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드디어 TRAPPIST-1을 관측했습니다! | 그 결과를 최초로 공개합니다

  Рет қаралды 385,542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Жыл бұрын

👍 #제임스웹 #트라피스트 #TRAPPIST #외계행성 #외계생명체 #jameswebb #jameswebbspacetelescope #nasa #jwst #천문학 #우주 #exoplanet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www.stsci.edu/files/live/site...
www.stsci.edu/jwst/science-ex...
www.stsci.edu/files/live/site...
www.nature.com/articles/d4158...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515
@sword1244
@sword1244 Жыл бұрын
새해 첫영상 좋다 좋아
@chk9016
@chk9016 Жыл бұрын
이런 연구를 할 수록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은 우주에 대한 열망보다는 지구에 대한 소중함을 더 깨달아야 한다. 우리에게 있어서 이렇게 완벽한 조건을 갖춘 행성이 또 있을까?
@annaarendelle168
@annaarendelle168 Жыл бұрын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2023년도 잘 부탁드립니다 :)
@gemem33
@gemem3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습니다
@user-sk4gk2zu5i
@user-sk4gk2zu5i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롭네요 이런 방식으로 조만간 생명체를 찾을 수 있을 듯 합니다 너무 기대되요
@arindaddy83
@arindaddy83 Жыл бұрын
100만 구독자 이상까지 반드시 가야만 하는 채널. 분명히 어느 순간 확 늘어날겁니다. 2023년에 그렇게 되기를 바라봅니다. 주변에 늘 유튜브 1순위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트라피스트 재밌어요 (Happy new year)
@ChunJoStockMan
@ChunJoStockMan Жыл бұрын
빠르고 정확한 정보 감사합니다... 제가 원하던 즐거운 영상이었습니다. 트라피스트 행성계에 외계생명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니 실망했지만, 아직 우리에겐 프록시마-b 센타우리가 있습니다... 아직 기대를 버리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제임스 웹이 생각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주는군요.. ㅎㅎㅎ😄 이 영상뒤에 즐거운 상상을 위해 알파 센타우리에 있는 판도라 행성 영화나 볼려고 합니다.
@betweenthegalaxyandthevoid
@betweenthegalaxyandthevoid Жыл бұрын
이 항성계에 외계생명체가 존재하지 않는지 아닌지는 아직 모르죠
@TuftedCloud
@TuftedCloud Жыл бұрын
ㄷㄷㄷㄷ
@user-vk9tw6rc3e
@user-vk9tw6rc3e Жыл бұрын
,
@user-xj3cn9dp2m
@user-xj3cn9dp2m Жыл бұрын
외계인은 없습니다 좀 단순하게 생각하세요 그 많은 ufo 외계인 음모론 다 가짜이고 그 상상할 수 없는 넓은 곳을 봤는데 없잖아요 왜 그 생각은 못하고 무작정 있다고 하는지..
@syh7494
@syh7494 Жыл бұрын
@@user-xj3cn9dp2m 왜 가짜라고만... 생각하는지 님 생각이 더 참신하네 지구에도 수만종의 다양한 생명체가 존재하는데.. 이상하지않아??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GUN_TEETH2
@GUN_TEETH2 Жыл бұрын
트라피스트-1이 적색왜성이기 때문에 모든 행성이 조석고정 되어있어 다이나모 현상으로 인한 자기장 형성 및 유지와 그에 따른 대기권 안정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큰 기대는 안하는게 좋을 수 있습니다
@Erythrocyte1900
@Erythrocyte1900 Жыл бұрын
공상과학에서 묘사된 모습만 봐도 정말 매력적인 게 많은데, 현실 우주에 존재하는 돌덩이 행성의 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user-lm4fn2fn1r
@user-lm4fn2fn1r Жыл бұрын
발성과 특히 발음이 아주 좋습니다 빛을 비츨이 아니라 비슬 등 요즘 발음 뭉게지는 유튜버가 대부분인데 전문 앵커가 들려주는 듯 하네요 정확하게 잘 들었습니다 내용도 말할 것도 없고요😊
@송학운
@송학운 Жыл бұрын
내용이 흥미롭습니다. 많은 지식을 배우고 갑니다.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즐감
@user-fb8mr2ls7t
@user-fb8mr2ls7t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한게 있는데요...빛은 원자로 이뤄져 있나요? 입자설,빛알갱이라는 표현을 하니,당근 원자가 최소 단위이겠죠? 갈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odernetude5750
@modernetude5750 Жыл бұрын
이제 정밀관측만 남은 것이군요.. 적색왜성과의 짧은 공전거리로 인해 플레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감안하면 특히 e와f가 기대됩니다. TRAPPIST-1 항성계는 d,e,f,g가 모두 골디락스존 안에 있어서 우주 로또라고 불렸는데 만약 후속 연구를 통해 지구와 같은 행성이라는 것이 최종적으로 밝혀지면 전세계에 파장이 클 것 같습니다. 만약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더라도 드넓은 우주에 지구와 인간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다시금 깨달을 수 있겠죠.
@user-cy5od6cy1r
@user-cy5od6cy1r Жыл бұрын
형님 실례지만 정체가 뭐예요?
@hortmadeline6524
@hortmadeline6524 Жыл бұрын
거리가 가까워서 플레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뿐만 아니라, 항성 질량도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솔직히 항성 질량이 너무 작아서 훨씬 더 폭발적이고 빈번한 물질 분출이 지속될 것 같은데, 그런 환경에서 안정적인 대기를 유지할 수준의 자기장을 갖고 있다면 그것대로 엄청 놀라운 일이지 않을까 싶네요.
