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대화를 잘하는 방법 | 뇌과학자 박문호 [지혜의 다락방]

  Рет қаралды 158,527

인문학 브런치

인문학 브런치

Күн бұрын

#박문호 #뇌과학 #지혜의다락방
언어의 출현 과정을 과학적으로 이해하여 대화를 잘 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박문호 뇌과학자의 강연 들어봅니다.
00:00 오프닝
03:18 강의 시작 '언어 출현'
10:08 두 종류의 사람
15:35 언어의 발음
19:35 언어의 행동화
23:48 언어의 반복
27:25 대화의 룰
35:26 브로드만 맵
39:23 대화를 잘 하려면?
40:24 강의 내용 정리
🙏인문학 브런치 채널 유튜브 구독하기
👉 / @user-lt9ik4di5b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주변에 공유하면 복 받을 겁니다 👍👍👍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Пікірлер: 92
@dbsxogh2
@dbsxogh2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분 진짜 소름 돋게 대단하신 분이다
@user-ub5pn2og6o
@user-ub5pn2og6o 11 ай бұрын
넌 누군데?
@user-yo5rj5uv2u
@user-yo5rj5uv2u 9 ай бұрын
어디에서도 배울 수 없는 박문호박사님께만이 배울 수 있게 되어서 고맙습니다!
@user-rh3tl3kd2i
@user-rh3tl3kd2i 3 ай бұрын
박문호선생님❤건강하게 오래오래 말씀 들려주세요 정말 감사합니다 🙏
@user-uc7er8ow3l
@user-uc7er8ow3l 6 ай бұрын
-나는 호응보다는 전환반응만 했다 -사실보다는 감정위주로 대화했다 -나는 속내를 이야기 한다고 하면서 계속 자기이야기로 비밀과 단점을 말하는 손실이 발생했다. -나는 끊임 없는 자기 주장은 나의 퀘감 중추를 자극하고 스스로 즐긴것이다 . -지구는 지금 이야기 하는 사람괴 말할 차례 기다리는 사람만 있고 바로 나다. -짧은 영역에서 말만히 하면 이득이지만 넓게 보면 손해고 바로 나다. -호모사피엔스인 나는 SNS보다는 전화와 얼굴을 보고 가족 식사도 중요하다 -나는 단어 순서을 구성하는 능력을 잘 활용 못한다. -나는 동물적인 언어만 중엏거리며 언어장애이다 -나는 좋은 언어를 무한 반복하면 믿는다. -나는 회사와 주변에 저주의 말을 하면서 행동의 말과 연관되어 있다. -나는 스마트폰보다는 책을 통한 시각과 필기 손을 통해 브레인을 강화 못했다. -나는 그걸 어떻게 하지 라고 말하면서 해결책을 찾지않고 늘 문제에 외면하고 모른척했다. -말을 잘하는건 여러 뇌가 각성되어야 하기에 어렵다 -대화라는 게임은 내가 말하는 순간 듣는 사람들이 결정을 하는 게임인데 나는 상대방 판단 전혀 무시했다.
@leearthur2587
@leearthur2587 3 ай бұрын
짝짝짝 ! 퍼갑니다. 100 % 문제 인식률에서 업데이트의 희망이 보임.
@globalmagicyoon
@globalmagicyoon Ай бұрын
진짜찐❤
@ingame35
@ingame35 Жыл бұрын
아 여럿 대화하는 공부를 해봤습니다깨닫고 보니 대화를 잘 하는 법을 찾아다니는 이유는 잘 안 맞는 사람이랑 잘 지내려고 하는거더라구요 대화는 잘 못해도 되고 맞는 사람이랑은 무조건 잘 됩니다 관계에 애쓰지 마세요
@user-gi1we2ez3t
@user-gi1we2ez3t 4 ай бұрын
증권회사 다니다 뇌과학을 15년간 연구하여 박사까지 되셨다니 참 대단하시다.
