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심각한 문제다 VS 전혀 문제없다 | 한문도 교수, 신세돈 교수 [경읽남 X CBS 콜라보, 고수열쩐]

  Рет қаралды 146,080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Ай бұрын

인구감소 심각한 문제다 VS 전혀 문제없다 | 한문도 교수, 신세돈 교수 [경읽남 X CBS 콜라보, 고수열쩐]
진행 : 김광석 교수
토론 : 한문도 교수, 신세돈 교수
* 본 영상은 전문가 두분을 모셔, 3자 토론을 진행한 것입니다. 진행자가 아닌 토론자로서 참여한 방송임을 알려드립니다.
🚩[CBS 방송 풀영상 보기]
• [풀영상] 한국의 저출산 문제는 진짜 심...
🚩 [김광석 교수의 경제 입문서] 『경제 읽어주는 남자의 15분 경제 특강』
(YES24) gilbut.co/c/23050843XQ
(교보문고) gilbut.co/c/23055987fq
🚩 [김광석 교수의 경제 전망서] 『스태그플레이션 2024년 경제전망』
(YES24) han.gl/YysWPm
(교보문고) han.gl/aCScqZ
#경제 #투자 #김광석 #부동산 #저출산 #한국 #한문도 #신세돈

Пікірлер: 2 100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 본 영상은 전문가 두분을 모셔, 3자 토론을 진행한 것입니다. 진행자가 아닌 토론자로서 참여한 방송임을 알려드립니다. 🚩[CBS 방송 풀영상 보기] kzfaq.info/get/bejne/m9uBqaiamsnGfXk.html 🚩 [김광석 교수의 경제 입문서] 『경제 읽어주는 남자의 15분 경제 특강』 (YES24) gilbut.co/c/23050843XQ (교보문고) gilbut.co/c/23055987fq 🚩 [김광석 교수의 경제 전망서] 『스태그플레이션 2024년 경제전망』 (YES24) han.gl/YysWPm (교보문고) han.gl/aCScqZ
@zzl-dh6vn
@zzl-dh6vn Ай бұрын
인생은 노력임 ㅋ
@Giantsquid626
@Giantsquid626 Ай бұрын
절대로 이런 사람들 전문가 아님니다. 연구를 하거나 논문을 쓰거나 다년가 집중 분석을 했거나 했으면 몰라도. 서울대 이수형 교수 분석이 현실적 접근임 kzfaq.info/get/bejne/pZ-noaqAyr-8fI0.htmlsi=CszOEX1J0UqLmXEc
@user-lh6fg1zo9h
@user-lh6fg1zo9h Ай бұрын
인구감소의 위기는 기존의 법칙이 무너짐 또는 급변화로 기득권의 유지가 어려워지는거고 지금도 삶이 어려운 계층은 좋아지거나 별달라질게 없다. 세계 석학들이 말했는듯이 국가전반적인 심각한문제지 그 속을 깊이 들어가면 개개인에게는 위기이자 기회가 될것임. 지금은 50대에 전전긍긍하지만 기업의 필요에 의해 연장될수밖에 없고 건설같은 업종은 구조의 변화가 올것이다. 건설의 변화에 따라 또 기술의 변화에따라 새로운 필요한 업종이 늘어나 그자리를 매꿀것이다. 20년전만 해도 지금의 거대IT기업은 다 벤처였듯이 새로운 물결이 오면 또달라진다. 교육도 20년전엔 50명 지금은 25명 그럼 20년뒤에 10명이 된다한들 위기가 올까. 변화가 오는거고 대학도 대학원처럼 전문화 될것이다. 그리고 거기에서 질적인 교육의 상승은 세계를 선도하는 인재가 나올것이고 3D업종의 기술자 가치가 재평가 될것이다.
@StormshieId
@StormshieId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가 왜 이렇게 망가졌는지 확실히 알 수 있는 유익한 토론이었습니다. 누가 범인인지 확실해졌네요.
@user-ff4dx4dy6r
@user-ff4dx4dy6r Ай бұрын
그렇지요 나라한테 자꾸 뭘 해달라는 해줘충들 때문이지요. 부모등골빼먹으면서 단하나도 어려움없이 자란 세대. 빌라싫고 아파트줘 연금싫고 25만원줘 노조만들어줘 줘 돈줘😂 에라이
@yuhpwl12
@yuhpwl12 Ай бұрын
@@user-ff4dx4dy6r 여기있었네요
@해피에용
@해피에용 Ай бұрын
@@yuhpwl12 ㅋㅋㅋ 전세계 선진국을 좌파로 매도하고 나혼자 애국보수인척하는 저분. 분명한건 나라가 제대로 뭐하나 준적은 없다는게 팩트. 줘보고 사람 버릇 나뻐지고, 경제에 악영향 미치면 욕하든가....
@user-su5bg8mr1w
@user-su5bg8mr1w Ай бұрын
​@@user-ff4dx4dy6r노력하기 싫어. 공부하기 싫어. 일하기 싫어. 싫어 싫어 해줘 해줘
@user-jn7ul9ek8m
@user-jn7ul9ek8m Ай бұрын
​@@user-ff4dx4dy6r노력하기 싫어 공부하기싫어 해줘해줘 (학점2점받고 삼성들어가기, 대학내내 화염병던지면서 여동기 돌림빵하고 놀기, 부모세대가 독일이랑 베트남에서 벌어온 돈가지고 펑펑쓰면서 해줘, 연금 집값 조금내고 젊은세대 등골빨아서 많이 받고싶어, 군대 현역비율 1980년 45.4% 1986년 51%) 해줘해줘😂
@tv-nq3dd
@tv-nq3dd Ай бұрын
둘 다 맞는 말임. 미래에 굉장히 문제다 vs 미래에는 나 없으니까 문제없다
@user-zq4jq8sq6n
@user-zq4jq8sq6n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빵 터졌어요^^
@woo_gi92
@woo_gi92 Ай бұрын
오른쪽분 시종일관 그태도시신하네요... 내알빠아님 마인드 ...
@user-gi8wo3es5q
@user-gi8wo3es5q Ай бұрын
맞는 말이지 지금0~10세 아이들이 진짜 망한거지 나머지세대들이야 딱히 죽거나 죽을때쯤에 잠깐 느낄까.. 자살율1위 나살기도 힘든데 미래세대걱정은 개풀뜯어먹는 소리
@user-fu7qm3gy7y
@user-fu7qm3gy7y Ай бұрын
혹시 아나? 우리 후손이 북벌성공해서 북한통일시키고 만주까지 되찾으면 됨. 일자리 팍팍, 인구수 팍팍.
@user-jz6rh7nc4p
@user-jz6rh7nc4p Ай бұрын
​@@user-fu7qm3gy7y ㅋㅋㅋㅋㅋ 북벌할 애들이. 없어서 안됩니다. 애들을 낳아야 북벌을 하든 미국을 때려잡든 중국을 때려잡든 하겠지요 ㅋ
@user-kj2kd7sy8z
@user-kj2kd7sy8z Ай бұрын
좋은 토론 감사합니다. 이민 준비 열심히 하겠습니다.
@user-yr3oj4wq1j
@user-yr3oj4wq1j Ай бұрын
원래 토론이 반대의견도 있어야 볼맛이남 ㅋㅋㅋ 너도나도 문제라고 떠들어대는건 이미 너무많이 봤고, 반대의견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했음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즐겁게 방문해 주시길 바랍니다.
@aca2126
@aca2126 Ай бұрын
신세돈님은 이런 토론에서 정확한 데이터 기반이 아니라 추론 위주의 반론을 하시는게 아닌가 싶네요…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Ай бұрын
교수라는게 참 허상이다.
@leokim4481
@leokim4481 Ай бұрын
데이터보다 감각이 더 정확한 경우도 많습니다. 애널리스트로 일할 때도 데이터나 통계기법으로 하는 것보다 감각적 추론이 더 정확한 경우가 더 많더군요. 그래서 과학이 아니라 예술이라고...
@user-lz3eb2xc6z
@user-lz3eb2xc6z Ай бұрын
​@@leokim4481예술이 아니고 왜곡이고 숫자는 거짓말 하지 않습니다 자꾸 그런 말씀들을 하시니 문과가 설 자리가 없죠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Ай бұрын
@@leokim4481 넌 논문을 감각으로 써라. 다수가 보는 방송을 감각으로? 그냥 시장바닥 지표가 더 우수하겠다. ㅎ
@user-sh8zm5ug7t
@user-sh8zm5ug7t Ай бұрын
틀딱특
@kkjj2604
@kkjj2604 Ай бұрын
인구감소는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노령화지. 전 연령이 10프로 20프로 줄어드는게 아니라 젊은이만 줄고 늙은사람만 남는게 가장큰 문제
@tv-nq3dd
@tv-nq3dd Ай бұрын
결국 노령 인구 상당수가 죽을 때까지 일해야 한다는 겁니다
@토론배틀tv
@토론배틀tv Ай бұрын
ㅎㅎ 인구가 감소되면 노령화가 되는거죠.
@user-zk3kh5l777
@user-zk3kh5l777 Ай бұрын
고려장하면 되지 뭐가 걱정이야?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 Ай бұрын
인구 감소도 문제에요. 출산율 0.7이면 한세대 반만에 200명이 25명으로 줄어듭니다. 100명이 70명 되는게 아니라요. 검색해보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현재 출산율이 수학적으로 뭘 의미하는지 다들 잘 모르고있음.
@coingoblin
@coingoblin Ай бұрын
걱정말아요. 앞으로는 은퇴 못하고 90세 100세까지 일해야하는 시대가 오고 있으니깐요.
