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도 잘 모르는 한국말ㅣ우리말 상식 뿌시기

  Рет қаралды 518,493

교양만두

교양만두

Жыл бұрын

가끔 신문이나 글자 많은 책을 읽다보면
내가 한국어를 읽고 있는 게 맞나?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
한자어도 많고
뉘앙스에 따라 아 다르고 어 달라서
은근 고난이도인 우리말!
안다고 믿고 있는 단어들도 찾아보면
내가 아는 그 뜻이 아닐 때가 많죠.
그래서 준비한 오늘의 교양만두
우리말 어원에 대해 알아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일러스트│박도경
#교양만두 #지식 #한국어 #우리말 #교양
*참고문헌
『말맛을 더하고 글맛을 깨우는 우리말 어원 이야기』ㅣ조항범ㅣ예담
『이명학 교수의 어른이 되어 처음 만나는 한자』ㅣ이명학ㅣ김영사
『우리말 어휘력 사전』ㅣ박영수ㅣ유유

Пікірлер: 535
@user-cc4qk8mi6s
@user-cc4qk8mi6s Жыл бұрын
하... 진짜 연예인들한테 공인 공인 거릴 때마다 어이가 없었는데 요즘에는 기사에서도 심심치 않게 공인이라고 하니까 정말 답답했었거든요. 이렇게 콕 집어서 얘기해 주셔서 너무 고마워요 속 시원하네용!
@skykong12s
@skykong12s Жыл бұрын
그게 예전에 굉장히 잘 나가는 연예인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는데 유명한 만큼 나라의 이미지나 사회적 파급이 커 거의 공인이나 다름없으니 자기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비판하던 때가 있었는데 공인처럼 신경쓰라는 말이 점점 연예인은 공인으로 굳어진거 같습니다.
@user-zj3pq1rp2h
@user-zj3pq1rp2h Жыл бұрын
공인 같은 경우는 단어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케이스라고 봐야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FacelessManipulator
@FacelessManipulator Жыл бұрын
유즉시공 공즉시명
@jh-fh5em
@jh-fh5em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합니다
@user-sh1fn8th6j
@user-sh1fn8th6j Жыл бұрын
연예인들은 공인은 아니지만. 대중의 이목을 끌 만한 영향력을 가졌기 때문에 잘못을 한다면 크게 비판받고 막중한 책임을 져야한다고 봅니다.
@rrangwooo
@rrangwooo Жыл бұрын
사실 제일 중요한건 어려운 말을 쓴다고 질타해서도 안되고 또 그러한 어려운 말을 모른다고 지탄해서도 안되며 모르는걸 자랑스럽게 여겨서도 안되죠.
@muchsoso8468
@muchsoso8468 Жыл бұрын
말 못 알아듣고 직장일에 지장 주면 욕 쳐먹어야죠. 돈받고 일하는데 공부해서 배우려 안하고 모르는 걸 큰소리치는 새끼들은 욕먹어도 됨.
@SAQ443
@SAQ443 Жыл бұрын
@@muchsoso8468 ㅋㅋ 그럼 새종대왕님 이 만든 한글 똑같이 내려온줄 알? 님이 새종대왕님 때면 망하겠네요. 처음 부터 다 아는데 멏천게 몰라서 무슨 말 이냐 물어 보는데 욕 처먹으니깐 ㅋㅋㅋㅋ 그리고 님은 모르는 말 있나요? 있으면 사회 문제 될수 있는데 ㅋ
@PoDo_Developer
@PoDo_Developer Жыл бұрын
@@SAQ443 말 못알아듣고 직장일에 지장주는놈 하나 검거ㅋㅋㅋ 조선어 몰라서 직장일에 지장줌? 현대어조차 모르는 빡통들 논하고 있는데 "님도 조선어 모르잖아요~" 이러고 있네
@rp-pc9ws
@rp-pc9ws Жыл бұрын
@@SAQ443맞춤법에 논리까지 답이 없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knm1777
@jknm1777 Жыл бұрын
@@SAQ443 ㅉㅉㅉㅉ 댓글 쓰신 분 왈, 댁같은 분은 나대지 말라 하시지 않았소!!
@woosukjo3018
@woosukjo3018 Жыл бұрын
'지양(止揚)하다'와 '지향(志向)하다'도 자주 이야기 되죠...거기다 의미가 거의 반대다 보니... 예전 클라이언트에서 보내준 기획 문서에 '지양하다'를 '지향하다'으로 쓴 오타 때문에 한참동안 작업자들 끼리 이게 뭔 소리냐 하다 결국 전화걸어 확인한 적도 있었죠. 그리고 영상에서 언급된 공인의 경우...몇몇 사건 때문에 연애인이 나와서 공인으로서 어쩌구저쩌구 사과드립니다...하면 진짜 공인(정치인)이 뭔 사고쳐서 가짜공인(연예인)으로 덮냐는 생각이 먼저 들 정도입니다.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Жыл бұрын
연애인 물론 오타겠지만 이거 틀리는 사람도 많죠
@woosukjo3018
@woosukjo3018 Жыл бұрын
@@user-gj6eq9tn9k 오타입니다. 다음에는 또 재대로 써놨네요. ㅡㅡ 지적 감사합니다.
