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진으로 대한민국 땅이 넓어졌습니다, 왜 그럴까요?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

  Рет қаралды 797,981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Understanding : All the Knowledge in the World

4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3분만에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Пікірлер: 427
@user-hu5rc6lj8n
@user-hu5rc6lj8n 4 ай бұрын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한반도 지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user-jp6qh7ii2c
@user-jp6qh7ii2c 4 ай бұрын
과학자분들과 정부기관분들의 소통이 중요해지는 시점이네요.
@user-yx7vd1un5j
@user-yx7vd1un5j 4 ай бұрын
우와 쓰나미라는 용어를 사용치 않고 지진해일이라는 우리 용어를 사용하는 진행자님과 교수님께 박수를.... 짝짝짝.....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4 ай бұрын
황당하네요 하나의 고유명사로 전세계에 통용되는 단어가 됐습니다 ㄱ굳이 일본어라고 거부반응 일으킬 문제가 아닙니다; 아니 외국어 쓰는걸 그리 안타까워하시면서 영어는 왜그렇게 많이들 섞어 쓰시는지 다들;;; 한덕수여??
@_Honganji
@_Honganji 4 ай бұрын
지진해일은 한자인데 무슨 우리말ㅋㅋ 땅 흔들흔들 바다 넘실넘실 이라고 해야지 니 논리대로
@user-ce5gi2zi6t
@user-ce5gi2zi6t 4 ай бұрын
국제용어임
@user-happy2080
@user-happy2080 4 ай бұрын
혹시 반일불매 좋아해? ㅋㅋㅋㅋㅋ
@RidgeMu
@RidgeMu 4 ай бұрын
아직도 대가리 덜 깨진듯
@user-xz5pl9sm6b
@user-xz5pl9sm6b 4 ай бұрын
오늘날 언론은 개판 오분 전이지만 우리 조상들의 기록은 참으로 정확하구나
@user-kv9oy4cf8r
@user-kv9oy4cf8r 4 ай бұрын
언론이 나라를 힘들게 하는것 같아요. 정의가 사라진 느낌? 신뢰가 떨어져 방송 뉴스도 신문도 안봅니다. 올바른 유트브만 봐도 세상 돌아가는 것 더 알아요
@user-vz2lu1gr8k
@user-vz2lu1gr8k 4 ай бұрын
그게다 좌파언론때문입니다
@user-xz5pl9sm6b
@user-xz5pl9sm6b 4 ай бұрын
@@user-vz2lu1gr8k 맞습니다. 좌파들의 선전선동이 언론계에서 잘 발휘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언론계에 좌파들이 득실거립니다 오늘날 언론매체는 감독대상입니다
@inthemine2
@inthemine2 4 ай бұрын
@@user-vz2lu1gr8k 우파언론도 그렇죠?
@user-kc8cx3yi1n
@user-kc8cx3yi1n 4 ай бұрын
⁠@@user-vz2lu1gr8k상식적으로 우파언론이 문제죠. 최근에 이선균이슈, 이재명이슈만 봐도 뭐… 언론개혁 정말 절실한 시점임
@metatree5596
@metatree5596 4 ай бұрын
지진이야기.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나와주세요. 산사태이야기도 해주세요. 대학. 학부 강의를 언더스탠딩에서 요약 해서 듣네요. 이것이. 과학 인문학이다
@user-wl5sm7ke2k
@user-wl5sm7ke2k 4 ай бұрын
개구장이 두 학생들 놓고 강의하는 선생님 같은 분위기군요. 구글어스를 놓고 설명을 듣고 있는데 정말 쏙쏙 들어오고 이해가 되는군요. 한반도도 중국 산동반도랑 맞춰보면 모두 붙어있었던게 그림이 그려집니다.
@charlier4619
@charlier4619 4 ай бұрын
교수님 조용하고 차분한 이해하기 쉬운 강의를 하십니다
@smida3078
@smida3078 4 ай бұрын
모든 자료에 East Sea 좋네...좋아!
