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쳐도 상관없다! '40년 만의 대운' 맞이할 한국 l 이노코미스트 홍춘욱 l 혜윰달, 생각을 비추다

  Рет қаралды 174,927

캐내네 스피치

캐내네 스피치

Күн бұрын

홍춘욱 이코노미스트의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확장판]은
지금 바로 인터넷 서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확장판] 구매링크▼
교보문고 bit.ly/49oUyOg
예스24 bit.ly/3SPYK44
알라딘 bit.ly/3w5l013
👩‍🏫 경제전문가 홍춘욱
- 前) 국민연금 투자운용팀장
- 前) 국민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 現) 프리즘투자자문 대표
- [인구와 투자의 미래 확장판]의 저자
[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 @chunukhong
⏳Timeline
00:00 인트로
00:26 우리나라에 다가오는 세 가지 '호재'
05:59 한국 망치기로 한 중국, 한국도 중국버려야?
🎦제작 : 이수빈
#캐내네스피치 #혜윰달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부동산 #인구 #대한민국 #호재 #대운 #중국 #한국경제 #경제 #베이비부머 #일자리 #AI #중국제조 #반도체 #미국 #3저호황 #내수시장 #수출

Пікірлер: 686
@KNN_Speech
@KNN_Speech 4 күн бұрын
※ 건강한 댓글 문화를 위해 강연자에 대한 비하, 비난, 차별적 발언, 욕설 등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댓글은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Timeline 00:00 인트로 00:26 우리나라에 다가오는 세 가지 '호재' 05:59 한국 망치기로 한 중국, 한국도 중국버려야?
@qhflach
@qhflach Күн бұрын
스피치님 영상제목에 이노코미스트가 아니라 이코노미스트 아닌가요?
@jungjakwon7320
@jungjakwon7320 3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은 공자학원 이나 쫒아내시요 ㅠㅠ 37개 대학에 공자학원 이 있다 는데 조사해주세요 ㅠㅠ
@JK-xy3zn
@JK-xy3zn 3 күн бұрын
대학가 아무데나 가보시면 그게 상당히 어렵다는거 보이실겁니다 ㅎㅎ
@jamesbang7041
@jamesbang7041 3 күн бұрын
중국어 시험보는 데 아닌가요?
@JK-xy3zn
@JK-xy3zn 3 күн бұрын
@@jamesbang7041 표면적으로는 님 말씀 맞는데 사회주의사상전파 및 해외스파이 관리소역할도 하지요
@user-mr1vn2so6g
@user-mr1vn2so6g 3 күн бұрын
이유 없이 내치는 것도 어렵다보니 사용자 감소에 따른 수요부족으로 스스로 나가게 분위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maximus3397
@maximus3397 3 күн бұрын
제주 한라대 공자학원 있습니다.
@user-qf6go6gz7y
@user-qf6go6gz7y 3 күн бұрын
지난번 저출산 대책도 명쾌하게 말씀하시더니 이번 대 중국 문제도 깔끔하게 정리해 주시네요...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시준므흣자료
@시준므흣자료 8 сағат бұрын
⏫🙌
@user-rj2ep9ky1f
@user-rj2ep9ky1f 3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반성하는 사람들이 아닙니다.은근히 오랑캐 취급하면서 몇천년간 자신들이 지배하여 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Freedom-po8qm
@Freedom-po8qm 3 күн бұрын
자기들이 지배했다고 착각하는 겁니다. 실은 오랑캐에 늘 정복당하고 오랑캐가 지배할 때 발전했습니다.
@user-gy3iu4gl8q
@user-gy3iu4gl8q 3 күн бұрын
지금 華夏족은 5000년간 중국대륙을 지배해본 적없음. 화하족이 자기들을 漢족 이라 우기는 것부터 역사왜곡 사기였다.
@user-gx1kv2zi8e
@user-gx1kv2zi8e 2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저러다 또 오랑캐라 하는 나라한데 짓밟히고 그때 왕조 바뀌면 중화라고 버무려서 주변국가 압박하조. 그러다 지들끼리 치고박다 망하고요 사실 중국은 우리하고 싸워서 우리 이긴적 있었나요 한번도 없읍니다
@okiok-zt3dd
@okiok-zt3dd 3 күн бұрын
그렇습니다 케이팝등 연예계도 중국 신경 안쓸때 더 발전했댜 그동안 정치인들도 그렇고 중국 아니면 굶어 죽기라도 하는것처럼 쩔쩔매고 중국 버릇만 나쁘게 드려놨다 사드때도 보면 지들은 핵까지 보유하고 완전무장을 해 놓고 우리에게는 그난리을 치고 북핵은 아무말도 안하고 생각할수록 기가차다
@hgseo-im3kj
@hgseo-im3kj 3 күн бұрын
👍제대로 중국을 ... 저는 수십년을 중국에서보낸사람으로 중국대인?노 아닙니다.중국합리적상인 노 아닙니다.부정직하고,무서운사람들입니다.