@user-sh1fn8th6j
@user-sh1fn8th6j Жыл бұрын
@@woosukjo3018 연예인들 무식 한 건 온 국민이 알고 있죠 ㅋㅋㅋㅋ 요즘 보면 머리에 든 것도 없는 딴따라 애들이 사람들을 가르치려 들던데 진짜 어이가 없더라고요 ㅋㅋ
@user-nl2nu3mm4k
@user-nl2nu3mm4k Жыл бұрын
어릴 때 '치안'이랑 '치한'을 헷갈려서 치안 유지 어쩌구라는 내용을 보고 그거 나쁜 거 아냐?! 왜 유지해?! 라고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ㅋㅋㅋ
@chivasregal8440
@chivasregal8440 Жыл бұрын
지양하다 : ㄴㄴ 지향하다 : ㄱㄱ
@masowoo
@masowoo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때 선생님께서 요즘 연예인들이 `공인' 이라는 말을 쓰던데 공인은 공무원을 칭하는것이지 연예인은 아니라고 해주셨던게 기억나네욥 감사해요 쌤~
@izumiaco5079
@izumiaco5079 Жыл бұрын
사전적인 의미는 그러하니 실용례가 그러하지 아니하고 결정적으로 법원 판례중에 그 이상의 의미로 해석한 게 있음..
@user-wh6rm8ik9y
@user-wh6rm8ik9y Жыл бұрын
협의의 공인과 광의의 공인이 있는데 뭘 어쨋건 간에 연예인을 공무원 취급하는건 해서는 안될 일임.
@user-qv4bf1dj7e
@user-qv4bf1dj7e Жыл бұрын
미국처럼 공직자와 공적인물을 굳이 구분하지 않고 공인으로 불러서 연예인이나 기업인을 공인이라고 부르는 게 틀렸다고 하는 거 같은데 결국 언어도 사회성이 있으니 경직되게 생각할 필요는 없음. 전근대 시대의 '공적인 일'과 현대의 '공적인 일'의 범주가 달라졌는데 공인이란 개념도 그에 맞게 달라지는 게 자연스럽지 않겠음?
@77kbx91
@77kbx91 Жыл бұрын
@@user-qv4bf1dj7e 현대의 공적인 일과 전근대 시대의공적인 일의 범주가 어떻게 달라짐..?
@LM10CR7SON7
@LM10CR7SON7 Жыл бұрын
@@77kbx91 전근대 시절에는 매질하는게 공적인 일의 범주에 들어갔지만 현대에는 아님. 전근대에는 궁녀들이 궁에서 행하는 일이 공적인 일이었으나 현대에는 그랬다간 난리남.
@user-el8dk6zm2u
@user-el8dk6zm2u Жыл бұрын
본래 의미를 아는것도 중요하지만 언어의 사회성과 역사성을 인정하는것도 중요하죠
@DanielGore44
@DanielGore44 Жыл бұрын
요즘 세대는 책을 거의 읽지않고 영상으로만 접하다보니 구어체만 알고 문어체를 모르는 경우가 너무 많더라고요.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Жыл бұрын
을씨년스럽다는 말에 그런 역사적 의미가 있을줄은 몰랐네요! 항상 즐겁게 보고있습니다~
@dolphinj4186
@dolphinj4186 Жыл бұрын
0:18 고난이도(×) 고난도(0)
@ryujehongS2
@ryujehongS2 Жыл бұрын
나름 한자어 좀 안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일상에서 쓸만한 단어가 더 많았군요... 공부 좀 더 해야겠네요ㅋㅋㅋㅋ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mongumongu
@mongumongu Жыл бұрын
03:01 좋은 영상 감사해요! 한 가지 덧붙이자면 유명세도 원래는 부정적인 뜻입니다. 세상에 널리 알려져 치러야 하는 불편이나 곤욕을 뜻하는데 긍정적 의미로 쓰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 그리고 고난이도가 아니라 고난도가 맞는 말입니다!
@user-zz6ln5gs3x
@user-zz6ln5gs3x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은 진짜 유명해졌으면 좋을 것 같아요!! 단어를 잘 모르고 관심이 없던 사람들이 이 영상을 보고 단어에 흥미를 가지고 더 알 수 있게 될 것 같거든요. 저도 단어를 잘 아는 편이라 생각했는데 이 영상을 보고 새롭게 알게 된 것들이 많았어요. 다른 사람들도 저처럼 지식을 습득하고 갔으면 하네요
@user-lj7xz7tg9l
@user-lj7xz7tg9l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어떻게 단어 하나하나를 책 읽으면서 몇번 봐서 문맥상으로 대강 뉘앙스는 알지만 정확한 뜻은 모르는 그런 것들만 골라오신건지😂 단어자체는 낯설지 않았지만 설명해보라고 하시니 순간 뜨끔했네요😢
@henrykkim2375
@henrykkim2375 Жыл бұрын
갈매기살은 '가로막'의 방언인 '칸막이'에 살을 붙인 칸막이살이 부르기 좋게 변형된 것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 7-80년대 성남 도축장 근처에 이를 전문으로 구워 파는 식당이 많았답니다.
@yuno3384
@yuno3384 Жыл бұрын
칸막이칸매기칼매기갈매기 오오 이거 유력하네요
@harold2054
@harold205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가브리살은 뭘까요?
