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의 숨은 뇌관으로 지목되는 빈집의 실체! 산(buy) 사람과 사는(live) 사람이 다르다! 빈집 쇼크! (KBS 20190328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841,778

KBS 다큐

KBS 다큐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9년 3월 28일 방영된 [KBS스페셜 - 차이나 쇼크, 빈집 6천 5백만 채의 비밀] 입니다.
■ 빈집 6천 5백만 채, 중국 경제의 시한폭탄
베이징과 텐진 사이에 위치한 신도시 경진신성. 이곳은 10년 전 3천 채에 달하는 대규모 별장촌을 조성해 불티나게 팔리며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이 별장을 산(buy) 사람들 중 이곳에 사는(live) 사람은 300가구도 채 안 된다. 중국의 부동산 개발 붐은 전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속도와 규모를 자랑하며 중국의 경제 성장을 견인했다. 미국이 100년 동안 쓴 시멘트 양을 중국이 3년 만에 사용했다는 놀라운 통계가 있을 정도다. 하지만 밤이 되면 중국 도시는 깊은 어둠에 잠긴다. 도시 한복판 우뚝 아파트 단지엔 불빛이 거의 없다. 현재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만 100만 채, 전국적으로 최대 6천 5백만 채가 ‘빈집’ 상태다. 5곳 중 한 곳이 빈집이다. 유령도시를 방불케 하는 엄청난 규모의 빈집. 전문가들은 중국의 빈집이 중국 경제에 치명적인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 부동산 광풍이 만든 중국의 新풍속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중국의 내수 시장을 견인한 것이 바로 건축, 부동산 시장이다. 그래서 중국 사람들 중에는 30대에도 집을 3채 이상 소유한 사람들이 많다. 집이 저축보다 더 좋은 투자처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이 집을 여러 채 소유하는 이유는 시세 차익을 노린 투기가 목적이다. 그렇다 보니 여유가 있으면 임대보다는 가격이 오를 때까지 집을 ‘소유’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 보니 중국에서는 매년 빈집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면서 빈집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직업도 생겼다. 바로 ‘얼팡둥(二房東)’, 두 번째 집주인이란 뜻이다. 얼팡둥은 돈이 급하거나 일정한 수입이 필요한 집주에게 집을 장기로 임대한 뒤 이 집을 개조해 월세 임대를 주면서 수익을 얻는다. 얼팡둥이 빈집을 임대로 주면서 덩달아 인테리어 업체 역시 때 아닌 특수를 누리는 등 중국의 부동산 광풍이 새로운 풍속도를 만들고 있다.
■ 차이나 머니 탈출 러시! 중국 부동산 버블 붕괴가 가져올 미래
중국의 거대 자금이 캐나다 밴쿠버 부동산 시장을 집어삼킨 건 2008년. 엄청난 규모의 차이나 머니는 밴쿠버의 소도시, 리치먼드를 빠르게 성장시켰다. 중국인들은 마치 경쟁하듯 집을 사들였고, 리치먼드의 집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하지만 미·중 무역 전쟁 이후 중국 자본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으면서 부동산 거래는 현격히 줄어들었다. 불과 2년 사이 판매량은 약 25%에 그쳤다. 게다가 최근에는 집을 사려는 사람이 없어 집값이 하루가 다르게 하락하는 추세다. 집값이 하락하고는 있지만, 현지인들이 구입하기엔 여전히 높은 가격이라 그림의 떡이다. 그렇다 보니 중국인을 타깃으로 지은 초호화 주택들도 몇 달째 주인을 찾지 못하는 상황. 캐나다 정부는 북미 최초로 비어 있는 집에 빈집세를 도입해 부동산 버블 붕괴 위험을 대비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부동산 기업들은 엄청난 부채에 시달리고 있다. 업계 1위에서 20위까지 부채가 10조 위안, 한화로 약 1700조 원에 달하는 건 매우 위험한 수치다. 실제로 곳곳에서 파산 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다. 빈집 폭증이 중국 경제 및 사회의 뇌관이라고 지목되는 이유다.
그동안 중국 경제를 떠받쳐 왔던 경제 성장의 동력이었던 부동산 광풍 실태와 전 세계 유례없이 늘어나는 중국의 빈집 실태를 통해 중국 경제의 민낯을 파헤친다.
#빈집 #부동산 #중국경제

Пікірлер: 891
@user-jj6mp4qy3s5
@user-jj6mp4qy3s5 Жыл бұрын
2023년버전 가서 찍어주면 안되겠냐? 2018년 2019년꺼를 재탕하지 말고 무려 4년전인데;; 옛날얘긴 안궁금함
@oldblues2335
@oldblues2335 Жыл бұрын
저기 지금도 그래요..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Жыл бұрын
4년전에도 망한다망한다 했는데 아직도 안 망한거네 4년후에도 안 망할듯 한국부동산이 먼저 망할듯
@asiya12311
@asiya12311 Жыл бұрын
@@corporatedemocrat망하고 있어요
@sunday6702
@sunday6702 Жыл бұрын
@@asiya12311아니 그니까 최소한 최신 상황을 놓고 이야기를 해야될거아냐
@sunday6702
@sunday6702 Жыл бұрын
@@asiya12311말로만 ㅅㅂ 골백번 듣네
@istp1250
@istp1250 Жыл бұрын
최신 방영분 부탁 드립니다 특히나 이런 부분은요..
@Tay_Life.
@Tay_Life. Жыл бұрын
👍👍👍
@unseok
@unseok 11 ай бұрын
별다를 바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더 심해졌을 듯.
@moniqueh5168
@moniqueh5168 7 ай бұрын
@@coolso5053에구.......무섭네요
@user-um9iw1ue9s
@user-um9iw1ue9s 3 ай бұрын
친하진 않아도 최근거리 중국 러샤 북한소식은 디테일하게 이렇게 알고싶음 닮은꼴이라 애증관계ㅋㅋㅋ???
