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가 끝까지 숨기려 했던 부끄러운 역사의 이야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결말포함)

  Рет қаралды 290,360

찐뷰 영화리뷰

찐뷰 영화리뷰

5 ай бұрын

#영화리뷰 #허난대기근 #재난영화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댓글과 알림설정은
저에게 언제나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문의 : marnddang1@gmail.com

Пікірлер: 532
@user-hq1qg6cj8d
@user-hq1qg6cj8d 5 ай бұрын
이사건때문에 중국민중들 정나미떨어져서 장제스 몰아냈떠니, 그다음 들어온 마오쩌둥은 4천만명을 갈아버림 300만 vs 4천만 ㄷㄷㄷ
@user-yo2rz6ih7p
@user-yo2rz6ih7p 5 ай бұрын
장제스는 무능과 부패의 극치이고 마오저둥은 정신승리의 극치죠.. 최근 중국사람이 좋아하는 인물중 1위가 마오저뚱이고. 장제스는 6위쯤 되더군요.. 그래도 장제스가 존경받는건 그와중에 중국을 청나라를 무너뜨린 공이 아닌가 생각됨
@user-cc1zv9xx6e
@user-cc1zv9xx6e 5 ай бұрын
​@@user-yo2rz6ih7p마오는 대단하지 광기의 미치광이죠 대약진운동, 홍위병 아주 대단하죠
@user-sb3md9mz1p
@user-sb3md9mz1p 5 ай бұрын
떠 → 더
@javaxerjack
@javaxerjack 4 ай бұрын
그나마 둘다 일제를 몰아낸건 나름의 공이라면 공이기는 하지만, 이정도 사상자가 생기면 과연 이게 더 좋은 점이 있기는 한건가 하는 생각만 든다는.
@user-zz7vz9ke5e
@user-zz7vz9ke5e 3 ай бұрын
​@@user-yo2rz6ih7p세뇌를 하니까 1등이지 ㅋㅋㅋㅋㅋㅋ말이라고 하냐?
@user-ly9un1td8n
@user-ly9un1td8n 5 ай бұрын
국민당(대만, 장제스)의 무능을 까고 공산당 정부가 낫다고 선전하는 중국 본토 영화인데, 정작 중국은 마오쩌둥 시절에 대약진때 죽어간 사람들에 대해서는 쉬쉬 하죠.. 제목이 중국 국민당 정부가 끝까지 숨기려 했던 이야기라고 해야하지 않을까 하는데....
@yadontthink
@yadontthink 5 ай бұрын
나도 보면서 저러니 공산당이 농촌을 바탕으로한 적화통일이 가능했구나 생각하긴 함 공산당을 궤멸 수준으로 몰아가놓고도 결국 패배한건 중일전쟁시절과 그 이후에 지속적으로 보여준 똥뽈 마스터 런제스의 무능 ㅋㅋ
@user-yo2rz6ih7p
@user-yo2rz6ih7p 5 ай бұрын
중국 사람이 존경하는 인물 1위가 마오쩌둥입니다. 대약지운동등 실책도 있었지만 공과를 따지자면 7:3정도.. 국민당 무능과 부패가 반대급부로 마오쩌둥의 힘이 되었죠. 근데 그당시 누가 정권을 잡았든 혼란의 시기의 무능과 부패는 항상 따라다니는 친구같은것이 아닐까 생각됨.. 우리나라 전쟁직후처럼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5 ай бұрын
한국 존경하는 사람 15 위안에 문재인있어요
@changhug3018
@changhug3018 5 ай бұрын
아니 왜 마오가 나오능겨? 누가봐도 장개석 정부의 무능인데. 마오도 실수했지만, 그당시 피난만 예기를. 에혀. 정치적인 말은 삼가하시길.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 5 ай бұрын
@@user-yo2rz6ih7p //그게 피해자들의 인정거부가 만들어낸 집단광기 입니다. 피해당했다는것을 인정하면 그러고 그게 해소 할수 없는 거대한 벽 앞에서 절망하게 되면 차라리 수긍하는것으로 현실을 외면하려 드는 겁니다.
@user-dt3rd1ci3r
@user-dt3rd1ci3r 5 ай бұрын
저렇게 수천만단위로 죽어도 중국 인구는 현재 12억이 넘죠. 이게 바로 중국이 바뀌지 않는 이유입니다. 인구따위 썩어넘칠정도로 많으니 고작 몇천만죽는다해도 상황 바뀌는건 전혀 없습니다(다른 나라들은 국가 하나가 멸망하고도 남지만요)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5 ай бұрын
훠훠 중국몽
@fekill353
@fekill353 5 ай бұрын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무리들이 아직도 우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기 때문에 문제인거죠
@user-hs3be2vd6d
@user-hs3be2vd6d 5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한국 유투브댓글러 5천만명과 똑같은 비언태들이 있는한 중국은 망하지 않습니다
@user-fe7st6gv3z
@user-fe7st6gv3z 5 ай бұрын
사람이 기근으로 굶어 죽었습니다. 사람이... 그가 중국인이든 그가 미국인이든 어느 나라 사람이라도 굶어 죽는 게 아무렇지 않을까요? 인간은 측은지심이나 감정을 나누는 감정을 공유하고 느끼는 감정이 있는 있어야 합니다. 그런걸 공감이라 하죠! 참! 없는 인간도 있죠...싸이코페스!
