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그 20년의 여정(프리젠터 배우 강신일)

  Рет қаралды 60,813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5 жыл бұрын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지난 20년간의 작업 끝에 수리를 마친 모습과 조사연구 성과를 공개했습니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은 1998년 전라북도에서 구조안전진단을 한 결과 콘크리트가 노후화되고,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판단에 따라 1999년 문화재위원회에서 해체·수리하기로 결정된 바 있습니다.
미륵사지 석탑은 추정 복원을 지양하여 지난해 12월 원래 남아있었던 6층까지 수리를 완료하였으며,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는 단일 문화재로는 최장기간 동안 체계적인 수리를 진행한 사례입니다.
특히, 국제적 기준에 따라 학술조사와 해체·수리 과정을 충실히 이행하였다는 점에서 석조문화재 수리의 선도적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래의 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하여 문화재의 진정성을 확보하고 과학적 연구를 통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습니다.
1,400년의 세월을 딛고 복원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통해 화려했던 백제를 느낄 수 있기를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72
@user-tg3jg5ep4g
@user-tg3jg5ep4g 5 жыл бұрын
문화재 복원의 의의는 그 모습을 원형 그대로 복원하는 것에 있기에 앞으로도 미륵사지석탑과 같이 정확한 학술 조사 등을 통해 전통기법으로 문화재를 복원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tv-fz9pq
@tv-fz9pq 3 жыл бұрын
며칠 전 보고 왔습니다. 백제 유물은 왠지 슬프다고 하던데 미륵사지 석탑은 정말 웅대하고 멋진 백제를 느끼게 해 주었습니다
@user-bq9tx8co2v
@user-bq9tx8co2v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제일 일 잘하는 공기관은 문화재청인것 같습니다 조심스럽고 정직한 모습들에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늘 응원하고 있습니다 길지 않은 문화재 정립시간들임에도 불구하고 그 분야의 모든 분들이 애써주신 덕분에 우리 역사가 더 빛을 더해 간다는 것, 우리들과 후손들에게 전해줄 역사를 지금 이 시간에도 기록해 주시느라 애 많이 쓰신다는것 다 압니다! 모두 힘 내십시요!!
@Judsking3922
@Judsking3922 2 ай бұрын
그곳에도 도둑놈들과 비리가 무지하게 많습니다.
@user-ck9dh7gu1e
@user-ck9dh7gu1e 3 жыл бұрын
내 어린시절 무심코 봤던 미륵사지.항상 봐왔기에 무덤덤하게 봤는데.내가지나쳤던 한자리 한자리가 그렇게 역사적으로 뜻이있는곳이었다니 세롭게 느껴지내요. 왕궁터도 세롭게 자리매김 해야겠습니다.왕궁이란 동네도 너무 홍보가 안돼있고요 대한민국에 어디 면소재지 이름이 왕궁이란 이름이 있던가요?지금도 왕궁면은 천년전부터 면소재지 입니다.익산시 왕궁면..
@but2000
@but2000 Жыл бұрын
어제 익산 미륵사지 다녀왔어요. 정말 인상적이더군요. 푸르른 들판에 서있는 석탑이 자연과 어우러져 넘 아름다웠고 곳곳에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의자와 테이블이 많은 것도 좋았어요. 박물관은 깨끗했고 유물들도 국보급이 많아 간만에 좋은 관람했습니다.
@junhyuk9000
@junhyuk9000 4 жыл бұрын
한국의 피사의사탑이네요 ㅎㅎ 지나친 추정복원으로인한 훼손보다 무한한 영감을 줘서 이게 더 좋은거 같습니다
@virtualinsanity8730
@virtualinsanity8730 5 жыл бұрын
최대한 원형을유지한 복원 과정과 구부재가 80프로이상이라는점이 너무 멋집니다
@yangy9189
@yangy9189 3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계획이며,복원작업 이였던것 같습니다. 관계자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
@user-vl7zt3rv5y
@user-vl7zt3rv5y Жыл бұрын
어릴때 해체전의 모습을 봤던게 생생한데 그새 20년이 넘게 흘러서 멋지게 복원되었네요. 세월이란..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Жыл бұрын
우와~ 해체 전의 모습을 직접 보셨군요! 그때와의 느낌이 많이 다른가요~?!😲
@user-vl7zt3rv5y
@user-vl7zt3rv5y Жыл бұрын
@@koreanheritage 어릴때 였지만 그때도 흉물스럽다 느꼈어요 공구리 쳐놓은게 ㅋㅋ 복원은 탁월한 선택입니다
@TheRPMx
@TheRPMx 4 жыл бұрын
다른영상 댓글에서 왜 저렇게 복원했냐는 댓글들이 많았었는데 여기서 해설 히니주시니 이해가 갑니다. 시멘트 발라둔건 그당시 일본도 최신의 소재라고 했는데 그게 최선의 방법이었을까요? 그래도 쓰러지기 직전인 탑을 무너지지않게 해둿기에 오늘날 볼 수 있어서 다행 입니다
@user-vc6zc2gd4w
@user-vc6zc2gd4w 5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어요. ^^ 꼭 가보고싶네요.
