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시즌1 최종화] 식민지였는데요..? 인도가 식민지배 당했어도 영국을 좋아하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119,149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Күн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
www.yes24.com/Product/Goods/11...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인도 #인도역사 #모디 #세계사 #역사 #영국 #식민지 #근대화 #식민지배
🌎타임코드🌎
00:00 인트로
00:55 인도 근대사 궁금증 탐구
03:09 인도-영국의 식민지배 역사
18:15 인도와 토후국
25:41 인도의 식민지 근대화론
35:58 영국의 인도 통치방법
40:40 힌두 민족주의의 시작
47:55 인도가 문서를 좋아하게된 배경
52:00 인도의 1차 세계대전 참전
56:24 칼리프 복원 운동
01:00:52 영국의 이슬람 악마화
01:08:46 힌두와 무슬림의 선거
01:13:11 간디의 전술
01:19:14 간디가 산업화를 지연시켰다?
01:21:49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갈등
01:26:22 앞으로의 인도는 어떤 모습?
01:33:05 인도 시리즈를 마무리하며

Пікірлер: 322
@globelab
@globelab 18 күн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458454 www.yes24.com/Product/Goods/118380449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인도 #인도역사 #모디 #세계사 #역사 #영국 #식민지 #근대화 #식민지배 🌎타임코드🌎 00:00 인트로 00:55 인도 근대사 궁금증 탐구 03:09 인도-영국의 식민지배 역사 18:15 인도와 토후국 25:41 인도의 식민지 근대화론 35:58 영국의 인도 통치방법 40:40 힌두 민족주의의 시작 47:55 인도가 문서를 좋아하게된 배경 52:00 인도의 1차 세계대전 참전 56:24 칼리프 복원 운동 01:00:52 영국의 이슬람 악마화 01:08:46 힌두와 무슬림의 선거 01:13:11 간디의 전술 01:19:14 간디가 산업화를 지연시켰다? 01:21:49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갈등 01:26:22 앞으로의 인도는 어떤 모습? 01:33:05 인도 시리즈를 마무리하며
@user-ti3bl8dx2h
@user-ti3bl8dx2h 17 күн бұрын
😊😊😊😊😊😊😊😊😊😊😊😊😊😊😊😊😊😊😊나 😊ㅂ😊😊😊😊😊😊나 ㅂㅂㅂㅂㅂㅂㅂㅂㅃ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ㅃㅃ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ㅃㅂㅂㅂㅂㅃㅂㅂㅂㅂㅃ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ㅂ
@user-ti3bl8dx2h
@user-ti3bl8dx2h 17 күн бұрын
ㅂㅂㅂㅂㅂㅂㅂㅂㅂ
@user-ti3bl8dx2h
@user-ti3bl8dx2h 17 күн бұрын
@user-ti3bl8dx2h
@user-ti3bl8dx2h 17 күн бұрын
ㅂㅂ
@user-ti3bl8dx2h
@user-ti3bl8dx2h 17 күн бұрын
ㅂㅂ
@gangesh59
@gangesh59 16 күн бұрын
이광수입니다. 그동안 시청해주신 모든 분께 크게 감사드립니다. 아래 어떤 분이 댓글로 다셨듯, 일부 댓글이 너무 '드러워' 대부분의 좋은 댓글에 대해 감사 말씀을 드리지 못해, 결국 예의를 다하지 못했네요. 좋은 기회가 만들어져 다시 뵐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때가지 건강하고 편안한 하루하루 이어지기를 빕니다. 모두들 안녕히 계십시오. 고맙습니다.
@ChrisTennis
@ChrisTennis 16 күн бұрын
감사했습니다, 악플 신경쓰시지 마세요, 세성은 넓고 이상한 사람들은 많습니다 😂
@redbolt75
@redbolt75 16 күн бұрын
그동한 수고하셨습니다. 좋은 정보 많이 얻었습니다.
@hhkwon
@hhkwon 16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인도에대해서 조금이나마 더 알 수 있는 시간이였어요 1년이나 되었다니 1년동안 꾸준히 영상 올려주신 지구본연구소 팀과 최박사님 이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
@user-rb7oo4ue5z
@user-rb7oo4ue5z 15 күн бұрын
참 요즘보면 우리나라사람들 중국은 그렇게 혐오하면서 히는짓은 중국보다 더더러운거같아요 ㅋㅋ
@bonhyokoo1460
@bonhyokoo1460 15 күн бұрын
저도 델리대학교 졸업생입니다..까마득한 후배인데 교수님 덕분에 제가 모르던 인도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 깨닫게 됬네요. 너무나도 유용한 컨텐츠 감사했습니다.
@sunghyunjoe2772
@sunghyunjoe2772 17 күн бұрын
오랜시간동안 인도에 대해 잘 설명해주신 이광수교수님과 이런 자리를 만들어 주신 최준영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인도사람들은 우리와는 사고하는 방식과 상황에 대한 인식이 아주 다르다는 말씀을 잘 들었고 저에게도 다른 문물을 접할때 넓은 마음으로 봐야 한다는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이광수교수님과 최준영박사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user-bx1mz2mw3j
@user-bx1mz2mw3j 16 күн бұрын
인도직원들과 8년 넘게 근무하면서 몰랐던 사항을 이번 기회로 정말 많이 깨달았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user-pl1tt6bf3m
@user-pl1tt6bf3m 17 күн бұрын
1년동안 들었더니~ 덕분에 인도를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해요.^^
@user-br8uj9oh9h
@user-br8uj9oh9h 15 күн бұрын
주변에 이광수교수님 영상 많이 추천하고 있는데 아쉽네요. 교수님 덕분에 인도에 대해 잘 알게 되었어요. 이상한 댓글 다는 사람들은 무시하시고 다시 뵐 날 기다리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wolfk3893
@wolfk3893 17 күн бұрын
강력한 중앙집권으로 국민정체성이 완성된 한참 후에, 식민지로 침략당한 국가와, 애초부터 국민정체성이 약했던 봉건적/분권화된 느슨한 국가가 식민지로 획득되었을때 반응에는 필연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밖에...
@tmcsjkim
@tmcsjkim 17 күн бұрын
교수님이 이런 맥락을 집어주지 못하고 댓글에서 배웁니다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16 күн бұрын
그것도 있고 영국은 애초에 식민지를 합병하려고 하질 않았음. 지네 인구가 적은 것도 있지만 영국은 세금징수하고 지네 물건 팔 시장으로 식민지를 대했음. 그래서 식민지였는데도 영연방같은게 가능한거임. 일본은 조선을 아예 병합하려고 문화말살을 시도했고 사실 전세계의 제국주의 중에서도 이런 사례는 별로 없음. 일본의 한 짓거리의 잔인함은 나치 독일보다 더 하면 더 했지 절대 덜 하지 않음. 그래서 지금까지 일본하면 치를 떠는거고.
