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하철 안에서 샘 리차드 교수를 충격에 빠뜨린 한국인들의 행동 설명하자 급부끄러워진 학생들

  Рет қаралды 1,610,559

원더WONDER

원더WONDER

6 ай бұрын

#해외반응 #한국문화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wonder0603
우리나라 및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영미권 소식은 직접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시의성에 맞거나 이슈거리 중 우리 한국인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Пікірлер: 1 000
@wonder0603
@wonder0603 6 ай бұрын
백진삼 특별 할인 링크입니다smartstore.naver.com/idyllic_good/products/9221622643 ✔ 산삼 조직배양기술로 100년 이상 된 산삼과 ‘DNA 99%’ 동일하게 배양(복제) 성공 ✔ 약 30년간의 산삼 연구로 탄생 ✔ 나노 공법 기술로 산삼의 ‘유효성분 흡수율 극대화’ (국제무대 금상 수상) ✔ 독보적인 기술로 24종의 특허 및 인증서 취득 ✔ 1포 당 진세노사이드 ‘57mg’ 함량 ✔여러 개를 구매하실 경우 추가 할인 혜택
@user-vm7zg8tu9u
@user-vm7zg8tu9u 6 ай бұрын
232
@user-xf1mo2xr8l
@user-xf1mo2xr8l 5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씨씨티비가 없던 전쟁후 5~60년대 전후복구후 찻집이나 빵집에서 친구들 만났어요 빈자리없이 붐비거나 여유있을 때는 자신이 원하는 테이블에 선점한 손님있다는 표시로 자신의 소지품을 올려 놓고 테이블을 떠나 잔볼일들 보곤했지요 결코 씨씨티비때문이 아닙니다 @ 가장 중요한건 우리나라에서는 도둑질 하는걸 가장 수치스러운 사람으로 봅니다 도독놈 도독년 하면 가장 모욕적인 욕중에 하나입니다 다행이도 그 전통이 현재까지는 이어져 내려왔는데 외국분들이 특히 유럽이나 미국사람들이 하도 도둑질 이야기들 많이하니까 혹시라도 장난끼로 모방범죄라도 생길까봐서 여간신경 쓰이는게 아닙니다 특히 손버릇나쁜 중국이나 동남아,, 교수님처럼 학교강의실 강의는 환영 합니다만 한국와서 몇년씩 사는 유럽분들 미국여자분은 심지어 비오는날 지하철통로에 가격표시 우산무인 가판대 설치하고 씨씨티비로 지나는 행인들이 당연히 돈을넣고 사가는 모습에 제딴에는 신기해 어쩔줄 몰라하는 "어쎔티브"인가 보다가 저는 욕까지 했어요 다시는 한국들어오지 말라구요 학교교육소재로 하시는건 환영합니다만 한국들어와서 인기 외국인전용,어쎔프로에서 이렇게 너무나 당연한걸 신기해 죽는다니 마치 정당히 돈내고 물건사는사람은 바보인것처럼 오도될수도,, 특히 우리와 구별않되는 손버릇나쁜 중국인들이 우리국적딴것도 많지만 여행객들이 훔쳐가도 한국이니깐 우리나라 인상만 나뻐지겠고 특히나 모방범죄가 시작되면 끝이다 우려하는바 큼니다 , 교수님 강의와는 무관 합니다
@user-ll1lz3gr8f
@user-ll1lz3gr8f 6 ай бұрын
한국문화 얘기하던 여학생 이쁘고 똑똑하고 우리 문화에대한 자부심도 보여서 좋았어요
@user-pb9hq6hj5w
@user-pb9hq6hj5w 6 ай бұрын
네 그 여학생은 내가 모르던 부분까지도 깨닫게 해줬네요
@user-bm9no1to6c
@user-bm9no1to6c 6 ай бұрын
저여자분 정말 멋있어요❤
@user-jv5vs1yq5h
@user-jv5vs1yq5h 6 ай бұрын
웃는모습이 넘 예뻤어요
@beantree_ParkGyver
@beantree_ParkGyver 5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ekmom99
@ekmom99 5 ай бұрын
5:10 👍
@deborahkim6563
@deborahkim6563 6 ай бұрын
한국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홍보해줘서 교수님께 감사하네요
@user-yt3ui9qb4t
@user-yt3ui9qb4t 6 ай бұрын
미국에 여행하고 온 사람등이 미국 사람들은 친절하고 착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user-kx3cb9ti3e
@user-kx3cb9ti3e 6 ай бұрын
@@user-yt3ui9qb4t이런놈 꼭있지 ㅋ ㅋ ㅋ ㅋ ㅋ
@Kiring22
@Kiring22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여행으로 오면 진짜 좋은 나라긴 함 살기 힘든 나라지
@oooyoo
@oooyoo 5 ай бұрын
@@user-yt3ui9qb4t 지역마다 다른 것 같은데 친절한게 있고 공항직원같은 부분은 4가지 없긴 해요. 직접경험해 보면 한국보다 더 친절하게 느끼는 부분도 사라마다 다르게 느낄 수있어요. 저도 캐리어 끌고 이곳저곳 가는데 많이들 한마음으로 도와주려고 해서 감동받은 적도 있어요 ㅠ미국 공항 진짜 가끔 재수없으면 싸가지없는 직원한테 걸리면 아무것도 안했는데 욕한바가지 들은 기분이에요.
@user-qe2yy1zt5r
@user-qe2yy1zt5r 6 ай бұрын
튀는 것을 싫어하는게 아니고 무례한 것을 싫어합니다. 나보다 한참 나이 많은 교수님이 힘들게 교육시키고 나를 비롯 모든 학생들에게 자기 것을 나눠주고 있는데~의자에 다리를 올리며 교수님을 대하다니요~
@c.h2132
@c.h2132 6 ай бұрын
ㄴ교수복장까지 지적하는건 너무갔다 솔직히 중도가 필요함 한국도 아직 너무 고지식함 한국 미국 중간이 딱 적정
@user-uw5dg4uv1e
@user-uw5dg4uv1e 6 ай бұрын
​@@user-zr2yx1kq3r뭐가 품위없어 보인단건지? 원댓글에서 복장이나 외모나 품위를 언급한게 아니라 기본적인 매너를 언급했는데 교수님의 품위 얘기가 왜나와? 너 외국인이지?
