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퓨즈 입출력선 쉽게 구분하는 방법 - 아재모터스

  Рет қаралды 112,603

TOPDAILY Biz

TOPDAILY Biz

4 жыл бұрын

#자동차 #휴즈 #퓨즈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오늘은 차량에 쓰이는 휴즈의 출력선과 입력선에 대한 영상을 찍어봤습니다.
영상을 보시고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구독 부탁드릴게요.
▶아재모터스 유튜브 : / 아재모터스agemotors
▶아재모터스 네이버티비캐스트 : tv.naver.com/agemotors
▶아재모터스 카카오티비 : tv.kakao.com/channel/3129404
✔ 아재모터스 인기영상
- 시동 하나로 켜지고 꺼지네? 안쓰는 노는 스마트폰 네비로 활용하기 (feat. 티맵)
• 시동 하나로 켜지고 꺼지네? 안쓰는 노는...
- 분위기 한번 바꿔보시죠~ 차안에 엠비언트 무드등 설치하는 방법
• 대시보드 LED무드등(엠비언트 무드등 d...
- 자동차 배터리 충전기 CTEK [MXS 5.0] 사지말고 충전해서 씁시다
• 자동차 배터리 충전기 CTEK [MXS ...

Пікірлер: 103
@user-nd6cs2sy5w
@user-nd6cs2sy5w 4 жыл бұрын
어렵게만생각됐던걸 쉽게 알기좋게 알려주시니 너무좋네요 영상잘보고 있습니다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퓨즈박스 입출력선 구분은 중요하니 꼭 확인 후 작업하세요^^; 감사합니다.
@user-ym3qu1nb5d
@user-ym3qu1nb5d 3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궁금하고 어려운 것들 쉽게 설명해주시니까 정말 좋네요. 구독 때리고 갑니다.
@TOPDAILYBiz
@TOPDAILYBiz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영상 시청해주시고 구독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이번 한주도 기분좋게 시작되시길 바랍니다^^;
@rok7001
@rok7001 3 жыл бұрын
한쪽 입력선이 오른쪽에 있으면 모든 입력선이 다 오른쪽에 있나요? 아님 하나하나 확인해야되나요?
@um..7734
@um..7734 3 жыл бұрын
시중에 멀티테스트기로도 될까요? 된다면 어떤모드에 넣고 어떻게 사용해야할까요
@user-kf9rx2fz2g
@user-kf9rx2fz2g 3 жыл бұрын
늘 보고 있습니다.수고 많으세요. 혹 씨거잭 파워소켓을 운전석 왼쪽 부분 계기판 밑쪽에 추가로 만들려고 합니다. 근데 듀얼 퓨즈 커넥터가 안전하고 방향도 상관 없다는데 한번 다뤄 주셨음 좋겠습니다. 코로나 조심하시고 좋아하는 일 즐겁게 하시길 바랍니다
@user-ps8sw6ei7z
@user-ps8sw6ei7z 7 ай бұрын
접지선을 차체볼트에 연결할때 볼트 하나에 접지선 을 하나만 연결 해야 되나요? 혹시 두개 연결하면 문제가 생길수 있나요?
@fgjkguytrb6747
@fgjkguytrb6747 Жыл бұрын
테스트기로 전압을 측정 했을때 출력선이 +인가요 -인가요
@RRRRRRRRRRRRRRRR6280
@RRRRRRRRRRRRRRRR6280 2 жыл бұрын
제가 실수로 젖은 핸드폰(핸드폰 단자 내부에도 물기가 남아있음) 을 c타입 안드로이드오토 연결했는데 이로인해 차량 전자부품이 고장 날 수도 있나요? 아니면 차량 전자부품에는 문제가 안 가고 단순히 "케이블+휴대폰"만 문제가 갈까요?? ( 작동은 계속해서 잘 되는 상태)
@user-sl6qy7ld5f
@user-sl6qy7ld5f 4 жыл бұрын
알기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퓨즈박스의 입출력 부분 꼭 확인해주시고, 확인이 어려울 경우 둘 중 아무곳에 배선을 연결한 후 배선의 중간을 잘라 해당 퓨즈와 동일한 용량의 퓨즈를 중간에 연결해서 사용하셔도 되니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laybravomylife1374
@laybravomylife1374 Жыл бұрын
출력선 찾는게 혹시 검침봉 말고 전기테스터기로도 찾을 수 있나요 ? 상시같은경우는 값이 나올 수 잇지만 상시가 아닌 시동on 상태에서는 제로값이 출력선일까요 ?
