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나오는 돌고래 구한 썰 / 최재천, 전지적 관찰자 시점, 제주남방큰돌고래, 제돌이

  Рет қаралды 335,362

최재천의 아마존

최재천의 아마존

Жыл бұрын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 나오는
삼팔이, 춘삼이, 복순이!
최재천 교수님이 제주로 돌려보내셨다구요?
contact : choemazon@gmail.com
#우영우 #돌고래 #제돌이

Пікірлер: 1 400
@choemazon
@choemazon Жыл бұрын
매년 7월 20일은 남방큰돌고래의 날 입니다! 🐬 기념으로 돌고래 친구들이 있는 바다 보호에 관심가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
@user-mv3bv6ni5c
@user-mv3bv6ni5c Жыл бұрын
7월 20일 오늘, 우리 동생의 생일인데 동생이 이런 뜻깊은 날에 태어났다니 너무 기분 좋네요! 더 오래 기억하고 바다와 바다 생명 보호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아요ㅎㅎ 폐그물에 걸려 죽는 고래와 돌고래가 많다고 들었어요. 일반 시민들의 관심도 중요하지만 바다 환경에는 어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규제?를 철저히 하는게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떤 해결 방안이 있을지.. 또, 바다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해서도 영상 만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ABC-om2ip
@ABC-om2ip Жыл бұрын
🐬❤️
@serenesea
@serenesea Жыл бұрын
남방큰돌고래의 날인지 몰랐어요! 덕분에 알게되어 오늘 핫핑크돌핀스 단체에 정기후원 신청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kimstone2147
@kimstone2147 Жыл бұрын
무리속으로 젯트스키타고 지나가는 몰지각한 인간, 자기집 사는 안방에, 아무나 구둣발로 지나다니는 꼴~ 사회성 결여된 인간들은 너무 위험해~~~ 제주도, 돌고래, 관람 프로토콜로 함께 만들어졌으면 좋겠네요.
@livelovelaughbless
@livelovelaughbless Жыл бұрын
돌고래 보호를 위해 애써주시는 분들 참으로 존경스럽고 고맙습니다. 이런 와중에도 일본과 남미의 여러국가들은 고래사냥에 혈안이 되어있죠. 세계가 담합하여 그들의 파렴치한 악행을 막아야합니다.
@nosmokingplz
@nosmokingplz Жыл бұрын
호주제 날리고 서울대 학과도 날리고 돌고래도 풀어주는 교수님 당신은 도대체...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이 얼마나 큰지 다시한번 느낍니다
@kim_monica89
@kim_monica89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최노스 그자체..
@user-bv3hg7eg8x
@user-bv3hg7eg8x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dis10045
@dis10045 Жыл бұрын
서울대 학과를 날린게 무슨말이에요?
@GO_RAN
@GO_RAN Жыл бұрын
@@dis10045 서울대에 있던 동물학과 식물학과 등을 건의해서 없애셨다는 걸 말씀하시는거에요ㅋㅋㅋㅋ 정확히는 없앤 건 아니고 분자생물학과, 환경생물학과 등으로 명칭을 바꾸게 도움을 주셨습니다. 덕분에 입결이 올랐다고 하네요
@dis10045
@dis10045 Жыл бұрын
@@GO_RAN 동물학과 식물학과하면 안되는건가봐요?
@jeonghijo3747
@jeonghijo3747 Жыл бұрын
'사람으로 태어나서 제일 잘한 일이 제돌이랑 친구들 돌려보낸 일'이라고 말씀하시는 교수님을 어찌 존경하지 않을수가 있겠습니까?!!!
@JilPing
@JilPing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요!!!ㅠㅠ
@sonido7261
@sonido7261 Жыл бұрын
최고예요
@arini4906
@arini4906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멘트듣고 광광 울었어요... 존경합니다
@world58
@world58 Жыл бұрын
옳소 ~^^
@Elsa0709
@Elsa0709 Жыл бұрын
이말씀 하시고 방류할때 표정 보면서 저도 같이 울컥 했습니다. 존경하는 교수님 사회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셨으면 좋겠습니다
@wayneclark4330
@wayneclark4330 Жыл бұрын
제주도 돌고래 들은 굳이 배 타지 않아도 바다에 들어가지 않아도 해안가에서도 볼수 있었어요. 교수님 말대로 쌍안경 하나 챙겨서 해안가에서 서로 비대면 매너 접촉 하면 좋겠네요. 법이 마련되있으면 철저히 단속하는게 제주의 할일인데 해야할 일을 제대로 하길 바랍니다. 복순이 태산이 얘기 넘 뭉클하네요. 다른 수족관들도 돌고래들을 자연에 풀어주었으면 좋겠어요.
@Kim_jeju
@Kim_jej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제가 제주사는데요. 돈 받고 돌고래 구경시켜주는 관광업체들 진짜 너무하더라고요. 지나친 접근으로 돌고래들이 보트 스크류에 다치는 상황이 매우 우려됩니다.
@PIGeon0515
@PIGeon0515 Жыл бұрын
행동하는 과학자라는 점이 너무 멋진것 같습니다 교수님. 존경합니다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Жыл бұрын
여기계시군요ㅎㅎ
@user-vo7vb4xh9x
@user-vo7vb4xh9x Жыл бұрын
@@unitedaccountsofme9297 프사보소ㅋㅋㅋ
@1116hyun
@1116hyun Жыл бұрын
우영우 변호사 대사중에 돌고래수명은 30년이상인데 수족관 돌고래 수명은 3년이란 얘기 듣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리가 진짜 나쁜 짓을 하고 있었구나! 교수님과 여러분의 노력에 늦었지만 감사함을 전하고 싶습니다💕💕💕
@user-nh4ol9rm3q
@user-nh4ol9rm3q Жыл бұрын
길냥이들 삶과 같군요.... 길냥이들도 수명 2년 집냥이들은 20년.....
@TheGnic731
@TheGnic731 Жыл бұрын
혹시 닭의 수명이 얼마나 되는지 아시나요? 닭의 수명은 15년 정도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먹는 닭은 30일 겨우 넘는 수준에서 도축된답니다 . 산란계는 24시간 불을 켜져있는 딱 자기 몸만한 케이지에서 2년을 채 살지도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고요.