@jhryu5655
@jhryu5655 5 ай бұрын
음...........
@swagpanda5
@swagpanda5 5 ай бұрын
허난 대기근 외에도 1938년에도 장제스가 수도를 난징에서 충칭으로 옮기면서 일본군의 충칭 전진을 저지하기위해 황허 제방을 폭파시켜 거진 우리나라 국토의 3/4 크기의 땅이 물에 잠겨서 그 면적내의 농작물들이 죄다 죽었다고합니다.... 이로 인해 수백만 사람이 굶어죽었습니다. 참고로 이때 일본군은 많이 피해를 보지 않고 충칭으로의 진격이 잠시 미뤄진 효과만 거두었습니다...
@Transilbania
@Transilbania 2 ай бұрын
제방을 폭파시킨덕분에 몇달간 일본군을 북부에 묶어뒀고 중국이 재보충 할 시간을 벌어 수백만 일본군을 중국에 묶어두는데 성공했죠
@user-qx4rb6oq8g
@user-qx4rb6oq8g 5 ай бұрын
저 대기근으로 민심이 돌아서면서 중국공산당이 집권했고 넓은 땅덩어리를 차지 했음 중국에선 오히러 선전용으로 수상까지 했음
@user-yz2fw2eu6j
@user-yz2fw2eu6j 5 ай бұрын
이런 명작이 있었군요.. 리뷰 잘 보고 갑니다. 누군가의 가족,형제,부모님,딸,아들 이였을텐데 전쟁과 기근과 부패로 인해 죽어나가는 모습에 너무 가슴아프네요. 현시대를 살아가는 저에게 감사함을 느끼는 시간였습니다😊
@casss3633
@casss3633 5 ай бұрын
허난대기근도 저정도인대 마오쩌둥 대약진때는 얼마나 심각했다는겨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책 제목은 기억안나네요 2000년대 대구 제일문고에서 봤어요 그당시 2만원이면 저한텐 정말 거금이었죠 사고 싶은데 대다수 책이 만원시절에 그책은 정말 그만큼 값어치가 큰 책이었죠 저자가 중국에서 감옥에 갇힌 반체제 인사였으니까 감옥에 있을때 만난 이들에게 들은걸 적은거랑 감옥 밖에서 만난이들 사연을 적은거죠 장의사인데 대약진때 시신을 치우는데 동원됐죠 산이었는데 산이아닌곳에서 시신을 치웠죠 배가 고파 산에서 나무껍질을 시작으로 나중엔 뿌리까지 캐먹다 민둥산이 된거였어요 그 죽은이들은 배가고파 산으로 왔지만 먹을게 없어 기력이 다해 죽은이들이구요 시신이 얼마나 많은지 시신이 산을 덮을 정도였답니다 일일이 다 할수 없어 시신을 한묶음으로 산에서 던졌다고 하더군요 그 방법이 있었는데 그건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 안 납니다 근대 시신에 살이 잘려나간 흔적이 있었답니다 날카로운것에 잘려나간 그걸보고 공안과 간부 관리들이 난리를 치자 내빼는 자들이 있더랍니다 그자리에서 쏴죽였다 합니다 배가고파 식인을 한게 아니라 계속 조악한 걸 먹다 변통이 막히자 그런짓을 한거래요 지방이라도 들어가면 나을까 싶어서 도서 대륙의 딸 저자는 장영입니다 그당시 상황이 잘 나와있지만 부모님이 빨치산 유격대 출신들이라 꽤 고위직 당간부여서 아는것도 일부분에 불과했을겁니다 도서 개구리 저자는 위화입니다 초반부에 그당시 상황이 좀 나옵니다 도서중에서 작가 위화가 쓴 책이 더 나을겁니다 그시절 어린시절은 보낸이라서 시골태생이고 부모님이 다 농부셨거든요
@user-op1ph4wt9w
@user-op1ph4wt9w 4 ай бұрын
다 깍아내릴려고 쓴 허풍일 뿐 일것 같아요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user-op1ph4wt9w 제가 저 영화를 보진 않았지만 대충 여기에 내용 나오죠 전 책으로 봤거든요 책에서 나온 참상은 저 영화보다 더 했어요 도서 허난성 대기근 전 대구 동부 도서관에서 봤어요 자기가 사는 곳 도서관에 있는지 알아보시고 없으면 택배로도 타도시 도서를 받을수 있으니 알아보세요 그대신 택배비는 부담하셔야 합니다
@onlyROK
@onlyROK 2 ай бұрын
@@user-op1ph4wt9w 장제스의 국민당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전부다 날려버릴정도로 엄청나게 심각하긴 했습니다.
@bigboyb3961
@bigboyb3961 2 ай бұрын
가장 중국스러운 경상도가 중국을 깐다는게 아이러니 베트남 참전용사를 간첩으로 조작선동 부모도 자살하게 만든게 경상도쿠데타세력이엿음
@user-cu1yf2ln9w
@user-cu1yf2ln9w 5 ай бұрын
정보: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 때 아사한자가 훨씬많다
@user-ul8pb9np3d
@user-ul8pb9np3d Ай бұрын
국민당이 저지른 만행이 절도라면, 중공이 저지른 만행은 살인이죠.
