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바늘이 광속으로 지구를 강타한다면?

  Рет қаралды 1,294,388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3 жыл бұрын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를 종식시킬 수 있는 무언가가 우리 행성을 향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5그램 정도 나가는 일반 바늘이에요. 이게 어떻게 위험할 수 있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이렇게 작은 게 정말로 어떤 해를 끼칠 수 있을까요?
어디까지나 가정이기 때문에 여러 질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주에서 바늘은 어떻게 되나요? 실제로 빛의 속도로 가속될 수 있을까요? 답부터 하자면 '아니요'지만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우리 우주에서는 질량이 있는 건 무엇이든 빛의 속도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그럼 이 빠른 바늘이 지구에 아주 세게 떨어질 수 있다고 해 보죠. 하지만 이런 엄청난 충돌이 지구 전체를 정말 파괴할 수 있을까요?
#밝은면
-----------------------------------------------------------------------------------------------
우리 체널을 구독하세요~~~
밝은면 Bright Side Korea: bit.ly/2DcGBWb
끄적끄적: bit.ly/2vt015H
5분 Tricks: goo.gl/6eHzqB
5MC 여성편: goo.gl/cREy5K
5MC 어린이편: goo.gl/LLDVtq
7초 수수께끼: goo.gl/8uVu6B
속닥속닥: goo.gl/TzqL93
음악 에피데믹 사운드 / Epidemic Sound www.epidemicsound.com/
사진, 영상 및 기타:
www.depositphotos.com
www.shutterstock.com
www.eastnews.ru

Пікірлер: 2 200
@penicillin17
@penicillin17 3 жыл бұрын
03:20이 지점에 있는 모오든것들은 증발하게 될거에요🤗
@sanaminalove
@sanaminalove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v2ty5td1o
@user-pv2ty5td1o 3 жыл бұрын
@@BTS_Official_MV 여친 만들어줘
@user-pv2ty5td1o
@user-pv2ty5td1o 3 жыл бұрын
@겜돌이 쳇
@d_uwu_b..
@d_uwu_b.. 3 жыл бұрын
@@user-pv2ty5td1o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p9xt3co4y
@user-np9xt3co4y 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
@BA-jr5yz
@BA-jr5yz 3 жыл бұрын
5:10 님들이 원하는거
@sunglasses35
@sunglasses35 3 жыл бұрын
ㄱㅅ
@Factpuckpuck
@Factpuckpuck 3 жыл бұрын
광고?
@myeolchippumppum
@myeolchippumppum 3 жыл бұрын
내가 원하는건 광고였구나
@user-iu2vw8mt6y
@user-iu2vw8mt6y 3 жыл бұрын
와 그전에있는거 다 ㅋㅋㅋ
@user-qs2ow5ri9j
@user-qs2ow5ri9j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Bammo95
@BBammo95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뜨길래 봤는데 네이버블로그마냥 질질끄네 ㅋㅋㅋㅋㅋ
@_dog.
@_dog. 3 жыл бұрын
ㄹㅇ
@user-pe7sp3pt5m
@user-pe7sp3pt5m 3 жыл бұрын
광고를 넣어야되거든..
@user-ft6tg9fv4i
@user-ft6tg9fv4i 3 жыл бұрын
ㄹㅇ 짜증나서 배속 1.5 넣었는데도 개짜증남
@sinhyunsoo7856
@sinhyunsoo7856 3 жыл бұрын
영상 안봤는데 대충 지구 개박살 난다는 내용같음 ㅇ
@kaokao7132
@kaokao7132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user-xg8zm7hz2e
@user-xg8zm7hz2e 3 жыл бұрын
잴 무서운건 ㅈㄴ 밝은 목소리로 잔인한 소리 하는거임
@user-xg8zm7hz2e
@user-xg8zm7hz2e 3 жыл бұрын
@코난 40년뒤 ㄹㅇ ㄷㄷ
@Gbookyee
@Gbookyee 3 жыл бұрын
@@user-xg8zm7hz2e 기출변형 ㄹㅇㅋㅋ
@user-xg8zm7hz2e
@user-xg8zm7hz2e 3 жыл бұрын
@@Gbookyee ㅎㅎ
@user-ll6vm3yf1h
@user-ll6vm3yf1h 3 жыл бұрын
@코난 40년뒤 내가 볼땐 잼민이는 아니고 진지충같다
@user-xg8zm7hz2e
@user-xg8zm7hz2e 3 жыл бұрын
@잼민TV 친구야 그냥 웃고 넘어가라
@sobirmukhitdinov6049
@sobirmukhitdinov6049 3 жыл бұрын
행복하세요!~
@user-mq1ve3yi9s
@user-mq1ve3yi9s 3 жыл бұрын
해맑은 목소리에 그렇지못한 대사
@user-wj8ux7yj8b
@user-wj8ux7yj8b 3 жыл бұрын
촥한 얼굴에 그뤄치 못한 태도~
@user-hk4hs5ep7n
@user-hk4hs5ep7n Жыл бұрын
지구는 다시는 이전과 같지 않겠죠 ^^ 이 언니 해맑게 얘기하는거 보소...
@user-hz9pi2qn8v
@user-hz9pi2qn8v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왱렇게 해맑으세요...
@b_geub_gamseong
@b_geub_gamseong 3 жыл бұрын
야....똥싸다 끊는 마무리 채널 구독수가...ㄷㄷ
@user-te6fl5hx7z
@user-te6fl5hx7z 3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삼겹살을 빛에 속도로 태양에 넣었다 빼면 익을까?
@user-vm4tw3wh6h
@user-vm4tw3wh6h 3 жыл бұрын
아마도 익을듯
@user-hh8zi2ii4t
@user-hh8zi2ii4t 3 жыл бұрын
@@user-hm2iz4rq9j 뇌절 금지 빨리 수정해서 9999 지우자
@user-ff2y
@user-ff2y 3 жыл бұрын
삼겹살이 태양 가까이 가자마자 녹아서 없어지겠죠
@user-bc4oc8hi4e
@user-bc4oc8hi4e 3 жыл бұрын
없어질듯
@user-hh8zi2ii4t
@user-hh8zi2ii4t 3 жыл бұрын
@와!샌즈 그들을 자극하면 안된다네 급식이란 단어를 없애게
@user-re1wv6vi5h
@user-re1wv6vi5h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밝아
@user-Ladiesman218
@user-Ladiesman218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좋아요
@user-ob5wo6ok8u
@user-ob5wo6ok8u 3 жыл бұрын
와... 아무리 가벼워도 빛의속도는 절대 무시못하지 ㅋㅋㅋㅋㅋ
@jyg1972
@jyg1972 3 жыл бұрын
힘 = 질량 × 속도
@xaihimichi
@xaihimichi 3 жыл бұрын
???: 속도는 곧 중량..