@CSKang-fe1py
@CSKang-fe1py 4 ай бұрын
전문가님 설명 진짜 차분하게 설명 잘하십니다...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user-it6di4yc4g
@user-it6di4yc4g 4 ай бұрын
이해하기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user-qx9yt8vq4i
@user-qx9yt8vq4i 4 ай бұрын
경주 포항 지역으로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니 무섭네요. 특히 그 인근에 원자력발전소들이 있다는 걸 생각하면 더욱 걱정스럽네요
@user-up2pk8om8s
@user-up2pk8om8s 4 ай бұрын
조곤조곤 듣기 참 좋네요. 쉬운 설명 덕에 잘 이해했습니다.
@ljaeyou
@ljaeyou 4 ай бұрын
기승전 재건축 초심을 잃어버리지 않는 이프로 칭찬해!
@user-eo1gj9cc4z
@user-eo1gj9cc4z 4 ай бұрын
시간 가는줄 모르고 재미있게 봤습니다
@hgsong-wm4xj
@hgsong-wm4xj 4 ай бұрын
교수님께서 설명을 너무 쉽게 해주셔서 알아듣기 좋았네요
@kkkjjjbv
@kkkjjjbv 4 ай бұрын
일본이 다 가라앉으면 우리나라에 지진이 많아질테니 다는 아니고 방파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반 정도만 가라앉고 우리나라도 반 정도만 넓어지면 좋을듯
@enter36ceo
@enter36ceo 4 ай бұрын
그렇게 됩니다. 최소 천년간
@anthonylim2428
@anthonylim2428 4 ай бұрын
스나미도 막아줘야죠 ㅋ
@songlee0026
@songlee0026 4 ай бұрын
일본 전체가 한달 동안 쑤욱 가라앉아 있다가 다시 솟아 오르면 그냥 무인도 되는데.. 요래 되길 제발...
@j-nacho9614
@j-nacho9614 4 ай бұрын
북아메리카판이 서진하는 태평양판, 북진하는 필리판에 의해 일본중부 유라시아판끝(노토반도 주변이 육지화)은 융기되고 내륙쪽은 찌그러져서 높은 방파제 생길듯요.
@hofffnung
@hofffnung 4 ай бұрын
​@@songlee0026 그 정도면 우리도 잠겨..
@dobedobedo94
@dobedobedo94 4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때 지진에 대해 배울때 제대로 이해는 못하고 그냥 암기해서 시험쳤었는데 오늘 드뎌 처음으로 지진현상에 대해 제대로 이해가 되었어요~ 새로 알게 된것도 많고 너무 재밌었습니다. 교수님 나긋나긋하신 목소리로 아주 쉽게 설명 잘해주시네요~ 부장님 화내기전에 미리 재털이 던지는 건 ㅋㅋ 정말 위험천만한 시도네요 ㅋㅋㅋ 감사합니다
@user-zr5dr7th3y
@user-zr5dr7th3y 3 ай бұрын
홍태규 교수님 재미있게 잘들었읍니다
@MrJosaua
@MrJosaua 4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babivest9949
@babivest9949 4 ай бұрын
흥미로웠습니다
@user-dn5ux1zn6w
@user-dn5ux1zn6w 4 ай бұрын
자극적이지 않고 학자가 나와서 설명해주시니 평소 궁금했던 것에 대해 도움이 되네요. 일본에 지진만 나면 촐싹대는 사람들이 좀 봐야할텐데.... 아울러 건축에서도 지진대비를 좀더 하면 좋겠네요.
@user-cn8zb4ej1y
@user-cn8zb4ej1y 4 ай бұрын
사회자들이 너무 수다를 떨고 쓸데없이 잡음을 넣어서 발표자를 바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user-nq3xy7sk3x
@user-nq3xy7sk3x 4 ай бұрын
찌질이들이니 그렀지요 알량한 지식을 동원하려
@user-qe9pe8qq6r
@user-qe9pe8qq6r 4 ай бұрын
설명 잘들었습니다
@tvpadma3231
@tvpadma3231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지진은 단층활동지진이라서 약하고 몇십년 몇백년에 한번인데 일본지진은 조산운동지진이라서 규모도 크고 자주 일어나지요.