@jwjeong4189
@jwjeong4189 Жыл бұрын
@@hortmadeline6524 트라피스트가 적색왜성이지만 플레어발생이 타 적색왜성대비 1/30수준이라 그나마 기대를했던 부분인데 솔직히 행성들 조석고정때문에 큰 기대는 안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jrodgrey51
@jrodgrey51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그 좁은 영역에서 행성 7개의 궤도가 기막힌 공명으로 유지되는 것부터가 기적...ㅎㅎ
@user-nh4hh1oc8y
@user-nh4hh1oc8y Жыл бұрын
@@jwjeong4189 조석차이가 적으면 생명체 존재여부에 부정적인가요?
@skysacredlight
@skysacredlight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면서 문득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트랜짓 현상을 통해 대기권의 성분을 분석할 때, 행성 대기권을 거치면서 일부 흡수된 별빛의 스펙트럼을 본다고 하셨는데요. 예를들어 지구에서 관측한 스펙트럼에서 수소 성분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이 흡수(?)된 것으로 확인된다고 했을 때, 별빛이 그 행성 대기권을 지나면서 흡수된 것인지, 혹은 그냥 별빛이 지구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다른 성운? 가스? 등을 지나며 흡수된 것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인가요? 멀리있는 별과 지구 사이에 딱 그 행성만 존재한다면, 스펙트럼 흡수의 원인이 그 행성의 대기로부터 온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그 사이에 많은 천체의 영향을 받을 것 같아서요. (행성까지의 거리를 알고있다면, 적색편이를 고려해서 어떻게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답변 드립니다. 외계행성이 별 앞을 가리고 지나가는 현상은 시간에 따라 별 밝기가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이처럼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는 현상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시계열(Time series) 관측이라고 합니다. 변광성 밝기를 쭉 관측하는 것도 이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시계열 관측으로 별 밝기도 함께 쭉 관측하면, 행성이 정확히 별 앞을 가리고 지나갈 때 그 시점이 언제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동안 스펙트럼 분광 관측도 병행합니다. 그러면 별 밝기가 살짝 어두워질 때 동시에 관측된 스펙트럼만 확인하면 정확하게 행성이 앞을 가리고 지나가면서 발생한 스펙트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저 먼 별과 지구까지 빛이 날아오는 동안 당연히 그 사이 끼어있는 성간 먼지나 지구 대기권 성분들도 빛을 흡수합니다. 하지만 이런 성분은 계속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 성분들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서 주기적으로 변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행성이 별 앞을 가리고 있든, 가리지 않든 상관없이 배경 성운, 지구 대기권 성분의 흡수선은 계속 스펙트럼에 고정되어 남게 됩니다. (물론 제임스 웹은 우주 망원경이기 때문에 지구 대기권 효과는 고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계속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흡수선 말고, 딱 정확하게 행성이 별 앞을 가리고 지나갈 때 (밝기 관측에서 밝기 감소가 포착되는 순간과 동시에) 스펙트럼에서 새로 나타나는 흡수선이 있다면 그것은 행성 대기권으로 인한 효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skysacredlight
@skysacredlight Жыл бұрын
@@wz_mz 아하 ㅎㅎ 단발성 관측이 아닌 일정 기간 관측했을 때 변화를 관찰하여 알 수 있는 것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user-lc1mh9vf2w
@user-lc1mh9vf2w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 아직 트라피스트1e,f는 관측결과가 안나왔나요?? E,f가 생명체가 살기 가장 적합하다고 해서 관측결과 금방 나올줄 알고 엄청 기대 많이 하고있었는데 몇달째 소식이없네요.. 찾아봐도 안나오고ㅠㅠ 너무 궁금해요
@user-uc9ip8qb2r
@user-uc9ip8qb2r Жыл бұрын
트라피스트처럼 또 관측해볼만한 외계행성이 남아있나요??
@Wwerhshakzns
@Wwerhshakzns Жыл бұрын
질문하나있습니다! 외계행성 이름에 bcdef붙이는것은 가까운순서가 아니라 발견순서 아니었나요? 트랜짓 방법 특성상 가깝고 큰별이 먼저발견될 가능성이 높지만?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로는, 발견 순서대로 붙이되 동시에 발견된 것은 가까운 순서대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 영상을 만드신 분이 하시는 분야가 은하천문학이고, 외계행성 연구는 다룰 기회가 적어서 영상 제작 과정에서 혼동한 게 아닌가 싶네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발견된 순서와 중심 별로부터의 거리 순서에 따라 이름을 짓는 규칙 모두 함께 적용됩니다. TRAPPIST-1는 가장 처음에 가장 안쪽 두 행성, b, c가 함께 발견되었고, 그 이후에 더 외곽의 d, e, f, g, h 가 동시에 추가로 발견되었습니다. 동시에 여러 개가 발견되면 안쪽부터 바깥쪽 순서로 알파벳을 붙입니다.
@user-nb3he5fu7b
@user-nb3he5fu7b Жыл бұрын
만약에 저 행성이 살 수 있는 조건이 지구와 99.9% 유사하고 저 행성에 도달할 수 있을 항법이 개발되면 인공 달을 만들 기술을 개발하는것 또한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user-is2by9cz6y
@user-is2by9cz6y Жыл бұрын
트라피스트 각 행성들 마다 위성도 몇 개씩 있겠죠?