@user-yg5xh4ws8s
@user-yg5xh4ws8s 3 жыл бұрын
그럼 머리카락 한가닥도?
@user-nf8tz3rt6y
@user-nf8tz3rt6y 3 жыл бұрын
@@xaihimichi 여기는 키자루 원점에 도착했다 ???:짱구군.. 빛의 속도로 차여본적이 있나요??
@user-kx9ny4pu5u
@user-kx9ny4pu5u 3 жыл бұрын
@우냥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ho9ux7cv5n
@user-ho9ux7cv5n 3 жыл бұрын
근데 바늘의 운동에너지가 크다해도 단면적이 매우 작아서 바늘이 부서지지 않는다 가정했을때 순식간에 지구를 뚫고 지나갈듯
@eq5339
@eq5339 3 жыл бұрын
바늘이 빛의속도로 가속되면 질량이 무한대에 가까워짐 그래서 지구는 좇됨
@1km693
@1km69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내핵인가? 그게 나옴?
@sleepinbee9213
@sleepinbee9213 3 жыл бұрын
바늘이 너무얇아서 에너지가 분산되지 않아 뚫고 지나갈듯.. 바늘구멍은 금방 매꿔질거고 (녹지 않는다고 가정)
@user-dg8sg9dz1c
@user-dg8sg9dz1c Жыл бұрын
문과.ㅈ
@junks727
@junks727 Жыл бұрын
광속이면 너무 빨라 바늘과 공기 원자간의 전자기력을 이기고 강한핵력에 의해 핵융합이 일어나 핵폭발이 일어납니다.
@YesSub_Noob
@YesSub_Noob 2 ай бұрын
​​@@junks727핵융합 뒤져도 안 일어남 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바늘 하나가 빛의 속력을 낼 수 있는 에너지를 받고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라는 것부터가 강체라는 뜻인데 바늘이 강체면 공기 원자간의 전자기력을 이끈다는 게 처음부터 불가능함
@jaychoi4710
@jaychoi4710 3 жыл бұрын
ㅈㅅ한데 오리지널영상을 재가공 한 후 올리는건가요. 편집 및 더빙 후
@user-kt8wl1gp8y
@user-kt8wl1gp8y 3 жыл бұрын
근데 질문요 우주는 진공이라 방해물이 없는데 한번 가속하여 속도가 붙으면 속도는 떨어지지 않는거 아닌가요 왜 에너지가 계속해서 있어야 속도가 유지되는지 궁금ㅎㅎ
@user-os3pn9ol5v
@user-os3pn9ol5v 3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진공상태에 가까운거지 완벽한진공은 아님 부피1세제곱미터에 수소원자 몇개있을까 말까인데 수천억키로미터 가는데 충돌하는 원자들때문에 속도가 떨어짐 또한 중력의 영향도 존재함
@user-kt8wl1gp8y
@user-kt8wl1gp8y 3 жыл бұрын
@@user-os3pn9ol5v 답변 감사요ㅎㅎ 완전한 진공은 아니군요ㅎㅎ원자 단위의 물질이라도 저항이 생길수 있겠습니다ㅎ
@blast6058
@blast6058 3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로 움직이면 대기권에 들어오자 마자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지표면에 닿기전에 없어지지 않을까요??
@nustyle8349
@nustyle8349 3 жыл бұрын
빛의속도면 초당 지구일곱바퀴 반을도는 속도임 그에비해 지구 대기권에서부터 지각까지의거리가 무시할수있을정도로 너무 적은거리여서 크게 마찰로인해서 탄다라거나 라는 영향은 없을듯
@user-gusdnwkql
@user-gusdnwkql Жыл бұрын
@@nustyle8349 ㅇㅈ 라이터 불에 손가락을 ㅈㄴ 빠르게 지나가면 안 뜨거운 것 처럼 같은 원리
@user-zf9eo7xi3c
@user-zf9eo7xi3c Жыл бұрын
@@nustyle8349 마찰이 문제가 아니라 급격한 공기 압축으로 인한 초고열이랑 그로 인한 반작용 자체가 문제임. 어떤 물체가 아광속으로 다른 물체를 직격하면 충돌을 가한 물체도 그 힘을 그대로 받아서 왠만한 크기로는 대기랑 접촉하는 즉시 증발해버림.
@user-el7kl5lp2h
@user-el7kl5lp2h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이뻐요
@jeep4
@jeep4 Жыл бұрын
바늘은 지구에 닿기전 이미 없어짐
@seokkyoonjeong4781
@seokkyoonjeong4781 Жыл бұрын
대기권에 들어오면서 불에 녹을듯
@user-vd1kj5kk2q
@user-vd1kj5kk2q Жыл бұрын
걍 봐라 가정이라는데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Жыл бұрын
바늘을 텅스텐으로만들어 단위부피당 질량을 높이고 공기로 인한 마찰열 저항성을 높인다면?
@user-xi9pg1hr7d
@user-xi9pg1hr7d Жыл бұрын
@@user-pi5fd4pn1z 텅스텐이어도 ㅂㄱㄴ일듯
@user-sj9py9nv3y
@user-sj9py9nv3y Жыл бұрын
@@user-pi5fd4pn1z 그럼 예기가 달라지지
@user-zy3nt6uu9t
@user-zy3nt6uu9t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서 제일 무서운건 15초 짜리 광고가 세번 나온거.
@user-gg3em9yw2r
@user-gg3em9yw2r 3 жыл бұрын
ㅈ같이 무섭네
@user-wy5gq8zk4p
@user-wy5gq8zk4p 3 жыл бұрын
암 스케을리
@leedongbin
@leedongbin 3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벤스드 쓰면됨
@kangyonggu1
@kangyonggu1 3 жыл бұрын
@user-rm6eb1vr7v
@user-rm6eb1vr7v 3 жыл бұрын
밝은면? 개젖같은 면이다.
@skyhi7735
@skyhi7735 Жыл бұрын
바늘이 대기와 부딪힐때 바늘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작은 산소 질소 분자들이 광속과 거의 비슷한 속도로 바늘을 때리게 되는데 대기는 그런 분자들로 가득차 있기 때문에 그 에너지로 바늘이 순식간에 폭발해서 산산이 분해됨 지구에 피해를 입히는건 그래서 불가능
@hhjhkc5360
@hhjhkc5360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양의 빛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내겠죠.