@PoDo_Developer
@PoDo_Developer Жыл бұрын
@@harold2054 아 갈매기살 어원 찾으니 더 어려운놈이 나오네 ㅋㅋㅋ
@Eu_0991
@Eu_0991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기본적인 것도 모르는 사람 많아서 속터질 때가 많은게 같이 일하던 사람이 '양봉'이란 단어도 몰라서 속으로 놀랐던 적 있던거 생각하면...🤦‍♀️
@guaac2390
@guaac2390 Жыл бұрын
여기서 구양봉드립치면 딱 부장님...
@jknm1777
@jknm1777 Жыл бұрын
헐...
@somin9433
@somin9433 8 ай бұрын
그 양봉장할때 양봉인가요
@cookymania
@cookymania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어요!! 2탄도 만들어주세요~
@Ryu-Dayoung
@Ryu-Dayoung Жыл бұрын
각 나라의 언어별 특징과 문법 / 발음 / 듣기 / 학습 난이도 등에 대한 주제 추천드립니다~! 사심 1바가지 섞여있긴 하지만 유용한 영상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Jinsu.
@Jinsu.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덕분에 줄겁게 공부하고갑니다 ❤
@enfjzip_
@enfjzip_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ㅎㅎ 이렇게 보니 더욱 한글과 우리말이 순수하고 너무 예쁘네요
@banana_999
@banana_999 Жыл бұрын
모를수 있음. 근데 우기면 안됨.
@d-1413
@d-1413 Жыл бұрын
와 어쩐지 공인 공무원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연예인들이 공인이라고 해서 뭐지? 했었거든요ㅠㅠ 감사합니다
@vlog-lx9tt
@vlog-lx9tt Жыл бұрын
늘 좋은영상 고마워요 새해복 만땅받으세요~^^
@LEEkyouho
@LEEkyouho Жыл бұрын
와... 30대중반인데 많이 들어봤으면서도 명확한 뜻은 모르는게 많군요... 그냥 어림잡아 대략적인 의미는 파악하지만 무슨 뜻이냐고 물어보면 입이 안떨어지는...😅
@cmast5686
@cmast5686 Жыл бұрын
영상들 다 너무 유익하고 편집도 그림체들 너무 귀여워요 ㅋㅋ
@bluesky12301
@bluesky12301 Жыл бұрын
나름 우리말 많이 안다고 자부했는데 난 아직 멀었구나
@user-yf4ph9py4e
@user-yf4ph9py4e Жыл бұрын
모르면 배우면 되고, 물어보면 알려주면 되는일. 하지만 모르는걸 모르거나 모르는걸 묻지 않고, 물어보면 핀잔만 주고 알려주질 않으니 문제가 생김. 그러면서 이런 행태를 일반화하고 서로 손가락질하니 더 막장으로 감...
@pytha_83
@pytha_83 Жыл бұрын
알고 모르고 상식이고 아니고를 넘어서 일단 알아두면 인생에 한 번 쯤은 도움이 될 말들 같네요 갑사하빈다
@t34_85
@t34_85 Жыл бұрын
같은 단어라도 한국어, 영어, 다른나라 언어로 검색해보는것도 재밋더라고요 그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알수있기도 하고요
@jey980113
@jey980113 Жыл бұрын
5:50 가리키다 입니다 가르키다 리는 말은 없어용~
@562ya
@562ya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진 채널이에요.
@user-jk9cx5xo5m
@user-jk9cx5xo5m 6 ай бұрын
항상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BaristaShin
@BaristaShin Жыл бұрын
이건 순전히 사람들이 책을 안읽어서 생기는 현상임. 특히 좀 오래된 책들만 읽어도 왠맘한 단어들 다 자연스럽게 배우게 됨. 요즘 사람들 너무 단어를 모르는거 같아서 참 안타깝네요.
@kimggungown
@kimggungown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세대 마다 상신의 선은 다 다른거 같음 예전에는 이레, 여드레, 여흐레 등의 말도 잘 알았던거 같은데 요즘에는 쓰이는걸 본적이 없는듯
@skang4732
@skang4732 Жыл бұрын
9일은 아흐레입니다...
@sable5122
@sable5122 Жыл бұрын
한자를 잘 안쓰다가 보니...
@skang4732
@skang4732 Жыл бұрын
@@sable5122 한자요...?
@jknm1777
@jknm1777 Жыл бұрын
@@sable5122 이거 순 우리말인데...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세 엿세 이레 여드레 아흐레 열흘... ㅠㅠㅠㅠ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9 ай бұрын
​@@jknm1777닷새, 엿새 아닌가요?
@sfklnsnklsfd7082
@sfklnsnklsfd7082 Жыл бұрын
우리말 시리즈 쭈욱 만들어도 넘 좋을것같아요👍
@Erythrocyte1900
@Erythrocyte1900 Жыл бұрын
모든 사람이 언어를 처음부터 잘하지 않으므로 모르는 게 나올 때마다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그렇게 배워가는 겁니다.