@operationsavekorea627
@operationsavekorea627 16 күн бұрын
@@user-fp6lx6wf7l 왜 한국인들은 역사를 사실파악보다 소설같은 상상으로 이해를 하려고 할까? 일제가 문화말살을 시도한 건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고 미국이 적국이 되는 그런 일제 말기임. 조선은 사실상 중세국가였고 이걸 법과 시스템에 의한 통치로 전환한게 일본이고 일본이야 말로 식민지 경험이 없어서..조선이나 대만 같은 식민지 지역을 일본과 같은 시스템을 이식하려고 했음.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 부으면서... 지금이 한반도 역사 이래 가장 잘 사는 시기이지만 이런 시스템의 출발이 일제시대부터임.. 그 이전 조선이 아니고.. 저 영상 속의 분이 한국역사학계는 일제의 수탈론과 근대화론이 양분되어 있다고 하는데 양쪽이 다 틀렸음.. 한국 역사에서 근대가 언제부터인가, 유럽에서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이 일어나던 그런식의 변화가 한국에선 언제인가? 당신이 그렇게 증오하는 일본에 의해서 시작된 게 맞음.. 이건 단순히 근대화론과는 다른 이야기임.
@LEEkyouho
@LEEkyouho 16 күн бұрын
@@tmcsjkim아는게 많아서 문장 사이사이에 깊고 디테일한 역사적 사실들이 멤도는 것 같아요
@icyvo3593
@icyvo3593 15 күн бұрын
또한 인도의 영국과의 첫 만남도.. 처음부터 외부자였고, 한국과 일본은 수천년간 서로를 인식하고 있었고 병합되기 이전의 가장 크게 치른 전쟁도 일본과의 전쟁이었으니… 전혀 다른 상황 같네요.
@illillilil1697
@illillilil1697 16 күн бұрын
최박사님과 이광수 교수님께 먼저 이런 훌륭한 강의를 방구석에서도 편히 계속 들을 수 있게 해주심에 너무나 큰 감사드립니다. 이게 벌써 1년이나 됐다는게 믿기지 않네요. 저는 인도네시아라는 나라에서 10년 가까이 일하며 살았고, 학생때부터 역사 특히 동남아 역사를 굉장히 좋아했었는데요 (그래서 최박사님 유튜브 영상 곳곳에 관련 댓글을 이것저것 꽤 달았습니다.) 인니 거주시절 직접 이 나라 언어로 우리나라에선 흔히 읽지 못하는 세계사 관련주제들(이슬람, 향신료, 대항해시대, 동인도회사 등등)을 읽으면서 많은 역사적 궁금증을 해결했는데 그럼에도 풀리지 않는 근원적인 문화에 관한 궁금증(우리나라로 치환해서 예를들자면 왜 교회를 다니는데 점을 보러 다니나? 같은)이 전부 인도 문화와 관련이있다는 사실을 이광수 교수님 인도영상들을 보며 알게되어 너무 충격을 받았었고 (생각보다 인도네시아의 전체적인 흐름이 인도와 비슷한게 많더라구요.) 그래서 인지 너무나 재미있게 영상을 봤고 애착이 가네요. 좀 더 일반인 수준에서 댓글에서 달리는 여러 논란들을 역사책 좀 읽어보고 동남아물도 많이 먹어본 일반인의 관점에서 설명을 해보자면, 1. 왜 동인도회사라는 형태로 식민지 지배를 시작했나? 이 대답은 진짜 간단합니다. 영국/네덜란드 두 나라 모두 나라의 이름을 걸고 식민지 개척을 할 여럭이 안되서 그런거죠. 그럼 스페인/포르투갈은 뭐냐? 그러겠지만 그들은 표면적으로 미션전파(기독교세의 확장)를 목적으로 당시 황제나 다름없는 교황의 권위를 등에 업고 식민지 개척을 시작했고 (그러면서 이미 여기저기 많이 털어먹었고)이런 대기업급(?) 땅따먹기 시장판도에서 걔네만큼 규모도 안되는 소위 구멍가게가 시장진입을 목표로 하는거기때문에, 기존 사업모델과는 완전 딴판인 주식회사(로 진입하면서 세금이 아닌 당시 상인들의 코묻은 돈까지 주식으로 박박 긁어모은 형태)로 리스크를 분산시켰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 영국 동인도회사의 원래 목적은 동인도제도(=현 인도네시아 영토)에 있는 값비싼 향신료(정향, 육두구)를 사오는 것이었는데 여길 좀 더 빨리 땅따먹기한 네덜란드한테 완전히 털려서 손절하고 울며겨자먹기로(강력한 왕조=문명도 있고, 여러모로 상대하기 까다로운) 선택과 집중을 한 곳이 인도였는데, 시대가 조금 지나서 향신료 가격은 바닥을 치고 인도에서 나오는 면직물(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면티의 그 원단)이 엄청난 대박을 터뜨리며, 영국과 네덜란드의 미래과 완전히 뒤바뀌는 결과가 나와버립니다, 영국이 노력을 안했다는 건 아니지만 그걸 뛰어넘게 운이 뒤지게 좋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제가 가끔 강의를 할때 이 사례를 예로 들며, 역사에 이름을 남길만한 부자가 되는건 죽어라 노력해서만으론 절대 안되지만, 요즘 젊은친구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뭔가 다 갖춰져서 성공결과가 90% 보장되지 않으면 아예 시작조차도 안하려는 풍토는 잘못된것이다, 그게 저 시절 정화원정(중국)과 동인도회사(영국/네덜란드)의 차이였고, 그게 지금의 미래를 만들었다 라고 설명합니다.
@user-je6nh2ue5g
@user-je6nh2ue5g 16 күн бұрын
뒤늦게 유튜브라는 신세계를 접하고서 늘 아끼고 기대하며 들었던 컨텐츠가 강성용 교수님❤과 이광수 교수님❤의 인도이야기 였습니다 저는 UAE아부다비에 거주중입니다 이 나라의 많은 수를 차지하는 외국인 노동자분들이 서남아시아 출신이여서 그런지...인도를 비롯한 아대륙에 대한 이야기들을 너무나 흥미롭게 들었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자주 만나는 인도,네팔 출신의 이웃들과 더 반갑게 인사도 나누게 되었습니다 시즌1동안 수고하신 이광수 교수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시즌2로 금방 또 만나봴 수 있는거지요? 고대하고 있을께요 다시 봴 때까지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user-ch7bg4jl4b
@user-ch7bg4jl4b 16 күн бұрын
근대화론과 수탈론이 팽팽하게 대치되고 있다니요
@hynerius
@hynerius 17 күн бұрын
인도사 시즌 1이 이번 회로 끝나서 많이 아쉽네요~ 이번 화는 동인도회사, 식민지배를 둘러싼 영국와 인도의 입장 차이나 그에 대한 인도인들의 관념, 간디로 대표되는 근대화에 대한 전통주의(?) 고수 등등의 문제들이 다루어져서 특히 흥미로웠습니다. 그 동안 유익하고 재미난 인도사 이야기를 해 주신 이광수 교수님, 고생 많으셨구요, 또 역시 이광수 교수님을 모시고 저희를 대신해서 궁금한 사항들을 많이 질문하고 매끄러운 진행을 해 주신 최준영 박사님 역시 고생 많으셨습니다. 두 분의 신간이 빨리 나오길 기대하겠습니다. 두 분 모두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user-tcookie
@user-tcookie 16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생소한 인도를 조금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올려진 영상 틈틈이 재시청 하겠습니다. 건강하시고, 또 채널에서 뵙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POST1DAY
@1POST1DAY 17 күн бұрын
저희가 감사합니다 꿈은 이뤄지실거에요^^덕분에 인도에 대해서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닌까요^^
@keongsunko3097
@keongsunko3097 16 күн бұрын
이광수교수님 고맙습니다. 그동안 재있게 잘 들었습니다. 건강 하십시요!😊
@veryover
@veryover 14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다시뵙길 기원합니다.
