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 중 수도권 전철 관련영상 - 서울지하철 2호선 성수역 ~ 을지로입구역 개통(1983년)

  Рет қаралды 82,946

Jcdiscov M

Jcdiscov M

6 жыл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72
@bellisajean
@bellisajean 3 жыл бұрын
제발 삭제하거나 비공개로 돌리지 말아주세요 소중한 영상입니다 가끔 와서 보고싶습니다.
@LVTR-kr3rz
@LVTR-kr3rz 5 жыл бұрын
깔끔하고도 단순하며 수수해 보이는 옛날 2호선의 1980년대의 풍경들. 제가 태어나 제일먼저 지하철을 탑승한 것도 절대로 없어서는 안될 한바퀴 순회하는 서울의 심장 초록노선 이었습니다.
@seanthephilosopher4532
@seanthephilosopher4532 5 жыл бұрын
이분 최소 살아있는 한국사
@LVTR-kr3rz
@LVTR-kr3rz 2 жыл бұрын
@@seanthephilosopher4532 감사드립니다. 무려 3년뒤에 매우 뒤늦게 답글을 올려드리네요. 양해해 주십시오. 두번째 전동차 탑승 경험은 의외로 좌측통행 지하 1호선 종로선 구간이었습니다. 서울역 번호 50번에서 교류 지상구간인 남영역은 왜 49번이 아닌 그냥 하얀색 동그라미만 되었을까 의아해 했었습니다. 아니 빨강색 역명판 구간에 무슨놈의 파랑식빵 초저항하고 깍뚜기 중저항들만 온종일을 전기선 찌지직 거리며 열심히 왔다리갔다리. 빨강식빵 초저항은 5번에 1번은 걸릴듯 말듯 했었습니다. 제가 그 당시에는 어려서 정사각형 출입문 유리창이 너무높아 (서교공, 철도청 초저항 그리고 2기 중저항) 그것이 항상 불만이었습니다. 그 당시 어린아이들의 인기만점 1호선 차량은 단연 직사각형 출입문 유리창으로 출고되었던 1기 중저항 차량들이었습니다.
@user-ew9gm5jy9o
@user-ew9gm5jy9o 2 жыл бұрын
3:54 저 애기 우리 엄마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엄마가 본인같대 할머니가 우리 엄마인거는 분명하다고 하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bh7sl3uz6c
@user-bh7sl3uz6c Ай бұрын
우연이네요 ㄷㄷ
@dhk8921
@dhk8921 29 күн бұрын
지랄
@user-zh8vs7pc9v
@user-zh8vs7pc9v 6 жыл бұрын
83년도 치고는 역사가 상당히 세련되네요
@stephanies.4840
@stephanies.4840 6 жыл бұрын
90년대 이후 태어나신분들의 한결같은 반응은 마치 80년대가 무슨 석기시대 같은 그런 이미지이다 이런것 같은데, 사실 그때도 세련된분들 많았구요, 오히려 팝음악이나 영화의 전성기였습니다. 그리고 그때 여성분들의 외모가 성형수술이 널리 보급이 안되었어도 자연미인들 많았었구요... 오히려 지금 한국의 모습보단 더 안정되고 문화적으로 보일껄요?
@user-pz6ly9el1t
@user-pz6ly9el1t 6 жыл бұрын
크... 진짜 몇몇부분은 인정.
@Wadamisaki
@Wadamisaki 4 жыл бұрын
지금의 1, 2호선 역들이 80년대의 모습을 지금까지 그대로 갖고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럴지도요
@user-ur2gq7lq3o
@user-ur2gq7lq3o 4 жыл бұрын
Stephanie S. 맞아요저는2000년생이지만 80년대 문화를 동경해요
@user-zz6np8uq3g
@user-zz6np8uq3g 3 жыл бұрын
역 자체는 지금봐도 옛날같지않은데 사람들은 지금과 많이 다르군요
@user-ns2uh3hb6j
@user-ns2uh3hb6j Жыл бұрын
1983년 당시 서울 당산동 4가 판자집에서 당산국민학교 4학년 시절에 지하철,버스 타고 다닐수있는 형편이 안되서 국민학교 6학년 졸업때까지 거의다 걸어서 졸업을 했지만,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은 남들 다 먹는 급식도 딱 1번 먹고 국민학교 졸업을 했지요~~😂 다시는 돌아갈수없는 시대속 그리운 추억속 영상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미혼남 72년생입니다.
@user-ns2uh3hb6j
@user-ns2uh3hb6j Жыл бұрын
현재는 9호선 증미역, 2호선 신도림 기타~ 출 퇴은 지옥철 이지요~~!!! 2023년 4월 23일 일요일 19시~ 41분
@seungkim3829
@seungkim3829 5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자동화가 되었으니 줄 서는 모습도 한 장씩 승차권 뚫는 모습도 역사속으로
@user-zz6np8uq3g
@user-zz6np8uq3g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공중전화도 역사속으로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2 жыл бұрын
@@user-zz6np8uq3g 공중전화 지금도 있어요.
