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칫하다 수억원 날릴 위기, 놓치면 낭패보는 주택 양도세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131,743

윤창희의 생존경제_KBS

윤창희의 생존경제_KBS

3 жыл бұрын

#장기보유특별공제 #양도세 #부동산
집 한 채면 세금 없다는 말 옛말이죠. 집값이 많이 오르면서 1주택자도 집 팔 때 양도세를 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법을 보면 양도세 비과세 요건이 매우 까다롭게 바뀌었습니다. 집 가지고 계신 분이면 꼭 보셔야 할 영상이라 생각됩니다.

Пікірлер: 211
@user-ev7ow5rs4k
@user-ev7ow5rs4k 3 жыл бұрын
정리가 정확 하시네요. 명강이십니다
@ejkim6575
@ejkim6575 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구독 꾹 했어요. 정보감사합니다.
@user-ut8tx9sw2e
@user-ut8tx9sw2e 3 жыл бұрын
이해가쉽게 설명을 잘 해주시니 좋네요 😄😄
@user-ow1tp3th3t
@user-ow1tp3th3t 3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gemmag.5450
@gemmag.5450 3 жыл бұрын
멋지네요 정확하고 명쾌한 강의 감사합니다
@user-qz5oo3th6g
@user-qz5oo3th6g 3 жыл бұрын
쉽게 넘, 설명 잘하시네요 감사합니다
@nayoungson9826
@nayoungson9826 3 жыл бұрын
무슨 법을 매달 바꾸냐 이런 나라가 어딧냐
@user-ju7bp7qi8z
@user-ju7bp7qi8z 3 жыл бұрын
당신은 집이 많아 종부세 내는쪽인가 본데 없는 사람 집 좀 사자 그러면 종부세 올라야된다
@nayoungson9826
@nayoungson9826 3 жыл бұрын
@@user-ju7bp7qi8z 세금내는게 죄는 아니지. 집값 많이 올린 재인이가 임대주택 지어준다니까 이왕 기다린거 계속 기다려봐. 믿음이 한결같아야지.
@lisa12557
@lisa12557 3 жыл бұрын
부동산대책 나올때마다 공부해두면 어느새 또 바뀌어 있고 이젠 어떤 대책을 가지고 나올지 세무사님들도 헷갈리시겠어요
@user-ju7bp7qi8z
@user-ju7bp7qi8z 3 жыл бұрын
시원시원한 목소리로 너무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mMqBlsRjrb-8cZ8.html KBS 유튜브 채널 '속고살지마'가 구독자 3만 명 달성을 앞두고 감사 이벤트를 준비했습니다. 지금까지 보셨던 '속고살지마' 콘텐츠 중, 가장 유익했던 콘텐츠의 제목과 그 이유를 '위 링크의' 영상 댓글로 달아주세요. 정성껏 의견 남겨 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갤럭시 버즈(3명)와 스타벅스 상품권(20명)을 드립니다. (당첨 시 구독 여부 확인 후 경품 발송합니다. 가장 유익했던 영상에 좋아요도 눌러주세요!) ★ 앞으로 갤럭시 버즈 이벤트는 연중 계속될 예정이니 구독과 알림버튼 설정 꼭 부탁드립니다
@user-ps5om5ro3u
@user-ps5om5ro3u 3 жыл бұрын
ㅣㅣㅣㅣㅣ1
@user-rp8ei7nx7w
@user-rp8ei7nx7w 3 жыл бұрын
상세 설명 잘 보았습니다 건강하십시요
@user-ly8ri8pp4g
@user-ly8ri8pp4g 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어이없네요 자고나면 바뀌는 세법
@bdgrhjsur
@bdgrhjsur 3 жыл бұрын
그저 집값 잡는데는 효과0이고 세금 걷는 정책으로 판단되는 현실이죠 정말 무능의 극치
@cappununa2193
@cappununa2193 2 жыл бұрын
영상보고도 이해가안되는 바보의 극치 ㅎㅎ
@user-tu5qn9gj2b
@user-tu5qn9gj2b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ungtaekhong7733
@sungtaekhong7733 3 жыл бұрын
사정이 생겨 부득이 10년 보유, 2년 거주 요건 만들고 이사 했는데..... 이제와서 이게 뭡니까 ??? 세금이 아니고 벌금이네요.
@user-wu3hd2fd2c
@user-wu3hd2fd2c 3 жыл бұрын
그전에 집취득한건 아니라거했는데요
@user-bt1ru6mu1s
@user-bt1ru6mu1s 3 жыл бұрын
개인 재산권과 거주 이전의 자유가 억압받네요. 헌법이 보장하는 자유민주주의가 맞나?
