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에 오르면 빠질 수 없는 인증샷 맛집! 차도 올라갈 수 없는 높은 산꼭대기에 1.5톤 표지석을 어떻게 세웠을까?│극한직업ㅣ

  Рет қаралды 552,197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2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1년 10월 12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산악 정비사업》의 일부로 현재의 상황과 차이가 있습니다.
산 곳곳에 숨은 육중한 바위 표지석.
산을 정복한 이에게 성취감을 선사하는 존재이기도 하지만 단순한 볼거리 만은 아니다.
봉우리의 이름과 해발고도가 새겨져 입산한 사람에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일이 숨겨진 중요 임무!
하지만 막중한 역할만큼이나 1.6톤의 육중한 무게를 자랑한다.
중장비가 올 수 없는 환경이기에 최소한의 장비만 허락된 곳.
이들이 가진 장비는 로프, 지렛대, 도르래가 전부이다.
누군가 해내야 하는 원초적 작업 현장을 찾아가 본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산악 정비사업
✔ 방송 일자 : 2011.10.12
#극한직업 #등산 #표지석

Пікірлер: 182
@skylight91
@skylight91 2 жыл бұрын
세계에서 산악 밀도가 최고 수준인 한국에서 안전하게 즐산할 수 있도록 이렇게 헌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unhojang8273
@yunhojang8273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역시 궁금증해결. 표지석이 가끔식 앱정상보다 틀릴때가 아주 간혹있던데. 헬기에서 내릴수있는위치가 정상되는구먼.
@user-kh5rj2id5d
@user-kh5rj2id5d 2 жыл бұрын
역시 헬기였군요. 올림픽 대교 성화장식 내리다 돌아가신분들 지금도 다리 지나갈때마다 생각남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ROKA-ym3lx
@ROKA-ym3lx 2 жыл бұрын
삼성항공에 시키려고 하던거 이왕이면 군이나서서 도와주면 더좋지 않겠냐고 했다가 치누크 떨어졌던 안타까운 사고죠
@user-by7bn9dw8z
@user-by7bn9dw8z Жыл бұрын
ㅋㅋ
@user-mf9no7hp3m
@user-mf9no7hp3m 2 жыл бұрын
고생 많았습니다 여러분의 땀과 노력이 표지 석과 영원히 남지 않겠습니까?
@user-qj7qq8wh9j
@user-qj7qq8wh9j 2 жыл бұрын
대간, 정맥, 산정상에 다니다가 많이 궁금했는데 이런 수고가 있었음 이제 알았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vi3su6vj6c
@user-vi3su6vj6c 2 жыл бұрын
궁금증 해결! 대한민국에 정상석 설치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juhyunglee2668
@juhyunglee2668 2 жыл бұрын
등산을 좋아하는 입장에서 매번 접하는 전망대,계단,정상표지석.... 숨은 노고의 산물이었군요. 감사합니다
@user-ev4zs1mv5w
@user-ev4zs1mv5w 2 жыл бұрын
저도 산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고생하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user-ft1zd1nh5y
@user-ft1zd1nh5y 2 жыл бұрын
힘겨운 일 하십니다. 늘 안전에 조심하셔야겠습니다.
@OYT0724
@OYT0724 2 жыл бұрын
엄청 다이나믹 해서 보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jihunkim7010
@jihunkim7010 2 жыл бұрын
이 수고로 인해 아름다운풍경을 눈에 담을수 있죠
@TVGUKJO
@TVGUKJO 2 жыл бұрын
오오 바로 처음부터 답이 나와서 아주 속 시원하네요 궁금증 해결 ~
@user-tc5sd3iz2g
@user-tc5sd3iz2g 2 жыл бұрын
대박이네요! 정상표지석은 어떻게 세울까 늘 궁금했는데 한번에 해결되었습니다 ^^
@koreanwoodworker2582
@koreanwoodworker2582 Жыл бұрын
와 이렇게 고생하시면서 설치하시는거군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user-es9uj1oj9y
@user-es9uj1oj9y 2 жыл бұрын
헬기 기장님 정말 노고가 많으십니다.