@user-skdkfktnenwh
@user-skdkfktnenwh Жыл бұрын
오 여론할때 ‘여’의 의미를 그냥 무심코 쓰고있었는데 정확한 한자어의 뜻을 알게되서 좋습니다. 역시 사람은 죽을때까지 배우는게 맞네
@user-vq4dr3vw2e
@user-vq4dr3vw2e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 구독자 10만명이 되기도전부터 우연히 알고리즘에 의해 보다 너무 꿀잼이라 계속 구독중인 구독자인데 벌써 구독자 70만명 ㄷㄷ.. 다양한 주제, 스펙트럼으로 너무 재밌고, 다양한 지식과 상식들을 섭렵할 수 있어 너무 재밌습니다ㅋㅋ몸좀 상하시더라도, 구독자들을 위해 열일하셔서 더 다양한 주제 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ㅋㅋㅋ
@Seo_K
@Seo_K Жыл бұрын
몸 좀 상하시더라도..ㅋㅋㅋㅋㅋㅋㅋ
@user-jk9cx5xo5m
@user-jk9cx5xo5m 6 ай бұрын
헤헤 마자요 ㅎㅎ 몸은.. 안 상하시면 좋겠지만여 ㅋㅋ🤣😅
@user-xy9tk9oo2b
@user-xy9tk9oo2b Жыл бұрын
알려주셨어 감사합니다
@user-qd9gp7kg7q
@user-qd9gp7kg7q 10 ай бұрын
잘못 쓰고 있던 단어도 있었네요! 많이 배워갑니다!
@estherkim4809
@estherkim4809 Жыл бұрын
언매러로써의 자부심을 느끼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aesungkim3031
@taesungkim3031 Жыл бұрын
교양채널은 역시 슈... 슈마이 오브 교양
@BlakeBee
@BlakeBee Жыл бұрын
00:45 맞춰보세요 -> 맞혀보세요....
@user-yp3hj5cd8z
@user-yp3hj5cd8z Жыл бұрын
06:42 지식교양채널하면 누구나 망설임없이 슈ㅋ ㅏ..만두 아하! 새우만두구만
@sib8441
@sib8441 Жыл бұрын
한자를 배척해서 생긴 현상입니다. 한글은 우수한 글자입니다. 그러나 뜻글자 한자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중국만 전용으로 쓰는 글자가 아니라 한국중국일본은 옛부터 한자문화권 입니다.
@banniepark6427
@banniepark6427 Жыл бұрын
여망은 진짜 몰랐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Жыл бұрын
진짜 책을 많이 본 나도 아직 모르는 단어가 수두룩하군요.
@Munsang
@Munsang 8 ай бұрын
0:09 여기에 나온 단어중 명일(明日)은 옛날엔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된 단어이지만 일본에서도 あした, 즉 '아시타'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고 있죠. 우리나라에서는 명일(明日)보단 내일(來日)이라는 한자말이 더 대중적으로 쓰이다보니 젊은 세대들은 모르는게 태반일 수 밖에 없습니다.
@user-sh5mv6dv4b
@user-sh5mv6dv4b Жыл бұрын
수능이 다가오고 있으니 수능의 역사 같은 주제도 재미있을것 같아요!!
@lalakim9258
@lalakim9258 Жыл бұрын
오늘 나온 단어 중에 대충 이런 뜻이라고 알고는 있지만 설명을 하라고 하면 조금 어려운 단어가 대부분이었네요.. 반성합니다
@GwanckleBerry3399
@GwanckleBerry3399 Жыл бұрын
0:21 왜 "맞춤법 나치"라는 말이 생겼는지 알 것 같은 요즘 시대 문자 해독 능력이 왜 저러는 건지 ㅋㅋㅋㅋ 그리고 "봇물"을 잘못 이해해서 난리를 치던 것이 아직도 어이가 없네 ㅋㅋㅋ 것보다 교양만두님 덕분에 한국어 공부 다시 했습니다. ㅎㅎ
@ming2hi81
@ming2hi81 Жыл бұрын
전에 고기 도매업체에서 일했었는데 갈매기살은 진짜 갈매기처럼 생겼다고 해서 갈매기살이라고 부른다고 하더라고요 한우 치마살도 진짜 주름치마를 닮아서 이름이 치마살이라고 했던 기억이 나네용! ㅎㅎ
@user-ks2sz6fn5u
@user-ks2sz6fn5u Жыл бұрын
모를 순 있는데 요즘같은 시대에 뜻을 모르면 검색해보면 되는걸 그것도 안하고 대충 짐작하는게 열받는거임
@xd400
@xd400 Жыл бұрын
사랑해요 교양만두
@abbag329
@abbag329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좋네!^^
@daylight5531
@daylight5531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뭔갈 모를 수도 있는데, 요즘 사람들 이걸 왜 알아야 하냐 이거 모르면 내가 무식한거냐 아는척하는 니가 잘못된거지 하고 방어적이고 되려 공격적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있어 안타까워요. 모르는건 그때 그냥 배우면 됩니다. 자신이 이상한게 아니란걸 부득부득 증명하려하지 말고요. 그리고 간혹 한자어를 왜 알아야하냐 하는데, 우리나라 한자단어는 그냥 우리말입니다. 순우리말보다 한자어 단어가 한국어에 다 많아요 천년 넘게 한자를 쓰면서 우리 고유 문화가 된거구요. 중국논리에 속아 중국거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한국어를 더 세련되게, 더 교양있게 사용하려면 많은 한자단어를 알고 있어야 해요. 알고서도 쉬운 말로 풀어 쓰는 것과 몰라서 뱅뱅 돌려 말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답니다.
