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하려고 산 땅을 누군가 쓰고있네요...

  Рет қаралды 1,582,335

따라티비

따라티비

Жыл бұрын

땅을 정리하려고 예초기와 낫을 들고 오래간만에 방문했는데...
이게 무슨 일인가요~!!!!!

Пікірлер: 2 900
@user-jq6wq8gh6m
@user-jq6wq8gh6m Жыл бұрын
땅전체를ㅋㅋ땅주인 있다는걸 뻔히 알고서도 저정도로 사용하는건 얕봤다는거죠....와 대단하네요 밥이나 한끼주고 마치 자기네 땅마냥 쓰는거네요.ㅋ옆땅 주인이 무섭게생긴 건달들이였다면 썼겠어요? 상추 그거얼마나한다고
@bleejackson6662
@bleejackson6662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이 그걸 모르겠냐.. 아니까 그냥 넘어가는거지.. 서로 바로 옆집인데 욕하고 치우라고 하면 앞으로 더 힘들어진다.. 애새끼마냥 화내는게 ㅂㅅ인거지
@user-lv9xh5fr6q
@user-lv9xh5fr6q Жыл бұрын
@@user-mc8yh4gm1l 남의 땅에요? ㅋㅋ
@JG-ky3rh
@JG-ky3rh Жыл бұрын
ㅅㅂ 역시 헬조센. 무단으로 점유해서 저렇게 쓰다가 나중에 자기땅이라 우길듯?
@user-mc8yh4gm1l
@user-mc8yh4gm1l Жыл бұрын
@@user-lv9xh5fr6q 물론 남의땅을 막 굴리는건 나쁜짓이에요
@user-zu2sw9mm1p
@user-zu2sw9mm1p Жыл бұрын
​@@user-mc8yh4gm1l그건 타인이 판단할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user-doctorlee
@user-doctorlee Жыл бұрын
소나무 그대로 두시고 농막이나 컨테이너 가져다 얹어 놓으세요. 나중에 집 지으실 때 마음고생 많이 해요. 경작물 일단 싹 올라오면 개인재산이니 중간에 베어버리지도 못합니다. 이웃이 능구렁이 같이 지주가 어리다고 아주 물로 보셨네요
@user-jh8ex2od8n
@user-jh8ex2od8n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그니까요..아예 전문적으로 농사를 지어놓고 허락안받아서 죄송한척~ ㅋㅋㅋㅋ남의땅에 건물지어도 점유권있어서 철거 못합니다요~
@yunnyhome
@yunnyhome Жыл бұрын
이웃이 별로네
@positivekebi
@positivekebi 11 ай бұрын
저거 나중에 돈주고 쫒아내야합니다. 나무늘 잘알아보시고 베세요. 골치아파집니다
@koreanote2
@koreanote2 10 ай бұрын
다 제거해도 농작물이 다 자라서 가치가 생기기 전까지는 가치가 없어서 보상할 필요가 없다고 들었습니다.
@user-su9tf7wh7k
@user-su9tf7wh7k 4 ай бұрын
한번 시작하면 내보내기 힘듭니다 처음부터 막아놔야지요
@manziro777
@manziro777 Жыл бұрын
제 지인은 상속받은땅을 양도세 때문에 무상임대 줬다가 아직도 땅을 못팔고 있어요. 작물때문에.. 시골사람들 어리숙해보이지만 정말 영악하고 무섭습니다.. 속지마세요
@estherkim8103
@estherkim8103 4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희집도 이거때문에 머리아팠음요.
@henny-life
@henny-life 2 ай бұрын
지상권 문제 엮이면 머리아파요 ㅜ
@jeonttangkeu
@jeonttangkeu 2 ай бұрын
ㄹㅇ 인정 우리땅 2미터 침범해 집 짓은것도 눈감아줬는데 개심해서 태클 거니깐 가건물이엿음 ㅋㅋ 지금 집 전체를 뜯어야됨 ㅋㅋㅋ
@user-yk4hn3pn5d
@user-yk4hn3pn5d 2 ай бұрын
아니요 법으로 하면 남땅 무사으로 조서도 남땅나무심은사람 파내라던데요 우리땅에 소나무를심어서 파내라니까 파내고 비워주던데요 군청 이나 법으로 하면되요
@aug119
@aug119 Ай бұрын
인삼은 6년인가 그렇죠. 영악하고 무서운게 아니라, 그렇게 계약을 해서일 겁니다. 땅 주인이 갑이에요. 밀릴게 하나 없습니다.
@user-pj2mn9lj6u
@user-pj2mn9lj6u Жыл бұрын
계단까지 낸거는 사용하기로 작정하고 만든거구만 너무 착한거 아닙니까
@user-hd9ou6mn9k
@user-hd9ou6mn9k 5 ай бұрын
착한건지멍청한건지
@user-sc3hx4zt1t
@user-sc3hx4zt1t 4 ай бұрын
@@user-hd9ou6mn9k 땅주인은 멍충한거구 몰래 땅먹을라구한 저 범죄자들은 대가리가좋은거
@TTTaa12
@TTTaa12 2 ай бұрын
@@user-hd9ou6mn9k 멍청이지
@user-tl5hb8nj4p
@user-tl5hb8nj4p Жыл бұрын
땅 문제는.. 정말 어이없는 일이 많아요 처음부터 아예 못쓰게 하는게 상호에 나중에 더큰싸움을 막는거 같아요
@ygggu6767ef
@ygggu6767ef Жыл бұрын
저두 지금 산땅이 그꼴이 났습니다. ㅜㅜ
@user-y226
@user-y226 Жыл бұрын
??? : 아니 땅 써도 된다매요 왜 이제와서 말 바꾸세요? 하 진짜.. 그럼 복구비용 5대5 하세요!!
@Garmr2
@Garmr2 Жыл бұрын
이거 맞음. 시간지나면 그땅 넘어감 ㅋㅋㅋ 20년인가? 법적으로 안돌려줘도 될거임
@user-uv7kr8mw7q
@user-uv7kr8mw7q Жыл бұрын
강꿀벌님 말씀 정답입니다
@sogogi29
@sogogi29 Жыл бұрын
맞음 이거 나중에 문제 크게 날듯 ㅋㅋㅋㅋㅋㅋㅋ
@user-br9xd1mf3v
@user-br9xd1mf3v Жыл бұрын
법 잘 모르는거 알고 만만하게 봤네요 ㅋㅋㅋㅋㅋ 내 땅도 아니고 옆집이라고 인심쓰다가 나중에 자식들이 고생합니다. 저 사람들은 무단점거중인데 미안하다니요
@user-sm8rd6fs9t
@user-sm8rd6fs9t 8 ай бұрын
100% 저런식으로 하면 땅 뺏깁니다. 자식대에가서 찾기도 힘들고, 뭐좀할려고 비워달라고 하면 농작물 보상해달라고 할겁니다. 땅은 양보하면 안됩니다. 돈을 받고 임대를 주면 몰라도
@user-nf4gd3de8e
@user-nf4gd3de8e 3 ай бұрын
동산 10년 사용후 권리주장 할수있고 그 땅위에 작은 컨테이너 박스라도 가져다두고 땅사용료 먼원 받고 계약서 꼭 쓰세요 . 나중에 골치 아픈 상황 생깁니다. 가까운 부동산 가셔서 꼭 인지확인 하세요
@Staatssi
@Staatssi 3 ай бұрын
이거 맞습니다. 무조건 법적으로 해야함
@chulkjoung5148
@chulkjoung5148 2 ай бұрын
와 코베일려고
@user-uo5is3nu6u
@user-uo5is3nu6u 2 ай бұрын
골치 아픈 일 생기기 전에 원상복구 시키세요~저 사람들은 땅 뺏어갈 수 있는 사람들 입니다. 배려가 권리로 바뀔수가 있어요!!
@block11396
@block11396 2 ай бұрын
감평법무세무공중있는 사람입니다. 안뺏깁니다. 헛소리 좀 하지마세요. 수획시기가된 농작물은 님 말대로 경작자의 소유가 맞습니다. 근데 땅주인은 대신 지료를 청구해서 받아낼 수 있습니다
@Fortecoup
@Fortecoup Жыл бұрын
땅을 함부로 빌려주면 위험합니다. 확실히 계약을 하고 대가를 받고 기한을 정해야지 어물쩍 넘기면 나중에 반드시 법정에서 만나게 됩니다.
@user-fw1eu1tr8q
@user-fw1eu1tr8q Жыл бұрын
절대 사용하게 하면 안됩니다. 지금이라도 철거하게 하세요~ 좋게 시작해도 뒤에가서 딴소리하고 골치아파집니다. 경험자입니다. 법으로 해결하게되니 변호사비 들고 손해 막심이었습니다.
