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스며들어있는 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들

  Рет қаралды 312,792

암 찾는 의사 이원경

암 찾는 의사 이원경

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여러분! 암 찾는 의사 이원경입니다. :)
오늘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발암물질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제가 다른 영상에서 누누이 경고했던 흡연이나 음주 등 잘 알려진 요인들 뿐만 아니라 일상에 스며들어있는 물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들의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데요.
이번 영상에서는 이런 발암물질들이 어떻게 우리 일상에 스며들어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이를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습관을 바꾼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차츰차츰 줄여나간다면 모두 함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 영상이 여러분들의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지금부터 함께 알아봅시다!
영상 끝까지 시청해주시고 '구독 좋아요'도 잊지 마세요!
당신의 건강을 위한 첫 시작
바로, 이원경 입니다.
암 찾는 의사 이원경 개인 블로그 💜
blog.naver.com/paganini85/223...
암 찾는 의사 이원경👩🏻‍⚕️
📩 dr.leewonkyung@outlook.kr
#발암물질 #암 #암찾는의사

Пікірлер: 683
@Dr.LeeWonKyung
@Dr.LeeWonKyung 10 ай бұрын
암 찾는 의사 이원경 개인 블로그 💜 blog.naver.com/paganini85/223113411614 오늘 영상에서는 어떤 발암물질들이 우리 일상에 스며들어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이를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습관을 바꾼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차츰차츰 줄여나간다면 모두 함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 영상이 여러분들의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재밌게 시청해주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답변은 어렵겠지만 다음 영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user-vt7mf1cp4y
@user-vt7mf1cp4y 10 ай бұрын
@user-kv9uy6qk6n
@user-kv9uy6qk6n 10 ай бұрын
혹시 텀블러도 스텐이면 발암성있지 않나용?ㅜ
@Trusters5824
@Trusters5824 3 ай бұрын
매일 마시던 코피를 보니 바람물질이었다니! 공항장애가 일어나서 황설수살 할거 가타요.
@user-tk4ws7gl4t
@user-tk4ws7gl4t 3 ай бұрын
이런거 다따지면 다들 산속에사서 숨만쉬어도 암걸리겠네.
@SO_GANJI
@SO_GANJI 10 ай бұрын
살다보니 진짜 발암물질은 사람이었음..
@flower-rain
@flower-rain 10 ай бұрын
맞아용~제말이요,,, 오늘만큼은 발암물질 없는 하루이시기를요~♧
@breadsol
@breadsol 10 ай бұрын
정답!
@sophiasong5582
@sophiasong5582 10 ай бұрын
빙고
@TV-kb8yd
@TV-kb8yd 10 ай бұрын
인간관계가 가장 풀기 어려운 수학
@suck5350
@suck5350 10 ай бұрын
대공감
@forbtsseajm6391
@forbtsseajm6391 10 ай бұрын
(일상생활 발암 물질) 1. 커피.컵라면등의 일회용 용기(종이. 플라스틱)--♡텀블러 사용하기. 2. 일회용 빨대(종이. 플라스틱) 3. 생수병(플라스틱)--♡제조일자 최근 것 골라 구입하기 4.통조림캔 용기(비스페놀 a검출)--♡캔 이용시 남은 내용물 바로 다른 용기에 옮겨서 쓰기. 5. 철판 사용등 고열에서 고기구울 때 나오는 연기. 탄 고기--♡180도 이하로 굽기. 야채와 함께 먹기.
@user-qw3kv9bg1f
@user-qw3kv9bg1f 10 ай бұрын
쌀 ㅡ농약 고기ㅡ항생제 상추 등채소ㅡ농약범벅 지하철 버스안공기ㅡ발암미세먼지 덩어리 집 시멘트ㅡ백년간 발암물질 나옴
@user-qk7et2ne1u
@user-qk7et2ne1u 10 ай бұрын
참기름도 깡통에 보관데있는데....
@u4ram86
@u4ram86 10 ай бұрын
전기밥솥도요 안에 코팅된부분이 캔안에 코팅된거랑 같은 성분이라고 하더라구요 압력밥솥으로 밥하고 남은거는 소분냉동보관해서 밥먹기전에 밥그릇에 담아서 전자레인지 돌려먹으면 갓한밥이랑 같아요
@user-wm4ry8uv6z
@user-wm4ry8uv6z 10 ай бұрын
텀블러는 스뎅이 좋은가요? 아님 젖병소재 텀블러도 괜찮을까요?
