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잼민이들의 미래가 암울한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368,992

주둥이방송

주둥이방송

Ай бұрын

🔻이 영상 생방송 원본 다시보기🔻
• 24년 01월 08일 다시보기 : 요즘 ...
생방송은 치지직에서!
화/토 제외 늦은 밤(10~12시 랜덤 알림설정 부탁)에 시작합니다.
* 생방송 치지직 naver.me/5YagwyGo
* 인스타 : / joodoong_e
* 팬카페 : cafe.naver.com/judygoongdy
광고 및 협찬 문의 : yygkdud@naver.com
#공감 #학교 #학생

Пікірлер: 542
@user-zj7lg2oy4o
@user-zj7lg2oy4o Ай бұрын
부모의 그늘은 점점 넓어지고 애들을 그 그늘 밖으로 못 나가게 하니까 마지막처럼 도전적인 애들보다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 많은 애들이 점점 늘어나는듯.. 뭐든 해보기 전에 결과부터 알려주는 부모들이 너무 늘어남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Ай бұрын
오히려 부모들 덕분에 나이 먹어서도 일 하나 못하는 애들만 더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모름.. 부모들은 지들이 희생하는 줄 알고 있음.. 거하게 삽질을 하면서..
@jmjari
@jmjari Ай бұрын
지구온난화땜에 망하게 생겼는데.. 굳이..?
@user-dndbsmsana
@user-dndbsmsana Ай бұрын
@@jmjari갑자기?
@user-cw3lm4xq5c
@user-cw3lm4xq5c Ай бұрын
그냥 우리나라를 대표하는건 자살률 1위 이거임 그냥 거기에 모든게 함축되어있음
@MultiKijun
@MultiKijun Ай бұрын
​@@user-ii4el7cc1z맞긴해 지들이 애들 혹사시키는것도 모르고 아 니 미래를위한거야 이러는디
@phillypanathic558
@phillypanathic558 Ай бұрын
실패를 조롱하는 이 사회가 문제임. 고우석 홈런 ㅈㄴ 맞으니까 존나 욕하고, 이정후 똑딱질 하니까 땅후루 ㅇㅈㄹ하면서 까내리고 그러면서 정작 좋은 스탯은 하나도 안보고. 실패의 자유가 이 사회에는 없음. 그냥 성공하는거만 존나게 멋있고 대단할 뿐임. 그런 사람도 나중에 하나 잘못하면 순식간에 몰락하고, 이 사회가 아이들을 그렇게 만든거임.
@user-cw3lm4xq5c
@user-cw3lm4xq5c Ай бұрын
요즘 그냥 아이돌이건 뭐 운동선수건 다 진짜 쬐끔만 잘못해도 지들이 뭐라도 되는 것마냥 이때다 하고 달려들어서 물어뜯는 악플러들이 너무 많다 그 사람의 신을 신고 오랫동안 걸어보기 전까지는 판단하지 말아라 라는 말이 있듯이 도대체 니들이 어떻게 아는걸까 가장 옆에 있는 가족일도 제대로 모르는 시대인데 일면식조차 없는 유튜버 연예인들의 일들을 어떻게 그렇게 확신하고 까내릴 수 있는건지.. 그리고 직접 앞에 가서 얼굴보고 그소리들을 할수는 있는건지 ..참 요즘 유튜버 렉카들이 돈벌려고 자극적인 영상 뽑아내는 것도 한몫한다고 본다 특히 뻑가야^^ 그리고 나잇값좀 해라 사람이면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Ай бұрын
말 그대로 인간 자체를 쓰다 버리는 소모품으로 보니 실패 자체를 죄악으로 생각하는거임.. 과거 8090 일본 버블시절때 이짓거리를 했는데 헬조선 아니랄까봐 열화시키고 있음
@123-qf7ec
@123-qf7ec Ай бұрын
ㅇㅈ 손까들좀 없어지면 좋겠노
@phillypanathic558
@phillypanathic558 Ай бұрын
@@123-qf7ec대 흥 민
@user-xo8zs1sc6t
@user-xo8zs1sc6t 26 күн бұрын
프로이니까 그렇죠 거긴잘한다고보여줘야하니까요 동호회나 아마추어가보샘 못해도 계속할순있음 근데 돈내고 보는입장 쓰는입장에선 그럴수가있을까요
@user-eu5ci5qd2y
@user-eu5ci5qd2y Ай бұрын
시계 못 보는 거는 워낙 유명해서 알고는 있지만 마지막에 어른이 되고 싶지 않아하는 건 슬프다... 요즘에는 미디어를 통해 현실적인 어른의 모습을 너무 일찍 알게 된 것도 이런 일의 이유 중 하나일 듯... 일단 유튜브를 접하는 나이가 너무 빨라졌어
@nsumi518
@nsumi518 Ай бұрын
ㅇㅈ이제 막 8살도 야코님꺼 보고그런다
@nabiiiiiiiiijan
@nabiiiiiiiiijan Ай бұрын
시계는 첨엔 놀랐는데 그럴 수 있다 생각함 요즘 진짜 잘 안 쓰기도 하고 나도 초등학교 때 부모님한테 물어봐서 알게 되었던 게 기억남
@user-do8kc1pr3e
@user-do8kc1pr3e Ай бұрын
솔직히 사바사임 난 중2 잼민이고 주변에 빨리 어른 되고 싶어하는 애들 많음 나도 있고.. 뭐 나보다 어린 초딩들은 생각이 다를수 있지만..
@user-um9mh1mp1x
@user-um9mh1mp1x Ай бұрын
근데 저거 10시 50분 아님? 뭐지.. +아 열한 시 십분전이 있었네 ㅋㅋㅋㅋ
@lynbb
@lynbb Ай бұрын
전 내년에 스물되는 고3인데 성인되고 하고 싶은 일도 되고 싶은것도 많지만 아직 어른 될 준비는 안된거같고 무섭네요 그냥 평생 미성년자로 남고 싶단 생각도 들고..
@user-bs1mp7si4g
@user-bs1mp7si4g Ай бұрын
한국 사회는 어렸을때부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커질 수 밖에 없는 듯 당장 학교에서만 해도 시험 망하면 어른들한테 좋은 소리 못 듣고 살고, 사랑 받는 1등을 보면서 자라고, 유튜브,커뮤니티에서는 실패한 사람들의 비참한 모습,답답한 미래를 쉽게 볼 수 있으며, 한국 특유의 문화때문에 힘들어도 속 터놓고 이야기를 못하니 감정이 계속 쌓이고 곪아...
@pongseonggum
@pongseonggum Ай бұрын
진짜 ㅈㄴ공감
@user-bn9id3om6u
@user-bn9id3om6u Ай бұрын
내가 어렸을 적에 나는 어른이 된다는거를 외면하고 살았던 것 같음. 이제와서 돌이켜보면 그건 그냥 어른으로부터 건강한 정신적 재산을 물려받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듬. 부모가 아이에게 삶을 대하는 태도를 가르쳐야 하는데 요즘 대부분의 부모들은 그런게 결여되어있음. 짧게 말해서 철학없는 삶을 살고 있다는 얘기임. 비유를 하자면 우리가 왜 버스 안에서 좌석에 앉아서 갈때 서계시는 노인분에게 자리를 양보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를 모른다는거임. 그냥 그러라고 배웠으니깐 그리 하고 있을 뿐. 어른들이 아이에게 계산적이고 기회주의적 사상을 간접적으로 옮기면서 행동은 전통적인 가치관을 추구하는 방향을 강요함. 그런 교육환경 속에서 아이에게 건전한 가치관이 형성될 리가 없지. 아이 스스로가 보고 배우는 것에 모순과 괴리감을 느낄테니.
