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맥주는 왜 맛이 없을까?|한국이 기를 써도 북한 맥주 못 이기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436,680

교양만두

교양만두

7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멤버십 가입하기 : / @smartmandoo
여러분은 어떤 맥주를 좋아하시나요?
저는 호가든, 블랑, 파울 라너, 프리미엄 몰트 등등....
네? 한국 맥주요? 한국 맥주는... 좀 밍밍하지 않나요?
한국 맥주가 유럽 맥주보다 싱거운 이유가 있습니다.
(그래도 치킨이랑 궁합은 최고라고요!!!!!)
오늘의 교양만두는 ‘맥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일러스트ㅣ강동한
#교양만두 #맥주 #역사 #북한 #세계사 #유럽
*참고문헌
『세계를 바꾼 6가지 음료』ㅣ톰 스탠디지 저ㅣ캐피털북스
『유럽 맥주 여행』ㅣ백경학 저ㅣ글항아리
『처음 읽는 술의 세계사』ㅣ미야자키 마사카츠 저ㅣ탐나는책
『맥주, 세상을 들이켜다』ㅣ야콥 블루메 저ㅣ따비
"김정일, 변기 뚜껑도 뜯어갔다"…韓보다 맛있다는 北맥주 비밀/ 중앙일보 2022.06 기사
북한 대동강 맥주의 기원은 영국 양조기술/ 글로벌이코노믹 2022.07 기사
조선시대에도 맥주가 있었을까?/ 조선일보 2018.10 기사
맥주를 보면 ‘동아시아 역사’ 보인다/ 문화일보 2016.08 기사

Пікірлер: 649
@user-og3od6tj6y
@user-og3od6tj6y 7 ай бұрын
교양만두님이 회사생활을 버티는 요인이 저희의 사랑인 줄 알았는데 맥주였군요... 알겠습니다.. 알겠어요....
@garlic_park
@garlic_park 7 ай бұрын
구독자
@MOUNTAIN--BUTTERFLY
@MOUNTAIN--BUTTERFLY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rb6tg9fo2h
@user-rb6tg9fo2h 7 ай бұрын
저는 괜찮은걸요 이미 뻥인거 눈치 채야 전만이 들이죠 ㅋㅋㅋㅋ
@almondsoymilk
@almondsoymilk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user-rb6tg9fo2h
@user-rb6tg9fo2h 7 ай бұрын
눈치채야지 그것이 전만이니까
@machsig2727
@machsig2727 7 ай бұрын
지금이야 기계 힘을 빌려 맥주를 만들지만 과거에는 상당히 고된 일이었습니다. 맥주를 만들 보리 농사는 기본이요, 당화 작업을 할 때에는 계속 맥즙을 저어줘야 했고요. 또한 앞서 영상에서 나왔 듯이 맥주에 홉을 넣기 시작한 게 큰 변곡점이라 생각하고, 맥주 발전에 큰 역할을 했던지라 오늘 날의 수제맥주 덕후들이 수도원 맥주, 즉 트라피스트 맥주를 최고로 뽑는 거겠죠. 이 트라피스트 맥주라고 분류하는 제품 군들은 지금도 여전히 수도원에서 수도사들이 만들고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다들 드셔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로슈포르가 가장 맘에 들었습니다 ㅎㅎ
@laguna8211
@laguna8211 7 ай бұрын
로슈포르 진짜 맛있죠
@machsig2727
@machsig2727 7 ай бұрын
@@laguna8211 정말로 그런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누군가가 안 샀으면 좋겠어요. 제가 다 마셔야 함
@misue946
@misue946 7 ай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소주는 더 힘들었음 ㅋㅋ 증류주들
@Ajay.0100
@Ajay.0100 7 ай бұрын
로슈포르 처음 먹었을때가 잊혀지지 않음.. 맥주에서 빵맛이 날 줄은 상상도 못해서
@machsig2727
@machsig2727 7 ай бұрын
@@Ajay.0100 이제 잊으셔도 돼요. 다 제꺼니까...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 7 ай бұрын
목요일 기다리던 교양만두 퇴븐하고 맥주 한잔중인데 잘보고갈게요~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7 ай бұрын
오늘도 정말 흥미롭고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ㅋㅋㅋ 처음부터 넘 웃기네요 ㅋㅋㅋㅋ큐ㅠㅠ
@FLSAQ
@FLSAQ 3 ай бұрын
뭔 내용을 말하는 거냐 대체? 아니 뭔 말을 두루뭉실 하고 썸네일 하고 주제에 안맞는 말만 함? ㅈㄴ 한심하네 이게 정보채널이냐 걍 렉카지 절반 넘게 맥주 역사 말하고 겨우 20초 북한 맥주 역사 말하고 나머지는 아시아 맥주 역사 말하고 끝?? 어이가 없다
@user-mm3iq7hi7m
@user-mm3iq7hi7m 7 ай бұрын
광고를 생각해서 인지 까는 부분은 없네요 ㅋㅋ ㅋㅋㅋㅋ 깔수있는 부분이 상당한데 말이죠 ㅎㅎ
@yoon0518
@yoon0518 7 ай бұрын
얘전에 카스 하이트 맥스 오비 이런 국산맥주만 편의점애 있다가 어느세부턴가 다양한 국산 수제맥주들도 나와서 울나라 맥주도 넘 맛있어진거 같음.
@Honey_Black_Tea
@Honey_Black_Tea 7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도 재미있네요. 그나저나 생맥은 못참지.
@jjinglove
@jjinglove 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맥주를 마시게 만드는 아주 고맙고 이로운 영상입니다❤
@user-rb6tg9fo2h
@user-rb6tg9fo2h 7 ай бұрын
저거 대동강 맥주 저는 안먹어 봤는데 과거 국내에도 유통 돼었을때 마셔본 분들이 진짜 맛이 좋데요
@GROUND_DOG
@GROUND_DOG 7 ай бұрын
그 시절 다 간거 같습니다 최근에 베트남에서 먹어 봤는데 밍밍하고 탄산감도 거의 없다시피 해요
@user-dd2gr9kl3o
@user-dd2gr9kl3o 7 ай бұрын
작년에 마셔봤는데 깔끔한 매력이 있죠
@Lonwolfkong
@Lonwolfkong 7 ай бұрын
08년 대북제재 이전에 통일전망대에서 판매한것들인데 평양소주 들쭉술도 판매했지만 소주는 맛은 없지만 들쭉이랑 대동강 맥주는 맛있습니다
@normal77079
@normal77079 7 ай бұрын
정말 맛있었음. 2000년초반에 유통된적 있었는데 맥주맛을 모르던 나조차 진짜 맛있었음.