@user-ev5nd3xt6k
@user-ev5nd3xt6k 3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locopamasan
@locopamasan 3 күн бұрын
무섭진 않습니다. 소탐대실 쪼다들인 걸요. 그걸 되치기 하는게 한국인 이고요. ㅋ
@user-vr3yp2ss1n
@user-vr3yp2ss1n 2 күн бұрын
무서운데 왜 적으로 만들어?
@kajeuah3542
@kajeuah3542 2 күн бұрын
​@@user-vr3yp2ss1n중국인이다보니 문맥을 이해못하는구나...무섭다는게 상대가 불량하고 가깝게 지내기 싫다는 뜻이야... 중국이 사람으로 치면 범죄자 같다는거지...
@user-vr3yp2ss1n
@user-vr3yp2ss1n 2 күн бұрын
@@kajeuah3542 그런데 왜 적으로 만들어?
@user-vl4qe7yp4r
@user-vl4qe7yp4r 3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지금 미국한테 열심히 싹싹 빌고있어요... 그러나 미국은 언제 또 기어오를지 모르니 용서를 안 하는 분위기. 한국한테도 추파를 보내는데 절대 용서해서는 안됩니다. 당연히 중국은 언제든 돌변합니다.
@dsafsfesffsfs
@dsafsfesffsfs 3 күн бұрын
희망사항을 기정사실인마냥 적어놨네 ㅋ 중국이 추파를 던져서 한 외무장관이 중국 찾아갔구나.... 도와줄라고 ㅋㅋㅋㅋㅋ
@JekJekt
@JekJekt 3 күн бұрын
​@@dsafsfesffsfs 한총리가 시진핑 독대한거 모르냐 문재인은 밥도 안먹어주든데...
@user-cu3hi2xf4g
@user-cu3hi2xf4g 3 күн бұрын
꿈을 꾸세요 꿈안에서 예수두 될수 있습니다
@goodhot911
@goodhot911 2 күн бұрын
뇌 있니?
@user-gd4uj9lc8p
@user-gd4uj9lc8p 2 күн бұрын
니가 춥구배고프믄. 쎄쎄 찾을라구?😂😂😂
@inajoankim6804
@inajoankim6804 3 күн бұрын
제주도, 중국으로 인한 문제 많습니다. 생각 바꾸시고 정신들 차리십시오. 멍청하게 정신 못차리고 사리사욕에 나라땅 팔아먹는 정치인들 반성을 시키거나 쫓아 내셔야 할거에요. 나라 뺏기고 울지 마세요. 물론 후손들만 고통받고 후회, 원망, 정신괴로운 눈물 흘리겠지만. 한국인 한민족의 한심한 ancestors 라는 말 대대손손 들으시겠습니까?
@user-jo2jq2ut1w
@user-jo2jq2ut1w 3 күн бұрын
동감입니다. 중국을 세계의 공장으로 이용했다면 이제 버리고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나라를 키우면 되죠. 손자병법에 원교근공이라고 했죠. 중국은 최대한 멀리하는게 우리에게 이로울 것입니다.
@sywercvvr178
@sywercvvr178 3 күн бұрын
중국을 최대한 멀리 합시다(손자병법에 한자성어 인용하면서ㅋㅋㅋ) 제발 유식한척 중국말 쓰지 말고 버릴거면 철저히 버립시다!
@user-ui4mj8lr2m
@user-ui4mj8lr2m Күн бұрын
한국의 문제는 외부아나라 내부에 있음. 특히 언론이 문제임. 무역수치만 보지말고 무역의 흐름을 봐야함. 한국은 몇십년전부터 중국제품을 구매하는 갑임. 근데 언론은 오희려 중국이 없으면 한국이 망할것처럼 뉴스를 내보냄. 중국에수출하는 규모만 생각하고 수출의 최종지는 어디인지 생각안함.
@piter_park
@piter_park Күн бұрын
이미 탈중국 중인데😅
@user-om2oc4wm4x
@user-om2oc4wm4x Күн бұрын
한국이 그런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user-ui4mj8lr2m
@user-ui4mj8lr2m Күн бұрын
@@user-om2oc4wm4x 한국의 일인당 수입품의 구매력이 중국을 압살하는데.. ...중국제품 수입을 동남아로 옮겨도 중국은타격이 어마한데...중국광동성이 제조업이 모두 망한이유가 바로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구매를 동남아로 옮겨서 그런건데...한국의 구매력이면 동남아규모의 국가는 충분희 공급상으로 키울수있어..삼성이 베트남 수출의 얼마 차지하는지 아냐..한국이 그럴능력이 있는가 의심할것이 아니라 중국이 능력도 없는게 주제파악못하는게 더 문제아닌가..
