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 잘 사는 게 이 정도라고?

  Рет қаралды 636,574

지식한입

지식한입

4 ай бұрын

#남아공 #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 비즈니스 문의 : scopepublic@naver.com
. 인스타그램 : / hanip_reels
. 틱톡 : / hanip.official
. 업로드 일정 :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 욕설, 혐오 및 차별 표현, 타인에 대한 공격, 가짜 뉴스, 링크 등이 포함된 댓글은 삭제됩니다.
. 영상 편집 툴 : Premiere Pro, After Effect
. Ending BGM : Feeling Alright - Gavin Luke

Пікірлер: 583
@turtleforestkr
@turtleforestkr 4 ай бұрын
실제로 남아공 현지인 중에 아는 사람이 있는데, 케이프타운 근처에 사는데도 전력난때문에 종종 인터넷을 못쓴다고 하더라구요
@warnnie
@warnnie 4 ай бұрын
남아공 전역이 전기 공급문제가 극심해요. 더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TV-yr7px
@TV-yr7px 4 ай бұрын
몇 년 전 요하네스버그 경유해서 케이프타운 가는데...요하네스버그 공항에서 카트에 짐 끌고 나오니..웬 현지인이 어디 가느냐고 묻길래 케이프타운 국내선 간다고 하니 막무가내로 카트를 가로채서 지가 밀고는 국내선 쪽으로 감..터미널 입구에서 돈 요구.. 헐... 안 주면 총이라고 꺼낼 거 같아 얼마 쥐어 줌... ㄷㄷ 내가 일행이 몇 명 있었기 망정이지... 혼자였으면 지릴 뻔 했음
@heissosick6825
@heissosick6825 4 ай бұрын
미친;
@Seok.Chong.I
@Seok.Chong.I 4 ай бұрын
외국에 그런식으로 여행객 삥뜯는 사람들 많음 조심하셈 특히 개도국들이 그럼 선진국은 별로 없음
@user-tz7wz6yl4f
@user-tz7wz6yl4f 4 ай бұрын
흑인였죠??
@user-oy8id2gv3j
@user-oy8id2gv3j 4 ай бұрын
흑인이 나라를 지배할 때 불행해 지는법
@user-oy8id2gv3j
@user-oy8id2gv3j 4 ай бұрын
흑인 ㅋㅋㅋ
@user-gg2ok9zg8n
@user-gg2ok9zg8n 4 ай бұрын
조벅에서 현지 사진관에서 일했습니다. 월요일 출근할 때는 일요일에 털린 데 있는지 쫄면서 했고 퇴근 때는 내 뒤통수 노리는 애들 없는지, 따라오는 차량없는지 확인했고, 집에 와서는 전기 철벽 잘 가동되는지, 문 잘 잠겼는지 확인했습니다. 가끔 강도들 도끼로 벽 깨서 들어오고, 권총 강도도 있었고, 경찰한테 뇌물 줘야 움직이더라구요.
@warnnie
@warnnie 4 ай бұрын
어휴… 조벅 시내에서 국제선 버스 타고 보츠와나로 가려고 했는데요. 왠지 공항 나가자마자 사지분할 될까봐 포기하고 나미비아로 갔습니다.
@sosososososo4148
@sosososososo4148 4 ай бұрын
저런데리ㅡ 왜 이민감? 아무리 돈 많이 줘도 걍 언제든 총맞을수 있는곳이라 메리트가 있나
@kitch-guy
@kitch-guy 4 ай бұрын
굳이 저런 나라 가서 일하시는 건 이유가 있는 건가요?
@jizzac1435
@jizzac1435 4 ай бұрын
단전되면 전기벽도 꺼지나요? 보조발전기 돌리나요?
@user-gg2ok9zg8n
@user-gg2ok9zg8n 4 ай бұрын
@@kitch-guy 당시 남아공 흑인들이 사진찍는 것을 굉장히 좋아해서 한국인들이 현지에서 사진 인화소를 많이 차렸습니다. 저도 어떤 분 소개로 간 거구요. 흑인들 사는 밀집구역들은 교통편이 불편해서 찍사들이 사진찍으면 사진관에 와서 인화하고 갔다 팔았는데 제가 일하던 매장은 한 장당 100원 정도 받았고, 찍사들은 900원에 팔아서 수입을 올렸습니다. 뽀샵이나 합성사진도 인기가 많았습니다. 궁금해서 물어보니, 수명이 짧은 편이고 할 게 없어서 지들끼리 놀고 사진에 담아 추억하는 걸 좋아한다고 했습니다. 제 매장도 하루 기본 500만 원은 찍었죠.. 그래서 현지 강도들 타겟되기에 좋았죠.. 동양인들은 현금 다발 가지고 다닌다는 얘기들이 있어서요..
@Imvery_fresh
@Imvery_fresh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지금 남아공 거주 2년차 학생입니다. 치안이 그나마 좋은 더반 근처에 살고있지만, 집 밖을 걸어다니는 것도 어렵고 학교도 차타고 오고가고 해야합니다. 거의 모든 방학을 집에서만 보낼 수 밖에 없으며, 친구들도 만나기가 힘듦니다. 가끔 집에있다가도 전기가 나가고, 가끔은 예정없이 나가기도 해서 다음날일정이 꼬이기도 합니다…..뭐 좋은게 없어요… 다른 도시들은 단수와 정전이 하루에도 3번씩은 난다네요..