@user-zi4bo5ze1v
@user-zi4bo5ze1v 3 жыл бұрын
언제또 바뀔지 모르는 세법 뭘 믿고 계획을 세우나요 세금열심히 냈고 법도잘지키고 살았는데 세금폭탄에 망연자실입니다
@user-dx6pd3fu4g
@user-dx6pd3fu4g 3 жыл бұрын
대신 정부가 무능해서 많이 올랐잖아요. 그걸로 퉁 치세요
@ahnvincent2258
@ahnvincent2258 3 жыл бұрын
돈도 많으신 분들이 세금 많이 내세요. 좋은데 쓰고 그러면서 사는거죠. ㅋㅋ
@skim3600
@skim3600 3 жыл бұрын
장특 공제 혜택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네요...
@user-er2uq1nn8s
@user-er2uq1nn8s 3 жыл бұрын
한채는 건들지 말자 실거주자야
@zeusmaker5259
@zeusmaker5259 3 жыл бұрын
깔끔한 정리 예시 감사합니다.
@user-ee6oq3lh1n
@user-ee6oq3lh1n 3 жыл бұрын
오피스텔 주거용 을 사업자로 하고 주택이 하나 있는상태에서 매도 하면 일반과세로 세금 납부 하면 될까요?
@my.son.asks_tutorials
@my.son.asks_tutorials 3 жыл бұрын
흠~~~앞으로는 해외로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되고 그에따른 사기도 많이 늘어나겠네요. 중국 사람들이 많은 해외 부동산을 사들인다고 들었는데요. (물론, 중국은 우리와 같은 이유가 아니지만..) 앞으로는 한국인들의 해외 부동산 투자가 많이 늘어날것 같네요.
@Thisisit78930
@Thisisit78930 3 жыл бұрын
갈아타기도 안되는 빌어먹을 법.
@user-jw6ie6tx7e
@user-jw6ie6tx7e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양도소득세가 수시로 변하여 언젠가 정리하여 숙지하려 했는데... 정책은 정권이 바뀌면 바뀌는 것이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을겁니다.
@user-eu8kj9ii7z
@user-eu8kj9ii7z 3 жыл бұрын
주택 가격 하락을 정부에서 막음.
@user-ou7pr7ud8u
@user-ou7pr7ud8u 3 жыл бұрын
도깨비 방망이 법안 진짜 금나와라 은나와라 하고싶은거다해봐라
@alwayskim3834
@alwayskim3834 3 жыл бұрын
이제 집사고 싶어도 못사게 됐다. 보통일이 안다.
@user-mk8le8pg5f
@user-mk8le8pg5f 3 жыл бұрын
2014년 @구매후 조정대상 지역됐고 9억 초과,1세대1주택입니다. 매매시 22년경 매매예정인데, 장특공 80%에 비과세 되는 거 아닌가요? 법이 소급적용되는 경우도 있나요?
@alwayskim3834
@alwayskim3834 3 жыл бұрын
24년지나야 10년인데요?
@K-Food_Pharmacy
@K-Food_Pharmacy 3 жыл бұрын
근데 생각보다 많이 차이는 안나더라구요. 세무사상담해봤더니 12억 기준 10년 보유 2년 거주시 내년에 매도시 올해 매도보다 천만원 정도 차이나더라구요. 세율만 알려줄게 아니라 실제 매도금액으로 알려주는곳이 없어서 겁을 하도 줘서 몇억 차이나는줄 알았거든요. 그래서 이영상에선 있을까해서 봤는데 역시나 세율로만 겁을 주네요.
@suhaj9459
@suhaj9459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dni2e
@dni2e 3 жыл бұрын
ㅋㅋ 조회수 좀... 자극적인 폭탄세율?
@dhl4277
@dhl4277 3 жыл бұрын
공공임대10년살고 10년차에 분양전환 했슴니다 2년거주해야 비과세 대상인가요? 아님 2년거주안하고 매도해도 비과세 대상인가요?
@nhbank
@nhbank 3 жыл бұрын
2017년이 아니라 올해 7.2 대책으로 무조건 2년 거주해야돼. 이런
@user-bq4wl6xr1e
@user-bq4wl6xr1e 3 жыл бұрын
세상천지 법지키다가 집도 전세도 다놓쳤어요 살수가없어 요 법배우다가 살수없구요 법법허다 죽것네요
@user-bq4wl6xr1e
@user-bq4wl6xr1e 3 жыл бұрын
정보감사합니다 저는 2014도 에 집을신은데요 재개발이돼서 지금2021년 1월 30 일 입주입니딘 거주는안했고 보유만 6년좀넘었읍니다 21년에 팔면 세금을얼마나 내나요 답을주심 너무나감사하겠읍니다
@user-su9td1du2q
@user-su9td1du2q 3 жыл бұрын
이러니 전세 대란을 만들수 밖에
@user-ut9hn3on8x
@user-ut9hn3on8x 3 жыл бұрын
그냥 골때린다는 말밖에 안나오네 얼마전 양도차익 2억6천에 세금 1억4천세금 냄
@hjo4200
@hjo4200 3 жыл бұрын
강도네...
