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3부] 우울한 단풍국, 더이상 이민의 나라가 아니다? 붕괴하는 캐나다

  Рет қаралды 370,326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Күн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
www.yes24.com/Product/Goods/11...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캐나다 #퀘벡 #이민 #미국 #중국 #유학 #유학생 #워홀
🌎타임코드🌎
00:00 붕괴하는 국가들에 대한 경고
04:33 캐나다에 무슨 문제라도?
08:26 캐나다의 유학생 제한, 왜?
11:04 이민과 유학에 대한 반감 증가
17:14 우울한 캐나다, 미래에 대한 어두운 인식
18:15 사회경제적 격차 증가
21:49 높은 부채
23:43 정신건강
25:17 Z세대의 불안

Пікірлер: 1 100
@globelab
@globelab Ай бұрын
📢 최준영박사의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2세기에 걸쳐 진화한 세계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경제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크 레빈슨의 책 [OUTSIDE THE BOX] 를 알기 쉽게 번역!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458454 www.yes24.com/Product/Goods/118380449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캐나다 #퀘벡 #이민 #미국 #중국 #유학 #유학생 #워홀 🌎타임코드🌎 00:00 붕괴하는 국가들에 대한 경고 04:33 캐나다에 무슨 문제라도? 08:26 캐나다의 유학생 제한, 왜? 11:04 이민과 유학에 대한 반감 증가 17:14 우울한 캐나다, 미래에 대한 어두운 인식 18:15 사회경제적 격차 증가 21:49 높은 부채 23:43 정신건강 25:17 Z세대의 불안
@user-nw8sr4si3e
@user-nw8sr4si3e Ай бұрын
😅😅😅😅😅😅😅4😅😅😊😅😅😅😅😅😅ㅂㅋ😊ㄲ😊😊😊😊😊😊😊😊😊😊😊
@josephp9141
@josephp9141 15 күн бұрын
독과점이니 산업육성 얘기는 하나도 없고 애휴. 30분 영상에서 실질적인 인사이트가 없네 유학생얘기도 똑같은 얘기만 반복하고
@johnkim8374
@johnkim8374 25 күн бұрын
동부, 서부 다 살아봤고 캐나다 변천사를 24년 동안 보고 격은 교포인네 돈 들고 올거 아니면 캐나다 비추입니다. 아메리칸 드림? 옛말이죠. 맨몸으로 오는 이민자는 의식주 중에 주거 해결이 매우 어렵습니다.
@MoonEric-zf8bc
@MoonEric-zf8bc Ай бұрын
캐나다 이민온지 10년 넘었는데 눈으로 보이는 문제는 준비가 안됐는데 이민자 유학생을 너무 많이 빋아버린게 문제가 가장큼, 그에따라 집값 폭등, 이자율 폭등, 믈가 상승 때문에 국민들이 살기 힘들어짐.
@nameno8735
@nameno8735 Ай бұрын
어쩜 미국과 케나다가 똑같은 문제를 겪고 있네요. 미국은 살인, 조직폭력, 강간등의 전과자도 남부 국경을 넘으면, 마구잡이 받아들이고 있다는데요
@user-dp5tj6ln4b
@user-dp5tj6ln4b Ай бұрын
뉴질랜드랑 너무 흡사
@uniqueWorldFun
@uniqueWorldFun Ай бұрын
이자와 물가 폭등은 유학생 급증과는 상관은 없고, 미국의 양적완화 조절 실패 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evakim4626
@evakim4626 Ай бұрын
호주도 똑같은 상황. 주택 가격 미침
@jungking4033
@jungking4033 Ай бұрын
국적을 가려서 받아들여야지.중공,인도,꼴통 이슬람인들을 멋대로 받아들이다 이꼴나지.
@naandmi1761
@naandmi1761 Ай бұрын
전세계가 지금 다힘들어요...북유럽 스웨덴이나 노르웨이같은데도 물가폭등에 힘들어함...1차코로나 펜데믹타격이고 2차미국의 고환율정책으로 전세계국가를 힘들게하고 있음...겉으로보기에 미국호황이지만 쉽지않음..
@jae2796
@jae2796 Ай бұрын
❤동절기에 추운 나라,하절기에 습도가 높고 더운 나라에서는 살고 싶지 않다.❤
@hospitaller100
@hospitaller100 14 күн бұрын
이게 정답 요즘 어디에도 경제적으로 잘나가는 나라는 없죠 ㅋㅋ 미국은 규격외이고. 어차피 똑같은 지옥들이라면 자기한테 그나마 조금이나마 맞는 지옥을 찾아가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Twenty1world
@Twenty1world 4 күн бұрын
캐나다 10년 살아봤는데 요새 날씨가 예전 한국같음 ㅋㅋ 여름에 비 겁나오고 습해짐. 겨울은 당연히 길고 눈 많이오고
@kwanghaHwang
@kwanghaHwang Ай бұрын
밴쿠버 거주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맞는 말씀 이시네요. 저도 몇가지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f9le9ms1z
@user-if9le9ms1z Ай бұрын
돈없이 이민 오면은 고생입니다! 한국인들은 너무 돈없이 와서리 고생을 많이 합니다! 한인커뮤니티도 경제력으로 약하여 각자도생입니다! 이민을 오셔도 정착하기가 힘이 듭니다
@huskykim6008
@huskykim6008 Ай бұрын
이민 오시려면 최소 50억 가지고 오세요. 아니면 현대 판 노예 입니다.
@YhanEsFf
@YhanEsFf 4 күн бұрын
한국인 해외선 서로 사기치고 등쳐먹으니까
@user-rd8dh1hv3p
@user-rd8dh1hv3p 2 күн бұрын
​​@@huskykim6008 헉 50억.. 그돈이면 한국에서도 떵떵거리며 사는데
@mikelee2813
@mikelee2813 Ай бұрын
캐나다 10년차 아재가 걱정돼서 말해주는데, 코로나 이후로 정말 살기 팍팍해졌음. 일단 나라가 캐나다 같지가 않어. 그냥 인도 중동 파킨스탄 난민 등등 그냥 길거리 절반이상이 브라운 애들. 생활비는 4인가족 월에 천만원 있어야 그나마 인간다운 삶을 살어.
@user-ze1yh8wx6t
@user-ze1yh8wx6t Ай бұрын
연 12만불쓰려면 연 18만불이상 벌어야...공무원 경찰 선생도 힘든수입. 초보 가정의도 힘들고.. 이민자속에 한국 중국도 포함하시죠. 가족 일인당 수입이 한국이 태국 필리핀등보다 낮아요. 부모만 수입이 있지요
@user-yq4kt3lx3m
@user-yq4kt3lx3m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그렇게 될일 얼마 안남음
@reelsuper4737
@reelsuper4737 Ай бұрын
월 1000은 오버고 5-600 정도면 됨. 물론 토론토/밴쿠버 중심가면 그 말이 맞음. 근데 토론토/밴쿠버 중심가는 한국 기준 서울 강남/서초임. 5-600 정도면 된다는 말은 토론토/밴쿠버 말고도 꽤 좋은 대도시가 여럿 있기 때문. 오타와, 몬트리올, 에드먼튼, 캘거리, 핼리팩스. 그리고 각 대도시의 외곽으로 빠지면 임차료가 거의 절반으로 감소함. 생활비에서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임차료이기 때문에 임차료가 절반 감소하면 생활비도 30-40%가 감소함. 강남/서초에 살지 않으면 인간다운 삶을 못 사나? 헛소리 좀 그만 하시길.
@reelsuper4737
@reelsuper4737 Ай бұрын
@@user-ze1yh8wx6t 캐나다 소방관 초봉이 10만불 가까이 돼요. 큰 돈 아닙니다.
@mikelee2813
@mikelee2813 Ай бұрын
@@reelsuper4737 제가 지금 캘거리 사는데 렌트비 월 3000불 냅니다. 현재 캐나다에 사시나요? 5~6천불은 코비드 전이면 가능하죠
@minaab405
@minaab405 Ай бұрын
캐나다 산지 10년인데 이번에 시민권 받아서 그냥 미국으로 갈려고 합니다. 미국도 지금 어지럽지만 친구들 보면 캐나다보다 미국에서 훨씬 잘 살더라고요...더 빨리 갈걸 후회중임 ㅠㅠ
@heidilam1978
@heidilam1978 Ай бұрын
미국 어렵다고 하는 사람은 불체나 하위 10%라고 보면 됨.
@LoveDonaldTrump
@LoveDonaldTrump Ай бұрын
나는 지금 캐나다국적에 미국국작자랍니다. 나이는 오십후반대이고…, 미국이 빌어먹고살기는 훨씬 낫지요!
@user-cq4xf1xiq
@user-cq4xf1xiq Ай бұрын
캐나다인들 인스타 영상보면 인도이민자들에 대한 혐오 댓글이랑 총리에 대한 악플이 진짜 많아요
@baloochoi4200
@baloochoi4200 Ай бұрын
인도 이민자들에 대한 인식은 저 같은 한국 이민자들도 부정적입니다. Moral 부분에서 도저히 이해가 안되는 짓을 많이 하거든요. 빈곤층이 마지막으로 이용하라고 만든 food bank 음식을 쓸어가서 한달에 몇 백불 아낀다던가 하는. 속는 애들이 바보라고 생각하는 인도애들이 한 80% 이상입니다. high class 출신 - 브라만 계열이나 시크교도 애들은 점잖은 사람 많습니다만 펀자비 쪽에서 온 얘들은 거의 답이 없습니다.
@sj3865
@sj3865 28 күн бұрын
중국인은 인도인에 비하면 양반이라면서요?
@jamesm2441
@jamesm2441 27 күн бұрын
​@@sj3865 맞음. 중국 사람들 싫어하게 만드는 특징을 2-3배 곱하면 인도인임. 심지어 똑똑한 인도인들도 인도뽕에 넘쳐서 다른 나라들, 인종들, 종교들 무시하고 깔보고 그런 종족들 많음. 물론 다 그렇지는 않지만 확실히 경계해야되는 종족.
