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video

장하준 교수에게 듣는다. "세계 경제 어떻게 되는 건가요?" [9시뉴스 풀영상] / KBS 2023.03.29.

  Рет қаралды 131,242

KBS News

KBS News

Күн бұрын

세계적인 경제학자 장하준 교수가 KBS 뉴스 스튜디오를 찾았습니다. 편성 시간 문제로 26일 [9시 뉴스] 본방송에 내보내지 못했던 '장하준 교수의 인터뷰 풀영상'을 유튜브로 공개합니다. 오늘날 세계 경제의 흐름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한국은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지, 장하준 교수의 이야기들을 직접 들어보시지요!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장하준교수 #뉴스9 #나쁜사마리아인들

Пікірлер: 314
@user-ot5ii6if6i
@user-ot5ii6if6i Жыл бұрын
경제학이 우리 생활에 이토록 큰 영향을 끼칠줄 대학 다닐땐 몰랐습니다. 지금이라도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사(역사)가 흥미롭습니다. 선생님 책은 훌륭한 교재입니다.🎉
@user-ce7hm1uv7z
@user-ce7hm1uv7z Жыл бұрын
사회자가 상대의 말을 경청 및 완전 이해하여 적절한 반응 및 서머리를 해주고 그러면서 동시에 전체적인 맥락을 잃지않은 연속적이고 적절한 질문을 던져 상대의 의견을 온전히 이끌어내시네요 시청자들도 집중해서 들을 수 있었고 보다 구체적 이해를 얻게 됐습니다
@lenardmori8871
@lenardmori8871 Жыл бұрын
오와~!! 후진국은 노동의 양적 유연화를 추구하지만, 선진국은 노동의 질적 유연화를 구현한다는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문제를 지적하신 장하준 교수님의 매우 훌륭한 혜안에 감탄을 금할 수 없네요. 복지 예산과 세금에 대한 대한 시각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말씀도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또한 현재의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의 경제혼란이 2008년 금융위기가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그 후유증적 연장선에서 발생한 문제라는 분석에 대해 매우 깊이 공감합니다. 짧은 인터뷰이지만 한국인으로서 정말 많은 화두를 안겨주는 훌륭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j2k157
@j2k157 Жыл бұрын
역대급 인터뷰네요. 명쾌하고 쉬워요
@hhan4370
@hhan4370 Жыл бұрын
사회자의 리딩이 좋았다. 장하준교수가 자칫 논외로 빠질 수 있는 지점마다 본질을 환기시키고, 다소 전형적인 답변으로 마무리 될 수 있었던 내용들도 현안과 연관지어 이어간 덕분에 풀영상 시청 시간이 아깝지 않았다. 앵커의 역량과 장하준 교수의 팬심으로 라이크를 눌렀다.
@HANSAN141
@HANSAN141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그걸 댓글로 평가한 너가 수많은 댓글 중에서 단연 돋보인다. 잘읽히는 조은 글이다.
@Pandemic_CBDC_Great_Reset-Hell
@Pandemic_CBDC_Great_Reset-Hell Жыл бұрын
​@@HANSAN141 ㅇㅈ 작은 휴대폰 액정으로 문단 띄어쓰기 없으면 집중력이 떨어지기 마련인데 술술 읽혔음.
@truthmaster6857
@truthmaster6857 Жыл бұрын
현실에서 세금을 도둑질로 보이는 것이 도둑놈과 언론이 같은 배를 타서 그렇다. 언론이 제대로 역활을 해서 정권을 감시비판하고 유용한 여론이 형성되야 하는데. ...
@user-briankim
@user-briankim Жыл бұрын
언론이바뀐다고희망하지말기를
@u7forever175
@u7forever175 Жыл бұрын
복지는 공동구매...확 와닿는 말씀이네요
@user-lh4rx8zz2c
@user-lh4rx8zz2c Жыл бұрын
민족성으로봐서는. 이상적입니다
@soozizq
@soozizq Жыл бұрын
진짜 사이다 같은 말씀이네요. 제발 정책재정히시는 분들께서도 귀담아 들으시길 바랍니다.