@user-vf1tn6rn2n
@user-vf1tn6rn2n 14 күн бұрын
이광수 선생님 정보 넘 좋아요, 저 이광수 선생님 책 모두 읽어보려고 다 구해놨어요, 아이 조아~
@madikim
@madikim 17 күн бұрын
시즌1이라는 거에 안심이 되네요.. 1화부터 너무 인상 깊고 나오길 기다리면서 들었던지라 1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는지도 몰랐네요.. 그동안 너무 고생하셨고 재정비(?!)와 휴식 이후에 시즌2로 돌아와주세요! 감사합니다~
@user-hu1cu3wr1v
@user-hu1cu3wr1v 16 күн бұрын
이광수 교수님의 인도 이야기를 즐기고 사랑하는 팬입니다. ❤❤❤
@knowingeverythings9609
@knowingeverythings9609 7 күн бұрын
분명히 좋은 인도사람들도 있을것입니다 외국에서 40년 살면서 많은 인도인들을 사귀어 보았고 그중 한명은 마음을 터놓고 말하는 사이도 되었지만 어느순간 인도인들의 교활한 이기주의및 친구를 자기이익에 이용하여 금전을 얻으려는 것을 보고나서는 연락을 안하게 되더군요 오랜 외국생활에서 느낀것은 중국인은 무대뽀 인도인들은 교활한 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qz7lz6sz1d
@user-qz7lz6sz1d 14 күн бұрын
즐거운 인도 1:35:36 강의 감사합니다.^^🎉
@user-qf7ti2cr1v
@user-qf7ti2cr1v 17 күн бұрын
뇌가 살찌는 시간이었습니다. 교수님.. 건강하셔야 합니다~
@os1300
@os1300 14 күн бұрын
인도 역사까지는 이해하겠습니다 다 좋습니다 지금의 만연한, 당연시되는 성범죄는 어떻게 이해할까요?
@jhpark2480
@jhpark2480 17 күн бұрын
시즌 2 도 바로 해주세요.~ 제일 재밌게 듣는 코너입니다. 어르신 ㅎ이 풀어주시는 얘기에 시간 가는줄 몰라요
@aeyoungheatherly4204
@aeyoungheatherly4204 1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인도에 대해서 많이 배웠습니다
@tnwjddl9189
@tnwjddl9189 15 күн бұрын
좋아요❤
@bklee4637
@bklee4637 15 күн бұрын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vr3hh6ci9h
@user-vr3hh6ci9h 15 күн бұрын
범인에게 서사를 부여하면 안된다는 이유가 바로 이런것인가보다... 변명이 하나의 견해가 되고 이론을 제시해서 악행의 정당성을 제공하게 되므로...
@user-ru5id5zq4v
@user-ru5id5zq4v 14 күн бұрын
무엇보다도 안도사람들이 영국 통치를 좋아하는건 영국치하에서 어째든 인도 아대륙를 통일했기 때문도 있을것 같아요 ㅎㅎ 우리로 따지면 일제시대에 일제가 조선과 만주 통치에 용이하려고 조선에 간도를 통합시켰는데 그대로 조선이 해방이 된 상황같은??
@user-vv6yj4uk3m
@user-vv6yj4uk3m 17 күн бұрын
두분이 얘기하는 것을 보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국에 대해서 갖고 있는 착각을 인도에도 그대로 투영시키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청나라가 소수의 만주족에게 정복당해 지나인들은 식민상태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무굴제국도 소수의 몽골계 사람들이 정복한 정복왕조입니다. 자신의 지배자가 몽골에서 영국으로 바뀐 것뿐입니다. 그러니까 우리와는 달리 인도는 영국에 대한 적대감이 훨씬 적었던 거죠. 그리고 평가도 무굴이 좋았냐 영국지배가 좋았냐이니까 영국이 더 좋았다라는 평가가 나올 수 있는 거죠. 우리와는 전혀 다른 상황입니다.
@saranc595
@saranc595 17 күн бұрын
대신 같은 이슬람인 파키스탄을 무지무지 싫어하죠...
@user-qu1jf9uy3m
@user-qu1jf9uy3m 17 күн бұрын
민족주의 정서가 강해서 그럼 가치판단이 다름
@sejinJ
@sejinJ 17 күн бұрын
울나라 사람들은 근대 인도 이야기할때 영국 욕 많이 하는데 그런 착각을 투영시킨거죠 인도가 영국 때문에 신분제가 강화됐고 부조리가 생겼고 어쩌고 하는 사람들 ㅋ
@user-nicesang3238
@user-nicesang3238 17 күн бұрын
한국사람들이 중국에 대해 착각하고 있는것이 무엇일까요? 궁금하네요.
@user-qu1jf9uy3m
@user-qu1jf9uy3m 17 күн бұрын
@@user-nicesang3238 우리처럼 외세 굴복에 울분을 설치는게 아니라 그냥 윗대가리 지배층이 교체됨 정도의 온도라는걸 말하는듯 사실 중국은 워낙 나라가 커서 3천년 동안 중앙집권국가 - 국가의 쇠퇴 - 군벌난입 - 통일 이역사의 반복이긴 하니 한반도 처럼 왕조가 기본 500년 가는게 아니라 길어야 300년 정도에 받아들이는 온도가 다르긴 하겠져
@Justvibin75
@Justvibin75 15 күн бұрын
As an Indian 🇮🇳,it would have been great if you had English subtitles in your videos so that we can also understand what you were talking about .