@user-zz6np8uq3g
@user-zz6np8uq3g 2 жыл бұрын
@@user-mz9wt9lv2j 아하 폰을 잃어버렸을때 필요하긴 하겠군요
@user-gg1yh3hd3m
@user-gg1yh3hd3m 4 жыл бұрын
5:44 그리운 추억의 안내방송이군요. 개인적으로 옛날 안내방송을 좋아하지요.
@tiopepe7128
@tiopepe7128 6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없는 동그란 손잡이가 보이네요
@BEOMPARK-tk4ct
@BEOMPARK-tk4ct 6 жыл бұрын
출발할때 쾅! 소리가 인상 깊네요.
@지적확인
@지적확인 3 жыл бұрын
안전 면에서는 지금보다 뒤떨어져 보일지 모르나, 승객 안내라든가 직원 복장 같이 겉으로 보이는 면에서는 오히려 지금보다 나아보입니다. 특히 안내방송이 가장 좋아보이네요.
@Beaaaam7
@Beaaaam7 5 жыл бұрын
1:34 지금은 천호역이 저렇다죠
@desperation2194
@desperation2194 5 жыл бұрын
그런가요?
@user-nv5co5qz7b
@user-nv5co5qz7b 5 жыл бұрын
83년도에 5호선은 없었었나요?
@user-mz9bq1vh7b
@user-mz9bq1vh7b 5 жыл бұрын
5호선은 1995년에 개통 됬었어요 2기지하철 계획이 90년대부터 생겨서
@reyjinwep6497
@reyjinwep6497 4 жыл бұрын
진짜 천호역이랑 비슷하네요ㅋ
@user-qn6ce7um8z
@user-qn6ce7um8z 4 жыл бұрын
천호역이 저래요?? 저 2년전쯤에... 2호선 사당역에서도 비슷한거 봤었는데... ㅎㅎㅎㅎㅎㅎ
@hu9220
@hu9220 6 жыл бұрын
이 당시에는 에어컨이 처음부터 장착되어 있는 2호선과는 다르게 1호선(당시 구형) 전동차는 선풍기가 달려 있어서 한 여름에는 2호선 타다가 1호선으로 환승하면 엄청 짜증 났겠어요.
@woojinyun7104
@woojinyun7104 3 жыл бұрын
저희아빠께서 말씀해주신게생각나는데 80년대 초등학생때 무더운여름이었었다고하셧는데 그땐 1호선에 에어컨이없었고 선풍기만달려져있어서 너무더웠다고하네요..그때 저희아빠집이 신림동이어서 토요일에 할머니,할아버지,아빠,고모 이렇게4명의식구가 2호선타고 서초갈비드시러가셧다고하셧어요.그땐2호선에 에어컨이달려져있어서 시원하고좋으셧다고하시네요..
@hu9220
@hu9220 3 жыл бұрын
@@woojinyun7104 저는 수도권 2기 도시철도가 한참 지어지고 있던 때에 태어났던 세대라서 1호선 구형 전동차의 초/중반에는 에어컨이 아닌 선풍기가 달려있었단 사실은 외할머니께로 부터 들어서 처음 알았거든요. 외할머니께서 당시 상황을 말씀하시길 한여름에 2호선에서 에어컨 바람이 나와서 시원함을 만끽하시다가 1호선으로 환승할 때는 갑자기 더워져서 당시 선풍기가 달렸던 1호선 전동차를 타실 적에는 매우 불편하셨다고 하셨어요.
@geny1
@geny1 5 ай бұрын
저 열차도 에어콘이 시원한 편이 아니라서 창문열고 다녔죠
@lgh5887
@lgh5887 6 жыл бұрын
10:04 출입문 닫는 속도보소...
@user-nv5co5qz7b
@user-nv5co5qz7b 5 жыл бұрын
이규현님 저 당시에는 인천교통공사도 대구도시철도도 없었었던 시절이었었던 거였었나요?
@user-pf9lo6ci6r
@user-pf9lo6ci6r 5 жыл бұрын
@@user-nv5co5qz7b 네
@user-nv5co5qz7b
@user-nv5co5qz7b 5 жыл бұрын
@@user-pf9lo6ci6r 지하철은 일본이 한국보다 먼저 개통됐었나요?