@user-vy5pb8gl7v
@user-vy5pb8gl7v Жыл бұрын
광속이니까 피해는 줄듯
@user-mf7zi2tt5p
@user-mf7zi2tt5p Жыл бұрын
시간지연효과 감안하면 지표면에 도착합니다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붕괴에 걸리는 시간과 110km을 광속으로 통과하는 것 중 어떤게 더 빠를지 계산해봐야 겠네요, 확실히 대기 입자간 마찰로 소멸하긴 할텐데.. 0.0003초 이내에 바늘이 소멸하면 지표면에 안닿을거고.. 근데 그정도 속도의 대기 마찰에 지구에 피해가 없을까요?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광속 관련해서 논문 올려진거 몇개 찾아봤는데 광속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현실에 만일 존재할 수 있다면 대기의 마찰로 인한 바늘의 소멸은 일어나지 않네요. 광속의 99.9999999999...한없이 광속에 가까운 아광속으로 움직이는 야구공에 대한 실험인데 광속은 거리와 시간을 경험하지 않고 입자간의 충돌없이 그대로 지구 자체를 파괴해 플라즈마 덩어리로 만들고 그 충격파로 주변 행성인 금성 화성까지 파괴된다고 합니다. 속도만으로 이런 결과가 나온다니 무섭네요 그리고 영상에서는 광속으로 지구에 오는 물체가 보이면 대피하라고 했는데 그건 불가능하죠. 광속으로 오는 물체를 대체 어떻게 관측하나요. 관측해야 할 빛과 같은 속도로 오는데 ㅋㅋㅋㅋ
@user-rw3wi5fu5o
@user-rw3wi5fu5o 2 жыл бұрын
가정이면 다가능 그럼 무한대의 속도를 가진 물체가 우주에서 발사되면 우주끝에 갈수 있을 까요? 우주는 팽창하는데 팽창속도는 얼마 일까요?
@kristal1624
@kristal1624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좋네요 👍
@nuclear.engineering
@nuclear.engineering 3 жыл бұрын
빛의속도는 아니지만 자유낙하에너지로 무기화 시킬려고 한게 신의지팡이죠 ㅎ
@user-poh23rk0hy
@user-poh23rk0hy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 너무 이쁘다 랭킹언니와 별 차이 없음...구독하고 갑니다...좋은 컨텐츠 많이 많이 올려 주세요...
@zzu.0__
@zzu.0__ 3 жыл бұрын
Tts ㅇ아니에여?
@xx-yb2wy
@xx-yb2wy 8 ай бұрын
아나톨리 부고스키를 아시나요? 입자가속기에 머리넣었다가 양성자를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얻어맞고 관통되었습니다. 양성자는 질량이 있는 물체이고 광속으로 얻어맞았으니 수박터지듯이 터젔나 싶지만 깔끔하게 관통되어 장애는 얻었지만 죽지도 않았습니다. 지구도 깔끔하게 관통되고 곧 주변 물질들이 그자리를 체우지 않을까요?
@user-zf2tb2nl9u
@user-zf2tb2nl9u 2 ай бұрын
빛의 속도의 99퍼센트인가? 99.9퍼센트인가 99.99퍼센트인가에 따라서 결과값이 완전히 달라짐 1톤짜리 자동차에 치인거랑 10톤 100톤 짜리 자동차에 치인거람 결과값이 다르듯이
@user-rj1vh7mv2y
@user-rj1vh7mv2y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hynnk
@hynnk 3 жыл бұрын
겁나 무서운 걸 능청스럽게 말하시는게 더 무서움...
@isuzzffn
@isuzzffn 3 жыл бұрын
바늘정도는 지구표면의지각이 모든 충격을 흡수하것죠 .. 그냥 다이빙선수가 물에 뛰어드는정도 밖에 안될듯싶은데..
@prosecutor_jin
@prosecutor_jin Жыл бұрын
광속이잖아요
@boyaknam
@boyaknam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om2oq4hi8m
@user-om2oq4hi8m 3 жыл бұрын
삼겹살군? 빛에속도로 태양에 넣다 빼진적 있나요?
@user-ck5uz8mk1j
@user-ck5uz8mk1j 3 жыл бұрын
작은 볼트하나가 고층건설현장이서 떨어지면 자동차에 부정이난다. 총알을 보면 가속화 되면. 얼마나 파괴력이 생기는지 이해가능 할것이다
@sisisisidal
@sisisisidal 3 жыл бұрын
@@user-gm4iv5xf6d 고려시대 벼슬입니다 부정이났다라는 말은 "우리 집안에 부정이 났구나!!!"이지 않을까합니다.
@user-mf8fk6ec1k
@user-mf8fk6ec1k 3 жыл бұрын
볼트 종류마다 다르겠죠.
@sisisisidal
@sisisisidal 3 жыл бұрын
@@user-gm4iv5xf6d 개소리 한번 해봤습니다. ㅎㅎ 개인적으로 이런 드립 좋아합니다 ㅎㅎ
@hiromitsu_
@hiromitsu_ 3 жыл бұрын
떨어질때 계속 가속되는게 아니여서 피해 작음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3 жыл бұрын
@@hiromitsu_ 광속에 가까울수록 시간이 느려져서 언제 도달할지 모르겠죠.
@bhlee64
@bhlee64 3 жыл бұрын
에너지가 바늘에서 지구로 이전이 되어야 하는데 속도가 빨라서 그냥 관통해버릴 거고 바늘이 지나간 자리에 순간적인 진공이 생기겠죠. 바늘의 속도는 아주 약간 느려질 것이고.
@user-pn4tr3hf7f
@user-pn4tr3hf7f 2 жыл бұрын
위에 이과생 답변 보삼 뇌파셜 ㄴㄴ
@user-lo7sq4ed6b
@user-lo7sq4ed6b Жыл бұрын
나는 이게 맞는거 같은데...?