@nuevo_go
@nuevo_go Жыл бұрын
중국인이 소유한 국내 APT도 2만채가 있다는데 결국 경색된 자금난에 팔게 될것 2만채 적은 숫자가 아니다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4 ай бұрын
2017년 부터 집값 마구 오르는게 수상했는데 중국인들이 투기 해서 올렸구나 그래서 정부가 투기꾼을 안 잡은거야
@Herenish
@Herenish Жыл бұрын
예전 방송에는 중국 택시기사가 지방마다 집을 가지고 있어서 5채나 있다고 자랑하던데.... 그때도 저런 빈집이 가득한 지방도시의 모습이었죠. 2019년엔 상하이까지 그렇다니 심각하네요. 빈집이 많아지는 지역은 우범지역이 될 수 밖에 없죠. 엄청난 빈부차로 집을 사지 못하는 노숙자들이 저기에 몰래 들어가 살텐데 베이징에 지방에서 온 사람들은 살 곳이 없어 지하실에서 사는 모습을 보니 정말 숨이 막힐만큼 답답해 보이더라구요. 빈부의 격차가 커지고 빈집이 늘어날수룩 안전에 위협될 것 같네요.
@wilkinsonlee9278
@wilkinsonlee9278 Жыл бұрын
한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봄. 인구는 주는데 지어놓은 집이 진짜 너무 많음.... 아파트가 인구대비 엄청나게 남아도는데도 갭투자한 넘들 때문에 저금리시대에는 표가 크게 안나다가 이제 이자 감당을 못하고 너도나도 던지다 보니 폭락하는 집값과 함께 그걸 사려고 하는 수요가 없다보니 빈집이 겁나 많아짐....
@user-lc4fe3gx7t
@user-lc4fe3gx7t Жыл бұрын
갭투자자들은 쫄딱망해도 됍니다
@user-cr4zy8ws7z
@user-cr4zy8ws7z Жыл бұрын
건설사가 망하면 금융권이 다 터지지 다같이 망하는거 ㅜ
@joehenry8165
@joehenry8165 10 ай бұрын
현재 중국 부동산 위기를 4년전에 짚어 냈구나. 다큐 만든 피디는 뿌듯할 듯.
@muktongx
@muktongx 4 ай бұрын
이미 2010년대에 이런 징조가 보였음..중공
@user-we1lc4vx3x
@user-we1lc4vx3x Жыл бұрын
2005년도 심천에 갔었는데 그때도 아파트며 주택이며 빈집이 많았음. 20년 넘게 쌓인거고 이건 터질 수 밖에 없으며 터지기 까지 멀지 않은 듯.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당연하긴 한데 선진국들이 저걸 크게 보도하는게 좀 이상함 저긴 인구과밀지역이라 일이억 가지고 한방이 안감.... 벌써 님에 글처럼 오래기간 지속된건데 저게 선진국 자본주의 국가였으면 벌써 나라 없어졌겠지만.... 그게 제일 문제임 짱개없어지는거야 수순이지만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피해가 갈지.... 벌써 제품은 짱개산이고 완조립만 각 국가에서 라벨만 붙여서 파는 시스템으로 왔는데 처음부터 wto를 풀어주지 말았어야 했는데....
@aqzzzzz_
@aqzzzzz_ Жыл бұрын
이미 헝다사건은 터짐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중국은 70년 임대라던데 시간지난것만 봐도 가격 1/3 내려감.. ㅋㅋㅋ
@user-ui6fk9dv5h
@user-ui6fk9dv5h 9 ай бұрын
지금 터졋내요 중국망
@user-yj6ql8ts8p
@user-yj6ql8ts8p Жыл бұрын
와~ 미래 후손들은 이많은 고층건물을 어떻게 떠안고 살지 걱정되네요. ㅜㅜ 우리나라 정말 초고층 아파트 우후죽순 늘어가는게 참 걱정입니다.
@sisikim946
@sisikim946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만든건 만든거고 그걸 유지관리하는 비용이 엄청날텐데 그렇다고 냅두면 유령도시되구요...
@user-mu5ks3sz6p
@user-mu5ks3sz6p 4 ай бұрын
하나님은 위대하십니다. 인간의 교만을 한 순간에 꺾으십니다.
@user-uh7mu4ox3d
@user-uh7mu4ox3d 5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3년 간 생활하다 온 동네 형님 말로는 중국은 수천만 채나 되는 수도 없이 많은 빈 집이 문제가 아니라 부실공사로 지어 진 수천만 채나 되는 일명 '두부집' 이라고 불리는 부실 집들이 더 큰 문제라던데 나중에 중국은 그것때문에 나라가 작살이 날 거라고 하던데 중국에서 지낼 때 한국에서 부터 알고 지내던 부동산 관련 일을 하는 친한 중국인한테 직접 들었다는데 중국인들은 다들 중국 전체 부동산 시장에 만연된 심각한 부실공사 그 문제의 심각성을 다들 짐작을 하면서도 공식적으로 말도 못꺼내고 쉬쉬하고 친한 사람들 끼리만 그 문제에 대해서 심각하게 대화를 나누고 속닥거린다고 하더군요 외국계 건설업체들이 지은 초대형 빌딩이나 대형 건물들과 공공건물들 빼고는 중국 민간 건설업체에서 지은 아파트나 주거지 등의 공공주택들은 수천만 채가 진도 6 이상의 지진을 견디지 못하고 거의 다 무너질 거라고 걱정들을 하는데 그런 말을 떠들고 다니다간 사회 불안 조장한다고 신고라도 당할까 봐 대놓고 말도 못하고 아는 사람들 끼리만 속닥거린다고... 아무튼 중국의 자재 빼돌려 이윤 챙기기와 부실공사는 상상을 초월한다고 하더군요
@user-wx7xl6zo2y
@user-wx7xl6zo2y Ай бұрын
제대로 지었든 모래성으로 지었든 어차피 쓸모 없는 쓰레기로 전락하기는 매한가지가 되어버렸기에 이제 조진겁니다.
@jppark2011
@jppark2011 9 ай бұрын
4년전 방송인데 지금보니 그 때 상황과 좋아진것 없이 별 반 차이가 없네요. 그나마 최근까지 조용하고 버티며 연착륙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억지로 막고 있는지... 최근들어 다시 중국위기 얘기가자주 나오고 있습니다. 조만간 답이 나오겠죠.