@lauriemin8521
@lauriemin8521 6 ай бұрын
저도 영상을 보며 '튄다'는 표현이 조금 신경쓰였는데 솔직히 튀는 것 자체가 문제는 아니니까요. 공공장소에서 불쾌감을 주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행동이 문제지. 남들과 다르게 튀더라도 누가 봐도 안좋은 것, 별 상관 없는 것, 좋은 것 쯤은 구분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네요.
@user-oq2kk3oy2v
@user-oq2kk3oy2v 5 ай бұрын
튀는거 싫어하는건 맞지
@carat.toast_loveyou
@carat.toast_loveyou 5 ай бұрын
무조건 튀는것이 싫은게 아니라 무례하게 튀는것이 싫다는거죠❤
@sk-pb9vk
@sk-pb9vk 6 ай бұрын
살면서 cctv를 신경쓰고 살아본 적이 없다... 어디에 붙어있는지 알지도 못한다...
@gjm817
@gjm817 6 ай бұрын
강의실에서 발 올리는것은 미국 한국 떠나서 사람이라면 무례한 행동이란 걸 알텐데..
@jakeshin1782
@jakeshin1782 5 ай бұрын
미국애들은 그렇지도 않아요. 직장에서도 상사앞에서 구둣발을 책상위에 턱 걸쳐두고 얘기하니까요. 히긴 뭐 을 나라에도 댓통후보라는 사림이 열차칸의 만은편 좌석위에 구두발을 턱 올리고 갔으니 쟤네들 뭐라하기는 그렇군요.
@zee-ct7ex
@zee-ct7ex 5 ай бұрын
충격이시겠지만 미국은 교수님수업하는데도 학생들 과자먹어요
@user-be6vw2st6q
@user-be6vw2st6q 3 ай бұрын
가르치는 분에 대한 예의가 아니죠.
@drew9552
@drew9552 3 ай бұрын
@@zee-ct7ex 냄새 안나고 조용히 먹으면 문제 없는데 이건 한국이 유난 떠는듯. 뭐 먹는다고 집중 안하는 것도 아님 영화관 가면 영화 재밌게보면서 팝콘 먹듯이
@user-ui2mj4ht5s
@user-ui2mj4ht5s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서양이 유교문화도 아닌데 뭔 예의 ㅋㅋㅋㅋㅋ
@mywayhomealice
@mywayhomealice 6 ай бұрын
남산화장실에 폰을 두고 나와서 잃어버렸다고생각했는데 한달후에 저희집으로 배달이 되어서 왔어요. 저도 이게 어떻게 돌아왔는지 모르겠어요. 어쨋든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것이 너무 감사하더라구요.
@jonghyukpark6528
@jonghyukpark6528 6 ай бұрын
만약 사실이라면 , 전세계 200여개 국가중 3~4개정도 국가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죠. 그중 한나라가 한국인것 같네요.
@mywayhomealice
@mywayhomealice 6 ай бұрын
@@jonghyukpark6528 사실이에요. 15년전인가 예전에 폴더폰인데 아직도 버리지않고 간직하고 있어요. 너무 신기해요.
@user-on6hj5nt7i
@user-on6hj5nt7i 6 ай бұрын
사람을 잘만나서ㅡ돌려받으신듯 요즘중국으로 팔아먹는자들이 눈에띕니다...조심하셈!
@nowthesea
@nowthesea 5 ай бұрын
주소는 어찌 안거지?
@user-tt3vb6tb4v
@user-tt3vb6tb4v 5 ай бұрын
주은 사람이 우체통에 넣지 않앗을까여~저두 주어서 우체통에 넣엇는데 ᆢ경찰서루 가져 가기엔 시간과 조서를 꾸며야 하니 !
@igosro83
@igosro83 6 ай бұрын
나도 지갑 떨어뜨린거 찾은 적 여러번 있다. 진짜 한국사람들 너무 대단하다고 느껴져.
@Carol-uz9ho
@Carol-uz9ho 3 ай бұрын
잘했어요.
@soyul5511
@soyul5511 Ай бұрын
​@@Carol-uz9ho❤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6 ай бұрын
외국인들은 서울에 와서 교통수단에서 조용히 이동해 줬으면 좋겠어요..
@user-yd2gt7su8u
@user-yd2gt7su8u 6 ай бұрын
개 쌍놈들이라, 조상때 부터 그렇게 했기 때문에 못 고친다고 봐야죠.
@veronicakim1433
@veronicakim1433 6 ай бұрын
이건 진짜 저도 말하고 싶긴했어요. 너무 목소리크고
@user-lk6wk8dd7y
@user-lk6wk8dd7y 6 ай бұрын
그렇구나
@user-uv2rj8dp8x
@user-uv2rj8dp8x 6 ай бұрын
맞아요.
@user-ji4yv6tw8q
@user-ji4yv6tw8q 6 ай бұрын
그대에게는 한국인의 배려가 빠졌다. 그분들은 손님이다. 가르치려 들지 말자 . 알아서 터득할 것이다.
@newtype2129
@newtype2129 6 ай бұрын
내가 살면서 휴대폰을 거리나 식당 PC방 노래방 강의실 택시 버스등.. 7-8번 정도는 흘리고 다녔을 거다.. 근데..한국에서 내폰으로 전화걸면 다른 사람들이 받아서 어디로 찾으러 오라고 다 말해준다. 반대로 내가 다른사람 휴대폰 발견해서 전화받고 돌려준적도 몇번있었다..
@c.h2132
@c.h2132 6 ай бұрын
서울에서는 거의 다다시 찾았었는데 부산유흥가에선 반은찾고 반은 바로다시갔는데도 없었음ㅋㅋ 그나마 서울이 제일 시민의식은 높은듯..
@Jjjo857
@Jjjo857 6 ай бұрын
​@@c.h2132서울 강남가는 지하철에서 새 물건 두고 내렸는데,못찾음.
@justjust8496
@justjust8496 6 ай бұрын
십여년 전 서울의 법원 내 화장실에 폰을 두고 나와 잠시후 다시 가보니 없어졌음. 전화하니 전원 끔 카메라 없으면 그런일은 자주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함
@user-bn6zk1we3m
@user-bn6zk1we3m 6 ай бұрын
@@c.h2132저도 부산에서 폰잃어버렷는데 못찾음..
