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만듭니다. 전기 펑펑 써도 무한한 에너지 '인공태양' [쥐니어스방위대] EP.7

  Рет қаралды 323,066

 YTN

YTN

Жыл бұрын

☀인공태양☀을 아시나요?
하늘에 있는 진짜 태양 말고 한국에 있는 K-인공태양!
인공태양을 작동하는 핵융합 기술 선두주자 한국🇰🇷!
이 기술 상용화에 성공하면 청정한
꿈의 에너지를 무한히 생산할 수 있다는데...
쥐니어스 방위대 래퍼 신스가 K-인공태양 연구진을 만나고 왔습니다.

Пікірлер: 271
@tripon9012
@tripon9012 Жыл бұрын
저거 완성되면 전국민이 대전방향으로 아침마다 절해야됨 핵돌이에서 빵터졌습니다 ㅋㅋ 매년 얼마나 진척되었는지 찾아보고있습니다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qorgusdlr
@qorgusdlr Жыл бұрын
절 ㅋㅋㅋ
@user-ng1pb3cj4z
@user-ng1pb3cj4z Жыл бұрын
@@qorgusdlr 할만하지ㅋㅋ 삼보 일배도 하것네ㅋㅋㅋ
@tv-xm9pw
@tv-xm9pw 4 ай бұрын
이제 곧 1문명이 될수 있겠네요
@greed6352
@greed6352 Жыл бұрын
아주 오래전부터 꿈의 에너지라고 들어 왔는데 나이 많은 나에게는 진짜 죽을 때까지 체험해 볼 수 없는 꿈의 에너지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
@k-3030
@k-3030 Жыл бұрын
이미 자연의 핵융합에너지인 태양을 쬐고 있으면서 아쉬워 할건 없잖소?
@cdcd33cdcd7
@cdcd33cdcd7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을 위해서 어서 빨리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대한민국 과학자 님들 화이팅 !
@user-im4hz6is3f
@user-im4hz6is3f Жыл бұрын
전 세계를 위한 기술이고 전세계가 합심해서 만들고 있는 기술임
@Chan-BM
@Chan-BM Жыл бұрын
참 이런거 보면 대단하면서도, 우주에 있는 저 태양은 도대체 얼마나 대단한건지 참 신기하고...
@riprus4581
@riprus4581 Жыл бұрын
핵융합 상용화만 되면 진짜 소원이 없겠다... 상용화만 되면 삼전 하나 더 생기는것보다 가치가 큰 기술인데 개발하시는 분들이 대우는 잘 받고 계시는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박사님들 고생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ggmind
@ggmind Жыл бұрын
세계 다른 국가들과 함께 연구 개발하고 있음 그리고 이건 경제 논리가 아니라 인류 미래 에너지로 접근해야지 지금 탄소 배출로 지구가열화가 심각하다
@iilliillill
@iilliillill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하지마라. 니가 내던 전기세는 그대로일테니까ㅋㅋ
@user-lc3ul1zp2m
@user-lc3ul1zp2m Жыл бұрын
기술 개발하면 정치인들은 노고치하 한마디 하고 기술자들 팽 해버립니다. 토사구팽, 정치인들이 자기네 업처럼 꾸며다가 떠들어대죠.
@ccc5152
@ccc5152 Жыл бұрын
@@iilliillill 다른 사람의 아름다운 꿈은 깨 줘야 제 맛.
@riprus4581
@riprus4581 Жыл бұрын
@@ccc5152 과학발전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경제성장의 유일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경제가 성장해야 선생님같이 꼬인 하층민을 부양할 사회안전망에 투입될 세금이 늡니다.
@돈가스
@돈가스 Жыл бұрын
말 그대로 꿈의 에너지 완성만 시키면 현 인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user-wh3fg9jd4j
@user-wh3fg9jd4j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을 반드시 성공해서 상용화하여 원전발전소도 줄이고 외국으로부터 석유의존도도 낮춰서 에너지 독립국이 되어야 한다.