@user-hg5cd5mu9v
@user-hg5cd5mu9v 3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지구를 향해서 날아온다고 하더라도 음속의 10배 내외 되겠죠^^ 어지간한 크기의 운석도 공기중에서 마찰열로 타버리구요^^
@Hangzza
@Hangzza 2 жыл бұрын
계란을 빛의속도로 바위에 내려찍는다고 계란이 안깨질까요? 바늘은 암반을 뚫을수 없습니다. 고로 땅속어딘가에 박히고 형체를 알아볼수없게 바늘은 찌그러지고 말겠죠
@ggoggae1972
@ggoggae1972 3 жыл бұрын
찍히 이건 ㄹㅇ 궁금함
@user-em5mt2vm9p
@user-em5mt2vm9p 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솔직히를 찍히라고함?
@user-999k0d1a
@user-999k0d1a 3 жыл бұрын
난 먼지가 빛으속도로 지구랑 부딪치면 어떻게 될지 궁금했었는데
@user-gp8xg5dv9f
@user-gp8xg5dv9f 3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ㅁㅈ
@user-fo5tg1jd2g
@user-fo5tg1jd2g 3 жыл бұрын
지구에서 야구공을 빛의속도의 약 70%의 속도로 던지면 야구공의 원자랑 공기분자랑 융합하고 터져서 축구경기장 5개정도의 규모의 범위를 날려버릴 수 있다던데... 바늘을 빛의 속도로 날려서 바다에 떨어뜨렸다고 나라 하나 날려먹을 정도의 쓰나미가 일어나진 않아요
@user-hl7xs4fs3t
@user-hl7xs4fs3t 3 жыл бұрын
@@user-fo5tg1jd2g 위험한 과학책 보셨군요
@user-qt4rw2ru2v
@user-qt4rw2ru2v 3 жыл бұрын
8:51 와 진짜 끝내주네
@pani..z
@pani..z 3 жыл бұрын
아니 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끝나는걸 찍어주네
@MrSinusu
@MrSinusu Жыл бұрын
아주 날카로운 물질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지나갈 때 통과면만 깔끔하게 뚫리는 것처럼 그렇게 주변에는 거의 피해 없이 바늘 구멍만큼만 뚫리고 통과하는 수는 없을까요?
@user-zf2tb2nl9u
@user-zf2tb2nl9u 2 ай бұрын
테니스 공은 물렁하지만 속도가 음속이 되면 소닉붐을 일으킬 만큼의 파괴력을 지니게 되죠 자동차가 시속 250이 넘으면 99퍼센트의 새가 피할수 없는데 그때 유리창에 부딪치면 방탄이어도 금이가거나 깨집니다. 이것과 비슷한 이론이 에너지는 질량이고 엄청 빠른 속도는 엄청 무거운 것이 지나가는 것과 비슷한 효과일 것입니다. 바늘이 10센치라면 지구는 1센치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는 우주상의 둥근 물방울로 생각하면 됩니다. 우선은 지각과 물의 딱딱함을 완전히 무시할 정도의 파과력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지구의 지각을 통과도 하기전에 지구의 대기가 소닉붐 현상으로 사라질수 있습니다. 소형블랙홀이 빛의 속도에 해당하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통과한 것과 비슷한 일이 현상이 일어난다고 상상하면 편할겁입니다.
@user-xq7dy6dl2w
@user-xq7dy6dl2w Жыл бұрын
바늘이 광속으로 날아온다면, 공기중에 있는 분자하고 핵융합하고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데요.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ㅇㅈ
@skt6234
@skt6234 Жыл бұрын
질량전체가 에너지로 변함
@user-ct4nv1kc2h
@user-ct4nv1kc2h Жыл бұрын
광속이면 무조건 핵융합 일어남
@user-xq7dy6dl2w
@user-xq7dy6dl2w Жыл бұрын
@오노데라코사키 핵융합이 되려면 두 원자의 외곽을 감싸고 있는 양쪽의 전자 층을 뚫어야 합니다. 전자층을 뚫을 만큼의 에너지를 만드려면 최소한 아광속으로 원자가 이동해야 합니다.
@skt6234
@skt6234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일어나긴하는데 바늘이 핵융합하진않음 주변 분자들이하지 바늘은 그냥 질량소멸 에너지로변환
@jamesefleming5961
@jamesefleming5961 3 жыл бұрын
대기권에 닿는 순간 기화되어 버림
@choidlstjq
@choidlstjq 3 жыл бұрын
바늘 크기의 무게가 빛의 속도로 충돌한다면 지구 종말 아닌가요? 중력 가속도에 의해 바늘 무게가 장난 아닐텐데 작은 소행성과 부딪치는 정도일까 생각이 드네요?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속도가 광속에 무한히 가까워지면 질량은 무한히 증가하게되니 이론적으로만 따지면 지구가 파괴될 수도 있을걸요. 애초에 질량이 있는 물체가 광속으로 가속하는게 그래서 불가능한거지만요
@Journeyofthesoul_won
@Journeyofthesoul_won 2 жыл бұрын
0:12 아니여? 궁금하긴한데.. 어차피 한국유튜브 99%는 말해줘도 이해못하는 사람들뿐이라 그냥 저도 편하게 들으려구용~
@YUI-rm5zm
@YUI-rm5zm Жыл бұрын
아니 잔인하거나 무서운 내용을 너무 해맑게 말하는 거 아니냐 ㅋㅋㅋㅋ
@user-me4iq7bi6r
@user-me4iq7bi6r 3 жыл бұрын
바늘정도 크기라면 그속도에 대기와 마찰로 타버리고 땅에 닿지도 않아서 아무런 위력도 없지요 커다란 운석도 대부분 타버리고 지상에 큰 영향을 주지도 않습니다
@user-io5pm9jo1k
@user-io5pm9jo1k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가정하는거잖아 멍청아
@mugbo
@mugbo Жыл бұрын
그런거 제외하고 충돌 예시를 든거잖아요
@user-je5bh9yy5i
@user-je5bh9yy5i 3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로 다가오면 사람은 알수 없다. 즉 대비 할수없다.
@lumpen926
@lumpen926 3 жыл бұрын
글쵸 오는것을 감지하고 알릴수 있는 가장 빠른 전달체계가 빛이라서.
@user-yj3xo5bn3e
@user-yj3xo5bn3e 3 жыл бұрын
하긴 뭐 태양거리에 있는걸 관측해도 8분뒤면 도착이니까 ㅋㅋ
@user-wc8ln7yb3e
@user-wc8ln7yb3e 3 жыл бұрын
@@user-yj3xo5bn3e 레알 ㅋㅋㅋ 관측해도 뉴스 보도 시간도 안나옴 ㅋㅋㅋ
@73comin
@73comin Жыл бұрын
바늘 정도로 큰 물체가 빛의 속도로 날아와 대기권의 공기 입자와 부딪치면 지표면에 닿기도 전에 이미 엄청난 규모의 폭발과 함께 핵융합이 일어나 플라즈마화돼서 지구도 항성이 되든지 가루가 되든지 둘 중 하나가 되겠네요.
