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도 줄임말을 썼다|신조어에 진심이었던 조상들

  Рет қаралды 397,810

교양만두

교양만두

11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멤버십 가입하기 : / @smartmandoo 🥟
일상에서 접하는 수많은 유행어와 신조어!
신조어에는 해당 시기의 특징이나
공감 포인트 등이 담겨있는데요.
조선 시대에도 유행어, 신조어가 있었습니다.
일반 백성들이 만든 건 물론이고,
왕도 만들어서 썼을 정도라는데!
그때 그 시절엔 어떤 말들이 탄생했을까요?
이번 교양만두는 '유행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일러스트│강동한
#교양만두 #조선시대 #유행어 #줄임말 #MZ세대 #역사 #국어
* 참고 문헌
- 「남사당패의 은어에 대하여」, 장충덕, 한국어의미학회, 2009
- 「민족 생활어 조사: 남사당패 어휘」, 장충덕, 한국방언학회 , 2016
- 『알나리 깔나리, 우리말 맞아요?』ㅣ공주영ㅣ종이책
- 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 "광복70년 한국인 의식주 변천사" -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위클리 공감 (2015. 10. 13)
- "웃프다·혼밥·딸바보… 시대 담은 '새말'에 학자들도 심쿵 "- 조선일보 (2020. 1. 9)
- ‘모뽀’ ‘모껄’ 100년 전에도 신조어… 10개 중 7개는 소멸한다 - 한겨레 (2019. 9. 18)

Пікірлер: 394
@Honeybee_Life
@Honeybee_Life 11 ай бұрын
정조는 진짜 핵인싸가 갖출 수 있는 기질은 다 갖추었던듯...하다못해 줄임말까지ㅋㅋ
@Joonkor8
@Joonkor8 11 ай бұрын
아햏햏…😅😅
@user-wl7gc3wb4y
@user-wl7gc3wb4y 11 ай бұрын
쌍욕도 거침없이 했던 것으로 알려져있죠...~~
@user-rr3xc9in7n
@user-rr3xc9in7n 11 ай бұрын
가각가가각각가가
@Delcron2902
@Delcron2902 11 ай бұрын
​@@Doorstepping그건 정치적인 문제라 그런듯
@dkc2018
@dkc2018 Күн бұрын
어떤왕인지 모르겠는데 지금의"ㅋㅋㅋ"처럼 큰 웃음을 나타낼때 "(강)하"를 여러번 적었대요. 지금으로 치면 'ㅎㅎㅎ'정도일까요?
@melodydif
@melodydif 11 ай бұрын
신조어는 요즘 애들의 문제점이 아니라 언어의 당연한 과정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한 언어의 활성화로 기존에 사용하지 않았던 새로운 단어들이 등장하거나 한 단어에 의미가 추가되는 것 뿐!
@user-li3ut7oz4k
@user-li3ut7oz4k 11 ай бұрын
신조어만 계속 쓰면 어휘력이랑 사고력 떨어짐
@user-wv7pw4is9t
@user-wv7pw4is9t 11 ай бұрын
​@@user-li3ut7oz4k지난 2000년동안 나오던소리 ㅋㅋㅋㅋ
@user-li3ut7oz4k
@user-li3ut7oz4k 11 ай бұрын
@@user-wv7pw4is9t 요즘애들 어휘력 안좋은거 같던데
@user-li3ut7oz4k
@user-li3ut7oz4k 11 ай бұрын
@@user-cv3uo5rl3w 들켰누 시험문제였는데
@user-ct3pq5ng5g
@user-ct3pq5ng5g 11 ай бұрын
근데 라고할뻔 이런거는 쫌
@Yd-mc2bt
@Yd-mc2bt 11 ай бұрын
전 킹받는다는 말이 기존의 ”열받는다“보다는 화나지는 않는데 은근히 약오른다는 어감이 있어서 잘 사용 중입니다ㅋㅋ