@byung-gyumin1351
@byung-gyumin1351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호구잡힘
@Sj_metal
@Sj_metal Жыл бұрын
인정합니다. 좋게 넘어가주면 감사함을 느끼지 않고 호구로 봅니다.
@user-jc9mq3pv6y
@user-jc9mq3pv6y Жыл бұрын
땅만 좋아 졌구만 뭔 법적타령여 법적타령 할것도 없고만....풀밭인땅 저렇게 해준거면 오히려 땡큐지..요즘 시골사람들 시골땅 밭농사 지어먹으라고 도지도 안받고 줘도 힘들다고 안짓는다...
@seungyeonyoo6331
@seungyeonyoo6331 Жыл бұрын
공감100% 처음에 좋은뜻으로해도 나중에 문제됩니다 저도 당해봤어요 세상엔 좋은사람도 많지만 그걸악용하는사람도 많습니다
@user-hr4mq5hp1w
@user-hr4mq5hp1w Жыл бұрын
​@@user-jc9mq3pv6y 발상자체가 영감이네
@user-se7tg4jb6t
@user-se7tg4jb6t 8 ай бұрын
처음부터 못쓰게 하던지 문서로 사용료 명시해야 합니다. 나중에 뒤통수 맞아요. 작물, 나무 심어놓고 나무값 내놔라 합니다
@user-iu2uo8rx5y
@user-iu2uo8rx5y 10 ай бұрын
땅주인 엄청 착하고 순진하신 분 같네요...... 나라면 바로 원상복구 하라고 했을텐데.....
@PDwooki
@PDwooki 8 ай бұрын
심보 ㅈ같다고 자랑하너ㅋㅋ 원복 안하면 니가 뭐 어쩔건데
@user-iu2uo8rx5y
@user-iu2uo8rx5y 8 ай бұрын
@@PDwooki 어디서 반말이야,..
@luck7man
@luck7man 8 ай бұрын
​@@PDwooki정신병잔가?
@PDwooki
@PDwooki 8 ай бұрын
@@luck7man 시비걸지말고 끄지라
@user-hj9zr1gp8q
@user-hj9zr1gp8q 8 ай бұрын
​@@PDwooki심보 ㅈ같은건 너같은데ㅋㅋ
@asrakim
@asrakim Жыл бұрын
계약서 쓰시고 댓가 받으셔야 합니다. 20년뒤에 소유권 등기이전 청구권 들어오면 생땅을 그냥 넘겨줘야 합니다. 특히 저 계단은 20년 지나면 지역권 설정 되어버려요. 그러면 그 땅 못쓰게 됩니다.
@user-jt3lc5rc4e
@user-jt3lc5rc4e Жыл бұрын
이분말씀이 맞아요. 나중에 소유권 타령하면 내땅이 니땅되고 개판돼요. 임대를 하더라도 계약서쓰고 해야해요.
@abcd-pe7tx
@abcd-pe7tx Жыл бұрын
점유취득이 단지 점유만 오래했다고 인정되는 권리가 아닙니다. 이 사안에선 해당사항 없고 님이 우려하는 상황 벌어질 가능성 제로입니다
@asrakim
@asrakim Жыл бұрын
@@abcd-pe7tx 선의로~ 그런 조건은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만 그냥 쓰세요 라는 말이 20년뒤에 부메랑으로 돌아와서 어떻게 일이 꼬일지 모릅니다. 땅은 처음부터 여지를 주지 않아야 깔끔합니다. ^^
@abcd-pe7tx
@abcd-pe7tx Жыл бұрын
@@asrakim 그냥 쓰세요 라는 말 자체가 타주점유인데 어떤 부메랑으로 돌아온다는건지..신중하게 살아가는건 좋지만 쓸데없는 걱정을 늘릴 필요는 없지요
@jsangjun
@jsangjun Жыл бұрын
20년보다도 중간에땅팔때 골때릴듯
@gwangwoojung5977
@gwangwoojung5977 Жыл бұрын
이건 첫단추부터 잘못된 듯... 갈등과 분쟁, 불행의 씨앗을 스스로 키우는...
@parang_37
@parang_37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땅주인과 연락이되든 안되든 함부로 쓰는거 자체가 사람이 아님..저 정도로 잡초 제거 다하고 쓰는거 자체가 또라이임.. 첨부터 계약서 쓰고 임대비 받는거면 모를까.. 나같음 포크레인 불러서 밭 다 갈아엎어버렸을꺼 같은데,, 물론 포크레인 대여비도 그쪽에 청구하고ㅋㅋ 대단하다 따라티비님ㅋㅋ 내 평생 유툽댓글에 이리 길게 쓴거도 처음임ㅋㅋㅋ
@zhaoyunzulong
@zhaoyunzulong Жыл бұрын
일명 낙타가 몸을 조금씩 밀어넣어서 텐트 안 주인 밀어내기 전법이죠. ^^ 상대방의 선이 어디까지인지 보기 위해......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음음.. 제 선을 명확하게 만들어보겠습니다.
@naroo0907
@naroo0907 Жыл бұрын
​@@ddAraTV 문서같은거 만들어서 유지하세요 만약 10 20년 지나면 님땅이 아니라 저쪽땅이 되버립니다 왜 알면서 이의 제기를 안했기때문에 한국법이 그렇습니다
@user-uh7mu4ox3d
@user-uh7mu4ox3d 5 ай бұрын
​@@naroo0907그걸 노리는 걸 수도...
@user-wf9vp8nr1p
@user-wf9vp8nr1p Жыл бұрын
농사 짓게하시면 추후에 땅 정리가 힘들어집니다. 그부분은 계약서 양식으로라도 미리 정리를 해두시는게 편하실듯 한데 지레 걱정이 되네요
@Won808
@Won808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법이 희안함 내쫓기 힘들어요
@user-lf5ku6qe8c
@user-lf5ku6qe8c Жыл бұрын
저도 비슷한 생각
@HermesDH
@HermesDH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무상임대계약서에 상세한 내용기입해 써두시는게 좋습니다 추후 어찌될지 누구도ㅠ모르니
@user-yq5pd3ks9q
@user-yq5pd3ks9q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옆집에서 여행갔다 왔는데 자기 집에 계단내고 마당을 밭으로 사용하고 있으면 고소하고 난리 났을껄. 해도해도 너무하네. 전화번호 몰랐다고 저러는경우는 도대체 무슨 생각인가 ㅋㅋ 자기 땅만 소중한가? 다른 사람도 자기 땅은 소중합니다. 사이좋게 지내는건 좋은데 따라티비님에게 피해 없도록 확실하게 계약서를 쓰던지 하세요. 요즘 같은 시대에 누가 함부로 남의땅을 씁니까.. 하..
@yro3593
@yro3593 Жыл бұрын
조금이라도 임대료를 받고 있어야 소유권 확실해져 내보내기 쉬워져요 무단점거 오래하면 내보내기 훨씬 힘들어져요
@user-nc7mt2zw3e
@user-nc7mt2zw3e 7 ай бұрын
애초에 남의 땅을 정리한것 자체가 불법행위입니다 어이가없네요
@solitude6213
@solitude6213 6 ай бұрын
땅주인 분 처세하시는 걸 보니 앞으로 골치 좀 많이 아프시겠네요ㅎㅎ
@user-vn4cl4lx7l
@user-vn4cl4lx7l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연락이 안되면 경작을 하지 말아야지 왜 남의땅을 함부로써 그건 아닌것같다
@Malmijalhunter
@Malmijalhunter Жыл бұрын
땅주인이 치우라 하면 치워줬지 싶습니다. 연락해보려 노력한 것만 봐도. 치우는게 대단한 손해도 아닌 마당에.
@claykim4879
@claykim4879 Жыл бұрын
남의땅 거의 전부에 자기네 밭을 만들었는데 이게 뭔 개같은 경우인지ᆢ멀칭까지ᆢ말도 안되는일입니다.
@user-yb5uq4hg9f
@user-yb5uq4hg9f Жыл бұрын
욕심
@user-hx3ni8ej3s
@user-hx3ni8ej3s Жыл бұрын
진짜 경우가 없는 거 같음요 😢 계약서 꼭 쓰세요 . 나중에 후회하실 일 애초에 만들지 마시길요. 뭐 심기전에 치워달라 하시는 게 제일 좋을듯합니다
@Sj_metal
@Sj_metal Жыл бұрын
​@@Malmijalhunter 애초에 안쓰는게 맞는거지 뭔 개소리여
@user-db3qy9ho1x
@user-db3qy9ho1x Жыл бұрын
사용허가해주면 나중에 그땅못찾아요 처음부터 정확하게 땅경계정리하세요
@user-hw6lx6tk4t
@user-hw6lx6tk4t 5 ай бұрын
땅주인이 실수 했군?