@user-kh5yz7uz5x
@user-kh5yz7uz5x Ай бұрын
두분 말씀이 다 맞습니다. 교육비와 주거비의 부담으로인해 결혼과 출산을 안하는 사람도있고, 경제적인 이유를 떠나 개인의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안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주거문제로 둘낳으려는 계획을 하나만 낳기로단념한 경우여서 주거문제만이라도 해결이되면 낳을사람은 낳을것이라는 생각이듭니다. 자식을 낳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더 열심히 일하고 더 많이 벌고 미래를 위한 준비도 더 열심히합니다. 미혼과 기혼자의 차이이기도합니다. 자식을 낳아키울 안전한 둥지가 있어야 낳을생각도 합니다. 주거문제만이라도 해결이되면 지금보다는 출산율 좋아질것같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고견 남겨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 어제 보다 더 건강한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user-ni6wb1yu6o
@user-ni6wb1yu6o Ай бұрын
신교수님 의견은 사회의 자연적인 현상이다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이고 '단기'적으로는 덜컹거릴수 있겠으나 '장기'적으론 문제가 없다.라는 주장인 것 같네요. 다른 시청자들께선 교수님의 주장이 극단적이라고 생각 하시는 분이 많으신 것 같은데 사실 저분은 경제학자시기때문에 저렇게 말씀하시는게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안보적 행정적인 문제를 경제학자가 거론하면서 문제를 보는것이 더 위험한 것이지요(전공분야가 아니기때문입니다) 상경계 대학을 다니는 제 입장에선 매우 공감이 가는 내용입니다. 해결 안되는 것에 돈쓸바에 경제발전을 통해 기초체력을 올리자는 의미의 말씀은 저도 항상 가지고 있는 생각입니다. 경제학자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바라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지만 "But this long run is a misleading guide to current affairs. 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장기는 현재 사안에 대해 잘못된 안내를 해준다. 장기적으로 우리는 모두 죽는다. - 존 메이너드 케인즈)라는 말처럼 장기만 바라보고 살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어제에 살았고 지금을 살아가고 있지만 내일에도 살아가야할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당장 내일엔 희망에 빛이 보이진 않는것 같습니다. 저출산은 청년들의 문화이기때문에 소용이 복지 정책은 소용이 없다. 청년들은 결혼을해도 애들을 안 낳는다 라이프 스타일이 바뀌었다 이런 말엔 일정부분 동의를 하지만 젊은 사람들도 아이 기르고 싶습니다. sns만 봐도 자기 조카를 자랑합니다. 아이를 갖지 못한 청년들이 조카를 보면서 사랑을 나눠줍니다. 그런데 왜 그들이 아이를 낳지 않고 결혼은 안 할까요? 저는 청년들이 무책임해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중위 연령은 "43.4"세입니다. 청년들은 조직에 들어가면 막내입니다. 지금의 추세대로면 40이 되어서도 거의 막내일 것입니다. 사회는 우리를 애 취급하고 애 취급을 할 것입니다. 근데 무슨 책임을 질 수 있겠습니까? 나라는 늙어서 보신 적으로 행동하는데 청년에게 무슨 역동성을 요구하겠습니까? 사회는 청년들을 애 취급하면서 책임을 지라고 역동적으로 해보라고 우리 젊을 때도 다 힘들었다고 합니다. 동의합니다 한강의 기적 덕에 배부른 나라에서 살 수 있음에 청년들이 이를 감사하는 마음은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서있는 곳이 다르면 바라보는 풍경이 달라지는 법입니다. 저희 윗세대들도 청년이던 시절이 있었기에 저희에게 교훈적으로 말씀해 주시려고 하겠지만 이미 산업화세대 586세대 x세대들은 우리와 서 있는 곳이 다릅니다. 막판엔 감정적이 되어서 두서가 없었는데 암튼 저 개인적으로는 교수님의 말씀에 동의하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선 무슨 문제가 있겠습니까 우리는 미시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고통받는 것일 뿐이지요
@user-nc7id5tr2l
@user-nc7id5tr2l Ай бұрын
아.....그게 거시적으로 보면 인구같은게 무슨 문제일까요. 지구 입장에서는 한 종의 수가 달라지는 것도 아닌 건데. 우주입장에선 그냥 아무 파동도 없는거고. 토론의 이유는 미시적인 현상 개선이죠 우린 미시적 존재니까. 말씀처럼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Mooso-lb4wt
@Mooso-lb4wt 16 күн бұрын
저런 사람들 의견이 정책에 반영되니 나라가 이 모양 이꼴인듯... 아 몰라 나만 잘살면 되지 후대는 내알바 아님하는 사람들한테 힘 실어주고 있으니까요. 감소가 문제가 아니라 급감이 문제인겁니다. 저 교수 말대로면 우리나라 망하든 말든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user-sy4xz9tk4t
@user-sy4xz9tk4t 9 күн бұрын
어렵구만
@OneTabbyYeiX
@OneTabbyYeiX 9 күн бұрын
나이에 따른 위계도 한몫합니다. 위계사회는 안하무인, 권리의 축소, 결과적으로 무력감을 개인에게 강제합니다
@aahanchoi4959
@aahanchoi4959 Ай бұрын
신세돈교수는 문제점을 보는 기득권세대의 전형적 관점인듯하네요
@user-wu1uj5ix8s
@user-wu1uj5ix8s 15 күн бұрын
(코난) 찾았다.. 너가 범인이야!
@doit4781
@doit4781 14 күн бұрын
그렇지 않아요. 불편하게 들린다고 봅니다. 사탕을 주는 것이 더 몸에 안좋아요.
@woxmkskdomenx93
@woxmkskdomenx93 7 күн бұрын
토론의요점을 파악을전혀못하는군요.. 국가미래에대한 환상은 환상일뿐 현실은아니라는건데 그것조차도 구분이안됩니까??... 저출산을 무슨국가가해결을합니까? 사회적패러다임과현상으로 나타나고 그것이 전반적인 한국사회에서 일어나고잇는 엄연한현실인데 그현실을 정부가나서서해결을합니까? 무슨방법으로요??... 결혼을하냐마냐 애를낳냐안낳냐의문제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문제일뿐아니라 정부가나서서해결할수잇는문제가 아니라는걸 모르십니까??
@user-cx2gj6en9k
@user-cx2gj6en9k 7 күн бұрын
아이고 ~기득권ㅋㅋㅋ 세상을 볼때 기득권과 그렇지않고를 나눠보는게 얼마나 ㅂㅅ같고 뒤틀린 시야를 가지게 되는건지.
@aahanchoi4959
@aahanchoi4959 7 күн бұрын
@@woxmkskdomenx93 그러면 국가라는건 어떤 틀인가요? 존재의 효용은 어디서 찾죠? 개인의 선택이라는데 예산은 이제껏 왜 수십조를 갖다 부엇을까요? 사회란건 틀을 유지하기위한 목적의 예산도 필요한겁니다
@HavyOil
@HavyOil Ай бұрын
이 토론에서 대한민국의 기성세대는 미래에 대한 생각이 전혀 없구나 라고 확신이 들었습니다. 진짜 나만 잘 먹고 살다 가면 그만이다 라는 인식이 강하네요. 그런데 신ㅡ교수님 말씀도 수긍이 가네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즐겁게 찾아주시고요. 편안히 머물러 주세요. 말씀 감사합니다.
@wadewilson9329
@wadewilson9329 Ай бұрын
???: 잘 모르고 무식한 사람들이 신념을 가지면 무섭습니다
@ed7943
@ed7943 Ай бұрын
기성세대가 문제가 아니고 사람 개개인의 문제죠 이런 언행만 봐도 제대로 된 사람들은 지금 뭐가 문제인지 보이시겠죠. 행복을 남에게서 찾지말고 자기 안에서 찾아봐요. 그저 SNS나 보면서 비교불행을 자초 하니...이런 사람들 집 하나 어디 던져준다고 애 안낳습니다. LH도 쪽팔리니까 이름 바꾸는거 봐요 게다가 집도 도심지 원하겠죠? 모두가 그렇게 살수 있나요? 돈돈 거리면서 자식키운 부모가 문제지.. 그리고 인구감소해도 과정은 힘들 수 있지만 문제 안됩니다. 억지로 되는건 없어요 자연순응이지. 회사도 지금 사람 안뽑습니다.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요. 디자인이던 소싱이던 판매던 현 시점에 많은 부분이 AI로 해결 가능합니다. 참고로 다들 쓰시누 쿠팡도 AI발주에요 물류나 사람이하지. 굳이 대충 대학 나와서 중소초봉3천 대기업5~6천 바라는데 회사가 호구입니까? 월 2만원이면 사람10명목 거뜬한데 현실을 보세요 10~20년 금방 갑니다. 그때되서 이런 사람들 정치인한테 한푼줍쇼 하던지 후회하고 박터지게 살던지 할겁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고 징징거린다고 받아줄 사람은 없죠 공짜뒤에 숨은 무서움을 알아아죠. 과정은 힘들어도 뜻이 있는 곳으로 길은 열리죠 스스로 깨우치시길 빕니다.
@bonbonliqueur
@bonbonliqueur Ай бұрын
@@ed7943 개개인 문제라고 하기엔 신세돈 같은 입장이 전반적인 기성세대의 입장임. 저들에겐 0.6 저출생률이 얼마나 심각한지 먼나라 얘기임. 자연 순응이라고 하기엔 대한민국이 다른 여느 나라들과는 너무 압도적으로 저출생임. 우리 바로 위에 있는 선진국이 이태리 정도인데 1.2임.
@Bora_san
@Bora_san Ай бұрын
현실에서 미래를 대비하자는 명제가 나오면 메시아 기다리는 유태인 마냥 AI로 떠넘겨버리는 사람들이 많다. 묻지 않으면 문제도 없다는 식이다.
@bittersweet7484
@bittersweet7484 Ай бұрын
토론 아주 유익하네요~ 두분 또 모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user-vr6ye5tq3u
@user-vr6ye5tq3u Ай бұрын
찐 교수 열전 토론 몰입도 높은 방송이네요 두분 교수님 의견에 공감이 많이 갑니다 집값 문제 교육 문제만 좀 해결이 되더라도. 저출산 문제는 조금은 회복이 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듭니다 교수님 오늘도 좋은 방송 감사드립니다 😊
@user-ts1ik3fr4o
@user-ts1ik3fr4o Ай бұрын
지방에 마트나 사람이 점점없어 지는데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교수님 말씀이 마음에 와닺고 반대편 선생님은 우리나라 전체 지방 상태를 보고 계신지 정말 심각합니다
@user-yc3tl2wj8v
@user-yc3tl2wj8v Ай бұрын
그건 저출산 때문이 아니라 수도권 집중화... 제작년까지는 인구가 계속 늘어 났는데 지방만 소멸 한것임.
@user-lz3eb2xc6z
@user-lz3eb2xc6z Ай бұрын
​@@user-yc3tl2wj8v수도권의 저출산을 지방이 채워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방이 채워주는데는 한계가 있고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한세대만 지나도 그 결말이 보일 것입니다
@user-bu3fr5zb1w
@user-bu3fr5zb1w Ай бұрын
이게 문재인이 만든 세상아닌가? 피와 땀 노력으로 돈을 벌어서 사는세상보다, 서울 아파트 매매로 몇 배 이상의 차익을 얻어서 지방에 집이 여러채 있는거 보다, 든든한 한채 그것도 서울에만 있으면 성공한 인생. 그리고 현재 2030한국여자들이 더 문제지 않냐? SNS그렇게 비교질을 좋아하고, 수준에 맞는 사람과 결혼보다는 상향혼때문에 이 꼬라지 났지!
