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론 1. 中道를 모르면 불교를 모른다!

  Рет қаралды 100,137

Danye Sophia Audio Book

Danye Sophia Audio Book

2 жыл бұрын

#불교#중도#깨달음

Пікірлер: 136
@danyesophiaaudiobook8449
@danyesophiaaudiobook8449 2 жыл бұрын
영상 오른쪽 자막 버튼 누르고 들어가시면 '한국어'(가장 밑에 있는 한국어자동생성 말고) 라고 나오는 부분을 클릭하면 자막이 나옵니다~
@user-og3dv2ct7b
@user-og3dv2ct7b 2 жыл бұрын
소피아님!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드리며 질문드립니다. 내용중 방편으로 하시는 말씀이라고 추측하지만 2차원에서 생물이 존재할 수 있나요??? 부피가 없는 생물이 존재할까? 설명 존재한다해도 2차원에서 생물이 생존할 수있는 조건이 갖추어 졌을까??? 방편 또는 가정이라고 한다면 불가능한 비유는 설득력을 잃게 될 수 있기에 드리는 질문입니다. 3차원에서 본 2차원은 평면이라고 이해하여 엎드린 생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고개를 들면 3차원이다 라고 설명하셨는데… 시원한 답 부탁드립니다.
@user-uf9ez9fe6j
@user-uf9ez9fe6j 3 ай бұрын
이 분 대단하시네요. 엄청난 내용입니다.
@lightbe.8555
@lightbe.8555 Жыл бұрын
수행에, 깨달음에 목메지 말라. 깨달음이라는 건 깨달음이 아니다. 단지 그 이름이 깨달음일 뿐이다. 깨닫는 것은 아주 단순하다. 나에게 불성, 자성이 있음을 알고, 불이중도, 일어나는 생각에 선악, 좋다싫다로 해석하고, 분별해서 싫은 것 버리려고 애쓰고, 좋은 건 집착해서 생각이 온통 마음을 지배해서, 그 생각의 노예로 살지 말고, 생각을 잘 관리하여 마음의 주인이 되라. 고집멸도 고통을 멸하려면 중도를 실천하라 응무소주 이생기심 마음을 머무르게 하지 마라, 집착하지 말라. 평상심을 내라. 나즉너, 이것즉저것, 색즉공, 공즉색, 미즉추, 선즉악, 일즉일체, 번뇌즉보리, 있음즉없음, 주관즉객관, 극락즉지옥 등으로 생각의 양변, 양극단을 버리고 모든 걸 중도로 보는 것, 불이중도가 부처님의 최초, 최종의 가르침이다. 분노, 시기, 후회 등 질투의 마음이 일어날 때 바로 하심, 불이중도로 마음을 무심하게 만들고 평상심으로 돌리는 것.. 그게 깨치는 것이다. 아주 간단하다. 외부의 신에 의지하려고 하지 말고, 자등명, 네 자신이 부처이니, 네 마음을 평온하게 잘 다스려라. 극락, 지옥은 네 마음 속에 있다. 마음알아차리기, 마음챙김, 무심, 무념, 평상심으로 돌아가기를 항상 실천하라.
@user-tr2hb6dw2j
@user-tr2hb6dw2j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ezzo369
@mezzo369 2 жыл бұрын
모든 사람은 각자의 위치에서 느끼는 깨달음에 정진하고 있는 것입니다 깊이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그것이 틀리다 볼 순 없겠지요 그래서 너도 맞고 나도 맞고 우리 모두는 맞는 것입니다 또 성찰하지 않으면 더 높은 단계로 올라갈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모두 성찰을 해야 합니다 내가 높은 경지에 오른 거 같다 느껴도 더 위는 누구에게나 존재를 하고 그렇게 자신의 의식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끊임없이 성찰을 해야 합니다 그렇게 겸손하게 자신을 성찰해 가며 다른 사람이 다르다 비난하지 말고 그들도 맞긴 하나 더 높은 곳에 머무르도록 도와줄 수 있는 마음의 자세가 필요한 것입니다
@user-pl7xe9pc8o
@user-pl7xe9pc8o 2 жыл бұрын
영상잘보았습니다^^
@yeo9991
@yeo9991 18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39:44
@user-vu9jd9jz5l
@user-vu9jd9jz5l 2 ай бұрын
굉장합니다!