@user-xf6uv6be1f
@user-xf6uv6be1f 8 ай бұрын
​@@u4ram86 렌지도 더 위험해요
@wizard4you
@wizard4you 10 ай бұрын
일회용컵을 사용하는 모든 음료..라고하는게 더 정확한것같네요.. 일회용컵의 커피는 문제고.. 일회용컵에 담은 레몬차는 문제 없는건 아닐테니까...
@petrucciful
@petrucciful 10 ай бұрын
그리고 플라스틱에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다른데 오일성분을 담았을때 플라스틱 성분 용출이 가장 큰걸로 알고 있습니다. 불행히도 우리나라에서 식용유 팔때 대부분 플라스틱 용기에 들어있음
@user-tk6cl6ke1i
@user-tk6cl6ke1i 10 ай бұрын
이렇게 보니 우리는 너무 많은 발암 물질 속에서 살고 있었네요.. 정보가 유익해서 구독 꾹 눌렀습니다!
@realjjigaegogopanda
@realjjigaegogopanda 10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원경 의사 선생님!
@sungahn8888
@sungahn8888 10 ай бұрын
말씀 내용 중 검증이 필요한 부분도 조금 있는 것 같습니다 요즘 음식 용기 대부분 pp재질로 비스페놀a가 없는 경우가 많고 마트에서 판매하는 제품도 플라스틱 용기는 pp가 많습니다 (텀블러 사용은 일회용품 소비를 줄이는 차원에서 동의합니다) 플라스틱은 비스페놀a 함유와 무관하게 최근 미세 플라스틱 유해성에서도 자유롭지 못한데 관련 논문들이 하나둘 나오곤 있지만 치명적인 내용은 아직 부족해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봅니다 의사선생님이라 보시는 분들이 영상의 내용을 과신할 수 있을 거 같아요 경각심을 주시려는 건 이해하지만 건강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이 많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삶의 편의성에서 필요 이상으로 위축되는 경우가 많아 적어 봅니다
@prollejazz
@prollejazz 10 ай бұрын
옳소!
@yozohoba1266
@yozohoba1266 4 ай бұрын
비스페놀a가 안들어갔다고 해서 비스페놀s, 비스페놀z, 비스페놀f도 안들어가는 건 아니죠
@twopair8148
@twopair8148 4 ай бұрын
pp는 비스페놀류량 아예 구조가 달라요.
@user-zw9yz1py2o
@user-zw9yz1py2o 4 ай бұрын
정답. 위에도 대댓글 달았듯이 확실하지 않은 부분을 아주 확실한 것 처럼 말하는게 문제있습니다. 특히 나노플라스틱의 유해성은 아직 검증된바 없습니다.
@jongchanyoon3558
@jongchanyoon3558 3 ай бұрын
이거지
@100M2B
@100M2B 10 ай бұрын
완전히 다 피하는건 현실적으로 어렵더라도 내가 노력하는만큼 내 건강이 더 지켜진다는 사실을 확실히 이해하고 최대한 노력하는 태도와 습관이 중요하겠죠. 이번 영상도 최곱니다. 👍👍👍
@jykim5333
@jykim5333 10 ай бұрын
다 알던 상식인데도 의사샘이 말씀하시니 심각성 인지되네요 역시 사람은 배경이 중요. 열심히 살아야겠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r7nn1si7t
@user-mr7nn1si7t 10 ай бұрын
젊은선생님이 참으로 감사합니다 병원가서 진료받아보고 싶네요 찾아뵐께요^~^
@tytysue
@tytysue 8 ай бұрын
설명을 체계적으로 참 잘해주셔서 너무 좋습니다. ^^ 재능이셔요!
