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이 350억에 인수한 스타트업 창업가가 테크 전문 투자 회사를 만든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110,685

EO 이오

EO 이오

4 жыл бұрын

10년 뒤 주방의 모습은 어떨까? 10년 뒤 TV의 모습은 어떨까?
류중희 대표가 창업한 딥테크 스타트업 투자회사 퓨처플레이는 현재가 아닌 10년 뒤 미래를 바라보고 투자를 결정합니다. 한국의 문제 뿐만 아니라 전세계 인류의 문제를 풀 수 있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에 관심을 갖는데요.
1999년 카이스트에서 박사 과정 중이었던 류중희님은
아이콘랩을 창업해 인터코드라는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피처폰을 개발하게 됩니다. 이때 경험을 바탕으로 2006년에 새롭게 올라웍스라는 회사를 창업해 얼굴인식 솔루션을 개발하는데요. 이후 한국 기업 최초로 인텔로부터 회사 인수 제안을 받게 됩니다.
회사 매각 후 인텔에서 실리콘밸리를 경험한 류중희 대표는
한국에 있는 스타트업들이 해외에 알려지지 못하는 것, 전세계로 퍼질 수 있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한국에 별로 없는 것에 아쉬움을 느끼고
딥테크 스타트업 투자사 퓨처플레이를 설립하게 됩니다.
현재 AI, 자율주행, 헬스케어 등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의 수많은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고 그들의 해외 진출을 돕고 있습니다.
류중희 대표가 생각하는 10년 뒤 우리 미래를 바꾸는 스타트업은 무엇일까요?
테크 업계 종사자분들, 투자가 필요한 창업가들에게 이 영상을 추천합니다.

Пікірлер: 123
@kevinmin9865
@kevinmin9865 4 жыл бұрын
멋지네요... 얼마나 자기확신이 있으면 저렇게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까요, 행동으로 보일 수 있을까요
@eo_studio
@eo_studio 4 жыл бұрын
👇🏻영상의 주인공인 퓨처플레이 류중희 대표님의 이야기를 아티클로도 만나보세요. eoeoeo.net/futureplayrjh201909 한국에서 열리는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 ComeUp 이 궁금하시다면 ? > kzfaq.info
@Soonbumi
@Soonbumi 4 жыл бұрын
경제와 세계를 과목에다 필수로 넣어야지 나라의 근간에 발전이 된다고 봅니다
@user-oq7lo4ow7c
@user-oq7lo4ow7c 4 жыл бұрын
1:16 와~ 기억납니다. 카이스트 드라마 추억 돋네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 글로벌을 대상으로 하는 스타트업. 많이 배웁니다.
@londoncloche
@londoncloche 4 жыл бұрын
유럽에서 살면서 세상을 보는 관점이 바뀌었어요. 저도 한국의 스타트업의 진출을 돕는 스타트업 :) 을 준비중입니다. 풀타임으로 일하는 회사는 A.I 중심의 기술회사지만, 한번도 한국의 기술중심 스타트업의 진출을 돕겠다는 생각은 해본적이 없네요. 좋은 고민거리를 주신 메세지. 감사합니다!!
@kookish2935
@kookish2935 4 жыл бұрын
광고 제대로네요. 저분 꼭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쯤 행사 소개ㅋㅋㅋ
@whatalovelydog
@whatalovelydog 4 жыл бұрын
기술중심의 스타트업을 찾고계신듯하네요. 국내는 시작하기에 문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서비스 중심의 스타트업이 많다보니 이렇게 말씀하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rangrang2285
@rangrang2285 4 жыл бұрын
우선 멋있다는 생각이 먼저 드네요. 각자의 포인트를 잘 말씀 하시는 것이, 편집도 있겠지만, 감흥이 있네요. 앞으로도 쭉~ 응원합니다. ^^
@About_SF
@About_SF 4 жыл бұрын
역시 사업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의사가 되어야 한다는 마인드를 가져야 하는군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user-vr5sp8yh3z
@user-vr5sp8yh3z 4 жыл бұрын
전 지구적인 문제를 풀수있는 스타트업이라니.. 엄청난 스케일..