@user-ri4ds6je6v
@user-ri4ds6je6v 7 ай бұрын
한 15년 전에 임진각에서 사서 먹어봤는데 제 취향은 아니었어요...
@user-ej1nj5ry6l
@user-ej1nj5ry6l 7 ай бұрын
람빅 ... 처음 먹는 사람들한텐 충격의 도가니지만 좋아하는사람들는 미친듯이 찾아먹는 ㅋㅋ 맥주이야기는 정말 재밌는게 많아용
@user-fb6wq2gj4s
@user-fb6wq2gj4s 7 ай бұрын
에헤이.. 교양만두님덕분에 퇴근길에 맥주 사가야겠군요
@yufazioli8368
@yufazioli8368 4 ай бұрын
반대가 많은데 한국 맥주회사 관계자들이 많이 눌렀나보네요 ㅋㅋㅋ
@user-yg2lz7ce3g
@user-yg2lz7ce3g 7 ай бұрын
맥주의 역사 잼있게 봤습니다 다음번엔 탁주 막걸리에 관해서 만들어 주실수 있나요 퇴근하고 한사발하면 크아~~
@Junssssssss
@Junssssssss 7 ай бұрын
오늘날 우리나라 술이 맛이 없는 이유는 항상 음식과 같이 술을 마시기 때문입니다. 그것도 맵고 짜고 기름진 음식이랑 같이 먹으니 입가심하기 좋은 밍밍하고 시원한 맥주가 최고이고(예전에 고든 램지가 카스 광고에서 말한것처럼), 그냥 에탄올에 물 탄 소주가 한식에 어울리는것. 그리고 입에 기름기가 가득한 가운데 맛과 풍미가 풍부한 맥주가 들어가봤자 어차피 다 섞여서 그 맛이 그 맛이니 비싼 맥주 마실 필요도 없습니다. 유럽에서 맥주 마시자고 해서 모이면 맥주만 한참 마십니다. 영상에 나왔듯이 그 자체에 영양과 열량이 있어 배가 차니까요. 그렇다고 한국인들에게 맥주 본연에 맛을 느끼라고 안주 없이 맥주만 마시라고 하면 다들 속이 불편하다고 할거기에 그냥 요리에다 밍밍한 맥주 계속 마시는게 맞습니다.
@stms4331
@stms4331 7 ай бұрын
미사여구 잔뜩 붙여놓은거 떼면 한국맥주는 맛이 없다 굳이 마시는데 이유를 갖다붙여야 하는 그 순간부터 조선맥주는 걍 쓰레기맥주야
@kiky_witch
@kiky_witch 7 ай бұрын
라고 하기엔 그냥 한국 맥주가 독점체재여서 발전이 없었던거 아닐까요? ㅋㅋ
@user-qd3dp2hh4g
@user-qd3dp2hh4g 7 ай бұрын
​@@kiky_witch둘다 맞죠 술 문화 자체에 차이가 있으니까여ㅋㅋ
@user-zw4di4ns8l
@user-zw4di4ns8l 7 ай бұрын
일리 있는 말씀이지만... 개인적으론 버드와이저 포함 어떤 자기주장이 약한 맥주랑 한식을 먹어도 ㅋㅅ ㅎㅇㅌ 보단 맛있었던 것 같습니다 ㅋㅋ
@user-vq4vs9xr2v
@user-vq4vs9xr2v 7 ай бұрын
하이트의 인기로 오비라거가 밀리는 순간 씁쓸하고 텁텁한 맥주는 안팔리게 되어 이후 각종 세계맥주 종류별로 따라서 만들어 내었으나 결국 시들... 그러다가 아예 들여와서 판매를 시작함 맥주의 경쟁과열이 심화되어감 여기 글쓴이분의 내용처럼 반주 라는것이 크기때문에 더 개판되감 날이 갈수록 음식들은 달아지고 그러다 쓴맛 흑맥주가 갑자기 인기 있어지기도 하고 배부르다고 탄산이 적은게 유행하다가 맵짠,맵단짠,맵맵맵이 유행하니 크리미한 맥주가 유행하더니;;; 어느날 마트가보니 어....뭘먹을지...맥주종류 엄청 많아짐 결국 음료같은 단맛맥주도 나와버림 탕후룩의 그런 느낌 ㄷㄷ
@nosaster
@nosaster 7 ай бұрын
이집트에서는 고대 이집트에 만들어진 대규모 맥주 양조장 유적도 있죠.
@Snowlucy
@Snowlucy 7 ай бұрын
술 자체를 자주 안 마시나 벨기에 호가든 좋아하는데 그전엔 독일 하이네켄 좋아했었어요.그런데 지금은 스텔라도 괜찮고요. 그런데 테라도 맛있더라구요. 밍밍한게 아니라 라거와 에일 차이 아닌가요? 저 그렇게 생각했는데요.(맥주 잘 몰라요😂) 혹시 커피도 해 주시나요?(커피는 매일 핸드밀로 원두 갈아 드립으로 내려 마셔요)
@agm1144
@agm1144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맥주맛이 밍밍해진건 일본과 아무 상관 없습니다. 90년대 '하이트'라는 상표명의 밍밍한 맛의 맥주가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대량생산되는 맥주맛이 그걸로 고정되어버렸기 때문입니다. 그이전 80년대만 해도 오비 맥주, 크라운 맥주는 쓴맛이 강한 맥주였지 지금처럼 밍밍한 맛은 아니였지요. 80년대 까지는 맥주는 나름 고급 술이였지만 80년대 후반 소득 수준 향상으로 맥주가 대중적 술로 자리잡아가고 있었는데 처음 맥주를 접한 사람들은 맥주 특유의 쓴 맛에 거부감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쓴맛을 최대한 줄인 하이트 맥주가 출시되어 큰 인기를 끌어버렸고, 이후 한국에선 쓴맛을 최대한 줄이고 탄산이 많은 맥주가 통한다는 공식이 확고해져버렸습니다. 이게 얼마나 확고했는지 국내 맥주 업체들이 나름 에일 맥주 등 다른 맛의 맥주 제품을 내놓아 봤지만 내는 족족 모두 실패해버렸고 그래서 더더욱 한국 맥주 맛은 밍밍해진겁니다. 한국에서 맥주 맛은 밍밍해야 한다는 공식이 흔들리게 된건 2010년 해외의 다양한 맥주들이 수입되면서 부터지요.