@jamesm2441
@jamesm2441 27 күн бұрын
인도인들 하는 행동 보면 하나도 안 미안함. 인도인들도 동양인 엄청 차별하는거 사람들 모를껄. 북동부 인도인들 동양인처럼 생겼다고 인도 내에서 개무시 당함.
@shark1140
@shark1140 25 күн бұрын
​@@jamesm2441 웃긴건 지들도 동양인임ㅋㅋㅋ
@learjet3871
@learjet3871 Ай бұрын
이런 문제들이 캐나다에만 있는 것은 아니죠, 부동산이 많이 오른 나라들의 공통점이죠. 젊은이들이 힘든것은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
@junyang3357
@junyang3357 Ай бұрын
과거 캐나다는 기술력이 가장 뛰어난 나라였습니다. 60년대에 자체 초음속 전투기까지 개발횄는데, 당시 정치권에서 멍청한 결정을 하여 전투기를 자체 생산하기 보다 수입하는 쪽으로 결정하는 바람에 당시 우수한 엔지니어, 과학자들이 대거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 60년대 나사의 달탐사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상당수의 엔지니어가 캐나다 출신입니다. 이후 캐나다에서 항공우주산업은 아예 증발해 버렸습니다.
@spritual_enlightenment
@spritual_enlightenment Ай бұрын
Avro 라는 전투기였죠. 당시 연구진들이 미국회사로 죄다 넘어가 버렸습니다. 요즘 한국에서 KF-21 개발하는 것과 같은 경우였다고 보면 됩니다.
@zorlucas7343
@zorlucas7343 Ай бұрын
윤석열이 지금 하고 있는 짓. 누리호 기술을 산산조각 내어 팔아버리고 200명이 넘는 연구원들이 준비기간도 없이 짤려서 미국으로 가고 드론부대 없애고 이젠 미래 먹거리인 ai산업 라인도 일본에 넘기는 중
@LoveDonaldTrump
@LoveDonaldTrump Ай бұрын
@@zorlucas7343윤씨는 기술에 투자하는걸 감축했답니다.
@rilke1117
@rilke1117 27 күн бұрын
​@@zorlucas7343 중국산 태양열, 금호타이어, 마그나칩 반도체, 중국 배터리 보조금, 중국롯데 자산 등 문재인이 상납하던 때도 비판했나요?
@kenkim5322
@kenkim5322 24 күн бұрын
@@rilke1117 비판을위한 비판ㅋ 왜 그렇게 꼬였는가
@user-ov7kl3gu2f
@user-ov7kl3gu2f Ай бұрын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시장에 너무 과도한 유동성을 공급하니까 자산가격이 폭등하고 젊은 사람들은 열심히 일해도 집한채 사기 힘든 시기가 됐는데 이게 전 세계적인 현상인거 같습니다.
@user-zw9ng4fm9y
@user-zw9ng4fm9y Ай бұрын
문제인같은 막무가내 좌파땜에 집값이 두배이상 올랐지요 빚얻고 모은돈으로 산 사람들이 잘못한거없습니다 피같은 돈이고 이자도 내고 산거니까요
@user-co8pp1si4d
@user-co8pp1si4d 2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aspasia727
@aspasia727 Ай бұрын
최근에 무늬만 대학인곳이 인도인들 어마하게 받아서 여러가지로 문제가 심각해진걸로 압니다 그래서 유학생들을 줄이는거같아요. 그냥 돈벌기 위한 이름만 무늬인 컬리지들요. 알바도 엄청 구하기 힘들고 렌트비도 너무 오르고 범죄도 늘고 살기 너무 힘들어졌어요. 특히 차량절도. 저희도 아이들 이러면 어떻게 커서 살아나가지 진짜 걱정입니다.
@jungking4033
@jungking403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정부 공무원들은 뭐하는 넘들인지 모르겠슴..
@user-hq1qg6cj8d
@user-hq1qg6cj8d Ай бұрын
@@jungking4033 병시나 캐나다 얘기잖아
@ori5581
@ori5581 Ай бұрын
@@jungking4033캐나다얘기하는거자나
@write2nick
@write2nick Ай бұрын
매년 500,000명씩 이민자 받는다고 했을때 사실은 인도 유학생 까지 합쳐서 1,000,000명 받은것 같아요. 인도 유학생은 와이프랑 가족들 대려와서 진짜 캐나다에 눌러 살려고 온것. 애네들 이 학교 등록만 하고 우버랑 서비스 업종 장학해서 질이 많이 내려갔음.
@user-zw9ng4fm9y
@user-zw9ng4fm9y Ай бұрын
@@ori5581 캐나다 영사업무를 말하나봅니다
@vrrcj6785
@vrrcj6785 Ай бұрын
캐나다 30년 교민인데 .. 옳게 분석비평 하셨습니다 수긍이 되네요 !! 😊
@dkim5341
@dkim5341 Ай бұрын
헛소리 하지마소
@huskykim6008
@huskykim6008 Ай бұрын
트리도 정부 포플리즘이 나라를 말아 먹고 있지요. 무서운 사회 주의 정권.
@Jaysro
@Jaysro Ай бұрын
캐나다에서 IT쪽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저도 기회되면 미국으로 넘어갈까 생각이 듭니다. 가면 갈 수록 답이 없어지는거 같네요.
@JL-bi5ut
@JL-bi5ut Ай бұрын
제 주위에서도 젊으면 무조껀 미국갑니다. 지금 안가면 평생 저처럼 후회 합니다. 미국 가셈. ㅋ
@Demacia365
@Demacia365 Ай бұрын
미국도 답없는데여? 캘리포니아 같은 대도시가면 상점 다털리고 있어요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정 가고싶으시면 아이들하고 와이프는 캐나다에 살고 TN비자 받아서 일하러 가세요.그래야 가성비가 좋습니다.
@ehowlduwk2998
@ehowlduwk2998 Ай бұрын
@@Kwang-Min-Lee 마누라는 백인들 노리개 되고 ㅎㅎㅎㅎ, 애들은 어찌되냐? ... 뭐하러갔니? 여기 전부들 ! 돌아오지는제발 마라,
@hdsl13181
@hdsl13181 Ай бұрын
@@Demacia365ㅋㅋㅋㅋㅋㅋㅋㅋ 그렇게라도 정신승리하세요. 캘리포니아라도 좋은 동네 시티 살면 그런문제없음
@skim6712
@skim6712 Ай бұрын
제가 토론토에 산지가 35년째입니다. 거의 맞는 말씀인데 정확한 팩트를 따지자면, 중국유학생들이 집을 구매하는건 거의 없고 코로나 전까지 중국 부유층들이 캐나다에 집들을 많이 구매해서 집값이 폭등했구요. 유학생들을 줄이는 이유는 유학생들이 너무 많아져서 렌트비가 너무 많이 오르고 또 대부분의 한국 유학생들이 돈이 없어서 일을 하는 실정이라 그에 따른 일자리가 많이 줄어서 기존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일 자리를 못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거기다가 메데컬 스시템이 너무 후져서 기존에 이민오셨던 많은 분들이 많이 한국으로 역이민 가셨어요. 그러니 이제 캐나다에 오는 메리트가 없어졌다 볼수 있습니다.
@nonturbosupra1993
@nonturbosupra1993 Ай бұрын
호주도 비슷 합니다. 유학생이 많다보니 렌트 구하기가 하늘에 별따기에요. 더군다나 금리가 인하가 안되서 집구매 하는 사람이 적구요.오픈 인스펙션하면 50팀이 온답니다.. 1년 치 렌트카 낸다고 해도 안되는 경우도 많구요.. 그래서 호주 정부도 유학생 줄인다고 정책 시행하고 있어요. 비자 리젝율이 80%이상입니다..
@sby0011
@sby0011 Ай бұрын
동부쪽은 파트타이머들 거의 인도계들이 - 다수가 유학생으로 추정- 싹쓸이 하고 있어서, 현지인들이 파트타임 잡는것이 너무나 어렵습니다. 문제는 유학을 빌미로 일하러 오고 눌러 앉을려는 인도계들이 너무 많다는 겁니다. 가게 가보면 여기가 인도인가 싶습니다. 예전에 벤쿠버가 중국인가 싶었던 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이렇습니다.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sby0011 택시기사, 트럭기사, 경비원, 농장 등은 20년 전부터 인도계가 꽉잡고 있던 잡이고 점차 드라이월, 프레임, 전기 등 건설쪽, 팀호튼, 맥도널드 등 서비스쪽으로도 많이 진출했죠. 간호사도 많아지고. 제 경험상 똥매너 중국보단 인도가 낫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건 자연스런 현상. 저들도 먹고살자고 죽자고 덤비는 겁니다.
@sby0011
@sby0011 Ай бұрын
@@aleckim3342 그들이 열심히 하는 건 그들의 문화의 일부이고 문제는 유학을 빙자한 인도계 유입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는 거고 그들 스스로 인도계만을 선택적으로 고용하는 강력한 카르텔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중소도시까지 침투한건 최근의 일입니다.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sby0011 한인업소도 한인만 고용하는 카르텔인가요?
@jayyoon4417
@jayyoon4417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세금은 30-40프로를 떼가는데 그 돈으로 우크라이나한테 퍼주고 난민들 지원금으로 퍼주고 헛짓거리를 계속해서 문제임.
@ejjung1203
@ejjung1203 Ай бұрын
싱글맘한테도요.
@user-di3zz3bv5j
@user-di3zz3bv5j Ай бұрын
최박사님의 속도를 정프로님이 잘 잡아 주시니 듣기 편합니다
@EmilyKim-ce5pi
@EmilyKim-ce5pi Ай бұрын
벤쿠버가 캐나다에서 가장 따뜻해 겨울에는 전국 노숙자들이 벤쿠버로 향한다고해요. 다운타운은 좀 심하지만 North Vancouver 만 가도 주거지 위주로 동네가 안전해요. 사람보다 곰이 더 무섭줘.