@user-ez6nm3sk2d
@user-ez6nm3sk2d 4 ай бұрын
20년 쓰면 땅뺏김
@user-jt7fl7es6p
@user-jt7fl7es6p 3 ай бұрын
올해만쓰게하고ㅡ분명히하셔야ㅡ
@allrisesea
@allrisesea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친 이웃이네요 저런 인간의 탈을쓴 사람들과 주변에 같이 살면 안좋은 일이 많이 생깁니다~ 미안해 할 것 없습니다 꼭 계단과 밭 다 정리하라고 하세요
@user-lp6bh9vm4l
@user-lp6bh9vm4l Жыл бұрын
저렇게 하다가 과일나무 심어 알박기 하면 함부러 뽑지도 못해요. 그때는 사유재산이라 손도 못대요.
@choomr3824
@choomr3824 Жыл бұрын
단도리 잘하셔야지..어영부영 좋게좋게 넘어가다가는 먼 훗날 화가 될 수 있습니다. 작은 텃밭이 경작지가 된거보고 느끼셨으면 좋겠네요 ㅎㅎ
@inhooh4270
@inhooh4270 Жыл бұрын
연락처 없다는 건 핑게이구요 따라티비님 쉽게 봤다는 겁니다. 결례인지 아는 분들이 그랬다? 이미 남의 땅으로 계단 낸 것만 봐도 답이 나오지 않나요? 이웃 잘 못 만났네요.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이 조언해 주셔서 생각이 많아지네요. 저도 조심하겠습니다.
@dustruby
@dustruby Жыл бұрын
​@@ddAraTV 혹시 모르니까, 돈좀 들이시더라도 땅에 쇠울타리라도 치심이 어떠실까요? 울타리가 있는거랑 없는거랑 심리적인 경계가 상당히 클 것 같은데요. 특히나 땅에 항상 상주하시는 게 아니시라면 추후 분쟁을 막으시기 위해 확실하게 하심이 좋으실 듯 합니다. 호의가 계속되면 호구로 보는... 구독자도 아닌데, 영상보다가 걱정되서 댓글 남깁니다 ㅠㅠ
@DOG_KII
@DOG_KII Жыл бұрын
​@@ddAraTV진짜 그냥 놔두시면 안됩니다 부동산에서 일하는데 이러고 그냥 뺏기는분들 꽤나 있어요
@user-pl3hj8zw2m
@user-pl3hj8zw2m Жыл бұрын
​@@ddAraTV 계단도 철거하라고꼭하세요 남의땅에 계단만든건 진짜 문제있는집입니다 나중에딴말합니다
@goodju79
@goodju79 9 ай бұрын
나무는 뽑아내면 땅이 무너질 수도 있을것 같은데 경계를 구분하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zhaoyunzulong
@zhaoyunzulong Жыл бұрын
차라리 저 분에게 땅을 시세에 맞게 팔아버리시는 걸 추천합니다.
@Cpt.Winters.
@Cpt.Winters. Жыл бұрын
심은 작물은 어쩔 수 없으니 올 겨울에 가펜스라도 치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 땅을 돌려받는데 30년 걸렸습니다.
@user-zd5vq9kh3l
@user-zd5vq9kh3l Жыл бұрын
영상속 말씀하는거 보니 착하신거같다ㅜㅜ 저희고모도 몇년전에 집지으려고 역세권쪽 땅샀는데 코로나터져서 자재값이 비싸지는바람에 2년쉬고 올초집지으려고가보니 거기다가 파랑 옥수수 심어놨더라구요 시청에신고하니 한달내 농작물들 치워달라고 말해놓으라고해서 누군지 모르니까 그땅에 현수막으로 언제까지 치워달라하니까 그 불법농작하신분이 하루되기 전날 농작물은 치웠는데 비닐이나 쓰레기 이거저거 자재들 거기다가 다 버리고 갔대욬ㅋㅋㅋ
@user-ko5fg4wv5f
@user-ko5fg4wv5f Жыл бұрын
땅의 사용권은 민사부분이라 구두로 "쓰세요" 이 한마디도 계약입니다. 저 땅을 정리한건 지들이 쓸려고 한거구요. 그리고 남의 땅이지만 농작물은 스스로 경작한 자의 소유이기 때문에 절대 건드려선 안되구요. 시골 내려가거나 저렇게 전원생활 하실때 주의 하실건 "허허 좋은게 좋은거지" 입니다. 절대 그래선 안됩니다.
@claykim4879
@claykim4879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user-hm2bd4kx2h
@user-hm2bd4kx2h Жыл бұрын
정답. 함.당해보면 알게됨 ㅋ
@user-ev7rb5et1u
@user-ev7rb5et1u Жыл бұрын
시골은 말하면서운하다고 하고. 말안하면 이상한 사람되는거요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걱정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내용 명심하겠습니다.
@user-yj7cl6gj2x
@user-yj7cl6gj2x Жыл бұрын
이 분 말씀이 맞습니다. 당장 급하게 사용해야 할 땅이 아니라면 유도리 있게 대처하심이 여러모로 편합니다. 더군다나 옆집이라면 더욱더 이런일로 냉정하게 대했다가 나중에 정작 내가 건축을 해야한다거나 아쉬울 때는 오히려 방해를 위한 민원 등 여러가지로 독이 되어 돌아오더라구요.
@user-jq6wq8gh6m
@user-jq6wq8gh6m Жыл бұрын
다시봐도 계단이 너무 의도적이라 빡치네요.
@junglee857
@junglee857 8 ай бұрын
천친가? 법적으로 저렇게 무상으로 쓰라하면 일정시간 지나면 재판가도 소유권 넘어갑니다.
@Guylian_
@Guylian_ 2 ай бұрын
​@@user-pp9fw8nb9h님... 남의 땅 10년인가 20년 자기꺼라고 여기면서 사용하면 소유권이 땅주인한테서 사용하던 사람에게 넘어갑니다. 법이 그래요.
@jesusismylord7364
@jesusismylord7364 Жыл бұрын
이걸 보니까 내 옆집 생각이 나네요 옆집에서 다시 건축하는데 경계에서 1m이격을 안 지켜도 되냐고 (옆집에서 허락하면 된다고 함) 하루 이틀 본 사이도 아니고 저희 집에서 좋게 허락해 드림 그런데 준공할 때 쯤 와서 보니 기존에 있던 담을 자기 집 벽으로 삼고 집을 지었음 그것도 가관인데 벽에 창문이 없어서 곤란하니 창문을 내게 허락해 달라고 함 그 집이 우리 집보다 지대가 한참 높아서 창문을 내게 되면 우리 집 안까지 다 보임 절대 안 된다고 하니까 저를 집으로 초대해서 방이 이렇게 어둡고 환기가 안 돼서 곰팡이까지 난다고 창문 내게 허락해 달라고 하더군요 만든 지 20년이 넘은 담을 누가 벽으로 삼아 집을 지으라고 했냐고 절대 안 된다고 했죠 게다가 심야 전기 온수통 그 큰 것을 우리 집 쪽에 설치해서 우리 집 전망도 개판이 되었고 항상 그늘이 짐 구청에 온수통 관련 민원 넣었더니 아는 사이인지 들은 척도 안 함 참 아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생각이
@user-bm4do8rn1f
@user-bm4do8rn1f Жыл бұрын
지주분이 사람 너무 좋은거 아닙니까? 땅문제는 명확히 하는것이 좋습니다. 더구나, 옆집분은 님의 땅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계단까지 만들었네요. 나중에 경작 못하게 하면, 토지정리비용등 이유로 복잡하게 얽힐 여지가 충분합니다. 지금은 지주분께서 해야할 경지정리까지 해 놓았다 보니까 품삮 굳었다는 느낌으로 좋은 분위기지만... 역으로 저분들이 맘만 돌려먹으면 경지정리한것까지 문제삼을 여지가 충분합니다. 이웃간의 화목함은 상호 모든것이 정상적일때... 내것 남이 침범하지않고... 남의것 내가 침해하지않는 상태에서 화목함이 유지되는것은 참 좋은일입니다. 반대로 상호간 무단사용,..남의땅에 진입용이토록 계단까지 시설, 품삭굳을 일의 자행등, 미묘한 이해관계의 묵인속의 친절은 친절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자기집 잘 지어놓으시고, 자기땅은 한톨이라도 아까워서 텃밭하나 만들지 않으면서.. 남의땅 무단경작 하시는분들.. 조심하셔야 합니다.
@jacklee407
@jacklee407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좋은 게 아니라 좋은 척 하는 바보죠 이건...