@user-cj7fs8zg6i
@user-cj7fs8zg6i 2 жыл бұрын
불교의 위대함을알리고자 하시니 거룩하십니다
@user-es2vz7hs7u
@user-es2vz7hs7u 2 жыл бұрын
부처님 법문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ch-lm2ix
@ch-lm2ix 2 жыл бұрын
지금21세기 꼭 필요한 싯타르타의 가르침
@yeo9991
@yeo999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cb9vd5ok3j
@user-cb9vd5ok3j 2 жыл бұрын
들음으로 귀가 열립니다
@user-op4nr9cz2o
@user-op4nr9cz2o Жыл бұрын
저는 깨달음이라는 말보다는 깨어나서 스스로 창조하며 행복하게 사는거라 생각합니다 깨달음이 아니라 잠든 본성을 깨우다. 즉 깨어나다 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이것이 해탈 중도가 아닐까요? 깨어나서 자유롭게 살면 됩니다 그것이 해탈이라 생각합니다. 깨어나지 못하면 구속(업)에 돌도 돌며 괴로움의 반복.
@user-io1vs9ku1l
@user-io1vs9ku1l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uq8si1jt2n
@user-uq8si1jt2n 2 жыл бұрын
진짜루?
@user-xi1bd2hh2q
@user-xi1bd2hh2q 2 жыл бұрын
종도=쌍차 ㆍ쌍조=깨달음=견성 ㆍ수도=주체ㆍ아름다운=자유 ㆍ행복=무아세계~~^^♡♡
@LDHTKD
@LDHTKD 2 жыл бұрын
오... 중도론 오디오북 있었으면 했는데, 이걸 여기서 듣네!
@user-xt2pv7zy7e
@user-xt2pv7zy7e 2 жыл бұрын
고맙고 또 고맙습니다
@sangyeoulhan7032
@sangyeoulhan7032 2 жыл бұрын
불교이론을 한눈에 알게해주신 소피아님께 감사하고 해박한 지식에 감탄할뿐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불교는 지식이 아니고 지혜입니다 지식은쌓아가는 것이며지혜는 들어내는 비우는 것입니다
@user-mt9fq3zm6u
@user-mt9fq3zm6u 2 жыл бұрын
해가 뜨니 깨어있고 해가 지니 말 과 글이 차원을 넘나드네ㆍ 언제나 고향찾아 가려나ㆍㆍㆍ
@user-mz9um1wl9k
@user-mz9um1wl9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im-zx8gx
@Kim-zx8gx 2 жыл бұрын
단예 님은 어떻게 이런 높은 경지의 가치를 직관하실수있었는지요? 정말 수행의 관점이 제시되는것 같읍니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방송하는 이도 중도 모른다 이론으로 알뿐이다 깨달은자 붓다위는없다히지 않은가
@user-kg9fm9kg2b
@user-kg9fm9kg2b 2 жыл бұрын
끝까지 다 들어보겠습니다 감사~♡
@user-rg3tp3cl5w
@user-rg3tp3cl5w 2 жыл бұрын
👍👍
@straightforward352
@straightforward352 2 жыл бұрын
내가 알고 있는 것이 일천하다는 사실을 가르쳐주심에 감사합니다.
@user-lp4ok2bj6f
@user-lp4ok2bj6f 2 жыл бұрын
3차원의 존재가 그 어떤 상상을 하든 그 무엇을 하든 3차원에 갇혀 있는 것이죠…유일하게 그 차원에서 벗어나려면 3차원의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죠….색즉시공..수상행식도 공 하다는 것 역시 비슷한 맥락이라 생각합니다..
@user-ug6mh5gk8c
@user-ug6mh5gk8c 2 жыл бұрын
중도론책 읽었는데 이곳에서보니 반갑습니다 ㅎㅎ
@user-ux5yx1wr5u
@user-ux5yx1wr5u 2 жыл бұрын
중도론, 감사합니다 ^^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알아 들었단말입니까 어림없는 일
@jaewoonpark2057
@jaewoonpark2057 2 жыл бұрын
반야심경에 중도를 충분히 설하신다 법성계에 궁좌의 실상은 중도에있다라고 의상대사께서 전하셨다^^ 경전공부로 붓다와 조사들의 가르침으로 부지런히수행하다보면 실체가없는마음의실상을 깨닫을수있다 마음을다스릴수 있는법만으로도 깨닫음은충분하다 마음을 깨닫고 마음둘곳이 어딘줄 아는사람을 수행자라한다 수행정진하는자만이 중도만날수있지않을까? 무지에서 벗어나 부처님 바른법을만남이 진정 즐거움이라 열반이라한다^^ 반야심경 법성계로 중도를 바르게 찿아보자 만나 즐거움을
@jaewoonpark2057
@jaewoonpark2057 2 жыл бұрын
인류역사상 가장위대한법 정법이기에 불법승삼보에 귀의하는것 이것이 깨달음 이다 _()_
@user-gl1ix9yd9v
@user-gl1ix9yd9v 2 жыл бұрын
모든 항아리는 같은 재료인 흙과 적당한 물과 도공의 손길과 불로써 모양을 갖추었는데 도공이 색깔과 모양을 다듬으면서 겉모양과 색이다를뿐 항아리의 태생은 같다 다만 우리가 보는 눈에는 이 겉모습이 다인줄 알고사는 오류에 빠져있을뿐 우린 그냥 똑같은 항아리였다는걸 잊은채 자기만의 해석이 진실이라 믿고 산다
@dokdo8888
@dokdo8888 2 жыл бұрын
본성을 자각하고 대자유를 즐기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충전소인듯
@user-cj7fs8zg6i
@user-cj7fs8zg6i 2 жыл бұрын
용수의 중론 인연소생 나는 이것을 공이라한다 인연소생 나는 이것을 가假라고 설한다 인연소생 나는 이것을 중中이라 설한다 있지만 있느 ㄴ게 아니고 없지만 없는게 아니고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다 라는 글을보았는 데 저는 이말씀에 참으로 깊히 공감합니다 단예님의 말씀ㅇ ㄹ처음 부터 안듣고 오늘 두번재 현재 나와 있는것만 들어서 내용을 잘모릅니다만 아무튼 단예님의 말슴에는 저가 모르는 어던 깊은 도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e9bk6xf8x
@user-le9bk6xf8x 2 жыл бұрын
진리의 도는 무었인가. 눈 밝은 사람이 깊은 우물에 빠졌다.
