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40부] 히말라야의 나라 네팔, 인도의 갑질로 국경이 두 번이나 봉쇄당한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98,189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Күн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
www.yes24.com/Product/Goods/11...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인도 #네팔 #히말라야 #셰르파 #인도여행 #네팔여행 #중국
🌎타임코드🌎
00:00 인트로
00:38 인도와 네팔의 관계
06:52 네팔과 주변국의 관계
11:19 인도의 네팔 영향력
14:41 네팔 정치에 꾸준히 개입하는 인도
21:42 주변 국가들 사이에서 우위에 선 인도
23:54 네팔, 인도의 그늘에 있는 국가?

Пікірлер: 80
@globelab
@globelab Ай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458454 www.yes24.com/Product/Goods/118380449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인도 #네팔 #히말라야 #셰르파 #인도여행 #네팔여행 #중국 🌎타임코드🌎 00:00 인트로 00:38 인도와 네팔의 관계 06:52 네팔과 주변국의 관계 11:19 인도의 네팔 영향력 14:41 네팔 정치에 꾸준히 개입하는 인도 21:42 주변 국가들 사이에서 우위에 선 인도 23:54 네팔, 인도의 그늘에 있는 국가?
@user-hu1cu3wr1v
@user-hu1cu3wr1v Ай бұрын
이 교수님 나오시는 영상은 늘 두번 듣습니다. 오늘 두번째 듣는데도 엄청 재밌네요. ❤❤❤ 교수님 화이팅!!!
@user-rp6ui2ip6l
@user-rp6ui2ip6l Ай бұрын
울 박사님 최고 두 박사님 초고
@user-je6nh2ue5g
@user-je6nh2ue5g Ай бұрын
토요일 오전이 기다려지는...이광수 교수님❤의 인도이야기 오늘도 잘 들었습니다 교수님의 구수한 어휘들~~ 귀에 촥촥 감기네요😂
@seaname1
@seaname1 Ай бұрын
네팔과 비슷한 위치가 몽골이 있지요. 몽골이야기 가끔 들었던것이 영상보면서 계속 연상되었습니다.
@user-kd3xg1gm2o
@user-kd3xg1gm2o Ай бұрын
균형을 잡아주는 최준영박사님의 매끄러운 진행 배웁니다
@jhpark2480
@jhpark2480 Ай бұрын
교수님강의 계속 해주세요!!
@youngjoochang3574
@youngjoochang3574 Ай бұрын
전문가의 깊은 지혜에 늘 감사드립니다.
@user-gx2in9xt1s
@user-gx2in9xt1s Ай бұрын
이광수교수님 이야기 정말 재미있습니다❤
@user-uy1bz6jc8q
@user-uy1bz6jc8q Ай бұрын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한반도에관해 한말이 생각납니다 감사합니다
@user-lc7fi2lp1b
@user-lc7fi2lp1b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박사님들
@yongkim2118
@yongkim2118 Ай бұрын
박사님 인도가 네팔 국경 봉쇄를 90년대 부터 2천년대 초반까지도 자주 했었는데요 짧게는 1주일에서 길게는 1달까지해서 저도 피해를 조금 봤는데요 일단 가스부터 없어서 밥을 해먹을 수가 없어서...😅😅😂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haha777
@user-haha777 Ай бұрын
네팔에 중국자본많이 들어가더군요.저수지나 댐도 중국이 놓았다하고 10년전보다 포카라에 중국인 상인들이 엄청 많아짐.중국인들은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니 중국인들이 상권장악중.
@user-mz8rh3tl1t
@user-mz8rh3tl1t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ㅎㅎ
@user-cz8nf7em4i
@user-cz8nf7em4i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토지개혁에 성공했던 게 신의 한 수네
@sunkichoe4447
@sunkichoe4447 Ай бұрын
교수님, 네팔 공산당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인가요? 언제나 열성으로 보내주시는 두 분 대담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hkkim3528
@hkkim3528 Ай бұрын
설명에 간단히 언급되네요. 인도공산당(막시스트) 활동하다 인도공산당(마오이스트)분파가 분리되고 그 인도공산당(마오이스트)가 네팔공산당에 영향을 미쳐 네팔공산당(마오이스트)가 활동했다고...
