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 철근콘크리트, 목조주택, 샌드위치판넬집 어떤 집으로 짓는게 좋을까?

  Рет қаралды 359,881

집짓는이박사

집짓는이박사

3 жыл бұрын

주택의 구조도 다양하고 종류도 많습니다.
그런 만큼 어떤 구조가 좋고 비용도 궁금하실 겁니다.
정답은 아니지만...
집을 계획하시는 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건축비용 #공사비 #골조공사비 #콘크리트주택 #목조주택 #조립식주택 #전원주택 #평당 #자재비

Пікірлер: 203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유료상담을 진행합니다. 집짓는 과정, 계획, 공사비, 자재비용등 모든 내용을 시공자 입장이 아니라 건축주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집짓는 모든 과정의 길잡이가 되어 드립니다. 자세한 문의는 lyho2@naver.com으로 부탁드립니다.
@BIGLONG544
@BIGLONG544 2 жыл бұрын
1. 목조주택을 많이 짓는 나라특징 -> 나무가 많음 주위에 널리고 싼자재임 왜 우리나라는 목조주택이 다른나라에 비해 수명이 짧다고 생각하는가 ->우리나라랑 똑같은기후가 없음 미국만해도 기후권을 8개로 나누지만 우리나라랑 같은데가 없음 따라서 잘 썩고 습기를 조금씩 먹어가면서 단열성능이 떨어짐 3. 기후가 맞는 곳은 목조주택 100년가는게 맞지만 우리나라는 100년 힘듦 100년된 목조가 있다면 그나라에 지어서 그럴가능성이크거나 한옥처럼 춥지만 통풍이 잘되서 안썩었을 확률이 높거나 정말 방습 투습 방수에 신경을 많이 썼을 확률이 높겠죠 비율은 낮겠지만 4.건축업자들에게 물어보세요 어디에 사시냐고 -> 대부분 경량철골 샌드위치판넬집 목조주택 비율이 낮을 것임 자기가 자신하고 짓는 시공사 사장도 거기에 안산다면??? 생각해 볼 문제 아닐까요? 5. 목조주택은 친환경? 철콘은 쓰레기? ->목조주택에 osb합판에도 허용치긴 하나 1급발암물질 들어있음 모든 자재에 화확제품이면 다 비슷함 목조든 철콘이든 완공후 베이크아웃해서 독성물질 빼네는게 중요함. 독성물질이 없는곳은 없으며 자연에서도 자연방사능 다 맞고있음 허용치 이하가 더 중요한것임 6. 단열 곰팡이 습으로인한 나무 썩음 -> 목조 철콘 공통으로 시공에 문제지 주택에 따른 장단점이 아님 단열을 잘하면 목조든 철콘이든 곰팡이 안생기고 괜찮음 다만 목조는 습기가 많은 우리나라기후상 시공에 신경을 더 써야하는것임 방심하면 집어느 한군데는 썩고 있음 7. 그래서 어느집? ->어느집을 선택하든 공부 많이 하시고 사기 당하지 않게 조심 하시고 공사할때 단열부터 기밀까지 고려하시고 집 지으시는게 답이겠죠? 9.주위점 ->유튜브에도 많은 전문가가 있지만 정보에 맞고 틀림을 떠나 잘못된 정보도 너무 많습니다. 실례로 열반사 단열재가 엄청좋은것처럼 얘기하거나 자기 작업하는걸 자세히 보여주면서 나한테 작업 하면 하자없을것이다라고 보여주는 동영상도 많죠 하지만 잘 공부해서 정보의 선별을 할수 있는 능력을 기르시고 집을 지으셔야 합니다. 다른분 지은데도 가보시고 가스요금 전기요금 고지서 확인하시고 10. 저라면? 기후상 단열시공 여건상 거주후 매매에서 철콘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다른주택이 별류가 아니고 비교우위 정도 목조주택은 단열이 글라스울타이백등 기본적으로 정해져있어서 단열성능이 해가갈수록 줄어듭니다. 제품특징이라 어쩔수 없고 목조주택상 비틀림으로 인한 기밀성유지가 가능은 하나 쉽지는 않습니다. 항상 어디가 썩지는 않나 조심해야함 이건 경량샌드위치 판넬집도 비슷한데 단열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이건 대부분 공감 하실거고 경량철골조의 경우는 목조주택이랑 비슷한 스터드형식으로 시공하나 변형이 적고 단열재 선택 폭이 조금 넓기때문에 단열에 신경쓴다면 가성비는 좋을수 있습니다. 모든 주택은 제대로 지으면 다 좋다 우리나라 기후상 단열 방수에 신경을 많이 써야한다 제대로 하면 비용이 많이 든다 공부는 필수다 싸고 좋은 집을 바라지 말고 100년 살기 바라면 그만큼 대출받자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긴글 감사합니다 절대 공감합니다!!!!