@user-sg6ic3yo4s
@user-sg6ic3yo4s 2 жыл бұрын
깨달음이란 해탈열반도 아니고 살면서 문제를 해결해가는것! 중도란 이것도아니며 저것도 아니고 이것도맞고 저것도맞다~?! 감사합니다~♡
@user-zj9jj1vm7s
@user-zj9jj1vm7s Жыл бұрын
@user-gx8ey4of1i
@user-gx8ey4of1i 2 жыл бұрын
비교적 공감할수 있는 영상이다. 중도는 중국으로 들어가 중용과 만났다. 그때문에 중도의 설명 모델이나 방법과 중용의 설명 모델이나 방법이 같아졌다. 그것은 현악기의 조율을 예로들며 과유불급을 중도라 설명하는 것이다. 불가 중도를 대표하는 서적은 용수보살(나가르쥬나) 중관론 이겠다. 유가 중용을 대표하는 서적은 유가사서에 중용이있다. '양극단을 잡고 중용을 베푼다' 하는것은 중용장구에 서술된 것이다. 불교에서는 이 문구를 본바가 없다. 현악기의 조율을 예로 든것은 아마도 불교 쪽이지 않을까 싶다. 물론. 유가의 가르침 곳곳에서도 악기조율 과 과유불급이 등장하지만 원조라고 보기에는 미심적게 여겨진다. 왜냐하면? 중용을 묻는 제자에게 공자는... "솔개는 구름속에서 나타나고 물고기는 못에서 뛰어오른다" 하는 시경 구절을 인용하며... 이야말로 중용이 위와 아래로 들어남이 아니겠느냐? 라고 가르쳤다는 것이 논어에 수록된 내용으로 기억된다. 불가 중도와 유가 중용이 모두 현악기의 조율과 과유불급을 도출하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강남포교원 스님이 담당하던 라디오 상담 코너에 질문한것이 채택 된적이 있다. 스님의 답변은.... 일단. 유가 중용에 대해서는 불교가 아니므로 전문적 소견을 낼수 없다. 하셨고... 불가 중도는 연기법을 바탕으로 나온 것이니 유가 중용과는 전혀 다르다 하고 다만. 그 실천 면에서 유사할수 있는 것이다. 하는 취지의 말씀으로 들었다. 고행도 아니요 방일도 아니라는 것이 어떻게 연기법과 연관되는 것일까? 고행과 방일은 양 극단이다. 이것과 저것은 상대 적이다. 만약. 생과 사가 양 극단이면? 생도아니요 사도아닌 중도적 삶이란게 가능하기나 한것인가? 무슨... 얼토당토... 연기법 사구게를 보자. 차유고피유 차생고피생 차멸고피멸 차무고피무 유와 무의 적당히 조율된 중도란? 그것의 조율된 현악기와의 관계는? 그렇다. 결론부터 말하면... 중도 모델로서 현악기의 조율을 예로 드는것은 부적당 하다는 것이다. 연기법이 거문고 가야금 비파겠는가? 연기법의 중도는 중첩상태다. 태극문양을 떠올려보자. 빨강과 파랑이 중첩된것을 나타낸 것이지 적당히 뒤섞여 거무틱틱한 모습이지는 않다는것이다. 고행과 방일을 적당히 뒤섞어 버무려 놓은것이 옳바른 수행법이란 말인가? 중첩이란 혼합도 융화도 아니다. 태극이 어찌 뜻뜨 미직찌그리 한 상태겠는가? 이는 마치 남성도 여성도 아닌 사람이 가장 바람직한 인간상이라 보는것과 유사한 오류이다. 아빠와 엄마가 가정을 이룬다. 가정은 남성과 여성의 중첩이다. 거기서 남성인 아들이나 여성인 딸이 태어나는 것이다. 바람직한 수행이란? 고행과 방일의 중첩이겠다. 고행 가운데 방일이 있고 방일 가운데 고행이 뚜렷한 것이지 고행과 방일이 믹서된 어정쩡한 짓꺼리가 수행은 아니란 것이다. 그래서 용맹정진이 있고 행선이 있는거다. 피땀흘려 노력하는 가운데 한줄기 휴식이 있는것이고 휴식을 즐기는 가운데 한줄기 노력이 끊이지 않는것이다. 용수보살의 중관론은 물리학의 입자론과 유사할 정도로 정교하다. 가장 작은 소립자 개념을 궁구하면서 그는 가로 세로 높이의 삼차원에 붕괴를 경험한다. 길이가 존재 하는한 나눌수 있다는 식이다. 더 쪼개거나 나눌수 없는 입자라면? 그것이 입자이겠느냐? 그러한 논리를 전개해간다. 중관론은 차원을 쌓아가는 적분이 아니라 차원을 나누어가는 미분론이다. 