@muhendisim
@muhendisim 4 жыл бұрын
기술 기업은 충분히 이럴 역량이 있죠. 제가 삼성중공업 연구소에서 일했는데 실제로 인텔, 구글 같은 대기업부터 해외의 정말 작은 이름모를 스타트업(팀원 10명 이하)까지 연계를 많이 했습니다. 기술이 좋고 가능성이 있으면 그런거 신경 안써요.
@user-vr5sp8yh3z
@user-vr5sp8yh3z 4 жыл бұрын
@@muhendisim 땅콩버터님 의견 감사합니다 :)! 좋은 기업 다니시네요! 역량이 부럽습니다!
@jhkeum0124
@jhkeum0124 4 жыл бұрын
크아... 큰 꿈을 꾸는 공돌이에게 너무 많은 영감을 주시네요. 내일 일어나서 다시 시청하겠습니다. 감사해요
@90jinjan
@90jinjan 4 жыл бұрын
선배님이시네요 테크 중심, 미래 중심, 글로벌 탑티어 실력 중심 방향성도 자신감도 말씀하시는것도 모두 너무 좋네요 국위선양 투자 응원합니다!
@user-un9ux8hf9t
@user-un9ux8hf9t 3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지십니다! 이런분들 덕분에 우리나라 스타트업도 반드시 발전하리라 믿습니다!
@hl1105
@hl1105 4 жыл бұрын
한국 시장과 스타트업에 대한 통찰에 공감합니다
@caatbot6739
@caatbot6739 4 жыл бұрын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진 분이네요. 완벽한 표현력으로 어드레스되니 속이 후련합니다^^
@user-di5bu3yr5l
@user-di5bu3yr5l 4 жыл бұрын
배움에 대한 답을 자신이 찾아가는 모습이 당당하고 해내려는 모습이 좋네요. 본받을 부분이 많네요
@user-qw3od3pz7g
@user-qw3od3pz7g 4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제 신념이 모든 사람에 선한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 되고싶은 것이었는데, 잊고 살았네요. 감사합니다. 덕분에 무엇을 해야하는지 확실히 알게되었어요.
@COMEUP_org
@COMEUP_org 4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 10년 뒤 스타트업이 변화시킬 미래가 궁금하다면? 11월 서울 DDP, ComeUp에서 만나요!
@user-danieljazzn
@user-danieljazzn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좋은 바이럴 마케팅입니다
@COMEUP_org
@COMEUP_org 4 жыл бұрын
@@user-danieljazzn ㅋㅋ 감사합니다!
@user-in9iq5qm4j
@user-in9iq5qm4j 4 жыл бұрын
미래 관점에서 오늘을 보는 시각은 무엇보다 공감이 갑니다. 어차피 그쪽으로 갈테니.... 다만,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함께 고민해야 합니다.
@beausaperty3815
@beausaperty3815 4 жыл бұрын
오잉... 스타트업 빅뱅에서 뵛을때는 뭔가 센치해보이셧는데 이 영상에서 보니깐 또 색다르게 보이네여
@user-oe9bj6hn9o
@user-oe9bj6hn9o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꼭 필요한 플렛폼이네
@wijek7675
@wijek7675 4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이나 많은 사람들이 꼭 들었으면 하는 내용이네요.
@user-yn9lw5uc9q
@user-yn9lw5uc9q 4 жыл бұрын
젊은분이멋지시네요.화이팅!