@kng197331
@kng197331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다 유튜브 찍으셔도 될 듯
@user-tr8lh4cs5y
@user-tr8lh4cs5y 3 жыл бұрын
철근콘크리트 전원주택을 7년전에 지었는데 지금도 단열 방음 잘되고 좋아요
@JOSUNCBN
@JOSUNCBN 3 жыл бұрын
집은 단열과 방수가 좋아야 최고일듯
@user-ir6kv7if4u
@user-ir6kv7if4u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이해 못했으나 제가 집을 지어 보니 이해할수 있더군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cursorseol4042
@cursorseol4042 2 жыл бұрын
진솔한 설명이 신뢰가 갑니다 많은 발전 기원드립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user-ft1zd1nh5y
@user-ft1zd1nh5y 3 жыл бұрын
구체적인 안목을 가지게 됩니다. 고맙습니다.
@user-fm9zp5vb1l
@user-fm9zp5vb1l 3 жыл бұрын
땅사서 집 짓는게 꿈인데, 현실적으로 계획하는데 많이 도움됐어요 너무 반가워요 고맙습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q9zt5es4n
@user-tq9zt5es4n 3 жыл бұрын
건축 앞두고 있는데 도움 너무 도움 됬습니다 감사 합니다
@user-cl4nn4hz7h
@user-cl4nn4hz7h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시청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ph4qg2uh6l
@user-ph4qg2uh6l 2 жыл бұрын
미니 세컨하우스 지을려고 고민중이였는데 큰 도움을 주신 영상 진심 감사드립니다
@user-my6xm4hq1q
@user-my6xm4hq1q 2 жыл бұрын
비교 설명 머릿속에 쏙쏙 들어옵니다.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해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yunseiro7380
@yunseiro7380 3 жыл бұрын
이박사님 좋은 콘텐츠 좋은말씀 감사드립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saemchoi546
@ssaemchoi546 3 жыл бұрын
이박사님 많은 도움이 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lylaj8282
@lylaj8282 2 жыл бұрын
전문가의 의견이 큰 도움이 되네요. 추후 보수 부분까지는 생각 못했는데 생각해봐야겠네요. 이런 콘텐츠 좋아요. 감사합니다.^^
@telfax9429
@telfax9429 2 жыл бұрын
잘 듣고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pring7273
@spring7273 8 ай бұрын
이 콘텐츠를 보고 답을 얻은 것 같습니다. 굿....
@user-fb3ug8sy6o
@user-fb3ug8sy6o 2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거처럼 집을지었다치고 사후에 유지 보수 관리차원에서도 철콘이 훨나은거같습니다 평당 금액 또는 공사비용은 내부 자재, 내부 인테리어가 비용에 많은 비중을 한다생각하고 저같으면 철콘 2층주택에 단열과 방수는 철저하게 하되 내부 인테리어자재는 비싸지않은 적당한선의 자재들로해서 하겠음 (완공후 인테리어는 일부 마음에 안드는건 손보면 되는거구^^)
@jongtaekim109604
@jongtaekim109604 3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qw3jn7bd7i
@user-qw3jn7bd7i 3 жыл бұрын
요즘같이 기상이변이 심해지는 시점에선 철근콘크리트에 내진까지 설계 해야할듯. 태풍,토네이도를 버틸수 있게. 축구공만한 우박까지 대비해야함.
@user-gt6hn8qc7k
@user-gt6hn8qc7k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입니다. ~ 본인의 재정상태나 집 위치 및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 근데 대부분 보면 철근콘크리트가 수명은 확실히 길어요. ^^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wintergarten3860
@wintergarten3860 7 ай бұрын
복잡한 비교평가보다 훨씬 실용적인 내용이군요….목조주택 이미 지었지만 잘 봤어요.
@daesunya
@daesunya 2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조로 뼈대를 세우고 어스백을 쌓고 페로시멘트로 벽체를 마감할렵니다.