@user-ie8ot4mt5n
@user-ie8ot4mt5n Ай бұрын
진짜 맞는 거 같음.. 성인인데 솔직하게 정말 불편한 사람, 임산부는 예외지만 평범한 노인분들은 양보하기도 싫고 왜 그래야 하는지도 모르겠음
@kgdrihocidw
@kgdrihocidw Ай бұрын
공감돼요 몸만 컸지 정서적으론 유아나 다름없게 컸네요 어떻게 크고 싶은지에 대한 관념 자체가 없었어서
@user-kp1yj5xp5k
@user-kp1yj5xp5k Ай бұрын
​@@user-ie8ot4mt5n 와 대단하다 글을 어떻게 읽으면 핀트가 거기로 맞춰지냐
@user-ie8ot4mt5n
@user-ie8ot4mt5n Ай бұрын
@@user-kp1yj5xp5k 주제가 다르긴 한데 평소 저 부분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어서 그랬나 봐요.. 뜬금 포인트긴 했네요😅
@Photonlay
@Photonlay Ай бұрын
​@@user-ie8ot4mt5n 왜냐하면 그런 걸 계속하다보면 나중에 우리가 늙었을 때 자연스럽게 양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임
@user-mb9dfghe7idkdmfh
@user-mb9dfghe7idkdmfh Ай бұрын
내 생각엔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 쇼츠나 트위치 아프리카 이런곳에서 자극적인 어른들의 모습이랑 사회에 부정적인 댓글만 보니까 이 사태 난듯 요즘 유튜브 댓글 보면 여기가 일베랑 뭐가 다른가라는 생각도 듬 한참 어린 애들도 보는데 너무 댓글들이 욕설이랑 비난이 심함
@user-tk8kd5vh1i
@user-tk8kd5vh1i Ай бұрын
페미들이 세상을 망침
@wowdabak
@wowdabak Ай бұрын
맞는말임...인터넷을 요즘은 빨리접하니까 애들이 저렇게 된 것 같기도 함 현재의 유튜브 같은 SNS의 수입모델은 사람을 부정적인 쪽으로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음
@Graves01383
@Graves01383 Ай бұрын
지금 20,30대들도 도태,알파 타령하는데 왜 잼민이들 뭐라해
@zxuio-eb2rk
@zxuio-eb2rk Ай бұрын
일베, 여성시대, 디시 다 섞여있음ㅋㅋㅋㅋㅋㅋㅋ 뭔 일베만 드립임 일베보단 남녀갈라치기 하는 여성시대가 더 많구만
@user-eb5ct9jv6l
@user-eb5ct9jv6l Ай бұрын
@@Graves01383 이 글이 그러고 있다고요...?아니죠?
@NA19_87
@NA19_87 Ай бұрын
실패해도 된다는 안도감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데 아이들에게 너무 각박한 사회가 되어버린느낌?
@user-bb9bw3gk3o
@user-bb9bw3gk3o Ай бұрын
근데 실패해도 되는게 뭐있음? 학생때나 실수해도 되는거고 그때는 당연한거지만 성인되고 필드로 나가게되면 전쟁터인데 누가 실수한다고 봐주냐고 차라리 어릴때 실수많이 하라고 가르쳐야지
@knownun5030
@knownun5030 Ай бұрын
​@@user-bb9bw3gk3o많지 않나요? 살다보면 원하는 대학에 못들어 갈수 있고 원하는 회사에 취직 못할수도 있고 연애에 실패해 해어질수 있고 결혼에 실패해 이혼할수도 있고 그렇게 실패해도 사람들은 계속 살아가잖아요
@ax_xing
@ax_xing Ай бұрын
@@user-bb9bw3gk3o 진짜 실수하란 뜻이 아니잖음 저런 안도감 없으면 안 하던 실수도 하기도 하고 실수를 아예 안 할 수도 없고 그때 넘어지지 말라는 말이잖아
@user-bb9bw3gk3o
@user-bb9bw3gk3o Ай бұрын
@@knownun5030 관점의 차이인데 연애에 실패해서 헤어지는게 아니고 더 나아지기 위해 헤어진다고 생각해야죠. 이혼도 마찬가지고 원하는 대학 입시에 떨어지는거? 그건 본인노력의 부족이니 당연히 감내해야되는거고 사회에서 실패한다고 죽진않아요. 다만 본인의 시간과 커리어는 낭비되는거죠 그 실패를 하지말라고 학생때 많이 실패해보라는거고
@user-bb9bw3gk3o
@user-bb9bw3gk3o Ай бұрын
@@ax_xing 실패해도 된다는 안도감이라는게 정확히 뭔데요? 실패해도 다시 일어날수있다는 자신감? 그거라면 인정하는데 그건 사회가 만들어주는게 아니라 본인이 살아온 인생에서 배우는거죠. 사회는 냉철하고 두번의 기회를 주지않습니다
@user-gi2hj2pt1k
@user-gi2hj2pt1k Ай бұрын
살기가 싫고 귀찮음... 그렇다고 죽고 싶은건 또 아닌데 그냥 내일이 오는 게 싫고 수능 보기도 싫고 대학 가기도 싫음 애초에 갈 수나 있나
@khkorean
@khkorean Ай бұрын
"꿈 꾸세요. 어린 친구들은" 영상 마지막에 읇조리듯 얘기한 이 한 마디가 진짜 어른의 조언같음.
@abcdefu_-
@abcdefu_- Ай бұрын
어른되기 싫다는거 공감.. 지금 이정도로도 충분히 벅차는데 지금보다 훨씬 많은 책임을 져야한다는게 두려움
@user-ym4ou7xk7n
@user-ym4ou7xk7n Ай бұрын
책임지고 싶지 않다는 거 공감...진짜 나이 먹을수록 더 어른되기 싫어짐..
@user-cy4nx3is4q
@user-cy4nx3is4q Ай бұрын
그나이에 대체 뭐가 벅차다는거임? 수능 때문에 그러는거니?
@user-tb5gf2of7y
@user-tb5gf2of7y Ай бұрын
​@@user-cy4nx3is4q 대학 입시 말고 그럼 뭐가 벅차겠음? 지금 나이엔 오로지 성적, 대학 말곤 아무 생각도 없는데
@user-yi1cw4yh9b
@user-yi1cw4yh9b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내신 수능 상관없이 죽을 만큼 공부해보면 그냥 빨리 크고 싶어짐.... 빨리 수능 끝난 고3이 되서 놀고 싶고 빨리 교과서 버리고 전공책으로 원하는 공부를 하고 싶어...
@abcdefu_-
@abcdefu_- Ай бұрын
​@@user-cy4nx3is4q 이런 말들이 힘듦.. 공감은 못한다 해도 그냥 어린애들이 투정부린다 생각하고 넘어가면 되는걸 왜 지나치질 못함? 힘듦엔 자격이 없음.
@youyouryouyours77
@youyouryouyours77 Ай бұрын
마지막 꿈이 있는데 못될거 같다는 진짜 소름이긴 하네..
@AlAlAlAlAl90
@AlAlAlAlAl90 Ай бұрын
왜..? 나 진짜 뭐가 문젠지 모르겠음
@Iro_1515
@Iro_1515 Ай бұрын
​@@AlAlAlAlAl90 애들이 저런다는것이 문제인거임 ㅇㅇ
@AlAlAlAlAl90
@AlAlAlAlAl90 Ай бұрын
@@Iro_1515 그니까 그게 뭐가 문젠데
@catflyhighso
@catflyhighso Ай бұрын
​@@AlAlAlAlAl90복합적인 이유. 어릴수록 인생의 선택지가 많아지는데(50대가 의대 가는거랑 20대가 의대 가는거랑 의미가 많이 다르죠) 벌써 그 꿈을 스스로 제한할 수밖에 없는게 패배주의일 수도 있고, 어린 사람이 절대로 어찌할 수 없는 환경적인 문제 때문에 빠르게 포기해버릴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까울 수도 있구요
@GG-ry6uw
@GG-ry6uw Ай бұрын
어릴땐 꿈꿔야하는시절인데 세상이 얼마나 힘들면 그런건지..
@Naim0312
@Naim0312 Ай бұрын
아물한데 4:24 이 부분에서 아마1'00명 중에 1명이 되면 결국 제가 그 1명이 못되면 결국 저는 시간을 버린거 아닌가요?' 라고 대부분 말할거에요... 심지어 부모님들도 아이한테 그렇게 말하는 부모님들도 있어요.