@virtualinsanity8730
@virtualinsanity8730 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문화재복원의 역사를 다시쓸 익산미륵사지석탑 빨리 보고싶네요
@user-mx6px7fo4l
@user-mx6px7fo4l 4 жыл бұрын
명품배우 강신일
@user-ll7lv9od9j
@user-ll7lv9od9j 5 жыл бұрын
작년 여름에 보고 왔는데 정비가 끝났다니 얼른 가서 보고 싶네요.^^
@user-hi4fx4cs6q
@user-hi4fx4cs6q Жыл бұрын
경찰 전문배우님 반갑습니다^^ 문화유산을 소개해주시는것이 잘어울리시네요 목소리까지도 저 작업을 위해 얼마나 많은 분들이 고생하셨을지 짐작도할수없지만 정말로 애 많이 쓰셨습니다
@user-wx5id3zu8w
@user-wx5id3zu8w 5 жыл бұрын
저 사찰 그대로 복원을 하면 대박이겠다
@user-lg1fv2db9y
@user-lg1fv2db9y 4 жыл бұрын
백제 장인 아비지가 세우고 현재에 사라진, 미륵사지와 황룡사지를 복원하면 좋겠지만 현재는 불교국가도 아니고 기독교,천주교와 각종 사이비 종교가 판치는 세상이라 아마 불가능할 듯...
@user-pe6pf9to6i
@user-pe6pf9to6i 3 жыл бұрын
@@user-lg1fv2db9y 종교가 판치는 세상이라서 복원을 못하는건 아닙니다. 복원을 못하는 이유는 1. 역사학자들의 반대: 복원을 하는데 가장 힘이 필요한 역사학자들이 현재 삼국시대 건물에 대한 기록이 없어 재창조가 물다피하다는 점에서 반대한다. 2. 나무 부족. 조선시대의 건물들은 모두 금강송을 써왔는데 그렇기에 현재 복원 나무로 금강송을 안쓰면 부실 공사라는 편견이 팽배함. 3. 예산 부족. 미륵사는 동양 역사 중에서도 손꼽히는 목탑이 존재했던 절이기에 복원 비용이 많이 든다. 4. 심주석등 문화재 훼손이라는 종사자들의 반대: 기록이 부족하고 복원시에 천년이 넘은 터와 돌 위에 복원을 하게 되는데 그 복원이 훼손이라는 주장
@onestepahead2630
@onestepahead2630 5 жыл бұрын
헉!! 강신일님!! 익산에 언제 오셨던가요 ㅠㅠㅠㅠ 촬영오실 줄 알았으면 뵈러가는거였는데...
@user-po6fj4qz5q
@user-po6fj4qz5q 5 жыл бұрын
전북익산 미륵사지탑 부처님 진신사리 봉안된 호남 유일의 적멸보궁 당연히 미륵사지 사찰도 그자리에 원형 복원 지어지기를 간절히 기도 합니다
@baerinhee
@baerinhee 4 жыл бұрын
강신일 아저씨 해설 잘하네
@godiamond9619
@godiamond9619 Жыл бұрын
해설허시는 분 자주 뵈었음해여~♥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더 좋은 콘텐츠로 만나뵐 수 있으면 좋겠네요 :) 문화유산채널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알람설정까지!!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KBKim-jt6uj
@KBKim-jt6uj 5 жыл бұрын
우리 역사 통틀어 백제가 공예 기술 수준이 제일 높은듯. 저 금색 사리 디테일한거 봐라. 일본이 물건 잘만드는게 백제 영향을 받아서 그런가? 크흠..