@TinyStone1025
@TinyStone1025 8 ай бұрын
오 맞아요 약오른다!!! 맞아 그런 뜻이엇어 웃긴 것도 아니고 화나는 것도 아닌 이 애매한 단어의 뜻이 바로 이거엿어!!!!!! 감사합니다
@mireuch5704
@mireuch5704 11 ай бұрын
그리고 신조어는 아니지만 소세양과 황진이의 일화가 흥미로워요. 소세양이라는 어떤 유학자가 있었는데 황진이가 하도 유명하니까 같이 놀고싶었나봐요. 황진이에게 편지를 보내는데 그 편지에는榴(석류나무 류) 한글자만 써 있더래요. 그런데 황진이가 그걸 보더니 그 단어에 담긴 뜻을 알아차리고 漁(고기잡을 어)로 화답했다는 이야기인데 각각의 단어에 담긴 뜻을 해석해보자면 소세양이 보낸 석류나무 류는 석유나무유(碩儒那無遊). 즉 여기 큰 선비가 있는데, 어찌 놀지 않겠는가 라는 뜻이었고 황진이가 답장한 고기잡을 어는 고기자불어(高妓自不語) 즉, 지체 높은 기생은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 라는 뜻이었다고 해요. 정리하자면 나는 엄청 대단하고 큰 선비인데 어찌하여 그런 나랑 어울리지 않는 거니? 라는 남자의 추파에 황진이가 나는 지체 높은 몸이라 스스로 움직이지 않을거야. 나랑 놀고싶으면 네가 와~라고 센스있게 답했다는 일화입니다 재미있지 않아요? 두 천재의 기싸움에 가슴이 웅장해진다 석류나무유와 고기잡을 어를 석유나무유와 고기자불어로 해석했다는 거 너무 천재같은 모먼트..
@Qgual
@Qgual 11 ай бұрын
와 진짜 미쳤다 예전부터 황진이 진짜 좋아했는데 그냥 입덕함 진짜 천재들이다
@user-oj1lw4fy6i
@user-oj1lw4fy6i 10 ай бұрын
와 개힙하다 ㅋㅋㅋㅋㅋㅋ 알려줘서 고마워용
@user-gs4ui7is6u
@user-gs4ui7is6u 11 ай бұрын
얼른이 줄임말이었다는게 놀랍네요 그러니 얼른 다음편 만들어 주세요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얼른얼른..열..열일하러 가보겠습니다!!
@sodagumiho
@sodagumiho 11 ай бұрын
와.. 옛날에도 줄임말을 썼다는게 신기하네요!✨️✨️
@user-vs5fq4uv4u
@user-vs5fq4uv4u 11 ай бұрын
사투리 있잖아요. 물론 그 지역 한정 신조어겠지만.
@user-wl7gc3wb4y
@user-wl7gc3wb4y 11 ай бұрын
우리가 표준어라고 알고 배우는 것들도 하나하나 뜯어보면 옛날엔 생소했거나 새로 생겨난 말들이 있답니다... 언어는 사회와 시대에 따라서 변화해요. 당연히 어른들이 보기에는 말을 너무 줄여서 쓴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분들도 그분들의 어른들이 볼 때는 똑같았답니다.. 세대에 따른 다름을 서로 너그럽게 이해해주고 포용해주는 그런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10 ай бұрын
각 시대의 신조어 중 대다수가 곧 사라져서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지지만 일부는 살아남아서 후대 사람들은 그게 신조어이던 시절이 있었는지조차 까맣게 잊어버리죠. "당근이지(당연하지)."는 30년 전에는 은어에 속했지만 지금은 그냥 모두가 쓰는 속어적 표현이 됐죠. '무슨무슨 파라치'처럼 파파라치 중 '파라치' 부분이 접미사가 된지도 20년이 훨씬 넘었네요. 1997년 8월에 다이애나 전 왕세자빈이 파파라치를 피하다가 사고사한 이후 퍼졌죠. 지금 국어사전에 수록됐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언젠가는 외국 어원 국어 접미사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될 것 같습니다.
