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안 쓰겠단 정부 KBS, MBC 사태 판박이] 주병기 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장ㅣ 홍사훈의 경제쇼 115회 2024년 5월 15일 수요일

  Рет қаралды 65,977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19 күн бұрын

#홍사훈 #경제쇼 #홍사훈의경제쇼 #홍사훈의경제쑈 #겸손은힘들다 #명랑사회
00:10:20 오프닝
00:13:34 주병기 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장
제작 : (주)명랑사회
겸손멤버십: humblefactory.co.kr/%ea%b2%b8...
제보와 문의 : newsfactory2023@gmail.com
겸손 멤버십 관련 문의 : 02-6953-1904
영상의 무단사용을 금지합니다.
인용 보도 시 [홍사훈의 경제쇼] 출처를 표기해주세요.

Пікірлер: 120
@gyeomsonisnothing
@gyeomsonisnothing 16 күн бұрын
00:10:20 오프닝 00:13:34 주병기 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장
@user-ts8vg9cr2y
@user-ts8vg9cr2y 15 күн бұрын
홍기자님.. 왜 이런문제가 해결이 안되는 겁니까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는 친일청산을 못했기 때문입니다. 나라를 팔아먹고도 부자로 .힘있게 영향력을 행사 하기 때문입니다
@citizenK-zs1fj
@citizenK-zs1fj 10 күн бұрын
홍사훈 기자님의 진솔함과 열정, 예리한 질문이 더 깊은 곳의 것을 끌어내시네요~ 멋진 기자님 👍
@lililia989
@lililia989 16 күн бұрын
홍사훈 경제쇼.. 이런 좋은 프로그램을 안보면 손해입니다.
@hisuga3932
@hisuga3932 12 күн бұрын
주병기 교수님 여기서 첨 뵈었는데 교수님의 의견 더 듣고 싶어서 쓰신 책들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jk52void73
@jk52void73 16 күн бұрын
훌륭한 교수님이네요
@user-cr2ol5zn9d
@user-cr2ol5zn9d 16 күн бұрын
매번 실시간으로 듣고 싶은데 회사에 있는 시간이라 실시간은 늘 어렵네요 오늘 휴일이라 실시간으로 들어 너무 좋습니다 홍사훈님은 경제에 무식한 저의 과외선생님이세요. 감사합니다
@user-vy6wz6wk8o
@user-vy6wz6wk8o 9 күн бұрын
개혁이 번영을 이끈다 차트 인상적이네요
@user-xi1tg3rh7w
@user-xi1tg3rh7w 16 күн бұрын
언제나 응원합니다 ~~~❤❤❤
@khkim4
@khkim4 2 күн бұрын
이 문제는 전우영 교수님이 잘 풀어 주거 같아요. 조선시대 정도부터 풀다가 근대에 대한민국 지배권력들이 정치 사회 교육 등 전방위로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가를 분석하면 답이 나올 듯
@kijoonsong886
@kijoonsong886 16 күн бұрын
스승의 날에도 쉬지 않는 홍사훈의 경제쇼!
@user-jk7jg2er3g
@user-jk7jg2er3g 16 күн бұрын
듣고나면 경제 보는눈.귀가 한단게 높아지는 느낌팍팍😊
@user-jo5qj3so9y
@user-jo5qj3so9y 16 күн бұрын
홍사훈기자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emlaboratorys
@emlaboratorys 16 күн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rt4fb5yr7k
@user-rt4fb5yr7k 16 күн бұрын
정말 훌륭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user-nk3ef9pd8b
@user-nk3ef9pd8b 15 күн бұрын
경제는 홍사훈경제쏘.최배근교수님 부동산은 광수네복덕방
@user-uc5rs4pf6q
@user-uc5rs4pf6q 16 күн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한 편도 안 놓치고 항상 챙겨봐요~ 저처럼 많은 분들이 유익한 홍사훈 경제쇼 챙겨 보고 있다는 것 기억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번 내용은 중~후반부가 하이라이트네요.. 잘 봤습니다!
@user-lz3hz5us1x
@user-lz3hz5us1x 16 күн бұрын
늘 응원합니다 늘 애청도❤❤❤합니다
@user-cu5bz5jg6m
@user-cu5bz5jg6m 16 күн бұрын
개혁을 해야 번영한다
@user-jx1mk6ry4g
@user-jx1mk6ry4g 15 күн бұрын
홍기자님 동생이신가 오빠이신가 그건 몰겠는데 넘 좋아요 다루어 주시는 내용도 왕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개법아닌지?세력싸움입니다.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개법아닌지?