@user-pq6ne3pz3p
@user-pq6ne3pz3p 2 жыл бұрын
짐작은 했는데~~~실제로보기는 첨입니다.수고가 만네요.
@hamjia
@hamjia 2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궁금했었는데 ㅎㅎㅎ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Doongx2
@Doongx2 2 жыл бұрын
와..저걸 들고 어캐ㅜ오르락 내리락 하셨대 대단하다..👍
@peebak25
@peebak25 2 жыл бұрын
평소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user-kd3wp3ip6h
@user-kd3wp3ip6h 2 жыл бұрын
단순히 매달고 가면 되는 줄 알았더니 정밀계기로 화물을 케어하며 가야하는군요 처음알았습니다.
@mountain-go
@mountain-go 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user-kx3ms4ij5u
@user-kx3ms4ij5u 2 жыл бұрын
근데 굳이 모든산 정상에 정상표지석 세울 필요가 있나? 그냥 자연그대로 놔둬도 되고 .반드시 산의 최정상을 알리고 싶다면 조그마한 철판으로 만든 안내판만들어 놔도 상관없잖아ㅡㅡ꼭 산꼭대기 나무베고 멀쩡한 돌깎아서 자연훼손하면서 우리나라 어지간한 산 정상에 대형표지석 세우는이유를 모르겠닼
@user-cz6ob7oq9x
@user-cz6ob7oq9x 2 жыл бұрын
그래야 예산이 나옴 그래도 산에 비석으로 정상 표지석 만들어 놓으면 등산 때 보고 멋있다란 생각이라도 들지 연말만 되면 남은 예산 다 써버리려고 멀쩡한 보도블럭 뒤집거나 수시로 놀이터 때려부수고 다시 만들고... 최근 심하게 행해지고 있는 기존 파출소 때려부수고 다시 새로 짓기... 이런 것보다야...
@user-iq3um8yw4z
@user-iq3um8yw4z 2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 했는데 대단
@limsob
@limsob 2 жыл бұрын
헬기 하루 임차비용이 궁금하네요. ㅎㅎ
@attom23
@attom23 2 жыл бұрын
진짜극한직업을 하시는분들은 카메라에 안잡힌 일용직분들일겁니다.. 무전기들고계신분들이아니라.. 헬기못내려온다고10분거리에 비석을 내려놓으면 저건 결국누가 이동시키나요? 진짜힘들고 위험한일하시는분들은 뒤에서 안전헬멧도없고 목장갑하나끼고 연장챙겨서 산꼭대기올라가신분들이죠... 헬기타고 오르내리는분들이아니라...
@user-ze1fu8fp8l
@user-ze1fu8fp8l 2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정의는 살아있군요. 이게 나라지…
@user-hl4no2ek3w
@user-hl4no2ek3w 2 жыл бұрын
작고 아담하면 정사석으로 충분합니다 ㅡ 어째든 작업에 수고하신 분들 고생많으셨습니다 부디 안전한 작업 이어가세요
@wildlife7737
@wildlife7737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자제운반은 진짜 아니다... 운반용드론 도입이 시급하네~
@cstrike72
@cstrike72 2 жыл бұрын
이거보니,,,정상석 세우는거 없애야 할듯, 넘나 위험하고 세금아깝, 글고 하청 아재들 안챙겨주는 본청도 너무 괘씸하다
@oldskoolprid
@oldskoolprid 8 ай бұрын
2천미터급 봉우리 하나 없는 나라에서 저런 거대한 정상석 설치는 그야말로 허영과 허세 그 자체이다
@eagleheart928
@eagleheart928 2 жыл бұрын