@Passportapa
@Passportapa Ай бұрын
혹ㄱ시 독심술 하셨나
@Lnbu
@Lnbu Ай бұрын
오지랖에 글 남겨요 삶 살면서 꿈을 향한 노력이 아까워질 일은 없습니다. 요즘처럼 재능이 제일인 세상에 노력을 한 경험은 재능을 돋움케할 밑거름이 될테죠. 저는 제가 갈망하고 있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 해도 적어도 제 자신에게 떳떳할 것 같아요. 다음 꿈이 생기면 이번 경험을 토대로 더 능숙하게 비상할겁니다
@qlcqls
@qlcqls Ай бұрын
진짜 그럴 것 같아서 마음이 안좋네요.. 저도 꿈이 엄청 바뀌고 뭐하나 끝까지 해본게 아직없는 성인이지만 그때 하다 만거, 실패하거나 끝난거를 경험삼아 거름으로 지금은 또 알아서 잘 살고있어요 평범한 사람들은 다 이럴텐데 미디어나 부모님이나 너무 성공이나 평범의 기준을 높여버리니....😢
@chlvic3252
@chlvic3252 Ай бұрын
실패는 생존에 적합한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이다
@user-ew9ji3fc5i
@user-ew9ji3fc5i Ай бұрын
나라 입장에선 100명 하는 게 좋겠지만 개인한테는 너무 도박 아닌가 하면서 봤는데..ㄷㄷ 어케 이리 딱 맞추심
@wowdabak
@wowdabak Ай бұрын
솔직히 뉴스나 여러가지 접하면서 보이는 사회는 폭력,취업난,저출산,경쟁,빈부격차 그런거 밖에 없는데 당연한 소리처럼 보이긴 함 근데 중고딩도 아니고 초딩이 저럴줄은.... 진짜 나라가 어떻게 되고있는거냐..
@user-bs1mp7si4g
@user-bs1mp7si4g Ай бұрын
국가의 대표라는 놈들이 뻘짓하니깐 그런듯..
@user-zi8is3go2d
@user-zi8is3go2d Ай бұрын
​@@user-bs1mp7si4g22대 국회의원 선거 보니까 정말 답 없음 여야당 의석수가 밸런스 있게 나와야 하는데 야당만 이렇게 벨붕으로 많은데 사람들이 뭘 믿고 찍는지 모르겠음
@user-bs1mp7si4g
@user-bs1mp7si4g Ай бұрын
@@user-zi8is3go2d ㄹㅇ 윤ㅅㅇ이 뭐니 하면서 2찍이라고 조롱하던데 그런 놈들이 부채1000조 돌파, 출산율 박살낸 문 씨 때는 왜 조용했나 싶고 윤ㅅㅇ이 싫었으면 무투나 다른 애를 찍던가 하지.. 특정 정당이 독점하는 형식으로 만든 인간들 지능보면 한국 답 없음
@user-bs1mp7si4g
@user-bs1mp7si4g Ай бұрын
@@user-zi8is3go2d 삭 //“,제 되서 길게 못 쓰겠네.. 님 댓 내용 공감함 나라 안 망하려면 국민들 꼭 각성해야됨
@user-xo2cx5wn4t
@user-xo2cx5wn4t Ай бұрын
​@@user-zi8is3go2d여기서 여야당 이야기가 왜나오는데 쓰니야 제발 ㅋ 님의 정치적 견해를 듣고싶은 사람은 없을텐데도요 ㅎㅅㅎ
@user-bo8ln3wj1v
@user-bo8ln3wj1v Ай бұрын
근데 나도 마지막 영상 보고 놀람ㄷㄷ 나 어릴땐 얼른 어른이 되고 싶다 였는데 요즘 애들이 저런다니 사회가 참 착잡하고
@ZD-7D
@ZD-7D Ай бұрын
일단 접근성 좋은 유튜브나 커뮤에 애만도 못한 어른들이 너무 많음 ㅋㅋ 그거 보고 자란 잼민이들이 어케될지는....
@user-xp4uv6jl3g
@user-xp4uv6jl3g Ай бұрын
당장 유튜브, 인스타 댓만 봐도 커뮤충들 판치고 뭔 니@가 니@가 거리는 영상들 때문에 잼들 다 니@가 거리고 있는 것만 봐도 ㅋㅋㅋ
@RainbowFishbread
@RainbowFishbread Ай бұрын
일단 우리나라는 인터넷부터 어케 해야할 듯 아무 영상에서나 욕하고 갈라치기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음 인생 최대 업적이 악플달기인 어른들이 문제인듯
@BBURI96
@BBURI96 Ай бұрын
어렸을 때는 무조건 빨리 성인이 되고 싶었는데 요즘 애들은 아닌가 보네요 그것도 초딩들이 그런다는게 뭔가 슬프다..😢
@backhug-kyuhyun
@backhug-kyuhyun Ай бұрын
나는 만16살, 어리다면 어린 나이이지만 한 12살 쯤으로 되돌아가고 싶음... ㅠ
@user-yy2yd3zv4s
@user-yy2yd3zv4s Ай бұрын
좀 다른 얘기긴 한데 현재 20대 초반조차 젊은 나이인데 도전에 대한 두려움이 심함 자기가 성인이라 늦은 줄 알고 편입이나 사업 같은걸 시도하기 두려워하는 분들이 많던데 뭐라도 해보고 나에 대해서 고민해 본 시간이 있는 사람이 좋은 사람입니다
@k772lkbh
@k772lkbh Ай бұрын
편입도 도전이 아니라 회피로 하는 사람 많음
@user-nj7mo2yi6z
@user-nj7mo2yi6z Ай бұрын
성인 이후로 실패가 두려운 건 돈 문제가 크죠... 편입이든 사업이든 실패했을 때 오는 모든 기회비용 매몰비용이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고요 솔직히 말해서 그렇게 고민해봐라 실패해봐라 하는 사람들은 어느정도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나 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kwisiw
@kwisiw Ай бұрын
@@user-nj7mo2yi6z금전적인 여유가 없으면 빚만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는거죠…솔직히 안정적이게 살아갈 수 있도록 직장을 찾는 것이 대부분 목표일텐데 도전에 실패할 때마다 타격이 크고, 이뤄질것이라는 확신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저도 도전에 대해 두려워 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user-ew9ji3fc5i
@user-ew9ji3fc5i Ай бұрын
어른들이 미래에 대한 기대를 보이니까... 자신이 이루지 못했을때 올 실망을 마주하기 싫어서 그런거지.. 고딩인데 학원에 자꾸 초딩들 많아지고 쌤한테 혼나는거 볼때마다 맘 아픔 나 같아도 꿈 같은거 던지고 싶을듯.. 목표가 없어져서 걱정이네 살아갈 동기가 될텐데
@id6865
@id6865 Ай бұрын
꿈이라는게 설사 그걸 못 이루더라도 이루기위해 하는 노력과 시도가 조금씩 쌓여서 탑이 됐다는걸 커서 깨달음. 완성본은 어릴때 목표로 하던 모습이 아니더라도 차곡차곡 쌓인게 빛바래진 않음. 거기다 어릴수록 걱정없이 꿈을 꿀 수 있어야하는데 영상을 보니 너무 슬프다... 그리고 이미 커버려서 그 꿈을 이룰수 없을거라고 단정짓기엔 요즘 하도 오래 살아서 언제 시작하더라도 늦지 않았다고 생각함.
@muscleslave99
@muscleslave99 Ай бұрын
음..난 별로 초딩때부터 열심히 공부하다 고3때 미끄러져서 명문대 못간 사람으로서 차라리 학창시절에 놀기라도할걸 이란 생각 듦 그때 쌓아놨던게 지금 인생에 도움된다? 별로 그런 느낌없음ㅋㅋ 그냥 실패는 실패임 이건 실패자의 자기합리화일뿐이고
@00_xz
@00_xz Ай бұрын
⁠@@muscleslave99이런 게 어른인가요
@wolheun
@wolheun Ай бұрын
마지막 진짜 맘아프다......뭐가 됐든지 꿈을 꾸고 시작할 수 있는 나이인데.....시작도 전에 실패할거라면서 그만두는게....진심 너무 안타까움.....
