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문화재 - 4.삼국의 고분

  Рет қаралды 39,347

Korea Heritage Service

Korea Heritage Service

Күн бұрын

큰별쌤 최태성과 함께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고등학교 교과서 속 우리 문화재를 쉽고 재미있게 총정리해봅시다!
문화재청 www.cha.go.kr
문화유산채널 k-heritage.tv

Пікірлер: 35
@user-yp6jl4ot1j
@user-yp6jl4ot1j 4 жыл бұрын
어려운역사를 재미있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싫어하던 역사과목이 좋아질거 같습니다~ 역사유툽 첨으로 구독을 누르고 말았습니다. 감사합니다.
@camiandmaxi
@camiandmaxi 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하고 재밌네요~
@khs_pr
@khs_pr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solsol4199
@solsol4199 4 жыл бұрын
사랑합니다 선생님! 문화제청도 감사합니다 ㅎㅎ
@blockoh3475
@blockoh3475 4 жыл бұрын
한국사 공부 중 가장 재미없는 파트였는데... 이렇게 쉽고 재밌게 설명해 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가 되어버렸어요
@khs_pr
@khs_pr 4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hyesulee4025
@hyesulee4025 4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흥미진진한 이야기 잘 들었어요!!. 무령왕릉 발굴 때 상황은 정말 속상하네요 ㅠㅠ
@jaehyun47
@jaehyun47 8 жыл бұрын
발령받은지 얼마 안된 역사교사에요, 임용시험 공부할땐 문화사에 소홀히 해서 많이 부족했는데, 여기서 많이 얻고 갑니다. 굿굿~
@solongfairwellkim
@solongfairwellkim 6 жыл бұрын
왜 임용이 안돼?ㅠㅠ힘내
@user-nj1bj6cn1o
@user-nj1bj6cn1o 3 жыл бұрын
@@user-yc2fv8yb8z 왜 그래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Жыл бұрын
이는 수박도에도 나와있다
@chika_0210
@chika_0210 4 жыл бұрын
38분32초동안 수고많으셨습니다~ 잘 배우고갑니다아아
@Teyhur
@Teyhur 2 жыл бұрын
각저총 씨름꾼 뒤에 나무를 잘 보시면 곰이 있고, 호랑이가 등지고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고)조선의 단군신화를 의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학자들은 서역인같이 생긴 이들을 내세를 지키는 수호신/씨름은 내세로 가기 위한 관문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신라의 지배층은 중앙대에서 DNA 대조한 결과 스키타이와 거의 유사했습니다. 다만 현대 한국인과 조선인과는 거리가 멀었고요. 신라와 스키타이의 황금 유물은 비교해도 잘 모를 정도로 비슷하답니다. 화랑도 스키타이계 문화고요. 그래서 신라인들이 왜 황금과 흰 피부를 숭상하고, 또 골품제로 혈통에 집착했는지에 설명할 수 있습니다.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인종이 아예 달랐으니 말이죠. 또 고분 문화도 비슷하다고 들었습니다.
@sam-go2lo
@sam-go2lo Жыл бұрын
오..덕분에 많은 것을 유추해볼 수 있네요. 성서의 야곱이 고난의 여정 중 밤새 신의 사자와 씨름하여 이긴 후 축복을 받아내는 장면이 있지요. 또 경상도 어딘가에서 서양인의 유골이 대거 발견되기도 했구요. 인류는 연결되어 있나 봅니다. 감사합니다!
@Teyhur
@Teyhur Жыл бұрын
@@sam-go2lo 먼 옛날에도 세계는 지금과 별반 다를 바 없이 교류하였지요. 페르시아와 아랍인들부터 소그드인들까지 오고 그중 우리나라의 조상 국가들에 정착하신 사람들도 많으니까요.
@terry7610
@terry7610 3 жыл бұрын