@pinkmoon_0301
@pinkmoon_0301 11 ай бұрын
행행이라니..귀엽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사는건 똑같네요. 신기하다.ㅋㅋㅋ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헿헿
@user-uq9xs3og1e
@user-uq9xs3og1e 11 ай бұрын
신조어하니까 생각낫는데, 생각보다 신조어는 문학작품에서도 대거 등장하는거 알고 계셧나요?! 알고계시다면 머쓱..,, 전 알았을때 엄청 신기했어서...ㅎㅎ 특히 극작의 대가 셰익스피어는 신조어를 2000개나 만들었고, 우리나라도 공생공사, 매복되다 등등이 있더라고요!! 신기방기 동방신기~^_^d 오늘도 재밌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짱왕만두 교!!
@silmoon466
@silmoon466 11 ай бұрын
신조어... 라고도 할 수 있고, 아니면 당시 영어에서 죽을 뻔한 말을 셰익스피어가 부활시켰다 라고도 하더군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사성어를 쓴다면 영미권에서는 셰익스피어 표현을 쓴다는 느낌? 그런 표현들 중에는 Pomp and circumstance(성대한 행사, 혹은 "위풍당당"), Green-eyed monster("질투"를 은유적으로 일컫는 말), Brave new world(멋진 신세계) 같은 유명한 단어 조합이 있는가 하면, So-so(그저 그런)/countless(셀수 없는)/generous(관대한) 같은 일상어들도 많이 있다고 합니다. 영문학과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찾아봤습니다
@user-uq9xs3og1e
@user-uq9xs3og1e 11 ай бұрын
@@silmoon466 우와 추가적인 정보 감사합니다!! 셰익스피어 작품에 쓰인 신어들을 모아 셰익스피어 신조어라고 불린다는 사실을 얕게 들은 정도였어서 그정도까신 몰랐네요😲
@hyungyushin6716
@hyungyushin6716 11 ай бұрын
낫->났
@Galbijjim_recipe
@Galbijjim_recipe 11 ай бұрын
존버도 사실 책에서 나온 거였죵
@silmoon466
@silmoon466 11 ай бұрын
@@Galbijjim_recipe 존버는 사실상 스타크래프트에서 나온게 맞습니다. 존버의 "버"는 원래 "버티다"가 아니라 "버로우(땅굴)"였어요
@silmoon466
@silmoon466 11 ай бұрын
항상 느끼는 거지만 슬랭은 어느 시대든 어디를 가든 꼭 있는 것 같습니다 근데 서순 드립을(능지, 서순, 살자, 릭트, 한무) 저때도 했다는건 첨알았네ㅋㅋㅋㅋㅋ
@ms07771
@ms07771 4 ай бұрын
리이익트으으? 하아안무우우? 쌍베맘 검거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 11 ай бұрын
목요일 교양만두 신조어에대한 이야기 잘보고갈게요~ 😊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목요일마다 잘 부탁드립니다❤
@user-xf9pg6mn6c
@user-xf9pg6mn6c 11 ай бұрын
드립은 역시 역사와 전통이 깊었구나
@user-ee9lt6ke6g
@user-ee9lt6ke6g 2 ай бұрын
요즘 교양만두에 꽂혔어요 막 역사 공뷰 하는 것 같고 유튜브 보는데도 눈치도 안보이네요 재밌어요! 더더 흥하세요
@user-np8dp1ev6w
@user-np8dp1ev6w 11 ай бұрын
너무 좋아요
@Hadaramg
@Hadaramg 11 ай бұрын
얼른이 신조어였다니!!!!!!!!정조대왕도 줄임말을 썼다는게 흥미로워여!!!!잘 보고갑니다ㅎㅎ
@user-jm3rl7zm4m
@user-jm3rl7zm4m Ай бұрын
매일 교양만두님이 보고 잠들어요 감사합니다
@user-ey1ui5qg9d
@user-ey1ui5qg9d 11 ай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보고있어요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시은님 감사함미당~!!!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heizouKazuhalove
@heizouKazuhalove 11 ай бұрын
와 항상 너무 재밌다!
@smartmandoo
@smartmandoo 10 ай бұрын
기욱 쑥쑥
@seyeonk
@seyeonk 11 ай бұрын
추억의 밈과 신조어들...! 감사합니다!
@soonbok21
@soonbok21 11 ай бұрын
그 목소리가 그리워서 옛날교양만두 또보고왔어요😢😢😢😢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그는.....