@user-xp5vq6dm3w
@user-xp5vq6dm3w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보면 진짜 우리 지구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 것 같다. 이렇게 고도로 발전 된 관측 기술로도 생명체를 발견하기 힘든데 이 전 우주에 지구라는 행성이 있어서 우리가 이렇게 살아갈 수 있는게 엄청난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user-by9il6zw8u
@user-by9il6zw8u Жыл бұрын
맞는 얘기이지만, 사실 인간의 과학기술이 아직 미미한 거죠...우리은하에만 행성, 위성이 1조개 이상 있다고 봐야 하는데..과연 그 중에서 얼마만큼 관찰 했을까요? 백만개 관찰했다면 0.000001% 관찰한겁니다..거기에다가 1조개의 행성중 하나만 지구의 환경과 유사한 별이 있어도 우리 우주에는 거의 1조개정도의 지구가 있다고 봐야 합니다...
@bloom_S2_
@bloom_S2_ Жыл бұрын
@@user-by9il6zw8u 맞아요,,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ㅜㅡㅜ
@terryryu1003
@terryryu1003 7 ай бұрын
무식한 소리는 적당히...
@user-xp5vq6dm3w
@user-xp5vq6dm3w 7 ай бұрын
@@terryryu1003 느금^^
@coolhyung4904
@coolhyung4904 5 ай бұрын
​@@terryryu1003뭐가?
@user-fx7im8lv7e
@user-fx7im8lv7e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말이 안된다
@user-im4mz1nd7s
@user-im4mz1nd7s Жыл бұрын
적어도 가스행성은 없다는 결론이네요 그리고 산소농도 짙어지면 빙하기 온다로 들었는데요.. 실제로 1차고생대 석탄기때 이산화탄소 고갈로 겉씨 식물군이 상당히 많이 멸종하기도 했고 지구전체가 얼어버린 대빙하기도 있었고
@user-lm8wb2hr5k
@user-lm8wb2hr5k Жыл бұрын
조금씩 조금씩 발견되는거죠.우주의 비밀이..에너지 활용이 극대화 되고 과학도 그 맞춰 발전 될때 또 다른 인류을 만나게 될 겁니다.
@user-vb1un4xi9h
@user-vb1un4xi9h Жыл бұрын
선생님께서는 51구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이름을 다 붙였는데 관측기술의 발달로 나중에 행성들 사이에 추가로 새로운 행성이 발견되면 어떻게 하나요? B와 C사이에 새로운 행성이 발견되면 다들 뒤로 하나씩 물리나요? 아니면 B1이런식으로 뒤에 글자를 하나 넣어서 이름짓나요?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b와 c까지만 발견되었다면 d가 부여됩니다. 발견 순서대로 소문자 알파벳을 부여하는 것이 최우선 원칙이고, 여러 행성이 동시에 발견된 경우에만 가까운 순서부터 알파벳을 먼저 부여합니다.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taejinbaek5895 발견순서에따라 e가 c보다 항성과 가까울 수도 있겠군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발견된 순서와 중심 별로부터의 거리 순서에 따라 이름을 짓는 규칙 모두 함께 적용됩니다. TRAPPIST-1는 가장 처음에 가장 안쪽 두 행성, b, c가 함께 발견되었고, 그 이후에 더 외곽의 d, e, f, g, h 가 동시에 추가로 발견되었습니다. 동시에 여러 개가 발견되면 안쪽부터 바깥쪽 순서로 알파벳을 붙입니다.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wz_mz 발견된 것들 사이에 새로운 행성이 발견되면 어떻게 하나요? b와 c사이에 새로운 행성이 발견된다면
@michaelcho9205
@michaelcho9205 Жыл бұрын
@@milchholstein884 b는 그대로 c는 새로 발견된 행성 그리고 원래 c였던애를 d로 부르겠죠?
@user-bk4hd4tu9l
@user-bk4hd4tu9l Жыл бұрын
꼭 산소가 필요하다는 생각은 지구 생명체 기준 아닌가요?? 다른 기체로 생명 활동을 할 가능성도 있는거 아닌가요?? 제가 잘 몰라서 여쭤봤습니다
@user-nq4fr7rx9r
@user-nq4fr7rx9r Жыл бұрын
외계생명체흔적을 찾지 못하는 이유가 먼 별일수록 먼 과거의 모습을 보기 때문이죠 아무리 통신을 쏘거나 흔적을 찾는다 해도 이미 망해 버렸거나 해서 흔적을 찾을 수 없는거죠 같은 동시대에 생명체 흔적은 찾기 힘들 겁니다
@qwer4k4096
@qwer4k4096 Жыл бұрын
만약 혼자 사는 섬에서 넓은 바다 멀리 다른 섬이 있을만한 곳을 망원경으로 여러 번 봤는데도 그 어디에도 사람의 흔적이 없다면 얼마나 외로울지 "여기! 우리가 있어 !" 라고 누군가 대답해 주기를...
@user-zh6iz7uk1n
@user-zh6iz7uk1n Жыл бұрын
요즘들어 잠들기전 우주영상 자주 보는데 갠적으로 외계인은 존재한다고 믿고 있는 1인지만 그 크기가 가늠조차 할 수 없는 우주인데 과연 만날수 아니 발견한다고 한들 만날수도 없을거 같은데 그리고 그 전부터 궁금한건데 우주탄생이 빅뱅 때문이라면 그 빅뱅이 한번이 아닌 여러번 생길수도 있다는건데 그럼 우리가 생각하는 우주 말고도 다른 우주가 있는건지 아니면 물방울처럼 한방울 한방울이 합쳐지면 좀 더 큰 물방울이 되는거처럼 그렇게 되는건지 그리고 무에서 빅뱅이 생긴다는것도 의문임 무슨 마술도 아니고 그런 생각하다보면 진짜 우리가 알지 못한 신이라는 그 무엇이 존재하는게 아닐까 싶기도하구요.블랙홀 사건의 지평선 넘어가면 어떨까 진짜 궁금하기도 하고 아무튼 우주 신기해서 이 영상 저 영상 자주보지만 볼수록 더 궁금증만 커져만 가네요
@user-lv5dc3fz5m
@user-lv5dc3fz5m Жыл бұрын
적색왜성에도 생명체가 살 수 있다면 의외로 우주에 생명이 존재하는 행성이란 흔한걸지도 모르겠네요 모쪼록 정밀관측에서 좋은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구와는 다른 조건의 행성에서 발생한 생명체들을 상상하는것만으로도 두근두근거리자나요
@user-sr7ho4ci7h
@user-sr7ho4ci7h Жыл бұрын
와 감사합니다
@user-sr7ho4ci7h
@user-sr7ho4ci7h Жыл бұрын
@콜라 일본 배우에여
@younghoonkahng5440
@younghoonkahng5440 Жыл бұрын
자전 주기도 파악 될까요?