@user-sw7ng6ov1c
@user-sw7ng6ov1c 3 жыл бұрын
꽁으로 1억2천 벌었구만 뭘
@user-rk4sn3to9c
@user-rk4sn3to9c 3 жыл бұрын
@@user-sw7ng6ov1c ㅉㅉ
@user-ub4ot1vz1h
@user-ub4ot1vz1h 3 жыл бұрын
@@user-sw7ng6ov1c 꽁은 아니지.
@renahonng7213
@renahonng7213 3 жыл бұрын
@@user-sw7ng6ov1c 집 없는사람이 속편한세상 그냥 돈벌지말고 놀고먹읍시다 그럼 양도세 실컷뜯어서 게으름뱅이들에게 주고 이나라 잘살것지 가난은 나라두 못구한다고 했는데 ㅉㅉ 꼴랑집한채에 양도세라니 ~~
@user-im2zr4xi1k
@user-im2zr4xi1k 3 жыл бұрын
1가구 상가주택 거주10년이면요~? 용도를 주택 바꾸려도 주차면적이 2대 공간이 부족해서 안된다네요 2003년부터 주택으로 살고 있는데도요~~
@ibocomgmail
@ibocomgmail 2 жыл бұрын
집짓기 위해 설계계약단계 자녀명의로 할 때 , 세금관련한 문제있을까요? 설계사무소에서 아래의 같은 상황에서 세금관련하여 먼저 알아보라 해서 질문드립니다. 1. 저의 명의(부모)로 땅을 가지고 있읍니다. 땅은 저의 명의, 건물은 자녀들 명의 땅의 성격은 1종 전용주거지역으로 단독주택(다가구 주택)만 가능, 2가구까지 가능 2. 이 땅위에 자녀들 명의로 집을 짓고자 합니다. 자녀 3명 - 28살 직장인 세대분리 상태, 26살 대학생, 18살 고등학생 3. 이렇게 되려면 설계 계약 당시부터 자녀 명의의 계약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4. 건축비 충당 방법 : 총 공사비 8~9억원 예상 땅을 담보로 4.3억 충당 : 이 부분에서 땅은 부모가 담보를 제공하고 자녀들 명의로 대출을 받을 생각입니다. 약 2억은 직장인이고 세대분리가 된 자녀가 자금을 투입할 것임.(기존 주택을 매도하고 자신의 자금합쳐서) 약 2억은 부모인 제가 여유자금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5. 질문 위의 상황에서 세금부분으로 문제가 될 것이 있을까요? 어떻게 자녀들의 비율을 가져가야 할까요? 대출을 받을 수 있을까요? 직장인 외의 자녀에게 증여할 수 있는(세금없이) 5천 + 2천=7천을 제외한 약 3.3억원을 직장인인 자녀가 대출을 받아야 하나요? 절세하면서 자녀 명의로 집을 지을 수 있는 방안을 어떻게 하면 될까요? 질문이 좀 부족할 것 같은데, 전문가 님의 답변을 구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user-pw1ej8qb6c
@user-pw1ej8qb6c 3 жыл бұрын
개별상담은 어떻게해야하나요 ~?
@user-os7hv6zr3w
@user-os7hv6zr3w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 기준으로 거주하고 있는 집이 1가구1주택으로 13년도에 분양받아서 거주하고 있습니다 도중에 매수 매도 한 집들이 있는데 1가구1주택으로 장특을 받을수있는건가요?? 아니면 도중에 매수 매도한 집이 있으므로 일시적 2주택으로 적용이 되는건가요??
@user-yy9dz3qm6l
@user-yy9dz3qm6l 3 жыл бұрын
매매 계획하고 있습니다 시세가 3억~3억5천인데 세금에 맞쳐서 팔아야할까요? 부부공동명의입니다
@thankyou505
@thankyou505 3 жыл бұрын
공동명의는 장특공제 요건에 포함안되는건가요?
