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HD역사스페셜 - 미스터리 추적! 신라탑에 백제금강경이 봉안된 까닭은? / KBS 20050923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361,887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2 жыл бұрын

- ‘왕궁리5층석탑’과 그 안에서 출토된 ‘금제금강경’
1965년 전북 익산의 왕궁리5층석탑, 기울어져 가던 탑신을 복원하기 위해 해체와 수리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청동여래입상과 녹색 사리병 등 국보급 유물 10여점, 그 중에서도 순금으로 제작된 ‘금제금강경’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작품이었다. 어마어마한 유물은 이후 40년이 흐른 지금까지 발굴보고서조차 나오지 못한 채 베일에 쌓여있다.
과연 누가, 무슨 염원을 담아 이렇게 진귀한 작품을 만든 것인가?
- 탑과 사리유물의 제작연대가 다른 까닭은?
금강경이 출토된 왕궁리5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탑이다. 따라서 금강경 역시 당연히 같은 시기의 유물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최근 금제금강경의 제작시기에 대한 새로운 분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먼저 금강경과 함께 출토된 사리함의 문양이 백제의 사비시대에 나온 문양과 같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금강경의 글씨체는 중국의 육조 사경체와 같아 7세기를 넘지 않았다.
즉, 금강경과 그것을 보호하던 사리함은 ‘백제’ 시대에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같이 출토된 청동여래입상과 석탑은 통일신라 작품이다. 왜 금강경만이 백제 시기 작품이며, 통일신라 탑에 봉안되었던 것일까?
- 미스터리를 풀 결정적 단서, 왕궁리 목탑지와 일본의 고문서!
1965년 왕궁리석탑 해체 당시 석탑에선 볼 수 없었던 ‘백제목탑’ 구조가 기단부에서 발견, 발굴팀을 의아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의문은 해결되지 않은 채 묻혀져 왔는데...
1990년대 중반, 실제로 현재 석탑의 기단부에 훨씬 큰 규모의 목탑지가 있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즉 금강경은 현재 석탑 이전에 세워진 목탑 내에 안치 되었으며, 석탑이 지어진 후 금강경이 옮겨진 것이다.
이와 관련한 단서가 일본의 고문서 ‘관세음응험기’에서 발견됐다. 문헌에는 백제 무왕의 왕궁리 천도와 왕궁리 일대 사찰 조성에 관한 기록을 담고 있었다.
정확하게 일치하는 ‘관세음응험기’ 기록과 왕궁리 유물과의 관계를 검증해 봤다.
- 왕궁(王宮)리, 최초로 확인된 백제 왕궁지!
이름부터 예사롭지 않았던 왕궁리, 바로 이곳은 백제 무왕이 천도를 한 곳이었다.
여기에 백제 궁전이 있었다는 사실이 1990년대 이후 발굴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결정적으로 왕궁리 유적의 성격을 드러내는 유물은 ‘수부’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 우두머리가 거주하는 곳이라는 뜻의 백제기와이다. 지금까지의 발굴결과를 토대로 백제 왕궁을 그래픽으로 복원했다. 기와로 장식한 화려한 담장, 최초로 확인된 삼국시대 정원의 모습과 공방시설, 화장실에 이르는 왕궁 부속건물들까지 매우 구체적이다. 그동안 백제 왕궁은 실체를 확인할 길이 없었기에 익산 왕궁성의 가치는 더욱 크다.
HD역사스페셜 20회 - 미스터리 추적! 신라탑에 백제금강경이 봉안된 까닭은?
(2005.9.23.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235
@Rnrgksfjqdnsgo
@Rnrgksfjqdnsgo 3 ай бұрын
역사가 살아숨쉬는 멋진 다큐멘터리입니다. 공영방송이란 무릇 이런 걸작을 만들어내야 하는 것입니다 KBS의 재건과 부활을 기대합니다
@hifrandy1482
@hifrandy1482 5 ай бұрын
아주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이런 역사물이 많이 방송되기를 바래봅니다
@203orion
@203orion Жыл бұрын
도저히 현대에도 숙련된 기술이 없으면, 저렇게 얇은 금박에 글자를 쓰는것만으로도 쉽지 않은데 그걸 거꾸로 써내려갔다니... 정말이지 우리 조상님들의 기술은 놀라움 그 자체임.
