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지정학 아는 척하기|지도로 읽는 한국사 3편|Korea's history through maps 3/3

  Рет қаралды 15,356

두선생의 역사공장

두선생의 역사공장

Күн бұрын

지도로 읽는 한국사, 지정학으로 읽는 한국사 완결편입니다. 한국의 지정학 변화와 일본의 지정학을 함께 다뤄봤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0:00 지정학은 변한다 (feat. 스페인)
02:41 동북아의 균형자, 한민족
06:22 유목민이 사라졌다 - 조선 후기의 지정학1
10:07 전자칠판 솔루션 '브이보드' PPL
11:59 바다의 오랑캐 - 조선 후기의 지정학2
14:53 한반도는 반도인가 - 일본의 지정학
18:26 한반도 분단의 지정학과 일본
22:19 신냉전의 지정학, 우리의 선택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두선생도 사용하는 전자칠판 '브이보드' 5만원 할인받고 구매하기!!
구매하기 : bit.ly/3L3KcZW
상담받기 : bit.ly/4eoWvxH

Пікірлер: 109
@historydoo
@historydoo 3 күн бұрын
두선생도 사용하는 전자칠판 '브이보드' 5만원 할인받고 구매하기!! 구매하기 : url.kr/fiy9lm 상담받기 : bit.ly/4eoWvxH
@user-ul7tq5gn3d
@user-ul7tq5gn3d 3 күн бұрын
한반도의 분단에 일본이 기여했다는 정도만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패전 이후 계획까지 치밀하게 준비하고 있었다는 점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한 편으로 일본이 우리와 미국이 가까워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고 견제해왔던 이유도 너무나 분명하게 이해가 되었습니다. 최근 라인 야후 사태도 그러했고, 반도체 부품 견제도 그러한 맥락에서 바라보면 이해가 쉬워진 것 같습니다. 자신들의 역할과 포지션을 뺏기고 싶지 않았을 테니까요.. 늘 역사를 통해 시대를 넘는 통찰과 안목을 보여주셔서 늘 놀랍습니다.
@user-cg9cq7yq3r
@user-cg9cq7yq3r Күн бұрын
러시아,중국,스페인,그리스,핀란드 전부 이념으로 나라가 갈려서 내전벌어졌습니다. 한반도가 일본식민지여서 분단된게 아니라 시대가 이념으로 갈려서 내전벌이던 시대였습니다.
@user-mb1et1oy5t
@user-mb1et1oy5t 20 сағат бұрын
​@@user-cg9cq7yq3r기본적으로 그것을 부정하는 게 아닙니다. 이번 영상과 댓글은 여러 이유 중 하나인 한반도 지정학에 집중한 것입니다. 선생님 말씀도 틀린 건 아니지만 댓글 말씀도 틀린 건 아닙니다
@homestead1862
@homestead1862 3 күн бұрын
일본의 지정학을 바라보는 시점이 놀랍도록 소름 끼치네요. 배울만한 부분인 듯합니다. 우리나라가 할 일은 아마도 정말 중간의 필요 있는 국가라는 점을 알려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에겐 일본이 하기 어려운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라는 양대 중심축을 타격할 수 있으며 중국 중심부로 내달릴 수 있는 교두보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미국의 동맹국이라는 점을 인식시키고 중국엔 똑같이 중국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시키지만, 한국을 자기편 혹은 제압하지 못하면 서해와 동중국해에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다는 점을 각인시켜야겠죠. 미국과 전략적 동맹으로써 미국을 이용해 중국의 야욕을 막되 중국에게도 미국 뜻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려면 당근을 내놓으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동시에 미국에겐 만약 우리가 중국의 편이 된다면 서해와 동중국해를 통해 나오는 걸 일본 하나만으론 막을 수 없으니, 미국도 결코 한국을 무시하지 않길 바란다는 방식으로 가야 할 것 같습니다.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ㅎㅎ
@jhpakr8742
@jhpakr8742 2 күн бұрын
미국 입장에서 한국의 쓸모는 한국이 덕분에 일본에 몰빵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 아닐까요. 소련 중국을 막기는 해야하는데 그렇다고 일본 키워주자니 일본도 뭔 짓을 할지 모르는 놈들이니까요 역할 분담할 한국이 있어서 일본을 경제 군사적으로 어느정도 억제 하고 있는거죠 그런데 우리가 미중 사이에서 어설프게 간보거나 감정적인 반일로 협력을 거부하면 일본을 키워주는 행동.
@mingjj6714
@mingjj6714 3 күн бұрын
축구만봐도 알 수 있는게, 저는 처음에 벤투가 유럽식 빌드업 축구한다고 했을 때 한국인이 내뱉던 절규를 아직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한국같은 약소국이 무슨 공격축구를 하며, 무슨 빌드업축구를 하냐. 정작 한국 선수들의 능력치는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라가고 있는데 국민들의 인식은 아직도 약소국 시절 마인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던 거죠. 반면 일본은 우리보다 축구를 훨씬 못하던 80년대 시절부터 축구강국이나 하던 유럽식, 남미식 축구를 모델로 축구를 발전시켜왔습니다. 그것이 오늘날 한국축구와 일본축구의 수준차이를 결정한 겁니다. 한국에 전략가가 없는 이유는 스스로를 약소국으로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국은 전략은 필요없고 단지 처세술만 필요한 겁니다. 우리는 체급이 안되잖아. 미국이 도와줄거야, 일본이 도와줄거야, 중국이 도와줄거야, 한국은 줄타기만 잘하면되 ..... 이러한 임기응변식 처세술 마인드가 한국인들 정신에 깊게 박혀, 자신들이 국제외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부터 제거해버리는거죠. 정작 한국인들의 기술력과 한국기업들의 경쟁력, 국방력은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와 있는데도 말입니다. 대륙세력과 해양새력, 미국과 중국의 갈등. 이건 단 1-2년 안에 끝날 문제가 아닙니다. 앞으로 몇십년, 100년, 그 이상을 갈 수 있는 장기적인 양상입니다. 그 긴 세월 동안 한국은 언제까지 전략 없이 임기응변에만 매달릴 건가요. 100년 동안 그저 귀여운 약자로만 남아 줄타기만 하게요? 계속 그런 식이면 한국은 100년 안에 국제무대에서 사라져도 이상할 것이 없어요. 결국 한국이 지향해야 할 것은 패권입니다. 장기적으로 동아시아 최강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국가를 경영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은 체급이 안되더라도 향후 50년 100년 후의 미래를 그리면서 전략을 짜야 하는 거죠. 이제는 그놈에 지긋지긋한 약소국 DNA 좀 버려야 하지 않을까요.