@user-yv6vt6cx8y
@user-yv6vt6cx8y Жыл бұрын
원래 선진국 제외하고 한창 경제력이 올라가는 나라들이 겪는 문제같음 다주택자끼리 경쟁적으로 집을사서 집값을 올리고 집이 필요한 청년들은 비싸진 집을 사지못하니 결혼을 못하고 결국 장기침체. 지금 한창 젊은나라 경제 부흥중인 베트남도 머지않아 발생할문제임
@user-yongoo
@user-yongoo 3 ай бұрын
제일 큰 문제는 언론같습니다. 방송 나오는거보면 진짜 이놈들이 미친건가 싶기도 해요....
@cambustudy
@cambustudy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잘봤습니다 ^^
@user-qe6li8yn8b
@user-qe6li8yn8b Жыл бұрын
19년도에 이미 전체 가구중 공실이 20%가 넘었다니, 이 이후에 헝다사태가 터진게 당연한 수순이었네요 23년 현재의 중국 부동산 생태도 궁금해 집니다.
@Ratel4Moon
@Ratel4Moon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더하죠. 심지어 다 지어지지 못한 아파트도 많다고 합니다.
@user-cz4zi3fn7d
@user-cz4zi3fn7d Жыл бұрын
중국의 국가 부도는 부동산 문제로 터진다고 전문가들의 예측 위엔화의 힘이 공산당이 보유한 토지인데 토지를 장기로 빌려가지 않으면 돈이 안됨
@icefairy-tf6it
@icefairy-tf6it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분양받으면서 계약금만 내고 지어 올라가는 상황 보면서 수차례에 걸쳐 나누어 집값을 내는 중도금 형식이라 마지막 완납과 함께 등기를 치게 되는데, 중국은 선분양이면서 분양과 동시에 집값 전체 금액을 일시불로 완납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큰 돈이 한꺼번에 부동산개발업자에게 가게 되고 부동산개발업자는 이 돈으로 집만 짓는 게 아니라 온갖 딴짓을 할 수 있게 되죠. 헝다의 부도도 그런 구조적 이유도 있다 합니다.
@fouryoufam2333
@fouryoufam2333 Жыл бұрын
@@icefairy-tf6it우리나라도 이상한데 중국은 더이상하넼ㅋㅋㅋ
@architheia9443
@architheia9443 Жыл бұрын
그거 안터집니다. 아니 안터지기만 하면 되요. 그게 그들의 시스템이죠. 필요할땐 자본주으리ㅗ 또 필요할땐 공산주의로.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Жыл бұрын
이영상을 보니 우리나라 건설사가 왜 선시공 후분양을 안하는지 알겠다..
@nogunee
@nogunee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시공들이 안하는 이유를 우리나라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선시공한 아파트를 안사니 결국 시공사가 막대한 손해를 봅니다… 이번에 대구 아파트도 마찬가지고요… 맨날 후분양 타령하지만 정작 사람들이 후분양 아파트 안사요
@YoungilKoo
@YoungilKoo 9 ай бұрын
이제와서 다시보니 참 좋은 방송이네요
@koopd1955
@koopd1955 9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user-ik4sm2ez6o
@user-ik4sm2ez6o 3 ай бұрын
이제 투기시대는 끝났다. 현금모아서 맛있는것 먹다가 잘가면 된다.😮
@1n762
@1n762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중국도 빈부격차가 크다는거지... 다주택자가 존재할만큼...
@user-rp2vw6gg5t
@user-rp2vw6gg5t 10 ай бұрын
너희 나라는 빈부격차없는가 보다 ...세상에서 행복감 제일 없는나라 한국
@user-yongoo
@user-yongoo 3 ай бұрын
@@user-rp2vw6gg5t 한국도 점점 심해지고 있죠 좁혀지다가 망할놈 하나때문에 흙탕물 되는중
@user-qn2gh1tt2z
@user-qn2gh1tt2z 2 ай бұрын
@@user-rp2vw6gg5t네다짱
@myeongoklee5710
@myeongoklee5710 4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soljungkim2656
@soljungkim2656 Жыл бұрын
아무도 살 사람이 없는데도 올랐다는데 문제가 있다.
@yaguda1
@yaguda1 Жыл бұрын
이 프로가 나왔을땐 당시엔 우리나라는 절대 이렇게 폭망하지 않는다 했는데..........2023년 현재는 .점점 똑같이 중국하고 같아 가네요 정말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Жыл бұрын
살고 있는 집이 내 집이 아니면 집주인이 누군지 알아보세요 중국인이 집주인인경우 전세금 백프로 떼입니다.
@user-xj6do9bk3h
@user-xj6do9bk3h 11 ай бұрын
앞으로 한국 부동산도 같은결과입니다
@kk-ou5qf
@kk-ou5qf 10 ай бұрын
중국이나 한국이나 인구가 부동산 시장이 침체가 안 될 정도로 늘거나 경기가 좋아져야 하는데 아니면 서서히 가격이 조정이 되어야 하지만 충격이 없을 순 없을 듯
@chaitekon486
@chaitekon486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전세 끼고 두채, 세채 집 사는 사람들이 너무 많았다. 종부세를 때려서 다주택을 아예 못하게 해야 된다. 집으로 돈 버는 생각을 깨부숴야 집값이 잡힌다.
@user-fl4cn5wp6t
@user-fl4cn5wp6t Жыл бұрын
알고있으면서도 정부에서방치하지요 건설경기죽으면. 정책실패로. 이어지면. 지지자들 떨어지니까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4 ай бұрын
다주택자는 전월세 공급자가 되어 전월세 공급을 풍부히 해서 전월세를 싸게 만드는 좋은 기능도 합니다 집사야 하는 사람보다 전월세 구하는 사람들이 더 급해요 다주택자는 아파트 분양권 안주면 되요
@jamesdean3432
@jamesdean3432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살기 위해 집을 짓는건데 사람이 살지 않는건 왜 그럴까? 사람이 살기 위해 집을 산 게 아니고 부동산 투기를 위해 집을 구매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마치 버스에 좌석이 30개가 비었는데도 사람들이 서서 목적지까지 가게 만드는, 그런 말도 안되게 비효율적이고 비상식적인 녀석들이 돈과 권력을 독차지해서 생기는 악귀들의 지옥이다.
@unseok
@unseok 11 ай бұрын
표현력이 탁월합니다.ㅋㅋ
@user-zl4dz6ts5j
@user-zl4dz6ts5j Жыл бұрын
2021-2022년도 방영분이라면 몰라도 2019년은 좀 아닌듯요.