@brucewon6661
@brucewon6661 4 жыл бұрын
아는 분이 나오시니 더 반갑네요. 개성있는 비전을 가진 투자사들, 액셀러레이터 분들도 더 자주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danieljazzn
@user-danieljazzn 4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user-vz5wx8gd7y
@user-vz5wx8gd7y 4 жыл бұрын
와ㅋㅋㅋ QR코드랑 경쟁하셨던 분이라니
@vnkje22
@vnkje22 4 жыл бұрын
생각이 멋지시네요 !!! EO채널에서 영상들을 보고 늘 많이 배웁니다 감사해요^^
@user-b7tj97ki9v
@user-b7tj97ki9v Жыл бұрын
정말좋은일 하십니다. 응원합니다~
@bini1550
@bini1550 4 жыл бұрын
와...진짜 이사람 제대로네요..멋집니다. 저도 본받아야될듯
@ryu2635
@ryu2635 Жыл бұрын
항상 응원
@HEXACODING
@HEXACODING 2 жыл бұрын
와... 격공. 대단합니다
@bearvoli738
@bearvoli738 4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인류를 위해 세계와 한국을 중개한다는거네
@user-xg8of6cx6m
@user-xg8of6cx6m 3 жыл бұрын
엘론 머스크의 사업 시작 이유와 비슷하네요 더 성장하실거라 믿습니다
@user-ts9wx1bz3v
@user-ts9wx1bz3v 4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Golfinglawyer
@Golfinglawyer Жыл бұрын
멋지신데, 마지막 코멘트는 약간 세대변화/교체가 많이 된 부분인 것 같아요. 저희 세대부터는 대학입시문제도 범지구적 문제에 대해서 생각할 것을 요구하는 논술 문제들이 주류 - 중등 교육방향도 그렇고요. 대표님이 7080세대이실 때랑 많이 변화한 듯 ㅡ 그렇지만 그런 군부독재 시대 교육 받은 분인데도, 일찍이 이런 생각하신 것 정말 멋져요
@user-bz5pt6hv5i
@user-bz5pt6hv5i 4 жыл бұрын
본받고 갑니다...ㅠㅠ 이런 분들은 인터뷰 요청이 들어오는건가...?
@asd0128___
@asd0128___ 2 жыл бұрын
류대표님 화이팅
@makebull2121
@makebull2121 4 жыл бұрын
기술기반 스타트업 꼭 해보고싶네요
@g_eazy9153
@g_eazy9153 4 жыл бұрын
교육 싹 다 바꿔야 됌.
@nuyh_1154
@nuyh_1154 4 жыл бұрын
태용님 영상내용이랑은 좀 거리가있지만 개발자가 되고 대기업취업이나, 스타트업갈 때 학벌이 많이중요한가요? 인서울대학에서 서울대 가기위해1년 투자하는게 의미가 있을까 궁금해요. 그리고 컴퓨터공학과와 소프트웨어학과중 어디가 더 좋을지도 궁금합니다
@user-ft5sb7ng2n
@user-ft5sb7ng2n 4 жыл бұрын
중요해요 엄청 '개발, it쪽이 학벌 제일 안본다' 라는 말이 있지만 그래도 좋은 대학일수록 얻는 이익들과 천장이 확실히 존재합니다. 교육수준과 인맥에 대한건 제외하더라도 학교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프로젝트들에 참여기회가 주어지기도 하고 스타트업만 보더라도 팀빌딩에 학벌이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 큽니다. 모 스타트업은 서울대 출신들로 이루어진 팀빌딩이라는 소문에 기획서만 보고 몇억을 투자받고 기업 후원까지 받았습니다. 일반적인 스타트업에서는 결과로 보여줘도 쉽지 않은 투자죠. 또한 그런 전망좋은 스타트업들은 대부분 비슷한 학벌의 팀원을 구합니다. 연봉, 복지 상관없이 개개인의 비중이 크다는 이유로 대기업보다 학벌 더 따지는 스타트업이 상당히 많아요. 포폴과 실력이 더 중요하다, 학력 안본다고들 하지만 그것도 어느정도 이상되는 상위권 대학교 졸업자 이상이면 더이상 안보겠다 입니다. it 좀 유명한 회사들은 최소 학벌 하향선은 있습니다. 이미 사회생활 하면 모르겠지만 기회가 있다면 학교 최대한 좋은곳 가세요. 여기도 똑같습니다. 추가로 태용님 채널이나 이런 영상 댓글들로 스타트업이 많이 미화됐는데 그렇게 멋진곳, 멋진 사람들 아닙니다. 좋은 회사 못가서, 좋은 회사 갔지만 못버텨서 아무것도 모르고 나라 지원 받아서 창업은 했는데 직원들 열정 착취하며 최소 여건도 못갖춘 회사가 스타트업의 90%이상이라고 확신합니다. 소수의 스타트업에서 성장한 회사들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무능력한 초창기 멤버들이 임원되서 더 갑질하고 인성 바닥인 사람 여럿 봤습니다. 외부에 알려진 꽤 성장한 스타트업이다? 우리나라 기준 딱 두손에 꼽을정도 빼고는 전부 실제 재정상태 개판이거나 기회있을때 대기업에 얼른 팔아버리고 떵떵거리며 살죠. 스타트업 중 성공하고 직원들 연봉, 복지 챙겨주는곳 우리나라에 거의 없어요. 기업의 방향성과 목표도 당장의 매출이나 재정에 따라 줏대없이 변하고 대표들은 대표소리 들으며 나랏돈 빼오는데 집중하고 무능력자들이 대부분입니다. 저와 제 지인이 겪은 경험이고 특히 저는 4인 스타트업, 성공한 스타트업 근무, 스타트업 대표들 모임에 많이 참석하며 많은 역겨운 행동을 보고 말들을 들으며 지금은 스타트업들 쳐다도 안봅니다. 저기 댓글단 불쌍한척 하는 사람들에게 이용당하지 말고 젊은 나이에 좋은 길만 가길 바랍니다.