@user-hx9fg1sy6u
@user-hx9fg1sy6u 5 жыл бұрын
아뇨
@user-mt2ob3fq9t
@user-mt2ob3fq9t 5 жыл бұрын
@@user-hx9fg1sy6u 지하철은 일본이 더 개통이 빠릅니다
@user-of6fg5hn7l
@user-of6fg5hn7l 3 жыл бұрын
80년대 영상을 보면 왜 일케 기분이 묘해지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약간 우울해지기도 하고...
@musso6130
@musso6130 4 жыл бұрын
06:18 MG C-2000M 전동발전기 구동음(1980 현대정공 저항) 07:43 MG C-2000M 전동발전기 구동음 2(1980 대우중공업 저항)
@L_ys
@L_ys 4 жыл бұрын
C-2000M은 MG(전동발전기)가 아니라 CM(공기압축기)입니다. 피스톤식 공기압축기 특유의 덜덜거리는 소리가 특징입니다.
@jahwangful
@jahwangful 4 жыл бұрын
인터뷰하던 아가씨는 지금쯤 62세정도의 할머니가 되었겠네요.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아가씨가 아니라 아줌마로 보이는데요
@jahwangful
@jahwangful 4 жыл бұрын
배그파스타 헤어스탈이랑 화장때문이지요. 20대 아가씨에요
@user-zz6np8uq3g
@user-zz6np8uq3g 3 жыл бұрын
@@user-qn2cs3tg8e 맞아요 지금은 그때랑 많이 다르죠
@sbowllog1796
@sbowllog1796 Жыл бұрын
84년생이고 저희 어머니가 일찍 낳으셔서 화면보니 저 분은 20대 한창이실 때가 맞을 거 같습니다.
@BEOMPARK-tk4ct
@BEOMPARK-tk4ct 6 жыл бұрын
83년도 휴대폰이 없으니까, 신문보는 사람이 더많네요
@user-pf9lo6ci6r
@user-pf9lo6ci6r 6 жыл бұрын
BEOMPARK 0909 님 박 2011년까지 스마트폰이 인기전까지..... 지하철안에 신문보시는 분들이 많았어요
@user-kr5bv9
@user-kr5bv9 5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휴대폰 쓰는 사람이 많죠. 지하철 타면 흔히 볼수 있더라고요
@desperation2194
@desperation2194 5 жыл бұрын
교대앞행?!예전에부산에도교대앞역인듯ㅋㅋ
@user-nv5co5qz7b
@user-nv5co5qz7b 5 жыл бұрын
1983년에는 인천지하철과 대구지하철, 부산지하철, 대전지하철, 광주지하철도 없었었나요?
@user-js4rx9ee9u
@user-js4rx9ee9u 5 жыл бұрын
부산1호선은1985년7월19일에개통되었습니다
@seoulman1988
@seoulman1988 8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보는 구형 2호선 열차... 이제는 다 사라졌네요... 구형 행선지 표지판도 없어지고 전광판으로 바뀌었는데... 지금 보니 옛날이 그립기도 하네요...
@AqourSMAT
@AqourSMAT 6 жыл бұрын
6:01 "다음 정차역은, 6호선 열차로 갈아타실 수 있는 신당, 신당 역입니다." 83년 당시에도 안내방송이 있었는데 그때는 남성 성우분께서 다음역 안내방송을 하셨었군요...
@leedongyeol96
@leedongyeol96 5 жыл бұрын
6호선 은 2000년 에 개통되었습니다.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저땐 강희선 성우님이 아니어서 아쉬웠네요.
@mintmagic2010
@mintmagic2010 5 жыл бұрын
8:05 충격 발언 ㄷㄷㄷㄷㄷ 2호선은 저 시기로부터 몇년 못 가서 지옥철화 됨 ㅋㅋㅋㅋㅋ
@leedongyeol96
@leedongyeol96 3 жыл бұрын
2호선 의 지옥철(한강이남) 을 9호선 이 인수해 갔네요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Жыл бұрын
자때만 해도 2호산에 사람이 별로 안살았지
@user-zm9gn4yd4x
@user-zm9gn4yd4x 6 жыл бұрын
우아 서울운동장 얼마만이니 이 서울운동장역은 추후 동대문운동장->동역사(동대문공원)역 으로 바뀌지용
@user-js5kx7ep8t
@user-js5kx7ep8t 2 жыл бұрын
와 갬성좋다
@jhp1723
@jhp1723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철덕들이 좋아합니다
@musso6130
@musso6130 6 жыл бұрын
저항차에서 나는 세탁기 소리의 MG 전동발전기 구동음도 정겹네요 6:18
@L_ys
@L_ys 4 жыл бұрын
정확히는 피스톤식 CM(공기압축기)의 소리입니다. 저항차 뿐만이 아니라 멜코쵸퍼 전동차에서도 해당 피스톤식 공기압축기를 사용하다 지금은 전부 저소음식 공기압축기로 교체되었죠.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저 차가 저항차인걸 어떻게 아나요? 멜코쵸퍼랑 멜코 저항은 구동음이 거의 비슷해서 눈감고 들으면 거의 구분이 불가능 한데요.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L_ys 멜코 1차분만 저 콤프레샤를 달았나요? 아니면 2차분(구 214편성 제외) 차량도 달았었나요? 글고 콤프레샤 교체는 내장제 교체때 같이 진행 했었나요?