@davidkim1807
@davidkim1807 3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운이 다했습니다. 중국 인구가 많아서 시장이 큰건 사실이지만 오히려 그게 중국이 내수경제에만 올인하게 만들면서 세계로부터 왕따당하게 되는 원인이 됐죠.
@johnubi6075
@johnubi6075 3 күн бұрын
운이 다한 중국이 기댈곳은 한국의 정치판이라고 본다. 선거제도 때문에 대만은 전쟁이 아니면 먹기 힘들지만, 대한민국은 그동안 해놓은 공작 활동으로 먹기 일보직전이다. 탄핵으로 윤석열 몰아내기와 다음 대선으로 친중 인물이 대권을 잡으면 한국의 첨단기술은 싹 다 빼앗아 가서 중국 자기들 경제도 살리고 나중에는 한반도 전체를 중국땅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그렇게 되면 미국도 대만을 쉽게 지키기 힘들것이다.
@user-cu8op7tc3f
@user-cu8op7tc3f 3 күн бұрын
진짜 공감 가는 얘깁니다.. 우리대한민국을 무시하는 내면에 두려움을 가득 가지고 있어 쉽게 경계를 허물지 않을것 같은데요.. 여기서 더 중국과 차이를 내서 도저히 따라올수 없게한다면 우리한테 꼬리를 내릴겁니다.. 강약 약강
@user-nh3wk2zr1v
@user-nh3wk2zr1v 3 күн бұрын
중국 관련 영상만 올라오면 중국 댓글부대가 덤벼들어 분탕질을 칩니다.여기에도 그런 부류가 끼어 들었네요.어쨌든 아주 훌륭한 내용입니다.중국을 일부러 내칠 이유는 없지만 대책없이 기대는 것도 조심해야 합니다. 그렇게 당하고도 교훈이 없다면 그게 말이 되겠습니까.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3 күн бұрын
190석이나 만들어준 쎄쎼들이 한국에 50%가 넘는다는걸 기억하세요.
@holidaysummer9256
@holidaysummer9256 3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민주당 문빠 중국몽빠인지 조선족인지
@user-zs4iv5xs1t
@user-zs4iv5xs1t 3 күн бұрын
투명 공정선거가 나라 발전시킨다.
@user-ev5nd3xt6k
@user-ev5nd3xt6k 3 күн бұрын
​@@user-lx5ql5zh5y맞습니다
@owleyez
@owleyez 3 күн бұрын
정확히는 우리가 중국을 먼저 내친게 아니죠. 시진핑이 계속 우리를 몰아냈죠. 그럼 우리도 별 수 없죠.
@capriccio1121
@capriccio1121 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AI 시대에 인구의 감소는 행운이라는 것을 정치인들은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이민을 받는 것은 아주 신중해야 합니다. 해외 노동자를 들여오더라도 지금 현재 기업이 부족해하는 인력만 일시적으로 들여와야 하고요. 영구적인 이민을 받는 건 아주 고급 인력만 허용해야 합니다. 이제 다른 나라들은 잉여인구를 먹여살리는 것이 크나큰 사회문제가 될 것입니다. 한국은 인구가 감소하니까 그런 문제가 비교적 덜 한 사회가 되겠죠.
@twsbg
@twsbg 2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작은인구로 살면되지 유럽이 이민자 받아들여 망해간다. 특히 동화안돼는 이민자들 정말 사회의 골치덩어리다. 고급인력은 예외. 한국인과 결혼해서 동화되는 경우도 예외.
@user-bd8yi9fv3u
@user-bd8yi9fv3u 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중국 몽에 빠진 정치인이 정신을 못차리고 깝죽대고 알랑대는 정신없는 정치인이 큰 문제 아닐까요? 어쩌면 좋을까요~?
@user-zs4iv5xs1t
@user-zs4iv5xs1t 3 күн бұрын
아주 옳은 말씀. 전체주의 계획경제로 밀어부치는 시장 빨리 잊고 중국외의 무한시장에 뻗어나가야죠.
@user-ro7fn4xm7w
@user-ro7fn4xm7w 3 күн бұрын
중국에 시장 잠식당하기 전에 중국의 조급함으로 자신이 가진 리스크를 전부 보여줘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한령덕분에 체질개선을 먼저 했던게 정말 다행이죠 ㅋㅋ
@user-zs4iv5xs1t
@user-zs4iv5xs1t 3 күн бұрын
그런면은 긍정적임.