@chukitypop
@chukitypop Жыл бұрын
저도 경북대 전자공학 나왔습니다 선배님 자랑스럽습니다
@psyche105
@psyche105 9 ай бұрын
대화를 잘 하는 방법.. 언어와 대화 그리고 뇌의 관계 정말 멋진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호 박사님..
@user-iw9ep2wu8h
@user-iw9ep2wu8h Жыл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최고 👍
@hoe-gyeongmuller3947
@hoe-gyeongmuller3947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영혼의 소유자, 박문호 박사님, 감사 드림니다.
@Ratakuni
@Ratakuni Жыл бұрын
8:24 자기 이야기를 할 때 쾌감 중추 활성화 이걸 자각해야 내 경험, 내 이야기를 멈추고 상대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진짜 호응은 상대의 이야기를 듣는 것. “그래서~?, 그 다음은~?”) 36:42 뇌 세포 비율 : 면역세포 > 뉴런 심적 상태 = 면역 상태(신체상태) 신체 내장 상태 = 느낌의 바탕 언어는 심적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user-fs2cq7ub7u
@user-fs2cq7ub7u 9 ай бұрын
최고의강의 감사합니다 상대를 이해하고 대화하는데 많은도움 받을거 같습니다. 언어는 상대가 받아들이는 마음 이라는것...
@user-nk4ns4wl5m
@user-nk4ns4wl5m 11 ай бұрын
김어준의 팟캐스트 이분 나온거 들었는데 어마어마 하신분ㅋㅋ. 이분 지식의 양이 한도 끝도 없는듯.
@user-pc9nr6kf3u
@user-pc9nr6kf3u Ай бұрын
박사님 알아듣기 편한 강의 덕분에 뇌과학을 일상과 연결해봅니다. 굉장한 통찰력에 깊이 감사합니다 ❤
@rothgo5119
@rothgo5119 9 ай бұрын
엉뚱하고 이치에 안 맞는 소리를 자주 하는 사람들을 피하기만 해도 성공한 삶같음.
@user-pv2to9qb5t
@user-pv2to9qb5t 10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aria-fi7ux
@Maria-fi7ux Жыл бұрын
수준높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qn4kr3xv2u
@user-qn4kr3xv2u Жыл бұрын
❤❤❤❤❤😊감동 입니다
@user-yw2rw3qp7h
@user-yw2rw3qp7h Жыл бұрын
찾던 강의에요. 정말 잘 들었습니다.
@user-if8hq1we2i
@user-if8hq1we2i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nv8kz3yb3s
@user-nv8kz3yb3s 11 ай бұрын
가끔 대화중에 엉뚱하게 끼어드는 친구들이 그런 이유였군요ㆍ흥미롭습니다ㆍㅎ
@jihyun2present
@jihyun2present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감사합니다!
@michaelcheolhongkim9531
@michaelcheolhongkim9531 6 ай бұрын
흥미진진한 강의 감사합니다.
@user-uz1tv4us1o
@user-uz1tv4us1o 10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최고!!!!❤
@nownow3798
@nownow3798 Жыл бұрын
저도 뇌가 있군요. 인지하고 부드럽게 조금씩 살피고 알아가면서친구로 가겠습니다
@soulbee22
@soulbee22 Жыл бұрын
진짜 말하는 거 좋아하는 이웃엄마 만나면 끊임없이 자기말만하는데 저는 웃으면서 잘 들어줘요 근데 시간이 지날수록 정말 힘들어요 ㅜㅜ 중간에 말자르는 것도 쉽지 않아서 알람맞춰 놓고 자리를 피해요,, 경청 정말 힘듭니다 ,,
@bcj-zn6gf
@bcj-zn6gf Жыл бұрын
ㅇㅇ 경청이라는 것의 근원 뿌리가 존중하라는 건데 상대가 자기 할 말만 하는 건 나를 존중 안 하는 것이니 나만 일방적으로 존중할 이유가 없음 그러니까 그런 상대에게는 말 끊고 내가 말하는 연습도 하고 어느정도 대화했으면 다음에 얘기하자고 시간 끊는 것도 필요함 나라는 존재가 자원봉사하려고 있는 사람이 아님 손해는 보고 살 수 있어도 손해만 보고 살면 안 됨
@leearthur2587
@leearthur2587 3 ай бұрын
말하는 사람은 쾌감중추가 자극되고, 말을 듣는 사람은 스트레스 중추가 자극 됨.