@user-ed8ji2iq7b
@user-ed8ji2iq7b 2 жыл бұрын
저는 바닥이 최고로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단열 방수도 중요하지만 어느정도 개보수가 가능하지만 바닥은 불가능하더라구요
@user-dt7bm5mr8h
@user-dt7bm5mr8h 3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해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M-wf5sp
@SM-wf5sp 2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user-jn5gn3bn3b
@user-jn5gn3bn3b 2 жыл бұрын
결론 8:55 집짓는거 관심 많은데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ongshiklee5300
@jongshiklee5300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MKimID
@MKimID 7 ай бұрын
저는 80년된 목조 주택에서 살고 있으며, 아직까지 문제가 없어서, 앞으로 목제 주택을 짓고 싶습니다. 아.. 집구입할때 목재주택으로 50여 가구를 방문했습니다. 싱글이 오래되어서 비새는 집은 몇집을 봤지만요, 심각한 문제가 있는 집은 단 한번도 보지 못했구요, 또한 아래가 썩는다든지 하는 그런 황당한 경우는 단 한번도 본적이 없습니다. 미국 뉴저지 이며, 미국 동해한 날씨와 유사합니다. 그리고 이곳은 스타코/드라이비트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그 재질이 수분을 통과 시키기 때문에 뉴저지같이 습한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라스베가스/텍사스 등과 같은 건조한 지역에서만 사용합니다. 스타코 보다 차라리 PVC 사이딩이 더 오래가고 안전한 것 같습니다. 단지 목조주택의 단점이 바닥이 마루입니다, 그래서 바닥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하방 단열에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소음 문제는 많이 해결이 되구요, 그리고 집안 내부의 방음 문제가 있습니다만, 그건 내부 벽에도 흡음 단열재를 채우고 보드를 두꺼운 (3/5" - 16mm) 를 이용해서 양쪽을 잡았습니다. 이러다 보니 아마 철콘이나 비용은 더 들어갈수 있습니다만, 그래도 황당하리 만큼 유지보수가 편하고 그리고 집의 구조변경도 매우 쉽다는 최고의 장점이 있습니다. 느끼는 것이 한국에는 철콘 숙련공들이 많고 아직은 목재 숙련공들이 그리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 그래서 본인이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항상 느끼는 것은 집은 지어 놓은 것도 중요하지만 목재 건물은 유지보수가 매우 중요한데 그걸 안하고 집탓만 하는 것 같습니다.
@arnakiel2
@arnakiel2 10 ай бұрын
아이구 정말 맞는말씀입니다 저도 산에 전원주택 지어려고 하는데 경량철골주택으로 지어야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일반주택처름 지어면 그높은곳에 상당히 힘들어 평당가격이 1백은 더 달라고 하겠다 싶어 경량 철골로 짓고 외벽 마감은 빨간벽돌로하면 좋을꺼다싶네요 황토벽돌 말고 빨간 구우벽돌 로 하면 몇십년 되어도 세집같은 분위기 더라구요 산에는 빨간벽돌집이 더 이쁘더라구요
@SunmiOfficial
@SunmiOfficial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lw1sz9td9k
@user-lw1sz9td9k 2 жыл бұрын
좋은업자를 만나는게 중요합니다.
@SenseMachine
@SenseMachine 3 жыл бұрын
다들 말은 많지만 이십년 넘게 쓸거면 철근공구리가 갑임 목조 백년쓴다 어쩐다 하는데 주변 보면 십년 쓰고 다 난리도 아님 잘 지으면 좋겠지만 국내에서 목조갖고 제대로 하는 비율이 더 낮다고 봄 해본 사람들이 적으니 뭐.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Artist-Heo
@Artist-Heo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목조 제대로하는 기술자들 찾기가 너무 힘들죠...
@user-bl8cr7gd3w
@user-bl8cr7gd3w 2 жыл бұрын
보통 목조 주택은 외국형 목조 주택이라 우리나라 기후와는 맞지가 않죠~비도 많이오고 습해서 썩죠~차라리 목조하고 싶다면 한옥ㄱㄱ
@user-fi1lg8om3e
@user-fi1lg8om3e 2 жыл бұрын
제가 창호를 설치하며 한달에 30채정도를 봅니다 요즘 목주주택도 많이 좋아졌습니다 5~10년전이랑은 많이 다릅니다 ㅎㅎ 창은 당연 독일시스템창호가 최고^^
@jys4304
@jys4304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창호 사기꾼들이죠. 엘지 kcc 모두 유리도 꼭 메이커쓰세요. 제조사를 알아야합니다. 그러니 유럽것이 좋은둣해요.
@user-zs9cd8ko1k
@user-zs9cd8ko1k 3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bl8jn9vx1w
@user-bl8jn9vx1w 2 жыл бұрын
빔구조 징크판넬로 지었는데 후회막급입니다 집은 철콘구조가 짱입니다 향후에 리모델링도하기용이하고 철콘이 제일 나은듯합니다 건물대출도 철콘이 1등급입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isn30209
@isn30209 4 ай бұрын
후회하시나요? 어떤부분이 안좋은지 말씀해주세요 징크로지으려고 준비중인데요 너무너무궁금해요
@sugarfree2140
@sugarfree2140 3 ай бұрын
비용이 많이 들어가잔아요
@user-bl8jn9vx1w
@user-bl8jn9vx1w 3 ай бұрын
@@isn30209 일단 방음이 좀 안됩니다. 단열은 좋습니다 근데 이늠의 방음...그리고 건물감정가가 좀 낮게잡히는데 이건 뭐 건축비용이 그만큼 작게드니깐 상관이야 없지만 예민한사람은 방음때문에 힘듭니다 바람소리 빗소리ㅠㅠ
@chanholee2673
@chanholee2673 2 жыл бұрын
보편적인것이 좋다 그말이구나~
@youngjang1264
@youngjang1264 2 жыл бұрын
콘크리트는 고층 건물, 1,2층 단독 주택은 단연 목조, 경량철골은 실내 난방 없는 창고, 공장(절대로 주택은 비추) 이것이 수백년 간 북미의 경험적 결과입니다. 유독 한국이 경량철골 주택을 선호하는 것이 참 이해가 안됩니다. 실제로 한국 전문 건축가 유튜버도 과학적인 근거로 이와 같이 주장합니다.