@user-io3vq8wt1m
@user-io3vq8wt1m Жыл бұрын
19년에 위기가 올수 있다하고 있는데 23년까지 헝다 무너진거 말고 큰게 아직 없네요. 큰거 한방 강하게 부탁해요
@ShipGuard
@ShipGuard 9 ай бұрын
8월 현재 계속해서 중국 부동산리스크는 진행중입니다
@byg528
@byg528 Жыл бұрын
중국 부동산 투기자들이 때거지로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그 나라 부동산을 폭등시킨 결과가 큰 후유증으로 남으니 걱정입니다.
@shanoa4979
@shanoa4979 Жыл бұрын
4년 후 새로 만든 방송이 보고싶소만
@Tay_Life.
@Tay_Life. Жыл бұрын
👍👍👍
@smile10002
@smile1000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몇년전 영상이라니 ㅡㅡ
@parkherenow
@parkherenow Жыл бұрын
이방송국 미친건가? 민주노총은 재탕하는 인간들이니,,,,,,,,지금도 70년대 구호로 반미ㅜ반일선동에 친북이지않나?ㅜ 전교조와ㅜ공무원 노조 민주노총은 매국노들 같어,,,,,
@worldmarumaru1020
@worldmarumaru1020 11 ай бұрын
개비에스 개비에스 과거방송~~~~
@hodong7
@hodong7 Жыл бұрын
보다가 이상해서 날짜 보니 4년전 영상이넹...무슨 자연 다큐도 아니고 이걸 굳이 지금 올리는 이유는 뭐지..
@agiguroom27
@agiguroom27 Жыл бұрын
빈집세 우리나라도 도입했으면
@magekweon8335
@magekweon8335 4 ай бұрын
페가들 대부분 돈을 받을텐데
@user-uv6km4oq5r
@user-uv6km4oq5r 9 ай бұрын
4년전인 2019년에 빈집이 6천5백만채,4년이 지난 지금 23년 현재는 빈집이 1억3천만채...중국인들은 좋겠다 . 빈집이 많아서.....
@junjun6253
@junjun6253 Жыл бұрын
빈집도 빈집인데 미세먼지 진짜 미쳤네 ㅋㅋㅋ 그냥 지옥이네 ㄷㄷ
@TV-uq6xs
@TV-uq6xs Жыл бұрын
심각하네요 좋은 영상 잘보았습니다
@user-zf1ij2tk6v
@user-zf1ij2tk6v 8 ай бұрын
2016년 겨울에 밴쿠버 여행 갔을 때 현지 가이드가 중국인들이 밴쿠버 집값을 엄청 올려놔서 거리에 늘어서 있는 아담한 집들을 가리키며 저런 것도 10억씩 한다고 했던 기억이 나네 살지 않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투자용으로 집을 산다는 얘기는 결국 시장에 돈이 너무 흔하다는 얘기고, 집의 효용 가치에 비해 거품이 너무 크다는 얘기
@magekweon8335
@magekweon8335 4 ай бұрын
전세계의 유명 대도시엔 차이나머니 ㅋ (서울.제주도등도 포함) 중국내 타격보단 세계 주요 도시의 주택 시장을 교란하는것
@user-es7uq4io8g
@user-es7uq4io8g 8 ай бұрын
최고의 유튜버중 하나임 건투를 바랍니다
@user-xm5by1pu9k
@user-xm5by1pu9k Жыл бұрын
중공은 빈집보다 더 심각한 건 그동안 전세계 일대일로랍시고 투자한 거의 전지역이 금융위기 직전이라는거 사실상 그간 벌어놓은 달라 미 국채 외엔 떼인 돈이라 봐야하고 미 국채는 장기 투자일 가능성이 백퍼라 무역적자 생기기 시작하면 실리콘벨리 뱅크처럼 단번에 무너질 가능성도 매우 높음
@user-b7tj97ki9v
@user-b7tj97ki9v 3 ай бұрын
한국도 다르지않음 투기에 눈멀어 전세대출까지 아이엠프경고받아도 정신못차리고 있는데 실상은 한국이 더 비참하게 무너질수도 있는게 현상황
@TT-ig3iw
@TT-ig3iw Жыл бұрын
방송이후 중국에서는 대출 및 부동산 규제로 집 값이 10~30% 이내로 내려갔지만 최근 또다시 부동산 규재를 풀고 대출도 3%대 저금리 정책으로 바꾸면서 또다시 부동산 시장이 움직이고있습니다. 폭탄돌리기가 연장이되었으니 당분간은 상승추세를 탈것으로 예상됩니다...
@user-ro1yx9id6l
@user-ro1yx9id6l 11 ай бұрын
전혀 반대라고 예상 합니다..
@user-dc2kw9zg6h
@user-dc2kw9zg6h 9 ай бұрын
지금 이 시점에서 보니 놀랄만큼 잘 예언한
@user-bc5ds9mo5h
@user-bc5ds9mo5h Жыл бұрын
골조상태의분양! 각층수대로 수시로하는 인테리어! 엘리베이터는 수시로 짐나르고 공사하는 집들때문에 입주민이 수시로 불편함을 감수해야겠네요
@born47
@born47 Жыл бұрын
여기 영상에 나온곳에 살았었는데 집주인이 다행이 인테리어를 다 꾸며놓고 월세를 준거라..천만다행였네요. 다른집은 구경을 안해봐서 시멘트로 되어있는지는 상상조차도 못했네요. 영상보고 알았네요...와 소름돋음.. 우리집만 정상이고 다른집은 다 시멘트였구나. 게다가 이웃집들 본적이없는데 당시 한국인 외국인이라 낯가림이 심해서 마주치지 않는가보다라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빈집이었구나..여태 몰랐음. 어쩐지 밤에 심각하게 조용하더라..티비소리도 안나고 조용함.
@Oops2585
@Oops2585 10 ай бұрын
@@SK-uv6df 그건 사람들이 들어가 살 경우고....획일적으로 시멘트일 확율이 높을듯....