@L_ys
@L_ys 4 жыл бұрын
@@user-qn2cs3tg8e 멜코쵸퍼의 경우엔 전력효율 및 회생제동 등 전기적 회로가 쵸퍼장치로 바뀐것 말고는 구동방식이나 대부분의 사양은 저항제어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동음또한 거의 같습니다. 저항차량과 쵸퍼차량의 구별방법은 외형이 거의 같아서 어려워보이지만, 편성번호와 차량 상단 냉방기 배치구조, 차량 측면 행선표시기 유무 등으로 구별이 가능합니다. 2호선 초기의 편성번호는 저항(201~214), 멜코(215~253), GEC(301~315) [덕분에 3, 4호선 개통당시 도입된 3호선 광폭형 GEC는 편성번호가 330번부터 시작] 저항차량은 행선표시기가 전두부에만 있고 차량 측면에는 없지만, 멜코쵸퍼차량은 측면에도 행선표시기가 있습니다. (8:57과 9:40부분 참고) +GEC쵸퍼(광폭형 제외)는 90년 이전 도입된 차량의 경우 저항차량과 동일하게 차량 측면에 행선표시기가 없습니다. (GEC의 경우 그 외에도 저항이나 멜코쵸퍼에 비해 차이(구별)점이 많기 때문에 패스.)
@L_ys
@L_ys 4 жыл бұрын
@@user-qn2cs3tg8e CM개조는 대부분 90년대 중반부터 이루어졌으니 90년대 초반까지 생산된 전동차들은 전부 피스톤식 공기압축기였죠. 폐차를 앞둔 일부 저항차량과 쵸퍼차량을 제외하고는 내장재 교체시기때는 전부 교체되었죠.
@user-md8dl5pu1z
@user-md8dl5pu1z 4 жыл бұрын
요즘보다 깔끔하네...ㅋㅋ 리모델링 하지말고 옛날꺼 업데이트 해주는게 더 좋을듯...시청역이나 뉴욕처럼 옛날느낌도 멋진데...
@woojinyun7104
@woojinyun7104 3 жыл бұрын
0:36 와!저땐 다이얼식(로터리)전화기가설치되었었네요!!
@Seeumcha
@Seeumcha 3 жыл бұрын
성수역에서 순환선 연결 전의 큰기둥들 아직도 기억남. 공사가 언제 다 끝나지 생각했었는데.
@BEOMPARK-tk4ct
@BEOMPARK-tk4ct 6 жыл бұрын
에어콘은 있어서 다행이 네요.
@giovanni3719
@giovanni3719 5 ай бұрын
지하철 관련 영상 혹시 더 있다면 부탁드려요 어릴적 향수가 많이 나네요
@Yubin_Lee_Doramelin
@Yubin_Lee_Doramelin 4 жыл бұрын
2000년생인 저의 기억 속 지하철은 2009년도가 최초였던데다 그때 기억이 너무 파편화돼서 기억에 잘 남는 게 사실상 2018년 서울로 대입 볼 때였는데... 저 영상을 보니 정말 개벽이 일어난 것 같네요. 물론 35년이라는 긴 시간이었음을 감안하면 당연할 수도 있는 거겠지만... ㄷㄷ
@user-pb7bp6ye5z
@user-pb7bp6ye5z Жыл бұрын
저때30세인분들. 어느덧70이되었겠네 세월이 참 빠르다
@이도철
@이도철 5 жыл бұрын
혹시 영상에 있는 음원 중 안내방송들 (예시 : 3:41 ) 로 교통합성 제작하려는데 괜찮을까요?
@jcdiscovm5231
@jcdiscovm5231 5 жыл бұрын
합성해서 제작해도 됩니다.
@이도철
@이도철 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airliner9221
@airliner9221 6 жыл бұрын
안내방송 ㄷㄷ
@user-bi3dm9ql9x
@user-bi3dm9ql9x Жыл бұрын
옛날 서울지하철 보니까 좋아요
@jeanpierre3930
@jeanpierre3930 8 ай бұрын
83년 서울지하철 2호선(지금의 순환선)은 완전한 순환선이 아니여서 교대까지만 운행했습니다 ㅡ 삼성역 83년 우주과학박람회 갔었던 일이 생각나네요
@BEOMPARK-tk4ct
@BEOMPARK-tk4ct 6 жыл бұрын
1983년도 멜코 쵸퍼 구동음 느껴보니, 옛 감성 돋네요.
