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기술을 아시나요? /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92,509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7 жыл бұрын

1955년, 영국의 경제학자, 에른스트 슈마허는 '중간기술'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그가 말한 중간기술이란 과거 원시적인 기술과 선진국형 첨단 기술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지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재료와 적은 자본, 그리고 간단한 기술을 활용한 소규모의 생산 활동을 지향하는 중간기술.
이후 60년 동안, 이 기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활용되며 국가, 사회, 지역의 발전을 이끌어왔죠.
첨단 과학기술의 빛에 가려 종종 그 가치가 퇴색되기도 하지만 21세기에도 반드시 요구되고 있는 중간기술.
지금은 ‘적정기술’이라 불리는 이 특별한 기술에 대해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www.ytnscience.co.kr/program/p...

Пікірлер: 101
@jasonkim8410
@jasonkim8410 7 жыл бұрын
정말좋은 다큐 감사합니다
@hyk7083
@hyk7083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시골에서도 적정기술은 꼭 필요합니다....
@user-yd6nx2eu7d
@user-yd6nx2eu7d 5 күн бұрын
3:12 카이 세척기 7:44 나무가스레인지 12:46 바이소 가스 수집기 15:30 이동식 쟁기 19:00 포트형염소소독제생성기 24:18 입식농기구 30:06 소형가스화장치 32:46 기화식 에어컨 36:10 자전거 발전기 39:51 페달세탁기
@user-sk8wc4kc5z
@user-sk8wc4kc5z 4 жыл бұрын
세탁기의 경우,그 시간에 손으로 빨래하는게 낫지 않나요?
@der_frantze
@der_frantze 3 жыл бұрын
손 아프니까요
@user-sv1vw9oi7e
@user-sv1vw9oi7e Жыл бұрын
적줭 기술 조와요 !!
@insuk1234
@insuk1234 6 жыл бұрын
저거 세탁기는 진짜 쓸모 없어 보이네요. 세탁을하려면 페달을 정방향,역방향으로 번갈아서 밟아줘야되는데 무릎관절에 상당히 안좋을겁니다. 차라리 물을 댑혀서 담궜다 뺐다 하는게 훨씬 세탁이 편하고 잘될것 같아요. 저걸 굳이 개발해야겠다면 기어랑 클러치를 둬서 써야될텐데 클러치 수명이 금방 나가버릴거같고.....
@user-vj2sh1kc1x
@user-vj2sh1kc1x 6 жыл бұрын
클러치 말고 회전운동 -> 직선왕복운동 -> 회전운동 이런식으로 변환하는게 더 좋을 듯
@user-sk9nw1uw7m
@user-sk9nw1uw7m 4 жыл бұрын
이게 왜 학교 숙젠데?
@udvsdd5172
@udvsdd5172 4 жыл бұрын
ㅋㄹㅎㅋㄹㅎ
@user-uo6pp5nc9q
@user-uo6pp5nc9q 3 жыл бұрын
오니?
@user-ec1dn7dg2z
@user-ec1dn7dg2z 3 жыл бұрын
@@user-uo6pp5nc9q ㄱㅊㅁㅈㅂ
@user-zc1xy7xp8n
@user-zc1xy7xp8n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u4nn1vm5t
@user-su4nn1vm5t 3 жыл бұрын
ㄱㄴㄲ ㅎr.,......슬프다 진짜ㅠ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29 күн бұрын
무선+자가발전인 무선tv,무선tv빔프로젝터,무선tv미니 빔프로젝터의 코드+코드스캔을 없애면 안되나요?
@chankyunlee7098
@chankyunlee7098 7 жыл бұрын
적정기술을 통해 가난한 사람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길 바랍니다.
@ggeobong
@ggeobong 3 жыл бұрын
.
@joungmyoungpark5061
@joungmyoungpark5061 3 жыл бұрын
좋은 일 하시는 군요
@No_Moo_Hyun
@No_Moo_Hyun Ай бұрын
나무 가스 스토브는 원래 있던 놈인데.. led 살균기는 선진국의 첨단 기술이 필요한 부분이라 돈많은 공장에서나 활용 가능..
@user-cu8hw4jl4m
@user-cu8hw4jl4m 6 жыл бұрын
25분에 언딘 이사장이 왜 나오지 ?