@user-xm5ss5xw3x
@user-xm5ss5xw3x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이 티가든의 별을 관측할 계획도 있을지가 궁금하네요
@Kimsumi_ganjanggaejang
@Kimsumi_ganjanggaejang Жыл бұрын
진짜 지구가 만들어지고 생명체가 만들어진건 레전드다
@The21day
@The21day 7 ай бұрын
거기에 아주나약한 인류가 생겼고 자기존재뿐 아니라 우주생성의 원리를 찾으려 노력하고 있는,,
@ulim1214
@ulim1214 Жыл бұрын
말자막을 좀 더 위로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상을 앞으로/뒤로 건너뛸 때 유튜브의 빨간 재생바에 가려져 안 보이는 위치입니다. :) 정확하고 빠른 정보 감사합니다.
@ahnandrew9312
@ahnandrew9312 Жыл бұрын
언젠가 트랜짓을 넘어서 새로운 관측방식이 나와서 다른 별의 카이퍼벨트랑 오르트구름의 존재여부를 관측해서 태양계에 그런것이 있는지 유추할수있게되면 좋겠네요. 카이퍼벨트는 존재유무가 판단됐어도 존재유무가 불확실한 오르트구름 연구에 대해 다뤄진 영상이나 자료가 드물어서 많이 아쉽네요. 오르트구름 검색하면 노래만나와...
@user-gm3dv4yo5t
@user-gm3dv4yo5t Жыл бұрын
외계인은있다 하지만 도저히 만날수가없다 너무먼길~~
@user-el7fg4gl5o
@user-el7fg4gl5o Жыл бұрын
조석고정이 치명적이죠.. 사실상 기대하지않는게 좋아보이네요. 지구의 정교한 시스템은 정말 경이롭습니다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골디락스존, 거대한 달, 압도적인 자기장과 중력, 위성 쉴드용 목성, 게다가 적절하게 기울어진 자전축 등등 이런 조건은 거의 환상적인 프로그래밍에 가깝게 생명체의 거주환경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예술에 가깝죠
@user-cf1st5ol9s
@user-cf1st5ol9s Жыл бұрын
@@Joshua-xr4ui 사실상... 모두 우연이 만들어낸 기적이었네요... ㅠ
@user-oj6pg1lg1k
@user-oj6pg1lg1k Жыл бұрын
맞음...솔직히 우리 우주말고 다른 차원의 우주가 있다면 지구같은 행성이 있을수도 있겠다는 생각까지 들정도의 엄청난 확율의 조합... 최근 밝혀진 달생성 이론만 봐도 그게 사실이면 더더욱 고등생명체가 존재할 확율은 줄어든다는... 솔직히 물이야 전우주에서 그리 희박한 원소가 아니니깐요...오히려 엄청 찾기 쉬운 자원이라는거~ SF 영화에서나 외계인이 지구에 물푸러오짘ㅋㅋㅋㅋㅋ
@user-cf1st5ol9s
@user-cf1st5ol9s Жыл бұрын
@@user-oj6pg1lg1k 아아... 외계인이 있을거라고... 굳게 믿고있었던 문과... 울고있읍니다.. 물론 우주는 아주아주아주 크니까 어디에는 우리같은 지적생명체가 있겠지만 시간적으로 같은 시간대에 살아가고 만날 수는 없겠구나 아아ㅏ아아아앙아아아아아아아 슬프다아아아 너무 슬퍼요 ㅜㅜㅜㅜ
@Joshua-xr4ui
@Joshua-xr4ui Жыл бұрын
@@user-cf1st5ol9s목성과 달도 과학기술이 발달하기 전까진 지구 생태계에 어떻게 도움을 줬는지 전혀 몰랐습니다. 이 은하계의, 아니 어쩌면 관측 가능한 우주 한계거리에 존재하는 무한대에 가까운 모든 별들도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 전부 지구에 필요한 부품일지도 모르죠. 각각의 관측 가능한 우주들의 중심엔 모두 생명체가 있을 수 밖에 없으니까요
@sanghyonlee9843
@sanghyonlee9843 Жыл бұрын
관측이 되면 40년전의 상태인가요? 궁금합니다
@tv-vi6zz
@tv-vi6zz Жыл бұрын
제임사 웹 망원경으로 프록시마 별에 있는 행성들 관측해보면 생명체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것 같아요 왜냐하면 프록시마 별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별이니까요
@ganekim
@ganekim Жыл бұрын
제 짧은 지식으로 말해본다면 단 한가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요. 그것은 행성이 충분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냐없냐가 생명탄생의 기본 원칙0순위로 생각하고 있어요. 충분한 자기장이 없다면 별에서 오는 방사선을 그대로 받아 사라질테니까요..