@user-qt7ub2du3r
@user-qt7ub2du3r 3 күн бұрын
일본의 전쟁 출구 전략이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당시 역사를 돌아보면 전쟁에서 이길 때부터 질 때까지도 저런 명석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일본 사람들이 질투 나긴 합니다.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2 күн бұрын
하지만 그짓거리함서 자국민을 갈아버렸죠 그런나라가 잘될수가 없어요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 3 күн бұрын
한반도가 대륙과 해양세력 사이엣 중재자, 균형자 역할을 할려면 한반도가 통일이 되어야 하고 대한민국 이라는 나라가 강력한 군사력을 가져야 합니다. 육군력은 기본적으로 강해야 하는 전력이고 제해권을 장악하는 해군력, 제공권을 장악하는 공군력은 필수적으로 강해야죠.
@serotoninwalking5136
@serotoninwalking5136 Сағат бұрын
대한민국 사람들에게 꼭 필수적인 지정학이라고 하죠. 세계사적 관점으로 흥미롭게 잘 보았습니다.
@user-yi9hv1ff3j
@user-yi9hv1ff3j 22 сағат бұрын
오 칠판 신기해요 👍🏻👍🏻
@historydoo
@historydoo 19 сағат бұрын
사랑스런 아내의 배려 덕분에 새로 장만했답니다♡
@HoSangYun.
@HoSangYun. 2 күн бұрын
20:02 진짜 이 내용은 너무 무섭네요. 결국 2차대전이 끝나면 미국vs소련 3차전이 시작될테고, 그리되면 미국도 결국 2차대전때 자기네와 죽도록 싸운 일본의 중요성을 알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일본이 전후에도 아시아에서 지배권을 가지게 될 것이다 😮. 무작정 반일만 할 것이 아니나, 저런 냉혹한 통찰력은 우리나라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국제외교에 자존심이 뭐 대수인가요. 일단 숨은 붙어 있어야 하고, 배부르고 등 따숩어야 그게 진정 자존감을 찾는 것이죠. 영상 감사합니다 ❤.
@historydoo
@historydoo Күн бұрын
알차게 들어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
@user-eb5sx4ut5z
@user-eb5sx4ut5z 2 күн бұрын
신대륙항해 임진왜란부터 해양세력이 스물스물 발전하기 시작했고 아편전쟁으로 g1 g2세력전이가 되었다고 봅니다... 지금다시 오래전 대륙의시대로 돌아가는중
@_____________...
@_____________... 18 сағат бұрын
멋진 영상 공짜로 보고 듣는 것이 황송합니다 흥미롭게 잘 보았습니다 ^^
@historydoo
@historydoo Сағат бұрын
즐겁게 봐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ㅜ.ㅜㅎㅎ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 3 күн бұрын
소련군이 들어오지 않고 미군만 들어왔다면 한반도는 38선을 경계로 분단이 되지 않았고 6.25 전쟁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봐야할까요?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3 күн бұрын
얄타회의에서 이미 미국은 남북으로 분할할것을 염두에 두고 소련이랑 협의함. 소련은 독일이 정리되는대로 관동군을 정벌하고 한반도에서 만나자고 함. 하지만 소련의 공격속도는 생각보다 빨랐고 미국은 38선을 그으면서 여기까지만 내려오라고 함.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3 күн бұрын
회담에서 미국은 당시 일본 제국과 서로 상호불가침조약을 맺고 있던 소련에게 대일전 참전을 약속받았고 이로 인해 일제 패망 후 한반도가 38선을 경계로 미소 양국에 의해 분할점령되는 계기가 마련된 회담이기 때문이다. 당시 스탈린은 일본과의 전쟁 참여를 대가로 1905년에 러일전쟁에서 상실했던 영토인 남사할린 등을 요구했고 당시까지만 해도 원폭이 개발되기 전이라 소련의 협력이 절실했던 미국은 이를 받아들였다. 당시 조선을 둘러싼 각국 정상은 서로 다른 목적을 두고 독립 문제를 논의했다. 일단 루스벨트는 새로운 세계 대전을 피하고자 하는 목적이 강하였다. 그래서 한국을 독립시키는 과정에서 열강들의 이권 다툼을 방지하기 위해 신탁통치라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단계에서 이루어진 합의 내용은 구체적인 조항을 논의한 것이 아니라 한국 독립 시에 미영중소[9]가 다 같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협력하자 정도의 추상적인 이야기가 오고 갔기 때문에 더 논하는 것은 소설의 영역이긴 하다. 애초에 이 회담에서 한국 이슈가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안도 아니었고.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3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얄타에서 한국을 소련에 팔아넘겼다" 조선일보의 기사입니다. 검색하면 바로 뜹니디.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졌고, 사흘 후인 8월 9일 소련은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을 상대로 전쟁을 개시했다. 8월 10일 밤부터 11일 사이 워싱턴DC에서는 국무부, 전쟁부, 해군부 차관보를 위원으로 하는 ‘3부조정위원회(SWNCC)’가 개최되었다. 소련군은 이미 한반도에 진주한 상태였지만, 미군은 1000km 이상 떨어진 오키나와에 머물러 있었다. 미국은 적절한 선에서 소련과 타협해 소련이 한반도를 전부 점령하는 일만은 막으려 했다. 실무를 맡은 본스틸 대령과 딘 러스크 대령은 내셔널지오그래픽 극동 지도를 펼쳐 들고 30분 만에 북위 38도선으로 미소 점령의 경계선을 그었다. 소련은 단독으로 한반도 전역을 점령할 수 있었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미국이 제안한 한국 분할 점령안을 아무런 조건 없이 수락했다.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덕분에 좋은 글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cheesechicken39
@cheesechicken39 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살 길은 딱 하나 뿐.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중재자. 통일은 당연히 해야하는거고 그때쯤이면 아마 중국이 분열해 만주에 영향력을 행사하기가 쉬워질거임. 한반도와 만주의 힘을 잘 융합해 기초체력을 기르고 절대 국민감정에 실려서 한쪽편 들지 말고 저울질 하듯 양 세력을 균형잡아야함. 그 상태가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부흥기가 될것임. 하지만 해양세력이 승리하는 경향성이 있다. 그때는 아마 일본이랑 무지하게 싸워아 할것임.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해군력을 증강 할 필요가 있음. 일본까지 꺾고 나면 중국으로 진출해야함. 한민족은 유목민족과 달리 주체성도 높고 인구도 많아서 쉽게 한화(漢化)되진 않을거임. 그 레벨까지 가면 아마 아메리카 세력과 자웅을 겨루는 초강대국이 될것임. 우주 기술을 끌어올려 하늘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상륙이 원활해진다면 아메리카를 정복해 범지구적 국가가 될것임. 그리고 태양계의 유용한 위성과 행성 항성에 식민지를 건설해 희귀자원을 채취하고 그걸 토대로 초광속 우주선을 개발해 국부은하군을 정복함. 그때 즈음되면 4차원으로 진입 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겨 인류의 역사가 끝나지 않을까 싶다.
