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으로도 블랙홀을 찍을 수 있을까? | 이번 블랙홀 관측에서 알아야할 핵심 요약 총정리! 👍

  Рет қаралды 233,779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2 жыл бұрын

👍 #제임스웹 #블랙홀 #사건의지평선 #아인슈타인 #인터스텔라 #궁수자리 #M87 #중력렌즈 #상대성이론 #초거대질량블랙홀 #이벤트호라이즌 #EHT #EventHorizon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quantamagazine.org/black-...
www.stsci.edu/jwst/phase2-pub...
www.eso.org/public/news/eso22...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154
@user-ub5nf7vq8w
@user-ub5nf7vq8w 2 жыл бұрын
과학유튜부에서 제일 잘 설명해주셔요! 여러 관점에서 설명을 다양하게 해주셔서 매번 기대하고 있어요!
@davidkim4705
@davidkim4705 Жыл бұрын
선행연구도 자세하게 소개 해 주셔서 너무 감사하네요! 쉽게 요약 해 주셔서 편하게 잘 듣고 갑니다!
@heeseongkang7107
@heeseongkang7107 2 жыл бұрын
와 설명이 너무 좋네요. 이해 안되던 부분들이 다 이해 되었어요!
@user-nk2pu7yi2t
@user-nk2pu7yi2t 2 жыл бұрын
항상 어려운 이야기를 쉽게 전달해주시고 흔하게 접하기 힘든 내용이라 새롭고 너무 흥미로워요 항상 좋은 퀄리티로 자주 찾아와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ㅠㅠ 고3인데 정말 제 유일한 힐링입니다❤️❤️
@7H_SARGU
@7H_SARGU 2 жыл бұрын
와 이번 영상 너무재밌다
@nomadfoodandtravel9179
@nomadfoodandtravel9179 2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합니다. 단 100여 전만 해도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생각해보면 정말... 이렇게 빠른 기술 발전을 이룩했다는 것은 정말 경이롭네요.
@Jung-Woo-Sung
@Jung-Woo-Sung Жыл бұрын
너어무 재미있고 유익해요. 두근두근 할 정도입니다^^ 감사히 잘봤어요.
@growlermaverick2589
@growlermaverick2589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에 대해 알기 어려웠던 게, "3차원의 구" 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고, 강착원반이 붙은 모습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에 더욱 그 모습을 추측하기 어려웠는데 이번 영상에서 잘 알게 되었습니다. 선명한 고화질 영상 자료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목소리가 참 차분하고 듣기 좋네요. 글을 읽는 속도도 적당하고 자막도 꼼꼼하게 만드신 것 같습니다. 과학채널 여러 개를 보고 있지만 아주 훌륭한 채널을 발견한 것 같네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앞으로 좋은 영상 부탁드려요~
@user-cr3hk8sg7w
@user-cr3hk8sg7w 2 жыл бұрын
와 쉽게 설명해주시니 항상 감사합니다
@user-ex6oo5yd9c
@user-ex6oo5yd9c 2 жыл бұрын
당장 돈이 되는것도 아니고, 이미지 역시 고도 근시인냥 흐릿하게 보이는 저 영상을 찍기위해 엄청난 인력과 예산을 사용했다는것이 정말 대단하고 놀랍고, 연구에 참여해주신 모든분께 막 감사한 마음이 들고 그렇습니다. 앞으로의 관측과 연구가 기대 됩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gemem33
@gemem33 2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봤습니다.
@tonykim2936
@tonykim2936 2 жыл бұрын
빍은 세 점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얘기해 주는 곳도 없고 그저 궁금하기만 했었는데 역시나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2 жыл бұрын
타유투버는 재미를 우선 추구하다보니 설명이 부족하여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여긴 좀더 이해가 쉽네요.
@user-zq9pw8cx4d
@user-zq9pw8cx4d 2 жыл бұрын
역시 믿고보는 채널
@user-en8lb5rv7c
@user-en8lb5rv7c 2 жыл бұрын
평소 나만의 최애 채널이 매불쇼에서 봐서 방가웠어요!!
@GaRang_Be
@GaRang_Be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항상 신기하네요. 잘 봤습니다.
@luishan897
@luishan897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 가요
@davidkim3443
@davidkim3443 5 ай бұрын
와... 정말 신비롭군요!!!
@hahman1st
@hahman1st Жыл бұрын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찾는 열정이 대단하군요
@NaN_OTL
@NaN_OTL 2 жыл бұрын
진심 가장 전문적인 천문유튜버. 설명도 쉽게하고..정말 다른 유튜버들과 급이 다름
@therock79983
@therock79983 2 жыл бұрын
즐감
@spenserpaul1574
@spenserpaul1574 2 жыл бұрын
영화 인터스텔라의 블랙홀처럼 원반을 중심으로 물질이 회전하는 블랙홀만 있는줄 알았는데, 크기가 작은 블랙홀들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 저도 저 세 점이 뭔지 궁금했었는데 이제야 이해가 됐습니다.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 블랙홀처럼 생겼어요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전파대역에서 전파를 내는 위치가 달라서 그렇게 보이는거죠
@lou9226
@lou9226 2 жыл бұрын
천문학과나 물리학과 가려고 하는 고3인데 이런 거 보면 너무 설레요ㅠㅠㅠㅠ
@user-yz8rm8jd4t
@user-yz8rm8jd4t 2 жыл бұрын
국내 천문학 미래의 일원이 여기있네~ 공부 열심히 하소~~!