@user-qr2to9no1v
@user-qr2to9no1v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jpok1
@jpok1 4 ай бұрын
와 이번에 질문들 잘 하셨습니다. 나도 궁금한 점들 다 여쭤주셔서 ㄱㅅ
@user-fb4dp7uq5l
@user-fb4dp7uq5l 4 ай бұрын
일본땅이 가라 앉으면 우리나라 땅이 융기한다는 이야기가 진짜네 ㄷㄷㄷ
@user-ud1hc2td2t
@user-ud1hc2td2t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일본것들이 우리나라 불법 침략해서 점령한 이유가 거기있지
@rokseong3984
@rokseong3984 4 ай бұрын
그럼 한국 해안선이 모두 절벽이 되나요? 석유지반도 밀려오길 바래봅니다.
@user-dm1yq9ek4e
@user-dm1yq9ek4e 4 ай бұрын
@@rokseong3984 문제는 그게 아니에여 울릉도 판이 충돌하는게 더큰문제입니다
@user-bp2nh6qx8y
@user-bp2nh6qx8y 4 ай бұрын
탄허스님 일본이 무너지면 한국 땅이 넓어진다.
@nocentman
@nocentman 4 ай бұрын
@@user-dm1yq9ek4e 백두산 터질때 울릉도 화산도 터질 듯..
@VitorJKhan
@VitorJKhan 4 ай бұрын
실제 상황은 3차원이고 시간까지 적용하면 4차원인데 그림은 2차원이라 말이 많아지는 것이죠.
@user-qc7tx1pz8j
@user-qc7tx1pz8j 4 ай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설명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emmajin6925
@emmajin6925 4 ай бұрын
머리 속에 사람은 없고 재건축만 있는건 아니겠죠? 이진우 님? 지진이 살짝 나면 건물 무너지고 재건축이 쉬워진다니 그속에 살고 있는 사람은요? 언어가 존재의 집이라는 하이데거의 말을 떠올립니다.
@user-qu1yz2zs4f
@user-qu1yz2zs4f 4 ай бұрын
저는 과거 부산에서 늦은밤 약한진동을 한번씩느낌니다 다음날 검색을해보면 그시간대에 일본에 지진이 나있더라구요 저는 지진에 민감해서 잘느낍니다 아마도 땅이 연결되어있어니 그런거 아닐까생각됩니다 한국도 안전한곳 아닙니다
@chong2324
@chong2324 4 ай бұрын
사회자들이 너무 끼어들어 어수선해서 맥이 자꾸 끊기는 것같아 집중에 방해가 됨
@user-be8yi4sc7l
@user-be8yi4sc7l 4 ай бұрын
와 정신없이 듣다 보니 한시간이 훅 갔네.
@user-ky5yz5nu6l
@user-ky5yz5nu6l 4 ай бұрын
한국은 지진으로 땅이 넓어지는 모습과 그 땅에 명성이 자자한 순살 아파트란 명품 아파트들이 구룡 성채같이 우후죽순 건설되고 초고가를 경신하며 일본 같은 엄청난 재해가 발생하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중에 제일이 주거와 합동묘지가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peacekim5225
@peacekim5225 4 ай бұрын
1970년 후반기에 건물 5층에 일했는데 좌우로 엄청 움직였을때 신발도 안신고 대피했던 무서운기억이 납니다 서울 을지로였습니다
@onestar10011
@onestar10011 4 ай бұрын
교수님께 강의료 마니 드려야될듯 합니다...ㅎㅎ 몰입되어 잘 들었습니다...😊
@user-dx9vj4mx9q
@user-dx9vj4mx9q 4 ай бұрын
언더스텐딩 다 시청하지만 이 제목은 당장 클릭안할수가없네ㄷㄷ
@sonamu320
@sonamu320 4 ай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2탄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서울의 많은 아파트와 주택들, 지하철의 내진설계가 어느 정도로 되어 있는지 궁금하네요. 만약 서울에서 진도 5-6 정도만 되어도 수 많은 기능들이 스톱 될 것 같은데.. 시간이 있을때 대비를 잘 해 두었으면 좋겠습니다.