@user-te1os1id5m
@user-te1os1id5m 3 жыл бұрын
10년보유10년거주한 집을 매각하려고합니다 송도이구요 다시 송도분양권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동시진행하려고 합니다 순서가 어떻게 돼든지 문제 없을까요 매각먼저인지 아님분양권구입먼저 인지요? 올해구입한 분양권도 1주택이라고들었는데요 분양권 명의 먼저한다음 기존집을팔게돼면 양도세는 중과인지요? 입주는 3년후 입니다
@user-qn6lk5tm6w
@user-qn6lk5tm6w 3 жыл бұрын
빌라21년 거주하고 재건축때문에 전세로 임시사는데 안들어가도 장기보유에 해당되나요?
@user-hr7ou8th3r
@user-hr7ou8th3r 3 жыл бұрын
3년 이상 보유 전제로, 2년 거주부터 공제가 시작하여, 10년 보유, 2년 거주는 48%로 알고 있습니다.
@wldudl11
@wldudl11 3 жыл бұрын
조정지역인데 매각시 9억미만이면 앙도세없는거져??
@allerbeste8443
@allerbeste8443 3 жыл бұрын
다주택 소유자들은 소득공제를 아예 없애야한다. 정책 좀 제대로 만들어라. 욕나온다.
@user-mh9px6lb8p
@user-mh9px6lb8p 3 жыл бұрын
1가구 1주택 실거주 10년을 했다면 2021이후부터는 거주요건 40%만 충족되는건가요? 혹시 거주는 보유와 같이보는건 아닌지? 거주는 10년 40%, 보유는 10년 40% 총 20년이 지나야? 80% 장특공을 받을 수 있다는 소리인가요? 보유 10년 거주 3년해야 40 + 12% = 52% 논리대로라면.. 장특공 80%는 20년이 맞겠네요...
@AAAo-qq4jo
@AAAo-qq4jo 3 жыл бұрын
현실이 됐쥬?
@user-mh6bf8ek5v
@user-mh6bf8ek5v 3 жыл бұрын
장깁유공지삼십프로라던데요
@user-fz8qs7vr1c
@user-fz8qs7vr1c 2 жыл бұрын
실거주 요건이 너무 복잡하네요 ㅠㅠ
@user-dh4lu9zq2q
@user-dh4lu9zq2q 3 жыл бұрын
2020년 까지 2주택이였다가 1주택을 청산하고 현재 실거주 10년이상 살고 있는 남은 1주택만 있다면 2021년에 남은 1주택도 장특공제 80% 받나요?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원종훈 세무사님이 직접 답 주셨습니다. 일시적 2주택이 아닌, 기존에 2주택인 사람이 2020년 중에 한 채를 매각해서 양도소득세를 내고, 남아있는 1채의 주택을 2021년에 매각할 때 장기보유특별공제보다 먼저 고려해야할 부분이 있습니다. 오히려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2021년 이후에 매각하는 주택부터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받기 위해서는 유일하게 한 채의 주택을 보유한 상황에서 2년 이상 보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2020년에 주택을 매각하고 2년이 경과된 이후에 매각해야 양도소득세 비과세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매각하는 주택이 2017년 8.2대책 이전에 구입했다면 2년을 거주하지 않더라도 양도소득세 비과세가 가능하지만, 만약, 2017년 8.2대책 이후 조정대상지역에서 구입했던 주택이라면 2년 거주요건까지 채워야 합니다. 물론 그 전에 구입했거나 8.2대책 이후에 구입했더라도 조정대상지역이 아니라면 2년 거주가 없더라도 비과세는 가능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과세 대상이라도 고가주택일 경우 2021년부터 장기보유특별공제의 계산법이 달라집니다. 보유기간 1년당 4%, 거주기간 1년당 4%씩으로 변경됩니다
@user-hg9hb7eo2d
@user-hg9hb7eo2d 3 жыл бұрын
@@SurvivalEconomy_KBS 7
@dhl4277
@dhl4277 3 жыл бұрын
공공임대 10년살고 10년차에분양전환 했슴니다 이런경우에도 2년거주해야 비과세 되나요 아님 2년거주안하고 매도할경우도 비과세 대상이 되나요
@user-nu5ok9lv6r
@user-nu5ok9lv6r 3 жыл бұрын
상가주택은어찌되나요
@user-jc2ld4fd8l
@user-jc2ld4fd8l 3 жыл бұрын
그대신 시에서 제계발 제건축 법늘 완화하여 집을 많이 짓는수 밖에 그럴게 한다고 한거 같은데
@user-vl8il1xr8c
@user-vl8il1xr8c 3 жыл бұрын
거주가 실제 365일을 1년으로 치는건지 아니면 2020년 12월30일에 거주시작하면 2021년 1월이 1년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보유기간과 거주기간을 계산할 때의 1년은 세법상 역년(달력으로 셈)으로 계산합니다. 2020년 12월30일에서 1년은 2021년 12월30일에서 하루 빠진 2021년 12월29일이 됩니다.