@user-mb3qh8wi7q
@user-mb3qh8wi7q 4 жыл бұрын
멜코저항입니다
@L_ys
@L_ys 4 жыл бұрын
@@user-mb3qh8wi7q 멜코 저항이란 단어는 없습니다. 멜코는 멜코쵸퍼, 저항은 저항입니다. 멜코쵸퍼의 멜코는 미쓰비시 일렉트릭 코퍼레이션의 줄임말로, 미쓰비시제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쵸퍼제어방식의 전동차고, 저항제어의 경우엔 히타치제 저항기(훗날 국산화)를 이용한 저항제어방식의 전동차입니다.(전동기는 미쓰비시제를 사용하나, 제어방식과는 관계없음)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L_ys 멜코 저항이라고 하는 것은 구동음이 멜코쵸퍼와 상당히 비슷 하기 때문입니다.(눈 감고 들으면 구분이 어려움)
@L_ys
@L_ys 4 жыл бұрын
@@user-qn2cs3tg8e 본댓글에 멜코 쵸퍼라고 써있는걸 보아서는 맨윗 댓댓글분은 구동음때문에 쓰신 의미가 아닌거같은데요...
@gsp_gamsung
@gsp_gamsung 4 жыл бұрын
0:02 역번호 ㄹㅇ 심플하네
@user-cc1zh3vv9c
@user-cc1zh3vv9c 5 жыл бұрын
안내방송좀 사용하겠습니다
@tonickim3998
@tonickim3998 4 жыл бұрын
80년대 말투! 그립다.
@LVTR-kr3rz
@LVTR-kr3rz 5 жыл бұрын
0:41 지점만 일시정지를 반복하면 마치 초호화 고급 호텔의 입구광장 안으로 와 있는듯한 느낌.
@34Park
@34Park 3 жыл бұрын
왠지 이 영상의 댓글은 읍니다를 써야할 것 같읍니다...
@idh1975
@idh1975 Жыл бұрын
2호선 열차가 서울지하철 전동차 최초로 에어컨이 설치된 전동차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네요.
@user-rs7dn6yn1z
@user-rs7dn6yn1z Жыл бұрын
그때 당시에 1호선 전동차도 물론이고 2호선 전동차.3호선 전동차.4호선 전동차도 애초 처음 제작이 될 때 10량으로 했었다면 훨씬 더 좋았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이게 아니라서 많이 아쉽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beckham7570
@beckham7570 4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지하철에서 스포츠신문 팔고 그랬는데..ㅋ
@vz5rg
@vz5rg 2 жыл бұрын
멜코쵸퍼? 반갑네. 아사진찍어둘껄
@taehyunlee5955
@taehyunlee5955 4 жыл бұрын
저때는 무임승차는 절대 못 했겠네요 ㅎ
@user-bi3dm9ql9x
@user-bi3dm9ql9x Жыл бұрын
83년도 서울지하철 중증장애인 무료로 탈 수 있었나요?
@desperation2194
@desperation2194 5 жыл бұрын
90년대중반때는영어는썼죠.
@Wawoowow
@Wawoowow 4 жыл бұрын
0:00초에 멈춘상태에서 보면 유튜브동영상을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영상 시작하는 표시같기도하고 아니기도하고.
@ROUTE-ix4cn
@ROUTE-ix4cn 4 жыл бұрын
지금보다 10배는더 깔끔해보이는건 기분탓?
@sunpoya
@sunpoya 3 жыл бұрын
새로 만든 지하철이니 당연히....
@hoduK0803
@hoduK0803 2 жыл бұрын
광고판만 다치워도 깔끔할듯...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Жыл бұрын
@@hoduK0803 그래서 광고판 없었으면 하는거?ㅋㅋㅋ
@user-pz6ly9el1t
@user-pz6ly9el1t 6 жыл бұрын
아... 그러네... 나때는 신설동역 개통안되있어가지고 존나 무서워서 벌벌 떨었었는데.
@bjsr5678서울도시철도
@bjsr5678서울도시철도 5 жыл бұрын
유령승강장 말이죠?