@User1177agkd
@User1177agkd Жыл бұрын
결례인걸 아는사람이 남의땅을 저렇게 씁니까? ㅋㅋ 저런사람은 한평도 쓰라고 주면 안됩니다. 사용하는 땅이 점점 늘어납니다. 다 치우라고 말하고 펜스둘러서 아에 못쓰게해야 함.
@kouchun3047
@kouchun3047 Жыл бұрын
점점 늘어나겠지요...또 웃으며 밥먹고 가라고 하고..
@_elifeo
@_elifeo 10 ай бұрын
시골에서는 저렇게 자신의 땅을 대가 없이 쓸 수 있게 해주면 나중에 진짜 심각한 문제로 번지는 일이 많습니다. 호의가 계속되면 둘리 된다는 말이 강원도에서 세컨하우스 생활하면서 뼈저리게 느끼게 되더군요. 아예 단 1평도 못 들어오게 하면 아무 문제가 없고, 싸울 일도 없는데, 당장에 쓸 일 없다고 땔감이라도 놓게 해주면 그 때부터 땅의 소유권은 법적으로도 심각하게 꼬이게 되더라고요. 땅 정리 해줘서 고맙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옆집과 추후 갈등이라도 생기게 되면 그 땅을 정리한 비용을 모조리 뒤집어 쓰게 될 수도 있고요.
@_elifeo
@_elifeo 10 ай бұрын
땅을 아무런 문서 없이 유무상으로 사용하게 해줄 경우 발생이 가능한 최악의 상황들. - 땅을 사용하기 위해 경작 중인 텃밭의 원상 복구를 요구하지만, 사용자는 이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 현재 경작하고 있는 작물을 수확 후에는 원상 복구를 요구하지만, 텃밭 공사에 들어간 비용을 들어 이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 법적으로 이에 대응하려고 하면, 토지의 경계에 대해 시비가 걸릴 수 있고, 현재 사용자의 권리에 대항하는 측량이기에 측량 비용을 모조리 부담하셔야 합니다. - 측량이 되어 내 땅의 경계를 명확하게 했다고 해도 결국 텃밭 공사에 들어간 비용에 대한 청구를 당할 수 있습니다. 차라리 토지를 무단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올해 이 시점에 앞으로 계속 갱신을 하게 되더라도 사용 기한과 사용 용도, 사용 면적과 그 경계를 명확하게 해두셔야 내 땅을 빼앗기거나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일을 막을 수 있을 겁니다. 실제로 저 비용들이나 이웃과의 괜한 분쟁이 부담되어 그냥 땅을 빼앗긴 채로 살아가는 사람도 은근 많습니다. 뭐 굳이 이렇게 댓글 달지 않아도 잘 아시는 부분이지만, 워낙에 심성이 착하신 분이라 모질게 잘라내지 못하신 게 아닌가 싶어서 댓글 달아보아요.
@user-tk4mn3dn1j
@user-tk4mn3dn1j Ай бұрын
방치된땅 몰래 오랫동안쓰면 뺏길수도있다던디 잘해결하세요 농사짓는것도 내거라하더라도 맘대로 치울수없을거예요
@jkkim645
@jkkim645 Жыл бұрын
제 부모님이 저렇게 땅 때문에 인근 주민과 싸웠습니다. 저희 땅에 밭농사를 짓고, 빈 땅이라 계속 썻다고 적반하장으로 버티더군요. 참고로 시골에선 주인있지만 관리 안한 빈 땅을 타인이 특정 기간 이상 계속 사용하고 있으면 쫒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꼭 계약서에 기간과 함께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Hasim95
@Hasim95 10 ай бұрын
아니 그런경우가 어딨나요!!!ㅠㅜㅠㅠ 그래서 어떻게 해결이 됬나요..?
@ksiluce5137
@ksiluce5137 10 ай бұрын
국유지라도 저렇게 농사짓는경우 함부로 못쫒아냅니다...그래서 아예 불씨를 만들지 않는게 중요...
@johnkim8546
@johnkim8546 9 ай бұрын
네, 윗 분 말씀이 맞습니다. 10년 인가? 정도 땅 주인이 별도 계약이나 제재가 없으면 점유취득을 경작자 혹은 땅 이용자가 주장할 수 있습니다.
@user-lf3cm5by2j
@user-lf3cm5by2j 9 ай бұрын
맞아요. 10년동안 주거나 경작용도로 점거해서 사용하면 거기에 무단으로 쓰고있던 사람의 소유가돼요. 법이그래요. 그래서 단돈 만원이라도 형식적으로 받고 임대차계약서를 써야 그런걸 방지 할 수 있는거예요.
@minjunkim2909
@minjunkim2909 6 ай бұрын
@@user-lf3cm5by2j세금까지 내야함
@user-gd1rp5jk8q
@user-gd1rp5jk8q Жыл бұрын
계단에 저정도면 그냥 다자기가 해먹겠다는건데. ㅡㅡ선을 넘은행동이네요
@user-zc1eb4ky5m
@user-zc1eb4ky5m 8 ай бұрын
기한주고 정리하시는게 좋아요. 법적으로 몇년인가 기한이 있는데 오래 쓰시는분이 계속 오래 쓰게되면 주인ㅇㅣ라도 나중에 함부로 철거 못하는 수가 있습니다.
@wink5115
@wink5115 11 ай бұрын
부지를 임의로 사용허락을 하더라도 법무사 통해서 향후 어떻게 하겠다는 서류를 받아 놓으셔야 합니다.. 15년 넘게 사용하면 소유에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user-it8ti9ue7f
@user-it8ti9ue7f Жыл бұрын
정말 미안한 게 뭔지 안다면 저렇게 남의 땅을 전면적으로 밭 매고 계단 놓고 했을까요? 그냥 놔두면 속 섞일 여지가 다분한 사람들입니다. 무조건 원상복구 해달라고 하시고, 만일 지체하면 청구 절차 들어가셔야 할 듯..
@ksc4415
@ksc4415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에 떠서 들어왔는데 전화번호를 찾지 못하면 남의 물건을 그냥 사용해도 된다는 귀중한 교훈이 담긴 영상이네요, 뭐 채널 주인장분이 유튜브 조회수 올리기엔 무슨일이 벌어져도 이득이니 이러나저러나 아주 좋은 소재입니다.
@lilliliilillll
@lilliliilillll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안다고 저거 나중에 다 쓸려고 텃밭좀 치워달라하면 시골에서 너무한다 인심야박하게군다 별 개소리다하면서 쓰레기로 몰고 나중에 캠핑할때도 시끄럽다 민원 ㅈㄴ넣고 난리침
@user-uv7kr8mw7q
@user-uv7kr8mw7q Жыл бұрын
위영상외 여러영상보니 포로2일전님 댓글내용 이해되네요
@Gu_sA
@Gu_sA Жыл бұрын
@@lilliliilillll ㅇㅈ 이상하게 사람들이 잘해주면 호구로 보는게 이해가안감...;;
@JUK_BEAR
@JUK_BEAR Жыл бұрын
ㄹㅇ 명함 잃어버렸다고 땅 썻다는데 거기에 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주인장도 문제고... 그럼 자동차에 연락처 없으니 막 문따고 자동차 안에 있는 물건 가져가도 되고 전선조작해서 시동 켜고 써도 되겠구나!
@user-ny7zr6tv4k
@user-ny7zr6tv4k 7 ай бұрын
땅위에 있는 모든 것들 나무, 흙까지 포함해서 님의 소유인데 무단으로 없앴으니 돈을 물어달라고 소송걸면 다 받아낼 수 있는 부분이지만 역시 님은 천사셨군요.
@user-ph3gu4bm2m
@user-ph3gu4bm2m 9 ай бұрын
저 인간들 다 알고 잔대가리 굴리는 겁니다. 당장 막고 원상복구 시키세요 나중에 칼부림 나고합니다
@_vader8938
@_vader8938 Жыл бұрын
무상으로 토지를 사용하게 되면 일정 기간이 지나면 문제가 발생 될 수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돈 1만원이라도 도지를 받으시고 계약을 하여 사용 하시도록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ryuryu354
@ryuryu354 Жыл бұрын
20년? 인가 주인이 안나타나면 명의 이잔 가능한데, 주기적으로 내땅인걸 확인하면 됩니다.
@user-vg9qn3ww9r
@user-vg9qn3ww9r Жыл бұрын
20년임.. 근데 단돈만원이라도 계약서쓰고 사용하게해야됨😊
@YoungSep1
@YoungSep1 Жыл бұрын
사용권이 문제가 아니라 계약서 안쓰면 저 작물때문에 공사를 못할 수도 있습니다..계약서상에 반드시 농작물 경작중에도 언제던지 보상없이 철거 가능하다고 적으셔야 하고 지금처럼 내가 했다는 사람은 그냥 무단점유자로 고소하는게 더 나을겁니다....