@jennylovemexico
@jennylovemexico 4 ай бұрын
헐 그정도에요?? 멕시코도 다들 위험하다 말로는 그러지만 사실상 몇몇 특정 위험지역 빼곤 엄청 평화롭거든여 .. 그래서 남아공 위험하다 뭐다 해도 멕시코처럼 다들호들갑 떠는거지 실질적으론 설마하니 그정돈 아니겎지 했는데 아닌가보네요. 그런데 어쩌다 거주하시게된건지 넘 궁금하네요
@nlvea536
@nlvea536 3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멕시코 치안이 더 좋을덧같은데요....;;
@user-jj9id5vh8h
@user-jj9id5vh8h Ай бұрын
사연이야 모르겠지만 꼭 그학교로 갔어야했나 그생각이 드네요 다른나라도 많은데 말이죠
@user-jm3xe9me9v
@user-jm3xe9me9v 25 күн бұрын
본인이 선택해서 간 거잖아요
@wjinee_k5029
@wjinee_k5029 4 ай бұрын
요하네스버그 공항에 내려서 아무하고 눈 마주치면 안 됨 눈에 불을 켠 그냥 깡패 이상이라고 보믄 됨. 혼자서 여행하지 마세요
@user-oy8id2gv3j
@user-oy8id2gv3j 4 ай бұрын
걍 ' 그 인종 ' 얘네가 문제임 세계 어딜봐도 얘네가 주축인 나라중 선진국은 없음
@oliviamun
@oliviamun 4 ай бұрын
더 간단한게 있음 남아공 여행 안가면됨
@panzer8672
@panzer8672 2 ай бұрын
알면서 갔는데 피해입으면 그건 오로직 본인잘못 아닌가
@user-oy8id2gv3j
@user-oy8id2gv3j 2 ай бұрын
뷸랙크 색의 사람 집단은 받으면 안됨 ㅇㅇ 나라망함
@user-oy8id2gv3j
@user-oy8id2gv3j 2 ай бұрын
진짜 유튜브 너무하네 그엄정색 사람들 욕하면 바로 제재 먹이노 필터링 피해서 말하기 너무 힘들다
@user-cx3jd1sx1r
@user-cx3jd1sx1r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는 진짜 지원을 해줘도 부정부패로 다 까먹으니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심정임
@Kinglang100
@Kinglang100 4 ай бұрын
거기 최대 문제가 공통된 도덕관이나 종교관 같은게 없는게 큼.
@pqjbrhdj
@pqjbrhdj 4 ай бұрын
@@Kinglang100민족관 종교관 윤리관 이런 거 다 통일이 안되니까 사분오열되고 다같이 잘해보자 이런것도 안됨
@user-uu1ju5sv9g
@user-uu1ju5sv9g 4 ай бұрын
이래서 도덕관 윤리관 종교관이 중요한거군
@lemon_candy46
@lemon_candy46 4 ай бұрын
걍 탈프리카만이 답인듯
@JaeHyunPark
@JaeHyunPark 4 ай бұрын
@@Kinglang100 이게 유럽 열강이 이상한 선긋기로 다 잘라놔서 부족도 어마어마하게 많고 종교도 다 다르고 그런데 지 맘대로 그으니까 분열에 내전까지 다 터지는 거임
@sody3
@sody3 4 ай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가 민주화 산업화된 동시에 50년도 안되서 이룩한 게 진짜 대단한거임;
@Love80400
@Love80400 4 ай бұрын
대단한 만큼 부작용이 저출산 자살율 삶에 만족도 청소년 행복지수 전부 꼴찌
@Kuper_Khoe
@Kuper_Khoe 4 ай бұрын
맞지 부작용을 지금 제대로 맞고 있음 사람이 기계처럼 일했으니 빨리 발전했지만 정작 사람처럼 살지 못하게 된 구조적 결함이 뿌리깊게 박힘
@user-jo7my6ol2n
@user-jo7my6ol2n 4 ай бұрын
@@Kuper_Khoe뭐가 인간답게 못사는거냐 밥이없냐 하루종일 일을하냐 좀 배부른소리좀 그만해라 ㅈㄴ 잘살고있으면서
@user-ib9kf8fn6r
@user-ib9kf8fn6r 4 ай бұрын
미국이 억지로 산업화 민주화 떠맥여준 걸 즈그 실력이라 망상해봐야 저출산으로 20년 안에 망할 시한부국가인데? ㅋ
@ori5581
@ori5581 4 ай бұрын
그냥 미래 에너지를 단기에 쫙 끌어쓴 느낌 이제 지쳐서 골골대는거고
@user-ei2on1iq5s
@user-ei2on1iq5s 4 ай бұрын
요하네스버그에서 온 남아공국적 친구한테 직접 물어본 적이 있음. "야 너네나라 치안 위험하다는데 어느정도임?" 돌아오는 답이 "살인, 강도 같은건 너무 당연해서 뉴스도 안나오고 경찰서가 갱단한테 털려도 경찰들은 아무것도 안한다. 24시간 중에 20시간 이상 정전이어서 뭘 할수도 없다."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4 ай бұрын
😫😫😫😫😫😫😫😫
@TWR815
@TWR815 4 ай бұрын
유언비어 오지네 ㅋㅋㅋ 많아야 4시간이 정전이지 무슨 20시간이 정전이야 ㅋㅋ
@user-wu6yf2cg7l
@user-wu6yf2cg7l 4 ай бұрын
​@@TWR815 너병신이면글내려걍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4 ай бұрын
​@@TWR815남아공, 에너지 위기로 최소 6시간 씩 정전 ㅡ kbs뉴스 ‘하루 10시간 정전’ 남아공, 석탄 화력발전소 폐쇄 연기 시사 ㅡ 이투데이 "하루에 10시간 암흑"…최악 전력난 남아공, 국가재난사태 선포 ㅡ 서울경제 니는 무식한기가 아님 게으른기가?
