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뉴스] "서울 전셋값 1년 내리 상승" 당장 국토부 싹 바꿔야 하는 이유② (ft.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SBS / 교양이를 부탁해

  Рет қаралды 89,024

SBS 뉴스

SBS 뉴스

28 күн бұрын

"정부에서 19만 호 정도를 과소 발표했다고 하고 그중에서 서울에서 1만 5천 채 정도를 어 과수 발표했다고 하는데 근데 이게 우리가 2가지 측면에서 나눠봐야 될 것 같아요. 하나는 이게 유형이 아파트냐 아니면 비아파트냐 지금 이슈가 되는 부분들은 “사실 아파트 물량 부족이에요.”
서울은 지난 10년간 평균 한 해 3만 4천 채 정도가 공급이 돼야 되는데 올해도 1만 7천 채 정도 공급되기 때문에 역대 평균에 비해서 낮은 입주 물량 수준이고 근데 이제 (국토부가 누락한 서울 주택공급) 1만 5채 중에서 만 5천 채 중에서 아파트 물량을 얼마큼 과소 추정했다는 얘기가 없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이 없으면 사실 여전히 서울 같은 경우에는 아파트가 예년에 비해서 턱없이 물량, 입주 물량이 부족한 거예요. 그건 팩트고 근데 여기서 더 문제가 되는 부분은 뭐냐면은 지방 부동산인데 지방의 경우에는 광역시마다 거의 대부분의 광역시에서 작년 올해 또는 내년에 한 번씩의 공급 충격이 있어요."
예를 들어서 인천 같은 경우에도 작년하고 재작년에 물량이 엄청나게 나왔고 대구는 말할 것도 없기 때문에 여기서 물량이 과소 추정됐다는 부분은 뭐냐 하면은 앞으로 나올 입주 물량이 더 크다는 거예요. 즉 지방 같은 경우에는 지금도 미분양이고 공급이 많아서 문제인데 더 공급이 많은 걸로 나오기 때문에 지방 같은 경우에는 여전히 주택시장이 공급 충격에 의해서 안 좋다는 것이고 서울 같은 경우에는 1만 5천 채가 1만 5천 채 중에서 일부 아파트 물량을 뺐다고 하더라도 역시 대비 실제로 공급되는 아파트 물량 자체가 적기 때문에 서울은 입주 물량 부족이 되는 거죠.
즉 서울 같은 경우에는 입주 물량 부족은 여전히 존재를 하는 거고 지방 같은 경우에는 입주 물량 과도함이 더 크게 발생된다는 거죠. 따라서 이 양쪽 시장 서울과 비서울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다른 거예요. 근데 이 부분은 솔직히 정책 당국자의 굉장히 큰 실책이죠."
"근데 지금 전세가나 월세는 지금 닥친 지금 시점에서의 공급 물량과의 싸움인 거거든요. 근데 이게 뭐 우리가 타워팰리스에서 전셋값 오르는 것까지 도와줄 필요는 없잖아요. 그럼 정부에서 해야 될 부분은 뭐냐 하면 이게 더 물론 제가 얘기하는 정책 제안이 아마 월세를 더 오를 수도 있어요.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 번째는 지금 전세를 월세화시키는 부분 아예 지금 기회에 그게 나타나야 되는 거고 두 번째는 월세화가 된다고 했을 때 부담을 느끼는 분들이 상당히 많을 거기 때문에 주택 바우처, 임대료 바우처를 현실화시켜야 돼요. 지금. 그러려면 국토부가 금융기관 역할을 해야 돼요. 지금부터 건물 짓는 역할이 아니고 금융기관. 미국처럼. 그러니까 계속 얘기하지만 서울은 별개인데 총선 때 나머지 지방에서 “용적률 풀어줘” “어디 개발해”...그게 되냐고요. 인구 줄고 있는데 되게 코미디 하는 거예요. 미국에서 허드(HUD)라고 있어요.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인데 그게 우리나라의 국토부예요. 거기 예산의 절반이 뭐냐 하면 주거복지예요. 주거복지 사람들 임대료 지원해 주는 걸로 가요. 결국 금융회사라는 얘기예요. 그러니까 우리나라 국토부도 개발 이런 거 서울 일부 제외하고는 앞으로는 굉장히 힘들 거예요. 채우지도 못하고. 그러면 국토부도 금융화돼야 돼요. 금융화."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제작진]
기획•연출: David / 영상취재: 박영일•김태훈 / 편집: 정용희•현승호 / 콘텐츠디자인: 옥지수 / 인턴: 권도인
[비즈니스 문의]
교양이를 부탁해, 출연•협찬•콘텐츠 문의: davidhan@sbs.co.kr
#sbs뉴스 #부동산 #전셋값 #서울 #국토부 #교양이를부탁해
#청년세대 #미래세대 #신혼부부 #금융화 #mz세대

Пікірлер: 339
@sbsnews8
@sbsnews8 27 күн бұрын
[교양이를 부탁해, 김경민 교수 편] 국토부 19만호 누락...그래도 서울 집값 오를까 kzfaq.info/get/bejne/r7aCdZN0xJipeIE.htmlsi=OB1CmpZqcrkaZ1QW
@user-iu7oc2pk1u
@user-iu7oc2pk1u 24 күн бұрын
그냥 점진적으로 전세대출을 없애는 방향으로 가면 끝
@user-cc1wd8cs1z
@user-cc1wd8cs1z 21 күн бұрын
너처럼 단순하게 정책을 만드는게 민주당이야
@sarrotsnpchartering502
@sarrotsnpchartering502 25 күн бұрын
전세대출을 무한정 해주고 있으니 당연한 것
@daymay552
@daymay552 2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갈수록 계급사회로 가는것같다 이런식으로 가면 더 심해질꺼 같은데
@b5nigga
@b5nigga 25 күн бұрын
하위계층은 애를 안낳고 사람부족해서 외국에서 더마니 수입... 그게 순리
@user-vx9gi3bo4b
@user-vx9gi3bo4b 25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 원인을 젊은사람들이 덜렁덜렁 계약해서 그렇다고 하는사람이 국토부 장관인데 할말이 없네요 ㅋㅋㅋ
@drorian-tr1gi
@drorian-tr1gi 12 күн бұрын
진짜 ㅈ같은 소리지ㅋㅋㅋ 자본없는 가난한 청년층이라서 거지같은 리스크를 지고살수밖에 없는 시대..