@user-ft4yw9xn2k
@user-ft4yw9xn2k 7 ай бұрын
쏘맥 영향도 큰 이유인거 같음. 소주랑 잘어울려랴 되니..외국 사람들 대부분 카스 극혐함..
@user-qo2mj8wx6n
@user-qo2mj8wx6n 7 ай бұрын
오 좋다
@dalbongpark2830
@dalbongpark2830 7 ай бұрын
가장 큰이유는 소맥이죠. 빨리먹고 빨리취하고 퍼질러자고 일어나 내일도 열심히 일하자는 구호로 소맥을 말아댔으니... 그래서 소맥에 맞는 밍밍한 라거류가 잘팔리고 오비같은 애들도 던지고 라거로 다같이 따라갔죠.
@silver8301
@silver8301 7 ай бұрын
이거지 무슨 되도않는 일본타령
@user-ou8wd8kx4o
@user-ou8wd8kx4o 7 ай бұрын
​@@user-ft4yw9xn2k뭘 극혐해 극혐하기는 ㅋㅋ 한국식 반주문화에서 가장 최적화되어있어서 한국안주랑 먹는 맛 테스트에서 항상 압도적인 1위임
@viewerblack2983
@viewerblack2983 7 ай бұрын
내일은 금요일이니까 다들 내일까지 힘내고 주말에 푹 쉽시다 ㅎㅇㅌ
@user-sj3pp1sb1e
@user-sj3pp1sb1e 7 ай бұрын
수도사 특) 액체빵 장인임 처음보는 맥주인데 후줄근한 수도사 그림있으면 실패안함
@Grant7581
@Grant7581 7 ай бұрын
트라피스트 에일 못참지
@K2_blackpanther20
@K2_blackpanther20 7 ай бұрын
빵에서 맥주가 나왔다는것을 들으니 러시아 술빵 크바스라는 저알콜 맥주(러시아 전통 청량음료이기도 합니다)가 생각나네요. 러시아 흑빵을 유리병에 물이랑 같이 넣고 발효시켜 만드는건데 이게 빵에서 맥주가 나온 예시입니다
@Lonwolfkong
@Lonwolfkong 7 ай бұрын
크바스는 저알콜도 안됩니다. 호밀빵을 발효한거에 지나지 않아요.
@rx9837
@rx9837 7 ай бұрын
Kvass~ 보리스 approved~
@K2_blackpanther20
@K2_blackpanther20 7 ай бұрын
@@Lonwolfkong 하기야 그건 그렇더군요
@user-iv1to5el2t
@user-iv1to5el2t 7 ай бұрын
금요일에는 퇴근하고 맥주마셔야겠당
@user-jh7st9bp1u
@user-jh7st9bp1u 7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의 결론은 엄청 옛날의 술이 처음 나온만큼 인간들이 술에 미쳐있다는 뜻..(츄츄님 포함)
@nosaster
@nosaster 7 ай бұрын
술은 원시시대부터 중대사였죠 :)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7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감사해요🍓🍒🍉🍅🍎🍑🥕
@guslemon1724
@guslemon1724 7 ай бұрын
밍밍한 맥주는 문화영향이 아니라 그냥 미국 일본 한국 중국의 식문화에 맞춰 주류회사들이 소비자 니즈에 맞게 변형시킨 케이스고 주세랑 이런저런 복잡한게 있긴한데 처음 시작이 아사히를 시초로 드라이맥주 열풍을 만든것 그래서 한국에 일본 양조장이 세워진거랑 하등 관련없고 오히려 공장의 경우 일본이 버리고선 나중에 무권리로 인수하게된 한국 주류회사들의 성장 기반이 됨 그리고 유럽엔 애초에 맥주순수령이라고 하는 기틀부터 존재하는데다 식문화부터 맥주를 술이 아닌 음료의 일종으로 보는 풍조가 강해서 향과 맛이 점점더 좋아지게된거고 콜라찾는거랑 비슷한 느낌으로 한미일에서 드라이맥주붐이 터진건 자극적이고 기름진 요리에 맥주를 흔히 입가심으로 기름기를 씻어내는 주류로 생각해서 그런거지 그리고 뭐 인터넷보면 맥주부심 심한데 드라이맥주가 시장에서 성공할수있던것도 주류회사 전략이고, 시장상황이 맞아서 그런거지 카스고 뭐고 입에 맞는거 먹으면 됨 부심부릴거로 부심부려야지 아사히,카스는 한국처럼 맵고 자극적인 음식에 어울리고 버드와이저 칭다오는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에 어울림 유럽맥주 전반은 음식과 페어링하는 반주보단 맥주자체로 단독음용할때 가장 맛잇고 애초에 유럽은 음식하고 페어링하면 와인을 더 찾지..