@user-uh5io8ey2b
@user-uh5io8ey2b Жыл бұрын
@@TheGnic731 닭을 죽이는 건 차라리 먹고 살기 위해서 라는 말로 변명할 수 있지만.. 돌고래들에겐 무의미한 살생을 하니까 문제죠.. 내가 그들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수족관, 동물원에서 구경거리가 되고 노예처럼 산다고 하니.. 벌써부터 토나오네요. 살생은 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나. 무의미한 살생은 독이 된다. 학대도 곧 살생이죠
@user-dy8qh6sb7d
@user-dy8qh6sb7d Жыл бұрын
@@TheGnic731 닭도 안먹으면 좋겠지만 쉽게 대체할 수 있을만한게 없는 것 같아요..요즘은 환경을 생각해서 육식을 줄이자는 얘기도 나오지만 쉽지가 않네요 동물을 죽이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육류가 생겼으면 좋겠어요
@user-se8qq1wo5l
@user-se8qq1wo5l Жыл бұрын
@@user-dy8qh6sb7d 이런게 선택적 환경론자임 본질은 같은데 본인이 좋아하는 치킨은 포기 못하겠고 돌고래쇼는 불쌍하고 ㅋ
@user-qc1zq2vf6c
@user-qc1zq2vf6c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우영우에 특별출연 하셨다면 영우가 얼마나 좋아했을까요. 교수님 인터넷에서 보았습니다 하면서 둘이 김밥먹자고 했을텐데요
@bridledun5758
@bridledun5758 Жыл бұрын
아직도 동물 보호를 위해 동물원을 존속해야 한다고 떠드는 댓글들이 돌아 다닙니다. 답답하죠.......
@eddychun9601
@eddychun9601 Жыл бұрын
저는 초등 저학년 때 우리에서 정신나간듯한 고릴라를 보고는 동물원은 없어져야 한다는 걸 깨달은거 같습니다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Жыл бұрын
도시가 증가하면 동물이 보호되니깐 모든 인간이 도시로 이동하면 됩니노
@jhl5635
@jhl5635 Жыл бұрын
미친놈들 돈벌지말고 집에 처박혀 있으라 그래요 무식한티를 이렇게도 낼 수 있나 싶네요
@cottonyam
@cottonyam Жыл бұрын
몇 안 되긴 하지만 동물의 본능을 최대한 충족시켜주며 보호하는 동물원도 있지 않나요? 사명감있는 사육사들도 있고요. 동물원이 아직은 바로 사라지기엔 시기상조인 것 같습니다. 야생에서 보호하기엔 밀렵꾼도 많고 아직 사회적인 분위기가..
@eddychun9601
@eddychun9601 Жыл бұрын
@@cottonyam 그런 사육사는 인정잇는 간수일 뿐이죠. 이동반경 엄청난 동물들은 특히 죽느니만 못한 감금생활이죠. 다들 정신증세 여러가지를 앓고 잇다고 읽은적이 있어요
@user-TendernessHeart
@user-TendernessHeart Жыл бұрын
8:32 복순이 곁을 떠나지 않는 태산이… 장애가 있고 작은 수조에 갖혀 있는데 그런 복순이를 지켜주는 순정남 태산이….. ༼;´༎ຶ ۝༎ຶ`༽
@jeonphiljoo
@jeonphiljoo Жыл бұрын
근데 헤어졌답니다ㅜㅜ
@youngmipark3607
@youngmipark3607 Жыл бұрын
@@jeonphiljoo ㅠㅠ
@user-nh4ty8ld7h
@user-nh4ty8ld7h Жыл бұрын
롯데아쿠아룸에 혼자 외로이 있는 벨루가도 제발 구해주세요 볼때마다 너무 눈물납니다ㅜㅜ
@hjhjhj1703
@hjhjhj1703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아쿠아리움에 갔는데 벨루가 한종이 혼자 있더라고요. 유리 넘어에서 사람이 다가올때마다 그 앞으로 가서 눈을 맞추는데 저 정도로 다른 종과 교감이 가능한 대형 동물이 좁은 곳에 있는 거 보니 오래 못 보겠더라구요..교수님 말씀을 들으니 문득 생각납니다..
@user-ko6bx2pt7m
@user-ko6bx2pt7m Жыл бұрын
글만 읽어도 상상이 가네요...ㅠㅠ
@hhhg3770
@hhhg3770 Жыл бұрын
ㅜㅠㅠㅠㅠㅠ
@jcoolsoda
@jcoolsoda Жыл бұрын
저도 보고 가슴이 아파서 눈물이 났었던 기억이 납니다.
@user-wc9lf6cn7o
@user-wc9lf6cn7o Жыл бұрын
가지마세요 가서 마음아팠다 말하지말고 가지마세요
@whywhy0.0
@whywhy0.0 Жыл бұрын
@@user-wc9lf6cn7o 그쵸 수요가 없으면 공급을 아예 안 하게 되겠죠..