@simonpark7342
@simonpark7342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 하게도, 자원을 서로에게 의존하지 않고서는 인류는 쳐 싸울 생각만 한다는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증명이 되고 있는 상황
@killingtime7825
@killingtime7825 Жыл бұрын
핵융합보다 세계가 망하는게 빠를거라던데
@user-rs9fc1lk4y
@user-rs9fc1lk4y Жыл бұрын
@@killingtime7825 50년전만해도 인터넷이란걸로 댓글달면서 살꺼라곤 상상도못했을탠대
@stripepattern6479
@stripepattern6479 Жыл бұрын
​​@@user-rs9fc1lk4y 기술의 발전이 먼저 인류를 구원할 것인가, 아니면 지금의 문명이 빠르게 거대해지는 것 만큼 환경을 파괴하는 속도가 더 빠를 것인가...
@user-ni7mz3vd9v
@user-ni7mz3vd9v Жыл бұрын
저거 상용화 돼면 산유국들이 가만있을까 정말 궁굼
@gunyoungpark5395
@gunyoungpark5395 Жыл бұрын
핵융합발전이 완벽하게 개발이된다면, 인류는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하고,깨끝한 친환경지구가 되겠네요! KSTAR 응원합니다!!!
@user-bh5wv2gt1f
@user-bh5wv2gt1f Жыл бұрын
이게 성공하여 상용화 되면 이것이 돈을 벌어주는것이 아님 결국 전기값은 싸지고 고로 핵융합에 꾸준히 연료공급하는 물질이 돈을 벌것이고 모든전자제품이 코드제로가 될것이며 그래서 에너지저장장치 즉 효율이 좋은 배터리가 돈을벌것이고 좋은 배터리를 만들라면 배터리 원가에 60프로 차지하는 양극재가 핵심임.초격차 기술과 폐배터리 리사이클을 모두가진 업체가 때돈을 벌거임 그래서 에코프로그룹이 위대한 기업이고 현 주식시장에 핫한거임.
@user-tz1hn3uq9n
@user-tz1hn3uq9n Жыл бұрын
체인리액션
@jkgo3370
@jkgo3370 11 ай бұрын
다음세대를 위해서 꼭 성공하길. 지금 세대가 에너지 고갈시킨 책임이 있어니 다음 세대를 위해 유산을 넘겨줘야지
@antsuper4929
@antsuper4929 Жыл бұрын
30~50년 후인데 과연 인류가 그 때까지 멀쩡히 생존 할지가 중요할듯.
@Abcdefghyjklnmopqrstuwxyz
@Abcdefghyjklnmopqrstuwxyz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만세!!!! 감사합니다. 우리를 살아갈수있게 해주셔서
@user-lw2dy3io3c
@user-lw2dy3io3c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과학자님들 존경합니다 힘내시고 화이팅하세요 감사합니다
@user-vs8wr1or4b
@user-vs8wr1or4b Жыл бұрын
꿈은 반드시 이루어 진다 화이팅
@user-jb7du3qm6l
@user-jb7du3qm6l 11 ай бұрын
핵융합발전이 성공하여 상용화되는 날, 인류의 에너지 문제는 모두 해결될 듯....그러나 빨라야 2050년이라고 합니다
@user-qo8qc3xd2f
@user-qo8qc3xd2f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저 기술에 올빵해야되지 싶다. 석유 한방울 안나는 나라에서 무한의 가까운 에너지 자립국이 된다면...
@user-mg7vp5tu5p
@user-mg7vp5tu5p Жыл бұрын
인공태양을 만들수 있으면 미래는 인공지구 인공광물도 만들수 있겠어요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Жыл бұрын
합금 말하는건가 지금도 있는데? 설마 수소로 철까지 만든다는소리는 아니겠지?
@5918AC
@5918AC Жыл бұрын
이걸보면 태양 만들어진 과정 생각나네요
@user-kq3bx4hb9b
@user-kq3bx4hb9b Жыл бұрын
빨라야 2050년 상용화 한다고 해도 건설비가 원전보다 훨씬 비싸서 건설비를 획기적으로 낮추기 까지 결국은 원전보다 더 비싼 가격으로 전기를 써야함. 하지만 우라늄도 언젠가는 수십년 후면 고갈될거기 때문에 핵융합으로 가는게 맞기는 함.