@user-ec2gj8zk3k
@user-ec2gj8zk3k Жыл бұрын
당장의 경제위기야 항상 겪어왔던 파고이지만 복지정책을 보니 우리나라는 망국의 길로 들어선 게 맞는듯하네. 언론사는 일단 복지를 포퓰리즘이라고 답을 정해놓고, 그 돈을 건설사 등에게 돈을 뿌리는 식의 기업복지에만 힘을 쓰는게 맞다고 보도하며 수십여년간 가스라이팅해온 결과, 국민들이 독박을 쓰고 결국 출산율이 0.78명이 됨. 근데 이걸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는 게 피부로 느껴지네. 2023년 현재에도 상속세나 종부세가 경제망치는 악의 축으로 보도하고있고 그나마 다른 나라에 비해 잘 관리되는 의료영역마저 민영화 필요성을 말하고 있으니. 여기서 복지가 더 안줄면 다행일듯. 그리고 정부정책을 펼친다해도 5년 임기끝나면 언제그랬냐는듯 엎어버리기에 국민들은 정부정책을 신뢰한다는 게 불가능한 구조임을 감안하면 이제 진짜 나라 뜰 준비하긴해야할듯.
@shkim9222
@shkim9222 Жыл бұрын
굿~~내용좋고 공감 많이 됐네요 😊
@MichaelKim505
@MichaelKim505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인터뷰네요. 교수님 식견에 감탄했고 사회자 진행이나 전문성도 너무 좋습니다.
@user-lh4rx8zz2c
@user-lh4rx8zz2c Жыл бұрын
유토피아같은. 이상사회를 표현하시는데 민족성 있습니다. 조선시대부터. 쭉. 보셔요. 이상적으로. 바뀌려면. 몇면이. 걸리겠나요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Жыл бұрын
@@user-lh4rx8zz2c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oo0oo754
@oo0oo754 Жыл бұрын
그니까.. 희대의 명언이라니까 나라에 돈이 없는게 아니라 도둑놈이 너무 많다는게.. 결국은 정부의 예산집행이 투명해지면 국민들의 신뢰도가 올라갈꺼고 투명해지진 예산집행으로 세는 세금들을 잡으면 이건 말그대로 증세의 효과를 볼수있는거임 그러면 복지에대한 예산편성도 헌결 수월해질것이며 이걸 겪어본 국민들이 복지에 대하여 요구를 하게 될꺼다 그렇게 복지가 갖추어지면 출산율은 자연스레 올라갈꺼고 근대 가장 큰 대전제가 해결될 기미가 안보임..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 Жыл бұрын
*너무 너무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그 동안 모르고 있던 많은 걸 깨달았습니다✨️
@user-wr8on7oz8q
@user-wr8on7oz8q Жыл бұрын
한국은복지국가.너무어렵지. 가진자들이워낙반항이심하니.결국 같이죽는대도 안하지.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지식을 좀 넓히시길. 가지고 싶으면 님도 노력하면 됨. 복지는 그런 단순논리로 설명할 수 있는게 아님. 복지가 발전한 유럽은 사회학 연구가 수백년임. 가진자는 나쁜놈이라는 저급하고 단순한 발상이 한국의 복지를 이모양으로 만든것임.
@bigscale1046
@bigscale1046 Жыл бұрын
@@_NakTa 남을 깔보면서 시작하는 말은 아무리 넓은(?) 지식이 들어있어도 전혀 옳은 얘기로 안들림. 한국의 가진자들이 나쁜건 아니라도 대부분 옹졸하고 시야가 좁은건 맞지. 복지가 탄탄해져서 더 많이 사람들이 덜 불행하고 더 행복해져야 본인들도 더 나은 사회를 누리면서 살수 있는데 조금이라도 나누려치면 극심한 저항을 하는건 사실. 그런 옹졸한 발상이 한국의 복지를 이모양으로 만든것임.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bigscale1046 원댓글이 일단 가진자에 대한 비방 부터 시작했고 님도 나에 대해 비방함. 내 글에는 깔보는건 없음. 이상하게 복지 타령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은 생각 안하고 남이 잘 못 됐다고 생각함. 공통적인 현상임.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bigscale1046 님 말 대체로 맞음. 내가 아니라고 했나? 원 글과 님이 쓴글은 완전히 다른 글임. 난 원글에 반박한것임.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bigscale1046 한국의 가장 큰 문제는 이념편향 논리임. 나와 다른 이념이구나 싶으면 공격하고 싶은거겠지.
@user-zj9ob6jr9i
@user-zj9ob6jr9i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장하준 교수님 경제학 강의 2014 대학생 부터 초년기 정말 감명깊게 읽었고 나쁜 사마리아인,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23가지 용돈 모아서 사 보고 그랬습니다.