@user-ii4kd7cj9f
@user-ii4kd7cj9f 10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해요. 수십번 계속 듣고 기억 해야겠어요. 자꾸 무심코 플라스틱 접하게 되니 기억 해야해요.🎉
@user-zh6gq4om7i
@user-zh6gq4om7i 10 ай бұрын
아예 끊을 수는 없지만 선생님 말씀 들으면서 줄이려 노력하겠습니다. 뜨아를 종이컵에 먹고있는데 내일부터 텀블러로 바꾸겠습니다.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gidtns1
@gidtns1 10 ай бұрын
참 좋은 의사쌤이십니다 감사해요 짱이에요 ❤😊 일부러 저런 커피시스템 만든 사람들이 있어요 텀블러랑 친해져야겠어요 반찬통은 유리로 바꿨어요
@Usedididkdj
@Usedididkdj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속시원하게 말씀 잘해주셨네요🎉
@user-yq5fx6zd2g
@user-yq5fx6zd2g 9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익하게 잘 듣고 갑니다. 선생님 최고!!
@goodrichproject
@goodrichproject 10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감사합니다. 알고 있지만.. 실천하기 힘든데 마음을 잡게 됩니다!!!!
@user-zx4wx5ct2s
@user-zx4wx5ct2s 10 ай бұрын
공감하기 쉬운 설명과 정보 감사합니다.
@allenray996
@allenray996 10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이런 삶에 유익한 정보들을 널리 알려주시길 건의드립니다. ^^
@user-hs3dh6vb2i
@user-hs3dh6vb2i 10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대로 텀브러 지참이 가장좋겠지만 그렇지 못할경우 너무 예민하게 스트레스 받지않는게 좋을듯요 ^ ^
@user-vs8qo3ny3g
@user-vs8qo3ny3g 10 ай бұрын
너무나 도움이 되는 영상이라서 몇번 더 보고 정리좀 해야겠어요;;막 당장 바꾸지는 못하더라도 경각식을 갖고 줄이는차원으로 접근하도록 노력할께요~^^
@soone8552
@soone8552 10 ай бұрын
말을 잘 들어야하길래 구독 좋아요 눌렀어요 커피를 종이컵에만 마시는 60대인데 충격이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koyaq3680
@koyaq3680 10 ай бұрын
진짜 공감합니다!! 가능한 건강한 생활방식을 가지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집에 암환자 생기면 평범한 일상의 삶 다 무너집니다~~ㅠㅠ
@seung-heehwang1805
@seung-heehwang1805 10 ай бұрын
많은 홍보로 인식개선이 필요 합니다. 60년대 까지만 해도 의사들 담배피우는 분들 꾀나 있었습니다. 담배가 발암물질이라는 연구결과가 많이 알려 지면서 금연정책도 시행하고 하면서 금연인구도 증가했듯이 지금 부터라도 새롭게 발견되는 유해한 문제들을 많이 알리는게 중요합니다.
@Riton7738
@Riton7738 8 ай бұрын
꾀나? ㅋㅋㅋㅋ 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eter-py5mt
@peter-py5mt 4 ай бұрын
꾀 괴 꽤 꽥 🎉 즐건하루 되 세요.
@bitsun286
@bitsun286 4 ай бұрын
"꾀나"가 아니고 "꽤나"
@bitsun286
@bitsun286 4 ай бұрын
"꾀나"가 아니고 "꽤나"
@dcbs1549
@dcbs1549 10 ай бұрын
일상 생활속에서의 유용한 건강정보 감솨해요👍
@user-uo8mr6kw8v
@user-uo8mr6kw8v 10 ай бұрын
네 알고 있습니다. 오늘도 유익한 정보 영상 감사합니다 ^^
@TAE-SEO-KIM
@TAE-SEO-KIM 10 ай бұрын
영상 내용 굉장히 유익했습니당🙏
@user-qt7er1ge4d
@user-qt7er1ge4d 8 ай бұрын
개인텀블러사용을 생활화해야할 것 같아요!환경도 살리고 건강도 찾고!! 일석이조!