@user-co2wn4xb3y
@user-co2wn4xb3y 5 жыл бұрын
미륵사지 석탑의 구조를 보고 대충이라며 한민족의 민족성이 원래 그렇다는 스스로의 민족을 비하하는 어리석은 글을보고 몇자끄적여봅니다. 불교가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국을거처 우리나라에 전래 됐듯이 탑의 형태도 그렇습니다. 인도에서는 흙을 이용한 봉분 형태 중국에서는 나무를 이용한 전각형태 그것이 한반도에서는 화강암을 이용한 석탑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그것은 각각 그런 자재들이 그곳에 풍부했기 때문입니다. 불교가 전래된후 삼국시대 한반도의 초기탑들은 중국의 전각 모양을 돌로 본떴기 때문에 단지 그런 구조가 생기는겁니다.(미륵사지석탑,분황사모전석탑등) 그러던것이 통일신라가 되어서 한민족 고유의 석탑형태(불국사3층석탑)를 갖추고 꽃을피우게 됩니다. 대충대충이라는 표현과 그게 민족성이라 그렇다는 비약은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그야말로 스스로를 모르는 멍청한 소리입니다. 일제가 한국식민지 지배를 정당화 하기위해 만들어낸 이론이 한민족 타율성론이니 당쟁이니,이씨조선(이조)이니 임나일본부니하는것들이 한민족 비하 이론입니다. 그러한 식민사관의 관점으로 한민족의 역사를 날조하기위해 조선사 35권을 이미 1938년에 지들 기준으로 편찬합니다. 그게 한국 역사 날조에 이용됩니다. 한국은 40년후인 1978년도나 되서야 한국사 25권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하게 되고 그때부터 식민사관을 극복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세우기위해부단히 노력하게 됩니다. 그래서 초기 근대 한국 역사학자들도 일본의 조선역사교육아래 성장하신분들이라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을수 없었던것이고 오늘날에 이르러서야 세대가 몇번바뀌면서 민족 정체성이 그나마 회복되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국민학교를 초등학로 바꾸고 너무늦어 구분기준도 애매하고 쉽지는 않겠지만 친일파를 숙청하자는등 오늘날에도 이런의견들을 제시되는게 그러한 맥락이라 보면 될겁니다. 당파싸움이나 하며 민족스스로 발전할수 없었다는 이론이 바로 일본제국주의의 한민족식민지배를 정당화한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당쟁이란 왕이 다스리던 봉건주의 사회에도 가신들이 참여하여 유교적 정치이념을 토대로 합리적인 토론과 이를 정치에 반영하던 보다 확대된 민주정치의 한형태로 보게되죠. 한민족은 작지만 강하고 대단한민족입니다. 동방예의지국,퇴계,이기일원론의 율곡,유교의 꽃을피운것도 화엄과 대중불교, 불교의 꽃을피운것도 중국민족이아니라 바로 한민족입니다. 세계최고의 과학적인 문자를 창제한것도 한민족입니다. 이렇게 스스로 자기민족을 비하하는 어리석은 의견들을 볼때마다 아직도 일본의 식민교육에서 완전히 벋어나지못했구나하는 개탄을 합니다
@saejongdaewang
@saejongdaewang 3 жыл бұрын
문화재를 망가트리는데는 한순간인데 복원에 들여가는 시간은 어마어마하구나...
@ofparasite
@ofparasite 5 жыл бұрын
강신일님 뭔가 발굴 복원 책임자 느낌.
@user-ev7ch6me5r
@user-ev7ch6me5r 5 жыл бұрын
익산사람인데요. 지금은 가지 마요 막상 가면 좀 휑합니다.
@user-py9tk6nm7u
@user-py9tk6nm7u 3 жыл бұрын
원래부터 휑했는데 새삼스레
@dy5hxf7yw3
@dy5hxf7yw3 3 жыл бұрын
탑 보러 가는건데 주변이 휑하니까 가지말라하네 ㅋㅋ
@user-jj9st9xq6s
@user-jj9st9xq6s 5 жыл бұрын
뭐..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는 하겠지만 부재가 많이 갈렸다는 느낌이 드네요. 최대한 살리는 방향의 복원이었길 빕니다.
@user-iv9wl1bq1b
@user-iv9wl1bq1b 5 жыл бұрын
미륵사지 ᆢ 전체를 다 복해하시오ᆢ
@forget4545
@forget4545 5 жыл бұрын
신라에 멸망당한 망국의 역사라 남아있는 유물유적이 별로 없음ㅠ
@user-ks1mf2jm1k
@user-ks1mf2jm1k 6 күн бұрын
사리함도 같이 넣어주세영.