@MOF232
@MOF232 Ай бұрын
@@user-lz3eb2xc6z지속가능하고 오히려 효율적임. 사람은 뭉쳐살아야 비용이 줄어듦. 살기 좋아진다는 말이 아니라 비용효율적이게 되는거
@user-rx7ws5ns3t
@user-rx7ws5ns3t Ай бұрын
@@MOF232 지방소멸되고있는데 어디서 또체움
@user-uo2ms6xr6t
@user-uo2ms6xr6t Ай бұрын
서서히 줄지않아요 90년대생 60 ~ 70만명씩 태어났지만 2020년대생 20만명씩 태어나고있음 60%~70%감소..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Ай бұрын
급감 소멸임
@user-yt2ku9te9e
@user-yt2ku9te9e Ай бұрын
경제 조금만 알아도 복리의 마법이라며 투자할 때 복리의 기본은 배울텐데 복리로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출산율도 복리로 박살나는 셈임. 훨씬 빠르게 인구가 소멸되는데 왜 이렇게 둔감들한지
@sanglee7877
@sanglee7877 Ай бұрын
이게 핵심임 지금 8090년대생이 노인되면 노인 혐오는 극에 달할것이고 노인에 대한 복지 지원은 바닥날것임 70만명을 20만명이 부양할 방법이 없음
@user-id9ks3qw3b
@user-id9ks3qw3b Ай бұрын
2020년이후생은 축복이지 경쟁이 줄어드니까 취직하기도 훨신수월하고
@user-id9ks3qw3b
@user-id9ks3qw3b Ай бұрын
@@sanglee7877 그렇지 안어 지금은 노인들도 건강해서 일을하고 과거와 달리 재산도 있고 연금도있기 때문에 부양할필요가 점점 줄어들어
@yeomins
@yeomins Ай бұрын
멋진 토론 감사합니다 😊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즐겁게 방문해 주시길 바랍니다.
@user-bh5yk3zi5u
@user-bh5yk3zi5u 10 күн бұрын
두분 다 일리 있는 말씀이시네요. 당장의 갈증을 긁어주시는 한문도 교수님과 과거 사례를 통한 인류의 반복된 실수를 지적하시는 신세돈 교수님 모두 생각 해 볼 만한 이야기 였습니다. 저 역시 결혼 적령기를 지나는 입장이지만 주택마련과 양육비용에 대한 부담이 있는 동시에 과거같은 헌신적인 부모가 아닌, 다양한 선택지에 대한 사회적 용인이 이뤄진듯한 분위기에 홀가분함 마저 느끼는 세대로써 양쪽 다 공감가는 이야기 였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10 күн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멋진 하루 보내시고요. 건강 유의하세요!
@handler_193
@handler_193 Ай бұрын
출산률 전세계 꼴등, 자살률 전세계 일등인데.. 문제가 없다고??
@gjg1102
@gjg1102 Ай бұрын
다민족국가 가즈아
@user-yt2ku9te9e
@user-yt2ku9te9e Ай бұрын
다민족국가 같은 소릴하네 ㅋㅋㅋㅋ이민자 경쟁은 선진국하고 해야하는 문제고 비영어권국가에 종교적으로 이슬람권 애들은 한국은 안 와 . 서양가지. 여기는 질낮은 불체자 천국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고 그러면 애지중지 하는 부동산? 치안 경제 인종갈등까지 발생하면 그게 멀쩡하겠나?
@user-wi1bl3vj9u
@user-wi1bl3vj9u Ай бұрын
​@@gjg1102 출산율 박을정도로 생활이 불안하고 자살율 1위찍을정도로 경쟁이 심한데 뭐한다고 오겠냐 여기서 노력할값으로 북미가지 ㅋㅋㅋ
@gjg1102
@gjg1102 Ай бұрын
@@user-wi1bl3vj9u 북미가고 싶으면 가면되고 동남아쪽은 한국살고 싶어서 줄 서있다
@user-jc6fe4tz6f
@user-jc6fe4tz6f Ай бұрын
​@@gjg1102그걸 문제라고 인식하는게 문제야 바보인가 ㅎ
@user-lz3eb2xc6z
@user-lz3eb2xc6z Ай бұрын
신교수님 한국이 미국보다 비교우위에 있다는 말씀 같아 가슴이 웅장해 지네요 그렇죠 미국보다는 한국이 세계 최강이라 지금처럼 한국인이 미국이민 가는 그런 것은 말이 안되죠 부자들이 다 한국으로 돈 싸들고 올 것이라는 놀라운 가설 정말 놀랍네요 지금처럼 동남아나 중국등에서 들어 오는 현실은 잘못된 것이네요 놀라운 가설 감동적이고 이상적이네요 현실에 좀 안맞는것 빼고는 좋은 탁상공론의 표상이네요
@HongHong-qi5jx
@HongHong-qi5jx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돌려 후려차기
@user-gr3sx4uv9n
@user-gr3sx4uv9n Ай бұрын
ㅎ ㅏ~~ 이런토론 너무 좋다...❤❤❤ 좋은공부가 되었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도움되신다니 제가 더욱 기쁩니다. 앞으로도 많은 기대 바랍니다!
@daychoi5981
@daychoi5981 Ай бұрын
두분 다 맞는말씀이네요. 부동산 문제는 별도로 논의되어야 합니다. 저출산 정책으로 인한 지나친 시장개입은 위험하다 봅니다. 주거문제는 개개인을 위한 방향으로 가고 양육을 위한 교육, 복지에 대한 무한한 지원이 필요하다 봅니다. 정치인들이 국회에서 싸우지만 말고 이런 토론을 진지하게 할 날이 언제 오려나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찾아주시고 후기 남겨 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겁게 마무리 하십시오. 🙇‍♂️ 🙇‍♂️ 🙇‍♂️
@user-zl7ii9xz7e
@user-zl7ii9xz7e Ай бұрын
신세돈은 인플레이션이 뭔지 모르나? 아이스크림 가격이 올라가니까 생산성이 줄어드는건 문제가 안돼?
@user-cs2nj1ml6k
@user-cs2nj1ml6k Ай бұрын
진짜ㅈㅃㄷ가리인줄
@daeyouncho5274
@daeyouncho5274 Ай бұрын
어떻게 저런게 교수라고 나왓을까요 ㅎ CBS 섭외력이 참 한심하네요.
@TV-gi8rq
@TV-gi8rq Ай бұрын
화폐가치는 생각안하나 생산성 말같지도않는소리
@user-xk7md2tq7x
@user-xk7md2tq7x Ай бұрын
판매단가가 오른 결과 생산성이 증가한 거지 바보인가?
@user-wr1kj9cq6k
@user-wr1kj9cq6k Ай бұрын
아이스크림 100만원 되도 사먹으면 인정이지 저분은 사먹을듯
@YI-mu3qr
@YI-mu3qr Ай бұрын
진짜 신 교수라는 분이 완벽하게 증명하셨다 이런 분들 때문에 현 문제가 현명하게 대처되지 않을 거라는 걸
@user-hw4eq4gk7r
@user-hw4eq4gk7r Ай бұрын
그럼~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국민연금 고갈등~ 어찌 해결을? 소득에 50~90% 연금으로 부담할 후세대가 있을까요? 제 생각은? 냐이 만40세 이상~ 인센티브와,페널티가 있어야 합니다. 출산 1.5기준 미만 출산시 먄60살까지 분할 최대5억 세금환수. 만40이상 출산 1.5이상 5억이상 경재적 인센티브를 주어야 이문제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진짜~간단해요...
@ianhappyspaceman_6248
@ianhappyspaceman_6248 Ай бұрын
@@user-hw4eq4gk7r 현재 문제를 현재 기점으로 풀 생각을 해야지 그걸 뒷세대들에게 책임지게 할 심산인게 아주 꼴보기 싫은 거임. 당장 국민연금 걱정되면 지금 세대가 세금 더 내면 돼죠. 제가 지금 소득세 28프로 내는데, 50프로 내도 되니까 다같이 버는돈의 50프로 세금으로 내자니까요? ㅋㅋㅋㅋ
@user-jm5xr9vt1k
@user-jm5xr9vt1k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youngjoon88
@youngjoon88 11 күн бұрын
신세돈 교수님의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정확한 대책이라고 봅니다. 국민들 특히나 젊은층들이 스스로 상황인식을 통해 난제를 해결해 나가야만 하는 게 옳읍니다. 지금의 정부의 정책도 사람을 동물이나 기계다루듯이 해결을 모색하는 것은 그야말로 낭비요, 인기영합일뿐..... 정말 정신차리고 현명한 두뇌들이 국가를 경영하는 것이 대한민국의 장래를 결정하는 요인일 것입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11 күн бұрын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leesunwu5025
@leesunwu5025 Ай бұрын
문제가 없을 수도 있죠 특정 계층들의 입장에서는... 초저출산과 심각한 노령화로 인해서 젊은 인구는 대폭 줄고+세금 많이 들어가고 생산성 없는 노인들의 인구는 대폭 증가하는데 문제가 없다? 국가 살림은 어느 별의 외계인이 대신 세금 많이 내주고 각종 인프라 유지보수 해준답니까? 휴전 국가에서 군부대도 없어지고 통합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인데 반려견들에 무기 쥐어주고 지키라고 하면 되겠군요.
@user-rc2ki2cp5q
@user-rc2ki2cp5q Ай бұрын
저런 사람들이 AI 타령하고있더라 ㅋㅋㅋ AI가 세금내고 소비도하고 전쟁도 할건가 결국 사람이 해야할게 훨씬 많은데
@omw903
@omw903 Ай бұрын
노인돌봄을 AI가 할 수 있을까..
@Flower09872
@Flower09872 Ай бұрын
한교수님 맞은편에 계신분 저런 사람이 전문가랍시고 각종부처에 앉아있으니 저출산이 해결될일이 있겠어요. 문제를 보고 문제라 판단도 못하는 수준인데 저기 나와있는것부터가 잘못됐다 생각합니다. 기성세대가 저런사람들때문에 욕먹는거예요.
@saelomlim
@saelomlim Ай бұрын
계층문제라기보단 자기 살아있는 동안은 문제 아니다 이거죠. 국민연금 관련해서 인상 반대라는 집단이기주의와 같은거에요.
@user-july-galbo
@user-july-galbo Ай бұрын
저런인간이 정확한 기득권,자칭보수,선민의식의 표본입니다.