@user-dj1ny8ph9i
@user-dj1ny8ph9i 10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younhopark8252
@younhopark8252 9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많이 만들어주셔서ㅜ감사합니다.이비인후과 개원의인데 딸셋 키우면서 가급적 일회용 용기음식 컵라면 안먹이려고 노력하지만 애들이ㅜ어려서 이해시키기가 힘들긴 하네요. 슬라임도.건강에 안좋다고 논문을 어디서 본것같은데 혹시나 영상만들어주시면 애들교육용으로 좋을듯해요..안전하게 아이들키우기 힘든 세상입니다
@seyoung5634
@seyoung5634 9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전해주셔서 감사해요. 저도 몇 년 전에 나노 플라스틱 관련 다큐 보고 놀라서 항상 텀블러 가지고 다니고 집에 플라스틱 반찬통도 다 유리용기로 바꿨어요 ㅠ 20대 때 생리통으로 화장실에서 졸도한 적이 있어서 병원에서 호르몬 검사도 하고 한약도 먹고 고생하다가 지금은 거의 괜찮아졌는데... 성장기에 환경호르몬 물질, 유사호르몬 물질에 노출되는게 특히 여자아이들의 난소나 자궁의 정상적인 발달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ㅠㅠ 물론 사람마다 개인차는 있겠지만요... 모두 환경보호도 보호지만 건강을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야 할것 같아요 😊
@fluteforever82
@fluteforever82 8 ай бұрын
저는 환경을 위해 텀블러 사용중인데요. 어깨와 팔목이 아파지기 시작했답니다😊 삶이 모든걸 완벽히 지키기는 어려운거 같지만 스트로우도 줄여야겠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babytv9162
@babytv9162 8 ай бұрын
잔소리처럼 흘려들었던 말들이였는데 다시한번 잘 각성시켜주셔서 감사해요1회용용품은 뜨거운물 부을때만 문제되는줄 알았는데 찬물일때도 문제가 되는거였네요 그리고 플라스틱 반찬통 많이들 쓰는데 유리로 바꾸어야겠네요 일회용 정말쓰지않도록 노력해야겠네요 감사요^^
@user-oo4le8zf3e
@user-oo4le8zf3e 10 ай бұрын
의사선생님, 감사드림니다.
@jungyushin1206
@jungyushin1206 10 ай бұрын
수도배관 자체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요..산속에 살면서 다 자급자족하지 않는 이상 미세플라스틱을 안 먹을수가 있나? 수도배관 가정용 배관 pb쓰고 공공용도 강화pvc 쓸텐데 그냥 산속에 살아야 될듯...
@user-xi7lw6sd4o
@user-xi7lw6sd4o 10 ай бұрын
모르면 몰라서 그랬다치지만 알고난 뒤부터는 실천이 중요하죠. 병은 먹는데서 반, 운동부족 등 나머지에서 반이라고 봅니다. 말씀하신거 저는 많은 부분 지키고 있는 편인데 더 지키도록 해야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niagarau9377
@niagarau9377 10 ай бұрын
생수병까지?? 먹을게 하나도 없네 ㅠㅠ. 어떤 생명과학자의 강연을 보니 미세 플라스틱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만연되어 있지만 미세 플라스틱의 대부분은 떵으로 배출 된다고 하네요. 그렇지만 티백을 뜨거운 물에 담가서 우릴 때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보다 입자가 더 작은 초미세플라스틱(나노플라스틱) 같은 경우는 배출이 잘 안된다고 하네요. 그래도 미세플라스틱도 다 배출이 되는 건 아니기 때문에 최대한 덜 먹는 게 최선 ㅠㅠ.
@yaong2292
@yaong2292 10 ай бұрын
선생님 너무 좋아요❤
@user-bt3zj1hm1e
@user-bt3zj1hm1e 10 ай бұрын
이런 의사쌤들 유투버들이 해주는 말에,,,, 꼭 우리할아버지는 믹스커피 매일 마셔도 90까지 장수함!!!!! 이런 댓글 좀 제발 그만 달았으면 좋겠다 그럼 인간이 왜 살아 힘들게......... 어차피 다 늙어서 죽는건데!!!! 사람이 병걸리지 않고,,,,건강하게 살자는게 제일 중요한 팩트이지~~~~~ 어릴때부터 공부 열씨미해서 의사된거구 다들 잘 알자나요!!!!~~~~ 우리모두.......학교다녀봐서 공부 잘하는게 얼마나 힘든건지 솔직히,,,,,초중고 졸업해도 주변에 의사된 친구들 잘 없는게 현실인데.......... 우리에게 나쁜거 전하는것도 아닌데 좋게 좋게 받아들이면 되는거지~~~~~ 난 의사쌤들 이런 유투버 해줘서 진짜 좋은데~~~얼마나 좋은 세상이야!!!!!