@user-bp2uj2kx4e
@user-bp2uj2kx4e 3 күн бұрын
중재는 아무나 할수있는게 아니고 한국은 냉정하게 체급이 안됩니다. 한국 제안에 미국 중국이 반응이나 할까요
@trader1693
@trader1693 3 күн бұрын
윗분 말대로 체급이 안돼서 중재는 어림없고 줄타기를 잘 해야하는데 양쪽으로 걸치다 잘못하면 가랑이 찢어지는 수가 있음.
@mingjj6714
@mingjj6714 3 күн бұрын
@@trader1693 다른 국가들은 다 양쪽에 걸쳐 있는데 왜 한국은 하면 안되나요? 하다못해 동남아 국가들도 양쪽에 걸쳐 왔다리 갔다리 하던데.
@trader1693
@trader1693 3 күн бұрын
@@mingjj6714 하면 안된다고 한적 없습니다만? 잘 해야 하는데 잘못하면 가랑이가 찢어진다고 했지.
@trader1693
@trader1693 3 күн бұрын
@@mingjj6714 그리고 한국은 지리적으로나 분단국가라는 특성상 삐끗했을 때 더 큰 보복(?)을 당할 수 있으니 걱정한겁니다.
@KangShinMin
@KangShinMin 3 күн бұрын
동북아 균형자에서 신냉전의 전진기지로... 다음 그리고 그 다음 세대는 어떤 평가를 내릴지... 과연 그 세대가 있기는 할지...
@user-zt1kz5df7t
@user-zt1kz5df7t 18 сағат бұрын
미국이 일본을 지키려고 했지만 한국은 전장이 되어도 상관없으니까 반도에서 625를 했는데, 이것은 당시 미군의 수기에도 적혀 있는 진실이다
@user-eb5sx4ut5z
@user-eb5sx4ut5z 2 күн бұрын
사실 홋카이도가 소련에 넘어가서 일본이 독일처럼 분할되는게 맞는데... 일본의 계략에 힘없는 한반도가 분할됨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2 күн бұрын
왕조교체는 후차문제이고 성리학중심의 정치사조 그 자체에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후기 개혁적인 성향을 가진 실학자들마저도 성리학적 체제 그자체를 부정비판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정치사조와 왕조교체는 엄밀히 별개문제입니다. 정치사조는 그대로인체 왕조교체가 이루어질수도 있고 왕조는 그대로인데 정치사조및 통치제제의 대대적 개혁이 일어날수도 있죠.
@historydoo
@historydoo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june_joy
@june_joy Күн бұрын
한 ㅡ 흉노 고조선 당 ㅡ 돌궐 고구려 거란 ㅡ 송 발해고려 몽골 ㅡ 남송 고려 청 ㅡ 명 조선 (병자호란) 일 ㅡ 러시아 조선 일 ㅡ 청 조선 그래서 미중 갈등 시 대만문제때 중국이 북한부추겨서 한국공격
@historydoo
@historydoo 19 сағат бұрын
...ㄷㄷㄷ
@BrianChung-eu8bw
@BrianChung-eu8bw 3 күн бұрын
통일된 일본은 이미 임진왜란 시 명과의 휴전조건으로 한반도 남쪽을 분할 일본에 활양하라고 주장 했고 현 한반도 분단의 현주소 이다. 이를 자각하기는 커녕 아직도 북한을 적대시하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hoonhoon1502
@hoonhoon1502 2 күн бұрын
랩 하실때 부터 쭉 봐오던 찐팬입니다^^ 한반도 분할에 일본의 치밀한 계획이 있었다는 사실에 소름이 돋네요 오늘한 한 번 더 아니고 꼭 두 번 더 봐야겠어요 역사는 정말 많은 공부가 필요하네요 두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historydoo
@historydoo Күн бұрын
아이고..ㅋㅋㅋㅋ이집트발명품랩을... 그때보단 영상들이 무거워졌죠...?ㅎㅎ 항상 감사합니다ㅜㅜ
@user-oq3th4mf4d
@user-oq3th4mf4d 3 күн бұрын
👍🏻👍🏻👍🏻👍🏻
@user-pn5fx8dy9e
@user-pn5fx8dy9e 2 күн бұрын
덕분에 많이 공부하고 있읍니다 영상에 보이는 지도는 어떤지도를 쓰시나요?
@historydoo
@historydoo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구글 지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user-up5bd5vb7d
@user-up5bd5vb7d 2 күн бұрын
내용이 좋네요.