@user-kn9cr7zy5n
@user-kn9cr7zy5n 22 күн бұрын
코로나때부터 이분 봤는데 어느한쪽애도 치우치지 않고 현실적으로만 보시고 최고시다 진짜
@user-vf4ri8pu3o
@user-vf4ri8pu3o 18 күн бұрын
아파트는 전세대출 금지시켜야된다
@seungchulpark2601
@seungchulpark2601 25 күн бұрын
교수님께서 말씀 하시기전 부터 느낌상 다들 느끼셨을거에요~더 계급화되고 더 세습화되고~
@user-mx8yz4el5k
@user-mx8yz4el5k 25 күн бұрын
ㅋㅋ. 장난치냐. 지금도 전세금융으로 인해 전세가격과 집가격이 안드로메다로 갔는데, 이젠 월세값 빌려주라는 말이네..
@user-ez4ph1su4e
@user-ez4ph1su4e 26 күн бұрын
학자들이 부동산 예측을 실패하는 전형적인 사례.
@kjh3406
@kjh3406 26 күн бұрын
이론적으론 완벽한 논리이긴 함, 현실과는 약간의 괴리감이 있고 해결책은 안보이며 정책실패라는 주장은 맞음.
@ludl6532
@ludl6532 24 күн бұрын
니가 교수보다 똑똑하냐?ㅋㅋ
@ysc-pn5fl
@ysc-pn5fl 24 күн бұрын
@@ludl6532 하버드 나온교수보다 더 전문적인 분이니 저런소리하시는듯 그게아니라면 ㅋㅋ
@peterpark20
@peterpark20 25 күн бұрын
다양한 현안에 정답을 주시네요
@wildlifekr
@wildlifekr 24 күн бұрын
비싸면 안사고 안살면 됨. 싼데로 가라. 그래야 가격도 안정된다.
@user-ys7ju2gn4h
@user-ys7ju2gn4h 26 күн бұрын
물가잡을려면 금리를 더 올려야하고 pf 빨리 해결할려면 많은기업들이 도산해야 한다. 누구나 해결책을 알고있음에도 못하는 이유 알잖아요? 진짜 알면서 뭔 물가실패 드립이에요? 한국은행이 바보라서 금리 5% 안 올릴까요? 올리면 모기지는 바로 10%가까이 근접할 것이고 결과는 뻔함. 간혹 금리 왜 안올리냐 하시는 분들, 우리는 미국이 아닙니다. 우리는 자영업자가 많아서 허리아래경제가 약해요. 수많은 대출자, 자영업자들의 파산이 줄을 잇는 것을 우리모두가 바라지않기 때문에 금리를 안올리고 있는거에요.
@seoripul522
@seoripul522 26 күн бұрын
그걸 모르는 줄 압니까? 자본주의라는 것이 망하는 자가 없으면 돌아가지 않는 체제니까 빨리 거품 꺼뜨릴 건 꺼뜨리고 가자는 거지
@minp3386
@minp3386 26 күн бұрын
자영업자들 ㅡ 누구보다 생존력 강하더라 ㅡ 죽는 소리해도 골프치고 여행가고ㅠ할 거 다하더라
@user-vb6bu9fb6s
@user-vb6bu9fb6s 26 күн бұрын
어느 정도 통제가 가능할 때 터뜨려야 합니다. 터뜨려야 할 건 나뒀다 자체적으로 못 견디고 터지면 그때는 카오스 상태가 되는 거니까요. 베스트 타이밍은 이미 지났지만 월스트 타이밍은 피해야죠. 언제 터질지 모르고 있다면 불안심리가 정말 높아지고 정보력에 약한 서민들이 더 피해를 봅니다.
@user-ye1bj1mu4x
@user-ye1bj1mu4x 26 күн бұрын
결국 정책 입안자들이 글쓴이 같은 마인드를 가지다보니..일을 더 키운겁니다 집안 가장이 아픈데..아빠 지금 수술받음 생활비며 애들 학원비.. 아파드 대출이자도 펑크나고..그러니 아빠 병원가야하는거 다 아는데..가면 우리 당장 곤란해져요.. 그러다 아빠 나중에 갑자기 쓰러지셔서 손도 못 쓰고 돌아가십니다.. 고로 수많은 자영업자 대출자 걱정하다간 건전한 기업마저 무너지면서 한국경제 작살날수 있습니다 이번 총선이후 PF 문제 드디어? 손대는데..총선 전에 했음 사회적 비용 줄일수 있었습니다..즉 좀기기업 부채폭탄 돌리는 헛돈을 이자로 날린거죠
@QQQKOR
@QQQKOR 25 күн бұрын
아니 그러니까 잘못은 자영업자, 건설사, 영끌러가 했는데 책임은 국민이 져야 하냐고
@ddongshin3174
@ddongshin3174 25 күн бұрын
교수님...국토부에서 통계오류로 약20만채나 증가되어야한다는데 공급부족? 입주물량 부족? 이해 안되유~~!
@user-nj6dd3nn8g
@user-nj6dd3nn8g 25 күн бұрын
건설쪽으로 자금을 돌려주려는 수법이라고 봅니다 빠진 지역도 집값 비싼 지역이라 서민은 넘볼수 없을테니 공급이 부족한게 아니라 필요한 공급이 부족한거
@jisammoon
@jisammoon 24 күн бұрын
서울이 공급 부족, 입주 물량 부족이고요. 지방은 지금 공급이 넘치고 입주가 넘쳐서 집이 남아 돌아서 집값, 전세값 다 떨어지고요. 왜 이게 이해가 안되나요?