@piter_31
@piter_31 4 ай бұрын
다행이는 어디나라 말임? ㅋㅋ
@Ratel4Moon
@Ratel4Moon 4 ай бұрын
@@piter_31타인의 맞춤법 지적하기 전에 본인이나 똑바로 쓰시기를. 어디나라 = 어느 나라 어디는 지시대명사 어느는 관형사
@euijinkim3340
@euijinkim3340 4 ай бұрын
중국에서는 저상태로 분양합니다. 인테리어는 분양받은 사람이 하는겁니다
@magekweon8335
@magekweon8335 4 ай бұрын
방송 내용에 적합한 시멘트 집을 골라 찍은거겠죠. 전체가 그런건 아닐듯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 Жыл бұрын
모두가 알고 있는 부동산보다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엉뚱한데서 중국은 위기가 찾아올겁니다 모두가 아는 문제는 문제가 아니라는 유명한 경제학의 격언이 있죠
@user-yz7uk2rj8h
@user-yz7uk2rj8h Жыл бұрын
그게 어떤거죠?
@user-no8tg5ip1l
@user-no8tg5ip1l Жыл бұрын
@@user-yz7uk2rj8h 모두가 아는 문제는 문제가 아니라는데 뭔 멍청한 소리세요
@user-yz7uk2rj8h
@user-yz7uk2rj8h Жыл бұрын
@@user-no8tg5ip1l 그니까 저분은 혹시 남들모르는거 알고 있는게 아닌가 해서 물어본건데 뭔 개소리에요. 저말이 맞는 말이긴 한데 누구나 알고 있는소리라 혹시나 뭐 감잡히는게 있어서 그런걸 수도 있어서 물어본건데 물어도 못봐요? 질문을 보고 다짜고짜 멍청한 소리라고 하니 가정교육이 형편없었던건지 인성이 덜된건지 모르겠네요 ㅎㅎ
@user-no8tg5ip1l
@user-no8tg5ip1l Жыл бұрын
@@user-yz7uk2rj8h 예상할 수 없는 곳에서 나오는게 위기라는 뜻으로 격언을 사용했고 본댓글도 생각치 못한 곳 엉뚱한 곳에서 나올꺼라 예상이 안된다라는 의미의 댓글인데 그걸 묻는게 의미 없다는 말로 썼습니다. 리만브라더스의 위기를 예측한 사람이 몇명이나 되겠습니까 기업 한개의 위기도 점치기 어려운 내용인데 국가의 시스템에 허점을 찾아내는게 그렇게 쉽나요? 별생각 없이 질문한 것 같아서 저도 별 생각 없이 달았는데 무례한건 사과드립니다
@user-yz7uk2rj8h
@user-yz7uk2rj8h Жыл бұрын
@@user-no8tg5ip1l 댓글의 말을 하는 사람 중에 세부류가 있는데 그냥 전문가 말을 듣고 옮기는 사람, 두번째는 지금 알려진 위기들은 문제 없다는 근거를 추가로 대면서 분석한것을 얘기하는 사람, 마지막으로는 남들이 모르는 위기를 현장에서 느끼고 위기를 감지한 사람입니다. 리먼도 아무도 모랐던게 아니라 부동산 금융 종사하던 사람 일부는 위기를 자각했던 사람들이 있엇습니다. 그래서 그 위기를 잘잡아서 부를 축적한 사람도 있었구요. 그래서 혹시나 두 세 번째 와 같은 얘기를 하시는가 싶어 물어본거에요. 질문은 어떤 바보같아 보이는 질문도 옳은 겁니다. 앞으로 다른곳에 가서는 그런 생각으로 남을 욕하지마세요.
@77adoni
@77adoni Жыл бұрын
KBS시사직격에서 이런 피싱 업로드 한번 다루어야 할듯
@user-wf7cn6cw6u
@user-wf7cn6cw6u 8 ай бұрын
중은 쪼개지는게 답
@uwin-rj4rj
@uwin-rj4rj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이거 막을려면 집 구매시 1년 의무가주해야 합니다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쓸데없는 비교하지마셈 저긴 민주주의 자본주의 국가가 아니라 수순이였음 지금까지 몇십년을 지속한거 뿐이라....요번에 조요오기식 해서요 예전은 저런 텅빈집 널려있었지만 창문 못달고 엘리베이터 없고 북한처럼 정도는 아니였음.... 요번에 요렇게 끝낼지 아예 말려죽일지가 관건인거지.... 지속은 오래전부터 해 왔음.... 선진국들에 모기지나 미국에 모기지와 다름.... 한국에 모기지는 대출로 이어줘 오는거라 경제만 돌아가면 됨....그래서 주야장천 기다리는거죠....
@teflotax
@teflotax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투기과열지구 2년의무거주인데 그걸 1년으로 줄여야된다는 소린가요?
@MM-or2nr
@MM-or2nr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요즘엔 주거형 오피스텔로 법망을 피해가더라구요
@user-ni2tg1pf3x
@user-ni2tg1pf3x Жыл бұрын
전세같은걸 없애야죠 자기집 많이사서 전세 돌리는데 ㅋㅋ
@dododonggang367
@dododonggang367 Жыл бұрын
​@@user-ni2tg1pf3x 돈없는 서민들 나가죽으라는 말씀이신가요?
@kkomzi1357
@kkomzi1357 4 ай бұрын
코로나 터지기 9개월전 상황이네요. 현재는 어떤지 후속 방송이 있으면 좋겠네요.
@davidparnell2684
@davidparnell2684 Жыл бұрын
Good video
@cdavid-st6vk
@cdavid-st6vk Жыл бұрын
4년 전 한국의 부동산과 지금은 천지 차이이듯.. 새로운 취재와 영상이 필요할 듯.
@user-cx7ke1dt6e
@user-cx7ke1dt6e Жыл бұрын
인구는14억 인데 이렇게 많은집들속에 한적하기가 무서울정도네
@Tanghuru888
@Tanghuru888 Жыл бұрын
현재는 부동산 쪽으로 우리가 더 위기인듯...
@user-mb5do5zi7p
@user-mb5do5zi7p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이미 본 컨텐츠를 새로운것이 업로드된줄알고 한참보다가...
@user-ef3rm4wf6o
@user-ef3rm4wf6o Жыл бұрын
와!~~이상협씨 목소리다!!!! 반가워요 ~~~
@medicv0
@medicv0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이 막대한 인력(시장)과 부동산 발전으로 쌓은 경제력.. 일본이 버블쇼크 터져서 경기침체 빠졌듯이 중국도 내실 첨단 산업들을 발전시키고 대외적으로 신뢰를 회복하지 않는한, 급하게 발전한게 이제 시작이라서 오래 갈듯.