@user-it4iz5pr1y
@user-it4iz5pr1y 5 жыл бұрын
그런거같네요
@tromemopo2
@tromemopo2 Жыл бұрын
メトロ東西線を見てるみたい・・・
@mademabor
@mademabor 4 жыл бұрын
지금 봐도 별로 안촌스럽네 오히려 승무원 제복이라던지 사람들 스타일도 지금보다 품위가 느껴짐
@eugenekim4125
@eugenekim4125 6 жыл бұрын
역무원이 티켓 펀칭 해주던게 기억나네~
@lisianyuna
@lisianyuna 4 жыл бұрын
아 옛날이여
@danielkim5218
@danielkim5218 5 жыл бұрын
역무원이 표찰기로 직접 표찰 해주던것이 기억 나네요~
@user-cd4yr9rd3s
@user-cd4yr9rd3s 4 жыл бұрын
ㅋ 80년대 서울이네요
@user-cw2it8qe9d
@user-cw2it8qe9d 2 жыл бұрын
83년도
@user-us1jc6dv3i
@user-us1jc6dv3i 3 жыл бұрын
몰랐네 저때 2호선 저항차도 공기압축기가 달려있었구나 정차할때 소리가..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3 жыл бұрын
멜코 아닐까요? 저때면 멜코 막 반입 했을때인데요. 물론 멜코랑 2호선 저항은 눈 감고 들으면 95% 이상 구동음이 매우 비슷하지만요.
@user-qd5ti4iv3b
@user-qd5ti4iv3b 2 жыл бұрын
4:13 경적
@user-yw3zm5ur3j
@user-yw3zm5ur3j 3 жыл бұрын
시간여행자발견 1분쯤에 하얀와이셔츠 아저씨 핸드폰통화중!!!!!
@user-xr5lu7xh6q
@user-xr5lu7xh6q 2 жыл бұрын
저때 핸드폰있었는데?
@BEOMPARK-tk4ct
@BEOMPARK-tk4ct 6 жыл бұрын
1983년도 영상 어디서 구했습니까?
@woojinyun7104
@woojinyun7104 6 жыл бұрын
박BEOMPARK 0909 님 이거 MBC아카이브입니다.
@user-lt2fj7mm7h
@user-lt2fj7mm7h 4 жыл бұрын
옛날부터 다음 정차역을 미리 알려줬네
@user-ly9cz4tp4g
@user-ly9cz4tp4g 4 жыл бұрын
저항제어와 멜코쵸퍼는 1986년 6량 증결 1990년대 초반 10량 증결 저항제어 201편성~205편성, 멜코쵸퍼 215편성~227편성은 1990년대 초반에 증결분 4량은 기존 객차와 창문 형태가 달랐다. 229편성~239편성은 기존 객차와 동일했다. 현재 개조되어 운행중. 저항제어 차량 206편성~209편성은 6량에서 더이상 증결되지 않고 1992년 05월에 신정지선으로 차출, 저항제어 차량 210편성~214편성은 6량으로 증결된 시기인 1986년에 4량인체로 성수지선으로 차출. 1989년에 멜코쵸퍼 240편성~245편성 6량으로 도입되었다가, 1991년에 10량 증결. 이차량들 역시 증결분이 기존객차와 동일. 1990년에 246편성~252편성이 도입되고, 1994년에 253편성 도입을 마지막으로 멜코쵸퍼 차량은 더이상 도입을 하지 않았다.
@Gireumline4
@Gireumline4 4 жыл бұрын
253편성 (현 C214편성) 1994년이 아니라 1993년 하반기에 도입되었습니다.
@Gireumline4
@Gireumline4 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239편성은 증결분 창문이 상부계폐형이었습니다.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차호는 6량이었죠.
@BEOMPARK-tk4ct
@BEOMPARK-tk4ct 6 жыл бұрын
와 경적 울렸군요.
@O_OSibalnom
@O_OSibalnom 6 жыл бұрын
원래 최근까지도 역에 전동차들어오면 경적 울렸었는데 스크린도어 설치이후로 안울리게 됐네요
@user-pi9kn8cb3j
@user-pi9kn8cb3j 3 жыл бұрын
5:37 서울운동장역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전신이었구나
@user-lo4vf3ls3l
@user-lo4vf3ls3l 3 жыл бұрын
서울운동장>동대문운동장>동대문역사문화공원
@Yiedksps
@Yiedksps 6 жыл бұрын
편해보인다...
@letahy8853
@letahy8853 4 жыл бұрын
10:06 훠이훠이 ㅋㅋㅋ
@petlove498
@petlove498 5 жыл бұрын
교통카드가 없던시절 표사는곳에서 일일히 가야되니 사람 줄 엄청 섰었는데..ㅋㅋ 서울운동장이 잠실인줄 알았는데 동대문이었구나..ㅋㅋㅋ 지금은 내선순환 외선순환행인데 저때는 교대까지만 갔구나...
@user-ou5qx4ml3v
@user-ou5qx4ml3v 2 жыл бұрын
지하철 표 다시 부활했으면 좋겠다
@user-bq7fk5ki1z
@user-bq7fk5ki1z 10 ай бұрын
제가 초등학생 때도 지하철 표 건내주는 사람 있었는데 지금 도 광주에 있긴 있더라고요
@Line4_Dawonsys
@Line4_Dawonsys 2 жыл бұрын
저 시절엔 개찰구가 없었나요?