@Jen-yf6nv
@Jen-yf6nv Жыл бұрын
ㅠㅠ교수님 어디까지 멋있으실거에요… 앞으로 더 많은 동물들이 자유를 찾길
@user-jq1jw4rh6j
@user-jq1jw4rh6j Жыл бұрын
진짜 ㅁㅅ있당~
@chae_rmion9090
@chae_rmion9090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이요ㅠ 너무나 많이배웁니다
@user-xc3io7ds7w
@user-xc3io7ds7w Жыл бұрын
교수님같은 분들이 더 많아졌음 좋겠습니다.행동하는 지성인^^ 멋지십니다
@myg1346
@myg1346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은 우영유 리뷰가 남다르시네요!! 실화의 주인공ㅋㅋㅋㅋㅋㅋㅋ
@aykim579
@aykim579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잡지 않았으면 저 돈과 노력이 들지 않았을거고 돌고래들의 고통도 없었겠죠. 여러방면에서 시민의식의 개선은 지금도 꾸준히 해야 하다고 생각합니다. 배몰고 돌고래무리사이는 왜 헤집고 다녀...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mkim8804
@hmkim880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생각 했는데 ㅋㅋ 아니 그럼 처음부터 안잡으면 될거아니야 ㅋㅋㅋ
@user-cl5cv4ep4r
@user-cl5cv4ep4r Жыл бұрын
@@hmkim8804 그니까요 ㅋㅋㅋㅋㅋ 어이없
@Dorothyonny
@Dorothyonny Жыл бұрын
@@hmkim8804 퍼시픽랜드가 돈벌려고 불법포획한거자나요
@ihajungpp
@ihajungpp Жыл бұрын
퍼시픽랜드에 아이들과 같이 간 어른입니다. 그 당시 돌고래쇼를 보는게 돌고래 아이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난지 전혀 몰랐던 부끄러운 어른이였습니다. 뒤늦게나마 알게 되어 반성하고 함께 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user-nanapang
@user-nanapang Жыл бұрын
괜찮아요 네이버 퍼시픽랜드 영수증 리뷰에 님같은 사람들 많더라구요. 아주 왜 중단하냐 더이상 못본다는게 아쉽다고 떵댓글을 갈겨적어놨더라구요
@cafe99days
@cafe99days Жыл бұрын
반성까지야..그렇게 따지면 우리나라 모든 동물원은 없어져야 하는 장소예오. 아이들에게 실제 살아있는 돌물 구경시켜주는것도 분명 교육입니다. 양날의 검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user-qg1hu5gl5k
@user-qg1hu5gl5k Жыл бұрын
@@cafe99days 아이고 무지하셔라 요즘 기술이 얼마나 좋아졌는데 꼭 동물원에가야지만 동물을 볼수있나요? 살아있는 동물보는것에 도대체 왜 이렇게 열광을하는지 그냥 어른들의 욕심입니다 사파리 초원에서 자유롭게 뛰어노는 동물들 보는게 애들 교육에 좋지 갇혀서 이상행동 보이는 애들 보는게 뭐가 좋습니까? 정 그러시면 아프리카 초원이나 아마존 같은 동물들이 사는곳에 직접 인간이 찾아가는게 맞죠
@user-bg5un7jd4h
@user-bg5un7jd4h Жыл бұрын
@@user-qg1hu5gl5k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직접 보는것과 영상의 차이는 명확하니까요 사람들도 좋아하는 사람이나 연예인 영상보단 실제로 보고 싶어 하잖아요
@user-su4ew3hp1n
@user-su4ew3hp1n Жыл бұрын
@@user-bg5un7jd4h 그 사고가 동물원을 만들고 동물들을 인간의 체험, 유희를 위해 가둔 이유가 되겠죠 인간위주의 사고에서 벗어나시길..
@user-qg6tv9nj4k
@user-qg6tv9nj4k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제가 초등학교 5학년일 때 부모님에 의해서 매일 아침 신문을 읽었는데 너무 지루하고 재미없던 그 시간에 제돌이 기사를 읽고 펑펑 울었던 기억이 나요. 그 이후로 매일 아침 부리나케 신문을 집어서 제돌이 기사가 있나 없나 온 기사 박스를 읽고는 했습니다. 제돌이가 방사될때 교수님이 제돌이의 등을 꼭 잡고 계시는 사진은 아마 지금도 제 신문 스크랩북 가장 첫번째 장에 있을거에요 ☺️ 교수님이 어떤 분인지도 모르고 정말 멋지고 아름다운 어른이시구나, 저런 어른이 되어야지 생각하며 성인이 되었는데, 선물처럼 교수님의 유튜브 채널이 만들어 져서 정말 기뻤어요. 교수님은 평생 저의 가장 멋진 어른이실 거에요. 교수님 어린 저에게 큰 감동과 행복을 전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
@world58
@world58 Жыл бұрын
이 글 또 한 감동입니다!👍
@pina_library
@pina_library Жыл бұрын
저는 이 글 보고 눈물 핑 ㅠㅠㅠㅠ
@jjmangolee4047
@jjmangolee4047 Жыл бұрын
감동 댓글 ㅠ 감사해요
@user-pl2ko1if8b
@user-pl2ko1if8b Жыл бұрын
인생에서 젤 잘한 일이라고 하신 돌고래 바다에 보내기~ 우영우에 나와서 정말 반가웠어요. 우영우 변호사가 교수님이랑 제돌이 보러 가면 눈물 날거 같네요.
@Alocasia489
@Alocasia489 Жыл бұрын
저도 올 4월에 제주도 레스토랑에서 음식 기다리며 바다 풍경을 보고 있었는데 남방큰돌고래 가족이 수영하는 걸 발견했었습니다. 너무 멋있고 놀랐었는데 100여마리나 서식하고 있었군요 최재천 교수님 자랑스럽습니다
@user-up1gn2bw8o
@user-up1gn2bw8o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눈물이 나네요..ㅜㅜ 저희 아이도 교수님처럼 멋진 사람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아이도 너무 재밌게 있었다 하네요.. 존경합니다..
@jystone5772
@jystone5772 Жыл бұрын
아직도 기억나네요. 필리핀여행갔을때 옵션으로 돌고래와칭이라는게 있어서 별 기대없이 자연에 사는 돌고래를 요트타고 본적이 있는데, 그때 어른 팔뚝정도되는 아기돌고래가 무리끝에서 자유롭게 헤엄치며 공중돌기하는 모습을 보고 눈물이 나더라구요. 백번 듣는거보다 자유로운 돌고래의 모습 한번으로 한번에 이해가 갔습니다.
@user-xk4re7ve3w
@user-xk4re7ve3w Жыл бұрын
영상의 마지막 부분을 보니 제돌이를 비롯한 여러 돌고래들의 귀향이라는 몫을 교수님과 여러 단체와 기업들에서 해줬고, 이제 제주 바다에서 돌고래들이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돌고래 관광 선박 불매운동, 돌고래들에게 위협적인 수상 스포츠 자제 등"이 이제 우리 시민들의 몫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hbh815
@hbh815 Жыл бұрын
이번 에피소드가 뭔가 제일 멋있었어요. 학생으로서 협력적거버넌스 어쩌고 저쩌고... 책상위에서만 배우니 와닿지 않았는데, 정말 교수님을 비롯한 전문가, 시민단체, 기업, 정부 등 여러 단체의 협력적 활동으로 이렇게 문제를 해결하였구나...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해결방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jungalee7791
@jungalee7791 Жыл бұрын
와.. 이건 댓글을 안남길수가 없네요. 감동이에요. 모든 분들이 봤으면 하는 영상이네요.
@user-uk9td4tw9r
@user-uk9td4tw9r Жыл бұрын
너무 대단하시네요... 이 돌고래들을 야생으로 돌려보내주신 장본인이 최재천 교수님이라니... 이런 분의 생각을 유튜브로 접할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감사해요!!