@user-nj9uy2bz9d
@user-nj9uy2bz9d 3 күн бұрын
아랫쪽 중공 찬양 댓글들은어디 짜장 관련 있는 사람들인가 보네 짜장하고 우리는 가는 길이 다른법 최대한 이용 하면 좋겠지만 한국제품 죄다 막아놓으니 사이가 멀어질수밖에
@user-gu1tz6qm1g
@user-gu1tz6qm1g 3 күн бұрын
대표님의 혜안, 지지합니다. 중국이 80년대 일본처럼 너무 일찍 마각을 드러냈지요. 일본이 미국의 견제로 폭삭 주저앉았듯이 중국도 지금 무너지는 중이고요. 독재국가의 한계입니다.
@user-sp7bh6ql4d
@user-sp7bh6ql4d 2 күн бұрын
이런 중국에 아양떠는 더부러마귀당애들을 국개의원만드는 개한민국백성들이 .......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넘넘넘 걱정입니다.
@user-zh5wl1xr3u
@user-zh5wl1xr3u 3 күн бұрын
중국을 우리도 버리자가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리고 인구감소의 장점 저랑 생각이 같네요. 과도기의 문제만 잘 해결하면 우리에게 득이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다시 인구문제는 자연히 해결됩니다
@user-hc8zt4np2m
@user-hc8zt4np2m 3 күн бұрын
아이고 여기도 중국 댓글부터 몰려왔네 ㅋㅋㅋ 니들 다 티나 꺼져라!! 타이완 넘버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3 күн бұрын
과연 중국일까? 친중 쎄쎄에게 190석이나 준게 누군인지 생각해봐.
@kruzweaver5300
@kruzweaver5300 3 күн бұрын
타이완의 TSMC가 파운드리 넘버원이긴 하지 ㅋㅋㅋ 삼성 타도!!!
@owleyez
@owleyez 3 күн бұрын
중국인 아니고 조선족 댓글부대일겁니다 ㅋㅋㅋ 중국인 자체는 한글 배우려고 생각 안하니까.
@pedric09
@pedric09 3 күн бұрын
​@@owleyezㄴㄴ 한국어할줄 아는 중궉런들도 겁나 늘었음. 특히 젊은 중국 여자들중에 한국말 제대로 구사하는 중국여자들 생각보다 많음.
@user-dddd618
@user-dddd618 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중국 트라우마 천치많아요.
@user-lf1vb8xu4u
@user-lf1vb8xu4u 3 күн бұрын
스웨던 처럼 중국인들 관광 오는것도 막아서야 제주도에서 길똥, 편의점 쓰레기 테러 보기 싫네요 제주도 렌터카 여행 일전 강제취소행태 비계삼겹살행태등으로 국내여행 기피하더니 이젠 중국인들에게 땅주고 이용권주고 제주도민은 뭐하는 짓인지
@ongochian
@ongochian 3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얼마나 악한지 경험을 해보면 안다
@bonchunjang1537
@bonchunjang1537 3 күн бұрын
중국 노 중공,중공 노 중국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국에 있었다
@user-sv7mr1cb1e
@user-sv7mr1cb1e 2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착한 한국이 잃어버린 수천년 이라는말이 있어요..
@bonchunjang1537
@bonchunjang1537 2 күн бұрын
@@user-sv7mr1cb1e 일제가 우리나라는 제대로 유린했다중공은 중국이 아니다 중국은 우리 나라의 독립을 지원했다 .
@user-zu1tg9ou6e
@user-zu1tg9ou6e 3 күн бұрын
짜장들 여기서 분란 일으키네. 중국에 대해선 내가 보는 관점과 똑 같음
@user-kt9hg6yz4q
@user-kt9hg6yz4q 3 күн бұрын
천만번 옳은 말씀! 중국 공산당이 그동안 저지른 만행에 다른 나라들도 이젠 똑같은 보복으로 응수합니다! 😆
@lionheart469
@lionheart469 3 күн бұрын
위기는 기회가 된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인구 감소가 오히려 우리에게 득이 될수도 있네요 ㅎㅎㅎ
@okiok-zt3dd
@okiok-zt3dd 3 күн бұрын
즁국과 섞여 좋을것 하나없다 제주도가 걱정됩니다
@user-hu9uy5od1t
@user-hu9uy5od1t 3 күн бұрын
영상 제작에 수고가 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user-kw8no4wl2l
@user-kw8no4wl2l 3 күн бұрын
오늘 영상 너무 재밌습니다~ 앞으로도 재밌고 유익한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locopamasan
@locopamasan 3 күн бұрын
북경에 이십 년이나 사업하며 살았던 지인도 손 털고 나왔습니다. 아쉬워 하면서도 다신 돌아오지 않겠다더군요.
@briansong1440
@briansong1440 3 күн бұрын
정말 잘 들었습니다. 해박하신 설명 잘 들었습니다.
@user-ld6qx6qu9r
@user-ld6qx6qu9r 3 күн бұрын
참 명쾌한 분석입니다.