ㅋㅋ 그러니까 보호장구 다 끼고 일하는 사람들은 본청이고 다른사람들은 하청이라는거네 ㅋㅋㅋㅋㅋㅋㅋㅋ
@killwildpig
@killwildpig 2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그럴 만도 한 게, 본청은 중앙정부/지방정부/공기업/대기업이라 대체로 정규직이고 + 큰 곳일수록 법과 안전규정에 민감 + 안정적인 정규직은 업무를 계속 하니까 장비 사야 할 필요를 크게 느끼고(장기간 쓸 거니까) + 돈에 크게 민감하지도 않고(직속 부서장한테 얘기하면 쉽게 승인남, 어차피 정부/회사 돈이지 부서장 돈도 아니고 오히려 사고 터지는 게 더 골치아픔) 하니까 과감히 구매하겠죠 + 본청 특성상 땀나게 힘쓰는 일을 안하니까 장구 착용해도 딴 안나겠죠. 반면, 하청은 반대죠. 코딱지만한 곳이 많고 + 안전규정 자체를 모르는 곳도 많고 + 전반적으로 사람 안전보다 작업 효율이 우선시되는 현장 문화 + 직원도 수시로 들어왔다 때려치고 + 사장은 비용 아껴야 돈 버니까 보호장구 사주는 데 인색 ㅠㅠ + 심지어 사줘도 작업자가 일하는데 불편하고 땀난다며 안쓰기도 하고... 안타깝
@forestaviation
@forestaviation 2 жыл бұрын
헬멧을 쓴사람은 산림항공본부 직원이고 화물을 결속,해제하는 임무입니다. 헬기 임무 지원시 작업인부들에게도 헬멧 및 고글 착용을 권고하고 있으나 잘 지켜지지않았던것 같습니다. 안전을 위해 자재운반 결속 해제에는 작업인부의 접근을 막습니다. 하지만 자재 운반 후 작업을 하는 인부의 헬멧을 비롯한 안전장비 구비는 헬기 지원기관인 산림항공본부가 개입할 수 없기때문에 산림사업 자재운반 요청기관(지자체 등)에 지속적으로 안전감독 요청을 실시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ipp343
@ipp343 2 жыл бұрын
일용직은 하라고 해도 불편하다고 안하니 ㅋㅋㅋ
@user-mn7ce2lx6z
@user-mn7ce2lx6z 5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궁금했음ㅋㅋ
@younghanalee7874
@younghanalee7874 2 жыл бұрын
요만한 돌하나 옮기는데도 이렇게 힘든데. 마추픽추는 외계인을 잡아다 만든게 분명하다.
@krownkim
@krownkim 2 жыл бұрын
돌을 옮긴게 아니라 깎은거지
@user-by7bn9dw8z
@user-by7bn9dw8z Жыл бұрын
하하
@user-hy5ys9hu8i
@user-hy5ys9hu8i 2 жыл бұрын
마니산처럼 나무로 세우면 좋을듯합니다
@Epiphany1004
@Epiphany100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안전하게 크기좀 줄여서 하면 좋겠네요
@PetreviewTV
@PetreviewTV 2 жыл бұрын
류다무현 성우님 다시 온거냐? 역시 극한의 직업은 류다무현이다.
@i2Earth
@i2Earth 2 жыл бұрын
21:05 다 끝난 줄 알았더니 진짜 고난은 여기부터 시작이네요..
@user-vk6ug3pu3z
@user-vk6ug3pu3z 2 жыл бұрын
산 꼭대기에 풍력발전소도 건설하는데
@klm0507
@klm0507 2 жыл бұрын
인월 옆에 서룡산 이구만 ~
@user-mv5hy9jy4l
@user-mv5hy9jy4l 2 жыл бұрын
보통일이 아니네..
@han3862
@han3862 2 жыл бұрын
레펠 자세 지린다
@Doubleshot-cp6iv
@Doubleshot-cp6iv 2 жыл бұрын
L
@csd2577
@csd2577 2 жыл бұрын
나:산에 오르다보면 와 이런걸 여기에 어찌 설치했지? 유툽:궁금하지??