@uio86a
@uio86a 3 жыл бұрын
저 교수님이 가지고잇는 지식을 책으로 쓰면 그걸 읽고 사람들이 활용만한다면 얼마나 강국이될까
@lsmy1165
@lsmy1165 3 жыл бұрын
44:26
@revere8600
@revere8600 6 жыл бұрын
100 개 정도 뽑아내서 1 개 정도만 쓸만 한 기술 건져도 이득아닌가
@uio86a
@uio86a 3 жыл бұрын
최소주거기준이라는것도 잇엇음 좋겟음 누구나 자기가쉴수잇ㄴㄴ 줕개 등등
@user-jx3wt5py8c
@user-jx3wt5py8c 3 жыл бұрын
왜 모든사람이 온클이지;;
@loadoftime1
@loadoftime1 3 жыл бұрын
코이카등지서 적정기술로 새마을운동프로젝트등에서 사용되는게 이미 17년부터도 진행되고 있었던거였네요.
@uio86a
@uio86a 5 жыл бұрын
@Allin7days
@Allin7days 6 жыл бұрын
일명 멕가이버 기술! ㅋㅋ
@user-qc6nj1fr1h
@user-qc6nj1fr1h 3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식량 로열티에서 독립, 적정기술 활용등 배워야 한다. 자급자족 연습등이 같이 조화를 이루어야 비상시 도움이 된다.
@snipercain8779
@snipercain8779 3 жыл бұрын
이 중간기술이 중요한게 현대는 전기와 전자에 집중하는데 절실히 필요한 기술은 오로지 자연과 물리학적 운동원리에 입각해서 만드는 물건이 중요함. 블랙아웃이나 emp의 출연으로 꼭 필요한 기술이 되어버렸음
@po2son72
@po2son72 6 жыл бұрын
나무가스화 스토브는.. 원리 설명이 핀트를 벗어나있네-_-;; 산소는 바깥공기도 이미 있는거임. 저런 구조를 만드는 이유가 그냥 산소공급이 아니라. 일반 나무가 연소하며 생긴 수증기로 인해서 상대습도가 올라가서 다습해진 공기로는 나무가 타며 발생한 가스가 연소가 불가능함. 그래서 두 격벽사이를 지나며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만드는것이고 고온의 공기를 만난 가스는 상대습도가 낮아져서 연소가 가능한거임. 대학교수라며.. 원리는 알고 만든거냐? 그냥 인터넷에 있는 설계 베낀거 아니고? 설명이 왜 그따구냐...
@hickenc2187
@hickenc2187 3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설명이 만만디 ㅋ
@Hyunilkim7
@Hyunilkim7 3 жыл бұрын
락스 희석 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훠~~~얼 씬 혀율적이겠는데요? 21:00 소금으로 만드는 소독제
@der_frantze
@der_frantze 3 жыл бұрын
그 나라에서 락스를 생산을 할 수 있는지부터 고려해야죠 안되니까 이런 걸 만드는거 같은데
@davidkim4527
@davidkim4527 3 жыл бұрын
적정기술이라고 개발한 것을 보면 정말 아프리카 사람들이 이런게 필요할까 생각이 든다. 세탁기? 그냥 강물에 세탁한다, 그들에게는 비누가 필요하다. 밀소(mill saw)? 그들에게는 단순한 톱이 필요하다. 소독장치? 염소소독 알약이 편하다. 전등? 중국산 태양열 집열판 단 랜턴 10불이면 충분하다.
@user-cn6pc5gk7o
@user-cn6pc5gk7o 3 жыл бұрын
그 학교 숙제로 냈으면 광고를 좀 어캐 해봐
@su-4736
@su-4736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hickenc2187
@hickenc2187 3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조상들이 논밭에서 사용하던 호미와 괭이 낫 그런 농기구들이 적정기술입니다 적절한 곡선에 의해 꼭 필요한 만큼만 힘을 들이면 되는 .
@user-ly6hy9lx5b
@user-ly6hy9lx5b 7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한밭 ㅋㅋㅋㅋ
@e330sshv4
@e330sshv4 3 жыл бұрын
광고나 적정하게 하슈. 각다귀가 따로없네
@user-nn9ie2cq1e
@user-nn9ie2cq1e 4 жыл бұрын
이거 왜보라하노
@wisikahn
@wisikahn 6 жыл бұрын
쪼글시고 농사 짓는 데가 우리 말고 또 있나?
@nolboo_korea
@nolboo_korea 3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작다
@dolgum826
@dolgum826 6 жыл бұрын
대체로 해외에서 베껴다가 괜히 더 복잡하게 만든 것이 대부분이네. 특히 페달기계 누가 저걸 쉽게 구현하겠나???
@user-ud4jx7mg9i
@user-ud4jx7mg9i 3 жыл бұрын
광고 개많네..