@MK.potatoes
@MK.potatoes 8 ай бұрын
교양만두님 제발 이거 2편, 3편 후속작 시리즈 올려주세요ㅜㅜㅜㅜ 7만에 3학점 따는 기분이였어영ㅜㅜ
@amethyst.753
@amethyst.753 Жыл бұрын
3:33 본진등장에 당황한 네버버1
@minchi0929
@minchi0929 Жыл бұрын
지금 중세국어를 배우는 중인데 여기서 보니 새롭네요
@user-no1tw3ck2h
@user-no1tw3ck2h Жыл бұрын
감기걸리셨나요? 목소리가 힘이 없어요 ㅠㅠ 감기조심하세요😢
@DirectorSangHoonLim
@DirectorSangHoonLim Жыл бұрын
우리말 중에 모르면 외국어나 신조어인 줄 알고 넘어갈만한 말들도 있죠. 예를 들면, 한 10년 전에 누가 저한테 젠체하지 말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게 뭐냐고 물어보니까 무식하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젠체’라는 말이 발음이 좀 굴리는 발음이고 고급져서 고급 서양언어인 줄 알았습니다. 벤츠(명품차), 빈츠(귀족의 과자를 표방한 고급 초콜릿 과자), 젠틀 등등 그런거랑 유사하다고 생각해서 외국어인 줄 알았는데, 몰라서 욕먹고 검색했을때 “잘난체하다.”를 뜻하는 우리말임을 알았을 땐 얼마나 자신이 초라해지던지요... 그와중에 신조어라서 몰랐던 것도 아니라 순 우리말이었다는게 더 충격적이었습니다. 그리고 “디워”에 나오는 괴물들 이름도 다 우리말에서 따온 거라고 하고, “뻑나다.”의 ‘뻑’도 ‘왓더뻑’에서 따온게 아니라 역시 우리말이라고 하더라고요.
@poleh6377
@poleh6377 Жыл бұрын
뻑나다...를 fuk에서..? ㅋㅋㅋㅋㅋㅋ 이건좀...
@DirectorSangHoonLim
@DirectorSangHoonLim Жыл бұрын
@@poleh6377 근데 또 지금 나무위키 보니까 그 설이 있네요.ㅋㅋㅋ
@user-qw3zt9lf1r
@user-qw3zt9lf1r Жыл бұрын
@Eloisa Reinger 알고리즘 발전좀 해라 문장 완성도가 떨어지잖아
@user-je2rr1vz7k
@user-je2rr1vz7k Жыл бұрын
뻑나다는 화투용어 아닌가? 모를만 하죠. 저도 그냥 쌌네 라고 하지 뻑났네 라고는 잘 안 했으니
@rrangwooo
@rrangwooo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예로 엘레지가 있죠 ㅋㅋㅋㅋㅋ
@miine098
@miine098 Жыл бұрын
늘 웃기다고 생각했는데 가로막 가로맥이.. 갈맥이… 이런거였을까요? 단어의 유래를 보는게 너무 재밌네요ㅋㅋ
@lineflower
@lineflower Жыл бұрын
퀴즈에서 절반정도는 맞췄으나 반은 잘 모르겠네요. 역시 책 좀 읽어야겠어요🥲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중간에 쿠킹덤 설탕노움 너무 귀여워요ㅋㅋ 깨알같은 마카롱과 용감 씨...
@dankim4874
@dankim4874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일상에 쓰고 있는 단어들이 순우리말 보다 한자어인게 훨씬 더 많아서, 한자를 읽고 쓰는것은 못해도, 한국어로 의사소통 하려면 한자어인 글자 하나하나의 뜻을 정확히 아는 공부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영어단어 외울때도 like에서 반대를 뜻하는 접두사 dis를 붙이면 dislike가 싫어하다 가 된다고, 공부를 하면서 한국어에 뿌리 깊게 받혀있는 한자어들의 뜻은 왜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지 모르겠네요
@user-fi3lc5ci5u
@user-fi3lc5ci5u Жыл бұрын
내용도 유익한데 오늘은 고양이 분량이 많으니까 좋아요 두개 드립니다.
@SGTGunnySGT
@SGTGunnySGT Жыл бұрын
공인은 정말 고쳐야 할 상식... 유명인과 공인 구별 못하고도 상호 븐탕질 중인 사람들 몇 있어서...
@Why-are-you-crying
@Why-are-you-crying Жыл бұрын
한국어 다시 배워야겠다
@parkmyunghee
@parkmyunghee 3 ай бұрын
역시 배움의 길은 끝이없네요 .......
@Blue_in_the_raccoon
@Blue_in_the_raccoon Жыл бұрын
깃발들이 상징하는 역사적 의미 에 대해 알려주세요 예:하얀깃발은 왜 항복 할때 쓰는걸로 많이 알려진걸까
@yunga1368
@yunga1368 Жыл бұрын
요즘 사람들이 책을 안 읽는 건, 책 특유의 불편함도 있긴 하지만, 도서정가제로 책 살 엄두도 안 나고, 도서관에서 읽자니 어마어마한 분량을 대출기간 내 다 읽는 건 버거워서라고 생각이 듭니다.그렇게 사람들이 책을 안 읽으니 사람들이 긴글에 버거움을 느끼고 문해력도 안 좋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의 주입식 교육도 글에 대한 반감을 가지게 만들었겠고요.(솔직히 도서정가제가 엄청난 문제인 걸 알리려고 이렇게 쓴 거 맞습니다.)
