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당신도 아파트 중독? 떠나고 싶지만 떠날 수 없는, 전용면적 85㎡ 아파트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Рет қаралды 333,683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3 жыл бұрын

전용면적 85㎡, 흔히 말하는 33평형 아파트에는 우리나라 아파트 거주 가구의 25.9%, 4분의 1이 넘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80년대 후반, 아파트가 많이 공급되던 시기에 등장한 33평형 평면은 부부와 아이 둘로 구성된 핵가족이 살기에 적당하도록 만들어졌다. 현관문을 열면 눈앞에 바로 보이는 거실과 화장실, 방 3개, 발코니, 거실에 놓인 소파와 TV의 위치까지. 이 구조가 익숙한 사람들은 꽤 많을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아파트를 선택할 때 공간적인 측면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적당한 크기를 선택, 그 구조에 몸을 맞춰 사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직접 내 집을 짓지 못할 바에는 어쩔 수 없다고 지레 판단해온 것이다. 같은 건물 내에 있는 아파트라도 사는 사람들의 특성과 스타일을 고려해 공간의 크기와 구조가 서로 다르고, 필요한 경우 벽을 트거나 새로 만들어서 살 수 있는 해외의 아파트와는 달리 우리나라 아파트는 한 단지 수백 세대 전체가 똑같은 크기, 똑같은 구조인 경우도 허다하며 대부분 구조 변경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서로 다른 가족 구성원와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각자 다른 가족 구성원과 삶의 패턴을 가진 가족들이 자기만의 개성을 있는 공간을 아파트에서 경험할 수는 없는 걸까? 아파트에서 살 수 밖에 없는 것이 우리 대부분의 현실적인 조건이라면 그 안에서도 우리는 각자 나만의 공간을 누려야만 한다.
제작진은 우리나라 아파트의 이런 공간적인 한계에 주목하고, 획일적이고 바꿀 기회조차 없다고 인식되어 온 아파트 공간에서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는지 관찰해봤다. 4인 가족에 맞추어 설계된 방 3개짜리 33평형 아파트에 사는 5인 가족, 가장 넓은 거실과 안방을 활용하지 못해 고민인 가족, 거실을 가족실로 만드는 유행에 동참했다 실패한 가족. 이 세 가족과 변화를 즐기는 건축가 문훈의 6개월간의 공간 변신 프로젝트! 과연 가족들은 각자의 삶에 어울리는 공간을 갖게 될까?
오랜 아파트 역사를 가진 프랑스, 막 시작된 도시화로 공장에서 찍어내듯 초고층 아파트를 건설하고 있는 중국, 그리고 어느 나라보다 아파트를 사랑하는 한국을 비교해 대단지 아파트 생태계로 이뤄진 한국 아파트만의 특징을 지금 알아본다.
#다큐프라임#아파트공화국#아파트구조#내가살고싶은집
#주거문화#아파트리모델링#주거문제#한국인의아파트#아파트중독#문훈건축가

Пікірлер: 611
@oe1720
@oe1720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아파트는 집이 아니라 화폐입니다. 각자 개성이 있는 공간은 화폐로서 가치가 떨어지죠. 부동산 투기에 미친 현실이 만든 자화상입니다.
@kyi2413
@kyi2413 3 жыл бұрын
바보야 누가투기야? 다 자기능력대로 열심히 자기집 확보 노력하는거지 남탓 하지마 바보야
@oe1720
@oe1720 3 жыл бұрын
@@kyi2413 응 나도 미쳤기 때문에 많이 벌고 있어 ㅋㅋㅋ
@Generallee85
@Generallee85 3 жыл бұрын
훠훠 대한민국 집값 잡겠습니다
@user-id4nm4sx3n
@user-id4nm4sx3n 3 жыл бұрын
지랄을 하네 왠지 고졸 무주택자일듯 ㅋㅋㅋㅋ
@jklim6640
@jklim6640 3 жыл бұрын
@@Generallee85 훠훠훠 임대만 짓겠습니돠
@horbig933
@horbig933 3 жыл бұрын
전 우리나라 주택의 가장 큰 문제점은 부부 각자의 개인 공간이 없다는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녀들은 일과 후 각자의 방에서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휴식을 취하지만 집에서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해야 하는 부부는 각자의 개인 공간이 없이 24시간 일상을 공유해야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양반가정은 부부가 각방을 사용하여 가족의 시간 이외에는 각자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어느순간 부부 각자의 공간은 공유화 시켜버려 개인의 사생활과 휴식시간이 부재가 되어버린것이 큰 단점이라고 봅니다. 주택은 공용공간은 개방적이고 개인공간은 철저히 폐쇄적이어야 봅니다. 차라리 큰 안방과 작은방을 배치하는 것보다 작은 방을 여러개 배치해서 부부 개인도 각자 사생활은 유지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1necromancy496
@1necromancy496 3 жыл бұрын
최근 그래서 84 뭐 33평형이 방3개 알파룸까지 해서 방4개인 경우가 많고 심지어 59 사이즈도 방3개로 만들고 있습니다.
@illicitq6472
@illicitq6472 3 жыл бұрын
대형평형이 대세가 될 꺼예요 그렇다고 단독은 아니고 아파트로
@user-dt8sy8dv2c
@user-dt8sy8dv2c 3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이요 엄마아빠도 성격이 찰떡으로 잘 맞는 경우 많지않잖아요.. 각자 휴식시간이 필요한 법인데요.저 역시 어린맘에도 엄마가 맘편히 쉴 공간이 없는게 눈에 보였거든요. 티비에서 봐도 엄마공간은 죄다 부엌에 딸린 식탁이 전부.. 저 독립하고 엄마가 내 방쓰는데 너무 행복해하더라구요ㅜㅜ 그리고 부부 사이가 완전히 평등하기는 힘드니까 여러모로 각자 공간은 필수인 것 같아요.
@amyx320
@amyx320 3 жыл бұрын
우리집 부부 아들둘 방4개 모두 각방에 침대 놓고 씁니다. 옷장도 각자방에 다 있습니다. 거실 화장실은 남자, 안방화장실은 여자가 씁니다.너무 편하고 좋아요
@user-ib7nn8ky7h
@user-ib7nn8ky7h 3 жыл бұрын
@so na 여자도 마찬가지
@jml3795
@jml3795 2 жыл бұрын
똑같은 구조, 똑같은 배치 , 심지어 가구들도 색상 및 디자인이 다 비슷비슷 획일화된 공간으로인한 획일화된 사고, 삶도 다 비슷비슷..