@user-ey4wi5tj2n
@user-ey4wi5tj2n 3 жыл бұрын
솔직하신듯 합니다 잘 보고 좋아요 체크 했어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dky9163
@dky9163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목재 자재가 얼마나 발전했는지 모르겠지만 친구네 집 목구조로 10년 정도 된 집인데 지금 바깥쪽 둘레 밑부분이 전부 썩어서 고민을 많이 하더라고요. 그걸 보고 나서는 저는 무조건 철콘 임.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한표!!
@999robot3
@999robot3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dfg5911
@dfg5911 2 жыл бұрын
기둥+대형블럭+단열재+벽돌 이거 쉽고 좋습니다 라멘구조로요
@user-zj3se2pt1k
@user-zj3se2pt1k Жыл бұрын
저도 철콘에 한표.
@xjiwbsbd
@xjiwbsbd Жыл бұрын
목조 한표입니다. 콘크리트 제조 관련 사항 확인 해 보면 왜 아파트 자주 환기하라고 하는지 알겁니다. 몸 생각하면 목조입니다.
@five-dimension7299
@five-dimension7299 3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 판넬 집은,,,판넬 수명이 안좋아요,,판넬용철판이 녹이나 부식된다고 보시면 되구요,,경량철골조는 저렴하게, 20년정도 사실려면 지으시고,,자손대대로 물려줄 생각 이시면 철근콘크리트 구조로ㅡㅡ,,오지 자재수급 어려운곳에서는 목재주택을 지으시면 될겁니다,,목재주택은 업체선정을 잘하셔야 되구요,,방수및 마감작업 깔끔하게 안하면 내부 벽체 누수,결로로 나무자재가 썩는일이 발생하겠죠,,안보이는곳에서 썩어들어갈겁니다,, 업자들이 판매하는집은 구조를 뭘로 했는지 잘알아보셔야 됩니다,,업자들은 저렴한 경량철골 판넬집으로 싸게 지어서 판매하는분들이 많아요,,판넬집은 판넬 고정을 피스몇개로 고정해 있어서 외부충격에도 약하구요,,잘판단하셔야 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user-uy4vs4cb3p
@user-uy4vs4cb3p 2 жыл бұрын
이박사정말잘헤요경험오캐이
@user-tu9dv9nf5b
@user-tu9dv9nf5b 3 жыл бұрын
저라면 차후 관리가 용이한.......철근 콘트리트 주택을 짓겠습니다... 상대적으로 싸고 공기가 짧은 목조나 판넬집이 당장은 좋을지 모르나.... 초반 투자비용과 공기가 긴 점을 제외하고 견고성과 안정성,방음,방진등등...... 신경쓸일이 별로 없고 유지비가 적게들어가는, 철근콘크리트 주택이 ..... 지금까지로서는 제일 났지 않나 싶네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소형건물이면 그리 건축비용 차이 없습니다. 정말 골조비용 차이이지...
@user-jg8vc8fq2e
@user-jg8vc8fq2e 2 жыл бұрын
샌드위치판넬은 왠만하면 지양하시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화재시에 심재가 타면 소화가 곤란해서 인명 피해가 커집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db8pj8op6k
@user-db8pj8op6k Жыл бұрын
화재는 목조주택이 더 심하지 않나요?
@youngohan5789
@youngohan5789 3 жыл бұрын
글라스올이라고 하는데 저거 유리섬유입니다. 저 공사 하면 유리가루 찔립니다. 친환경이라고 하는데 세상에 유리가루깔고 잘 사람 있을까요? 유리가루 특성상 잘 부셔지고 피부나 폐에 잘박힙니다. 석면은 삼지창 유리섬유는 단창 그라스울이 해롭지 않다고 하는 사람들 맨손으로 설치 작업 해보셔요. 피부에 박힌 유리가루가 안아프고 몸에 좋을까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저도 좋지 않다 생각합니다..
@Leo-pf7ut
@Leo-pf7ut 3 жыл бұрын
경질우레탄 보드로 시공해도 똑같습니다. 제단하면 나오는 분진 다 따끔합니다. 거기다 화스너 박을때 콘크리트에서 나오는 분진.. 이것도 미세먼지 저리가랍니다. 어차피 어느 단열제 시공해도 다 똑같습니다. 그래서 내외장 마감 하는거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석면이랑 글라스울이랑 비교하는데..잘못된 비교 같네요... 기능상으로 보면 석면 우수한 단열제입니다. 그런데 왜 사용하지 못할까요? 그리고 글라스울은 왜 사용할수 있을까요? 석면 검색해서 전문영상 한두개만 보시면 답 나옵니다.