5차원 6차원이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0차원이 도출된다. 차원 개념처럼 인간의 교만심이 덕지덕지 붙은것도 찾아보기 어렵다. 일차원 이차원적 사고를 하등생물이라 여기고 삼차원 사차원의 사고를 고등생물 이라 여기는 것이다. 잘났다 정말.... 쩝. 0차원이든 4차원이든 모두는 보편적이고 정상적인 인류 모두의 사고 방식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서울 부산 대구... 사과 배 대추... 소금 설탕 간장.... 지구 태양 달... 은하 우주 시간 공간... 이 모두는 대개 0차원적 점의 개념이다. 즉. 일체의 존재 개념적 사고는 점으로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서울 에서 부산 까지. 서울 과 부산은 0차원. 점이다. 점과 점을 잇는것이 선분이다. 1차원적 사고방식이다. 지렁이나 벌레등 하등생물 사고방식이 아니라 지극히 정상적이고 총명한 보통 사람들의 사고 속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아파트의 평형개념 각국의 영토개념이 2차원 개념이다. 개미는 무슨 개미란 말인가? 평면 지도를 놓고보는 사람의 사고방식이 개미처럼 하등하다는 것인가? 부피개념이 삼차원이다. 입방미터 단위로 계산하고 앉았으면? 영토넓이 바다넓이 따지고있는 한일 정부기관보다 고차원적 인간이란 것인가? 참으로 교만심이 하늘을 찌르는 가소로운 모습이다. 불가에서 하심을 가르치거늘. 4차원 5차원 사려할수 있다고 하여 우쭐하고 뻐기는게 하심인가? 짚신벌레 아메바 보다도 천박한 생각이라 하겠다.
@eternity2521
@eternity2521 3 ай бұрын
화내지 마소서... 위 영상은 쉽게 설명 하기 위한 한 두 가지 방편이 겠지요.
@mangotree9187
@mangotree9187 2 жыл бұрын
중도란 삼차선 도로의 중간차선이 아니린 올바른 길 입니다 . 거기에늣 8가지가 있는데 그것이 8정도입니다.
@user-dp5bi1md8n
@user-dp5bi1md8n 2 жыл бұрын
인과응보 : 3차원, 과보,천상,윤회 (천안) 인연화합 : 4차원, 공,본성,참나,신(혜안) 실체없음 : 5차원, 무아,일체無 (법안) 有無圓融: 6차원, 정견, 중도 (불안)
@dannyjung3884
@dannyjung3884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사님
@user-wl3nc9gg9w
@user-wl3nc9gg9w 2 жыл бұрын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일수 있는 자각....그것에 집착함에 없이 그것들을 이용할수 있는 현명함이 아닐런지..?
@user-fp2gv8pb7m
@user-fp2gv8pb7m Ай бұрын
생각이란건 생명체마다 있는것이고 생각없음이란 온우주를통틀어 오직하나 그런이유로 하나님 이라했을지도
@mangotree9187
@mangotree9187 2 жыл бұрын
깨달음을 얻는데는 경전 글귀 한 줄이면 충분하며 머리속으로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다만 실천의 행이 부족할 뿐입니다
@JohnKim-jx4kw
@JohnKim-jx4kw 8 ай бұрын
ㅎㅎ...깨달음은 머리로 이해하는게 아님.. 깨달음은 마음 깊은 곳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진리를 실행(실천의 행)하고 그 진리가 이루어졌을 때.. 깨닫게 되는것.. 머리로 이해하는건..절대 깨닫는것이 아님.. 걍..!!!.. 이제 무언가 시작하려 준비하는 상태.. 그러나 실제 실행을 시작하여 자신에게 완성하지 않으면.. 도로아미타불 ..