@nuyh_1154
@nuyh_1154 4 жыл бұрын
@@user-ft5sb7ng2n 정말 감사드립니다....많이 알아가요. 서울대함 도전해봐야겠어요. 스타트업에 대해서도 조심스러워지구요! 이런정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muhendisim
@muhendisim 4 жыл бұрын
저는 윗분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반대인 시각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정말 1% 안에 들 수 있는 노력을 할 수 있다 하면 실력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요즘 IT대기업들도 실력만 좋으면 고졸들 통과시키는 사례도 빈번하게 보고 있고 관례 자체가 송두리째 바뀌고 있습니다. 저만해도 지방대 졸업했는데 삼성 연구소에서 일한 경험도 있구요. 다만, 현재 나이가 어리시다면 대학을 가서 배우는 것도 하늘님 말씀처럼 얻는 이익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대학 네임벨류나 그 환경이 주는 이점이 아예 없는건 아니거든요. 다만 개발자로 팀에 들어가고 실제로 성과를 내는건 오롯이 실력입니다. 중소기업일 수록 심하고 대기업도 요즘은 성과주의로 점점 바뀌는 추세입니다. 제가 같이 일했던 분들은 최소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님들이었는데 그 중에서도 멍청한 사람도 있고 똑똑한 사람도 있어요. 하지만 결국 서울대, 카이스트 나와도 월급쟁이고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뛰어넘으려면 단순히 취업이나 학벌 고민보다 10년 20년 30년 40년 봤을 때 내 실력을 가지고 어떤 포지션, 어떤 일까지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관점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user-ji4mi1gi3z
@user-ji4mi1gi3z 4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처음에 진입장벽때는 중요하나, 대학간판 이상의 실력이 쌓이면 별로 안 중요함. 제 생각에는 간판도 있지만, 좋은대학 안에 있는 사람들은 생각, 하는일 자체가 다릅니다. 간판 있고 인재대접 받을테니까 뭔짓을 해도 먹고살 걱정은 안하거든요 ㅋㅋ 그 미친짓 오덕질이 일류기술이 될수도 있구요.
@user-danieljazzn
@user-danieljazzn 4 жыл бұрын
개발 쪽은 요즘 깃허브 포트폴리오를 더 중요시 보는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 서울대 가는 것 보다, 그 시간에 카피 코딩이던 뭐던 하나 만들어보고 깃헙이랑 슬랙에 올려보는게 더 도움될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서울대 가려고 수능공부 하는 시간에 차라리 영어회화를 하세요 진짜 이게 훨씬 더 도움될 겁니다..네 제가 이것때문에 엄청엄청 후회하거든요...그렇다고 서울대생은 아니지만...ㅠ by. 늙다리 루저
@muckbob
@muckbob 4 жыл бұрын
10년뒤면 한창 내가 한창 플라스틱 분해하는거 연구할떄겠네......여기꼭기억해야겟다
@user-tx4bw4fj4u
@user-tx4bw4fj4u 4 жыл бұрын
멋있다.