@user-gr3br2vf1y
@user-gr3br2vf1y 3 жыл бұрын
수리빨은 철콘이 좀났지요 ㅋ 겨울에 눈왔을때 지붕에 눈 상태를 보시면 어떤집을 지어야하는지 답이 나올거에요
@dltmfskawk
@dltmfskawk 3 жыл бұрын
이상민 형이심?닮음
@user-wo2tt4jh5f
@user-wo2tt4jh5f 3 жыл бұрын
@boin60
@boin60 3 жыл бұрын
철콘 주택 시공 업자한테 협의하니까 평당 700 만원 쉽게 애기하네요. 자재비 .인건비 장난 아닙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전부 다 그렇습니다... 자재비가 올라가니 인건비도 같이 움직여서... 다 힘든거 같습니다..
@user-oz4du9pj1b
@user-oz4du9pj1b 3 жыл бұрын
철근이 최고
@user-rq4yx4km6h
@user-rq4yx4km6h 2 жыл бұрын
철콘으로 하게되면 생각해 놓은 예산보다 대출을 더 받아야할 것 같은데 고민입니다 ㅜ ㅜ 철콘으로 단열 실패 사례를 봐서 겁나기도 하구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철콘...
@user-ph2xk3lw5w
@user-ph2xk3lw5w 2 жыл бұрын
그건 그렇고요 어떤 집을 짓겟냐고 물어 보는 것은 모은 조건이 같다면 이런것이겠죠 일반족인 조건에요 특별히 산속이라든지 이런것 말고 그냥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사는 대도시 군소도시 모든 조건이 같다는 전제 하에요 조건에 따라 다르다 이런것은 예외적 사항이고요 듣고 보니 어느게 좋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가 없네요
@schoolkeepa
@schoolkeepa Жыл бұрын
저는 H빔과 C형강철골 + 경량목구조, 미네랄울 단열 이중벽체로 짓겠습니다.
@user-fd3rc9sm3k
@user-fd3rc9sm3k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질문하나 있는데요. 콘크리트로 2층까지하고 지붕만 목조로 해도 되나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Жыл бұрын
가능합니다... 그러나 왜??
@user-mj2bx3gp4c
@user-mj2bx3gp4c 2 жыл бұрын
집을 짓는 위치, 자금사정, 향후 미래 등을 생각해서 지어라, 감사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cd6pk8ff2u
@user-cd6pk8ff2u Ай бұрын
목조는 비가 많이 오는 우리나라에는 안좋을거 같아요.
@user-hj5gt6iu4g
@user-hj5gt6iu4g 3 жыл бұрын
목조주택에 살아봤던 사람으로써 무조건 철콘주택으로 하세요 5년수명보고 살겠다하면 목조주택으로 하시고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ib5ji2nj5o
@user-ib5ji2nj5o 2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ㅎ 감사합니다
@byronkang4053
@byronkang4053 2 жыл бұрын
정답은 아기돼지삼형제이야기에 있습니다.
@user-zm7ox2kv2b
@user-zm7ox2kv2b 3 жыл бұрын
돈과 개인취향입니다 세상에 싸고 좋은것은 없다입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Tobeon2
@Tobeon2 2 жыл бұрын
정말 단열과 방수가 제일 중요한데 아무래도 철근콘크리트가 제일 낫겠지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예..^^*
@kng197331
@kng197331 Жыл бұрын
단층도 RC구조가 좋다고 생각하는 1인 입니다. 단점보다는 장점이 많으니까요 조립식과 목조는 방음이 안됩니다. 물론 어떤자재를 쓰냐에 따라 틀리겠지만 저는 무조건 RC 은행대출도 RC가 더 많이 해줌! ㅋ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ti6gt1rw2w
@user-ti6gt1rw2w 2 жыл бұрын
지금집을지으려고하는데 만나뵙고십네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ongshiklee5300
@jongshiklee5300 3 жыл бұрын
상가주택 짓고자합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yd9877
@kyd9877 Жыл бұрын
제대로 짓는다면 ..가격과 가성비를 따지면 철콘이죠..시공기간이긴점있지만....목조는 비싸고 유지관리신경써야되고.하자시 치명타고. 다 장단점이 있겠지만.. 센드위치는 정말 비추..향후 30년을보면 앞으로 다가올 강력이상기온이 많을건데.. 철콘말고는 다 이상이 생길겁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Жыл бұрын
정답!!
@user-tp6yk4gs1t
@user-tp6yk4gs1t 2 жыл бұрын
지금사는집 다시짓고싶은데 3층입니다 2층으로짓고1층상가면 2층주택이면 1층2층가격이 다르겠지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예 다릅니다^^
@user-bh2ji7cn5i
@user-bh2ji7cn5i 2 жыл бұрын
이박사님 사무실은 어디에 있으신가요?
@user-ie4ob7tu5p
@user-ie4ob7tu5p 2 жыл бұрын
목조주택으로 지을바에는 조립식주택으로 지으는것이 훨 나을듯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저도.....^^
@user-nw3yn7pe4i
@user-nw3yn7pe4i 2 жыл бұрын
철골조 판넬집 지을려고 하는데, 외부단열 내부단열 어느것이 좋습니까?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단열은 외부가 기본입니다..