@cartakooslife
@cartakooslife 3 ай бұрын
힘내요!😆
@lou9226
@lou9226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 이제 대학생 됐는데 물리학과 왔어요... 너무 힘들어요... 😨
@liliililillililiilil
@liliililillililiilil Ай бұрын
@@lou9226 화이팅ㅋㅋ
@user-vg4uy4xy8u
@user-vg4uy4xy8u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지구에서 달에 있는 도넛크기로 보인다니까 얼마나 멀리있는지, 발견하기 어려운지 이해가되네욬ㅋ
@iltaelee8708
@iltaelee8708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이 자전을 한다!! 무게에 따라서 크기도 다르다!! 이또한 물질들의 집합체... 항성이 무게를 못 이기고, 붕괴 되듯이, 블랙홀도 무게를 못 이기고, 붕괴될 수 있을까?? 블랙홀이 폭발하면 파괴력은!!! 설명이 쉽고 재미있네요...
@user-ze3ew7db4k
@user-ze3ew7db4k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이 빛의 방향을 180도 회전시킬수 있다면.. 과거에 태양빛에 반사되어 우주공간으로 간 빛이 블랙홀때문에 다시 지구쪽으로 방향이 바뀌어 관측이 가능할까요? 그럼 그때의 관측은 지구의 과거를 보는건가요?
@user-iu7el9xr7c
@user-iu7el9xr7c 2 жыл бұрын
오우. 설명 Ace.
@youseungchun7273
@youseungchun7273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의 photon ring을 촬용한건가요? 강착원반이 아니고? 또 블랙홀의 스핀방향의 위아래로만 relativistic jet 가나오나요? 강착원반의 회전축이 블랙홀의 회전축과 일치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행성들만해도 행성의자전축과 위성의 공전방향이 반대인경우들이 좀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skyhoons
@skyhoons Жыл бұрын
이번에 EHT를 이용하여 관측방법을 좀 더 확장시켜본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듯 합니다. 다시 말해 달, 화성, 지구, 이오, 타이탄 등등 망원경 설치가 가능한 행성을 이용하면 더욱 더 큰 렌즈 효과를 발휘 할듯 합니다. 이론이 그렇다는 거지 실제 진행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군요. ㅎㅎ
@geonhoda1
@geonhoda1 2 жыл бұрын
6:06 태양이 달보다 400배 큰게 아니라, "태양의 지름"이 "달의 지름"보다 400배 큰것입니다. 크기는 400의 세제곱배 즉 64000000 배가 되겠네요
@user-hy1ci7bc7b
@user-hy1ci7bc7b 2 жыл бұрын
크기라는 말이 엄밀한 기준이 아니라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이런식의 기준으로는 부피라는 표현이 좋긴하죠
@user-zf3in5hk1p
@user-zf3in5hk1p 2 жыл бұрын
에구 제임스 웹으로도 못찍을만큼 지구 전파 망원경은 대단한거였네요 ㅜㅜ 사실 고해상도 블랙홀을 기대 했었는데 너무 아쉽네요
@sunred9946
@sunred9946 2 жыл бұрын
은하가 충돌하더래도 각행성계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것같네요 그이유는 거대한 은하가 충돌하더라도 태양계같은 행성계는 그크기가 아주 원자처럼 아주 미미하기때문이죠 서로다른 물이 서로 썩일때 전체적으로 봐서는 소용돌이가 보이지만 현미경으로 보는 물분자는 아무변화도 느끼지 못할테니까요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2 жыл бұрын
한 40억년뒤에 맞다이깐다는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충돌도 대충 그리갈거라 보고있긴하니까요 ㅋㅋ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나선팔이 찢겨지고 궤도가 틀려 은하에서 팅겨 나갈수 있습니다
@mathsciencefancier
@mathsciencefancier 2 жыл бұрын
와... 저게 점이라니...
@user-wk9td9og5q
@user-wk9td9og5q Жыл бұрын
궁금한 게 있는데 9:52에 이 블랙홀의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에 뿜어낸 전파구름이라고 하셨잫아요.근데 우리은하에 블랙홀이 저거 하나밖에 없는건 아닌데 어떻게 저 블랙홀이 그런거라고 알 수 있는거에요??
@HIRIT08
@HIRIT08 2 жыл бұрын
물리학과 천문학을 수학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이 있으면 얼마나 경이로울까요. 내가 왜 수학 공부를 안 했을까...
@pneumega357
@pneumega357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에 잡아먹힌다면 가스방출은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하네요. 중력이 그리 크다면 가스도 달아나지 않고 잡히지 않을까요? 아니면 중력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을만큼의 적은 질량을 가지고 있는건가요?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중력은 거리에 비례하여 작용합니다. 멀어지면 약해져요 블랙홀에서 멀면 빠져나갈 수있습니다.
@Choi_C.H.