@user-gn9lo1df4g
@user-gn9lo1df4g Жыл бұрын
유인개찰구 이었는데 85년에 서서히 무인개찰구로 바뀌었다가 86년에 정착됨
@user-qx5vg6vi5x
@user-qx5vg6vi5x 3 жыл бұрын
저기에 아이들도 지금은 부모님 나이겠네
@user-dd5sq4nj9t
@user-dd5sq4nj9t 6 жыл бұрын
영상 일부(9초 짜리) 잘라서올려도 될까요? 출처는 남기겠습니다.
@jcdiscovm5231
@jcdiscovm5231 6 жыл бұрын
올려도 됩니다.
@user-dd5sq4nj9t
@user-dd5sq4nj9t 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Gireumline4
@Gireumline4 5 жыл бұрын
9:11 구218편성 2008년 폐차
@seanthephilosopher4532
@seanthephilosopher4532 5 жыл бұрын
GEC 2020(내년)에 전부 폐차한다고함
@Gireumline4
@Gireumline4 5 жыл бұрын
@@seanthephilosopher4532 그리고 3호선 개조GEC는 2022년에 폐차해요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근데 저때 당시에도 4번칸에 해당 되는 2318호가 있었네요. 저때는 6량화 대비 해서 2018-2118-2418-2518 조성으로 알고 있었는데요.
@etetet905
@etetet905 5 ай бұрын
3:39 안내방송
@seoulman1988
@seoulman1988 8 ай бұрын
매표소도 교통카드 충전기기로 바뀌고 종이표도 교통카드로 바뀌고... 여러모로 바뀐게 많네요... 30대중반부터는 옛날 추억하실듯 하네요... 지금은 출퇴근하느라 거의 매일 타는데 옛 모습은 이 영상에서만 볼 수 있네요...
@jhoon2871
@jhoon2871 3 жыл бұрын
물 분수대는 2000년대까지도 있었던거같은데
@shimpyo83
@shimpyo83 2 жыл бұрын
내가 태어난 해~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2 жыл бұрын
서울지하철 2호선 2단계 을지로입구역 방면 개통식
@user-gt1cs2dw8l
@user-gt1cs2dw8l Ай бұрын
1구간 구매후 2구간에서 내리기 개꿀
@user-vr5pp5yl5b
@user-vr5pp5yl5b 6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볼수 있는 열차인데 어째서인지 지금과는 많이 다르다
@bjsr5678서울도시철도
@bjsr5678서울도시철도 5 жыл бұрын
내부에 불연제로 개조해서 그래요.
@user-mb3qh8wi7q
@user-mb3qh8wi7q 5 жыл бұрын
이 열차들은 폐차된지 오래되었ㅅ...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저건.2008년에 폐차된 1차분 차량이라 그렇습니다. 1차분 차량은 연두색 출입문에 고무 창틀로 나오고, 2차분 차량부터는 출입문이 흰색으로 나오고, 2009년 이후로는 쇠창틀로 개조되었습니다.
@hanamichi4861
@hanamichi4861 4 жыл бұрын
6:00 4:19
@user-of6fg5hn7l
@user-of6fg5hn7l 3 жыл бұрын
저기 걸어다니는 젊은 남녀들...이제는 60~70대 할아버지 할머니가 되어 있겠지
@user-mb3qh8wi7q
@user-mb3qh8wi7q 5 жыл бұрын
8:58 전조등이 잘못되었
@교통세상
@교통세상 Жыл бұрын
4:53
@dragonforceheavymetal7357
@dragonforceheavymetal7357 4 жыл бұрын
멜코가 처음도입됬을때네 83년이면
@user-jb7yv9st9u
@user-jb7yv9st9u 4 жыл бұрын
83 년이면 내가 태어낫을때다
@Forwarding_
@Forwarding_ 4 жыл бұрын
표 저렇게 끊는것도 이제는 볼수 없네...
@ytbluetruckyt51
@ytbluetruckyt51 6 жыл бұрын
6:17 멜코쵸퍼네
@user-kt5fo9kc5p
@user-kt5fo9kc5p 5 жыл бұрын
멜코랑 비슷하게 생긴 저항차입니다.
@user-mb3qh8wi7q
@user-mb3qh8wi7q 5 жыл бұрын
겉보기엔 쵸펀데 초퍼랑 냉방기구가 다릅니다
@user-ip4xb1rt3k
@user-ip4xb1rt3k 4 жыл бұрын
@@user-mb3qh8wi7q 같은 에어컨같은데요?