@user-wu1sj6tc4o
@user-wu1sj6tc4o 5 ай бұрын
영화를 보는 내내 너무 고통스럽고 슬프다...
@runrun808
@runrun808 5 ай бұрын
이 영화가 중국의 치부를 드러냈음에도 중국내부에서 만들어 질수 있는 건 장제스 세력을 매우 무능하고 저열하게 묘사했기 때문이죠. 공산당 입장에선 적이니까 매우 평면적으로 장제스 세력을 묘사하지만 당시 장제스도 일본과 전쟁중이었죠. 역사를 관통하는 영화는 정치적 관점도 섞어 봐야 합니다.
@gyeongeummin6428
@gyeongeummin6428 5 ай бұрын
영화 정말 리얼하게 잘 만들었군요... 정말 전쟁 앞에서 개인이 얼마나 무력한 존재인지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일어나면 안될 일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덕분에 중국영화에서도 이렇게 개개인의 모습에 집중해서 보여주는 수작이 있음을 알게됐습니다. 잘보고 가요
@hwanjunu6789
@hwanjunu6789 4 ай бұрын
왜냐면 영화가 보여주는 때는 현 중공이 아니라 국민당 장제스 정부였으니까요. 북한이 남한 이승만 정부의 부패상을 보여주는 영화 수준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역으로 대약진운동, 문화혁명때를 비판하는 영화는 지금 중국에서 만들거나 토론하기 힘들죠. 그나마 마오쩌둥의 실패를 잘 아는 등소평때는 그 때와 같은 실수가 일어나면 안된다는 생각에 허용되었으나 지금 시진핑은 뭐... 마오쩌둥 2기 체제나 다름 없으니.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3 ай бұрын
​@@hwanjunu6789시진핑도 등소평이나 마오처럼 국리민복을 추구합니다. 미국의 경제전쟁이 지금만이겠습니까?
@user-xz5vz5pv8n
@user-xz5vz5pv8n 4 ай бұрын
이후 대륙을 장악한 마오쩌뚱의 치세에서는 전쟁이 아닌데도 툭하면 저렇게 죽어나가게 됩니다
@user-fo3yw7ys8n
@user-fo3yw7ys8n 5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죽음만을 생각하던자가 힘겹게 고아소녀를 거두는 모습은, 지주와 거둬진 소녀의 생존과 희망을 암시하는것 같음 다행이다 란 생각이..
@user-pg7ql8hf2z
@user-pg7ql8hf2z 2 ай бұрын
는 이후 마오의 세계관에선 생존도 희망도 사라지게 됩니다~~
@ssibjadorayiba9367
@ssibjadorayiba9367 2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손잡고 가던 여자 아이가 바로 저 영화 시나리오를 쓴 작가 어머니라고 독백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user-pb9oc5zd5e
@user-pb9oc5zd5e 5 ай бұрын
그 이후 모택동이 또 한번 6천만명 지워 버림. 중국은 한번씩 독재자가 나와서 인구 리셋을 해줘야 그나마 통제가 되지 안그랬어봐, 지금 인구 30억이었을거다. 그래서 우리 시진핑이 힘내라 힘~~
@youngwoodo
@youngwoodo 5 ай бұрын
와... 이거 한..10년전쯤인가 우연히 보고 너우 재밌게보고선 후에 한번 더보고싶어 많이 뒤져봐도 제목생각이 안나서 못보고 있엇는데 이렇게 마주했네요 너무감사해요ㅜㅜ
@TV-jg2kj
@TV-jg2kj 5 ай бұрын
중국 국민당 정부도 항일이란 깃발 아래에 각지역 군벌들을 외교와 강압으로 통일한 느슨한 정부라서 내전이 시작하고 공산당으로 돌아서는 군벌도 있었고 중화민국이 얼마나 급했으면 포로였던 일본군 장군을 자문역으로 삼아서 돌릴 정도였으니 말다한 거라고 생각함요. 그리고 대부분 군벌군이라서 자신의 힘을 잃지 않으려고 공산당과의 적극적인 전투를 피하는 느낌도 있었다고함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3 ай бұрын
토호들의 수탈과 착취라는 국내의 계급적 모순위에 일본의 침략이라는 민족적 모순의 중첩적 모순이 있는 겁니다
@jwssung
@jwssung 5 ай бұрын
전쟁은 미디어로 본거보다 더 참담하고 비참하다. 그런 전쟁을 지금시대에 꾀하고 있는 독재 권력자들은 빨리 사라져야 함. 자유를 찾기 위해선 희생이 따르더라도 혁명 밖에 없다. 부디 전세계 억압받고 있는 국민들이여 일어나세요.
@meboheme9964
@meboheme9964 5 ай бұрын
윤석열을 말하는 건가요? 국힘당이 집권을 할때마다 전쟁의 공포를 불러 들이니...