@AndrewKim-nf8ue
@AndrewKim-nf8ue 3 күн бұрын
지정학적 위치가 어떻든간에 국가를 통치하는 통치자나 지도층이 국익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문물을 얼마나 받아들이고 적용시키냐의 문제가 더 큰 것 같아요. 도자기의 예만 봐도 조선의 도공을 임진왜란때 일본이 끌고가서 그 도자기 제작기술로 큰 돈을 벌었다고 하는데, 도자기 제작 기술을 가지고도 그렇게 못해먹은 조선은 뭐였나 싶습니다. 일본이 반도의 이점을 가져갔다고 하는데, 그냥 조선이라는 나라가 ~논쟁이랍시고 상복을 얼마의 기간을 입느냐 마느냐로 싸우면서 무인은 천시하고 상업도 발전시키지 않고...어차피 해양세력이 호의적으로 왔어도 조선은 그걸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받아들이지 못했을 것 같아요. 요즘 문뜩 이런 생각도 들더라고요. 우리나라야 일제치하 30~40년 있다가 광복해서 대한민국이 되어 정체성이 일본과 분리되어 있지만, 일본이 수도를 서울로 옮기려는 계획이 실행되어 실제로 옮겨지고 광복도 못하고 지금까지 이어졌으면 어쨌을까...하는 생각이요. 그 대표적인 예가 중국 아닐까요? 명나라가 북방 오랑캐에게 전국토를 홀랑 먹히고 수도까지 청나라의 수도가 되고 통치되길 300여년......중국입장에서야 만주족이 한족에 동화되었다곤 하지만 변발이나 옷의 복식은 만주족 문화잖아요. 세계 4대문명이라는 것도 황하문명이 다른 문명보다 뒤떨어짐에도 중국이 굳이 황하문명을 넣어 세계 4대 문명을 퍼트렸다는데, 중국 주도의 저런 생각들을 우리나라가 이제는 굳이 따라갈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국사도 세계사와 함께 보며 생각하고, 해석도 다양하게 해야 하는 것 같아요. 누가 ~을 우리한테 빼았아갔다는 논리가 아니라, 우린 그걸 받아들일 준비가 안되어서 놓쳤다.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이런 기회가 오면 대통령부터 나라의 지도자들과 국민들까지 그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겠다고 역사교육을 시키는게 훨씬 더 발전된 역사관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trader1693
@trader1693 3 күн бұрын
연은분리법 세계 최초로 개발해놓고 사치조장한다고 금지시킴. 기술자들 일본으로 넘어가서 대호황. 애초에 조선은 은이 많이 안 나긴 했지만 그래도 마인드가 글러먹음.
@monmon12336
@monmon12336 2 күн бұрын
재밋노
@user-rx4pr2ft3v
@user-rx4pr2ft3v 2 күн бұрын
두선생님, 이번 설명은 학자들이 밝혀낸 역사적 사실과 많이 다른 것 같은대요. 일본이 의도적으로 소련을 만주와 한반도로 끌여들였고 그게 38선 분단의 원인 중 하나인 것 처럼 말씀하신 것 같은데요. 제가 알기에는 일본은 소련과 노몽한 전투이후 불가침 조약을 맺은 상태여서 애시당초 소련과 전쟁은 없을 걸로 알고 있어서 8월초 소련의 참전은 일본에게 매우 충격적인 일이었습니다. 일본은 1945년 초 패전에 임박해지자 소련을 중개자로 미국과 강화교섭을 추진하려 하지만 소련은 이미 얄타회담에서 태평양전쟁에 참전하기로 미국과 밀약이 되어 있어서 일본의 제의를 철저히 무시하죠. 소련의 참전은 원래 계획되어 있었는데, 원자폭탄 투하로 전쟁이 조기에 끝날 것 같으니까 서둘러 진행된 것이고 만주와 함경도에서 아무 피해 없었다는 것도 잘못된 설명 같습니다. 함경도로 진주한 것은 함경도 지역이 소련과 접해져 있기 때문에 일본군을 제압하려는 목적으로 진행이 된 거구요. 38선이 그어진 것은 한반도에 이미 들어와 있는 소련 입장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를 고려한 미국의 판단에 의한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번 설명은 "일본이 소련을 끌여들였다"는 플롯으로 억지로 꿰어 맞춘 것 같은 느낌입니다.
@historydoo
@historydoo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인정합니다. 해당 내용은 '지정학의 힘'이라는 책을 참고했습니다 책에서도 그리고 이번 영상에서도 '일본이 소련의 참전을 유도했다'라고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일본 군부에서는 소련의 극동 진출을 어느정도 알고 있었고, 이를 전후 전략에 활용하고자 항복시점을 조율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댓글에서 말씀주신 것처럼 일본이 소련의 침공에 당황했다는 내용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습니다. 혼란스러운 일본 군부에서도 제가 영상에서 이야기한 보고서가 정부와 군부 전체에 공유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일본은 19세기 말부터, 특히 자신이 패망하는 순간까지도 '지정학적인 고민'을 했다는 이야기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3 күн бұрын
진심 감사합니다 ❤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제가 더 감사해요❤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 2 күн бұрын
해석은 신박합니다. 특히나 18세기이후 한반도의 지정학구도가 달라진것이라본ㅍ해석은 동의할수밖에 없지만 일본이 미리 알구서 출구전략을 조직적으로 수행했다는 해석에는 너무 반대되는 정황이 많습니다. 우선 일본은 45년에 들어오면서 지속적으로 당장 일본에게는 아직 교전국이 아니었던 소련이 미국 영국과의 종전협상에서 중간 다리 역할을 해주길 바랬고 무엇보다 47년까지인 소련과의 불가침조약 갱신을 바라고 있었습니다. 그런 상황의 일본이 소련이 개입하는 걸 도리어 반겼다? 그 정도는 절대 아닐거 같은데요? 무엇보다 공산주의 소련이 일본본토에 상륙하면 일본은 천황제를 유지할, 소위 국체호지가 절대 불가능했기에 그보다는 귀축인미국에게 굴복하는게 낫다고 본거죠. 그래서 일본은 원폭보다는 소련참전이 항복을 결심한 직접적인 계기가 되고 소련군이 다가오니까 공산화되기전에 황급히 손을 들었다고 봐야할거 같은데요? 일본이 다가올 냉전상황을 미리 다 알고 내심 쾌재를 부르며 손을 들었다고 하기엔 항복전날 궁성진입 쿠데타 미수같은 사건은 설명이 안되질 않습니까? 미리 알고 그랬다기보단 어쩌다보니 그렇게 흘러간게 아닐까요? 마치 에도막부의 참근교대가 첨엔 다이묘들의 충성경쟁과 지방영주들의 군비억제를 위해 시작한 일이지만 결국은 그것이 일본의 근대화 기반을 마련한 것이 된것처럼요. 일본의 최후전시내각인 스즈키내각이 두선생님의 해석처럼 다 알고서 그제서야 손을 들었다는 건 너무 예정된 틀에 맞춘 해석같습니다. 무엇보다 8월 14일 히로히토의 항복 결단과정에서 스즈키 내각안에서는 육군상 아나미를 비롯한 강경파가 최후항전을 부르짖었고 그들을 지지하는 청년장교그룹이 쿠데타를 시도했었습니다. 이런 정황들은 일본이 출구전략을 짜고서 조직적으로 대응했다고 보기엔 너무 반대되는 맥락들 아닌지요?