@user-ql4wq9sm3z
@user-ql4wq9sm3z 3 жыл бұрын
저 가족들에게는 내가볼땐 스몰라이프가 더 필요한듯 너무 바리바리 뭐가 많아. 33평에 4가족 충분히 살수있음.
@user-dw6rq9nj8n
@user-dw6rq9nj8n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좀더 안전할수는 있어도 층간소음 때문에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짐.. 조심해야하는 사람이나 그걸 듣는 사람이나..
@yesyes4029
@yesyes4029 2 жыл бұрын
전 층간소음 땜에 단독이사했는데 삶의질이 달라짐ㅋㅋㅋ너무 행복해요ㅋ
@user-dv9nw5xr7e
@user-dv9nw5xr7e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구조 보다는 층간 소음이 더 문제임!
@fcl1977
@fcl1977 2 жыл бұрын
벽식구조로 인한 층간소음이 심한거임. 기둥식 라멘구조로 바꾸면 층간소음이 기둥을 타고 내려가서 소음이 줄어듬.
@rosayoo9687
@rosayoo9687 3 жыл бұрын
배관 시스템 때문에도 층 마다 다르게 변경 시키기는 쉽지 않고 같은 층애서의 다른 구조는 가능하죠. 가구 배치로 변화는 줄 수 있죠. 제가 실제로 그렇게 활용하여 쓰고 있죠..
@user-op4uf3ym1u
@user-op4uf3ym1u 3 жыл бұрын
딸들 방을 구분해서 나눌거면 안방이랑 딸들 방을 바꾸고 나눴으면 좋았을듯 작은방 칸막이로 나누니까 고시원같아 ㅠ ㅠ
@user-fs8tg1tv6c
@user-fs8tg1tv6c 3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생각을~~ ㅋㅋㅋ
@user-cr2wu2rq8r
@user-cr2wu2rq8r 3 жыл бұрын
저도 고시원 생각이...
@yoru3728
@yoru3728 3 жыл бұрын
저는 이정도면 제한된 공간내에서 최선인듯. 고시원이랑 다르게 거실도 있으니까.?
@sjlee3434
@sjlee3434 3 жыл бұрын
안방에 짐이 너무 많으니깐요~ 안그랬음 내주셨을 듯~
@jlovej4554
@jlovej4554 3 жыл бұрын
맞아 안방이 젤 침대만 공간치지하고
@ywna6723
@ywna6723 3 жыл бұрын
신박한 정리가 시급하다
@mavelyaromi
@mavelyaromi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닭장같은 허공의 아파트에 살지만 어릴때 단독주택에서 살았던 추억이랑 행복했던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음...다시 단독주택 살때로 돌아가고싶어서 매일 꿈만 꿈..마당에서 고기도 구워먹고 식물도 키우고..남들 이웃 눈치안보고..댕댕이들 놀라고 풀어놓기도하고 집안에서 뛰고 청소기돌려도 아무도 뭐라 안하고ㅠㅠ..서울에서 단독주택 살고싶다 아
@Parabarabam
@Parabarabam 3 жыл бұрын
실제 살아보면 줜나 불편함. 벌레많고 난방효율 안좋아 춥고
@user-rj3hn7hl6r
@user-rj3hn7hl6r 3 жыл бұрын
테라스아파트 좋아요
@user-un1iw7bt8x
@user-un1iw7bt8x 3 жыл бұрын
@@Parabarabam ㅋㅋㅇㅈ
@user-cd9qp7sg8b
@user-cd9qp7sg8b 3 жыл бұрын
진짜 부자 아니면 주택보다 아파트가 살기 훨 좋은게 현실이다.
@user-eb8vn8mt6o
@user-eb8vn8mt6o 3 жыл бұрын
왜 굳이 좁고 복잡한 서울에서??지방가면 당신이 원하는거 저렴하게 다 가능함!근데 서울엔 꼭 살아야되겠지???
@user-ik9km5ps4q
@user-ik9km5ps4q 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팬트리에 4베이구조라 팬트리에다 취미방도 만들고하죠. 거실크기가 더 크기가 줄고 ..2013년때만하더라도 아이들이 2이상이네요. 요즘은 한두명이라 좀다르네요.
@it_smells_good
@it_smells_good 3 жыл бұрын
이것도 이제 옛날 얘기네 요즘 젊은 사람들 tv 보기는 하나? 다 모바일 기기로 침대에 누워서 영상 보지
@tae-heepark6792
@tae-heepark6792 3 жыл бұрын
가변벽체에 구조를 변경시켜서 특이한구조로 살아보니 만족도는 있는데 이사갈려고 내놨더니 집이 안팔리드라. 일반적이지 않다고 ㅋㅋ
@SeaWA1125
@SeaWA1125 3 жыл бұрын
사실 이게 포인트인거 같아요. 커스터마이즈해서 나에게 맞춰서 살면 좋죠. 그런데 한국에서는 아파트가 투자를 겸하는 큰 재산인데, 그걸 그렇게 나에게 맞춤을 시켜버리면 팔리지가 않는다는 큰 문제가 생깁니다.
@alvinch.5200
@alvinch.5200 3 жыл бұрын
내가 살고싶은 집이 아니라 남들도 좋아하는 좋은 층 좋은 향 좋은 구조로 해야 나중에 팔때 잘 나가요. 어짜피 아파트는 환금성이 생명이라...
@user-zr3gf6le3v
@user-zr3gf6le3v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중독이라기보단 건설사와 정부,은행 시스템에 돈먹고 돈먹는 시스템에 놀아나고있는거지 효율과 디자인 편리성은 전혀발전없이 획일화된 사육장같은느낌
@user-fx2tj3rp9i
@user-fx2tj3rp9i 3 жыл бұрын
고층 아파트를 바라보면 왠지 벌집이 연상되더라구요.