@me1oncat
@me1oncat Ай бұрын
마지막은 너무 슬프다. 아직 어린데 현실 때문에 벌써 꿈을 포기한다니
@user-fb1sd2vt7t
@user-fb1sd2vt7t Ай бұрын
요즘 상처 받는 아이들이 많아진거 같아요... 어른들 항상 어린애들이 세상을 뭘 안다고 하면서 넘기기 일쑤이신데 우리 나라 청소년 자살률 1위인건 잊지 않으셨죠? 아이들도 똑같이 상처받는데 똑같이 넘기는 사람들은 반성합시다 정말로요 저도 몇년전까지 그런 어른 안계셨거든요 아직 어린데
@yukyung4672
@yukyung4672 Ай бұрын
그만큼 지금 어른들의 행보라던가 교육시키는 수준이라던가 답이 없는거라서 그런거임. 꿈을 꾸게 해줄 환경을 만들어줘야 하는데 어른들이 그 환경을 못 만들어주고 있다는 거니까. 돈이 중요하고, 외모가 중요하고, 공부가 중요하고 그 외에 것들은 쓰레기 취급 하는 경우가 많음. 무쓸모 취급하던가. 애들도 그런 어른들이 하는 말들을 주워듣고 보는데 모를리가. 그러니 꿈꿔도 이룰 수 없는 환경이란걸 알고 그렇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좌절하는 법을 먼저 배우는거 같음. 이게 너무 많은 정보를 일찍 알게 되는 미디어의 문제일 수도 있는데 [요센 손가락 까딱하면 정보가 다 들어오니까] 결국 아이들이 미래를 꿈꾸지 못하게 하는건 결국 현재 어른들이 하는 행동의 나비효과같은거라고 보면 됌. 실패해도 다시 일어서는 방법조차 모르니까. 혹여 이 댓글을 보고 있을 어린 학생들이 있다면 실패를 너무 두려워 하지 말고 때론 그걸 교훈 삼아 앞으로 나아갈 나의 경험으로서 나의 일부분이 된다고 생각하고 당장은 힘들다면 잠깐 쉬었다가 다시 나아갔으면 함. 이 세상의 모든 어른들도 한번은 아파보고 실수도 하고 그러면서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나아가는 거임. 한번도 실패하지 않은 인생을 산 사람은 어디에도 없음. 돈이 많거나 머리가 좋거나 하는 문제가 아님. 그런 사람들도 사소한 실수 혹은 커다란 실수를 하면서 스스로 잘못됀건 고치면서 나아감. 중요한건 실패를 하고 그걸 교훈삼아 오답노트로 생각하고 다시 앞으로 나아가느냐 아니면 그대로 주저앉느냐 그 차이지. 그렇다고 뛰어나게 무언가를 해야한다고 무모하게 나아가지 말고, 두려움에 앞으로 나가는걸 주저하지말고 천천히 주변을 둘러보고 힘들면 잠시 쉬기도 하면서 자기 길을 갔으면 함. 대학이 중요하긴 해도 나의 전부가 될 수는 없음. 실제로 내 친구들 혹은 주변 사람들은 본인이 선택한 과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서로 길을 정해서 일하고 있기도 하고. 대학은 그저 내가 앞으로 뭘 해야할지 모를때 다른 선택지를 고르게 되었을때 혹여나 경력이 나의 걸림돌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란걸 잊지 말아야함. 실패를 해도 세상이 무너지지 않는다는걸 잊지 말고 어떻게든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것 또한 잊지 말고 그렇게 살아갔으면 하네.
@user-lz6wo5lv5u
@user-lz6wo5lv5u Ай бұрын
나도 어릴때 어른이 되기 싫었음 나는 그냥 부모님의 그늘 아래 편히 살고 싶은데 나중에 어른이 되면 언젠간 모든걸 혼자 해야한다는 것을, 책임의 무게를 어릴때부터 깨달았음 지금은 성인이 됐지만 여전히 어른이 되기는 무서움.. 그래도 언젠가는 어른이 돼야하니 천천히 배워나갈 뿐임
@user-zo2bc6wk6n
@user-zo2bc6wk6n Ай бұрын
너도나도 어릴때부터 똑똑해지고 학력이 높아지다보니까 노력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알게되고 그로인해 꿈을 꾸지 못하게 되는거같음..
@adecheongpodo1824
@adecheongpodo1824 Ай бұрын
초딩 때부터 부모님한테 귀에 피날 정도로 들었던 얘기가 "별거 없어"였음 그로부터 거의 15년 지난 지금 생각해 보면 그 "별거 없어" 덕분에 하고 싶은거 찾아 하면서 살아감 애들아 과학자가 되고 싶으면 일단 공부해 보는 거고 손흥민이 되고 싶으면 일단 나가서 공 차 보면 돼, 인생 별거 없다 ㄹㅇ
@user-sg1td8td1h
@user-sg1td8td1h Ай бұрын
나도 중3인데 초등학교 저학년까진 그래도 하고싶은건 있었는데 고학년부터 지금까지 꿈이 없음..하고싶은게 생겨도 내가 이게 가능할까? 돈도 많이들고 배우다 실패하면? 이걸 전공해서 돈을 벌 직어플 가질수 있나? 어려울거같은데 이런 새각만 해서 꿈이 없음..그러다보니 진로도 못정하겠고 그냥 너무 막막해서 작년엔 커서 뭐먹고살지 뭐하고살지 이런 부담감때문에 스트레스도 엄청 받고 울기도 많이울음 부모님은 하고싶은거 다 시켜준다는데 직업으로 가지지도 못할거 돈아깝고 실패하면 어떡하지 이러면서 먼저 포기함 이런 내가 너무 싫다
@erottod
@erottod Ай бұрын
공감 저도요
@pongseonggum
@pongseonggum Ай бұрын
진짜 ㄹㅇ 인터넷에 하도 그런것만뜨니까 이젠 어른돼서 비참하지 않을정도로만 사는게 소원임
@user-rq6wk5se4g
@user-rq6wk5se4g Ай бұрын
시계 보는법은 초 1 2교육과정 중 하난데....수학시간에 배울텐디.... 어른되기 싫은건 나 어릴때도 그래서 할말 없네. 22살인 지금도 어른하기 싫어....
@user-ni5tj1wy7c
@user-ni5tj1wy7c Ай бұрын
어릴때부터 스마트폰사용으로 인해 집중력 자체가 결여돼서 수업에 집중을 못하나봄
@candy_6128
@candy_6128 Ай бұрын
시계보는법은 초등학교 4학년쯤에 배워요 그리고 틱톡에 유독 어린애들이 많아서 그럴수있다고 생각해요
@user-ni5tj1wy7c
@user-ni5tj1wy7c Ай бұрын
@@candy_6128 시계보는법을 초4때 배운다고?????????? 진짜 레전든데 보통 유치원에서부터 알려주지않나? 님이 겪은거임?
@user-wb4mz7pp9t4
@user-wb4mz7pp9t4 Ай бұрын
@@candy_6128난 2학년때 배웠는데??
@user-GangnamSaram
@user-GangnamSaram Ай бұрын
@@candy_61282학년 때 배웁니다 도대체 어느 시대를 살다 오신겁니까 선생님
@user-bn9id3om6u
@user-bn9id3om6u Ай бұрын
2:56 이거 보고 "왜 보기에 정답이 없지?" 하고 순간 얼탐 ㅋㅋ 근데 11시 10분전이 있네 ㅆㅂㅋㅋ
@beraerkkk
@beraerkkk Ай бұрын
나도 맨 처음세 얼탔음ㅋㅋㅋㅋ 뭐야 왜 열시 오십분이 없음? 했는데 되짚어 읽어보니 3번이ㅋㅋㅋㅋ
@user-tu6jl2nv1s
@user-tu6jl2nv1s Ай бұрын
근데 이거 ㄹㅇ임.학교에서 쌤들이 어른되고 싶냐고 물어보면 어른안되고 싶다는 학생들이90%이상임.애들한테 되고 싶은 직업물어보면 꿈이확고하게 정해진 애들이아닌 이상 나오는 답이 딱 3가지"몰라요,회사원(공무원),백수"임 이제 중3인데 최소 중2때부턴 다들 대답이 이모양임.심지어 되고 싶은 꿈이 있는 애들도 쌤들이"○○이는 나중에 ○○되겠네"이러면 되고는 싶은데 안될것 같아요라고함. 쌤들이 왜?라고 묻는데 다들 대답이 이거임'하고는 싶은데 안될확률이 높아서요,그냥 회사나 다닐까요..?'