@Choi_C.H. 2 жыл бұрын
10:18 우주적인 시간으로 최근이란 얼마나 되는 시간일까요? 100년, 1,000년 정도는 아니겠죠? 짐작할 수도 없지만 후덜덜한 시간일 것같아요. 오프라인 강의 소식도 궁금합니다. 영상 잘 보았습니다.^^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2 жыл бұрын
수십억쯤 되도 최근일걸요 ㅋㅋ
@sxpck7357
@sxpck7357 2 жыл бұрын
@@user-tz4ky3lp5x 우주나이가 약 138억년인데 수십억이 최근이라구요..?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2 жыл бұрын
@@sxpck7357 뭐 좀 과장하면정도지만요 ㅋㅋ
@Syamsildan
@Syamsildan 2 жыл бұрын
시간은 거리처럼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우주는 대략 지구 나이에 2배니깐, 지구에서 최근이라고 하는 시간의 두배정도가 최근이죠~
@ubay1670
@ubay1670 2 жыл бұрын
10:50 제임스 웹을 17개 더 올려서 18개의 제임스웹을 공전궤도상에 올려서 하나하나의 제임스웹이 반사경처럼 역할을 하는 직경 120만km짜리 망원경을 만들면 좋겠네요. 예산도 저렴하네요. 200조면 가능할 듯. ㅋㅋㅋ
@bearkings7592
@bearkings7592 2 жыл бұрын
저도 보면서 이생각해봣네요. 지구보다 더 큰 렌즈로 본다면 ㅎㅎ 상상만으로도 즐겁네요
@llililliiilllilll
@llililliiilllilll 2 жыл бұрын
머스크형 가능 ㅋㅋ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Eht가 지구 규모의 만원경을 만들수 있는 이유는 전파간섭계 형 망원경이라 그렇습니다. 제임스 웹 17개가 아닌 전파 망원경을 올려야 합니다
@user-ts5lm9xl2r
@user-ts5lm9xl2r 3 ай бұрын
무선통신이 더 발전하면 우주에 전파망원경을 대량으로 띄어서 지구 중력 망원경이나 달궤도 크기 망원경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inprit
@inprit 2 жыл бұрын
드뎌 구독 누름… 뭐하다 지나쳐서 .. ㅋ
@user-vz1hf9hy5e
@user-vz1hf9hy5e 2 жыл бұрын
컨텐츠 개돌았다ㅠㅠㅠ퀄리티 무엇
@iooke
@iooke 2 жыл бұрын
역시 타 유튜버보다 블랙홀과 은하에대한 지식이 넘사벽이시네요 딕션도 좋으시구요~ 유료회원좀 받으세요~ㅎ
@offzed2609
@offzed2609 Жыл бұрын
근데 그럼 블랙홀이 주변에있는 물질을 끌어당기면서 빨려들어가는거면 빨린물질이 다 분해됬으면 그떄 블랙홀의 진짜 모습을 볼수있지않을까요 (다른물질이 끌려오기 전에 블랙홀이 더 분해할물질이없을떄) 빛조차 빨아들여서 볼수없다는걸 증명할수 있지않을까요 이미증명됬나?
@ggobary1481
@ggobary1481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하면 궁금한게 질량 보존의 법칙이 유지 돼는가 하는것. 흡수됀 물질은 어디로 가는걸까요? 화이트홀은 없다고 하는거 같던데…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질량 보존의 법칙은 유지 되지 않습니다. 뭐 아에 안되지는 않습니다만 블랙홀 규모의 천체에서는 유지 되지 않습니다. 물론 흡수된 물질만큼 블랙홀의 반지름이 길어집니다.
@Soojin0715
@Soojin0715 Жыл бұрын
‘최근’ 충돌 으로 표현하셨는데 ‘최근’의 단위는 얼마일까요?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2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우주 재밌어요
@vitda8964
@vitda8964 Жыл бұрын
우리은하가 속한 은하단에서 가장 큰 은하가 안드로메다 은하로 알고 있어서, 안드로메다 은하의 블랙홀이 주변에선 제일 클줄 알았는데, 1500배나 더 무거운 블랙홀이 근처에 있었군요..
@ganekim
@ganekim Ай бұрын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을 태양계 크기 넓이로 한 두개 더 보내서 동시에 찍으면 안드로메다 은하든 모든 은하 불랙홀을 선명하게 찍을 수 있을 듯... 아니면 말고요. ㅎㅎ
@jasonkim3310
@jasonkim3310 2 жыл бұрын
03:29 닥터스트레인지가 공간이동 할때 보이는 서클 모양을 저렇게 한것이구나 시공간을 휘게 하면서 이동하는 것이라서…
@hanshinyoon2328
@hanshinyoon2328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이 생각보다 다양하네요.....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2 жыл бұрын
EHT 보다 더 큰 망원경을 만들 수 있잖아요 우주에 떠 있는 전파 망원경까지 합치면 되죠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전파망원경 만으로 되는것은 아니고 같은 주파수 대역을 측정하는 망원경이 필요한거라 새로 만들어서 다시 띄워야합니다.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2 жыл бұрын
@@user-kn9sm3bw6x 알려줘서 고마워요
@sparklinglime9999
@sparklinglime9999 2 жыл бұрын
시공좋아!
@user-lw6ev4il5h
@user-lw6ev4il5h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은하중심부 블랙홀이 가장 질량이높아야하는것 아닌가요..? m87의 질량이 더크다면 중심부 축을 바꿀정도의 영향성도 있을것같은뎁..
@user-lw6ev4il5h
@user-lw6ev4il5h Жыл бұрын
중심축을 휘게만들었던 은하끼리 충돌했던 은하중심에있던 블랙홀인건가 크흠..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음 어떤 의미의 질문이실까요? m87은 우리은하와 전혀 상관없는, 아주 먼 거리에 떨어진 별개의 은하입니다 😊 우리은하 중심에는 궁수자리 a* 블랙홀이, 또 다른 별개의 은하 m87 중심에는 또 다른 별개의 거대 블랙홀이 존재합니다. m87 블랙홀이 우리은하 안에 속해있다고 오해하고 계신듯해, 답변 드립니다 😊
@user-lw6ev4il5h
@user-lw6ev4il5h Жыл бұрын
@@wz_mz 아!!감사합니다 ㅋㅋ
@justinkim2259
@justinkim2259 2 жыл бұрын
M87 본 방법으로 가까운 외계행성은 촬영 못하나요?