@user-yn8uq4og1u
@user-yn8uq4og1u 3 жыл бұрын
좁은 땅덩어리엔 다들 지방충 신세로 가기 싫어하고 모든 사람이 수도권에 있을려고 하는거 생각안함? 빌라, 단독주택이 얼마나 관리가 하기힘들면 비싼 아파트로 들어오겠냐 ㅋㅋ 열병합 지역난방 지역, 관리시스템, 경비시스템, 주거단지 활성화, 변전설비 지하화 등등 얼마나 누릴 수 있는게 많은데 삐뚤어지게 생각하냐 ㅋㅋㅋ 니가 성북동에서 살면 말이 다르지 ㅋㅋㅋ
@evetsteve1
@evetsteve1 3 жыл бұрын
단독주택 관리하기 빡세요....
@user-yk8dn3gb8b
@user-yk8dn3gb8b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나 단독주택이나 취향입니다. 대단지라 가격산정과 대출에 용이하고, 사고팔기 쉬우며, 생활상권이 가가운 아파트를 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또 마당이과 정원이 있고 아이들이 뛰어 놀수 있는 단독주택이 편한 사람도 있지요. 다 선택과 취향의 차이입니다. 대안주택이나 단독주택을 사는 사람들중에 자신의 퍽이나 깨어 있고, 남들은 우매하다고 생각하는 종자들이 있더군요. 그냥 자신의 선택에 따라 사시면 됩니다. 남에게 어줍잖게 훈장질하기 보다는요.
@user-ov3ix8vz1w
@user-ov3ix8vz1w 2 жыл бұрын
전 계속 아파트에 살다보니 나중에 주택에 살아보는게 꿈이에요.. 아파트가 편한건 알고있지만 한번은 도전해보고싶은게 주택살이..
@user-ov3gr6ey1b
@user-ov3gr6ey1b 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미니멀하게 짐을 줄여서 공간을 활용하는 추세라.... ㅋ 가구를 더 넣어서 해결하는 것이 좀 촌스럽게 느껴지네요. 차라리 건축가님보다.. 공간정리 컨설턴트가 아파트 공간 활용을 더 잘 하실지두 ㅋㅋㅋㅋㅋ
@user-wi1xk8jk1h
@user-wi1xk8jk1h 3 жыл бұрын
저게 공간활용이랑 뭔 상관이에요? 이 프로젝트는 구조를 바꿔서 좀더 가족이 행복하게 살자는거지 짐 정리가 아니라고요
@kimbbodong
@kimbbodong 3 жыл бұрын
홍보실패 ㅋㅋㅋㅋㅋㅋ
@akstkak99
@akstkak99 3 жыл бұрын
방송이 7~8년 전꺼네요 ㅎ
@misoukgi
@misoukgi 3 жыл бұрын
8년전이라는걸 아실 필요가 있을듯
@im991135
@im991135 3 жыл бұрын
공간에 순응해서 살지말고 공간을 주도적으로 해석해서 변형하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좋은 영상이네요.
@myloveguy
@myloveguy 3 жыл бұрын
와. 문훈 건축가님. 젋은 시절... 을 볼 수 있어 좋았네요. 2013년 제작영상이네요. 좋은 영상입니다.
@user-bc5lw3gf1j
@user-bc5lw3gf1j 3 жыл бұрын
저도 몇년전에 본 거였는데 13년도꺼군요~
@user-tk8cq2jb4x
@user-tk8cq2jb4x 3 жыл бұрын
오 다 보고 나니까 역시 생각이 달라지네......
@user-vh1ho6tk8d
@user-vh1ho6tk8d 3 жыл бұрын
개성을 버리고 건설하기 효율적으로 설계된 아파트. 알면서도 아파트를 선택하고 그 와중에서도 나를위한 집을 꾸며보고자 부단히 생각해보지만, 내 집이 아니거나 아닐예정인 경우 그러기가 힘듭니다.보편을 추구해야 가치가 보존되니까요.부동산을 빌린경우나 팔기위해 사는 등 주거의 가치보다 투자의 가치가 더 큰 아파트 특수성 때문에 내 집을 내 집 같이 바꾸고 꾸미고 사용하기 힘든 환경이 되어버린 것도 큰 이유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user-gj3ry5br6b
@user-gj3ry5br6b 3 жыл бұрын
호박색 꽃무늬 벽지를 가려주셔서 감사합니다
@ttk7314
@ttk7314 3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구독하고 단독주택 본지 1년 다되어가는데 아직도 돈 잃는게 무서워서 아파트를 못 벗어나고 있음 부동산 몇억 없어도 직장있고 집있으면 굶어죽을일 없다는 마음으로 크게 한번 질러보고 싶다
@user-td5bt1gh4p
@user-td5bt1gh4p 3 жыл бұрын
응 넌 절대 못질러 이시대에 뭔 굶어 뒤질걱정하는거보면 답없음 그냥 닭장에서 살아
@Sunny35676
@Sunny35676 3 жыл бұрын
성우 누군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요 궁금하네요
@user-bv6do5bh7o
@user-bv6do5bh7o 3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집 복도가 긴 구조에서 살아서그런지 프라이버시도 잘 보호되고 집도 더 넓어 보이는 효과가있는거같음 자취방 이사다닐때도 이구조만 보러다님
@djkim1019
@djkim1019 3 жыл бұрын
하루에도 여러번 들락거려야 하는 빈도를 생각할때 새로 설치된 가구의 마감이 너무 뾰족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럼에도 매우 재미있는 공간이 된것 같습니다.
@ohshitmotherfooker
@ohshitmotherfooker 10 ай бұрын
많은 분들이 이 영상을 봤으면 좋겠네요. 집에 대한 생각을 확 바꿔준다.
@user-zz4vy9wk9c
@user-zz4vy9wk9c 3 жыл бұрын
좁은 땅에 인구는 많고 다들 도시로 몰리니까 흉물스러워도 벌집 아파트 들어가야지 어쩔 수 없어요. 비행기 안에서 내려다 보면 정말 끔찍해요. 솔직히 인간답게 살려면 아파트는 아니죠. 윗집 변기 물 내리는 소리에 아이들은 쿵쾅거리고 걷지도 못하고 악기 연주도 맘대로 못하고 노래도 큰소리로 못 부르는곳은 진정한 집은 아니에요. 그냥 편리함을 위해 돈을 벌기위해 많은것을 희생하고 살아가는거에요. 그러함에 만족해버리고 익숙해져버린 우리들은 노예들이 된거에요.