@user-ym1xd2sb2i
@user-ym1xd2sb2i 3 күн бұрын
쎄앰~~~^-^ 예전부터 영상 잘 보고 있는데요ㅋ 몇몇 부분은 지리 역사 뭐 그런거 술자리 등 에서 아는체도 하고 뭣보다 앎의 즐거움??? 넘 감사히게 잘보고 있습니다. ㅋ 무엇보다 우파좌파 같은 정말 우리나라 쫌 벌레 같은 정치색 같은거 없는것도 좋구요.ㅋ 근데.... 보다보니 이런 생각이 드는데..... 왜 우리나라 교육은 국사 세계사 근현대사 한국지리 세계지리 등등등 왜이리 나눠져서 교욱을 할까요?? 나이들어 보니 어릴때 받았던 학습내용이 이런거구나.... 는 알겠는데 이게 이런 느낌이에요. 즉 영어배울때 문법 단어외우기 회화.... 등등등 뭔가 분리해서 하다보니 걍 시험칠때 점수 맞기로 외우고 수업도 받았고 했는데... 졸업해보니 남는게 없는거???? 즉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다보니.... 뭔가 외우고 공부는 했는데 실생활에서는 취합도 안되고.... 이게 이런거였어???? 뭐 이런 느낌?? 이런거 어떤가요? 과목 이름은 음........... 년도별 주요 인류사???? 혹은 통합세계한국사...ㅋ 뭐 이름은 요즘 워낙 제목학원 다니는 분들이 많아서...ㅋ 저보다 창의적인 분들이 지어주실듯ㅋ 암튼 요는... 뭐 예를들면 1800 한국 정조 사망 지방세도정치 세력 강화 이후 1950년 이후까지 아무것도 못함. 이때 영국에선 아니 조금 더 이전 산업혁명 발생. 유럽 전혁에서 겁나 혁신적으로 캐발전. 일본도 이때 쯤 메이지 유신 혁신적으로 근간을 바꾸는 캐발전. 1880년 우리나라 일본에 강제 개항.... 하지만 이미 유럽은 이미 식민지 여러군데; 가지고 있고 제국주의 여러군데 둠. 일본은 이런거 몇십년 전부터 배우고 지켜보고 있어서 한반도 및 청나라 등등 식민지화 야욕. 청나라도 아편 먹고 정신못차리고 뭐 블라블라 1900년 우리나라 청나라 맛간 틈타 대한제국 선포. 일본은 차츰차츰 간보며 우리나라 먹기 일보직전. 유럽은 블라블라. 이때 미국은 남북전쟁 후 이러저러 블라블라. 1910년 우리나라 강제 합병, 유럽 곧 1차 세계대전 이때 일본은 뭐하고 있었고 중국은 어땠고 미국은 어땠고.... 1940년 우리나라 식민지 된지 몇십년 되니 어땠고... 2차 세계대전 일어나고 유럽은 어땠고 일본은 진주만 캐오바하다 어땠고 미국은 어땠고... 1950년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어떤게 있었고 한국전쟁 일어나고... 굳이 왜 수많은 UN참전국들이 감사하지만 왜 왔고... 일본은 어떤 시기였는데 어떤 흐름을 탔고 중국은 이때 어떤 흐름을 탔고.... 1960년 우리나라 박정희가 왜 나타났고 중국은 어땠고 일본은 이때 뭘했고 베트남은 어떤 상황이였고 유럽이랑 미국은 그리고 소련은 어땠고... 1970년.... 뭐 등등 한국사니 세계사니 뭐 나눌게 아니라 걍 연도별로 전세계에서 어떤 움직임이 있었는지.... 그래서 각각 어떤 영향을 끼쳤고 우리나라 그 합일합병도 왜 일어났는지.. 6.25는 왜 일어났는지... 도대체 주변에선 무슨 일들이 있었길래 우리는 도와 줬는지.. 혹은 우리나라 식민지 될때는 왜 들 방관했는지... 뭐 등등등등 (이것도 흥미롭더군요... 우리나라가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동시에 이룩한 그리고 식민지 같은 제국주의 움직임이나 사우디 같이 자원 등 혜택 없이 세계경제 10워권의 유일한 나라... 그리고 박정희 정권과 우리나라 민주화의 결정적인 88서울올림픽의 스노우볼.... 이때 당시 세계는 왜??? 등등등) 저것보다 훨씬 이전부터 기원전 혹은 뭐 우리나라 삼국시대때 세계는 어땠는지.... 암튼 한국사니 세계사니 따로 나누지 말고 시대별로 마치 인류사처럼 지구상에서 시대별로 주요 일들이 어떤게 있었는지 그런 컨텐츠 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나무를 보는건 전공을 하든 나중에 흥미있는 분들 찾아보시든 디테일한건 뭐 디테일한거 대로 두고 통합적으로 년도별 세걔 주요 인류사??? 혹은 지구에 년도별로 어디서 어떤일 벌어질때 어디선 어땠는지.... 아마도 1390년정도 조선건국할때만해도 조선이 전세계적으로 괜찮았던듯 한데.. 그리고 지금은 유럽 미국에 비해 다소 소외돼 있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나 페르시아 문명.... 중동의 문화도 유럽에는 진짜 근간이라 할정도로 어마어마 했고 현재 모든게 자기네 꺼라 하는 중국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친듯 한데.... 암튼 이런게 따로 따로 말고 시대별로 통합적으로 교육받고 싶습니다....ㅜㅜ 주저리 주저리 길게 썼는데..... 두쌤~~~!!! 꼬옥 이글 보실거라 믿어요~~~!!! 제발~~~~!!!!! 그리고 건강하시고 대박나시길~~~~!!!! 감사합니다. 쌤 그리고 펌 한번 해보세요~~!!! 스타일리쉬한 머리 관리하기 훨씬 편하실거에요~~^^/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ㅠ.ㅠ 저 대학 갈 때는 국사, 한국근현대사, 세계사가 다른 과목이었고, 지금은 한국사가 필수과목이 되었지만 여전히 동아시아사와 세계사를 다른 과목으로 배우고 있죠.. 여기에 '교과목'과 '교사' 등의 역학관계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역사 전쟁이 치열한 동북아시아의 분위기상 한국사를 따로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는 여론이 더 커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ㅠ.ㅠ (그리고 기회되면 펌도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해요 !!