@user-ur1pt8xr9n
@user-ur1pt8xr9n Ай бұрын
IMF전에도 문제없다고 말하고 바로 문제터짐 현재 출산율0.7은 2명이0.7이 되고 그0.7에서 절반인 남자를빼면 여자는 0.35인데 그인구에서 0.7이되니까 다음 세대는 -75%로 출생율이 나락가죠
@user-yr8sl8pu7s
@user-yr8sl8pu7s Ай бұрын
한문도 교수님도 정말 메너 있으십니다.. 말씀에... 좋아요°~~
@scr3818
@scr3818 Ай бұрын
전체 볼륨이 적어져 가는 과정에서 노령인구가 비대해지는 게 문제죠.. 1. 연금 박살나고 2. 내수시장 작살나고 3. 세대갈등과열되고 4. 투자 끊기고 5. 노동력 및 국방력 다 끊기고 6. 사회의 혁신성과 역동성 저하 7. 미래세대의 기대 부재 8. 소득양극화 등 이미 늦었고 국민연금 개혁안만 봐도 어떻게 될지 뻔합니다. 뉴스에 지방소멸, 지방대소멸, 중소기업인력난 나오는데 시작도 안 했고 앞으로 10년만 지나도 조금씩 체감될 겁니다
@nuwbee77
@nuwbee77 Ай бұрын
이미 많은걸 이뤄놓고 노후 준비 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신세돈 교수와 같은 생각일 수 있겠네.
@_Jay.Kim_
@_Jay.Kim_ Ай бұрын
신교수님 살아오신 시대는 고성장이 가능한 개도국이었고, 인구문제를 고민하는 2030년대, 2040년대는 1%대의 성장률이 예측되는 저성장 시대입니다. 물가도 정체되어 아이스크림값이 100원에서 2000원으로 뛰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겁니다. 인구가 줄어들면 경쟁이 완화된다는 주장도 동의하기 어렵네요. 대학교와 같은 지역 기반의 시설이야 여유가 있겠지만 기업들은 노동력도 없고 소비력도 없으며, 세금 부담은 더욱 가중되는 한국시장에서 계속 남아 있을까요? 기술발전속도가 인구증가속도를 앞지른들 무슨 소용이 있나요? 택시 운전하던, 세탁소 운영하던 분들이 노동력이 남는다고 해서 현재의 AI기술분야로, 반도체 분야로 넘어갈 수 있나요? 아니, 심지어 휴대폰 설계하던 2000년대 전문인력조차 갈 곳이 없는 시대이고, 그들에게도 2020년대 AI기술을 새로 배우는 것은 생소해서 엄두도 내지 못합니다.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한 첨단산업분야는 충분히 교육을 받은 전문인력을 위한 자리입니다. 우리는 이미 대학 때 배운 첨단 분야가 45세, 50세가 되면 쓸모 없어지는, 수명이 매우 짧은 첨단기술의 시대에 살고 있고, 기술이 저물면 저임금 단순노동의 시장으로 옮겨야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단순히 헤드카운트해서 노동력, 보수 계산하는 분들은 1차, 2차 노동집약적 시대만을 생각하는 과거세대의 지식인으로만 보일 뿐입니다.
@user-nu1rn4nr4e
@user-nu1rn4nr4e Ай бұрын
정신차려라 우리나라 인구 밀도는 미친 수준이다 인구감소 한다고 큰일 안생긴다 ㅁ
@jbhwang103
@jbhwang103 Ай бұрын
글의 논점을 좀 파악하세요. 인구밀도가 미친수준이라는 말이 왜나오나요. 그 인구의 절반이상이 노인들 뿐이고 생산인구가 줄어들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얘기하고있습니다.
@user-nu1rn4nr4e
@user-nu1rn4nr4e Ай бұрын
@@jbhwang103 그 노인들은 평생 사나요? 물론 문제점들이 몇십년간 생기겠지만 그때가면 또 해결법을 찾겠죠 애당초 지구에 사람이 너무 많아 환경을 엄청 파괴하고 있는데 그 지구 중에서 한국은 더더욱 사람이 많아요 인구감소는 오히려 좋져.
@yeonggulee6274
@yeonggulee6274 Ай бұрын
@@user-nu1rn4nr4e 아저씨 그게 아니라요. 인구감소는 좋다 쳐도 적정비율이라는 게 있잖소, 인구 1000만명으로 쪼그라 들었는데 그중 할배가 700만이고 애들이 300만이면 나라가 돌아가겠소? 70먹고 군대 다시 갈래요? 80먹고 AI 기술 배워서 세계시장 주도할래요?
@user-ui2mh9dm8m
@user-ui2mh9dm8m Ай бұрын
그런 소리 할꺼면 인도 중국가서 해라.. 뭔 시덥잖은 소리 쳐하고 있어? 환경문제는 중국이 더 심각하고만
@zzani1193
@zzani1193 Ай бұрын
간만에 유튜브에서 유익한 영상을 보고 갑니다. 이 주제 또한 시장질서에 의해 해결되리라 믿어 봅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도움되신다니 제가 더욱 기쁩니다. 앞으로도 많은 기대 바랍니다!
@dydwjd123
@dydwjd123 Ай бұрын
유익하네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user-ro1uj1nz7x
@user-ro1uj1nz7x Ай бұрын
신세돈씨 당장 서울도 주거를 너무 때려박아서 원룸 오피스텔 빈곳 많습니다 저부터 봉천동쪽에 작은 원룸 건물 가지고 있고 주변 원룸 가진 분들 부동산들에 물어봐도 저부터가 일단 어? 아니 왜 임대가 안 나가기 시작하지? 하는 체감이 코로나때부터 확 왔습니다 인구가 준것도 있고 경제 어려우니 결혼 안한 젊은이들은 본가로 다시 들어가고 다양한 이유가 있을텐데 벌써부터 체감이 되기 시작한단 겁니다. 교수정도 위치에서 1000만원 벌다가 700만원 버는 정도로 경제가 감소해도 별 타격 없을거같지만 400만원 벌던 계층은 일자리가 사라지고 300만원 벌게 되면 생계에도 타격이 옵니다
@joungdong
@joungdong Ай бұрын
임대가 잘 안나가요? 신촌도 보면 신축이거나 시설이 좋은곳은 가격이 높은데 나가고 낡은곳은 잘 안나가는 사람은 조금씩 주는것 같은데 좋은곳은 가격불문? 같은..저도 작은 원룸 왠지 느낌은 잘 안나가는 듯한
@daslkwoidl
@daslkwoidl 10 күн бұрын
300만원인데 생계에 타격이와? 비약좀 그만해라
@yuns5626
@yuns5626 Ай бұрын
두 분 모두 맞는 말씀입니다. 인구 감소(청년감소 노인증가)하면 미래세대는 큰 문제에 직면 할 것이고 현재 세대는 어차피 병풍 뒤에서 향 냄새 맡고 있을 텐데요. 어떤 세대의 시각에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겠지요. 그리고 현재 세대는 인구감소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 한게 아닙니다. 포기한거죠.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Ай бұрын
포기함 이게 정답임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Ай бұрын
이쪽은 옳고 저쪽은 그르다. 란 양면으로 보기보다는 두분다 타당성 있는 말씀같습니다
@OneTabbyYeiX
@OneTabbyYeiX 9 күн бұрын
일본처럼 40 50대 사패들이 분노범죄 증오범죄 저지르고 다니며 떠들썩 해지겠지 80세가 50대 자식 부양하고말이죠
@user-bk7db1hp2x
@user-bk7db1hp2x Ай бұрын
인구수 감소는 국가에 있어 치명적으로 작용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로 소비 능력이 떨어져서 내수로는 경제를 부양하기 더 어려워지고 지금보다 더 외국의 영향에 크게 흔들리는 경제 구조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둘째 한국은 아직 전쟁중인 국가로 전쟁의 위험이 커질 것 입니다. 아무리 최신의 무기로 무장을 해도 결국 전쟁을 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자본력과 그무기를 운영 할 군인 필요합니다. 군인 줄어 든다는 말은 운영 할 수 있는 무기 체계가 금방 무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셋째 고령화 사회로 인한 사회 복지 비용 증가와 날로 줄어드는 세수는 국가 운영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내용에 보면 정년 연장이 나오는데 정년 연장은 고령화 사회에서 악수로 작용할 것입니다.왜냐하면 정년 연장은 국가 경쟁력의 도태를 불러온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의 발전은 날로 빨라지는데 기존 시스템을 고집하는 세대(새로운 기술을 이용하기 어려운 세대)가 계속 상위 직급에서 있다면 그 조직은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게 늦어지고 결국 경쟁력의 퇴보 할게 될 것입니다. 또한 정년 연장은 2030대의 양질의 일자리를 빼앗는 형태입니다. 일자리의 갯수는 한정되어 있는데 기존 세력이 계속 유지하고 있으면 당연히 티오는 줄어 들 것이고 인구가 줄었다고 한들 백수가 늘어날 것입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healer24062
@healer24062 Ай бұрын
두분 다 각자 어디에 기준을 두고 말씀하시는지 알것 같습니다. 아마 한 쪽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분들은 영상을 다 안보신거겠지요. 저도 처음 영상을 재생하고 댓글을 보았을땐 한쪽이 뭔가 어긋났구나 싶었지만 다 듣고보니 아니었습니다. 결국 두분 모두 좋은 방향으로 가야된다는 생각은 틀림 없다 느껴집니다. 대한민국 응원합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아이쿠 말씀 감사합니다. 항상 찾아주시고, 응원의 댓글 남겨 주셔서 큰 힘이 됩니다. 멋진 하루 보내세요.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piy5288
@piy5288 3 күн бұрын
틀린 말하시는 분은 없다고 봄 나도
@user-gi7xb2rb6o
@user-gi7xb2rb6o Ай бұрын
한문도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면 참 합리적이고 실용(현실)적이란 생각이 듭니다. 응원합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hanjiney
@hanjiney Ай бұрын
감소가 문제가 아니라 노인들만 많아지는 게 문제인 것임 생산성 저하 비용 증가 사회
@damianoh4999
@damianoh4999 Ай бұрын
노인들이 열심히 일해야죠.. 100세 시대에 80까지는 정정함... 뛰어도 댕김..ㅋ
@해피에용
@해피에용 Ай бұрын
@@damianoh4999 일만하면 되는게아니고 혁신을 못한다는것임. 그리고 소비와 성장을 못한다는것임. 지금이 농경사회도 아닌데... 노인들은 딱 자기 병원비 만큼만 일하게 될것임. 젊은이들 발목 안잡으면 다행이고.
@hermian9475
@hermian9475 Ай бұрын
그게 감소야.
@user-xl7tx5ym3k
@user-xl7tx5ym3k Ай бұрын
​@@해피에용일단 병원비 만큼만 일한다는 건 사회의 부담이 적다는 거고 혁신은 과거 집단 형식의 시대가 아니고 소수 엘리트가 혁신을 하는 겁니다.
@hyecho5760
@hyecho5760 Ай бұрын
미국은 정년이 없어요 80세까지 건강하면 일할수 있어요. 정 인구가 모자라면 이민정책을 쓰면 됩니다. 무슨 문제인지.
@eunggyoonshin1978
@eunggyoonshin1978 Ай бұрын
정말로 유익한 방송이었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도움되신다니 제가 더욱 기쁩니다. 앞으로도 많은 기대 바랍니다!