@user-bf6gl2uz8t
@user-bf6gl2uz8t Жыл бұрын
얼굴도미인이구요 멋져요 14년에결과인데 24시간 할수있을수가 과연 있을까싶네요^ 단지실험 단계 인것 같습니다 수고하십니다^
@jinhomyoung9828
@jinhomyoung9828 Жыл бұрын
저게 상용화 되면 달리는 차도 충전가능해짐 무한동력자동차가 됩니다. 도로에 무선충전기설치하고 각각가정마다 무선충전시 전자제품이 쓰여지게 됩니다.
@xiasun5883
@xiasun5883 Жыл бұрын
말이 앞선면 성공할거도 못한다! 성공후 이야기 해도 늦지 않다!
@David_DH
@David_DH 11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선점해서 전세계 에너지난을 해결해주기를..
@hspark8850
@hspark8850 Жыл бұрын
저거 된다고 해도 전기는 절대로 펑펑 쓰면 안됩니다. 에너지는 항상 아껴써야만 합니다. 그것이 열역학의 가르침입니다.
@ekfjlsrl
@ekfjlsrl Жыл бұрын
좀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므런에너지라 무한대로 써도 지구에 아무 영향 없을 거 같아서요
@username28diwmxi4
@username28diwmxi4 11 ай бұрын
The power of the sun.. in the palm of my hand
@appp7566
@appp7566 Жыл бұрын
빨라야 2060년이라.. 저하고는 크게 관계 없는 이야기가 되겠군요...
@user-bp1jl2qc6o
@user-bp1jl2qc6o Жыл бұрын
환생 하셈
@Mj-fo4yq
@Mj-fo4yq Жыл бұрын
쥐니어스 방위대 파~~이팅🎉🎉
@user-dz7km9fj4n
@user-dz7km9fj4n Жыл бұрын
항상궁금한건데...그동안 3만회 넘는 실험 중 만들어진 많은 에너지는 어디로간거에요~?!
@user-wi5qc5pp1t
@user-wi5qc5pp1t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개발도 중요하지만....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스파이들...내부의 적들을 조심 또 조심해주세요...감사합니다.
@666Yourkarma
@666Yourkarma 11 ай бұрын
중국이 훔치고가서 지들꺼라 우기고 한국이 카피했다고 우기면서 난동극이 연상됩니다
@bumjinlee9945
@bumjinlee9945 Жыл бұрын
더 진전된게 없네요.
@makalu3200
@makalu3200 Жыл бұрын
이것만 성공함.온갖 문제가 해결 된다...아주 아주 어려운 가술임...
@user-ms2lp9ci9e
@user-ms2lp9ci9e Жыл бұрын
성공하여,세계에.두움되길....
@tommysung9919
@tommysung9919 Жыл бұрын
😊
@user-uv2xw5hs3s
@user-uv2xw5hs3s Жыл бұрын
꼭 이루어 냅시다. 힘의 논리로 돌아가는 세상 우리도 멍청하게 홍익인간이니, 양보,배려의 미덕이니 집어치우고 힘으로 사용하자. 동맹국, 우방국 입으로 떠들면서 감청에 기술 절취 등등 못된짓 골라하는 것들 도와주지 말고 우리와 같은 약소국들 선별하여 변함없이 동행할 국가들 선별하여 뭉치자.