@user-vu4fy2uh2o
@user-vu4fy2uh2o 3 ай бұрын
혹시 자동차 마다 휴즈 다있는경우도 있고 몇개 비여 있는거 있나요?
@langy9943
@langy9943 4 жыл бұрын
오 새로안 사실입니다 고맙습니다~~
@kaysiy15
@kaysiy15 2 жыл бұрын
제차가 운전석 창문버튼, 뒤자석 왼쪽창문 도어락이랑 트렁크 버튼이 안되요. 퓨즈문제인거같은데요. 퓨즈박스가 운전서안에 있는건가요 아니면 엔진훔쪽에 있는건가요. 폭스바겐 티구안인데 박슥뚜껑에 쓰여있지않아서 테스터기로 해야될거같아서요.궁금합니다.
@user-nr1hp7we9k
@user-nr1hp7we9k 6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하이패스 룸미러를설치했는데 모르고 퓨즈 입력측에물렸다면 동작상태는 출력측에연결했을때와 아예동일한가요? 배터리전원을상시받으니 자동차전원상관없이 상시온일것같아서요
@stepup6551
@stepup6551 2 ай бұрын
불이 2개가 들어오는 검침봉도 있잖아요 입력선 출력선중 플러스가 뭔가요?
@user-qy2eu3iw3r
@user-qy2eu3iw3r 8 ай бұрын
저출력선이라는게 새로전기를 따오기위해서 그런거죠?
@klm6328
@klm6328 Жыл бұрын
릴레이를 달때 휴즈 어디에 연결하나요 답변 달아주세요
@q.sun3702
@q.sun3702 3 жыл бұрын
아주 중요한 지적입니다
@parkjunsu2545
@parkjunsu2545 3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로 중요한 내용인데.. 뭣도 모르고 그냥 휴즈 아무대나 선 꼬아서 다이하는 사람들 많음. 그래서 영상 따봉 누르고 갑니다!!!
@TOPDAILYBiz
@TOPDAILYBiz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편안한 주말 보내셨는지요?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리며, 동일 차종이라도 연식에 따라, 또 옵션에 따라 입/출력선 위치가 바뀔 수 있으니 꼭 테스트 후 장착해야죠^^; 따봉! ㅎㅎ 일교차가 큰 계절이니 건강 유의하시고, DIY시 발생되는 문의사항은 언제든 문의주세요^____^;
@user-oo3vu8ti2y
@user-oo3vu8ti2y Жыл бұрын
퓨즈는 번호 아래위 뒤집어꼽아도 상관없나요? 퓨즈박스 왼쪽이 입력일때 10짜리 휴즈 오른다리에 말아꼽자나요 반대로 휴즈를 돌리면 01 이런모양일때 오른쪽 다리 돌돌해서 넣면 되나요? 한마디로 휴즈는 돌돌이 하는쪽이 어느쪽이든 출력쪽에 꼽으면 출력이 되는건가요? 매우 궁금합니다 휴즈는 어느방향이든 입출력이 되는거지요?
@JaimsMoon
@JaimsMoon Жыл бұрын
네 상관없음
@user-wt4eb6hu9g
@user-wt4eb6hu9g 9 ай бұрын
좋은거 알아갑니다
@user-dm2bp8ol5g
@user-dm2bp8ol5g Ай бұрын
휴즈박스에보면모들이라고있는데여기에시가짹선연결해도돼나요
@user-vs1zc7fz8j
@user-vs1zc7fz8j 4 жыл бұрын
디지털 테스터기로도 휴즈 인 아웃 확인이 가능 한가요.가능하다면 도통테스트로 해야될까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디지털 테스터기를 이용하신다면 차량용 전기는12v~ 14v 정도(윈도우스위치 led나 계기판 조명의 경우 5v도 있습니다.)를 사용하므로 다이얼을 해당 전압에 맞춰주시고 테스트하시면 됩니다.