@user-pr1wj5hs6t
@user-pr1wj5hs6t 2 жыл бұрын
궁금해서 들어와봤어요^^ 유니콘하우스 결승전을 앞둔 아들의 가이드 대표님이라~ 대단하시네요~~~
@user-vf3ct8fq6u
@user-vf3ct8fq6u 2 жыл бұрын
너무멋있어요 ㅠㅠ
@user-bd5ie1yh5f
@user-bd5ie1yh5f 2 жыл бұрын
만나뵙고 싶습니다!!!!
@uributypsun
@uributypsun 4 жыл бұрын
드라마에 나오셨던 기억이 있는데... 맞죠?
@hunenori
@hunenori 4 жыл бұрын
10년 뒤라면 애매하네요.. 혁신이라기엔 좀 무리고 약간의 신기함? 정도의 테크롤러지만 가능하겠네요. 가정의 모든 장치가 Iot로 연결되어 목소리로만 모든 컨트롤을 행하는 정도? 그래도 냄비에 물은 내가 직접 받아야겠지만요.ㅋㅋ
@user-gv1km3cl4h
@user-gv1km3cl4h 4 жыл бұрын
지렸다나이스
@air123sk
@air123sk 3 жыл бұрын
서울과고 나오셧다는 것에서 이미 어나더 클래스신데 ㅠ 저정도되시니까 글로벌무대에서 노시는구나 생각이 듭니다
@roycekan163
@roycekan163 4 жыл бұрын
개 똑똑하네. 가서 옆에서 좀 배우고 싶다ㅠㅜ
@user-ex2xh8dc8p
@user-ex2xh8dc8p 3 жыл бұрын
인류의 문제가 뭔지 구체적으로 적시 해보세여
@user-danieljazzn
@user-danieljazzn 4 жыл бұрын
와... 퓨처플레이 대표님의 '미래를 생각하고 인류를 생각하는 관점'을 듣고 진짜 속된말로 부랄을 탁 치고 갑니다... 정말 훌륭한 인터뷰였습니다. 평평해진 세계에 맞춰 생각도 평평하게 펴고.. 전인류를 생각해야될 시대네요 정말.. 오늘도 열심히 사업계획서를 고치면서.. 에어비앤비가 제 사업을 인수해주는 망상을 해봅니다 ㅎㅎㅎㅎ
@user-ji4mi1gi3z
@user-ji4mi1gi3z 4 жыл бұрын
어정쩡하게 큰 시장이 통일이되서 G8정도로 좀 더 커진다(일본에 쓰나미가 오지않는한 일본보다는 커질수는 없겠지만..) vs 교육개혁을 해서 30년후에 사람들 생각이 바뀐다 뭐가 더 빠를지... 30대인데 둘중에 하나라도 제 생애안에 일어날까요 ㅋㅋㅋ 수능보고 국립대라는 대학을 졸업해서 살고있지만, 그 이후에도 바칼로레아같은 질문을 들은적이 한번도 없었음.. 예능에서 보기전까지;; 차라리 기술인재 키울려면 국비전액으로 과기원같은데라도 몇개 더 만들어야 된다고 봅니다.. 일반4년제 대학에서는 기술인재 키우기는 쉽지 않을 것 같거든요.. 교육부 과별 정원규정에 막혀서 아직도 컴공과 TO가 100명밖에 안됨 스탠퍼드공대 1500명중 40%가 컴공과라는데..;;; 게다가 살아남는 인원은 난이도특성상 총정원의 15%라고 생각해야합니다 그러면 한 대학교 한학년 정원 100명기준 보통 15명 내외가 쓸만한 졸업자로 배출됩니다. 여기서 A급이상은 졸업생의 10%정도겠죠 우리나라 일반대학수는 190개정도니까 그러면 고작 1년에 3000명도 안되는 사람이 IT산업계로 들어간다는건데... IT가 아니어도 뭐 공대들 다 비슷하거나 컴공과보다 정원이 딸리기 때문에 사정은 더 안 좋을거 같네요 차라리 기술전문 투자회사들이 운영하는 학교라도 만들고 인재를 직접 키우는게 나을수도 있겠습니다ㅋㅋㅋ 투자한 스타트업들이 채용할 기술인재가 없다는데요 뭐...