@user-vg9qn3ww9r
@user-vg9qn3ww9r Жыл бұрын
@@YoungSep1 역시 문서화해야됨..주먹구구는 항상문제가 되지요..농사란게 3~ 6개월후 수확인데 그걸 기다렸다가 내땅을 사용해야되는 문제발생 ....농사를 허락하면 계약서없으면 수확때까지 농작물 작살내면 도루내가물어줘야함..
@ryuryu354
@ryuryu354 Жыл бұрын
@@YoungSep1 그건 맞아요. 언제든지 보상없이 즉시 철거할 수있다는 계약서는 써야해요.
@travel6835
@travel6835 Жыл бұрын
임대차계약서 쓰고 일년에 10,000원 이라도 받으면 문제 없습니다.30년 경작해도 임대차계약 해지통보 하면 점유를 근거로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단서조항에 규제사항 확실하게 명문화 해야하고.말하자면,비닐하우스,모든 적치물은 설치할 수 없고 오로지 일년생 농작물만 경작해야 한다.계약 해지시 임차인 전액 부담으로 원상회복 해야한다.매너가 좋은 이웃은 아니네요.명함을 갖고 있으면서 사전에 연락을 않했다는 점이.
@poisam6402
@poisam640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싸가지가 존나업눼 ㄹㅇ
@user-qr5vn3hh9k
@user-qr5vn3hh9k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이건 제대로 집고 넘어갈 필요가 있어보이네요. 남이 내땅을 쓰는걸 알고 있으면서도 아무런 제제도 안하고 세도 안받으면 10년 뒤억늣 소송을 걸어서 땅을 뺏길수도 있으니...
@user-mr1gz2qx3p
@user-mr1gz2qx3p Жыл бұрын
명하을 잃어버려서 연락 못했다고 하긴했어요. 그렇치만 연락이 안되면 건드리지 말았어야하는거 아닌가 싶네요. 이런 법이 있는줄 몰랐네요. 좋은 정보 배워 갑니다.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도 말씀해주신 내용으로... 일년생 농작물만 경작, 6개월전 통보후 계약해지 등으로 계약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ouchun3047
@kouchun3047 Жыл бұрын
저 같았으면 화냈을 듯...명함까지 교환한 사람이 이렇게 말도 안하고 쓰냐고..내가 댁이 휴가 갔을 때 댁네에 농사짓고 설치하면 좋겠냐고.. 초면에 죄송하지만 생각이 있냐고..
@user-bo1tp6xp8z
@user-bo1tp6xp8z Жыл бұрын
와~~~비슷한경우로 2년째 싸우다가 밭다밀어버리고 축대세운상태입니다 이때 일부땅 옆집조경에 포함되어 2년동안의 안좋은 감정으로 끝까지 싸워 그집은 나무 뽑은상태이며 그자리엔 팬스를 세웠습니다 요즘은 배려를 배려로 생각하지않기때문에 처음부터 선을 잘 그으셔야합니다 요번일로 인생 참교육 받았습니다ㅜㅜ 조심하셔용
@soostoneship
@soostoneship 6 ай бұрын
흠, 저도 강원도 홍천에 물려받은 산이 하나 있는 데 가보지도 않았는 데, 이 걸 보니 언제 한 번 보러 가야겠네요. 누가 불법으로 쓰고 있을 수도 있겠네요.
@snoweyes0106
@snoweyes0106 Жыл бұрын
시골 사람들 무섭다더니....와...진짜 그냥 도둑이네. ㅋㅋㅋㅋㅋㅋ
@sclee2801
@sclee2801 Жыл бұрын
시골 사람이 더 무섭습니다 귀농 실패의 원인중 하나가 마을사람과 트러블인데 1명하고 사이가 틀어져도 마을 전체와 싸워야 합니다 못 버티죠
@hijoony9200
@hijoony9200 Жыл бұрын
재대로 아시네요 멀쩡한 사람 완전 죽일놈 만들어요
@user-ci2qs8nl3i
@user-ci2qs8nl3i 2 ай бұрын
생각도 좋으시고 마음도 좋으시네요 그리 편하게 사는게 좋은거같아요 증거자료도 잇으니 나중에 딴소리는 안할테고 필요시까지 서로 융통성잇게 하시는게 좋은거죠^^
@user-zj9eo3nx9n
@user-zj9eo3nx9n 4 ай бұрын
농작물은 개인의 재산에 해당합니다 옆집사람이 재산권을 주장하면 내맘대로 정리도 못합니다. 임야 임대계약서를 명확하게 작성하셔야합니다
@euny7
@euny7 Жыл бұрын
이런 경우 절대 경작을 허용하시면 안됩니다 잘못하면 땅을 빼앗겨요.. 시골분들 생각보다 영악합니다.
@user-cr6lm5oy5i
@user-cr6lm5oy5i Жыл бұрын
@o 뺏깁니다. 일정기간 다른사람이 경작하면 소유권 바뀔수있습니다.
@user-ck1mq8pb6e
@user-ck1mq8pb6e Жыл бұрын
@@user-cr6lm5oy5i 시효취득을 말하시는군요 20년입니다.
@user-ym1vh5tn4c
@user-ym1vh5tn4c Жыл бұрын
​@@user-cr6lm5oy5iㅋㅋㅋㅋㅋㅋㅋ조선시대법이 유효하더냐
@user-cr6lm5oy5i
@user-cr6lm5oy5i Жыл бұрын
@@user-ym1vh5tn4c 저도 왜 되는지 의문이긴하지만 지금도 유효한 법입니다만?
@jeonmunga
@jeonmunga Жыл бұрын
​@@user-cr6lm5oy5i 일정기간 다른 사람이 경작하면 땅을 뺏긴다구요? 개그하세요? 그럼 전국에 놀고있는 남의 땅에 제가 30년 농사지으면 제 땅되나요? 땅부자되겠네요ㅋㅋㅋ 시효취득의 개념부터 탑재하세요.
@yo11900
@yo11900 Жыл бұрын
와 돌계단 만들어놓은 거 개소름돋네. ㄷㄷ 저 사람들이 텃밭에 나무 심었는데 이 분이 땅 팔고 싶어지면 어떻게 됨?
@corona__virus
@corona__virus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나무안심음
@user-lucky-lee
@user-lucky-lee Жыл бұрын
나무값 줘야됨
@user-fh1vp5xu1i
@user-fh1vp5xu1i 4 ай бұрын
제가 볼때는... 차가 진입 못하는 맹지 느낌이라..주변분들이랑 잘지내야...할거 같아...요?
@user-wi1jj7zh2y
@user-wi1jj7zh2y 10 ай бұрын
주변집들이 너무 예쁘네요~~
@user-ji8bz5zp9e
@user-ji8bz5zp9e 4 ай бұрын
땅 진짜 잘사셨다 가만히 두면 옆집이든 아랫집이든 사고싶어하겠네요 ㅋㅋ
@user-cl6yk2nb6g
@user-cl6yk2nb6g Жыл бұрын
저런 옆집을 제일 주의해야합니다 사람 좋은척 하면서 따라님 간보는거에요 확실하게 하지 않으면 호구 됩니다
@estherkim8103
@estherkim8103 4 ай бұрын
그래도 저런부분은 확실히 하셔야해요. 나중에 문제 생길수 있으세요. 저희 아부지도 할아버지 땅사드렸는데 이런경우였는데 할아버지 돌아가신후 공사를 할라해도 농작물때문에 못하고 농작물 심은 할머니는 오래전부터 자기가 사용한 땅이라 자기땅이라 우기고
@user-qf7dr1qz1l
@user-qf7dr1qz1l 4 ай бұрын
ㅋㅋ저희시댁이랑 똑같네요 경작좀 하게 내비뒀더니 나중에는 지꺼라고ㄷㄷㄷ
@_jin3332
@_jin3332 7 ай бұрын
미쳤네....등기가있을텐데.....어이가없네...와...성격좋으시네요.. 전 뭐라할것없이...원상복구하라할것같아요....
@puogeun
@puogeun Жыл бұрын
이런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오히려 좋은게 좋은거지 생각했다가 나중에 괜히 서로 얼굴 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1년 사용료 단돈 만원이나 농작물로도(이건 자료 남겨야함) 대체 가능하고 구두보단 계약서 작성이나 녹음 하여 서로 가지고 있는게 좋습니다. 나중에 팔때나 사용할때 분명 문제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ㅠ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조언해주신 내용들을 반영하여 서류를 만들어보겠습니다!!