@Potato_IB01
@Potato_IB01 6 ай бұрын
인정이요 자랑은 아니지만 저도 지갑 핸드폰 가방 잘 잃어버리는데 한번도 못찾은적이 없는…. 에어팟도 택시,버스에 놓고 내려서 2번 잃어버린거 다 찾았어요..ㅋㅋ
@user-ik4tm9vo9k
@user-ik4tm9vo9k 6 ай бұрын
오랫동안 기다리거나 줄서야 할때는 가방으로 대신 줄세우는 나라인데.. 뭐... 옛날부터 그랬음.. cctv가 없던 시절에도 가방이나 다른 소지품으로 자리를 맡는거.. 타인에 대한 암묵적인 믿음때문에 그런것 같음..
@htk3342
@htk3342 6 ай бұрын
샘리처드 교수는 한국에대해 호감을 많이 가지고 있는거 같네요,,
@umeda777
@umeda777 Ай бұрын
원래 친 한국파 석학입니당. 한국학 권위자시지요.
@KH-rt3pv
@KH-rt3pv 6 ай бұрын
문화는 물과 같다는 말에 공감한다. 그리고 아주 소수의 미꾸라지가 물을 흐리게되면 전부 바뀌어버린다는 것도. 카페 도난 문제나 무인점포 양심계산 등 국룰이 몇몇 미꾸라지들 때문에 종언을 고했다.
@sunshine-yb7no
@sunshine-yb7no Ай бұрын
방금... 무시하셨어요.. 모르고 계시군요... 한국문화... .... 한국인들은요... 좋은 것 방향으로 바꿔요... 좋은 방향로 흘러요... 나쁜 건 과감히 버리지요... 이...댓글 내용도 아마.... 미꾸라지가 흐려 논 물은... 단지... 미꾸라지인걸 알지요....모두... 그걸로 한국인의 물결을 바꿀 수 없다는 거 잘 아시면서요.... .... 오래 살아봤다면... 한국인이라면요... .... 고맙습니다... .... 미꾸라지는 단지...미꾸라지예요.... ... ㅇWㅇ...응....ㅎ 2024.5.22.수 8:33pm
@railart
@railart 6 ай бұрын
문화는 물과 같다. 공감합니다. 미국을 경유해 남미에 오는 분들은 공항을 통과하면서 한결같이 그 분위기가 사람을 주눅들게 한다고 하더군요. 예를 드는 하나하나가 우리들이 보지 못한, 당연한 것이라 여긴 것에 대한 관점과 생각을 다시 하게 하네요. 원더님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wy5mk3mg9d
@user-wy5mk3mg9d 6 ай бұрын
김구선생님이 가장원한건 부유한나라가 아닌 문화강국이였습니다 공항에서 식당에서 택시에서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모범적인행동을 해ㅑ겠습니다🙂
@young-my4zu
@young-my4zu 6 ай бұрын
부유해져야 문화 인권도.살아납니다
@sueb4261
@sueb4261 6 ай бұрын
@@young-my4zu가난하다고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민족은 어려울 때 더욱 빛을 발한 나라였습니다. IMF, 2002 월드컵, 태안기름유출 사고때 처럼요. 우리나라가 기울어져 갈 때, 당시 경제적으로 비교되는 옆나라와 함께 월드컵을 개최하여야 했을 때, 그 후로도 각자 먹고 살기 바쁠 때…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문화를 만들었습니다. 문화는 부보다는 우리 민족의 어려울 때 더 뭉치고자하는 정신에 있는 것같습니다
@user-os6jt7ci9u
@user-os6jt7ci9u 3 ай бұрын
김대중대통령님 문재인대통령님 실천 하셔서요 😂
@jutube2871
@jutube2871 6 ай бұрын
기차에서 맞은편 좌석에 구둣발 올리신 놈은 역시 한국사람이 아녔어
@user-ly1jv9dt9x
@user-ly1jv9dt9x 3 ай бұрын
ㅎ ㅎ ㅎ 일본 사람
@gjoydtidtiststixgkclh
@gjoydtidtiststixgkclh Ай бұрын
아!!일본사람?총리 남동생요?
@wkjeon9564
@wkjeon9564 6 ай бұрын
개나 소나 유학을 가고 있지만 유교적 문화와 상대방과 윗어른에 대한 존중과 배려라고 정확하게 판던하고 말한 저 학생의 경우가 왜 유학을 가고 무엇을 배우고 전해야 하는지 말해주는 것 같네요.
@user-wm2su8sh3x
@user-wm2su8sh3x 6 ай бұрын
개나소나 유학가든 뭐라 할 이유가 있나 님 주관적 잣대로 뭘 배웠냐 판단하는 건 그거야 말로 개나 소나 하는 말아닌가 싶은데...
@user-ij2ky2ir7u
@user-ij2ky2ir7u 6 ай бұрын
질투심 개오지네ㅋㅋㅋ
@user-hr9wf9nu6b
@user-hr9wf9nu6b 6 ай бұрын
웃어른ㅇ
@user-jg7fr1gx4o
@user-jg7fr1gx4o 6 ай бұрын
개나소나 맞음
@user-di7sb7xm7w
@user-di7sb7xm7w 5 ай бұрын
이 댓글이야말로 진짜 고리타분한 사고방식이다
@younsunpark7651
@younsunpark7651 3 ай бұрын
저 여학생분 이쁘고 당당하고 너무 똑똑하네.. 멋지다!
@deborah1470
@deborah1470 6 ай бұрын
항상 다양한 뉴스로 한국을 전해주심 감사해요~ 샘리처드교수님의 강의로 한국인에 대한 자긍심이 높아지네요 그리고 더욱 그렇게 되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jeongholee2720
@jeongholee2720 6 ай бұрын
저교수는 계속해서 미국인들은 야만인이고 미개인이라고 강조한다ㆍ 미국에 이민가는 사람들은 서구인의 외모에 미쳐서 그곳에서 소속감을 갖고 자부심을 갖으려하는것 같다ㆍ 천하고 위험하고 말도 통하지 않고 그곳에서 천한 일로 돈을 벌어서 한국에 사는 사람들에게 자랑하러 가는것 아닌가ㆍ
@user-jl7eq3dt2j
@user-jl7eq3dt2j 5 ай бұрын
오~~ 국뽕이란 단어를 안쓰시는게 진짜 최고~^^ 국뽕은 거품끼다ㆍ허풍이 끼다란 옳지못한 단어입니다 자긍심이 맞는말~^^
@user-lk6wk8dd7y
@user-lk6wk8dd7y 6 ай бұрын
참 말도 이쁘게 얘기한다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 샘리쳐드 교수님❤
@user-xr2yx9xq4v
@user-xr2yx9xq4v 6 ай бұрын
우리가 예의가 바르고 남을 존중하며 살았다는 것... 우리의 선조님.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근대에 일제와 625전쟁으로 일시적으로 좀 험악한 생활을 해서 범죄자가 아직도 있지만 그들이 이 영상을 많이 보았으면 합니다. 저분으로 인해 우리를 더 사랑하게 되네요 고마운 사람입니다.