@user-pm5zi9bj3l
@user-pm5zi9bj3l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인간을 같은 존재를 찾으려고 하니 없는거 일수도 있다... 연혼이나 ..눈에 보이지 않는 생명 상상도 할 수 없는 새로운 생명이 있음에도 우리는 모르고 있는 것일수도 있다.
@user-ty4jw4zi7b
@user-ty4jw4zi7b Жыл бұрын
천사랑 악마귀신들?
@hyunjunlee3043
@hyunjunlee3043 Жыл бұрын
트라피스트 e는 아직 대기분석 결과 안나왔나요?
@qudco-hz5mv
@qudco-hz5mv Жыл бұрын
마블에서 나오는 와칸다 나라처럼 보호막? 같은 우리에게는 안보이는 결계가 있고 입구가 따로 있는게 아닐까요ㅎ
@blue-gray87
@blue-gray87 Жыл бұрын
트라피스트1에서 발견이 안된건 이제 막 생명에 탄생 초기여서 그런거일수도 있죠!! 행성 괴도에서는 트라피스트1 괴도에서는 태초일태니 생명이 살수있는 환경으로 자연적으로 조성되는중일수도 있어요 지구도 지금 현대세대까지 살수 있는건 45억년이 걸렸잖아요?? 저기는 대기권에 성분 가능성이 인간이 살아도 문제 없다 하면 테라포밍 조건이 되는거니까요
@user-xe3tp8md1v
@user-xe3tp8md1v Жыл бұрын
우주는 가스덩어리 🔥 덩어리 또는 극한온도의 암벽덩어리중의 하니일텐데 생명체가 가능할까요
@JunLivePension
@JunLivePension Жыл бұрын
심도있는 분석영상 잘 봤습니다. 덕분에 구독했어요.
@gguari
@gguari Жыл бұрын
대기권이 확인안된다는게.. 우리가 아직 모르는 물질일수도 있다는 뜻일수도 있을까요
@ridejava6053
@ridejava6053 Жыл бұрын
별과의 거리가 수성보다 가까운 것으로 보아서는, 절망편이 맞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그 정도 거리에 가스행성이 존재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역시 그 정도 거리에 두터운 대기권은 커녕 액체도 존재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아주 긍정적으로 예측해봐도, 액체가 존재하지 않는 희박한 대기를 발견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아새
@아새 Жыл бұрын
액체는 존재하리라 생각이 듭니다. 그만큼 광도가 낮은데 문제가 될까요. 플레어가 문제죠
@user-dx6ln2mf7l
@user-dx6ln2mf7l Жыл бұрын
그만큼 별의 광도가 낮으니…
@user-qj7nl8ce9v
@user-qj7nl8ce9v Жыл бұрын
40광년은 그러면 로켓으로 몇년 걸려요?
@user-qm4mv9nz1s
@user-qm4mv9nz1s Жыл бұрын
대기권은... 없을수가 없을듯요 당장에 태양계만봐도 있는 행성이 있는걸요.....다만 생명체는 진짜 모르겠네요 ...있다고해도 ...구조가 단순한 (아메바 곤충등)생명체 일수도 있구요
@imgoingcrazyright_
@imgoingcrazyright_ Жыл бұрын
미생물이나 쪼만한 곤충들은 살고 있을 수 있는 행성이 많음. 중요한 건 최소한 동물, 고등 지식을 가진 인간 형태의 그 무언가는 아니더라도 동물 정도는 존재해야 사람이 살만하다고 생각
@user-wl3tq2pj9m
@user-wl3tq2pj9m Жыл бұрын
충분한 예산과 빠르고 튼튼한, 장기 수면 유지장치가 있는 우주선 1척만 지원해주십숑~떠나는 순간 지구엔 다시 오지 못하겠지만 그 모든걸 감수하고 제가 가겠습니다.
@user-fl7nt7bw6z
@user-fl7nt7bw6z Жыл бұрын
우주의 광대함에 절대라는 명제는 오만한거다. 미래에 관측의 대혁신이 이뤄진다면 의외로 쉽게 발견할것이다.
@Roo-vy2cI
@Roo-vy2cI Жыл бұрын
죽기 전에 꼭 외계 생명체를 보고 싶네요.
@grinchimr.8959
@grinchimr.8959 Жыл бұрын
보는 순간 죽을 거임.
@user-wz9ro4sr9u
@user-wz9ro4sr9u Жыл бұрын
영원히 볼일없을겁니다. 거리가 너무 멀어요. 초기 인간 탄생이 20 만년 정도인데.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가 빛의속도로도 200만년이라는데.기술이 좋아서 빛의 절반속도의 추진체로 온다고해도 100 만년이상 걸릴텐데.너무 멀어요.
@user-wz9ro4sr9u
@user-wz9ro4sr9u Жыл бұрын
@@user-vg6ym1no3h 음... 가장 가깝다는 프록시마가 4광년? 정도라고해도 보이저호의 속도로 7만년이상 걸린답니다. 외계인을 볼수 없다는건 내 주장이 아니고 천문학자들 주장입니다
@user-wz9ro4sr9u
@user-wz9ro4sr9u Жыл бұрын
@@user-vg6ym1no3h 어딘가에 살고있을 어떤 생명체도. 님과 같은 생각하고 있을듯. 희망은 좋은것이지요 ㅎㅎ
@Roo-vy2cI
@Roo-vy2cI Жыл бұрын
@@user-wz9ro4sr9u 인간 급으로 똘똘한 외계인은 바라지도 않습니다ㅋㅋㅋㅋㅋㅋ 고생대 수준(삼엽충, 해파리 등등)의 외계 생명체라도 좋으니까 한 번쯤은 보고싶다는 얘깁니다ㅋㅋㅋ
@user-cs2tb1us3x
@user-cs2tb1us3x Жыл бұрын
지구와 비슷한 조건의 행성. 인간의 시각에서보는 이해할수 있는 생명체. 수십억의 시간속에 현재 찰나의 시간에 동시대에 공존할 엄청난 확률. 이거만 해도 거의 무한대 확률 아닌감
@user-vv3ze9td6m
@user-vv3ze9td6m Жыл бұрын
님말이 맞음! 1억5천만년전. 공룡이 지구를 지배할당시 다른별에서. 유에퐁 타고 지구에 들러 실컷 놀다갔을지 아무도. 모르는일 ㅋㅋ 현재라는 찰라에 비슷한수준의 지적생명체를 만난다는건 불가능!