@user-mb3qh8wi7q
@user-mb3qh8wi7q 4 жыл бұрын
@@user-ip4xb1rt3k 아닙니다
@user-ip4xb1rt3k
@user-ip4xb1rt3k 4 жыл бұрын
@@user-mb3qh8wi7q 에어컨이 있는거 같아요
@MrRubenstein123
@MrRubenstein123 10 ай бұрын
라돈 드링킹 ㅋㅋㅋㅋㅋㅋ
@user-xc2bk7fu4p
@user-xc2bk7fu4p 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2호선에서 다 3vf로 바껴서 조용해졌지만 이때는 소음이 심했네요
@dhb1101
@dhb1101 Жыл бұрын
3vf 는 출발할 때가 겁다게 시끄럽죠 엄청 앵앵대서 ㅋㅋㅋㅋㅋ
@hjjo1975
@hjjo1975 5 жыл бұрын
이때는 2호선이 4량이었네요
@Gireumline4
@Gireumline4 5 жыл бұрын
네 1993년에 10량으로 증결 완료하였습니다.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이후 86년에 6량화를 거쳐서 93년에 10량화가 완료 됐죠.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Жыл бұрын
@@user-iq3ws2qs3t 옛날엔 시설 구축때 미래를 감안해서 많이 했어요 그만큼 경제성장에 자신이 있었단 뜻이기도 하고 경부고속도로도 나중에 확장 할수 있게 주변 땅을 여유있게 매입하고 안팔고 경제성장 할때마다 조금씩 확장해 나갔죠 그럼데 당시에도 좌파들은 반대했었죠 ㅋㅋㅋ참고로 저는 중도에요 박정희를 좋아하지도 않고 김대중도 안좋아해요
@seungkim3829
@seungkim3829 5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더웠으니 전동차 창문을 열 정도
@user-gn9lo1df4g
@user-gn9lo1df4g Жыл бұрын
에어컨이 금처럼 귀했던시절임
@freedom_democracy_fighter
@freedom_democracy_fighter 2 жыл бұрын
역사 안에서 담배 피던 시절?
@matilda927
@matilda927 6 жыл бұрын
저때는 어디까지 간다고 얘기하고 표를 주고 그랬는데.... 지금은 너무 모든게 디지털화 되니까 저런 과거가 그립다...
@user-tf1yu3ts2l
@user-tf1yu3ts2l 6 жыл бұрын
son bohee 난그때가 유딩
@user-qr8bn4tl1o
@user-qr8bn4tl1o 6 жыл бұрын
어휴 그래서 그 과거에 사회생활을 하셨었어요??쯧쯧
@user-qw6ut8uj7f
@user-qw6ut8uj7f 5 жыл бұрын
son bohee 200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교통카드, 전자 기계가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창구에서 표 구입했음.
@user-no7mx4bm4g
@user-no7mx4bm4g 5 жыл бұрын
그때 맨날 매표원이 신촌하고 신천을 했갈리더라고요
@jioasminkyu1207
@jioasminkyu1207 2 жыл бұрын
@@user-qw6ut8uj7f 저00년생인데5살?6살때 까지만 해도 부모님이 표 끊는거 기억나네요 ㅋㅋ 한2004~2006년?
@jlee4573
@jlee4573 6 жыл бұрын
인터뷰하는 아가씨 지금은 60대 할머니
@user-qs1xb1wm2v
@user-qs1xb1wm2v 5 жыл бұрын
당시아가씨는1959년생이다.
@user-qn2cs3tg8e
@user-qn2cs3tg8e 4 жыл бұрын
아가씨가 아니라 40대 초반의 아줌마로 보이는데요.
@cho_nim-je
@cho_nim-je Жыл бұрын
6:19 납작인줄 알았네.
@user-qz5ol9it5k
@user-qz5ol9it5k Жыл бұрын
4:12 옛날경적
@toah0322
@toah0322 Жыл бұрын
전동차: 저항 1차분 (1980)
서울 지하철 3·4호선 건설 (1985)
19:23
10 Video
Рет қаралды 12 М.
ОСКАР ИСПОРТИЛ ДЖОНИ ЖИЗНЬ 😢 @lenta_com
01:01
1983년 하반기 실제 방영된 TVCF광고 모음 추가(1) 40선
15:11
(4k)Life in Seoul in 1989 Rare picture sent to the past
12:30
복원왕 Restoration King
Рет қаралды 303 М.
이게 진짜 폐역이라고?
6:14
초원을달리는철덕
Рет қаралды 7 М.
부산엔 무슨 일이… 공정률 97%에서 터널 붕괴
9:20
역쟁이TV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한국철도 관련영상 - 과천선 시운전(1994년)
12:58
Jcdiscov M
Рет қаралды 84 М.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ToRung short film: 😭i'm not blind😢
0:58
ToRung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The clown snatched the child's pacifier.#Short #Officer Rabbit #angel
0:26
Can this capsule save my life? 😱
0:50
A4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小路飞被臭死啦!#海贼王#路飞
0:2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