@user-qg3xy5yo8s
@user-qg3xy5yo8s 2 жыл бұрын
블랙박스 자가설치를 하였습니다. +(오디오)와 상시(차량잠금)선을 모두 입력축에 연결 하였습니다. 혹시 화제 가능성이 있을까요?
@tayoni800
@tayoni800 4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있는데요.암전류를 찾다가 휴즈하나를 빼니 암전류가 확줄어서 그게뭔가확인해보니 네비+오디오쪽 휴즈엿어요..그래서 그휴즈에 릴레이작업을해서 시동을켜거나 키온하면 켜지게.시동을끄면 바로전원이차단되게 작업햇는데요..여기서 궁금한게 시동을 끄면 네비전원이 갑자기 콘센트를 뺀것처럼 꺼지게될텐데.기기에 무리가 가거나 그러진 않을까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댓글 확인이 늦었습니다 ;; 전원인가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전원이 늦게 인가되는 모듈을 설치하셨나요? 사재 네비는 특성상 갑작스런 전원 온/오프에 꽤 강한 편이라 버틸수 있을듯 한데요. 여기에 재부팅 방지모듈을 추가로 장착하시면 걱정하시는 부분이 해결될듯 합니다^^;
@user-ko9gz7yf4q
@user-ko9gz7yf4q 4 жыл бұрын
검침봉이 없을때는 입력선 출력선 확인이 어렵겠죠? 온라인에서 말고 검침봉을 살려면 공구함 파는곳에서 사면 되나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검침봉의 경우 오프라인 판매처는 철물점 또는 죽은소에서도 본 듯 하고, 온라인에서는 '자동차 검전기'로 검색하시면 되겠습니다^^;
@illiilililil
@illiilililil 2 жыл бұрын
@@TOPDAILYBiz 죽은소 ㅋㅋ
@iloveyoub00d
@iloveyoub00d 4 жыл бұрын
에궁~~~블박을 자가설치했는데 그러거상관없이 연결해서 쓰고있습니다. 어쩌죠?검침봉 사다가 다시 확인하고 재설치 해야겠죠? 전원선,상시선 둘다 출력부분에 연결해야하나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아무래도 과전압 등의 우려는 퓨즈의 혜택을 볼 수 있는것이 좋습니다^^; 전원이 연결된 acc 퓨즈와 상시퓨즈 모두 테스트 후 출력선에 연결해야 하는데 만약, 검침봉이 없으시다면 각각의 배선에 동일 용량의 퓨즈를 다리걸어 주셔도 됩니다.
@user-qh4pe6pc2w
@user-qh4pe6pc2w 6 ай бұрын
검침봉 끝 집게는 어디에 연결해 사용하나요?