@NAMSU_
@NAMSU_ 4 ай бұрын
니가 가봤냐?​@@TWR815
@warnnie
@warnnie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 말라위라는 나라의 거주자입니다. 남아공과 가까운 내륙국 거주자 입장에서는 남아공이 오히려 천국입니다. 그래서 필요한 거 쇼핑하러 놀러가죠. 요하네스버그는 치안 막장이라 거기는 가 본 적은 없고요. 대체로 케이프타운이나 더반은 치안이 그럭저럭 괜찮았어요. 하지만 아프리카 나라들에서는 기본적으로 자기 보호를 위해서라도 자차로 움직여야 합니다.
@wooseoklee5129
@wooseoklee5129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는 어디서든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잘 터지나요?땅덩이 그렇게 크면 설치망 비용 꽤 나올텐데 궁금하넹.
@BeeHeeM
@BeeHeeM 4 ай бұрын
님이 거기살면서 불만 갖지말고 감수하고 사세요 관심없습니다😊
@wooseoklee5129
@wooseoklee5129 4 ай бұрын
@@BeeHeeM ??
@Mark-Hur
@Mark-Hur 4 ай бұрын
@@wooseoklee5129 남아공 나미비아 보츠와나 짐바브웨 잠비아 가봤는데 다 잘 터짐
@user-ds1sp2rk5q
@user-ds1sp2rk5q 4 ай бұрын
@@BeeHeeM 그럼 지나가셈 누가 님보고말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g7vo9iu6c
@user-eg7vo9iu6c 4 ай бұрын
지난 달 요하네스버그 경유하는데 밤 시간이었습니다. 공항 밖으로 나가려고 하니까 직원이 나가지 말라던게 생각이 나네요...
@user-ip3cn8id3g
@user-ip3cn8id3g 3 ай бұрын
누가 물어봤나요? 상식이 없으시네요... 이럴 시간에 본인 인생이나 신경 끄시는게 어떨까여? 고졸이신가...
@HanJimin0910
@HanJimin0910 3 ай бұрын
​@@user-ip3cn8id3g 오 자기소개
@per5443
@per5443 2 ай бұрын
​@@user-ip3cn8id3g장애?
@IlllIllllllIlllllllll
@IlllIllllllIlllllllll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user-ip3cn8id3g
@abnormality5559
@abnormality5559 Ай бұрын
​@@user-ip3cn8id3g어 꺼져 ㅋ
@HwangYeNa
@HwangYeNa 4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뿌셔뿌셔
@뿌셔뿌셔 4 ай бұрын
단순히 남아공의 상황을 알게 된 것 외에도 배울 게 많은 영상이었습니다.
@user-kd6eo3hl3j
@user-kd6eo3hl3j 4 ай бұрын
남아공 봉사로만 2번 갔다왔는데 참 묘한 나라임 주요 도시는 한국 소도시 못지않게 꽤 발달 되어있지만 차 타고 좀만 나가면 바로 판자촌 나오고 일 하는 사람들은 흑인들인데 쩐주는 거진 다 백인들 좋은 동네 좋은 학교 다니는 애들도 거의 다 백인들 돈 많은 백인이 참 많았던 나라 봉사 갔던 흑인들이 다니는 학교랑 놀러갔던 백인들이 다니던 학교랑 시설을 비롯해서 분위기 차이가 많이 대비됐었음
@GalamandeunBae
@GalamandeunBae 4 ай бұрын
나도 중학교 다닐때 남아공 봉사갔었는데 요하네스버그 케케이프타운은 삐까번쩍 한데 차타고 나가면 슬레이트로 만든 집 나오고 그랬음
@KSST-111
@KSST-111 Ай бұрын
원래는 아프리카의 호주 뉴질랜드 미국 케나다 마냥 흑인들 소멸시키고 백인 이주민 받아서 백인 국가화 시키려고 했었어서 그럼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28 күн бұрын
봉사는 무슨 ㅋ 가지말라면 좀 가지마
@Dahlcom22
@Dahlcom22 4 күн бұрын
머나먼 아프리카까지 가셔서 무슨 봉사를 하셨나요?? 종교활동은 제가 너무 혐오해서.. 그 외 기여할 수 있는 해외 봉사활동이 있다면 참가해보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참여할 수 있나요?? 제가 정보가 없어서.. ㅜㅜ
@sung-uklee3656
@sung-uklee3656 4 ай бұрын
전세계의 주요 제조업들이 저렴한 인건비를 찾아 중국 동남아, 인도를 거쳐 결국에는 아프리카로 제조시설이 옮겨가 아프리카 국가들도 비교적 소득이 늘게 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다 순진한 생각임. 아프리카로 제조시설이 넘어가기 전에 로봇이 대체할 것임.
@blackwell1201
@blackwell1201 4 ай бұрын
아..그럴수도 있겠네요..ㅠㅠ 갠적으론 인건비 영향으로 전 세계가 중국 정도는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앞으로 기술력 때문에 개도국들은 더욱 희망이 없어질듯 합니다..ㅠㅠ
@normal77079
@normal77079 4 ай бұрын
제조시설을 옮기기에 환경도 안좋고 아시아처럼 교육에 집중하는 지역이 아니라서 어떻게 해볼 수 있는 지역이 아님.
@isgodtnt7292
@isgodtnt7292 3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는 국가정신보다 부족정신이 강해서 자기부족들 소이익만 챙기느라 그런거 신경 못쓸듯.