@peppermint000
@peppermint000 Жыл бұрын
행성은 자체적으로 빛을 못내고 항성보다 작아서 직접적으로 관측이 어려운걸로압니다
@rain012344
@rain012344 Жыл бұрын
블랙홀같은 남자가되면 솔로탈출이 가능할까요?
@twins1225t
@twins1225t 2 жыл бұрын
어느 일본 과학자는 궁수자리 블랙홀의 사진이 간섭계의 다크이미지(?, PSF, dirty image) 같은 걸 안 뺀거 같다고 하던데요... 밝게 빛나는 부분이랑 어두운 부분이 dirty image의 강, 약부분이랑 일치한다고:.. 맞는 말일까요...?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지난 달 중순에 이미 반론이 올라왔네요. 여러 연구를 토대로 이미지 리컨스트럭션 자체는 바이어스가 없고, 오히려 그쪽에서 데이터와 이미징 방법에 관해 오류를 가지고 있다 합니다.
@MidkingLingardoo
@MidkingLingardoo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 자전축 바뀐걸로 우리도 영향을 받나요? 아직 모르려나
@wz_mz
@wz_mz 2 жыл бұрын
자전축 자체가 바뀌었다고 해서 엄청 극적인 영향은 없을 겁니다. 다만 다시 블랙홀이 활발해져서 에너지 제트를 토하게 된다면, 그러면 태양계로 고에너지 입자가 쏟아지는 식의 영향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우리은하와 블랙홀의 거리가 3만 광년이라 3만년 후의 일이긴 합니다. 기본적으로 자전축은 일반 질량과 암흑물질에 의한 질량효과로 유지되어 블랙홀 개인의 질량보다 엄청 크기 때문에 큰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태양과는 좀다른 입장입니다 만 태양의 자전축이 직각이라 한들 중력은 유지되며 지구에 영향은 크게 없지만 싱크로트론 복사에 의한 고에너지 복사는 위험해질수 있죠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언뜻 생각해보면 Sgr A*의 관측이 성간소광의 영향을 받는다면 M87* 의 관측도 M87은하 내부에서 일어나는 소광의 영향을 받을 것 같은데, 그럼에도 M87*의 관측이 소광의 영향을 덜 받는 것은 타원은하의 성간먼지나 가스 함량이 나선은하보다 훨씬 적은 것에 기인하는 건가요?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2 жыл бұрын
보는 시야상에 있는게 다르겠죠... 아무래도 우리은하 중심에 수평으로 봐야하는것보다야 다른 은하 중심을 보는 방향쪽이 적을 가능성은 클테니까요...
@user-nc9ef2qf5r
@user-nc9ef2qf5r 2 жыл бұрын
각도 때문에 그렇습니다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2 жыл бұрын
​@@user-tz4ky3lp5x 기본적으로 타원은하가 상대적으로 적은 성간물질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 게 맞습니다. 각도는 부차적이예요. AGN 옆에 있는 가스토러스보다 원반이 광학적으로 훨씬 두껍습니다.​
@wz_mz
@wz_mz 2 жыл бұрын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우선 우리은하 블랙홀은 완전히 은하수를 관통해서 봐야하기 때문에 성간 소광의 영향이 가장 심합니다. 반면 M87은 다른 방향에 있어서 우리은하 자체의 먼지로 인한 소광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질문 주신 것은 이런 우리은하 먼지 뿐 아니라, M87 은하 자체가 갖고 있는 내부 먼지의 영향에 관한 질문이라 생각합니다. 이미 다른 분께서도 잘 답변 주신 것처럼, 또 잘 지적해주신 것처럼 거대 타원 은하는 상대적으로 먼지의 양이 적기 때문에 자체의 성간 소광 효과도 크지 않습니다. 비슷한 이유로, 안드로메다와 같은 다른 나선은하의 경우, 우리은하 못지않게 그 은하 자체도 많은 먼지를 갖고 있어서 이 역시 중심의 블랙홀을 보기 어렵게 만듭니다.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이런 성간 소광 효과도 있는데 사실 사건지평선 망원경이 북반구에 훨씬 많아서 북반구에서 m87이 있어서 적도 부근의 우리은하 블랙홀이 뒷순위가 됬습니다. 확율적으로 더 높은 확율로 찍어야 해서
@prollejazz
@prollejazz 2 жыл бұрын
1:33 환공포 PTSD 옴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user-ke3vy7yw8r
@user-ke3vy7yw8r 2 жыл бұрын
1:19 ???:크루셰이더를 위해!!!
@user-rn7dm5ht6l
@user-rn7dm5ht6l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크기갸zero 라고 하는데 이해가 안가네요 설명좀?