@user-xj7nh2ur4h
@user-xj7nh2ur4h 10 ай бұрын
친척에게 빌려주고도 노지세 적은돈이라도 이라도 매달 은행계좌이체로 받고 있다는 말을 친구에게 들었습니다. 훗날에 실제 사용소유주가 세월이 지나면 주장을 할까봐서요. 영원한 것은 없으니 냉정하더라도 분쟁의 소지가 없도록 단단히 하셔요. 지금은 젊어서 경험이 부족 할 수 있으니 좋은 맘으로 구두로 양보, 빌려 주었다가는 훗날에는 소유주 라고 주장 할수가 없는 일이 생깁니다. 훗날 매매 할일이 생길수도 있다면. 애시당초 냉정하게 내 땅은 선긋고 하셔야 됩니다. 그래야만 사이좋은 이웃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저는 70대 귀농전원생활하고 있는 할미 입니다. 경험자로 말이 길어져서 미안 하내요. 행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zg6ui6ir8u
@user-zg6ui6ir8u Жыл бұрын
지나가다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제가 겪은 경험담을 알려드리고 싶네요. ^^;; 저도 무지 고생했거든요. 아주아주 비싼 수업료 냈습니다. ① 일단 땅 경계입니다. 네이버나 지적도 다 필요없습니다. 지금 대놓고 땅에 인접하여 계단을 만들었기에 다른의도가 아주아주 다분히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알수 없으나 측량을 하셨다면 측량대로 하고 표시를 반드시 하셔야 합니다. 또한 안하셨다면 하는게 좋습니다. 이건 정말 나중에 후회안하는 장치입니다. ② 지역이 어디인지 모르겠으나 해당지역으로 포크레인이 어떻게 들어 올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계단과 새로지은 신축 집인데 완젼 작은 미니포크레인이 신축집쪽으로 들어온다는것인지............ 암튼 드론영상으로 보면 전기도 없고 도로는 없는 맹지같은 대지 같은 느낌인데요. 일단 포크레인 부를 필요 없구요. 해당 지자체 산림과에 피해목 신청하면 소나무에 대해 처리해 줍니다. 무료입니다. 포크레인 관련 비싸다 느끼시면 그 지역에서 가장 큰 철물점에 가서 사장님께 문의하면 연결연결되어서 다양한 견적을 받을 수 있어요. 나중에 자재와 골재 등도 많은 도움을 받게 됩니다. 첨 시작할때 암것도 모르니 바로 눈탱이 맞습니다. ㅜㅜ 영상에서 나온 포크레인 대여비와 잡부 인건비는 딱 요즘 시세값이기는 한데 그걸 산수적으로 더해도 넘 마니 부르네요. ③ 나중에 창고를 짓든 집을 짓든 흙은 마니 모자르게 됩니다. 돌도 마니 필요하구요. 포크레인 작업하다 보면 흙과 돌이 많이 나오게 되는데 이것도 다 골재라 한쪽에 잘 모아놓고 덮어놔야 합니다. 안그럼 야금야금 주변 사람들이 가져갑니다. 그래서 최종 결론은 해당 지역에 사용안하는 휴대폰에 유심끼우거나 라우터 구매해서 CCTV 설치해 놓는게 가장 속편합니다.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신경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 내용들 명심하고 있겠습니다.
@user-cs5gw9gd3k
@user-cs5gw9gd3k 4 ай бұрын
남한테 함부로 땅 사용하세요 하다 큰코 다쳐요 위에 분처럼 처음부터 안된다하세요 시골 인심 예전과 달라요
@user-sb5ro9vl1z
@user-sb5ro9vl1z Жыл бұрын
이거 그냥 쓰게 두면 반듯이 두집 싸움 납니다... 쥔장 맘이지만 싸움 납니다.담 올리고 경계 확실히 하는게 서로 좋은 이웃으로 사는 방법이에요. 와 .. 난 계단 올린 것보고 내땅도 아닌데 화가 나는데.....
@Vale-cr5le
@Vale-cr5le Жыл бұрын
알고도 썼다고 하니 확실히 생각이 깊은 분들은 아닌듯싶네요… 텃밭이 필수도 아니었을텐데 연락이 잠시 안되는걸 못참고 실행해서 밀어버렸으니 저분들은 이미 어떻게 대처할지 다 플랜을 세워두셨겠네요…😢세상에 별일 다있어 걱정
@jieunlife8189
@jieunlife8189 Жыл бұрын
아니 따라티비님은 .....왜 쓰라고 하시나요 ? 내가 다 화가 나네요 요즘이 어떤 세상 인데 저렇게 막무가내로 남의 땅에... 연락처가 없어서 연락을 못했으면 예초에 건드리지 말고 연락이 다을때까지 기다려야 하는거아닌가요? 아무리 쓰라고 했더라도 저렇게 전부 다 쓰는건 싸그리 무시하는아닌가요? 매년 저렇게 할 탠데 처음에 그냥 두시는건 그냥 저 땅 포기하고 옆집에 줘야 마음 편하실겁니다.지금이라도 늦지않았으니 매달 20만원씩 내고 땅을 쓰라고 하시던가 아니면 예초에 조금만 쓰라고 했으니 딱 그만큼만 쓰게 하시던가 하시는걸 추천드려요! 캠핑하려고 산 땅이 농가가 되었습니다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걱정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조언해주신 내용으로 잘 연구해서 해결해보겠습니다.
@user-rx2xp3st8h
@user-rx2xp3st8h Жыл бұрын
이분 영상보니 말과 생각이 법에 ㅂ도 모르시고 영상 찍으신것 같은데 세상 살맛나고 좋게만 바라보다 코깨지고 후회하십니다. 제가 비슷한 일로 재판중인데 이 영상보니까 세상 긍정적인 말투로설명하는것에 속이 터지고 열이 뻗치네요.. 토지 공사비, 농사지은 년수 전부 법적으로 불리해집니다. 아무쪼록 무탈하길 빕니다.
@user-ko468
@user-ko468 Жыл бұрын
땅도둑놈들 다 뒤집어 엎어버립시다!! 가스라이팅하고 미쳤네
@user-wf5lf6xq2z
@user-wf5lf6xq2z Жыл бұрын
10년전 흠 세상이 각박해졌음.... 저도 집을 짓기위해 땅을 2000평정도 샀는데....한 1500평 정도 전원주택을 짓고... 500평이 남았고...공사를 하는 도중 근처 사시는 주민분들이 오셔서... 여기 혹시 먹을 것좀 심어도 되냐고 해서 그렇게 하시라고.... 전원주택에는 부모님+외가쪽 친척분들 같이 살고 계시고... 그 농사를 지으신 분이 매번 농작물을 갖다주신다고 하더라구요... 그거 안받으시면 일정 사용료 내신다고 하셔서...그냥 농작물 주시는걸로 마무리 했고...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짓고 계시고...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
@user-wf5lf6xq2z
@user-wf5lf6xq2z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제가 관리하지도 않는 땅 주민분들이 농사 지으셔서 돈을 버시거나 해도 머 저희가 지은 것도 아닌데요 멀......그리고 농작물 갖다 주시고 하는데....멀....구지....아버지의 땅도 다른분이 벼농사 지으시는데....거기서 매년 쌀도 보내주신다고.... 보내 주신지...이미 30년도 넘었음....지금은 그다른분의 아드님이 벼농사하는걸로 알고 잇음... 조상님 묘랑 연결되어 있어서 그 아드님이 매년 저희 조상 묘지도 관리 해주시고 계시네요...
@kyeongwonback
@kyeongwonback Жыл бұрын
@@user-wf5lf6xq2z 기간이길어지면문제가생기는구조인듯.. 그냥돈으로받으시고 계약서쓰세요 기간길수록 땅주인한테불리해짐.. 아직 안터져서 그러신듯
@user-se2vk3jt9s
@user-se2vk3jt9s Жыл бұрын
​@@user-wf5lf6xq2z본인의 좋은 상황만 좋게 얘기하면 참 법 없이도 살만한 세상이죠 본인의 틀에서사 아닌 세상을 조금 더 넓게 보시길 바랍니다
@user-ns9kn4qe3u
@user-ns9kn4qe3u 5 ай бұрын
나보다 더 착한 사람이네. 미쳤다. 나도 왠만하면 내가 손해 봐도 가만히 있는데 저건 선 많이 넘었지..
@neskick
@neskick 10 ай бұрын
드론샷보니까 옆집 앞마당 넓어보이는데요 저기다 상추 심어도되겠어요 ㅎㅎ.. 남땅에 안심어도될것같은데
@moonafiverr
@moonafiverr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시골 미쳤네 계단도 개소름돋는다 공포영화가 따로 없네요
@user-jf4lf7rs5v
@user-jf4lf7rs5v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좋은데 나중에 문제 될 소지가 충분합니다~ 계약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이웃과 좋은게 좋죠~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네 잘알겠습니다. 계약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걱정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oc5tg1jh7u
@user-oc5tg1jh7u Жыл бұрын
소나무를 재거하시려면 재선충병 때문에 소나무류 이동이 안되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시청에 잘 알아 보셔요...