@user-db8sf4mj9h
@user-db8sf4mj9h 3 күн бұрын
제 개인적인 관점에서는, 그 동안 접했던 그 수많은 중국 전문가들, 그 어느 누구보다 정확하고, 실질적인 중국 정책/시장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중국/중국인들은 한국에 대한 관점을 사드로 바꾼게 아니라 그야말로 도광양회, 한국에 대해서는 이제 만만해서 마각을 드러내도 된다는 시점이 온 것 뿐, 사드는 단순히 시점 조정을 할 때, 떠오른 핑계라고 생각합니다. 자신들이 시장을 잠식할 수 있는 기술/기반이 축적되지 않았을 때는 그야말로 간/쓸개 다 빼줄 듯 하다가 정책, 기술, 인프라 등 온통 베낀다음, 규모의 경제로 우위에 섰다고 생각되면 온갖 반칙을 동원해서 시장을 잠식하고 내쫒는 행태를, 그 많은 산업 분야, 문화 분야, 생활 분야에서 그렇게 겪고도 중국 거대 시장론을 앞세우는 단순, 유치한 전문가들(아니면 중국 정부가 관리하는 한국내 프락치인지 모르는 전문가들)의 진단 듣다가 홍대표님 말씀 들으니 속이 다 시원하네요.
@user-fg4ns6xw4c
@user-fg4ns6xw4c 3 күн бұрын
정확히 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johnubi6075
@johnubi6075 3 күн бұрын
최종 목표는 정치판을 이용한 한국의 중국화이지요.
@user-hc8zt4np2m
@user-hc8zt4np2m 3 күн бұрын
사드보복, 한한령이 신의 한수!!
@HAM-xu6jp
@HAM-xu6jp 3 күн бұрын
음 이상하다 우리 1찍들은 중국없으면 망한다고 했는데..
@user-hc8zt4np2m
@user-hc8zt4np2m 3 күн бұрын
@@HAM-xu6jp 1찍들 지금도 중국 못잃어!!균형외교 못잃어!!이 ㅈㄹ 하고 있음 ㅋㅋ
@peterpank1733
@peterpank1733 3 күн бұрын
10여명의 직원을 거느리시는 대표님이시구나~ 왠만하면 거느린다는 표현보다 직원들과 함께 동행 해 가고 있다는 쪽으로 표현을 쓰셨다면 더욱 친근감이 느껴질것 같은데~~
@user-si1wr4cu7l
@user-si1wr4cu7l 3 күн бұрын
13억 중국인구 보다 나머지 60억 인구가 더 많다. 미국 테슬라는 건드리지 못하고 만만한 한국 제품만 지기기로 작정했다. 자알하고 잇다.
@user-vv5go6fz3j
@user-vv5go6fz3j 3 күн бұрын
중국에게 오죽 당한게 많으면 조상님들께서 중국을 일컬어 오랑캐라 했을까 절대 그들의 오랑캐 기질은 안 변합니다 7:52
@user-pz6tq6hv7v
@user-pz6tq6hv7v Күн бұрын
ㅋ 청나라에 끌려간 조선인들이 망한 명나라 애들보고 왜 반란 안 일으키냐고 질타했다는 기가 막힌 이야기?
@hapy342
@hapy342 2 күн бұрын
중국과 중국인을 믿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짓이지. 뒤늦게 전 세계가 그것을 깨닿고 있지.
@user-uu1nr6td6o
@user-uu1nr6td6o 3 күн бұрын
여기 중국인 댓글 부대 엄청나네요 조선족?
@user-ds3rn5nf1k
@user-ds3rn5nf1k 3 күн бұрын
찐중 정치인부터 해결해야 고구려 영광을 회복합니다
@TV-yo4ju
@TV-yo4ju 3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천년의 적!
@thunderstormw
@thunderstormw 3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지금 비참랭킹이나 올리고있어요. 유행이라네요. 누가누가 더 비참한지 경쟁하는 거래요 ㅋㅋㅋ
@user-pt6ht4oy5d
@user-pt6ht4oy5d 3 күн бұрын
공산권하고는 거래하지 마라
@woonkilyi10
@woonkilyi10 3 күн бұрын
어쩌면 이렇게 나하고 똑같은 생각이신지 ^^👍👍👍
@Outis___
@Outis___ 2 күн бұрын
스마트한 사람의 명쾌한 논리를 들으면 머리가 맑아진다
@Nanun-wt1gi
@Nanun-wt1gi 3 күн бұрын
대변환의 시대.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자 👍👍 감사합니다 ❤️🧡💛
@user-jn5ep7dp5x
@user-jn5ep7dp5x 3 күн бұрын
중국 굴기 주력이 한국 대표산업하고 거의 다 겹칩니다. 중국 굴기=한국산업 멸망 입니다. 친중 균형외교 외치는 정치인들은 중국인이라고 봐도 됩니다.