@Hyunilkim7
@Hyunilkim7 3 жыл бұрын
흐흠 20:00 염소발생장치.. 락스를 희석해서 쓰는 것이 경제적일듯
@Hayoon_Sung
@Hayoon_Sung 3 жыл бұрын
온클(기술수업) 로 온사람 손
@uvt5350
@uvt5350 3 жыл бұрын
대연고있냐
@user-sv1vw9oi7e
@user-sv1vw9oi7e Жыл бұрын
적줭기술조화요 훠훠
@jkyoo8330
@jkyoo8330 3 жыл бұрын
31:43 나무를 때야되는데 환경 보존이라.. ㅎㅎ
@user-qc6nj1fr1h
@user-qc6nj1fr1h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나무는 계속 심을 수 있음
@jkyoo8330
@jkyoo8330 3 жыл бұрын
@@user-qc6nj1fr1h ㅎㅎ 나무 심으면 1년뒤 다 크는줄 아나보네
@user-ms9mb2tg9t
@user-ms9mb2tg9t 3 жыл бұрын
ㅇㄴ 광고 왜이렇게 많냐 무슨 5분에 한번 꼴로 나와..?
@meiyou_5168
@meiyou_5168 6 жыл бұрын
용접 진짜 못했더
@PP-ri8ef
@PP-ri8ef 3 жыл бұрын
석주야 영상좀 봐라
@meunggeunsong2874
@meunggeunsong2874 3 жыл бұрын
적정기술의 90프로는 사기라는거지..예쁘장한 쓰레기를 위해서 돈을 쓰게 되는 경우죠
@lom111
@lom111 3 жыл бұрын
내가 이걸 발명할 정도였으면 지금이러고 있지 않겠지 ..;;
@dewiarofah7366
@dewiarofah7366 3 жыл бұрын
No, rara
@hanalltech
@hanalltech 4 жыл бұрын
적정발전 적정소득도 필요함. 왜 무조건 큰발전을 해야하는지? 환경은 파괴되고 빈부격차는 더 커지고
@realizationtomorow
@realizationtomorow 3 жыл бұрын
나무 태워 열과 전기를 얻는 방법은 파괴기술이지 적정기술이 아님. 나무 태우는 장치는 도입하지 않길..
@user-du7yn8nv7s
@user-du7yn8nv7s 6 жыл бұрын
자전거 패달로 만든 저 엄청난 크기의 세탁기를 보면서.. 그냥 빨래판을 하나 사서 빨래늘 하는 것이 자전거 패달을 앞 뒤로 움직이는 수고를 덜 수 있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더라. 저것도 아마 협동조합 만든다고 서울시에서 지원 받아서 세금 들이 부어서 뻘짓하고 있는 것이겠지.
@haevento1
@haevento1 6 жыл бұрын
지혁 - 저렇게 빨래를 하며 전기까지 생산한다면 더 좋겠죠!! 저는 상당히 좋게 봤어요 너무 비판만 하지 마셔요^^
@user-ih1pl5ke4t
@user-ih1pl5ke4t 6 жыл бұрын
지혁 - 빨래판으로 빨래 해봤낰ㅋㅋㅋㅋ?
@user-mc9qp8de8u
@user-mc9qp8de8u 5 жыл бұрын
따로 근력을 키워야하는 팔에 비해 일생동안 신체를 지탱하는 다리근육이 더 강하기 때문에 일반인이라도 쉽게 빨래가 가능합니다. 빨래판으로 빨래 해보셨으면 알겠지만, 고무장갑을 끼고 한다고 하더라도 손에 물집과 건선(혹은 습진, 복불복)이 잡히고 여성 분들은 남성보다 손이 더 작으므로 손 관절에도 무리가 갑니다. 여러모로 따져봐도 페달형 세탁조가 빨래판보다 더 효율적이고 간편합니다.
@user-mc9qp8de8u
@user-mc9qp8de8u 5 жыл бұрын
물론 가정 내에 설치하려면 큰 공간 낭비가 있을 것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숙박시설이나 단독주택 등 야외공간(마당)이 있다면 이는 아주 유용할 것입니다. 경험 상, 세탁시설이 빈약한 합숙시설(훈련소, 교육소 등)에 있다면 엄청 좋을 것 같네요.
@user-mc9qp8de8u
@user-mc9qp8de8u 5 жыл бұрын
모든 제품은 장단이 반드시 있으므로 단점을 부각시키기 보다는 제품의 적재적소를 따지는 것이 더 생산적일 듯합니다 ^
@minimoon9322
@minimoon9322 3 жыл бұрын
자외선은 나쁜세균이든 좋은세균이든 다 죽이는데??;;;;
@hickenc2187
@hickenc2187 3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유신시대의 전시효과 같은 그런 게 방송에서 존재한다는 느낌이 든다. 옛날 군대 각 잡는 것도 아니고 ㅎ 진짜 한심하다....
