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은 망했다! 빨리 내놓고 파는 거죠' 불패라던 강남도...

  Рет қаралды 337,201

표영호 tv  / 경제적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표영호 tv / 경제적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Ай бұрын

믿었던 부동산의 역습!
엄무메일 goodmic01@naver.com
#표영호tv #강남아파트 #반포아파트
#아파트공사비 #평당공사비1300만원
#부동산 #부동산전망 #아파트값
#서울아파트 #시공사 #건설사
#모아타운 #노선상업지역
#강남아파트 #재건축
#신반포22차

Пікірлер: 579
@user-lm5zo1lf7xy
@user-lm5zo1lf7xy Ай бұрын
시공사가 초울트라 수퍼갑인 현재의 상황은 어떤 식으로든 개선되어야 합니다 건설사들 위기땐 국민들 세금으로 보전해 주었으면서 건설사들이 국민들에게 갑질의 횡포를 부리는 상황을 건교부에서 방관해서는 안 됩니다
@ramen603
@ramen603 Ай бұрын
같이 서로 돈해쳐 먹고 있겠죠 이렇게 나라에 해결할 일이 많은데 열심히 일하고 있는 의사들과 싸우고 있는 삼류 윤정부
@peterkeem8911
@peterkeem8911 Ай бұрын
국토부-원희룡의 국토부 입니다.
@Tootootootool
@Tootootootool 8 күн бұрын
세금으로 뭘 보전함ㅋㅋㅋ
@ericjung5699
@ericjung5699 Ай бұрын
부동산토건 마피아의 나라다 모두 그들을 위해 일 하고 있다
@user-hn3mc7fs5i
@user-hn3mc7fs5i Ай бұрын
@@user-do4ov7tc7v 넌 그냥 마피다
@user-bc5ie5vu1i
@user-bc5ie5vu1i Ай бұрын
미리 땅사놓고 지네들끼리 세월아 네월아 하는거죠 그사이 땅값올랐다고 인건비올랐다고 자재비 올랐다고 갖은핑계를 대며 등골에 골수까지 빼먹겠다는
@user-zm9vb7kh2k
@user-zm9vb7kh2k Ай бұрын
결국 10~20년 계속 질질 끌면 시공사 개꿀이네
@user-je7ri8qq2w
@user-je7ri8qq2w Ай бұрын
방금 전세 제도에 대하여 문제점을 sbs뉴스 댓글에 달엇더니 바로 삭제 하내요~~~미침니다 그것은곳 전세자는 먹이사슬 최하위이며 그냥 먹이가 대어 살거라 하는 듯한 ㄴ느낌임니다 ~~미침니다 공정 방송이 아니내요 아픈애기는 삭제하고 찬양만 하라는 sbs 그언론사 국민의힘정당 전유물화댄 언론사 대표적의로 조중동이 존재 하긴 하지요 그들 조중동 모두 하느님 아부지시여 감사 함니다 참 미침니다 하나님이 현존 한다면 대갈통을 부셔 버리고 싶습니다 ~~이유는 어떤 생명이든 약가대 대는 순간 산체로 먹이가 대어 죽어 가야 한다 임니다 사자도 늙으면 하이에나에 산체로 먹이가 대어 죽더군요 늙으면 약자가 대며 어린 아이가대지요
@user-nq3du2oz3i
@user-nq3du2oz3i Ай бұрын
부동산에 사족을 못쓰는 한국 호구들도 바뀌어야 한다.
@choruju
@choruju Ай бұрын
말같지도 않는소리하네 전체 사업비중 땅값이 제일 많이 차지하고 그 땅값도 대출이란다 어떤 정신나간 회사에서 세월아 네월아 하냐
@user-sj7bx5cm8k
@user-sj7bx5cm8k Ай бұрын
맞아요 게다가 그곳에고문들이 정치인들이라는것
@user-ys3iq3dh8v
@user-ys3iq3dh8v Ай бұрын
편의점도 마진이 20%인데 아팥트 지으면서 마진이 300%가 말이되냐?
@Sigma-Male017
@Sigma-Male017 Ай бұрын
꼬우면 건물 안세우면 된다
@Tootootootool
@Tootootootool 8 күн бұрын
마진이 어떻게 300%가 나옴ㅋㅋㅋ
@user-tp5je2ok3g
@user-tp5je2ok3g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재건축은 건설사의 횡포라고봅니다 원가공개는 안하고 공사비올랐으니 무조건 올려만달라는 건설사는 횡포 중단해야합니다!!! 원가공개는 필수!!!
@user-gy9in8jb8j
@user-gy9in8jb8j Ай бұрын
볼모로 잡고 눈땡이..
@choa3158
@choa3158 Ай бұрын
공짜로 다시 짓고 수익 내려는게 문제 아닌가....거기에 인력 장비 시간 다 들어가는데;;; 그냥 자기 돈 내고 자기가 짓는 상황이 온거지 뭐... 그래도 강남이니까 어찌어찌 손해는 안볼꺼 같지만~
@choruju
@choruju Ай бұрын
너 하는일도 받는월급만큼 하는지 발표해라
@user-we3vx3ve7b
@user-we3vx3ve7b Ай бұрын
@@choa3158 그니까 왜 원가를 공개 못하냐고! 인력, 장비 얼마나 올랐는데?