@doheon8077
@doheon8077 3 ай бұрын
접지.마이너스부분. 어스부분. 이해잘안가시죠. 간단하게. 차체.철부분 입니다
@user-rg1eh1ku4o
@user-rg1eh1ku4o 4 жыл бұрын
검침봉으로 불이 안들어오는 곳 퓨즈 다리를 엔비언트 무드등 마지막 배선을 달아주면 되는건가요? 만약에 그럼 불이 들어오는곳에 배선을 달고 끼우면 쇼트날 가능성도 있는건가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검침봉 연결시 불이 안들어오는쪽이 출력선으로 여기에 전장장치의 플러스 선을 연결해줍니다. 불이 들어오는쪽에 연결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이를 구분하는 이유는 차량에 합선 등으로 과전류가 흘렀을때 화재나 전장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1차적으로 퓨즈박스에서 퓨즈를 끊어지게 하는데, 전장장치가 불이 들어오는 입력선 쪽에 연결되어 있다면 퓨즈가 끊어져도 계속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만약, 검침봉이 당장 없는데 꼭 연결을 해야할 경우, 퓨즈에 연결할 전장장치의 플러스 선 중간을 잘라 동일한 용량의 퓨즈를 브릿지 해주셔도 됩니다^^;
@shadowcrystal5195
@shadowcrystal5195 4 жыл бұрын
검침봉 대신에 디지털미터기로 활용하면 안될까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어떤 디지털미터기인지 확인이 안되서 확답은 드릴수 없지만 볼트 측정만 가능하다면 검침봉 또는 디지털테스터기 대신 사용가능합니다^^;
@MrHansungwon
@MrHansungwon 4 жыл бұрын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근데 저만 그런가요 ㅋㅋ 뭔가 검침봉 연결햇을때 불들어오는쪽에 선을 감아야될거같은데 안들어오는쪽에 감는거네요 이게 맞는거죠?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예 맞습니다. 퓨즈를 뺀 상태에서 해당 전장장치 조작스위치를 켜고 퓨즈박스 단자를 검침봉으로 테스트시 불이 들어오는쪽이 입력선, 안들어오는쪽이 출력선입니다. 전장장치 연결시엔 출력선에 연결합니다^^;
@user-px3pu6mu7u
@user-px3pu6mu7u 4 жыл бұрын
전기를 흐르는물을 비유하여 퓨즈는 물을끊는 수도꼭지로 이해하시면 간단합니다 물이 들어가는 쪽이아닌 수도꼭지를 지나 설치를해야 수도꼭지를 잠궈야 물이 넘치지 않겠죠^^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user-px3pu6mu7u 적절하고 알기 쉽게 풀어주셨네요^^;
@jincheolkim5139
@jincheolkim5139 3 жыл бұрын
@@user-px3pu6mu7u 각인이 되네요
@user-jj3qx4il4o
@user-jj3qx4il4o 4 жыл бұрын
검침봉 연결을 마이너스에 연결하는건가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퓨즈박스는 플러스 전류라 영상에서 사용된 검침봉처럼 별도의 선이 있는 검침봉 종류라면 마이너스선 또는 차체에 연결해서 테스트하시면 됩니다)
@user-pf5ko3ii1q
@user-pf5ko3ii1q 4 жыл бұрын
휴즈하나에 앰비언트랑 풋등 같이 달아도되나요? 두개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엠비언트 1대와 풋등 정도면 퓨즈 용량이 여유가 좀 된다면 가능합니다^^;
@natesmgmtm7166
@natesmgmtm7166 4 жыл бұрын
중요한 부분인데 감사합니다 ^^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퓨즈의 입출력 부분 꼭 확인해주시고, 확인이 어려울 경우 아무곳에 배선을 연결한 후 배선의 중간을 잘라 해당 퓨즈와 동일한 용량의 퓨즈를 중간에 연결해서 사용하셔도 되니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joon1558
@joon1558 4 жыл бұрын
검침봉 불이 들어오는쪽이 입력선, 불이 안들어오는쪽이 출력선, 검은색 선이 -, 빨간색 선이+ 그러면 + 빨간색선을 불이 안들어오는쪽(출력선)에 연결하는것 맞나요? 이런.. 잘못연결했네요... 가서 다시 바꿔야겠어요....