@travelingjo
@travelingjo 4 ай бұрын
아니 홍태경교수 이 친구 고3때 같은 반 친구인데 지진만 나면 뉴스에 많이 나오드만 유툽에도 나오다니!! ☺️
@user-xw4hk6uj6l
@user-xw4hk6uj6l Күн бұрын
과학자들이 지진도중요하지만 탈모방지연구좀해주면좋을듯..
@HyonMinSeung
@HyonMinSeung 4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깊이 있고 차분한 설명 감사합니다.
@user-jo2jq2ut1w
@user-jo2jq2ut1w 4 ай бұрын
누구 예언 중에서 서해가 융기해서 한반도 땅이 엄청 넓어진다고 그랬던거 같은데..
@ksnksw
@ksnksw 4 ай бұрын
탄허스님요.
@Jjjo857
@Jjjo857 4 ай бұрын
그렇게 되는때는 한국인도 얼마 살아남지 못한다는 말입니다.그 스님.
@ksnksw
@ksnksw 4 ай бұрын
@@Jjjo857 서해가 융기해서 바다가 땅이되고. 제주. 경상도 위험하다 했음.
@user-jp6qh7ii2c
@user-jp6qh7ii2c 4 ай бұрын
단순한 사건의 감정보다 지진과 환경변화의 대비를 철저히 해야겠어요. 국민모두 관심과 노력해야겠어요.
@user-nt3mh8lt2w
@user-nt3mh8lt2w 4 ай бұрын
1613년 서울지진은 성북구라고 이미 공개되어 있습니다.
@user-nt3mh8lt2w
@user-nt3mh8lt2w 4 ай бұрын
@@sangyouplee70 당시 강남은 경기도였고, 경기도에도 땅이 흔들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yulee4973
@yulee4973 4 ай бұрын
정말 그럴까 왜 그럴까 과학적으로 설명을 일반인들이 알수 이해 수긍
@user-so4cl2xr8w
@user-so4cl2xr8w 4 ай бұрын
35:20 우리나라 땅이 넓어진 이유 설명
@user-tr9cs1yu9o
@user-tr9cs1yu9o 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지진 발생되는 지역(경북/경남)에 원자력 발전소가 몰려있다는 중요한 말을 더 강력하게 말씀해주는게 좋았을 것 같네요...
@Jjjo857
@Jjjo857 4 ай бұрын
전에 충남홍성에 진도5.지진 일어났슴.서울도 하남도 지진대 있다고함.예전에 큰 지진 있었다 하고.어디든 안심 할수 없어서 더 걱정
@bakerk2107
@bakerk2107 4 ай бұрын
50:56 땅값 때문에 지진 위험 발생지역 말 못하는게 웃프네😂
@Jjjo857
@Jjjo857 4 ай бұрын
콕찝어 어디라고 알수있나?일본은 시시때때로 작은지진 생겨도 모른다는데
@user-tm7fj9my8h
@user-tm7fj9my8h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jl8bc4us2x
@user-jl8bc4us2x 3 ай бұрын
오래전 83년 포항 바닷가에 잠깐 살았는데 부엌 싱크대가 왔다갔다 하는 지진 자주 경험한 적 있었다 지금도 포항 경주 쪽에 일어나는 지진 뉴스보면서 그때 공포에 떨었던 기억이 난다. 포항 바닷가 쪽에 높은 건물 짓지 않는 이유가 지진 때문이라 들었다.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4 ай бұрын
노또 지진, 로또 벼락, 조선실록 13척 파고이면 3.9미터 즉 4미터가 맞네요. 학자여서 그런지 쓰나미라는 말을 전혀 쓰지 않고 지진해일이라고만 하는군요.