@lllool8404
@lllool8404 Ай бұрын
​@@normal77079 아시아 국가들같은 교육열이 일부 부족 제외하면 너무 부족
@KSST-111
@KSST-111 Ай бұрын
애초에 동남아 인도로 절대 다 못 옮김 왜냐하면 중국 정도로 기반시설 되어있는 나라 없고 동남아 인도 같은 곳들보다 해외 기업이 들어가기도 쉬움 그리고 아무리 인권비 싸도 중국 노동자 1명이 거의 동남아 인도애들 50명 정도 일함
@dianageumamin5187
@dianageumamin5187 4 ай бұрын
현재 케이프타운에 살고 있는데 전기 나가는 걸 로드쉐딩이라고해요. 스케줄 따라 미리 미리 잘 해놓는 편이고 몇몇 집들은 태영열이나 배터리가 있어서 전기가 끊기지 않고요. 케이프타운은 할것도 많고 볼것도 많아서 좋은 편이에요.
@user-ex2kj9hi8s
@user-ex2kj9hi8s 4 ай бұрын
지식한입! 오늘도 정말 인사이트 가득한 영상 감사합니다! 고3이라서 따로 책을 읽거나 뉴스를 읽거나 할 시간을 없는데, 국제 사회의 일들을 쉽고 재밌게 영상으로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은거 같아요!! 혹시 지금 가장 이슈라고 할 수 있는 의대 정원 증원에 관한 이슈들도 다뤄 줄 수 있나요? 지식한입의 영상으로 보면, 더 객관적이고 쉽게 이해 할 수 있을거 같아요!!❤
@user-rr6st6fe2b
@user-rr6st6fe2b 4 ай бұрын
미국에서도 어떤 사건 사고가 이슈가 되고 흑인들이 그걸로 인해 인종차별 당했다 싶으면 그 사건 사고를 일으킨 상대를 욕하고 비난 해야지 걸핏하면 아무 상관없는 마트나 유명 브랜드 매장 혹은 한인들 가게문을 깨부시고 물건 훔쳐가고...저런 도둑질 하고 싶어서라도 매일 인종차별 사건 생기라고 고사 지내는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막무가내 약탈행위....그런거보면 차별 당한게 안쓰럽고 불쌍해서 동정해 주고 싶다가도 오만정 떨어지고 저러니 차별 당하지 싶은 생각도 들어요😢😢😢
@aspiresamori9696
@aspiresamori9696 4 ай бұрын
흑인들이 권리라고 생각하는 거죠.
@zkwkfjejiw8819-
@zkwkfjejiw8819- 2 ай бұрын
흑인 사회의 빈곤층 대부분이 가난의 대물림을 받아서 범죄나 마약 등 안 좋은 길로 빠지기 쉽다고 하네요 심지어 흑인들도 범죄를 백인 때문에 저지르는 게 아니라(물론 인종차별 억압에 대한 저항 수단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도 있을 수 있지만) 같은 흑인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게 흑인의 정체성이니 뭐니 등 기적의 논리를 설파하면서 가스라이팅하는 사람도 있다는 내용을 본 것 같아요 범죄는 사회화가 되지 않은 사람들이 도덕 관념의 부재로 인해 사회 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로서 흑인 빈곤층들이 양질의 교육을 못 받는 것도 범죄의 원인이 됩니다. 물론 작성자님께서 보시기에 범죄라는 행위는 반감을 사는 건 맞습니다..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본인 스스로가 인간다운 규격을 갖추고 정해진 사회 규범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야 사람으로서의 예우와 존중을 받아 마땅하다고 봅니다. 정말 범죄를 저지르지 않고 백인, 아시아인 등 인종 가릴 것 없이 사람 자체를 사람으로 여기시는 선량하신 흑인 분들도 계시긴 할 텐데 흑인들 중에서도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의 여파로 '흑인'이라는 인종에 대한 부정적 스테레오타입이 덧붙는 것 같아요.. 당장 미국에서도 아시안은 범죄와 거리가 멀기 때문에 미국 경찰들은 아시안을 경계하거나 특별 조치를 하지는 않지만 흑인이나 히스패닉 등은 경계를 하는 경우가 많죠 아무튼 제 글의 요지는 인종 갈등이 최소화되고 서로가 서로를 상호 존중하면서 공생하는 이상론이 실현되기를 바랄 뿐이에요.. 아직도 미국은 인종차별 이슈가 많으니까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1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2002년 한일월드컵 때 자동차 위에 올라가서 부수고 성추행하는 놈들 많았잖음
@user-lc7ue5td3w
@user-lc7ue5td3w 4 ай бұрын
잘 보고있습니다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지식한입님 혹시 최근에 의대 정원이 늘어나려고 하는데 의사협회에서 반대하는 이유 에대해 영상만들어 주실수 있나요??
@user-vz7qb4yi7z
@user-vz7qb4yi7z 4 ай бұрын
당신이 몰랐던 이야기에도 이 주제로 올라왔네요
@user-dx8ro8jx8j
@user-dx8ro8jx8j 4 ай бұрын
남아공 출신 배우 샤를리즈테론
@onekyulo
@onekyulo 2 ай бұрын
안타까운 현실인데 흑인이 주도한 나라 중에 잘 된 경우를 보기가 힘들다. 어느 인종이나 개인마다 차이는 존재한다 다만 전체적인 통계로 봤을 때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문제는 흑인 사회는 부유한 미국에 있던 유럽에 있던 가난한 아프리카에 있던 교육률 낮고, 범죄율 높고, 권력 가지면 부패한다는 건 변함이 없다. 흑인이 과거 노예제의 피해로 그 여파가 남아서라고 말하기엔 이미 너무 긴 시간이 지났고 더 늦게 같은 차별을 받으셔 이민 간 아시아인이나 중동인과 비교해도 그 차이가 심하다. 이제는 과거 문제로 치부하기 보단 자기들 스스로 문제점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하기사 스스로 돌아볼 능력이 있었으면 이렇게 개판이 되지도 않았겠지
@normal77079
@normal77079 4 ай бұрын
남아공은 진짜 개막장국가임. 흑인과 인종차별을 대놓고 명문화 시켜 저지른 나라인건 나중에 알고 정말 놀랬음. 엘리시움을 워낙 재밌게봐서 디스트릭트도 좀 분위기가 오묘하게 비슷하다 생각했는데 같은 감독인건 처음 알았음.