@guslemon1724
@guslemon1724 7 ай бұрын
그리고 안처발림 은근 거슬리는데 대동강맥주 맛잇는거 맞는데 품질균일화 실패하고 원액생산도 잘 안되는데 한국이 기술이 없어서 밍밍한거만 만든다는건 진짜 헛소리고 대동강 맥주는 이미 클라우드선에서 정리된지 오래임
@_Honganji
@_Honganji 7 ай бұрын
식문화를 가장한 단가 내려치기 가스라이팅
@guslemon1724
@guslemon1724 7 ай бұрын
@@_Honganji 단가이전에 일제시대때랑 거이 달라진거 없는 주세법이 문제임 단가를 아무리 싸게해도 세금 부과액이 넘사벽이라 가격 유지를 위해서 기업도 출혈을 강요하는 시스템임 이미 선진국들하고 우리나라에 주세법을 박아버린 일본도 주세법은 시대상을 고려해 상당히 바뀜 근데 우리나라는 여전히 과거 주세법에서 변하는게 없어가지고 전통주류를 제외한 나머지 주류에는 세금폭탄이 매겨짐 당연히 국내기업 입장에서는 출혈 강요당하니 어쩔수가 없는거고 술좋아하면 조금이라도 가져봤을 의문이 왜 우리나라는 같은술이여도 비싼가 생각하면 답나옴 수입유통마진? 그 마진 붙힌다고 제품가격이 두배가 되거나 하는건 말이 안되는건 당연하고 결국 기업 입장에서도 양질의 주류를 만들어 봤자 내수에서는 소주랑 드라이맥주에 밀리고 세금도 오지게 쳐먹고 소비자들은 비싸서 눈도 안돌리는데 만들 필요 자체가 없음 그리고 카스나 아사히가 밍밍한건 양조방식만 알아도 답 나오는거고; 드라이맥주랑 진한 라거랑 양조방식에 있어 차이도 없고 단가 내려치기 할만한것도 없음 애초에 희석하는계열의 주류도 아니고 밍밍한건 홉의 함량의 차이와 곡물을 어떤걸쓰냐에 따라 다름 밍밍맥주 대표주자중 하나인 버드와이저는 밀과 쌀을 이용함 애초에 드라이맥주 전반적으로 보리의 함량을 줄이고 밀을 적당히 섞어서 만듬 결국 그차이가 밍밍하게 만드는거지 원재료를 덜넣고 더넣고 문제가 아님 애초에 그런식으로 단가를 낮추려면 주세법까지 피할수있는 발포주가 있는데 굳이? 맥주는 발효한 원액을 걸러서 살균한뒤 병입되는거고, 여기서 필요에따라 탄산을 더 넣거나 하는것 발포주는 맥주와 같이 발효시킨 원액을 증류한뒤에 물에 희석시킨후 탄산을 첨가하는거고 애초에 주세법상으로도 별개의 주류로 적어놓음 카스가 만약 발포주를 만들어 단가를 낮추고 맥주로 팔며 이득을 취한다 가정했을때 불법이고 그리고 애초에 발포주로 단가 낮춰도 맥주로 파는 이상 세금으로 인해 오히려 손해임 원액의 알코올함량과 베럴량등 생산양에서 따지는데 더욱 고도수의 원액을 희석하는 방식의 발포주에 맥주 주세법을 가져다 붙히면 오히려 손해고
@israeldavidleonrodriguez2887
@israeldavidleonrodriguez2887 5 ай бұрын
그러게 누가 한심하게 미국에게 원자폭탄이나 맞으래? 한심하게 일본 식민지였던 팔라우, 마셜 제도, 북마리아나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까지 다 빼앗기래?
@israeldavidleonrodriguez2887
@israeldavidleonrodriguez2887 5 ай бұрын
@_Honganji 대만계 화교야, 너희 대만맥주는 완전 싸구려잖아. 어따 대고 인종차별이냐?
@user-np5bu4jj3f
@user-np5bu4jj3f 7 ай бұрын
4:38 김정일은 국방위원장이었어요
@user-yz2zw3iy6e
@user-yz2zw3iy6e 7 ай бұрын
ㅋㅋㅋ 밥친구로 교양만두 보고있었는데 딱 떴네요 잘볼게요 ~
@high-scoreboard
@high-scoreboard 7 ай бұрын
그렇게 맛이 좋다니까 한번 사서 마셔보고 싶네...
@user-wi2oq6zf6v
@user-wi2oq6zf6v 7 ай бұрын
맥주만 너무 먹으면 통풍이 와서 아침에 일어나면 꼭 물을 1L 이상 마시려고 합니다 맥주는 항상 기름진거랑 먹어서 일부러 식이섬유 비타민도 아침에 챙겨먹고 있어요 그러고 나서 출근 후에 점심에 꼭 헬스장에서 땀 빼고 샤워하면 또 물을 마시면 숙취가 풀립니다.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맥주는 맥주 하나로 마시려면 영 밍밍하고, 식문화 자체도 소맥으로 먹거나 콜라를 먹듯 탄산의 청량감으로 고기 등을 먹을 때 느끼함을 쓸어넘기기 위해서 마시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맛보다는 얼마나 시원한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런 측면에서 하이트맥주가 우리나라 맥주 중에서는 가장 맛있다고 생각합니다.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7 ай бұрын
북한 같은 경우는 흔히 아는 대동강맥주 말고도 여러 가지 고급 맥주, 서민 맥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중국 여행 갔을 때 북한 제품 파는 가게 가서 마셔 본 바로는 의외로 대동강맥주나 룡성맥주가 아니라 평양맥주가 제일 입맛에 맞더군요.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7 ай бұрын
영상 후반에 짤막하게 언급하신 람빅 같은 경우는 벨기에의 전통 맥주 중 하나인데, 개인적으로 Timmermans의 Oude Lambiek(Unblended)를 추천합니다. 다만 해당 브랜드 자체가 우리나라에 유통이 거의 되지 않고 특히 블렌딩되지 않은 원액 람빅 자체가 보통 양조장 근처가 아니면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벨기에에 들르실 일이 있다면 꼭 마셔보시는 게 좋겠네요.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7 ай бұрын
벨기에의 다른 유명한 맥주로 트라피스트 에일이 있는데, 로슈포르 6, 베스트말러 두벨, 베스트말러 트리펠, 라 트라프 쿼드루펠을 추천합니다. 베스트플레이터런이라는 브랜드가 가장 유명하고 맛있기로 소문나긴 했는데, 그만큼 가격도 비싸고 구하기도 힘들어서 가성비로 벌컥벌컥 마실만한 술은 아니거든요.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7 ай бұрын
벨기에의 다른 맥주들 중에서 트라피스트 에일처럼 트라피스트 수도원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 수도원에서 만들어지는 맥주 중에 Affligem이라는 브랜드도 굉장히 추천할 만합니다. 블론드 맥주가 가장 일반적이고 가장 추천하지만, 트라피스트 에일 열풍으로 인해 애비 에일이 같이 뜨면서 도수 강화 맥주가 유행이 된 지금, 두벨과 트리펠도 먹어볼 만합니다.