@user-cu5qh7zq8p
@user-cu5qh7zq8p 3 жыл бұрын
빛의속도에 준하는 에너지라도 충돌하는 면적이 최극소점인 바늘이라면 대기권증발따윈 무시하고라도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음. 주변에 먼지정도는 나겠지. 그리고 절대로 부서지지않는다라고 가정한다면 충돌면적의 반대편으로 일직선으로 그냥 지나가다가 질량이 낮은 바늘은 그냥 운동정지상태가 되버릴뿐.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음.
@user-bg9si8sd7p
@user-bg9si8sd7p 3 жыл бұрын
딱 골프공만한 운석이 중국 한가운데에 떨어지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착해질까...
@user-rh6sp8cv2m
@user-rh6sp8cv2m 3 жыл бұрын
낙하중에 공기마찰로 인해서 변형된 바늘은 단면적이 커지게되고 땅에 닿을 즈음엔 뾰족한 모양이 아니게 되어서 피해가 더 엄청날지도
@Xxxagr
@Xxxagr 2 жыл бұрын
혹시 공기마찰 고려하면 바늘이 없어지지는 않나요?
@Jwhwvejcid
@Jwhwvejcid Жыл бұрын
@@Xxxagr 없어지고도 남죠. 바늘보다 몇십만배는 큰 운석도 대기에 타 사라지는데 ㅋㅋㅋ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Xxxagr 광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공기역학의 저항을 받지 않습니다. 광속으로 움직이면 공기 입자는 정지한 상태나 다름없고(광속으로 움직이는 물체에게 시간과 공간은 의미를 잃기 때문에), 입자와 접촉하는 순간 핵융합을 일으키거든요. 그리고 거기서 일어난 감마선과 입자들이 퍼지면서 연쇄 핵융합을 일으킵니다.
@Xxxagr
@Xxxagr Жыл бұрын
@@Joshua-xr4ui 오호
@user-sf2gv8rj8z
@user-sf2gv8rj8z 3 жыл бұрын
이 분 음성 참 좋다
@cowblue584
@cowblue584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운이 정말 대단하다 .
@lufenia5967
@lufenia5967 3 жыл бұрын
충격량도 충격량이지만 바늘의 형태 때문에 관통력이 상당할듯?
@tarve4824
@tarve4824 3 жыл бұрын
바늘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면 그렇기야 하겠지만... 이미 아광속으로 움직이고 있다면 지구상의 물체 중에서는 관통을 막을 수 있는 게 없음.
@user-nn8ic9kk5g
@user-nn8ic9kk5g 3 жыл бұрын
광속으로 가는 바늘은 대기와 만나자마자 불타없어지지않을까...?
@hhjhkc5360
@hhjhkc5360 Жыл бұрын
대신 엄청난 에너지가 생기겠죠.
@junks727
@junks727 Жыл бұрын
불타는 정도가 아니라 바늘과 공기의 원자가 서로의 전자기력을 이기고 핵 끼리 가까워지다 강한핵력에 의해 핵융합이 일어나게 되고 그로 인한 질량 손실에 의해 E=mc^2 만큼의 에너지의 핵폭발이 일어납니다.
@user-ib6lu2mk4d
@user-ib6lu2mk4d Жыл бұрын
@@junks727 근데 광속으로 인해 질량이 무한대로 발산한~~ ㅋㅋㅋ
@user-zf2tb2nl9u
@user-zf2tb2nl9u 2 ай бұрын
지구의 질랑은 가지고 있는 야구공 정도 크기의 미니 블랙홀이 지구를 빛의 속도로 통과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편할듯
@user-zf2tb2nl9u
@user-zf2tb2nl9u 2 ай бұрын
그리고 일정한 임계점이 지나면 나오는 특이 현상은 인간의 예측 가능한 범위가 아님 공기는 전기가 통하는 물질이 아니지만 일정한 전압을 넘으면 공기에도 전기가 방전되어 흐름 고압선 자를때 볼수있고 번개가 칠때 볼수있음
@user-jh8qs7xc1j
@user-jh8qs7xc1j 3 жыл бұрын
많은 운석이 지구로 떨어지지만 지면에 도착하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죠..
@user-jh8qs7xc1j
@user-jh8qs7xc1j Жыл бұрын
@@lIIllIIllIIll : 광속이 되면 지구대기의 반발을 안받나요?
@funkry1231
@funkry1231 Жыл бұрын
@@user-jh8qs7xc1j 너무나도빨라서 공기역학도 안받고 핵융합을 일으키면서 대기권을 순식간에 통과해버리겠죠?
@2much836
@2much836 3 жыл бұрын
대기중에서 사라져버릴가능성은없나요
@jaxian
@jaxian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물체가 빛의 속도에 도달하면 질량은 무한대가 된다... 바늘이 지구와 충돌시, 저항을 받으며 멈추게 되면 파괴력 증가 바늘이 지구와 충돌시, 저항을 받지 않고 관통할때까지 빛의 속도라면, 파괴력 감소 이유는 충돌시 질량을 얼마나 전달하느냐에 따라 파괴력이 달라짐...
@user-bestDak
@user-bestDak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를 버티는 바늘이 대기권을 못버틸까?
@YeonBy
@YeonBy Жыл бұрын
나도 이 말에 동의
@user-kw2zj7eh6s
@user-kw2zj7eh6s Жыл бұрын
우주는 매질이 아주 적어 마찰에 대한 영향력이 적은데 대기권은 풍부한 기체 매질 마찰이 심하게 일어나지 않을까용? 내구성 이라는게 충격,열 과 같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으니까 마찰,장력 에 굉장히 영향을 크게 받을거 같아요 그게 없으면 뭐 버틸만 하지 않을까요?
@user-bestDak
@user-bestDak Жыл бұрын
@@user-kw2zj7eh6s 빛의 속력을 가질려면 그만한 힘을 전달 받아야하는데 그걸 버틴정도면 설명되죠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user-kw2zj7eh6s 애초에 바늘이 버틸수 있고 말고는 중요하지가 않아요. 일단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물질이 질량이 0보다 클 경우 그 자체가 더이상 바늘이 아닌 무한대의 에너지 덩어리가 됩니다. 진짜 무한대에요. 그래서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가 없는 일이죠
@hinho80
@hinho80 Жыл бұрын
애초에 픽션이면서 대기권 진입부터는 갑자기 논픽션이니까
@user-ht6fn1xn3x
@user-ht6fn1xn3x Жыл бұрын
물리 법칙에 의해 운동에너지 "2분의1 mv제곱" 꼴로 , 질량의 수보단 브이의 수가 커질수록 에너지가 커지기에 운석에 비해 훨씬 더 큰 에너지를 갖게됩니다.