@JRino-sk7kl
@JRino-sk7kl 2 ай бұрын
뉴질랜드에는 남아공에서 온친규들이 정말 많은데 듣기로는 돈많은 기득권층들을 위한 도시나 마을들이 거의뭐 요새처럼 되어있다고 하더라고요. 그것도 관문이 엄청많은 요새.
@user-do4yq9rm8f
@user-do4yq9rm8f 4 ай бұрын
디스트릭트9 진짜 명작
@NoveltyPulseHub
@NoveltyPulseHub 4 ай бұрын
뉴질랜드에서 생활 할 떄 남아공에서 온 애들이랑 같이 친하게 지냈던 적 있는데 그친구들 이야기 들어보면 남미보다 심각한거 같았음.. 아프리카는 여행 접근성이 멀어서 와닿지는 않지만 꼭 한번 가보고 싶음 .... 남미나 남아공이나 음식으로 치면 냄새나는 홍어 먹는 것처럼 위험하지만 여행 환상이 너무 큼
@feverpitchxx
@feverpitchxx 4 ай бұрын
브라질 아르헨 우루과이 칠레는 갈만해요
@C1608X7
@C1608X7 4 ай бұрын
❤❤
@yumichan3449
@yumichan3449 4 ай бұрын
남아공 하면 시드니 셀던의 소설 개임의 영왕이 생각납니다. 그 소설의 첫무대가 19세기말 남아공인데 그때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 나라라는게 놀랍네요ㄷㄷ
@user-ku2oo6ry5o
@user-ku2oo6ry5o 4 ай бұрын
현실이 sf영화를 뛰어넘음 요즘 물가 미쳤음
@strusinskakasia2831
@strusinskakasia2831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 여행하면서 느낀건데.. 남아공은 아프리카 선진국이 맞다는것이었습니다. 아프리카 대부분의 국가는 물가가 비싸고. 돈이있어도. 필요한걸 국내에서 구하기 어렵습니다. 남아공은 저렴한 가격에 좋은 품질의 상품들이 많습니다. 호텔도 아프리카 여타국가에 비해서. 시설이 좋고 가격도 저렴합니다. 아프리카 다른나라에서 남아공 가면 문명사회로 온것처럼.. 숨통이 틔이는 느낌이에요. 그리고 아프리카인의 얼굴이 정말 다양하다고 느낀게.. 동양인처럼. 가는눈을 가진 아프리카인도 많있고. 또. 양산을 쓰는 사람도 않았다는게 특이한점이었어요.
@username-iq1nt
@username-iq1nt 3 ай бұрын
진짜 아무리 위험하다고 해도 남아공 인프라는 다른 아프리카 나라에 비해 차원이 다름. 대도시는 유럽이라 다름 없음
@KSST-111
@KSST-111 Ай бұрын
​@@username-iq1nt왜냐하면 호주 뉴질랜드 마냥 백인 국가로 테라포밍하려고 해서 그럼
@isgodtnt7292
@isgodtnt7292 Ай бұрын
미국, 캐나다, 호주,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는 원주민들 몰아내고 백인국가 되는게 성공했음
@user-dt8tg5of4m
@user-dt8tg5of4m Ай бұрын
1998년 20대 후반 일때 남아공 케이프타운, 더반, 요하네스버그에 출장을 갔었는데 흑인과 백인들 사는집에 엄청 차이가 나서 충격 먹었던게 생각 나네요. 백인들 사는 구역에 전기 담장과 벤츠, 포르쉐 차가 주차되어 있는 동네와 맨발로 걸어 다니던 흑인들.
@leedoc512
@leedoc512 4 ай бұрын
얘전에 남아공 월드컵 때 "요하네스버그에서 강도 맞을 확률 150%" 이야기 있었음. 호텔 나와서 밖에 나가면 무조건 한번 털리고, 그다음에 돌아오는 길에 한번 더 털릴 확률이 50%.
@ryoma1898
@ryoma1898 4 ай бұрын
할아버지가 아프리카 갈때마다 경찰이나 보안요원이랑 같이 움직이는게 이해가 가네요
@g.2004
@g.2004 4 ай бұрын
할아버지가 누군데용?
@isgodtnt7292
@isgodtnt7292 3 ай бұрын
할아버지 대단하네
@eunkyu
@eunkyu 4 ай бұрын
@Himeki_Meru
@Himeki_Meru 4 ай бұрын
저기가 아프리카에서 상황이 가장 좋으면 콩고민주공화국이나 남수단 같은 나라들은 얼마나 막장인 거냐..
@Walkwalkwalk-tc8gc
@Walkwalkwalk-tc8gc 4 ай бұрын
백인 흑인 아프리카 하자마자 남아공부터 생각났다 ㅋㅋ
@jacobkim6821
@jacobkim6821 4 ай бұрын
인도네시아 관련 영상 해주실수있나요? 98년도 화교학살을 비롯해 국민성이 온순한데 반면 집단행동시 굉장히 폭력적인 성향이 있고 정치도 복잡한거 같구요.. 궁금합니다!