@TNT5TNT
@TNT5TNT Ай бұрын
원가공개 못 하게 해준 명박이 덕이지, 전에는 원가공개 했는데
@chglee5703
@chglee5703 Ай бұрын
7년만에 공사비가 2.5배 뛰었다? 진짜 건설사 횡포는 상상을 초월한다. 공사원가 공개하면 건설사가 부르는 금액의 30% 될라나?
@Sigma-Male017
@Sigma-Male017 Ай бұрын
그러게 누가 건축하라고 칼들고 협박함? ㅋ
@skJoo-om2nu
@skJoo-om2nu Ай бұрын
건설시장을 개방해 외국업체가 국내 건설에 참여할 수 있게 해야 공사비 줄일 수 있습니다.
@user-qn7vz9ue1o
@user-qn7vz9ue1o Ай бұрын
건설 불경기에는 원자재 가격이 더 뜁니다. 원자재 업체가 소량만 생산하기 때문이죠. 7년이면 2 5배가 아니라 3-4배는 올랐어야 된다고 보는데 아닙니까
@user-qc6qu8nl9z
@user-qc6qu8nl9z Ай бұрын
​@@user-qn7vz9ue1o 원자재가격 다시 내려왔는데?
@user-xb5dv2vi9m
@user-xb5dv2vi9m Ай бұрын
@@Sigma-Male017하 이런 막무가내 누칼협충 그냥 찌그러져서 빌라에나 살아라
@sunglee1664
@sunglee1664 Ай бұрын
철거 한사람들은 어케하나여 철거 라도 안햇으면 그냥 살텐데 아직 철거 한한데사시는분들 잘들 생각들 하세요 은행이랑 건설사만 배불리는듯
@user-lx9pw4nv6f
@user-lx9pw4nv6f Ай бұрын
비리관료 정치인이 끼어 있겠죠
@eunjujung8388
@eunjujung8388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부동산 붕괴되면 못 털고 나온다. 언론에서 붕괴 때리기전에 빨리 던지고 나와라. 언론에서 터트리면 호구들도 안 물어댄다.
@leejames5560
@leejames556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니라고 부정해도 일본 따라가고 있습니다. 일본 부동산 버블이 20여년전 붕괴할 때 지역에 따라 3분의 1토막이상에서 10분의 1토막이상 개박살나게 대폭락하였었습니다. 토쿄의 경우 5분의 1토막이상 개박살나게 대폭락하였었습니다.
@Sabacksipchil
@Sabacksipchil Ай бұрын
다마신도시 아직 엄청 비싸군요.. 반포는 8억 넘을껄요 ㅎㅎ
@user-ph4vr3rj3l
@user-ph4vr3rj3l Ай бұрын
@RkJ-cn7lh 다마 지금 3억대인데 당신 대체 뭘본거죠?
@SunghyoKang
@SunghyoKang Ай бұрын
​@RkJ-cn7lh 거기도 호가만 8억 아니고?
@user-sl2uw5yn4l
@user-sl2uw5yn4l Ай бұрын
두분이 다마장 가서 한겜치고 오세요
@user-nb4mr7hs8f
@user-nb4mr7hs8f Ай бұрын
다 알고 있죠 인구가 줄어가고 있다는 현실을 직시 해야합니다 부부평생 출산율 0.72이하 이하 서울은 0.6이하..... 건설마피아, 토목마피아, 부동산 투기꾼들 손에 놀아나면 평생 은행만 먹여살린다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Ай бұрын
0이라는게 팩트
@user-pp2fs9rf7w
@user-pp2fs9rf7w Ай бұрын
은행과 건설사 한통속
@user-pg6zu4dq4n
@user-pg6zu4dq4n Ай бұрын
인구줄어도 서울 수도권은 불패임 지방 소도시들이 멸망하는거지 일본이 부동산 버블때 좆됬어도 시골소도시들만 빈집 넘쳐나지 도쿄쪽은 오히려 올랐음
@user-wd4jt3wm7d
@user-wd4jt3wm7d Ай бұрын
2년쯤 지나야 사람들 심각성알거에요 아직까진 1.2출산율때의 아이들이 입학중이에요
@user-fn6rt3ug1f
@user-fn6rt3ug1f Ай бұрын
민주당 청구 하세요 52시간 시행 공사비 폭등 공사 지연 또다시 전쟁으로 물가 자제 폭등 원인
@user-fp5dv5zw4j
@user-fp5dv5zw4j Ай бұрын
평당 1300 우와~ 선 넘는다. 저기처럼 아파트 다 밀어 버리면 시공사가 원하는데로 들어주는 호구가 될 수 밖에 없다. ㅠㅠ 우리 아파트도 재건축 추진중인데 안될꺼 같다.
@user-kv3tf5yd7c
@user-kv3tf5yd7c Ай бұрын
부산은 평당 삼천도 있습니다.
@sticky7942
@sticky7942 Ай бұрын
아파트 주민들이 많았으면 이미 난리 났을겁니다 … 22단지라 하니 커보잊만 아파트 22차 딱 한동짜리여서 입주민수가 그나마 적으니까 건축비 더 받을려고 끌고 있는거죠
@user-zb2ik3kl7r
@user-zb2ik3kl7r Ай бұрын
8-10억 ㅋㅋ 미친대한민국 ㅋㅋ pir10이면 딱이다 앞으로 10년~
@homeowner5241
@homeowner5241 Ай бұрын
도둑넘들입니다 자기들끼리 짜고친 고스톱이죠 후분양으로 바뀌어야 하는대 문제가 많습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og2iw1ip3j
@user-og2iw1ip3j Ай бұрын
입주신청때는 신사에서 입주후 깡패가 됩니다. 이게 우리나라 현실입니다. 악당중에 악마 빌런입니다.