@user-mg4sj1mg1p
@user-mg4sj1mg1p Жыл бұрын
관련된 모든분들께 감사하고 감동적인 사실을 이제 알게되었어요. 고래들 건강히 오래 살 수 있게 보호해줍시다
@user-ik4sb4qp7b
@user-ik4sb4qp7b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제돌이 보내실 때 울컥하는 표정에서 울컥하고 말았습니다. 사람으로 한 일 중 가장 자랑스럽고 뿌듯한 일이라고 하셨다는 말씀에서 인간으로서 정말 감사하고 존경스러웠습니다. 인간이 해 놓은 너무나 많은 해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사람으로 살며 박사님 좇아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y4xu6rb5f
@user-ny4xu6rb5f Жыл бұрын
얼마나 기뻤을까요 끝도 없는 넓은 바다가 있고 맘대로 헤엄칠수 있는 넓은공간이 있다는 곳이
@skeonlee8500
@skeonlee8500 Жыл бұрын
가해자는 대한민국이고 피해자는 돌고래니 돌고래한테 17억 쓸수 있는거지
@user-tt4kb5cj8j
@user-tt4kb5cj8j Жыл бұрын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지만 돌고래들이 다시 제주바다로 돌아갔다니 다행이에요 더 많은 동물들이 자연으로 돌아가 각자의 자리에서 살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
@catcatlover2013
@catcatlover2013 Жыл бұрын
동물보호에 나름 관심있는 편이라고 생각했는데… 교수님이 들려주신 남방큰돌고래의 자세한 이야기는 처음이라 놀랍기도하고 스스로 부끄럽게 느껴집니다ㅠㅠ 저의 무지함을 깨닫게 해주시고, 채워주셔서 감사합니다🙏 돌고래의 자유를 위해 힘써주신 분들도 감사합니다❤️
@MingKiss
@MingKiss Жыл бұрын
투표결과에 놀랐네요. 어쩜 참된 인간성이란것은 잊을만 하면 교육하고 또 교육해서 끊임없이 주입해야하는것일지도..
@MingLee7u77
@MingLee7u77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는 수족관 동물원 가면 그저 귀엽고 신기해서 좋아했었는데 이제는 뭔가 죄책감이 들더라구요.. 고래에 대한 다큐를 보고 이 특별한 생명체의 매력에 푹 빠져서 한동안 고래 영상 엄청 찾아보고 했는데요, 이런 비하인드 스토리 너무 재미있습니다ㅎㅎ 정말 많은 분들의 노력이 있었다니 뭉클해지네요...💗 아직까지 동물복지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많지만 교수님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노력,미디어의 힘으로 저를 비롯해 인식이 바뀌는 사람도 분명 더 많아질것이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astr6oy
@astr6oy Жыл бұрын
당시에 모금에 참여했는데 이렇게 교수님 통해서 과정을 자세히 듣게 되니 정말 뿌듯합니다. 😃
@highighopes
@highighopes Жыл бұрын
꺄 멋있으요 👍👍
@user-ze4fm1yn6i
@user-ze4fm1yn6i Жыл бұрын
깨어있었던 분이시군요 모금에 참여하지 못했던것이 많이 아쉽습니다 저는~~
@janemarple7165
@janemarple7165 Жыл бұрын
@@user-ze4fm1yn6i 앞으로도 기회는 많을 거예요, 조금만 관심을 갖고 찾아 보시면 인간이 동물에게 얼마나 못된 짓을 해 오고 있는지 아시게 될 거예요...
@user-hy5ls1qw6r
@user-hy5ls1qw6r Жыл бұрын
감성적 접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인 분석도 함께 진행하고 오랫동안 힘든 싸움을 하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교수님의 영상을 볼 때마다 마음이 따뜻해져서 하루가 행복합니다 :) 매번 감사합니다!
@user-ie6xq4hf8l
@user-ie6xq4hf8l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신분이다 행동하는 양심이란게 이런분을 이르는 말이구나 으아 마지막 너무 감동적이네요 셋다 새끼낳아 길렀대 ㅜㅜ
@ghbkkscv-ym8wl
@ghbkkscv-ym8wl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입으로 듣는 생생한 이야기가 너무 재밌네요 ㅎㅎ 도움주신 기업들도 다들 너무 멋있습니다.
@babyullalla2181
@babyullalla2181 Жыл бұрын
뉴스 보면서 저런 일은 도대체 누가 하는걸까,, 나는 취준하느라 토익떠느라 정신없는데 저렇게 내가 몰랐던 세상의 불합리를 꼬집고 바꾸려 투쟁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뭐하는 사람인가 항상 궁금했었는데 교수님이 그런 일을 하시는군요! 동물보호에 관심이 많았어서 돌고래 관련 뉴스가 나왔을때 기억합니다 대부분이 '안전한' 곳에서 '잘' 지내는 돌고래를 왜 풀러주려 하는가, 돌고래를 풀어주면 원숭이는? 이거는? 저거는? 하는 부정적인 여론이 많았던것도 기억 나요 많은 사람들의 인식을 바꿔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호주제도 그렇고.. 교수님은 참 멋진 일을 하시는 분이신 것 같아요 저는... 취업도 못하고.. 방구석에서.. 감명깊어만 하는.. 잉여.,
@phrasepa9523
@phrasepa9523 Жыл бұрын
따뜻한 마음을 가지셨네요. 힘내시고요. 어려운 시기 꿋꿋이 버티시고요. 제가 젊었을 때가 생각나네요. 마주하는 심한 바람 속에서 나는 걸어가는 수 밖에 없구나 하며 옷 단단히 여미고 허리숙이며 바람 속으로 걸어갔던 기억. 근데 할머니가 될 때까지 그런 순간들이 계속 있더라구요
@windyb9808
@windyb9808 Жыл бұрын
@@phrasepa9523 정말 멋진 말..