@user-danieljazzn
@user-danieljazzn 4 жыл бұрын
쓰잘데기 없는 수능 없애고 진짜 자기가 잘하는 걸 찾게 해주는 교육이 절실한 시기인 거 같습니다~ EO님 채널에 로봇덕후에서 교육용 SW 만드시는 분이나.. 고등학생때 폰 키보드 관련 회사 차린 그런 인재들 인터뷰 보면.. 정말 자기가 하고싶은 거 해서 이렇게나 성장할 수 있었구나~라는 느낌이 들더군요
@user-ub6mg4hs1u
@user-ub6mg4hs1u 2 жыл бұрын
G8정도로 커졌네요 ㅎㅎ
@runtiger8635
@runtiger8635 4 жыл бұрын
정말 문제 다아는데 교육 안바뀌잖아요
@user-rx7hu7ed9u
@user-rx7hu7ed9u 4 жыл бұрын
@@geniek9663 좀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지금 정치인중에 가장 그 덕목을 갖춘 사람이 누구라고 생각하시나요?
@user-ns7yy4ll7n
@user-ns7yy4ll7n 4 жыл бұрын
기득권이 원하지 않아요
@user-ns7yy4ll7n
@user-ns7yy4ll7n 4 жыл бұрын
Genie K 대통령 하나 바뀐다고 해결됩니까 그게? 나이브하시네요
@ume2127
@ume2127 4 жыл бұрын
어떤식으로 바뀌는게 정답일까요? 알려주세요.
@CalmDain
@CalmDain 4 жыл бұрын
교육이 바뀌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절대 변하지 않음. 현 한국의 교육이 대한민국과 한국인의 사고구조? OS나 다름없다고 봄. 굉장히 낡았고 구시대적인 OS
@bill5185
@bill5185 Жыл бұрын
제가 그런 기업을 만들겠습니다. 장담합니다
@seaottersbookshop
@seaottersbookshop 4 жыл бұрын
우물 안 개구리처럼 살면 안되겠다 싶네요
@olioliolioliolioliolioli11111
@olioliolioliolioliolioli11111 3 жыл бұрын
역시 사람은 대화를해보고 얘기를 나눠봐야 사람의 진가를 알수있게되는거같습니다.맛찌십니다.대표님!! 좋은영상감사합니다♥♥♥
@AmbivalentVermilia
@AmbivalentVermilia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너무 럭키하게 지금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회사들이 중동건설이나 전자분야에서 너무 운빨로 성공해서 특히 정치하는 분들이나 언론들이 그쪽을 무조건 스타트업보다 우선시여기는거같음.. 결국 어제의 행운이 내일의 불운이 될 것 같은..
@choihosup
@choihosup 4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인데 타이틀이 잘 안읽히네요
@user-gs9tq9wb4g
@user-gs9tq9wb4g 2 жыл бұрын
우리형
@user-vc6if4vs5s
@user-vc6if4vs5s 4 жыл бұрын
와..진짜 명확하다
@amateur7801
@amateur7801 4 жыл бұрын
지구가 평평해 졌어요... 사고의 흐름을 깨버렸습니다.
@thom777
@thom777 3 жыл бұрын
5:00
@gauntletsilver2996
@gauntletsilver2996 Жыл бұрын
나랑 비슷한 비젼을 가지고 계시네
@geniemiracle
@geniemiracle 3 жыл бұрын
9:40, 10:15, 6:30
@markhassan2570
@markhassan2570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특유의 좀생이 근성이 절대로 바뀌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손해 보기는 죽어도 싫고 적게 먹기에는 아깝고 가만히 놔두자니 저놈이 더 크게 먹을거 같고.. 말도안되는 세계최초 기술들이 불합리한 자본 흐름 앞에서 무너져온 대한민국 입니다 지금도 앤젤투자? 말이 좋아 앤젤이지..한번 보세요 어디로 쏠리는지..