@euro1209
@euro1209 Жыл бұрын
장하준이 말하지않은 23가지. 읽어보시면 생각이 완전히 뒤집어질지도 몰라요. 전 두가지 다 읽었거든요.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euro1209 읽었어요~~
@yj_likes
@yj_likes 10 ай бұрын
그래서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고 계신가요?
@ineeshy4788
@ineeshy4788 Жыл бұрын
말투 말씀 다 고개가 끄덕여지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gz9kn7xt1d
@user-gz9kn7xt1d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경제학자 분이 말씀을 알아듣기 쉽게쉽게 명쾌하게 말씀해주시네요. 30분 동안 넋놓고 경청했습니다.
@user-br3nl4nb9k
@user-br3nl4nb9k Жыл бұрын
역시 수재는 문제의 본질을 궤둟어 봅니다. 국민 대다수가 전혀 공감을 못하는 말도 안되는 정책을 불쑥 내놓지 말고, 청와대도 국회도 이런 분 초청해 질의 응답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TJSTARCHILD
@TJSTARCHILD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인터뷰입니다.
@user-bb2hv8vm5j
@user-bb2hv8vm5j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선견지명 ㆍㆍ
@user-fp1os5hj4p
@user-fp1os5hj4p Жыл бұрын
세금이 자신한테 돌아온다는 믿음이 있으면 반대할 사람이 누가 있겠나?
@user-hs1gm2zm2g
@user-hs1gm2zm2g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경제문제 해결책을 들으니까 이나라 정치인과 정부가 일을 얼마나 제대로 못하는지 알게되네요. 이나라가 정치인들이 선진국 노래 많이 하는데 다 이유가 있네요. 국민들을 위한 선진국이 아니라 기득권층과 대기업들을 위한 선진국타령이었네요. 출산율문제 정말 큰일입니다.
@Gu_Bonseo.
@Gu_Bonseo.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이 나라의 생사를 가르는 이 판국에 노동시간 늘리는 정부가 과연 국가를 위한 정부인지 모르겠습니다.
@W00IS-J
@W00IS-J Жыл бұрын
어느 경제채널에서도 못본 고퀄강의 ㅎㅎ
@bindlll
@bindlll Жыл бұрын
노동자를 노동자라 부를 줄 아는 사람 끝까지 근로자라 부르는 사람들도 있지
@user-jy2gt3bn7x
@user-jy2gt3bn7x Жыл бұрын
앵커 누군가요? 저번에 박진장관때도 말 잘하던데..
@user-sq1sf3yg1f
@user-sq1sf3yg1f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세금으로 빼앗기면 돌아오지 않는다.
@souldjin
@souldjin Жыл бұрын
미래 종합적인 식견에 감사합니다.
@user-xv1do2lm6u
@user-xv1do2lm6u Жыл бұрын
장하준교수님의 경제 인싸이트가 실현된 대한민국을 바랍니다😊
@jindao600
@jindao600 Жыл бұрын
이분 내공 장난 아니다... 보는 눈부터가 다르네
@changyi6084
@changyi608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은 맞다. 현실에서 과연 실현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좋은 말대로 세상이 흘러왔다면 지금같은 세상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hofers85
@hofers85 Жыл бұрын
오호! 공동구매라는 생각! 그걸 위해선 시민들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군!
@Childrentriangle
@Childrentriangle Жыл бұрын
근데 세금이 너무 엉뚱하게 대부분 낭비되고 남아돌기때문에 쿠폰이니 보조금이니 남발하는 것이고 그래서 세금저항이 큼
@gy3907
@gy3907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을 논하며, 69시간 씩 일 시킬 생각하는 게 말이 안되는 일이죠. 도대체 누가 애를 낳고 싶겠어요. 집에 오면 쉬어야지....
@ayh1164
@ayh1164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이데올르기에 빠저 한쪽에 치우치면 안됨. 유연하게 때론 미국, 때론 중국 우리에게 이득인 쪽으로 움직여야 한다.