@user-jh7kw6hq1g
@user-jh7kw6hq1g 2 жыл бұрын
산림청 힘!
@user-it5be3tk7m
@user-it5be3tk7m 2 жыл бұрын
그걸 꼭 세워야 하나? 뭔 의미가 있다고.....
@user-yq3sf8tc7x
@user-yq3sf8tc7x 2 жыл бұрын
궁금햇는대
@tongue007
@tongue007 Жыл бұрын
지게로 옴겼다던 그분의 말은 다 거짓이었어... 👀
@anatolyuser292
@anatolyuser292 2 жыл бұрын
Российские вертолеты КА-32Т вне конкуренции для такой работы
@user-tx2eh3oq8k
@user-tx2eh3oq8k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헬기로 한다치고 옛날은???
@darkenbear
@darkenbear 2 жыл бұрын
요즘 사람들은 헬기로 옮기다지만,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옮겼을까? 진흥왕 순수비 같은거
@user-nw6um5qh1w
@user-nw6um5qh1w 2 жыл бұрын
아니 내려갈땐 왜 헬기로 안해주나 ;;;;
@user-nh2ym1vc2q
@user-nh2ym1vc2q 2 жыл бұрын
이건 아닌잖아~~ 쓰고남은 자재와 연장은 모아서 헬기로 이동시켜줘라!!! 영상 잘보고 갑니다.
@user-sh4ee5hp8h
@user-sh4ee5hp8h 2 жыл бұрын
자재내리기도 쉽지 않은데.어케 올려
@jaehongkim1231
@jaehongkim1231 2 жыл бұрын
한글 표지석 아주 멋지네요., 한자표지석 보면 중국땅인줄...
@pjh1104p
@pjh1104p 2 жыл бұрын
애석하게도 한글엔 뜻이 없어 한자 써있으면 뜻을 단번에 알아 그건 좋더군요 백록담 한자,대청봉 한글
@user-bo6fo9kd3g
@user-bo6fo9kd3g 2 жыл бұрын
역시 카모프 32는 힘이 대단하네요. 불곰국의 힘입니다
@user-gd7vq2ph3v
@user-gd7vq2ph3v Жыл бұрын
산정상에서 물건 받는 사람을 로드마스터라고 함 진짜 산을 몇개를 뛰어다닌지 모르겠네...산림청 소속은 장비가 좋아서 다른 봉우리로 안 뛰어다녀도 되네 ㅠㅠ 부럽다 진짜 한여름에 디질뻔했는데 이것도 추억이네 ㅋㅋ
@HSHtf2
@HSHtf2 2 жыл бұрын
위에 있는걸 깎는게 아니였어....?
@wtsnu
@wtsnu 2 жыл бұрын
여러사람 너무 고생 시키네요. 위험하고 힘든 것을 혈세로 구지 세울 필요가. IT대국에서 요즘 다 스맛트폰 들고 다니니 꼭 필요하면 가상VR로 .. 그냥 자연스러운게 가장 아름다울듯.
@dragon7860
@dragon7860 2 жыл бұрын
정상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보안경 하나 안쓰고 저 헬기바람을 맞으면서 일하네요. 어디서 공사하는 줄 모르겠지만 안전에 대한 건 하나도 없네요. 극한직업이 아니라 극한으로 만들면서 일하네요. 안전관리 좀 제대로 하면서 일하시도록. 위험을 감수하면서 일하는걸 자랑하려하지 말고 위험한 일을 안전하고 완벽하게 일하는걸 자랑하도록 해보세요.
@user-cb5ce8qp3w
@user-cb5ce8qp3w 2 жыл бұрын
정상에서 거진 닮았다했네요
@yunhojang8273
@yunhojang8273 2 жыл бұрын
중국화산에 짐꾼오면. 간단히 해결될텐데.