@LaoShenZhen
@LaoShenZhen Жыл бұрын
저게 2019년 영상인데 저 당시로도 이미 뒷물 켜는 거임. 정말로 부동산 투기(듣기 좋게 말해서 투자)로 한밑천 당긴 사람들은 2018년 전후로 이미 손 뺏습니다. 영상에 나오는 대도시 위성 지역 투자자들은 코로나 시기 거치면서 대부분 ㅂㅅ 됐습니다. 소위 영끌족 하다가 망한 사람들(한국의 중산층과 비슷)이 부지기수인 건 사실. 북상광심 이란 말이 있는데 북경, 상해, 광주, 심천 아닌 한 집장사로 돈 만지기 어렵단 비유입니다. 중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이야기를 매체에서 다룰 때 중국 눈치를 보는 건지 뭔 이유인지 아님 정말 모르는 건지 답답해 보입니다. 맨날 한국이나 서구권의 논리로 접근을 하니 헛다리 짚는 겁니다. 여기에서 시장 붕괴가 일어나지 않는 근본적인 원인은 "공산당이 장악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재정 수입과 직결된 구조" 가 고착화 돼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90년대 당시 총리였던 주룽지가 상품방(중국에서 법적으로 금전 거래를 통해 상호간 양도 가능한 주택) 개념을 보급시키면서 소위 부동산 투기 수법이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지방 정부들이 너도 나도 건설업체들한테 토지사용권(통상 70년)을 양도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수입을 거두게 돼었습니다. 중국에서 대도시 지역일수록 비교적 짧은 기간에 집값이 엄청나게 상승 (보통 10에서 15년 사이 10-15배) 한 이유는 개개인의 투기꾼보다 토지사용권 양도로 인해 재미를 본 지방정부들이 가격을 계속 올렸기 때문인데 이 시장이 고꾸라진단 말은 지방정부의 수입이 급감한다는 의미인만큼 당연히 이걸 그냥 놔둘 리가 없습니다. 자기들 얼굴에 침뱉기 격이 되기에 공식적으로 절대 밝히지 않는 것 중 하나가 중국내 부동산 거품으로 가장 돈 많이 번 사람들이 바로 국가공무원과 그 일가친척과 더불어 이익관계로 연결된 각종 개인사업자들임. 얼마 안되네 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공무원 숫자만 해도 대한민국 인구보다 많습니다.
@PRAHADAM
@PRAHADAM Жыл бұрын
와 자세한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이해에 큰도움이 되엇네요 ㄷㄷ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Жыл бұрын
돈버는건 LH꺼랑 정치인들인 한국이랑 똑같네요. 레밍같은 국민들이 제도적으로 눈먼돈을 만들어놨는데 이걸 안가져가는게 바보이긴 하죠
@TV-xy3kd
@TV-xy3kd Жыл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개인적 공감요 한국이나 서구권은 왜 아직도 저런 자기중심적 논리를 펴는지 정말 가짜공산당을 몰라서 저렇게 위험분위기 조성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토론을 하는게 아니니....
@polarconeararcarkarch6618
@polarconeararcarkarch6618 Жыл бұрын
@@99nono BBC보도로는 빈아파트 1억채, 미분양 아파트 3000만채라고 하네요.
@whdydwns200
@whdydwns200 Жыл бұрын
25:00 중국애들이 우리나라에 와서 저렇게 해외부동산 자본잠식을 할수도 있다...자국에서도 저러고 있고, 빈집으로 방치하고, 나중에 부동산버블 터져서 시세 작살나고, 몇년전부터 나온 얘기들이긴 한데 걱정해야 됩니다.심각해요...
@gilyongman5244
@gilyongman5244 4 ай бұрын
6천5백만채가 아니라 1억6천5백만채가 빈집입니다. 전번에 쇼킹차이나에서 방영했지요 kbs에서
@user-os2jf3fw4u
@user-os2jf3fw4u Жыл бұрын
한국 보다 부동산(집) 문제가 더 심각한 거 같다.
@user-yh7gw2id9s
@user-yh7gw2id9s Жыл бұрын
와 마지막에 2019년작인거 알았어 소름 ㅋㅋㅋㅋㅋ
@user-oc6de3xx8l
@user-oc6de3xx8l 2 ай бұрын
이거 최근걸로 업그레이드 필요할듯하네.. 4년전 영상이네요..
@user-vp8ch6qn8j
@user-vp8ch6qn8j Жыл бұрын
최고최고... 쫄지않겠습니다..
@user-km7qz5mm2n
@user-km7qz5mm2n Жыл бұрын
2020즈음 터질기미가 있었던것이 코로나로 멈춰있었네.. 그동안 묵혀있었으니 터질땐 얼마나 크게 터질라고... 땅이흔들린다는데 지진뿐 아니라 부동산도 흔들린다는건가봐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Жыл бұрын
파트를 나누어 감당 해야 열받지 않고 냉정 해짐.
@foxpaper8543
@foxpaper8543 4 ай бұрын
그리고 그 집에 살던 안 살던 그건 집 주인 맘대로 자유 입니다. 그것에 세금을 매기는 것은 공산당 짓거리 인데.... 정작 공상당은 그런 세금을 부과 하지 않습니다.
@user-xq9xf6lq2o
@user-xq9xf6lq2o Жыл бұрын
건설 자체가 나라 발전 초기나 괜찮지 중기 넘어가면 점점 하향세를 타는 게 맞는거지... 우리나라도 지금이 8,90년대는 아니잖아요...
@jchkim5084
@jchkim5084 Жыл бұрын
별장촌이 비어있기로 문제 될것이 있나.. 빈집으로 둘 수 있다면 보유세가 낮아서 가능할 텐데 우리처럼 다주택자에게 세금 중과하면 폭탄으로 변한다.😊
@hanhan-vq5gx
@hanhan-vq5gx Жыл бұрын
대형 방송사답게 올릴 꺼리 없어도 재업 하지마라 재탕은 개인유투버도 안한다😢 이거 방송후 몇년 지나도 중국내 부동산 붕괴늗 없었다😅
@user-xy2cg4ig9g
@user-xy2cg4ig9g Жыл бұрын
어딜가든 집을 주거지로 보지 않고 금융상품으로 보고 투기하는 사람들이 문제다. 다주택 3채 이상은 못사게 막아야 될듯.