@user-so8hk7so9m
@user-so8hk7so9m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옆집 돌계단 철거하라하고 펜스울타리막으시고 조그만 컨테이너 농막이라도 갖다 놓으세요 안그럼 점점더 염치없게 합니다. 나중에는 주객이 전도되어서 자기들이 농사짓느라 돈많이써서 배째라고 나옵니다. 심지어는 철거비를 달라고 까지 합니다.
@user-uv7kr8mw7q
@user-uv7kr8mw7q Жыл бұрын
영상 주변전원주택보면 농지가아닌 대지인거같은데 대지위에 농막은불법이며 대지는 주거용 주택지어야합니다 임시창고가설시설은 신고설치허가 가능하나 주거는안됩니다 전기시설 주방시설 화장실 전부안돼죠 물건 자재넣는 용도외 군청담당자 허가 안해주죠 개인이 전구수도 몰래는가능하나 신고단속되면 불법건축물되고 피해가 커집니다 요즘공무원들 위성으로 불법신고없이도 단속한답니다
@wonboklee4112
@wonboklee4112 Жыл бұрын
@@user-uv7kr8mw7q 컨테이너는 불법아님 옴길수있어서 건축물이 아님
@user-uv7kr8mw7q
@user-uv7kr8mw7q Жыл бұрын
@@wonboklee4112 컨테이너도 건축물이고 신고허가사항입니다 신고허가없이 컨테이너갖다놓으면 불법건축물이죠 대지라주변주택애서 바로신고들어갑니다 제말이 틀린지 군청담당자 확인하심 알겁니다
@gamja1011
@gamja1011 Жыл бұрын
@@wonboklee4112 걸리지 않았을뿐 불법임 거짓정보로 피해보는 일이 없기를
@user-ip4fy9cf8i
@user-ip4fy9cf8i Жыл бұрын
솔직히..농작물심게되면...서리올때까지 님이 농작물 심겨줘있는거 아는데 치우라고 말도 못하고......원상복구가 답인듯
@hyeyounglee5715
@hyeyounglee5715 10 ай бұрын
계단까지 낸거보면 자주 안오는거 알고 작정하고 자기네 맘대로 다 쓰려고한게 맞아요. 휀스 쳐서 아예 못 넘어오게 막아버리고 컨테이너 주택같은거 넣어두고 본인이 자주와서 사용하세요.
@Kim-mz7ig
@Kim-mz7ig Жыл бұрын
계단으로 통로 만들어 놓은것 보니까 아예 작정을 한것 같습니다. 약속을 문서화해서 받아놓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frankkim3012
@frankkim3012 Жыл бұрын
연락이 안된다고, 임의대로 처리할 수 있는 사람들은 허락해주면 안될 것 같아요. 남의 땅을 함부로 손대다니요...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user-xe6we9mx9m
@user-xe6we9mx9m 3 ай бұрын
빈땅이 오래도록 안짓고 있으면 누군가가 자기땅같이 계속 몇십년 농사을 짓고있다함 주인나타나면 농사진사람이 주인이라고 우김 왜 몇십년 짓다고 조심하세요 빈땅놀리지말고 가서 짓던지 하세요 전번에 뉴스보도 보았는데 20년짓다고 자기땅이라고 우겨서 땅을 뺏겼다고 뉴스나옴
@FUGLRY
@FUGLRY 11 ай бұрын
농사를 시작하고 허락해주고 ... 나중에 어려워집니다. 저도 당진에 땅있는거 서울서왔다갔다 하기 힘들어서 2년정도 냅뒀더니 동네분들이 창고 가져다 놓고, 농기구들 주차해두고.. 1년정도 개고생했어요. 확실히해야됩니다. 이장이고 뭐고 다 와서 지랄합니다. 니땅이었으면 니가 관리했어야지~ 내가 관리했으니 돈내라고 ;돈 주기전까진 못뺀다고,,,, 저는 마을 진입로 차3대로 틀어막고 개고생해서 원삭복구 시켰습니다. 지금은 팔고 나왔지만 개고생합니다 잘 정리하세요. 저렇게 대충대충 정리하다간 나중에 내땅에서 개고생하게됩니다.
@yellowsky3402
@yellowsky3402 Жыл бұрын
작은 인심이 큰것을 잃게합니다.땅은 절대 남에게 그냥 지어라라고하면 안되요 크기가 계속 커지지.절대 작아지지않습니다.그뒤 경작하고나면 작물을 취득할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문제도 있어요.
@OoIlIlIl
@OoIlIlIl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재배할때쯤 다시 씨 뿌려서 경작 시작함 ㅋㅋㅋㅋ 그러면 또 재배할때까지 기다려야함.
@user-od6mr6je9l
@user-od6mr6je9l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믄 아직도 잔잔한 정이 넘쳐나는 우리사회 보기 좋네요 그리고 장비는 비싸더라도 나무정리가 가능한 장비를 수배해서 작업하시는게 옳다고 봅니다
@thanks_for.everyone
@thanks_for.everyone 6 ай бұрын
따수미 난방텐트 검색하다가 3탄까지 전부 시청함...ㅎㅎㅎㅎ
@user-ng7rz2gx3u
@user-ng7rz2gx3u Жыл бұрын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압니다. 저도 세컨하우스 생활하고있는데 주변인과 적당한 거리가 아주 중요합니다. 사람좋은거랑 이웃끼리 갈등하고는 전혀 별개 이야깁니다.
@ediehoon
@ediehoon Жыл бұрын
지나가다 들렀는데, 이미 일 저질러버리셨네요... 문제될 소지가 큰데, 아무쪼록 훗날 별 탈 없이 잘 해결되시길...
@tv646
@tv646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잘 듣고 갑니다.
@jikgold7981
@jikgold7981 Жыл бұрын
토지주의 연락처를 모르던 알던간에 허락없이 농사를 지으면 안되지요 임야도 아니고 대지인대 남의집터 자리에 밭개간을 했으면 불순한 의도가 있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전원주택으로 이사온사람이 옆집 부지에 밭을 만든다.. 밭개간한 사람집 마당에서 주말에 텐트치고 고기구워먹고 한다고 해보세요 말도 안되는 얘기입니다
@Jang-b
@Jang-b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떠서 왔는데.. 윗분들도 말씀하셨듯이 계약서 꼭 써야해요.. 저희집이 다른 사람에게 집터를 빌려줬어요.. 몇십년 전에.. 작은 시골동네라 바로 옆집이고 좋은 사이였는데… 30여년이 지나고 그 집에 살던 사람이 동네 다른집으로 이사가면서 아버지가 그럼 땅을 이제 돌려달라고했는데… 못준다고, 자기네 농기구를 집터에 두더라구요. 소송까지 깄었는데.. 20년 이상 살았다는 이유로 패소했습니다. 중간에 내용증명도 보내고 계약서라도 있었으면 찾을 수 있었다는데… 깡 시골에서 몇십년전에 오갈데 없이 온사람에게 그런건 생각도 못했으니까요.. 좋은게 좋은거 아닌거 그때 알났습니다.
@number-hb3jw
@number-hb3jw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참 ㄱ같은 경우가 있죠.
@user-uh9ky7hg4j
@user-uh9ky7hg4j 11 ай бұрын
와...;; 그런 경우가..
@user-bb1vy6yd6k
@user-bb1vy6yd6k 7 ай бұрын
나중에 신경 안쓰고 편할려면 측량하고 간이 울타리라도 치고 경계를 명확히 하고 당분간이라도 본인이 자경해야합니다
@user-lf4fd9nh9c
@user-lf4fd9nh9c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 떠서 영상보다가 중간 멈춤니다. 채널장님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가 됩니다! 세상 착하신 분이네요...
@humanbeamlee5030
@humanbeamlee5030 Жыл бұрын
저놈들 강도입니다 당할겁니다 명함은 일부러 잊어먹었다고 그런겁니다
@happykay0313
@happykay0313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얼굴 붉어질 일을 대비해서 임차내용 서류 받아 두세요. 요청시 언제든 철수 하겠다 사용비는 받지 않을테니 추가 농작물 및 기타비용 요구하지 않겠다는 간단한 내용이라도요... 😢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조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으로 서류를 만들어보겠습니다.