@jackchris8265
@jackchris8265 Ай бұрын
노스밴은 부자동네 지요
@Chloe-se2ch
@Chloe-se2ch Ай бұрын
유학올때 집사놓고 살다가 귀국할때 팔면 학비생활비 다 커버받고 가는 사람들도 있다니까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이 갑니다
@jungking4033
@jungking4033 Ай бұрын
세금이 싼가 보네요..일본에선 이익 남겨도 구입후 5년이내에 팔면 세금 폭탄..일본 정치인들 일하기 편하죠.세금 왕창 때려 그걸로 선심쓰니까.일본거주민
@sleepinbee9213
@sleepinbee9213 Ай бұрын
유학와서 집살정도면... 학비생활비가 문제가 될까요.
@reelsuper4737
@reelsuper4737 28 күн бұрын
@@jungking4033 5년 이내에 팔면 세금 얼마에요?
@reelsuper4737
@reelsuper4737 28 күн бұрын
@@sleepinbee9213 대학교 학비가 외국인은 연 5만불 되는 곳도 있는데, 4년이면 2억이에요. 대출 받아 사면 4억짜리 집 살 수 있을 걸요?
@jungking4033
@jungking4033 27 күн бұрын
@@reelsuper4737 증가분의 40%인가?60%인가??잊어버렸네요..즉 1억원 값이 올랐다면 최소 4천만원 세금..부로커료도 대한민국의 최소 5배이상 ...일본거주민
@user-ys6sh1ws5r
@user-ys6sh1ws5r Ай бұрын
살기 좋았던 캐나다를 트뤼도가 말아먹는구나ㅠㅠ
@jamesm2441
@jamesm2441 27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사람들이 너무 트뤼도 욕하는듯. 이민자들이던 트뤼도건 다 scapegoat인것 같음. 진짜 문제는 캐나다는 원래 근본부터가 혁신적 기술 개발로 발달한게 아닌 자원으로만 부자된 나라라서 혁신모델로 진화하지 않으면 어차피 힘들어질 경제 타입임. 근데 그러기에는 인재들이 많이 필요한데 그 인재들을 끌어들일 만한 인프라랑 능력은 안되고 미국 바로 위에 있어서 미국에 비해 매력적인 면이 거의 없고. 결국 미국만 잘 먹고 잘살게 되는거지. 그래서 부동산 마켓에 올인해서 이민자들 엄청 불러서 수요를 만들고 집값올리는건데 이 역효과를 시민들이 겪는거지.
@user-tf8dg7ev2f
@user-tf8dg7ev2f Ай бұрын
박사님 호주도 다뤄 주세요~~
@jaejinkorea
@jaejinkorea Ай бұрын
월 렌트가 200만원을 넘기까지 아무 규제도 하지 않고 있는데 복지국가? 렌트가 거의 두배되는 동안 최저시급 동결이 말이 되냐고.. 지금 캐나다는 대놓고 하위층을 극빈곤으로 만들고 상위층들만 배불리고 있음. 집값도 엄청 올랐다는데 그걸로 만족 못하는지 렌트비를 올려도 너무 염치없이 올림. 정부는 여기서 지내면서 학비내고 먹고 자고 돈쓰는 유학생들을 컷할게 아니라 렌트비를 컷하는게 맞는거 아닌가. 새로 짓는 건물들은 다 럭셔리 콘도로 짓고.. 한국의 초소형 원룸 아파트를 많이 지으면 렌트비도 안정화되고 젊은층이 룸메 세네명씩 같이 안살아도 되니 삶의 만족감도 오를듯
@gigiyaya7
@gigiyaya7 Ай бұрын
캐나다 정부 고위직 대부분이 집 두채이상 소유하고 있어요. 그들만의 세상을 만들고 있는거죠 뭐
@91483
@91483 Ай бұрын
@@gigiyaya7 한국도 마찬가지..
@user-ds1cb4mn1w
@user-ds1cb4mn1w Ай бұрын
이 모든게 미국(글로벌 딥스)이 계속 돈을 찍어내 통화 남발하고 은행 이자율 올리는데 그빚을 전세계가 같이 갚는 격이고 허덕이고 있다 세계경제포럼 글로벌리스트들이 만든 거죠
@jhonnySonnny
@jhonnySonnny Ай бұрын
월 200이면 소위 좀 살만하다는 세계 어느 나라를 가도 엄청 저렴한 월세예요 월세는 보통 500-600정도 잡아야합니다 그 정도 낼 능력없으면 해외 나가서 살 능력이 안되는거구요 냉정하지만 현실이 그렇습니다
@jaejinkorea
@jaejinkorea Ай бұрын
@@jhonnySonnny 문제는 이민자야 능력 없으면 돌아갈 곳이라도 있지만 여기 주민들이 다 월 2000불씩 낼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거죠. 다 좋은 직장에서 좋은 월급 받지는 않으니까요. 싱글인 캐나다 친구들 너무 힘들어하고 외곽으로 이사하거나 룸메 세네명이랑 같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건 아닌듯..
@johnkim5610
@johnkim5610 Ай бұрын
30년째 살고 있는 제가 보는 관점은 잘뭇된 정보가 많은겄 같으네요 1) 큰비율의 유학생들이 정식 course가 아닌 English course 를듣는 학생들의 temporary student quarter를 줄인겁니다 Rent market 의 유동성을 잡기위함이지요. 하지만 캐나다 대학들은 유학생들을 받아 돈을 벌지않습니다. 연방정부 지방정부의 예산으로 운영 되지요. 미국 이나 한국같은 사학의 개념은 아님니다. 물론 이민자 대비 와국학생들은 tuition이 2-3배 정도 됩니다. 하지만 정식코스를 듣는 외국 학생들에게도 장학금의 기회는 있습니다., 2) 여기도 최근에 house 비용이 많이 올라갔는데 이건 전새계적인 문제이며, covid 이후 inflation rate 때문입니다. 한국만있는 전세제도도 house cost로 환산 하면 여기보다도 더 높을것 같군요 3) domestic product 가 2020에 줄어든건 lagging behind on covid 때문이며, 이건 세계 어느나라 나 마찬가지 일겁니다 4) Canada는 전통적 으로 1차 3차산업에 비해 2차 산업이 약한건 오래전부터 그래왔던겁니다. 4) 가계부채비율이 높은 이유는 주택소유가 다른나라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며 젊은이들이 취직하면 mortgage로 집을사죠. 3개정도의 큰 도시빼면 아직도 house affortablity는 괞찮은편입니다. Bank system 은 보수적이어 다른나라보다 튼튼하죠. 한국처람 영끌해서 집산다는건 잘못된 정보 입니다. house 가격에 기본적으로 20% down payment 해야하고 income 등을 고려 mortgage 심사가 아주 까다롭습니다. 기업 부채비율은 다른나라에 비해 훨씬 낮지요. 5) 필요한 인력이 미국으로 많이 빠져 나간다고 하는데 USD power 때문에 일부 그럴수있지만, 생각하시는것 만큼 그렇지 않아요. 6) 그래도 여기 MZ 세대는 대학 졸업후 대다수 취직이 되며, High school Grad 들은 기술직 Welder, Plumber, electrician..etc등으로 나름대로 자리잡습니다. 7) homeless 나 마약 문제는 여기만의 문제가 아니고 자본주의 세계어느나라나 마찬가지 일겁니다. Canada homeless 나 마약 문제는 조금 특이하게 큰비율이 원주민들 이라는겁니다. 그분들이 Indian reservation에서 나온분들인데 downtown에 거주 하는 이유가 정부로부터 보조금이 bank를 통해 나오는 이유가 크지요. 한국에서도 많은수의 젊은이들이 마약한다고 들어 깜짝 놀랐습니다. 제가 한국에 살때는 청정구역이었는데요. 이 모든게 Canada 만의 문제가 아닌 COVID 이후 inflation rate 가 2022 때 6% 대로 물가상승 원인 인데 지금은 3% 이니 앞으로 괞찮아 질겁니다. columnist의 너무 객관적인 내용 일부를 수정하고 싶어 일부 적었습니다. 그분이 생각하시는 겄처럼 Canada가 우울하지는 않고 아직도 정직하고 건강한 사회 시스땜 때문에 이민 가장 하고 싶은 나라라고 저는 알고있습니다.
@Aliali-dn7sp
@Aliali-dn7sp Ай бұрын
캐나다에서 저도 살지만 한국 보다는 편합니다. 국민들 중 low income 들에게 주는 혜택이 많습니다. 인컴에 따라 다르지만 1년에 여러 차레에 걸쳐 생활비 지원을 해줍니다. 반찬값 하라고 주는 느낌인데요.. 안 주는 것보다는 당연히 좋죠. 그리고 아이들 교육도 많은 부분에서 지원해 줍니다. 자영업자들 역시 그렇고요. 캐나다는 화려하게 살려할 수록 많은 세금을 부과하지만 없는 사람에게는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유지하고 살 수 있게 해주는 나라입니다. 부자되서 화려한 삶을 살려는 마인드라면 살 수 없죠. 하지만 공공의 혜택을 보장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시던 분은 싫어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정비사나 노가다 인부가 의사,변호사 만큼의 수입을 벌 수 있는 나라가 캐나다입니다. 이게 공공의 이익을 서로 나누는 게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한국보다는 정의로움에 가까운 사회라고 봅니다. 사회 개념 자체가 자본주의와 다르기 때문에 더욱 그런데요.. 캐나다는 사회주의 국가입니다. 그리고 인종이 뒤섞여 있어서 문제가 된다고 하지만 또 그걸 줄이기 위해서 법도 매너도 국민의식도 한국보다 강합니다.