@hallochung9720
@hallochung9720 Жыл бұрын
며칠전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 옮기는 과정 2부 모두 보게됐는데 정말 맘이 아프더라구요 13년도에 있었던일을 해외에서 이제야 알게 됐거든요 세마리 모두 무리들 사이에서 헤엄쳐나가는 모습 보자마자 눈물이 쏟아졌답니다 교수님과 그외 많은분들 정말 고생많으셨고 감사드립니다
@Rinpndip
@Rinpndip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다큐에서 가두리에서 나가는 돌고래친구들 보면서 목메이시는 거 본게 엊그제 같은데 많이 늙으셨네요ㅠㅠ 참 수고많으셨습니다... 아직도 국내에 21마리의 고래가 남아있는데 많은 국민들이 고래 방류와 보호에 관심갖어주었으면 좋겠어요. 특히 거제씨랜드에서 돌고래쑈를 비롯해 체험교감프로그램이라는 말을 갖다 붙여 벨루가와 돌고래들을 서핑보드마냥 타고 하루에 50명이 넘는 사람들과 뽀뽀,만짐당하는 학대를 자행하고 잇더라구요... 공론화되서 제돌이때처럼 좀 더 큰 이슈로 주목되었으면 좋겠습니다ㅠㅠ
@buyamang
@buyamang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보는 내내 정말 울컥했네요...미취학아동일 때, 어린이대공원에 가서 아무생각없이 즐겁게 봤던 물개쇼, 돌고래쇼의 어두운 면에 대해 다뤄주셔서 감사해요. 돌이켜보면 그때는 동물에 대한 시민의식이 정말 전무했다는 생각도 들고, 동물권, 동물복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네요. 이런 공익적인 활동에 기꺼이 함께 해준 기업인들께도 참 감사해요. 교수님께서 지으신 '배냇주름'이라는 단어도 넘 귀염뽀짝하고 마음이 몽글몽글해지게 만드는 말인 것 같아요ㅎㅎ 항상 재밌고 유익한 컨텐츠 감사합니다. 공부하다 지칠때 늘 힐링하고 있어용♥👍
@yohannako2121
@yohannako2121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유튜브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이런 영상을 유튜브에서 볼 수 있어 너무 좋아요. 돌고래 방류할때 교수님 표정이 너무나 뭉클해보이세요. 과학자로 이론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앞에 나서서 투쟁하시는 모습이 너무 감명깊었습니다. 그리고 돌고래방류를 감정에 호소하는게 아니라 과학적으로 접근했기에 보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던게 아닌가 싶네요. 훈련과정의 데이터 축적과 실제 방류 성공으로 각 국에 긍정적인 외부효과도 주고 계시겠지요. 저도 공부중인 학생인데 연구자의 역할과 자세를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nm7sx6pu4r
@user-nm7sx6pu4r Жыл бұрын
돌고래들이 바다로 돌아가서 가정도 꾸리고 잘 살고 있다니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앞으로도 돌고래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아주면 좋겠어요. 앞으로도 돌고래들을 응원할게요!
@user-dy8qh6sb7d
@user-dy8qh6sb7d Жыл бұрын
돌고래 친구들을 풀어줄 수 있게 해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덕분에 사회가 더 따뜻해지고 동물을 보호하는 기본 소양을 가질 수 있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kang_in_osaka
@kang_in_osaka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유퀴즈에서 제돌이 살려 보낸 게 최고로 잘한 일이었다고 말씀하시는 것 보고, 제돌이를 풀어주시는 예전 영상을 찾아서 봤어요.^^ 이어서 친구들 풀어주는 영상도 따로 찾아서 봤고요. 그리고 핫핑크돌핀스 유튜브에 가끔 제돌이 영상(등에 1이 적힌 돌고래)이 올라오더라고요. 교수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kang_in_osaka
@kang_in_osaka Жыл бұрын
복순이가 아기를 낳아 기르는 뉴스 영상도 있더라고요.
@chaelinlee2576
@chaelinlee2576 Жыл бұрын
저녁 먹으면서 보다가 마지막 교수님이 살면서 한 일 중에 가장 잘 한 일이라고 하시는 표정 보고 울컥해서 울면서 밥 먹어요 ㅠㅠ
@user-dp3ql4mx8m
@user-dp3ql4mx8m Жыл бұрын
교수님도 우영우 드라마가 고마우시겠네요 그 의미있었던 일들을 다시 한번 알릴 수 있어서요 근데 난 제돌이가 제천 교수님 별명 같으네 ㅋㅋㅋㅋㅋㅋ
@lattelatte0707
@lattelatte0707 Жыл бұрын
드라마도 미디어도 끊고 자폐아들만 키우며 버틴 십년...자폐인 우영우를 알게되고 돌고래이야기를 보았네요. 마침...제주를 사랑하셨던 할머니덕에 지금은 친정엄마가 계시는 제주 대정읍... 이번에 아이랑 같이 지내며 돌고래보려고 검색하다 복순이 이야기를 보니 울컥합니다. 네...우리의 걱정보다 강한것같아요. 모두 함께하는 세상이 되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crazysquuuuuuuirrel
@crazysquuuuuuuirrel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언급해주신 분들과 남종영 기자님 쾌유하시길 바랍니다~ 다른 언론인들에 반대하는 글쓰기 힘드셨을텐데 파이팅이에요!
@user-ud4dy2ix1b
@user-ud4dy2ix1b Жыл бұрын
제주도 돌고래가 그런 사연들이 있었군요 자세히 얘기해주셔서 감사해요 끝까지 행복한 삶 누리는 우리 남방돌고래들이길 🐬
@PianistHyun
@PianistHyun Жыл бұрын
핫핑크돌핀스 지금도 너무 너무 애쓰고 있어요. 응원하고 지지합니다. 최재천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user-ef9fu7xi6b
@user-ef9fu7xi6b Жыл бұрын
삼팔이, 춘삼이, 복순이, 제돌이가 행복하고 늘 자유롭기를!🐬 고민하고 또 행동하는 분들이 정말 존경스러워요.
@hyency93
@hyency93 Жыл бұрын
입을 틀어막고.... 봤습니다.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많은 동물단체 대표님들과 도움을 준 기업에도 감사합니다.
@fromlala2119
@fromlala2119 Жыл бұрын
제가 모르는 사이에 돌고래들을 위해 애썼던 분들이 이렇게나 많으셨군요. 모르는, 선한, 그 분들 모두에게 감사드립니다.
@heyhannaclass
@heyhannaclass Жыл бұрын
눈도시큰하고 코도찡하고… 교수님고마워요!!!