@user-pq9ll9ti4m
@user-pq9ll9ti4m 6 ай бұрын
제 나이가 53년 생인데요. 60년대에 마을 행정단위로 읍면 단위에서만 해도 도둑질,예의가 없는 사람 기타 그집단에서 위해가 있다거나,그 형성을 하고 사는 집단에게 해를 준다거나 할 때는 따돌림을 당해서 그 마을이나 그가 한 행동이 소문이 미치지 않는 곳 이상까지 이사를 가야 했어요. 그래서 스스로 알아서 집단에 이익이 돼는 언행을 하려고 노력을 하고 살앗던 행위가 수 천년을 이어온 결과로써 자연 스럽게 문화,암묵적인 관습이 됐다고 봅니다. 아직 까지도 나쁜 행동을 하면 스스로 양심에 가책을 느끼면서 살죠.안그런 사람도 많지만, 그리고 특히 한국 땅에서는 모른 사람들 3이 모여서 할아버지 증조부까지 거슬러 오르다 보면 모두가 일가.같은 성씨,자기의가까운 친척과 인연으로 연결이 돼 있다고 봐야 합니다. 우리한국은 수 천년을 우리라고 살앗고 서양은 불과 오래 됐다고 봐도 200년 이내라고 봅니다. 수천년과200년의 세월만큼 떨어져 있다고 봄이 타당 합니다.
@user-zs9un5ip6i
@user-zs9un5ip6i 3 ай бұрын
요즘엔 이장놈이 앞장서서 못된짓한다네요. 삼청교육대는 우리나라에만 있었다.
@doya0726
@doya0726 6 ай бұрын
물건을 잃어버리면 어떨지 공감하기 때문에 찾아주는거예요^^ 그리고 어릴때부터 남의 물건에 손대지말라고 교육받은것도 있구요ㅎㅎㅎ
@gazzaga
@gazzaga 6 ай бұрын
한국 유학생의 cctv드립에 그게 많지 않을때도 그랬었단다 얘야 라고 참교육하는 미국교수님 ㅋ
@user-zs9un5ip6i
@user-zs9un5ip6i 3 ай бұрын
한국인이 비교적 도덕적 교육이 잘되어있지. 거기다 생활의 여유가 있다보니 양심찔리는일 안하려고하지 춥고 배고플땐 뺏고 훔치고 많이한 민족이었음을 인정하자.
@user-bz3gz7pz4z
@user-bz3gz7pz4z 6 ай бұрын
한국을 제대로 알리기위해 애쓰시는 샘리처드교수님 감사합니다~~~ 한국 일등 홍보대사로 임명합니다👍👍👍
@janesoo7378
@janesoo7378 6 ай бұрын
몇달전 강남 스타벅스에 가방두고 잊고 전철역까지 왔다가 생각하고 다시가보니 그자리 고대로 있더라 30분 정도 지났는데~ 감사하더라 한국사람들
@user-bj8mu6mu8v
@user-bj8mu6mu8v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작 한국인은 생각해보지 못했던 K문화, K행동 패턴을 설명해 주시고, 의미를 부여해주시고, 한국인에게 활력을 불어 넣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user-xr2yx9xq4v
@user-xr2yx9xq4v 6 ай бұрын
외국인들은 서울에 와서 교통수단에서 조용히 이동해 줬으면 좋겠어요.. 라는 글이 있는데 그거는 자신들이 우월하다고 생각하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무시해서 그렇습니다. 우리는 그러지 맙시다.
@hanna0322
@hanna0322 6 ай бұрын
정확해요. 유럽에서 만나는 미국인들. 중국인들보다 더 시끄러워요. 파킹랏에서, 다른차들이 줄서서 나가주길 기다리는데도 아랑곳 하지 않고 어슬렁 어슬렁 본인할꺼 다 하고 꺼지는... 아주 배려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사람들이 미국인들이에요.
@user-dx7ez1cn2m
@user-dx7ez1cn2m 6 ай бұрын
소음을 내내 들으며 참고 가는게 배려인가요?😂😂😂하핫 특히 중국인이든 미국인이든 외국인들 둘만 모이면 시끄러워요~~~나지금 우월감에. 쪄든 사람인가?ㅋㅋ
@user-dx7ez1cn2m
@user-dx7ez1cn2m 6 ай бұрын
​@@hanna0322난 중국사람이 그라던디유??
@jellyfit2358
@jellyfit2358 2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저는 조용히하라고 쉿 이러고 말해줌요. 그러면 쏘뤼 이러고 조용히하던데 , 진짜 모르는거같아요
@jennyhan1487
@jennyhan1487 13 күн бұрын
일본가면 미국인들도 조용함.. 한국이라 그러는 것 맞음.
@user-ys2sy3wu3k
@user-ys2sy3wu3k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중국은 아니란 걸 알고서 그렇지 않냐고 질문한 것 같은데...맥였네요 ㅋㅋ
@mickoh4383
@mickoh4383 6 ай бұрын
그래도 저 학생은 양심적으로 대답했는데... 홍위병 애였다면 한 술 더 떠 쭝궈 만세를 외쳤을 듯
@jmk9119
@jmk9119 6 ай бұрын
더불어 함께 잘살자는게 있었지만 요즘은 세대를 내려갈수록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생각이드네요 개인주의를 하더라도 상대에게 피해는 주지 말아야하지 않을까요
@user-nn4dp7de8b
@user-nn4dp7de8b 6 ай бұрын
그게 아니고 좌빨 주사파의 영향입니다. 공산당패거리는 예의.꽝. 상식 꽝. 애국심 꽝. 효도.꽝 도덕. 꽝 좋은 것은 모두 꽝꽝꽝
@user-rb8ti7cl3m
@user-rb8ti7cl3m 6 ай бұрын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는 명백히 다르겠죠. 다른이에게 피해를 주며 개인주의라고 하는건 말도되지않습니다.