@sunyoungjung6366
@sunyoungjung6366 Ай бұрын
저도 거의40년차 남편 비롯 시댁은50년이 훨 넘은 이민자입니다 댓글들을 보며 맞기도 틀리기도...두분의댓글은 많이 공감됩니다 물론 현재와 6,70년대와(시댁식구들 온시기) 제가온 80년대 중반을 비교한다는것은 말이 안되지만 그래도 지금까지 저흰 캐나다에 만족하며 맘 편히 잘삽니다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Aliali-dn7sp 4만불까지 저소득층은 혜택이 정말 많습니다.렌트비 지원에 아이 양육비 만18세까지 나오구요 패밀리 배너핏도 있고 세금환급도 거의 받을수있구요 기후배당금도 나오구요 연금도 계속 올라가고있으니까 특별히 나쁜건 없는거같아요.비싼 월세랑 집값이 문제인거겠죠.
@user-ze1yh8wx6t
@user-ze1yh8wx6t Ай бұрын
모든 댓글중에 압권입니다!!!! 정확..감사! 토론토 35년 거주 카나다. 미국40개주 횡단 종단해봤습니다. 어디나 사는건 본인 만족입니다. 이민. 유학....한국에서 공부 잘하면 영어로도 잘하고 사업도 마찬가지...지찔이나 사고뭉치는 여기서도
@dan7988
@dan7988 Ай бұрын
저도 미국과 캐나다에서 둘 다 살아봤습니다 현재는 캐나다에 만족하며 살고 있고요 이 댓글이 가장 공감 갑니다.
@chrisb9940
@chrisb9940 Ай бұрын
캐나다 영주권자이고 밴쿠버 살고있는데 돈좀 더모으고 미국으로 넘어가려구요. 갈수록 미국과 격차가 커지는데 아이가 여기서자라는게 불안합니다.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LA나 뉴욕 갈거아니면 가지마세요 차라리 정 힘들면 그냥 한국으로 가세요.
@user_iilliiilli
@user_iilliiilli Ай бұрын
전 토론토살고있는데 한국가서 살고싶어요 애들 대학만 들어가면 역이민하고싶네요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user_iilliiilli 저희 부모님도 작년에 은퇴하시고 이번에 한국에 가서 6개월 있으셨는데 지하철도 공짜고 한국이 좋다고 하시더군요
@chrisb9940
@chrisb9940 Ай бұрын
@@Kwang-Min-Lee LA나 뉴욕아니면 안되는 이유가 뭘까요? ㅎ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chrisb9940 굳이 다른 미국 지역으로 가시려는 이유가 있을까요?
@shine21c
@shine21c Ай бұрын
거주목적이 아닌 투자용으로 사는 외국인들 때문에 집값이 많이 올라서 현재 토론토 밴쿠버 등은 투자용으로 사두고 살고 있지 않는 곳에 빈집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유학생을 줄이는 이유는 집값 때문이라기 보다는 보통 유학생들이 아파트 하우스 등등을 렌트하게 되는데 렌트용 부동산이 공급보다 수요가 너무 많아서 부동산 렌트비가 너무 높아져서 그렇습니다. 렌트비가 집값과 완전히 분리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유학생을 줄이는 보다 근본적임 이유는 렌트 공급이 딸리는 상황에서 수요를 줄이기 위해서라고 보는게 좀 더 맞을겁니다
@user-nm1ro3xn3v
@user-nm1ro3xn3v Ай бұрын
그깟 빈집세라고 해봐야 부동산 투기꾼들은 콧방귀도 안뛰는 금액일뿐~~~ 리버럴 튀뤼도 정권 양아치들도 지들중에도 빈집세 세금 내는건데 형식적일수밖에…
@captin_Africa
@captin_Africa Ай бұрын
토론토.... 94년 첨 갔을땐 오~~~ 좋다... 선진국이네...이런 느낌이었음.(약 4년 거주) 00년도에는.. 어? 한국하고 비슷하네.. 라는 느낌...(약 5년 거주) 16년도.. 뭐지? 한국이 훨씬 살기 좋은데... 라는 느낌.(1년 거주)
@sharon.park.9152
@sharon.park.9152 Ай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lizkim3733
@lizkim3733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TonyOh-ku1so
@TonyOh-ku1so Ай бұрын
매우 공감하는 말씀이세요
@dodobird0624
@dodobird0624 Ай бұрын
저도 2016년에 캐나다 이민 생활 20년 정리하고 들어왔습니다. 이민자로서 차별받고 인맥없고 기회 적고 기본 생활비도 너무 높아요. 작년에 아들보러 갔었는데 정말 물가가 장난 어니더라구요. 한국 물가도 많이 올랐지만 여긴 줄이이면서 어찌어찌 되는데 캐나다는 줄일 수 없겠더라구요. 기본 주거비가 너무 높아서..시민권자로서의 캐나다 생활보다 F4 재외동포 신분으로 있는 한국생활이 더 편합니다.
@Jwoo7676
@Jwoo7676 Ай бұрын
25년전에 캐나다 여행을 갔을때도 캐나다는 젊은이들의 일자리가 없는 나라라고 대학졸업한 친구들이 놀고 있는게 특이했죠. 그때도 미국으로 떠나고, 심지어 한국으로 올려고 저를 붙잡고 한참을 한국의 일자리 있냐고 물어본게 기억납니다. 캐나다는 이미 돈이 있는 사람에겐 천국이지만, 돈을 벌어야 하는 사람에겐 진짜 힘든 나라라고 한탄하더라구요. 근데, 돈 없는 사람이 살기 좋은 나라가 있는가라는 생각이 들긴 하더라구요 ㅎ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Ай бұрын
일자리 있다 하지
@MyWay-zu4go
@MyWay-zu4go Ай бұрын
그래서 대안은 아메리카지! 그래서 실력있는 의사는 죄다 미국에 다 뺏긴다고 했지, 그리고 과거부터 캐나다는 수입은 미국보다 적고, 물가는 미국보다 더 비싸고
@dongkwon1242
@dongkwon1242 Ай бұрын
40년 전에도 그랬음.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일자리는 수십년전이랑 비교하면 10배이상이 늘어났습니다.한인인프라도 10배 늘어났구요.밴쿠버만해도 마소 아마존 구글이 들어와있으니까요.
@user-ey7dp5zr2y
@user-ey7dp5zr2y Ай бұрын
오십중반 일자리 오퍼가 쉴세없는데 도데체 뭔소리들인지..한국은 사십후반부터 오퍼가 사라짐..내 경험임..
@user-sd8qr3fs3f
@user-sd8qr3fs3f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jhonnySonnny
@jhonnySonnny Ай бұрын
원래부터 자연빼고는 살기 좋은 나라가 아니었어요 위쪽은 존나 추워서 땅은 넓어도 대도시들은 미국 국경에 최대한 붙어있는 곳들이고 거기만 사람이 계속 몰리니 주택,의료,양질의 일자리 등 어지간히 벌어서는 삶의 질에 대한 기대치가 낮은 나라…캐나다 사람들이 다른 나라가면 다시 안돌아 갑니다 돌아가는 캐내디언을 주변에 본 적이 없음
@user-wb5jx3tc8d
@user-wb5jx3tc8d Ай бұрын
작년부터 캐나다 엄청 안 좋습니다.. 자영업자들 작년부터 30 퍼센트 정도씩 매출이 줄었습니다...지금 거의 초상집 분위기 입니다..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그런가요? 밴쿠버는 케이 음식점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는데요
@HaneulMoa
@HaneulMoa Ай бұрын
한국 음식점이 늘어나는 것과 수익성은 다른문제이지요. 요즘 확실히 물가도 오르고 손님은 줄어서 수익성이 나빠진것 같기는한데, 한편 소비자입장에서는 물가가 올라서 음식값도 비싸졌는데 팁도 올려서 10~15%이던게 18~25% 하니 외식하고싶어도 물가상승 + 팁상승이 부담되서 아무래도 외식이 줄음. 개인적으로는 사장들이 팁 몇푼 더 받으려는게 외식횟수 자체를 줄이는 행위인 것 같은데 왜 소탐대실하는지 잘 모르겠음.. 참고로 팁은 %개념이라 음식값오르면 같이 오름. 팁으로 음식값의 1/4을 내는게 말이됨? ㅠㅠ
@gigiyaya7
@gigiyaya7 Ай бұрын
@@HaneulMoa헐… 팁 수준이 깡패아닌가요 저정도면
@JL-bi5ut
@JL-bi5ut Ай бұрын
타이 레스트랑, 한국식 즉석 고기구이점 같은 곳은 줄 서도 못먹음. 그리고 다운타운 같은 경우는 월화수목금토일 일주일 내내 저녁레스토랑및 바는 거진 대부분 줄서서 들어갑니다. 사람 장난 아니게 많아요. 트랜디한 업종을 찾아보세요.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JL-bi5ut 힘들다 힘들다 하는데 참 신기하게도 k비지니스는 역대급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인거같아요.얼마전에는 수원에있는 유명카페도 밴쿠버에 들어왔어요.워홀들 서빙하면 한달에 팁으로 2천불씩 가져간다고 하더라구요.
@samuell8156
@samuell8156 20 күн бұрын
캐나다 온타리오 20년 거주자입니다. 너무 잘 설명해주셔서 놀랐습니다. 캐나다는 정말 위기임을 피부로 느끼고 있습니다
@myounhimkim3096
@myounhimkim3096 Ай бұрын
지금은 캐나다보다 한국이 살기 좋습니다^^ 캐나다는 가끔 여행하기 딱 좋은 나라입니다. 인도사럼이 나무 많습니다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한국엔 한국 사람이 너무 많아요. ㅠㅠ
@myounhimkim3096
@myounhimkim3096 Ай бұрын
@@aleckim3342 한국에 있는 분들 정상 많으시죠? 여기 한인들 장난 아닙니다^^ 시간 있으시면 캐나다 한인 업주들한테 이용당한 한인 노동자들 사례 한번 찾아보세요^^ 엽기입니다
@AK-bk4mm
@AK-bk4mm Ай бұрын
살기 좋은 나라 대한민국! (역대급 자살률과 저출산율을 기록하며😘)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AK-bk4mm 모 연구에 의하면 인구감소로 가까운 미래에 소멸될 국가 1순위가 한국이라네요 ㅠㅠ
@holabird6529
@holabird6529 Ай бұрын
@@aleckim3342 ㅋㅋㅋ정답.. 그래도 인도보다 조금 낫긴하죠ㅠㅠ
@ellip705
@ellip705 Ай бұрын
캐나다 특히 벤쿠버의 물가 수준은 살인적입니다. 집값도 미쿡 보다 비싸고, 기름값도 미쿡 보다 비싸고, 식품값 또한 미쿡보다 비쌉니다. 제조업이 무의미하다 보니, 모든게 미쿡 또는 동부에서 수입해 와야하기 때문입니다.