@user-cn6gz7hd9f
@user-cn6gz7hd9f 5 ай бұрын
ㄹㅇ재밌어요 ㅋㅋ❤
@KIN______
@KIN______ 10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영상 뭥미? 핵잼이다.
@PennyJeong
@PennyJeong 11 ай бұрын
알나리 깔나리~ 전 오늘부터 일요일까지 쉬어서 행행합니다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부러워요😂 행행하게 푹 쉬세요❤
@wincup
@wincup 11 ай бұрын
와 얼레리 꼴레리가 저런 유서깊은 신조어였다니...
@loess7590
@loess7590 11 ай бұрын
와 퇴근 즐감!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퇴근하자마자 만두 찾아주셔서 행행🎉
@yyy-ts6mf
@yyy-ts6mf 11 ай бұрын
행행 너무 커엽 ㅎㅎ 저는 “고약하다” 어원도 너무 재밌어서 기억나요 ㅋㅋ 누군가의 이름이 이렇게까지 쓰인다는게 신기해서 ㅋㅋ (조선시대 세종대왕 시절 충신 고약해라는 신하와의 사이에서 유래)
@user-hy2fi2gy1c
@user-hy2fi2gy1c 11 ай бұрын
행행 ❤ 너무 좋자나!!
@user-ws4uq3mf1l
@user-ws4uq3mf1l 11 ай бұрын
이전 기성세대에도 줄임말 신조어는 있었음 그저 자연스런 현상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부모님들도 줄여쓰시고.. 늘 있어왔던 줄임말😮
@scapetta
@scapetta 11 ай бұрын
몇년 전 신조어리긴하지만 전 신조어 중에'#G'가 젤 충격이었어요~ㅋㅋ 어른들도 줄임말로 이야기하는구나 싶어서ㅡㅋㅋㅋ(시아버지 줄임말이더라구요~)
@user-ox1sb7lp6b
@user-ox1sb7lp6b 5 ай бұрын
시아버지한테 걸려도 안전하니까... ㅋㅋㅋㅋㅋ
@user-bz5tb5fw9q
@user-bz5tb5fw9q 11 ай бұрын
얼레리꼴래리 교양만두는❤
@2019tndls
@2019tndls 11 ай бұрын
최고!!!!!!!
@licht6887
@licht6887 11 ай бұрын
행행 이라는 단어 귀여워요
@B__5_0627
@B__5_0627 11 ай бұрын
역시 신조어 만드는게 유전이었다는게 학교의 점심
@ooheo2042
@ooheo2042 11 ай бұрын
유전이 아니고 다른 나라언어도 신조어 많아요~
@user-pn4lz7fm4n
@user-pn4lz7fm4n 11 ай бұрын
아 점심으로 햄소찌땡긴당
@user-ox1sb7lp6b
@user-ox1sb7lp6b 5 ай бұрын
아 점메추
@user-og3od6tj6y
@user-og3od6tj6y 11 ай бұрын
요즘 신조어를 문제로 보고 있었는데 과거에도 심지어 조선시대에도 있었다고 하니 신조어는 요즘 시대의 문제가 아니라 시대를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매개체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2345pok
@2345pok 11 ай бұрын
예전에도 줄임말을 썼군요 역시 조상님
@user-bm6vi8jv9q
@user-bm6vi8jv9q 11 ай бұрын
와 신조어 공부하는데 신조어 영상을 올리는 교양만두 폼 미쳤다.(6학년 1학기 국어나 7단원)
@Tropical_fruit_lover
@Tropical_fruit_lover 11 ай бұрын
돚거-도적 알잘딱깔센-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있게
@user-gz8yv1cl7s
@user-gz8yv1cl7s 11 ай бұрын
와오~~
@AlohaBaby1004
@AlohaBaby1004 11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떡상 쌉 가능!! ㅋㅋㅋ
@play_game_like_oner