@mavelyaromi
@mavelyaromi 3 жыл бұрын
외국엔 가난할수록 아파트에살고 부자일수록 주택에 산다는데 우리나라는 인구밀도도 높고 그게 안됨..작은땅에 몰려서 쌓고쌓아 올린 허공에서 살아야해서 슬퍼요..ㅠㅠ
@manrico736
@manrico736 3 жыл бұрын
개인돈으로 개인집 잘 지어서 살면 됩니다.. 왜 남탓을 하나? 웃긴다.
@audwls43
@audwls43 3 жыл бұрын
8:18 아빠 대박이시네..
@gene8734
@gene8734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아빠 개웃기심
@user-gv9zz3zl9i
@user-gv9zz3zl9i 3 жыл бұрын
열시간을 넘게 저러고 계신다고요?ㅋㅋㅋㅋㅋㅋㅋㅋ
@user-ql4wq9sm3z
@user-ql4wq9sm3z 3 жыл бұрын
보통 쉬는날에 저럴수도 있지않나
@today90
@today90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댓글이 더웃김요
@user-ve9jx7hj9s
@user-ve9jx7hj9s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거 보고 우리 아빠에 대한 리스펙이 느껴짐ㅋㅋㅋ절대 주말에 안누워있고 항상 뭘 하는데
@yumiheo5865
@yumiheo5865 3 жыл бұрын
정형석님 목소리 너무좋아요
@mindcody
@mindcody 3 жыл бұрын
넓은집을 좁아보이게 하는..기적..^^..아파트의 문제점은 내부공간자체보다...교감할수 있는 외부공간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해요...마당의 나무와..자연과..이웃을 볼수 없은거죠..그러니. 티비만 볼밖에요..
@Dhtkdfla
@Dhtkdfla 3 жыл бұрын
난 주택 살아서 마당있는데
@SilverStarRoh
@SilverStarRoh 3 жыл бұрын
볼 수 밖에요
@sucker6533
@sucker6533 3 жыл бұрын
님 생각이 아니잖아요 교수님 생각이지
@fabjin
@fabjin 2 жыл бұрын
으… 시도는 좋았으나 건축가의 결과물이 너무 처참하네요 ㅠㅠ
@user-gy7cc7bz4b
@user-gy7cc7bz4b 3 жыл бұрын
두 딸이 같은방 쓰던 집이 제일 좋아할듯 ㅎㅎ
@aisooul
@aisooul 3 жыл бұрын
전용 84의 아파트에선 두명이상 낳기 힘든게 현실이니, 애도 기껏해야 세명이 최대인것같네요. 단독주택 혹은 더 큰 사이즈의 아파트가 보편적으로 공급된다면 출산율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dimdim1739
@dimdim1739 3 жыл бұрын
여자 애 방 2개로 나눈거는.... 안에 있는 애는 솔직히 밤에 화장실 가고 싶으면 침대 올리고... 문열고...또 문열고....방문 열고.... 화장실 갔다가 역순으로 반복 해야함... ㅋㅋ
@csk2616
@csk2616 3 жыл бұрын
아 침대는 안 올려도 되는거 같아요. 중간 연결통로 문 위쪽 반쪽만 열리게 해 놓으셨네요. 영상 보시면 침대 펼친 상태에서 옆으로 타넘고 다니네용. 근데 저도 저거 너무 빡빡한건 동의해요. 매번 이불 덮을거 어디 넣어놨따가 꺼내야 됨 ㅋㅋ큐ㅠㅠㅠㅠ
@daytrading4571
@daytrading4571 2 жыл бұрын
그냥 내가 보기엔 영화 빠삐용에 나오는 독방같음 ㅋㅋ
@wk2415
@wk2415 2 жыл бұрын
2013년이면 근 10년전 방송이네. 여전히 저 형태의 아파트가 많지만, 십년새 아파트가 많이 지어지면서 프라이빗한 형태가 일반화됐고 구조도 시공사마다 차이가 생김. 거실베란다는 사실상 확장형이 일반화되면서 거실공간으로 흡수가 됐는데도 거실의 크기는 상당히 작아지고, 집안 내부에 복도공간이 있는 형태가 대부분.
@user-ki4nn3zq6o
@user-ki4nn3zq6o 3 жыл бұрын
나만 내용이 좀 어거지스럽나... 아니 모든 집은 다그 형태가 정해져있음 그걸 살면서 트랜스폼한다는건 말도 안되는거고, 중간에 외국인 또는 한옥에 사는 부부랑 비교하는데 다들 자기가 그동안 살아온 집은 기준ㅇ,로 생각했구만 무슨 아파트 사는 사람만 고정관념에 사로잡힌듯 말하는게 답정너인 다큐같음
@woong.C
@woong.C 3 жыл бұрын
그려 아파트 열심히살어 ㅋㅋ
@user-ki4nn3zq6o
@user-ki4nn3zq6o 3 жыл бұрын
@@woong.C 아파트든 주택이든 내집 내가 알아서 살께
@jw8067
@jw8067 3 жыл бұрын
과거 아파트를 통해 주거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했던 의도는 좋으나, 그 효율성은 우리를 다양성과 적합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하기도 합니다. 위의 가족들처럼 좁은 안방에서 고기 구워먹으며 티비시청을 하게 되는 모습처럼요. 이것이 이 다큐의 문제의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의 잘잘못을 따지기 보다는 공간에 대한 시각의 전환과 자유롭고 이로운 공간을 만들기 위한 주체적인 시각을 배양하게 하려는 목적성으로 저는 해석했습니다. 물론 잘 살고 계시는 분들도 있고, 그들이 비판받을 이유는 없습니다.
@user-ki4nn3zq6o
@user-ki4nn3zq6o 3 жыл бұрын
@@jw8067 잘잘못이 아니고요~누구나 본인이 사는 공간이 스텐다드가 된다는겁니다. 그 틀을 기준으로 생활공간을 인식하구요. 그게 단연 아파트사는 사람만 틀에 갇힌게 아니라는거구요. 모두가 다 자기가 살고 있는 집이 기준이고 그 틀을 벗어나는 생각은 잘 못합니다. 근데 마치 아파트만!그렇다는 식의 시선은 처음부터 결론을 지어놓고 만든거지 도출된 결론 방향이 아니란거죠
@mjkim7256
@mjkim7256 3 жыл бұрын
@@user-ki4nn3zq6o 그러게요.. 제가 보기에도 좀 억지스러운 면이 있어보이네요.