@user-danieljazzn
@user-danieljazzn 4 жыл бұрын
어디로 쏠리나요? 제가 보기엔 개나소나 바이오에 쏠리는 느낌이긴 합니다만 님의 의견이 궁금하네요
@user-cb6cd5eb4w
@user-cb6cd5eb4w 3 жыл бұрын
뭐만 하면 근성이니 정신이니 하면서 함부로 일반화하고 안 될 거라 단정해버리는 이런 패배주의야말로 문제라고 봅니다
@AmbivalentVermilia
@AmbivalentVermilia 4 жыл бұрын
정권이 바뀌든 무슨 일이 일어나든 항상 정치쪽에서 내새우는 주장은 대한민국이 내수가 너무 약해서 내수를 키운다 질이 안 좋은 일자리더라도 일단 만들면 내수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하던데 너무 미래가 깜깜해요.. 내수가 심각한 수준?까지라고 보긴 하는데 수출의존도가 높은게 외교적으로는 많이 손해일지 몰라도 가치 높은 것들을 외면하는 느낌이 강해요
@user-sz1zh2ub8r
@user-sz1zh2ub8r 4 жыл бұрын
그래요 학교랑 감옥이랑 똑같다잖아요~ 학교부터 바뀌어야 합니다 교육정책이 첫번째로 바뀌어야 되는데 거기에 휩쓸리는 부모님들이 더 문제라구 생각합니다 사교육을 꼭 해야되는지도 생각을 다시하게 되구요~ 산업화시기에 세뇌시키기위해 초등학교를 만들어서 학생들을 가두어 놓고 교육을 시킨다고 합니다 얼마전에 학부형으로 학교에 시험감독관으로 참여했었는데 30년전에 제가 다닐때와 다른거는 학생수와 급식을 학교에서 주는거빼곤 똑같은 장면이 연출되었는데 우리 어릴때보다도 더못한 학교를 보고 수준이 이렇는데 어떻게 미래의 청년을 기대할수 있을까 한참 생각이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user-oc5bh3bz8l
@user-oc5bh3bz8l 3 жыл бұрын
어머나, 그렇군요. 예전 카이스트 드라마에 나오셨군요👍😍 와, 진짜 더더더 반갑습니다. 대단하신 분~! EO 여러영상에서 많이 배웁니다. 진짜 반갑습니다
@user-do6qx2eh8k
@user-do6qx2eh8k 3 жыл бұрын
그냥 직접하세요.
@user-bk1ny2xx2q
@user-bk1ny2xx2q Жыл бұрын
1:25 😂
@user-qz7pk1yc7c
@user-qz7pk1yc7c 4 жыл бұрын
문과들은 어찌해야 하나요
@user-yk3pg5ej6i
@user-yk3pg5ej6i 4 жыл бұрын
쿠팡 해외진출하지않았나요
@30.0sec
@30.0sec 4 жыл бұрын
미래는 제프리 힌튼 교수처럼 학문을 즐겁게 하는 사람들이 만드는 거지 이미 만든 기술로 상품 찍어내는 사람들이 언론 플레이로 만드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makebull2121
@makebull2121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이 너무 ㅋㅋ,,
@dougfk2133
@dougfk2133 3 жыл бұрын
결국 언어의 한계아닐까요? 우리나라의 싸이월드, MP3등 가능성있던 상품이나 서비스도 결국 영어권 나라에서 출시 되고 대박이 난걸 생각하면
@hunenori
@hunenori 4 жыл бұрын
인류의 문제요? 그건 자본주의가 가지는 근본적인 문제입니다. 아무리 하이테크놀러지가 나온다해도, 그 가격이 비싸다면 상류층을 위한 테크놀러지가 되어버리는 양극화의 한계. 인류는 거기에 봉착할 겁니다. 최신Ai를 탑재한 휴머노이드가 완성된다해도 비용이 5억이라면, 부자말고는 못사겠죠. 그렇다고 그 성능좋은 휴머노이드를 1천만원 가량에 판다? 그건 경제법칙을 위반하는거라 안되겠죠. 결귝 상류층은 최첨단 하이테크놀러지를 다 누리고 하류층 서민은 그냥 계속 과거에 후진 기술에만 머물러서 IOT장비조차 쓰지못하고 방의 전등도 방청소도 다 직접 내가 움직여조작하는 과거에 머문 삶이 되겠죠. 