@heeyounglee6018
@heeyounglee6018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물건은 후진데 가격이 비싸요 제조업이 거의 전무해서 수입을 해오는데 종류도 많지 않고 인컴이나 환율은 미국에 비해 낮은데 물건이나 식료품은 오히려 비싸니 뭘 살때마다 어처구니가 없는 느낌입니다ㅎㅎ근데 아시안이라고 은근 무시하는 시선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사람들이 캐나다보다 여러모로 후진 나라에서 왔다고 생각해요ㅋ
@CharlieOh-vn9ph
@CharlieOh-vn9ph Ай бұрын
물가수준이 비싸서 나름대로 합리적 소비를 하려고 합니다.가급적 외식대신 집에서 먹고 제조업 제품은 아마존에서 주로 구매 했으나 최근에는 테무,알리에서 구매 하니까 가격이 엄청 쌉니다 .어차피 제조품 대부분은 중국에서 제조되고, 브랜드 차이만 있다고 생각합니다.최근들어 RAV4 자동차 헤드라이트 제품을 $71에 부품전문사에서 구매 후 반품하고 알리에서 한단계 좋은 제품을 $44에 구매 했습니다. 최근에 알리에서 추가구매를 한 제품은 벨트,방수용 테이프,Multi Universal Charger,…
@reelsuper4737
@reelsuper4737 Ай бұрын
이건 일부 빼면 저도 동의해요. 집값이 미국보다 비싸지는 않습니다. 밴쿠버 집값을 올랜도 집값하고 비교하면 밴쿠버가 비싸 보이죠. 밴쿠버 중심가는 맨해튼이나 LA 비벌리힐스와 비교를 해야죠. 많이 쌉니다. 전 캐나다 집값 비싸다는 얘기 동의 못해요. 아주 싼 건 아니지만 싼 편이에요. 다만 나머지는 다 동의해요. 심지어 대중교통비도 캐나다가 더 비싸더군요. 미국이 훨씬 살기 좋아요.
@user-nm1ro3xn3v
@user-nm1ro3xn3v Ай бұрын
@@reelsuper4737밴쿠버 하면 미국 사람들에게 캐나다 저~~기 캐나다 서쪽에 박혀있는 중소도시 정도인데 어디 뉴욕, 엘에이를 비교합니까? 인구 기껏해봐야 랭리까지 끼워 넣어서 겨우 200만 쫌 넘는 수준인데… 미국의 비슷한 인구수준 도시들에 비하면 말도 안되게 미친 집값 맞지요. 대체 뭐가 싸다는건지… 한국과 국가총인구 대비해서 비교해도 캐나다에서 인구 200만인 제3의 도시라면 한국에서 인구 3번째로 많은 인천이 300만 정도니까 둘을 비교한다 했을때 웨밴, 놀밴과 송도 비교해보면 말이 안나오는거 아닌가요?
@user-hq1qg6cj8d
@user-hq1qg6cj8d Ай бұрын
트뤼도가 이민자 받는 속도 절반으로만 조절했더라도 문제가 심각하지 않았을꺼라던데 왜 10년가까이 노빠꾸인지 이해가.........
@user-zn5lo1tw3m
@user-zn5lo1tw3m Ай бұрын
그 이민자들이 정착하고나면 누굴 찍을까요? 이민자출신 유색인종에게 유리한 정챙을 펼치는 정당은 어디일까요? 결국 미래에 유권자로 보고 닥치는대로 받은겁니다
@HaneulMoa
@HaneulMoa Ай бұрын
@@user-zn5lo1tw3m내말이….
@vaughansung
@vaughansung Ай бұрын
인도사람 종교탄압이란 명목으로 작년에만 십만명, 무조건 실고왔어 외곽지역에 뿌려 집과 월 천이백주고 개판개판... 그냥 신청만 하면 준다네요. 비행기표까지 ..
@baloochoi4200
@baloochoi4200 Ай бұрын
그래야 평균 임금을 일정 수준 아래로 억누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위 이하층의 삶은 점점 어려워 지지만 나라 전체로 봤을 때 경제성장은 더 커지거든요. 이것은 자유당, 보수당 모두 마찬가지의 정책입니다. 자유당(liberal) 지지자였다가 보수당으로 돌아서게 되는 이민자들 많습니다.
@jakeb1381
@jakeb1381 Ай бұрын
@@user-zn5lo1tw3m 이민자들 라이프스타일자체가 보수적이라 보수당 지지 많이 합니다
@EmiyaDdarijima
@EmiyaDdarijima Ай бұрын
나 캐나다 사는데 여기 사람들이 중국인, 인도인 혐오 감정 장난 아니다. 그래서 난 항상 코리안이라고 말하고 다니고 직장 동료들, 이웃들에게 초코파이랑 에이스 과자 나눠준다. 짜증나는건 인도인들이 동양인 무시, 차별하는데 내가 피해본적이 너무 자주있다.
@zorlucas7343
@zorlucas7343 Ай бұрын
인도애들이랑 대화하다 보면 미국도 무시하더만. 중국인들의 중화사상은 베비비 수준.ㅎ
@user-wo6iw1li6e
@user-wo6iw1li6e Ай бұрын
난 중국인은 오히려 괜찮던데… 인도인이 정말…
@justretired3880
@justretired3880 Ай бұрын
25년전 이민와서 나름 저리잡은 은퇴자입장에서는 살기젛은 나라입니다. 다만 집값이 너무 올라 젊은 세대들이 힘들어하는 걸 보면 정말 안타까운 일입니다...
@user-uk6pm9pp9b
@user-uk6pm9pp9b Ай бұрын
동의못합니다
@user-ol8vd9jm6t
@user-ol8vd9jm6t 24 күн бұрын
그건 집있는 사람들 이야기. 한국도 돈있고 집있으면 살기좋아요. ㅋㅋㅋ
@seoul6506
@seoul6506 Ай бұрын
캐나다에 이민하려고 왔다가 영주권 받고 4년제 대학 졸업 후 다시 한국 돌아갑니다… 영어가 이제 어느 정도되니 대기업 오퍼도 많이 들어오고 와이프도 미국인이라 한국에서 영어가 필요한 좋은곳에서 오히려 오퍼가 많이 들어오네요… 한국에서 살다가 계속 한국에서 살거나 미국에서 살거나 할것 같습니다. 캐나다는 영주권포기와 동시에 이제 다시 살 목적으로는 안돌아올 예정입니다.
@user-zw9ng4fm9y
@user-zw9ng4fm9y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노력만 하면 기회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노력이 어려운거지. 불안정한 정치적 시류만 잘 타면 부동산으로 볼수도 있고요. 손해볼수도 있지만요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행운이 함께 하길..
@yaletowngirl
@yaletowngirl Ай бұрын
유학을 줄이는 이유는 유학생들이 와서 살아보고 좋으니 졸업 후 워킹퍼밋을 받아 일하다가 영주권이 목적들이라 이민자 줄이는 차원에서 줄였어요 막상 집을 사는 사람들은 유학생 보다는 로컬이 된 이후 사죠. 빈부의 격차는 심해지는 건 맞습니다
@yongwookim6214
@yongwookim6214 Ай бұрын
초초초 갑 최박사님, 부럽고 감사합니다.
@user-gj8ir3dd6y
@user-gj8ir3dd6y Ай бұрын
좋은 아침입니다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chulholee5219
@chulholee5219 Ай бұрын
어느 나라든지 불평등 엄청 심합니다. 한국이 그래도 미국보다 살기 좋아요. 미국도 장난 아닙니다. 지금
@niendeiv9898
@niendeiv989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 짱 먹어라
@montrealer6943
@montrealer694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최고👍 서울당연히좋지만 한국 지방에서의 삶이 왠만한 외국보다 나을것같아요 캐나다 🤔좋은점도 있지만 ( 사람이 많이없어서 다소 한적함 ) 의료써비스 불편하구요 외롭고 그런것들이 저 개인적으론 생각이드네요 인심좋은 한국이 👍
@reelsuper4737
@reelsuper4737 Ай бұрын
물질적인 면만 보면 그런데, 사람들의 저급한 사고방식 보면 캐나다가 나아요.
@user-ki9pn6hj4xx
@user-ki9pn6hj4xx Ай бұрын
가장 스트레스받는게 아침에 출근할 차가 없어질까 걱정하는게 현실이고 짜증난다
@ericajong9054
@ericajong9054 Ай бұрын
인도인들도 많음...한명 들어오면 한 무리 족속들이 문어발처럼 들어와서 차일드베니핏 받고 ...
@user-ou4vf2fu7z
@user-ou4vf2fu7z Ай бұрын
어디 외국인 인터뷰하는데 외모는 인도사람인데 국적이 캐나다여서 의아했던..
@leonlee6917
@leonlee6917 Ай бұрын
잘 짚어주셨네요
@Syng46
@Syng46 20 күн бұрын
캐니다 교민입니다 40여년이 가깝지만 여러가지로 않좋아지는건 사실입니다 모두 맞는말씀압니다
@ahaspertz93
@ahaspertz93 Ай бұрын
늘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베트남도 궁금한데 꼭 해주세요!^^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junyang3357
@junyang3357 Ай бұрын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때 몇달 연수를 갔었는데, 그때만 해도 이미 외국인 학생의 80%가 중국 유학생들이었습니다. 중국말 밖에 안들렸어요 ㅜㅜ 이후 밴쿠버 집값은 3배, 4배로 뛰더군요..... 귀국 후에 다시 갈까 하다가 포기했어요 ㅡㅡ (괜찮은 2층 목조 주택이 2억대 였는데, 이후 확인했을떄는 7억대 였어요... 지금은 더 비싸고...)