@user-bg7ic9er3m
@user-bg7ic9er3m 5 ай бұрын
@@meboheme9964 무슨 독재를 하는 것이라고 믿는 것이지요? 투표로 선출된 대통령이 공화제도에 따라 법한도 내에서 자신이 내건 공약 실행 하려고 하는데. 3권 분립 대통령제에서 선거 결과를 부정하고 북한에 정통성이 있다고 믿는 80여명의 주사파 출신 정치인이 포진하고 있는 거대 야당에 밀려 자기 생각을 펼치지도 못하는게 현실이지요. 임종석, 이인영, 양정철 등 중국 공산당, 북한 3대세습 독재 추종하는 586몰아내자. 사실 이인간들 독재 투쟁 했다고 자랑스레 떠벌리지만 목표는 629때 거리로 나온 넥타이 부대와 학생들 숨겨준 소상공인들은 3권 분립과 법치의 자유민주주의 이자들은 목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수립.
@catfather4487
@catfather4487 5 ай бұрын
@@meboheme9964 호구같이 뜯겨서 이꼴 난건 생각 안하고?ㅋㅋㅋㅋㅋㅋㅋ
@user-di9me8hf1p
@user-di9me8hf1p 3 ай бұрын
북한이 없으면 그럴일조차 없는거지 뭐만 하면 윤석열이네 일상 생활가능??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3 ай бұрын
​@@user-di9me8hf1p북조선은 전기도 석유도 무기도 식량조차도 없고 모자라는 가난한 나라입니다. 전쟁을 일으키는 힘이 어디에 남아있겠습니까? 한반도 야경사진을 보시면 단박에 압니다
@user-wc1pi5kl8n
@user-wc1pi5kl8n 4 ай бұрын
영화 리뷰 잘 보고 갑니다. 또한 마지막 교훈적인 엔딩도 참 좋네요. 구독합니다.🙏
@user-sw9cv8nx9x
@user-sw9cv8nx9x 5 ай бұрын
덜뜯어가냐 더뜯어가냐 차이일뿐 누가 차지하던 자리가 결국 사람을 만드는게 맞네 이미 그 자리에 앉으려 하는것도 답없고 중국에서 1원씩만 뜯어도 얼마야
@user-xz5vz5pv8n
@user-xz5vz5pv8n 4 ай бұрын
정상적인 군대가 아니라 지역의 군벌로 느슨하게 연결된 무장집단은 물론, 제왕처럼 지배했던 장졔스가 이념으로 단결된 공산당에게 패배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입니다
@user-tq5sk7bc5b
@user-tq5sk7bc5b 5 ай бұрын
풀타임보면 더 비참한 장면 많이 나옴. 6.25때도 비슷했겠지.
@changhug3018
@changhug3018 5 ай бұрын
이영화 십수년전에 봤제, 엄청 충격먹었음. 흉작으로 길을 나선 지주,다시 홀로 고향으로 가는 지주. 넘 비극적인 시대상을 잘 묘사했으. 비참함이 어디까지 가능가?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4 ай бұрын
영화 리뷰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bfntuwixbbfvwuajxbe
@bfntuwixbbfvwuajxbe 5 ай бұрын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라 더더욱 꿀잼이네요!
@cho1802
@cho1802 4 ай бұрын
전쟁은 제발 없어져야 한다...제발...저 아이들의 눈빛과 표정에서 내 아이의 얼굴이 투영되어 가슴이 찢어질것같다....
@user-hz3rk1ju5l
@user-hz3rk1ju5l 4 ай бұрын
아니… 애절하다 구독모집 현실적이다 인정
@fpxm0-lh2gv
@fpxm0-lh2gv Ай бұрын
리뷰 잘봤습니다. 영화 풀버전 보고 싶은데 어떻게 볼 수 있나요?
@donlee140
@donlee140 4 ай бұрын
고작 3백만이네. 마오쩌둥은 6천만명을 죽였는데😊
@user-fs1wv8zw4s
@user-fs1wv8zw4s 5 ай бұрын
간만에 정말 정직한 수작을 본 것 같습니다. 처참하네요.
@admiralyisoonshin4995
@admiralyisoonshin4995 4 ай бұрын
너무도 참혹했던 대기근의 비극. 굶주림에 지쳐 가족까지 팔아야 했던 절체절명의 고난. 그 무엇으로 표현할 수 있으랴...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3 ай бұрын
우리도 다르지않습니다, 가난이라는 질병에서 해방되지 못한 것
@user-vl7nf2ed3k
@user-vl7nf2ed3k 5 ай бұрын
지금의 한국도 만만치 않타.저런 날이 우리에게도 고작 70년전에 왔었고 곧 그런 날이 또 올수도있다.정신들차려라.
@simtop7777
@simtop7777 Ай бұрын
영화 리뷰어중 재미가 아니라 의미를 담은게 너무 좋습니다 대성하시기를 빕니다 물론 재미도 있어요 구독합니다 화이팅~~!!