@user-ve8cl8wk1p
@user-ve8cl8wk1p 3 жыл бұрын
음 .... 호기심에 영상을 보는 거지만 이런 상상 을 할수 있다는게 차라리 감마선 폭발이 지구 도달 한다는 상상을 하는게 아주 적은 가능성 이지만 이게 헐씬 현실적인 상상력일듯 ....
@user-ge2gb8to5q
@user-ge2gb8to5q 3 жыл бұрын
대기권의 마찰열에 의해서 녹아 없어지지 않을까요?
@user-qu1uv5ip6l
@user-qu1uv5ip6l 3 жыл бұрын
가정이라구요
@user-vn2gd8gf2s
@user-vn2gd8gf2s 3 жыл бұрын
만약 바늘 하나가 지구를 강타한다면 나비 효나를 이르켜 작은 지진과 해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user-fr3cz1dy5u
@user-fr3cz1dy5u 5 ай бұрын
그냥 방사능 없는 핵임 그리 심각하진 않을듯
@user-xf3wp6bd4b
@user-xf3wp6bd4b Жыл бұрын
영상잘보셨나요? ⌒▽⌒ 자! 우리는 이제 "가정"의 의미를 진지하게 토론해야될 필요가 있습니다 가정이란? =
@key-man4531
@key-man4531 3 жыл бұрын
신의 이쑤시개 ㄷㄷ
@user-nh1zp4qb3j
@user-nh1zp4qb3j 3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로 주사바늘이 내 엉덩이로 온다고 생각하니 세삼 두려움을 느낌
@xaihimichi
@xaihimichi 3 жыл бұрын
응딩이 폭발
@user-ci5js7op1b
@user-ci5js7op1b 3 жыл бұрын
그것은 바로 주사바늘
@user-od4ke2wr9c
@user-od4ke2wr9c 3 жыл бұрын
대기마찰때매 걍 녹지ㅋㅋ
@user-ni4xe8gy3m
@user-ni4xe8gy3m 3 жыл бұрын
99.9%인데도 생각보다 에너지가 많지 않네요 혹시 대기와 충돌해서 핵융합이 일어난다거나 하지는 않을까요
@user-rm1px1sk6v
@user-rm1px1sk6v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태양 근처를 땅콩처럼생긴 소행성인지 운석이 빛보다 더빠르게 지나간적있지않나여?
@devaom5471
@devaom5471 3 жыл бұрын
이 언니 목소리 간지러지는게 요염하네
@user-rf9om5zv3h
@user-rf9om5zv3h 2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에서 질량이 있는 물체는 빛보다 빠를수가없다고함. 바늘은 질량이 있어서 빛보다 빠른속도로 갈수는없지만 과학기술이 엄청나게 발달된 행성에서는 거의 빛만큼 빠른속도로 따라잡을수는 있다고함.
@user-co4hc1he1b
@user-co4hc1he1b 2 жыл бұрын
그냥 만약에 빛의 속도로 움직이면 어떨까처럼 상상하는거임
@JELLY_F1SHY
@JELLY_F1SHY Жыл бұрын
영상도 안보고 댓글 다는거 준내 어이없네ㅋㅋ
@1ogarithm
@1ogarithm Жыл бұрын
99.99999%라 해도 질량증가 때문에 다 터질듯ㅋㅋㅋㅋ
@user-xq3td6he3i
@user-xq3td6he3i Жыл бұрын
​@@JELLY_F1SHY~~함은 3인칭 기준에서 무엇을 알려주려는건데 댓글 끝까지 안보고 쳐다누 라고하면 희로애락이 무너지나요?
@JELLY_F1SHY
@JELLY_F1SHY Жыл бұрын
@@user-xq3td6he3i 희로애락이 거기서 왜 나오는건진 모르겠습니다만......
@user-np6xk8bk5c
@user-np6xk8bk5c Жыл бұрын
대기권에서 핵융합할 수 있나요?
@kionz0
@kionz0 3 жыл бұрын
저정도 작은 질량이면 대기권에 도달한 순간에 열증발할것 같은데요.
@dongchanpark2972
@dongchanpark2972 Жыл бұрын
바늘이 빠르게 지구와 충돌한다해도 그속도때문에 열이 높아져 녹지 안나요?
@ilovedragonvilagecollenction
@ilovedragonvilagecollenction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user-mz8qp1td8v
@user-mz8qp1td8v Жыл бұрын
@@ilovedragonvilagecollenction ㅋㅋㅋㅋㅋ
@Choco_brownie
@Choco_brownie Жыл бұрын
넘무 빨라서 열 오르기도 전에 바닥닿음
@skt6234
@skt6234 Жыл бұрын
녹는게 아니라 그냥 사라지면서 에너지로 변환 히로시마원폭 5배
@gambit_7285
@gambit_7285 Жыл бұрын
녹는다고 사라지나요 광속도 아닌 물인 쓰나미가 밀어닥쳐도 도시가 개발살나는데...
@Gilgamesue
@Gilgamesue 3 жыл бұрын
불가능한 가정들이 너무 많이 들어가 과학과 거리가 먼이야기가 되어버림 그런데 그것을 영상 편집과 나레이터로 뭔가 대단한 연상인양 떠드네 ㅋ
@user-br6zi5yh6h
@user-br6zi5yh6h 3 жыл бұрын
영상 처음부분 안보고 건너뜀?
@HackyDrone
@HackyDrone 3 жыл бұрын
질량이 작은 바늘은 관성이 작아서 대기의 저항으로 인해 급격하게 운동에너지를 잃습니다
@kkun5922
@kkun5922 3 жыл бұрын
지구와 충돌할 때 5그램이라고 가정하거나 바늘이 대기와의 마찰로 없어지지 않는다는 가정이 빠짐.
@aigonan333
@aigonan333 Жыл бұрын
공기저항은 안받나...?