@user-gw3dg2mp4p
@user-gw3dg2mp4p 3 жыл бұрын
수도권 올랐다는 말 믿으시나요.7년전 3억원에 산집 지금 2억 8천에도 안 팔리네요.왜 조정지역인지..... 나도 양도세 내고싶어요
@user-sw7ng6ov1c
@user-sw7ng6ov1c 3 жыл бұрын
그런곳이 있나요... 믿기지않네요... 저사는 곳은 매매 전세 수억씩 올랐어요..ㅜㅜ
@user-ce3iu1nw7o
@user-ce3iu1nw7o 3 жыл бұрын
저런곳 많더라고요
@user-ce3iu1nw7o
@user-ce3iu1nw7o 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여긴 투기과열지구임
@frozen082
@frozen082 3 жыл бұрын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구축 7년이 넘었는데 500만원올랐다 조정지역으로 지정되었다
@user-sp2xl6xu8e
@user-sp2xl6xu8e 3 жыл бұрын
성남 광주는 억단위로 올랐던데
@user-wu3hd2fd2c
@user-wu3hd2fd2c 3 жыл бұрын
2009년12월에 빌라를 구입해서 2년살고 지금까지 보유 10년넘았습니다 양도세 40%만 빋을수있는건가요?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9억원 이하면 1주택자는 양도세 없습니다. 9억원 넘는 부분은 48프로 공제 받습니다. 보유 40프로, 거주 8프로.
@user-wu3hd2fd2c
@user-wu3hd2fd2c 3 жыл бұрын
@@SurvivalEconomy_KBS 감사합니다
@sonryoo4452
@sonryoo4452 3 жыл бұрын
확인 부탁드립니다. 양도세 비과세 1가구 1주택 9억이하면 매입잔금치루는날, 아님 등기한날 중 빠른날로 알고있습니다. 잔금,등기 한날 당시 조정 지역이면 거주 2년이고 조정지역 아니면 보유 2년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조건 거주 2년이 아닌데 다시 한번 확인 부탁합니다. 부산입니다. 수고하세요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네 정확합니다. 조정대상지역만 거주2년 필요합니다.
@kyunglee3065
@kyunglee3065 3 жыл бұрын
집으로 돈벌생각은 아예못하게 양도소득은 세금으로 걷어야한다고 생각함 ‥ 집을 투기목적을 못하게 ‥갭투자랍시고 투기꾼들 집값만 잔뜩올려놓고
@user-gh8el5ls1d
@user-gh8el5ls1d 3 жыл бұрын
매물 잠김효과로 오히려 주택가격 상승하므로 세금보다 더 이익임 걱정할 필요없음 정부가 도와주네요
@user-qc7be6xx1w
@user-qc7be6xx1w 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1가구 1주택자가 자기가 살던 집을 내놓는 건 정부의 목표가 아니다. 1가구가 어디에 살던 집이 필요한데 자기 집 전세주고 자기는 전세살던 가구가 자기 집에 들어가 산다고 전세물량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고 문제되는 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정부의 목표는 다주택자가 집을 매물로 내놓게 하던가 집값상승에 따른 차익이 투기자에게 돌아가지 않고 세수로 환수돼게 해서 투기수요를 억제하는 것이다.
@user-mo8nx4vw8s
@user-mo8nx4vw8s 3 жыл бұрын
전세물량은 줄어 들어요. 아님 깡통이 되던가요.
@user-ez3we3gg3g
@user-ez3we3gg3g 3 жыл бұрын
역효과 없어..내놓지 않아도 다주택 못하고 계속 살테니까 결국 투기 막은 결과 아냐?
@user-ow2xx2lt9i
@user-ow2xx2lt9i 3 жыл бұрын
2017년 8월2일 이전에 구입한 주택이 파는 시점에 9억 미만 이면 2년 미거주여도 양도세 안내는거죠?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법 개정 전에 취득한 주택은 실거주 요건이 없습니다.
@user-ow2xx2lt9i
@user-ow2xx2lt9i 3 жыл бұрын
@@SurvivalEconomy_KBS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user-ub4wu1ml4d
@user-ub4wu1ml4d 3 жыл бұрын
@@SurvivalEconomy_KBS 안산지역은 조정지역으로 발표한 금년 6월 이후부터 실거주 요건 갖춰야 되는거죠?