@mymotherisalien
@mymotherisalien 24 күн бұрын
통계오류와 시장의 연관성에대한 시각을 조금 바꾸어야합니다. 준공 물량이 약 13만세대 누락됐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서울 전세물량이 부족하여 계속 상승중입니다. 그 말인 즉슨 사전 통계발표자료 대비 13만세대를 더 공급했음에도 공급이 모자르단것이기에 수요가 예상보다 훨씬 많음을 예상할 수 있죠
@inmyroom9072
@inmyroom9072 24 күн бұрын
그냥 몇년차이일뿐이여..어차피 앞으로 공급없는건 똑같음
@jhlee9895
@jhlee9895 24 күн бұрын
준공물량 누락이라 이미 현실반영 된 결과인데도 아직도 공급 넉넉하다는 모지리 언론인 유튜버보고 착각하는 중 ㅉㅉㅉ 정신들 차리세요 왜 17년부터 매매 전세 월세 개폭등중인지 입법권을 연속으로 민주당 몰아준게 어떤 결과를 초래할건지 생각들 좀 해요 ㅉㅉ
@user-lw9rc2if6p
@user-lw9rc2if6p 11 күн бұрын
부동산 문제를 부동산 내에서 풀면 안되는 것 같아요. 부동산 문제는 사회문제와 (지방소멸, 저출산) 경제문제 등과 얽혀있는데, 정부는 부동산은 부동산만 따로 떼어서 해결책을 내고, 경제는 경제만 놓고 따지고 있으니 단편적 해결책만 내놓는 거죠. 심층적 접근이 정말 필요한 시점입니다. 😢 이러다 정말 ... 우리 다...망해요....
@jnko2904
@jnko2904 24 күн бұрын
영끌해서 갭투자해서문제된건데 ltv이를 늘려주잖은건가요?
@user-qd5ox8ug4z
@user-qd5ox8ug4z 14 күн бұрын
차라리 전세대출 없애자.
@user-zi9fj9oj5d
@user-zi9fj9oj5d 24 күн бұрын
전세사기로 인해 빌라와 다가구 쪽의 전세기피로 아파트 전세가가 일부 생기는 것을 크게 보는 듯. 2013년부터 박근혜가 전세대출 늘리는 바람에 전세가가 오르고 그로인해 매매가가 올랐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름. 전세사기 예방하고 전세대출 줄이면 된다
@gracefirst5597
@gracefirst5597 23 күн бұрын
공급 부족이어도 살사람없으면 집값 내려감 3기 신도시 분양 시작되면 또 내려감~전세금은 나라에서 대출 제한하는 순간 더 떨어지게 되어 있음
@danielcho5924
@danielcho5924 Күн бұрын
불안감 조성하는것 보니 건설사가 진짜 힘든가보네.
@bro_ujinsoo
@bro_ujinsoo 18 күн бұрын
9:57 오타네요. "너희들 그냥 사라"가 아니라 "너희들 그냥 살아"입니다. 집 사지 말고 그냥 그렇게 살라고 주장하는 걸 비판한 건데 오타로 반대의 의미가 되어 버렸네요.
@jkim4301
@jkim4301 25 күн бұрын
저는 30대인데 LTV 90%로 17억짜리 아파트 사게 해주나요? 그러면 그만큼 가격이 더 오르지는 않을까요? 아파트에 영끌하면 자녀 학원비는 어떻게 해요?
@yousojung88
@yousojung88 21 күн бұрын
Dsr도 잇자나여..
@bluetree3426
@bluetree3426 26 күн бұрын
생산 물가는 세계적이나 인권비 문제고 농산물은 날씨가 좋지않아 수확이 좋지않아비싸고 뭐 그런이유 아닐까요
@hahahaduze5127
@hahahaduze5127 23 күн бұрын
물가잡는데 실패했어요 이건 완전히 정책 실패에요 라고 자신감있게 말하는거부터 그냥 책상위 샌님이라는걸 그대로 보여주는듯
@ykkim7993
@ykkim7993 24 күн бұрын
현재 전세가 떨어지고 있는데...다음 주 2년 전보다 10% 다운 재계약 예정
@yk-bw6hb
@yk-bw6hb 26 күн бұрын
바우처? 과연 그 생각이 옳다고 보십니까? 부동산 시장과 경제만 생각하는 아이템이라 봅니다. 자본을 너무 부동산에 집중하고 있는 듯. 사고의 범위를 넓히실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user-ur6xe9bn7g
@user-ur6xe9bn7g 25 күн бұрын
집값이 떨어지길 바라면서 민주당을 투표한 그대들 내 집값 올려줘서 미안하다 고맙다!~
@user-xw9ef6lt3x
@user-xw9ef6lt3x 2 күн бұрын
윤석열 정부 실책을 왜 민주당에게?
@soso-ii5ns
@soso-ii5ns 26 күн бұрын
선분양폐지 후분양 법적제도화
@wbkim2229
@wbkim2229 26 күн бұрын
그럼 새집 못지어요. 특히 대단지 아팟.
@freeman482
@freeman482 25 күн бұрын
​@@wbkim2229 왜 못짓나요. 지을순 있죠. 분양가가 오를뿐이지 건설업체에서 또 그 법에 맞게 건설을 합니다.
@wbkim2229
@wbkim2229 25 күн бұрын
@@freeman482 그러려면 거의 1조는 선투자를 해야하는데요.. 1조의 여유자금을 가지고 있는 회사는 거의 없어요.. 그걸 은행에서 빌리는 것도 쉬운일은 아니고요.. 왜 기업에서 이자가 20%라는 말이 안되는 이자율에도 돈을 못구해서 난리인지 곰곰히 생각해 보시길요... 선분양 아니면 기회만드는것 조차 쉬운일이 아닙니다.