@hellpoome
@hellpoome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에 가려져서 제대로 볼 수 없다는 게 아이러니하네요. 먼지가 미안해 ㅠㅠㅠ
@jackychun9939
@jackychun9939 Жыл бұрын
블랙홀도 크기가 있는걸로 아는데요, 홀이라는 이름 붙여서 사람들을 헷갈리게 하는거죠 블랙홀 예상 크기 비교해놓은 자료도 있음 예를들어 XTE어쩌고 저쩌고500은 태양몇개 질량인데 뉴욕멘하탄 크기다 이런것처럼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블랙홀 자체는 크기가 없습니다. 다만 그 규모, 위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블랙홀 자체 크기가 아닌 사건의 지평선 범위를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신 자료도 모두 그것을 비교한 것입니다. 블랙홀 자체는 항성 질량 블랙홀이든,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든 크기가 없습니다. 그래서 특이점이라고도 부릅니다.
@heokate
@heokate 2 жыл бұрын
이 오빠는 nerd같은데 설명을 넘나 조리있게 잘해서 겁내 섹시함..Smart is the new sexy!
@Heat_baek
@Heat_baek 2 жыл бұрын
우리 은하 블랙홀의 중앙기점이 기울어 져있다면... 비활성화 된 상태라면 나중에라도 활성화 될수 있다고 봐도 되지 않겠습니까? 그러면 중앙으로 돌았던 블랙홀이... 기울어진 상태로 돌면 회전력이 사선으로 작용할것이고 이것들이 우리 태양계에 있는 항성 행성 천체 그외 소행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나요? 돌고 있고 활성화된 블랙홀의 중력이 더 강할텐데.. 지금 그럼 중력이 약화되고 회전력이 약화 되었단 소리가 아닌가요? 움직이고 있다면 언제든지 태양계 행성,항성,천체,소행성 쪽으로 붙어서 집어 삼켜도 이상하지 않는거 아닌가요?? 블랙홀의 형상을 대략적으로 상상 했던 인간과 인류가,, 실제로 찍어보니 상상 했던 블랙홀과 일치 했다는점은 놀랍습니다.
@wz_mz
@wz_mz 2 жыл бұрын
재밌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제로 한 번 잠잠해졌다고해서 쭉 잠잠해야할 이유는 없습니다. 휴화산이 살아나듯 말이죠! 우리은하 블랙홀도 지금은 잠잠하지만 만약 다시 활동성을 되찾는다면 지구에도 물론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갑자기 은하가 뒤틀린다거나 별들의 궤도가 날아가버린다거나의 식은 아닐겁니다. 대신 블랙홀에서 뿜어져나오는 강한 에너지 제트로 인해 주변 성간 물질이 불려나갈테고, 우연히 태양계가 그 영향권 안에 들어온다면 고에너지 우주선 입자가 더 많이 쏟아진다는 식의 영향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
@268onob
@268onob 2 жыл бұрын
라-인 하르트-! 망치 나가신다-! 명예로운 삶을- 영광스런 죽음을-! 맥주-!
@N.K.Y83
@N.K.Y83 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망원경으로도 선명한화질의영상은 찍을수없나보군요?🤔😩그나저나 얼른 외계인이 살법한 외계행성을 찾길바랍니다👍 👽🪐🌌🌠
@seowlite
@seowlite 2 жыл бұрын
이번 게임은... 블랙홀 구슬치기야...
@user-xg9nu1ix3q
@user-xg9nu1ix3q 2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머리 위로 쏟아지는 소입자량을 100으로 했을 때, 지구의 반대측으로부터 자신의 발밑에 뚫려 온 소입자량이 95일 때, 이 차이 5가 중력이 된다. ※카시다 교수의 소립자에 질량 발견이라는 공적보다 물질의 원자구조에 의해 소입자의 압력이 달라지므로 밀도가 높은 물질에 결과적으로 당겨지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것을, 인간은 지구가 당기면 착각해 버렸다. 지구가 둥근 것은, 이 압력이 균등하게 걸리고 있기 때문. 그리고, 고밀도의 별끼리가 부딪치면 그 별을 형성하고 있는 밀도 이상의 압력이 좌우로부터 걸려, 별은 붕괴. 이 충돌 에너지는 좌우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도망치지 않고 일종의 압력 솥 상태가 되어 압력이 약한 상하로 뿜어낸다. 이것을 제트나 감마선 버스트라고 불리는 것으로 추찰. 블랙홀은 바로 이 원리가 아닐까요?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이러한 에테르와 비슷한 관점의 문제는 마이클슨 간섭계에 의하여 부정되긴 했는데 중력을 상대로는 실험하지 않아서 다시 실험을 하기전까지 확신은 못하겠네요
@mww-0-
@mww-0- 2 жыл бұрын