@user-lc9hc3jt7p
@user-lc9hc3jt7p Ай бұрын
오 내용좋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 말씀 감사합니다
@user-gy3lx1nv4k
@user-gy3lx1nv4k Ай бұрын
전혀문제없다. 쫌만기다려라 학원 다 망한다 초등학교 앞에 가봐라 문구점도 없다.유치원도 없어진다. 문제없다? 별 미친..대한민국 인간들 전부 희망고문만한다...이미 늦었다.해결책이 없으니 문제없다. 와~~~~아예 아무것도 안하겠다는 대한민국..하긴 애들 죽든말든 연금 더 받겠다는 인간들이니 무슨 희망이 있겠어..
@user-id9ks3qw3b
@user-id9ks3qw3b Ай бұрын
너무 삐뚤어졌다 문구점이 왜필요하냐 학교에서 다주는데 학원망하면 좋은거지 사교육비가 줄어드니까 열심히 살어 좌절말고 나라원망만하지말고 지금 연간 엄청난 세금을 투여하고 잇는데 아무것도 안하겟다는 대한민국이 뭔말이냐 나라에서 돈더달아 이거냐애들이 왜죽어 경쟁이 줄어드니 더좋은거지 취직도 쉽고 앞으로는 기업들은 젊은 인재유치하기가 하늘에 별따기일거다 그럼 연봉엄청 뛰겠지
@user-qd8fp8hp7j
@user-qd8fp8hp7j Ай бұрын
학원이 망한다해서 심각한문제다?? 업계의 성장 수축은 시대를 막론하고 항상 나타났던 현상인거지 문제가 아님 ;;;; 생각하고 고민하고 대응하고 현명하게 각자 살길 찾아가는거지 누가 내인생 대신 살아주길 바라면 안됩니다.
@damianoh4999
@damianoh4999 Ай бұрын
@@user-id9ks3qw3b 중간까지는 많지만 취직이 쉽지는 않을꺼다. 모 기업 총수가 한말. : "회사는 원숭이가 사람보다 일 잘하면 원숭이를 데려다 쓴다.". 가성비 좋은 외국인을 갖다 쓰겠지. 연봉은 절대 올라갈수가 없음. 애초에 우리나라 회사들이 문제가 아니라... 중국에서 값싼 제품들과 경쟁하려면 답이 없는 거다. 무인 자동화 투자는 계속 진행될꺼고.
@user-ki5dj1rh6w
@user-ki5dj1rh6w Ай бұрын
너도 대한민국 인간인거 같은데 나라를 위해 무얼 하였는가?를 대답해 보거라
@user-id9ks3qw3b
@user-id9ks3qw3b Ай бұрын
@@user-sp4od3nz7e 긍정적으로 사세요 너무 비관적이네요 공교육질이 좋와요 우리집애들 사교육한변 안받아도 공부잘하고 심지어 피아노도 독학으로 배우더라고 외노자들은 우리아 안하는거 하는게 무슨 경쟁????? ㅋ
@Hyun-vq4tr
@Hyun-vq4tr Ай бұрын
한문도 교수님 말씀이 훨씬 공감됩니다😊 제가 실제 주변의 결혼기에 다다른 친인척들에게 물어보니 한문도교수님의 말씀과 많이 일치하더군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멋진 하루 보내시고요. 건강 유의하세요!
@user-hf2vd7el6g
@user-hf2vd7el6g Ай бұрын
네. 님 주변의 결혼기 친인척 분들 말씀 뿐 아니라 특별한 지혜나, 지식, 상식이 없어도 인구감소로 인한 문제가 크다는 말은 누구나 다하고 있음.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도 역시 비슷 비슷하게 얘기하고 있음. 그래서 오히려 신세돈 교수님 의견이 생각해 볼 의미가 있음. '맞다, 틀리다'를 떠나서 누구나 다 하는 말. 할 수 있는 말을 하고 있을 때, 토론의 장에서 다른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용기와 양심이 눈에 띔.
@baltopegginddae
@baltopegginddae Ай бұрын
​@@user-hf2vd7el6g 논점 빗겨치기 하지마세요.
@user-ce3nv3rz8e
@user-ce3nv3rz8e Ай бұрын
저출산이 얼마나 심각하면, 저출산의 단점은 확 빼고, 장점만 보려고 하는 사람들도 생기는 구나. 그 자체가 위기라는 반증.
@user-qz4ej9ov5t
@user-qz4ej9ov5t Ай бұрын
두분다 핵심보다는 겉도는 토론인듯합니다. 다양한 연령때의 토론자가 문제점 해결책에 대한 논의를 해보는게 유익할듯 합니다.
@user-uv6hr8zr3z
@user-uv6hr8zr3z Ай бұрын
아이스크림이 덜 팔려도 가격이 오르면 문제 없다니? 수요의 감소를 통화증발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상쇄가 가능하다고? 그러면 통화를 지금보다 더 폭증 시켜 하이퍼플레이션이 나타나면 경제가 좋아지는가? 교수가 아니라 바보구만.
@user-tw3gw3rz3d
@user-tw3gw3rz3d Ай бұрын
개노답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이냐고요 통화량 막 늘려도 괜찮게.. 돈찍어내다가 나락간 나라가 얼마나 많은데.. 교수는 어떻게 된거지... 돈주고 산건가... 대한민국이 베네수엘라 되서 좋은 인력들은 해외로 탈출, 답 없는 남자는 마약밀매, 여자들은 길거리로 나가 매춘, 대다수의 국민이 끼니를 걱정하는 대한민국이 되길 바라는건가?
@user-rg5ri3pu7h
@user-rg5ri3pu7h Ай бұрын
부연설명없이 빚대어 얘기했다고 그 말을 인플레로 이해해버리네ㅋㅋㅋ통화증발은 어디서 나옴?저분이 통화증발로 설명하심? 이상하게 해석하고 바보취급ㅋㅋㅋㅋ추천수보소 와 진짜 수준들
@user-uv6hr8zr3z
@user-uv6hr8zr3z Ай бұрын
@@user-rg5ri3pu7h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떤 상황이든 화폐적 현상이라는 것은 정설로 받아드려지고 있슴. 아이스크림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다른 모든 상품의 가격이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한다는 애기이며 인구의 감소는 실질매출의 감소로 직결됨. 10년이 지나 아이스크림 가격이 상승했다고 좋아할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물가의 상승이 비슷하게 올랐기 때문에 결국은 인구감소에 비례해서 소비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임. 인구 감소가 1-2년 사이에 이뤄지는게 아니라 괜찮다는 논리는 도대체 제정신을 가지고 하는 애기인지. 적정 인구가 지금의 반으로 줄어도 좋지만 합계출산율이 0.6-0.7명대는 인구감소 속도가 거의 재앙으로 받아드려도 좋을 정도의 수치인데. 1-2년은 거의 인구 몰살 수준인데 인구 몰살수준이 아니라면 괜찮다는 정상인으로는 보기 힘든 이상한 생각의 소유자임.
@Action_Do
@Action_Do Ай бұрын
아이스크림 가격이 올라가서 문제가 없다니 ㄷㄷ 그 비싼 아이스크림을 누가 사먹을지? 전문가 맞나요?
@user-nc7id5tr2l
@user-nc7id5tr2l Ай бұрын
​@@user-rg5ri3pu7h나도 이해를 못하겠던데 이해한 니가 해설 좀 해주라
@user-rq1tv6yo1s
@user-rq1tv6yo1s Ай бұрын
문제가 없다니... 이건 황당함을 넘어 추하기까지 하네.. 김교수님. 이런 토론은 건전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상황이 저런 궤변에 귀 기울일만큼 한가하지 않아요. 어떻게 할 것인가에 힘을 몰아도 촉박합니다.
@StormshieId
@StormshieId Ай бұрын
나와 내 가족만 잘 처먹고 잘 살면 그만이라는 저런 기성세대들의 마인드가 지금 우리나라가 왜 이 지경이 됬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토론. 결국 이 모든 재앙은 저런 기성세대들이 일으켰고 저런 기성세대들의 손주들이 감당하게 됨. 우리나라의 운명은 정해졌음. 인구수 3천5백만명이 되는 50년 후, 제2의 베트남이나 중국의 속국이자 일본의 경제 식민지가 될거다. 기성세대 여러분들, 이게 다 여러분들 때문입니다. 한세대 반 만에 200명이 25명으로 줄어드는 기적. 이 기적을 일으킨건 기성세대 당신들 입니다.
@bonbonliqueur
@bonbonliqueur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전혀 생산적이지 않은 토론.
@goldfishlim7859
@goldfishlim7859 Ай бұрын
새도 둥지가 있어야 알을 낳는다
@user-ps1cp1fe9x
@user-ps1cp1fe9x Ай бұрын
​@@StormshieId 민족주의가 나라망침
@user-july-galbo
@user-july-galbo Ай бұрын
​@@StormshieId 기성세대마인드가 아니라, 기득권자칭보수들의 전형적인 마인드입니다. 지들만 잘먹고잘살면되는 마인드.
@ChoJheongHui
@ChoJheongHui Ай бұрын
좋은 기획입니다. 2부도 기대할께요. 시청자 질문도 받아 답변하는 시간도 있으면 합니다.
@user-um5lz4ze6f
@user-um5lz4ze6f Ай бұрын
설사 문제라 하더라도 해결할 방법이 없다? 기가 막히네요.
@superstupid2497
@superstupid2497 Ай бұрын
좀 다 보고 댓글 다쇼
@KimGapHwan
@KimGapHwan Ай бұрын
인구가 준다고 문제가 안되지만 한국은 심각하게 문제가 발생할 정도로 줄고 있다
@user-br6xv9rf5c
@user-br6xv9rf5c Ай бұрын
모두 국민연금은 더 받겠다고 하면서 저출산이 문제가 없다면 세상이 다 된것이지요! 내 자시과 손군들의 앞날이 두려으니 죽어도 맘이 편할것 같지 않네요!
@MrSimultr
@MrSimultr Ай бұрын
한교수님은 뭘 퍼줘서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시고, 신교수님은 현상은 받아들이고 더욱 강하게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시네요. 동시대의 부모들이 가진 마음을 두분이 대변하시네요. 경제발전 일꾼세대들에 키운 것이 지금의 젊은 세대들입니다. 일꾼 &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가난을 물려주기 싫었던 마음과 부지런히 경제에 몸 받쳤던 마음은 그만 내려 놓고, 젊은 세대들이 좀 헤쳐 나갈 기회를 주시죠? 젊은 세대들도 뭔가 할 기회를 줘야지요. 지금의 저 젊은 세대들의 모습을 보고 자란 후세대는 달라지지 않을까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wangjjoa7337
@wangjjoa7337 Ай бұрын
늦게 봤네요~볼게 쏟아져서 ㅎㅎ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a18nun
@usa18nun Ай бұрын
신세돈 교수님 논리에 헛점이 많습니다. 말씀하신 대안들은 2000년 초부터 해왔지만 별 성과가 없었습니다. 군대와 세금, 경제규모등 엄청난 이슈가 많은데 별 문제가 없다니요. 이 나라가 미국입니까? 돈 싸들고 휴전중인 나라에 왜 올까요? 지금이 위기인 줄도 모르는 국민들이 많다는 것이 더 큰 위기입니다.