@user-ku5sv6rp1b
@user-ku5sv6rp1b 7 ай бұрын
​@@rickenbacker660방탄소년단오빠는 사탄,악마숭배그룹이예욤용ㅠㅠ 너의날개는악마의것~~피땀눈물까지 말하는 나라망신그룹이예여ㅠㅠㅠ 일본 히로시마원자폭탄프린팅옷 입는 국제망신BTS오빠들이예욤욤
@user-gw6cx7uz1c
@user-gw6cx7uz1c 7 ай бұрын
기승전 잘 나가다가 일제때문에 맥주맛이 밍밍하다는데 의문. 한다리 건너서(?) 배워서 맛이 밍밍하다면 일본맥주맛이 한국같이 밍밍함? 우리가 밍밍하게 만들었다면 다른 의미가 있을듯. 차라리 우리 한국 음식이 짜고 매운 국물음식이 기본인데 그 강렬한 맛과 싸워 이기려 들지 않고 그 맛을 받혀주는 '반주'거리로 맛이 약해졌다는 해석을 하는게 설득력 있다 봄.
@user-dh8pv3xy6d
@user-dh8pv3xy6d 4 ай бұрын
만두 캐릭터들 너무너무너무 귀엽 귀엽 귀엽~~~~
@leeminsung001
@leeminsung001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왜 맛이 없냐고ㅋㅋㅋㅋㅋㅋㅋㅋ 제목은 이렇게 뽑아놓고 결국 결론은 ~~이러는 설이 있습니다 하고 끝나네
@FLSAQ
@FLSAQ 3 ай бұрын
진지하게 보다가 존나 화남 주제에 맞게 영상을 만들던가 결국은 제목 사기 영상이네
@sunnlee4560
@sunnlee4560 7 ай бұрын
목소리도 이쁜데 맥주 루틴이 나랑 똑같다니 역쉬!
@tkp9841
@tkp9841 7 ай бұрын
흔하긴하겠지만 막걸리관련한 썰도 재밌을듯합니다
@user-fz6fu5oz6y
@user-fz6fu5oz6y 7 ай бұрын
목소리 너무 귀염뽀짝해요❤
@user-ws4uq3mf1l
@user-ws4uq3mf1l 7 ай бұрын
목요일 저녁 7시는 못참지
@dhkim5978
@dhkim5978 18 күн бұрын
진짜 배고프고 목엄청 마를 때 마시는 밀러를 참 좋아함 옥수수향이 이상하게 꼬소해서 좋더군요
@diaragon6
@diaragon6 7 ай бұрын
덕분에 세계 각국의 맥주를 다 맛볼 수 있는 거 아닐까요? 우리 맥주가 맛 있었으면 딴 건 쳐다도 안 봤겠져 ㅎㅎ
@juyeonkim-pm8xi
@juyeonkim-pm8xi 2 ай бұрын
어쩐지 평소보다 목소리가 더 낭낭하신게, 맥주편 많이 좋으셨나봐요. 그럼 다음은 와인 비싼와인 어떨까요.
@user-sw3jq5hj8h
@user-sw3jq5hj8h 7 ай бұрын
대동강 맥주 맛이 궁금 해지네요 ㅎㅎ
@_KaRe
@_KaRe 4 ай бұрын
원레는 주변 사람들이 사오는 국산 맥주나 일본 맥주나 칭따오만 먹었는데, 킹스맨에서 해리가 기네스 마시길레 맛이 궁금해서 마트 들러서 기네스 드래프트 사서 취식법대로 마셨더니 딱 내 취향. 탄산이 적으면서도 부드럽고 볶은 보리맛이 뒷맛으로 은은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이후로는 밍밍하고 탄산만 많은 동북아시아 맥주들은 손이 안갈것같음 ㅋㅋㅋ;;
@eejion
@eejion 7 ай бұрын
우와 해설해주는 분 목소리가 너무 귀엽.. 괜찮네요+_+b
@user-smkaha
@user-smkaha 7 ай бұрын
맥주는 전 기네스 드레프트 생맥 제일 좋아 하지만 .. 잘 팔지 않아서 .... 다음은 소주 얘기해줘요
@jinhan9650
@jinhan9650 7 ай бұрын
나레이션 하시는분 목소리 너무 커여워요
@wangdonghyeon7613
@wangdonghyeon7613 7 ай бұрын
현재 캐나다에서 일하고 있는 양조사 입장에서 말씀드리는건데 2023년 현재에는 북한 대동강 맥주랑은 비교조차도 안될 좋은 크래프트 맥주 한국에 많습니다. 양조사로서 대동강 맥주 한번도 먹어본적은 없지만 추측건데 국내 대기업에서 나오는 라거랑 별 차이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언탭 점수로도 서울에 좋은 맥주 만드는 양조장들 많은데 한국맥주가 북한맥주보다 못하다는건 지나친 비약이라고 생각이드네요.
@user-xo5wo4fp2f
@user-xo5wo4fp2f 6 ай бұрын
한번도 드셔본 적이 없으면서 어떻게 비교를 하나요?
@wangdonghyeon7613
@wangdonghyeon7613 6 ай бұрын
맥주 잘 모르시는 분인것 같은데 대동강 맥주가 그리 유명했으면 벌써 세계 유수의 맥주 전문가들이 빨고 난리 났을겁니다. 라거맥주를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페일라거 맥주의 맛과 향은 다른 여러 종류의 크래프트 맥주랑은 비교하기 힘듭니다. 제 말을 잘 못믿겠으면 untapped 라는 어플 받아서 한번 검색해보시길 추천합니다.@@user-xo5wo4fp2f
@Just_take_it_boss.
@Just_take_it_boss. 5 ай бұрын
일단 드셔보시고 말을 ㅋㅋㅋ
@user-zn8jw6ij1s
@user-zn8jw6ij1s 8 күн бұрын
중국에서 먹어봤는데 맛없어요
@user-zn8jw6ij1s
@user-zn8jw6ij1s 8 күн бұрын
중국에서 먹어봤는데 맛없어요
@westwood0909
@westwood0909 7 ай бұрын
1:25 담궈x 담가o 오디오로만 듣큰데 발음까지 담궈라고 해서 깜놀
@decabird1738
@decabird1738 7 ай бұрын
북쪽에서 일반국민에게 술을 마실 권리가 있겠어? 아무나 마실수없으니까 맛있게 만드는거지
@testerom
@testerom 7 ай бұрын
평양시민도 술 다 마십니다.