@user-bn4gq1ns6t
@user-bn4gq1ns6t Жыл бұрын
52시간도 아니고, 69시간도 아닙니다
@Opqr303
@Opqr303 Жыл бұрын
다맞는 말입니다. 우리나라는 내가 스스로를 지키지않으면 절대 국가복지로 노후까지 걱정없이 살수없는 나라이기때문에 세금율올라가는게 싫은겁니다. 어짜피 더내도 완전보장이 안되니까요
@user-bn4gq1ns6t
@user-bn4gq1ns6t Жыл бұрын
세금 많이 걷어 자기네들 표 얻는데 흥청망청 쓰고 정치자금으로 쓰니까 세금 많이 걷으면 싫어하죠
@yangjm55
@yangjm55 Жыл бұрын
진행자님의 진행이 뛰어나다고 생각되네요.
@cosmojin8854
@cosmojin885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명청교체기와 비슷. 광해군의 중립외교가 필요한 시기. 부디 인조같은 명사대로 알박기해서 병조호란 일어나게하지말길~
@user-wo2ih6zu9y
@user-wo2ih6zu9y Жыл бұрын
요즘인터뷰 제일잘하는 앵커임....손석희보다 낫네....
@sdl4567
@sdl4567 Жыл бұрын
소득주도성장 효과 언제나타나나요
@insectfarm
@insectfarm Жыл бұрын
좋은말 옳은말
@likewinds
@likewinds Жыл бұрын
26:54 교수 타이틀이 아깝다..
@MrShin-nm1yd
@MrShin-nm1yd Жыл бұрын
ㅋㅋ 케임브릿지대학교 가서 따지시고~
@likewinds
@likewinds Жыл бұрын
@@MrShin-nm1yd 옥스, 캠 가진 영국 상황이 요즘 어떻더라.. 전세계 초일류 명문?
@jsonchung422
@jsonchung422 Жыл бұрын
한국이 낳은 최고의 지식인이시다. 정말 존경스럽다.
@hyunsundang
@hyunsundang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장하준 교수님!
@ayh1164
@ayh1164 Жыл бұрын
복지를 공동구매 개념으로 가려면, 국민을 편가르는 정치부터 개선해야 한다. 국민이 서로를 못믿는 다면 공동구매 될수 없다.
@user-hh3zh2db2i
@user-hh3zh2db2i Жыл бұрын
제 주위에도 일하는 사람이 기초생활수급자인 경우가 너무 많아요 관리를 안하나봐요 월급은 통장으로 안받고 현금으로 받고
@jh_f303
@jh_f303 Жыл бұрын
앵커 잘 허네 굿굿.
@joshnmud
@joshnmud Жыл бұрын
이 분,진짜 가장 내가 뤼스펙하는 경제학자이심
@user-zf6ji3do5t
@user-zf6ji3do5t Жыл бұрын
일단 국회의원 세비및 엉터리 선심성 지자체 세금낭비 없애주면 세금 열심히 내주고 불평하지 않겠습니당!!
@user-ef1fg1fb4d
@user-ef1fg1fb4d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반갑습니다
@user-st2on6xu1j
@user-st2on6xu1j Жыл бұрын
으따 복지해야하니까 부자들 돈 더 뜯어내장께
@cklee6630
@cklee6630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인플레가 적다고요? 한전, 가스공 등의 적자도 같이 봐야 할걸요?
@hacxytodxy
@hacxytodxy 8 ай бұрын
이제 중립에서 정보를 전하려던 이 앵커님 못봐서 아쉽네요
@TV-fe3wp
@TV-fe3wp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세금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건 세금 곳간 도둑들 국회의원들의 부정부패와 멍청함때문이죠. 저출산 인구문제나 쌀 이슈들에 대해 내놓는 해법들 보면 멍청함에 기가 찹니다.
@user-vn3wb4ep6p
@user-vn3wb4ep6p Жыл бұрын
시원한 말씀 감사합니다. 속 시원하네요. 진실된 표정에 몰입이 됐네요. 진행자분의 편안한 진행도 감사합니다.
@user-hq6lf9lf4b
@user-hq6lf9lf4b Жыл бұрын
세계경제 어떻게 되는지 묻는것은 좋은되 뇌피셜로 보시면 됩니다 공부많이 했다고 방송에 나와서 미래를 진단할 뿐입니다 이렇게 된다라고 하면 그렇게 안되는게 경제아닌가요?