@eJw2742
@eJw2742 Ай бұрын
나는 곧 늙어죽으니까 내게는 전혀 문제 없다
@user-ow6km4nv3k
@user-ow6km4nv3k Ай бұрын
조만간 가실분이라 굳이 모른척 하는거죠
@kiwoongpk91
@kiwoongpk91 Ай бұрын
한국은 미국은 아니지만 G20 경제로써 훨신 더 안좋은 환경 속에 사는 나라들 에서 일꾼들 충분히 착취 할 능력 은 됩니다 한국 사는 한국인 들 한테는 좋은 소식으로 들릴수가 없겟지만 그냥 사실이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캐나다나 미국 같은 경우는 한국같은곳에서 사람 대려오고 싶어하고 너무 밑바닥인 나라 에서 사람 데려오고 싶어 하지는 않아 해서 정말 밑바닥 나라 한테는 한국으로 가는거 조차도 아주 큰 기회 로 보일수가 있겟죠 특히나 원래 총소리에 익숙한 사람들은 뭐 생각 할 것도 없이 바로 한국으로 가겟죠
@wonyi8780
@wonyi8780 Ай бұрын
이민 문호 개방하면 너처럼 불평많은 애들이 아니라 성실하고 돈 많은 애들과 국가를 건설하는게 경제적으로 훨씬 좋다는 이야긴데 어디에 헛점이....?
@eJw2742
@eJw2742 Ай бұрын
@@wonyi8780 이민 문호 개방해서 성실하고 돈 많은 이민자들로 국가 건설 성공한 사례가 미국 빼고 한 하나라도 있으면 제시좀.ㅋㅋㅋ
@gibeommin9046
@gibeommin9046 Ай бұрын
집값 떨어지면 출산율 오릅니다. 실제로 집을 살 수 있기 때문이 아니라 불안감이 줄어들고 미래에 대해 희망을 가질 수 있기에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는 겁니다. 집을 살 수 있을까? 내 집에서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을까 걱정하지 않게 되면 자연스럽게 인구감소 문제는 해결될 겁니다.
@kyung-ilchoi9633
@kyung-ilchoi9633 Ай бұрын
아니요 집값이 떨어진다고 해도 출산율 높아졌다는 통계가 없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당시 부동산 경기가 안좋아서 부양정책까지 했습니다.. 그당시 집사면 바보라는 소리까지 있었죠 근데 그당시 출산율이 좋았습니까? 마치 집가격이 싸지면 안정적으로 집구입해서 자녀 낳고 키울꺼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치명적인 부분이 있죠 한국의 상당수의 사람들은 자산은 집입니다 그가치가 하락하면 어찌될거라고 생각하시나요? 더 어려운 경제적 위기가 올 겁니다 그때는 또 경제적 이유로 또 출산률 들먹이겠죠..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고견 남겨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 어제 보다 더 건강한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leokim4481
@leokim4481 Ай бұрын
집값 떨어지면 출산율 조금 오를 수 있겠지만 획기적으로 문제 해결은 안돼요. 공공임대 활성화된 싱가포르도 출산율 0점대 입니다.
@user-dp1jr7dk8l
@user-dp1jr7dk8l Ай бұрын
베이붐 세대를 생각해보면 답이 나옵니다. 그 당시에 집이 많았을까요? 집을 소유한 사람들 비율이 지금보나 높았을까요? 아니죠. 출산율과 집값을 연계시키는 것은 또 다른 부자들을 위한 정책일 뿐입니다.
@user-he6hn1gb3m
@user-he6hn1gb3m Ай бұрын
​@@leokim4481공공임대랑 매매랑 같냐 능지떨어지는 인간아
@user-vd4sb1cg1n
@user-vd4sb1cg1n 6 күн бұрын
신교수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대단한 논리이십니다 특히 한국의 저출산 정책은 돈주고 집준다고 절대 개선되지 않는 것은 이젠 정답이 되었습니다 변화에 따른 이게 문화라는걸 뻔히 알면서 이걸 정치에 이용 하는 나쁜놈들이 있지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6 күн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멋진 하루 보내시고요. 건강 유의하세요!
@user-ye2gy8ht4z
@user-ye2gy8ht4z 7 күн бұрын
미움받을용기가 있는 신세돈교수님 말씀이 더 와닿네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7 күн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멋진 하루 보내시고요. 건강 유의하세요!
@user-uw1kg5xp4m
@user-uw1kg5xp4m Ай бұрын
여러분 보셨죠? 한국에서 소위 지식인이라는 사람들의 미래 인식이 저렇습니다. 얼른 도망가는 게 최선이고, 그럴 수 없다면 각자도생에 전념하세요.
@hancha3282
@hancha3282 Ай бұрын
안타깝지만 각자도생을 위한 노력의 결과가 한국을 떠나는거지, 국외로 도망감으로써 한국에서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수는 없습니다.
@kyosunlee
@kyosunlee Ай бұрын
@@hancha3282님글의 국어 문법을 다시 살펴보세요. 뜻이 전혀 전달 안됨
@user-nj3dy9we3d
@user-nj3dy9we3d Ай бұрын
​@@hancha3282뭔지는 알겠는데 국어 실력이 형편 없네요 ㅎㅎ
@hancha3282
@hancha3282 Ай бұрын
피드백 감사합니다. 다시 잘 고쳐볼게요
@George76430
@George76430 Ай бұрын
응 꺼져
@junnykim8366
@junnykim8366 Ай бұрын
신세돈교수.. 이렇게 편협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 교수라니 기가찹니다..
@saelomlim
@saelomlim Ай бұрын
초반에는 그랬지만 후반부 신세돈 교수님 발언은 100% 공감합니다. 저출산대응으로 쓰잘대기 없이 예산낭비 하지말고 경제를 살리는데 예산을 쓰면 자연스레 출산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제 생각에는 아이 낳는다고 돈을 주는것이 아니라 차라리 그 돈으로 한국이 살기좋은 환경개발에 돈을 쓰는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user-xc5wu3bk8s
@user-xc5wu3bk8s Ай бұрын
편협은 너인거고
@user-wi1bl3vj9u
@user-wi1bl3vj9u Ай бұрын
아직도 예산만 넣으면 경제발전하고 사업이 살고 산업에 활력이 돌거라는 늙은이들이 문제다 지금 기업들이 자본이 모자르냐 기술이 모자르냐 어휴 됐다
@user-ox5ph1lo8s
@user-ox5ph1lo8s Ай бұрын
숙대수준이 그렇지 ㅋㅋ
@efd272
@efd272 Ай бұрын
전 신세돈 교수 반대입니다 경제를 살리면 출산율이 올라가지는 않습니다..경제 좋은 싱가폴이 출산율이 높나여?
@user-sp4gf9jl9s
@user-sp4gf9jl9s Ай бұрын
두분 교수님 말씀 다 공감가네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멋진 하루 보내시고요. 건강 유의하세요!
@bigchoi6518
@bigchoi6518 Ай бұрын
자영업자의 일자리 만듬이 저소득층의 중간층으로 가는 사다리 였는데 다 죽여놓음 그 시기가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및 근로시간단축 물가상승 ..결국 하층민만 더 늘어남(열심 사는 이들이 더 벌고 중산층 갈수 있게 할수 있는 요소가 중소기업 자영업의 일자리 였음 ..사다리 다 없애니 ㅠㅠ 신교수님 말에 동감!!)
@user-kb7xs5wu5z
@user-kb7xs5wu5z Ай бұрын
인생이 이토록 고통스러운 이유는 ‘태어났기 때문’이다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Ай бұрын
맞죠...
@Bora_san
@Bora_san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 떳노.
@wepo511.
@wepo511. Ай бұрын
@@Bora_san 쇼팽이요?
@user-fu7qm3gy7y
@user-fu7qm3gy7y Ай бұрын
쇼펜하우어가 다 했던 말임. 나도 요즘 읽는 책😅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 Ай бұрын
@@user-fu7qm3gy7y 요즘 젊은이들 똑똑해요. 안 낳잖아요... 그래도 낳는이가 있다는게 신기하죠
@canmove
@canmove Ай бұрын
신세돈씨는 진짜 말 한마디한마디에 한숨이 나오네 ㅋㅋㅋㅋ 진짜 어이가없구만
@StormshieId
@StormshieId Ай бұрын
기성세대들이 보편적으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잘 보여주는 부분.
@duk6212
@duk6212 Ай бұрын
말 한마디 한마디에 숨이 턱턱 막히네요
@rookie3954
@rookie3954 Ай бұрын
ㄹㅇ 노인네들이 젊은사람을 어떻게 이해하겠습니까 ㅋ 그냥 처망하는게 맞는듯
@12hr
@12hr Ай бұрын
지금 대다수의 586세대가 생각하는 걸 얘기하는거임
@user-ox5ph1lo8s
@user-ox5ph1lo8s Ай бұрын
대학입학 지금 엄청힘든데 ㅋㅋ 저교수가 있는 숙대나 비리비리하지 ㅋㅋ
@user-di7pi7vk2y
@user-di7pi7vk2y 7 күн бұрын
두분다 맞는 말씀이십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7 күн бұрын
😊😊😊
@powereggplant
@powereggplant Ай бұрын
유럽도 출산인구 감소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경제 하락세가 이미 보이고 있어요. 인구감소가 정말 걱정됩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Ай бұрын
프랑스에서 저출산 해결한방법이 바로 미디어에서 떠들지 않는거였습니다. 심리학적으로 접근을했던거죠. 사람들이 애낳아라 저출산이다 나불되면 오히려 출산율이 폭삭주저 앉는다고합니다...참 희안하죠..한국은 집단주의적성격의 나라라...훨씬 심할듯
@user-fi4pv9gl4q
@user-fi4pv9gl4q Ай бұрын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중의 선택을 따라가니요
@Bora_san
@Bora_san Ай бұрын
혹시 출처가 어디에요? 마크롱이 저출산에 인구적 재무장하겠다고 기자들 불러서 기자회견하는데...