@user-wd4og1gt5o
@user-wd4og1gt5o Жыл бұрын
4년전에 밨던 뉴스 네.. 지금은 얼마나 분양 되고 어떻게 변했는 지궁굼 해 지는 기사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 Жыл бұрын
중국은 가난한 사람들이 많아서 GDP의 30%를 건설업에 의존합니다 빈집이 저렇게 많으면 건설업도 저정도의 분량을 유지하기 어렵고 구조조정이 필요하게 되죠 한마디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더이상 일자리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말이 됩니다
@kevinzhu6151
@kevinzhu6151 Ай бұрын
well said! As a chinese, I think that is the point!!
@Sseptine
@Sseptine 4 ай бұрын
가족들 명의로 아파트를 여러채 가지고 있는 분들도 많은데 다들 깡통아파트를 왜 소유하고만 있는지 저도 의문이더라구요. 집이란 자꾸 밟아주고 온기를 줘야 폐가가 안되는데.
@user-ee4pv5dv4j
@user-ee4pv5dv4j Жыл бұрын
아니 너무 오래된 영상 아니오. 4년전 영상이라니..
@separk1968
@separk1968 Жыл бұрын
4년전 방송을 최신인듯 ㅋㅋ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Ай бұрын
종교전쟁에서 인구전쟁으로 넘어갈듯 합니다. 욕심이 황폐화 시킨것은 건물과 먹거리 각종 물품 뿐 아니라 가장큰 문제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
@kcreed4790
@kcreed4790 Жыл бұрын
2019년때에 120만원이면 아파트를 살수 있다면......사고 싶네요. 외국인이라도 ㅋㅋㅋ 반대로 생각하면 2022년부터 코로나 시대땐 반대로 나는 살고 있는데 주변에 전부 빈집이라서 코로나 걸릴 걱정은 없었겠네. 2020년 상반기가 분수령이 되긴했지.. 코로나가 터졌으니까.....
@user-yi1ii6fd7d
@user-yi1ii6fd7d Жыл бұрын
1평방미터 가격이네요.. 집값이 아니구요
@user-fe3us4ok5l
@user-fe3us4ok5l Жыл бұрын
외국인이 매수하려면 거류증이 있어야 합니다. 중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면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 중국에 3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markllldslr
@markllldslr Жыл бұрын
진짜 세상 물정 모르는 사람이네 ㅋㅋㅋㅋ 평단가를 주택가격이라고 생각하는 바보가 있나? ㅋㅋㅋ
@user-lc4fe3gx7t
@user-lc4fe3gx7t Жыл бұрын
중국은 내땅이 없음 그냥건물 값만 단독주택도 다 나라땅을 빌려주는것일뿐
@KYYOLO_
@KYYOLO_ 5 ай бұрын
근데 매물이 콘크리트만 되어있는건 중국뿐만이 아니라 대만도 마찬가지에요. 새 집은 그냥 시멘트 그리고 끝. 저도 놀랐는데 이건 문화 차이인거 같아요. 정말 자기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서 좋아하는 듯 합니다 ㅇㅇ
@dragonbae3002
@dragonbae3002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의 미래가 어디에 있는지 이 영상으로 분명해졌다
@LaoShenZhen
@LaoShenZhen Жыл бұрын
17:45 부분에서 멘트가 빵 터지게 하는구만..."요즘은 한족들도 온돌보일러를 많이 설치한다"고...ㅋㅋ 저건 한국인은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고 취재기자가 조선족 통역이 사용한 말을 그대로 베꼈네요. 중국내에서 국적은 중국이면서 소수민족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이 자기들 이외의 중국인 가리킬 때 쓰는 말입니다. 조선족의 경우 자기들 말은 조선말이라 부르고 중국어를 한족말 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하는 말을 한국말이라고 따로 사용하구요.
@user-nh5dd3do7w
@user-nh5dd3do7w Жыл бұрын
거주지역에 근린시설이 있으면 괜찮은데.. 없으니까 빈집이지여.. 만약 좋은 초 중학교가 있으면 집값에도 영향이 있죠.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Жыл бұрын
세계나 다녀보고 이런 글이나 적읍시다.... 좀..... 그리고 한국도 국토수복하면 그런 논리 금방 없어짐.... 세상물정 모르고 사니 딱합니다....
@island8555
@island8555 Жыл бұрын
주택가는 앞으로 많이 내려가야 맞을것이다....특히 인구가 줄어들거나 소득이 낮아지거나 보유세가 높아지면 헐값에라도 거주주택외에는 다 내놓을것이다.... 세금을 높게 해야 다량의주택소유자가 사라질듯...실거주자위주의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해야하는데 문제다.. 정부에서 싸게공공주택짓는것도 이런 현상을 줄여줄것이다 암튼 대세는 주택으로 돈벌어제끼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것이고 십년이상 주택가 내릴듯하다
@cslee9009
@cslee9009 Жыл бұрын
아직 안망한거보면 별문제 없는듯... 민주주의체제 경제를 기준으로 보면 말도 안되는 상황이지만 공산당체제 경제에서는 가능한게 아닐까? 금리도 국가가 고정시키고, 대출도 국가가 무한정 가능하게 해준다면 별문제없지... 마치 미국이 달러를 무한정으로 찍어내도 아무문제 없잖아.
@mr.9k747
@mr.9k747 Жыл бұрын
헐....신기하다....오히려 이래서 중국은 부동산 문제가 부각이 안될수도....
@user-lp2hp7iv9z
@user-lp2hp7iv9z Жыл бұрын
이거 언제적 영상인가요 오래전인것같은데
@allenh4966
@allenh4966 Жыл бұрын
중국인구 성장세도 경제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둔화될텐데 벌써부터 공실이 20%가 넘어가면 끝물에 구입한사람들은 평생 은행의 노예가 되겠구나. 이거 감당이 되려나
@user-qj1dc1ts8e
@user-qj1dc1ts8e 5 ай бұрын
대출이 70%까지 가능하니 집주인은 30% 포기하면 은행만 조 옷 되는 거 아닐까요???
