋ 지금도 틈만나면 우리 능욕의 추억에 빠져있는 일본 극우 지배세력 일 뿐이다
@Mangomilk123
@Mangomilk123 Ай бұрын
일욜 아침의 시작은 씨네모닝
@newton9047
@newton9047 Ай бұрын
이 소중한 채널이 아직 10만이라니.. 적어도 10배는 떡상해야하는데...
@user-vb5zm3jn5o
@user-vb5zm3jn5o Ай бұрын
일요일은 씨네모리님의 가르침을 받는 유익한 시간입니다.
@Ramune245
@Ramune245 Ай бұрын
일본 방산업계의 정경유착과 비리는 한국보다도 심하다던데 그 뿌리가 저기서부터 거슬러올라온거군요
@reich-558
@reich-558 Ай бұрын
그리고 독점점유 이기 때문에. 대를 잊는 형식이에요 치고 들어올수가 없는 구조
@AppleJimed
@AppleJimed Ай бұрын
러시아보단 낫지만 한국보단 확실히 심했죠 근데 요즘 국내 방산업계 꼬라지 보면 둘다 거기서 거기인지도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Ай бұрын
@@AppleJimed 요즘 국내 방산업계는 예전보다 훨씬 나은데요?? ㅋㅋㅋ
@user-fv2hc3xz7k
@user-fv2hc3xz7k Ай бұрын
​@@user-ft4so6vd2h 여전한데?
@AppleJimed
@AppleJimed Ай бұрын
@@user-ft4so6vd2h 군사기밀 빼돌리다 적발된 사례까 수두룩한데요? 뉴스 안보고 사심?
@johnshin3410
@johnshin3410 16 күн бұрын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알게된 매우 흥미로운 내용이었습니다.
@user-mh3tw9rk5y
@user-mh3tw9rk5y Ай бұрын
씨네모리님 영상 기다렸어요ㅎ
@Agent-qd6ch
@Agent-qd6ch Ай бұрын
저 아재가 서울 올림픽 유치하는데 도움(상대가 무려 자국 나고야)을 줬다는 썰도 있고... 이유가 일본 우익스럽지만ㅋㅋㅋ 여튼 입체적인 인물임
@saltandsteelforever9242
@saltandsteelforever9242 Ай бұрын
이 영화는 일본 후지TV가 여류 소설가 야마자키 도요코 원작으로 2011년경 일본의 국민연기자 가라사와 후토시 주연의 대하드라마 '불모지대'로 다시 탄생시켰습니다. 소설도 읽어 봤는데 우리 재벌기업들의 무역업무와 접대문화가 일본 무역상사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듯 합니다.
@daleparker1484
@daleparker1484 25 күн бұрын
20세기 한국의 모든것이 일본것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기한것임. 97년에 일본지하철 탔을때도 그렇고 직장배치부터 군부쿠데타까지. 다른거 하나는 일본은 전후 학교에서나 직장에서나 못 때렸는데 우린 21세기 들어서야 폭력에서 벗어났다는거
@ebonytears6714
@ebonytears6714 23 күн бұрын
가라사와 토시아키.
@park941026
@park941026 Ай бұрын
씨네모리님 마지막 영상 설명부분에 나오는 브금은 뭔가요?
@peterchoi6598
@peterchoi6598 Ай бұрын
일본으로 돌아와 몇달동안 10년간의 신문기사를 모두 정독하고 세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단기간에 파악해버렸다고 하던데 선악을 떠나서 굉장히 우수한 인재였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user-jp4tw4vh8n
@user-jp4tw4vh8n Ай бұрын
일요일 아침의 활력소 언제나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user-jj4hh2lc7b
@user-jj4hh2lc7b Ай бұрын
1976년 록히드 사건 영화도 소개해 주세요.