@play_game_like_oner 10 ай бұрын
일나리깔나리, 얼른은 정말 몰랐어요 ㅋㅋㅋ
@naraesohn9802
@naraesohn9802 11 ай бұрын
커엽다 머머리 댕댕이 커신 꼰머 등등 이런 야민정음 재밌음 ㅋㅋㅋㅋ
@ChunU201
@ChunU201 11 ай бұрын
92년 생인데 대충 기억나는 우리 초중딩 시절 신조어들 나열함 깝놀, 즐, 방가, 방가방가, 짱나다, 쩐다 , 헐, 허걱, 헉, 엿, 뷁, 찐따, 왕따, 엽기or엽기토끼, 안습, 하이루, 방가루, 쌔끈, 후까시하지 마라, 빡돌, 딩짜 시리즈 (초딩, 중딩, 고딩, 대딩 등 근데 직딩은 그때 당시 안 썼던 것 같음), 대박, 짱 그리고 ㅋㅋㅋ이나 ㅎㅎㅎ같은 것들 다 우리 시절에 컴퓨터 대중화돼서 야후,네이버,다음같은 사이트에 사람들 몰리고부터 새긴 것 같음 마지막으로 요즘 급식들은 모르는 '야자'
@user-up3vm8jy5x
@user-up3vm8jy5x 11 ай бұрын
ㅇㅅㅇ OTL 욘나 갅지
@user_dklwpdbdkw2
@user_dklwpdbdkw2 11 ай бұрын
OTLㅋㅋㅋㅋ
@user-lw8rd4qd2k
@user-lw8rd4qd2k 11 ай бұрын
요즘 급식들이 왜 몰라 야자 야간자율학습..줄임말이자나
@user-tc5kq9ck4y
@user-tc5kq9ck4y 8 ай бұрын
야자타임 얘기하시는듯
@makeourstory
@makeourstory 1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오늘 영상 처음 들어와봤는데 흥미로운 얘기가 많네요 ㅎㅎ 재밌게 보고갑니당 신조어 같은건 현대에 어느날 갑자기 생긴게 아니고 먼 옛날부터 있던게 아닐까? 생각하곤 했는데 정말이였네요 신기해요 ㅎㅎ 추천 누르고 갑니다 ! :)
@sujinkim7810
@sujinkim7810 11 ай бұрын
진짜 정조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시간여행자가 아니였을까.. 볼수록 신기해
@cube5828
@cube5828 11 ай бұрын
학생때는 신조어 꽤 알았는데 지금은 뭐가 뭔지 모르겠다...😂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사실 저희도 그렇게 세월을.. 느낀답니다😢
@user-bw2rs6rj9j
@user-bw2rs6rj9j 11 ай бұрын
최근에는 헐, 뭥미, 뷁, 즐이 있어요
@baaaaaboooooo
@baaaaaboooooo 11 ай бұрын
​@@user-bw2rs6rj9j 언제적...
@ChunU201
@ChunU201 11 ай бұрын
@@user-bw2rs6rj9j 이분은 80년대 후반에서 90년 대 초반에 태어난 분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내가 92년 생인데 나 초등학교 때, 제일 많이 유행한 신조어가 '즐'이었음 중학교 때, 유행어가 '뷁'이었고 12살 차이나는 남동생 한 명있는데 즐이나 뷁이라 하면 못 알아들음 최근이라고 하기엔 우린 너무 늙어버렸어요 ㅠㅠ 요센 어쩔티비 저쩔티비인가 그런게 유행이라고 한다고 하긴 한데 그것조차도 지났을 지도
@SuperMeloneneis
@SuperMeloneneis 11 ай бұрын
안습
@user-ul8uf9wm2d
@user-ul8uf9wm2d 11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보는데요 ㅠㅠ 저는 여전히 내용이 흥미롭고 재밌었어요 ㅠㅠ 다만..자막과 말이 너무 빨라진거같아요 ㅠㅠ 따라가기가 어려워요... 원래배속보다 느리게 봐야겠네요 ㅠㅠ 조금 천천히 안될까요!!!😮😢
@Honey_Black_Tea
@Honey_Black_Tea 11 ай бұрын
행복한 퇴근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출근하자마자 퇴근하고 싶다...
@jelica.H
@jelica.H 11 ай бұрын
요요 보고싶다ㅠㅠㅠ 목소리 특별출연 안되나요..