@joon1558
@joon1558 4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어요 상시전원 퓨즈에 시거소켓 연결해놨는데요 시거소켓에 아무것도 안꼽아놓으면 전기 안닳나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해당 전장장치에 전기가 흐르도록 켜놓고 단자에 검침봉을 댔을때 불이 들어오는쪽이 입력선, 불이 안들어오는쪽이 출력선입니다. 즉, 사재 전장장치는 퓨즈를 꼽을때 모두 불이 안들어오는 출력선 측 방향의 다리에 연결하셔야 퓨즈가 끊어졌을때 전기가 단선됩니다. (유의하실 점 : 1. 검정선은 대부분 접지, 마이너스 전류가 맞지만 낮은 확률로 아닐수도 있으므로 항상 확인하셔야 합니다. 2. 퓨즈박스의 입력선/출력선 모두 플러스 전류입니다.)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joon1558 전기가 안흘러야하는게 맞는데 미세하게 흐르는 경우도 봤습니다^^;
@eyebrows5318
@eyebrows5318 4 жыл бұрын
전 전압테스터기를 샀는데요. +초록색 -빨간색 불 들어오면서 전압이 뜨는건데... 어느 쪽이 입출력선인지 모르겠네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전압테스트기로도 확인은 가능할텐데 제품마다 상이해서 어떤 제품 구매하셨는지 링크주시면 확인해보겠습니다^^;
@eyebrows5318
@eyebrows5318 4 жыл бұрын
@@TOPDAILYBiz 중국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사서 제품명은 잘모르겠습니다만 . ko.aliexpress.com/item/32965632454.html?spm=a2g0s.9042311.0.0.27424c4dO43WrM 이제품 입니다.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eyebrows5318 이 제품이라면 마이너스 차체 연결시 적색램프 켜지고, 플러스 연결하면 녹색램프 켜지면서 lcd에 전압이 디스플레이 되는 제품같은데요. 사용 방법은 동일해 보입니다. 우선 마이너스 집게를 전류가 통하는 차체에 연결(차체에는 마이너스 전류가 기본적으로 흐릅니다.)하시고, acc에 연결한다면 차키를 빼고 퓨즈박스에서 acc 퓨즈를 뺀 후 다시 차키를 돌려 acc까지 돌려준 후 acc 퓨즈소켓에 한쪽씩 검전기 끝을 대보시면 적색램프가 켜지면서 둘 중 하나만 녹색램프에 불이 켜질텐데요. 이때 녹색램프에 불이 켜진쪽이 입력선, 불이 안켜진쪽이 출력선입니다.
@eyebrows5318
@eyebrows5318 4 жыл бұрын
@@TOPDAILYBiz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그럼 보통 접지를 한다는것도 차체에 연결하는게 (-)극 으로 흘려보내게 하는 건가요? 기기를 보면 녹색불이 (+)로 되어있는데 녹색불이 들어오는 쪽이 (+)이면서 입력선인건가요? 결론적으로 장치(ex LED램프)를 acc에 연결하려면 녹색불이 안들어오는 (-)이자 출력선에 연결하는게 맞는건가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eyebrows5318 1. 일반적인 접지를 하는것은 마이너스를 퍼트려주는것이고 플러스 접지는 알터에만 직접 연결해줍니다. 2. 퓨즈박스는 퓨즈의 양쪽단자 모두 플러스입니다. 마이너스는 없습니다. 즉 입력선 출력선 모두 플러스입니다. 전장장치가 작동되면 퓨즈의 양쪽다 전류가 흐르는데요. 가 에서 나 까지 직선으로 연결된 플러스 배선에 가 에서 나 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라면 중간에 퓨즈를 통해 과전류가 흘렀을때 퓨즈 사이만 끊어줌으로써 퓨즈가 끊어져도 가 까지는 전류가 흐르고 있겠죠? 여기서 가 가 입력선인겁니다. 새로운 전장장치는 퓨즈가 끊어지면 전류가 통하지 않는 나 쪽인 출력선 연결해야겠죠. acc를 테스트시 검전기에 녹색불이 켜진다면 가 쪽에 해당하니 입력선, 녹색불이 안들어오는쪽이 출력선이니 이쪽에 전장장치의 플러스 선을 연결하시면 되겠습니다.