@charleskim2184
@charleskim2184 Жыл бұрын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절대기술임 그런데 만약 핵육합 성공해도 미국이 힘의 논리로 정부 압박해서 기술 공유나 갈치가 우려됨 절때 성공해도 기술 공유가 되면 안됨 미래는 화석연료 고갈 환경문제로 에너지가 힘인 시대임
@jyj3826
@jyj3826 8 ай бұрын
석유의존에서 벗어날 날이 머지않은거 같습니다 대단하고 자랑스럽고 뿌듯한 마음입니다 연구원 모든분들의 노고의 깊은감사와 찬사의 뜻전합니다 응원드리며 감사의뜻 전합니다 성공.꼭이뤄낼것으로 확신 합니다😊😊😊😊😊😊😊
@DW-jf8ir
@DW-jf8ir Жыл бұрын
이 쪼매난 땅덩어리에서 참 나도 한국 사람이다만 대단하신분들이 많단 말이야 신기해 ㅋㅋ
@a12qwe123
@a12qwe123 Жыл бұрын
저기서 발생한 엄청난 에너지로 무엇을하나요?! 물을 끓여서 터빈을 돌립니다!
@user-wv7hm9go6i
@user-wv7hm9go6i 6 ай бұрын
궁금한것이 있는데 공해 물질이 없다고 하는데 수소는 만드는데 공해물질이 없고? 1억도 올리는데는 수소만 있으면 되는지?
@user-iw3um3zv9z
@user-iw3um3zv9z Жыл бұрын
어느 세월에 사용 할 수 있을까?
@user-ji9hh4rp1w
@user-ji9hh4rp1w Жыл бұрын
저 기술은 미국이 최고 아니냐
@ddw2906
@ddw2906 Жыл бұрын
미국도 상용화는 한참 멀음.걍 이거 개발되기전에 인류가 망할듯ㅋㅋ
@user-nf3fj2cm8s
@user-nf3fj2cm8s 4 ай бұрын
핵융합이 지속되지 못하면 에너지를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
@user-dc7xq5th9v
@user-dc7xq5th9v Жыл бұрын
내일당장 전쟁나면 뭐로 국민들 보호할수있을까여?
@user-si3nh1ut2t
@user-si3nh1ut2t Жыл бұрын
인공태양 편 행성 테라포밍 우주 개척시대로! 태양이 약한 행성들 주변에 인공태양으로 인간의 생물학적 환경 조성을 위한 행성 테라포밍으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본명 변상규 1973년생 도인임
@user-kk9od1jk7l
@user-kk9od1jk7l Жыл бұрын
!
@ENFJ-A.
@ENFJ-A. Жыл бұрын
사우디 네옴시티에서 바로 수주들어오겟네요 ㅋㅋ
@chanseoklee366
@chanseoklee366 Жыл бұрын
핵융합 상용화되도 전기값은 싸지지 않는다는게 팩트지.... 환경오염은 확실히 덜 시킬지도 모르지만...
@hongjaejeon4500
@hongjaejeon4500 Жыл бұрын
온도가 문제가 아니에요. 유지 시간이 문제 이지요. 상용화 할려면 1시간은 가동이 되어야 합니다.
@user-dg6pn5gk7i
@user-dg6pn5gk7i Жыл бұрын
그리고 1억도을 유지할수 있으거로 생각합니다.
@user-ok6wc7yy9g
@user-ok6wc7yy9g Жыл бұрын
기술발전이 빠르냐 지구종말이 빠르냐 싸움이군요 십년전에 지구온도가 계속 오르면 100년안 빠르면 50년안에 망이라 했는데
@kkkk-xn8bp
@kkkk-xn8bp Жыл бұрын
1000년 연구해서 이틀 발전 하겠네 ㅎㅎ
@rukky2230
@rukky2230 11 ай бұрын
친환경 연료를 만들기 위해서 연료가 필요하다니 이건 넌센스 아님?
@woojoo1
@woojoo1 Жыл бұрын
여기 투자좀 많이해서 상용화를 앞당기자구 제발
@GGamngHori
@GGamngHori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은 태양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핵융합을 실현시키는 것은 지구에 태양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현직21대국회의원
@user-wp8kn7tb2p
@user-wp8kn7tb2p Жыл бұрын
완성되면 노벨상
@user-dg6pn5gk7i
@user-dg6pn5gk7i Жыл бұрын
바다속은 어떨까요.