@FRIDAY-KID
@FRIDAY-KID 3 ай бұрын
듣는사람이 이만큼 들어줬으면 말할차례가 왔을땐 상대도 비슷한 무게로 들어줘야 하는데 보통 자기 말만 하는사람은 상대이야기를 깊게 듣지 않고 중간에 치고 들어와서 또 자기말만 하지요 그러면 듣는이는 감정쓰레기통이 되는것 같아요
@myl5631
@myl5631 6 ай бұрын
진짜 복잡한 기술이네요. 그냥 나쁜 불필요한 감정이 일어나면 입닫고 놔 버리는 게 최고일 듯
@user-co7jp4io7n
@user-co7jp4io7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zc3bt2qh1h
@user-zc3bt2qh1h Жыл бұрын
상대방 얘기 잘 들어주고 공감해주면 반은 먹고 들어감!!!
@redfrost6354
@redfrost6354 10 ай бұрын
문호형 쾌감중추 on!
@Big_jelly_cat
@Big_jelly_cat 11 ай бұрын
와 ㅋㅋㅋㅋㅋㅋ 26:42 ….. ㅋㅋㅋㅋㅋ 진짜 이분 대단함을 넘어 존경스러움…
@SylviaOhMonteMilano
@SylviaOhMonteMilano 11 ай бұрын
듣는이의 심리. 와.대닪ᆢㄴ발견
@Maria-fi7ux
@Maria-fi7ux Жыл бұрын
👏👏👏👏👏
@user-sw5jk2qx2l
@user-sw5jk2qx2l Жыл бұрын
👏👏👏👏👏👍👍👍👍🙏🙏🙏😍😍
@user-qg2fi8fr2j
@user-qg2fi8fr2j 9 ай бұрын
🎉🎉🎉🎉🎉
@kkk-nx3oz
@kkk-nx3oz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공감합니다 허나 사투리가 너무심해 가끔 헷깔린다
@grace-ex8bh
@grace-ex8bh 10 ай бұрын
진짜 대화주도권 계속 뺏는 사람있어요~~~ 피곤~~~
@Master_Seo
@Master_Seo Жыл бұрын
@jimlee1612
@jimlee1612 Жыл бұрын
16:06
@UltraMonster_Baby
@UltraMonster_Baby Жыл бұрын
다락방 정말 고맙습니다,😊
@user-if7rj2pf4h
@user-if7rj2pf4h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냄새는 왜 못맡게 됩니까? 심한감기이후 냄새를 못맡게 됐는데 MRI 코사진을 찍었는데 한쪽뇌수가 작게 보이던데 의사선생님은 자기는 코만찍었서 모른다고 하시던데 제가생각하기엔 뇌에 문제가 있는것 같았는데 약을처방해주시는게 뇌영양제를 주셔서 먹었더니 깜빡깜빡 잊어버리는게 현저히 줄었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냄새를 못맡습니다.ㅠ 박사님의 좋은의견을 듣고싶습니다!
@artk6912
@artk6912 11 ай бұрын
코로나에 걸린 이후 아닌가요? 코로나 후유증으로 이런 증상을 느끼시기도 하더라구요 코가 뇌근처있으니 코로나로 영향을 받았다면 코만 영향이 있는게 아니라 뇌까지 이상이 갔을거로 보고 약을 주셨을수도 있겠네요 다 연관이 있어요 눈만 안좋아도 뇌에 영향이 가거나, 뇌에 혈류가 원활하지않아도 눈망막분지증이 와요.