@bby2958
@bby2958 Ай бұрын
솔직히 애국자 아니고 오히려 국까 성향에 가깝고 캐나다 미국 7년 살았는데, 그럼에도 한국맥주 좋아합니다. 소주 말아먹기에 한국맥주가 젤 맛있어요. 그냥 이거는 팩트에요. 한국맥주는 홉과 잡내가 젤 적고 소주의 쓴맛을 가장 잘 받아줍니다. 국산 맥주사들 화이팅. 행사 좀 팍팍해서 저렴하게 공급바랍니다.
@BBBBadddddd
@BBBBadddddd 7 ай бұрын
다음은 와인도 해주세요....... 수능을 대학 다니는 중에 다시 준비중인지라 못 먹는 지금 영상으로라도 알콜 섭취를 하고 싶어요😢
@Lonwolfkong
@Lonwolfkong 7 ай бұрын
이거 보단 그냥 벌거벗은 세계사 프랑스와인편을 보시길추천합니다. 와인의 역사에 대해 상세히 나옵니다
@Unitedstatesofchina24
@Unitedstatesofchina24 7 ай бұрын
저는 코로나 맥주랑 하이네켄 사 먹습니다 코로나가 다른 맥주보다 도수가 좀 세더라고요
@user-fs2xt2yh9y
@user-fs2xt2yh9y 7 ай бұрын
독일 친구의 수제 흑맥주가 진짜최고였죠 뭐 근대사소한문제가 도수가 꾀높은대 이게 어느정도였냐면 맥주에 불붙이면 불붙는정도? 근대 맛하는최고였죠
@user-qr8jr3cw5l
@user-qr8jr3cw5l 7 ай бұрын
중국소변 맥주덕에 맥주관련이 올라서 맥주에 대해 영상만들었다에 한표 던지고 싶은데여.ㅋㅋ
@hglove35
@hglove35 7 ай бұрын
이 영상 올리고 맥주 한잔씩들 하셨나요?만두팀?
@holypolarislee
@holypolarislee 7 ай бұрын
0:31 아니 ㅋㅋㅋㅋ 미코토랑 액셀이 왜 ㅋㅋㅋㅋㅋㅋ
@user-gravitrax-
@user-gravitrax- 7 ай бұрын
혹시 음식점 휴지가 왜 오돌토돌하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user-kd9lm6kh5c
@user-kd9lm6kh5c 7 ай бұрын
저 때는 냉장고가 없어서 미지근한걸 먹었다는데 실제 전통 맥주를 파는데서는 큰 대야에 컵으로 퍼먹는다고 다들 미지근한 물을
@han002k
@han002k 7 ай бұрын
전세계적으로 휘어잡고있는게 부가물 라거임. 밍밍한 대신 음식맛을 해치지않는다는 장점이 있죠. 많이 마실수도있고
@hsb84
@hsb84 7 ай бұрын
예전에 북한 맥주 마셔봤는데 진짜 맛있었음 솔직히 일본 유명 맥주보다 훨씬 풍미도 진하고
@cjbrewer95
@cjbrewer95 7 ай бұрын
ㅅㅂㅋㅋㅋ라거 가지고 풍미를 논하네
@hsb84
@hsb84 7 ай бұрын
@@cjbrewer95 나도 임스고 ipa고 사워고 이것저것 마셨봤음 나름 맥주 좋아했었고 마셔보고 그런소리 해야지
@cjbrewer95
@cjbrewer95 7 ай бұрын
@@hsb84 마셔봤음 잘 알잖어 ㅋㅋ 라거가 아무리 풍미있다 쳐도 임스나 괴즈에 비하면 그냥 스쳐 지나가는 수준이지 그게 그거임
@user-xk3ts8xm8c
@user-xk3ts8xm8c 7 ай бұрын
맥주랑 술 먹는 사람 너무 신기하고 약간 부러움 나는 체질이 안맞아서 알콜 냄새만 맡아도 하루종일 화장실행임....그리고 아는 형이 외국에 놀러갔을때 북한식당 보여서 대동강 맥주 먹어밨는데 한국맥주는 쓰레기라고 얘기하더라구여 대동강 맥주 진짜 맛있데요
@karmafun25
@karmafun25 7 ай бұрын
ㅋ... 하루 마무리는 맥주기 짱이죠. ㅋㅋㅋ 진짜 힐링입니다.
@youngshilc
@youngshilc 7 ай бұрын
어느 독일인 요리사 말로는 한국맥주 맛이 가장 독일맥주에 가깝다던데.