돌방무덤이 무슨 중국 영향인가요,, 북방민족의 무덤의 특징이 돌로 만드는거고,,우리나라 고인돌 부터 사방에 돌로 벽을 세우고 돌로 덮었으며 돌널무덤이라해서 지하에 돌을 벽삼아,, 자갈,, 모레로만든건데,,, 중국의 영향이란 근거라도 말씀하시고 말씀해 주세요,,, 중국은 근대에 와서 만들어진 나라이지 그 전에는 오호16국 등 작은 나라에서 북방민족이 만든 여러 나라들이 있는데,,, 당시엔 있지도 않은 중국을 들먹이는건 모순이네요
@terry7610
@terry7610 3 жыл бұрын
어떤 교수란 사람은 광개토대왕릉비를 보고 비석에 글씨를 세긴걸 중국의 영향이란 말 듣고 기가 찼음,, 그럼 중동의 메소포타미아,,등 여러 문명지역에서 발견된 비석들도 중국 영향인가 몇천년 더 오래된 유물인데,,,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Жыл бұрын
돌방무덤은 중국에서 발전한 굴식 벽돌무덤〔橫穴式 塼築墳〕이 한반도에 유입되어 석축의 돌방무덤으로 전환하여 정착된 무덤이다. 출입시설을 갖춘 묘제를 굴식과 앞트기식으로 구분하는데, 이 묘제는 출입시설이 없는 구덩식〔竪穴式〕과 대비될 수 있는 것이다. 중국의 묘제도 선진(先秦)시대까지 구덩식이 기본이었다. 그러다가 전한(前漢) 중기에 이르러 사회변화에 부응하여 장제가 변화해서 부부합장의 전통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로써 입구가 갖추어진 묘제, 즉 공심전을 사용한 굴식 벽돌무덤이 등장하게 되었고, 나아가 생전의 주거형상을 모방한 벽돌로 만든 다실묘(多室墓) 등이 사용되면서 굴식 묘제로의 정착이 이루어졌다. 중국에서 발생한 굴식 묘제가 한반도에 등장하는 것은 대체로 삼국시대 무렵으로, 가장 이른 지역은 서북한 지역이다. 서북한 지역에서는 1∼2세기 무렵에 벽돌무덤이 등장하였는데 이들은 점차 벽돌과 석재가 혼합된 전석 혼축분(塼石 混築墳)으로 사용되면서, 그것이 이후 돌방무덤으로 발전한 것이다. 돌방무덤은 고구려에서 가장 이르게 등장하며, 4세기 후반경에 남쪽의 백제로 유입된다. 신라에서 돌방무덤은 5세기 말경 지방사회에서 먼저 등장하나 중심지인 경주지역은 그보다 늦은 6세기 중반 경에야 등장한다. 가야지역은 대가야의 본거지인 고령에서 빨라야 6세기 중반 경에 나타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돌방무덤)]
@user-xn4lk8pu6z
@user-xn4lk8pu6z 3 жыл бұрын
북빙정책만주중학교때단체기압받으면서달달외우게함 서울 서초중학교
@user-im9lu9ql6h
@user-im9lu9ql6h 6 жыл бұрын
죄송합니다만 궁금해서 묻는데 웅진시기엔 벽돌무덤이 유행하였지 않습니까?
@user-xq7dv9xv5w
@user-xq7dv9xv5w 5 жыл бұрын
백제가 양나라에 사신도 보내고 교역도 해서 영향을 받은거 같습니다
@user-nq4jq4lo7n
@user-nq4jq4lo7n 5 жыл бұрын
돌무지덧널무덤은 발굴할때 어떻게 발굴했나요?
@khs_pr
@khs_pr 5 жыл бұрын
발굴에는 매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됩니다. 같은 형태라도 주변 환경과 조건에 따라서 달라져 한가지로 특정 할 수는 없습니다. 기회되면 발굴에 대해서도 전문가의 의견을 담은 영상을 제작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inyoungan4830
@jinyoungan4830 4 жыл бұрын
돌을 몇 달 동안 일일이 걷어서 발굴했습니다. 신라 고분은 입구가 따로 없으니까요
@bellsong9
@bellsong9 5 жыл бұрын
============ ^^^ ============ ~ 가나다라마바사아~~~~~~~~~~~>>> kzfaq.info/get/bejne/juCqqKuKudmtgac.html
@terry7610
@terry7610 3 жыл бұрын
뭔가를 시작할때 부터 중국영향이라고 하시는데 그 당시 중국이란 나라는 없을뿐더러,,, 구체적으로 왜 어떤나라의 영향인지 설명해 주시고 중국영향이란 말을 하셨으면 좋겠네요,,, 무턱대고 중국영향이다라고 하는것 또한 사대주의라고 생각합니다만,,,
@user-xn4lk8pu6z
@user-xn4lk8pu6z 3 жыл бұрын
검법유술 도복의는 호랑이와결정 도북등뒤전신호랑이 민화속호랑이는하늘의호랑이는녹색마후라 검법유술 유단자
@user-xn4lk8pu6z
@user-xn4lk8pu6z 3 жыл бұрын
대명코리아와상사와확인통화하면됨 민화 속 호랑이 유도복과같은 같은도복을 고집한이유다 검법유술 유단자
@haklee3030
@haklee3030 4 жыл бұрын
You 어용역사 편향역사업자지?