@freeman482
@freeman482 25 күн бұрын
@@wbkim2229 왜 1조 입니까 기준을 너무 높게 잡으셨음
@doyle1723
@doyle1723 25 күн бұрын
​@@freeman482건축비, 땅값 하면 1조 그리 안커요
@dev-play
@dev-play 25 күн бұрын
금융화하면 더더욱 자기가 이야기한 양극화를 가속화한다. 지식인이라면 자신의 논지를 맞추기 위해서 끼워 맞추기 주장하면 안되지. 그냥 주거복지라고 가스라이팅한 전세대출 날리면 바로 정상화 일어난다.
@user-ke6mi4yp1g
@user-ke6mi4yp1g 25 күн бұрын
국토부도 정무적인 스텐스 ㆍ정치적으로만 판단하는 국토부 갈아엎어야됨 🤮🤮🤮
@user-mv9uo8zd1y
@user-mv9uo8zd1y 26 күн бұрын
MZ세대가 제일 부자여요 금토 음식점 술집 모두 점령 부모도있고 돈이 있어니 가격안따짐 자리가없음 ㅋㅋ
@sjmu9721
@sjmu9721 25 күн бұрын
결국 그것도 부모 돈이라는 소리.. 요즘 평범한 사회초년생 임금으론 경제적 독립이 안되니 얹혀사는 케이스도 되게 많은 거고
@user-yl2co4xp9z
@user-yl2co4xp9z 2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커온 MZ들이 처음으로 취업시장에 나가면 당연히 쥐꼬리 월급200가지고 버티겠어요? 9급초임받고? 그래서 52시간, 최저임금 올렸더니 그건 또 아니라하는 2찍이가 되버림 ㅋㅋㅋㅋ그리고 삼성같이 연봉 받는거 생각하고 살고 결혼하면 서울에 아파트에서 살아야한다고 생각하는데 그걸안해주니까 애를 못낳는다고 하는 세대인데 ㅋㅋㅋ어찌함? 답이없지 양쪽다
@user-cd8dl3tg4w
@user-cd8dl3tg4w 2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indypark08
@cindypark08 20 күн бұрын
그부모 5060 세대가 이제 은퇴중 입니다. .
@user-ot3se9iq5g
@user-ot3se9iq5g 26 күн бұрын
최저시급 인상에 주휴수당과 퇴직금. 더 무서운 4대보험과 법인세 25%, 알바신고에 세무사비주고, 거의 세금과 경비가 50%입니다. 물가가 안오를수가 없어요. 일본은 현찰이라 세금도 없어요. 거의 일본과 한국의 물가가 40% 차이가 나게 됩니다. 4대보험이라도 축소하고, 최저시급 내려야 합니다.
@user-fz2tc2ju7c
@user-fz2tc2ju7c 25 күн бұрын
공급부족으로 추세상승이라..뉴스도 걸러서 봐야 합니다. 맞벌이를 해서 자산이 증가한다..? 지금 전세값이 오르는건 젊은 세대들이 지금 주택가격을 감당할 수 없어서 그런겁니다.. 아저씨...젊은 세대에게 LTV80%~90%까지? 풀어줘야한다? (MZ세대야 느그들이 이제 기성세대 주택 사줭~)
@cindypark08
@cindypark08 20 күн бұрын
공급부족만 얘기할게 아니에요. 베이비부머 860만명 5060세대는 은퇴하면서 수입이줄고 20대.인구는 확 줄었는데. 은퇴하는사람이 계속 도심에 살아야 할까요? 이젠 지금까지와 다른 부동산 우상향 논리가 달라질듯.
@user-iq7vm5sl5j
@user-iq7vm5sl5j 25 күн бұрын
입주물량없는것에 촛점인듯..현재서울가격이 아직도 고점이문제..임대사업자 묶어놓은 물량을 풀면됩니다. 8년보유 10년보유자 반정도보유한사업자 풀면 물량 해결됩니다
@user-qw9kb1dx6x
@user-qw9kb1dx6x 25 күн бұрын
수십채 임대사업자들 많이 아는데 2년만 기다리면 세금에서 자유로워진다 합니다 그런데 그런물량들이 많이 나올지는 모르겠습니다
@user-gp1ud9ox6u
@user-gp1ud9ox6u 25 күн бұрын
에휴.. 조금만 더 버팁시다.. 전세 말고 월세로 내년에는 분명 나아지이라 희망하며..
@user-sj7ug6dq6y
@user-sj7ug6dq6y 24 күн бұрын
당장 상속세 폐지하고 부유세 폐지해라. 내 자식한테 줄려고 일하는거다.
@user-bh9ei9fl1z
@user-bh9ei9fl1z 23 күн бұрын
이거 논리 근거가 주택공급 부족인데 촬영 당시에 12만호 미분양 누락은 반영 안된거죠?
@run-away.
@run-away. 26 күн бұрын
정부는 집값 부양만 생각하고 있지, 절대 잡을 생각 없음. 가만히 놔두면 오르고, 떨어지려면 부양하고...
@user-qz5mh9id8n
@user-qz5mh9id8n 26 күн бұрын
물가가 엄청 올랐는데 집값은 안올랐으면 하는 생각이 어의없네
@user-uy2wx9zq1h
@user-uy2wx9zq1h 25 күн бұрын
집값을 잡긴 뭘 잡아 네 월급이나 10년 전으로 잡을까? 본인 월급은 올랐음 좋겠고 인플레이션은 역행 했음 좋겠냐?ㅉㅉㅉ
@s.y.k1883
@s.y.k1883 25 күн бұрын
출산율 0.5이하로 떨여져도 집있는 사람들은 그거 못놓을듯. 어차피 망할거 아득바득 모으다 죽으려는듯.