@user-rl3ju7gz2w
@user-rl3ju7gz2w 4 жыл бұрын
검침봉으로 양쪽이 불이안들어오면 어딜 해야되나요? 시가라이터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영상속 테스트는 미등선(상시) 기준이라 acc 퓨즈에 테스트를 하신다면 키를 acc 까지 돌리고 테스트를 진행하시면 됩니다.(순서 : 키를 뺀다 -> acc퓨즈를 뽑는다 -> 다시 키를 꼽아 acc까지 옮긴다 -> 검침봉으로 양쪽 모두 테스트한다 -> 불이 들어오는쪽이 입력선, 안들어오는쪽이 출력선이므로 출력선에 배선을 감는다 -> 다시 키를 뽑는다 -> 퓨즈를 그대로 퓨즈박스에 넣는다 -> 키를 꼽아 acc까지 돌려서 테스트를 마친다)
@user-rl3ju7gz2w
@user-rl3ju7gz2w 4 жыл бұрын
@@TOPDAILYBiz 감사합니다 덕분에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ㅎ
@joon1558
@joon1558 4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전동시트 퓨즈에 시거잭 연결해서 상시전원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제차량의 전동시트 퓨즈가 10A처럼 작은형태가 아니고 약간 뚱뚱한 형태입니다(30A) 이런 형태의 퓨즈에도 블랙박스 퓨즈 연결하듯이 연결할수있는건가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보통 자동차에 사용되는 퓨즈는 3~4가지의 형태인데 일반적인 퓨즈의 형태가 아닌가요? 연식과 함께 차종을 알려주시면 어떤 퓨즈인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joon1558
@joon1558 4 жыл бұрын
@@TOPDAILYBiz 여기에 사진을 올리는게 안되네요 뚜껑을 여는 구조로 되어있고 블로그에 사진올려서 보여드릴게요ㅋ blog.naver.com/sulfur0507/221961226047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joon1558 블로그 사진 확인했습니다. 나비퓨즈 또는 EF 휴즈 등으로 고용량에 사용되는 퓨즈로 보이는데요. 퓨즈박스에는 플러스 전류가 흐르고 입출력선 중 출력선에만 연결하면 문제 없겠으나 해당 퓨즈는 구조상 퓨즈다리에 배선 연결하기가 어려워 보입니다. 제 TG에는 동일한 퓨즈가 없어서 직접 확인이 불가해 퓨즈 구하는데로 다시 확인해보겠습니다.(헛. 내용과는 별개로 상단 20A 퓨즈에 배선을 2개를 각각 다리걸어 연결하시느라 퓨즈가 삐져나와보입니다. 이럴 경우 차량의 진동 등 퓨즈가 빠질수도 있어보이는데요. 배선을 1개만 연결하시고, 연결한 배선의 중간부분을 피복을 벗겨 다른 배선을 브릿지해서 연결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꼭 출력선에 연결하시구요^^;)
@user-xk6sb7re2e
@user-xk6sb7re2e 4 жыл бұрын
불 들어오는 쪽이 "입력선" 불이 안들어오는 쪽이 "출력선" 진행방향은 입력 - > 출력 검침봉 필수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간략히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k6sb7re2e
@user-xk6sb7re2e 4 жыл бұрын
아재모터스 :: AGE MOTORS 오모나 아융 아입니다
@user-bc6xc4uq5x
@user-bc6xc4uq5x 3 жыл бұрын
전동시트 퓨즈는 어떻게 찍어봐야하나요?
@TOPDAILYBiz
@TOPDAILYBiz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전동시트는 온/오프 스위치가 별도로 없는 항시 전원이 흐르는 상태인 상시전원입니다. 검침봉을 댔을때 불이 들어오는쪽이 입력선, 불이 안들어오는쪽이 출력선입니다^^;
@user-by8do6vk6z
@user-by8do6vk6z 3 жыл бұрын
어느회사 검침봉인가요?
@somedeep-everythingwide
@somedeep-everythingwide Жыл бұрын
기존에 꼽혀 있는 퓨즈의 방향이나 소켓의 형태로 입출력을 구분하는 방법은 없나요?