@user-cr4ru9ps5g
@user-cr4ru9ps5g 3 жыл бұрын
실거주2년 조건은 조정지역 중에도 과밀억제권역 즉.수도권만 해당되는거 아닌가요? 수도권전용 채널인가ㅋ
@treesbythestream2489
@treesbythestream2489 3 жыл бұрын
내용이 유익해서 듣는데, 사이렌 소리에 뿅뿅, 폭탄 터지는 소리 등등.... 도저히 내용에 집중할 수가 없네요.
@jmc5334
@jmc5334 3 жыл бұрын
규제지역 1주택자입니다. 15년 거주한 주택이 재개발 되어 22년도 말경에 새로운 아파트에 입주를 하게 되는데요... 입주 후에 신축아파트를 매도하게 되면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어떻게 적용이 될까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방송에 나오듯이 내년부터는 소유와 거주를 따로 따져서 장특공제를 적용받습니다. 재건축 멸실 기간 중에는 거주는 인정을 못받을것으로 사료됩니만 정확한건 126 콜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flightkim8874
@flightkim8874 3 жыл бұрын
앞으로 9억이하 주택도 양도소득세 낼수도 있다고 보는지요? 자주 바뀌는 정책들이라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
@jinheepark1284
@jinheepark1284 3 жыл бұрын
강병훈의원 좋은 아이디어 냈네요~
@user-iq7cv5xo1m
@user-iq7cv5xo1m 3 жыл бұрын
뭣이라꼬 개××정책이 C8
@user-of2qs2cz9f
@user-of2qs2cz9f 3 жыл бұрын
오죽하면 그러겠나 인간들의 욕심때문에 서민들만 죽는다
@user-qf9tp5dc4s
@user-qf9tp5dc4s 3 жыл бұрын
너무 쉽네요~ 15년 보유 15년 거주했으니 아무리 많이 올라도 저는 별 걱정없네요~
@user-zk3ix7kk3m
@user-zk3ix7kk3m 3 жыл бұрын
울산인데도 9억이상이라도 양도세를 내나요?
@djrhg249
@djrhg249 3 жыл бұрын
와 이번 정권은 참 대단하다 또 세금 삥뜯는 정책이네
@user-mh6bf8ek5v
@user-mh6bf8ek5v 3 жыл бұрын
1가구2주택은 빚ㅁ정지역의 장기보유 양도세감면은요?
@dni2e
@dni2e 3 жыл бұрын
속고 살지마? 1주택 9억 이하 2년 거주 비과세! 요기에 해당 안되는 경우 2주택 이상이거나 9억 초과 하거나 2년 비거주시 보유 10년 공제 40% 거주 10년 40%합계 80%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근데 서울 강남 아파트 수십억 올라가는데 세금 1~2천 더 내는게 무서우믄 집 사지 말아야제? 안 그려유?
@user-ky8oc8dz4h
@user-ky8oc8dz4h 3 жыл бұрын
21년도 2년거주 요건 갖추면 1세대1주택 비과세 적용 여부만 판단하는 것 아닌가요?
@user-ky8oc8dz4h
@user-ky8oc8dz4h 3 жыл бұрын
고로 48% 적용이 맞는 것 같습니다.
@JP-fh8tk
@JP-fh8tk 3 жыл бұрын
세금도 적당히 걷어야지 날강도가 따로없네 ㅅㅂ 많이 걷어가도 제대로 쓰지도 못하면서
@user-tn9zr7px5q
@user-tn9zr7px5q 3 жыл бұрын
1주택 9억 미만은 상관 없는거죠?
@syj002984
@syj002984 3 жыл бұрын
집은 실거주목적이다
@user-yf9bu2oi8e
@user-yf9bu2oi8e 3 жыл бұрын
규제지역 즉 조정지역이겠죠 하지만 비규제지역은 보유만해도되는거죠. 아닌가요
@user-fo3fi9he1q
@user-fo3fi9he1q 3 жыл бұрын
동영상 계산 잘못됐네요 확인마람 2021년 10년보유 2년거주면 40프로가 아니고 48프로 입니다. 2년거주도 8프로 인정됨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네. 지적이 맞습니다. 2년거주도 8프로 인정됩니다
@user-dx5di7cd4c
@user-dx5di7cd4c 2 жыл бұрын
거주이전의 자유를 방해하는구나
@isabellapark4498
@isabellapark4498 3 жыл бұрын
여기서 9억은 양도차액을 말하는건가요 집값을 말하는 건가요
@user-rk4sn3to9c
@user-rk4sn3to9c 3 жыл бұрын
다시보세요 ㅎ
@user-hi4on3hk9c
@user-hi4on3hk9c 3 жыл бұрын
집값
@user-rb3sj8ns2o
@user-rb3sj8ns2o 3 жыл бұрын
실거래금액입니다
@user-dk3re2kr1o
@user-dk3re2kr1o 3 жыл бұрын
주택1채를 10년거주 10년보유하다가 20년째에 아파트1채를 매입 이주 10년거주13년 보유 하다 아파트를 팔고 주택1채가 재개발되었다면 재개발된아파트 1채는 장특세는 얼마나 혜택받을까요?