@100613s
@100613s 3 ай бұрын
우리 할아버지는 커피 담배 술하시고 95세까지 장수하셨는데요
@insoonlee1160
@insoonlee1160 10 ай бұрын
혹시 우유팩도 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될까요??? 발암물질에 대한 좋은 정보 넘 감사합니다^^
@rjemsdh8407
@rjemsdh8407 10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zc8jh6qz8h
@user-zc8jh6qz8h 10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fourseasonshealing
@fourseasonshealing 4 ай бұрын
❤집안에 암환자 분들이 많아 늘 걱정하며 주의하며 일상 생활 중인데 😂 이렇게 선생님께서 세세한 부분까지 짚어주시며 설명주셔서 많이 배웠습니다. 앞으로 더 안전한 생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ldeumhae
@ldeumhae 10 ай бұрын
반찬가게에서 쓰는 용기도 문제가 많죠 귀찮게 번거럽게 내손으로 해서 먹고 사는게 최고라고 생각해요
@SINsinSINsin.-.
@SINsinSINsin.-. 10 ай бұрын
우연히 보고 구독하여 모든 영상 봤어여. 건강할 때 꼭 지켜야겠어요!!!
@user-hz2uh8st2c
@user-hz2uh8st2c 10 ай бұрын
오래 살겠네~~ 담배를 않피우신 외할아버지는 65세에 돌아가셨고 필터가 아닌 곰방대로 담배를 많이 피우신 친할아버지는 80후반에 돌아가셨는데 어떻게 설명 할것인가? 당시에는 생수병도 없었고 커피도 흔치않았고 플라스틱도 흔치 않았고 종이컵은 보지도 못했다.
@Awesome-im1sf
@Awesome-im1sf 10 ай бұрын
커피콩 로스팅 하는게 사실 굽는걸 넘어서 살짝 태우는거긴 하고 커피 쓴맛도 까놓고 말해서 탄맛인거긴 하죠 탄건 발암물질이고 고기도 심하게 탄부분은 잘라먹는게 당연하듯 생각하니 ㅋㅋ
@JakeKim.
@JakeKim. 10 ай бұрын
이쁘고 똑 소리 나는 의사쌤임
@user-vy8he4us4j
@user-vy8he4us4j 4 ай бұрын
이쁘지않은데....
@user-ro3xl5oj1e
@user-ro3xl5oj1e 9 ай бұрын
자라면서 어른들에게 "가난한 사람이 병 걸려 죽는 확률이 높더라"는 말을 가끔 들었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그저 금전 문제로 치료를 못 받아서 그렇겠거니 생각했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그뿐만 아니라 오히려 환경호르몬에 더 많이 노출 돼서 그런 건 아닐까 싶네요. 플라스틱 제품을 재사용 할 확률도 높고 생활 제품들이 유리나 스테인레스 보다 저렴한 플라스틱이 많을 확률이 높으니... 뭔가 씁쓸해지는 순간입니다 허허.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rn8di9mi4s
@user-rn8di9mi4s 10 ай бұрын
내게 발암물질은 저따위 커피가 아니라 훈늉한 직장상사, 동료임
@user-vs8qo3ny3g
@user-vs8qo3ny3g 10 ай бұрын
원장님 영상보구선 늘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오늘 대학병원에가서 위,대장 내시경, 복부 초음파 까지 전부 다 예약하고 왔어요ㅎ
@user-yv2qo2qd8y
@user-yv2qo2qd8y 10 ай бұрын
일반물에도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들어있다고 들었어요 정수기로도 걸러지지 않는다구요. 앞으로 환경이 너무나 걱정입니나
@jonghowon5485
@jonghowon5485 10 ай бұрын
가끔은 무식한게 나을수도 있군요 이것저것 신경쓰다 암걸 릴것 같아요 좋은 말씀은 감사합니다만ㅎ
@aurorap3547
@aurorap3547 7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uxury1250
@luxury1250 3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emo-hc5wj
@demo-hc5wj 10 ай бұрын
항상 좋고 유익한 정보 잘 보고 잇습니다❤ 나쁜음식을 먹더라도 알고 먹어야 조금이라도 조심한다고 생각해요
@SY-he1ho
@SY-he1ho 10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rd8pe4py1f
@user-rd8pe4py1f 4 ай бұрын
겨울엔 따뜻한 캔커피가 그나마 직장 다니면서 쏠쏠한 위로가 되었었는데 자제 해야 할것 같습니다 ㄷㄷ 귀찮아도 전용 텀블러를 갖고 가야겠네요!