@user-xn8kp2cn2l
@user-xn8kp2cn2l 17 күн бұрын
두 분 덕분에 쉽고 편하며 즐겁게 호기심을 채울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교수님 또 방문 해주세요~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17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옛날에는 명나라를 어버이로 모시고 살았고 그다음에는 청나라를 큰형님으로 모시고 살다가 일본에게 혈서까지 써받치면서 충성하다가 미국에 지니깐 하루아침에 그많은 친일파가 치미파로 갈아다서 지금껏 주인인 미국에 충성하고있지 않나여 ... 이나라는 인도보다도 주인이 여러번 바뀌였을뿐이지 충성도는 인도보다 훨씬 강하지요 ...
@user-ko9xi7bj2v
@user-ko9xi7bj2v 12 күн бұрын
"영국이 인도를 지배하는 것은 인도에 있어서도 좋은 일이다." - 카를 마르크스
@gideon4876
@gideon4876 1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덕분에 지식이 많이 쌓였습니다!!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17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pejijell
@pejijell 17 күн бұрын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시간이 아깝지 않은 지구본연구소입니다.^^
@serendipity3077
@serendipity3077 17 күн бұрын
오예 1시간 30분!!! 듣기 전에 미리 감사합니다!!
@wolfk3893
@wolfk3893 17 күн бұрын
워낙 세계를 누빈만큼 실책도 많았지만 영국의 현지파악+Case by Case 유연함은 무시할만한 능력은 아님
@darkhscom
@darkhscom 17 күн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Modfet
@Modfet 17 күн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이랑 다른 인도 하시는 강성용 박사님도 같이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ㅎㅎ 다양하게 듣고 싶어서요
@mapx2100
@mapx2100 4 күн бұрын
강연 잘 들었습니다. 다만, 26:32 에서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는 내용이 문제가 된 거 같네요. 교수님께서 이 부분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시던가 아니면 아예 언급을 하지 않고 갔으면 어땠을까 하네요. 팽팽하게 대립중이라고 하면 마치 식민지 근대화론을 찬성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식으로 들리기 때문이지요. 사실은 그런 사람들은 매우 극소수거든요.
@user-vp4uy2jh7v
@user-vp4uy2jh7v 16 күн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LEEkyouho
@LEEkyouho 17 күн бұрын
영국이 동인도회사를 통해 긴 식민역사를 남기기 이전에 인도는 강력한 중앙집권국가가 사실상 없었고 지금과 다르게 인도라는 하나의 동질감 같은게 약했다는 뜻이군요
@user-wy4jh5ys7l
@user-wy4jh5ys7l 9 күн бұрын
대학에서 인문학이 사라진다면 대학의 의미가 있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네요.
@manrico736
@manrico736 15 күн бұрын
인류역사상......강력한 중앙집권 국가가 지방에 실질적인 권력을 강제할수 있는 나라가 생긴지가 그렇게 오래 되지 않음..... 청나라 조선이 이상한 케이스....입니다....
@kirsch1999
@kirsch1999 17 күн бұрын
인도뿐 아니라 영국의 식민지였던 나라들은 전부 영국을 좋아합니다. 아시아만 봐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전부 영국을 사랑하고 싱가포르의 국부 리콴유는 특히 영국의 자애로운 통치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누누히 말해왔죠. 물론 divide and rule이란 악랄한 정책때문에 무수히 많은 분쟁의 근원이 영국이기도 하지만요.
@chrisseo883
@chrisseo883 17 күн бұрын
오~ 그렇네요
@user-ow7ze1qn3g
@user-ow7ze1qn3g 14 күн бұрын
아시아,아프리카, 남미에 대해 남의 시선에 의존하지 말고 우리의 시선을 길러야 한다고 봅니다.
@user-cl4nl9nh6v
@user-cl4nl9nh6v 17 күн бұрын
한국사람들은 식민지 국가들은 지배국가를 무조건 싫어할 거라는 선입견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인도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과거 본인들을 지배한 국가에 호감을 갖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한민국은 일본에만 식민 지배를 당해서 일본에 대한 비호감도가 높지만, 여러 나라에 식민 지배를 당한 국가들은 지배 국가들끼리도 비교를 하기도 합니다(유럽이나 중동에 많습니다)
@user-mi9ks2lu8o
@user-mi9ks2lu8o 16 күн бұрын
ㅎ.우습네요.
@user-lq3gu8fu6k
@user-lq3gu8fu6k 4 күн бұрын
@@user-mi9ks2lu8o 뭐가 우습냐. 핀라드나 동유럽만 봐도 딱히 식민지배에 대해서 악감정은 없더만 그나마 소련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안좋게 보고 있던데. 그리고 중앙아시아만해도 소련의 지배를 좋아했다.조선족만 봐도 중국을 더 좋아함
@oheseduk6888
@oheseduk6888 12 күн бұрын
최종화 ->최종회로 수정
@user-bw2kf8ep9e
@user-bw2kf8ep9e 17 күн бұрын
박사님.. 꾸부덩~~^^
@user-bq9qq7pz1n
@user-bq9qq7pz1n 1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계는 근대화론이 주요 이론이라니 참 황당하에요.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17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옛날에는 명나라를 어버이로 모시고 살았고 그다음에는 청나라를 큰형님으로 모시고 살다가 일본에게 혈서까지 써받치면서 충성하다가 미국에 지니깐 하루아침에 그많은 친일파가 치미파로 갈아다서 지금껏 주인인 미국에 충성하고있지 않나여 ... 이나라는 인도보다도 주인이 여러번 바뀌였을뿐이지 충성도는 인도보다 훨씬 강하지요 ...
@user-cl4nl9nh6v
@user-cl4nl9nh6v 17 күн бұрын
근대화론 수탈론 둘다 역사적 사료가 있으면 둘 다 설명을 듣고 본인이 판단하면 될 일이에요. 근대화론도 나름 근거가 있는데 그걸로 일본 수탈을 정당화하는 뭐 그런 비약이 있으니 좀 그런것이지 아예 틀리다라고 하기엔 농업 생산량이나 기반시설, 수명 등등 조선시대보단 눈에 띄게 좋아진 게 여럿 있어요
@We_are_Koreans
@We_are_Koreans 17 күн бұрын
​@@user-cl4nl9nh6v근대화론은 한국전쟁 때문에 무의미한거임.. 전국토 황폐화로 다시 시작했음. 그뿐 아니라 일제시대 내내 경제성장률 처참했음.