@user-ze7nj2on3v
@user-ze7nj2on3v 3 жыл бұрын
9억원까지 비과세라는건 양도차액이 9억원 안넘으면 안낸다는거죠?
@user-oz8zl1iq8r
@user-oz8zl1iq8r 3 жыл бұрын
본인은 살지 않으면서 주소지만 변경해서 2년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근데 문제는 그런 사람들의 일부가(수정) 공무원이더라구요. 이건 뭔가요. 거지같은 현실을 어찌 해결할수없을까요.
@subee2160
@subee2160 3 жыл бұрын
근거있는 얘기인가요? 그리고 국회의원이나 진짜 고고고위직 공무원아니고선 집 한채사기도 어려운데^^
@user-oz8zl1iq8r
@user-oz8zl1iq8r 3 жыл бұрын
@@subee2160 근거가 있으니 말씀을 드리죠. 꼼수를 부리는 공무원이 정말 많습니다. 그리고 이런 행위는 문정부 이전이 훨씬 많을껍니다. 참고로 집은 대출로 사는 것입니다. 그래서 문정부가 대출받기 어렵게 하고 있는거구요.
@subee2160
@subee2160 3 жыл бұрын
@@user-oz8zl1iq8r 이 행위는 문정부 이전이 훨씬 많을꺼라.. 그래서 그 근거는 뭔가요 대부분 공무원이라던
@subee2160
@subee2160 3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월급부터 모든게 모니터링 되고있고 자녀와 결혼상대까지 감사나오는데 흠
@user-oz8zl1iq8r
@user-oz8zl1iq8r 3 жыл бұрын
@@subee2160 공무원은 대출도 더 저렴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공무원들 조사하시면... 별의별 부동산이 다 튀어 나올겁니다. 젊은 20~30대 공무원이나 비정규직 공무원은 그럴 일이 만무하겠죠. 40대 중반 이상 공무원은 꽤나 많을 겁니다. 일부 공무원은 그렇게 청렴결백하지 않아요. 정년이 가까워지는 공무원의 대부분은 퇴직하고 건물주가 되는게 꿈일 껄요??ㅎㅎ 제 주위에도 수두룩 빽빽합니다. 저는 그들이 건물주 되는게 배아픈 것이 아니라... 법망을 피해서 조금의 세금도 피하려는 행태를 짚고 있는 겁니다.
@leemansu5851
@leemansu5851 3 жыл бұрын
안팔지. 그러니 가난한사람들은 계솟 집없고 월세만내고 살아야해
@user-mv2jm7sk3w
@user-mv2jm7sk3w 3 жыл бұрын
실거주 2년은 조정지역만 해당하지 않나요 비조정지역은 2년 보유만 해도 되지 않나요? 제가 알고 있는게 맞지싶은데 정부 부동산대책도 문제지만 이런 영상도 보고 나면 더욱 헷갈리게 합니다 다음부터 자막이라도 좀 넣어주세요
@hikaru.l
@hikaru.l 3 жыл бұрын
good!
@user-eh2qe7wq7h
@user-eh2qe7wq7h 3 жыл бұрын
그쵸 비규제는 소유2년입니다. 김포,파주운정이 오르는 이유죠
@djrhg249
@djrhg249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족은 다시는 민주당 안찍는다
@user-ux6ob9vp9q
@user-ux6ob9vp9q 3 жыл бұрын
10년보유 10년 거주 내내 1주택자 입니다 그런데 부부 공동 명의인데 그래도 일주택자에 들어가는 건가요?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당연합니다. 1세대 1주택에 해당하십니다.
@user-ux6ob9vp9q
@user-ux6ob9vp9q 3 жыл бұрын
네감사드립니다. 잘배우고갑니다
@WhereIsMyName0
@WhereIsMyName0 3 жыл бұрын
어쩔 수 없이 이사갈 사람들은 어쩌나요. ㅜㅠ
@siongcar
@siongcar 3 жыл бұрын
이직이나 애들전학 등등 몇가지 혜택이 있던데 알아보세요..