@harang_snow
@harang_snow Ай бұрын
지금 어린아이들이 사회 나가서 겪을 일 생각하니까 진짜 걱정된다
@IZU1725
@IZU1725 Ай бұрын
꿈이라는 게 허울만 좋은 게 아니라 삶을 이어나갈 수 있는 목표와 원동력이 되어주기도 하는데 요즘 애기들은 그런 생각도 못하고 그냥 안 될 것 같다고 하니까 점점 어른이 되는 걸 두려워하고.. 안타까움
@RobleSoccer
@RobleSoccer Ай бұрын
형 마지막 멘트 잘 새겨듣고 열심히 노력할게요. 고마워요.
@user-lb9wj1gz8k
@user-lb9wj1gz8k Ай бұрын
06년생입니다. 고등학교 진학을 하지않고 17살때 고졸시험을 봐서 고졸학력을 땄고 국가자격증도 2개정도 따두고 간간히 알바도하면서 3년 넘게 연애도 잘 하면서 대학 입시 준비도 하고있는데요 나름 인생을 잘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벌써부터 무서워요 학자금대출을 받아서 인생의 시작을 빚으로 시작하는 것도 부담이구요 취업이 잘 되지않는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몸에 부담이 많이가기로 말이 많은 직업을 진로 택했어요 화가가 꿈 이였는데 재능이 있어도 돈 없이는 이루기 힘든게 꿈 이더라구요 7개월만 있으면 모는걸 스스로 책임을 져야하는 성인이 되는데 되고싶지않아요 지금도 벅차요.. 무섭네요 실패가 두렵고 돈이 두렵고 부모님 고생시킬까봐 걱정되요
@oreoreo_clone
@oreoreo_clone Ай бұрын
꿈을 못 이룰 생각하는 것보다 뭘 좋아하는지, 뭘 잘 할 수 있는지 빨리 찾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함. 난 내 취향을 늦게 찾아서 지금 하는 직업도 싫지는 않은데 다른 걸 했으면 좀 더 즐겁게 일을 했을 것 같은 후회가 있음. 지금 못 될 것 같다고 걱정하는 그 장래 희망이 자기가 원하지 않는 길일 수도 있음. 여러가지 일을 해봐야돼.
@user-hl8ys3mb7w
@user-hl8ys3mb7w Ай бұрын
초등학생의 좌절감, 우울감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나는 아이들을 어른들의 잣대로 평가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문제 중에 하나라고 생각함... 아날로그 시계 못 볼 수 있죠... 사회적 규율 모를 수 있죠... 아이니까... 애기들은 원래 데이터를 쌓는 나이이지 얼만큼에 데이터가 쌓여 있는지 평가 받는 나이가 아님... 근데 인터넷에서는 어른의 기준 (대관절을 몰라? 한자를 몰라? 이렇게 행동하면 민폐인 걸 몰라?)을 가져와서 애기들을 개팸 진짜 무작정 비난 무조건적 비판 너무 심함, 거기에 반발적인 태도 보이면 그것도 개팸 아니 원래 사람은 자기와 반대되는 의견을 들으면 반발심이 들어요... 저도 그렇고 나이 먹은 사람들 모두 그러는데 아이가 왜 비판을 자연스럽게 인정하는 태도를 갖추고 있을거라고 생각하는지...ㅠㅠ 근데 현실에선 또 제대로 교정해주는 사람 부재... 학교에서 인성 교정해주는 교사 민원 들어오는 건 이제 만연하고 사회가 개인주의적으로 바뀌면서 이웃간의 교육도 부재해짐... 결국 아이들의 인성 관련 교육은 부재한 채로 어른의 기준에 맞추어야한 다는 압박만 받음... 아이인 나한테도 이렇게 가혹한데 어른이 되면 얼마나 더 까다로운 기준이 올까... -> 어른이 되기 싫다라는 결론 도출 아닐까ㅠ 라는 생각이 듬ㅜ
@user-hl8ys3mb7w
@user-hl8ys3mb7w Ай бұрын
+청소년기는 원래 반골기질이 심해지는 시기인데 사회에 대한 염세적인 시선, 패배주의적 시선이 너무 인터넷에 만연한 것도 문제인듯... 염세주의적이고 패배주의적인 사고는 원래 꽤나 매력적임 특히 청소년기에는 특유의 비관적인 시선이 냉소적으로 보이고 멋있다고요... (우리 때도 신지에 자아의탁한 친구들 엄청 많았잖아요... 이해도 못하면서 인간실격, 변신 읽고 염세주의적인 철학 사상에 빠져 있던 친구도 한 명 씩은 있었던 것 같고) 근데 우리 때랑 달리 우리 사회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의견이 쉬운 언어로 만연하게 깔려 있음... 그래서 아이들이 부정적인 시각을 배운게 아닐까... 걱정됨..ㅠ
@user-he6lp7dl4s
@user-he6lp7dl4s Ай бұрын
업로드 시간 진짜 알 수가 없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cn9yv7di4h
@user-cn9yv7di4h Ай бұрын
저도 중학교 2학년인데 꿈이 수의사라고 하니까 주변에서 목표가 너무 높다는 소리를 들었어요ㅜㅜ..그래서 포기할까도 생각했다가 이 영상 보고 다시 고쳐먹었습니다
@Udebf45
@Udebf45 Ай бұрын
그런 꿈을 가졌다는게 너무 멋져요. 저는 지금 고등학교에 막 입학했는데도 불구하고 성적도 저조하고 목표도 없어요. 저같은 친구들 많아요. 꿈이란건 멋지다고 생각해요 저는 본댓님이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위의 어른들이 그렇게 말을 해도 저만큼이라도 응원해주고싶어요. 많은 경험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은 무조권 변화한다고 생각해요. 그 변화를 어디에 쓸지는 본인의 몫이겠죠. 괜히 본받고 싶어지네요. 높지 않아요 충분히 잡을 수 있는 미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들어 가는 것은 그 누구도 아닌 본인이에요. 좌절해도 괜찮아요. 본댓님처럼 멋진사람은 못되지만, 응원하고싶네요 힘내세요!🎉
@user-lv4jc7lp9e
@user-lv4jc7lp9e Ай бұрын
맞음 제가 최근에 롯데월드갔는데 초등학생 남학생이 놀이기구 뒷자리에 탔는데 욕을 엄청하는게 요새애들이 옛날같지가 않더라고요
@user-pn6iz7nl7t
@user-pn6iz7nl7t Ай бұрын
형.. 뜬금없겠지만 뉴진스 오엠쥐 뮤비 댓글 삭제 되는 거 진짜 안 믿겨 ㅜㅠ... 세상이 어케 이러지?
@riverpen
@riverpen Ай бұрын
아직 살아온 인생이 짧아서 잘은 모르겠지만 제 이야기를 들려드리자면 저는 초등학교때까지는 친구들이랑 즐겁게 자전거도 타고 군것질도 하고 지냈습니다. 어느순간부터 친구들이 한명씩 놀 시간이 없어지더니 저도 점점 사는게 피곤해지더라고요. 하고싶은것 자체가 없던때가 더 많았고 생기더라도 금방 사라지고 체력도 부족해지고요. 어른이 되어가는것도 솔직히 달갑지는 않습니다. 여러가지 책임도 생기고 사회에 나가야 하는것도 무섭거든요. 꿈을 꾸는것도 계속해서 부정적인 생각에 가려져서 불안해지고요. 그런데 최근에 제 진로를 고민하다가 정말로 하고싶은걸 찾았습니다. 그 일을 생각하면 뭔가 희망이 가득해지는 기분이 들더라고요. 사실 쓰다보니 저도 제가 뭘 말하려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한가지 말하고싶은건 꿈을 가지라고 말해주고 싶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h3pi3fv3d
@user-uh3pi3fv3d Ай бұрын
어른이 되고싶지 않다는건 진짜 슬프네.... 우린 진짜 어른이 멋있어보였고 모든지 잘 해낼것만 같았는데 요즘 잼민이들은 어른의 안좋은점만 보는것같아.. 미디어가 너무 현실을 잘보여줘서 그런걸수도
@user-wb6li7yn3n
@user-wb6li7yn3n Ай бұрын
근데 항상 영상,쇼츠 같은거 보면 댓글에 악플은 꼭 하나씩은 있고, 남녀갈라치기,정치싸움,요즘 mz들은 어쩌고저쩌고..어른들이 안좋은 모습만 보이니 안좋은 점만 볼 수밖에 없음
@user-domabaem2357
@user-domabaem2357 Ай бұрын
현실이 아니라 쓸데없이 염세적이고 자극적인 것들만 보여주는 것죠
@joycon323
@joycon323 Ай бұрын
나도 뭔가 나이 드는 걸 꺼려하는 것 같음 지금 중간고사 끝나고 결과 받았는데 성적은 개처반이고 이렇게 되면 고등학교 때 공부 성적은 어떻게 될까, 문제는 풀 수 있을까, 수능은 칠 수 있을까가 너무 걱정되고.., 그런데 애들은 오죽할까.. 나도 아직 어느 평범한 청소년 한 명인데 이렇게 까지 밤낮 설쳐가면서 이렇게 살아도 되나 싶기도 하다..