@mensa-code-bae
@mensa-code-bae Жыл бұрын
시큰하고...찡하고에... 공감누르고 싶어서 댓글 남깁니다
@user-hg9io2ij7m
@user-hg9io2ij7m Жыл бұрын
너무 감동적입니다 눈물이 나고요 우영우 변호사님이 제돌이를 꼭 보러가는걸 보고 싶습니다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_^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제돌이는 수컷이라서 안보러갈것같아요...ㅠ
@user-eu7hr8eg2g
@user-eu7hr8eg2g Жыл бұрын
자유는 투쟁해서 얻는다는 말씀이 저에게도 너무 와닿습니다. 동물을 생각하시고 아끼시는 마음이 사람의 마음도 따듯하게 하시는 것 같아요
@user-mv3bv6ni5c
@user-mv3bv6ni5c Жыл бұрын
너무 감동입니다ㅠㅠ 동물을 억지로 가둔 인간이 인간의 입장에서 동물의 자유를 반대한다는게 가당키나 한 일일까요.. 그 아이들이 자유를 찾고 잘 적응해서 너무 다행이네요!🐬💕
@elin2966
@elin2966 Жыл бұрын
너무♥가슴 뭉클하고 눈가가 촉촉해질 만큼 감동적입니다!!!! 돌고래들🐬 꼭 쌍안경 쓰고 올레길에서 구경하겠습니다~
@ssh996
@ssh996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 남종영 기자님 황현진 운동가님 조희경 대표님 그리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노력해주신 많은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영상 보면서 눈물이 났어요. 너무 너무 감사드립니다.
@ABC-om2ip
@ABC-om2ip Жыл бұрын
아시아나도 👍 현대그린푸드도 👍교수님도 👍 정말 좋은 일 하셨네요 정말 멋지십니다 좋은 선례가 된것같아요 🐬💕
@user-iw2xx7mj4d
@user-iw2xx7mj4d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활동하시는 이야기를 들으면 생명다양성재단에 정기후원을 하고 있는 게 참 뿌듯해집니다. 한때 동물행동학자를 꿈꾸던 사람으로써 교수님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akraa4555
@akraa4555 Жыл бұрын
이 댓글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기부할곳 찾고 있었어요. 방금 저도 재단에 정기후원 자동이체 걸고 왔습니다. 나약하고 이기적인 소시민은ㅠㅠ 이런것밖에 못해서 죄송합니다
@user-lk6vn5wu2z
@user-lk6vn5wu2z Жыл бұрын
뜻 깊은 일을 하시네요~ 😭👏👏👏👏
@youngeung
@youngeung Жыл бұрын
저도 덕분에 알고 후원하게 되었네요 이렇게 댓글로 재단에대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youme4155
@youme4155 Жыл бұрын
제가 딱 제돌이 이슈 때의 사람이라서 아직도 동물원과 수족관을 가지 않게 되었습니다. 자연과 동물권에 크게 도움이 되는 일은 하지 못하지만 제 작은 소신으로 하고 있는 일인데, 정말 교수님 같은 분들과 실천하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한 마음 올립니다 ☺️
@phina1234
@phina1234 Жыл бұрын
교수님ㆍ남방큰돌고래ᆢ제돌이ᆢ자유ᆢ내가 책임지겠다ᆢ너무 감동적입니다ㆍ너무 감사드립니다ᆢ
@phina1234
@phina1234 Жыл бұрын
인연ᆢ희망ᆢ아시아나 항공ㆍ현대그린푸드 ㆍ감사감사ㆍ제돌이와 친구들ᆢ프로토콜 ᆢ제주 바다로 돌아가다ᆢ잘 살고 있다ᆢ
@phina1234
@phina1234 Жыл бұрын
제주도에 🐬 돌고래 보고 싶어요 ᆢ쌍안경가지고ᆢ
@user-gc4gt5wp7g
@user-gc4gt5wp7g Жыл бұрын
삼팔이,춘삼이,복순이,태산이,제돌이를 바다에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은 대단하십니다
@user-gr9nu3dv8y
@user-gr9nu3dv8y Жыл бұрын
마음이 따뜻해 지는데 콧등이 시큰 합니다 재돌이도 교수님 보고싶어 할껍니다 보고 듣는 내내 찡한 마음에 조근조근 겸손하게 말씀해주시는 모습ᆢ 오래오래 뿌듯하고 제주바다 올래길 걸으며 망원경 가지고 돌고래들 보고싶습니다
@NCTSWISH
@NCTSWISH Жыл бұрын
ㅜㅜ눈물나네요 젇ㅎ
@estest82
@estest82 Жыл бұрын
8:20 복순이를 위해 함께 갇혀 있는 태산 얘기를 듣는데 눈물이나요 포기하지 않아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포기하지 않아서 고마워 태산아
@user-wc1rr5xl3o
@user-wc1rr5xl3o Жыл бұрын
문제의 선봉에 선다는건 책임이 따르고 힘든일 입니다 감동했습니다 교수님이 계셔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습니다. 감사합니다^^
@eunseo_423
@eunseo_423 Жыл бұрын
저도 우영우 드라마를 재밌게 보고 있는데 우영우변호사님께서 말하시는것 중에 하나를 자세히 풀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6:20 이 말을 듣고 저도 너무 어이가 없었네요 다른 애들은 왜 안 풀어주냐 왜 돌고래만 풀어주냐 이 말을 한 사람들은 이 돌고래들에 잘 모르는것 같네요
@aneogirl
@aneogirl Жыл бұрын
😭😭😭😭😭😭😭😭 박사님 말씀으로 또 들어도 정말 눈물이 나요 ㅜㅜ 너무나 감사하고 고맙고 미안하고 속상하고 다행이고 막 그래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
@chewyraccoonn
@chewyraccoonn Жыл бұрын
남방큰돌고래들을 풀어주기 위해 노력하신분들이 존경스러워요. 그리고 오랜시간 열약한 환경에서 지내야했던 돌고래들이 불쌍해요ㅠㅠ 이 영상을 보고 동물복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어요.