@dfg5911
@dfg5911 2 жыл бұрын
@@user-bh6xe4nj3y 먼 소리여 장기적 열화는 어떻게 막을려고 드라이비트 싸구려 질감은 어떻게....
@user-dv7jb1gd5j
@user-dv7jb1gd5j Жыл бұрын
철콘-스틸-목조-경량철골집은 너무 방음이 안됨
@sangtaklee7640
@sangtaklee7640 2 жыл бұрын
왜 시골에서 집을 짓나요? 공기 좋은 곳에 살려는 것 아닐까요? 그러면 콘크리트 시멘트 집에서 사는 것이 옳은 선택일까요? 공기좋은데 살지 않아도 된다면 콘크리트 시멘트가 좋습니다.
@user-cs5ww5bv2e
@user-cs5ww5bv2e 2 жыл бұрын
콘크리트집이 더 나쁠게 전혀 없어요
@user-bd9ch8co8s
@user-bd9ch8co8s 2 жыл бұрын
어떤 구조의 건축물도 골조가 사람의 호흡기나 실내 공기에 영향을 주는 집은 없습니다.
@happylife3770
@happylife3770 2 жыл бұрын
@@user-cs5ww5bv2e 시멘트가 나쁜점이 없다는 건가요?
@pp-pg1ji
@pp-pg1ji Жыл бұрын
요즘에 우리나라에서 자란 소나무?로 옛날 한옥같은 집도 짓나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Жыл бұрын
제가 그쪽으로 전문이 아니라서...^^;;
@user-dw7us6rx5p
@user-dw7us6rx5p Жыл бұрын
나도...공구리주택.
@user-ql2yk4dd6i
@user-ql2yk4dd6i Жыл бұрын
H빔에 판넬 더하기 사이딩 ㅎㅎ
@user-sx1hr3hn1n
@user-sx1hr3hn1n Жыл бұрын
지금 그렇게 지어볼까 생각중인데 ㅋㅋ
@user-rc4jb5mo2x
@user-rc4jb5mo2x 2 жыл бұрын
주택은 시공능력이 90%입니다.. 철콘도 엉망이면 난리고. 조립식도 잘지으면 완전 좋습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pp2mv4cj4r
@user-pp2mv4cj4r 2 жыл бұрын
혹시 조립식에 살고계신가요?
@minahyoo4110
@minahyoo4110 2 жыл бұрын
저도 고민중인데 맞는 말씀 같아요. 지금 사는 빌라 콘크리트지만 벽체 곰팡이 여기저기 핍니다 신축 아파트들도 곰팡이에 누수 발생하는거보면 콘크리트라고 하자가없다고볼수는없지용
@myper2
@myper2 2 жыл бұрын
정답이라 생각합니다. 제대로 시공하면 다 결론은 같습니다.
@user-dc5uw3hk3c
@user-dc5uw3hk3c 3 жыл бұрын
샌드위치 판넬은 개인적으로 비추 하고 저가 집을 짓는 다 한다면 목조+흙 집을 지을것 같습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도 샌드위치판넬은 비추고 말씀하신 목조+흙은 개인적으로 저가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user-gs2yb9qb8c
@user-gs2yb9qb8c 2 жыл бұрын
@@user-bh6xe4nj3y 저가 집이 아니고 "제가"라고하신듯^^
@user-wl1hy8ip8m
@user-wl1hy8ip8m Жыл бұрын
모둘형 주택도 목조구조 인가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Жыл бұрын
꼭 그렇지는 않다 생각합니다..^^;;
@user-lc7ub8sd6l
@user-lc7ub8sd6l 3 жыл бұрын
alc는 별로인가요? 티비에서 좋다고 자주 비추던데
@user-qv6fu6br8m
@user-qv6fu6br8m 3 жыл бұрын
alc도 장점이 많은데요 그런데 국내alc블럭은 생산후에 건조를 제대로 안시키고 출고 합니다 수분함량이 높아서 몇년동안 환기를 잘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alc주택 제대로 시공하는 업자가 잘없는것도 단점입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ui2ms1ol6l
@user-ui2ms1ol6l 2 жыл бұрын
전공이 무엇인가요? 건축사는 아니신듯
@men8195
@men8195 2 жыл бұрын
어떤 구조가 아니라 어떤 공법이죠?