@hyeonsu4596
@hyeonsu4596 Ай бұрын
위기가 기회인 이유는 자신이 생각지도 못한 기지를 발휘하는 경우가 생각보다는 많다는 것인데 삶에서 희망을 빼고 절망만 바라본다면 그거 자체로도 삶의 의미를 잃어버리는 거임 그래서 극단적인 선택하는걸 무섭지 않게 여기는 단계까지 가면 진짜 심각한거고 본인이 그런 쪽에 가깝다 싶으면 진짜 병원이든 누구든 붙잡고 도와달라고 해주면 반드시 한명은 도와준다 꼭 한번 태어난 인생 가치있게 살아보길..
@zeroroad2395
@zeroroad2395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이 왠지 모르게 멋있다.......
@nameis-riizeWB
@nameis-riizeWB Ай бұрын
나는 어린 아이들이 현실을 아주 몰랐으면 좋겠는데… 그저 꿈꾸는 미래에 대한 설렘과 희망으로 살아갔으면 좋겠음. 결국엔 그 감정을 양분 삼아 살아가는 거니까. 터무니 없어도 좋으니까, 부디 꿈꾸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 무조건 성공하지 않아도 괜찮으니까 진창 실패도 해보고 일어서기도 하는 삶을 살기를.
@user-wt3kx2xz3m
@user-wt3kx2xz3m Ай бұрын
확실히 현대사회에선 상식이 좀 뒤집어지는 경향이 있긴한데 윗세대랑 같이 교류하는 사회라 알았으면 좋겠음... MZMZ이러면서 다 커버쳐준다고 한들 그냥 모른다고 넘기면 무시당할 뿐 좋은 인식은 안나오는걸 모르는사람이 너무 많음
@Im_Pillow
@Im_Pillow Ай бұрын
유튜브같은 매체로 이미 어른이 됐을때의 암울한 사회를 알아버렸는데 당연히 되기 싫을 수 밖에 없음
@user-js9el6uj9e
@user-js9el6uj9e Ай бұрын
아날로그 시계 보면 좋은게 시간배분을 조금 더 잘 할 수 있게 됨. 시간을 원그래프로 보여주기 때문에 디지털시계보다 시간개념이 잡힘.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학교에서 서클생활을 많이 지원해 줘야한다고 봄. 뭐 해볼까해도 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게 없고 접하지를 못하니 뭐가 있는지도 알지 못하고 자람. 결국 부모의 재량과 부담이 되어버림. 학교에서 많이 접하고 스스로 뭘 할지를 정해야하는데 부모가 시키는대로 학업만 하다보니 미래가 보일리가 있나.
@rosettarubygrace
@rosettarubygrace 26 күн бұрын
아날로그 시계보면 확실히 시험 시간이나 약속 시간이 몇 분 남았는지가 잘 보이고 어디에 몇 분(주로 5의 배수 단위로 끊어서)을 쓸지 이런 거 계획할 때도 도움 되는 듯. 그래서 나는 아날로그 시계를 더 좋아함
@user-jt5br5jv4v
@user-jt5br5jv4v Ай бұрын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나 각박한 사회탓, 부모의 그늘 다 맞는 얘기지만 커뮤니티 등을 점령해버린 패배주의 의식 영향이 큰 듯 ‘해도 안 된다, 노력도 재능이다,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거다’ 이런 소리만 하면서 시도도 안 해보는 사람들이 넷상에 몰려있고 어린 아이들은 그런 정보를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고 인식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패배주의를 학습하게 되는 것 같음 너무 일찍부터 너무 많이 미디어를 접하는 게 독이라는 이유가 이런 거임… +) 10대든 20대든 일단 해보세요 되든 안 되든 일단 누가봐도 노력했다 싶을 정도로는 노력해보세요. 안 돼도 실패해도 괜찮습니다. 그 나이엔 실패해도 당장 일어설 수 있어요. 여러분들은 대안을 찾기에 충분하고도 넘칠 만큼의 시간이 있어요. 그냥 하고 싶은 걸 찾고 하고 싶은 걸 해보세요! 공부도 제발 소홀히 말고 노력하고 도전해보세요. 공부는 뇌를 발달시키는 과정입니다. 성적이 안 나오더라도 한 번 최선을 다해 노력해보세요. 그래야 여러분 뇌가 자랄 수 있어요!
@user-qh5eu3wt8c
@user-qh5eu3wt8c Ай бұрын
어른들의 좌절감 무력감이 대물림 되는 것 같은데...무의식은 진짜....공통의 감정인가봄 아이들을 보면 진짜 사회가 보이는듯....
@user-dh2uv8yn1n
@user-dh2uv8yn1n Ай бұрын
실패하는 게 무서워서 많이들 꿈을 못 꾸는 것 같아요 하고 싶은 건 많은데 될 수 있는 건 없어요
@min0301
@min0301 Ай бұрын
17살도 꿈꿔도 되나욘… 다 이제는 현실을 바라보고 미래를 준비해야한데요
@user-cf7kj5qb9k
@user-cf7kj5qb9k Ай бұрын
꿈꾸는게 미래를 준비하는겁니다. 그 놈의 '현실'이 뭐랍니까.. 그거야말로 최고의 허상이에요. 이루고 싶은걸 이룰 수 없게 만드는 방해물이나 다름없어요. 바라볼 현실이 뭐고 준비해야 할 미래는 또 뭡니까. 그런게 메뉴얼로 정해져있답니까? 그놈의 '현실'은 좀 내다버리고 꿈꾸고 시도하고 철없이 사세요. 10대건 20대건 30대건 꿈꾸기에 늦은 나이는 없어요.
@adecheongpodo1824
@adecheongpodo1824 Ай бұрын
아직 안늦었다 애기야 과감하게 도전하기가 정 무서우면 너가 원하는 분야 골라서 그쪽으로 대학 준비하렴
@aradelin6017
@aradelin6017 Ай бұрын
살다보면 20대 중반에도, 30대에도, 심지어 40대에도 다시 도전하는 사람들 많아요.. 당장 지금 결정 안하면 다 끝날 것 같겠지만 17살이면 너~무 어려요ㅋㅋ
@user-kf7qb8wf3v
@user-kf7qb8wf3v Ай бұрын
내가 딱 완전한 인터넷세대랑 저물어가는 레트로시대 그 사이에 학창시절을 보내서 그런지 나는 뭔가 확실히 인터넷이 사람들 지능을 퇴화시켰다고 느낌 인터넷 안 하던 어린시절 때는 하루가 너무 느리고 너무 즐거웠어서 1년이 참 길고 빨리 어른이 되고 싶었는데 인터넷에 익숙해지니까 하루가 참 빨리가고 빠른 것에 익숙해지고..눈 깜빡하면 나이 들어있고.. 자극적인 것만 찾다보니 더 이상 어른이 되고싶지 않고 빨리가는 시간 멱살잡고 이대로 머물고싶음..
@gyeolbak
@gyeolbak Ай бұрын
난 10살짜리 꼬마가 주식 얘기하고 벌써부터 재테크할 생각하는 거 보고 놀랐음..