@zzinview
@zzinview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Dohan06
@Dohan06 2 ай бұрын
인재는 인재지만, 당시 4억 중국 기준에서는 300만 사망이면은 그닥 큰 사건이 아니었다는게 충격이죠. 장제스 대륙 정권만 했어도 전체 통틀어서 최대 천만 명이 아사한 인재가 다인 반면, 그 후 무력으로 집권한 마오쩌둥 집권기 동안 대숙청과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반우파운동만 해도 총 8000만명이 죽었죠. 물론, 인구는 계속 증가했다는게 충공깽
@Someone111ify
@Someone111ify Ай бұрын
충격? 진짜 충격먹으려면 10억이 확 가야함
@user-mb2qw8cq9p
@user-mb2qw8cq9p 5 ай бұрын
이래서 힘없는건 정의가 아닌거임
@jambread848
@jambread848 4 ай бұрын
아니 세상에.... 제가 중국인들을 위해 눈물을 흘리게 하다니.... ㅠㅠㅠㅠ
@miruklee
@miruklee 4 ай бұрын
훠훠훠...함께 중국몽을...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3 ай бұрын
인간은 어디서나 똑같습니다
@user-yr9vg8be6j
@user-yr9vg8be6j 5 ай бұрын
참새를 모두잡아 멧두기 창궐 중국의 권력자들의 우둔함이 지금24년도에도 계속 되고있다
@2-bb6lr
@2-bb6lr 4 ай бұрын
이영화 어디서볼수잇나요?
@oisomam6271
@oisomam6271 5 ай бұрын
동물의 왕국을 보는 느낌이 드는구만 인간도 동물이란걸 보여주는 영화다
@quest9614
@quest9614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sinchon06
@sinchon06 5 ай бұрын
우리가 아프리카에 약간의 성금을 후원하면 얼마 안되는 그 돈이 큰 도움이 된다고 하지요. 중국에 부패한 관리들이 없었더라면 훨씬 많은 중국인들이 훌륭한 교육을 받았을 것이고 더 나은 미래를 설계 하였을 것이며 국민들은 따랐을 겁니다. 그들에게는 쌀 몇포대가 탐욕을 채우는 사치품이었을진데 수 많은 국민들은 가족을 잃고 모든것을 잃어야 했다는걸 알게 해주는 영화네요... 언젠가는 꼭 풀버전으로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그일 종사했던분들 그전엔 그런분들과 친분이 있던분들과 지인들이 알리다가 직접 일했다 때려치운 여러분들이 이 유튜브에 글을 올렸습니다 절대로 아프리카와 무슬림 국가쪽으론 땡전 한푼도 내지 말랍니다 그리고 절대로 자기자식들 일본은 도저히 참다못해 의료활동하는 학생들을 아프리카가는건 중단했답니다 학생들 안전을 위해서 우리만 철저하게 은폐하고 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리더군요 언젠가는 벌어질일이었답니다 자신들 탄압했던 백인들은 두려워하면서 손끝하나 안대고 정작 도우러온 동양인들에겐 여학생 한명이 현지인에게 강간당했다는군요 그걸 철저하게 은폐하더랍니다 주위에 자기자식들 코이카자원봉사 보낸다 절대로 아프리카나 무슬림 국가엔 보내지 말랍니다 여자애들은 공짜매춘부고 남자는 노예로 제공하고 싶으면 보내라는군요 그댓글 두분이 올리자 댓글이 참 많이 달리더군요 난민쪽으로 돕다 그만둔 분들 댓글이 달리더군요 무슬림 난민들 한반도에 단한명도 그들을 위한 모금 절대로 하지 말랍니다 자신이 겪은일과 구호단체 비리를 까발리는데 무슬림 난민들 정체가 뭔지 이거 한국에서도 벌어진거랑 유사하던대요 유엔이 얼마나 썩은단체인지 난민기구 담당하는 담당자가 죄다 무슬림으로 임명되는데 중동산유국의 입김이 다 작용하는지라 이거 국내에서 나온 겁니다 그 내용과 똑같았어요 국내 구호단체도 마찬가지 유럽사는 교민들이 해외구호단체가 한국을 노리니 땡전한푼도 기부하지 말라고 했죠 말이 좋아 구호단체지 아주 썩은집단이라고요 현지 상류층들 부를 축적하는 수단이 구호금이죠 그걸로 무슬림 아닌 국가들 부동산쇼핑과 호화사치를 즐긴다구요 절대로 밑에 사람들에게 가지 않는다는군요 이번 가자지구 덕분에 수면위로 오르지 않았나요 전 기부하고 싶으면 동네에 어려운이들 돕거나 동사무소에서 나온걸 하랍니다 큰도움은 그곳 현지기득권이겠죠 죄다 무슬림 이네 실제로 대놓고 돈을 요구하는 이집트놈이랑 맞장도 떴었지 당신 정체 뭘까 😂 사기꾼들이 남아도는게 시간이지 시간 남아도니 유튜브에서 선동질하고 인신공격을 해대더니 이젠 영화유튜브에서도 설치시네
@dsk3038
@dsk3038 4 ай бұрын
저때 국민당이나 지금 공산당이나 도찐개찐이구나..
@YHPch28
@YHPch28 4 ай бұрын
중국과 일본 역사에 그들이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이군요
@jhryu5655
@jhryu5655 5 ай бұрын
대기근 발생 원인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한 지주가족의 몰락. 우리가 사는 삶의 경계선이 얼마나 외부환경에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영화라고 본다. 이를 단지 중국의 사건으로보면 배움과 교훈은 없다. 다시 반복돨 수 있고 그 곳이 한국이 될수도 있다. 우리가 가진 관념들이 생존본능 앞에 무참히 깨어지는 것을 보면서 희망이란 단어조차 잃어버리는 세대가 돨 수도 있다. 인간다움과 그리고 미래 대비는 그래서 먼발치에서 구셩허는게 아니라 지금의 내가 단력시키고 경계해야할 것들이 아닐까.