@osolgil719
@osolgil719 Ай бұрын
세지마 류조. 뻐꺼. 궁금한거. 일본 영화 볼 때마다 느끼는거. 영상이 톤이 다 비슷해보이는데 당시에 모두 비슷한건지 아니면 특정 영화사의 시리즈물인지 궁금합니다.
@user-pz9dg8hb6u
@user-pz9dg8hb6u Ай бұрын
우연히 클릭했다가 정주행했네요 잘보고 갑니다^^!!
@user-ux1kj4ir1f
@user-ux1kj4ir1f Ай бұрын
여러모로 대한민국 현대사에존적을 남긴 사람이죠 박정희 상관으로써 등극하자마자 밀사로 한국에 오고 한일협정때 받은 보상금 일부를 리메이트 형식으로 자민당 선거 자금으로..., 5공 시절에는 올림픽 유치. 여행자유화, 제2 항공사 설립 조언등
@sata2023
@sata2023 Ай бұрын
통해. ⭕ 이번 영화도 잘 보고갑니다. 🎴 앞으로도 좋은 영화 소개. 부탁드립니다.
@user-pr6rr4xx6d
@user-pr6rr4xx6d Ай бұрын
지금도 일본 항공판 돌아가는 것은 저때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음. 어른들의 사정으로 돌아가는 달달한 세금. 사살상 세금으로 운영되는 가와사키중공업, 미쓰비시중공업, IHI. 알뜰하게도 세금을 나누어 먹고있음. 유명한 일화 중 하나가 P-1초계기 개발입니다. 사이즈가 737정도인 항공기에 엔진을 4개를 붙이는 기행을 벌였죠.(엔진이 4개면 비용도 비싸고 연료소모가 많음) 국회감사에서 의원들이 왜 엔진을 4개를 달아서 만드냐고 하니 대답이 걸짝 "2개는 불안해서 탈수가 없다는 시전함" 이유는 다른 것이 아니라 당시 IHI에서 개발한 엔진코어사이즈가 작아서 2개로는 필요출력이 나오지 않았음. 그래서 4개를 장착함. 그런데 사실 마음만 먹었으면 737이나 A320neo에 달리는 고성능엔진을 수입해서 달 수 있었지만 IHI를 먹여 살리기 위해서 4개를 장착함.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 Ай бұрын
하긴 일본은 그 자국산을 고집하는 똥고집이 지금도 그대로 내려오고 있지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면 안 되면 최고급품을 수입해서 짜맞춰서 더 우수한 물건을 만들어내도 하니까 말입니다. 대표적인 물건이 바로 프랑스 엑조세와 미국의 하픈의 기술에 최종적으로 러시아의 Kh-35 대함 미사일 기술을 뜯어와서 그 셋의 장점을 짜맞춰서 만들어낸 해성 대함미사일이니까 말입니다. 해
@byeongcheolkim6353
@byeongcheolkim6353 Ай бұрын
MRJ만 삽질하는줄 알았는데, 군용기도 피차일반이군요…. 우리나라는 좀 다르게 kfx마무리가 됬으면 싶네요 😢😢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 29 күн бұрын
@@byeongcheolkim6353 적어도 일본은 미쓰비시에게 방산업을 다 맡기고 난 뒤에는 나몰라라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 정도는 아직은 아니니까요.
@user-tm8mu4ul9r
@user-tm8mu4ul9r 23 күн бұрын
BAe 146 시리즈가 저출력 저소음엔진을 4개로 분산장착해 도심지 공항에도 통근운항용으로 운항할수있게 만든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BAe 146은 비록 경제성 때문에 성공했다고 볼수는 없지만 경제성보다는 정숙성이 더 우선인 P-1에게는 오히려 알맞는 선택 이었다.
@user-pr6rr4xx6d
@user-pr6rr4xx6d 23 күн бұрын
@@user-tm8mu4ul9r 그래서 C2에는 CF6계열을 달았나 뭔 말같지도 않는 소리야
@user-nz5ul6ug1y
@user-nz5ul6ug1y Ай бұрын
어디서 또 이런 영화를 주워 오셨나ㅋ ㅋ 재밌네요
@user-jr6vq5xp3l
@user-jr6vq5xp3l 2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뱃때지에 기름이 낄 정도로 살게 된 것은 아닐까...