@user-vj1rm7xr8o
@user-vj1rm7xr8o 6 ай бұрын
한국의 우수한 문화와 한국인의 뛰어난 예절을 미국교수가 미국에서 웅변해 주네요. 우리는 스스로 자긍심을 가질만 합니다
@emilygim1060
@emilygim1060 6 ай бұрын
울나라도 십대 이십대 초반으로 뵈는 애들이 버스에서 반은 드러누워 잇거나 아슬아슬하게 발 올려놓는 애들 보는 횟수가 엄청 늘었음. 지집 안방도 아니고.. 정말 공중도덕 기본예의는 지켰음 좋겠음
@user-qe2yy1zt5r
@user-qe2yy1zt5r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행동양식은 그냥 '예' '존중' 이 두단어로 모두 설명됨
@S.w.i.t.c.h
@S.w.i.t.c.h 6 ай бұрын
물고기에게 물처럼 문화의 힘은 큰 것이고, 과거뿐 아니라 우리의 현재와 미래에도 매우 중요하다는걸 새삼 느끼네요..ㅎㅎ 좋은 영상 늘 감사합니다 원더님😊
@user-xz5iq4mk3e
@user-xz5iq4mk3e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말 눈썰미 하나는 대단 하시네
@user-qp7qq8ze3r
@user-qp7qq8ze3r 5 ай бұрын
전 한국에 사는 아이들 넷을 키우는 엄마에요..ㅎㅎ..항상 샘리처드 교수님 강의를 좋아해서 자주 찾아보거든요..전 아이들에게 얘기를 자주하는 부분이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느낀부분이 불편하거나 기분이 불쾌하게 느낀부분을 다른 사람에게 하면 안된다고 가르치고 있어요..ㅎㅎ 예를들면 친구가 저희 애들에게 욕을 했을때 기분이 안 좋았으면 저희 애들도 그 기분을 생각하고 똑같이 하면 안된다고 얘기를 해주거든요..남의 배려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어서요..ㅎㅎ
@user-jg6tc7rp1t
@user-jg6tc7rp1t 6 ай бұрын
앞에 나와잇는 학생들이 교수님앞에서 다리꼬고 앉아있는 학생들의모습도 아직도 우리는 불편하네요ㅎㅎ
@fairfax4284
@fairfax4284 6 ай бұрын
한국에 대해 좋게 말씀 해 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바라고 싶은 것은 저런 행위는 한국의 문화이지 동양문화는 아닙니다 왜냐면 동양에는 중국이 포함되니까요 중국은 오히려 한국인들에게 같은 동양인으로서 수치감을 느끼게하는 종족들입니다
@Jenny_cz
@Jenny_cz 6 ай бұрын
이 댓글은 내용의 일부는 사실이더라도 종족이라고 표현하고 인종 혐오를 드러낸다는점에서는 솔직히 도찐개찐으로 보임. 조금 더 수준있게 비판했음 좋겠당
@sha_lala
@sha_lala 6 ай бұрын
이 댓글은 매우 인종차별적인 발언이네요 모든 한국인이 영상에 나온 좋은 행동들을 하지는 않는 것 처럼 모든 중국인이 나쁜 행동을 하지 않아요 어떤 집단을 싸잡아 비난하거나 싸잡아 칭찬하는 것은 매우 신중하게 해야합니다
@moltobello8311
@moltobello8311 6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도 그저께 도서관 화장실 세면대에 핸드폰 두고 건물밖으로 나갔다가 20-30분뒤에 알아채서 찾으러가봤는데 그자리 그대로 있더라구요..;; 당연히 화장실 안이라 카메라는 없었고 속으로 올~~ 역시 울 나라 짱짱맨 했어요
@gaksung
@gaksung 6 ай бұрын
김구 선생님이 말씀하고 추구하셨던 문화강국의 모습이네요 K컬쳐,K팝이 왜 세계적으로 퍼져나가는지의 이유 일것 같읍니다
@Sjxnkqksapjwjwjd
@Sjxnkqksapjwjwjd 6 ай бұрын
첫 단추를 김구선생님으로 잘 채웠다면 훨씬 빠르게 발전되지 않았을까싶네요
@young-my4zu
@young-my4zu 6 ай бұрын
박정희 대통이 세워주지않았다면 이름도 못알려졓을것을 홍보 대단하시네요 남한이 공산화 됐다면 어림도 없었죠
@peace7322
@peace7322 6 ай бұрын
CCTV가 첫번째 이유는 아니라는걸 미국 교수가 알고 언급한다는게 놀랍네요. 사실 우리나라 CCTV 수가 타국과 비교해서 생각처럼 높지가 않아요. CCTV가 있기전부터 그러하였다는 말을 미국인 교수에게 듣게되리라고는 예상치 못했네요.
@user-ve3qw3sg8j
@user-ve3qw3sg8j 5 ай бұрын
맞아요. 중국이 제일많고 미국도 많습니다. 한국인들이 대단한게 맞아요.
@user-ou1ts5qf9u
@user-ou1ts5qf9u 4 ай бұрын
저도 cctv는 전혀 신경안쓰긴합니다.
@ddiddi90
@ddiddi90 6 ай бұрын
샘리처드 교수님 진짜 친한파😆♥️♥️♥️
@jimin3372
@jimin3372 6 ай бұрын
진짜 자리를 비우고 45분이나 안나타나는건 커피숍 주인이 짐을 치우고 다른사람 앉게해야 한다. 영업방해다. 당장 내보내야 한다.
@leemoce
@leemoce 6 ай бұрын
우리는 전망좋은 자리가 필요해요..ㅋㅋ
@user-jp3oh1hq9m
@user-jp3oh1hq9m 6 ай бұрын
ㅋㅋ. 맞아요
@user-ji4yv6tw8q
@user-ji4yv6tw8q 6 ай бұрын
이런 교수님들이 미래를 이끈다.
@1garam
@1garam 6 ай бұрын
역지사지(易地思之) : 모든건 서로 입장바꿔서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 됨
@user-ch8pi7jk3g
@user-ch8pi7jk3g 6 ай бұрын
항상 이야기 하는게 cctv 이야기 하는 애들이 있는데. cctv 없는곳에서는 그럼 핸드폰 누가 가져감? 그리고 핸드폰 책상위에 나둘때 주변에 cctv 있는지 확인하고 놔둠? 무슨 인과관계가 전혀 없는걸 말하고 있는 애들은 먼지 모르겠네.. 그리고 도서관이나 목욕탕에도 cctv 있음? 거기선 물건 놔두고 볼일 못봄?