@user-hp5zm3lm2q
@user-hp5zm3lm2q 5 ай бұрын
하루하루살아가는 것이 지옥이다. 배부르고 등따스러운곳만 있으면 그곳이 천국이네.
@davidsong9045
@davidsong9045 5 ай бұрын
정말 부끄러운 나라 ......
@user-nl1xs9zz2o
@user-nl1xs9zz2o 4 ай бұрын
저때 많이 죽었을까? 아니면, 문화대혁명때 많이 죽었을까?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죽기는 대약진과 문혁때 사망자수가 더 많죠 역사의 아이러니죠
@user-co9mw5lz8l
@user-co9mw5lz8l 2 ай бұрын
죽은사람수만 따지면 문화대혁명 보다는 대약진운동이 압도적이지
@Han-ki4cq
@Han-ki4cq 5 ай бұрын
너무 슬퍼서 눈물을 흘리면서 봤어요....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도서 허난성 대기근 실상은 더 참혹합니다 하지만 드러나지 않은건 더 참혹하겠죠
@twokongs3162
@twokongs3162 4 ай бұрын
문제가 뭐냐면 밥먹고 애만 낳는다는거다 지금 중국인구가 60년전의 두배다 미국도 일본도 이렇게 큰 인구증가는 없었다 그냥 애를 안낳기만 해도 살만할텐대 죽자고 애를낳으니 죽을수밖에
@user-ip6ek3cv5e
@user-ip6ek3cv5e 5 ай бұрын
제대루된 정부는 하나도없네
@sinmoonsik5721
@sinmoonsik5721 4 ай бұрын
진짜 눈에서 피눈물 흐르는 줄
@user-tq5sk7bc5b
@user-tq5sk7bc5b 5 ай бұрын
리얼리티 제대로인 수작.
@jpk8339
@jpk8339 5 ай бұрын
정작 중국공산당때문에 수천만명이 죽은 대약진 운동 기근은 아직도 숨기고 있다. 이건 국민당 잘못이니까 영화로 만들었지, 사람이 만들어낸 중국역사당 가장 큰 중국공산당의 대약진운동 기근이 오히려 절대로 영화로 안나온다.
@user-ip1ti8tp2f
@user-ip1ti8tp2f 4 ай бұрын
장제스의 국민당이 무능하고 부폐했지. 미국의 지원을 받고도 저 지경 이었으니
@cz_line9051
@cz_line9051 5 ай бұрын
너무 잘봤습니다 저때만 아니더라도 수천년간 백성들은 저렇게 힘들게 살았겠지요 중국에서 이런 작품이 나오다니 그것도 신선합니다
@parkjuyi
@parkjuyi 5 ай бұрын
국민당 비판하는 영화라서 가능한 것이겠죠.
@user-iu8wk2y
@user-iu8wk2y 4 ай бұрын
공산당 선전용 영화임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3 ай бұрын
​@@parkjuyi옛날 공리의 에서 나온 공산독립군을 한국에서는 국민당으로 엉터리 자막을 하였습니다
@benjamin-erlangen
@benjamin-erlangen 4 ай бұрын
중국이나 대만이나 둘다 한족이라는 공통점을 잘보여주는작품
@user-ug5en9vl6q
@user-ug5en9vl6q 2 ай бұрын
예전에 제목도 모르고 본 영화였는데 뇌리에 깊이 남아서 아~ 이영화구나 했네요 당나귀 찾으러간 하인이 어이없게 죽는장면 지주딸이 팔려가서 주인이 딸에게 안마하라고 시키니 너무 많이 먹어서 허리가 안굽혀진다고 하는 장면들
@user-ub2gx9et9o
@user-ub2gx9et9o 4 ай бұрын
중국도 이런 역사에 관한 아픔을 영화로 표현을 잘하는지 이 리뷰를 보고 처음알았습니다. 놀랍네요 이런 영화가 있었는지도 몰랐는데 정말 역사의 아픔과 그 역사의 중심에 있는 정부의 대처에 대한 비판을 영화에 정말 잘 녹인거 같아요 한번 꼭 봐야겠습니다. 리뷰를 보면서 슬픈감정이 계속 밀려와서 참 보기 힘든 영화겠구나 생각이 들지만 한번 꼭 봐야겠어요
@user-ow3to4os5b
@user-ow3to4os5b 2 күн бұрын
국민당과 장제스를 까려고 만든 영화라 당연히 가능하지요.하지만 공산당이나 모택동의 실책과 잘못은 철저히 숨기고요.
@user-ou8li1fi2v
@user-ou8li1fi2v 5 ай бұрын
인간아,,,, 인간들아,,,,,, 천벌 받는다,,,,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저 기근 때문에 국민당은 대만으로 쫓겨간겁니다 인심을 다 잃었거든요
@scottlee2965
@scottlee2965 2 ай бұрын
중국의 역사에서 민족성이 나타납니다. 중국 사람과 한국사람이 다른 이유가 이것 인것 같네요 탐관오리가 인생의 꿈인 중국아이들 중국의 미래는 뻔하지요
@gegwan-wi_byeongsin
@gegwan-wi_byeongsin 5 ай бұрын
저때 죽은 사람이 300만 인데 모택동에 식량 정책 에 굶어 죽는 사람만 5000만명 이상 이야ㅋㅋ
@SmartCity-Seoul
@SmartCity-Seoul 4 ай бұрын
역사를 잊은게 아니라 역사를 감춘거구나. 그런 나라의 미래는 안봐도 뻔하지.