@user-de7kk5db1o
@user-de7kk5db1o 2 жыл бұрын
헬기 연료 용량이 240,000cc라 했는데 리터로 환산시 240리터인데 무슨 승용차 37대분 이란거지? 2400리터겠지 자동차 1대당 65리터37대면 얼추2400리터가 나오네
@shinbat9255
@shinbat9255 2 жыл бұрын
돌보다는 바람저항에 견딜수 있는 모양으로 가볍게 고정하는 표지판이 더 합리적일듯 한데요 너무 많은 수고들이 들어가네요
@user-lq4nt6vg7s
@user-lq4nt6vg7s 2 жыл бұрын
뭐 돌이 더 멋지니까요 ㅋㅋ
@user-yb5kq5rn5n
@user-yb5kq5rn5n 2 жыл бұрын
1500 미터 이하는 다 수동으로 지게에 메고 올라갑니다1500 이상만 헬기로 나르고여 산림청 현장일 최근까지했던 1인입니다
@user-hh2ju7tf9l
@user-hh2ju7tf9l 2 жыл бұрын
22:40 담배실화냐
@s9910382
@s9910382 2 жыл бұрын
담배 필수도 있지
@user-rx2ru7fx7w
@user-rx2ru7fx7w 2 жыл бұрын
진짜 위험해보인다 헬기 이동중에 잘못했다가 밑에사람한테 떨어지면 ,,,,,,, 근데 산에 송전탑도 저렇게 하나요?
@user-nh2ym1vc2q
@user-nh2ym1vc2q 2 жыл бұрын
높은산이나 산 중턱 송전탑 운반도 헬기로 합니다. 몇년전에 헬기로 운반하는걸 보았습니다. 사람이나 크레인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user-kr9ee3lx2t
@user-kr9ee3lx2t 2 жыл бұрын
시작하자말자 답이 나오네요
@user-xg1iz2nl9x
@user-xg1iz2nl9x 2 жыл бұрын
세금 아깝다
@kor22-24
@kor22-24 2 жыл бұрын
❤️
@user-wy5hu8ty3o
@user-wy5hu8ty3o 2 жыл бұрын
산마다 대형 정상석을 헬기로 내려겠거니 생각은 들었지만 ... 기존에 적당한 사이즈의 정상석이 있는곳에도 그 옆에다 대형 정상석을 세우고 ,, 이런 사업을 하는 이유가 뭔지? 왜 굳이 대형 정상석으로 대체하는건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user-eu5zc4he8j
@user-eu5zc4he8j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세우고자 했던곳이 아닌 다른곳에 세우면 해발고도 적힌 표지석은 엉터리 아닌가요
@user-ks5rh6pr1h
@user-ks5rh6pr1h 2 жыл бұрын
진짜 위험 하구만
@DPKong11
@DPKong11 2 жыл бұрын
240000 cc?
@titaniumbeaver8617
@titaniumbeaver8617 Жыл бұрын
난 정상에 있는 돌 깍아서 정상석 만드는 줄 알았는데 ㅋㅋㅋㅋㅋㅋ 이런 노력들이 있었구나 ㅠ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 жыл бұрын
한국 최초의 표지석은 어떻게 세워진걸까...?
@user-ub8cq3sk7u
@user-ub8cq3sk7u 2 жыл бұрын
백두대간. 수정봉
@inasuter
@inasuter 2 жыл бұрын
안봐도 보이네 저게 어렵다구? 장난하나! ㅋㅋ
@user-ku8uq5zt3c
@user-ku8uq5zt3c Ай бұрын
기름이 240 리터인데 중형차 37대 라는 말은 뭐지요??? 기본 중형차가 50 리터인데 ???
@nongyegeum
@nongyegeum 2 жыл бұрын
표지석 등이 굳이 그렇게 클 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을 매번 했었습니다...