@cucina_gold34
@cucina_gold34 2 жыл бұрын
🙏🙏🙏
@caspa1044
@caspa1044 2 жыл бұрын
수행한다는 사람들이 에고가 제일 강한듯 보이는군요. 댓글 볼만 하군요.
@nolifegamer-homemadevideo3746
@nolifegamer-homemadevideo3746 Жыл бұрын
호오. 댓글만 봐도 참으로 혼란하네요
@last.bodhisattva
@last.bodhisattva 2 жыл бұрын
중도가 중요하지만 그대로 해석하여 깨닫지 못한다면 선지식이나 스승의 탓으로 돌리게 됩니다. 깨달은 승려가 속세에 나올일이 없겠죠...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마조어록에 평상심이 道다란 말이 맞다
@user-jt5me2vo9u
@user-jt5me2vo9u 2 жыл бұрын
제 짧은 소견으론 현실세계가 최상승 화엄장엄세계이고 일체 법문일거 같습니다. 아무리 고매한 진리라도 인간의 의식에서 받아들이지 못하면 존재가 불가능할겁니다. 유, 무도 찰라찰라 변화하는 모든 존재는 영속성이 없다고하지만 찰라찰라 변하며 존재하는건 영원하니 찰라변이 곧 영속이며 이게 중도실상이란거 아닐까요?
@user-jt5me2vo9u
@user-jt5me2vo9u 2 жыл бұрын
가장큰문제는 깨달음이 공유가 않되니 그거 참 난감한 문제입니다. 깨달음이 뭔지 모르는데 어찌 깨닫는지?
@user-hc7zz4rq3k
@user-hc7zz4rq3k 2 жыл бұрын
중도란 없다 이상적인 사상일 뿐이다 현실을 보라 권력ㆍ재력에 빌붙어 살지않는가?
@CMC93.7.15
@CMC93.7.15 7 ай бұрын
㲴 刀 戒 😊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정치에서 중도는 불교의 중도는 천양지 차다
@user-lf1xx9pi7o
@user-lf1xx9pi7o 2 жыл бұрын
쉬운데 참 어렵네요
@user-th7nw5pj2i
@user-th7nw5pj2i Жыл бұрын
어려서 어른 흉내 내고 독한 술담배 해다가 어른 돼서도 하듯이 부처 흉내 내면 부처 된다 물론 비유지만 ㅡ
@jihyun6489
@jihyun6489 2 жыл бұрын
중도는 그냥 구경만 하는 것 있으나 마나한 자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2 жыл бұрын
중도로가는 길이
@user-sg6bp5mt6z
@user-sg6bp5mt6z 2 жыл бұрын
따뜻하지도 차지도않고 밝지도 어둡지도않고
@user-wl3nc9gg9w
@user-wl3nc9gg9w 2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닌거 같은데요?따뜻함과 차가움에 대한 치우친 선호에 머무르고 집착하는 것을 경계하는게 중도인거 같은데요? 모든건 그 나름의 가치가 있는거죠....그래서 부처가 강을 건넌이후에 필요없어진 나룻배에 집착하지 말라고 하신듯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임.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Жыл бұрын
아니다. 깨달음을 이루면 얻는 것은 실존뿐만이 아니다. 깨달음을 얻으면 모든 것을 얻는다. 그러나 욕망에 깨달음을 얻고자 하면 얻을 수 없다. 모르는 자의 소음에 답하는 것도 매번 허무하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중도는 至道無難 唯嫌揀澤 이 두글귀만 알면 끝이지요
@user-yr1bn6cy4h
@user-yr1bn6cy4h 2 жыл бұрын
온통 생각놀음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중도란 지극히 어렵다 무아는 멸진처가 아니지요
@TV-by2zx
@TV-by2zx 2 жыл бұрын
추가
@fact2044
@fact2044 2 жыл бұрын
요한복음 14:6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시기를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사람이 아무도 없느니라.
@kyk200107
@kyk200107 2 жыл бұрын
참나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 나예수아닌 모든이의 영혼이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목사야 알아라 돈.여자.사기치지 말고 장님이 장님을 인도 한다
@user-yl5dj6uf6v
@user-yl5dj6uf6v 2 жыл бұрын
낄때ㆍ안낄때도 모르고ᆢ 본인이 찾아가야할 주소도 번지수도 모른는 ᆢ 길잃은 어린양 같군! 수준에 맞는곳 잘 찾아서 가셔라~ 여긴 한단계 높은수준이라 못알아들을거임!