@rlee4805
@rlee4805 Ай бұрын
영상 해설 감사하옵니다
@zumvozet
@zumvozet Ай бұрын
이거 다음편으로 최근세 리메이크된 동ㅈ명의 드라마 요약을 올려주세요.😮
@patrickstar98766
@patrickstar98766 Ай бұрын
일요일은 여는 씨네모리 감사합니다
@iiiiiii4138
@iiiiiii4138 Ай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최고의 영화 채널
@hanul759
@hanul759 Ай бұрын
8:32 보는 동안 그랜트항공사가 어딜까 하다가 여기 나오네요 f-11 그루먼을 일본 사람들은 그랜트라 하나 보네요 사족 하나 - 록히드 f104는 미사일 같은 전투기라 그냥 고속으로 직진만 해서 적 폭격기 요격용 저항을 줄이기 위해 작은 날개를 사용해서 급격한 기동이나 급받음각에 실속이 잦았음 f-11 타이거는 기본태생이 함재기라 항공모함에서 이착륙을 해야하기에 기본 운동성능, 저속안정성은 보장되어 있음
@sujason2055
@sujason2055 29 күн бұрын
지금의 경제발전과 후진국 탈피가 어떻게 되었나 생각해 보길..
@oo-gs5wr
@oo-gs5wr Ай бұрын
모리짱. 다이묘 영화도 재생목록 만들어줘요
@inevitableiam6506
@inevitableiam6506 Ай бұрын
이런 영화 볼때마다 우리나라랑 일본은 참 많이 닮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miracle-sb6go
@miracle-sb6go Ай бұрын
소개해 주신 영화들 다 보고 싶은데 한국에서는 볼 방법이 없겠죠?
@uranus8135
@uranus8135 Ай бұрын
이토추 상사의 세지마 류조 이야기
@user-bi2gz6vp5e
@user-bi2gz6vp5e Ай бұрын
따봉 우선 누르고 감상 합니다 ㄱㄱ
@tnkm93
@tnkm93 Ай бұрын
이거 드라마도 재밌어요ㅎㅎ
@amen2862
@amen2862 26 күн бұрын
특정 분야 좋아하는 사람들한탠 정말 천금같은 유튜버임
@jinain
@jinain 21 күн бұрын
반대로 특정 역사관을 싫어하는 부류들에겐 별로겠네요
@user-ry2dk4ef9b
@user-ry2dk4ef9b Ай бұрын
나카다이 타츠야는 정말 멋있네여.
@user-xi9zy5wo5d
@user-xi9zy5wo5d Ай бұрын
세지마 류조 그리 만만한 인물이 아니죠... 남들보다 빠르게 바뀌는 세상을 보고 거기에 맞게 계획하고 준비하던 사람... 구일본군 출신들중에 그나마 깨어있던 인물이니... 한국에도 인연이 있다보니 당시 최고 지도자들과는 어느정도 통하는 점도 있고 만주에서 지내던 인연들이 한국 정재계에 다 있다보니 누구보다 양쪽의 생각과 입장을 다 아닌 인물 세지마 류조가 직간접적으로 한국의 발전에도 도움아닌 도움이 되었죠....
@sooncho88
@sooncho88 Ай бұрын
불모지대 드라마는 명작이었죠
@Babybob007
@Babybob007 29 күн бұрын
저도 영화 후반부의 실제인물 세지마 류조와 과거 한국 군부정권 수장 2명과의 관계와 정책방향을 보면 참.. 정말 말씀하신대로 성과와는 별개로 그 과정이 좀 씁쓸하긴 합니다. 이런 영화는 알지도 못했는데, 또 새로운 영화 하나 잘 감상하고 갑니다. 본래 일본영화는 재미없어서 아예 관심이 없지만, 이런 옛날영화들은 또 압축본이지만 나름의 재미가 있네요.