@willow8440
@willow8440 Ай бұрын
허물어 버렸으니 건설사의 주도대로 갈 수 밖에 없네 ..그냥 리모델링 해서 살지 그러냐 ..
@obudhase
@obudhase Ай бұрын
저런 양심 있는 공인중개사님과 거래해야 독박 안 씁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somethumb9958
@somethumb9958 Ай бұрын
이번 편은 좀 더 피부에 와닿게 전달되겠네요.
@user-nininininonin9
@user-nininininonin9 Ай бұрын
원벨리 하수구냄새 너무 심하고 단열 안되는곳도 있음 부실공사 같음
@ganydanny508
@ganydanny508 Ай бұрын
원베일리보단 그 옆에 길건너 6차 재건축한 센트럴자이가 훨씬 나은듯....아니면 그냥 원조대장 래미안퍼스티지나 반포자이가 훨씬 나은듯...
@jasonlee8511
@jasonlee8511 Ай бұрын
지대가 낮아서 ㅠㅠ
@wj2791
@wj2791 Ай бұрын
이자율, 인건비, 자재값, 공사비, 보험료, 감리비, 그외 모든것이 오르고 있고, 또한 부정, 부실 공사를 막으려고, 감리, 도면 사전 검사, 중간 검사, 사후 검사, 감리 중간 검사 등등 해야 할 일들이 많습니다. 전에 오죽 했음, 철근을 빼먹고 , 아님 중국, 외국 기술없는 사람들로 중간 아님 마무리 공정을 시켜서, 공사가 부실 공사가 됐었읍니다. 공사비가 올려 달라는 것은 그들도 살려고 하는 것 입니다..
@user-xy5lc2iu8j
@user-xy5lc2iu8j Ай бұрын
원베일리 안무너지면 다행이죠 너무 잘지어서요 ㅋ
@Sabacksipchil
@Sabacksipchil Ай бұрын
너무 날림으로 지어서 큰 후폭풍 올거여요.. 자이 퍼스티지도 별반 다를거 없고
@bb1668
@bb1668 Ай бұрын
50만 축하드립니다 언제나 발로뛰어다니시면서 많은정보를주시네요 시국이정말 가늠하기가힘드네요~
@user-dz5bf4qq4o
@user-dz5bf4qq4o Ай бұрын
클났다 순살아파트 반값으로 세일해도 안팔릴듯~~
@user-vs2pz1tf8w
@user-vs2pz1tf8w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20,30대 부모찬스 빼면 본인 능력으로 서울집 살 수있는이들이 몇명될까요? 서울에있는 초중고등학교도 인구감소로 폐교되고 있는데.
@saintmichel4089
@saintmichel4089 Ай бұрын
부동산 망국의 탐욕이 만든 사회상임. 국가 멸망급으로 가서야 해소될 듯...
@sswief123
@sswief123 Ай бұрын
시공사가 공사비 올릴수있는 상한선은 법으로 정해진게 없나요?? 담당자 목이라도 따러가야되나요?
@eunjungkim3265
@eunjungkim3265 Ай бұрын
공사비 합의도 안보고 이주하고 멸실한게 패착 아니었을까? 침체기에 반포 자이도 미분양 넘쳤었다. 뭐든 큰 일을 할 때에는 신중하게 최악도 고려하며 해야지 최상급지라고 희망회로만 돌린 거 같네
@eunjungkim3265
@eunjungkim3265 Ай бұрын
@RkJ-cn7lh 그 시기에 미분양 안 난 서울 분양단지가 있기나 했었나요? 자이 말고도 당시 서울 신축 단지는 미분양이 넘칠 때였습니다. 멀쩡한 자기집을 밀고 일단 나가주는 조건이니 증액 상한선이라도 계약에 명시해서 리스크를 넘겼어야 한다고 봅니다.
@jaehyuncho1683
@jaehyuncho1683 Ай бұрын
이해가 안가는게 지방은 분양가가 1300인데도 많은데 건축비가 1300이라고?? 이해가 안가네 아무리 건축비가 올랐다고 해도 저정도면 시공사 갑질 아닌가?
@user-fm8wo1se6d
@user-fm8wo1se6d Ай бұрын
힐스테이트에서 디에이치로 바꿔달라고 해서 저리된거죠. 설계변경 수준이 아니에요 ㅎㅎ 잠원동 집주인들 대출이자까지 걱정해주시는 따뜻한 채널이네요 ㅎㅎ
@user-nj1ob2nw1i
@user-nj1ob2nw1i Ай бұрын
기존 건설사들 죄다 폭망하길 바랍니다
@Kim-cn5bl
@Kim-cn5bl Ай бұрын
애초부터 “재건축”이 공짜라는 게 말이 안됨… 지방러들이 강남 불패에 밀어올려주니, 준강남권 원소유자들만 공짜로 재건축한거고,,, 나머진 다 힘들다..
@cdntz620
@cdntz620 Ай бұрын
살던 집은 이미 철거해 버리고 공사는 미룬다? 황당하네요...