@realongs
@realongs 16 күн бұрын
오😊😊😊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중심이없어요
@user-jx1mk6ry4g
@user-jx1mk6ry4g 15 күн бұрын
헉 나이궁금해서 네이버 드가봤는데 저랑 같아요
@user-ei7fz6zd2f
@user-ei7fz6zd2f 16 күн бұрын
세금은 한나라의 국민으로써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세금을 낼수있는 권리 세금을 낼수있는 의무 부자에서부터 서민까지 세금을 내 국민의 한사람으로써 권리를찾자
@user-oj9id5jt4v
@user-oj9id5jt4v 16 күн бұрын
홍사훈, 주병기 서울대교수님 오늘도 '홍사훈의 경제쇼' 첨부터 끝까지 알차게 진행해주세요.❤🎉
@user-wg7im8bg5q
@user-wg7im8bg5q 16 күн бұрын
미국에 인재가 그리도없나? 또 트럼프~~~ 상대국에 사실도 아닌말을 사실인양. 협박하듯 뱉어내는 할배가 대선주자라니~~~ 80대이외엔 대선주자할 사람이 그리도없다니. 한심~
@user-bu1py6zj7h
@user-bu1py6zj7h 16 күн бұрын
거기도 고령화되는듯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핵전쟁이죠? 핵을쏘면 알아요. 우리나라 가 핵도 없는것은 아니지.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즉공산당아닌 공산주의입니다. 평등
@citizenK-zs1fj
@citizenK-zs1fj 10 күн бұрын
드라마처럼 경제에서의 힘의 방향이 지금의 반대로 가면 어떻게 될까.. 망할까?.. 대기업으로 수치자랑은 덜할지 몰라도 얼마나 건강해질까.. 노동자가 행복하고 중소기업이 강하면 진정 강국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본다 경제 1도 모르지만.
@hnhg6571
@hnhg6571 16 күн бұрын
생각이 많아지게 만드는 내용이었습니다.
@skoh7424
@skoh7424 13 күн бұрын
정경유착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이만이찍은돈 누가먹어야답이죠?
@yongsokhong
@yongsokhong 15 күн бұрын
어려운 설명이 아닌데 왜 이렇게 이해를?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무선개 노숙자돈주고 말하라 해도 다한다.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부채는 국민세금이고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할수있냐?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셰계동맹국들은 힘들어?미국이답이없어 하는말이지? 언재답이나오는지?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얼마 애국해서 30년 망하도 딴딴해요.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일본이 미국이겼어요.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일본은 밀어주다 . 또다시 장비해서 번창하자. 답이없어요.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안중건도 있잔아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이스레사태가 답입니다. 기다리세요.
@pporri
@pporri 10 күн бұрын
홍사훈님 머릿속 양비론이 잘못됐다고 한시간 내내 부르짓는데도 못알아먹는 홍사훈님 ㅋㅋㅋ 인정 안 하시면 반박이라도 하세요 얼렁뚱땅 넘어가시지 마시고~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모르면 제발 인간대인간이 답이다. 노쇼.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당해서 이런민족같아요.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가 브라질돼는것을 원하나요.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모택동이 이래서 때려죽인 지식인
@user-jz8wy9jl1w
@user-jz8wy9jl1w 16 күн бұрын
늘 챙겨 듣고 있습니다. 화이팅!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노예가 북한이냐?
@user-ov9qf4rc3y
@user-ov9qf4rc3y 16 күн бұрын
강의 잘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gwnn12
@user-gwnn12 12 күн бұрын
인공지능의 조금 늦은 발전보다, 환경 파괴로 망하는 것이 더 빠를 것 같은데, 인공지능을 위해 환경을 더 열심히 파괴하는 것이 필요하는 논리일까? 결국 사람도, 당신도 필요없어질텐데… 무엇을 위해 발전해야 할까의 고민이 우선 되어야 하지 않나?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판검사기 죄줄수있어서 아닌지?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옛날 고려장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누구 석열이는 동훈이가 있어니?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개 멍멍소리 실어.
@user-nz5bh5ut4p
@user-nz5bh5ut4p 16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jyyu6218
@jyyu6218 16 күн бұрын
명품백 죄가 안되니 다들 받으세요 윤석열과 국힘들이 말하니 곳 법임
@leehyangje
@leehyangje 16 күн бұрын
알찬방송
@net.100
@net.100 16 күн бұрын
음 이제 알았군요 경제를 위해서라도 보수정당은 찍지 말아야겠네요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윤통재명은 일반인대한민국 국민이면 감방가서 썩는기아닌지.