@user-pv9sr3uo1b
@user-pv9sr3uo1b Жыл бұрын
돌고래를 포획할 때 공조한 사람들의 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분명히 돌고래들을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기 위해 노력한 분들의 수보다는 적겠지요. 쉽게 행한 불법행위를 다시 그 전으로 되돌릴려면 그것을 행할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시간,비용,노력,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합니다. 또한 이 영상을 통해 ‘장애’에 대해 재고하게 되었습니다. 복순이처럼 장애를 가진 개체는 얼마 못가 죽을 것이라는 편협하고 오만한 의견들에 굴하지 않으시고, 복순이와 다른 돌고래들에게 자유를 되찾아주신 박사님의 노력에 존경을 가득 담아 박수를 보냅니다. 최근에 봤던 유튜브 영상 중에 가장 인상적인 영상이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soo907
@jsoo907 Жыл бұрын
우영우로 고래에 관심이 많아졌는데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돌고래 돌려보내준 이야기가 다 감동적인데 복순이와 태산이의 이야기가 특히 마음에 남네요. 우영우에도 마지막즈음에 돌고래보러 제주바다에 가지않을까 바래봅니다!!
@user-ll2kx1du4h
@user-ll2kx1du4h Жыл бұрын
사랑꾼인 태산이가 지난 5월에 숨진 채로 발견 되었다고 방금 기사 떴네요 ㅠㅠ 너무 슬픕니다,,
@rosequartzkim9767
@rosequartzkim9767 Жыл бұрын
순정남 태산이가 얼마전에 죽었다고 들었어요..제주바다에서 마음껏 헤엄치고 고향에서 숨을 거둔 태산이..
@user-cz6gj3cn4j
@user-cz6gj3cn4j Жыл бұрын
돌고래 관광선박 처벌할 수 있는 법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동물학대하는 인간들 좀 사라졌으면ㅠㅠ 교수님 덕분에 돌고래들이 자유를 찾았네요
@egt6623
@egt6623 Жыл бұрын
기억 속에 있는 일인데, 교수님께서 앞장서신 것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시청하면서 박수까지 쳤어요. 얼마 전에 전북 부안에 있는 원숭이 학교가 아직도 있다는 것에 놀랐는데......거기도.....
@ericblue8690
@ericblue8690 Жыл бұрын
돌고래는 인간과 같은 포유류 잖아요 모양은 좀 다르지만 폐로 숨쉬며 인간과 같은 먹이로 식사를 하고 새끼를 낳아 기르고... 제주연안만 빙빙 돌아 다닌다고하니 더 정감이 갑니다 박사님 고생 하셨습니다~^^*
@sh-nd2fp
@sh-nd2fp Жыл бұрын
사회의 엘리트인 교수님이 자신의 지식을 아낌없이 나눠 주시는 이런 유투브가 있는걸 이제야 알게 되었습니다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user-oq2yb3tc5m
@user-oq2yb3tc5m Жыл бұрын
열악한 환경에 있던 돌고래들을 바다로 돌려보낼 수 있도록 앞장서시고 힘써주신 점 대단하신 것 같아요. 별 관심 없었던 문제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 거 같아 뜻깊은 영상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tintinbon
@tintinbon Жыл бұрын
돌고래들 행복하게잘살았음좋겠어요
@user-oo6ly8dp7d
@user-oo6ly8dp7d Жыл бұрын
어릴 때 그 뉴스를 접하며 처음 동물권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이후로 동물원 자체에 대해, 식용견이나 공장식농장에 대해 점점 관심이 번져갔습니다. 저에게도 정말 큰 영향을 주셨어요. 그때의 모든 활동에 정말 감사합니다.
@user-sh6rv3jv3v
@user-sh6rv3jv3v Жыл бұрын
행복해야되 지구상에 젤 넒은게 바다인대 ㅎㅎㅎ돌고래 귀여워 행복해야되 ㅎㅎ
@sinhye7676
@sinhye7676 Жыл бұрын
저는 돌고래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저희 아버지가 선장이신데 돌고래를 만나면 그날 일은 접어야 하거든요. 일반인들은 모르지만 한국에 돌고래가 "정말" 많습니다. 본문 중 교수님도 돌고래가 그렇게 많았는지 몰랐다고 말씀하시죠. 방파제 너머의 저 먼 바다는 일반인에게는 미지의 장소입니다. 그나마 여객선의 뱃길이나 가 볼까, 보통 조업이 이루어지는 바다들에 갈 일이 잘 없죠. 하지만 저는 아버지가 배 옮기실 때 한 번씩 따라다녔습니다. 잔잔한 날도 먼바다는 뱃전이 2미터씩 위로 치솟았다가 떨어집니다. 그런 때 물보라가 사방에 튀는데 햇볕으로 무지개가 생기죠. 그런 바다에선 돌고래들이 물 위로 점프해서 다니는걸 보는건 어려운게 아닙니다. 신기하지도 않고요. 요녀석들이 얼마나 머리가 좋은지 힘들게 물고기를 잡는 것 보다 오징어배를 따라다니면서 불빛에 몰리는 오징어를 날로 먹는게 훨씬 편하다는걸 알아요. 심지어 어떤 배에 오징어가 많이 몰렸으면 다음날도 그 배를 기억하고 무리지어 따라다니죠. 그러면 아버지는 전속력으로 이 녀석들을 떼어놓으려고 도망을 갑니다. 그런데 이 녀석들이 얼마나 빠른지... 몇 시간을 질주해도 따라와서 헤헤거리고 있죠. 그럼 이제 두 손 두 발 다 들고 항구에 들어가야 하는 겁니다. 배에 기름은 엄청 썻는데 아버지도 선원들도 한 푼 이득이 없고, 선원들은 보통 달달이 벌어서 매꾸는 사람들이 많아 또 타격이 좀 있죠. 그래서 아버지는 조업에 나갈 때 마다 돌고래를 만나는일이 스트레스를 넘어서 약간 공포가 되셨어요. 우리나라에는 돌고래의 마땅한 천적이 없다보니 뭐...많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돌고래를 별로 반기지 않는 저도.. 억지로 잡아와서 저 똑똑한 애들을 불량한 환경에 가두는 것은 정말 잘못되었다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지능이 높은 만큼 주어진 환경에 고통이나 좌절도 매우 컷을 겁니다. 자유를 박탈당하고 정신적인 고통을 당하는 어떠한 생물을 자유롭게 해 주었다는것 정말 가치있는 아름다운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user-zl1fj3qy9d
@user-zl1fj3qy9d Жыл бұрын
정말 눈물나는 감동적인 이야기네요🥹알면 사랑하게 된다는 말처럼 모든 생명은 소중합니다.존경합니다 교수님❤️💙
@helenajung2123
@helenajung2123 Жыл бұрын
사람으로 살면서 한 일 중에 가장 의미있고 자랑스러운 일이었다는 교수님의 말씀에 뭉클해졌습니다. 지구의 모든 생명체가 자유롭게 살 수 있는 그 날을 기대해봅니다. 보호라는 이름 아래 자유를 억압당하고 있는 모든 생명체가 자유를 되찾는 그 날까지!