@user-qv9kp2eo9j
@user-qv9kp2eo9j Ай бұрын
그들의 사는 방법
@kangnadaog1368
@kangnadaog1368 Ай бұрын
계약서를 시공사 유리하게 바꾸기 위한 수법이죠 ㅋㅋㅋ 그래서 처음 작업이 기존 집을 부수는 겁니다 ㅋㅋㅋ
@saintfarc8411
@saintfarc8411 Ай бұрын
현대건설이 쓰는 방법입니다. 조합장도 막 바꾸고
@gostst8300
@gostst8300 Ай бұрын
건설 조폭 된지 이미 오래 됬습니다.
@user-ui1ym1ul3n
@user-ui1ym1ul3n Ай бұрын
언제나 든든한 표영호 tv
@user-sd3nn5dl6r
@user-sd3nn5dl6r Ай бұрын
배 갈라놓고 수술비 인상 재협상.
@user-ct4fi3om4y
@user-ct4fi3om4y Ай бұрын
인생사에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user-cd5uk2yq9h
@user-cd5uk2yq9h Ай бұрын
지방도 재건축 시작하고 이주 마쳤는데 태영이라서 시작도 못하고 있습니다
@caesar-invest
@caesar-invest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user-zm9vb7kh2k
@user-zm9vb7kh2k Ай бұрын
철거하는 순간 조합원은 완전 노예되는거네요. 건설사가 20억 내라면 내야 되는 ? 같은 경우네요
@user-og2iw1ip3j
@user-og2iw1ip3j Ай бұрын
부동산은 주식하고 같아 오히려 부동산이 정직하다고 과거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주식보다 더 사기성있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순살 부실공사 부도내고 파산신청 반값 깡통아파트 뻥튀기10배
@HooRokku
@HooRokku Ай бұрын
건설사들 넘넘 잘하고있네요. 글쵸! 재건축으로 한몫 땡겨보려는 집주인들을 상대로 제대로 삥을 뜯어내는 건설사들 만세. 그러니까 재건축이란 토지 지분들이 빵빵한 단지들이나 삥을 뜯겨도 수익성이 있는것이지.. 토지 지분도 빈약한 단지들은 삥뜯기면 망한다. 걍^^^ 한몫볼 생각들말고 그냥들 살어라. 주택 구입자들도 재건축 힘들다는거 감안해서 구매들 해야하고..
@HooRokku
@HooRokku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건설사들의 삥뜯어내기 횡포가 부동산가격의 거품을 제거시키는데 한몫 하고있는것이죠. 이를테면 집주인들의 재산 뻥뛰기 꿈을 박살내주고 있다고나 할까요?
@user-qn1gl9vo1g
@user-qn1gl9vo1g Ай бұрын
부동산은 향후 20~40년의 미래소득가치를 미리 가져 온 레버리지 상품. 우리나라는 과거 20~30년을 보면 연간 평균 12~5%의 폭풍 성장을 해왔으나 최근 10년간의 성장률은 4~1%로 선진국형 저성장 상태로 접어드는 모습. 점진적으로 모든 제조기술과 자본은 중국, 대만이 대등하거나 앞지르기 시작했으며(낮은가격, 좋은품질 등) 반도체와 자동차, 조선, 선박, 철강, 화학, 디스플레이 등도 점진적으로 기술, 자본, 노동력 등에서 따라 잡히기 시작. 비교적 차세대 기술산업쪽을 봐도 전기차, 자율주행, AI쪽을 봐도 미국, 중국의 특허권이라든가 기술이 월등해 향후에 포지션이 우리가 애매할 수 있음. 우리나라는 G20(경제규모가 있는)에서 줄곧 3~10위권에서 성장성을 과시하던 국가에서 최근5년~7년간은 13~15위권의 중,저성장 국가로 전락하고 있음. 영국 등 서방매체에서도 한국의 저성장이 장기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임. 강하게 구조화된 대기업 중심의 삼성, SK, 현대, LG, 한화, 롯데 등이 TSMC, BYD, CATL,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다우화학, 테슬라, 샤오미, 알리바바, 벤츠, BMW 등과의 기술과 가격경쟁에서 샌드위치가 돼서 확실한 시장 선도와 포지션을 잡지 못하면 시장에서 위치가 축소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짐. 지금은, 향후 10년이 우리나라의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경계선상에 있는 중요한 시점임. 우리나라의 산업 구조 상 미국, 독일, 대만, 중국 등과의 산업 경쟁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저출산인구구조의 변화와 지방도시의 러스트벨트, 슬럼도 걱정해야 할 지경.
@bigtiger4809
@bigtiger4809 Ай бұрын
거기에 한 몫한것이 정치인 넘들이져. 규제가 겁나게 많음. 초를 다투는 기업에게는 재앙과 다름 없음
@tlfghkd7081
@tlfghkd7081 Ай бұрын
의견 잘 읽었습니다.ㅜ
@oj9117
@oj9117 Ай бұрын
이래서. 재건축 동의 쉽게 해주면 안되는거다. 철거후 시공사,시행사는 갑중에 갑이 되는기다. 질질 끌려다니며, 등꼴 빠진다.
@user-yl8cj4jj6x
@user-yl8cj4jj6x Ай бұрын
이제 정상으로 돌아갈아는 중 인것 같지만 아직도 멀었습니다. 몇년은 더 죽어야됩니다.