@moonheelee1150
@moonheelee1150 Ай бұрын
6:00 캐나다 테크 기업 언급하실때, Spotify (스웨덴) 가 아니라 Shopify (캐나다-이커머스) 인것 같아요.
@pkw80
@pkw80 Ай бұрын
쇼피파이 맞아요
@j.han91
@j.han91 Ай бұрын
캐나다에 프랑스인들 많이 살아서 그런거 아닌가
@user-qj2ji1dc1i
@user-qj2ji1dc1i Ай бұрын
경제 관련 소식들 여럿 종합해서 보면 전세계가 건전한 성장이 아닌 부동산 폭등으로 경제가 망가지는게 공통점이더군요. 복지 국가의 대명사던 북유럽 국가들도 부동산 폭등으로 자산격차가 벌어지면서 출산율이 떨어지는걸 보면 한국의 저출산도 원인은 부동산 자산 거품이 문제인가 같네요.
@user-he5dq1fc6w
@user-he5dq1fc6w Ай бұрын
미국 국경에 있는 캐나다 사람들도 미국 회사로 출퇴근하고 이민까지도 한다네요
@user-zr3mi6mk5u
@user-zr3mi6mk5u Ай бұрын
캐나다 이민갔다가 되돌아오는 사람들 점점 늘어남. 캐나다관련 유튜버들도 공통적으로 하는말들이 갈수록 캐나다 퇴보중이라함.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안티캐나다 유튜버들. 기본적으로 루져들. 그렇게 저주하는 캐나다를 절대 떠나지 않는다는 게 팩트.
@yjbk21
@yjbk21 Ай бұрын
​​따난 사람 많던데요? ​@@aleckim3342
@reelsuper4737
@reelsuper4737 Ай бұрын
캐나다 이민 갔다가 되돌아오는 사람들 많은 이유: 언어가 안됨. 영어를 일상생활에 문제 없을 정도로 구사해야 최소한 기술직을 얻고 사무직 얻으려면 정말 잘해야 하는데, 그거 안되는 사람이 대부분임. 영어 되고 거기 가서 바로 1억씩 벌 능력 되는 사람은 조용히 숨어서 다 잘 지냄. 캐나다 관련 유투버 말 들을 필요가 없는 이유가, 캐나다 정상적 구직 시장에서 루저가 보통 할거 없어서 유투브 하기 때문. 그리고. 지들은 캐나다 영주권 받아놓고 새로 오려는 사람들이 스스로 안오게 하려고 나쁘다고 일부러 그러는 경우도 있음. 가보지도 않고 이런 소리 하는 사람들이 제일 답답함.
@reelsuper4737
@reelsuper4737 Ай бұрын
@@aleckim3342 맞아요. 유투버로 잘 나갈 거면 한국에서 했겠죠. 한국에서 루저라 외국 나가 놓고 거기서도 안되니 유투브 하다가 자기들 루저인거 인정하기 싫어서 캐나다 욕함. 전형적인 여우의 신포도.
@user-uz1fu5fh2x
@user-uz1fu5fh2x Ай бұрын
엄마랑 통화하다 들었는데 캐나다 이민 40년 넘은 친척이 캐나다 뜬다고 하더라구요 예전 직업은 약사였었구요
@shsong8579
@shsong8579 Ай бұрын
돈이 많거나 영어를 잘하거나 두가지중 하나는 충족이 되어야 살수있어요 와서 살아보시면 이해되실거예요
@gigiyaya7
@gigiyaya7 Ай бұрын
둘다 충족되어야할거 같은데요 ㅠㅠ
@choiedward7433
@choiedward7433 Ай бұрын
국경 부터 20년전, 10년 전과 또 다르게 아시아 인에 대한 좋지않은 감정을 종종 볼수있고 원 주민 들도 같아요. 급행 통과증이 없었다면 특히 백인 우월주의자가 많은 국경 검문 애들이 싫어 안놀러 갈 겁니다. 이넘의 사회주의 국가.. 뭐 중/저 소득층에 각종 혜택은 많아도 사회가 젊은 애들이 꿈과 용기로 창업할 조건/분위기가 아닙니다. 이런 애들이야 다 미국으로 오지요.
@AmaPaxDeus
@AmaPaxDeus Ай бұрын
미-캐나다 국경에 있는 애들은 위압적, 고압적, 사무적으로 사람 대하라는 교육을 받은 애들입니다.(미국이나 캐나다나 양측 다) 얘네들이 다른 백인들에게 어떤 식으로 대하는지 보거나 들어봤습니까? 미국에서 육로로 캐나다 입국하던 제 아는 사람 친구 독일인은 국경에서 불쾌한 경험때문에 캐나다 다시 오나봐라 했답니다. 이 거 외에도 보거나 들은 게 꽤 많습니다. 이런 식으로 만사를 피해의식을 갖고 보려면 캐나다에 살 이유가 없습니다.
@castiel9828
@castiel9828 Ай бұрын
캘거리 10년살다왔는데 박사님 말씀은 캐나다가 망하고있다기 보다는 예전과다르게 더이상 이민 천국이 아니라는 거임. 한국과 비교해서 장단점이 확연히 있음 그 장단점을 따지면 한국과 또이또이임 그중에 각 나라의 장단점에서 어떤부분이 중요하냐에 따라 이민 결정하는게 중요함. 한국이 ㅈ 같아서 캐나다 간다 혹은 다른 나라간다? 이제는 더이상 아님
@Gimlet6051
@Gimlet6051 Ай бұрын
호주도 비슷합니다. 코비드 이후로 비자 너무 뿌리고 학생도 과하게 받아서 현지인들 집값 올랐다고 아우성 입니다. 사실 원인과 결과를 보면 예견된 일이죠. 정치적 의도가 다분한 너무나도 단기 지향적인 이민정책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습니다. 그래서 결국 올해부터 학생 수 줄이겠다고 하는데 사실 집값 때문이면 워킹홀리데이비자를 줄여야죠. 학생을 너무 많이 줄이면 교육계가 큰 인더스트리 인데 GDP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이민자 수가 급격하게 줄어서 나중에는 인력수급이 힘들어 질겁니다.
@oooo6394
@oooo6394 28 күн бұрын
호주도 상황이 안 좋나보네요 듣고보니 학생을 줄이지말고 워홀을 줄여야지 좀 이해가 안가네요 워홀 많이 뿌려봤자 물만 안 좋아질거 같은데 한녀들은 코비드 이후로 워홀비자 많이 뿌릴때 또 엄청 많이들 가서 워홀비자로 엄청 많이 몸이나 팔아 재꼈겠죠 뭐 안봐도 비디오. 비자도 뭐든지 적당선 수준을 뿌렸어야 했다고 생각이 드네요
@user-is6tl5zq9m
@user-is6tl5zq9m Ай бұрын
세계가 우울하네여
@user-rd8dh1hv3p
@user-rd8dh1hv3p 2 күн бұрын
핵전쟁만이 답입니다
@johnyskrskr
@johnyskrskr Ай бұрын
진짜 코로나 이후로 정말 많이 안 좋아진거 같습니다. 코로나때 TR to PR 로 엄청난 숫자의 영주권을 뿌리고, 난민들도 지속적으로 받으며, 계속 문제되어왔던 전문대학 (칼리지) 들의 엄청난 학생비자 그후 취업비자를 뿌려되는 바람에 엄청난 사람들이 몰려와 캐나다의 모든 시설들을 마비 시키는거 같습니다.심지어 이 모든 사람들이 토론토로 많이 몰리다 보니 렌트비, 생활비, 기름값 + 모든게 폭등하면서 살기가 너무 힘들어 지네요. 세금은 미친듯이 내는데 계속 안 좋아지는걸 바라보면 진짜 요즘 답이 없는거 같습니다...
@juliashin559
@juliashin559 Ай бұрын
이민온지 23년 됐는데 집에 장애인이나 아픈 사람 있으면 정말 많은 혜택을 받는 복지 국가입니다. 노인 최저 연금도 한국보다 훨씬 많고요. 복지를 유지하려고 고소득자들에게 세금을 높게 징수해서 인재들이 미국으로 이주해 가서 걱정입니다. 젊은 세대들은 세계 어디나 비슷하게 집값과 직장으로 힘들고요.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의사나 간호사는 요즘은 미국 잘 안가는 추세입니다.
@intuitioninstinct1094
@intuitioninstinct1094 Ай бұрын
원래도 많아지고 있었지만, 근래 캐나다에 펀자비들 폭발적으로 늘어난것 같음. 올만에 캐나다 가서 버스 타보고 깜놀쓰~
@starrJJ
@starrJJ Ай бұрын
푼자비들 개 싫어요. .
@seungchoi5368
@seungchoi5368 Ай бұрын
캐나다 사람들대부분노동자들이 삼시세끼와 집세낼정도, 식비정도해결되면 돈을더벌려는 의욕을 갖지않습니다. 더벌면 세금많이낸다고....
@sharon.park.9152
@sharon.park.9152 Ай бұрын
집중홍보중이요
@jklee580
@jklee580 Ай бұрын
요즘 그래서 캐나다로 이민 갔다가 미국으로 다시 이주한다고 하더군요! 우리나라도 출산율을 평균 1명 대로 복귀하기 힘든 시점에서 이민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정책으로 가야하는데....캐나다를 반면교사로 삼아 합리적이고 좋은 정책으로 인구와 물가정책을 만들어야 할 것 같군요! 그러나 이넘의 정부에서는 기대할 정책의 초안도 없을 것이라고 본다.