@user-nh2xm1su8y
@user-nh2xm1su8y Жыл бұрын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user-rj6gn8io7m
@user-rj6gn8io7m Жыл бұрын
애를 안 낳는 이유는 애키우는데 돈이 많이들어서 경제활동의 어려움. 시간적 여유 부족 등등 이유 있지만 우리나라 노인빈곤율 높은것과도 연결되있어요 베이비부머세대는 거의 대부분 은퇴했을것이고 경제활동 없는 상태에서 부모 책임져야하고 본인 생활비도 해결해야하고 자식 지원은 힘들거고 지원 못받는 자식들은 그걸보며 애 낳고 키우는 대신 자기 노후 준비를 해야겠다거나 모아도 가난하게 살바엔 결혼도 없이 욜로 하는걸로 바뀐듯 해요
@user-gg7yq3yv2t
@user-gg7yq3yv2t Жыл бұрын
공영방송답게 좀더 심도 있게 다루셨으면 합니다
@khk8260
@khk8260 Жыл бұрын
수준 낮은 인간들 이야기 듣다가 장하준 교수님 이야기 들으니 귀가 열린다.
@user-cp4rs3ln5w
@user-cp4rs3ln5w Жыл бұрын
경제방송 자주나와주세요
@madduxly3228
@madduxly3228 Жыл бұрын
최소 2년은 바짝 엎드려 낙엽처럼 붙어 살아야 함. 최악은 70년대처럼 금리인하 성급히 했다 2차로 더 큰 인플레가 올 수도 있음. 100년만의 질병, 미국 등 주요국의 엄청난 돈풀기, 전쟁, 인플레, 금리급등 연달아 왔는데 한국포함 전세계 나라, 대기업 중 제대로 망한 곳이 별로 없음. 이게 가능할 거라 봄?? 진짜 위기는 금리급등 후 인하기때부터 왔음. 아직 시작도 안했다는 얘기임.
@user-tk4pd9lw6s
@user-tk4pd9lw6s Жыл бұрын
저는 긴축 통화의 관점에서 말해 볼게요~ 유래 없는 사건들은 결국 미국 경제 불안(통화량 증가.인플레.등)을 야기했습니다. 결국.금리 인상으로 세계 각국에서 문제가 생겨야 미국이 달러가 투입되겠죠~ 미국내 통화량 감소가 급격히 생기고 인플레는 내려가고 금리 인하~(양털깍기) 긴축 통화의 특수성~!! 반대로. 세계 각국은 잘 버텄다는 것은 그만큼 긴축 통화의 기능이 약해졌다는 것입니다~!! 긴축 통화의 약화와 세계 각국의 경제 건전성 (식량.원자재.정치적 실리 외교.등)이 강화되었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체 가능한 통화가 발생했다고 봅니다. (EU.,위안화.각국의 미국 채권 보유.등) 세계 경제의 보호 주의는 각국의 실리외교을 강화할 것이고.인플레는 유지되고. 낮은 금리 인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예.작년 이맘때. 저금리로 회사을 영위할수 없다. 낮은 인플례.와 저금리 시장은 막을 내렸다.~! (중간 인플레와 중간 금리~과거는 없다) 개인 사업체(은행.등)의 부도와 국가 금융 시장 안정화는 다르게 진행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 금융 관리가 가능하면 다행이고. 관리 범위을 넘어서면 양털깍기) 분명한 사실은 미국의 긴축 통화 기능은 계속 약해질 것이라는 것입니다.(정치.경제.등) 예.현재 세계 각국의 미국 국채는 국채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비상식적 시장 경제 논리가 적용. (안전 자산의 지위가 흔들린다~금 이동)
@jiwoonlee6636
@jiwoonlee6636 Жыл бұрын
옥스포드는 세계3위안레 드는 대학인데 거기서 가르치는 한국인교수. 대단한 업적입니다
@ykbrad
@ykbrad Жыл бұрын
캠브리지에서 최근 런던대로 옮기셨습니다. 옥스포드는 아닙니다
@user-hu7vk6tq5z
@user-hu7vk6tq5z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이야 누구나 할 수 있다.. 실용주의 해야 한다.. 너무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유연하게 해야 한다.. ㅋㅋ 이 사람 말하는 것 들어보면 이미 보편화된 내용 뿐이다 시대에 뒤쳐졌다.. 책 팔려고 귀국 했구만...