@user-nv1ts4fi8v
@user-nv1ts4fi8v Жыл бұрын
핵융합 사고나면 블락홀 생기나요?
@SJkopa
@SJkopa Жыл бұрын
한국인들은 천재들임
@user-wy7hj3zg1h
@user-wy7hj3zg1h Жыл бұрын
뭔 천재.. 토카막 방식으로는 분명 한국이 우수한편이긴 하지만.. 독일 스텔러레이터랑.. 미국의 레이져 방식이 훨씬 진보된 방식이구만.. 웃기네.. 천재같은 소리.. 그럼 독일 미국은 초천재냐
@coely7
@coely7 Жыл бұрын
@@user-wy7hj3zg1h 1억도에서 최장시간 한국 기록 맞잖아 이 빈시나 ㅋㅋ그럼 토카막으로 기록 갱신 하라해 ㅋ
@Chan-BM
@Chan-BM Жыл бұрын
@@user-wy7hj3zg1h 우리나라 연구원들 열심히 하는건 알지만, 기술력 차이는 분명히 있는게 맞음...님이 말씀하신대로, 유지력은 떨어지지만 결과적으로 더 나은 방식을 연구하는거나, 당장 눈앞에 보이는 결과물은 괜찮지만 멀리보면 한계가 있는 방식을 연구하는건 큰 차이가 있죠...무엇보다 순수과학에 대한 지원과 인재가 너무 없는것도 큽니다...교육방식의 차이라기엔 옆나라 일본도 무지막지한 주입식인데 저쪽은 노벨상 수상자도 여럿있죠 ㅠㅠ, 일뽕도 아니고 문화사대주의도 아닙니다. 현실적으로 보는거죠...순수과학에 더 많은 지원을 하면서, 인재를 육성해야합니다. 그 좋은 인재들이 다 의학계열(의사가 나쁘다는게 절대 아님)로 진학하는 현상도 참 안타깝죠
@user-wy7hj3zg1h
@user-wy7hj3zg1h Жыл бұрын
@@coely7 토카막 방식은 효율이 떨어저 멍청한것아.. 온도랑 시간만 보고 있네.. 에휴.. 덜떨어져서는.. 1억도 최장시간 하면 뭐하냐.. 투입에너지가 순에너지 보다 많은데.. 미국 레이져 방식은 지금 투입에너지보다 순에너지가 20%가량 더 나오는 수준까지 발전했는데 그놈의 기록이 뭐가 중요할까..
@user-rr4zq7tr7m
@user-rr4zq7tr7m Жыл бұрын
@@user-wy7hj3zg1h 레이저 방식이 조금 더 발전된 형태인건 맞지.. 그런데 지금 현 상황에서 핵융학을 한번 만들어낼 수준이야.. 토카막은 1억도에서 30초를 바틸수 있지만 레이저는 안되 아직은.... 토카막은 현재 기술로 300초를 이어가는게 목표고 300초를 유지한다면 안정적으로 핵융합을 계속이어갈수 있다는 건데.. 레이저 방식은 현재로써는 딱.. 한번의 순간적 핵융합만 가능하다는 거지... 그걸 발전 시키려면 미국의 4조짜리 실험장비를 업그래이드 하던지 아니면 프랑스에 건설중인 ITER같은 국제적 협업이 필요한거야. 결국 실험실 수준의 핵융합이란거야.. 그러니 우리 기술진뿐아니라 핵융합을 연구하는 수많은 연구자들을 바보로 만들지 말자구.. 언젠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는 레이저로 핵융합 발전을 할수도 있겠지만 지금은 아니니까..
@user-sz4ru8ye4c
@user-sz4ru8ye4c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을 원자폭자탄으로 하면 수소 폭탄이 됩니다. 수소폭탄에서 원자폭탄은단지 기폭작용만 하므로 수소폭탄은 핵융합 폭탄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조금 이해가 쉬운가요?