@espoir0903
@espoir0903 Жыл бұрын
그냥 폰 때문에 안 읽는 거에요. 읽어도 종이책 보다 웹으롭 보거나. 저도 책 많이 읽는 40대 인데요 종이책 잘 안 사요. 예전에 전철에서 신문 보는 사람 엄청 많았는데, 이제 그것도 다 폰으로 보고. 글자도 안 쓰고 타자 키보드를 사용하다보니 요즘 아이들 글씨 개판인 것도 같은 이유라고 봅니다.
@kk-cb5qb
@kk-cb5qb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대형서점도 많고 특히 동네마다 곳곳에 도서관이 생겼으며, 인터넷으로 쉽게 책을 구입할 수 있고 E북이라는 저렴하고도 편리한 수단도 있어서 과거에 비하면 책에 대한 접근성이 훨씬 더 높아졌습니다. 요즘은 보통 책 한권에 300~400페이지 전후로 나오는데 그게 얼마나 어마어마한 분량이라고 엄살입니까? 그리고 주입식 교육이라면 옛날이 더했죠. 도서정가제라고 해봤자 책값이 두세배 뻥튀기 되는 것도 아닌데 그건 핑계입니다. 일제시대에도, 6.25전쟁 직후 산업기반이 파괴된 뒤에도 사람들은 책을 읽었습니다. 지금은 과거에 비하면 인권이나 경제적 여유, 교육수준, 복지 등 모든 부분에서 좋아졌는데, '이러저러해서 과거보다 어려워졌다'고 말하는 것은 다 핑계죠. 예를 들면 요즘 살기 힘들어서 애를 안낳는다고 하는데, 정작 애를 많이 낳았던 과거에는 진짜로 '살아남는 것' 자체가 더 힘들었던 것처럼.
@yunga1368
@yunga1368 Жыл бұрын
@@espoir0903 그렇군요.
@yunga1368
@yunga1368 Жыл бұрын
@@kk-cb5qb 좋아요, E북은 인정하죠. 그러나 지금 사람들이 주로 읽는 E북은 웹소설이라 알고 있습니다만(솔직히 제가 E북을 거의 안 읽어봐서 모르겠습니다만), 그 웹소설들의 어지간한 필력이 초등학생 수준이란 말도 있습니다. 거기에 도서정가제로 현재 평균 책값이 신사임당을 넘본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리고 주입식 교육은 옛날이 더 빡셌고 지금 가지고 엄살이란 말은 무리라고 생각이 듭니다. 책에 대한 강압감을 느끼는 건 그 때도 지금 때도 똑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전보다 나아졌다고 해서 지금 그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다는 것도 아니라고 봅니다.
@abcdef14352
@abcdef14352 Жыл бұрын
도서 정가제가 없다면 출판사 및 서점들끼리의 가격경쟁때문에 서점뿐만 아니라 출판사까지도 망해버릴 수 있습니다. 그런 취지에서 도서 정가제가 시작된걸로 알고 있구요. 독서량이 부족한 나라에서 서점, 출판사가 망해버린다면 엎친데 덮친격이겠죠.. 그렇지만 많은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아서 문해력이 많이 나빠졌다는건 공감합니다. 자기가 원하는 정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시대이다보니 책을 읽게되면 속이 터져버리는거죠. 이럴땐 정말 일본의 종이사랑 및 아날로그 문화가 부럽긴하네요. 아직도 일본에선 신문구독률, 독서량이 그렇게 높고 전세계에서 실질적 문맹률이 제일 낮습니다.
@Ilikemeows
@Ilikemeows Жыл бұрын
순우리말의 영상은 어떠세요? 순우리말운동과 왜 우리말을 더셔야하는지 잘 볼 것 같아요
@Seowinter
@Seowinter Жыл бұрын
공인은 진짜 많은 사람이 널리 널리 알아씀 좋게씀다...
@Shinestone09
@Shinestone09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는 꼭 5000만 가야한다
@js0321066
@js0321066 Жыл бұрын
현대 사회 언어 생활이 한자보다는 한글과 영어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언어 사용 양상 자체가 달라진 거라 한자어들을 모른다고 무조건적으로 비판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요. 모르는 건 그럴 수 있지만 모르는 걸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고 모르면 배워야지가 아니라 쓸데없이 어려운 말 쓰네 이상한 말 쓰네라고 비난하는 게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user-th4lo7rp5d
@user-th4lo7rp5d Жыл бұрын
뭔소리여ㅋㅋㅋ 한자 모르는 애들 99.99퍼는 영어도 ㅈ도 모르는데 ㅋㅋ 영어를 많이 쓰니까 모른다고?ㅋㅋ 그럼 escape와 run 그리고 dodge 의 차이가 뭐죠?ㅋㅋ Weird 와 uncanny 의 차이는요?ㅋㅋㅋ
@user-th4lo7rp5d
@user-th4lo7rp5d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작주'라는 말 나도 처음 들었는데 '작년' '작일'에서 유추하면 저번주라는걸 쉽게 알겠는데 모를수 있데...ㅋㅋㅋㅋ
@jknm1777
@jknm1777 Жыл бұрын
@@user-th4lo7rp5d 모를 수도 있대.. 라고 쓰셔야 맞습니다만..
@th12724
@th12724 Жыл бұрын
고난이도가 아니라 고난도가 바른 말인데..
@user-ql5fx4sn8g
@user-ql5fx4sn8g Жыл бұрын
이런거 자주 올려주세요..