@jylee6338
@jylee6338 Жыл бұрын
앵커분이 책 읽으신게 확실하네요
@remember0912
@remember0912 Жыл бұрын
배웠습니다 그 실용외교를 하고 잘하기위해서는 핵과 경제력 기술력이 필요하고 잘 지켜야한다
@calebkang5544
@calebkang5544 Жыл бұрын
공급이 문제가 아니라. 돈을 5조 달러를 찍어낸게 문제지. QT가 답이다
@user-bg9te8jl1o
@user-bg9te8jl1o Жыл бұрын
거꾸로 가네
@kim_hwan
@kim_hwan Жыл бұрын
참..듣다보니 헛 똑똑이네
@user-ci6zp3te5b
@user-ci6zp3te5b Жыл бұрын
헛 똑똑ㅋㅋ 교수에다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석학에게 그런 말을 할 수 있다니 ㅋㅋㅋ
@Sydneyan
@Sydneyan Жыл бұрын
금융공학이라는게 가장큰 문제 - 그럴싸한 포장 금융권을 믿지마라
@compelling98
@compelling98 Жыл бұрын
이 사람도 그냥 헛똑똑이 탁상공론 전문가 수준임이 이미 증명됐잖아
@_NakTa
@_NakTa Жыл бұрын
집안은 조선시대 부터 유명한 부잣집 양반집안 ㅎㅎ 조선시대 때 부자 되려면 어떻게 했는지 아시죠? ㅎㅎ
@user-wr8on7oz8q
@user-wr8on7oz8q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가장심각한문제는 무슨문제든 근본적인문제해결에전염하는게아니라 임시땜빵질만하는대몰입.
@user-rd4yt2pk3z
@user-rd4yt2pk3z 10 ай бұрын
세금이 도둑맞는 것 같으니까 그런거 아닌가?, 집행자들을 믿을 수 없는 오랜 경험.
@user-ot4ei4wc7t
@user-ot4ei4wc7t Жыл бұрын
장하준 교수님 다른 방송에서도 자주 나오셔서 저희의 시야를 넓혀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hd1kk4ww9b
@user-hd1kk4ww9b Жыл бұрын
언론들아 정신 좀 차려라. 우리나라는 언론이 제일 문제. KBS가 국민 방송이 맞나?
@colortweaker6581
@colortweaker6581 Жыл бұрын
헛소리 오지네
@sskkyy2943
@sskkyy2943 Жыл бұрын
투자하는 사람들이 들을 얘기내요
@user-qt8sh8df8z
@user-qt8sh8df8z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놓친 한가지. 결혼 자체를 안해요. 직장 여성 대우 이전의 문제입니다
@JK-xy3zn
@JK-xy3zn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근데 세금을 운영하는 주체가 투명해져야하고 낭비하지않는 시스템을 확립해야합니다. 예를들어 시민단체나 쓸데없는곳에 너무 많이나갑니다. 복지와 관련된 운동센터나 도서관이나 이런곳에만 들어가는게 아니고 세금사용에대한 신뢰가없고 국회의원들에 들어가는 세비가 아깝네요
@user-nz7fn2un9p
@user-nz7fn2un9p Жыл бұрын
세금을 운영하는 주체가 투명해지려면 시민의 정치 참여와 감시가 필수적입니다. 시민 개개인이 이런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우니 시민단체가 필요한거고요. 물론 부패하고 썩은 시민단체들도 많죠. 그런데 그걸 일반화하시고 순기능을 부정하고 정치를 혐오하면 시스템은 절대로 개선되지 않습니다.
@JK-xy3zn
@JK-xy3zn Жыл бұрын
@@user-nz7fn2un9p 아 그러시군요 진짜 역기능단체가 너무 많고 많이봐와서요 서로 이해가안될테니 저리가세요 저는 충분히 세금이 아까워서 순기능은 보이지가않네요
@user-nz7fn2un9p
@user-nz7fn2un9p Жыл бұрын
@@JK-xy3zn 네 사람은 보통 보고 싶은것만 보니까요.
@JK-xy3zn
@JK-xy3zn Жыл бұрын
@@user-nz7fn2un9p 그쪽에서 열심히 감시해보세요 그러면 자정되려나 각자역할하면됨ㅎ 안양천에 가끔 운동하는데 어떤 시민단체가 태양열 홍보한다고 태양열로 계란 삶더라구요 그리고 참여부탁한다고 이름적으라하고 ㅎ 세금지원받았을텐데 허술하기 짝이 없더라구요 잘감시하시길
@user-nz7fn2un9p
@user-nz7fn2un9p Жыл бұрын
@@JK-xy3zn 네 님도 보고 싶은것만 보시고 믿고 싶은것만 믿으세요. 어찌살든 본인이 행복하면 되는거죠.