@user-cl4nl9nh6v
@user-cl4nl9nh6v 17 күн бұрын
@@We_are_Koreans 한국전쟁때문에 무의미 하진 않죠 대부분 근대화론의 등장배경의 이유는 조선시대와의 비교이지 한국전쟁 이후와의 비교가 아닙니다. 한국전쟁 이후 황폐화 된건 다 아는 사실이구요. 제가 일제시대 경제성장률까지는 잘 모르는데요. 제가 아는 조선말은 군인들에게 임금 제대로 지급하지 않아 군인반란이 일어나고, 민중봉기를 외세의 힘을 빌려 진압할 정도로 국방, 치안도 개판이고, 화폐가치도 많이 떨어진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여러 상황을 놓고 봤을때 조선 말에 비해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자본이 개입해서 물론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서였겠지만 혜택을 받는 비율이 일본과 한국이 각각 100:0이 될 수는 없으니 한국도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어느정도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는 거겠죠. 당장 우리나라가 북한과 통일한다고 해도 우리가 북한을 싫어하든 미워하든 거기에 철도도 깔고, 아파트도 짓고 해줘야 하지 않겠어요? 그것도 한국의 이득과 발전을 위해서지만 혜택은 거기에 있는 북한 주민이 볼 수 있는 것이겠죠 물론 그 가운데서 한국 건설사들이 호황을 누릴 수 있겠지만 제가 위에서 말한것처럼 혜택을 받는 비율이 100:0이 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LhoSoft
@LhoSoft 17 күн бұрын
반대요 역사계는 수탈론이 대세 경제계가 근대화론..
@thepeters75
@thepeters75 3 күн бұрын
인도는 일종의 영국과 현식적으로 동군연합적 성격의 국가. 영국 국왕이면서 인도황제를 겸함. 인도는 인도제국이라는 별도의 국가이기는 했음
@benkim2016
@benkim2016 16 күн бұрын
대만이 식민종주국 일본을 좋아하는 경우는?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16 күн бұрын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세부적인 종파가 있는데 힌두는 어떤가요??
@Gimosalamet
@Gimosalamet 17 күн бұрын
역사적인건 한국인들이 다 완성되어서.. 다른 관점으로 바라볼수도 있어야. 왜곡이 아닌 이상.
@user-uv6lx9xj5j
@user-uv6lx9xj5j 17 күн бұрын
기득권의 이익을 철저히 대변보존했기 때문에 당연히 영국을 좋아하는거임. 남한도 정부수립이후 친일기득권의 이익을 대변하고 함. ---->>>> 인도 남한 정도의 차이때문이지 제국주의국가 기득권의 이익을 대변하는 공통점.👿
@user-mi3up4lu1e
@user-mi3up4lu1e 17 күн бұрын
586세대 기득권 시기를 살고있는 현시대에도 똑같이 기득권 대변함 대표적으로 국민연금. 광복 직후 라고 다를까...?
@brianahn8608
@brianahn8608 16 күн бұрын
뭘 잘못 알아도 한참 잘못 알고 있구먼.... 친일 기득권세력.... 친일 절라도 지주계급.... 친일기업인..... 경성방직 동아일보 김성수 등등.... 절라도 땅을 지키기 위해 한국민주당 한민당을 창설... 더듬어횡령당 할아버지.. 이승만을 끌어들여 절라도 기득권을 지키려 했으나, 이승만이 호락호락하지 않고 농지개혁을 실시해서 기득권을 빼앗자 돌연 민주화세력으로 돌변..... 이승만 박정희는 국내 기반이 없는 세력임... 미국과 강력한 동맹을 맺고 경제개발을 추진할 수 밖에 없었슴.... 우리가 그 혜택을 받고 있는것이고....
@suribilee4886
@suribilee4886 17 күн бұрын
영국 입장에서는 본인보다 몇십배 커서 사이즈가 삼킬 사이즈가 아니였음. 하지 않겠지만 만약에 일본처럼 했으면 나중에 시간 지나서 인도한테 영국본토가 먹혔을꺼임.
@tmcsjkim
@tmcsjkim 17 күн бұрын
청나라가 중국에게 먹혔죠.
@user-yw3si4vw2w
@user-yw3si4vw2w 15 күн бұрын
인도가 그럴 국력이없죠.
@user-rb7oo4ue5z
@user-rb7oo4ue5z 15 күн бұрын
애초에 군대도 없는 나라가 뭔 에휴 이상한 소릴하시네
@user-yh1gi8xc6m
@user-yh1gi8xc6m 15 күн бұрын
인도 입장에선 밥 먹듯이 바뀌던 왕이 영국사람이 통해서 황제가 된거네
@JHSEO120
@JHSEO120 13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우리보다 오래 일본 식민지였는데도, 아주 굉장히 친일적인 나라인 것 같은데...
@nanyoungkim444
@nanyoungkim444 17 күн бұрын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인도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하게 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Iandontdothat
@Iandontdothat 17 күн бұрын
1년간 잘들었습니다, 근데 댓글창이 드러워서 참 달기 그렇네요
@024maxstone7
@024maxstone7 16 күн бұрын
동의를 거쳐 식민지하게 했다?----> 인도의 정신승리~
@meme-jv3hn
@meme-jv3hn 17 күн бұрын
인도 친구 있는데. .영국 애들 엄청 싫어합니다. 저희가 일본 애들 싫어하는 거랑 비슷한 정도임. . 한번은 포켓치러 가서 [인도+한국] vs [영국] 이렇게 편먹고 포켓 쳐서 졌는데 . .인도 친구가 하루종일 열받아서 술만 마시던게 생각남 . . ㅋㅋㅋ
@jeh2023
@jeh2023 17 күн бұрын
해외 살고 있고 인도애들 많이 만나봤고 보고 있는데 근본적으로 인도 애들 (심지어 중동도 마찬가지) 유럽에 대한 동경심 엄청 납니다. 유럽가서 귀족급 대우 받고 싶은데 현실이 안되니 느껴지는 열등감이 솔직히 커요. 요즘 젊은 친구들은 보고 듣는게 많으니 자존감때문에라도 더 심한 측면도 있고요. 우리가 민족주의 내지 인종주의적 차이 떄문에 생긴 과거 청나라나 일제 시대에 대해 가져온 적개심과는 결이 꽤 다릅니다.
@jayjay9040
@jayjay9040 17 күн бұрын
인도도 규모가 큰 나라라서 사람들의 지역이나 출신에 따라 생각이 다 다름. 그 편차가 웬만한 나라들보다는 훨씬 커서 저러면서 어떻게 함께 한 나라를 이루고 사나 싶은 생각이 들 때도 있음
@meme-jv3hn
@meme-jv3hn 17 күн бұрын
​@@jeh2023 인도 친구한테 영국을 왜 그렇게 싫어하냐고 물어보니. .한국이 일본을 싫어하는 것과 같은 거라고 직접 설명해 주었기에. .정확한 내용은 알아보진 못했으며 그냥 식민지여서 그랬구나 . .정도로 알고 있었네요. .^^; 성숙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16 күн бұрын
일본이 한 짓에 비하면 영국은 귀여운 수준임ㅋㅋ 잔인함의 레벨이 다름
@user-rb7oo4ue5z
@user-rb7oo4ue5z 15 күн бұрын
@@meme-jv3hn그건 그 인도친구분의 케이스고 대부분 영국 좋아합니다 그래서 영귝으로 많이 오고요 영국 4년째ㅜ거주중입니다 인도,파키,방글라 친구 많아요 인도인ㅇ 영국을 싫어힌다는건 극소수에요 아니면 인도에서 정치적으로 보수가 이용하는 하나의 말이고요
@user-gz6ep2nl9u
@user-gz6ep2nl9u 17 күн бұрын
세계에서 가장 오묘한 나라. 가보고 싶기도 하고 아니기도한 나라.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16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작아 무난 한국에 잘산다고 잘안해주나 영국은 거대해 벅찬 인도에 못산다고 잘해주니.