@violet_sparow
@violet_sparow Жыл бұрын
4:35 어머어머어머어머어머어머어머어머
@YANG_MO_NO
@YANG_MO_NO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현대로 넘어왔으니깐, 말도 좀 요즘쓰는걸로, 자주쓰는 걸로 쓰면 좋겠음, 솔직히 상식적으로 명일, 작일 을 많이 쓸까요? 내일 어제를 많이쓰죠?
@wagyu99
@wagyu99 Жыл бұрын
안성맞춤 장면에서 나온 안성탕면 cf를 보니 생각난 건데, 안성탕면도 찐으로 안성에서 만든다고 해요. 공장이 진짜로 안성에 있다고 하더라고요 ㅋㅋㅋㅋ 대신 부산이랑 구미에도 서브 공장이 있는지라 경상도 판매분은 대부분 부산산이나 구미산이랍니당
@yfeubcikn
@yfeubcikn Жыл бұрын
중간에 선장님...😍😍
@user_skxk93jfnd7e
@user_skxk93jfnd7e Жыл бұрын
0:12 여기서 찾아봐야 할 단어는 명일 뿐일 듯. 나머지는 그냥 맥락상 파악 가능한 것도 있고 메일 목적에 중요한 내용들이 아님
@LatinDancerAtom
@LatinDancerAtom Жыл бұрын
결국은 대부분 그시대의 유행어가 정착된경우군요.. 재밌네요..
@user-sc6cm7iz3n
@user-sc6cm7iz3n Жыл бұрын
횡격막을 횡경막이라 쓰인 경우가 너무 불편했는데 맞게 쓰셨네요 편ㅡ안
@user-dz8ic3ou7i
@user-dz8ic3ou7i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는 작가가 고향만두라는 제품을 먹다가 별 생각없이 차용했다는 썰이 가장 유력합니다
@skyblood99
@skyblood99 10 ай бұрын
공인 공인거려서 어이없었는데 속이 시원하네요
@user-gi1zk6jp7d
@user-gi1zk6jp7d Жыл бұрын
만두님 제발 임금님 컨텐츠 후편 제발해주세요
@seonmokim
@seonmokim Жыл бұрын
요새 사람들이 특별히 어휘력이 떨어진다기보다, 예전엔 어휘력 떨어지는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연설하거나 글을 게재할 기회가 적었던 반면, 요즘은 개나 소나 인터넷에 글을 싸지르니 더욱 눈에 띄는 것 아닐까 싶다
@user-wjde6uugrvkkgf
@user-wjde6uugrvkkgf Жыл бұрын
역시.. 교양을 알려주는 안성맞춤 유튜버... 사물궁이잡학지식
@slee2459
@slee2459 Жыл бұрын
4:37 오른쪽 상단에 아름다운 그 "잡채"인데, '자체'의 오타인가요 아니면 일부러 그렇게 쓰신건가요?
@slee2459
@slee2459 Жыл бұрын
@@user-lv3hn8rk8b X세대인 노땅은 무지로 웁니다...
@kiseokoh6068
@kiseokoh6068 Жыл бұрын
갈매기살 어원들중 하나는 횡격막이 간을 막고있어서 간막이살이라 불렀던게 바뀌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gsp_gamsung
@gsp_gamsung Жыл бұрын
상승과 하강으로 명징하게 직조해낸 신랄하면서 처연한 계급 우화 - 이동진
@Zomkun
@Zomkun Жыл бұрын
의무교육에 한자 들어가면 단어 이해도가 높아질텐데… 한자어 엄청 쓰는 나라에서 한자교육이 없다는게 국어의 일부분을 없애겠다는 느낌이에요. 없어지는 부분은 외래어로 대체되겠죠
@user-lj2zq4gx2n
@user-lj2zq4gx2n Жыл бұрын
의무교육에 들어갑니다.
@Hwan751
@Hwan751 Жыл бұрын
한문수업 있는데요
@ojw5129
@ojw5129 Жыл бұрын
있어도 이걸 중요하게 생각을 안하고 그냥 외우는 과목으로 치부해버리니 그런 것이겠지요.
@user-kv7vy7kq5r
@user-kv7vy7kq5r Жыл бұрын
근데 애초에 한자어도 외래어이긴 하지 예전이야 중국의 영향력이 강했다지만 현대에는 미국의 영향력이 지대해졌으니 미국 문화의 영향을 믾이 받을 수밖에 없음
@Zomkun
@Zomkun Жыл бұрын
한문수업 있었군요… 몇년전에 없앤다고 한 이후에 데이터 업데이트가 안되있었습니다… 댓글쓰기전에 알아봐야겠어요 ㅠㅠ
@soyothedanny
@soyothedanny Жыл бұрын
서양에선 중고등학생때 라틴어를 교양으로 배울 수 있거든요. 이게 한국에선 한자 배우는 거랑 같군요?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Жыл бұрын
나다운 사철탕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런데 요요님 감기 걸렸어요? 목소리가 ㅠㅠ
@user-nt8bm5gc4w
@user-nt8bm5gc4w Жыл бұрын
언어는 시대에 따라 바뀌고 단어가 사장될 수 있지만 주변에 물어봤을때 다 아는데 혼자 모르는 거면 무식한게 맞음 주변도 다 몰라도 끼리끼리 논다고 자기가 무식한 그룹에 속한게 아닐까 생각을 해봐야함
@pushukong5642
@pushukong5642 Жыл бұрын
목이 많이 쉬셨네요 😢 아프신가요 😢😢
@813LHJ
@813LHJ Жыл бұрын
경기도 안성 삽니닼ㅋㅋㅋㅋㅋ 교양만두에 안성 나와서 반갑네욬ㅋㅋㅋㅋㅋ
@eun_love.k
@eun_love.k Жыл бұрын
ㅎ..고지식하다를 지식 수준이 높다는 사람 보고 진짜 심각하구나라는 걸 느꼈음
@Mincarrot0722
@Mincarrot0722 Жыл бұрын
혹쉬 아주 옛날에 국제연애는 어떻게 했는지 알아봐주실 수 있을까여ㅇㅅㅇ
@cleandust530
@cleandust530 Жыл бұрын
2:33 ( )'으'로서
@Fgjfddhhcgh4553
@Fgjfddhhcgh4553 Жыл бұрын
안성이 고향인 제게 딱 안성맞춤인 채널.