@user-ij5wq6ek6q
@user-ij5wq6ek6q 2 жыл бұрын
열반경이 무엇을 표현하는지를 직접 몸으로 느끼시면 그것이 중도이고 중도는 입구가운데를 깨우는것입니다. 그입구는 몸의 정가운데에있고 방법운 숨으로 기를 쌓는것입니다.
@jaewoonpark2057
@jaewoonpark2057 2 жыл бұрын
윤회론을벗어나 해탈하고자는것이 불교라생각한다 윤회론이 아닌 자유해탈론이 붓다의핵심^^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중도를 모르면 불교를모른다하면 불교는 아주 극수수지의 것만 된다 참나나 주인공 자성불을믿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에너지불변의 법칙 양지학의적용은 나와 인간의 모두에게 별반 도움 되지않는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힌두교는영혼불멸을 인정하고 불교는 인정하지 않는 차이점 아닌가?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중도는가운데 길이아니다 쌍차쌍조는성철스님이 주장 하셨조 의상대사 법성계에 끝말에 중도가 나오지요
@user-rf9bx4vb3n
@user-rf9bx4vb3n 8 ай бұрын
물귀신 인가 !!
@jubuto9154
@jubuto9154 2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애매하네요. 무슨 말씀이죠?
@danyesophiaaudiobook8449
@danyesophiaaudiobook8449 2 жыл бұрын
중도론 [서문]이니 그 이후에 올라와 있는 중도론 영상을 쭉 보시다 보면 좀 더 이해의 폭을 넓히실 수 있을 겁니다.
@user-ps6gz8wq5p
@user-ps6gz8wq5p 4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 맞기도 하지만 아니기도 하다?
@user-vj8sw2wu2f
@user-vj8sw2wu2f 10 ай бұрын
중도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다는 주장은 틀렸습니다. 중도는 조화를 염두에 두고서 씀에 있습니다. 통합이 아니라, 한쪽으로 쏠릴수 있다는 것은 조화를 위한 씀이며, 자식을 위하는 참부모의 모자란 자직에 편애하는 부모의 마음입니다. 그래서 중도란 조화를 위한 효율적 씀에 있습니다. 세상의 모습이 한쪽으로 치우쳐 존재하므로, 씀 또한 상반되는 치우침이어야 중도를 이루게 되는 이치입니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깨달아 산중깊이 들어가면 무슨 소용이있으리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아미타불은 무엇이며 미륵불은또 무엇입니까?
@eternity2521
@eternity2521 3 ай бұрын
석가세존 이전에도 부처님이 있었고 또 이후에도 있을 부처님 입니다.
@user-jt5me2vo9u
@user-jt5me2vo9u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찰라를 말하고 영원을 말하지만 찰라의 집합이 영원이라면 찰라즉 영원이 아닐까요? 찰라 영원은 개념(이미지)일뿐 누가 찰라와 영원을 경험할수 있을까요?
@theknifemartialarts.9053
@theknifemartialarts.9053 2 жыл бұрын
에너지명상의 진동과 파동ㆍ
@namuamitaabul
@namuamitaabul 5 ай бұрын
중도는 비유비무, 묘관찰지를 이야기 하는것이지 현상에서 조화로 이야기하면 이 또한 근본에 조금도 다가서기 힘듭니다. 존재 자체에 대한 실존과 의문을 해결하려면 철학의 원리인 체상용의 관점을 유통할 수 있어야 하고 종교적으로는 법신보신화신의 가르침를 아우를 수 있는것입니다. 깨달음에 대한 정의는 대승기신론에 명확하게 나와 있습니다. 왜 사람들은 천년의 조사들이 증명하는 것은 간과하고 말만 무성한거 같습니다. 진정 그길을 꾸준히 가면 이미 다 알려주고 있는것을 내가 모를뿐인 거죠. 결론은 체상용의 관점?으로 접근 할수 있어야 하는데 대부분 현상적인 것으로 저차원 고차원으로 나눠서 얘기하면 영원히 어렵습니다. 오히려 무차원이지요. 높고 낮은게 있나요? 조금 깨달았다 하더라도 이상해져 버립니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질양법칙도 나에게는 아무의미가없다 내가 죽으면 만사 휴의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도는 닥는다고있는것도 아니고 닥지 않는다고없는것도 아니다 但無일ㅡ念 卽得法王無上珍寶 신심명만 깨치면 중도를 알게되어야 한다 知道無難 유혐건택
@user-zd1gh2pv1i
@user-zd1gh2pv1i Жыл бұрын
중도를 말하기전에 지구행성의 비밀부터 알고 수행해야 한다. 크리슈나 무르티도 말했지만, 지구인은 지구에 갇힌 영원불멸의 존재인 이즈비다.한마디로 이즈비들은 감옥인 행성에갇힌 기억을 삭제당한 죄인인것이다.그대, 소피아! 어떻게 생각하는가?