@user-wo6iw1li6e
@user-wo6iw1li6e Ай бұрын
근데 캐나다가 이민사회중에선 가장희망편이라는게 아이러니…
@yunilee1004
@yunilee1004 Ай бұрын
선진국 대열에 있던 나라들 공통점이네요...분노 화 불안...
@alohamahalo80
@alohamahalo80 Ай бұрын
정프로님 가족님들 캐나다로 가셨구나~~~
@SJKIMMILK
@SJKIMMILK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베이비부머 586에 대한 세대갈등이 엄청 심한데 등잔밑이 어둡네요
@TurquoiseLemonade
@TurquoiseLemonade Ай бұрын
3년 전에 캐나다로 이주했습니다. 한국사람들이 캐나다에 환상이 있는 듯. 그지같은 제품을 엄청 비싸게 사고 모든게 느리며 벌어도 벌어도 세금과 렌트로 다 나가는 게 현실이에요. 거의 사회주의적 요소가 커서 규제가 무지 많고 사회 전체가 뇌경색에 걸린 느낌. 역동성이 없어요. AI를 시작한 나라가 어찌 이지경이 되었는지...
@MyWay-zu4go
@MyWay-zu4go Ай бұрын
빨리 요즘 뜨는 TX나 한인 밀집지구인 GA로 재이주 하는게 더 낭르듯
@gigiyaya7
@gigiyaya7 Ай бұрын
저도 가본 나라중에 규제가 가장 많다고 느꼈네요. 규제뿐만 아니라 국민성 자체가 사회주의… 전체주의적인 느낌?? 사회 전체가 뇌경색걸렸다는 표현 뼈때리네욬ㅋㅋㅋㅋ 정답!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MyWay-zu4go그쪽은 가면 안되요 지금 허리케인때문에 25명 사망자 나왔어요 ㅠ 뉴욕으로도 허리케인이 이동한답니다
@MyWay-zu4go
@MyWay-zu4go Ай бұрын
@@Kwang-Min-Lee 허리케인 걱정되면 미국내 타 범죄도시 NYC 같은데서 어떻게 사냐? ㅋ 뭘 말꼬리 잡는게 목적이냐? 아님 뭐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Disorder냐?
@MyWay-zu4go
@MyWay-zu4go Ай бұрын
@@user-yb6og1dx2b 과도한 디지털화의 문제점임!
@user-gc7ky2wg3i
@user-gc7ky2wg3i Ай бұрын
이민이고 난민이고 너무 무작정 받으니까.. 질 떨어지는것들도 많아지고 범죄율도 높아지고
@highpeak3518
@highpeak3518 Ай бұрын
문제있는 나라의 공통점. 난민,유학생, 불법이주자 등의 문제로 사회갈등.
@dongkwon1242
@dongkwon1242 Ай бұрын
"뜬구름잡는 주의"도 한몫 단단히 합니다.
@simonyi9000
@simonyi9000 Ай бұрын
한국이 바로 그나라다
@yorshigol85
@yorshigol85 Ай бұрын
가난하고 문제많은 사람들을 받아들이는데도 한국보다 훨씬 잘 산다는 게 함정 ㅋ 미국 싱가폴처럼 처음부터 부자들만 받는 나라들...못 사는 게 이상한 거 아닌가 ㅋ 총기사고에 범죄에 미국에 사는 사람들 정말 대단하다 느껴짐 난 억만금 줘도 거기 못 살 거 같음
@user-tj5dg7uu5w
@user-tj5dg7uu5w Ай бұрын
그런 문제 없이도 전라도 경상도 거리는것들은 얼마나 못난것들인지 말해주네
@user-ey7dp5zr2y
@user-ey7dp5zr2y Ай бұрын
@@yorshigol85 가서 살아보면 알게됨. 다 뉴스는 딴나라 얘기라는 걸..젊으면 빨리 탈조선해라..늙은이들 노예로 평생 살다간다니 .
@knleekuri
@knleekuri Ай бұрын
현재 벤쿠버 w33rd 와 Gravnille , Kerridale에 살고 있는데 현재 저희집 렌트비는 3350불. 3백3십3만원입니다. 점점 올라가고 있어요. 아이들 셋 다 시민권자들인데 직업 구하기도 힘들어요.
@dduunnll
@dduunnll Ай бұрын
한국보다싸네
@DJ_KRCA
@DJ_KRCA Ай бұрын
이민을 갈때 철저히 조사하고 준비하고 가야지 이웃 마을 이사 가듯이 가면 당연히 실패하고 어려운 것 은 당연하지요.
@AmaPaxDeus
@AmaPaxDeus Ай бұрын
일반 캐나다인도 캐나다 타지역에 살다가 토론토, 밴쿠버 지역에 가서 같은 수준의 삶을 살려면 돈을 훨씬 많이 벌어야 합니다.(최소 2.5~3배는 벌어야 한다고 봅니다.) 두 도시의 생활비가 장난이 아닙니다. 서울은 댈 것도 아닙니다. 주거비 + 자동차 보험비( 토론토, 밴쿠버는 캐나다에서 대중 교통이 발달한 편이지만 한국 수도권에 비하면 노선이 턱없이 적고 요금도 비쌉니다.한국은 차 없어도 살만한데 캐나다는 전혀 아닙니다. 차 한대도 없으면 삶의 질이 확 떨어집니다.)만 해도 지역편차가 엄청 큽니다. 집이 렌트건 자가건 상관 없습니다.(재산세율이 워낙 높음) 한국에서 밴쿠버로 이주하고 남편 외벌이로 살기 힘들다는 유튜브 방송을 봤는데 밴쿠버에서 외벌이로 사는 건 심지어 가정의도 쉽지 않은데 이런 사정을 모르고 이민온 건 참으로 무모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런 식으로 무모한 이민을 했다 실패한 분들이 자기가 제대로 알아보지 않은 건 무시하고 캐나다 정부가 사기를 친 것 같이 말하는 거 보면 어이가 없습니다.
@youngs.8350
@youngs.8350 Ай бұрын
한국은 차없어도 편함. 버틸만한 수준이 아니고 세계최고임. 국뽕아님.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youngs.8350수도권은 차없어도 지하철이 잘되어있고 애매한 거리는 전기자전거나 전동킥보드 타면 오히려 더 편하죠 ㅎㅎ
@shan1474
@shan1474 Ай бұрын
이민와서 솥뚜껑 운전만 하겠다는 려성 동무들 생각이 잘 못 된거죠. 원래 한국 보다 생활비, 물가 비싼 곳이라. 감자, 쇠고기 정도는 한국보다 싸려나...
@gogo-rk1je
@gogo-rk1je Ай бұрын
​@@shan1474이 아줌씨가 캐나다 자동차 보험료 수준을 잘모르는구만 .. 에혀 쯧쯧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Kwang-Min-Lee대중교통 편해도 외제차 정도 있어야 연애라도 할 수 있죠. 외벌이로 살겠다는 생각은 서울에서도 도시빈민으로 살겠다는 거고. 도낀개낀. 한국 좋으면 한국에 살면 되는 거죠.
@helloskye
@helloskye Ай бұрын
호주도 비슷한데 캐나다 보다 실직소득이 높고 실업률이 낮네요.. 미국 이민 말곤 요즘 딱히 메리트 없는 거 같아요
@sukhwang4554
@sukhwang4554 Ай бұрын
전세계에 살기좋다는 나라는 다 사람이 몰리고있고 이건 비행기의 개발 덕분입니다 자본주의 사회가 글로벌화 되어서 돈있는데 살기 좋지못한 나라에서 돈들고 이사오는건 오늘내일 일이 아닙니다 다만 그만큼 외국 돈이 들어오는거라 모든게 오르는데 보통 뭐가 오르면 임금도 오르기마련이고 이민자들 사는거야 어딜가도 힘들지만 원주민들은 좀 살만해야되는데 캐네디언도 따라가기힘들만큼 빡세지니 문제가 된겁니다 아직 땅도넓고 인구는 적기때문에 캐나다는 아직 스트레칭도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살기좋을거라는 생각 하나로 해외의 의사 엔지니어 기술자들이 식당알바해가면서 까지 들어오는나라인데 인구 걱정도 안해도되고 정부가 멍청하게 경영하지만 않았으면 진짜 잘 나갔을텐데 10년을 날려먹었으니 아쉽습니다
@dobedobedo94
@dobedobedo94 Ай бұрын
20년전에도 캐나다인이 대학졸업해도 취업할 곳이 없다고 그랬는데, 지금은 부동산값이 치솟고 빈부격차가 심해져서 역이민이 늘고있다고, 미래가 없다는 유튜브영상이 많긴 하더군요. 트뤼도가 인기많은줄 알았는데 그렇지않은 상황인가봐요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장차 병역가능 모든 남자가 100% 군대가도 30만 병력도 불가능한 한국의 미래가 더 걱정이죠.
@gigiyaya7
@gigiyaya7 Ай бұрын
웃긴게 캐나다 거주 한인들은 한국은 헬조선 캐나다 천국 외치면서 인터넷 도배를 하며 돌아다니는데 자기 삶이 그렇게 만족스럽다면 그냥 행복하게 살면 될것을 여기저기 한국인 커뮤돌아다니며 무지한 사람들에게 거짓 환상을 심어주며 이민자들을 모집하고 있는게 정말 괘씸하고 소름. 다른 피해자를 물색하는건가 정말 알수가 없다. 이시국에 캐나다 이민은 캐나다 정부의 노예가 되는거나 다름 없습니다. 아아, 내가 돈이 차고 넘쳐서 할게 없다 하시는 분들은 예외
@reelsuper4737
@reelsuper4737 Ай бұрын
한국은 안 그런가요? 참 누구 얘기를 하고 있는지.
@user-nm1ro3xn3v
@user-nm1ro3xn3v Ай бұрын
@@aleckim3342 왠 한국과 비교?? 역이민이 늘고 있는건 팩트이고… 글 쓴 분이 말하고자 하는건 캐나다 자체가 안좋아졌다고 하는건데 왜 한국 들먹이며 딴지를 걸죠?? ^^
@user-nm1ro3xn3v
@user-nm1ro3xn3v Ай бұрын
@@reelsuper4737 캐나다가 폭망중이라는걸 얘기하고 있는데 뭔 한국이 어쩌느니 시비를 거시나??