@Dulgidulgi12
@Dulgidulgi12 29 күн бұрын
진짜 암울함…
@U_HANGUN
@U_HANGUN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강제로 독서를 하기도 했고 일단 디지털 시대가 아니었기에 문장이란걸 많이 접할 수 있었지.. 근데 요즘은 간략이 추세이기 때문에 어디 미디어만 가도 완전한 문장보단 강조! 강조! 이렇게만 씀 그러니 언어구사 능력이 많이 떨어지는 느낌 하다못해 웹툰도 글 많으면 안읽는 애들 태반임
@user-nj7mo2yi6z
@user-nj7mo2yi6z Ай бұрын
그..... 어른들을 좀 많이 만나는 직업을 하시면 알게 되실거예요 윗세대라고 언어구사능력이 좋지는.......... ㅎㅎㅎ 않습니다 ㅎㅎ......... 다 비슷해요 그냥
@Ha_Yul0527
@Ha_Yul0527 Ай бұрын
아니 진짜 이 형 올리는 시간이
@sunkyungyoon6196
@sunkyungyoon6196 Ай бұрын
잼민이 말투 들어보면 진짜 내 동생이랑 말투 똑같아서 소름돋았다
@user-gx6dp8si1j
@user-gx6dp8si1j Ай бұрын
마지막 영상이 진짜임 사회 분위기가 이럼.. 지금 댓글 쓰는 중2 잼민이 본인도 어른 되기 싫음 알 수 없는 미래가 두렵다고 해야하나 내가 하고싶은 장래희망도 진짜 성공할수 있을지 모르겠고 참 이런거 보면서 대한민국이 진짜 망해가고있구나 싶음,,
@oveeve7347
@oveeve7347 Ай бұрын
넘어지지 않는법이 아니라 넘어져도 일어나는법을 가르쳐야 하는데..
@user-lw8dd6lu4k
@user-lw8dd6lu4k Ай бұрын
요즘 아이들은 우주선임. 뭔가를 위해 기깔나게 준비했고 겁나 큰 우주선이 딱 있는데, 출발 한다고 해도 우주로 나갈수 있을지 모르고, 나간다고 해도 부품들 전부 버리고 위성 하나만 띡 놓고 나머진 불타서 바다에 떨어짐. 그래서 난 부품들 깔끔하게 버리고 위성 띄웠음 ㅇㅇ. 원래 만화가가 꿈이었는데 지금은 무난하게 화사 다님.
@user-bf6or7ck7v
@user-bf6or7ck7v Ай бұрын
게임에서 패드립,현피신청하는 도전적인 아이들도 많답니다
@meeeeeoooooooooow
@meeeeeoooooooooow Ай бұрын
애들이 어쩌다가 저런 생각을 가지게 됐을까 저 나이땐 하고 싶은게 많아서 하루 하루 꿈이 바뀔 나이일텐데
@user-pb3fj4we2e
@user-pb3fj4we2e Ай бұрын
바뀐 편집 왤케 좀 웃기냐ㅋㅋㅋㅋㅋ 뭔가 대치동 강사들 명언집,, 공부 자극,, 이런데서 볼 법한 편집
@user-jm3lm7rf6b
@user-jm3lm7rf6b 26 күн бұрын
어른이 되기 싫다는 말 공감함 이미 난 학원도 다니고 공부도 하고 있는데 사람들하는말로는 항상 어른이되면 더 힘들어 그게 뭐가힘드니 나때는 말이야... 로 넘어가니까 요즘 SNS보면 계속 어른되면 힘들다 힘들다 하고 있으니 더 되기 싫어지는것 같음 항상 아침 일찍나가서 밤늦게 들어오는데 어른이 되면 더 힘들어진다고 하면 난 못버틸것 같음 (참고초6임)
@Sm-HYBE-tlqkf
@Sm-HYBE-tlqkf Ай бұрын
중학생인데 사회가 좀 변해야할 거 같아요 단지 좋은 대학 취업이 인생 목표인 친구들이 주변에 너무 많아요… 무슨 과 가고 싶냐고 물어봐도 아무도 제대로 대답을 못해요. 애들이 경험이 많아야 자연스럽게 관심사도 찾고 진로도 결정한텐데, 어릴 때부터 공부하느라 책도 못읽고 여러가지 경험을 해볼 기회가 적은 거 같아요. 애들이 싫어서 경험을 안하는 게 아니잖아요
@dasima5821
@dasima5821 Ай бұрын
어른이 제일 재밌었는데 난 인생에서 20대가 제일 좋았음 책임질 게 많다는 건 그만큼 자유롭게 행동해도 된다는 거 하고 싶은 거 하는 거에 제약이 없음 10대도 10대 나름이지만 20대도 꿀잼임
@pj_chaans0831
@pj_chaans0831 Ай бұрын
너무 어렸을때부터 유튜브나 인터넷을 빨리 접해버리니까 문제인거 같음...책보다 유튜브 영상을 많이 접해버리니까 글 끝까지 읽는 능력 말하는 능력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능력이 점점 줄어드는 느낌...진짜 미래를 생각하면 심각한 문제인거 같음
@minjiyouppp
@minjiyouppp Ай бұрын
진짜 요즘 애들은 책을 좀 읽었으면 함 나도 잼민이긴 한데 주변에 책읽는 친구들은 말도 조리있게 잘하고 애초에 가치관 자체가 바뀜 사춘기때도 가오잡는 애들이랑 다르게 유연하게 보내고.. 내 목표, 계획 이런걸 정하고 그에 맞춰서 하고싶은거 하고 공부도 잡으면서 보냄.. 책이 진짜 중요하다는 걸 느꼈음
@user-lk8xc7fp6q
@user-lk8xc7fp6q Ай бұрын
이 말 진짜 인정인게 어렸을 때 꿈없다고 하면 이상한 취급받았는데 아직까지 꿈이없는 나? 나만 그런게 아니더라... 그냥 꿈꾸는 거 자체도 힘든 시대.
@user-hl7gv7pz9b
@user-hl7gv7pz9b Ай бұрын
4:35 예전에는 동네 놀이터에서만 1등해도 아이들에게 칭송받았는데 요즘은 조금만 검색해보면 나보다 엄청나게 뛰어난 사람들이 널려있는 걸 보게되죠. 누가 뭘 잘해도 유튜브 검색해서 이 사람은 이만큼 하는데? 이렇게 기를 죽이는것도 있지 않나 싶어요. 예전에 어린애들끼리 고만고만하게 즐겁게 내가 최고. 이런 마인드도 사라지는거 같고..
@loveky0126
@loveky0126 Ай бұрын
맞네요.... 놀이터에서 1등해도 칭송했었는데, 그리고 내가 잘난맛에 크다가 우물안 개구리였구나 하면서 깨지고 도전하다 또 깨지고 현실파악하고..그렇게 커나가는건데.... 당장 검색하면 잘하는 사람들 영상 수두룩 빽빽에 그마저도 댓글에 평가질하니까 애들 입장에서는 이렇게 해도 못할걸 안한다하는 마음이......커졌지 싶네요... 안쓰럽네요 어쩐지.
@UmU912
@UmU912 12 күн бұрын
멋있어
@RO_SY2025
@RO_SY2025 Ай бұрын
미디어 노출이란 게 너무 큰 빛과 그림자가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너무 어린 나이부터 20대 30대가 돼서 느껴야 할 현실을 자꾸 보다보니
@user-lk8xc7fp6q
@user-lk8xc7fp6q Ай бұрын
아니 뭔 이렇게 주제가 자연스럽게 휙휙 바껴ㅋㅋㅋㅋㅋㅋㅋ
@ingigyong
@ingigyong Ай бұрын
도전하고 실패도 해보는게 좋은건데 실패하면 혼나고 조롱하고 그러니까 무조건 실패하면안돼 성공해야돼 이러니까 문제인듯
@user-pl2cy4mj3h
@user-pl2cy4mj3h Ай бұрын
결정론, 유전, 환경, 운이 중요하기에 노력, 후천적 유전, 자유의지가 중요한건데…….
@Doragun_
@Doragun_ Ай бұрын
혈통빨 만화가 많아서 재능 아니다 싶으면 그 꿈 바로 접어버리는거죠 우리들의 희망이 물가상승으로 인하여 더더욱 효율성을 찾기도 바쁘고 말이죠
@user-uw8yh3vh5w
@user-uw8yh3vh5w Ай бұрын
근데 저게 현실임 실제로 초등학교 애들이 저런이야기 많이함 하고싶은걸 못할것 같다,어른이 되기 싫다 근데 여기서 확실한건 어른이 되기 싫어하는건 나이가 들수록 책임질게 많아지고 살기가 힘들다는걸 이미 너무 잘 알고있어서임 이미 애들이 그 사실을 초3쯤 되면 느끼고있음.실제로 초6한테 물어보면 어른이 되는게 두렵다 말한애가 상당히 많음.