@user-ht6rn5fl1s
@user-ht6rn5fl1s Жыл бұрын
화면에 보이는, 중도론이란, 책 입니까? 어디서 구입하는지, 출판사는?
@user-uv3ij9zk2c
@user-uv3ij9zk2c 2 жыл бұрын
도가운데 있는것이 중도지 간단하지
@sju6004
@sju6004 2 жыл бұрын
1억받아요. 매월 150만도 받고요. 중산주의해요.
@ppangminjeongeum
@ppangminjeongeum 2 жыл бұрын
입을열어 설법 하심은 자비의마음으로 방편을 쓰심 인데 ......방편을 또 설명하자니 팔만사천법문도 모자람이라...... 꽃 한송이들어보이심 으로 설법을 마치셨네........... 빙그레 웃을뿐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色이없어져도 空은 영원합니까 영성이무엇입니까? 영혼입니까? 해탈은이분법이라 쓰지 말아야 합나다 對對에어긋 난다 거문고의 팽팡함이 중도가아니다 12연기는 반야부에 오면 空이 된다 양극단에 머무러지 않어면서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5차원까지 불교는 중생에게는 무의미하다 이런식이면 깨달음을 말하지 말 라 그냥 형의상학으로만 남는다 말하시는 분은 깨달었읍까? 그냥主人空을 믿고 맡기고 푹쉬어 일체걸림없는 대자유인으로 살아갑니다 이게 깨달음입니다 10년30년을 수행해도 못깨닫는거 동안거 하안거그거 왜 하는지 그냥 자성불을 믿는게훨씬 낫지 않겠습니까하는 생각입니다
@user-mz7ho4vq9b
@user-mz7ho4vq9b 2 жыл бұрын
예수님을 믿으십시오
@user-uj8df4ye7l
@user-uj8df4ye7l 2 жыл бұрын
왜 믿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user-mr2gy7bf2g
@user-mr2gy7bf2g 2 жыл бұрын
@user-pu6lq6qi8p
@user-pu6lq6qi8p 14 күн бұрын
깨달음은 없고 알기만하지 깨달음이 잇ㅆ다는건 뭘보고아나하면 신통력이 생겼나 안생겼나보고알지 지금은 말법시대기때문에 절대없지 깨달음은 지스스로하는것같지만 절대스스로는 없지 다 신의 도움으로느낌을받는걸 깨달음이라하지
@user-nj6ju4gd1m
@user-nj6ju4gd1m 2 жыл бұрын
자막이.안되네요
@danyesophiaaudiobook8449
@danyesophiaaudiobook8449 2 жыл бұрын
영상 오른쪽 자막 버튼 누르고 들어가시면 '한국어'(가장 밑에 있는 한국어자동생성 말고) 라고 나오는 부분을 클릭하면 자막이 나옵니다~
@user-ts6si7ti9d
@user-ts6si7ti9d 2 жыл бұрын
^^ 원래 최초의 타이틀 자는 더 힘들지만 그 뒤를 따르는 자들은 그보다는 덜 고생합니다.. 우리의 지성은 예수가 가르쳐주었던 거짓말하지 말라를 넘은 상태입니다.. 그 깨달음을 너무 멀리보는 건 아닌지요..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2 жыл бұрын
께딜음을 얻으면 실존을 알게된다. 그러나 실존을 알게되어 오는 깨달음은 온전한 깨달음이 될 수 없다. ... 물론 ... 부처의 가르침이 나침판은 아니다. 그렇게 여기는 사람들만이 있을 뿐이다. 부처의 가르침이나 불교의 가르침은 차원이 다른 것이 아니다. 불교가 과학으로부터 공격을 안 받는 이유는 서구 과학자들로부터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과학적 사고를 부처가 적용하기는 했다. 그러나 그 전제적 가르침과 사회는 맞지 않다. 물론 깨달음을 얻은 부처가 말했기에 현대의 과학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그리고 그러한 경지를 가는데는 불교가 언급하기는 하지만, 너희가 그런것을 언급할 대상이 아니다. 부처가 먹다버린 부스러기 가지고 마치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듯 떠드는 것이 챙피하지 않은가? 왜 모른다 말하지 않는가?
@user-ps6gz8wq5p
@user-ps6gz8wq5p 4 ай бұрын
석가모니가 깨달았다고 하는데 그걸 누가 검증하지? 최고가 석가모니인데 그 아래 경지에 있는 자가 어떻게 판단을 하지? 깨달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그 경지가 사실인가를 누가 인증하지? 악플이 아니고 지금 궁금함이 넘쳐서 적어봅니다!