@user-qe5mo1iw3i
@user-qe5mo1iw3i 4 ай бұрын
경주지진 이후, 당분간 그 지점은 안전. 그럼 그.지점으로부터 어느정도 거리가 위험지역인지? 이프로 님의 질문에 속이 시원합니다. 이프로 님이 삼프로 100분토론 진행해 주세요. 총선을 국민은 정치가 아닌 경제잇슈로 받아들입니다. 경제적관점에서의 백분토론.
@user-yl1qs7qg7x
@user-yl1qs7qg7x 4 ай бұрын
땅이 융기,넓어진다? 바다였던 지점이 솟아서 새로 땅으로 된다면 별문제 겠지만 만약 어떤 방향으로 밀려간다면? 지적경계의 문제가 생기는 거 아닌가? 요즘 지적경계 측량은 GPS에서 데이타를 받는다고 하던데 기준점들의 변경 등 문제되지 않을까?
@MKJung-we2io
@MKJung-we2io 4 ай бұрын
선리플 후감상😊 믿습니다 언더스탠딩
@j-nacho9614
@j-nacho9614 4 ай бұрын
동쪽에서 오는 에너지, 남쪽에서 오는 에너지 교차점 한반도 꼬리쪽.
@j-nacho9614
@j-nacho9614 4 ай бұрын
노토반도 본진,여진과 동시에 필리핀 민다나오도 큰지진 있었음. 북진하는 필리핀판이 더 빨라서 일본 방파제는 더 길어지고 화산들이 연쇄적으로 반응하기 시작하면 진짜 대환장 파티임. 한반도, 일본 남부 원전+ 화산재.
@user-ni9ec9fd5h
@user-ni9ec9fd5h 4 ай бұрын
땅넓어졌다고좋아했는데 우리나라도 지진이 많아진다니 무섭네요
@user-ts4wz3xh3t
@user-ts4wz3xh3t 4 ай бұрын
에너지보존법칙
@peace_3045
@peace_3045 4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강사님 설명하실때. 대답 리엑션을 조큼만 줄여주시면 더 잘집중 될 것 같아요. 어허. 응. 오오~ 아아! 이런것들요
@user-uz7uy4dd6r
@user-uz7uy4dd6r 4 ай бұрын
수업을 하는데 응답이 없으면 맥 빠지지 않나요?
@travelingjo
@travelingjo 4 ай бұрын
생각할 시간이죠. 강의하는 자는 거의 대부분 이런 습성있답니다.
@peace_3045
@peace_3045 4 ай бұрын
@@travelingjo 강사님이 아니라 다른 분 응답이요!
@peace_3045
@peace_3045 4 ай бұрын
@@user-uz7uy4dd6r 넵 그것도 그러네요!ㅎ 저도 수강생의 마음으로 본거라. 리엑션이 너무 많으셔서 그랬어요ㅎ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oh2np1ii5c
@user-oh2np1ii5c 4 ай бұрын
이래서 초고층 아파트 안됩니다 지진과 화재나면 방법이 없습니다.
@user-nq3xy7sk3x
@user-nq3xy7sk3x 4 ай бұрын
고층아파트 이제는 멈추어야 10층이하로 짓게해야
@user-ik5bc4go1o
@user-ik5bc4go1o 4 ай бұрын
노원구 상계동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밤에 잘때 등으로 전달되는 건물이 흔들리는 느낌을 받을때가 있었습니다. 드물지 않은 경험이었고 짧았고 강도는 조용히 누워있을때가 아니면 못 느낄정도였던것 같습니다. 관계가 있는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혹시 지진류가 맞다면 기록은 되고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j-nacho9614
@j-nacho9614 4 ай бұрын
도로, 통로, 지하부 빈공간 자체가 진폭을 확대 전달하는 역할도 합니다. 주변구조물 환경등을 파악,인지하시고 안심하시길 바랍니다.