@user-zj2ij1td4s
@user-zj2ij1td4s 3 күн бұрын
불공정 무역국 보조금과 공산당의 정책에 따라 내일이 없다
@isimplin
@isimplin 3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친중파 정치인 바보들이 너무 많아요~!!!!!
@johnubi6075
@johnubi6075 3 күн бұрын
바보들이 아니고 간첩들이에요.
@parkpaul4880
@parkpaul4880 3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
@kmk209201
@kmk209201 3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배울점이 많네요 우리기업들 정치인들 정산차려야합니다 중국놈들이 보통이 아닙니다 사드보복 해야지요 중국때문에 한국기업 손해많이 봤지요 중국에 미련갑지 마십다
@keonheeyoon6385
@keonheeyoon6385 3 күн бұрын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j1dy2pp1w
@user-dj1dy2pp1w 3 күн бұрын
자국민들 기만하고 피땀을 쥐어짜는데 외국인 기업 들한테도 당연히 상응한 방법과 수단이 있겠죠
@user-gw5pi1pn5x
@user-gw5pi1pn5x 3 күн бұрын
발작하는 것들은 반론을 펴야지 빈정거리고 있네
@dundun7430
@dundun7430 3 күн бұрын
차이나 얘들 여기서 돈 벌어 먹고 사니까 아직 차이나 경제 상황이 어떤지 감 못 잡고 이 방송을 헛소리로 치부하는거 보니 기분이 흐뭇하다 .. ㅋㅋㅋ 남아서 불체자 되지 말고 기간 다되면 넘어가서 어떤지 직접 몸으로 느껴봐. ㅋㅋ 어디 굴다리 밑에서 카메라 하나 들고 온라인 구걸이나 하고 있는게 니들 미래니 ㅋㅋ
@hyunsungkim4631
@hyunsungkim4631 3 күн бұрын
땡큐 습근평! 이죠
@lifeissurvival1940
@lifeissurvival1940 2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홍박사님...
@user-ry6kc5sq9e
@user-ry6kc5sq9e 3 күн бұрын
현재의 중공 산하의 모든 중국인들은 인격체로 보면 안됩니다. 너무 불쌍하고 안타깝지만 현실로 보면 그렇습니다. 물론 예외도 있지만. 경제적으로 중국과 벽을 쳐야 활로가 더 생겨납니다
@eunheemoon9439
@eunheemoon9439 3 күн бұрын
정확하게 맞는말씀만 골라서하시네요
@longdeep
@longdeep 3 күн бұрын
지금의 중국으로는 불가능하고 나라가 여러개로 쪼개지면 가능할지도
@user-qt5xr1tk8f
@user-qt5xr1tk8f 3 күн бұрын
정말 긍정적 말씀
@enoch21c
@enoch21c 3 күн бұрын
좋구먼..중국에.대한 객관적인.분석
@user-db2mm7og6f
@user-db2mm7og6f 3 күн бұрын
다른 건 다 맞는 데 틀린거 , 20대 고용률은 떨어지고 60대 이상 고용률은 증가 했슴.
@user-pt3qf3mt2v
@user-pt3qf3mt2v 3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쓰래기 정치인 때문에 되는게없는 나라다 빨리 쓰래기 들을 반으로 줄이고 양아치 기초의회 없에버려야 좀나아진다
@user-xq1ou6mf4l
@user-xq1ou6mf4l Күн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bbokdoong
@bbokdoong 3 күн бұрын
미래에는 인구가 많은게 노동력이 아니라 세금으로 먹여살려야할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게 됩니다. 노동은 기계가 할것이고 사람은 기계가 아직 못하는 작은 스케일의 일들과 기계 관리하는 일만 하게 되겠죠. 인구가 많은 나라들은 기업들로 부터 세금을 더 많이 걷어야 할거고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저임금 노동력이 많은 나라들에 공장을 세우는게 아니라 인구가 적은 대신 교육수준이 높고 전기와 물이 풍부하고 인공지능과 로봇 산업이 잘 발달해서 공장 관리가 수월한 곳에 공장을 세울겁니다. 생산기지들이 개발도상국으로 가는게 아닌 인구가 적고 인프라가 좋은 선진국으로 간다는 소리죠. 이 변화에 올라탄 나라와 못올라탄 나라들의 부의 격차는 지금보다 훨씬 더 벌어지겠죠. 어쩌면 이 미래의 생산기지 모델에 딱 맞는 나라가 대한민국 일지도 모르겠네요.