@user-rp2qv1os5e
@user-rp2qv1os5e Жыл бұрын
어처피 중국으로 기술 빼돌려질텐데 보안을 좀 더 철저히
@user-vr1ws2gj3i
@user-vr1ws2gj3i Жыл бұрын
나는 네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모르겠다.하지만 중국은 2017년에 이미 100초대에 도달했고, 올해는 400초대에 도달했다.이건 찾아볼 수 있는 거죠?
@ysbae1367
@ysbae1367 Жыл бұрын
이거 만들어도 우리나란 한전에서 반대할듯
@user-dc7xq5th9v
@user-dc7xq5th9v Жыл бұрын
우리 뭐로 이길수있을까여?
@user-dc7xq5th9v
@user-dc7xq5th9v Жыл бұрын
꿈같은이야기보다는 현실적인 이야기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10년뒤에가아닌 내일당장이 중요한데...
@user-ci6nd3wx4r
@user-ci6nd3wx4r Жыл бұрын
@RTX-9090
@RTX-9090 Жыл бұрын
한~~~참 멀었네
@user-xq2cb6vy1i
@user-xq2cb6vy1i Жыл бұрын
암 이라는 병은 수천년전 부터 있었다 계속 치료법을 연구해 오면서 수십년이면정복 한다면서 지금의 암은 더욱복잡하게 진화하고 있다 이것도 뻥과 기대만을 말하지 말고 확실하게 하기 바란다,,
@user-mc8tj6br6v
@user-mc8tj6br6v Жыл бұрын
30초라 예전에 들었는데, 아직 늘리는데 성공 성과가 없었나보네요 ㅜ
@user-dc7xq5th9v
@user-dc7xq5th9v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자신의 이익보담은 국익이 우선시되야할 시기인데 ...
@PilSPark
@PilSPark 9 ай бұрын
핵융합발전을 위해서는 수많은 기술이 필요한데, 한국은 그 중 토카막에서 플라즈마 온도를 올리고 유지하는 데만 현재 1등이지 모든 분야에서 그런 게 아님. ITER는 상용 핵융합 발전이 과연 가능한가를 실증해보는 것이라, 아직 가능할지 불가능할지 모름. 가능하다고 해봐야 빨라야 2050년 정도를 이야기하고 있음. 심지어 어떤 전문가는 1-200년 내로는 회의적이라고도 이야기하고 있음. 가능한 한 빨리 성공하면 좋겠지만...
@user-yp7zn2jf3r
@user-yp7zn2jf3r Жыл бұрын
인공태양만 성공해도 우리는 산유국을 부러워할 필요가 없고 석유가 수입 1위 품목이라 성공만 해도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가 예상됨
@user-jk7tq1um7d
@user-jk7tq1um7d 3 ай бұрын
실제 실용화하면 산유국이 안 부럽고, 국민 소득은 크게 증가할 겁니다ㅜ
@saeuk3
@saeuk3 Жыл бұрын
최근 갱신된 건가 옛날부터 있던거 재탕한건가
@user-hu7xm3hr3d
@user-hu7xm3hr3d Жыл бұрын
팩트: 미국 프린스턴대 꺼다. 한국은 공동연구자로 참여하는 중 . K스타 설계도부터 미국꺼고, 실험과 연구 결과 역시 미국이 가져간다.
@user-kq8we2sc9o
@user-kq8we2sc9o Жыл бұрын
결국 핵융합이든 핵분열이든 주전자에 물끊여서 뚜껑이 덜커덩거리는 증기힘을 이용해야하는건 아이러니...ㅎㅎ
@user-de6sr1tj3m
@user-de6sr1tj3m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결국 물끓이개 ㅋㅋ
@Boa-jy6pl
@Boa-jy6pl Жыл бұрын
아...쐣!!! 저게 왜 대전에 있지?????
@Gaemi-trader
@Gaemi-trader Жыл бұрын
이거 무기화시켜서 지구최초 핵융합무기가져보자~
@Isusususu100
@Isusususu100 8 ай бұрын
와 과학자분들 월급 올려줘야됨
@HoBan0
@HoBan0 Жыл бұрын
6…70년?.??? ㅠㅠㅠㅠㅠ
@user-ot4is2oc3f
@user-ot4is2oc3f 4 ай бұрын
문제는 300초를 견딜 용기를 어떻게 만드냐가 관건이지.