@kloudgim3322
@kloudgim3322 4 ай бұрын
이석증 의심 되네요 병원 가보세요
@ShibuprojectTV
@ShibuprojectTV 4 ай бұрын
@@Feeldog105 님이 먼저 가서 치료 좀
@user-zx1vt2xr2r
@user-zx1vt2xr2r 4 ай бұрын
​@@Feeldog105 너무 마음이 삐딱~~~
@zxcvbnm7205
@zxcvbnm7205 4 ай бұрын
북한땅굴이 고창까지 뻗어있나봐요 땅굴탐사대 유트브
@user-dv2po2py4t
@user-dv2po2py4t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용산으로 간거군..그게 무서웠나
@pbs1006
@pbs1006 4 ай бұрын
요즘 초등생 교과서에는 지진에 안전한 나라라고 나오질않더라고요 옛날교과서는 안전하다했지만
@user-yu9dd7bu2l
@user-yu9dd7bu2l 4 ай бұрын
이건 이번 수능 각임. 사건과 이론의 조합으로 딱임.
@user-zr5dr7th3y
@user-zr5dr7th3y 3 ай бұрын
지진의 피해도 있지만. 지질학. 재미있네요
@user-cc1qw1ut2f
@user-cc1qw1ut2f 4 ай бұрын
조석간만의차가 지진이 일어났을때 해당지역은 땅이 물에 잠기고 다른지역이 땅이 넓어지나요?
@Jjjo857
@Jjjo857 4 ай бұрын
그 정도 될정도면 진짜 거의 죽지?않나?땅이 요동치는데?
@ShibuprojectTV
@ShibuprojectTV 4 ай бұрын
16:51 정정 요청합니다. 당시 2011년 03월 11일 도호쿠 M9.0 대지진때의 최대 쓰나미 파고는 40.1M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wincup
@wincup 4 ай бұрын
진짜 이제는 일본수준으로 내진설계 미리 들어가야 함. 또 소잃고 외양간고치기 시전하지 말고. 큰일남.
@user-cz6gs8wc1f
@user-cz6gs8wc1f 4 ай бұрын
이번 지진으로 일본이 융기했던데요 200미터정도ᆢ위성사진 보면 일본 지진난곳 방파제가 땅이 되어 있던뎅
@user-uh2sj6qx9f
@user-uh2sj6qx9f 4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면 지진에 대비하자는 정치인은 못본듯... 겪어보면 정말 현실적인 위협인데 대비가 잘 안된것 같아 걱정입니다😨😨 그나저나 흔들바위에서 살짝 피식피식 한게 자존심 상하네요 이프로님이 백년간 책임지고 방송하세요
@user-do1dt3cx4o
@user-do1dt3cx4o 4 ай бұрын
😂😂 소고기괴담 퍼뜨릴때도 비슷한 느낌이었죠. 나름의 기준에서 준비는 하는데 자꾸100%를 만들라하면 불가능합니다.
@lucky.m6652
@lucky.m6652 4 ай бұрын
어디가 어텋게 넓어졌다는건지 ㆍ지진이 융기를 만들어내는건 이해하겠는데 현재가 궁금합니다 ㆍ
@user-vk9sw2ge6y
@user-vk9sw2ge6y 4 ай бұрын
지진 에너지는 만원으로 정해진것이 아니죠~~. 쌓이는건 맞겠지만 쌓이다 시간지나면 흩어집니다... 그래서 오랜 시간 지나면 쌓다 쌓다 그냥 낮은 지진 일으키고 해소 됩니다.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4 ай бұрын
300km?? 와우 너무 깊은데... 섭입판이 떨어져나가는건가? 아니면 맨틀이 쪼개지는건가? 맨틀이 쪼개지지는 않을 것같은데...