@JihoonYeom
@JihoonYeom 24 күн бұрын
​@@user-qz5mh9id8n 어이 ... 맞춤법부터 공부를..
@mymotherisalien
@mymotherisalien 24 күн бұрын
정부가 원하는건 인플레이션 수준만큼의 집값 상승임. 급등도, 급락도 아닌
@user-ik2vy6qf9w
@user-ik2vy6qf9w 25 күн бұрын
정책 상품은 꾸준해야 한다는 말에 100% 동감합니다. 쇼하는 정책은 정책이 아닙니다.
@Mason-2012
@Mason-2012 26 күн бұрын
김경민 교수님. 주장하신 말씀이 넘. 억지스러워서 글 남깁니다. 1) 토지가격이 평당 2억 하던 것이 PF사태로 1억으로 팔리면 주변땅들도 1억이 된다는 괴변은 어느 근거로 나온 말입니까? 통상적으로 감평을 할때 사정보정이라는게 있는데요 이건 거래과정에서 나타난 특별한 사정 or 개별적 동기로 거래시세를 보정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주변땅이 경매로 2억이 1억이 되면 다른 주변분들 땅도 1억이 됩니까? 누군가 개인사정으로 급매를 하면 원하든 원치않든 그 특수거래로 주변시세가 강제조정 된다는 주장은 너무 무지한거 아닙니까?? 2) 서울 매매·전세 추이 그래프에서 전세의 추세선은 정체기라고 해석하시는 구간에 명확하게 상승선을 그려주고 있습니다. 매매가가 하락하니 전세로 옮겨 헷지 한거 아닙니까? 도저히 정체기로 해석되지 않는 추세선을 가지고 정체기라 주장하니 영상이 설명이 납득이 안가네요.
@user-ub4bw6mv5j
@user-ub4bw6mv5j 24 күн бұрын
내용은 좋은데 궤변을 괴변으로 쓴게 글 신뢰도를 낮추네
@enjoyyourlive
@enjoyyourlive 26 күн бұрын
지능이 있다면 다주택자 없이 누가 임대를 주고, 다주택자 대신 일주택자 절대우대하면서 무슨 수로 지방소멸 서울중심화 막을 수 있음? 지능없음?
@jms3059
@jms3059 23 күн бұрын
가장 가난하지만 가장 소비를 많이하는 세대
@user-uo8tc9qi6k
@user-uo8tc9qi6k 24 күн бұрын
잘봤습니다 저는 이게 중도에 있는 시각같습니다.
@user-gd9en2qx7z
@user-gd9en2qx7z 21 күн бұрын
😊
@user-vp8no4vz3d
@user-vp8no4vz3d 25 күн бұрын
맞다. 우리 젊은이들 대단하다... 정말 서양인이 동양인을 좋아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었어 ㅎㅎㅎ
@hankiseong8873
@hankiseong8873 25 күн бұрын
물가를 못잡은게 문제라는데 미국이 금리올리고 전쟁 일으켜서 유가 상승시키는데 아무런 자원도 없고 수출위주의 한국 자본시장에서 물가잡는 방법 있으면 얘기를 하고 물가를 못잡았다고 얘기해야 합니다. 국내 금리를 올리면 물가 잡히지 않겠냐고 단순히 얘기하는 사람들은 코 로 나때 대출이 얼마나 풀렸는지 알고 얘기를 하기 바랍니다. 국내 금리 올리는 순간 한계계층부터 도미노로 부도나서 대기업까지 순식간에 국가부도까지 갈 수 있습니다.
@user-kj6lu3ml6l
@user-kj6lu3ml6l 24 күн бұрын
학자들이 탁상공론으로 무주택을 만들어버림. 그래서 자간격차가 더 벌어지고
@user-ef9vh4mo8y
@user-ef9vh4mo8y 25 күн бұрын
누가 총대 메고 개혁 할래? 아니 혁명.. 없지? 안바뀐다는거.. 계속 사이클..일희일비 하지말자
@bch7614
@bch7614 26 күн бұрын
건설로 인한 경기 창출만을 생각은 후진 국가로 부터 벗어나야한다.
@clarksong2147
@clarksong2147 26 күн бұрын
성심당 대전역 사태를 보건데 한국인의 부동산 탐욕은 정말 치를 떨 수준입니다...ㄷㄷ 자영업자 뒤지면 연쇄효과로 건물주도 뒤질텐데 말이죠.
@mafaraming
@mafaraming 25 күн бұрын
개토가 아니라 게토
@eva-rei
@eva-rei 26 күн бұрын
후진적 정치가 선진적 세대 흐름을 완벽히 놓쳤을 때가 대한민국이라는 거네요 너무 빨리 선진국이 된 게 문제일지도...
@user-qz5mh9id8n
@user-qz5mh9id8n 26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이라도 인간 수명이 늘어난건 생각안함?
@silkgold
@silkgold 22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근데 현실에서 이러질까? 하는 생각이.. 한세대 지나고 잃어버린 세대 지나가면 자정 작용 할려나? 안되면 중진국으로 주저 앉겠지..
@song9494
@song9494 26 күн бұрын
어찌보면 이해가 가긴합니다만. 그러면 더 오를테니 없는사람들은 복지혜택 받아서 월세 살아야 한단 말인지…
@user-ud4gu5ck7h
@user-ud4gu5ck7h 24 күн бұрын
통계오류 20만채인데. 공급 부족 먼 ㅇ 소리. 통계공부하고 나오셨는지요…
@gurano7985
@gurano7985 25 күн бұрын
진짜 실패한나라.. 바닥 아래 바닥을 만들수있는 정부
@jyp1331
@jyp1331 26 күн бұрын
더오르자 부자되보자
@user-emiya_kookejja
@user-emiya_kookejja 25 күн бұрын
전부다 맞는말이긴함..다만 여기에는 각국 정부가 차기 정부에 책임을 미루며 대책없이 뿌려대는 통화 공급과 인간의 탐욕이 계산되어있지 않음
@user-iu2xk2ze3n
@user-iu2xk2ze3n 25 күн бұрын
같은 거 계속 올리지 말아주세요.. 헷갈려요
@tonylee5256
@tonylee5256 24 күн бұрын
70년대에는 빚내고 집을 사지 않아 헷지가 되었조. 지금은 주식과 같은데요
@bismarckc3156
@bismarckc3156 26 күн бұрын
감정에 치우친 정책이 아닌 팩트가 중요함. 부동산은 가장 중요한 재화이고 재화는 결국 오르게 되어있음.