@johnnyboy9244
@johnnyboy9244 10 ай бұрын
고기 탄 부분 잘라내는 게 아무 소용이 없었다니... 충격이네요
@user-ov5xf8fu2f
@user-ov5xf8fu2f 10 ай бұрын
정수기는 미세플라스틱이없는게아닙니다....정수기 필터나...그안에도 대부분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있어요 나노분자는 어차피 정수기도 100프로 다 걸러내지못해요.....
@iris7996
@iris7996 10 ай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해요 페트병으로 물 마시는데 발암물질 ㅠ
@DJ-mf1gl
@DJ-mf1gl 10 ай бұрын
우물퍼먹어야겠네...😢 숨만쉬고 살아야;;;
@user-yd9kv4iu8y
@user-yd9kv4iu8y 4 ай бұрын
항상 신경쓰면서 조심하는 편인데 자세하고도 정확하게 알랴주셔서 정말정말 큰 도움됐습니다 직화는 연기만 안나게 숯관리 직접 잘할 수 있으면 괜찮다고 봅니다. 숯향은 건강에 양보 못하지요 ㅎㅎㅎ
@user-cc5up3bm1t
@user-cc5up3bm1t 9 ай бұрын
설명 너무 잘들엇어요. 혹시 타파웨어 전자렌지용기도 발암물질이 나오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user-lw3kv6su8m
@user-lw3kv6su8m 10 ай бұрын
와... 종이컵 빨대 생수.. 건강하게 살기 어렵네요 ㅠㅠ
@hannahlee7704
@hannahlee7704 10 ай бұрын
선생님 육아를 하며 정말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개인적으로 아이들 플라스틱 장난감은 엏마나 안좋은지 저렴한것과 브랜드 제품도 비교해주셔도 좋고 브랜드도 시간이ㅜ지나면 문제가ㅜ있는지도 알려주시면 너무 좋을것 같아요 그리고 프라이팬은 어떤것을 쓰시는지 공유해즈시먼 너무 좋을것 같아요^^❤
@kimsusan9063
@kimsusan9063 8 ай бұрын
저는 주물팬과 스탠팬을 사용하구요 나무주걱과 스탠 주걱을 사용합니다😊
@user-vx1cc5cl9z
@user-vx1cc5cl9z 6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qp3lb8pg7v
@user-qp3lb8pg7v 10 ай бұрын
좋은정보감사합니다
@joshpark.yhp.6779
@joshpark.yhp.6779 4 ай бұрын
와 꿀팁 감사합니다 앞으로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제품 사용 최대한 자제해야겠네요
@user-cr3gm4lc8s
@user-cr3gm4lc8s 10 ай бұрын
40년 아침마다 마시던 커피 끊었습니다. 생각보다 쉬워요. 요즘은 녹차나 보이차 마십니다.
@a_living_legend
@a_living_legend 10 ай бұрын
스트레스도 모든 병의 원인이 되는거 같습니다.
@top10forfun
@top10forfun 5 ай бұрын
일회용품은 발암 물질 이전에 환경 보호 차원에서 사용을 자제하자는데는 동의합니다. 그 외 짚어주신 부분들. 식약처에서 나름 기준을 세우고 용기 사용을 허가한 것 일텐데...이렇게 예민하게 반응하다가는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발암이 될 확률이 더 클 것 같습니다.
@Oreo_Holic
@Oreo_Holic 10 ай бұрын
그래도 어느정도는 신경쓰겠지만... 바쁜 현대인이 지키기에는 너무나 빡세보이네요 ㄷㄷ 술,담배 끊거나 줄이고 매년 꾸준히 건강검진 받는게 제일 중요한듯 보통 큰병은 병원 안 가고 참다가 생기더라
@user-il4ob5wq1c
@user-il4ob5wq1c 10 ай бұрын
저도 오늘 영상은 안본걸로 하겠습니다😢
@toitoi515
@toitoi515 10 ай бұрын
저도 ..