@EPark-gb7fh
@EPark-gb7fh 4 ай бұрын
적절한 제목 : ”일본지진의 에너지가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user-nu9up5zu9p
@user-nu9up5zu9p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언론들 예전이나 현재까지 전혀 바뀌지안고 넘실망 그래서 머코사는 난 칠순이 넘도록 보니깐
@user-fs8dw7gz1u
@user-fs8dw7gz1u 4 ай бұрын
중요한 하나 심리적 변화에 대한 전문가의 정보도 같이 넣어주세요.
@user-im4xe5ic4p
@user-im4xe5ic4p 4 ай бұрын
일본땅이 올라온 얘기만 있고 한반도 땅 융기 얘기는 안본이는데..
@user-fy4ig4cv6e
@user-fy4ig4cv6e 4 ай бұрын
몇만년 후엔 중국대륙하고 한반도가 지각판이 동진해서 분리되서 청천강이남 남한쪽은 섬이 될거라고 하던데여. 일본지각판은 더 태평양쪽으로 이동하고..
@user-fr4qw2cx2j
@user-fr4qw2cx2j 4 ай бұрын
에너지를 살짝만 줄여주자고,,, 너무 귀여운 건의이네요... 어케 마그마층까지 들갈라고???
@Choigo3
@Choigo3 4 ай бұрын
ㅡ.ㅡ 이렇게 설명 잘하는 사람 본 적이 없네..... ㅡ.ㅡb
@user-cx1ox8ns9h
@user-cx1ox8ns9h 4 ай бұрын
우리는 안그래도 지방소멸하고있는데 땅 넓어질필요없는데..
@ParkKiHyun
@ParkKiHyun 4 ай бұрын
일본 땅이 넓어졌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한국 땅이 넓어졌다는건 무슨 근거로 나온 얘기일까요?
@qwertyu374
@qwertyu374 4 ай бұрын
울릉도는 5 이동했는데 백령도는 2 이동했으므로 우리 땅이 넓어졌다라고 한거죠
@U11Paeadise
@U11Paeadise 4 ай бұрын
아젠다 참 유치하다... 지진에 사람목숨이....
@user-qj1dc1ts8e
@user-qj1dc1ts8e 4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해일의 일본 지진여파 여부는 일본의 기록을 보면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나요???
@user-vk9sw2ge6y
@user-vk9sw2ge6y 4 ай бұрын
실록에 해일만 있는건 일본 지진 해일. 해일과 지진 피해가 같이 있는건 국산 지진해일이겠죠. 철저한 기록 정신.
@user-fn7sh3py2q
@user-fn7sh3py2q 4 ай бұрын
원전이 걱정이 되네...
@junyeankim838
@junyeankim838 4 ай бұрын
지진 어 , , 무습슴니다.
@user-rd6jf7mi8f
@user-rd6jf7mi8f 4 ай бұрын
현재 지구전체가 미세한 진동속에 있음~ 잘 느껴보세요. 2018년부터 느끼기 시작했음
@user-fs8dw7gz1u
@user-fs8dw7gz1u 4 ай бұрын
과학과 경제와 사회와 정치와 철학과 문화 예술 체육, 오락을 아울러 총체적으로 삶을 볼 수 있는 콘텐츠가 되었으면 합니다.
@user-rt5xu7qk3j
@user-rt5xu7qk3j 3 ай бұрын
얼마전 노토반도 지진으로 일본도 서쪽은 200m정도융기했다고 하던데 점점 일본이랑 가까워 지는것 같아서 불편한 기분이드네요~
@enjoylifeoh1278
@enjoylifeoh1278 4 ай бұрын
탄허스님이 이야기한것과 비슷하네요. 일본이 침몰하고 한반도 동남해안 100리가 잠기지만, 서해안은 융기하여 면적이 2배가된다..
@corea.