@lazaLZ
@lazaLZ 11 ай бұрын
현재 삐삐 제작하던 회사나 공장에 가장 큰 사업이 바로 식당에서 쓰는 알림벨입니다.
@bymin8957
@bymin8957 11 ай бұрын
최고 신조어는 슈가맨에서 나온 '짬에서 나오는 바이브~~' 인것 같습니다!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11 ай бұрын
모든것을 보존,보전하려면 어떻게 올바르게하나요?
@user-fi3lc5ci5u
@user-fi3lc5ci5u 11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도 오나전 킹왕짱이삼
@Un2Dhyper
@Un2Dhyper 11 ай бұрын
하리하리 -주식할 때 쓰는 말 하이리스크하이리턴의 준말 로리로리 -로리콘 아니다 로리스크로리턴이다
@dogdo_is_korea
@dogdo_is_korea 13 күн бұрын
정조대왕도 줄임말 쓰셨습니다 행행이라고 행복한 행차를 줄여서 오늘 행행해~ 이런식으로 썻다더라고요
@j-kwonone.1258
@j-kwonone.1258 11 ай бұрын
나도 저런 풋풋한 곳에서 일해보고싶다... 아저씨들이아니라ㅜㅠ
@user-fw5zs5tn4s
@user-fw5zs5tn4s 11 ай бұрын
MZ여도 신조어 잘모르는 1인(중3입니다..)
@user-mi6bq7cp9q
@user-mi6bq7cp9q 11 ай бұрын
걱정마세요 저도예요
@ohdamniwannajustsleep
@ohdamniwannajustsleep 11 ай бұрын
고1인 저도 잘 몰라여
@middlename.
@middlename. 11 ай бұрын
애초에 MZ라는 말의 뜻을 안지 3개월도 안된 중2 추가요
@mudpictures8369
@mudpictures8369 11 ай бұрын
저두요..
@user-lk4lk1ns3b
@user-lk4lk1ns3b 11 ай бұрын
❤❤
@user-ch9gw4ov6i
@user-ch9gw4ov6i 11 ай бұрын
얼른이 신조어였다니 ㄷㄷ
@jonin_cunren
@jonin_cunren 11 ай бұрын
초반에 소개된 '신조어' 5개는 인터넷 신문에서 '신조어 소개하는 기사'라고 올린 거에서 따오셨나요? ㅋㅋㅋㅋㅋ
@mireuch5704
@mireuch5704 11 ай бұрын
히히 제가 어릴때는 어른들이 우리가 쓰는 말 못 알아들으면 에이~ 알면서 모르는 척 한다. 그걸 모르는 사람이 어디있어? 라고 생각했는데 요즘 제가 어린애들 하는 말이 무슨 말인지 이해 못하고있습니다 ㅋㅋㅋ 얼짱티비에서 뻐카충, 장미단추 같은 말 나왔을 때의 시간대에 머물러있는 느낌ㅋㅋㅋ
@yippee_22
@yippee_22 11 ай бұрын
😊😊😊😊
@jiniwarable
@jiniwarable 11 ай бұрын
2:17 조선시대 BTS아시는구나 ㄷㄷ
@RedundancyID
@RedundancyID 11 ай бұрын
삐삐 기술 자체가 사라지진 않았구요, 현재는 롯데리아나 카페에서 쓰는 진동벨의 형태로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user-kh7rl9qm8p
@user-kh7rl9qm8p 11 ай бұрын
0:00 이제는 잘파 시댄데
@user-smkaha
@user-smkaha 11 ай бұрын
얼레리 꼴레리가 예전부터 쓰던말이 더 충격이네요 어릴때 썼는데
@smartmandoo
@smartmandoo 10 ай бұрын
신기방기 +_+
@kmc4522
@kmc4522 11 ай бұрын
혜자~~
@johnniegwag4820
@johnniegwag4820 11 ай бұрын
모르는게 당연하지 누가 일부러 퍼뜨린말이라서 모름 많이쓰지도 않는 말을 많이쓰는 거 마냥 사기치니까 그러는거잖아!
@hhhhhhhhhhhhhhhi
@hhhhhhhhhhhhhhhi 11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더빙 누가하나요? 목소리 너무 이뻐서 궁금하네요 추추님이 아닌 것 같은뎅.....