@eternity2521
@eternity2521 3 ай бұрын
불도를 닦아 깨친 자는 먼저 깨친 선승이 반드시 검증합니다! 그리고 부처님은 여기 있으면서 또 다른 곳에 여러 갈래 몸을 나누어 설법도 하셨습니다.
@eternity2521
@eternity2521 3 ай бұрын
불교에서 해탈에 이르기에 여러 단계가 있는데 해탈에 이르기 전에 이미 나와 남의 전생을 다 알고 앞으로의 일도 알게 됩니다. 여기 있어도 저기를 볼 수 있고, 알게 됩니다. 생각 만으로 원하는 곳에 있을 수 있습니다. 여섯 가지 신통을 얻게 됩니다. 그러나 완전한 해탈에 이르기 전에는 사용치 말라고 가르칩니다. 그 재미에 빠져서 옆길로 새게 되고, 마음에 때가 끼고 자연히 신통도 어두워져 요상한 상태로 머물게 되지요. 그러면 왜 도승은 신통력을 안 보여 주나? 그것은 속세의 중생이 무명속에 그것만 따라 하려다 자기 가정과 스스로 또 남을 망칠 우려가 큽니다. 중생도 이미 그 경지(깨침)를 가지고 있는데... 자연히 속세와 인연이 다하면, 자성 따라 닦고 닦아 붓다가 됩니다. 도승이 깨닫고 나면 더 깊이 들어가 나오지 않는 이유지요. 혼자 삼매에 들고, 온갖 곳에 노닐다가.. 다 알고 보고.. 지구도 벗어납니다. 오죽하면 지구로 구슬치기 한다 할까요! 싫증나면 열반에 들 날짜를 지정하고 정확히 그 시간에 몸을 벗고 열반에 들지요. 그래서 도승은 인간 4대 의혹을 푼 사람입니다. 어미로부터 오기 전에 나는 무엇이었나? 나는 무엇인가? 언제 죽는가? 죽으면 어딜 가나? 또 시원을 알게 되지요.
@user-gh1by9gx2s
@user-gh1by9gx2s Жыл бұрын
실재 부처는 어디에 있는가? 마음속이나 사물이나 대 자연의 대상은 아닌 실재 부처님~
@user-wr7en2ro1w
@user-wr7en2ro1w 2 жыл бұрын
아무도 중도를ᆢ모름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윗빠사나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user-ps6gz8wq5p
@user-ps6gz8wq5p 4 ай бұрын
근데 왜 깨달으려고 하지?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님 은 깨달았으며 부처의 호칭을 둘어 미흡함이 없읍니까? 그런 지고지난한 깨달음은 언필칭 중생하고는 의미가없다 내가 부처다는말은 自性佛은 어느사기꾼이 만들어 낸걸까?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그대는중도를아는가 중도 몰라도 관계없다 자성불에 믿고맏기면된다 중도를알면 영생하는가? 몸이없어져 지면중도도아무런 의미가없다
@user-on2io7zm8z
@user-on2io7zm8z 2 жыл бұрын
고개를비짝 처들면 된다니 마음을비짝 처들어야지 무슨 소리를 하는거요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2 жыл бұрын
중도가 죽어야 불교의 가르침이 산다. 중도는 없다. 부처의 가르침조차 엉터리다. 중도는 ...... 없다. 공즉시색 색즉시공에 대한 이해나 설명조차 틀리다. 그렇게 이용할 수도 있지만, 부처의 가르침은 그것을 말한 것이 아니다.
@user-oe7td3wi7s
@user-oe7td3wi7s 2 жыл бұрын
깨달을 것이 있는가? 당신은 깨달았는가? 제1원인이 생명인데 출가하라고? 생명의 끈을 끊으라고?
중도론 2. 붓다가 법을 전하기를 포기한 진짜 이유
16:32
Danye Sophia Audio Book
Рет қаралды 17 М.
공(空)이란 무엇인가?(공의 진실)
44:04
찬인
Рет қаралды 47 М.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나는 누구인가 18. 깨달음, 입자와 파동을 알면 끝난다!
15:02
Danye Sophia Audio Book
Рет қаралды 30 М.
[#당필지 ] 중도란 무엇인가 l 활성스님
24:56
한국불교 대표방송 BTN
Рет қаралды 7 М.
불설대승금강경론(수정본)
32:32
3년에 걸쳐 8만대장경을 읽다
Рет қаралды 14 М.
中道란 무엇인가? 중도를 모르면 불교를 모른다.
9:02
나는 누구인가 1. 현대물리학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세계!
15:27
Danye Sophia Audio Book
Рет қаралды 41 М.
싯다르타의 중도(中道)와 양자역학!
9:26
Danye Sophia
Рет қаралды 4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