@utopro
@utopro 6 ай бұрын
그놈의 cctv타령이 허구인게 통계적으로도 십만명당 cctv가 가장 많이 설치된 도시 순위로 1위 베이징2위 런던 그리고 상하이 델리 순이고 실제 서울은 세계 44위로 그다지 상관없는데 꼭 이 드립이 마치 진실인양 유포되어 있더라구요.
@agnomy2543
@agnomy2543 6 ай бұрын
당연히 한국인들은 옛날부터 가방 던져 놓고 지갑 던져놓고 자리를 잡곤 했죠, 하지만 내가 느끼기에 예전보다 요즘이 좀 더 개인주의적이고 사람을 신뢰하는 성향이 좀 낮아진건 맞는거 같습니다. CCTV 없다면 예전부터 지켜왔던 이런 한국 문화가 온전히 유지될지는 장담하기 어려워 보이네요
@user-iy3sl2mx1x
@user-iy3sl2mx1x 5 ай бұрын
제가 당해봣는데 폰은 모르겠는데 지갑은 훔치더라구요 2번 이나 누가 가져갔어요 그게 전부다 화장실에서 있던일 실수로 두고 나왓는데 1분뒤 다시 가지러 가니까 없더라구요
@user-ed3me6ev6x
@user-ed3me6ev6x 6 ай бұрын
외국인들 보면 항상 cctv가 많아서 그런거라며 어떻게든 깎아 내리려 하는데 서울은 인구당 cctv가 40위권이고 부산은 100위권 밖임. 중국 대도시들과 런던 등이 최상위권인데 걔네들은 한국처럼 못함. 게다가 cctv가 거의 없던 80-90년대에도 가방이나 옷같은거 두고 화장실 다녔었고, 가게 밖에 물건 진열해놓은채 주인은 안에서 티비나 보고 그랬었음. cctv때문이 아님.
@yhji1756
@yhji1756 6 ай бұрын
요즘 먹튀에 무인상점에서 자판기 털고 물건 훔쳐가고 문앞에 둔 물건 가져가고 손님이라고 갑질하는 사람들에 우리나라도 문제 많음. 특히 그중 먹튀 심각하다 몇만원에 양심파는 인간들 무인점포 터는 초중고생들 ..
@c.h2132
@c.h2132 6 ай бұрын
ㄴ우리는 몇없으니 신기한 사건이라 뉴스에나오지 심각한정도아님, 외국은 그게 일상이라 뉴스에 나오지도않음
@Sjxnkqksapjwjwjd
@Sjxnkqksapjwjwjd 6 ай бұрын
애초에 남의 물건이 좋아보이면 기종을 알아내서 나도 사야겠다 싶지 남의 물건을 훔쳐야겠다 싶은 마음이 들지않음 (맘에들면 슬쩍보고 폰으로 무슨제품인지 검색하기바쁨ㅋ)
@mjleem8455
@mjleem8455 6 ай бұрын
@@yhji1756 몇살이고? 울나라도 있지 하지먼 그 비중을 생각해야지 10명중1~2명이 하는거랑 그냥 밖에 물건은 가져가된다고 생각하는거랑 다른거다 알겠나 영상보면서 느끼는게 없어
@mjleem8455
@mjleem8455 6 ай бұрын
@@yhji1756 니가 딴나라가서 무인상점 얘기 해봐라 니보고 뭐라하는지 자선사업할꺼냐고 묻던지 아님 병원 가라 할꺼다
@user-bn4cs5jp1x
@user-bn4cs5jp1x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지하철타면 가방 앞으로 맵니다 예의가있는 민족 착함니다
@ksl8476
@ksl8476 6 ай бұрын
내가 60이 넘었는데 우리 어렸을 때 선생님이 늘 말씀하시기를. 다른 사람 피해주면 안된다 더불어 살아야 가르침을 받고 살았죠? 지금은 많이 안타까운 점도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워낙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사는데 높은 가치를 두기 때문에 남을 배려하는 것 같습니다.
@user-ox9pt8jh6m
@user-ox9pt8jh6m 2 ай бұрын
타인을배려하지않으면 타인도나를배려하지않는 무법천지깡패세상된다
@jclulu3942
@jclulu3942 6 ай бұрын
12:23 우리나라 cctv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많은 편이 아님.
@user-gz9ql7po3y
@user-gz9ql7po3y 6 ай бұрын
네에 맞아요~~ 중국이 가장많고 런던도 많고, 일본, 대만, 모스크바~~ 등등
@user-se7ir8jn2c
@user-se7ir8jn2c 6 ай бұрын
맞음~다른 외국인들 한국 cctv있어서 범죄가 외국보다 없데 개 뿜었네~
@jgh2052
@jgh2052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CCTV가 적다고 보지만 차량 블박 때문에 오히려 다른 나라보다 감시하는 눈이 매우 많아요
@khhm_0217
@khhm_0217 6 ай бұрын
​@@jgh2052차량 블박이라면 그게 없는 나라도 있나요?
@carat.toast_loveyou
@carat.toast_loveyou 5 ай бұрын
요즘 cctv 없는데는 없어요 없는게 후진거죠
@vrrcj6785
@vrrcj6785 6 ай бұрын
리쳐드 교수님을 통해서 내가 알지 못했던 한국인의 특성을 깨닫게 되어서 감사합니다 좋은점 , 고쳐야할점을 더 생각하게 해주시네요 👍😊🥰
@al9215
@al9215 6 ай бұрын
리쳐드교수님! 멋쪄요 👍 👍 👍
@user-mp1sf5mn9v
@user-mp1sf5mn9v 6 ай бұрын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fs7qc5bk7g
@user-fs7qc5bk7g 3 ай бұрын
해외에 나가면 이런 얘기할 때가 진짜 영어를 배워야 하는구나 느낍니다. 저 학생 많은 생각을 한 학생으로 보여요. 갑자기 말하는 게 쉽진 않거든요. 아이들도 영어로 우리나라에 대해서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는 공부가 필요합니다!