@sunkichoe4447
@sunkichoe4447 Ай бұрын
hkkim3538님,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잠시 교수님 설명 말씀을 놓쳐서 듣지 못했습니다. 감사합니다
@Hhhappy1234
@Hhhappy1234 Ай бұрын
우리 교수님 상당히 매력적이세요. 지금보니 손흥민도 닮으신듯요😂😂😂
@user-bw2kf8ep9e
@user-bw2kf8ep9e Ай бұрын
박사님.. 꾸부덩~~^^
@cslee5612
@cslee5612 Ай бұрын
구독자 50만 명을 향해 아자! 아자! 파이팅!
@temujin88
@temujin88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qordn100
@qordn100 Ай бұрын
진짜 지옥의 위치네요. 중국과 미국에 둘러쌓인....
@user-gq3bo1cq8t
@user-gq3bo1cq8t Ай бұрын
세계는 진짜 약육강식의 정글이군요..
@user-zs7qm3uf1q
@user-zs7qm3uf1q Ай бұрын
인간관계에서도 약세보이면 졸나게 조지는데 국가관계에서 부처님, 공자님처럼 대한다는건 순전히 외교수사, 사기죠!.....ㅋㅎㅎㅎㅎ
@snskor
@snskor Ай бұрын
포용하면 더 자신한테 가까이 다가오고 자기편으로 만들수 있고 더 다루기 쉬울텐데.. 왜 강하게 대하여 적만 만드는지 모르겠네 중국과 인도가 그런상황
@funorak
@funorak Ай бұрын
진짜 인도는 알면 알수록 모르겠네 14억을 가진 나라가 왜 동네 골목대장 노릇만 하는지 세계를 지배할 생각은 없고 골목대장만 한다? 모르겠다
@user-sg9xu4bo1y
@user-sg9xu4bo1y Ай бұрын
인도를 어설프게 경험을 해 본 저의 생각으로는 사회 구조적인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 아닌가 하네요. 지금은 없어졌다라고 하지만 아직 살아있는 신분제도가 가장 큰 문제인거 같고 그 다음으로는 오랜 기간 지배를 당하며 능동적인 사고보다는 수동적인 사고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했다는게 제 눈에는 좀 보이더군요. 이게 신분제도와도 연결이 되는거 같기도 하구요. 다음으로는 지방정부의 힘이 강력해(토호세력들의 힘이라고 봐야겠지요) 통일된 정책이나 국가 발전을 할 수가 없다라는 부분. 마지막으로는 어마어마한 비리. 일부 소수의 아주 똑똑한 사람들이 있고 그들이 인도를 통치를 하고 있지만 그들이 비리의 온상이며 신분제도를 유지시키며 군림하고 있는 당사자들이기에 지금의 사회체제를 그다지 바꾸고 싶어하지 않는듯 보이네요. 10여년전 인도로 출장을 10여 회 다니면서 제가 껶었던 일들을 생각해 보니 이런 부분들이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user-cy9jq6oy1k
@user-cy9jq6oy1k Ай бұрын
세계를 지배할 능력이되면 충분히갑질하고 힘을 과시하려고 할 겁니다 지금이야 골목대장위치라서 그 정도 설치는거구요
@funorak
@funorak Ай бұрын
​@@user-sg9xu4bo1y 그렇군요 음~ 직접 인도를 경험해 본 분의 글이라 와닿네요 감이 좀 잡힙니다.
@strusinskakasia2831
@strusinskakasia2831 Ай бұрын
당장에. 파키스탄 국경 지키기도 버겁고. 그리고 이웃국가가 중국. 또 머지 않게 러시아가 있으니 꿈꾸기 어려움
@kasasagi-kun
@kasasagi-kun 12 күн бұрын
거칠고 투박한 말투 좋다
@ciryu1198
@ciryu1198 Ай бұрын
행복지수 일등 이라고. 대한민국 은 왜 이지경 이냐고 난리친 사람들 많았지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세계어디도 무섭지만 서구중국인도동남아가 그중에서도 특히 그 북방계가 무서운 것 같음. 이들이 추축세력이 되서 다음차대전 일으킨다면 미주대륙도 이들편들기 쉬워 보여 모를 것 같음. 러시아중동아프리카도 억압착취 있으나 거대규모 계급서열주의와는 거리 먼 느낌.
@user-fh5wk2oh2f
@user-fh5wk2oh2f Ай бұрын
아 꿀맛
@user-dk8xw5xv6j
@user-dk8xw5xv6j Ай бұрын
몰디브한테도 갑질하던데 인도가
@user-kb7hr8uz1q
@user-kb7hr8uz1q Ай бұрын
인도. 시킴 꿀걱
@jaejinkorea
@jaejinkorea Ай бұрын
전형적인 인도인.. 주위사람들은 신경도 안쓰는데 지 혼자 자기가 젤 위에 있는것에 집착함 카스트제도의 폐혜인가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Ай бұрын
저러면 네팔이 인도를 철 천지 원수로 알텐데...