소득의 양극화가 기술의 양극화로도 나타나게 될겁니다. 기술이 어어어엄천 발전하면, 로봇청소기나 IOT기술도 많이 저렴해져서 서민도 살수있게 될거야! 라고 생각하실수 있겠죠.ㅇㅇ 근데 그때쯤되면... 인간 능력에 버금가는 휴머노이드가 양산되서 인간의 노동력이... 필요없어지게 될겁니다..ㅇㅇ 인간에게 월급 200만원씩 1년, 2년 ,3년 고용하느니, 휴머노이드를 3억에 만들어서 계속 쓰는게 더 경제적인 시대가 오면,, 무슨 법으로 그 휴머노이드의 도입을 막을겁니까? 옛날 2차 산업혁명때도 마차를 몰던 마부들이 디젤기관?차가 생겨서 직업을 잃게되자 사보타주를하며 시위했지만 결국 차량의 보급은 이루어졌죠. 그래도,, 3차 산업혁명까지는 기계화가 이루어지더라도 결국 사람의 조작이 필요하긴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도래할 ,,Ai시대에는...사람의 조작이 필요할까요? 로보틱스와 생명공학이 발전한 미래에는 인간의 직접적인 노동까지도 로봇팔과 휴머노이드가 아예 완전하게 인간을 대체할수 잇씁니다. 2/3차 산업혁명과는 다릅니다..ㅇㅇ
@user-qu2pi9ne1c
@user-qu2pi9ne1c 4 жыл бұрын
포장이 많이 되었네옄ㅋㅋㅋ말을 아낄께여 으흠
@doublefoxhead3493
@doublefoxhead3493 4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user-ub6mg4hs1u
@user-ub6mg4hs1u 2 жыл бұрын
비하인드스토리 좀… 관상부터 좀 의심되긴했는디ㅋㅋㅋㅋㅋㅋ
@dalriodavid3418
@dalriodavid3418 Жыл бұрын
알려주세요 ㅋㅋㅋ
@Wind-gw5is
@Wind-gw5is 4 жыл бұрын
@weam6900
@weam6900 2 жыл бұрын
인구문제-야놀자
@kasijinable
@kasijinable 4 жыл бұрын
세계가 졸라 쉽네,개쿨. 웃기네, 이작은 한국이 매력적 일만큼 우리는 우리끼리 많이 좋아하고있구나 그렇게 키웠다는것도ㅋ신기하지만 우리네덕질 보면알만하고
@bread8386
@bread8386 4 жыл бұрын
쉬발 그냥 종자가 다르네
@howardlee84
@howardlee84 Жыл бұрын
벤처 성공률이 10%로 낮은 이유... 똑똑하고 능력을 있는 사람의 인구 분포가 10% 이하라서 그런 것임. 90%는 사업 시작 전부터 이미 망할 것이 결정되어 있음.
@jupiterjo6914
@jupiterjo6914 4 жыл бұрын
그런데 ㅋㅋㅋ 나온 내용의 본질은 그냥 돈 많이 벌고 싶으시군요! ㅋㅋ
@satamsatan
@satamsatan 4 жыл бұрын
절대 성장하지 못할 인간.
@jiwonheo1033
@jiwonheo1033 4 жыл бұрын
보이는만큼 보게된다
@god-xh6rm
@god-xh6rm 4 жыл бұрын
혹시 공산당이냐?
@user-wks8ljnfjk0wnq
@user-wks8ljnfjk0wnq 2 жыл бұрын
역사 공부 좀 해야..박정희 전두환이라니…
강남 아파트 불패신화를 자율주행이 끝낸다?
11:27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When Steve And His Dog Don'T Give Away To Each Other 😂️
00:21
BigSchool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
구글이 말하는 인공지능의 섬뜩한 문제점 4가지
12:06
스타트업 투자받는 방법!
6:05
채널톡
Рет қаралды 38 М.
삼진어묵 25억에서 960억 매출 회사가 되기까지
8:21
200조 푸드테크 시장에서 미래 먹거리를 엿보다
11:26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