@KSST-111
@KSST-111 Ай бұрын
그쪽 동내 국민성이 내로남불이라
@wndwlszz
@wndwlszz 4 ай бұрын
다른유튜버랑 비슷한시기에 비슷한내용으로 겹치는경우가 있어보이는데 연관이 있나요??
@parkgold1
@parkgold1 4 ай бұрын
일론 머스크 그는 대체... 몇수 앞까지 보시고 미국으로 온겁니까...
@Bbrnbrbrne
@Bbrnbrbrne 4 ай бұрын
군대가기싫어서 탈출한거
@user-pz7vs7me6y
@user-pz7vs7me6y 25 күн бұрын
원문 내용대로 한다면 대표적인 백인 기득권층 아닌가? 인종차별철폐한지가 30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백인기득권 타령하니 발전 할 수가 잇나
@lootd7041
@lootd7041 4 ай бұрын
중산층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려주는 영상이군요
@user-df4ux7nh6x
@user-df4ux7nh6x 4 ай бұрын
목숨걸고 투쟁하고 목숨걸고 바꾸려는 시도를 해주셨던 우리 조상님들께 감사함을 표합니다
@user-kp1iv9fu9l
@user-kp1iv9fu9l 19 күн бұрын
언제까지 현실을 보고 말하는 사람들에 대해 인종차별이란 프레임만 씌우고 다닐까
@MelodySorrow
@MelodySorrow 4 ай бұрын
이런걸 볼때마다 국가 내의 빈부격차도 문제지만 국가 간의 빈부 격차도 좁혀지긴 힘들듯....
@sangjinlee6562
@sangjinlee6562 4 ай бұрын
20년 전에 남아공에 여행을 갔었는데, 당시에는 케이프타운은 돌아다닐만 했습니다. 도시도 깨끗하고 분위기도 좋더군요. 단, 요하네스버그에서는 호텔과 카지노 바깥으로 나가지 말라고 하더군요.
@zkwkfjejiw8819-
@zkwkfjejiw8819- 2 ай бұрын
치안이 매우 위험해서 남아공 사시는 현지인 분께서 차를 타도 위험하다고 하시더라고요 막 창문 깨고 물건 훔쳐 가고 심한 경우에는 사람의 목숨을 잃게 하는 일까지 비일비재..
@KSST-111
@KSST-111 Ай бұрын
20년 전이면 아직 아파르트헤이트 폐지된지 얼마 안되서 가능한것
@bev3027
@bev3027 4 ай бұрын
저는 조벅은 아니고 케이프타운에서 혼자 어학 연수 생활을 잠깐 했었는데 그 때 학교 주변임에도 약에 취해서 길거리에서 자고 있는 사람도 봤고 무리 지어 다녀서 돈 좀 달라 면서 안주면 주머니에서 지갑이나 물건들 훔쳐가는 일도 적지 않았습니다.. 경찰에 신고해 본 적은 없지만 경찰 시스템이 부실하다고는 많이 들었어서 항상 조심해야 하긴 합니다.. 거주하기에는 참 안전하지 않은 곳인데 그래도 며칠 간은 놀기에는 좋은 게 공기도 좋고 여름엔 많이 안 덥고 시원하고 겨울엔 비교적 많이 따듯해서 어디 다니든 좋습니다. 좀 땅덩이가 커서 차에서 기본 너덧시간은 보내야 해서 지루한 감이 있지만 희망봉 같은 자연 풍경이 예뻐서 여행으로는 가이드 동원해서 다니면 한번 즈음은 가볼 가치가 있는 나라입니다
@ParanCafe
@ParanCafe 2 ай бұрын
영상을 x배속으로 틀어놓은 줄 알았네ㅎ
@user-en2kq1en2v
@user-en2kq1en2v 3 ай бұрын
굿
@pp0ppoable
@pp0ppoable 4 ай бұрын
인종별로 특성이란게 있다 차별만 했다고 할게 아니라 왜 그럴수밖에 없었는지를 알아야 함
@user-ml7or1cz5b
@user-ml7or1cz5b 2 ай бұрын
사실 남아공이 아니라 세이셸 아프리카 최고 부국입니다. 대륙부만 따지면 가봉이고요
@manwali
@manwali 4 ай бұрын
아, 이런 데 가서 유튜브 찍다가 털려서 영상 올린 친구를 며칠 전에 본 듯.
@gimjake1844
@gimjake1844 4 ай бұрын
남아공에서 10년 정도 살다가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나라가 곧 망할 것 같아서요. 위험한 곳만 가지 않으면 다칠 일은 없겠지만 그래도 다른 나라 많은데 이제와서 굳이 남아공을 다시 갈것 같지 않네요.
@KGJ-user
@KGJ-user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높은 세이셸에 대한 영상도 부탁드립니다. 아프리카이고 백인 독재자의 지배를 받은 역사가 있는데도 부패인식지수가 우리나라보다 높더군요.
@KSST-111
@KSST-111 Ай бұрын
토착민 사멸하고 이민자들 국가됨 세이셸은
@botanaebi
@botanaebi 4 ай бұрын
인종차별이라기엔 통계가... 아닙니다~
@user-jd3nl7ve4q
@user-jd3nl7ve4q 4 ай бұрын
ㄹㅇ 무법천지 지옥이 따로없노 ㄷㄷ
@observer00700
@observer00700 4 ай бұрын
저 나라는 아직도 저런식이라면 국제적인 이슈로 요즘에도 안나올려나...