@singclairpark4282
@singclairpark4282 Жыл бұрын
한편으로는 이런게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제가 어렸을때는 쇠고기를 소고기라고 하면 무식하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초등학교 때 받아쓰기에도 많이 나왔지요. 쇠고기, 쇠뿔은 소의 고기, 소의 뿔의 줄임말이기 때문에 소고기 소뿔은 틀린말이라고 학교에서 가르쳤습니다. 하지만 이를 구분없이 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나중에는 소고기도 표준어가 되었죠. 최댓값 최솟값 같은 말도 사람들이 사이시옷을 많이 헷갈려 하자 무조건 붙이는걸로 표준이 바뀌었죠. 많이 쓰는 말중에 허섭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허접이라고 하죠. 근데 어떤 사람이 허접이 아니라 허섭이 올바른 말이야 한다고 그게 의미가 있을까요?ㅋ 대부분의 사람들이 허접이라는 말을 쓰기때문에 얼마 있으면 허접이 표준말이 될 것 같습니다. 언어는 정말 역동적으로 변하는것 같습니다. 순식간에 유행을 하고 기존의 단어를 대체하죠. 요즘은 그 시기가 점점 짧아지는것 같습니다. 요즘 유튜버들이 많이 쓰는 말중에 신박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신박이라는 말을 쓰는 사람들중에 박이 바퀴벌레의 줄임말인걸 아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이듭니다. 하지만 근원이 어떻든간에 많이 쓰다보면 표준어로 대체되는건 시간문제일 겁니다. 만약에 시간이 지나 신기라는 말이 신박으로 대체되고 과정을 모르는 후세사람들이 이를 연구한다면 별의별 재밌는 의견이 많이 나오겠죠.ㅋ 원래 말뜻이 어떻고 발음이 어떻고 간에 현재 사람들이 많이 쓰는 말이 표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DirectorSangHoonLim
@DirectorSangHoonLim Жыл бұрын
4:58 때는 2009년, 고2때, 친구가 전날에 자기 다니는 교회에서 갈매기살 먹었다고 자랑했는데, 그때 그거 듣고, 말 자체도 무섭고 옆에 다른애들도 있어서 친구가 걱정되기도하고, 되집퍼보면 약간은 은근히 화도 났던것 같은 말투로 욕을 섞어서 말했습니다. 웃음기 하나도 없이. “야 ㅆㅂ 너 이런거 막 말해도 되냐? 아무리 내가 친해도 갈매기 천연기념물이고, 그거 잡는거 범죈데 내가 신고하면 어쩌려고 그러냐?!” 지금 정확하겐 기억이 안 나도 대충 저런 뉘앙스로 말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 친구가 저한테 화를 내거나 겁을 먹을 줄 알았죠. 근데 되게 어이없어하면서 얼타더니 저한테 이렇게 물어보고 웃기 시작하는데 주변애들도 같이 웃었습니다. “개그야?” ”뭐?!“ ”갈매기 그거 돼지고기잖아.“ ”뭔 개소리야. 갈매기가 돼지라니...“ ”돼지고기 부위 이름이 갈매기라고.“ ”아... 진짜?!“ ”ㅂㅅ“ 그제서야 저도 같이 웃었습니다. 솔직히 너무 황당해서 웃은것만 기억나고 사과를 제대로 했는지 안했는지는 기억 안나는데 아마 했어도 웃음에 섞여서 제대로 전달이 안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때 느꼈죠. 이런거 모르는거가 사람을 얼마나 ㅂㅅ만드는지, 그리고 갈매기가 돼지고기 갈매기라는걸.ㅋㅋㅋ
@user-qh6qy9gr4l
@user-qh6qy9gr4l Жыл бұрын
되짚어보다요! 오타나셨어요
@DirectorSangHoonLim
@DirectorSangHoonLim Жыл бұрын
@@user-qh6qy9gr4l 감사합니다.
@haknubie
@haknubie Жыл бұрын
갈매기살..ㅋㅋ 그럴수 있죠 저도 첨에 들었을때는 갈매기 고기라는줄 알았는데 고기의 모양을 보고 알았죠
@DirectorSangHoonLim
@DirectorSangHoonLim Жыл бұрын
@@haknubie ㅋㅋㅋㅋㅋ 그럴만하죠.ㅋ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2000000❤️⚽️#shorts #thankyou
00:20
あしざるFC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100년전에 녹음된 한국어 육성 음성 원본
13:28
디씨멘터리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Морская пена 🤯
0:29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