@robotcobit6439
@robotcobit6439 Ай бұрын
이 시절 일본영화는 멋있어 먼가 선이 굵고...배우들도 멌있고
@user-vt1ih2zv5g
@user-vt1ih2zv5g Ай бұрын
크....뭔가 한자와 나오키 본 기분이네요 명작인듯
@Clobbopus72
@Clobbopus72 29 күн бұрын
불모지대 드라마판이 한자와 나오키와 비슷합니다. 나레이션이나 극중 분위기가 정적으로 흘러가죠
@user-vt1ih2zv5g
@user-vt1ih2zv5g 29 күн бұрын
@@Clobbopus72 고맙습니다.
@user-zt8nr3rl2c
@user-zt8nr3rl2c Ай бұрын
매주 "더 흥미있는 주제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라는 공약을 지키시는 게 존경스럽습니다.
@joo0729
@joo0729 Ай бұрын
댓글창이 요란할뻔했음............
@thelarubix5266
@thelarubix5266 Ай бұрын
으아 씁쓸한 정도가 아니네요.
@younghoha7509
@younghoha7509 Ай бұрын
캬 불모지대 이 소설. 사업하시던 우리 아버지 세대들에서는 비지니스 바이블 격인 소설이었죠. 소설의 흡입력이 어마무식했지만, 일본 우익의 시각에서 바라본 시각이 생경해서 도저히 맘에 들지 않았던 소설. 이 소설의 변종이 섹스로 사업했던 XX 과장이라는 만화였죠.ㅋㅋㅋㅋ
@user-mo8wr3zn7r
@user-mo8wr3zn7r Ай бұрын
아하.........그게 그렇게 =_=
@user-nu2vp6lx8m
@user-nu2vp6lx8m 29 күн бұрын
시마과장 이제 시마사장됬나요???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29 күн бұрын
​@@user-nu2vp6lx8m회장까지 다 해먹고 고문하다가 사외이사됬습니다 ㅋㅋㅋ
@user-iz5qc9fi4m
@user-iz5qc9fi4m Ай бұрын
불모지대 드라마는 봤는데 영화도 있는줄 몰랐네요
@GodblesstoJC
@GodblesstoJC Ай бұрын
카라사와 토시아키 주연 2009년 후지테레비 드라마판 여러번 봤었는데 이렇게 영화로도 보니 역시 재밌네요. 영화는 당시 원작이 완결이 안 나서 드라마와 결말이 다르다는군요 ㅎ
@user-zi5yg9hf4q
@user-zi5yg9hf4q Ай бұрын
불모지대 드라마로 본적 있네요 소설작가 분이 하얀거탑 화려한일족 등등 히트작이 많은걸루 알고있습니다 이영화에 실존인물 세지마 류조가 이토추상사를 키웠고 박통의 관동군 인맥으로 일본과의 국교재개시 활동을 많이했죠
@user-zo9zs4hg7y
@user-zo9zs4hg7y Ай бұрын
기억하겠습니다 세지마 류조.. 감사합니다~!
@wahrebeobachter
@wahrebeobachter Ай бұрын
채널에서 586 냄새 엄청 나요.
@everythings66
@everythings66 Ай бұрын
불모지대 드라마도 있음 이키 타다시
@Jefferson-tl2oo
@Jefferson-tl2oo Ай бұрын
소설 보면 저 사메지마랑 물먹고 물먹이는 관계인데 사메지마 아들내미는 이키 딸과 교재 하며 속옷 차림으로 이키 집안 돌아다니며 냉장고 맥주도 마시는 사이가 되어 두 남자 골머리를 앓던...
@John_Horace_Kim
@John_Horace_Kim Ай бұрын
'이키 타다시' 역할을 맡은 배우가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카게무샤' 주인공 역할도 맡지 않았나요???