@user-kc7np4tn1w
@user-kc7np4tn1w Ай бұрын
부자들 정치인, 연예인 걱정은 하지들 마세요. 나살기도 바쁜데 지네들끼리 뭘하든 관심을 줄 필요가 없어요
@tv-ey1zy
@tv-ey1zy Ай бұрын
@user-ns6ml4fo2f
@user-ns6ml4fo2f Ай бұрын
약은 고양이 밤눈어둡다했지요. 모두의 욕심이 화근이되었네요
@uesr-a8vn3z0coj
@uesr-a8vn3z0coj Ай бұрын
20년 전에 재건축 한다는 아파트 아직도 재건축 안했더라고요. 죽기 전에 재건축할 듯
@user-vs1ts2jx4r
@user-vs1ts2jx4r Ай бұрын
재건축은 무덤혹은 늪과 같아서 그고통이 말할수 없는 지경.에휴 욕심이 부른 지옥이라고 하더라구요. 빨리 해결되시길...
@user-fz5nc2zb7v
@user-fz5nc2zb7v Ай бұрын
계약체결이 잘못됐군요 조합장 목가지
@user-jj2uv1nq4u
@user-jj2uv1nq4u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공사비인상 없는 조건으로 건설사 입찰했어야했는데;;
@user-bk3zo4jj3n
@user-bk3zo4jj3n Ай бұрын
​@@user-jj2uv1nq4u 공사비인상없디고 적혀있어도 똑같음 그렇게 명기하고도 , 이돈엔 못한다 하면서 시간 끌다가 물가올랐고 어짜구 하면서 시간 계속 끌면서 올림
@rudiments77
@rudiments77 Ай бұрын
건설사들 놀음에 놀아나는 바보들 재건축하면 돈 버는 시대가 지나가는데 재건축만 하려고 한다. 30년 되면 재건축이 아니라 리모델링을 해야 하는거지. 수도배관 교체가 먼저 되어야 할테고...
@jermsang17
@jermsang17 Ай бұрын
재건축분담금 7억 내놓으세요. 건설사 갑질ㅎㅎㅎ
@snowcountry322
@snowcountry322 Ай бұрын
서울 주거 환경을 비난하면 부러워서 그러눈줄... 참 큰일 났다... 큰일. 그정도로 정신이 뒤틀렸구나.. 베를린 런던 도쿄의 주거환경을 보고 와라 제발. 난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외국에서 20년을 살았고 뉴욕에서 디자인 공부. 어린시절은 청담동 명품관 건너편 분더샵 땅중 일부가 내 집이었습니다. 입구 쪽이 내 집이었습니다. 서울을 두고 비난하는 것 보단 우리나라 전체 주거 환경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제발 두눈을 뜨고 선진국과 비교좀 해보세요.
@musicgoodtv310
@musicgoodtv310 Ай бұрын
10억주고 누가 사? ㄷㄷ 평생 족쇄
@user-qe9ec5yi9g
@user-qe9ec5yi9g Ай бұрын
시공사만 떼돈법니다.
@user-wj6uv6kg5y
@user-wj6uv6kg5y Ай бұрын
시공사는 마진 5% 먹기도 힘들어요, 시행사에서 대부분 이익을 가져갑니다
@nexus7shin883
@nexus7shin883 Ай бұрын
강남 신반포 아파트 재건축~~전국의 아파트 가격폭락세가 계속되고 미분양.공실폭탄이 이어지고 있는데 공사비가 평당 900만~1300 만원 이상으로 소유자가 부담하기는 너무도 부담스러워...이제는 아파트 투기로 큰돈 벌든 좋은시절은 끝났다고 봅니다..... 부동산투기로 전국이 요동치던 시절은 옛날이내요...초 고금리로 세계경제가 최악의 상황으로 헤메고 있는데 강남.반포라고 예외일수는 없겠지요....투기시대는 끝났다고 봐야지요...
@user-xz3pd8iy2j
@user-xz3pd8iy2j Ай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user-rq9qd1zr9h
@user-rq9qd1zr9h Ай бұрын
이런영상보면 한국도 점점 양극화가 진짜 심해지고 잇다는걸 느끼네요 서민들은 점점 살기 팍팍한데 저렇게 돈많은 사람들이 또 많구나
@saintfarc8411
@saintfarc8411 Ай бұрын
앞으로 재개발 재건축 추가분담금 기본 5억에서~10억 이상 이다
@user-rq9dx1bt5p
@user-rq9dx1bt5p Ай бұрын
이렇게 발로뛰는 취재 너무 재미있습니다. 스튜디오에서 정보알려주는 컨텐츠도 좋지만
@esletter49
@esletter49 Ай бұрын
등치고 간꺼내 먹는 상품이 아파트 개발입니다. 이러한 정책 호객행위에 뼈빠지게 번 돈을 허공에 날리는 것은 인생에 가장 큰 각자의 문제가 될 것입니다. 재건축 비용은 천정부지로 상승될 것은 뻔합니다.
@user-ru1qz3cg1t
@user-ru1qz3cg1t Ай бұрын
칼자루 넘기면 처분만 기다릴수밖에!
@user-pp2fs9rf7w
@user-pp2fs9rf7w Ай бұрын
짐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에서 오는 인플레 입니다. 양배추 한포기에 2천원 하던게 5~6천원 입니다.물가 오르니까 덩달아 자재값 오르고 그래서 분양가는 치솟고 그 비싼 이파트 분양 받으려고 구름처럼 몰려드는 그래서 더더욱 분양가가 오르는 거고 비싸면 분양자들 몰리지 말아야 하는데 서로 돈벌겠다고들 난리 치는 모습 참 안타깝습니다.