@magvo21c
@magvo21c Жыл бұрын
@@j3459 개소리를... 이리 장황하게
@ifeelthat5879
@ifeelthat5879 Жыл бұрын
외계생명체 무조건 있음 하지만 서로 닿지 못할뿐
@user-qc4ox2kh5d
@user-qc4ox2kh5d Жыл бұрын
내 생각에는 적색왜성이되서 골디락스존에 온거니까 태양처럼 적색왜성 전에는 골디락스존이 아니여서 최근에 생겨가지고 생명체는 있어봐야 미생물이나 있을거같은데
@TheRhksgud0731
@TheRhksgud0731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우주에 생명체가 지구 말고도 반드시 있을거라는 생각은 인간의 자만,오만이 아닐까? 우주가 그렇게 넓은데 설마 지구에만 생명체가 있겠어~ 이생각 자체가 지극히 인간의 관점이니까 우주가 여려개일수도 있는거고 한 우주당 한 행성에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우주법칙이 적용될수도 있는거고 (마치 임신을 하게 되면 추가적인 임신이 불가능한것처럼)
@dragonbae3002
@dragonbae3002 Жыл бұрын
터무니 없는 이야기지만 대기권이 있어야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가 인간의 관점으로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어렵지만 생각의 방향을 바꿔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이 광활한 우주에 대기권에 의존한 생명체가 존재 할까 하는 기대를 갖는 것이 오히려 낙타가 바늘 구멍을 지나는 것 보다 적은 확률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user-zf5ix5vx6d
@user-zf5ix5vx6d Жыл бұрын
행성은 먼저 발견된 순으로 알파벳 붙이지 않나요?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발견된 순서와 중심 별로부터의 거리 순서에 따라 이름을 짓는 규칙 모두 함께 적용됩니다. TRAPPIST-1는 가장 처음에 가장 안쪽 두 행성, b, c가 함께 발견되었고, 그 이후에 더 외곽의 d, e, f, g, h 가 동시에 추가로 발견되었습니다. 동시에 여러 개가 발견되면 안쪽부터 바깥쪽 순서로 알파벳을 붙입니다.
@lauderdalefort5648
@lauderdalefort5648 Жыл бұрын
온실가스 역할을 하는 것은 산소분자가 아니고 오존분자 아닌가요? O2가 아닌 O3로 알고 있는데...단순하게 산소가 온실가스라고 하면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봅니다만...
@BeatMuseum
@BeatMuseum Жыл бұрын
모 아니면 도인가.. 재밌네요
@kimc9875
@kimc9875 Жыл бұрын
다른걸 다 떠나 40광년에 절망이다...ㅋㅋ 우주적인 관점에서는 코앞이다 할 수 있지만 인간계는 넘사벽...ㅠㅠ 그래도 정말 지구 외에 다른 행성에 미생물이라도 발견되는 걸 보고 싶어지긴 한다...
@bue990
@bue990 Жыл бұрын
40광년이면 뭐 껌이지 😢
@FactBomber0922
@FactBomber0922 Жыл бұрын
@@bue990 빛의속도로 40년 가야되는거리 인간이 아무리 발전해도 빛의속도보다는 느림
@user-be1sh2gw2g
@user-be1sh2gw2g Жыл бұрын
@@bue990 보이저 1호가 초속17km로 40년동안 날아간 거리가 1광일이랑 비슷함 저기에 기적적으로 도착한다해도, 그때쯤이면 인류가 존재할지
@MediciSaladin
@MediciSaladin Жыл бұрын
다 지금 기준일뿐. 사람이 영생하게 될 수도 있고, 빛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도 있고, 순간이동을 하게 될 수도 있음.
@FactBomber0922
@FactBomber0922 Жыл бұрын
@@MediciSaladin 빛 보다 빠를려면 질량이 없어 야 할텐데요 그냥 타임머신개발하는게 빠를듯 ㅋㅋㅋ
@user-jm9uq2nv6k
@user-jm9uq2nv6k Жыл бұрын
알파 센타우리는 관측 안하나요? 거기도 G형 주계열성 아닌가? 게다가 가깝고
@deamsum
@deamsum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우리랑 비슷한 행성 찾는것 부터 우리 지구 생명이랑 비슷할수 밖에 없지 않을까 생명이 살아가는데 되게 까다로운데
@user-cx3mr4gs2h
@user-cx3mr4gs2h Жыл бұрын
두근두근
@user-jg7ov7sc5c
@user-jg7ov7sc5c Жыл бұрын
지구과와같은행성을찾아다치자 어떻게갈겨 볼겨
@user-dq2el1xz7c
@user-dq2el1xz7c Жыл бұрын
수십억개의 은하가있다든데 그은하안에서도 수십억의 행성 항성이있다던데 진짜 생명체가 지구에만있을가 어딘가에있을듯한데 생명체
@user-nm6nz9jz5y
@user-nm6nz9jz5y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생명이라고 부르는것, 생물 역시, 그냥 화학적 반응의 산물일 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ChangWookS2
@ChangWookS2 Жыл бұрын
그들은 이미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와 가까이 있었다 물론 현재 지금도 같이 있다
@RealBigMan91
@RealBigMan91 Жыл бұрын
8:14 게다가 산소는 2.2기압 이상이면 독성이 생깁니다.