@parkmj2869
@parkmj2869 Ай бұрын
내나이 50이 넘게 살았지만 세지마 류조는 처음 들어보는데 와... 단지 일본의 경제계가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 정치를 쥐고펴락한 인물이란게 참 흥미롭게 느껴지네요 지한파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결과적으로는 꽤 대한민국 역사에 나름 네임을 남긴 인물일듯
@cho82me262
@cho82me262 Ай бұрын
그시절감성이 좋네
@hongkongmrkang
@hongkongmrkang Ай бұрын
죠스바에서 뿜었습니다ㅎㅎ😊
@user-xf6ms5ti6c
@user-xf6ms5ti6c 29 күн бұрын
저도요 ㅋㅋㅋ
@hongkongmrkang
@hongkongmrkang 27 күн бұрын
@@user-xf6ms5ti6c 옛날 사람이시군요 저도ㅎㅎ
@user-he4hx6mz3s
@user-he4hx6mz3s Ай бұрын
경제개발계획이 일본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수도 있지만, 한국이 자력갱생을 하려고 할때 참고서 정도로 본게 맞을수도 있죠. 미국이 지도했던 경제개발방식은 한국실정하고는 너무 안맞아서리... 영향을 받은것도 있겠지만, 참고만 한것도 맞는 것 같은 느낌.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24 күн бұрын
한국의 경제발전은 그냥 일본을 롤모델로 한 것입니다. 눈가리고 아웅은 이제 그만. ‘빨리빨리’ 압축 근대의 뿌리는 만주국 (1999, 개정판 2007), (공저, 2008)을 지었고 만주학회 회장을 역임한 만주 전문가 한석정 동아대 사회학과 교수가 10여년 연구성과를 집대성했다. 만주국 정부간행물, 신문, 1960년대 와 언론 자료, 귀환자들 인터뷰 등을 모아 1930~40년대 만주와 60년대 한국을 연결하는 커다란 그림을 그렸다. 지은이는 1960년대 한국의 ‘불도저식 재건 체제’를 만주국(1932~45)에서 본떴다고 분석한다. 식민지와 근대가 복잡하게 뒤엉킨 60년대 한반도 체제가 만주국의 속도전과 총력전을 변용, 모방했다는 점을 이 책은 정교하게 보여준다. 친일-항일, 좌우의 이분법적 틀이 아니라, “이념들이 놓치는 지글지글한 현실”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남한이 만주국을 결정적으로 소환한 계기는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였다. 도쿄 전범재판에서 에이급 전범으로 사형을 언도받았던 기시 노부스케 중심의 만주그룹은 일본에서도 실세였다. 박정희는 재건 체제로서 기시가 추진했던 만주국의 산업화·통제경제 스타일을 원했고, 결국 일본에 가서 기시를 만났다. “한일 만주그룹의 결합”이었다. 1960년대 한국의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반공대회, 표어 제작, 집단체조 등은 만주국 시절 행해지던 것들이다. 만주국 정부는 ‘건국’을 구호 삼았고 ‘건국정신’을 창안했다. 박정희 정권은 ‘재건’을 내걸었고 ‘민족정신’을 만들었다. 만주국 전시 경영에 적극 참여했던 ‘국방사학자’ 이선근은 1968년 국민교육헌장을 기초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반공주의, 국가주의를 한껏 담은 이 선언은 “암송하기 쉽게 운율에도 공을 들였다”. 이선근은 로 충효를 강조했고, 이순신을 부각했으며, 만주국과 비슷한 용어 ‘건국 이념’도 가다듬었다. 한국식 민족주의, ‘한민족 주체성’ 담론이라는 우물을 판 셈이다. 유교를 탄압한 초기 일본 메이지 정부와 달리 만주국은 충효를 부르짖었고, 유교를 국가이데올로기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박정희 정권 또한 유교를 복원하고 국가 가부장을 도모했다. ‘국방국가’였던 만주국은 1960년대 한국의 “싸우면서 건설하자”는 구호의 모델이었다. 