@daymay552
@daymay552 26 күн бұрын
집을 짓는데 모든 자재와 인건비 법적강화 이런것들이 오르는데 집값은 오를수밖에 없지 땅값이 떨어지더라도 집짓는 값이 오르는데 집값이 떨어질수 없다
@user-tu5xk7mw1x
@user-tu5xk7mw1x 26 күн бұрын
생활숙박시설 준주택으로 인정해라. 전세 들어가 살고 싶다.
@user-rz9jf2mr1j
@user-rz9jf2mr1j 24 күн бұрын
대출풀면 투기자금이 집값을 또 띄운다 정부가 국평 임대주택을 신생아 자녀 부모 특별공급하자
@kcastnet
@kcastnet 26 күн бұрын
국회 정치 쓰레기가 문제지.. 곡학아세하지 마세요.. 국토부요?
@user-iz2zk9vj2i
@user-iz2zk9vj2i 25 күн бұрын
그런데...강력한 부자들 60~70대들 전세시대 사람들인데...
@user-yl2co4xp9z
@user-yl2co4xp9z 24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여기 교수님이 말한거중에 제일 팩트는 ㅋㅋㅋ윤석열지지했었고 윤석열되면 최소한 임대차3법같이 개판안만들겠지 그냥 아무것도 모르니까 가만히 있겠지라고해서 뽑았다고했음. 근데 아무것도 해버렸죠 ㅋㅋㅋㅋㅋㅋㅋㅋ 지금와서 임대차3법 없앤다? 부동산시장 더 암울화된다 말씀했지 지금와서는 건들면 더 개판됨 지금와서 그거 철폐한다고 전세값 집값안빠져 오히려 쫒겨나지 비싼집부터 ㅋ ㅋㅋ 다 밀려나는거야 그러면
@manevemaa5367
@manevemaa5367 25 күн бұрын
부동산 금융화 기법 자세히 설명해서 일반인들 잘 이해하게 되면 국토부도 어쩔 없 공부해서 도입할 거 . 이 기법에 대해서 따로 강의 부탁합니다.
@guih2879
@guih2879 22 күн бұрын
어찌 저런사람들이 정치판에 있을까요
@jinmanlee7692
@jinmanlee7692 26 күн бұрын
그냥 나의 뇌피셜이다. 70년대 태어난 사람으로서 지금 청년이 가장 가난하다고 하는데 나의 청년시절에는 자장면 하나 먹는것도 행사였고 애인과 데이트하면서 야외로 놀러가는것도 돈을 모아서 가야만 했으면 그때는 해외여행도 꿈도 소수만 가는 시절이었다. 자가용도 가진 자들만 소유하던 시절인데... 나의 30대 열심히 일하고 여행도 자제하고 먹는것도 자제하고 살던 시절이다. 내 친구 대부분도 그랬다. 시절을 왜곡하고 70.80세대의 청년시절 풍족하게 살았다고 거짓 역사를 만드는 저런 파렴치한 기득권이 장년층과 청년층을 갈라치기 하는거다. 젊은이들이여 당신의 부모님들이 청춘을 어떻게 보냈는지 물어보기 바란다. 주 6일제. 시간외 수당도 없이 오직 자녀들의 미래를 위해 일만 했던 대부분의 부모세대다. 제발 갈라치기 하지 말자. 김경민씨 당신 부모의 집안 사정을 알 수 없지만 그 나이때 친구들 대부분 힘들게 살았다.
@park2240
@park2240 26 күн бұрын
과거 이야기가 아니라 현제 시점에서 이야기 하는것 같아요. 현시점에서 mz가 가장 가난한건 맞는듯
@user-qb3wi4bv4f
@user-qb3wi4bv4f 25 күн бұрын
imf, 리먼을 청년때 처 맞은 세대이긴하지
@user-hf8pw7uc5p
@user-hf8pw7uc5p 25 күн бұрын
할 수 있는 얘기가 그저 자기 젊었을때 힘든 걸 이겨낸 얘기...그러니까 대화가 안되는 겁니다. 현재 젊은 사람들이 자라온 환경의 힘듦이랑 기성세대 가난했을 때랑 다른데 가난했을때 얘기를 하면 공감이 가겠냐구요..
@user-dd6zk6vz9e
@user-dd6zk6vz9e 25 күн бұрын
난 요즘 애들한테 미안하던데,, 그런 맘이 없나봐,,
@user82834
@user82834 25 күн бұрын
IMF와서 기업이 다 망해서 이력서 낼곳이 없었죠.
@clastneo
@clastneo 24 күн бұрын
"근데 결혼을 하는 순간 굉장히 강력한 자본층으로 성장해요." -> 결혼하는 애들이 "굉장히 강력한 자본층"인거겠지, 7포세대라는 말이 괜히 있나.
@user-sn5gj2oq3n
@user-sn5gj2oq3n 17 күн бұрын
대출 받게 돼서 아파트 산다는 말 아닌가..?
@taehoon_
@taehoon_ 26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미분양 통계 수치도 틀렸답니다
@manicsd
@manicsd 26 күн бұрын
누가 주거 사다리를 없애고 있을까? 좀 알고 찍자 병달님들
@go_blueocean
@go_blueocean 26 күн бұрын
미국처럼? 그럼 우리나라도 양극화 심화시키자?