@user-ym1xd2sb2i
@user-ym1xd2sb2i 2 күн бұрын
@@historydoo 와~~ 문쌤^^ 답변 영광입니다. 보니깐 엄청나게 길게 써놨는데 요지는 연도별로 한국 이시기에 세계정세는 어땠고 무슨일이 일어났고 쭉 정리된 강의가 듣고 싶어서 말씀드렸어요~!!인류사라고 해야 할려나^^ 아마도 흥미있어하는사람들도 많을 듯해서 대박나시라고ㅋ 모자 많이 쓰시는데 꼭 머리 좀 길르셔서 펌도 꼭 해보시길ㅋ 암튼 답변 넘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user-pd1ju5oi9t
@user-pd1ju5oi9t 3 күн бұрын
분단도 왜놈들이 획책했군요. 새로운 사실을 가르쳐준 두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gin_tube202
@gin_tube202 3 күн бұрын
말은 정확히 합시다 일본이 획책한 건 아니죠. 분단은 소련과 미국의 이념때문에 만들어진거고 일본은 그걸 자신들의 기회로 삼은거죠. 역사 채널 왜봅니까?
@user-pd1ju5oi9t
@user-pd1ju5oi9t 3 күн бұрын
@@gin_tube202 소련이 한반도 북쪽에 들어올 때를 기다려 항복했다잖습니까? 일본 때문에 분단된 것이 아니라 일본의 계획이 분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이지요. 역사채널을 왜 보냐고요? 몰라서 배우려고요!
@ViktorLi0621
@ViktorLi0621 3 күн бұрын
​@@user-pd1ju5oi9t 소련 올때까지 기다렸다는거엔 동의못하겠네요.. 일본은 끝까지 버티다가 미국이 규슈 상륙할때 최대한 미군피해를 많이 일으켜서 반전 여론 조성하려했는데...
@user-ej8mn8xs9x
@user-ej8mn8xs9x 3 күн бұрын
어떤 체널에서는 맥아더사령관이 일본에서 진행하는 사업이 있어서 그 파이를 잃기싫어서 일본이 아닌 한반도를 나누자고 소련에 졔안해서 그렇게 되었다는 주장도 있더군요
@gin_tube202
@gin_tube202 2 күн бұрын
@@user-pd1ju5oi9t 그러니까 그걸 기다린게 뭔 영햠을 주는데요.? 그냥 지들 이익노리고 기다렸다 항복했다인거지 그게 울 나라에 무슨 영향을 주고 그게 무슨 획책이란건데요? 그냥 지들 이익 때문에 그런건데 독한 놈들이다 정도로 보이는데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3 күн бұрын
아나톨리아 반도 이탈리아 반도는 지정학적으로 대륙과 대륙 사이의 반도이고 한반도는 대륙과 섬 사이의 반도라는 차이가 있다 생각합니다 이런 비슷한 지정학적 위치가 말레이 반도와 플로리다 반도인데 말레이 반도는 만주와 넓게 접하고 있는 한반도와 다르게 대륙부와 상당히 좁게 연결된 특징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대륙부와 해양부의 세력 균형이 이뤄졌고 게다가 큰 스케일인 인도차이나 반도에 속해있다보니 인도양과 태평양 양쪽을 연결하는 국제 해상 무역로 위치라 한반도랑 다르게 타문화에 대한 교류가 개방적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오히려 한반도와 지리적 조건이 비슷한 반도는 플로리다 반도 같네요. 북미대륙 동쪽 끝에 위치하고 바로 아래 쿠바섬이 존재하며 대륙부의 영향력이 해양부의 영향력을 압도한다는 점이 닮았습니다. 미국 플로리다본토 카리브해 국가들을 동아시아로 굳이 비교해서 보면 중국이 한반도를 자국 영토화한 상태에서 일본 열도가 소국으로 분열되어 있는 형태가 아닌가 싶네요 스페인 식민지였던 플로리다가 별도의 국가였다면 카리브해 국가들과 미국의 관계가 어떤 형태였을까 생각도 해보게 되네요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아 플로리다 반도 생각을 못했네요....감사합니다...!! 별도의 나라 플로리다 + 쿠바섬이 플로리다반도보다 컸으면, 한반도와 일본 느낌도 나겠네요 ㅎㅎ
@YBKim-yd7vm
@YBKim-yd7vm 3 күн бұрын
한반도는, 또, 하나의, 닮은 꼴의, 거대한 대륙, 북아메리카의, 플로리다 반도와, 닮아 있습니다😢😮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2 күн бұрын
서양 서구선진국들이 조선등 동양을 앞서나가기 시작한 시기를 18세기후반부터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user-rl9ns5qb4o
@user-rl9ns5qb4o 3 күн бұрын
진짜 고급집니다. 흥미 위주의 사람 사건 중심의 서사가 아니라 종합적으로 다뤄주심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user-bp2uj2kx4e
@user-bp2uj2kx4e 3 күн бұрын
미중 갈등에서 한국이 취해야 할 스탠스는 이기는 편 우리편입니다. 이기는 편을 잘 예측해서 빨리 풀배팅을 해야지 애매하게 박쥐짓을 하다간 애매하게 양쪽한테 다 버림받을 수가 있습니다. 예측할 능력이 없으면 옆자리 친구 답 컨닝이라도 해야겠지요
@user-it6ec9ys1j
@user-it6ec9ys1j 3 күн бұрын
그러기엔 이미 고려초부터 일본이 개날뛰고 있었는데 해양세력을 신경 안써도 됐다는게 뭔 소리인지 몰겠네요. 개경까지 털리고 있었는데.. 임진란은 말할것도 없고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영상이 길어질까봐 고려말 왜구나 임진왜란에 대한 내용을 넣진 않았습니다. 아마 임진왜란을 따로 다뤄야할 것 같아서요. 동북아시아 지정학의 큰 줄기에서, 임진왜란은 그와는 다른 성격의 전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영상에서 다루지 않았습니다. 저는 '임진왜란'은 일본 열도가 동북아시아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등장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전쟁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동북아 문화권 끝에 있어서 그동안 인구 이동도, 문화도, 경제도 항상 늦었습니다. 그리고 열도 가운데 산 줄기가 있어서 중앙집권화에도 애로 사항이 컸습니다. 이 때문에 동북아 역사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활동하지 못했죠. 하지만 일본 열도는 한반도의 1.7배로, 간사이~간토 평야의 인구 부양력도 한반도와 만주보다 더 뛰어납니다. 센고쿠시대라는 혼란기가 정리되고 중앙집권화 되어가는 일본이 인구와 경제(+군사) 면에서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시아를 위협할 수 있는 존재가 된 거죠. 그걸 알리는 전쟁이 임진왜란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까지 넣으면 주제가 흔들릴 거 같아서 뺐습니다. 해당 내용도 나중에 다시 또 다뤄보고자 합니다:)