아시는분 제발알려주세요 !!! ㅠㅜ 지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잖아요? 예를들어 아시아라던지 러시아는 비교적 위쪽에 있고 호주는 밑에있잖아요 근데 이게 우주가 위아래개념이 없는데 왜 이렇게 놓고보는건가요?? 제말은 우리가 아는 남극이 실제 북쪽일수도있고 동쪽 이거ㄴㅏ 동남쪽일수도있고 그런거아니에요? 우주에서 바라보는 지구나 모든 행성을 다 한쪽으로만 표시해놓은거죠? 왜,어떻게 지구나 행성방향을 정한건지 궁금해요. 제 말이 이해가 쉽게 예를들자면 사실 우주는 어떤물체이고 그 물체속이 우리 우주라고 생각하고 속을 들여다봤을때 우리가 생각하고 지도만들고했던 모습들이 사실은 위아래 바뀐모습일수도있잖아요?? 지구로 예를 들자면 호주가 위에있고 러시아가 밑에있는 걸수도있죠 거꾸로보면요 ? 그렇게 위아래뒤집어놓은모습 (지구본을 거꾸로들었을때처럼) 일수도있는데 누가 왜 어떻게 지구의 위쪽은 러시아다라고 정한거죠 ?? 마치 우주의 위아래가 정해져있는것처럼요. 우주에 위아래개념은 누가 어떤근거로 정한거죠? 제 말이 이해ㄱㅏ되시는분있으면 제발알려주세요
@gaeul7699
@gaeul7699 2 жыл бұрын
지구는 지형들이 구분가서 기준이 어떻게 되든지 이해가 되는데 다른 행성들은 그럴만한 특징들이 잘 없어서 자전축을 중심으로 기준을 세우지 않았을까요?(완전 제 추측임)
@mww-0-
@mww-0- 2 жыл бұрын
@@gaeul7699 답변감사합니다 ! 자전축이라는것도 인간이 정한 오른쪽왼쪽기준인데 사실 우주의비밀이 다밝혀졌을때 보면 오른쪽왼쪽 그런 방향이아닌 90도 뒤집어서 위에서 아래로 도는 모습이 자전일수도 있는건데..우주에 위아래 개념을 어떻게 정한건지가 궁금해요 ㅠㅠ왜 지구의 북쪽(북쪽=위쪽이라는것도 이해가 안돼요 위 아래 라는건 누가 뭘 기준으로 세운건지) 이 위라고 하는건지.. 누군가가 우주의 위 아래를 정확히 알아서 위는 이쪽이고 아래는 저쪽이다 라고 정했으니까 지구도 위가 북쪽이고 아래가 남쪽이라고 알고는있지만 그 우주의 위 아래 개념을 누가 무슨 근거로 세운건지 그 근거가 궁금해요 우리가 찾아내는 다른 행성들도 지구기준의 위 아래인데 왜 지구가 우주의 기준이되는건지 궁금해용 그냥 별뜻이 없이 걍 대충 이렇다하고 보자 한건가? 그냥 궁금해서 적어봤어요^^
@mww-0-
@mww-0- 2 жыл бұрын
지금 네이버에 우주의 위아래 라고 검색하니 다행히도(?)저랑 같은의문을 가지고 물어본 글이 많아 보고있습니다 답변글 말이 그냥 사회적 약속이라고 하네요 북쪽으로 번영된 국가가 많아서요...무슨 근거를 가지고 우ㅣ아래를 정한게 아니라 그냥 사회적약속이라고하니 허탈한마음도 드네요 ㅎㅎ 이제는 그렇다면 사회적 약속이 아닌 저만의 우주의 위아래 기준을 정해놓고 우주를 재미있게 구경해봐야겠습니다 ㅎㅎ토성의 고리가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제 기준을잡고 봐보려구요 다른 재미가 있을것같아서요 ㅎㅎ 꼭 사회적으로 약속한방향으로맘 보라는 법은 없으니까요
@pullup_dips
@pullup_dips 2 жыл бұрын
그냥 최초 세계 지도를 만들었던 서구권 탐험가들이 자기가 살던 동네 기준으로 임의의 동서남북을 정한거죠
@tomygirl2000
@tomygirl2000 2 жыл бұрын
과학 발전을 주도했던 과거 서구 열강들이 적도기준 북반구에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동서남북의 방향의 개념은 태양의 움직임과 관련되서 정의되는데, 태양이 뜨는쪽이 동, 한낮에 방향이 남 (반대가 북), 지는쪽이 서쪽이 됩니다. 이를 적도 중심으로 위아래를 나눴을 때 북반구에서 관측하기 때문에 지금의 개념이 된 것입니다. 만약 과학의 발전이 남반구 대륙에서 기인했다면 현재 남과 북은 방향이 반대로 정의 되었겠죠. 하지만 현실적으로 남반구 대비 대륙의 크기가 북반구가 훨씬 크며, 인구도 많습니다. 당연히 확률적으로 북반구가 기술발전이 일어나기 좋은 환경이고 여전히 그 주도권이 북반구에 있습니다. 태양계 행성의 공전 모델을 설명할 때도 여기서 확장되어 북반구가 위에 있는 형태로 이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인간'이라는 형태를 그림으로 그렸을 때 대부분 바닥을 밟고 서 있는 모습을 그리는 것 처럼 말입니다. 천장에 발이 붙은 것 처럼 거꾸로 붙어있는 모습으로 묘사하는것은 왠지 부자연스럽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방위 개념의 형성의 출발점이 북반구에 있기 때문이고, 그것이 통념이 된 것입니다. 별개로 첨언하자면, 우리가 현재 쓰는 글로벌시간의 기준은 GMT 이며, 이것은 영국을 기점으로 합니다. 또한 현재 우리가 중동국가라고 부르는 나라들은 서유럽 기준으로는 동쪽으로 가깝지만 한국 기준으로는 서쪽으로 더 가깝습니다. 위로 가볼까요? 남극이나 북극이라는 기준점에서 방위나 시간은 어떻게 될까요? 현재의 통념적인 관념으로는 어디를 써도 무방합니다. 남극점에서 한방향을 바라면 그쪽은 동쪽일까요? 서쪽일까요? 시간은 몇시일까요? 시간이란 참고로 경도를 기준으로 나눠지는데 극점에서는 그것이 한점으로 모입니다. 이러한 혼동을 방지하고자 별도의 기준을 정한 것이 존재 합니다.