@user-eu9hz2de8b
@user-eu9hz2de8b Жыл бұрын
표지석이 작으면 회손되거나 파손될수있습니다 서울에 불암산.수락산정상석처럼 이상한사람.정신적으로 문제있는사람이 회손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정상석이크면 웅장해보이고 위상있어보이고 산의정기가 살아있는 느낌이 덜고 듬직해보입니다
@stern121
@stern121 2 жыл бұрын
원래 착륙지점(표지석을 세울)이 아닌곳에 내려 놓은 후 그냥 그곳에 표지석을 세우나요? 정해진곳으로 옮겨서 세우는 줄 알았는데.....어쩔 수 없었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정상에 세우는게 ㅠㅠ
@user-pg8yj7wf6m
@user-pg8yj7wf6m 2 жыл бұрын
뭐야... 산정상을 작업조건에 따라 맘대로 바꿔버리네...ㅋㅋㅋ
@bookjhm
@bookjhm 2 жыл бұрын
현대 기술이 거기까지인듯 더정밀한 큰 드론이 생기면 가능하겠지
@마이야히
@마이야히 2 жыл бұрын
1톤이 사람 대여섯명이서 들어서 옮길수 있는 무게도 아니고, 영상에 다 담지못해서 안나오는 여러가지 제약들이 있었겠지요. 충분히 널찍한 공터가 있다던지 등등
@user-by7bn9dw8z
@user-by7bn9dw8z Жыл бұрын
하하
@user-qi4yx2xg6g
@user-qi4yx2xg6g 2 жыл бұрын
내차기름통이 고작8리터짜리였어? 그8리터로 부산서 대전언저리까지갔던거야
@meiyou_5168
@meiyou_5168 2 жыл бұрын
그럴리가요…
@JDKim-fz3zr
@JDKim-fz3zr 2 жыл бұрын
더 크게 생각 해보면, k2 에베레스트봉에는 없는 암석일뿐.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2 жыл бұрын
헬리콥터 없을때조선시대 산 위에 사찰은 어떻게 지었을까 불가사의하네
@user-cv8jx6ed6k
@user-cv8jx6ed6k 2 жыл бұрын
등짐이죠, 그곳에 쓸만한 나무가 있으면 현지에서 조달하고, 기와 기타등등은 아무도 지게짐. 석탑, 석등 , 조성하는데, 그 근처에 화강석이 있으면 좋겠지만, 없다면 목도해서 산으로 이동하지요. 산중에 묘소 작업할때 요즘은 장비로 길을 내어서, 올라가지만, 중장비 없는 시절은, 상석 , 비석 모두 , 인력으로 목도. 지금 보면 힘들겠지만, 저때는 달리 방법이 없었으니요. 당연히 했지 않을까 하네요.
@user-bv1qe8kl4d
@user-bv1qe8kl4d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너무 편한데크설치가 문제다 그냥 산 그대로 둬라
@user-ho6hf2vn3s
@user-ho6hf2vn3s 2 жыл бұрын
작업자 안전모도 안쓰고 안면보호구도 착용안하고.
@user-xg1iz2nl9x
@user-xg1iz2nl9x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개판
@user-xg1iz2nl9x
@user-xg1iz2nl9x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개판
@user-zu6gq1nn3s
@user-zu6gq1nn3s 2 жыл бұрын
극한 직업은 카메라맨 임.
@user-ub5ul7dk2e
@user-ub5ul7dk2e 2 жыл бұрын
저걸 들고내려간다고??? 운송장비가 없는게 아닌데???하청이라서????