@user-kk8pn2hg734
@user-kk8pn2hg734 Ай бұрын
주접싼다고 브릿지 넣고 커튼월 넣고 불필요한 커뮤니티 넣고 고급마감재 넣고해서그럼 그냥 판상형 기본형 하면 충분히ㅜ하고도 남음
@birdsky8622
@birdsky8622 Ай бұрын
부동산을 투자목적으로 구매했던사람들이 지난 1년은 금리내려갈거라고 버텨봤는데~ 미국이나 국내상황을 보니까 금리가 조만간 내릴거같지않고~ 은행이자와 부동산 가격하락~ 그럼 던져야지~
@user-ot8dt8kd2g
@user-ot8dt8kd2g Ай бұрын
현금 16억 있는 사람 얼마나있나. 다 신축 대출받아 일부 자금조달하지
@Kim-cn5bl
@Kim-cn5bl Ай бұрын
초과이익환수 하기 싫어서,,,단독 나홀로 추진하다 고인플레에 공사비2.5배 폭탄 맞았네 ㅉㅉ
@user-gh1nv1pu3s
@user-gh1nv1pu3s Ай бұрын
도대체 이나라는 집가지고 언제까지 장난치고 속썩히거야 곧 십년뒤 일인가구가 이천만명 될건데 사십평이 뭐가 필요 있지요 비싸게 청소도 힘들거 전기세 냔방 더 들고 실효성 없는 사십평 이상우 애물단지지 글고 아파트 안산다니간 물가 때문에 먹지 못해서 골골 대는데 잠만자고 싼데 살면되
@user-wh1rf6fo1z
@user-wh1rf6fo1z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hsnam95
@hsnam95 Ай бұрын
50만 축하합니다
@user-ew5mp7jj6c
@user-ew5mp7jj6c Ай бұрын
가만히 기다리면 됩니다. 끈 떨어진 연들이 마구 날아다닐겁니다.
@user-vm4lj4jo2g
@user-vm4lj4jo2g Ай бұрын
아무리 건축비가 올랐다고해도 저렇게 말도안되는 횡포를 부리는데 정부는 손놓고 방관만하네요.
@Zman158
@Zman158 Ай бұрын
그나마 나라 세금 처들여서 어찌저찌 진행하는 공공 재개발에 비해 민간 재건축 은 이제 한국에서 가망 없어 보입니다. 강남도 안되는데 지방 도시에서 재건축 입에 담는 사람들 보면 답답하고 끔찍해요. 앞으로 한국은 낡은 건물은 새로 짓는게 아닌 그냥 흉물스런 폐가 소멸지역으로 남겨두고 아직 쓸 수 있는 연식 남은 집 건물들로 남은 사람을 이주시켜 사는 식으로 흘러갈 것 같습니다. 버릴 것은 버리고 가는게 더 싸게 먹히고 재원을 대줄 사람도 갈수록 줄어드니까요. 그리고 대체 엄연한 약속인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계약 금액에서 중간에 더 올려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건설사들의 무소불위는 어디서 나오는 건지 참...
@user-ms1rc6ql5x
@user-ms1rc6ql5x Ай бұрын
새집 짓는데 내돈 들어가긴 싫고.. 일반 분양자한테 덤테기 씌우는게 대한민국의 부동산 현실임ㅋ
@JLr7
@JLr7 Ай бұрын
공인중개사님 말씀 되게 잘해주셨네요 각각 사정들까지요
@saintfarc8411
@saintfarc8411 Ай бұрын
요세 재개발 재건축 망하는 사업입니다
@user-ok8qs8oh9d
@user-ok8qs8oh9d Ай бұрын
건설사가 계약했으면 그 금액으로 공사해야하는것 아닌가? 만약 자재비 내렸으면 공사비 돌려줄건가?
@sky-ik1iw
@sky-ik1iw Ай бұрын
모르는소리 . 건축사는말단시공정도 정말책임져야할부서는 재건축인허가담당. 시도지사 인허가당시 적정한공사금액 감독밎실사후 인허가하고 공사비증액발생시 담당관청 시행사밎시공사 감리등 실재발생또는발생예정 금액을 관련당사자들현장실사후 모든내용을공개 입주민들에게 손해가발생되지않토록 철저하게관리감독하여 부실이나 한점의혹이없도록하여야함에도 . 이해관련당사자들의부당한 염불엔맘이없고 제밥에만맘이있으니 ,,,,,, 그표준이바로 성남시대장동건아닌가 대장동건에서만 수천억 ? 이를보고도 수수방관하는사법부 언론 자칭애국 정치인 더이상무슨말이필요할꼬 총체적부실의 일부로봐야할것이다. 좌우간 최종적부담은 국민의혈세로정리가될것이다 . 억울하고 슬픈현실이다 이를묵인하고 일부동조한국민들의 책임도크다 .
@wizmaker
@wizmaker Ай бұрын
저기다 그 가격으로 지을 바에, 땅값 저렴하고 새 인프라 들어오는 곳이 낫지 않을까요… 수도 집약적 개발이 주는 극단적인 폐해의 예라고 봅니다….
@user-nu3dj4lj2j
@user-nu3dj4lj2j Ай бұрын
가을이오면 부동산 무덤들이 여기저기...
@superstar8616
@superstar8616 Ай бұрын
철거 끝나면 건설사가 수퍼갑 입니다.