@LD-fr2wz
@LD-fr2wz 17 күн бұрын
1빠
@1POST1DAY
@1POST1DAY 17 күн бұрын
궁금증대박사님
@user-in4ey9zt4g
@user-in4ey9zt4g 16 күн бұрын
수탈이 아니다, 그러면 무역 인가요?
@gogo-rk1je
@gogo-rk1je 17 күн бұрын
좋아하는게 아니라 결국 힘의논리라니까 약육강식
@user-jz8ct3ro3k
@user-jz8ct3ro3k 16 күн бұрын
조선 양반들의 수탈이 일본보다 훨씬 심했지..옛날에는 공먼들이 집집마다 처들어가서 숨겨논 양식도 빼앗고 집까지 빼앗는 일이 많았지..명분이야 만들면 되는거고..
@mightyfirsthands
@mightyfirsthands 5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까 양반들이 독립운동 많이했죠 신분제 일제가 없앤다니까 기득권 놓기 싫어서. 상인 천민에게는 일본이 낫다
@user-ok3jx5ho7u
@user-ok3jx5ho7u 17 күн бұрын
짝짝짝
@randy14041
@randy14041 16 күн бұрын
대만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겁니다. 무슨 이론따위는 크게 중요하지 않고 정서적 접근이 오히려 이해가 빠를겁니다. 인도사람이 생각하는 영국의 의미는 정서적 친근함에서 기인한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lamuette8754
@-lamuette8754 17 күн бұрын
처음으로 댓글 답니다 교수님 덕분에 인도에 대한 편견도 정말 많이없어지고 인도라는나라를 꼭 가보고싶어진 마음이 생겼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17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옛날에는 명나라를 어버이로 모시고 살았고 그다음에는 청나라를 큰형님으로 모시고 살다가 일본에게 혈서까지 써받치면서 충성하다가 미국에 지니깐 하루아침에 그많은 친일파가 치미파로 갈아다서 지금껏 주인인 미국에 충성하고있지 않나여 ... 이나라는 인도보다도 주인이 여러번 바뀌였을뿐이지 충성도는 인도보다 훨씬 강하지요 ...
@user-bi7pr3ib7t
@user-bi7pr3ib7t 13 күн бұрын
긴 강의 잘 들었습니다. 너무 감사 드리구요. 강의 속에 나오는 간디라는 인물은 인도통합엔 기여한 인물 같기는 한데 너무 경제적으로 무지한 자가 지도자가 되면 수구적이고 민족적인 부분 밖에 기댈 곳이 없기 때문에 나라는 가난해지고 후진국에서 벗어 나지 못하고 종교와 계급과 싸움에 소모되면서 골로 간다. 독립했을 때 이제 뭘하지? 이런 빈곤함 뿐이지 않겠습니까! 물론 간디는 죽었고 정반대의 좌파 네루가 정권을 잡았고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지금처럼 인도가 지정학적 지위가 부각되고 미국이 일정 지원하는 조건이었다면 다르지 않지 안겠어요? 이번 선거에서 극우정권 모디가 힌두국수주의를 앞세워 일자리는 몰두하지 않고 광고 카피 정치로 한계를 보였지 않습니까? 기회가 왔을 때 치열하게 잡지 않는다면 너무도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해 인도경제가 붕괴될 수 있는 상황인데 참 마음이 복잡합니다~
@tpark9988
@tpark9988 17 күн бұрын
감성을 내새우지 말고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수탈은 약육강식의 당연한 이치이고 근대화는 스스로 이룰수 없던 가치라고 생각한듯. 근대화 자체가 서양식 가치 였기 때문이지.
@user-ln2bh3gj6x
@user-ln2bh3gj6x 17 күн бұрын
인도랑 영국이랑 멀리 떨어져 있으니까 그렇지. 아일랜드 사람들에게 영국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보세요 ㅎ
@cglee22433
@cglee22433 17 күн бұрын
그래요? 그럼 인도 신분제에서 동물같이 살던 사람한테 영국의 법치는 어땠는지 함 물어보세요?
@user-ne1jp5zw3w
@user-ne1jp5zw3w 17 күн бұрын
우리가 아무리 떠들어대봤자 인도인들은 수탈이 아니라 근대화라고 생각한다는거죠. 그래서 일본하고도 친밀한 관계고...우리나라 의식구조랑 인도인의 의식구조랑 달라요. 인도가 딤도 친미면서 친러고 반중이면서도 협중하는 이유가 그런거죠.
@user-fp2tp3we2g
@user-fp2tp3we2g 17 күн бұрын
도쿄재판때 그래서 인도 판사가 일본 유리하게 판단했지
@user-zx2yx5bz7v
@user-zx2yx5bz7v 17 күн бұрын
​@@cglee22433그래서 독립후에 불가촉천민 없어졌냐?
@user-er7bn4rc6v
@user-er7bn4rc6v 17 күн бұрын
@@user-zx2yx5bz7v그걸 고착화하고 계층이동이 불가능하게 만든게 영국이라고 영상에서 말하지나....
@TV-si2di
@TV-si2di 17 күн бұрын
실질적으로 대영제국이 오늘날 미국처럼 세계지배자 역할을 한건 1850년대부터 1870년대 까지 20여년밖에 안되죠.......
@user-up5mz8lp7k
@user-up5mz8lp7k 17 күн бұрын
근대화론과 수탈론이 팽팽하다니? 어이가 없다.
@sungminkim6309
@sungminkim6309 17 күн бұрын
그러면 니의 의견을 말해봐!
@mercredimademoiselle1720
@mercredimademoiselle1720 17 күн бұрын
난.근대화....ㅋㅋㅋ.화낼거지?