@jamescho3846
@jamescho3846 Ай бұрын
초딩인데 당연히 거의 다 아날로그 시계 읽을수 있고 어른은 잘모르겠는데 어른 빨리 되고싶음 그리고 꿈은 그냥 이룰 수 있을 것같다고 생각을 좀 하는데 저도 잘 모르겠네요
@user-yp7wf4hf2r
@user-yp7wf4hf2r Ай бұрын
현직 중딩 잼민입니다 예전엔 비관적인 잼민이 그 자체였는데 대가리 꽃밭으로 사니깐 편합니다 여행도 가보고 내 손으로 돈도 벌어보고 집에서 누구 허락 없이 넷플릭스 보고 아이돌 앨범도 사보고, 웹툰 쿠키도 사보고 싶고 유튜브 프리미엄도 결제하고싶고... 어른이 빨리 되고 싶어요 생각만 해도 행복합니다
@user-vr8ue7cu4c
@user-vr8ue7cu4c Ай бұрын
난 주둥이가 주는 잔잔한 감동이 좋아...
@user-dg3bw2wm4l
@user-dg3bw2wm4l Ай бұрын
사실 이때까지 크면서 내가 어떻게 자라고싶은가는 생각한적없어요. 부모님이 원하는대로 자라면 그게 나한테도 부모님한테도 모두 좋은거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그런가? 정작 이젠 너도 컷으니 하고싶은걸 해봐라 라고 했을땐 정작 제가 하고싶은건 없더라고요. 좋아하는건 있지만 그런건 돈이 되는 일이 아니잖아요?
@1000yang
@1000yang Ай бұрын
지금시... 어휴 아니다
@gosemf390
@gosemf390 Ай бұрын
젊은 아이가 미래를 생각하지 않으면 그른 것이고, 어린 아이가 미래를 생각하면 슬픈 것이다
@Steven_apple
@Steven_apple Ай бұрын
도전을 조롱하고 실수하면 비난하는데 꿈에 대한 자신감이 있을 수 가 없지
@user-gw6wl1ql3h
@user-gw6wl1ql3h Ай бұрын
시험 하루전 최고의 선택
@onrun_
@onrun_ Ай бұрын
무서워 현실에 대한 뉴스, 사회, 현실 비판을 하는 뉴스가 나와도 뭐 대한민국이 그렇지 하면서 당연히 받아들여지는 내 자신이 너무 무서워 진짜 대한민국은 끝이 정해져있어
@opopa091
@opopa091 Ай бұрын
인스타그램 릴스를 못보게 막아놔야함 이유는 다들 알지?
@user-fm7ce2nu7n
@user-fm7ce2nu7n Ай бұрын
스스로의 가치관과 꿈에대해 생각해볼시간없이 부모와 사회의 강요로 오직공부만하며 스스로의 꿈이아닌 부모의꿈이자 사회의꿈이자 돈의꿈만을 꾸고살아가고있음
@user-ll7et5hp5n
@user-ll7et5hp5n Ай бұрын
재미있어용 ❤❤❤
@user-kdnsjjsxjbd
@user-kdnsjjsxjbd 29 күн бұрын
고2 학생인데요 어른되면 정말 안 좋은 점들만 있나요? 사회나가서 이루고 싶은걸 10%도, 0.1%도 못 이룰거라고 힘들거라고 부모님께서 말씀하셨는데 제가 공부를 못해서 인정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어른이 되고나서 좋은 점들은 뭐가있는지 궁금해서요..
@armpithairmountain
@armpithairmountain 27 күн бұрын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할수있다고 생각해야죠 오히려 건전한 가치관을 가지면 어른되면 더 좋은점이 많습니다
@user-vf9ji9vm8g
@user-vf9ji9vm8g 10 күн бұрын
너무 늦었을지도 모르지만... 댓글을 읽으셨으면 좋겠어서 남겨요 절대 그렇지 않아요! 생각보다 세상은 무섭지 않답니다!! 하고싶다는 마음만 있다면 어떻게든 길이 열리게 되어있어요 인간의 삶은 너무 다사다난하고 학교 졸업해서 취직해서 평범한 회사원으로 사는 사람만큼 그렇지 않은 사람도 많은데 인터넷에는 잘 드러나지 않을 뿐이랍니다 꿈을 이루지 못하는 방법은 공부를 못하는게 아니라 '어차피 못 이루겠지...'하고 지레짐작해서 포기하는거에요 이 말을 꼭 기억하셨으면 좋겠어요 그러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사시는데 집중하세요 그러면 뭐든 되어있을거에요 학교생활 힘내시구 행복한 나날 보내셨음해요
@user-br4xg2sz6v
@user-br4xg2sz6v Ай бұрын
시계 못보는 잼민이들은 수능볼 때 어떡하려고 그러냐
@user-lk3yk2oq3f
@user-lk3yk2oq3f Ай бұрын
내 경우에는 나이제한 있는 온라인게임 하고싶어서 빨리 어른되고 싶었는데...
@34E-ho9mr
@34E-ho9mr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저는 네이버웹툰에 19딱지 붙은 공포웹툰이 너무 보고싶었어요. 제목이 지금우리 학교는 이었나 그랬을 겁니다
@nari0318
@nari0318 Ай бұрын
나도 어릴 때 어른 되기 싫었고 지금을 살기 싫고. 태어나서 어쩔 수 없이 산다...
@Hieo_ui
@Hieo_ui Ай бұрын
진짜 요즘 몰상식한 애들이 한 둘이 아님 특히 시계 못 읽는 애들 보고 소름이 돋았음
@Iam_hiller
@Iam_hiller Ай бұрын
부모가 밀어줄 능력이 있거나 본인이 특출나게 재능있는거 아닌이상 회사 그중에도 대기업 들어가는게 최대 아웃풋이긴하죠...ㅋㅋㅋ 전 이걸 고딩때 알았는데 요즘은 더 어릴때 깨닫는것같네요
@fgdss9190
@fgdss9190 Ай бұрын
희망적이고 싶어도... 미래가 점점 어두워지네요
@user-jj5qs7jk7t
@user-jj5qs7jk7t Ай бұрын
진짜 문제는 따로 있음. 앞으로 어리면 어릴수록 세금 왕창 내야하고 국민연금 못받음(인구 감소, 고령화로 국민연금 고갈 그거 채울려고 세율 증가) 이런 재앙을 피할려면 능력 키워서 한국을 떠나던가 돈 많이 벌어서 내는 세금이 아깝지 않을 정도가 돼야됨. 저출산 때문에 어느 기점부터 경제는 계속 박살날거고 외국인들 유입에 치안은 엉망(출산율 이대로 감소하면 나라가 없어지는 수준이라 외국인을 받는 정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음), 전쟁의 위협에도 늘 시달릴테고..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 미래가 걱정된다 뭐 알아서 잘 살아야지 어떡하냐.. 정치인들도 다 무관심한데 ㅋㅋ 어린 친구들이 명심할거는 재태크의 중요성이다.. 어렸을 때 부터 경제 공부 많이 해서 돈을 굴릴 방법을 찾아(코인은 절대 하지말고 주식을 공부해 투기가 아니라면 주식은 돈을 불리기 좋은 수단이야) 돈 없으면 더더욱 살기 힘들어지는 세상이 찾아올거야
나 빼고 다 잘사는것 같네..
5:17
총몇명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КАХА и Джин 2
00:3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8 МЛН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제가 사이비 종교에 받은 피해 폭로합니다
8:23
주둥이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여자가 좋아하는 찐따와 싫어하는 찐따 차이점
5:56
주둥이방송
Рет қаралды 474 М.
콘치즈 하나 더 주세요
8:22
숏박스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대한민국에 미래가 없는 이유
12:19
한눈에 보는 세상 – Kurzgesagt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여자한테 만만하게 보이는 남자 행동
5:37
주둥이방송
Рет қаралды 355 М.
저 퇴사할게요
7:37
숏박스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Настоящий Железный Человек ( @ALEXLAB )
0:51
EpicShortsRussi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Настоящий Железный Человек ( @ALEXLAB )
0:51
EpicShortsRussi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зеленое яйцо #shorts #животные #shortsvideo #страус
0:35
Тайные Истории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