@user-kc6yj1hu4i
@user-kc6yj1hu4i 3 күн бұрын
일본,,, 정말 어떤 이유로 보든 우리나라에 저~~언혀 도움 안되는 나라. 예나 지금이나!
@paranbit8194
@paranbit8194 3 күн бұрын
서글픈 얘기입니다. 일본은 같은 뿌리 가진 가까운 이웃이라기에는 중국보다 더 짜증나는
@baseboy5152
@baseboy5152 3 күн бұрын
이번 편은 한 번만 봐도, 속이 부글부글 끓어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해방 직후 신탁통치에 대한 악의적인 오보 역시 일본의 협잡이라는 심증이 확실하다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smittywerbenjagermanjensen2536
@smittywerbenjagermanjensen2536 3 күн бұрын
잉??? 그때 일본이 협잡을 어떻게 하죠 신탁통치 오보사건때 일본이란 나라는 없었는데ㅋ
@baseboy5152
@baseboy5152 2 күн бұрын
@@smittywerbenjagermanjensen2536 국내에 없다고 못할까요? 언론사에 심어놓은 사람이 없었을까요? 미국도 우리나라에대한 정보가 없어서 일본에 물었고, 그 중엔 악의적으로 왜곡된 정보도 많지않았을까요?
@user-px2nt6ri1o
@user-px2nt6ri1o 2 күн бұрын
전체적으로 이번 강의는 별로 설득력이 없네요. 1. 과거 농경민족과 유목민족의 대립이 아편전쟁 이후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으로 변화했는데 이에 적응을 못했기 때문에 조선과 중국이 망했다는 말은 전체적으로 맞는 말이지만, 1) 임진왜란을 농경-유목의 대립이라고 할 수 있나요? 2) 청나라의 여진이 중국문명에 동화되어 사라졌다는 주장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중국의 광대한 국토는 한족이었으면 꿈도 못꿨을 강역입니다. 여진의 청나라가 중국을 식민지로 삼았다고 고향을 폐쇄하고 중국으로 가서 대륙 전체를 지배한 겁니다. 여진족은 정말 대단하지요. 조선은 그런 여진한테 당하고, 그 여진이 중국의 황제,지배층이 되었는데 현실을 인정하지 않고 조선말까지 오랑케라 부르며 부국강병하지 않다가, 서양과 일본에 당한 것입니다. 중국이 망한 원인은 너무나 자부심이 강했기 대문에 자본주의체제를 도입하지 않았고 세상의 중심이 중국이라는 중화주의에 빠져 근대적 세계 국가질서에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적응하지 못하고 전랑외교를 하고 있지요. 2. 한반도 분단에 대해서 요즘 일본에서 새로운 학설이 떴나요? 2차대전 종전에 대해 현대사 분야에 무수한 설들이 존재하는데, 지금 말씀하신 일본이 일부러 소련의 침공을 유도했다... 그 과정에서 남진하는 소련을 막기위해 미국이 38선을 그엇다는 주장은 너무나 황당합니다. 음모론 축에도 끼기 힘든. 기본적으로 소련의 대일전 참전을 요청한 것은 미국 루스벨트입니다. 진주만 공습을 당한 몇일 후 부터 소련에게 대일전 참전을 요청했고, 43년 11월 테헤란회담, 45년2월 얄타회담이 모두 소련의 대일전 참전 요구가 핵심주제였습니다. 포츠담 회담에서도 국무장관 번스가 소련참전 배제를 도모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만, 트루먼 대통령은 한결같이 자신의 목표는 소련의 대일전 참전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전황이 불리해지기 시작하자 소련에게 침공해 내려오라고 전쟁을 유도한 것이 아니라, 미국과 평화협상을 위한 중재를 맡아달라고 한 것에 불과하며, 스탈린은 이를 들어주는 척하면서도 미국에게 많은 것을 얻어내기 위해 참전한 것입니다. 따라서 영상에서 말한 일본의 소련참전 유도설은 말할 가치조차 없다고 봅니다.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이에 대한 답변 드립니다. 1-1) 영상이 길어질까봐 임진왜란에 대한 내용을 넣진 않았습니다. 아마 임진왜란을 따로 다뤄야할 것 같아서요. 동북아시아 지정학의 큰 줄기에서, 임진왜란은 그와는 다른 성격의 전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영상에서 다루지 않았습니다. 맞습니다. 임진왜란은 농경과 유목의 대결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임진왜란'은 일본 열도가 동북아시아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등장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전쟁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동북아 문화권 끝에 있어서 그동안 인구 이동도, 문화도, 경제도 항상 늦었습니다. 그리고 열도 가운데 산 줄기가 있어서 중앙집권화에도 애로 사항이 컸습니다. 이 때문에 동북아 역사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활동하지 못했죠. 하지만 일본 열도는 한반도의 1.7배로, 간사이~간토 평야의 인구 부양력도 한반도와 만주보다 더 뛰어납니다. 