@zxasqw852
@zxasqw852 7 ай бұрын
볼담이라는 맥주를 우연히 먹었었는데 정말 맛있었습니다. 지금은 수입을 앜한다 하더라구요 ㅠ
@Djsjsjsjskeii3
@Djsjsjsjskeii3 7 ай бұрын
솔직히 사람들이 눈길 안주니까 그렇지 요즘 국내 거대 주류회사든 아니면 중소규모 업체든 크래프트 맥주 만드는데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고 요즘은 켈리같이 새로운 시도 하는 맥주들도 많이 늘어났음 단순히 사람들이 관심을 안가져주니까 닳아빠진 대동강 맥주 드립 치는거지
@k-jin2579
@k-jin2579 7 ай бұрын
6:30 영상을 만들기 위해 5만원짜리 맥주를 마시고 맛과 시음 후기를 조목조목 자세히 압축한 3초짜리 귀한 부분
@user-sl3tn6vf6r
@user-sl3tn6vf6r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참고로 일본의 삿포로 에비스는 독일의 최상급 원료를 써서 외국인들도 맛있다고 평가 하는 맥주에요 반면 한국은 대기업들이 너도나도 전분 섞어 원가를 낮추고 경쟁력을 높이는 방식을 쓰는데 한국에서 이게 통하는 이유야 뭐.. 한국인 대부분이 값 싼 맥주에 값 싼 소주를 타서 쓴 맛을 내는 방식을 선호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user-pf1ze2fv4b
@user-pf1ze2fv4b 7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대동강 맥주 마셔봤는데 제가 느끼기엔 하이네켄 90%이상수준으로 비슷했다고 느꼈습니다. 첫 북조선맥주가 이 정도수준이라니..하며 놀랐었네요
@user-rk9kl8lc9h
@user-rk9kl8lc9h 7 ай бұрын
추추님을 맥주에 담궈 놨다 먹으면 크으으으으으~
@byga1849
@byga1849 7 ай бұрын
물론 한국 맥주 회사들의 전신이 일본업체이긴 하지만 맛은 완전히 다르죠 일본은 과거부터 양조기술노하우와 투자를 많이 했었고 한국은 그냥 저렴하고 단가 후려치기 바빳기 때문에 양조기술에 투자를 거의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지금은 다양한 회사들이 생겨났고 여러 국산맥주들이 많지만 이렇게 된것도 2~3년 정도밖에 안됐죠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7 ай бұрын
애초에 한국은 ㅈㄴ 가난한 나라였어서 그런 양조기술 노하우가 생기려고 해야 생길수가 없었지 20세기엔 당장 먹을 밥도 부족한데 술에 신경을 쓸리가...21세기 들어서 다들 먹고 살기 시작했는데 백년 전부터 열강이었던 일본과 비교하긴 좀 한국 전통주 명맥도 일제강점기+6.25 전쟁+박정희 콤보로 박살나고 이제 점점 살아나는중임
@cjbrewer95
@cjbrewer95 7 ай бұрын
국민수준에 맞춰서 그런거임ㅋㅋ 밍밍하고 싼 거 좋아함 한국인들은 ㅇㅇ 맥주 양조기술이 하이테크도 아니고ㅋㅋ 현재 한국은 못 만드는게 아니라 안만드는거임
@kenlee8361
@kenlee8361 7 ай бұрын
고급으로 만들지 않는거죠. 그냥 싸게 만들고 광고만 때려대고.... 이제야 한국사람들이 진짜 맥주를 마실수있게된건 다행입니다.@@cjbrewer95
@gaon1405
@gaon1405 7 ай бұрын
@@cjbrewer95 ㅈ도 모르는 애들이 맹맹하니 뭐니 하는데, 세계에서 제일 판매량 높은 맥주가 라이트 라거임 ㅋㅋㅋ 어느 회사던지 가볍게 마실 수 있는 맥주가 제일 많이 팔림.
@Jh-wt6jl
@Jh-wt6jl 7 ай бұрын
규모의 경제차이입니다 일본인구가 1억4천입니다 한국의 세배가량이고 시장도크고 그래서주류시장도 다양하죠 인본맥주가 맛있다 또는 수입맥주가 맛있다 한국은 저렴하다는건 어느정도 편견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기술과 시장력의 차이로 생기는건 맞지만 그게 100퍼센트는 아니라는거죠 그리고 국내의 싸게생산의 원조는 일본이고 그일본에서 배워온것입니다
@gayounglee4505
@gayounglee4505 7 ай бұрын
다음에는 한국의 전통주들에 대해 해주세요.
@user-qo2mj8wx6n
@user-qo2mj8wx6n 7 ай бұрын
오 좋다
@user-ox1sb7lp6b
@user-ox1sb7lp6b 5 ай бұрын
오 이거 좋다
@user-hi7zw8cl6x
@user-hi7zw8cl6x 7 ай бұрын
저것도 알코올중독 되요.. 경험자로써 꼭 주말 앞두고만 드세요. 휴일이나 눈치보지 말고 진탕 드십시다
@user-tq3ji3yp4r
@user-tq3ji3yp4r 7 ай бұрын
일본 맥주는 미국식 맥주로 불리며 미국식 맥주로는 일본 맥주, 한국 맥주 등이 있습니다 미국 맥주는 순수 보리로만 만드는 것이 아닌 다른 전분들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맛이 연한 것이 특징입니다
@hyungjinpark30
@hyungjinpark30 7 ай бұрын
개성공단에서 대동강맥주(내수버전)에 평양소주 말아먹다가 나와서 이슬에 카스 말아먹으면 자괴감 느끼고 했습니다.(개인취향입니다.) "남조선 맥주는 거 애기 오줌 것디않어?" 실제 들은 말입니다. 아무말 못 했습니다.
@Yarorepapa
@Yarorepapa Ай бұрын
1:40 킬포네 쥰내게 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ebuildingham2934
@rebuildingham2934 7 ай бұрын
5만원 맥주는 마셨다까지만 맛은 어떤지 1도 설명이 없다니
@user-kp6xt9lh9n
@user-kp6xt9lh9n 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맥주가 맛이 없는게 아니라 고추가루, 고추장, 간장 베이스 양념같은 맛이 직설적이고 강렬한 맛에 다소 밋밋한 하고 탄산이 풍부한 맥주가 입가심으로 좋아 그에 맞게 발전했을뿐 입니다. 맥주맛에 중점을 둔 유럽쪽을 보면 안주없이 병나발을 부는 이유이기도 하죠~
@user-mw2yj3nu8u
@user-mw2yj3nu8u 5 ай бұрын
탄산만 잔뜩 집어넣은 쓰레기물이라고들 하죠...
@jes131313
@jes131313 7 ай бұрын
맥주를 먹어본 적도 없이 귀동냥으로만 만든 영상같네ㄷㄷ 프리미엄 라인업으로 가면 외국 맥주 못지 않은 맥주 많은데 당장 OBC만 봐도…
@Djsjsjsjskeii3
@Djsjsjsjskeii3 7 ай бұрын
ㄹㅇ 더군다나 이후엔 여러 중소규모 양조장에서 별에별 크래프트 맥주 만드는판에 대기업에도 켈리같은 시도 해보기도 하고 사람들이 단순히 그냥 관심이 없는거임
@sunlee8754
@sunlee8754 7 ай бұрын
클라우드 생 드리프트 ! 병으로 함 드셔보시면..