@user-qq4lb1ek1o
@user-qq4lb1ek1o 3 жыл бұрын
요즘 물류 창고 쌔드위치 판널 건축물 화재 사고 엄청많이 난다
@999robot3
@999robot3 2 жыл бұрын
샌드위치판넬로 지은집봤는데 습기나 물에 노출되는 주택아랫부분(욕실포함)은 스치로플이 삭아서 알갱이들이 틈으로 쏟아집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니 어딘지 모르게 틈이생겨 그틈을 쥐새끼가 들어가 스치로플 아작냅니다
@user-ku3bk7gj2g
@user-ku3bk7gj2g Жыл бұрын
고양이키우십시오
@user-yw6ro1mf7f
@user-yw6ro1mf7f Жыл бұрын
@@user-ku3bk7gj2g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x1hr3hn1n
@user-sx1hr3hn1n Жыл бұрын
우리도 빔과샌드위치 판넬로 (자금부족으로)지어서 13년을 살고 이사했는데 너무 좋았어요 하자 하나없고 결로나 곰팡이하나 없이 너무좋았어요 옆집은 철콘였는데 물이새서 결국은 못잡고-거기 세든분이 우리집 샀어요- 어떤집이든 어떻게 잘짓느냐가 중요한것 같아요
@user-ff9hh9qz5m
@user-ff9hh9qz5m 3 жыл бұрын
다 ~ 돈 따라 갑니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정답!!
@user-wk3ef2kr3p
@user-wk3ef2kr3p 3 жыл бұрын
돈이문제지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정답.
@user-ot7rc4uu9f
@user-ot7rc4uu9f Жыл бұрын
와 작은 화면에서 이상민인줄 다시보면 김용명같기도 ㅋㅋ ㅈㅅ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Жыл бұрын
예..죄송해야 할거 같습니다..^^;; 얼굴은 보지마시고 내용만 봐 주십시오..
@user-xp2zq8pb6n
@user-xp2zq8pb6n 2 жыл бұрын
미국가서 아들집이 100년된 목조주택인데 아직도 100연 더 살겠던데요
@coreamusa9117
@coreamusa9117 2 жыл бұрын
미국은 합판 기둥 두께부터 내장재 2개 이상 쓰고 그렇게 붙혀 놓고 그 위에 다시 외장재 앞뒤로 붙히고 그 위에 열 안빠지는 외장재 또 붙힘 한번 미국애덜 목조 집짓는거랑 한국 목조 집짓는 거랑 보세요 차원이 달라요
@abc-12345-
@abc-12345- 3 жыл бұрын
다 개소리임. 어느 구조든 인간이 문제임. 제대로 된 인간이 지은 집은 어느 구조든 좋음. 집짓기전에 자기가 많이 공부해서 자기가 지으면 최고로 좋음.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정답!!
@user-xt6yd1kz4k
@user-xt6yd1kz4k 3 жыл бұрын
목조는 비추,,빚네서라도 철콘 강추입니다,,,건설업 30여년동안 한 경험으로 10년이상 살집이면 무조건 철콘으로 하십시요, 모든 공정 작업으로 집 많이 지어보니 철콘이 제일입니다,,물론 가격은 젤 쎄지만 ㅎ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요즘 목조도 장난 아닙니다... 너무 자재비가 올라서.. 저도 무조건 철콘추천합니다...!!
@AJ-rv2ch
@AJ-rv2ch 2 жыл бұрын
울나라 시멘트 발암물질 넘 심하잖아요. 시멘트 등급제 시행하는 날이 하루빨리 왓으면
@user-xt6yd1kz4k
@user-xt6yd1kz4k 2 жыл бұрын
@@AJ-rv2ch 네 그런데도 콘크리트 성능대비 대체품이 없습니다 가성비로 따지면 2층 정도라면 흙집을 강추요^^
@user-ki6tl9hj3u
@user-ki6tl9hj3u 2 жыл бұрын
단충만 지을때는 경량은 어떤가요? 비용면에서?
@user-xt6yd1kz4k
@user-xt6yd1kz4k 2 жыл бұрын
@@user-ki6tl9hj3u 경량철골 구조도 괜찮습니다 ㅎ 오래사실거면, 그러니깐 지어서 판매가 아닌 오랜거주 하실거면 내장제를 조금 더 신경 쓰시면 불편한점이 없이 훌륭한 집이 됩니다
@user-uy4vs4cb3p
@user-uy4vs4cb3p 2 жыл бұрын
정말 정확히 말헛네동감일셰 이제카지 유디브에서정직하게말헛어
@user-ls7lx6jg6t
@user-ls7lx6jg6t 3 жыл бұрын
경량철구조와 스틸하우스와 같은건가요?
@user-oz1ph9ei3e
@user-oz1ph9ei3e 3 жыл бұрын
스틸하우스는 컨테이너 아닌가요? 만들어와서 조립하는형태
@user-xf6ou8up5x
@user-xf6ou8up5x 3 жыл бұрын
목조는 친환경이라고 다들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친환경의 기준을 어디까지 두느냐가 중요한거 같은데 그냥 제 생각으로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
@user-hu4fj7en1o
@user-hu4fj7en1o 3 жыл бұрын
목조 는 잘 생각 하십시오 처음에는 좋으나 시간이 지나면
@Leo-pf7ut
@Leo-pf7ut 3 жыл бұрын
아마도 콘크리트에 비하면 친환경이다. 이말 아닐까요?.. 목조라고 해도 어차피 모든 기초는 전부 철콘이니.. 이박사님 말처럼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가 관건인거 같네요..