@user-sz1sd4rm7g
@user-sz1sd4rm7g 26 күн бұрын
선분양 패지해라. 후분양해야지!
@jkysjh8263
@jkysjh8263 26 күн бұрын
정말 대단하세요~~집값이 어디 콕찝어서 맞추긴 어려워요 전체적으로 너무 감명깊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강의를 어디오르나 내리나로 보시는 분의 댓글로 상처받지마세요 이런분들께 내용 요약하자면 수도권 서울은 업무지구없으면 그저그렇지만 그래도 계속간다 라고 보입니다
@user-yp1gj8ps6u
@user-yp1gj8ps6u 23 күн бұрын
갭투자 국토부 금지 시킨다 위기감 조성하지말라 걱정하는척
@rickpark2107
@rickpark2107 26 күн бұрын
부자들이 원하고 투자하고 몰려사는걸 보고 바보다 폭락이다 하는 우리 서민 전세자들 이제 순 자본 2억으로는 입지 좋은 빌라도 못삽니다. 말로 떠들어봐야 현실은 바뀌지ㅜ않죠 더 밀려밀려 외곽에 안좋은 주거로 밀려나는거죠
@leehj5029
@leehj5029 26 күн бұрын
이 분 [샤로잡다]에서 전세사기에 관한 내용 푸셨는데, 그거 보고 이 분을 믿게 됐음. 욕하려면 그 영상부터 보고 오시길. 애초에 학자씩이나 되는 분의 전문 식견을 일개 시민이 제대로 비판할 시각을 가지긴 꽤 어려움. 욕하는 댓글들이 이해가 안 돼서 끄적여 봄.
@user-jy3yk6vi8k
@user-jy3yk6vi8k 26 күн бұрын
청년이 가난한것 당연함 출발하고 시작하는데 무슨 말인지 모르겄네유?
@sophia815185
@sophia815185 26 күн бұрын
점프할수있는 사다리가 없어졌다는게 문제죠
@swlee9009
@swlee9009 25 күн бұрын
욕심이 너무 많네 적당히들 살고 갑시다 후손들도 살게 해줘야 할거 아니요?
@blueocean2908
@blueocean2908 23 күн бұрын
우리아이는 해외에서 낳아야지
@user-bk4yk9dy1e
@user-bk4yk9dy1e 26 күн бұрын
이민가죠
@user-bs2vx7gi3p
@user-bs2vx7gi3p 23 күн бұрын
김경민 교수님을 국토부 장관으로 모셔야 이나라가 살아요🎉
@user-ue2hl6px3w
@user-ue2hl6px3w 26 күн бұрын
이거 정부 통계 잘 못 된거 알아차리기전에 만들어진 인터뷰잖아요.. 참 열심히 활용하네요.
@user-fr7zy8gn1n
@user-fr7zy8gn1n 25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만오천세대라내 통계잘못된것만 이십만채 좀 안되던데
@b5nigga
@b5nigga 25 күн бұрын
쓰레기 언론
@dukbaekim17
@dukbaekim17 26 күн бұрын
신규공급이 없어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격해서 갭투자의 시장이 열릴것이라는데 그럼 시장에 나와있는 서울의 85000채 매물은 가만히 있나? 이 매물도 갭투나 세안고 매매가 가능해질텐데 그때도 전세 시세가 계속 높아짐? 임금상승은 낮다고하고 대출한도도 줄어든 세상에 도대체 이게 앞뒤가 맞음? 꿈보다 해몽이네 ㅋㅋㅋ 절대적 물량이 과거보다 훨씬많아지고 있는데 그걸 망각하고 오로지 "신규공급"에만 포커스를 두고 해석하고있다 이게 진짜 맞음?ㅋㅋ
@dannylee9662
@dannylee9662 26 күн бұрын
응 85000채 매물중 상당수는 사실상 아니면 말고인 허위에 가까운 매물들임. 전세 시세 계속 올라가는거 안보이냐? ㅋㅋㅋ 서울의 경우 지금 절대 공급이 줄었고 전세 시세 계속 올라가니 세입자들 죄다 갱신에 목매달고 있어. 그럼 전세가 올라갈까 내려갈까? 머리 안돌아가니?