대규모 토목공사, 건축에서 나타난 직선적 공간, 르 코르뷔지에풍의 신도시 개념, 각종 산업단지, 신시가지 정책… 이 또한 군사작전과 맞먹는 만주국의 ‘직선’과 ‘속도’에 맞닿아 있다. “광활한 지형의 신속한 변형, 무한한 야심, 주민들의 강제 이주 및 희생의 정당화”는 ‘하이 모던’의 핵심이었다. 도시 빈민, 철거민은 타자화되었다. 재건에는 인구 동원이 필요했고, 따라서 강건하면서도 유순한 신체 만들기가 필연이었다. 국민체육진흥법은 내용조차 만주국과 유사했고 만주국 ‘건국 체조’를 본떠 60년대 ‘재건 체조’도 보급했다. 만주국 ‘국책영화’는 같은 한국 기록영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여성도 적극 동원되었다. 근대 한국의 ‘현모양처론’은 만주국의 ‘현처양모론’과 거리가 멀지 않다. 만주국 위생담론은 5·16 뒤 군정이 이어받아 아동의 신체를 규율하고 ‘사회 정화’ 차원으로 깡패를 소탕하는 데도 활용했다. 종합하면, ‘만주 모던’은 한국인이 내면화한 근면의 뿌리를 찾을 수 있는 시공간의 개념이다. 1960년대 한국은 만주국식 체제를 변용해 압축적 근대화를 이루며 세계 최빈국 지위를 빠르게 탈출했다. 여기서 지은이는 만주를 둘러싼 항일-친일, 비극적 유랑-친제국주의 구분 잣대에 머물지 않으려 한다. 친일청산과 이념에 따른 낙인찍기라는 난제에 시달리는 현재 한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고려하면 다소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책장을 넘기다 보면 현재 한반도가 왜 이렇게 어려운 민족주의, 민주주의, 식민주의, 분단, 냉전, 이념, 근대라는 복잡한 관계의 중심에 놓였는지 짐작할 수 있는 장면이 곳곳에 보인다.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삶까지 꼬아버린 한국 근현대사의 매듭, 그 시작은 만주였던 것일까.
@Kevin-ps9yf
@Kevin-ps9yf Ай бұрын
11:03 저 수사 하는 인물의 배우 뭔가 황제가 없는 8월의 토시쿠 하고 비슷한거 같네요.
@hongIjin
@hongIjin 18 күн бұрын
카와마타 역을 맡았던 배우 (이름은 모르겠고) 1965년 007두번살다에서 일본 정보국장역으로 나왔던 배우 아닌가요?
@user-gb4ww3ct9b
@user-gb4ww3ct9b 29 күн бұрын
세지마 류조는 45년 8월에 참모본부에서 만주로 파견된게 아니라 관동군 참모였죠..
@TititititititititiT
@TititititititititiT Ай бұрын
엇? 나카다이 타츠야... 이배우가 나온다는 것만으로도 볼만한 영화일 듯.
@wandernHX
@wandernHX Ай бұрын
다음회는 아이엠쏘리 다나카총리로 찾아뵙겠습니다... 는 왜소재고갈이 안되는거이야
@mryang081
@mryang081 Ай бұрын
일요일엔 씨네모리!
@ICEMAN-vk1eb
@ICEMAN-vk1eb 23 күн бұрын
불모지대 영화판이군요.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M100503 - oslobodenie Bratislavy rekonstrukcia 1945.mpg
6:35
DzurmanVideo
Рет қаралды 74 М.
2차대전에서 일본군이 했던 삽질들 [총합본]
55:45
별별역사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Mama?????? #funny #comedy #funnyvideo
0:29
EREKE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Зря они к ней полезли 😳 #сериалы
0:57
KINO HOUSE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Зря они к ней полезли 😳 #сериалы
0:57
KINO HOUSE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