@user-jd4xp4oc4z
@user-jd4xp4oc4z 5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들을 초등학교및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꼭 보아야합니다 첨부터 한국적 매너의 정서가 있진 않았지만 교육력의 결과와 한국인의 본연의 심성이라고 봅니다. 이런 교육을 어린 시절부터 시청각으로 공부하는 것이 책임감및 한국인다워가는 더욱 참된 교육일 것 같습니다.
@solongos453
@solongos453 6 ай бұрын
유교문화라기보다 태초부터 동이족의 문화임.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하는. 단국부터 건국이념으로 내려오는 한민족 뿌리깊은 민족사상임.
@bluefrog5301
@bluefrog5301 6 ай бұрын
동이가 아니고 韓족임. 漢족이 우리민족과 구분하기 위해 동이족이라고 한 것이지 우리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韓족임. 그래서 나라이름도 대한민국이죠.
@user-zs9wm8hs3d
@user-zs9wm8hs3d 6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홍익인간 제세이화라는 빛나는 사상입니다.
@apollopro671
@apollopro671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ㅅㅂ 뭐냐 에효 ㅈㄹ도 이정도면 종특이다
@solongos453
@solongos453 6 ай бұрын
@@bluefrog5301 맞아요. 다른말이 생각이 안나서요^^;;
@solongos453
@solongos453 6 ай бұрын
@@apollopro671 어느지점이 지랄인지?
@user-xr2yx9xq4v
@user-xr2yx9xq4v 6 ай бұрын
일생 휴대폰 3번 잃어 버렸는데 그때마다 연락 바로 되었고 보관하고 있었고 3번 다 찾았어요 고마워서 우암동 분에겐 빵사드렸고 용당분한테는 짜장면 사드시라고 3만원 주었고 해운대분은 너무 거절해서 감사표시를 못했습니다.
@user-ahffken00ehla
@user-ahffken00ehla 6 ай бұрын
와우! 샘 교수가 강의실에서 발을 의자에 올리면 안된다고 직접 가서 이야기하는데도 발은 그대로... 심지어 자리에 앉는데도 발을 옆의자로 옮기는... 미국은 샘교수가 아직 많이 필요해 보인다..
@user-jo2tp9by2g
@user-jo2tp9by2g 6 ай бұрын
유투브를통해선생님강의를가끔시청한적이있습니다. 교수님께서한국을과분하게평가해주신점늘고맙게생각합니다ㅡ감사합니다.
@user-hr9vm2cn5q
@user-hr9vm2cn5q 6 ай бұрын
용궁 대통령실에서 봐야할 영상이네요 상대에 대한 존중..평범한 사람들도 다 압니다
@user-sq6oh7zi4y
@user-sq6oh7zi4y 6 ай бұрын
교수님 때문에 한국이 왕따 당할거 같다는 걱정이... 정도껏 하셔야 할텐데...고맙습니다.ㅎㅎㅎ
@user-ep9pg8kw5d
@user-ep9pg8kw5d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저 교수님과 여성분은 정말 귀인이군요ㅎㅎ
@user-hi7jk9es3e
@user-hi7jk9es3e 6 ай бұрын
유교 이전 단군할아버지께서 홍익인간 뜻으로 나라를 세우셨기 때문입니다!
@wlsrhkd5868
@wlsrhkd5868 6 ай бұрын
단군할아버지 자손이 정답~ 짝짝짝~ 서국 짱꿰들이 유교 원조지만 하는 짓들 보면 우리집 푸들 수준~
@user-rj2vl4db5d
@user-rj2vl4db5d 6 ай бұрын
캬~~~ 문화는 물고기의 물...물과 같다...참으로 멋있는 말씀 !!!
@springday-1004
@springday-1004 6 ай бұрын
나는 살면서 특별히 cctv신경 써본적이 없는데..저 한국여자분은 cctv얘기는 왜 꺼낼까요? Cctv신경 쓰는 사람 있나요?
@user-rv9rg1uz8z
@user-rv9rg1uz8z 5 ай бұрын
신경쓰지 않고 살죠
@user-zs9un5ip6i
@user-zs9un5ip6i 3 ай бұрын
있지요 못된짓하려는 놈들요. Cc
@user-jo6tv9fn6j
@user-jo6tv9fn6j 2 ай бұрын
알면서 그냥 겸손하게 답한거 같음. 한국 사람들은 중국인이랑 다르게 자랑하듯이 말하는거 뭔가 닭살 돋고 거부감 느끼지 않나.. 나만 그런가..
@user-wu1tp3kc1h
@user-wu1tp3kc1h 6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도 나이 많으신 분들은 아직 앞으로 베낭메는걸 모르십니다. 그리고 자리에 빨리 앉으려고 다른 사람 막 치고 안으로 들어가는분도 있습니다!
@smartcrookest
@smartcrookest 6 ай бұрын
자주 공동체 안의 누군가가 ‘희생’을 해야하는 환경에 놓이게 되면, 그 누구도 튀는 행동을 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우리 민족은 강대국에 둘러쌓이고 전쟁이나 식민지배, 군사독재 같은 폭압적인 환경에 길들여지면서 ‘튀는 행동’ 때문에 희생당해야하는 경우를 피하기 위해 적응한 것이라 생각한다. 마찬가지 이유로 서로 돕지 않으면 안되는 행동양식도 생활에 벤 것이라 생각한다.
@khan9653
@khan9653 6 ай бұрын
얘야 너무 멋지구나. 나이만 먹은 어른들이 참으로 부끄럽구나. 참으로 고마워요. 어른들을 일깨워줘서.
@user-vi6wh1cj6o
@user-vi6wh1cj6o 6 ай бұрын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
@user-ji4yv6tw8q
@user-ji4yv6tw8q 6 ай бұрын
우리 한국인들이 대한국인이 되려면 역시. 존중과 배려. 이해와 공감. 행함과신뢰. 떠들어 가르치려 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함께함이지 않을까.? 제 의견입니다. 너그럽게 보아 주세요
@doya0726
@doya0726 6 ай бұрын
옆 테이블에 물건올려놓고 자리잡고 주문하러가면 물건 주인이 아닌 다른사람이 와서 기웃거리면 옆에서 보면서 훔쳐가는거아닌지 지켜주게됨ㅎㅎㅎㅎ
@user-oh6vw8je3f
@user-oh6vw8je3f 6 ай бұрын
항상''좋은 영상'감사합니다
@baekj.e
@baekj.e 10 күн бұрын
배려와존중에 대해서 여지껏 토론한 학생중에 단연 최고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줬네 ✨️👍✨️
@Should_have_gone_to_CHZZK.