@user-tz1og7iy2p
@user-tz1og7iy2p 10 ай бұрын
저도요. 식후 점심엔 늘 먹는데요ㅜㅜ
@user-ii4jh9of6y
@user-ii4jh9of6y 10 ай бұрын
커피 대신 시원한 녹차 로 바꿨습니다
@user-br4kp6sg2d
@user-br4kp6sg2d 10 ай бұрын
모두 암병동에서 서로 찡그리며 인사하게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skdidufjfndbde
@skdidufjfndbde 10 ай бұрын
​@@user-br4kp6sg2d사이코패스인가 ㅉㅉ
@daydream2291
@daydream2291 10 ай бұрын
고기는 태우는게 나쁜데.. 커피는 태워도 괜찮은가요? 원두를 새까맣게 태우는게 로스팅인데...ㅠ 식용 씨앗이나 콩종류 중에서 커피원두만큼 태우다시피 볶아먹는 것은 잘 못본것 같아요. 참깨나 들깨도 너무 볶아서 기름짜면 몸에 나쁘다잖아요.
@mensa4553
@mensa4553 10 ай бұрын
건강에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그렇다고 전혀 안먹을순 없고 지금보다 반 정도로 줄이는 걸 목표로 삼아야겠어요.
@user-ir3yc8cr5t
@user-ir3yc8cr5t 10 ай бұрын
물질보단 사람땜에 받는 스트레스에 암이 생길것 같아요~
@user-zo3rp1lc3m
@user-zo3rp1lc3m 10 ай бұрын
매주 캠핑가서 숯불에 고기 구워먹고 옆 텐트에서 날라오는 각종 탄냄새들을 주말 내내 맡고 공기 좋은 곳에서 힐링하고 왔다고 한다
@heedongjin6362
@heedongjin6362 10 ай бұрын
정수가도 플라스틱으로 주로 만들지 않나요? 생수랑 크게 다를까 싶은데
@user-od8oy2zi7c
@user-od8oy2zi7c 10 ай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알고 있는데 실천이 어렵네요. 염색약도 유해하다고 들었어요. 염색약도 다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b592061
@bb592061 10 ай бұрын
정수기 가 녹조 독성을 100% 못거른다고 생수를 사 먹었는데 ... 종이컵은 대신 스텐컵 들고 다녀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
@lulukim1724
@lulukim1724 10 ай бұрын
생수도 방사능 처리하느걸로 알아요 안좋아요 미세플라스틱에. 그냥 수돗물 끓여 먹는게 제일 안전한득
@ahyounglee9908
@ahyounglee9908 9 ай бұрын
와!!! 텀블러 들고 다녀야겠어요!!
@user-fy3xq1vx2w
@user-fy3xq1vx2w 6 ай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텀블러를 더 자주 들고 다녀야 겠어요! 궁금한 것이 하나 있는데요, 브리타 정수기 통 자체도 플라스틱인데 여기에 물내려 마시는데 이것도 발암물질이 녹아 나오는 통인가요?
@user-ez3uu4ty4g
@user-ez3uu4ty4g 11 күн бұрын
와. 이런거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x8hz2er9r
@user-hx8hz2er9r 10 ай бұрын
아....내 몸은 이미 발암물질로 재워졌네..ㅠ,.ㅜ
@bombj01
@bombj01 10 ай бұрын
오늘 하루도 발암물질을 충분히 많이 먹은 것 같습니다 😅
@user-jm2eh4cc7l
@user-jm2eh4cc7l 4 ай бұрын
선생님 유익한정보오늘도잘보고있습니다^^ 궁금한게있는데 혹시 햇반 용기도 플라스틱인데 발암물질이있을까요? 매일먹는 햇반인데 이제부터라도 햇반용기말고 다른용기에 넣고돌리는게 건강에나을지 궁금합니다~!