@Whiteduck__
@Whiteduck__ Жыл бұрын
공기저항때문에 핵폭발함
@sig27
@sig27 3 жыл бұрын
F=ma 여기서 a는 가속도인데 지구의 공전 방향과 역으로 바늘이 온다면 가속도는 더 높아지겠지. 그럼 바늘만으론 빛의 속도를 낼 수 없지만 서로 쌍방으로 움직일때 충돌하면 이론상으론 그정도 힘은 나올 수도 있지 않나? 아님 말고
@minjungkim4455
@minjungkim4455 Жыл бұрын
가속도가 높아질수록 가속하기 힘들어지는거 아님? 잘 몰라서 궁금함
@user-oj8hr3wu6e
@user-oj8hr3wu6e Жыл бұрын
상대성 이론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해도, 지구에서 관측한 바늘의 접근 속도는 빛의 속도를 넘지 못합니다. 그리고 지구의 공전 속도는 아무리 빨라도 빛의 속도의 1/10,000 정도 이기 때문에, 바늘의 속도가 빛의 99.9% 라면, 거기 추가 한다 해도 99.91% 가 되겠죠.
@user-nh5mm6if6k
@user-nh5mm6if6k Жыл бұрын
@@user-oj8hr3wu6e 마자요
@kimkangmin04
@kimkangmin04 Жыл бұрын
한곳에서 99.9%, 반대쪽에서 99.9% 해서 정면으로 부딫혀도 100% 넘지 못하게 하는게 이 세계 법칙
@user-oj8hr3wu6e
@user-oj8hr3wu6e Жыл бұрын
@@kimkangmin04 굿
@user-ej4mi5df7z
@user-ej4mi5df7z 3 жыл бұрын
바늘하나가 저렇게 무서웠네.. 그러면 모레알 하나도 타격에 강하나요?
@rainj9807
@rainj9807 3 жыл бұрын
키자루:빛의 속도로 바늘에 찔려봤는가?
@user-nv2yr7mb9t
@user-nv2yr7mb9t 3 жыл бұрын
근데 바늘만한게 지구로 떨어지면 대기권에서 사라지지 않을까....?
@iau.o4281
@iau.o4281 Жыл бұрын
그 대기권을 빛의 속도로 통과해버리니 사라지지않죠
@jss4396
@jss4396 3 жыл бұрын
명량하게 심각한 얘기하니까 괴리감이 좀 심함
@DavidLee-dp4dx
@DavidLee-dp4dx 3 жыл бұрын
신에겐 아직 열두척의....
@user-wj8db8bt5m
@user-wj8db8bt5m 3 жыл бұрын
@@DavidLee-dp4dx ㅇ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fkbpprotopic2551
@fkbpprotopic2551 3 жыл бұрын
@@DavidLee-dp4dx ㅁㅊ
@user-ll6vm3yf1h
@user-ll6vm3yf1h 3 жыл бұрын
@@DavidLee-dp4dx 명량이 그 명량이 아니지 않아?
@DavidLee-dp4dx
@DavidLee-dp4dx 3 жыл бұрын
@@user-ll6vm3yf1h 님 눈치없다는말 종종듣죠?
@ijh7705
@ijh7705 3 жыл бұрын
대기권을 바늘이 통과할수 있다면 가능하겠지만 이미 녹았거나 재질이 다르다면 모를카
@user-by9qq6bn4x
@user-by9qq6bn4x 3 жыл бұрын
바늘이 대기권에서 소멸하지 않는다는 가정에서 인가요..?
@Nate57817.
@Nate57817. 3 жыл бұрын
과학자가 말하길 빛의속도로 야구공을 던지면 핵끼리 부딪혀 핵폭발이 일어난다했는데 아마 저 바늘도 대기권을 통과하는 순간 핵폭발을 줄줄히 달면서 내려올거임
@user-vm1cw1jz4l
@user-vm1cw1jz4l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 하기엔 바늘이 크기가 너무 작고 질량도 작음 끝부분도 날카로워 상대적으로 마찰열과 다른 물질이 접촉할수있는 부분이 적고 또 터져도 폭발이 그렇게 크진 않을거임
@user-zb4yj3cj2d
@user-zb4yj3cj2d 3 жыл бұрын
Yyausu sususiusheue ejeuis
@user-vr2lh1uo7m
@user-vr2lh1uo7m 3 жыл бұрын
대기권을 통과하는 도중 다녹을 것 같은데
@user-yt2uf8iy7u
@user-yt2uf8iy7u 3 жыл бұрын
@@user-vm1cw1jz4l ㅋㅋㅋㅋ바늘의 크기가 작대 여기서보니까 개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너만한 몸뚱이가 평범한 운석의 속도로 타지않고 떨어지면 그 도시는 아작났어ㅋㅋㅋ 에너지 계산할줄모르냐?
@PhysicalLmao
@PhysicalLmao 3 жыл бұрын
@@user-yt2uf8iy7u 애초에 그 콩알만한 바늘이 아무리 광속이라고 해도 대기권진입중 불타는게 맞는거 아니냐? 에초에 금속제질이 대기권에 마찰하며 불타서 사라질텐데 ㅋㅋㅋㅋㅋㅋ
@user-vx4em7kq4r
@user-vx4em7kq4r 3 жыл бұрын
내가 원피스에서 봤던 빛의 속도는 ㅈ나 느리던데;
@user-mh1gc6zw7n
@user-mh1gc6zw7n 3 жыл бұрын
가정. 바늘은 어떠한 E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녹지도 부서지지도 않음 속도만 빛의속도임 가정1 처럼이면 대기권, 지면에 도달시 충격 그런거 다 무시됨 그러므로 빛의 속도로 지구의 바늘크기 구멍이 생김. 너무 쉬운 문제이므로 바늘이 다른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배고프당
@user-yg8ud9zv2i
@user-yg8ud9zv2i 3 жыл бұрын
빛을 제외한 모든 물질들은 어떻게든 무게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빛의 속도와 근접하기도 전에 사라집니다.
@NoBrand_wak
@NoBrand_wak 3 жыл бұрын
지나가던 이과생입니다. 물리 법칙에 따르면 물질이 빛의 속도로 가속되기 위해 무한한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바늘을 광속으로 가속하는게 가능하다고 한다면 지구에 부딪히는게 아니라 질량이 무한하게 증가해서 우주 전체를 집어삼킬 블랙홀로 바뀌게 될겁니다. 절대로 폭발을 일으키거나 하지 않습니다. 이 채널은 애초에 과학을 무시하고 뇌피셜 영상을 올리는 채널이니 이게 진짜라고 믿으시면 안됩니다.