@turkiyeguclukal
@turkiyeguclukal 9 ай бұрын
그러게 블랙홀 사진 찍는데 카메라를 가리시는가요....
@mintcat.534
@mintcat.534 2 ай бұрын
apa ini makna?
@turkiyeguclukal
@turkiyeguclukal 2 ай бұрын
@@mintcat.534 ??
@user-dy6te4gf8o
@user-dy6te4gf8o Жыл бұрын
우리은하이웃인마젤란은하부터보여줘야
@donlee4105
@donlee4105 Жыл бұрын
아 어렵다...
@hj7583
@hj7583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은 사방의 모든 것들을 빨아들이는데 회전축이 있는게 이해가 안가요ㅠ
@hj7583
@hj7583 Жыл бұрын
블랙홀 생성원인이 자전하던 행성이 중력에 못이겨 폭발한 것이라 그런 걸까요?
@user-op2ty9gx5d
@user-op2ty9gx5d 2 жыл бұрын
매불쑈 보고왔슈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Tmi입니다 볼사람은 보세요. Emt는 특수 목적으로제작된 전파망원경 입니다 모든 망원경이라고 보기에는 문제가 좀 있네요. 전파간섭계를 통하여 간섭가능한 전파를 수신하여 해상도를 높입니다.전파대역보다 높은 주파수의 영역의 빛은 불확정성때문에 간섭계로 사용 불가능 합니다. 은하핵 수준의 블랙홀은 그다지 밀도가 높지 않습니다. 크기가 0이라는 특이점 또한 상대론만의 우주에서 가능하지 양자역학이 들어가면 또달라집니다. 크기가 0이면 위치가 고정되어 무한대의 운동에너지를 가지기에 블랙홀의 수축력또한 견디지 못합니다. 이런 불확정성때문에 어느정도의 크기를 가질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아직까직의 이론으로는 크게 쓸일이 많지는 않은 이야기라 상대론적인 크기만으로 거의 언급합니다. 광자고리라고 부르는 포톤스피어는 정의상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 갇힌 광자들이 존재하는곳을 이야기합니다 블랙홀을 중심으로 원형의 궤도를 그리며 빨려들어가지도 나가지도 않는광자 고리를 기반으로 좀 더 크게 보이는 타원형 궤도의 빛이보입니다. 관측되는 것은 전파망원경이 수신가능한 강착원반의 전파 복사와 활동성 은하핵의 주로 제트에서 발생하는 싱크로트론복사에 의한 전파를 관측합니다. M87이 먼저 측정된 이유는 3가지로 성간물질에 의한 방해(관측지점이 은하팔에있는 태양계라서) 크기차이 겉보기 크기인 면적은 거리에 제곱하여 줄어드는데 블랙홀의 크기는 질량에 제곱하여 늘어나서 거리가 1000배 멀어도 질량이 1000배크면 똑같은 면적을 가집니다. 대부분의 다른천체는 질량에따라 제곱으로까지는 안커집니다. 마지막으로 사건 지평선 망원경이 북반구에 많아서 적도부근에서 관측되는 우리은하핵보다 m87이 북반구에서 잘보여서 입니다. 많은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합니다.
@user-sj3fj7jf4z
@user-sj3fj7jf4z 2 ай бұрын
천문학도입니까? 엄청나네요..
@dykim7745
@dykim7745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지만 뭔말인지 도통...
@user-cl7hk2dz9n
@user-cl7hk2dz9n 2 жыл бұрын
최근; 수억년전
@jaehoonjun1278
@jaehoonjun1278 Жыл бұрын
너츠네.
@user-gg2zd6vl9p
@user-gg2zd6vl9p 2 жыл бұрын
영상보다가 말이 안되는게 안드로메다 은하 블랙홀은 250만광년이나 떨어져있어서 아직은 관측이 불가능하다고 했는데 M87은하는 5500만광년이나 떨어져있는데 어떻게 관측한건가요?? 거리가 20배이상 차이가 나는데
@user-pt2iu5qd4w
@user-pt2iu5qd4w 2 жыл бұрын
안될과학에서 정리해주심 그거보세요~
@wz_mz
@wz_mz 2 жыл бұрын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 안드로메다 블랙홀은 우리은하 블랙홀에 비해 25배 무겁지만, 100배 더 멉니다. 반면 M87 블랙홀은 2000배 더 멀지만 1500배 더 무겁습니다. 너무 커서 그렇게 멀어도 지구의 하늘에선 우리은하 블랙홀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의 크기는 사건 지평선의 크기로 결정됨으로 그크기를 결정하는 슈바르츠 실트 반지름은 질량에 비례하여 크기는 그제곱에 비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M87은 엄청 커요 보통의 천체는 질량이 증가한다고 크기가 제곱으로 증가하지는 않지만 블랙홀은 대형 천체중 가장 성장폭이 좋고 이 변화율은 거리에 따른 관측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의 변화 율과 같아서 거리가 1000배 멀어도 무게가 1000배크면 똑같이 보입니자
@Jung-Woo-Sung
@Jung-Woo-Sung Жыл бұрын
냥모나이트ㅋㅋㅋ
@user-sn9rf8mk5w
@user-sn9rf8mk5w 2 жыл бұрын
매불쇼가 나를 여기로 인도했네
@user-cd1zn4yu5c
@user-cd1zn4yu5c 2 жыл бұрын
저거 합성이잖아..