@kdr4799
@kdr4799 9 ай бұрын
원경쌤~~ 대용량 텀블러랑 작은 텀블러 어떤 제품인지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user-tc9qu8lo4k
@user-tc9qu8lo4k 8 ай бұрын
브리타 정수기물통도 플라스틱인데 괜찮을까요?? 반찬통도 플라스틱인데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ㅠㅠ
@iwanlee9977
@iwanlee9977 10 ай бұрын
커피의 발암물질에 대한 논란은 끊임없이 제기된다 발암물질은 염려할 수준이 안된다는 것이 다른 한편의 연구결과이다 암정복tv 채널의 영상이 분석한 커피의 발암물질에 대한 기우와 편견이 정확하다고 믿는다 발암물질에 대해 염려한다면 그 체널도 한번 시청할 것을 권유한다 그냥 편하게 마시고 싶은 대로 그러나 과하지 않으면 된다는 것이 비전문가이자 일반인인 내가 얻은 결론!
@TAE-SEO-KIM
@TAE-SEO-KIM 10 ай бұрын
구독하였습니다❤
@user-ox4ns1ux7c
@user-ox4ns1ux7c 10 ай бұрын
핫아메리카노도 종이컵에....텀블러 이용해야죠..감사합니다
@lva5276
@lva5276 10 ай бұрын
사탕수수 원료로 만드는 빨대나 친환경 빨대, 재활용 하지 않은 깨끗한 플라스틱으로 만든 빨대는 괜찮은 거죠?
@user-mu6un2vt5h
@user-mu6un2vt5h 10 ай бұрын
선생님 영상감사합니다. 근데 전 철판 요리를 업으로 하는 사람으로써 늘 걱정되는 부분이 연기인데...또 이렇게 콕 집어 주시니 너무 걱정이 됩니다. ㅠㅠ 전 뭘 하고 살아야 하나요...ㅠㅠ
@Nathan21954
@Nathan21954 10 ай бұрын
말씀하신 반찬통 역시 대부분이 플라스틱이라서 찾아보니 유리, 도자기, 알루미늄, 스텐 정도가 있는데 유리, 도자기는 거의 뚜껑이 플라스틱 아닌 게 없습니다. 스텐으로 된 것은 그나마 뚜껑까지도 스텐으로 된 것이 있네요. 그래도 대부분은 플라스틱 뚜껑입니다. 뚜껑까지 스텐인 것은 찾기가 힘드네요. 있긴 있는데 한페이지당 1개 있을까 말까 한 수준입니다. 스텐 반찬통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는 게 맞을까요?
@prince-aladdin
@prince-aladdin 10 ай бұрын
틀린말 하나 없네요.. 이 좋은 정보를 비꼰다는건 지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eunnarae529
@eunnarae529 8 ай бұрын
개인용 텀블러 스테인리스 연마제 발암성분과 주방세제로 인한 수질오염 및 미처 세척되지 못한 남은 세제 성분, 특히 여러번 사용한 텀블러 입대는 부분이나 잔 흠집 사이에 잔존하는 세제나 세균은요? 우리나라의 경우 일회용품은 그래도 대부분 안전히 소각되는데 오히려 백번 안쓰고 버리는 텀블러가 더 치명적입니다.
@user-rz5lw7sr1g
@user-rz5lw7sr1g 10 ай бұрын
텀블러 안에 쇠성분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miniminikang
@miniminikang 10 ай бұрын
구분이 좀 모호해서 문의 드립니다 그럼 코팅 된 플라스틱 제품을 거의 기피한다는 목적이면 마트에서 파는 각 종 음료 제품 용기나 요거트 포장 용기 등등 전부 포함되는건가요? 우리가 잘 아는 단지 바나나우유 용기 등 전부요. 형태는 생수병이나 크게 다를거 없다고 판단되어 문의드립니다
일어나자마자 하는 '이 습관'이 당신의 암을 사라지게 합니다
13:18
암 찾는 의사 이원경
Рет қаралды 518 М.
안아프고 오래살려면 이 음식은 먹지마세요! | 암이 좋아하는 음식들
14:02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위를 빠르게 망치는 최악의 식습관! 이렇게 밥 먹다간 병원갑니다!
15:55
진짜ADHD와 가짜ADHD의 결정적 차이는? ADHD핵심증상 완벽 정리..!!!
16:18
Накликал себе на машину!
0:31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Туры по Дагестану +7964-005-47-90
0:15
ALIBEKOV TOUR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СКИДКА ПЕНСИОНЕРАМ #shorts
0:18
Ekaterina Kawaicat
Рет қаралды 93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