@grimmfill
@grimmfill 2 ай бұрын
마오쩌뚱 1958도 영화로 나와야지.
@user-tz4fd2ic2y
@user-tz4fd2ic2y 5 ай бұрын
장제스에 대만행이유를 알수있내요.
@KIM_HS_0228
@KIM_HS_0228 5 ай бұрын
"에" 랑 "의" 구분 못하니?
@user-kf4fd2ty4r
@user-kf4fd2ty4r 4 ай бұрын
너무 슬프다
@user-fn7vt1yr2h
@user-fn7vt1yr2h 5 ай бұрын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준비하라
@user-lo6jm1wr9m
@user-lo6jm1wr9m 4 ай бұрын
중국은 사람이 많아서 그런지 인명을 진짜 경시하는 편임.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전 쓰촨성 지진때 겪어봐서 하지만 중국만 겪으면 충격이죠 인도와 무슬림들을 겪으면 해탈수준을 넘어서 하늘로 승천 합니다 특히 이번 가자인질사태 터지고 그후 벌어진일들 중국은 정말 솔직해요 인도는 좀 교활하지만 그래도 조금은 인명을 생각하는게 있는데 어떻게 이슬람 쪽은 그런게 없더군요 글을 봐선 속마음은 다른데 있더군요 자기들은 피해안보고 죽어도 하위계층들이 죽어나가니 그들의 죽음을 가지고 피해자코스프레만 열심히 하더군요
@user-mh7wd7lg5c
@user-mh7wd7lg5c 4 ай бұрын
역사적인 순서를 보면 지주는 저 대기근으로 오히려 생존했다고 봐야 할듯 안 그랬으면 홍위병 때 지주라는 이유로 맞아 죽었을 테니까
@Lee-guana
@Lee-guana 5 ай бұрын
장제스, 모택동 어느 놈 하나 중국을 지배해서는 안되는 인물들이었군요. 구역질이 납니다. 몰랐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러 가봐야겠습니다.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도서 허난성 대기근에 잘 나와 있습니다
@jp5500
@jp5500 5 ай бұрын
14:41 먹고 살거도 없는 상황에서 이런식으로 일본이 위안부 피해자 모집 해놓고 자발적으로 지원한거라고 강제 아니였디고 하는거겠지…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저희외가가 정신대 안 끌려갈려고 15살에 시집을 보내야 했습니다 이것과 정신대는 무관하니 거짓말 그만 유포하시죠
@nazard8502
@nazard8502 5 ай бұрын
42,43년에 허난이 함락됬구나 지금까지 44년 대륙타통작전때 완전 함락된줄 알았는데
@chonjang115
@chonjang115 3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는... 비슷한 상황
@pajuguy7594
@pajuguy7594 5 ай бұрын
과거 저만치 죽어나갔음에도 13억인구를 보유한 국가
@StudioCityCa
@StudioCityCa 4 ай бұрын
『じれったい』 歌: 安全地帯 作詞:松井五郎 作曲:玉置浩二 わからずやの 濡れたくちびるで 死にたいほど 胸に火をつけて 甘いKissで うまく逃げたね 腕の中に 閉じこめたいのに じれったい こころをとかして じれったい からだもとかして もっと もっと 知りたい 渇いた瞳(め)は やっかいに揺れてる ひとりずつじゃ 喜べそうにない くいちがいに きざまれたままで 傷つくほど 愛しているのに じれったい こころをとかして じれったい からだもとかして もっと もっと 知りたい 止まらない ふたりのつづきを 止まらない 夜までつづけて ずっと夢を見せて じれったい こころをとかして じれったい からだもとかして もっと もっと 知りたい 終わらない ふたりのつづきを 終わらない 夜までつづけて ずっと夢をみせて こころを燃やして すべてを燃やして もっと もっと 知りたい
@Someone111ify
@Someone111ify Ай бұрын
여기에 왜 일본말?
@jky3982
@jky3982 5 ай бұрын
타노스 핑거스냅 필요함 사라지는게 내가 될수 있어도 그래도 인정ㅇㅇ
@user-sv9ow8xy9z
@user-sv9ow8xy9z 5 ай бұрын
현재 중국 과거의 중국 앞으로의 중국을 보려주는 영화
@user-eq1xw7ye9b
@user-eq1xw7ye9b 5 ай бұрын
영화제목이 1942 인가요
@user-ls1fo1lq3z
@user-ls1fo1lq3z 4 ай бұрын
저런 일을 겪고도 여전히 똑같은 일을 반복하고 앞으로도 계속하려는 중국 공산당이나 중국인들은 참 한결같네요.
@user-yi4cm4di3t
@user-yi4cm4di3t 2 ай бұрын
모택동 대약진 운동 실패로 수천만 굶겨죽인건 절대 영화로 안나오겠지?