@user-qj5sv3oy3q
@user-qj5sv3oy3q 3 жыл бұрын
에탁스라구 있던데 그건 어디에 있어여
@user-js5iw9pz6d
@user-js5iw9pz6d Жыл бұрын
사람몸 심장 피 동맥과 정맥으로 한바뀌 돌때랑 똑같네 전기도. 방향이 동맥속 피흐름 앞쪽은 출력즉 정맥속으로 정맥의 피흐름 앞쪽은 입력으로 다시 동맥쪽으로
@blackfoo4409
@blackfoo4409 3 жыл бұрын
희안하네요 과거 구형 산타페 블박이 제가 5~6대를 번갈아 가며 오지게 여러번 설치 했다 풀었다 반복을 정말 많이 했었는데 저런거 모르고 그냥 막 둘중 하나 접지하고 휴즈 박스에 밀어 껴왔는데 작동 잘됐고 이상유무 였는데 그렇게 매번 많이 해왔던 작업이 전부 우연으로 맞게 낀건 아닐텐데 저는 이상이 전혀 없었네요
@TOPDAILYBiz
@TOPDAILYBiz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퓨즈박스는 모두 플러스 전류가 흐르니 어느쪽 다리에 연결해도 기기작동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차량에 문제가 생겨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또는 충돌사고로 인해 배선이 합선되었을 경우를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이로 인해 기기가 고장나거나 배선이 녹아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1차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지요^^; 뭐 이런 경우가 많은 것은 아니라서 자주 접할 일은 아니나, 안전도에 +1 을 올릴 수 있다면^^; 블랙박스의 경우는 상시 또는 ACC 배선에 별도의 퓨즈가 배선에 달려있기도 해 이를 예방하기도 하는데 이 두 선 모두 퓨즈가 달려있는 블랙박스는 아직 접해보지 못했습니다. 퓨즈가 달리지 않은 배선을 퓨즈에 연결하신다면 출력선에 연결 또는 배선 중간에 기기가 허용하는 전압에 맞는 퓨즈를 다리걸어 연결하셔도 되겠습니다^^;
@blackfoo4409
@blackfoo4409 3 жыл бұрын
@@TOPDAILYBiz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user-gw3hd5qd6h
@user-gw3hd5qd6h 9 ай бұрын
​@@TOPDAILYBiz1년전에 블랙박스 구입하였는데 ACC BAT에도 퓨즈가 달려나오더라구요
@saejongdaewang
@saejongdaewang 3 жыл бұрын
들다 들어오면 이건 뭔가 잘못된거라고 보면 되나요??
@TOPDAILYBiz
@TOPDAILYBiz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리며, 퓨즈는 빼고 테스트하셨죠? 키를 뺀 상태에서 해당 퓨즈의 전장장치를 끄고도 둘 다 들어온다면, 퓨즈 없이도 전원이 흐르는 상태라고 봐야하는데 무언가 잘못된듯 합니다^^;
@user-mq7up4wp9f
@user-mq7up4wp9f 4 жыл бұрын
퓨즈를 안뽑고 테스터하면 안되나요~~?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예. 꼭 퓨즈를 뽑고 확인하셔야 합니다^^; 퓨즈의 윗면 단자로 테스트하신다면 퓨즈가 끊어졌을때는 입/출력선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퓨즈가 정상상태라면 입력선에서 출력선까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구분이 불가합니다.
@bejeongsangtv
@bejeongsangtv 4 жыл бұрын
사장님 퓨즈에 +극 연결하려는데 두곳가운데가 막혀있어서 한쪽만 전선을 어떻게 감나요ㅜㅜ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혹시 요즘 신형 차량으로 다리 없는 퓨즈라면 시중에 판매되는 듀얼퓨즈홀더 또는 영상에서 사용된 다리있는 신형퓨즈(암페어는 꼭 동일)로 끼우시면 됩니다.