@user-pn4tr3hf7f
@user-pn4tr3hf7f 2 жыл бұрын
이슈탤러하고 밝은면은 원레 뇌피셜을 진짜라고 말하는놈들임
@user-pn4tr3hf7f
@user-pn4tr3hf7f 2 жыл бұрын
그건그런대..광속의 99.9퍼샌트라고 했음..
@user-yc1tn3vk6t
@user-yc1tn3vk6t 2 жыл бұрын
영상 처 보지도않고 쳐말하고있누 ㅋㅋㅋ
@user-wh6rm8ik9y
@user-wh6rm8ik9y 2 жыл бұрын
운동질량이 무한하게 되는건 맞지만, 정지 질량은 여전히 5그램이기 때문에 블랙홀이 되진 않아요 아주 짧은시간에 광속으로 가속시키면 관성에 의해서 물체가 압축되어 블랙홀이 되긴 합니다. 그 뒤에 날아가다가 호킹복사로 소멸하겠죠.
@user-zb9yy9zm2s
@user-zb9yy9zm2s 2 жыл бұрын
정신병원 상담 권유드립니다.
@user-ch9ef6rt9c
@user-ch9ef6rt9c 3 жыл бұрын
대기권에서 기화됩니다 ㆍㆍ
@hyb2775
@hyb2775 2 жыл бұрын
ㅋㅋ 그걸 누가 몰라
@user-zr9bp2mo7v
@user-zr9bp2mo7v Жыл бұрын
광속광속하는데 즉 빛자체도 에너지입니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의 에너지 물론 광속으로 지구에 따~~땃하게 오고 있지요 빛에너지입니다.^^ 고마운 존재지요
@disopp
@disopp Жыл бұрын
E=mc2에 의하면, 질량 1g의 에너지가 리틀보이의 약 1.5배라 함 운동에너지는 앞에 1/2이 붙으니 절반 그렇다면 1g의 운동에너지는 0.75배 바늘이 5g이라 했으니 3.75배 5g 모두 에너지로 변한다고 가정하면 7.5배 그럼 합해서 최대 11.25배 댓글들 보니까 모르는 얘기들이 너무 많아서.. 전 어렵게 생각 안하고 그냥 이렇게만 생각할랍니다. ㅡ.ㅡ;
@ianchoo
@ianchoo 3 жыл бұрын
“지건”
@user-kj1de7pr8e
@user-kj1de7pr8e 3 жыл бұрын
ㅋㅋ 지구 지건
@user-ez2yj5ro2e
@user-ez2yj5ro2e Жыл бұрын
바늘이 대기권에 광속으로접근하면 대충 바늘형태보다는 플라즈마화된 무언가가 될가능성이 높고 그 무언가는 지구대기에 엄청난 운동에너지를 줄것이고 그것들은 원자간 충돌을 일으켜서 핵융합을 일으킬듯 그리고 그충격량이 연쇄적으로작용해서 대폭발이 일어날듯요.. 일단 광속에 가깝게 가속한 운동에너지가있는데 아무 이상없을수가 없음.... 그 운동에너지는 빛이던 열이던 무언가로 환원되야하니...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바늘이 소멸한다 해도 광속으로 가속한 에너지면 그냥 무한대의 에너지인데 그런게 그냥 사라질 리가 없으니 플라즈마 화 해서 지구에 충돌할테고 그러면 뭐 지구 사라질듯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영상에서 나온 설명은 광속충돌이 아니라 아광속 충돌임. 영상 자체가 잘못됬음
@skt6234
@skt6234 Жыл бұрын
@@Joshua-xr4ui ㄴㄴ 광속이면 그냥 에너지자체로 변해서 폭발함E=mc² 1미리그람당 히로시마원폭수준
@user-ev1kf6xc9t
@user-ev1kf6xc9t 3 жыл бұрын
빛의속도의10프로정도로날아오는 유성도 그냥 녹아없어져서 조그마한 돌로발견됨 바늘이 빛의속도로오면 대부분녹아없어지고 지구에부딪혀도 그냥 팅기는정도임 계란으로바위치기임
@user-qo1zh4sd4y
@user-qo1zh4sd4y Жыл бұрын
도대체 키자루는 얼마나 쌘거야...
@1km693
@1km693 Жыл бұрын
원피스 세계관의 빛은 좀 다르지안나요?
@funkry1231
@funkry1231 Жыл бұрын
빛빛열매 너프한것같은데 작가가
@user-de9gh4gj1r
@user-de9gh4gj1r 3 жыл бұрын
면아 황당하다
@user-pm5qu4cg8c
@user-pm5qu4cg8c 3 жыл бұрын
원피스는 과학만화인가... 물론 마그마가 불을 이긴다는 개소리제외 ???:속도는 곧 무게라고 알려주신 키자루님..
@user-dg5hp7uq1g
@user-dg5hp7uq1g Жыл бұрын
바늘이 버틴다쳐도..말 그대로 얇디얇은 바늘인지라.. 지구와 충돌이 아니라 땅을 뚫고 반대쪽으로 통과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ㅋ
@_mathmatic
@_mathmatic 3 жыл бұрын
뭔가 바다에 들어가면 우리가 공던진거 친구가 못잡고 떨어질때 느낌 같아 ㅋㅋ
@user-qe1vv5eb2e
@user-qe1vv5eb2e 3 жыл бұрын
뭔개소리지?
@_mathmatic
@_mathmatic 3 жыл бұрын
@@user-qe1vv5eb2e 멍멍
@user-qe1vv5eb2e
@user-qe1vv5eb2e 3 жыл бұрын
@@_mathmatic 멍멍
우주왕복선이 수직으로 이륙하는 이유
9:14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468 М.
똑똑한 교수도 모두 풀 수 없는 17 개의 수수께끼
13:05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it takes two to tango 💃🏻🕺🏻
00:1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Когда на улице Маябрь 😈 #марьяна #шортс
00:17
Cat story: from hate to love! 😻 #cat #cute #kitten
00:40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비행기가 더 높이 날지 않는 이유
9:56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205 М.
이 필수 팁을 알고 있다면 어떤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19:16
지구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10:02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빛보다 빠르면 시간은 정말로 거꾸로 갈까?
13:48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광속의 신비 - 광속은 왜 불변일까?
20:00
DMT PARK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Surely you don’t know this ☕️ #camping #survival #bushcraft #outdoors
0:19
Ăn Vặt Tuổi Thơ 2024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