@SVDNet79
@SVDNet79 16 күн бұрын
Jimmy Yang 출연한줄
@kaichan5754
@kaichan5754 16 күн бұрын
무엇보다 비교문화가 한못한다고봄
@vistaoh
@vistaoh 16 күн бұрын
재정을 안 쓰겠다는 건 건전재정을 명분으로 하지만 실상은 경기침체를 유도해서 인플레를 잡는 거다. 그런데 왜 이러는지는 생각해보면, 경기침체로 기회를 잡으려는 거다. 줍줍을 하겠다는 거.. 현금을 쥐고 기회를 엿보는 누군가겠지.
@user-wr6rk4gb3g
@user-wr6rk4gb3g 16 күн бұрын
혁명이 필요할 때다 조선시대 이후 민중 혁명이 성공했는가?
@krjulio
@krjulio 12 күн бұрын
오늘은 홍씨 이해력이 답답하네오. 패널은 정말 정확히 이야기 하시는데... 끌어줘야 되는데 아쉽네오. 해외1주 다녀와서 이번 회 청취하면서 고정패널로 현상과 방안제시 등등을 들어보는 것도. 다만 조세를 올리는 건 모든 계층이 반대하더군오. 이렇듯 고양이 목에 방울 달 쥐들의 계획에 대해 시리즈로 만들어 들어보는 것 좋을 것 같습니다.
@user-tf2vw8jh7e
@user-tf2vw8jh7e 16 күн бұрын
경제활동의 생산~소비 과정에서 수입과 지출의 소득이 만들어지잖아요. 국가는 세금으로 운영하고, 국가가 잘사는가? 기업이 잘 사는가? 국민이 잘사는가?의 성장과 분배의 결과 잖아요. 정부의 정책 아래 , 빈부차는 당연한 질서겠구요. 국가는 무역을 하고 수출주도 성장으로 기업의 경쟁력으로 무역 상대국과의 상대적으로 강한경제를 만들잖아요. 무역은 불균형이고 중국처럼 경제를 하면 국민은 노동소득의 불만이 있더라도 말 못하고 북한이나 러시아처럼 살아가겠죠. 민주주의나 사회주의 공산주의나 자본주의 아래에서는 빈부차이는 정치적인 결과물로 보입니다. 모든국가의 출산을 보면,,, 열심히 노력해도 삶은 특별히 달라지지 않는다는 시대배경이죠. 달러찍어서 인플레이션을 수출하는 미국과 저렴한 노동의 생산성으로 디플레이션을 수출하는 중국 때문에, 각 국가는 생산기업의 경제전쟁이고 중국의 노동가치와 경쟁해야하고, 미국은 달러 찍어내서 소비를 하여 인플레이션을 만들어내고 국가간 빈부차이도 만들어지고,,, 국가에서의 수출기업과 아닌 비주류 기업간 빈부차이도 직업군 간의 소득차이도 피라미드처럼 다단계적인 빈부차이가 있잖아요. 이런 문제를 풀어내려면 ,, 국내에서 풀기도 어렵겠지만, 우선 무역균형과 기축통화의 큰 문제부터 풀어내고, 통화 질서를 초기화 하고 미국과 중국등 모든 국가의 빈부차이도 풀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 한반도라서 주도적으로 해야 할 평화적인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Hki766
@Hki766 15 күн бұрын
자기자식도 이런식으로 가르치는지?
@Drunken_GoeRoe_SSuggle_Yoon
@Drunken_GoeRoe_SSuggle_Yoon 16 күн бұрын
조선 후기에 보이는 노예화죠 그걸 원하는 거죠 서민들의 재산까지 다 팔란 거죠 그리고 하인, 노예가 되란 거죠 정의 도덕이 나라를 발전시킨다 100% 맞는 말이네요
@user-ow5jr1cl2s
@user-ow5jr1cl2s 16 күн бұрын
그걸 원하는건 맞는데 조선 후기 노예 어쩌고는 식민사관 논리입니다 황 현 필 님 이 이 부분 논파했습니다
@Drunken_GoeRoe_SSuggle_Yoon
@Drunken_GoeRoe_SSuggle_Yoon 16 күн бұрын
@@user-ow5jr1cl2s 조선 후기란 임진왜란을 경계로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50%가 노예였어요 양민 50%, 천민 50%, 양천제라고 하죠 조선 후기 그게 양반 50%, 상놈(상민) 50%로 바뀐 것 뿐이에요 반상제라고 하죠 이름만 바뀌었을 뿐이에요
@user-ow5jr1cl2s
@user-ow5jr1cl2s 16 күн бұрын
​@@Drunken_GoeRoe_SSuggle_Yoon 노예와 노비는 다름 조선이 50 퍼가 노예였다는건 왜곡
@Drunken_GoeRoe_SSuggle_Yoon
@Drunken_GoeRoe_SSuggle_Yoon 16 күн бұрын
@@user-ow5jr1cl2s 조선 전기 양천제 양인 50%, 천인(노예) 50% 조선 후기 반상제 양반 50%, 상민(상놈) 50% 달라진 건 없네요 이름만 바뀌었지요
@userfgfg666
@userfgfg666 16 күн бұрын
​@@Drunken_GoeRoe_SSuggle_Yoon 50 아닙니다 제발 식민사학 믿지맙시다
@user-xw2nv4mo6l
@user-xw2nv4mo6l 16 күн бұрын
조사 내용이 달라졌으니 통계 조작으로 기소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왜 기소 안하는 건가요?