@user-co5ge1fj2x
@user-co5ge1fj2x Ай бұрын
공사비 때문에 미적거리다가 나중엔 빚더미에 나락감 그래서 시공사가 건물해체한뒤에 바로 첫공사가 시작되어야 갑을 관계가 바뀜 시공조차 안하고 미적거리다간 땅도 압류당함 이자 때문에 감당못하게 됨 한마디로 젓 되는거임 함부로 재계발하는거 아님
@user-iu7dl1eg4i
@user-iu7dl1eg4i Ай бұрын
차라리 재개발 하지 마세요.
@user-mi7it3id9l
@user-mi7it3id9l Ай бұрын
재건축 과 재개발은 차이가 있죠
@user-yd6eu4fv2x
@user-yd6eu4fv2x 29 күн бұрын
여기도 이제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가고 있다. 의사, 변호사등 전문직이 많이 살고 있어 감당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이 폭락하는 일이 없음.
@user-xv7kx7sz9p
@user-xv7kx7sz9p Ай бұрын
시공사 선택은 조합원들 책임이지
@user-dc5rj4mq5l
@user-dc5rj4mq5l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부자들 정말 많네요
@bb1668
@bb1668 Ай бұрын
무섭다 집도없고 갈곳도없고 참 기가막힐노릇이네
@BACH.BWV.988
@BACH.BWV.988 20 күн бұрын
공사비 얼마 안올랐습니다. 올해 시행에서 2군 시공사 아파트 공사비 인상없는 590만으로 계약했습니다. 전쟁 때 오른 재료비도 지금은 정상화 됐는데 인권비가 좀 오른 상황입니다. 건설사별 시공비 오픈하고 싶어도 화살 날라올거같아 그냥 덮습니다. 중요한건 한번 올린 시공비를 내리지 않는다는거. 분양 악재 타이밍이라 시공사에서도 시공비에서 추후 미분양 리스크 금액을 미리 받아놔야 되는게 큰 이유입니다.
@TV-tb4hl
@TV-tb4hl Ай бұрын
반포의 눈물? 더 내려가야 한다..
@yaguda1
@yaguda1 Ай бұрын
어머니집이 잠원동 입니다 주유소 아래쪽으로...인근 압구정동도 현재 재건축 부터 ~ 그 라인을 따라서 현재 잠원동 까지 재건축 으로 장난아니게 난리 입니다.
@user-bz8bx5he2w
@user-bz8bx5he2w Ай бұрын
자재비는 자재마다 다르지만 7년전보다 20~30퍼 올랐고 인건비도 20퍼정도 일텐데 왜 공사비가2.5배가 되는건지
@user-zv4ph8yn7l
@user-zv4ph8yn7l Ай бұрын
발로 뛰며 보여주는 현장. 문제가 심각하군요.
@user-fh6lg3ek6k
@user-fh6lg3ek6k Ай бұрын
표셈 ㆍ~~~부동산 최고의 방송입니다. 모두 환장한 상황 인듯? ㅉㅉ 이자폭탄에. 모두 인간들 개미처 바닥떨어져 개고생 해야 정신차릴는듯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7 күн бұрын
미친게 아니라 배관이 낡아서 재건축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재건축 안하는게 더 좋은데 옛날 아파트 구조가 더 좋아요
@user-sq7ks6jk9p
@user-sq7ks6jk9p Ай бұрын
아파트도 제품처럼 완성후 팔아야 함.
@user-hd1mp1oy2i
@user-hd1mp1oy2i Ай бұрын
한국은 모든게 거품.. 거품 그 자체..
@user-wd6jd8jg8i
@user-wd6jd8jg8i Ай бұрын
원가공개는안하고 입벌구로 올려달라면 올려줘야하는......
@cowfish6276
@cowfish6276 Ай бұрын
이러면서 또 세금지원해서 살려달라는 말은 안나오길 빕니다
@user-hr8rb5qc2c
@user-hr8rb5qc2c Ай бұрын
외국은 100년된 아파트도 많다던데 우리나라는 30년만되면 재건축 얘기나온다
@user-ev4gn5fr2t
@user-ev4gn5fr2t Ай бұрын
건축비 평당 600이면 떡을치고도 남는다
@allenc1516
@allenc1516 Ай бұрын
얼마를 냄겨먹을라고 1300만원이나하는건지...