@smartmandoo
@smartmandoo 11 ай бұрын
나레이션은 아리와 추추가 나눠서 하고 있습니당~! 이 영상의 나레이션은 아리에요~!
@jonin_cunren
@jonin_cunren 11 ай бұрын
원래 한문이 1형태소 1음절이라 짧고 의미 갖춘 낱말 만들기 편함
@Collaintp
@Collaintp 11 ай бұрын
신조어 진화 끝이 어디인가 ?
@SharpBongs
@SharpBongs 11 ай бұрын
신조어를 대체할 수 있는 순 우리말이 무엇이 있을까요? 문득 궁금해지네요
@serienz7583
@serienz7583 11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그런데, 단무지 여러분 중에 닉네임이 좀... (지나가는사람 옆 닉네임) 깜짝 놀랐네요 ㅠ
@user-fg5kw3sk5i
@user-fg5kw3sk5i 11 ай бұрын
역시 드립의 나라. 근본이 다르구나 ㅎㅎ
@Nyanyangjin-
@Nyanyangjin- 11 ай бұрын
❤사랑해요 0:11
@user-dx6dr6io6d
@user-dx6dr6io6d 11 ай бұрын
순위권은 첨이다ㅋ
@user-qf2co9nn9m
@user-qf2co9nn9m 10 ай бұрын
커뮤 여초에서 자주 볼수있는데 은어 만들기 ㅎㅎ 똑같네요
@user-byuljeonnam
@user-byuljeonnam 11 ай бұрын
정조가 소설체를 탄압했다는게 함정. 가가(呵呵)
@user-dp2oy6ij8p
@user-dp2oy6ij8p 11 ай бұрын
@Majesty_challenge1234
@Majesty_challenge1234 11 ай бұрын
헐 대박 쩔어 안녕하삼 하이루 방가방가 OTL
@user-yh3vv5ut8t
@user-yh3vv5ut8t 11 ай бұрын
0:14 아니..스라벨이 스페셜 라벨이 아니였어…?
@user-kp4sr2sg6s
@user-kp4sr2sg6s 11 ай бұрын
아...그래서 아행행의 시조가 정조대왕님이셨군요. 아행행
@user-oy8jz7wv7m
@user-oy8jz7wv7m 11 ай бұрын
그건 아햏햏 아님?
@1minutesound330
@1minutesound330 5 ай бұрын
하하 캡숑 레알 박박 재밌다 하하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11 ай бұрын
좋댓구알 점메추 억텐은 알고있는데 나머지는... 스라밸은 스 자가 공부 스터디인지 몰랏네요. 다꾸는 옛날에 바람의나라 커뮤니티 이름이라서 그런 것인 줄 알았어요^^ 4:14 헐레벌떡냥
@tapioca5545
@tapioca5545 11 ай бұрын
전 스불재가 가불제랑 비슷한 말인줄알았어요… 😂😂
@user-zd3pk1ur6r
@user-zd3pk1ur6r 10 ай бұрын
엽기만두 킹왕짱
@user-gw7ig8gx2z
@user-gw7ig8gx2z 10 ай бұрын
아 처음부터 서운한데요.. 교양만두가 대부분이 MZ라서 많이 안다고 하는데... 저도 M(마흔)Z(중반)인데.. 좋댓구알만 아네요.. 하.. 그럼에도 잘 배우고 갑니다...😢
@user-ui2lz1vw3h
@user-ui2lz1vw3h 11 ай бұрын
기록이 안 남아 있어서 그렇지 조선시대 뿐만아니라 삼국시대에도 신조어나 유행어는 있었을듯. 고구려 말에 옛 땅을 회복하는 것을 다물(多勿)이라고 한다 라는데 다물도 왠지 고구려만의 신조어, 유행어가 아니었을지..
@user-wd7th7vg3w
@user-wd7th7vg3w 11 ай бұрын
참 꽁기 꽁기 한 영상이었습니다.