@WhereIsMyName0
@WhereIsMyName0 3 жыл бұрын
@@siongcar 남한테 말 못할 애매한 사정인데... ㅜㅠ
@user-lr2gz7wq7f
@user-lr2gz7wq7f 3 жыл бұрын
많이남았으면ㆍ많이내야지요~~
@user-un9tk5mb9y
@user-un9tk5mb9y 3 жыл бұрын
서민을 위한다면서 ㅋㅋㅋ 다뜯어가네
@ykh5707
@ykh5707 3 жыл бұрын
서민은 서민답게 살라 이말이지요 ㅋㅋㅋㅋㅋㅋ 절대 부자되는 꼴 못봄ㅋㅋ
@jp-fe2tw
@jp-fe2tw 3 жыл бұрын
재산세, 종부세, 양도세... 20년 가까이 집 하나 깔고앉아 사는 나같은 사람은 무슨죄인가? 내가 투기세력이냐? 세금 많이 내서 좋은건 문정부밖에 없다. 집없는 사람들 표 얻으려고 하는 인기끌기 정책들로 국민을 분열시킨다. 집값 떨어지면 세금환급해 줄건가?
@flightkim8874
@flightkim8874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가격을 문정부가 올려 줄 터이니 세금많이 내시죠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 3 жыл бұрын
내가 실거주는 못하지만 다른 사람(세입자)이 실거주하잖아 나혼자 두채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누군가가 실거주해서 편하게 살다가 이사갈때 낸돈 그대로 다 받아가잖아 이것도 우리나라 무주택자들에게 도움이 되는거야 왜 다주택자를 모든 해악의 원흉으로 보는거지 전세입자대신 소유주는 세금에다 모든 주택가격 하락시 손해까지 다 부담하는 거잖아 자기는 그 아파트 한번도 사용안해보고 다른사람이 실컷 사용한건데 나중에 차익이라도 있어야지
@user-cu6wy7zt3u
@user-cu6wy7zt3u 3 жыл бұрын
100프로 비과세는 없는거네요? 10년 거주해도?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매각가격 9억원까지는 2년 보유하면 1세대1주택 비과세이고요. 9억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각종 비용 제하고 양도차익이 있다면 최대 80%까지 공제 가능하니 이 경우 일부라도 세금을 내야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user-sp9mk5zw9w
@user-sp9mk5zw9w 3 жыл бұрын
1주택 실거주2년하면 비과세 아닌가요?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매도가 9억원을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양도세를 내셔야 합니다. 요즘 집 값이 많이 올라 많은 거래가 9억원을 넘고 있습니다.
@user-sp9mk5zw9w
@user-sp9mk5zw9w 3 жыл бұрын
@@SurvivalEconomy_KBS 아네~ 여긴 지방이라서 생각을 못했네요~ 지방도 하도올라서 앞으론적용이 될것같아요
@user-ce6dj6vp5v
@user-ce6dj6vp5v 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깐요, 9억원 이하에서는 여전히... 비과세 ㅎㅎ
@etc333
@etc333 3 жыл бұрын
9억이하는 집가격? 과세표준? 어는거 인가요? 자세히 좀 풀어주세요 ㅠ
@SurvivalEconomy_KBS
@SurvivalEconomy_KBS 3 жыл бұрын
@@etc333 당연히 과세표준입니다.
@kenjori
@kenjori 3 жыл бұрын
코인으로 엄청 손실 본 1인인데 MP투자그룹 참여했더니 손실난거 다 복구 했네요
@user-lr2gz7wq7f
@user-lr2gz7wq7f 3 жыл бұрын
가만히앉아서~벌었는데 세금ㆍ내야지!
@user-ho2ov9wu3d
@user-ho2ov9wu3d 3 жыл бұрын
남북교류를 잘하는게 아니고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간다더니 공산화로 가는거죠 촛불든자들 깨달으세요
Вечный ДВИГАТЕЛЬ!⚙️ #shorts
00:27
Гараж 54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절세병법] 양도세 비과세 받는 법 총정리
8:37
집코노미
Рет қаралды 533 М.
건물팔아 현금증여 VS. 건물채로 현물증여, 뭐가 유리할까
10:34
윤창희의 생존경제_KBS
Рет қаралды 66 М.
차용증도 썼는데 왜 증여라 하나
12:28
윤창희의 생존경제_KBS
Рет қаралды 714 М.
연금저축을 증여한다? 놀라운 효과가 있습니다.
7:31
윤창희의 생존경제_KBS
Рет қаралды 26 М.
취득세 100% 감면 받는 방법이 3가지나 있다는 놀라운 사실
7:37
윤창희의 생존경제_KBS
Рет қаралды 20 М.
당신의 가족, 상속세 얼마 나올까요? 상속 이슈 완벽 정리
14:12
윤창희의 생존경제_KBS
Рет қаралды 60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