@user-vk9zc3fh8w
@user-vk9zc3fh8w 2 жыл бұрын
기름값보다 인력쓰는게 더싸서
@neoper8074
@neoper8074 2 жыл бұрын
2000년전엔 산에 머물며 세공했겠지,,,,표지석 세울자린 미리 나무를 치고 자리를 마련해야,,,,헬기예약할때 지시해주고 사진을 받았어야,,,,시뮬레이션 헬기훈련을 자주했으면 좋겠다,,,,
@kingstock7414
@kingstock7414 2 жыл бұрын
이거 산에 갈때마다 막연히 헬기로 했겠다 싶긴 했는데, 도봉산 신선대 같은 경우는 진짜 극한의 수준을 넘는 작업온 듯. 세금 아까우니 하지 마라. 작은 돌이나 방부목으로 표시하고, 그 돈으로 다른 거 하자 제발. 요즘 길거리에 보도블럭 깔면 욕먹으니 죄다 산에 데크 계단 설치한다고 돈 쏟아붇는단 생각 들더라. 특히 인적 드문 산에도 아주 그냥 심시티 작살나던데, 솔직히 세금 아까워 디지겠다
@user-el5bj3rf3r
@user-el5bj3rf3r 2 жыл бұрын
저런거 하지 마세요/ 출렁다리니 뭐니 하면서 안보면 돌이랑 쓰렉기ㅣ 잔득 안보이는 땅이나뒷산이나 계곡에 처버리립니다
@user-xg1iz2nl9x
@user-xg1iz2nl9x 2 жыл бұрын
초보 운전자들 전쟁일남
@guri895
@guri895 2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위험한 작업을 하면서까지 굳이 저렇게 큰 표지석을 만들어야 하는지...
@user-cv4zg2nt9w
@user-cv4zg2nt9w 2 жыл бұрын
본청새기들만 안전장구찬거보소 ㅋㅋ 헬조선이네
@spin2902
@spin2902 2 жыл бұрын
저 바위를 저기에 올려 놓을 필요가 있을까 싶네요.보기는 좋을지 모르지만 목숨을 걸만한 작업인지는 모르겠네요.
@user-ff8ox7qn2v
@user-ff8ox7qn2v 2 жыл бұрын
화물도는게 뭔문제.? ㅎㅎ 모르는사람 들이라고?
@user-be9qw9vw8v
@user-be9qw9vw8v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최고예요. 원주 판사는 소송사기가 적법이라고 하는 자도 존재 ..경찰의 고소장 손괴를 뇌물수수도 300만원 허위의 수사기록도 계속 재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민은죽어요 간청합니다
@user-xg1iz2nl9x
@user-xg1iz2nl9x 2 жыл бұрын
장난이 심하네
@user-ng2dw3ol8b
@user-ng2dw3ol8b 2 жыл бұрын
잼잇기만 하겠구만 뭔 극한직업?
@punisher5860
@punisher5860 2 жыл бұрын
왜 이짓을 하나
@YK-xr8yb
@YK-xr8yb 2 жыл бұрын
ㅁ 낚하산을 다세요 ~ 그럼 물건이 안돌잖아요... 답답
@kimboki4999
@kimboki4999 2 жыл бұрын
낚 x 낙 o
@Dog-Pig
@Dog-Pig 2 жыл бұрын
요즘 것들은 노오오오오력이 부족해~~~ 라떼는 말이야~ 저런거 다 등에 메고 올라갔제
@user-dg5oh2fq6t
@user-dg5oh2fq6t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그곳은 안전모를 쓴사람있고 안쓴사람이있는데 모두 써야 되는거 아닌가요? 안점모를썼으면 헬기바람에 모자잡을일이없는데 저런걸 촬영해서 방송을 한다니 한심하네 공영방송이 내가낸 시청료가 아깝다 돌리도
@forestaviation
@forestaviation 2 жыл бұрын
헬멧을 쓴사람은 산림항공본부 직원이고 화물을 결속,해제하는 임무입니다. 헬기 임무 지원시 작업인부들에게도 헬멧 및 고글 착용을 권고하고 있으나 잘 지켜지지않았던것 같습니다. 안전을 위해 자재운반 결속 해제에는 작업인부의 접근을 막습니다. 지자체 등 관계기관의 요청에 따라 산림사업 자재운반을 하고 있는 산림항공본부는 안전을 위해 더욱더 노력하겠습니다.
@firefly7068
@firefly7068 2 жыл бұрын
핼기로 끝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요즘 살벌해진 북한, 생생하게 보고 왔습니다
38:54
중년독수리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401 М.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