@user-lz7vg1tb2e
@user-lz7vg1tb2e Ай бұрын
벤쿠버 토론토 사는 사람들은 집값에 힘들다 힘들다 하는데 막상 그지역 아닌곳들은 행복하게 사는중 자원 수출 국가라 한국처럼 수도권에 일자리 몰려있는것도 아닌데 유학생들 이민자들이 벤쿠버 토론토만 살아서 그지역 20대만 죽어나는중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사실 밴쿠버도 랭리같은곳들은 신축2배드 타운하우스 50만불에 가능합니다.전철 들어오면 올라가겠지만요.서울중위권 강서구 38평아파트 14억입니다 ㅠ
@user-ht4oh4tm4r
@user-ht4oh4tm4r Ай бұрын
예전엔 외항선원들도 캐나다로 이민 가고 싶어했는데...
@user-xe2ok8xq2d
@user-xe2ok8xq2d 11 күн бұрын
잘듣었습니다.
@user-il4he4he7d
@user-il4he4he7d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집 여러채 지닌다 해도 전세없고 콘도피 관리비 주인이 내줘야하 고 재산세 비싸서 생각만큼 수익성 이 없답니다.
@user-id7to7ng3u
@user-id7to7ng3u Ай бұрын
캐나다 20년전에 갔을때도 와 좋다 이런느낌은 없었는데 걍 관광지 여행하는 느낌
@luv4701
@luv4701 Ай бұрын
캐나다가 좋은건 풍경이 좋다. 끝 그마저도 몇달살면 지겹고 재미없어짐... 차라리 미국을 가세요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재미없고 지겹고 못살겠으면 한국을 가셔야죠 미국은 동양인 소수민족이라서 더 할거없어요 ㅠ
@hdsl13181
@hdsl13181 Ай бұрын
@@Kwang-Min-Lee캘리포니아나 뉴저지쪼까면 일자리많아요. 아시안들 많이 살아서 저도 캘리포니아에서 잡구하고 잘지내고있음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hdsl13181 캘리는 미국에서 탈캘리 한다고 난리난곳인데요..
@hdsl13181
@hdsl13181 Ай бұрын
@@Kwang-Min-Lee 뉴스만 보고 맹신하지마시죠 ㅋㅋ 캘리만 해도 너무 넓은데
@Hjalwiej-wz2fiDji2x
@Hjalwiej-wz2fiDji2x Ай бұрын
@@Kwang-Min-Lee 2023년 캘리포니아 인구: 약 3,920만 명 (39.2 million). 캐나다 전체 인구: 약 3,890만 명 (38.9 million). 물론 캘리가 크기도 하지만 캐나다 전체 인구가 캘리주 하나 인구보다 못합니다. 미국 주가 50개인건 아시죠? 캐나다 동양인이 소수일까요 미국 동양인이 소수일까요…그리고 캐나다 사시면 아실텐데요 오히려 동양인들끼리 서로를 더 무시한다는걸;;; 모이면 더 서로 물고 뜯기 바쁘다는걸 전 캐나다에서 배웠었습니다;;
@cacoree
@cacoree 5 күн бұрын
저는 퀘벡에 살고있어요~~집 렌트비 한달에 310만원 내고있습니다
@user-ns9hp3pu4c
@user-ns9hp3pu4c Ай бұрын
캐나다 집값 상승 여러 원인이 있음. 건축 허가 느림, 유학생 집 사재기, 중국인 투기 등. 외교문제로 크게 알려지지 않은 다른 요인은 중국, 필리핀, 베트남 마약 갱단이 카지노 통해서 돈세탁 하고 그거로 부동산 투기함. 사실 이 비중이 무시 못하게 큼. 그래서 세금폭탄 맞아가면서도 빈집 유지하는게 가능함. 이런식으호 마약문제가 심각해 질 수록 부동산가격이 상승하는것에도 연관성이 있음. 집값상승 패턴보면 대도시 위주, 중국인들 많이 거주하고 중국 갱들 활동지역위주로 많이 상승.
@oncube2465
@oncube2465 Ай бұрын
며칠전에 밴쿠버 다녀왔는데, 와...무슨 길거리에 노숙자 바글바글, 마약하고 ㄷ ㄷ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헤이스팅 거긴 그래요. 다행히(?) 그리로 몰아놨죠. 한국 신림도 살벌하던데
@oncube2465
@oncube2465 Ай бұрын
@@aleckim3342 제가 다녀온곳은 그랜빌 st 쪽 입니다, 헤이스팅은 더 심한걸로 알고있고 제가 놀란 이유는 그랜빌st같이 대로변 또는 나름 중심가에 노숙자들 여기저기 있는게 조금 놀라웠습니다
@aleckim3342
@aleckim3342 Ай бұрын
@@oncube2465 처음보면 무섭고 보기에 거시기하지 신림처럼 조선족이 인육 포뜨고 하진 않죠.
@gigiyaya7
@gigiyaya7 Ай бұрын
헤이스팅스뿐만 아니라 각 지하철역 저멀리 밴쿠버 아일랜드까지 노숙자로 점령되었죠…
@user-eu8wx4xp3e
@user-eu8wx4xp3e Ай бұрын
@@aleckim3342 신림에 대학생 거리고 상권이 비즈니스가 활발해요.. 서울에서 이미지가 안 좋은 동네인 건 사실이지만 마약 천지인 개나다랑은 비교가 안되게 안전함..
@KateKim-rn3lh
@KateKim-rn3lh Ай бұрын
현재가 넘 미래가치를 땡겨먹어서 젊은 사람들의 희망이 없어지는거 같아요
@user-qi3fo5in9s
@user-qi3fo5in9s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됩니다.
@yorshigol85
@yorshigol85 Ай бұрын
스스로 찾으세요 그동안 공짜로 누린 건 기억도 안나니 저런 말 나오지 ㅎ
@user-qi3fo5in9s
@user-qi3fo5in9s Ай бұрын
@@yorshigol85 무슨 의미죠?
@KateKim-rn3lh
@KateKim-rn3lh Ай бұрын
@@yorshigol85 또라이 뭔 도그소리인지 멍멍
@jonnace01
@jonnace01 Ай бұрын
이게 진짜 제대로 된 한줄요약
@racheljung2447
@racheljung2447 15 күн бұрын
유학생=인도 입니다 요즘은 중국인들은 많지 않아요 … 그리고 진짜 캐나다 예전 캐나다가 아니예요 ㅠㅠ 물가 너무 비싸고..
@seoulantalee4427
@seoulantalee4427 Ай бұрын
정프로님은 안구에 건강 문제가 있나봐요 ? 건강했으면 합니다
@user-zk2ic1qj2k
@user-zk2ic1qj2k Ай бұрын
개발 사업에 대한 논란이 있을 때 흔히 예시를 드는 것이 캐나다 전투기 개발 사업
@ykn710
@ykn710 Ай бұрын
중국 마이컸네.. 화장실 휴지 훔쳐 지들 기숙사 방에 꽉꽉채워 넣던 중궈렌 유학생이었는데
@Kwang-Min-Lee
@Kwang-Min-Lee Ай бұрын
세계 500대 기업중에서 중국이랑 미국이 숫자가 똑같습니다.중국은 대국입니다.
@user-ys6qr2tf8k
@user-ys6qr2tf8k Ай бұрын
​@@Kwang-Min-Lee마인드가 후진국
@user-gp4fs3qd8y
@user-gp4fs3qd8y 28 күн бұрын
꼬리아보단 선진임​@@user-ys6qr2tf8k
@JHKim-nn4uz
@JHKim-nn4uz Ай бұрын
유학생을 일괄적으로 줄이는게 아닙니다. 쉽게 들어가는, 유학생 비자 장사하는 칼리지 위주로 줄이는 겁니다.
@gogo-rk1je
@gogo-rk1je Ай бұрын
2001년에 컴퓨터엔지니어로 랜딩했는데 좃선보다 뭔가 정체된 느낌.. 15년 살다 여긴 아니다 싶어 도주
@gigiyaya7
@gigiyaya7 Ай бұрын
진짜 현명하셨네요…
@youngheepark9550
@youngheepark9550 Ай бұрын
밴쿠버는 겨울에도 춥지 않기때문에 노숙자가 더 모이는거예요~
@user-sk7sy2ky6k
@user-sk7sy2ky6k Ай бұрын
난민 수용은 국가 말아먹는 일임.
@Sue-sh6tf
@Sue-sh6tf Ай бұрын
주마다 이민 스트림 잠장중단 발표하거나 커트라인 점수를 높여 진입불가 정책을 발표했어요. 당분간 캐나다 이민은 클로징상태라고 봐야할지도 모르겠어요.
@blablabla690
@blablabla690 Ай бұрын
캐나다는 인도인들 때문에 망했다고 해도 과언일정도로 인도인들 좀 그만 받아야됌
[캐나다 1부] 치솟는 캐나다 물가, 왜 이런일이?
37:56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493 М.
He sees meat everywhere 😄🥩
0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너희는 왜 군면제야? 이스라엘의 '하레디' 너희도 군대 가라! [이스라엘 특별편]
18:13
현대판 영국 런던의 대영주, 25세 웨스트민스터 공작
18:46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334 М.
[캐나다 2부] 자연도 자원도 완벽한 캐나다, 왜 경제발전은 더딜까?
34:22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391 М.
극심한 감소에 시달리는 와인 시장
22:4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84 М.
금리인하로 심폐소생에 들어간 유럽
32:5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88 М.
캐나다, 위기인가요? 과장인가요?
24:48
토론토 변호사 조재현 | JAE CHO
Рет қаралды 39 М.
유럽 최대 도시였던 리스본? 지금은 왜? [포르투갈 1부]
37:53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77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