@raphykim1322
@raphykim1322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를 벗어나는 것 자체가 대한민국의 사람들에게는 꽤나 큰 도전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가끔, 아파트를 벗어난 이들을 마치 멍청하다고 비아냥 거리는 이들이 많더군요. 기존의 틀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는 사람을 보고 비아냥을 하는 사람... 그렇네요. 훗날 문훈 소장님께 의뢰를 하고 싶은 그런 한 사람입니다.
@jbsang6628
@jbsang6628 3 жыл бұрын
비아냥 거리는 사람이 많을수밖에요. 대부분 거주자들이 아파트 거주자인데..아파트선호가 떨어지먄 자기 아파트가격이 떨어지는데 .. 주택에 좋은말 할수없죠
@user-fx2tj3rp9i
@user-fx2tj3rp9i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떠나온지 8년..마당과 텃밭 있는곳으로 오니 너무 좋아요.
@user-ri3sz6ch9d
@user-ri3sz6ch9d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무시해도 될거 같은데요. 저런 공간 만든다는 자체가 .....건축가의 오만함을 나타내는겁니다. 저분 예전 작품 보면 그게 더 심했죠. 요즘은 겸손해지셨지만 ㅎㅎ
@userghai123
@userghai123 3 жыл бұрын
아휴 니네가 거지라서 그렇지;;; 서울 단주에 살아 그면 100평 건폐율 50%에 그건 뭐다? 땅값만 20억 이상이라는거다ㅋㅋㅋㅋㅋ
@daytrading4571
@daytrading4571 2 жыл бұрын
@@user-fx2tj3rp9i 벌레 많을듯
@user-ws4wk2ze1e
@user-ws4wk2ze1e 3 жыл бұрын
짐을 줄여야 살죠.. 오매..
@user-zi9qv3wx9p
@user-zi9qv3wx9p 3 жыл бұрын
큰방은 상관 없겠지만, 작은 방들은 공간확보가 중요하니 여닫이 보다는 미닫이로 함이 좋습니다. 작은방에 여닫이면 방이 더 좁아 보이고 활용되는 공간도 역시 줄어듭니다. 여닫는 공간이 항상 필요하니까.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3 жыл бұрын
11:30 티비 없는 거실 만들어놓고 방구석에서 티비켜놓고 밥먹음 ㅋㅋㅋ 거실에 티비 놓으라구요 ㅋㅋㅋㅋㅋ
@user-ry5xb1hn2c
@user-ry5xb1hn2c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볼수록 웃기네 ㅋㅋㅋㅋㅋ
@user-ow7ud2ig8y
@user-ow7ud2ig8y 3 жыл бұрын
이집 100퍼 문재인 민주당 자지자임
@user-ux7gz5pk6h
@user-ux7gz5pk6h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저게 뭐하는 짓인짘ㅋㅋㅋㅋㅋ
@maximevgeniiii
@maximevgeniiii 3 жыл бұрын
밥먹는 장면 진짜 볼품없네 ㅋㅋ
@user-nx3of1fd3q
@user-nx3of1fd3q 3 жыл бұрын
@@user-zb5jo3ls2l 너도 대깨문 자식이라는거 왜 부정함??
@piyopiyong
@piyopiyong 3 жыл бұрын
해외의 공간의 개념을 어설프게 따라해서 장소만 더럽게 차지하는 가구를 거실에 박아넣고 기능성을 되찾니 운운.
@Kimtiger0
@Kimtiger0 3 жыл бұрын
일단 가져나보고 구조와 삶의 질을 고민하고싶다....ㅜㅡ.....
@han-sy
@han-sy 3 жыл бұрын
썸네일 구조가 울집이랑 똑 같음 ㅋㅋㅋ
@user-yk8dn3gb8b
@user-yk8dn3gb8b 3 жыл бұрын
각자 살고싶은 공간에서 살면 되는겁니다. 더구나 아파트는 자산의 성격이 강합니다. 대안주택은 자산가치가 떨어지구요. 특히나 대단지 아파트의경우 상권과 더불어 교육, 문화생활공간이 가까우며, 그럴수 밖에 없는 것이 수천세대의 인구가 한곳에 밀집되게 되니까요. 2~3억짜리 주택이 5억 6억이 되고, 대안주택은 감가상각만이 이루어진다면 2세대 3세대가 지나고 주택을 옮겨갈수록 부의 차이는 더 커지겠지요. 아파트 탈피요? 아파트가 아닌 주택이 자산이 된다면 저절로 이루어 질겁니다. 그게 안되면 소수의 꿈일뿐이죠.
@user-gu6lz7kl5c
@user-gu6lz7kl5c 3 жыл бұрын
아니 한국에서 아파트 말고 현실적인 대규모 사람을 수용가능 한 거주 형태가 있을까요
@yhsong632
@yhsong632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이웃끼리 방문도 하고 좋아보이네요. 지금은 거의 불가능한 시대...ㅠㅠ
@kickoff0123
@kickoff0123 3 жыл бұрын
이웃끼리 교류 없는게 편해요
@lonelynight816
@lonelynight816 2 жыл бұрын
성우분 목소리 너무 좋음
@kyungheuilee6859
@kyungheuilee6859 3 жыл бұрын
나는 아파트가 좋다 떠나고 싶지 않다. 예전에 단독에 살았는데...나는 아파트가 살기 편하더라
@Dreamian
@Dreamian 3 жыл бұрын
ㅇㅈ 나도 유엔빌리지 살때 단독주택으였는데 집은 큰데 다 불편했음 아파트가 다 일 처리 해주고
@user-qr9oy4qv7t
@user-qr9oy4qv7t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좋긴하죠 층간소음때매 맘것 집안에서 뛰지 못한다는게 불편할뿐...예전에 단독주택에서 살땐 저희애들 맘것 뛰어놀았죠..주택의 단점은 춥다는거ㅠㅠ
@daytrading4571
@daytrading4571 2 жыл бұрын
단독주택 벌레 많아서 . ,
@user-ml6vx5vw2w
@user-ml6vx5vw2w 3 жыл бұрын
거실에 저런공간 만들려면 가격이얼마나 들까여?