@user-rb7oo4ue5z
@user-rb7oo4ue5z 15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역시 인정못하는 열등감가진 시람 나왓누
@user-zt2er6ku4i
@user-zt2er6ku4i 15 күн бұрын
근대화론을 인정못하는건 이해하지만 사실이죠 미국에 자동차 지하철 다닐때 마차랑 말타고 다니던 나라인데 일본놈들이 철도 깔고 공장만든건 맞죠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15 күн бұрын
​@@mercredimademoiselle1720공부 다시 하세요 뉴라이트의 일본의 정한론 논리에 무비판적으로 따르지 마시고요 그게 친일파가 자신들의 정당화를 위해 왜곡시키는 논리입니다
@syukaforever
@syukaforever 17 күн бұрын
인도네시아도 의외로 네덜란드,일본에 대한 감정이 심하지 않더라구요 그런거보면 여러 생각이 듭니다
@tmcsjkim
@tmcsjkim 17 күн бұрын
남아시아에 통일된 나라 개념이 크게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연하게 민족의식도 그 당시에 없었구요
@user-bv2to5hx2c
@user-bv2to5hx2c 17 күн бұрын
추가로 수백년간을 식민지로 있었으니까 그렇겠죠. 위댓글 동의합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하위 민족으로 알고 있던 일본이기때문에 반감이 큰 이유일수도 있구요
@jayjay9040
@jayjay9040 17 күн бұрын
식민지를 경험한 다른 나라들을 돌아보면,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오히려 예외적으로 느껴질 정도임. 국력의 격차가 작아서 그랬나? 싶기도 하고, 조선과 일본은 단순한 식민지 관계가 아니었던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issuxark9788
@issuxark9788 17 күн бұрын
근데 따지고보면 일본이 수탈하기 전에도 무능한 왕과 관료들이 더 가혹하게 수탈했음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17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일본을 왜 좋아하는지?
@Don-ng5dt
@Don-ng5dt 17 күн бұрын
대만원주민은 한족이 아님. 대만은 중국식민지 였는데, 지배국이 일본으로 바뀐거였을뿐. 그리고 일본이 그나마 중국보다 수탈이 작아서.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17 күн бұрын
@@Don-ng5dt 대한민국도 옛날에는 명나라를 어버이로 모시고 살았고 그다음에는 청나라를 큰형님으로 모시고 살다가 일본에게 혈서까지 써받치면서 충성하다가 미국에 지니깐 하루아침에 그많은 친일파가 치미파로 갈아다서 지금껏 주인인 미국에 충성하고있지 않나여 ... 이나라는 인도보다도 주인이 여러번 바뀌였을뿐이지 충성도는 인도보다 훨씬 강하지요 ...
@user-hj5zp2pw5s
@user-hj5zp2pw5s 17 күн бұрын
그 논리면 유리도 같음 우리도 식민지였는데?? 독립문이 뉴구 대상인지는 아실거고​@@Don-ng5dt
@024maxstone7
@024maxstone7 16 күн бұрын
​@@Don-ng5dt대만은 중국의 한 지방으로 국가의 자존심따윈 생각할 필요 없으니 그리고 선진성만 본다면 일본은 선진국이고 그래서 선진성만 보고 좋아하는것임
@user-zk4ng1zo7p
@user-zk4ng1zo7p 16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일제 식민통치 이전에 독립적인 국가의 형태로 존재한 적이 없죠. 중국 남부에서 한족들이 건너갔다고 하지만 포르투갈 네덜란드 스페인과 왜구의 근거지로 활용되면서 명청 모두 해금정책을 펼치기도 했고요 청 이전까지 찬밥신세인 섬이었는데 일제 이후 급격한 개발을 시작하게 됐으니 대만 원주민 입장에선 중국 어느 왕조보다도 더 나은 지배였다 생각하는 게 이상하지 않습니다
@user-dc3st7zh7d
@user-dc3st7zh7d 14 күн бұрын
무굴이나 영국이나 인도인입장에선 다 외부인인데 인도의 힌두교도는 무굴보단 차라리 영국의 지배가 나았을런지도 모르겠다. 무굴이전의 역사도 인도 지역의 여러민족의 왕조들이 계속 명멸하면서 쉴세없이 국경선이 변경 되었는데 영국이라고 특별히 다를것도 없었을거다. 즉 누군가 남이 나를 지배하는게 그게 영국이 됬든 인도내 누군가가 됐든 남이 나를 지배하는 것이고 그 관계가 지배와 피지배는 마찬가지니까.
@kunufelix
@kunufelix 17 күн бұрын
위아래가 분명한 카스트 제도의 나라라서 자기보다 몇 수 위 상대에게 굽히는데 별 저항감이 없기도 하고.
@jaykim1757
@jaykim1757 17 күн бұрын
미국과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였었지만 이미 영국을 넘어섰고 앞으로도 영국보다 더 잘 살 가능성이 높음. 한국도 일본의 식민지였었지만 단순하게 반일 감정을 앞세울 것이 아니라, 일본을 넘어서고 일본보다 더 잘 사는 것이 진정한 극일이 아닐까 싶음
@dizmfflqxm
@dizmfflqxm 17 күн бұрын
미국은 뭐 ㅋㅋ 넘어선 수준이 아니라 지금은 영국이 미국의 발밑이죠. 브렉시트 이후로는 더욱더 미국에 의지할수 밖에 없고. 이정도로 꿇리고 나면 원한 없을만 함.
@yacht-responce
@yacht-responce 17 күн бұрын
​@@dizmfflqxm 원한은 이미 2차대전때 극복했지. 영프가 때늦은 식민지놀이 할때 미소 둘이서 뒷방 노인네들 혼쭐냈잖아. 우리가 일본을 아직도 넘어서지 못했기 때문에 원한이 남아있다고 보면 된다.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17 күн бұрын
@@yacht-responce 낯짝이 궁금하네.
@user-hj5zp2pw5s
@user-hj5zp2pw5s 17 күн бұрын
​@@yacht-responce애초에 미국의 근간이 영국임 초기 미국인 이꼴 영국인. 우리와는 시작부터 다름 미국에게 영국은 걍 아빠임
@ja970425
@ja970425 17 күн бұрын
그냥 돈으로만 잘사는 그건 식민극복 아님
@flyingpan2639
@flyingpan2639 16 күн бұрын
물질적으로는 수탈하고, 근대적 시스템과 영어, 세계화 같은 정신적 영역에서는 가르쳐준게 있다는거죠 일본과 한국은 문명적으로 동아시아라는 같은 카테고리에 속해 정신적 구조가 비슷하고, 일본이 카피한 서구 사상을 간접적으로 받았을 뿐이니 일본이 정신적으로 가르쳐 준 게 많다고 할 수 없고, 물질적 수탈과 물질적 수탈을 하기위한 억압은 심했으니 일본엔 그닥 감사하긴 힘들조
@junjeehoon
@junjeehoon 15 күн бұрын
일제식민 지배도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15 күн бұрын
웃기네요 또 근대화론으로 미화시키려고요 참 뉴라이트가 얼마나 퍼져 있으면 독립운동가들과 민중들이 피눈물로 지킨 나라가 어쩌다가 ㅉ ㅉ
@user-rx4hp2rr5q
@user-rx4hp2rr5q 13 күн бұрын
이때다 싶지? ㅋㅋ
@user-fc1bz6iz9m
@user-fc1bz6iz9m 17 күн бұрын
조선 고종이 정치외교를 잘해서 이씨 조선을 계속 이땅에 유지시켰다면? 지금도 양반, 노비의 세상일 것이다. 영국 등 열강이 후진국을 식민지로 하지 않았다면? 왕정 치하에서 그 나라들은 세습신분제로 살아갈 것이다. 현재의 이란, 북한같은 나라들로 살아가야 할 것이다. 인도가 독립해서 좋은가? 나라가 몇개로 분리되고 수천만, 억 단위의 사람들이 죽었다. 그리고 하층민들 삶이 개선됬나?