@wenmi7786
@wenmi7786 5 жыл бұрын
백제자료가 너무 적어요ㅜㅜ
@user-iv9wl1bq1b
@user-iv9wl1bq1b 5 жыл бұрын
찬란한 백제문화는 신라에의해 철저하게 파괴되었다 왜냐 신라하고는 비교할 수없는 고도로 발달되 문화였기에 ᆢ
@munc90
@munc90 3 жыл бұрын
신라 파괴설보단. 임진 파괴설이 더설득 할만한데.... 왜냐 하면 유물로보나 기록으로 보나 태종 때까지 고을 사찰로 존재했다고.
@user-ht2os9yj7n
@user-ht2os9yj7n 3 жыл бұрын
팔봉
@user-ht2os9yj7n
@user-ht2os9yj7n 3 жыл бұрын
나 저기살음
@user-ni5ku1hb5z
@user-ni5ku1hb5z 5 жыл бұрын
어서 가설물 해체해주세요~
@youngjunyoon1
@youngjunyoon1 5 жыл бұрын
씨발, 식민지 한국전쟁 지나면서 얼마나 수탈당하고 파괴가 되었겠나.....힘을 길러야한다. 군사력은 물론이고 민주주의, 문화의 힘이 융성한 국가로....
@vedo7065
@vedo7065 3 жыл бұрын
잘한다 농촌에는 보수할집이 넘쳐나는데 ㅉㅉ
@billparr
@billparr 5 жыл бұрын
Japanese made sure this top won't topple down because it's made by their lords from the past. It it was not made by BecJae then they woulden't have cared cared.
@jy-bz2it
@jy-bz2it 5 жыл бұрын
야 강철중 너 거기안서 인마 어쭈
@skyblood99
@skyblood99 5 жыл бұрын
이걸보고 있으니 일왕궁 반파시키고 싶네요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5 жыл бұрын
왜? 일본인들이 미륵사탑 파괴시켰냐? 미친거 아냐?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5 жыл бұрын
미륵사지 석탑 일제가 파손한거 아닌가?
@ranomu8606
@ranomu8606 3 жыл бұрын
미륵사터는 그 훨씬 이전부터 버려져 있었고 관리가 안되어 대부분 무너져 있었습니다 물론 시멘트 이전에 뒤에 조선시대에 벽돌로 보강 해놓은 부분도 있습니다 당시 시멘트로 보강안했으면 완전히 다 무너졌을거에요
@user-po4ch3cp4q
@user-po4ch3cp4q 3 жыл бұрын
미륵사지 석탑을 진짜로 파손시킨건 조선왕조지 숭유억불이라는 이데올로기때문에 불교문화재들을 그냥 냅뒀고 거의 폐허수준의 미륵사지 석탑과 석굴암을 일제가 공구리질로 그나마 원형이라도 살려놓았던건데 공구리질이라도 안했으면 완전히 무너져서 형태조차 알아보기 힘들었을것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3 жыл бұрын
@@user-po4ch3cp4q 음...그런건가?
@metalkokorea
@metalkokorea 3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위정자들과 땡중들은 저런 거대하고 위대한 사찰이 무너지는 데도 아무 조치도 안 하고 일본인들이 했다니. 이제와서 일부 사람들이 일본인들을 비난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본다.
@user-hn5ke8iz8h
@user-hn5ke8iz8h Жыл бұрын
국보11호인 일본놈이 시멘트를 쳐발라버렸네 자기네 탑이었다면 그렇게 하지 않았겠지
@user-pc1xi3iv5t
@user-pc1xi3iv5t 2 ай бұрын
국보11호에 일본놈이.. 국보가 일본놈은 아니잖아요ㅎ
@geosdule
@geosdule Жыл бұрын
천쪼가리 어딜간것이냐?????
@user-mp4fd2to4l
@user-mp4fd2to4l 3 жыл бұрын
백제인들의 건축기술이ㅈ얼마나 대단한데 그게 그냥 무너집니카 일본이 보물착취하면서 혹은 일부러 그런꼴 만든거시지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5 жыл бұрын
미륵사지 석탑보면, 백제시대 한민족도 대충 대충 민족성을 가졌다는걸 쉽게 알수 있지. 각층 지붕밑애 받침 장식부가 어떤건 3단, 어떤건 4단 지맘데로 해놨다는거지.