@user-fx2tj3rp9i
@user-fx2tj3rp9i 3 жыл бұрын
지하철 역세권 아파트는 계속 높이만 올라가고 다닥다닥 붙어서 답답하게 보임..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3 жыл бұрын
문인좌파정권박복주택 지어지고 나면 구경가보세요 ㅋ 광명에 있는 따닥따닥닭장아파트는 천국같이 느껴질테니
@woojinson5313
@woojinson5313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거실 부엌 놔두고 방에 모여 밥먹는거 귀엽네요 ㅋㅋㅋㅋㅋㅋㅋ
@user-yi7ec6vp4c
@user-yi7ec6vp4c 3 жыл бұрын
언제 방송한건지좀 써줘요
@pvvvp80
@pvvvp80 3 жыл бұрын
그다지 획기적인 것 같지는 않고...실거주자분들의 1년 사용기, 3년 사용기, 이사갈 때 어떻게 하셨는지 답변도 듣고 싶네요. 처음엔 좋아보이지만 실제로 살아보면 불만,불편 속출할만한 부분이 많아 보여요.
@kristinesharp6286
@kristinesharp6286 3 жыл бұрын
I enjoyed the program but I think the solutions are more problems. It’s will be irritating watching tv sideways and that bedroom with constantly making the beds a pain. If they just got rid of stuff and bought furniture to fit the space it would have been easier. But I did find the process interesting.
@LEEkyouho
@LEEkyouho 3 жыл бұрын
건축가님 엄청 젊어보이네요 언제 제작된 영상인지 짐작이 가능하게 해주는.....
@youngkook6201
@youngkook6201 3 жыл бұрын
개조를 한 것을 보고는 원가 황당하다는 느낌만 가득했음. ㅠㅠ . 똑같이 정해진 공간의 아파트에선 차라리 뭔가를 비워 내는 작업이 오히려 좋지 않을까 ??
@journeyoflife1724
@journeyoflife1724 3 жыл бұрын
101호 가족에 딸들방이 좀 아쉽네요.. 저라면 큰방을 딸들한테 주고 딸들방을 부부방으로 사용할것 같아요. 학생들은 방안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많은데 방이 작으면 너무 답답할것 같아요.
@user-gy7cc7bz4b
@user-gy7cc7bz4b 3 жыл бұрын
안방에 화장실이 딸려있어서 그런듯
@kyeonghyeonnam8855
@kyeonghyeonnam8855 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학원보내고 독서실가면 집에서는 잠만잠...
@user-ib7nn8ky7h
@user-ib7nn8ky7h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자산입니다. 재테크 수단 년단위로 억씩 버는데 빌라나 주택 사는거 나쁘진 않지만 10년이 지나면 자산의 차이가 엄청 커짐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3 жыл бұрын
재산을 금융자산으로 불릴생각을하면됩니다.
@yoru3728
@yoru3728 3 жыл бұрын
나레이션 뭔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목소리ㅎㅎ
@flowerflower8413
@flowerflower8413 3 жыл бұрын
나는 자연인이다 성우님ㅎㅎ
@user-vs7zw3wu6y
@user-vs7zw3wu6y 2 жыл бұрын
공간박스 옮길때 층간소음 장난 아니겠다..
@user-dm3oc6eh9x
@user-dm3oc6eh9x 3 жыл бұрын
외풍 얘기도 있었고 생각한거랑은 다르다는 본인들 의견도 있었지만 딱히 반영되지 않은 것 같은... 결과물...
@pamongbae8943
@pamongbae8943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땅덩어리에 인구 생각하면 무조건 아파트가 맞다. 좀더 높게 좀더 크게 좀더 효율적으로 지어서 사는게 답이다.
@kys9906
@kys9906 3 жыл бұрын
옛날꺼 또 보여주기보다는... as 차원으로... 저 집들이 지금은 어떻게 살고 있나... 저 가구들을 잘 활용하고 있나를 추적해보는 프로그램을 촬영을 해보심이
@user-jh9hl2pm3j
@user-jh9hl2pm3j 3 жыл бұрын
집값이 3배가 되었다고한다 ....
@user-ut8pg4ly9t
@user-ut8pg4ly9t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에 삶을 맞추면서 만족하며 사는데 성인이 될때까지 전원주택에 살았건 나는 아파트에 가고 싶지 않음. 집 지을때 부터 가족 구성원에 맞추고, 짓고나서도 가족에 맞춰짐.
@user-qj6gi9fp2f
@user-qj6gi9fp2f 3 жыл бұрын
요즘 신규아파트 84타입 방4개도 나옵니다~^^
@user-jk5sf1bz1g
@user-jk5sf1bz1g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장점 - 음식물쓰레기등 각종 쓰레기 버리기 좋음 , 벌레없음, 냉난방효율좋음 준신축정도면 안에 헬스장 어린이집 놀이터 다 있음, 보안좋은 cctv에 택배나 배달 문앞에 배송가능, 공시지가나 시세파악쉬움(거래잘됨) 단점 - 층간소음, 마당없음, 관리비비쌈
@Foever__young
@Foever__young 3 жыл бұрын
넓은 마당있는 단독주택 살때로 돌아가고싶다
@qoghlgksmsrha
@qoghlgksmsrha 3 жыл бұрын
자기에게 맞는 개성을 가지면 안된다고 생각하고 거래가 안된다고 생각하니 어쩔수 없음. 투자대상이라서 스탠다드를 원하는거라.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3 жыл бұрын
삐딱선타고 보면 그렇게 생각하기도 하는데 집집마다 개성이 있다는건 어디에 하자가 있는지 어딜 병신같이 만들었는지 알 수가 없다는거임 ㅋ 주택,빌라매매는 그런 하자까지 감안하고 거래를 해야하니까 값을 못 쳐주는거고 아파트는 균일한 품질을 보증하지
@messi3509
@messi3509 3 жыл бұрын
도시가스만 들어오면 단독주택살고싶네... 아파트 좋은것 한개도 없다...특히 층간소음.. 미치겠네
@user-jo8no6tu8o
@user-jo8no6tu8o 3 жыл бұрын
형은 아파트에 살 일 없잖아!