@jinyonglee5426
@jinyonglee5426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잘 봤습니다^^ 이것도 모르고 오늘 차량용 공기청정기 작업을 하는데 타는 냄새와 함께 공기청정기가 망가졌습니다ㅠ +전원은 예비전원 B+ (입력선 출력선 몰라서 그냥 한쪽에 꽂았습니다) 한쪽은 차체와 연결했는데 바로 타는 냄새가ㅠ 공기청정기는 상관 없는데, 차량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제가 어떤점을 잘못했는지 궁금하네요ㅠ
@user-yx4yo3wr8m
@user-yx4yo3wr8m 4 жыл бұрын
아하~ 퓨즈에 +, - 가 있는게 아니네요 퓨즈다리에 감을땐 - 로 작업 확인감사합니다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퓨즈에~는 양쪽 다리 모두 +전류(입출력 모두 +)가 흐릅니다^^; +가 흐르는 한 선을 중간에 퓨즈를 넣어 과전압시 전기의 흐름을 끊고자 퓨즈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예를들어 [1배터리 - 2배선 - 3퓨즈다리 - 4퓨즈 내부 선 - 5퓨즈 - 6배선 - 7전장장치] 의 순으로 되어 있다면, 퓨즈허용치보다 높은 과전압이 1배터리로부터 흐르게 되면 2배선을 타고 3퓨즈다리를 거쳐 4퓨즈의 내부선 못견디고 끊어져서 5퓨즈(다리)부터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1배터리부터 4퓨즈까지는 전기가 계속 통하고 있겠죠? 이때 3퓨즈다리를 입력선, 5퓨즈다리를 출력선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전장장치는 5퓨즈다리에 연결하셔야 합니다^^;(혹은 새로운 전장장치 배선에 퓨즈가 별도로 존재한다면 굳이 입출력선 구분은 필요 없겠으나 이역시 출력선에 연결한다면 2중으로 보호가 되겠죠^^?)
@illlllliiiiliiiliiiliili3283
@illlllliiiiliiiliiiliili3283 4 жыл бұрын
쉐보레차인경우 올란도 크루즈 미등이없는데 ㅜㅜ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미등 관련 퓨즈가 실내 퓨즈박스에 없는경우가 많습니다;; 꼭 미등에 사재전장장치의 전원을 연결하셔야한다면, 미등을 켰을때 점등되는 LED나 전구의 배선에 직접 연결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user-jr9hg2sl7o
@user-jr9hg2sl7o 4 жыл бұрын
조진웅님 닮으셨어염 ㅎㅎㅎ
@TOPDAILYBiz
@TOPDAILYBiz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재모터스 연부장입니다. 헛! 조진웅님께 죄송함이;;;; 감사합니다^^;
@user-np2vn3xp8w
@user-np2vn3xp8w 3 жыл бұрын
큰일입니다 검침봉은 전구를하는 것이 아니라 led선으로 하는 겁니다
@hyunseokjeong4224
@hyunseokjeong4224 2 жыл бұрын
멀티미터로 측정해도 되는데
@dannicrane5577
@dannicrane5577 28 күн бұрын
퓨즈박스 구멍마다 입+ 출- 표기 해놓던가 왼쪽+ 오른쪽- 로 만들면 간단할걸 왜 저리 만들었는지 도통 이해불가.
@skguddn
@skguddn 2 жыл бұрын
불이들어오는데가 출력이고 안들어오는데가 입력아닌가요?? 거꾸로 얘기하시는거같은데요
@user-ug9wj7xf4l
@user-ug9wj7xf4l Жыл бұрын
불이 들어오는곳이 입력이고 안들어오는곳이 출력이죠. 모르면 가만히 계세요.
@user-js5ue4vi1m
@user-js5ue4vi1m 10 ай бұрын
올뉴말리부에는 퓨즈박스에 그런 내용 없어요..
MOM TURNED THE NOODLES PINK😱
00:31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КАКОЙ ВАШ ЛЮБИМЫЙ ЦВЕТ?😍 #game #shorts
00:17
Be kind🤝
00:22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DIYYOURCAR#352] 휴즈박스를 깔끔하게 정리해보자~
10:31
How To Repair Damaged & Cracked Car Leather Seats
9:27
세탁설 setaksul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쉽게 따라하는 자동차 퓨즈박스 배선 연결
16:35
Беспредел на дорогах!
0:49
RFerzilaev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Melih Taşçı Motosikleti Kaçırmaya Çalışırken Yakalanıyor #shorts
0:39
Испытала свой автомобиль🤯
0:43
WORLD TOP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 How to open a locked car 🔑 #littos
0:51
Littos Medi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Механик правильно поступил? 🤔
0:31
Фильмы I Сериалы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АНТИГЕЛИК. МАКСИМАЛКА УАЗИКА
0:40
ШОРТЫ АКАДЕМИКА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