@genosyde78
@genosyde78 2 күн бұрын
Ai대운과 인구 감소는 시너지 찰떡궁합인듯. 중국 인도같은 인구 대국은 앞으로 어려워 질것. 아니 재앙 수준일것. 작은 나라가 힘이 커지고 큰나라가 힘이 약해지며 국제 관계도 지금과는 매우 달라 지겠지. 결국 교육이 국가 백년 지계였음
@Robert-cr7tw
@Robert-cr7tw 3 күн бұрын
명쾌 하십니다
@user-jm1cv6rd3d
@user-jm1cv6rd3d 2 күн бұрын
목소리 톤이 자칫 졸릴 수 있는 톤이신데 내용이 너무 흥미롭다 보니 끝까지 재밌게 잘봤습니다. 가려운데마 콕콕 긁어주시는게 영상을 듣는데 너무 속이 뻥 뚫리네요 오늘 다리 뻗고 꿀잠 잘 수 있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y3cl6vb9d
@user-ry3cl6vb9d 3 күн бұрын
오 간만에 출산감소에대에 저랑 생각이 같은분을 만났네요 반갑습니다
@mijayang2374
@mijayang2374 3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나아길 긍정적인 좋은 길을 안내하시네요. 혜안입니다.
@user-bv1zw7nf6r
@user-bv1zw7nf6r 3 күн бұрын
시간이 지나서 되돌아 보면 지나의 한한령 덕분에 다른시장을 개척한게 다행이고 적은 리스크로 작용했다.. 싶은
@user-ky5zl7ms8x
@user-ky5zl7ms8x 2 күн бұрын
홍춘욱박사님 가장 명쾌하고 솔직한 분입니다. 아직도 중국이나 찬양하는 유튜버 방송인들 많습니다. 잘 아는척을 가장하고 중국통을 가장하고 중국 찬양하는 인간들 많습니다.
@user-vr7us3nx4p
@user-vr7us3nx4p 20 сағат бұрын
진짜 중국한테는 이런 마음가짐이 좋은거 같아요. 중국을 절대 아쉬워 할 필요가 없음. 있으면 있는가 보다 해야지.. 괜히 집중하고 올인하면 결국은 중국에 엮여서 빼앗기거나 벗어날 수 가 없게 되어서 역으로 엄청나게 손해를 보니까.
@songbig.6521
@songbig.6521 3 күн бұрын
서로 격이 다른 사람들이니, 그냥 그렇게 살면됩니다. 왜 응징 하면서 엉뚱한 힘을 쓰나요. 그냥 냅두면 알아서 시든다는 자명한 논리를 깨우쳐야 합니다. 정치가들이나 타인을 욕하며 본인은 손도 안대고 싸움질이나 붙이죠.
@user-jx4xy9fo9p
@user-jx4xy9fo9p 3 күн бұрын
아 그래서 테슬라가 중국에서 100만대 만드는 구나.
@moodylee9036
@moodylee9036 3 күн бұрын
제발 대한민국 판사들을 AI로 대체했으면 좋겠습니다. 판사들의 정치성향으로 판결하는 경향이 있어 국민이 열받습니다. 증거도 무시 요청도 무시 일방적 한쪽 편만 들어주는 그런 판사들이 뭘 판결하겠습니까? 법조항으로 판결하면 되니 판사를 대체할 수 있는 AI가 딱 좋아 입니다. 이제 프로그램도 AI가 다 해주는 그런 시대에 후진적인 부분을 어서 빨리 바꿔야 합니다. 펜대만 굴리면서 국민위에 군림하는 그런 존재들이 사라지면 대한민국은 더 발전할겁니다.
@user-oy5gs4hz3n
@user-oy5gs4hz3n 3 күн бұрын
역사속의 중국이 지금 차이나가 아니라는 걸 어째 모르는가?
@user-vs6jj6xg2z
@user-vs6jj6xg2z 3 күн бұрын
으음 생각 좀 해봐야할 강의구만~~~
@hbt3834
@hbt3834 3 күн бұрын
쎄쎄당이 다수당인 상황이라 기회가 오히려 망국의 위기로 다가오는것같네요.
@kruzweaver5300
@kruzweaver5300 3 күн бұрын
그 민주당을 국회 190석으로 만들어준 대한민국 유권자들도 짱깨임????
@hasong9692
@hasong9692 3 күн бұрын
맞는말입니다 예리한분석이십니다 중국은애국소비를부추키기때문에 그렇지않으면자기들제품이경쟁력저하가일어나니자신이없던거죠 그러나폐쇠로가면결국기술의저하로세계시장에서열세를면치못하는거죠 문화혁명정신으로극복하고세계를선도하자고주장하지만 요원한일입니다 중국의내수는너무어려운상황에있고 예전에사놓은 부동산대출에돈들이묶여서소비가정체상태입니다
@user-he4sq6ri2v
@user-he4sq6ri2v Күн бұрын
중국사람들에게 "셰셰"하지는 말자구요. 같이가자는 것이 아니라 자기들이 대국이라고 함부로하고 오만하게구는 중국을 친구로 여겨서는 안됩니다. AI시대에는 소수정예가 다수를 이길수있습니다.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3 күн бұрын
공사판에서 중국인좀(조선) 쫒아내요
@ai-tq9mg
@ai-tq9mg 2 күн бұрын
2번째 언급하신 베이비부머세대가 은퇴는 하지만 사라지는게 아니라 새 세대가 20년은 부양해야됩니다...의학발달로 30년이상 부양해야할수도 있어요.