@LEEkyouho
@LEEkyouho 3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선 도시가스 들어오는 단독주택이 거주형태중에 제일비싸죠 ㅎ
@user-fx2tj3rp9i
@user-fx2tj3rp9i 3 жыл бұрын
도시가스 들어오는 단독주택 많아요..
@user-ur1pt8xr9n
@user-ur1pt8xr9n 3 жыл бұрын
단독주택 도시가스 대부분 들어올텐데요 도시가스문제가 아니라 아파트는 시공사가 1.2등급이면 단독주택시공은 영세업자가 기술력도약하고 감리없이 짓고 하자보수도 없어요. 단독주택은 시세상승약하고 대출액도 거의안나오는점도 있답디다. 장점도 있는데 요즘 자산구조에선 최약체
@user-pu9ib6xq6p
@user-pu9ib6xq6p 3 жыл бұрын
층간소음 진짜ㅜ
@user-kh9hy1xx9m
@user-kh9hy1xx9m 3 жыл бұрын
남편 직업상 떨어져 있을때가 많고 아이들 어릴때 층간소음 걱정 안하고 살려고 주택을 구매해 산적이 있었는데 크게 놀랄일이 있고나선 바로 아파트로 이사를 하게됐고 주택과 달리 문만 잠금 그래도 안전하니까 그후부턴 아파트를 선호하게 되더라구요
@user-om3gt2oi7v
@user-om3gt2oi7v Жыл бұрын
놀랄 일이요?
@nxyl2015
@nxyl2015 3 жыл бұрын
주차장, 분리수거, 주변청소은 어떻게 해결합니까 ?? 그래서 아파트지요 ㅋ 편하닌깐
@jungec7lucky
@jungec7lucky 3 жыл бұрын
애들이 어릴 때는 거실이 넓은 게 좋았는데, 애들이 자라면서 거실은 작아도 방이 넓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각자 방에 책상과 침대가 들어가다 보니 방들이 너무 좁게 느껴지더군요 거실 벽을 이동 조절할 수 있으면 참 좋겠지만 안전상 어떻게 될지? 이런면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한 듯.
@user-mi9jg7js5b
@user-mi9jg7js5b 3 жыл бұрын
거실에 침대와 책상놓고 방에 소파와 티비를 놓아보세요. 거실은 가벽이나 커튼, 가구를 활용해 가리면 돼요.
@eg2699
@eg2699 3 жыл бұрын
프로젝트 재미있네
@OctPSfever
@OctPSfever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 대단 층층 겹겹에 엘리베이트로 공간 이동
@user-tg7jz6nl6g
@user-tg7jz6nl6g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살기는 최고로 편합니다. 그건 누구도 부정할수없는 현실입니다.
@mavelyaromi
@mavelyaromi 3 жыл бұрын
전 서울에 단독주택살다가 아파트사니까 너무 불편해요ㅠㅠ평생을 위아래로 층간소음 생각해본적없고, 관리비 삥땅치는거 아닌가 걱정해본적도 없는데...이러면 아래서 올라오겠지? 이거하면 윗집옆집에 소리들리지 않을까? 항상 생각하고사는게 익숙하지 않아서 너무 스트레스받아요 흑흐규ㅠㅠ빨래도 야외에 널데가없어서 힘들구 뭐하나 사러갈때도 주택살땐 코앞에 시장이나 슈퍼나 상업시설이 많았는데, 지금은 아파트 단지 내에서 밖까지 나오는게 너무 멀어서 힘드네요..익숙하지 않아서 일까요..애들 뛰지말라고 잔소리해야 되는것도 미안하고..눈치보는데에 익숙해져야겠죠..
@MINSEUNGKONG
@MINSEUNGKONG 3 жыл бұрын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현실?? 저 아파트 살다가 단독주택 이사한 사람으로써 아파트 다시 돌아가기 싫습니다. 쓰레기 버리러 1층 내려가는 것도 일, 늦은시간 퇴근 후 주차공간을 하이에나 찾아 다니는일, 층간소음 때문에 밑에집이랑 싸운 일, 동대표하면서 각종 관리비 비리 등등 생각하면 아파트는 끔찍했습니다.
@dorothy9754
@dorothy9754 3 жыл бұрын
옛날집 후진 주택 다세대 사시던 할머니 할아버지 세대들이 꼭 이소리 하더라 요즘 주택 잘 나온집은 비교불가로 더 좋아요 아파트 불편한점 주택이상임
@daytrading4571
@daytrading4571 2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관리가 편해도 좋치 ㅋㅋㅋ다세대주택 불편해 ㅋ
@bryanoh2695
@bryanoh2695 3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아파트 중독이 아니고 남이 하니까 나도 해야 된다는 생각떄문임. 그러다 보니까 중독 된거임. 전원 주택도 내부는 아파트 같이 지음. 그러니 재미 없고 다 하꼬방 같음 ㅎㅎ 같은 건물에 아파트를 똑같이 안지으면 또 계급생김. 같은 디자인집에 사는 사람들끼리 모임. 다른 디자인집하고 나뉘어 싸움. ㅋㅋㅋ
@Chrysanthemummum
@Chrysanthemummum 3 жыл бұрын
29:12 ㅋㅋㅋ
@user-yy5iq9rn7u
@user-yy5iq9rn7u 3 жыл бұрын
0:50 보증금이 7만8천원인데 월세가 6천5백만원이요? ㄷㄷ
@hks4843
@hks4843 3 жыл бұрын
유명하신 건축가분인거 알겠는데 저건 아닌거같음 ㅋㅋ 역시 짜여진 틀안에서 창의적으로 리폼하는건 한계가 너무 명확하고 뭔가 바꿔야한다는 강박에 비효율적이어짐 저런시도는 최소 신축 6-7m 광폭거실은 되야하는듯
@misoukgi
@misoukgi 3 жыл бұрын
8년전이라는걸 아셔야할듯요
@serinyun7972
@serinyun7972 3 жыл бұрын
난 tv를 잘 안봐서 그런지 거실만 넓은 것보다는 방이 하나 더 있는게 좋음 지금은 어머니가 tv소리 안나면 불안하다고 강제로 키고 있기때문에 어쩔 수 없지만..