@sophiechoi3817
@sophiechoi3817 Жыл бұрын
동물들의 생명을 존중해 주시고 지켜주신 교수님과 애쓰신 모든 분들 너무 훌륭하시고, 존경합니다
@user-pj8gk5tj5d
@user-pj8gk5tj5d Жыл бұрын
돌고래들을 구하기 위해 재판까지 간 사람들이 대단하고 잘 살고 있어서 다행인거 같아요 돌고래들이 계속 살면 좋겠네요
@user-vk2ky7ut4f
@user-vk2ky7ut4f Жыл бұрын
돌고래 보호를 한겨레 기사로 접했는데 교수님도 함께 해주셨군요ㅠㅠㅜ 너무 다행이고 우리 모두 다른 동물보호에도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합니다!
@user-sillky
@user-sillky Жыл бұрын
복순이 너무 눈물나네요ㅠㅠ 자유롭게 잘 살고 있어서 다행입니다
@Pppkppkppk
@Pppkppkppk 9 ай бұрын
친절하고 사려깊고 열정있고 똑똑하고 강단있고 과감한데 확고한 신념에 흡입력있는 말재주까지 갖고계셔주셔서 감사합니다. 눈물없는 상남자인데 이 영상만 보면 눈빛 반짝반짝해져서 돌고래 풀어준 썰 들려주는 대표님모습에 찌이잉해져서 볼 때마다 훌쩍거리게 되더라구요. 울적한 일 있으면 매번 찾아와서 용기 얻고 갑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세요
@user-pl4yc9sr1n
@user-pl4yc9sr1n Жыл бұрын
5년쯤 전에 제주도에 놀러가 애월 쪽에서 드라이브를 하다가 돌고래 두마리 정도가 헤엄치는 모습을 멀리서나마 발견 했었어요!! 교수님이 보내주신 친구들은 아닐 확률이 높겠지만 꽤 오래 전 일인데도 자연에서 뛰노는 돌고래를 본건 정말이지 잊지 못할 기억이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돌고래쇼 뿐만 아니라 아쿠아리움, 동물원 등이 생물들에게 얼마나 악영향을 미치는지 관심을 갖고 나아가 생태계 유지에 힘쓰게 되었으면 좋겠네요.!
@user-pw3hv9kw5p
@user-pw3hv9kw5p Жыл бұрын
너무 고맙습니다. 교수님과 뜻을 같이 하신 세 분과 동참하신 시민들 모두 감사합니다. 기업 대표님들의 후원과 협조 또한 너무나 감사한 일입니다.^^
@user-xg9hv3zu6k
@user-xg9hv3zu6k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가슴으로 울면서 보았습니다. 복순이 주둥이는 자신을 가두는 철창(?)을 물어뜯느라 생긴 후천적인 장애처럼 보이네요.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인지요. 춘삼이 삼팔이 복순이 ─ 이 친구들을 방류하는 순간, 박수치는 교수님의 표정 ; 16:47 을 보며 '사람다움'이 어떤 것인지, '자유'는 얼마나 크고 얼마나 열렬한 것인지 큰 울림으로 배웁니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당시 함께 했던 분들, 모두모두 큰 복 받으실 겁니다.
@user-pj2el6rh7w
@user-pj2el6rh7w Жыл бұрын
제주에 돌고래 관광한다고 수많은 배들이 고래들 서식지까지 엄청 가까이 접근해서 고래들에게 스트레스를 줍니다...배에 치여서 다칠까 염려 스러워요...제주도 고래 관광 배들 단속이 안될까요..다 사라졌으면 ㅠㅠ 그리고 잠수함도 바다 청정을 담당하는 산호초들을 그렇게 박살낸다는데 잠수함 관광도 다 사라졌으면 좋겠어요 😭
@user-lx5he8ri4e
@user-lx5he8ri4e Жыл бұрын
제돌이 보내주셨던 사건을 통해 최재천교수님의 왕팬이 된 재미입니다요~~!! 동물자유연대팀을 비롯한 훌륭한 분들과 힘을모아 영화같은 일을 해 내신 교수님의 팬이 된 이후 그 일을잊지않고 기억하고 있답니다~ 동물들의 든든한 빽이 되어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pj8gk5tj5d
@user-pj8gk5tj5d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영상 잘 봤습니다 영상을 보고 교수님이 돌고래를 위해 헌신하신 모습이 너무 멋있습니다. 교수님 덕분에 삼팔이 복순이 태산이 재돌이 춘삼이들이 넓은 바다에서 재밌게 놀 수 있습니다 교수님 덕분에 감사합니다 교수님
@meekyoungkim5078
@meekyoungkim5078 Жыл бұрын
박사님 🙏 🙏 🙏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제주바다에서 잘적응해서 산다니 너무 좋으네요. 복 많이 받으시길 기도합니다
@user-nr1be9mt3y
@user-nr1be9mt3y Жыл бұрын
사랑합니다 교수님!!!🐬🐳🐋
@user-ui6eq7tx3e
@user-ui6eq7tx3e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도봉중학교 송재현입니다. 요즘들어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드라마를 정말 재밌게 보고 있는데 우영우 드라마로 영상을 만들어줘서 엄청 재밌게 봤습니다. 제돌이와 태산이를 제주도 가서 꼭 보고싶네요
@erin6372
@erin6372 Жыл бұрын
인사성 밝은 친구 정말 예뻐요.
[명작다큐] 제돌이의 꿈은 바다였습니다 1부_작별
48:18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34 МЛН
Каха инструкция по шашлыку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바다로 돌아간 쇼돌고래 제돌이 이야기|와일드 애니멀, KBS 170506 방송
9:59
KBS동물티비 : 애니멀포유 animal4u
Рет қаралды 79 М.
드디어 완성된 우주의 모든 블랙홀들의 지도! | 퀘이사 프로젝트!!
13:27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3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