@dukbaekim17
@dukbaekim17 26 күн бұрын
@@dannylee9662 궁예임? 아니면말고? 임대사업자 자진말소, 자동말소에 대체주택, 개인사업자대출 만기등등 나올매물이 수두룩하구만 허위라고? 이런댓글을 보면 아직도 부동산으로 돈벌수 있겠다는 생각은든다 ㅋㅋㅋ
@sklee9584
@sklee9584 26 күн бұрын
85000개에 공실이 있나?? 결국 기존매물은 또다른 수요야. 살고있는게 집주인이든 세입자든 누군가는 살고있고, 그들이 나오면 또 어딘가 서울 아파트에 들어가서 살아야해 매매든 전세든. 지금 너의 논리는 85000개 매매물건이 공실일때 의미가있어
@dukbaekim17
@dukbaekim17 26 күн бұрын
@@sklee9584 85000채 중에서 공실이있냐고 물어봐놓고 나중엔 85000채가 공실일때 의미가 있다네 이건 뭔 논리지? 당연 85000채중에 갈아타기 수요도 있고 매매 수요도 있겠지 데이터가 보여주고있잖아 매도물량은 늘어나는데 임대물량은 줄어들고있는거 요즘 빅데이터 잘되어있으니 좀 보고 와서 댓글을 달아라....한심하네 진짜 ㅋㅋㅋ
@sklee9584
@sklee9584 26 күн бұрын
해석 개못하네 ㅋㅋㅋ 공실이 없다는뜻이지 언제 물어봤냐 데이터는 먼 데이터타령이야 이광수랑 김기원이 하는말 앵무새처럼 나불대면서 무슨 통찰력 있는척하고있어 ㅋㅋㅋㅋ 진짜 능지수준 ㅋㅋ
@vehekalfyywehhshxb
@vehekalfyywehhshxb 25 күн бұрын
7호선 급행 좀 생겼으면
@user-kr1mn8zw6w
@user-kr1mn8zw6w 24 күн бұрын
말만하지말고 전문가들 실천하세요 제발 부탁입니다
@user-xl1ew8gz1n
@user-xl1ew8gz1n 25 күн бұрын
그냥 학자임 요즘시대는 복잡계시각으로 봐야지 단순한 논리로 예측 불가능한 사회임
@user-zu6om9nf5s
@user-zu6om9nf5s 26 күн бұрын
김경민 교수님이 제일 품격있음. 적어도 유튜브나 방송 나와서 부동산 전문가라고 떠드는 부류중에 이분은 학력 스펙부터 넘사벽임. 궁금해서 찾아보니 심지어 부친은 의사셨음. 10년 넘게 주구장창 부동산 하락을 주장하는 한문도씨와는 급이 다른 학자라고 봅니다. 부동산 전문가라면 상황에 맞게 예측을 해야지 맨날 상승, 맨날 하락만 외치는 사람들은 걸러야 됨. 전문가라 말하는 누군가가 자기 경제상황에 맞는 유리한 말을 해준다고 좋아하면 안됨. 그건 그냥 정신승리일뿐... 그들의 강의팔이, 책팔이에 이용당할뿐... 김경민, 한문도 이들의 과거 언론 인터뷰를 찾아보면 팩트로 비교가 됨. 김경민 교수는 2020~21년 부동산 상승의 정점에서도 곧 2~30프로 하락을 예측했던 분임. 지금 시점에서 다시 상승을 예상한다고 욕하면 안됨.
@user-tl5qr3fl1q
@user-tl5qr3fl1q 26 күн бұрын
한문도는 너무 급이 떨어지지
@user-yp1gj8ps6u
@user-yp1gj8ps6u 23 күн бұрын
펌푸질 주의
@user-rb3jd8go7z
@user-rb3jd8go7z 26 күн бұрын
전세값도 못잡는 것들이 집값 못잡는다고 그렇게 개거품 물고 비난했다는 사실이 코미디같음.
@dowoonu
@dowoonu 26 күн бұрын
집값도 못잡는 놈들을 지지해놓고 전세값 못잡는 애들은 왜 타박을 하고 그러냐? 그건 말이 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uq7hg8ns1i
@user-uq7hg8ns1i 26 күн бұрын
​​@@dowoonu부동산 가격 폭등은 전세계 공통적인 문제였다! 미국의 달러 남발로! 미국 부동산 폭등이 문재인 정책 탓이라고 생각해?
@peacelove7694
@peacelove7694 26 күн бұрын
둘다 문제라고 생각함 그래서 차라리 초선이나 제3지대에서 했으면 좋겠음 기존 세력다 내보내고!! 꿈같은 이야기지... ㅡㅡ에혀..
@user-uy1lg7th8k
@user-uy1lg7th8k 26 күн бұрын
@@user-uq7hg8ns1i 집값이 올랐는데 전셋값을 그냥 두는 사람이 있냐고.....집값이 오르면 전세 수요가 오르고 수요가 오르고 가격이 오르는건 당연하잖아...
@dowoonu
@dowoonu 26 күн бұрын
@@user-uy1lg7th8k 대깨들은 그런거 모름 무식함
@user-vi2bu1fc2h
@user-vi2bu1fc2h 26 күн бұрын
전세자금 대출 없애라ㅡ
@Bard919
@Bard919 24 күн бұрын
ㅋㅋ젊은사람들은 미래에 희망업는 청약이나 희망고문이나 하고 집사지말란소리네ㅋㅋㅋ
@user-fi8wf5ts9w
@user-fi8wf5ts9w 25 күн бұрын
ㅋㅋㅋ 결론은 갈라치기네 ㅋㅋㅋ
@TheHach00
@TheHach00 25 күн бұрын
MZ가 가난하다는 참 책상머리리 가설..부모가 제일 부자세대인데? 다 씹어먹고 무덤가는줄?
@phuchi.83
@phuchi.83 24 күн бұрын
실제 소득대비 따라가야 할 자산의 수준이 너무 높아서 가난하다고 표현을 하는 겁니다.
@jaeholee6806
@jaeholee6806 19 күн бұрын
이 나라는 MZ세대를 배려하지 않는다, 그들에게 희생만 강요할 뿐
@user-lm4cd5hl2i
@user-lm4cd5hl2i 25 күн бұрын
정권을 바꿔야 함
@SKY-jy2uw
@SKY-jy2uw 26 күн бұрын
거참 빌라사기 안잡아서 아파트 전세 오른거고..이제껏 아파트 안지었다고 부동산가격오른적없고..통계에서 빼먹은 19만채랑..건설사의 발표거부로 통게에도 안잡힌 미분양 아파트를 생각안하시나? 치우친 지식은 일부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줍니다
@clala89
@clala89 26 күн бұрын
책으로만 공부한사람들의 문제점이 여기서도 보이네요.
@Minhyuk_00
@Minhyuk_00 27 күн бұрын
이거 통계누락 몰랐던 기준으로 얘기한거죠?
@dannylee9662
@dannylee9662 26 күн бұрын
통계 누락이라봐야 서울은 해당사항 음슴.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ПООСТЕРЕГИСЬ🙊🙊🙊
0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SNU Catch] Why do rental(Jeonse) scams worth billions keep happening? Causes and solutions
12:42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76 М.
'4년 차' 전세 대란…두 달 만에 5억 올랐다 / SBS
2:22
A onda fascista encobre a Europa | Ponto de Partida
11:35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