@user-if7rj2pf4h
@user-if7rj2pf4h 11 ай бұрын
@@artk6912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코로나검사를 안해봐서 코로난지는 모르겠는데 아주많이 아팠어요. 뇌영양제를 처방 해 주시는걸 보면 분명뇌에 이상이 생겼네요! 한 일주일 가량 약을 잘 챙겨 먹었더니 더이상 잊어버리는일은 없었습니다.^^
@user-xg1rx2tf4j
@user-xg1rx2tf4j 2 ай бұрын
후각 중추도 뇌가 맡아요~^^ 뇌세포ㆍ뇌신경 기전은 복잡하죠. 소실ㆍ사멸ㆍ유실 등등 기전이 있겠죠. 복잡하겠지만요.
@user-if7rj2pf4h
@user-if7rj2pf4h 2 ай бұрын
@@user-xg1rx2tf4j 선생님 그럼 후각이 영영 안돌아올수있나요 ㅠㅠ 냄새를 못맡으니 맛도 잘 모르고 영바보입니다요!ㅠㅠ
@user-xg1rx2tf4j
@user-xg1rx2tf4j 2 ай бұрын
@@user-if7rj2pf4h 관심 갖으시고 후각소실 관련 영상도 참조하시고 여러 좋은 병원 3군데 정도 다녀보시고 의사소견 참고하시는게 방치하시는거 보다는 제일 좋을거 같아요. 선생님. 건강한 회복을 기원합니다.
@user-rx9iq3yu3f
@user-rx9iq3yu3f 2 ай бұрын
이렇게 섬세한 뇌는 우리보다 더 능력이 강하신 창조주의 존재를 알게합니다.❤
@nicetomeetyou6289
@nicetomeetyou6289 Жыл бұрын
묻지도 않았는데 어떤 사람의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심리는 뭘까요..?
@grace-ex8bh
@grace-ex8bh 10 ай бұрын
뒷담화죠 ㅎㅎ
@hera4557
@hera4557 9 ай бұрын
속좁고 말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 푸는방법이죠
@user-qx5mj2tr4x
@user-qx5mj2tr4x 11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손 꼽아도 비슷한 경지 오른 사람은 매우 드물다
@vin6227
@vin6227 3 ай бұрын
퍼가요~❤
@goemgoem
@goemgoem 10 ай бұрын
16:12
@ATTSV
@ATTSV 11 ай бұрын
말은 말하는 화자의 화술이 아니고 청자의 심리학이다
@user-ew1th7jp4r
@user-ew1th7jp4r 11 ай бұрын
아니 삼습마넌 그분인줄알앗네
@wonjoong810
@wonjoong810 Жыл бұрын
왜 이분이 뇌과학자죠? 그냥 뇌과학에 관심있는 전자공학 박사님이지. 진짜 당당하네
@user-gj3zc5mq2c
@user-gj3zc5mq2c Жыл бұрын
틀린 사실이 있으면 그것을 언급해주세요. ^^저는 몰라서 ᆢ
@wonjoong810
@wonjoong810 Жыл бұрын
@@user-gj3zc5mq2c 제가 옳다 그르다를 말하면 님은 그대로 받아들이실 수 있나요? 사실을 말해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저는 비전공자이기 때문입니다. 저 박사님도 똑같다는 말을 하고 싶을 뿐입니다. 결국 인간은 권위에 의지해 얘기하고 이해합니다. 그리고 저분은 누구에게도 그 권위를 인정받은적이 없다는 말이예요. 개티즌빼고
@insight7095
@insight7095 Жыл бұрын
어떤 권위를 인정받았는지 찾아보신적 있나요? 제가 알기로 신경해부학 관련해서 의대에서 강의도 하신적 있을 정도로 인정받고 있으시다고 알고 있는데요 그리고 박문호 박사님이 출판한 뇌과학 책들을 읽은 의사들의 리뷰도 봤고, 우리나라 자연과학 분야에서 도서출판상 여럿 수상하셨습니다 게다가 매주 자연과학세상에서 뇌과학 강의하실 때에도 박사급 이상 수강생들이 많이 수강중입니다 학문 분야에 오래 종사하시는 뛰어난 분들은 대학-대학원 전공 이외에 전문가 수준으로 지식과 연구 역량 지닌 분들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만 별로 없을뿐
@hjbae3005
@hjbae3005 Жыл бұрын
뇌과학을 공부하면 뇌과학자 아닌가요? 꼭 그 분야의 학위를 따야 뇌과학자라고 할 수 있나요?