@user-uv1gq9po7i
@user-uv1gq9po7i Ай бұрын
그말의 사실여부를 떠나 적어도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한국인에게는 해당되는 얘기일수 있겠네요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Ай бұрын
사회심리학적으로 저출산 심하니 애낳으면 뭐달라 이거저거 달라 요구하는게 엄청나지고 이사람 저사람 안낳으니 나도 안낳아도 되겠네 합리화가 되는게 아닐지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Ай бұрын
@@Bora_san 마크롱보다 훨씬 이전이야기입니다. 요새 프랑스도 출산율 떨어지는거보면 미디어에서 나불나불되서 그런걸수도
@user-xn6yt1jy8j
@user-xn6yt1jy8j Ай бұрын
오늘도 잘 들었습니다. 한문도 교수님, 신세돈교수님 두 분의 입장은 다르지만 두 분 말씀 다 공감이 가는 말씀이었습니다. 유익한 토론장이었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도움되신다니 제가 더욱 기쁩니다. 앞으로도 많은 기대 바랍니다!
@user-bn6pv7bl2h
@user-bn6pv7bl2h Ай бұрын
경제학을 한다고 하는 사람이라는 이미 뭐가 문제 인지 알고 있음 ㅋ 여러가지 복합적이지만 우리때는 집도 없어도 애 놓고 잘 살았다. 그때와 지금의 시대 배경 부터 봐야햠 찐 문제는 내가 노력만 하면 집도 사고 혼자 벌어 4인가구 먹여 살릴수 있다. 나도 중산층이 될수 있다. 시골에서 무일푼으로 올라와서 나도 결혼도 하고 애도 놓고 집도 살수 있다 는....희망이 보여야함 그런데 주변을 둘러보니깐 나빼고 전부 벤츠 타고 20억 30억 짜리 아파트 살면서 아무것도 안해도 때돈 벌어 들이는거 같음.... 예전에는 tv를 틀면 전원일기...한지붕세가족 같은 찐 서민들...이야기를 보여주면서 공감을 형성하고 다 그렇게 살어 했는데... 지금은 뭔놈의 전부 재벌 만 나와..... 젊은 잘생긴 실장님이...나이든 이혼녀를 사랑한다고 따라 다녀.... 미쳤음... 가장 큰 문제는 양극화....그리고..미디어....이 두가지가 가장 큼...
@user-rs7dl7gj9s
@user-rs7dl7gj9s 14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재벌이 재벌이 아냐 완전 황제지
@-Is-This-Right-
@-Is-This-Right- Ай бұрын
100원짜리 아이스크림 5개를 5명이 하나씩 먹으면 500원이고 2,000원짜리 아이스크림 1개를 한명이 먹어서 2,000원이면 큰 문제 없다라고하는데 그걸 5명이 먹음 10,000원입니다 교수님 그냥 자기 생각을 얘기하면 교수말고 그냥 아무나 와도 될거 같아요 아이를 안낳는게 사람들의 자유의지라고 보기보다 아이를 낳는 환경이 나빠서 안낳는건 어떻게 생각하실지 궁금하네요
@leokim4481
@leokim4481 Ай бұрын
저 교수님 세대는 지금보다 훨씬 나쁜 환경에서도 애들 낳았으니 이해 못하죠.
@user-he6hn1gb3m
@user-he6hn1gb3m Ай бұрын
뭐라는겨ㅋㅋ 이해력 후달리면 입 닫고 있으세요ㅋㅋㅋㅋ
@daeyouncho5274
@daeyouncho5274 Ай бұрын
저런걸 델꼬 토론하는 CBS도 참 한심합니다.
@user-sz6kk1pc5r
@user-sz6kk1pc5r 17 күн бұрын
지금도 과자 비싸서 소비가 잘안돼는듯한데 ..
@user-gy3lx1nv4k
@user-gy3lx1nv4k Ай бұрын
지 눈에 안보이면 문제없지,..참 한심한 대한민국 기성세대들..신교수님 보면서 아~~~ 우리 기성세대들은 변할 생각이 없구나...또 저런 사람이 여기저기 다니면서 저런 이야기 하고 다닐거 생각하면 소름이 끼친다.진짜 그리고 인구가 천천히 준다? 매년 신생아가 10프로씩 줄고 있는데... 인구가 문제 없다?? 그럼 당신같은 노인이 군대갈겁니까? 결혼해서 애를 낳을 거에요? 아님 간병인 할 겁니다. 내일도 모르는 양반들이 1000만이 넘는데, 무슨 소리를 하는지...그리고 신교수님께 한마디 하겠습니다. 애들이 줄어서 당신 사학연금이 줄어야 피부에 와 닿겠죠?? 그전에는 아몰랑 아몰랑...국가존립의 문제를 과거 지난 이론이나 들먹이고, 애들이 결혼 안하는 건 문화다.... 미치것다 진짜...왜 문제가 해결이 안되는 지 알것다.
@razorblade9942
@razorblade9942 Ай бұрын
자기 죽고난 일은 내일 아닌거거든 ㅋㅋㅋㅋ
@Sigma-Male017
@Sigma-Male017 Ай бұрын
후손들 입장에서 보면 여기살고 있는 젊은것들도 똑같은 죄인 입니다 나라가 개판으로 돌아가는데 혁명 등 왜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않았습니까? 또는 왜 지금도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않습니까? 국가/정부 욕해봐야, 회사욕하고 다니면서 결국 그회사만 주구장창 다니면 찌들이들의 표본 입니다 그렇게 욕할회사면 이직해야하고 그렇게 욕할나라이면 이민해야지요 그냥 수긍하고 체념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해결할수 없는 분노를 평생 짊어지며 국가를 욕하며 사는게 너무나 시간아깝습니다 지금보면, 일제강점기도 일본이 나빴다기 보단 조선이 너무나 무능했던 것입니다 무능하면 당해야지요 갑을 갑답게 살고 을은 을답게 살아갑시다 이게 우리의 현실입니다 다만, 이 현실을 내 대에서 끝낼수 있습니다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을수 있습니다 백전백승 승승장구 할수 없으면 무전무패 합시다 흙수저인 저는, 도태되어 금수저 인생과 비교시 패배했지만 제 자식에게는 패배감을 물려주지 않을수 있습니다 패배에 대한 피해의식도 물려주지 않을수 있습니디 왜냐하면 태어나지도 않았기 때문에 금수저 자식들과 경쟁할수 없습니다 경쟁조차 안하기에 패배, 도태당하지 않습니다 저같은 흙수저들은 자식들에게 무패를 안겨줍시다 무전하면 무패합니다 금수저 자식들이 백전백승 할거 같으면 애당초 경쟁승부에 참여 안하면 됩니다 백전백승 불가하면 무전무패라도
@user-yo9hn9yz4i
@user-yo9hn9yz4i Ай бұрын
연금300이상꼰대들아 더도말고 15프로씩만덜받는걸로 양보해보세요 그럼 연금문제 노인부양문제 엄청해결될겁니다 15프로 덜가져가도 꼰대들 만수무강전혀지장없음
@wonyi8780
@wonyi8780 Ай бұрын
ㅎㅎㅎㅎ 웃기지마라 신교수이야기를 안듣네 인구야 해외에서 이민 받으면서 수위 조절하면 되는 거고 애보다 현재의 고단함에 집중하는 세대에게 돈 퍼줘 봤자 사회가 발전하는게 아니라 기업이나 소상공인에게 지원해서 일자리 늘리면 니들이 아니더라도 한국와서 살 사람들 많다는 이야긴데 뭐가 그렇게 심통이 나는 거냐? 꽁돈 좋아하지마라...ㅉㅉㅉ
@user-kj2ut7ph1o
@user-kj2ut7ph1o Ай бұрын
@@wonyi8780 이민? 받아봐. 어떻게되나. 미국처럼 초거대 IT기업에서 근무할 젊은 인재들이 한국오겠냐? 범죄자나 하층 노동자만 올텐데. 매일같이 칼부림 나고, 마약에 총질하는 나라에서 잘 살아보쇼.
@user-wf2mm5hv4i
@user-wf2mm5hv4i 27 күн бұрын
경읽남 TV님 이런 토론을 많이 해 주세요.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27 күн бұрын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즐겁게 방문해 주시길 바랍니다.
@user-ik2dx3lx3c
@user-ik2dx3lx3c Ай бұрын
신교수 말이 완전 맞지 인간의 수준더 높아지지 급여든 뭐든 애들 세상은 더 좋아짐 지금 사람들이 겁내똑똑한거임 박수보냄 그러다 좋은세상에서 애들이더 태어나지 미래기준으로 봐야지
@user-ik2dx3lx3c
@user-ik2dx3lx3c Ай бұрын
글고 집값이 떨어지면 더 허리띠 졸라매지 에그 소득을 올리고 비정규없애고 대출지원책쓰고 자영업손보면 모든게 다되는겨
@rosalee9365
@rosalee9365 Ай бұрын
체제를 안 바꾸려니 인구감소는 큰 문제 지구는 환영할 일
@coldramen2
@coldramen2 Ай бұрын
나라에 심각한 문제다 VS (우리 노인들은) 전혀 문제없다 진짜...꿀밤이라도 한대...^^
@user-vo1wu5mn3i
@user-vo1wu5mn3i Ай бұрын
국토도 좁은데 인구가 적어지면 좋죠... 문제는 적어지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고통이고 문제라는 겁니다.. 출산율이 2가 넘지않는 이상, 이 '과정'이 끝나지않을거라는데 비극이 있는겁니딘.
@funxr_ssando
@funxr_ssando Ай бұрын
와... 너무 고퀄 토론 잘봤습니다 ! 두분말씀 잠깐 들어왔다가 끝까지봤습니다;; 개인적으론 신세돈교수님 말씀에 좀더 공감을 하지만 한문도교수님 토론도 멋졌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즐겁게 방문해 주시길 바랍니다.