@Macadamia7993
@Macadamia7993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천장도 왜케낮을까요. 천장높은집이 넓은집보다 안답답한걸
@user-pf4lg3yq3v
@user-pf4lg3yq3v 3 жыл бұрын
공사비..10cm높아져두 아파트 높이가 달라짐 건축비두 상승 2미터30으로 정한것임
@user-ns4os1pq4z
@user-ns4os1pq4z 3 жыл бұрын
요즘 신축 아파트는 층고 높음
@user-xo9hh9xk2t
@user-xo9hh9xk2t 3 жыл бұрын
문훈님 왤케 젊나요 ㅋㅋㅋㅋㅋㅋ 언제적 영상인가요
@user-ys4te7km6k
@user-ys4te7km6k 3 жыл бұрын
딸들이 안쓰럽스... 예쁘게 옷장도 있고 공간이 더 필요하지 싶은데 나라면 차라리 안방을 딸들주고, 부부가 딸방에 갈듯 😂😂
@user-ql4wq9sm3z
@user-ql4wq9sm3z 3 жыл бұрын
ㅡㅡ? 그건아니에요 딸이 상전도 아니고
@user-ys4te7km6k
@user-ys4te7km6k 3 жыл бұрын
@@user-ql4wq9sm3z 딸이 상전이라서가 아니라 아들둘에 딸 하나 반대 입장이라도 그랬을꺼에요 안방이라는 표현에 딸들을 모신다는 느낌으로 이해하셨으면 그런의미는 아니구 둘 사는방을 큰방으로 준다는 의미입니다. 아무래도 부부는 침대를 공유하고 생활을 공유하니까요!
@aisooul
@aisooul 3 жыл бұрын
나름 괜찮은 아이디어네요. 근데 차라리 거실을 작게하고 안방크기만큼 투룸, 쓰리룸을 뽑는게 더 나을지도 모르죠.
@black_kuromi
@black_kuromi 3 жыл бұрын
부부가 특권을 포기하기 싫어서 절대 그렇게 안해주더라구요.
@user-rs6sq1ic9p
@user-rs6sq1ic9p 3 жыл бұрын
네 저두 어릴적 부모님이 저와 여동생에게 안방을 내어주셨어요. ^^ 지금생각해보면 참 감사하네요..ㅎㅎ
@mk5561
@mk5561 3 жыл бұрын
3:46 똑같지 않은 아파트에 살려면 돈이 더 듬. 항상 이상주의는 현실(돈)에서 좌절합니다
@user-iq8up6cf4w
@user-iq8up6cf4w 3 жыл бұрын
TV 없앤다고 달라지지는 않아요! 우리도 10년정도 없이 생활해봤는데 따로국밥이던데요~~~
@705aero7
@705aero7 3 жыл бұрын
아.... 아파트라는 공간이 이랬었군요...하...
@yeojinha930
@yeojinha930 3 жыл бұрын
85m^2같은 경우 평수가 작아서 세금혜택이 있죵
@pupujordy7596
@pupujordy7596 3 жыл бұрын
8:18 정말 집에 있는 아빠자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e9jx7hj9s
@user-ve9jx7hj9s 3 жыл бұрын
내가 아는 아빠들은 절대 안저럼
@Jade-hw2yt
@Jade-hw2yt 3 жыл бұрын
으아 저게 뭐예요.. 답답하게 저게 해답이라니..
@raflasia5037
@raflasia5037 2 жыл бұрын
와 집 넓다.우리집은 전용38m제곱미터인데 85제곱미터면 운동장이네요.
@Sunny_is_mine
@Sunny_is_mine 3 жыл бұрын
걍 사람수에 맞게 평수 맞추면 되지 않을까..?
@wla7725
@wla7725 3 жыл бұрын
19:45 ?ㅋㅋㅋㅋㅋㅋㅋ
@stripeshirt
@stripeshirt 3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로 201호 리조트 박스 공간 맘에듦ㅋㅋㅋ
@user-kk9ll1jx2t
@user-kk9ll1jx2t 3 жыл бұрын
EBS 다큐는 항상 새롭고 재미있네
@user-np9rz4uf8y
@user-np9rz4uf8y 2 жыл бұрын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정부와 은행,건설사가 아파트 건축을 부축인다는것이지. 아파트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아파트라는 획일화 된 공간만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좁은 선택지와 그곳에 이미 길들여진 많은 사람들. 과거 급성장 시대에는 어쩔수 없다 하지만 이제는 변화할때가 아닌가..
@ddp9012
@ddp9012 3 жыл бұрын
집이라는 개념보다 화폐개념이라서 아파트를 못 떠나는거죠 그러면서 아파트의 장점만 강조하며 합리화 하죠
@user-po7tl8yk6d
@user-po7tl8yk6d 3 жыл бұрын
은행 금리 제로시대에 부동산과 주식이 유일한 투자처인데...한 아파트에 계속 평생 거주한다면 모를까..저렇게 만들면 사고 팔때 문제가 있으니까 전혀 현실적이지 않은 이야기 입니다
@user-ng2yg4fh7u
@user-ng2yg4fh7u 3 жыл бұрын
으악 안방에 tv있어서 거기에서 밥을..침구에 음식 냄새 밸 듯
@Elecwony
@Elecwony 3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의 티비사랑
@user-ii2kq5fh7v
@user-ii2kq5fh7v 3 жыл бұрын
안전이 곧 편리. 넓고 층고가 높은 집만 내가 살 능력이 있으면 아파트가 최고죠.
@user-wh6cn2fx4s
@user-wh6cn2fx4s 3 жыл бұрын
거실로 가족들을 모은 카페형도 좋구~ 두 딸의 방을 마치 기숙사처럼 공간분리 해준것도 매우 좋은 아이디어라 좋은걸요~^^👏🏼👏🏼👏🏼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ФИНАЛЬНАЯ ГОНКА! BMW M5 против CLS
47:36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유튜브로 시작한 설계 공부! 10번 이사 끝에 얻은 마당 있는 집
27:04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재미있게 살고 싶어서 방을 없앴다! 아파트 떠나 지은 ‘재미있는 집’
15:18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건축가도 당황하게 만든 집! 눈에 띄지 않고 싶었던 가족의 ‘내향적인 집’
18:19
아직도 쌓아두고 사십니까? / KBS뉴스(News)
13:17
KBS News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오늘의 행복을 유보하고 싶지 않아서, 한국 생활 26년차 독일 남자가 지은 집
17:00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