@user-cn4fy5mt3e
@user-cn4fy5mt3e Жыл бұрын
저 핵융합로 하나로 전기 얼마나 생산하나?
@user-cw1wl8jb6d
@user-cw1wl8jb6d Жыл бұрын
핵발전소로 전기 얼마나 생산하냐는 말과 똑같이 너무 추상적으로 이야기함. 매우 다양한 발전량이 있을건데 그러는거니. 핵발전소보다 에너지 효율이 7배 이싱이리는 거만 알면 됨.
@user-zx1fo9mt6b
@user-zx1fo9mt6b Жыл бұрын
죽기전에 쓸수잇을려나...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Жыл бұрын
상용화되는건 볼수있겠지
@user-ox2xz9tf4x
@user-ox2xz9tf4x Жыл бұрын
열등감덩어리들은 항상 최고에 집착하지
@user-yk1pp8jx4y
@user-yk1pp8jx4y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레이져가 대세다
@exampp
@exampp Жыл бұрын
노벨상도 받을 수 있으려나....
@skp50208
@skp50208 Жыл бұрын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의 희망 고문으로 비싼 장난감을 운영 중
@user-zm4xc5zv6y
@user-zm4xc5zv6y Жыл бұрын
보다 채널에서 서균렬 교수님이 그러던데.... 인공태양이 만들어 내는 전기보다....인공태양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전기가 훨씬 많이 든다고.. 허나 포기하면 한국인이 아니겠죠. 언젠가 상용화 시켰다는 뉴스를 보기를 바래요..~!!!!!!
@neonury
@neonury Жыл бұрын
에너지의 개념을 아얘바꿀수는없나 그니가 지금은 열로 물을끊이고 터빈을 돌려 발전기 전기생산 일반인에게 공급.. 이전기로 열도 만들고 모터도 돌리고 전자기기도 쓰고 .. 이개념을 바꿔서 에너지가 바로 소비재어 쓰이는
@user-pb9oc5zd5e
@user-pb9oc5zd5e Жыл бұрын
세계최고의 기술. 하지만, 예전에 명바기가 한번 털어먹었지. 예산 깎고 저 훌륭한 사람들 쫓아내고 그 어려운 난관을 뚫고, 성과를 내신 기술진에게 존경을 보냅니다 (근데, 우리 기술로 만들었으면, 외국에서도 볼텐데, 간판이라도 좀 한글 쓰는 게 어떨까 싶네요. 죄다 영어만 보이는 게....)
@user-kb7go8go3u
@user-kb7go8go3u Жыл бұрын
예산을 깍고 기술진을 쫓아내요 ? 세상에 그런 또라이가 있었구나 어휴 미쳐 하튼 말을말자 말을말어
@user-ck4if2mk2f
@user-ck4if2mk2f Жыл бұрын
열역학 에너지보존법칙에 의한 다단열펌프로 온도차증폭후 이를. 물대신 에틸렌으로 에너지 회수하면 100~170%에너지 회수가능 하건만=쉬운법!
@user-zq9yp4tt7n
@user-zq9yp4tt7n Жыл бұрын
긍께 전기세 인자부터 얼마여 이것이 젤 중요하잔오 전기자동차 전기오토바이 가정집 자영업 공장 전기세 얼마여 젤로중요하구만 만들었응께 이것을 애기해야제.....
@user-nh5pm6oi9f
@user-nh5pm6oi9f Жыл бұрын
쉽지않을듯.
@user-ok5ke3yb4o
@user-ok5ke3yb4o Жыл бұрын
쇼미더머니 신스 아니지?? 목소리는 맞느거같은데...
@user-mb5sf1jl2b
@user-mb5sf1jl2b Жыл бұрын
너무작은뎅 더크게 해야할듯~!