@hanbyeongyeob
@hanbyeongyeob Ай бұрын
미국 영국과 전쟁한 나라는 전후복구 사업이 없는 이유는 도로, 교량, 항구, 공항 파괴에 이어 민간인 거주 지역 주택과 상가를 철저히 파괴하여 기반 산업과 시설을 폐허로 만들어 전후복구할 여력이 없이 때문입니다. 침략한 나라를 원시 시대로 만들어 버리니 자금도 없고 당장 먹고 살기 힘들어 전후 복구 사업을 할 수 가 없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우크라 수조원 지원하는 명분이 전후복구 사업 참여인데 우크라는 산업 기반이 농업이라 자금이 없어 참여국의 공짜 사업입니다. 우리 혈세 수십조원 투입하여 공짜로 해주는 사업입니다. 미친겁니다
@user-mz4qk1kv5l
@user-mz4qk1kv5l Ай бұрын
왕오천축국전을 보셨나요 여행을 긑내고 마지막 부분에 어머니가 계시는 고향집 돈황에 가야겠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잘생각해보세요
@user-db2mm7og6f
@user-db2mm7og6f Ай бұрын
신라가 대륙에 있었다는 말.
@user-db2mm7og6f
@user-db2mm7og6f Ай бұрын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같은 족속, 기대 할 게 없다.
@anej4710
@anej4710 Ай бұрын
인도는 동네깡패였군요
@LD-fr2wz
@LD-fr2wz Ай бұрын
3빠
@user-yd5jx5pq4x
@user-yd5jx5pq4x Ай бұрын
중국이 히말라야 산맥을 뚫어 네팔 카트만두까지 고속도로를 놓을려 한다는데.... 그게 뚫리면 인도의 영향력은 줄어들고 네팔은 중국권이 될것임.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Ай бұрын
이미 놓앗음
@user-gs4fo3br6g
@user-gs4fo3br6g Ай бұрын
인도의 엄청난 반대에도 희말라야 산맥철도터널이 뚫려 있고 개통이 되면 중국대 네팔 인도무역은 해상에서 육지로 이동되면서 인도의 전통세력범위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할수 있음
@meaculpa938
@meaculpa938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로 북한핑계로 oecd국가중 난민 인정률이 압도적 꼴찌로 알고있어요. 그러니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이 경제규모에 비해서 형편없이 말빨이 안먹히는 나라죠
@ori5581
@ori558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말하는거? 난민은 너거 집에나 들여라..
@jaejoonkang3429
@jaejoonkang3429 12 күн бұрын
뭔가 대단히.잘못알고 있는것 같아 알려드립니다. 북한이.핑계가 아니고 언제든 무너질 국가라 유사시 한국은 천만명에 달하는 대량난민을 단독으로 받아야합니다. 핑계는 확률이 낮을때 얘기죠. 수년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한국의 난민수용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는 극히 소수입니다.
@pyungobon8164
@pyungobon8164 27 күн бұрын
무자격 이나 불법 이나 제발 미사구어좀. 쓰지마세요
@user-xf3fm9th5m
@user-xf3fm9th5m Ай бұрын
1950년에 독립 나와서 얘기하려면 정확히 확인하고 떠들으시오. 확인없이 믿음없이 떨들으니...
@vaughansung
@vaughansung Ай бұрын
인도박사님 , 진짜 알고 싶은게 있는데요 강간을 예술화 상식화 보편화 살인화로 발전시킨 인도에 일본 한국 여자들이 혼자서 배낭여행을 가는 이유가 뭔가요? 저가 현지에서 보고 느낀것이랑 다를까요?