@Should_have_gone_to_CHZZK. 5 ай бұрын
최근에 여행갔다와서 아는데 저렇게 친절한 이유는 외국인이라 친절한 거 같습니다 한국인이면 상관없이 무표정에 말투가 엄청 딱딱했거든요
@bklee-kx2kb
@bklee-kx2kb 6 ай бұрын
한국은 값비싼 물품은 사라지지 않지만 자전거는 사라지지!!!!
@user-mf5eo3dq1i
@user-mf5eo3dq1i 6 ай бұрын
한국인인데도 아무 생각없이 했던 행동들에 어떤 의미가 주어지는지 '오" 하고 놀랄때가 많아요. 수업 들을수 있는 학생들이 부럽군요
@user-ok5de3oy7u
@user-ok5de3oy7u 14 күн бұрын
한국을 응원해주시는 교수님 응원합니다😊
@user-vq7xv4nn1i
@user-vq7xv4nn1i 4 ай бұрын
한국인에아름다움을전달해주셔서감사합니다
@user-jn3gw4rv6e
@user-jn3gw4rv6e 6 ай бұрын
샘 리처드 교수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Lee_Sharon
@Lee_Sharon 5 ай бұрын
ㅋㅋㅋ 우리나라 사람들은 비싼 핸드폰보다도 앉는 자리를 탐내는 독특한 민족.
@user-et2uc2kf2g
@user-et2uc2kf2g 6 ай бұрын
깨어있는 국민들은 의자에 신발신은채로 발을 올리지는 않죠 하지만 위정자들은 신발신은채로 발을 올리곤하죠....윤대뚱 과 같은 인간들.....
@user-vk9wy7iz1o
@user-vk9wy7iz1o 6 ай бұрын
좋은 소재, 훌륭한 번역입니다!
@jiminseo9830
@jiminseo9830 6 ай бұрын
애초에 신발신고 실내생활 하는게 난 진짜 제일 이해가 안됨.....바닥에 균이 몇억마리는 되지 않을까.
@romeoalfa1598
@romeoalfa1598 6 ай бұрын
5:47 굉장히 현명한 분이시다.. 미모도 빛이 나는데 현명함까지 모든걸 갖추셧네.. ㄷㄷㄷ
@diycreator2024
@diycreator2024 4 ай бұрын
늘 한국을 좋게 말씀해 주시는 교수님께 국민의 한사람으로써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Sjxnkqksapjwjwjd
@Sjxnkqksapjwjwjd 6 ай бұрын
국민은 상식적이지만 정치인들은 비상식적인 요상한 나라
@user-ne7qy4up7t
@user-ne7qy4up7t 6 ай бұрын
국민이 상식적이라🤔비상식적인 정치인을 뽑는 사람은 누구이죠?
@user-mn5ur3jp8e
@user-mn5ur3jp8e 6 ай бұрын
골 빈 국민
@chulhuikim6348
@chulhuikim6348 5 ай бұрын
비상식적인 정치인밖에 없어서 뽑을 사람이 없습니다. ​@@user-ne7qy4up7t
@taejungjeong9224
@taejungjeong9224 6 ай бұрын
명강의이십니다.~!!!
@user-bz4gd8iz3m
@user-bz4gd8iz3m 6 ай бұрын
몇 주 전, 공원 벤치에 핸폰을 놓고 온 걸 잊고 있다가 20분 후에 갔더니 그대로 있음을 보고 천만다행임과 동시에 울나라 참 살만하다고 느꼈다.
@user-ru5qg3bc1t
@user-ru5qg3bc1t 6 ай бұрын
가방을 앞으로 매는 이유중 또 한가지는 도둑질 당 할 이유가 줄어들기 때문 이기도 합니다.
@happy6829
@happy6829 6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에 살고 있어서 자랑스럽습니다
@jennyhan1487
@jennyhan1487 13 күн бұрын
우리도 이러한 좋은 가치들을 잃지 않는 사회를 잘 유지했으면 좋겠어요.
@user-zk6tr9ml3o
@user-zk6tr9ml3o 4 ай бұрын
이교수님의 발음이 너무 쉽게 귀에 들어오네요 !❤
@chul7941
@chul7941 6 ай бұрын
외국인들이 교통수단에서 조용히 해줬으면 좋겠다는 글과 동감하는 글들보면 딱 일본에서 한국인들이 공공장소에서 시끄럽고 무례하단 글들이 떠올려진다.
@yugeena9311
@yugeena9311 6 ай бұрын
cctv는 한국에만 있냐?
@user-gf3iy2qv7h
@user-gf3iy2qv7h 12 күн бұрын
똑똑이들 자랑스럽습니다
@user-ux4cp7xg9e
@user-ux4cp7xg9e 6 ай бұрын
매번 이 교수님 강의 보면서 느끼는거지만 한국에 대해 너무 환상을 가지고 계신거 같습니다. 사람 사는 곳 다 똑같습니다. 이 곳 한국도 똑같이 사람 사는 곳입니다.
@ukju2733
@ukju2733 6 ай бұрын
교수님 우리 대통령은 기차간에서도 발을 올립니다
@Asqwsdf00901poikk
@Asqwsdf00901poikk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nocturna31
@nocturna31 6 ай бұрын
저 강의에서 말하는 미개한 중국놈한테 설설 기는 대통령도 있었는데. 중국은 큰 산, 우리는 작은 봉우리...
@dogmakor
@dogmakor 6 ай бұрын
물건 나두고 45분동안 안 나타났다는건 카페 주인 입장에서는 민폐임 ㅋ
@ittybittytings4824
@ittybittytings4824 21 күн бұрын
전 캐나다시민인데 한국놀러가서 친구랑 카페를갔는데. 화장실간다고 가방들고가려다 친구가 뭐하냐고 가방두고가라고 누가 안가져간다고 ㅋㅋㅋ 깜짝놀랐어요… 캐나다였음 2분뒤 사라져용.. 한국어 못해서 죄송합니다
한국 학생에게 깜짝 놀라는.. 샘리처드 교수님
15:14
쓴소리 모음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FOOTBALL WITH PLAY BUTTONS ▶️❤️ #roadto100million
00:20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