@AliceDeRoux
@AliceDeRoux 4 ай бұрын
디스트릭트9 영화 재밌게 봤었는데
@user-kp5zs1jq8g
@user-kp5zs1jq8g 3 ай бұрын
천하의 "간디"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기차 탔다가 유색인종이라고 "너 다른 칸으로 가" 해서 현타가 왔다는 건 너무 유명한 얘기죠.
@IlIIIllIlIllllIlIlll
@IlIIIllIlIllllIlIlll 4 ай бұрын
왜 다들 결국 그쪽으로 빠지는걸까
@cklee3586
@cklee3586 4 ай бұрын
어학원들 백인이랍시고 광고하는데 대부분 남아공 무시하는게아니라 백인사대주의인지 많이모자라보임
@Ima184mm
@Ima184mm 2 ай бұрын
어? 지금도 영국 수출 금액 비중에서 금이 많이 차지하던데? 혹시?
@ekchiefify
@ekchiefify 4 ай бұрын
만델라도 해결못한...
@user-wn5be1st4u
@user-wn5be1st4u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는 대양의 시대 이전까지는 원시 부족사회 였고 식민지 수탈을 200년 이상 격어오다가 정상화 되려면 자원을 가지기 위해 구테타와 내전이 끊임없이 일어나니 발전하기 어려웠을 듯!!
@ryeong90229
@ryeong90229 4 ай бұрын
대양의 시대가 아니라 대항해시대 아닌가용
@gbjy192
@gbjy192 4 ай бұрын
이집트문명 생길때 우리나라 뭐였는지 생각해보고 글좀 써라 ㅋㅋㅋ
@sosososososo4148
@sosososososo4148 4 ай бұрын
걍 흑인들은 문명과 어울리지 않음 걍 초원에서 우가우가 하면서 ㅈ만 가리고 야생동물들 사냥해서 살아야 되는 애들한테 억지로 현대문명을 입혔으니 되겠냐
@sosososososo4148
@sosososososo4148 4 ай бұрын
​@@gbjy192이집트는 흑인이 아니자나
@Rishe_Irmgard_Weitzner_
@Rishe_Irmgard_Weitzner_ 4 ай бұрын
​@@gbjy192이집트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모든다른문명을 미개부족으로 만들만큼 찬란했지. 그땐 그때고 지금은 지금이지
@user-dg2kg4ht7n
@user-dg2kg4ht7n Ай бұрын
근데 이게 차이가 센다르크집안은 다달이 수입이나고 또 성향이 베푸는스타일이라 또 나가는게많은데 석천이형은 자기거굳게지키자나
@pocjuman
@pocjuman 4 ай бұрын
이런거보면 아무리 욕을해도 솔직히 우리나라만큼 살기좋은곳도 많이 없는게 사실이다 ㅎㅎ
@user-kp5zs1jq8g
@user-kp5zs1jq8g 3 ай бұрын
와~ "지식한입"이 이정도라구? 지식 한도가니인 것 같은데.
@everygachi
@everygachi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인데 말씀이 너무 빨라서 정신이 없네요 ㅠㅠ 조금 아쉬워서 댓글 남겨봅니다
@user-bz8ot5ht5j
@user-bz8ot5ht5j 3 ай бұрын
9:28 격차... 할당제.. 인구이탈.. 이거 흠..
@isgodtnt7292
@isgodtnt7292 3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에서 제일 잘 사는 나라는 그 바로위에있는 보츠와나와 나미비아 입니다. 아니면 대서양쪽에 섬나라인 카보베르데와 그 옆에 자원부국인 가봉.
@故_라니
@故_라니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에서 좀 친다길래 살만한 나라인가 싶었는데 생각보단 심각하네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Ай бұрын
남아공 궁금하고 가고 싶은 나라 중 하나인데, 그 마음이 좀 없어진 것 같기도...
@honey_lamb
@honey_lamb 2 ай бұрын
벨 델핀(아헤가오녀)도 남아공 출신이다.
@jinpark3818
@jinpark3818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운동권이랑 비슷하네
@user-cy1yj6wc8n
@user-cy1yj6wc8n 4 ай бұрын
침략자들한태 나라를 갈취당한뒤 독립을 했음에도 침략자들의 자손들이 나라의 모든 부를 움켜쥐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상상만 해봐도 억울함과 분노 그리고 절망감이 얼마나 깊게 느껴질지 상상도 안되네요. 인종을 떠나 같은 사람으로써 생각해본다면 저곳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은 불가피한거라 생각됩니다.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28 күн бұрын
갈취 안 당했으면 잘 살았을까? 주변국을 보고 비교 해 보면 되죠. 생활수준 지금이 나을걸?
@sfk1031
@sfk1031 4 ай бұрын
국민성이 바뀔려면 100년은 걸리는데 투자하라고 하면 투자할까? 손해배상 해줄것도 아니고 평생 영국탓이나 하다가 영국탓이나 하겠지.
@chichi-os1fk
@chichi-os1fk 3 ай бұрын
존스홉킨스 의대생의 경험담 .. 병원에서 의사의 진료에 불만을 가진 환자가 총으로 담당의사를 죽이고 난동을 부릴때 재빨리 대피한 다른 의사나 간호사들 한두번이 아니라는듯이 갇힌 공간에서 여유롭게 모두 휴대폰이나 들여다보면서 침착 했다나 .. 존스홉킨스 바로 옆동네가 최악의 빈민가여서 늘 껵는 일이라고 .
@user-jj1bm1ey7j
@user-jj1bm1ey7j 3 ай бұрын
빈곤층 흑인들은 백인이 지배했을 때가 더 좋았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때는 백인들이 최소한 굶지는 않도록 기본적인건 챙겨줬으니까.