@stevejeanslab6978
@stevejeanslab6978 16 күн бұрын
와...민영화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해보니까 진짜 무섭네요
@himssenam
@himssenam 16 күн бұрын
경제뉴스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병기님의 설명하는 내용은 어렵습니다. 그리고 나가고 싶어요 즉 프로답지 못합니다.
@stevejeanslab6978
@stevejeanslab6978 16 күн бұрын
아 사훈형님 엄청 못알아들어! ㅋㅋㅋ
@yongsokhong
@yongsokhong 15 күн бұрын
어려운 설명이 아닌데... ㅋ
@user-of4ow3oj6m
@user-of4ow3oj6m 16 күн бұрын
좋은 방송입니다. 오프닝 멘트는 좋은데.. 도입부를 좀 바꾸세요. 이젠, 질리요~
@leehyangje
@leehyangje 16 күн бұрын
지방은 대기업, 중견기업 + 시청 청원경찰 환경미화원 들어가려면 = 100% 취업용빽이 있어야 합니다. 입학금도 5천~2억 들고
@bebe-vs2sj
@bebe-vs2sj 16 күн бұрын
비리 사학에나 있는일이 지방 외딴곳에도 있군요
@leehyangje
@leehyangje 16 күн бұрын
@@bebe-vs2sj 그외 지방 일자리는 휴지통 중소기업이 전부이니 누구라도
@kevinwendellcrumb8560
@kevinwendellcrumb8560 16 күн бұрын
최배근 교수님이 한국은 세습사회라고 했습니다. 그러니 창의적이고 독창적 아이디어나 산업이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리셋밖에 답이 없는 거죠.
@userjohndoe
@userjohndoe 16 күн бұрын
슈퍼엘리트 카르텔 부패한 언론이 우리삶을 힘들게 하는거 맞습니다.
@user-mk3vx8nw6c
@user-mk3vx8nw6c 16 күн бұрын
너무 학술적이라 이해하기 힘들어요. 논문 통과는 잘하셨을거 같은데 아무리 각사님이라도 서민들의 생활용어가 부족해 이해가 힘들어요.
@user-ed7px2ei1g
@user-ed7px2ei1g 16 күн бұрын
젊은 청년들 매월 200만원 월급 받아서 4대 보험 다 떼가니 희망이 안 보입니다~~~~!!!! 현 정부는 정치를 왜~???? 하고 있는지 참 답답 합니다~~~~!!!!
@user-we6dz2qi2j
@user-we6dz2qi2j 16 күн бұрын
네트워크 사기 국가임 불가능
@neobox5289
@neobox5289 16 күн бұрын
개천 출신으로 개천에서 용 못 나오게 말뚝 박은 노무현의 사법대학원.!
@aaas6990
@aaas6990 16 күн бұрын
사법고시도 개천에서 용은 소수였어요 (준비하는데 드는 비용이 로 사법대학원 못지 않습니다 그래서 소위 장남 고시 준비하는데 온 집안이 매달렸다는 말이 있었죠 옛날에는 형제가 많았음) 그리고 사법대학원은 노 무 현이 의도한봐와는 다르게 즉 본래의 취지와 벗어난게 문제이고요
@kaichan5754
@kaichan5754 16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kimichidive
@kimichidive 16 күн бұрын
낙수효과하고 비슷한 수준의 헛소리 - 그 시점에서 사시존치 해봤자 지금 의사들 처럼 깽판치는 집단 하나 늘어났었겠지
@iscariotjudas7349
@iscariotjudas7349 16 күн бұрын
현정부가 잘못했지만 이 방송은 항상 민주당편이지.
@user-by8cw7gs3f
@user-by8cw7gs3f 16 күн бұрын
3년이면나라망한다 윤석렬을 끌어내리자
it takes two to tango 💃🏻🕺🏻
00:1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