@corea. 4 ай бұрын
중국이랑 붙으면... 북한도 넓어지고... 쌍으로 막아야 됨...
@RidgeMu
@RidgeMu 4 ай бұрын
탄허스님이 지질학자임? 문과는 댓글 좀 그만달아라....
@user-qj1dc1ts8e
@user-qj1dc1ts8e 4 ай бұрын
@@RidgeMu탄허스님은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심… 몰랐음???
@user-gl4wd3rf8h
@user-gl4wd3rf8h 4 ай бұрын
인류 90% 절멸 한다는 이야기는 왜 빼지 ㅋㅋ 지구의 지각과 기울기 변동은??
@user-vu1je8wi4r
@user-vu1je8wi4r 4 ай бұрын
우리동네. 뒷산은. 해발 550정도. 되는데 강돌이 많이 있음 융기됐나? 홍천
@brandnewlee5269
@brandnewlee5269 4 ай бұрын
지진조사가 이루워졌다면 가능성있는곳은 재건축 재개발은 하지 않아야 하지않습니까??? 그래야 손실을 줄일수 있는것이고.... 금방 일어나는것은 아닐지라도 지속적으로 지질연구를 계속할것이고 지진은 진행중이고 막을수 없는것이라면 할수있는것은 해야하지 않습니까?????😢
@share2youtube957
@share2youtube957 4 ай бұрын
아니..좋긴뭘좋아 그안에 몇명이사는데 누군가 죽고 나서 재건축되면 누군가는 좋겠지 ㅡㅡ
@user-ce3ex5lp6l
@user-ce3ex5lp6l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순살 아파트가 많아서 지진나면 무너질 아파트 많을거다
@user-gg2eg4lp9s
@user-gg2eg4lp9s 4 ай бұрын
민도높은 일본인들이라 잘극복하리라 믿는다 만도로 잘해결해라 열심히 응원해줄게 열도가 지진나면 왜이리 고소해지는지 민도높은 국민들이 살아서 그럴까?
@seoinho86
@seoinho86 4 ай бұрын
서울 노원구 도봉구 중랑구 동대문구 성동구 광진구 송파구 강남구 추가령 단층대지역
@user-ib2pj3hk1w
@user-ib2pj3hk1w 4 ай бұрын
이러니 토지측량하면 계속 바뀌지
@user-oq6lw7gz2r
@user-oq6lw7gz2r 4 ай бұрын
"국민여러분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 노무현 대통령
@user-bg2sn7qs5k
@user-bg2sn7qs5k 4 ай бұрын
​@user-mt5vl6nw3z이승만이 왜 욕먹는지 모르는 바보 ㅜㅜ
@user-ku7ls7rv7u
@user-ku7ls7rv7u 4 ай бұрын
민방위훈련을 더욱 화성화 해야겠어요
@moti8268
@moti8268 4 ай бұрын
28:38 이쪽에 원전 거의다 몰려있음;;;
중국정부가 갑자기 식량확보에 올인하는 이유 (이철 작가)
1:19:23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487 М.
한국이 달에 가는 건 사실 이것 때문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 황정아 책임연구원)
1:08:25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СҰЛТАН СҮЛЕЙМАНДАР | bayGUYS
24:46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809 М.
Super sport🤯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현직 의사가 말하는 '마약'에 중독되는 이유 (양성관 의정부백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1:11:14
당신의 연봉은 엄마 뱃속에서 이미 결정됐다 (홍콩과학기술대 김현철 교수)
1:08:2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61 М.
앞으로 3년 내에 중국과 친해지긴 어렵습니다 (중국전문가 이철 박사)
50:36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84 М.
인간이 지하수 퍼내자 지구 자전축이 변했다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1:12:44
달은 지금도 지구로 추락하고 있습니다 (성균관대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
1:06:20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77 М.
백두산 폭발보다 울릉도 폭발이 더 문제다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김기범 교수)
1:02:19
휴전선을 버려야 군대가 살아납니다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1:02:59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87 М.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