@user-rq9zh2hm5o
@user-rq9zh2hm5o Ай бұрын
인구감소 문제 없다고 하난 사람들 돈만 벌고 싶은 진짜 이기적인 어른임
@user-cm5ku9dh4o
@user-cm5ku9dh4o Ай бұрын
넌 어른이 아닌구나
@user-rq9zh2hm5o
@user-rq9zh2hm5o Ай бұрын
@@user-cm5ku9dh4o 주식하는 70대 할배 입니다
@user-fi4pv9gl4q
@user-fi4pv9gl4q Ай бұрын
한국은 노령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면되지 저출산은 해결할수 있는 문제가 아닌듯.이제 AI로 직업도 많이 사라지는 데 부동산공화국에서 가장 합리적 선택 중입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user-ex9xg7bz2d
@user-ex9xg7bz2d Ай бұрын
요즘 대다수 20~40은 나 자신만이 중요하고 하고싶은것 먹고싶은것 사고싶은것이 제한되는데 이 풍요로운걸 어느정도 내려놓고 희생하기 싫다는데 무슨 수로 바꿀수있을까요.. 쉬운말로 평균소득으로 따지자면 애 안낳고 동거하면 집이야 필요없고 차는 아반떼말고 e클래스를 탈수있고 샤넬 백 1년에 1개 살수있는거 3개 이상 살수있는거고 이런데 누가 하겠습니까 자녀때문에 다 내려놓고 희생, 책임지기 싫은 마인드가 강해져서 쉽지않을듯합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user-gk5kk4jv5g
@user-gk5kk4jv5g Ай бұрын
신세돈교수님이론에공감합니다ㆍ
@user-bk8mc8nf5f
@user-bk8mc8nf5f Ай бұрын
기술자가없다는게 심각함 중소기업 심각해요 2030년까지 자동 구조조정입니다 소비도 지금도심각하지만 정말심각할듯해요 지금 일자리는 정체라고 하지만그일자리 앞으로 체우지 못함 인자 행복끝 불행시작이에요 정말 심각함 김광석 교수님 화이팅
@user-yw6ej3on9u
@user-yw6ej3on9u Ай бұрын
저 할아버지 처음 보는 분인데...우리 나라가 왜 이렇게 됐는지 어떤 어른들 때문이였는지 명확히 알수 있는 토론이였네요.
@applekimm
@applekimm Ай бұрын
그냥 니가 낳기 싫은거잖아요 ㅋㅋ
@user-ol5hn9ct8m
@user-ol5hn9ct8m Ай бұрын
이건 뭔소리인지., .
@user-qi5ie6dp1f
@user-qi5ie6dp1f Ай бұрын
한문도 교수님 말씀이 맞습니다
@kyung-ilchoi9633
@kyung-ilchoi9633 Ай бұрын
내가 수십년재 이야기 하는 걸 신제돈 교수님이 아주 정확하게 이야기 해주셨네요.. 특히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실패한 출산정책이나 공약으로 누구하나 책임지는 공직자들 보질 못함.. 하다못해 경제.외교,국방에서도 실패한 정책에 대한 질타가 있는데 수백조나 쓰고 출산율이 이지경인데 누구하나 책임지는 인간들이 없다는 겁니다!!! 눈먼 세금이 시민단체와 관련자들 호주머니에 들어가고 있죠.. 이게 더 환장할 일입니다...
@woonbeejiang4242
@woonbeejiang4242 Ай бұрын
인구감소를 현재의 사회시스템 하에서 생각하기 때문에 문제가 많다고들 하는것 같습니다. 인구가 감소하게 되면 현재의 사회구조의 변화가 감소인구에 맞게 이루어지게 될 것이고 현재의 사회구조적인 문제 등 많은 사회문제들이 저절로 해결될 것입니다. 다만 일정기간동안 베이비붐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분들이 모두 죽고나면 살기좋은 사회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인구감소 걱정하실 것 없다고 봅니다. 자연현상입니다. 현재의 한국 인구가 그만큼 많다는 이야기 겠죠. 지금의 기득권들이 인구감소를 걱정하겠죠...
@user-ln4od9ev8g
@user-ln4od9ev8g Ай бұрын
정말로 중소기업, 소상공인 영세사업자들을 위한 정책과 정치인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전부 근로자 아니면 대기업만 챙기고 애매한 중간포지션의 중소기업사업자 영세사업장 고용주들은 역차별로 피해만 보고 있는 현실입니다. 신세돈 교수님 말씀처럼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을 공고히 해주는 국가가 되길 희망해봅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user-uj6jw9po8v
@user-uj6jw9po8v Ай бұрын
인구감소는 지구입장에서 보면 축복이죠
@user-jw1dv2ik9q
@user-jw1dv2ik9q Ай бұрын
한문도 교수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user-kz5uz8gn8n
@user-kz5uz8gn8n Ай бұрын
정부가 방임적으로 가는 것은 인구감소를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없고 부동산 가격을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출산률을 높이는 하나의 요인입니다. 여러 가지 요인을 추구해서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고견 남겨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 어제 보다 더 건강한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user-nv6bx6zr8g
@user-nv6bx6zr8g Ай бұрын
유럽 선진국도 출산율 심각하다고ㅜ느끼고 세금 쏟아부어도 출산율 높아지지 않고 근근히 이어가고 있음.. 안낳는건 세계적인 트렌드이고 유럽도 부모가 경제적 뒷받침이 되는 경우만 아이를 많이 낳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함..결국 답이 없음..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님..
@eunsooim653
@eunsooim653 Ай бұрын
유럽에 일년이라도 살아봤어요? ㅋㅋ카더라말고
@khs3213
@khs3213 Ай бұрын
우린 근근히 이어가지도 못하고 최악으로 치닫고 있으니 문제지. 그리고 제대로된 자원이라고는 인적자원 밖에 없고 제조업 기반의 산업구조라서 다른 나라와 비교하는것 자체가 불가함. 성공 사례들도 있으니 밴치마킹하면 되는데 이놈의 나라는 관심이 없단다. 지들 밥그릇 챙기기 바쁨. ㅋ
@raintree9872
@raintree9872 Ай бұрын
신세돈 교수님의 탁견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gibeommin9046
@gibeommin9046 Ай бұрын
당연히 겪어야 할 풍파가 위기라는 겁니다. 그냥 받아들여야 한다는 말이 교수 입에서 나온다는 게 어이가 없네
@vin5520
@vin5520 Ай бұрын
전혀 문제없다 왜냐면 어차피 기후위기로 인간이 살 수 없어서다. 사람들은 심각성을 모른다.
@soophist2119
@soophist2119 26 күн бұрын
언더스탠딩 인구감소 관련 영상보고 오니까 신교수님 말씀이 이해가 갑니다. 사실 저도 부족함 없는 30대 중반 들어선 남자지만, 아이는 딱히 생각이 없습니다. 아이 생각이 없으니 결혼도 굳이..? 그냥 연애하면서 사는게 아직은 재밌습니다. 언더스탠딩에서 다뤄준 많은 연구의 결론은 제가 생각하기에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 정책을 통해서 애를 안낳을 사람을 낳게할 순 없다. 다만 낳을 생각이 있는 사람을 더 부추길 순 있다. 내지는 한명 낳을 사람 두명 낳게 할 수 있다. 즉 저와 같은 수많은 비출산주의 내지 비혼주의 흐름은 막을 수 없는 가치관 혹은 문화가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이것을 물질적인 지원으로 바꾼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군대는 그냥 가기 싫은 건데, 군대 시설 정비하고 급식 개선하고 월급 올려준다고 군대가 가고 싶지는 않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26 күн бұрын
소중한 의견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십시오 👍
@martinbak5789
@martinbak5789 8 күн бұрын
최근에 유투브의 문제는 그냥 누군가 전문가가 나와서 자기 이야기를 한 다는 것인데 일반인들이 봤을 그것에 어떤 의구심이나 맹점이나 사실이 아닌점이나 모순이나 과대해석이나 이런 것을 한번 걸러줄 어떤 장치가 없이 거냥 시청장들이 무조건 그런 것들을 감당해야 했는데 경읽남에서는 적어도 어느 정도는 상다부부 토론을 통해서 그런 부분을 해소해 주고 있다는 점이 너무 좋습니다. 세분 모두 감사드립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8 күн бұрын
아이쿠 말씀 감사합니다. 항상 찾아주시고, 응원의 댓글 남겨 주셔서 큰 힘이 됩니다. 멋진 하루 보내세요.
@jaeyonglee296
@jaeyonglee296 Ай бұрын
신세돈 교수는 헛소리만 하고 있다. 남은 생에 받을 사학연금이 인구감소로 인해서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면 받아들일 수 있나?
@jieunko665
@jieunko665 Ай бұрын
뭐 시대의 흐름이라잖아여 받아들이겠져 ㅋㅋㅋ
@user-ts1ik3fr4o
@user-ts1ik3fr4o Ай бұрын
저는 기아 자동차 계열사에서 년봉1억을 넘게 받으며 정년을 맞이했는데 3년몇개월 지금 협력사에 다니고 있는데 지금 중소기업체 외국사람 6개국 진짜 심각함을 느낌 외국사람 없어면 올스돕 될껍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m2kk1st3b
@user-sm2kk1st3b Ай бұрын
대기업과 그 하청기업의 임금차이가 너무 납니다. 저도 양쪽 다녀본 입장에서 대기업의 80%만 임금이 되어도 중소기업에 한국사람 일하려고 줄 설겁니다. 그런데 하청기업은 여의치 않죠. 이 부분의 개선이 되지 않으면 외국인 노동자만 지원하고 이게 사회적 문제가 곧 심각해 질거라고 생각합니다.
@user-gz3mr2ir9z
@user-gz3mr2ir9z Ай бұрын
와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경읽남_김광석TV
@경읽남_김광석TV Ай бұрын
즐겁게 찾아주시고요. 편안히 머물러 주세요. 말씀 감사합니다.
@user-oc1hc9rl7z
@user-oc1hc9rl7z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인구 절벽이 아닌 자연감소입니다 인위적 증가분이 정상적으로 가는 것이죠 ㅎㅎ
@user-hs1zz9no6r
@user-hs1zz9no6r Ай бұрын
신세돈 교수님 의견처럼 교수들 정년 75세가면 아무 문제 없다라니요.. 그럼 젊은이들은 교수할 자리가 없겠네요.. 현재 2030은 늙어가는 대한민국을 어떻게 떠박쳐야 하는가가 큰 고민인데
@kyung-ilchoi9633
@kyung-ilchoi9633 Ай бұрын
흠... 노령 인력의 정년 연장과 주부들의 노동참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곳이 일본입니다 외국인 인력들 뿐만 아니라 노령+ 주부들의 파트타임이 활발해지면서 더더욱 노년 생활에 여유가 생겼다는 말도 있습니다.. 일예로 하루 오전 만 일한다거나 또는 특정시간만 일해주거나 숙련스킬을 가르치거나.. 그런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거죠,심지어 우리나라의 여성들 인력들이 선진국에 비해 사회적인 진출이 안되어 있는 부분도 점점 제도적인 부분을 손본다면 꽤 좋은 생산인력이 될 꺼라고 보고 있습니다..일본이 그리하고 있구요...75세 정년 이야기하시는데.. 정규직업군의 약화는 어쩔수없는 부분입니다.. 인구구조가 급격히 변화 되니 대응은 어쩔수없죠.. 개인적으로 양극화된 직업군들이 많아질꺼라고 예상됩니다..
ААААА СПАСИТЕ😲😲😲
00:17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허세 인플레이션'에 고통 받는 2030, 지금 정신 차려야 합니다.
32:33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Pick사이언스] 인구감소가 불러올 우리의 미래는?
16:3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