@jung-cp2jd
@jung-cp2jd 6 жыл бұрын
고구려 무덤이 중국 양식을 닮았나요?
@user-xq7dv9xv5w
@user-xq7dv9xv5w 5 жыл бұрын
위치도 가깝고 하니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겠지요 발해 정혜 정효 무덤보면 당나라 고구려 양식이 혼재해 있습니다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Жыл бұрын
점령한 낙랑군의 한족 문화를 받아들였다고 하더라구요. 일종의 문화융합이죠
@user-te8pe7je1t
@user-te8pe7je1t 3 жыл бұрын
이사람도강의를참 이상하게하네 이사람아 각저총 무용총 사신도 . . 다같은 벽환데 어떤건 총 이고 어떤건 도야 보통 총 은 무덤이자나 그럼 차이가뭐냐고 돌무지무덤을 장군총 이라고부르자나 그러니카 각저총이 무덤이냐고 벽화냐고 이런식으로 올리려면 아예올리지마세요 사람헷갈리게
@lyongduc9361
@lyongduc9361 3 жыл бұрын
이 양반도 좀 이상하네 고구려무덤은 고구려의 특이한 무덤이고 북방민족들은 돌무지 무덤인데 일반돌을 쌓아올린 것이고 고구려는 계단식 피라미드형태임 한나라나 삼국시대 수 당나라는 이런무덤이 없습니다 중국의 영향이 어쩌고 하면서 왜곡하지마세요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Жыл бұрын
돌방무덤은 중국에서 발전한 굴식 벽돌무덤〔橫穴式 塼築墳〕이 한반도에 유입되어 석축의 돌방무덤으로 전환하여 정착된 무덤이다. 출입시설을 갖춘 묘제를 굴식과 앞트기식으로 구분하는데, 이 묘제는 출입시설이 없는 구덩식〔竪穴式〕과 대비될 수 있는 것이다. 중국의 묘제도 선진(先秦)시대까지 구덩식이 기본이었다. 그러다가 전한(前漢) 중기에 이르러 사회변화에 부응하여 장제가 변화해서 부부합장의 전통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로써 입구가 갖추어진 묘제, 즉 공심전을 사용한 굴식 벽돌무덤이 등장하게 되었고, 나아가 생전의 주거형상을 모방한 벽돌로 만든 다실묘(多室墓) 등이 사용되면서 굴식 묘제로의 정착이 이루어졌다. 중국에서 발생한 굴식 묘제가 한반도에 등장하는 것은 대체로 삼국시대 무렵으로, 가장 이른 지역은 서북한 지역이다. 서북한 지역에서는 1∼2세기 무렵에 벽돌무덤이 등장하였는데 이들은 점차 벽돌과 석재가 혼합된 전석 혼축분(塼石 混築墳)으로 사용되면서, 그것이 이후 돌방무덤으로 발전한 것이다. 돌방무덤은 고구려에서 가장 이르게 등장하며, 4세기 후반경에 남쪽의 백제로 유입된다. 신라에서 돌방무덤은 5세기 말경 지방사회에서 먼저 등장하나 중심지인 경주지역은 그보다 늦은 6세기 중반 경에야 등장한다. 가야지역은 대가야의 본거지인 고령에서 빨라야 6세기 중반 경에 나타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돌방무덤)]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문화재 - 5.고대의 과학
19:23
국가유산청 Korea Heritage Service
Рет қаралды 6 М.
小丑把天使丢游泳池里#short #angel #clown
00:15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艾莎撒娇得到王子的原谅#艾莎
00:24
在逃的公主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ISSEI & yellow girl 💛
00:33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최진기의 '우리가 알아야 할 진짜 일본의 역사' (2018)
23:53
오마이스쿨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전우용의 '그 동안 몰랐던 뜻밖의 역사' (2019)
17:03
오마이스쿨
Рет қаралды 42 М.
The foundation of Korean archeology is laid, Hwangnam Daechong
15:34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82 М.
KBS 역사스페셜 - 추적! 환단고기 열풍 / KBS 1999.10.2 방송
58:46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小丑把天使丢游泳池里#short #angel #clown
00:15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