@user-br5zm8lm5z
@user-br5zm8lm5z 3 жыл бұрын
뭔.개소리.중공군과합병이라니
@user-uo6pp5nc9q
@user-uo6pp5nc9q 3 жыл бұрын
누가 한줄요약좀
@tomkim3726
@tomkim3726 3 жыл бұрын
적정기술이 좋다.
@sarina23_
@sarina23_ 2 жыл бұрын
^^ㅣ발 44분 온라인^^
@user-ik7dk1jf4y
@user-ik7dk1jf4y 3 жыл бұрын
왜 인도네시아 같은 나라인가요? 우리나라에 기술을 무조건 꽁짜로 얻으려는 나라인데요. 국방산업 기술들을요. 개발비을 지원한다고 해 놓고 하지도 않고 뒤통수치는 놈들 베트남, 인도네시아 기타 등 이런 나라 사람들은 고마움을 모르고 뒤통수 치는 일본, 중국 같은 나라인데요.
@HeesungYun1
@HeesungYun1 3 жыл бұрын
옷 한 벌 빨다가 다리 부서지겠네.
@yuisangiang
@yuisangiang 3 жыл бұрын
광고좀 적당히 넣으세요!
@samagui1
@samagui1 3 жыл бұрын
한국 사람들 엄청 똑똑해졌네 60년전 미군 부대 꿀꿀이 죽 맛있게 먹던 시절이 엇그제 같은데 훈민정음 세종대왕 덕분이고 미국쪽에 줄선 이승만 대통령 덕분이고 잘살아 보자고 쌍욕먹으며 독재하던 박정희 대통령 후회없겄네
@uio86a
@uio86a 3 жыл бұрын
근데 가장중요항게뭔지아나? 재벌들의 인격이바뀌면 세상은 좋아짐 결국 저런기술보다 사람의마음씨와 인격만 바뀌면 모두가행복하게살수잇능거임 결국 인간이문제지.... 저기나온 학생들중 자기가번돈 기부할수잇는애들몇잇겟음? 이중성 내로남불 열등감 위선 미성숙
@hickenc2187
@hickenc2187 3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 ㅋ
@nirvana71-
@nirvana71- 3 жыл бұрын
무료로 다른사람들 돈벌게 하려는거보니 성인인가?
@user-jx6bl7xr2h
@user-jx6bl7xr2h Жыл бұрын
노잼
@parksal
@parksal 6 жыл бұрын
가스나는 주둥이만 나불대고 남자가 일다하네 ㅋㅋ
@dewiarofah7366
@dewiarofah7366 3 жыл бұрын
ANTI TERORIS WAK IMAM CHAMBALI MUHAMMAD BUNGURASIH + ANTI terorisme WAK ABDUL ROKIB BUNGURASIH + ANTI terorisme m MUZAKI BUNGURASIH GANGGU sakkabehane + ANTI TERORISME WAK SITI KHODIJAH BUNGURASIH, WARU, Sidoarjo , JATIM , INDONESIA. INTERNASIONAL.
@hickenc2187
@hickenc2187 3 жыл бұрын
"적정기술"이 무엇인가 . 부터 제대로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동영상을 만들었어야지. 뭔 뻘짓들만 모아놓고 ㅎ 장난 하는 겨?
@user-nu3wy1jn2k
@user-nu3wy1jn2k 3 жыл бұрын
쟁기 만드는데 일은 남자가 다하고 여자는 주뎅이로 점수 챙기네
@hickenc2187
@hickenc2187 3 жыл бұрын
주댕이 ㅋ
@doopauo5655
@doopauo5655 3 жыл бұрын
왜 저 좋은 머리로 대한민국을 더강한 나라로 만들 생각을 해야지... 후진국 지원을 해주고 있노... 지원한다고 뭐가 좋아진다고 쯧쯧 한글을 쓰라고해라... 도와줬으니
@hickenc2187
@hickenc2187 3 жыл бұрын
한글 ㅋ
@user-fb5fv7sy6i
@user-fb5fv7sy6i 3 жыл бұрын
44:26
О, сосисочки! (Или корейская уличная еда?)
00:32
Кушать Хочу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Testing Coffee grounds for Mushroom bed P.1] Making Mushroom bed at home
1:30
상상초월, 3D 프린터의 진화 / YTN 사이언스
44:56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31 М.
꿈의 보안, 양자통신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
44:29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33 М.
О, сосисочки! (Или корейская уличная еда?)
00:32
Кушать Хочу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