@user-hh1ph8cg4t
@user-hh1ph8cg4t Ай бұрын
한국와서 노동해
@user-rz9tj5fd5c
@user-rz9tj5fd5c Ай бұрын
중국이나 인도가 주변국들 한테 행동하는거 보면 미국은 진짜 양반임
@xiandi
@xiandi Ай бұрын
미국이 남미에서 한짓 모르네,역사 좀 배우시지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Ай бұрын
중국이 진짜 양반이지... 개한민국이 아무리 깝쳐도 냅두지...바꿔서 미국이라면 지도에서 한국을 지워버림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서구권이야 뭐 인권법이 있어 법적보호 받는다지만 그 인권법도 요즘 법률만능화 되 조심해야되보임. 때리는 시늉 만으로 폭행죄면 법률만능이지 법치라 하기 곤란. 보수의 고대사회도 때리는 시늉만으로 뭐라는 거 진보도 따라해 똑같아져 감
@user-bf2bj8lj3d
@user-bf2bj8lj3d Ай бұрын
네팔에 있던 부탄 난민 10만명을 미국이 75,000명 데려가고 다른 국가들도 13,000명 데려갈때 대한민국은 한명도 안받아들였습니다. 대한민국은 엉뚱한 예멘난민이 아니라 필리핀의 코피노라던지 미얀마의 민주화 난민을 받아들였으면 좋겠습니다. 종교도 이슬람이 아니라 각각 필리핀은 카톨릭, 미얀마는 기독교, 불교라 동화도 쉬울거에요.
@hhkwon
@hhkwon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이미 북한 난민들 많이 받고 있어서 타 국가 난민 받는데 여력이 없기도 하고 난민 받으면 다 세금입니다. 님 집에서 님 비용으로 같이 사실래요?
@user-bf2bj8lj3d
@user-bf2bj8lj3d Ай бұрын
@@hhkwon 이미 아이하나 낳을때 1억씩 씁니다. 항공권 정도만 지원해주고 임대주택 처음에 넣어둬도 1인당 1,000만원 이하에 해결볼 수도 있어요.
@ori5581
@ori5581 Ай бұрын
​@@user-bf2bj8lj3d난민 느그집에나 들여라
@AhnNoMon1976
@AhnNoMon1976 Ай бұрын
💙 *겸손한 자는 먹고 배부를 것이며, 하나님을 찾는 자는 그를 찬송할 것이라!! 너희 마음은 영원히 살지어다...* 🧡 *땅의 모든 끝이 하나님을 기억하고 돌아오며, 모든 나라의 모든 족속이 주의 앞에 예배하리니,* *모든 나라는 창조주 하나님의 것임이로다...* ❤️‍🩹 *세상의 모든 풍성한 자가 먹고 경배할 것이요, 자기 영혼을 살리지 못할 자도 다 그 앞에 절하리로다...* 😊 말씀을 읽은 당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아멘!!
@user-ic7qg8oe9z
@user-ic7qg8oe9z Ай бұрын
이런 네팔을 보고 한 때 행복지수 1위라고 하던 돌팔이 시민 단체와 그걸 던 깨시민은 이걸 보고 뭐라고 생각할까?
@KW-zb3sf
@KW-zb3sf Ай бұрын
네팔이 아니고 부탄 아니냐? 그리고 그걸 떠들던 애들이 2찍들이야 등신아 힘들어도 행복하게 살라고 가스라이팅 하면서...
@gmania2k
@gmania2k Ай бұрын
그건 네팔이 아니라 부탄입니다
@user-ci8oj3pt5c
@user-ci8oj3pt5c 9 күн бұрын
토트넘 손흥민 미래모습ㅎㅎ
@user-vs9zq3go2g
@user-vs9zq3go2g Ай бұрын
굥이랑 인도총리 바꿉시더
@santa_helper
@santa_helper Ай бұрын
전과 4범 자살 당한 사람들 위에 군림한 찢이나 바꾸자 ㅋㅋ 음주운전 잘 하나봐? 범죄로 보지도ㅠ않구나 ㅋㅋ
@user-ho6fe1cx5t
@user-ho6fe1cx5t Ай бұрын
서구 전체가 악의 축입니다 100% 민주빙자 처 하면서 무고한 분들 죽이는 서구의 범죄를 용서하지 맙시다
[인도 36부] 스리랑카가 초강대국 사이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
37:22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92 М.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인도 38부] 미국도 손절한 아프간, 왜 인도는 포기 못할까?
34:42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127 М.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333 М.
닥쳐오는 중국 식량안보 위기, 무엇이 가장 문제인가? [농업 13부]
59:03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517 М.
미국 모래 뭐가 다르길래? 중국 반도체가 쩔쩔매는 이유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28:17
[몰아보기] 강성용의 남아시아 인사이드 (인도) 6~10화
3:03:25
삼프로TV 3PROTV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중동에도 '핵 도미노' 올까? 이란의 핵무기 사용 집중 분석! [이란 핵개발 특별편]
3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