@user-rq2kx2no3r
@user-rq2kx2no3r Жыл бұрын
트라피스트는 지구에서 몇광년 거리에있는 별인가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영상에 언급해드렸듯이 40광년 거리입니다.
@user-rq2kx2no3r
@user-rq2kx2no3r Жыл бұрын
@@wz_mz 그럼 40광년거리의 트라피스트의 행성을 ..... 제임스웹이 볼수있는겁니까 ??? . 제가 얼마전에 백광년이 넘는 별을 관측했다는 ... 제임스웹의 관측을 보고 그럼 4.2광년거리의 센타우리주위를 돌고있는 행성을 볼수있느냐고 ..... 질문을 했더니 어떤분이 .....백광년거리의 별을 관측해도 ...4.2광년거리에 있는 센타우리 주변의 행성을 직접 볼수가 없다고 하더군요 . 그런데 트라피스트(40광년) 주변을 돌고있는 .... 행성의 대기를 통과하는 빛을 관측한다는건 (행성을 볼수있어야) 가능한게 아닌가요 ?
@Ekerpw37
@Ekerpw37 Жыл бұрын
@@user-rq2kx2no3r 아니요 행성은 못보지만 스펙트럼 관측은 가능하죠(빛 반사율 등등) 같은 논리라면 수백광년 떨어진 별의 크기,구성성분,질량도 알수없어야합니다
@spd3775
@spd3775 Жыл бұрын
영상 요약 지금까지 관측한걸론 가능성이 낮지만 아직 정밀관측 결과에 따라 바뀔 수 있음 이 영상으론 아직 생명체 존재여부를 알 수 없음
@user-tu9pk9su5j
@user-tu9pk9su5j Жыл бұрын
외계 생명체는 없음 수억개의 확율이 모두 맞아야 지구와같은 환경이 조성됨 지구와 태양의 거리 지구와 태양의 크기차이 달이 자전공전해주고 지구와 달의 자전 공전축이 말도안되는 확율로 맞아주고 자기장 중력 정말 수도없는 모든확율이 모조리 맞아야 하는데 이건 지구밖에 있을수가 엎ㅅ을정도로 말도안되는 불가능에 가까운확율이 우주에 수경해의 은하가 존재한다고해도 이건 불가능에가까운 확율임 고로 ㅇ지구외에는 지구말고 그어떤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을 확율이 가장 높음 아쉽지만
@sharksking892
@sharksking892 Жыл бұрын
또다른 생명체를 찾기엔 우주가 생각보다 별이적네요~ 아무리 138억년밖에 확장이 안됐다지만 이정도로 허접일줄은... 워낙 우리우주 빅뱅이 조루라ㅠㅠ
@harlemnocturne5769
@harlemnocturne5769 Жыл бұрын
40광년거리면 우주공간에서는 아주, 아주 가까운거리인데 만일 생명체 존제가발견되도 일단 현재 가장빠른 우주선으로 가도 70만년을 가야하는 현실에부딪침.
@ggobary1481
@ggobary1481 Жыл бұрын
모항성 질량이 낮으면 왜부로 오는 감마선이나 방사성 물질이 모항성으로부터 보호가 안돼서 생명체가 살가능이 낮지 않은가?
@user-vn1uj9po8n
@user-vn1uj9po8n Жыл бұрын
어느 행성이나 그조건에 맞는 생명체가 있는거임 그대들이 원하는건 지구의 조건과 비슷한 어쩌면 인간과 흡사한 생명체를 찾는거라고 생각함 인간이니깐 인간기준에서 생각하는건 당연한건데 한가지 확실한건 우주는 상식으로 생각하면안됨 달까지밖에 못가본 인간이
@user-gs9pl2db3n
@user-gs9pl2db3n Жыл бұрын
다른 관점으로 소름돋는건 나사나 미국방부에 외계인시체나 ufo를 직접 가지고 있는데 생명체가 존재할수 있는 외계행성이 발견되지 않으면...
@seowlite
@seowlite Жыл бұрын
D의 의지가 여기에도!!!
@BOMB584
@BOMB584 Жыл бұрын
외계인이 있다고 해도 너무 멀어서 지구인은 만날수 없을듯 저들이 오기전까지는 ㅋㅋ
@user-oj6pg1lg1k
@user-oj6pg1lg1k Жыл бұрын
우리 은하에서 생명체 찾기란... 지구 나이 45억년중 다세포 생물로 진화해서 육상에 살기 시작한것도 지구나이에 비하면 엄청나게 짧은 시간임 더군다나 지적생명체로는 몇 십만년 되지도 않았음... 거의 침팬치정도의 지능으로 몇 백만년을 살다가 지금까지 진화한걸 대입해보면 우리 시대에 외계 문명과 조우하기란 엄청나게 어려운 조건... 그 전에 우리가 멸망할지도 모르고... 실제로 지구와 거의 같은 환경의 행성이 존재해도 이미 멸망했을지 아직 진화중인지... 오히려 우리 지구역사를 보면 진화중인걸 발견 할 확율이 더 높음... 아예 같은 시기에 행성이 생겨나고 같이 진화하는 단계를 밟지 않은 한 외계문명과 조우 하기란 지구 생성보다 더 어려운 확율~
@user-nc2zr7qi6c
@user-nc2zr7qi6c Жыл бұрын
정말어쩌면 지구와 우리는 그넓은우주의 말도안되는확률을 뚫고 무수한우연이겹쳐 존재하는 유일한 생명체일지도모르죠 우리밖에없다면 우주가 공간낭비라는 생각은 확률계산만으로 나온 오만한 가설일지도 모르는일이죠
@mozzizzi7958
@mozzizzi7958 Жыл бұрын
외계인이 있다해도 40광년 ㅜ 근데 존재여부만이라도 확인한다면 진짜 좋겠다
@user-lp5xi9fs9x
@user-lp5xi9fs9x Жыл бұрын
@@havi3905 워프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빛의 속도가 우주에선 엄청 느린 속도임. 빛의 속도로 안드로메다 도는데에만 10만년 걸린다함. 광속 한계 제한때문에 물리적인 장애를 극복하지 못한다고함. 지구 최대크기의 입자가속기를 사용해서 가속시켜봐도 광속의 99.99999% 이런정도까지만 속도 올라가고 더 이상 속도가 올리가지 않는 광속불변. 시공간을 넘나드는 루프 웜홀은 사실상 먼 훗날에도 없다고 봐야함.