@user-qv6fu6br8m
@user-qv6fu6br8m 3 жыл бұрын
글쎄요 OSB합판을 사용 하는것 자체가 친환경과는 거리가 멀죠 경량목조는 친환경이 아니구요. 통나무주택만 목조주택중에서 친환경이죠
@user-rc4fg8nd3s
@user-rc4fg8nd3s 3 жыл бұрын
말그대로 친.환경입니다. 환경에 좋다는 뜻이죠. 친환경 자재는 그 자재를 만들때 환경 훼손에 더 적은 영향을 끼치는것이지 인체에 무해하거나 혹은 좋다는 뜻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환경을 덜 훼손하면서 만든 자재입니다.
@user-qq4lb1ek1o
@user-qq4lb1ek1o 3 жыл бұрын
콘크리트 주택이 하재에 강하고 화재위험 없다 조립식은 화재 무방비다
@user-bb7zn3yl9m
@user-bb7zn3yl9m 2 жыл бұрын
대구 대명9동 앞산 밑 주택 매매하였습니다. 리모델링 가능할까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현장이 많아서 조금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uy4vs4cb3p
@user-uy4vs4cb3p 2 жыл бұрын
네가펑셍집을지여는데 댁이경협잇는기술자야
@1wisd
@1wisd 3 жыл бұрын
그냥 조용히 일만하고 나가서 싸우지말고 ...겸손하게 사는게중요한거야. 집에대해서 초등학생수준같은데...벌써 이렇게 말만은게 초짜라는걸 말해주는거지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나이도 적당히 먹은거 같은데... 음....좀 글타
@JAN_BEER
@JAN_BEER 3 жыл бұрын
자식은 부모 등을 보고 자란다고 하던데... 쯧쯧!!
@_zeppelin8984
@_zeppelin8984 3 жыл бұрын
조용히 일만하고 나가서 싸우지말고 이뜻은 자기 아버지가 그랬다는거겠지?ㅋ
@user-ek8os9ue8v
@user-ek8os9ue8v 3 жыл бұрын
대안 없이 비판 하지말자 너가 유튜브 해봐 ᆢ무식이 들어난다 못하겠지
@user-dg9mg9nd1z
@user-dg9mg9nd1z 3 жыл бұрын
그렇게 겸손하신분이 댓글로 입터는건 잘하네. 말씀대로 댓글로 지껄이지 마시고 조용히 일만하시길.
@user-xj9zk3sn5t
@user-xj9zk3sn5t 9 ай бұрын
비싸도 철근콘크리트가 갑!!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9 ай бұрын
공감...^^
@user-fd6wo4yx9u
@user-fd6wo4yx9u Жыл бұрын
철콘이당연나중에후회한다특히판넬목조는아님몇십년살집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Жыл бұрын
정답!!!!
@fyi294
@fyi294 4 ай бұрын
이런주제로 아직도 ? 무족건 철콘으로가야한다 나 ㅎㅎ 17년전에 유행하던 목조로선택했고 개후회.이후에 목재구조와같은 스틸하우스 유행했고 여기에서 이부분은 경량철골하고는 분별되며 이후 ALC.. 보석블럭.. 다안다 목구조는 요즘에 병신도 안하고 너가말하는 목구조는 병신도 두현장따라다니면 혼자한다 무조건 병신아 2층 철콘이다..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4 ай бұрын
굿!!
@sejinyang7924
@sejinyang7924 3 жыл бұрын
전화번호 좀 부탁드릴게요
@user-bh6xe4nj3y
@user-bh6xe4nj3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궁금한점 있으신 내용을 메일로 부탁드려도 되겠습니까? lyho2@naver.com입니다.
주택 구조별 특징 비교
11:50
햇살가득
Рет қаралды 317 М.
Вечный ДВИГАТЕЛЬ!⚙️ #shorts
00:27
Гараж 54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Получилось у Вики?😂 #хабибка
00:14
ХАБИБ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김명선 집짓기 2..(설비,철근,형틀)
9:11
황금망치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직영건축 42평 건축업자 100% 비교 금액 공개.
7:59
천안냉동 이동규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200만원 초반대로 강화 경량철골조 전원주택을 반축공사 할 수 있다!
16:14
24평 경량철골 주택 우레탄폼으로 짓는집
38:59
직영 홍선생
Рет қаралды 73 М.
경량철골조, 샌드위치판넬 구조 탐구
14:58
햇살가득
Рет қаралды 700 М.
У нас ОТКЛЮЧИЛИ ВОДУ!
0:45
Привет, Я Ника!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Невестка с приколом 😱
0:23
ТРЕНДИ ШОРТС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I respect children #respect #respectshorts
0:34
Movie Copy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There’s a surprise balm in every snack!? #challenge #candy
0:10
We Wear Cute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