@user-kz9yf5kk3j
@user-kz9yf5kk3j 5 жыл бұрын
옜다 관심 일본이 그렇게 좋으면 떠나던가. 어차피 그럴 머리랑 재력도 없으니 평생 너를 한국인으로 태어나게 해준 부모를 원망하며 살던가
@user-co2wn4xb3y
@user-co2wn4xb3y 5 жыл бұрын
불교가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국을거처 우리나라에 전래 됐듯이 탑의 형태도 그렇습니다. 인도에서는 흙을 이용한 봉분 형태 중국에서는 나무를 이용한 전각형태 그것이 한반도에서는 화강암을 이용한 석탑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그것은 각각 그런 자재들이 그곳에 풍부했기 때문입니다. 한반도의 초기탑들은 중국의 전각 모양을 돌로 본떴기 때문에 단지 그런 구조가 생기는겁니다.(미륵사지석탑,분황사모전석탑등) 대충대충이라는 표현과 그게 민족성이라 그렇다는 비약은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일제가 한국식민지 지배를 정당화 하기위해 만들어낸 이론이 한민족 타율성론이니 당쟁이니 임나일본부니하는 한민족 비하 이론입니다. 일제가 식민통치하면서 한국 역사의 조선사 35권을 이미 1938년에 지들 기준에서 써놨고 그게 한국 역사 날조에 이용된겁니다. 한국은 40년후인 1978년도나 되서야 한국사 25권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하게 되고 그때부터 식민사관을 극복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세우기위해부단히 노력하게 됩니다. 그래서 초기 근대 한국 역사학자들도 일본의 조선역사교육아래 성장하신분들이라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을수 없었던것이고 오늘날에 이르러서야 민족 정체성이 그나마 회복되가고 있는 실정입니다.친일파를 숙청하자는등 너무늦어 구분기준도 애매하고 쉽지는 않겠지만 오늘날에도 이런의견들을 제시되는게 그러한 맥락이라 보면 될겁니다. 당파싸움이나 하며 민족스스로 발전할수 없었다는 이론이 바로 일본제국주의의 한민족식민지배를 정당화한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당쟁이란 왕이 다스리던 봉건주의 사회에도 가신들이 참여하여 유교적 정치이념을 토대로 합리적인 토론과 이를 정치에 반영하던 보다 확대된 민주정치의 한형태입니다. 한민족은 작지만 강하고 대단한민족입니다. 이기일원론의 퇴계,율곡,유교의 꽃을피운것도 화엄과 대중불교, 불교의 꽃을피운것도 중국민족이아니라 바로 한민족입니다. 세계최고의 과학적인 문자를 창제한것도 한민족입니다. 이렇게 스스로 자기민족을 비하하는 어리석은 의견들을 볼때마다 아직도 일본의 식민교육에서 완전히 벋어나지못했구나하는 개탄을 합니다.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3 жыл бұрын
한국 과거사를 비하해서 일제강점기 지배를 정당화 하려는 이런 댓글. 요즘 너무 많은 듯.
@user-hn2dv9nc1k
@user-hn2dv9nc1k 5 жыл бұрын
돌탑이 뭐 중요하다고.. . 지 랄 이냐..? 그냥 뭉개 버려 라
@user-er4zt6oy5t
@user-er4zt6oy5t 5 жыл бұрын
이철희 철희야 넷상이라고 막 싸지르지말고 조용히 있어라
@user-bn4rc4it1m
@user-bn4rc4it1m 5 жыл бұрын
죽이고 싶다
@user-dn7vr8yz1o
@user-dn7vr8yz1o 5 жыл бұрын
철희 당신의 조상은 누구인가 왜놈 종자
@user-hn2dv9nc1k
@user-hn2dv9nc1k 5 жыл бұрын
광일이 죽이고 싶다 .. 좋냐?
@kukcho3183
@kukcho3183 3 жыл бұрын
좃선족 . 토착왜구.중꿔놈
@qnseksrmrqhr
@qnseksrmrqhr 3 жыл бұрын
넓이가 5만평이나 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절터입니다...........탑과 금당이 있는 가람이 세 개가 모여서 되었기 때문에 3탑 3금당 형식이라는 독특한 구조가 만들어졌던 거죠.........목탑과 석탑이 어우러져 있는 보기 드문 모습으로 만든 것입니다...,..일제 강점기 수리를 할 수없어 콘크리트로 뒷받침을 만들어 보조했습니다........2000년도에 시작하여 2017년까지 복원을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완성된 것입니다......늘 건강하시길...........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아! 무령왕릉 3부 목관에 숨겨진 비밀
5:38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364 М.
토목과 건축의 백미, 미륵사지 석탑 / YTN 사이언스
40:26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53 М.
경복궁 향원정과 취향교의 복원정비 이유는? + 복원과정 타임랩스
5:27
국가유산청 Korea Heritage Service
Рет қаралды 176 М.
KBS 역사스페셜 - 미륵사는 무왕의 승부수였다 / KBS 19990130 방송
48:00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000년의 비밀
14:41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69 М.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