@exe011
@exe011 Жыл бұрын
웜홀을 이용한 이동이 생기지 않을까요. UFO가 웜홀을 이용해서 왕래하는데요.
@user-ir4wl6tw9d
@user-ir4wl6tw9d Жыл бұрын
@@exe011 웜홀이라는 게 단순하게 쉬울까요?
@user-iw9yf6vm2z
@user-iw9yf6vm2z Жыл бұрын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모를뿐 지구인이 관측가능항 행성 이외의 은하엔 무조건 존재하고 있어
@RealBigMan91
@RealBigMan91 Жыл бұрын
만약 흔적이 없다면... 사실 이 태양계, 태양계 인근 몇광년안에는 문명이 살아남은 쪽은 지구뿐이라는 암울한 이야기가 되고..
@mika-mg8lm
@mika-mg8lm Жыл бұрын
저기를 갈수있나요? 1광년도 못가는데 1광년은 9조키로넘어요
@user-vi2kc6uu4e
@user-vi2kc6uu4e Жыл бұрын
근데 신기한게 우리는 산소가 필요한 생명이지만 다른 행성의 생명은 산소가 부족해도 살수 잇는 생명체가 잇을수도....라는 생각을 해보게됨....우주는 워낙 상상이상이라..
@liet1610
@liet1610 Жыл бұрын
이 넓은우주에 생명체가 있는별이 지구하나뿐이라하면 믿기 좀 힘든데..ㅋㅋㅋㅋㅋ 외계인이 있긴있는데 너무 넓어서 못찾고있는걸까요 아니면 지능이 현인류하고 똑같아서 기술적으로 못오는거일수도! 평행우주처럼!
@미드킹린가두
@미드킹린가두 Жыл бұрын
오늘 아바타 보고와서 더 뽕찬다
@spy-bat
@spy-bat Жыл бұрын
지구는 진짜 기적과 같은 존재인가... 거기에 인간으로 태어난 우리는 ...
@imgoingcrazyright_
@imgoingcrazyright_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로 cde쪽은 기대해볼만하다고 생각함. 특히 e는 유사도가 1에 가까우니
@hovhani77
@hovhani77 Жыл бұрын
지구와 비슷한 조건의 행성을 찾는다해도 또 거기에 문명이 존재할 확률은 거의 0에 가깝지 거리가 너무 멀어서 절대 만날수가 없고 우리가 신기술을 개발해 갈수있다해도 가다가 그 문명이 멸망함
@user-me3xm1ce1l
@user-me3xm1ce1l Жыл бұрын
외계생명체는 지구생명체와 완전 다를수도
@user-uw3lx9gy4p
@user-uw3lx9gy4p Жыл бұрын
우주에는 외계인이 상상하기 힘들많큼 많이 있다 ...
@user-jt6mu3gx8k
@user-jt6mu3gx8k Жыл бұрын
엌 망원경이닷
@there_is_my_universe
@there_is_my_universe Жыл бұрын
나비족은 산소로 숨 쉬지 않아요~!
@kyg3063
@kyg3063 Жыл бұрын
꼭 산소가 있어야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나?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사람만 해당되는 이야기 아닌가... 너무 산소에만 집착 안했으면 좋겠다..
@be734
@be734 Жыл бұрын
지구 생명체가 유일한 사례니까
@sal8620
@sal8620 Жыл бұрын
예외적인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지만... 자구에서의 화학론이 타 항성계와 무관할 이유가 없죠...
@Strident_Crisis_4444
@Strident_Crisis_4444 4 ай бұрын
그건 산소가 다가 아니라는 근거와 사례가 있어야 가능한 예측이지 근거없이 초록색을 파란색이라 할 놈이네
이 은하는 보이지 않습니다! | 드디어 밝혀지는 암흑 물질의 정체..?!
18:30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228 М.
Who has won ?? 😀 #shortvideo #lizzyisaeva
00:24
Lizzy Isaev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115 МЛН
[매운맛 천문학🔥] 137억년 전의 은하?? 이걸 정말 믿을 수 있을까?
14:0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82 М.
드디어! 빅뱅 직후, 태초의 어둠이 끝나던 순간을 포착하다!
18:14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20 М.
이게 같은 천체라고?! 제임스 웹이 발견한 고리 성운의 놀라운 두 얼굴!
10:38
제임스 웹, 우주 끝에서 "바나나 은하"를 발견했다고?! 🍌
17:35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88 М.
Samsung Galaxy Unpacked July 2024: Official Replay
1:8:53
Samsung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Урна с айфонами!
0:30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Как слушать музыку с помощью чека?
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