@user-tj7ut9sz3z
@user-tj7ut9sz3z 2 ай бұрын
중국인들의 참모습이 저거죠.
@user-yo2rz6ih7p
@user-yo2rz6ih7p 5 ай бұрын
이 영화는 어찌보면 중국 계몽영화입니다. 1942 허남성의 대 기근의 참상과 그당시 국민당의 무능 과 부패, 그리고 그에 대한 민초들의 불행.. 이 영화를 검색하니 북경영화제에서 최우수를 받았더군요. 결론적으로 국민당이 망하고 마오쩌둥이 승리함
@onlyROK
@onlyROK 5 ай бұрын
아뇨 그냥 국민당 욕하는 영화입니다 국민당이 저렇게 못했으니 공산당이 낫다는 얘기를 하고싶은거죠. 진짜 계몽을 하고 과거반성을 할거라면 허난 대기근보다 수십배 사망자를 일으킨 문화대혁명과 대약진 운동도 다뤄야하지만 그거에 대해선 한마디도 안하죠ㅋㅋㅋ
@user-fd2od1tw5d
@user-fd2od1tw5d 5 ай бұрын
보는 내내 화가치미네;; 중국이 왜 공산주의가 되었고 조선이 왜 분단되었는지 이해가 된다.
@Yukgaejang1912
@Yukgaejang1912 4 ай бұрын
저건 국민당 실체를 밝히는 영화인데,어딜봐서 중공정부가 감출려고해?
@reload616
@reload616 3 ай бұрын
역시 그 민족 옛날부터 인성이 좋네요 ㅎㅎ
@user-hn6my7ez4z
@user-hn6my7ez4z 21 күн бұрын
1:07 마적패 두목, 유해진 인줄
@user-xd6tq2oc3r
@user-xd6tq2oc3r 5 ай бұрын
이건 음 중국공산당이 싫지만 황하제방 터트리면서 문제가 된거임 그리고 전쟁나면 보급 1순위는 어쩔수없이 군대임
@juwanhong4225
@juwanhong4225 5 ай бұрын
삼백만은 엄청 적네 ㅋㅋㅋ 마오때는 수천만명인데 ㅋㅋㅋ
@user-wo1dg1kf9r
@user-wo1dg1kf9r 3 ай бұрын
6:21 전투기가 아니라 폭격기 아닌가
@user-md3qs5db8p
@user-md3qs5db8p Ай бұрын
중국인으로 태어나면 알어서 살어남어야 한다는.
@Someone111ify
@Someone111ify Ай бұрын
그래서 중국인의 생존력은 끝내줍니다
@user-qe5bp1rb6m
@user-qe5bp1rb6m 4 ай бұрын
난리가 날때마다 한나라의 인구수만큼 피해를 받는구나 우리나라도 경신대기근이 있었다고하는데 역사에도 실리지 않았다고 보는내내 한숨만 나오는데 진짜 겪었던 사람들의 고통은 말로 할수도 없었겠지
@user-mo6su2pi6k
@user-mo6su2pi6k 5 ай бұрын
약탈이 전통이구나
@seungseoklee1623
@seungseoklee1623 5 ай бұрын
Sp500의 소중함을 또다시 깨닫습니다
@jwp-yh8wh
@jwp-yh8wh 2 ай бұрын
6:20 에프킬라 살포
@GomujulDaemawang
@GomujulDaemawang Ай бұрын
저런일의 무수한 반복으로 현재 중국 국민성이 생김 내일은 내가 알아서 챙기고 옆사람을 돕는다. 정부말은 절대 믿지 않는다.
@kjj9589
@kjj9589 4 ай бұрын
몇십만이 죽어도 저긴 변하는게 없음...
@user-jinjeonghae
@user-jinjeonghae 5 ай бұрын
고통이네요 왜 공산당이 득세했는지 알겠습니다
@HWK8403
@HWK8403 5 ай бұрын
한국도 사실상 imf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오직 찬양뿐.. 625 는 외면하고 60-90대의 경제성장은 독재의 산물만을 가르키지.
@user-bo4qq8tr8h
@user-bo4qq8tr8h 5 ай бұрын
좌파 영화 하나 나왔지. 되도 안되는 모라토리엄 선언해야했어야했다는 어처구니없는 좌파영화.
@Doraemonnm
@Doraemonnm 5 ай бұрын
마오쩌둥의 공산당이 결국 국민당을 몰아낼 수 있던 이유들이 여러 있었군요.
@user-in9pt7of8s
@user-in9pt7of8s 4 күн бұрын
100일동안 250키로 이동했다니... 느리긴느리구나... 배고파서 죽는다니 참 그 과정이 어떨지....
@user-yy5pb1dx4g
@user-yy5pb1dx4g 4 ай бұрын
사실상 중국 정부가 민간인들을 향해 일으킨 대학살극이었지
@user-ly4yh1ww5i
@user-ly4yh1ww5i 4 ай бұрын
20:15 먹는 순간 칼로 저미거나 볼거죽을 찢을 줄 알았는데 착한 놈일세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ПООСТЕРЕГИСЬ🙊🙊🙊
00:39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도저히 같은 인간이라고 볼 수 없는 그들의 만행 (결말포함)
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