@user-dz8zo5rj4s
@user-dz8zo5rj4s 16 күн бұрын
압제나 수탈의 정도에 따라 반감이 결정된 것이 아니고 당시의 소위 민도에 따라 달랐다고 봅니다. 한국의 경우 당시 조선의 백성들이 민족이란 단어는 몰랐을지 모르나 훨씬 전부터 동학혁명이나 여러 민란을 봤을 때 이미 민족정체성 그리고 국가개념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것이 인도나 대만과 한국의 차이입니다.
@user-jh6yr8ks5q
@user-jh6yr8ks5q 17 күн бұрын
원래 식민지는 본국 좋아하는데 우리나라도 중국 미국 일본중 1개국은 항상좋아하는데 지금은 미국 앞으론 중국?(미중패권이긴놈)그리고 일본?은 봐서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17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옛날에는 명나라를 어버이로 모시고 살았고 그다음에는 청나라를 큰형님으로 모시고 살다가 일본에게 혈서까지 써받치면서 충성하다가 미국에 지니깐 하루아침에 그많은 친일파가 치미파로 갈아다서 지금껏 주인인 미국에 충성하고있지 않나여 ... 이나라는 인도보다도 주인이 여러번 바뀌였을뿐이지 충성도는 인도보다 훨씬 강하지요 ...
@user-wp4to1fd7f
@user-wp4to1fd7f 17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까 실질적으로 식민지였던 인도인들이 영국에 대해 갖는 감정이 대만이 일본에 대해 갖는 감정과 비슷한건가요?
@user-eu7xv9yu3c
@user-eu7xv9yu3c 17 күн бұрын
10배는 더 영국에 우호적임
@MrZugul
@MrZugul 7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일본 좋아하는데?? 친일파가 기득권에댜가 여행도 일본 많이 감...
@user-dd8hk1bn2f
@user-dd8hk1bn2f 17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옛날에는 명나라를 어버이로 모시고 살았고 그다음에는 청나라를 큰형님으로 모시고 살다가 일본에게 혈서까지 써받치면서 충성하다가 미국에 지니깐 하루아침에 그많은 친일파가 치미파로 갈아다서 지금껏 주인인 미국에 충성하고있지 않나여 ... 이나라는 인도보다도 주인이 여러번 바뀌였을뿐이지 충성도는 인도보다 훨씬 강하지요 ...
@97500cdthfd
@97500cdthfd 17 күн бұрын
90노모 예전부터 일제를 너무 너무 증오하셨음 쌀이며 놋그릇이며 다 뺏어갔다고 마찬가지로 6.25때 피난가서 겪었던 고생탓에 공산당에 대한 증오 역시 강했음 식민지근대화론은 그분들의 인생 경험을 부정하는거임
@user-mi3up4lu1e
@user-mi3up4lu1e 17 күн бұрын
그것역시 개인의 시각이고 역사고 현실임, 그 당시에 출세하고 열심히 살았던 사람들도 많음.
@dodi8109
@dodi8109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수탈이지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식민지가 우리나라였음
@kilreelee5520
@kilreelee5520 17 күн бұрын
자유와자원 뺏어갔는데 왜 좋아할까. 이해가 절대안되
@theonelifejourney_mrjj
@theonelifejourney_mrjj 16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왜 일본을 좋아할까? 태국 중국 전 동남아 중국까지 일본 졸라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user-yw1jg9oy3d
@user-yw1jg9oy3d 16 күн бұрын
대만도 일본을 아주 좋아하지!
@user-rp2uz7ks9s
@user-rp2uz7ks9s 17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근대화론 수탈론이 팽팽하단게 제일 충격이다
@user-fw3wg5bd9l
@user-fw3wg5bd9l 9 күн бұрын
당신이 아직도 그렇게 생각하는게 충격이군요
@Justin-Potato
@Justin-Potato 17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왜 식민종주국 미국을 좋아할까?
@user-uf3nm6zq5f
@user-uf3nm6zq5f 17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자기나라에만 신경을 쓰고 식민지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습니다. 영국이 식민지 종주국이죠.
@user-yw3si4vw2w
@user-yw3si4vw2w 15 күн бұрын
@@user-uf3nm6zq5f 한국은 영국에게 식민지배 당한적이 없음.
@houb_-pc9ox
@houb_-pc9ox 14 күн бұрын
@@user-uf3nm6zq5f 그런데 군대 주둔하고 대낮에 영어 못한다고 길거리 행인 뚜드려 패고 범인은 치외법권으로 단속하는구나 ㅋ
@user-kp2pg1wg5c
@user-kp2pg1wg5c 6 күн бұрын
이 뭔 댕소리냐
@user-uj2lk3nv5c
@user-uj2lk3nv5c 1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근대화에 일본의 도움이 분명 있었다고여김 지금 반일감정은 시대에 뒤떨어진 소아적 사고일뿐이라고 생각함 제국주의시대라는 역사의흐름이었다고여김.
@ddr333334
@ddr333334 16 күн бұрын
박정희가 만주장교엿다고 하면 타 식민지국가 사람들이 놀란다고 함. 식민지출신자를 장교를 시켜준거라면 일본의 통치가 너그러웟던게 아니냐고. 물론 그게 맞는 말은 아니지만, 우리만 지독하게 힘들었고 일본이 제일악이라고만 생각하는것은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인 생각입니다. 하나의 주장에 꽂히지말고 한가지만 듣고 판단하지말고 넓게 봅시다
@mightyfirsthands
@mightyfirsthands 5 күн бұрын
팩트는 팩트로서 좀 받아들여야 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좀처럼 이성이 없습니다. 들끓는 감정으로 선동당하기 딱 좋고
@user-gabo
@user-gabo 17 күн бұрын
외국이 한국역사를 봤을때 대부분 일제시대를 근대화로 보는건 어쩔수 없음 우리가 인도역사를 볼때도 식민지시기에 근대화된걸로 보는거처럼
@user-mi3up4lu1e
@user-mi3up4lu1e 17 күн бұрын
한반도 광복이 아니라 오스만같이 일본제국을 분할했다로 보는 시각도 많음ㅇ.ㅇ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유럽 극우는 우리가 아는 것과 다르다? [지구본 연구소 청문회]
26:14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52 М.
핵전쟁 직전까지 갔던 중국과 러시아!
22:2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218 М.
중동에도 '핵 도미노' 올까? 이란의 핵무기 사용 집중 분석! [이란 핵개발 특별편]
34:09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333 М.
극심한 감소에 시달리는 와인 시장
22:4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83 М.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