@jinamaha6963
@jinamaha6963 2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user-bm5ly2wu4g
@user-bm5ly2wu4g 3 күн бұрын
중국서 살아보자 않으면 잘모른다 양심 도덕 교양 일도 없다
@baramshin8351
@baramshin8351 3 күн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11726
@User11726 2 күн бұрын
공산국가에 대해서 안이하게 생각한거죠..민주주의적인 사고로 공산국가를 대하니 답이 없는거였지..베트남도 마찬가지야..
@Sam-hs2zy
@Sam-hs2zy Күн бұрын
미국 영국처럼 공자학원 세작들 조사해야
@sscha777
@sscha777 3 күн бұрын
중국 공산당의 성장은 여기까지 인것 같습니다. 팔로우로써의 성장은 통제로 가능했지만 그기까지 . 가격 경쟁력이 없는 중국 제품이 세계시장에 팔리는게 있나요. 그게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chl2779
@chl2779 2 күн бұрын
신뢰할 수 없는 중국에 왜 목을 매어야 합니까?
@sogood12398
@sogood12398 3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사드보복은 진행중이다
@user-jh9lz8qe5v
@user-jh9lz8qe5v 2 күн бұрын
한국에 제대로 마인드를 갖춘 정치인들이 많길 바랍니다 정치인으로서 개인이 아닌 조국을 위해 국민을 위해 희생하는마음으로 정치를 하십시오
@user-lm9ms8pt9c
@user-lm9ms8pt9c 2 күн бұрын
훌륭하다
@user-bb1xu2pg1c
@user-bb1xu2pg1c 3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우리의 시장이자 공장이던 시절은 이미 지나 갔음! 우리나라기술의 방만한 관리 때문에 이제 중국은 우리의 거대한 경쟁자가 되었음! 경쟁관계에서 숙이고 들어가면 그걸로 끝임! 경쟁관계임을 알고 이제는 기술교류 유출을 끈고 다른 시장을 갸척해야함! 시장이 아니기에 중국의 의견에 휘들릴 필요 없음! 휘들려 줘도 이익이 없음
@user-ChengGong8
@user-ChengGong8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버릴수있지만 미국은 어쩔거요? 재네들도 똑같은 짓할것 뻔한데. 한번두번당한것도 아니고
@stefanomarkulin
@stefanomarkulin 3 күн бұрын
일본도 라인 강탈사태 보니 중국이나 진배 없는 족속 들입니다. 동북아 안에는 믿을 시장이 없어요. 시장 다변화가 중요한듯 합니다.
@user-zu1tg9ou6e
@user-zu1tg9ou6e 2 күн бұрын
여기서 일본 얘기가 뜬금포로 왜 나오는대?물흐리는 중국인으로 보이고 싶어?
@seseh7068
@seseh7068 Күн бұрын
인구감소는 오히려 축복일것. 태어난 아이를 모조리 다 엘리트로 키워도 3d업무는 이제 기계다 다 대체해주니 오히려 축복이다. 외국인 노동력에 의존하지 말고 빨리 공장 자동화나 완성하자. 요새 스맛팜도 농장주 혼자 관리 가능.
@user-ow1tv4gu7l
@user-ow1tv4gu7l 3 күн бұрын
대박....
@seseh7068
@seseh7068 Күн бұрын
무역때문에 중국눈치 볼 이유 전혀없음. 중국은 정부가 시장통제하기 때문에 일부러 한한령 이렇거 줘서 어짜피 한국기업들이 대부분 중국 빠져나온 상태임. 무역수지도 별로 안좋음. 곧 서양발 중국제재하면 따라서 관세올리고 거리두기하면 됌. 중국 신경쓸 정신으로 신규시장 아프리카나 인도 인네등 공략하는게 남
@Renlaw666
@Renlaw666 3 күн бұрын
진핑이 없었으면 겁나 위험했을 듯 ㅋ 그냥 하던대로 허허 거리면서 해외기업 유치하고 다른 선진국들이 좀 꼴받게 하는거 있더라도 참고 또 참고 중국 13억 내수 폭발할 때 까지 참았으면 그게 더 재앙임 ㅋ
@user-qs4yd3xh3f
@user-qs4yd3xh3f 3 күн бұрын
타이완 NO 1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8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