@user-koeis
@user-koeis 4 ай бұрын
서로 약탈하면서 평생 살아라
@llIlIlllIllllIlIl
@llIlIlllIllllIlIl 4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태어나 참 다행이다
@bmonkey5551
@bmonkey5551 10 күн бұрын
여기도 씨발 치안빼곤 그닥
@antonylee220
@antonylee220 4 ай бұрын
If you will have possible, it is to avoid going to have to India or South Africa. If you might have to go, please you stay within the hotel. If you will be feeling it with your full body, don't listen to my saying and trying. If you will seen a crime to the place , you might make your senses.
@sam-chon
@sam-chon 4 ай бұрын
1:05 인종 구성 단위가 % 로 잘못 표기돼 있네요
@user-nj8pc5qf1z
@user-nj8pc5qf1z 4 ай бұрын
진짜 영국은 빠지는 곳이 없네 ㅋㅋ
@Ima184mm
@Ima184mm 2 ай бұрын
부패 심하면 발전에 한계는 명확함
@magnus51130
@magnus51130 7 күн бұрын
이정도면 그냥 다시 네덜란드나 영국 따까리로 돌아가는 게 맞다.
@y2k42
@y2k42 4 ай бұрын
필리핀 두테르트 같은 인물이 필요할 때네
@kph665
@kph665 4 ай бұрын
촟프리카가 뭐 거기서 거기지
@chasuchasuramen
@chasuchasuramen 4 ай бұрын
진짜 힘든거긴한데 저런나라는 능력있고 청렴한 독재자가나와서 싹 갈아엎어야함 물론 그게 엄청나게어려운일이긴하지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p1oz3vl4f
@user-lp1oz3vl4f 3 ай бұрын
실제 흑인뿐 아니라 백인빈민들도 상당하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limboys2
@limboys2 4 ай бұрын
교육의 중요성
@user-ug5qg7wm8m
@user-ug5qg7wm8m 4 ай бұрын
형님! 의대증원에 관해서 다뤄보실 생각 없으십니까?
@singyu.k9047
@singyu.k9047 4 ай бұрын
저런데는 가는게 아니다..
@urazealot
@urazealot 28 күн бұрын
익스트랙션에 크리스 정도 되는 무력이 있어야 살수 있겠구만...
@LinksArc
@LinksArc 3 ай бұрын
아프리카와 미국 흑인의 범죄를 보먄 볼 수록 흑인이 참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user-pd1wp9cr6p
@user-pd1wp9cr6p 4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대한민국에서 태어나서 살아가서 다행이고 행복합니다
@death1228
@death1228 4 ай бұрын
10년 후에는 그런 생각 안들걸??
@user-xz6ue7sk7b
@user-xz6ue7sk7b 4 ай бұрын
헬국가에 영국은 안끼는곳이 없네 진짜
@user-km9it4uq9k
@user-km9it4uq9k 4 ай бұрын
사실 여긴 너덜란드가 먼저 차지하고 인종차별 정책 벌이다가 영국한테 먹힌거라 시작은 네덜란드임
@rooosisii7439
@rooosisii7439 4 ай бұрын
사실상 저긴 영국이 더 개입했어야 했다고 봄..
@user-ur8ng9if4g
@user-ur8ng9if4g 4 ай бұрын
트로이시반도 남아공
@llIlIlllIllllIlIl
@llIlIlllIllllIlIl 4 ай бұрын
희망봉은 그런뜻이 아니라 밑도 끝도 없이 내려가다 드디어 꺾어지는 지점이 나왔다고 해서 희망봉인데요
@popoj5707
@popoj5707 4 ай бұрын
남아공 허구헌날 계획정전(로드쉐딩)에 안좋은 치안으로 살기 좋은 나라가 아님.. 아프리카에서 잘 사는축이라도 이렇다는거..
@jkp99999
@jkp99999 2 ай бұрын
만델라가 아니라 데 클레르크가 더 대단한 사람 아녀?
@user-mc3xg8wb5d
@user-mc3xg8wb5d Ай бұрын
어찌보면 그렇지유
@user-dg2kg4ht7n
@user-dg2kg4ht7n Ай бұрын
이건 ㅇㅈ 석천이햄 클라쓰~
@BurningDanmuji
@BurningDanmuji 4 ай бұрын
조벅.. 무시무시하죠. 남아공이 아프리카에서도 딱히 치안이 좋은곳은 아니라..
@user-gn8cg9ti5p
@user-gn8cg9ti5p 4 ай бұрын
그냥 아프리카는 이집트 튀니지 나미비아 이런데 말고는 가면 안 됨
인도란... 어떤 곳일까?
12:31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아프리카에 웬 새마을운동?
12:01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490 М.
FOOTBALL WITH PLAY BUTTONS ▶️❤️ #roadto100million
00:20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63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64 МЛН
돈 많다고 자랑하는 거야 뭐야
10:54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772 М.
한국 제일 부자였던 누님
11:03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265 М.
콧대 높은 프랑스, 이유가 있구나?
13:12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810 М.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용두사미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인도라는 나라가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 (결말포함)
27:39
민족의 영웅인가 독재자인가 박정희 인생/일생
16:17
당신이 몰랐던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969 М.
독재자가 이렇게 무섭습니다
13:19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Бенчику не было страшненько!😸 #бенчик #симбочка #лето
0:31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КАК ОН РАССТРОИЛСЯ СНАЧАЛА 😂😂😂 #пранк #юмор
0:36
СЕМЬЯ СТАРОВОЙТОВЫХ 💖 Starovoitov.family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