@ripperjack5169
@ripperjack5169 10 ай бұрын
저거 나중에 문제될 소지가 다분함 농사까지 지어놓으면 더 힘듬 아예 손절하는게 답임
@user-wv4oo5zu9s
@user-wv4oo5zu9s 7 ай бұрын
저 좋은 소나무를 벤다니 아깝네요. 가지만 일부 잘라주면 되는데......... 솔향기가 좋고 여름에는 소나무의 그늘이 매우 유용할건데..... 지금쯤은 이미 베어버렸겠죠....... ㅠㅠ
@user-xr3ei3lq9d
@user-xr3ei3lq9d Жыл бұрын
계단 낸거 보면 쎄하네요 누가 남의 땅 위로 계단 냅니까??
@tsarbomba4582
@tsarbomba4582 Жыл бұрын
그렇긴 한데, 좋게 봐서 그 길로 서로 자주 왕래하면 좋긴 할거예요.
@user-ko5fg4wv5f
@user-ko5fg4wv5f Жыл бұрын
@@tsarbomba4582 저렇게 낸 길도 다 법적으로 정해져야 하는 부분입니다..... 구두도 민사계약이에요.... 땅 경계부분은 확실히 정리하셔야 합니당....
@tsarbomba4582
@tsarbomba4582 Жыл бұрын
@@user-ko5fg4wv5f 맞아요. 물어보고 길을 냈어야 하는데 저 사람들이 잘못하긴 했죠. 그런데 또 법대로 따지고 들면 서로 의상해서 저런 시골에서는 살기 힘들어요. 서로 양해하고 넘어가고 또 농기구도 빌려쓰고 음식도 나눠먹고 정보도 교류하고 해야 해요. 시골에 살수록 좋은게 좋은거라는 말이 통한답니다.
@user-ke8xr1gl8w
@user-ke8xr1gl8w Жыл бұрын
@@tsarbomba4582 환심사려고하는짓들인데! 믿어? 이게아닌데싶을땐 웬수가되어있어 그사람들이 마음의담을 쌓았을것인데 너무후하게 맘주면100퍼센드당함
@tsarbomba4582
@tsarbomba4582 Жыл бұрын
@@user-ke8xr1gl8w ? 폭주하지는 마시고~ 시골은 아파트 사는 것처럼 하면 못살아요~ 다들 뒤에서 이러쿵 저러쿵 하지만 그래도 살부대껴가며 삽니다. 저도 주말 농장운영하는데, 제 땅 옆집 아저씨 도움 많이 받아요. 믿고 안믿고 문제가 아니라 땅이 그 곳에 있는한 어쨓든 마주치고 살아야하니 서로 조금씩 양해하며 사는겁니다. 그렇게 옆집 못믿어우시고 분에 못이기시면 님은 님 하고 싶은데로 담장 두루고 걸어 잠그고 사세요. 영상에 나온 땅을 보니 아직 진입로도 없어서 밑에서 계단으로 올라가거나 옆집 통해서 가야하는데 저 같으면 옆집에다 편하게 차를 대놓고 그 집 마당을 가로질러 가겠습니다.
@user-it5zi3lz2y
@user-it5zi3lz2y Жыл бұрын
저건 고의입니다 결례인걸 아는분들이 일단 깔고보자? 계단까지? 말이 안되지 호의 계속 베풀다가 둘리됩니다 주위에서 많이 봤습니다 당장은 저분들이 서운할수있어도(서운할필요도없지만?) 뭔가 서류화 해놓던지 다 철거하라하세요 언제가됐든 내가 이제 다사용할테니 다 철거해달라 좋게얘기해도 그때는 싸움납니다 인간이란 동물이 그래요 특히 우리 아시아인들은 더더욱 머리검은 짐승 거두는게 아니란 말이 괜히있는거 아님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조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뭔가 서류화 해놓을것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U11Paeadise
@U11Paeadise 8 ай бұрын
등기마친 본인땅 이라고 해도 누군가 지은 농작물을 제거하거나 훼손하면 물려줘야하는 ㅈㄹ같은 법이있어요... 안내표지판걸로 연락을해서 정리시간을 주고나서 경과 후 하셔야합니다. . . 글구 나무 베면 벌금나와요!!
@gtjugd5362
@gtjugd5362 Жыл бұрын
땅 사서 도로 확보하고 땅주변 물빠지는 경수로? 테두리로 하고 땅 고르고 수도 놓고 하수처리 확보하고 농막이나 컨테이너 하나만 놓을수있어요. 6평인가? 그것도 신청해야하구요. 💰 먹는 땅이더라구요. 옆으로 산이 너무 가파르게 있어서 집 짓는건 비추 캠핑도 옆집때문에 쉽지않아보이네요 ㅠㅠ 스트레스 많이 받으실거같은데 잘 해결되시기를 바래요.
@user-ju6hy3dr4c
@user-ju6hy3dr4c Жыл бұрын
처음 만났을때 아주 만만하게 봤을 겁니다. 그러니 저렇게 싹 바꿔버리는거죠. 캠핑하시다보면 괜히 걸리적거리고 불편하실 겁니다. 내땅인데 참 그렇게 되더라고요. 절대 좋아질 수 없으니 괜히 참고 화병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user-qz5bl9np4f
@user-qz5bl9np4f 8 ай бұрын
어이가 없네요 ㅎㅎㅎ
@user-is2tx3lk1u
@user-is2tx3lk1u Жыл бұрын
조심하세요. 이익이 걸리면 돌변햡니다.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Жыл бұрын
소나무는 땅주인과 상관 없이 먼저 시군청에 허가를 받고 벌채를 할수 있는 걸로 아는데 그리고 아래 글에도 나오지만 사용 허가는 함부로 내주는게 아니라 차라리 계약을 하세요 월 사용료를 받고 언제던지 계약 해지 할수 있다는 특약을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걱정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대로 특약을 넣어 계약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소나무는 대지이기 때문에 반출을 하지 않는다면 벌목할수 있다고 하네요.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tvpaintingmusicmoviehappyv7028 Жыл бұрын
@@ddAraTV 아하 그렇군요 저도 배워가네요
@user-fv7ek4iq5g
@user-fv7ek4iq5g 8 ай бұрын
땅주인분 참 순진하신게 저러다가 나중에 치우라그러면 돈내놓으라 그래요 ㅋㅋ 농막이니 뭐니 들여놓으려고 해도 지들이 뭔 권리라도 있는것처럼 주장을 하니까 그냥 치우라고 하시는게 맞아요 ㅋㅋ 좋은게 좋은게 아니라 시골사람들 니것도 내것 내것도 내것 이러는거 한두번 보는거 아니니까 꼭 변호사 만나서 상담은 한번 받아두세요 ㅋㅋ 나중에 머리 뜨거워집니다
@ongsmickey1823
@ongsmickey1823 8 ай бұрын
저러다 나중에 일 커집니다. 저기 작물 심으면 나중에 배상문제고 생깁니다. 첨이야 좋게 하다 나중에 땅주인 경우 바뀐경우 많이 봄
@TV-gi5wo
@TV-gi5wo Жыл бұрын
그땐 몰랐어요 호위가 권리가 될지 ... 나중에 뭘하려고 해도 이제 반대로 허락을 받아야하고 아무것도 못할거라는걸 나중에 알게 될거에요
@ddAraTV
@ddAraTV Жыл бұрын
사실 앞으로 뭘하려고 할때 허락을 받아야 한다는 문제가 가장 마음에 걸립니다. 이부분은 계약서를 작성하여 명확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캠핑하려고 산 땅을 누군가 쓰고있네요...2편
7:21
따라티비
Рет қаралды 369 М.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Y 645회 요약] 불편한 이웃 VS 토박이의 텃세 | 숏와이
13:37
겨울캠핑이 이렇게 무섭습니다
10:30
캠핑하는남자
Рет қаралды 239 М.
[경훈이는캠핑중] EP.23 ❌매너🐕진상들
9:32
경훈이는캠핑중
Рет қаралды 10 М.
요즘 살벌해진 북한, 생생하게 보고 왔습니다
38:54
중년독수리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전원주택 짓고 후회하는 다시 안할 6가지 실수 아이템
6:09
현진이네 전원생활 세컨하우스 브이로그
Рет қаралды 86 М.
오랜만에 개인캠핑장 텐트에 방문했습니다
4:16
따라티비
Рет қаралды 174 М.
빈집보러 다니다가 이런일은 처음  봅니다
10:33
샴발라 TV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She Lost Her Hair
0:18
Bizzibop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When everyone is eyeing your car, let HornGun handle it! 🚗📸 #girl  #horngun #car
0:35
BossHorn - Train Horns with Remote Control
Рет қаралды 115 МЛН
ПОЧЕМУ ОБ ЭТОМ НИКТО НЕ ГОВОРИТ😱🔥 #shorts
1:00
Лина Погорелова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I Made a Seal from Space Kinetic Sand
0:28
Sand Movie Maker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