@user-ro5lb8ly4w
@user-ro5lb8ly4w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해고를 두려워하는 이유. 대부분 기존 취업자들이 연공서열, 강한 노조 협상력 등으로 렌트(초과의윤)를 누리고 있기 때문에. 해고되고 재취업 자리는 렌트가 없음.
@user-tx9mw4do8h
@user-tx9mw4do8h Жыл бұрын
요컨데 "모른다".
@jyim9836
@jyim9836 Жыл бұрын
탐관오리의 무구한 역사를 경험한 한민족은 세금에대한 믿음이 없는거 같습니다
@user-bx9fp3fr8x
@user-bx9fp3fr8x Жыл бұрын
전문가들의 전망은 늘 이럴수도 저럴수도 있다. 결국 경제학자도 모른다는 얘기. 미래는 신의 영역
@bandal8925
@bandal8925 Жыл бұрын
내국인에 대해 교육은 국가가 전액 지원하는 제도로 전환해야함.
@kimchi_taco
@kimchi_taco Жыл бұрын
그럼 해결책은 뭔가요? 안되는건 말씀 잘 하시는데.
@hihw2004
@hihw2004 Жыл бұрын
교수님보다 사회자가 감이좋은거같네
@user-kh8cw8db3g
@user-kh8cw8db3g Жыл бұрын
kbs가 이념에 제발 빠지지 말라...이분법적 사고를 가진 언론이 문제다.
@user-ol1up8zn4d
@user-ol1up8zn4d Жыл бұрын
장하준 교수님 오랜만이다. 하긴 외환위기 겪어본 입장에선 이렇게까지 발전할지는 꿈에도 몰랐었음.
@JohnDoe-tu7do
@JohnDoe-tu7do Жыл бұрын
출산율 0.78과 자살율 큰 폭 상승도 예상 못하셨죠?
@user-bp3tq7vb8x
@user-bp3tq7vb8x Жыл бұрын
인사이트 지리네..
@kkh-tl3zy
@kkh-tl3zy Жыл бұрын
기득권이 정치를 하고 있으니 국민을 위한 정책이 없습니다. 정치개혁이 시급합니다.
@eastchord
@eastchord Жыл бұрын
덴마크는 인구 500만정도 나라이고 스웨덴은 1천만정도에 자원부국인데 북유럽 국가하고 한국을 비교 하면 뭐 합니까
@jimmykim2507
@jimmykim2507 Жыл бұрын
뻥이 좀
@user-yd5jx5pq4x
@user-yd5jx5pq4x Жыл бұрын
지금의 경제 위기가 코로나 방역에 따른 생산감소, 소비감소, 국채남발, 자본의 편중화 때문은 아닐런지.
@qaedong
@qaedong Жыл бұрын
뛰어난 석학이 아무리 귀한 조언을 해도 편안히 사는 KBS앵커의 눈빛에서 '소귀에 경읽기'로 보인다. 하물며 정치인들에게는 씨알도 안 먹힌다~! 탐욕스런 기성세대가 세금을 탈루하려고 하지, 55%의 소득세를 부담하겠냐~? 이 땅에 다시 전쟁이 나지 않는 한 바뀌지 않는다~! 안타깝지만 민족성의 한계다~!
@user-nr4hc4bd6t
@user-nr4hc4bd6t Жыл бұрын
한쪽으로 치우친 뉴스나 만드려면 시청료나 걷지마삼!!!
@user-ip1iw4fp2d
@user-ip1iw4fp2d 11 ай бұрын
귀에착착 들어오네요
@jyory04
@jyory04 Жыл бұрын
장하성,장하준 ㅎㅎ 그냥 웃고 간다! 나라많이 망쳤지
Пройди игру и получи 5 чупа-чупсов (2024)
00:49
Екатерина Ковалева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The Joker saves Harley Quinn from drowning!#joker  #shorts
00:34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71 МЛН
Survive 100 Days In Nuclear Bunker, Win $500,000
32:21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64 МЛН
ISSEI & yellow girl 💛
00:33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Confronting multiple Crises: A conversation with Ha-Joon Chang on the state of the world economy
1:53:18
The World In 2024 With Niall Ferguson: Crisis, Conflict And The New Axis of Evil
1:30:07
[GMC강연] 왜 분노하지 않는가 _ 장하성 교수
52:02
마이크임팩트
Рет қаралды 105 М.
Пройди игру и получи 5 чупа-чупсов (2024)
00:49
Екатерина Ковалева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