@UCuAQiYYki3iC4ehSJifzz3Q
@UCuAQiYYki3iC4ehSJifzz3Q Жыл бұрын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르면, 에너지를 무한정 생산하면 그게 사용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 여기저기에 여러가지 형태로 쌓이게 되면서, 열에너지로도 전환되어 증가할 것이므로, 지구 온도를 높이는 원인이 됨. 인간이 뭘하든 소비를 하면 반환경이 되므로, 인간이 교육을 통해서 욕심을 줄이는 것이 유일한 친환경임.
@이민규12
@이민규12 Жыл бұрын
비록 인간이 지성체지만 욕심을 줄인다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에너지 소비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증가해왔던거고 앞으로도 그렇겠지요. 물론 막 함부로 소비하자는 것은 아니며 절약은 반드시 필요는 하지만 이것이 메인이 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기에 인류가 과학기술에 더욱 투자하고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제 주장입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에너지가 보존이 되는 건 맞지만, 우리 지구는 닫힌계이지 고립계가 아니란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즉, 에너지는 외부로 빠져 나가기에 현재까지는 다수의 에너지원이 핵융합으로 대체되더라도 이로 인한 온실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며, 당장의 탄소 중립등을 통해 온실기체를 줄이는 것이 현 인류의 가장 큰 목표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핵융합으로 이루어낼 수 있구요. 당장의 지구온난화를 필수적인 기술로 극복해 인류의 문명이 유지되어야 그 다음 단계인 상온 초전도체의 발견을 비롯한 더 다양한 에너지 혁신이 있을 거고 그렇게 된다면 우려하시는 일이 일어나는 것은 먼 훗날이 되어서야 발생하겠죠. 그리고 그만큼 에너지를 많이 쓸 때 까지 인류가 살아남는다면 성간이동이 가능한 문명까지 발달되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rottensmilebl
@rottensmilebl Жыл бұрын
​@@이민규12배우신 분이네요 !
@user-or5gq6ck7i
@user-or5gq6ck7i Жыл бұрын
에너지가 무한할때 지구단위에서만 열이 머무를거라는 안일한 생각이시군요. 에너지가 무한하다면 그 열을 뽑아 교환할 방식도 무한대입니다. 상상력을 펼쳐보세요
@user-bw9hn8mf9b
@user-bw9hn8mf9b Жыл бұрын
성공하면 광물자원 단1도없는 국가에서~국가 차원의 코인 채굴 회사를 차려 부를 축적해도 될듯 알바라 생각하고~
@hyunheehong4321
@hyunheehong4321 Жыл бұрын
수소핵융합 발전기.
@user-ky6gx8xc4c
@user-ky6gx8xc4c Жыл бұрын
5:21 태양 중심에서 일어나는 핵 분열 우리가 에너지로 이용할수 있을까요? 태양은 핵 융합이라면서요.... 나래이션 하시는분 고새! 고새 까먹고 방송사고 내고그래요
@user-zj8gm3ib1d
@user-zj8gm3ib1d Жыл бұрын
핵심기술이 중국으로 넘어갈거 같은 느낌아닌 걱정이 꽁꽁 숨겼다가 발전에 사용하면 좋을텐데 미리 광고하고 선전하면 중국이 가만보고있지 안을것.
@user-lv1mm7ue2q
@user-lv1mm7ue2q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세계최초 로 만든다는건 믿고 거르면됨
@user-nv1il9vy6e
@user-nv1il9vy6e Жыл бұрын
50년 뒤쯤에는 가능하겠지?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6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7 МЛН
Khóa ly biệt
01:00
Đào Nguyễn Ánh - Hữu Hưng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0:31
인공태양 1억도 세계 최장 30초 운전 성공
28:31
KTV 뉴스
Рет қаралды 102 М.
1억도 인공태양☀의 이것만으로, 항공모함도 들 수 있다?!​
5:15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Рет қаралды 26 М.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99 М.
인공태양 프로젝트! 핵융합 연구원이 털어놓는 그 뒷 이야기
1:31:10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Рет қаралды 22 М.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