@user-ky7tw8ho3k
@user-ky7tw8ho3k 2 жыл бұрын
나는 블랙홀을 촬영했다고 엄청 떠들더만 내 생각에는 백퍼 구라임 아니 모든 빛을 흡수하는데
@gyuchanchoi9899
@gyuchanchoi9899 Жыл бұрын
나지금땅땅해
@moonragon8580
@moonragon8580 2 жыл бұрын
우주마저 지배하는 고양이
@gege2830
@gege2830 Жыл бұрын
현타 오지게오네 안드로메다 겁나먼거보고
@user-YourStar
@user-YourStar 2 жыл бұрын
조회수 4444를 보고 있는 나...
@hasasa4241
@hasasa4241 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또 얼마나 많은 주장과 예상들이 수정되어야 하거나 폐기되어야 할까? 블랙홀 크기가 없다. 크기가 영이다. 물리학적으로 맞는 말인가? 이분도 자기가 관측하거나 연구한 건 아닐텐데 어떤 자료를 발췌해서 읽고 있는 걸까?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2 жыл бұрын
뭐 사실 사건의 지평선 안에 있는 이상 0인거와 뭐 유의미하게 다를 이유도 없을거고... 펜로즈의 특이점 정리상 0이여야하는지라...틀렸다 주장할려면 반례가 나오면 되는데...현재까지 없는 이상 그냥 0으로 보면 될겁니다...
@user-nc9ef2qf5r
@user-nc9ef2qf5r 2 жыл бұрын
이분 천문학자시고 예전에 과학유튜브들이 자기 전공이 아닌 영역까지 다루는것에 전문성이 떨어질수 있다며 우려하신적이 있을정도입니다. 지금 의문을 가지신 내용은 상대성 이론에 기반한 내용이며, 상대성 이론이 그렇게 엉터리였다면 지금 쓰고계실 gps 부터가 이세상에 없었을 거에요. 물론 현존 이론이 100퍼센트 정답은 아닐테고 미래에 언젠가는 수정이 필요하거나, 혹은 아예 뿌리부터 뒤집힐 가능성은 분명히 있어요. 하지만 무언가 의심하고 싶을땐 좀더 깊이 알아보고 이해해본 다음에 해도 늦지 않습니다. 상대성 이론이 예측했던 우주의 성질중에 아직까지 틀린걸로 밝혀진게 하나도 없거든요. 당장 딱히 의심을 가지지 않는 블랙홀의 존재 자체가 먼 예전엔 모두가 의심했던, 이론에 기반한 예측이었습니다.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그 엄밀히 말하면 그 크기가 0이 아니라고 더 나아간 물리는 생각은 합니다. 불확정성의 원리에 의하여 근데 관측이 불가능하고 일어나는 현상은 중심점 정리나 양자적 효과를 무시할 수있는 크기라 아직은 상대론만을 보고 0으로 계산합니다.
@fright0718
@fright0718 2 жыл бұрын
코딱지도 그렇고 고양이도 그렇고 비유는 와 닿질 않네요. 설명 자체가 워낙 좋아서 쓸데없는 비유는 안 하시는 게 더 좋아 보여요.
@sejina77
@sejina77 2 жыл бұрын
저는 좋습니다~ 다양한 시청자를 고려해야하지 않을까요?^^
@user-lq9oq7qb8d
@user-lq9oq7qb8d 2 жыл бұрын
좋은데요? 와닿는데요?
@johnnnpark7151
@johnnnpark7151 2 жыл бұрын
쓸데없는 지적은 안하시는게^^
@wz_mz
@wz_mz 2 жыл бұрын
너무 귀한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과학적인 이야기로 뵐 수 있도록 열심히 연구하겠습니다 🙂
@fright0718
@fright0718 2 жыл бұрын
@@YiYo36524 제가 언제 제 입맛에 맞춰달라고 했나요? 그냥 매불쇼때도 반응이 안좋았던 표현을 똑같이 하시길래 더 잘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지적한거죠. 좋은 맘으로 한 얘기에 너무 날선 댓글이네요.
@YoonPark-zu1ps
@YoonPark-zu1ps 2 жыл бұрын
고양이 비유 쓰면서 자기가 ㅈㄴ 유쾌하다 생각했을 거 생각하니까 안쓰럽다... 비유도 적절하지 않고 재밌지도 않고 채널 이름도 그렇고 그냥 이상함
@user-jn4dm1hr3p
@user-jn4dm1hr3p Жыл бұрын
그럼 보지마셈 님 안본다고 달라질거 없음
@jrehgb3451
@jrehgb3451 Жыл бұрын
@user-vk3gt5sx9d
@user-vk3gt5sx9d Ай бұрын
근데 갑자기 궁금한게, 저기 빛들은 다 엄청난 블랙홀 중력장 속에서 회전하는 건데, 그럼 사실 한바퀴 도는데 우리 눈에는 6분이지만 쟤네들은 그 중력장 속에서 상대적으로 10초도 안 걸릴 정도 아닌가요?
My little bro is funny😁  @artur-boy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이 은하는 보이지 않습니다! | 드디어 밝혀지는 암흑 물질의 정체..?!
18:30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216 М.
이게 같은 천체라고?! 제임스 웹이 발견한 고리 성운의 놀라운 두 얼굴!
10:38
В России ускорили интернет в 1000 раз
0:18
Короче, новости
Рет қаралды 875 М.
ИГРОВОВЫЙ НОУТ ASUS ЗА 57 тысяч
25:33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92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