@user-gn9bu6wd8t
@user-gn9bu6wd8t 11 ай бұрын
삐삐세대인데 이리로 오라는건 2255가 아니라 1255(일이오오->이리오오)나 1258(일이오팔->이리오팔/이리와봐 랑 발음이 비슷해서 씀)로 사용했고 그 외에 1257(일이오칠->이리오치)이리로쳐 와 발음이 비슷해서 이 전화 번호로 삐삐쳐라는 뜻으로 썼고 1010245는 열열이사모하오 라는 뜻으로 사용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숫자를 암호처럼 사용하던 시절이라 헷갈리는것도 많았고 한때 삐삐 개통하면 암호숫자와 그 뜻이 적혀 있는 팜플렛을 같이 주기도 했었죠.
@hampoo.10
@hampoo.10 11 ай бұрын
영상과 상관이 없는데요,
@user-gn9bu6wd8t
@user-gn9bu6wd8t 11 ай бұрын
@@hampoo.10 영상 다 보긴 했어요? 중반부 이후에 삐삐 설명할때 2255를 설명하길래 추가 설명한겁니다
@hampoo.10
@hampoo.10 11 ай бұрын
@@user-gn9bu6wd8t 아 죄송합니다 중간쯤에 댓글들을 보다가 그부분을 놓치고 제가 그런말을 했나봐요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인터넷 상에서도 여러번 확인 해보고 댓글을 달겠습니다 정말로 죄송합니다😓
@user-gn9bu6wd8t
@user-gn9bu6wd8t 11 ай бұрын
@@hampoo.10 아닙니다 살다 보면 누구나 실수를 할 수가 있죠 오해를 풀었다니 다행입니다
@hampoo.10
@hampoo.10 11 ай бұрын
@@user-gn9bu6wd8t 감사합니다😆
@mylove_zzapagetti
@mylove_zzapagetti 11 ай бұрын
물냉 비냉 아아는 평생 갈듯
@I_LOVE_Yujin1231
@I_LOVE_Yujin1231 10 ай бұрын
5:18 나는 고향만두 좋댓구알함
@user-if4do1qr7d
@user-if4do1qr7d 10 ай бұрын
행행ㅋㅋㅋㅋㅋ귀엽다
@user-io8nf9uy5v
@user-io8nf9uy5v 11 ай бұрын
스불재는 라젠카 노래 가사에서 나온 거
@artist.kwon_09
@artist.kwon_09 11 ай бұрын
행행 개 귀엽네 ㅋㅋㅋ
@aiyuir
@aiyuir 11 ай бұрын
행행~~
@user-wi3gx5jq6i
@user-wi3gx5jq6i 11 ай бұрын
본인피셜 가장 성공한 신조어는 '신박하다'인듯 이거 표준어인쥴 아는 사람이 대부분임
@dandelion_lily
@dandelion_lily 11 ай бұрын
어 뭐지 전공 시간에 얼레리 꼴레리가 얽히다 어쩌구 해서 성관계 묘사한 거에서 비롯됐다고 들은 거 같은데
@deweykim-mv5qw
@deweykim-mv5qw 11 ай бұрын
mz 신조어 댓글로 알려달랬더니 죄다 자기 라떼시절 (?) 신조어만 늘어놓는 교양만두 구독자들 😂😂😂😂😂
@user-mx3rw8ft5e
@user-mx3rw8ft5e 11 ай бұрын
행행 귀엽다 ㅋㅋ
@Hjihon
@Hjihon 11 ай бұрын
영상끝에 과로사따먹고싶다 도 신조어인가요?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DELETE TOXICITY = 5 LEGENDARY STARR DROPS!
02:20
Brawl Star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서프라이즈] 조선을 모르는데 한복을 그렸다고? 루벤스의 문제작 '한복 입은 남자'
13:23
MBC 미스터리 : 심야괴담회 X 서프라이즈
Рет қаралды 935 М.
지옥에 가면 어떻게 될까? l 잔혹 끝판왕 지옥 top3
6:36
Морская пена 🤯
0:29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Неприятная Встреча На Мосту -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shorts
0:59
Полярная звезда - Kuzey Yıldızı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The abandoned kittens finally found someone to love them, but... #cat #catlovers #ai #aiart #story
0:59
Meow Mow Cat Story 喵毛貓咪故事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