@ZSZZZZZZZZZZZS
@ZSZZZZZZZZZZZS Ай бұрын
저런 위치는 조합원들 공시지가로 보상해주고 국유화해서 공원 만들어야합니다
@user-md9fb6kg5r
@user-md9fb6kg5r Ай бұрын
중국도 안그래 뚱단지 같은소리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7 күн бұрын
그 많은 돈 들이고 뭐하러 공원 만드나
@user-md9fb6kg5r
@user-md9fb6kg5r 27 күн бұрын
@@user-ie6xc4ij1l 어이그 팔푼아 너 공돌이니
@justiceuni
@justiceuni Ай бұрын
건설사가 언론을 장악하고 있고 거기에 놀아나는 사람들 자기들 맘에 안드는 정치인들은 언론으로 죽여버리고
@user-zw5en9zt6m
@user-zw5en9zt6m Ай бұрын
전국이 지역에 따라 70%이상에서 90%이상 빠지며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에 맞게 가격 정상화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서울은 최소 85%이상 빠지며 가격정상화가 될 것입니다. 한국은 오래전부터 전해오는 말대로 망국병 미친 부동산으로 인해 망하는 나라가 되고 있습니다 출산율 0.6대도 깨져 0.5대로 빠르게 급감해 가고 있고, 자살율 세계 1위는 계속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2030 자살율은 늘어만 가고 있습니다. 세계 전문가들은 우리 민족이 멸종해가며 머지않아 나라까지도 사라져버리는 것으로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안 태어나고 청년들 자살율은 늘어가고, 노인들만 득시글거리는 나라가 되고 있습니다. 베이비 부머세대들인 약 1,700만명이 은퇴자로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인구가 우리의 2배가 넘는 일본의 출산율은 약 1.3정도인데, 인구 절반도 안되는 우리나라 출산율은 그 절반정도인 0.6대로 KTX속도로 줄어가고 있습니다. 청년들은 결혼포기, 출산포기가 갈수록 증가 추세이고, 이제는 집 사는 것까지도 포기하고 있습니다. 아니 차 사는 것까지도 포기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포기할 것은 다 포기해 가며 민족 멸종에 나라까지 사라지는 판에 계속 개미친 부동산에 개미쳐 살 필요가 있는지??? 정신나간 토건족, 정치권, 건설사 찌라시 언론 등들이 이 나라를 완전 작살내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20여년전 일본 부동산 버블이 붕괴할 때 지역에 따라 70%이상에서 90%이상 빠지며 대폭락하였었습니다. 토쿄의 경우 80%이상 빠지며 대폭락하였었습니다. 그래도 일본 안 망하고 지금도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나라보다 잘 사는 나라입니다. 우리나라는 전세금마저도 온갖 빚으로 분탕질하듯 처발라 쳐올려 왔기에 그때의 일본보다 더 크고 빠르게 대폭락할 것입니다.
@user-yl7ko4zr5s
@user-yl7ko4zr5s Ай бұрын
😊😊😊😊😊😊😊😊😊😊😊😊😊😊😊😊😊😊😊😊😊😊😊😊😊😊😊😊
@user-jm2cj9oq6z
@user-jm2cj9oq6z Ай бұрын
​@user-iv9rn5jz4w 몆년 지나면 소유주 인 어르신들 돌아 가시면 물건 받아줄 출생 인구 가 없어 80% 는 바로 직하강 감 현재 가격서 지금 당장 70% 빠져도 어차피 20대 30대 는 거의 못삼 ... 40대 도 순수 자기돈 으론 못사고 그럼 다수 거래 는 안일어 나니 가격 이 대폭락 할수 밖에 다수 거래가 진행 될라면 ~끝~
@user-rz2xu8ue7u
@user-rz2xu8ue7u Ай бұрын
​@user-iv9rn5jz4w 지능이?
@Sigma-Male017
@Sigma-Male017 Ай бұрын
니가 말 안해도 표영호 시청자들은 다 알고있다 그러니까 모든욕심 내려놓고 각자도생 준비해라 스스로 자기객관화 해서 부자될 역량이 없다고 판단되는 사람은 20대때부터 억울하지만 노후준비 40년간 해야 100세시대 살아갈수 있다 부모 잘만난 애들은 20대때 해외여행 가고 놀고 즐기며 사는데 흙수저인 본인은 놀지도 못하고 쌔빠지게 일하며 20대때 노후준비라니 억울한가? 부모탓해라 니탓은 아니다 그러니까 가난대물림 하지말고 흙수저들은 자식낳을 생각 꿈도 꾸지마 안낳으면 당신들의 자식들이 억울함을 느끼지 않을수 있다 왜? 태어나지도 않았으니까 이걸 반드시 명심하시길
@leejames5560
@leejames5560 Ай бұрын
서민들이 애 안낳아 대가 끊기면, 금수저만 남는데 금수저만 낭으면 다시 거기서 서민들이 또 생기며 대가 끊기고, 남은 금수저들 중 또 서민이 생기고 대 끊기고 하면서 우리 민족이 멸종되어 가는 것. 국민없는 나라 없듯이 서민없는 금수저 없는 것. 잘난 척 해봐야 죽을 때 1원도 못 가져가는게 인간.
@user-tv6ce1vu2v
@user-tv6ce1vu2v Ай бұрын
분양받아 평생 건설사먹여 살리고 은행먹여 살리고ᆢ 호구짓하다 가는인생 되지마
@akairyo
@akairyo Ай бұрын
이러니 신축보다 10년이상된 구축으로 눈을 돌리는거다 뭣하러 신축하자에 시달리면서 살아야하나
@lljljljlljll
@lljljljlljll Ай бұрын
6:00 이게 대한민국 양극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영상이 된거 같습니다,,,
@user-qj3mu9eh3z
@user-qj3mu9eh3z Ай бұрын
공사비는 소규모 1개동이라서 비싼거지요. 10여개도 재건축 공사비와 현격한 차이가 있는겁니다.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퇴근하면 바로 대리기사로 나가죠 ㅠ' 투잡을 뛰면서 겨우 버티는 중인데....
12:13
표영호 tv / 경제적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Рет қаралды 89 М.
강남 건물주가 국가에 건물을 빼앗기는 과정
7:55
상승 보다 추락을 염려해야 되는 시장. 정말 어려운 시장이 닥칩니다.(6월 첫째 주 몰아보기)
28:06
표영호 tv / 경제적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Рет қаралды 143 М.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