@SilkBlue1736
@SilkBlue1736 7 ай бұрын
유럽을 무대로 화물을 운송하고 회사를 키워나가는 유로트럭2를 플레이하면서 MOD까지 히게 되었는데, 거기서 유럽에서 가장 익숙한 브랜드인 하이네켄을 자주 접하게 되면서 네덜란드의 하이네켄(Heineken)이 제 최애 맥주입니다 ㅎ 유로트럭만 아니었더라면 다른 맥주로 눈 돌렸을 듯
@mo-sh5km
@mo-sh5km 7 ай бұрын
저는 축구 보면서 하이네켄을 접했지요 ㅎ
@pixel3067
@pixel3067 7 ай бұрын
코로나 맥주 맛있는데 급 땡기네
@user-le8nv1xq6j
@user-le8nv1xq6j 3 ай бұрын
북한 맥주는 어떻게 마셔봣소?북한 간첩이라고 실토하는건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uk2un3zl3x
@user-uk2un3zl3x 7 ай бұрын
목소리 조아
@ramenjoa6790
@ramenjoa6790 Күн бұрын
일단 한국인의 술, 특히 맥주의 취향부터 완전히 다르니...
@White-Gloves
@White-Gloves 5 ай бұрын
살얼음낀 맥주.... 죽이는 중독성.... 냉동시간 절묘하게 조절해야 하는.... 아 ~~~ 오늘 저녁 냉동맥주 한잔 해야것다.
@bhp3954
@bhp3954 7 ай бұрын
영상 보다가 맥주 땡겨서 한잔 마시고 있는 1인
@shjeon5792
@shjeon5792 7 ай бұрын
파울라너 아시는구나~ 이거 겁.나.맛있습니다
@Jh-wt6jl
@Jh-wt6jl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술이 밍밍한게 아니라 밍밍한술이 인기가좋은거죠 일단 술잘알들이 맛있다는술들의 대부분은 술자체로 맛이 있는건데 국내 주도 문화는 반주문화죠 술만 먹는경우가 드물며 간단히 크래커나 치즈로 안주하는 술들과는 기본적으로 다른개념입니다 우리가 맥주나소주들과 먹는음식들의대부분은 기름진 식사메뉴이고 음식들 간이 쌔다보니 술맛이 강해봐야 음식과 밸런스만 무너질뿐이죠 그래서 맥주도 그런쪽으로 방향이 틀어진거죠 그리고 국내맥주시장이 라거쪽으로만 많이 발전한것도 이런영향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느끼함을 잡아주는 청량함과 부드러움에 초점이 되어있죠 국내맥주회사들도 못만드는게 아닙니다 그렇게만들어봐야 안팔리기 때문입니다
@Gnaibib
@Gnaibib 7 ай бұрын
15년도에 어쩌다 대동강맥주병 얻게됐는데 암생각없이 친구들이랑 한 모금 마시고 오!? 그랫던 기억남ㅋㅋㅋ순하리 첨 마신 그런 느낌
@2345pok
@2345pok 7 ай бұрын
맥주와 치킨이면 하루가 크
@suksuoma8174
@suksuoma8174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맥주가 맛없는 이유 원료는 쥐꼬리 만큼 넣고 물+알콜+탄산 첨가를 해서 내놓죠. 요즘은 또 원가 절감이다 뭐다 해서 원료가 더 안들어감. 그래서 맛 없음.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7 ай бұрын
0:18 피콜로는 드래곤볼로 젊어지고, 추추는 맥주로 젊어진다~ 6:26 추추는 말술 주당 레이디다~ 맥주병에 바닐라꽃이?
@milktoast0724
@milktoast0724 7 ай бұрын
파울라너가 완전 내 스타일
@pyulmu
@pyulmu 7 ай бұрын
교양만두님~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영상 제작하실 때 유행어 사용은 조금 줄여주시면 어떨까요? 용어를 아는 사람한테는 재밌고 직관적으로 느낌이 빡 오지만 지식 전달 채널이니만큼 모두가 알아들을 수 있는 표준어가 많은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영상 보다가 중간중간 모르는 유행어 때문에 영상을 멈추고 검색해봐야 하는데 이건 좀 아닌 것 같아서 의견 드려봅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감상이지만 예전에 비해 최근 영상에는 오타가 잦은 것 같아서 그것도 아쉬워요... 전 맥주를 안 마시지만 술 얘기 듣는 건 좋아해서 이번 영상도 재밌었습니다!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7 ай бұрын
북한주민: 맥주가 몹네까???
@user-pv3oe2wy7c
@user-pv3oe2wy7c 7 ай бұрын
동남아 맥주는 맥아 70%에 홉이 들어간 맥주지만.. 한국맥주는 맥아 10%에 홉도 없고 그냥 탄산만 들어간 맥주 범주에 들지 못하는 그냥 발포주 라고 한다네~ ㅋㅋ 한국 소주는 카사바를 원료로 주정을 봅아내는데.. 냄새가 굉장히 나빠서 필터를 몇단계 거치고.. 이런 원액을 20%까지 물에 희석 즉 물타서 각종 화학첨가물 16종 및 감미료 타서 내놓은게 바로 희석식 소주지.. 솔직히 소주 범주에 들지도 않아.. 일본 고구마, 감자, 보리소주 모두 바셔 봤는데.. 순수 증류주라 맛도 향도 굉장히 좋다.. 증류주 치곤 25도 밖에 안되서 그대로 부담없이 마시는것도 가능하다네.. ㅋㅋ
@hans.m5460
@hans.m5460 2 ай бұрын
평양 냉면이 맛있다고 하는데 정작 탈북자들은 남한에서 먹는 냉면이 더 맛있다고 하고 백주도 거기서 거기라는데요 물론 도수는 높다고합니다
@alin_SnowFlower
@alin_SnowFlower 7 ай бұрын
6:25 카스테라ㅋㅋㅋㅋㅋ
@majesticwj
@majesticwj 3 ай бұрын
몽골에서 먹어봤는데 카스랑 비슷한 맛이 났었어요
@sjunelee8495
@sjunelee8495 11 күн бұрын
지금은 금주했으나, 2018년경 중국에 갈 때마다 타오바오로 주문해서 마시던 대동강 맥주를 잊을 수가 없네요.
2천년 전 슈퍼카 스펙 수준|상남자들의 애마 top4
6:48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Why exactly are poor people poor?
15:57
너진똑 NJT BOOK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Забота от брата 😂 #shorts
0:31
Julia Fun
Рет қаралды 932 М.
Никто не сможет поймать...
0:42
AnimalisTop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We Survived a KIDNAPPING
0:48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Брось вызов чемодану😱
0:33
FilmBytes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