@user-rt5xu7qk3j
@user-rt5xu7qk3j 11 ай бұрын
"빈집세" 좋은 생각이네요~
@junsickmoon2033
@junsickmoon2033 8 ай бұрын
빈집세를 과중하게 부과시키면 되지, 몇개월, 또는 몇년이상 빈집으로 방치하지 못하게 부과시키면되지
@user-hm4vh5vd9z
@user-hm4vh5vd9z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방법으로 해결할거 같은데
@motione1843
@motione1843 Жыл бұрын
4년전 영상이라고 까는사람들 있는데, 트리거는 항상 존재하고, 그트리거로 인해 폭발하는건 한순간임. 미국 서브프라임 터지는것도 2001년부터 7년이나 걸림.
@user-nq3wf9nf7d
@user-nq3wf9nf7d Жыл бұрын
일본의 빈집과는 비교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대체적으로 도시외곽의 오래되고 가격이 안나가는 집들에서 빈집이 생기지만 중국은 반대로 새로지은집이 빈집이라는게 문제라는거 아닌가요? 빈공간 중엔 그나마 가장 비싸고 도시접근성이 좋은 지역에 집을 지었|을 것이고 신축자재를 사용했을 것이며 은행 대출이 고스란이 새로 생성 된 경제적 생성점이겟지요 그러나 일본은 오래되었으니 은행데출도 거의 끝났을 것이고 자재는 오래되어 유효기간이 오래 된 자재일 것이며 동시에 가격은 다른이들이 쳐다보지도 않을만큼 저렴할테니 사실 일본의 빈집은 철거를 해도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닐겁니다 다만 철거한다고 해도 그 많은 폐기물들에 대한 처리는 어떻게 할 것이며 동시에 기왕 철거한다면 후에 누군가가 그 빈집을 리모델링해서 싼 값에 주거지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니 굳이 철거까지는 필요가 없겠지요!
@uujinie
@uujinie 4 ай бұрын
중국 유학할때 새로 지은 아파트에 첫 입주 햤는데 뭔가 완공이 안된듯한 느낌에 공사를 진행중인 옆집 앞집들이 너무 많아서 내가 지금 다 지어진 아파트로 온게 맞나 싶고 정말 특이하다 생각했음. 영상을 보니 애초에 인테리어가 전부 안되어 있어서 그렇게들 공사중이었는지 알았네요.
@user-vs3qn9me3m
@user-vs3qn9me3m Жыл бұрын
현재 상해는 집값폭등중이고 아파트도 분양러시인데
@user-tl9us2ur3p
@user-tl9us2ur3p 3 ай бұрын
전원생활 한번 해본적이 없는 사람들이 도시생활 생각하고 왔으니 살수가 없지요
@motione1843
@motione1843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은 생산성이 없습니다. 경제성장이 지속되어야만 가격이 오르겠지만, 저성장이나 경제위기가 오면 폭망이죠.
@user-lp7db9qc1i
@user-lp7db9qc1i Жыл бұрын
현재 벤쿠버 집값을 생각하면 방송내용과는 정 반대 입니다.
@user-gh5qv9xn6j
@user-gh5qv9xn6j Жыл бұрын
항공모함에 방공구축함 전쟁 준비만 열을올리는데~~~
@devoy6898
@devoy6898 Жыл бұрын
중국산 부실 아파트는 돈주고 살라고 해도 안살거다 목숨이 2개가 아니라면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Жыл бұрын
아믙튼 짓다가 부도나는 상황이면 고공과 가까운데에서 손절해서 사고 마무리 지은뒤 교통정리해서 끝낼 방법을 찾는게 답임.
@xu000
@xu000 9 ай бұрын
성지순례 왔습니다
@baek6468
@baek6468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수두룩할텐데 뭘 ~ 빚들은 더덕더덕하고 ᆢ 결혼전에 빚있나 없나 확인들하고 결혼들 하세요 괜히 남의 빚갚아주다가 인생 종치지말고 ~~
@foxpaper8543
@foxpaper8543 4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취양이 틀려서 인테리어를 안 한다는 것은 거짓말 입니다. 그 이유는 언제 팔릴지 모르기 때문이고 저러다 오래되면 다시 허물어야 하기 때문에..돈을 쓰지 않는데 그 이유를 변명 하는 것이지요. 저렇게 놔두면 아파트 수명이 더 단축 됩니다. 그리고 도배도 하지 않는 것은 사람도 없는데 해 두면 곰팡이가 섞어서 빈번하게 새로 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10원도 안 들어 가게 저렇게 방치 하는 것입니다. 이는 중국만 생각 할 수 있는 것이죠.(feat 공상당의 이기주의 팽배)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4 ай бұрын
중국 건설업체가 얼마나 교활한가를 보여주는 거네요
@user-mf1hj3qf4x
@user-mf1hj3qf4x 8 ай бұрын
부동산의 가격이 신규 구매자들에게 앞으로의 상승의 가치가 없고 하락할것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기시작할때 공급과잉과 수요감소는 필연적으로 부동산 하락을 초래한다 인간심리는 투자시장 어디에서는 동일하게 작용하기때문에 스스로가 투자한 금액을 받쳐줄 상황이 지속되거나 나아질것이 아니라면 사람은 본전치기또는 조금 싼가격에 처분하려고함 이행동은 결국 비슷한 시기에 연쇄적으로 일어나는것이고 그럴 우리는 버블붕괴라고함 투자대상의 가치가 쓸데없이 높아지면 장연하게 일어나는 현상
@Khanpaku
@Khanpaku Жыл бұрын
차이나 내수경제가 어려워지자, 중국인이 그 동안 해외에 투자했던 자금을 헐값에라도 회수하고 있을 정도로 위기에 직면해있다. 그러자 미국 내에서 자금유출이 시작되었고, 미국의 금융위기를 막기 위해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고있을 정도로 벼랑끝에 와있다. 미중 치킨게임이 막바지에 온듯한데, 누가 먼저 링 위에 수건을 던질지 기대되네~!(' 'a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Eccentric clown jack #short #angel #clown
00:33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He tried to save his parking spot, instant karma
00:28
Zach Kin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ХОРОШО ЧТО ПЕРЕПРОВЕРИЛ😂😂😂 #юмор #пранк
0:44
СЕМЬЯ СТАРОВОЙТОВЫХ 💖 Starovoitov.family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everything turned out to be not as it seems… 🤭👀
0:12
Viktoria Meyer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Что если #тест #обзор
1:00
Orion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