@hjbae3005
@hjbae3005 Жыл бұрын
지나치게 학위라는 권위에 의존하는 거는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sltv8489
@sltv8489 11 ай бұрын
대화 사실 나열 감정 분별 대화~듣는 사람 심리 사물에 대한 정보 ~ 풍부한 자료 주어 등 나열~뇌에서 발음 전달하는 욕구~격려 대화는 결과~자기 경험 언어~심리적~기술적 사실 의미 감정
@sltv8489
@sltv8489 11 ай бұрын
*언어학~대화 *사실 대화~서로 그 후 ~감정 대화 *의미 파킨슨병~행동 장애 언어장애~행동 장애 시각과~손과 연결 반복 브레인~암송 효과성 되풀이 말~21개 브레인 역할 말 잘하기~경청 내가 지는 대화 대화 결정~듣는 사람 심리 대화~기술적 측면 어떤 접근인지 분별 사실적 감정적 의미적
@WilltoSurvive51
@WilltoSurvive51 Жыл бұрын
이 분은 너무 많은 분야에서 전문가 행세
@user-zh8kx1ze3t
@user-zh8kx1ze3t Жыл бұрын
대화 더럽게 어럽네. 이해도 안 되고...'.
@grace-ex8bh
@grace-ex8bh 10 ай бұрын
😂😂😂😂😂
@user-xf3ce9qp9q
@user-xf3ce9qp9q 11 ай бұрын
분노조절장애자 ~ 원희룡 잘 들어라 ~~ ㅎㅎ
@churlkoh8053
@churlkoh8053 11 ай бұрын
이거 볼시간에 영어 한단어나
@qwertyu4607
@qwertyu4607 11 ай бұрын
신. 세계를 경험했읍니다. 언어가. 중요하고삶이. 행복해질것같습니다 강연감사합니다. 언어가. 세상을 만들어핬다는 사실. 깨달음. 주셔서감사합니다
@user-ls5ze8wn5w
@user-ls5ze8wn5w 9 ай бұрын
인간 로보트.. AI
@YSC2013
@YSC2013 Жыл бұрын
이사람을보면 신언서판 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됩니다. 일단 身과 言에서 불합격.
@mintchoco9929
@mintchoco9929 Жыл бұрын
걍 많이 대화하세요 끝 뭘 시발 이걸로 한시간을 떠들어
@songboy59
@songboy59 Жыл бұрын
오 마이 사이언스! 일본의 오염수로 부터 바다를 구원할 과학적 방법은 없나요?
@user-ow5eu1ol9c
@user-ow5eu1ol9c 11 ай бұрын
당신의 괴담신봉이 문제입니다 과학은 진실입니다
Каха инструкция по шашлыку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When Steve And His Dog Don'T Give Away To Each Other 😂️
00:21
BigSchool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우리는 고혈압을 완전 오해하고 있습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승훈 교수)
1:11:2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59 М.
[인문학 아고라,Beautiful Life] 몰입, 최고의 나를 만나다(황농문 교수)
50:06
Каха инструкция по шашлыку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