센고쿠시대라는 혼란기가 정리되고 중앙집권화 되어가는 일본이 인구와 경제(+군사) 면에서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시아를 위협할 수 있는 존재가 된 거죠. 그걸 알리는 전쟁이 임진왜란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까지 넣으면 주제가 흔들릴 거 같아서 뺐습니다. 해당 내용도 나중에 다시 또 다뤄보고자 합니다. 1-2) 해당 내용에는 저도 공감하고 있습니다. 2. 제가 한반도 분단과 일본의 지정학을 다루는 내용은 주로 '지정학의 힘'이라는 책을 참고했습니다. 그 책에서도, 그리고 제 영상에서도 '일본이 소련의 침공을 유도했다'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일본이 유도하지 않아도, 미국은 소련의 대일전 참전을 요구했고, 소련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을 겁니다. 하지만 '소련의 동북아 진출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은 미국'과 '미국이 2차대전 이후 동북아 권력을 독점하는 걸 용납하지 않을 소련'을 이용하면, 일본이 패전 이후에도 살 길이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는 겁니다. 제가 이 영상에서 말씀드리고자 한 것은 "일본이 항복을 하는 타이밍을 결정지은 요인 중 하나가 '소련의 한반도 진주'였다", "일본의 패전 이후의 전략과 지정학에 대한 고민이 한반도 분단에도 영향을 끼쳤다"입니다.
@user-eb5sx4ut5z
@user-eb5sx4ut5z Күн бұрын
임진왜란은 영상에 없는 내용이에요... 일본은 소련의 침략을 이미 알고 있었고 기다린건 사실입니다... 6.25도 그렇고 러우전쟁도 그렇고 일본의 하와이 공습도 이미다 알고있었습니다... 일반 백성들만 몰랐을뿐
@sammai100
@sammai100 3 күн бұрын
허.. 참..
@user-cu5qh7zq8p
@user-cu5qh7zq8p 3 күн бұрын
스타크래프트 한겜 한듯 ㅎㅎㅎ
@user-xn3vt5zi8v
@user-xn3vt5zi8v 3 күн бұрын
일본이 원망스러운 것이 아니라 아직도 우리나라는 대전략가가 없다 아베의 아시아 태평양 전략 대로 세상은 움직이고있다 여전히 한국에는 없다 조리돌림 멍석말이의 나라 끝없는 사과 강요의나라 갱생이란 없고 과거에 매몰된.... ㅉㅉㅉ 한심하다
@historydoo
@historydoo 3 күн бұрын
1000% 공감합니다...
@wd-ji6qv
@wd-ji6qv 3 күн бұрын
한국 정치인은 그런거 관심없죠 형수봉지를 누가 찢었는지, 대통령 마누라 사생활 같은 정치인 이슈몰이에만 관심있을뿐ㅋ
@historydoo
@historydoo 2 күн бұрын
@@wd-ji6qv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rahan6015
@arahan6015 3 күн бұрын
한반도는 늘 분단상태였어. 고조선/진, 고구려/백제신라, 발해/고려 조선은 북쪽애들 과거시험에 안 뽑았지.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3 күн бұрын
소련과 북한이 일본을 기사회생시켜준 셈이네요. 공산당이 일본 군국주의자들에게 엄청난 면죄부를 준 셈입니다.
@user-jt8mw6lz3p
@user-jt8mw6lz3p 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핵심국가를 가기위해선 정치인을 수출해야 한다
@changjae-kv3ey
@changjae-kv3ey 3 күн бұрын
311기 주계 오대장성 해병,해병대 병장 장재구 텅일,통일 또... 통일,관한 이야기 지나간 과거,그만
@naldawson7336
@naldawson7336 3 күн бұрын
두선생. 어디서 누구밑에서 학문을 닦았는지는 모르겠으나 거기서 증명, 확인 이런거는 배우지 못하였소? 허허허허 얘기 자체는 재미있었소 허허허허
@Jeong-eun
@Jeong-eun 3 күн бұрын
멍충해
@ViktorLi0621
@ViktorLi0621 3 күн бұрын
견적보니 반일감정 딱 끌어올리기에 좋네~
@ViktorLi0621
@ViktorLi0621 3 күн бұрын
댓글도 거기에 맞춰서 맞장구 잘쳐주고 ㅋㅋ
@user-gp4fs3qd8y
@user-gp4fs3qd8y 2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지워졌어야 했어​@@ViktorLi0621
@user-cp7ig3jq2r
@user-cp7ig3jq2r 2 күн бұрын
아이고 감사합니다. 자기입으로 재미있데...무슨 가스라이팅이야?....ㅋㅋㅋㅋㅋ
@historydoo
@historydoo Күн бұрын
죄송...
핵전쟁 직전까지 갔던 중국과 러시아!
22:2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217 М.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81 МЛН
Дибала против вратаря Легенды
00:33
Mr. Oleynik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KBS_362회_2024.06.29.방송)
43:55
KBS 세계는지금
Рет қаралды 170 М.
어니스트 헤밍웨이, 전쟁을 기억하는 위대한 방법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1부
57:00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21 М.
의도적으로 감춰진 우리의 현대사!
40:43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나라 이름’으로 역사 아는 척하기|여행자의 어원사전
19:56
두선생의 역사공장
Рет қаралды 15 М.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