@user-qv5gw7wo2n
@user-qv5gw7wo2n 2 жыл бұрын
신라에황룡사터가있다면 백제에왕궁사터가있유명했군요 거기오층석탑에서 금동사리함속에 금제금강경 이금띠를갗춘 책처럼새긴금강경 심오하고 놀라운 우리의 문화제다 이런역사이야기들 먹방같은그런방송말고tv에 많이방송해주면좋겠다
@aspire005545
@aspire005545 Жыл бұрын
네 그럴게요^^ 은숙님_
@user-ob2is5xl5q
@user-ob2is5xl5q 2 жыл бұрын
내고향 금마 소풍때마다 가던 왕궁탑 미륵탑 그립다.. 당시엔 왕궁탑은 보물44호 미륵탑은 국보11호 인데..
@azure397
@azure397 2 жыл бұрын
금제금강경 하나로 저런 역사추적이 가능하구나. 재밌군.
@user-vy2ev3jw7z
@user-vy2ev3jw7z 2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의 섬세함이 대단하네요 이제 경제대국 이니 우리나라 여러 곳곳에 문화재를 발굴하여 복원사업을 했으면 합니다 이것이 나라사랑 아닐까요!
@sin1231000
@sin1231000 2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hst2o5BenN2Wfmw.html 천부경 갑골문 봉인을 풀다.
@user-hi7qg7vg8t
@user-hi7qg7vg8t 2 жыл бұрын
발굴이라는게 파괴를 동반하기 때문에 항상 조심할 수 밖에 없죠. 그리고 목조건물이라 형태도 안 남은 것이 많아서 복원도 힘듦니다. 후대의 몫으로 남겨두는 게 좋은 것도 있죠.
@2-.177
@2-.177 2 жыл бұрын
경제대국?? 2번찍찍이들 때문에 지금 개차반됐음다
@richardphillipsfeynman8851
@richardphillipsfeynman8851 6 ай бұрын
​@@2-.177이러는 애들 때문에 망한거지
@user-xi3oc6zh1q
@user-xi3oc6zh1q 4 ай бұрын
너? 신천지? ​@@richardphillipsfeynman8851
@younglim7381
@younglim7381 2 жыл бұрын
와..정말이지..놀랐네요.. 금도 풍부했었나 봐요... 최근에 책자 인쇄분 , 일본 목조 건물 .탑 사진을 보면 서 , 한국 건축물 과 다른 느낌였었는데.. 백제시대의 목조 탑,건축물 과 거의 같아 보입니다.. 우리 옛 문화가 작아 보였는데. 요즘. 유튜브를 통해서 역사 다큐멘터리 를 보면 볼수록 정말 훌륭한 민족임을 알아 가고 더욱더 좋은것들을 발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z5my5eu1o
@user-rz5my5eu1o 2 жыл бұрын
즉 목판인쇄술 개발 130여년 전에 한반도에서 이미 금은동을 활용하여 인출기법이 존재했으므로 중국에서 우기는 세계최초 목판기술은 억지이며, 인쇄술의 종주국이 세계사에서 다시 논해져야 한다.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50프로 한국 유물임 ㅉㅉㅉ 백재 유물이 중국 본토거보다 시기가 한참 빠름 ㅉㅉㅉ
@funhunter101
@funhunter101 2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이런 다큐도 자체제작해서 방송하고 그랬는데.... 요즘은 돈만 받아 쳐먹고 정치 앞잡이 한다고 정치방송이나 하고 있지 방송국 망하는거 한순간이다 정말
@user-em3fk5qv6k
@user-em3fk5qv6k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ㆍ 방송국도 국민도 다 미쳐갑니다ㆍ
@user-su1ln1jg2q
@user-su1ln1jg2q 2 жыл бұрын
옳소
@damiansong
@damiansong 2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lobin937
@lobin937 2 жыл бұрын
정권의중요성 결과로 역사를보존하네요
@user-fw2hl5vc6n
@user-fw2hl5vc6n 2 жыл бұрын
엄청난 내용이네요. 정말 놀랐습니다.
@user-mv9nl5sj7k
@user-mv9nl5sj7k 2 жыл бұрын
여러번 다시 봐도 유익한 내용이네요
@kmson5
@kmson5 2 жыл бұрын
잘보았습니다 좋은 프로그램 입니다
@user-jl4pe1vf8f
@user-jl4pe1vf8f 2 жыл бұрын
5층석탑에서 금깅경이 발견됐다는것도 신기하구요
@user-nb6xo3bj6s
@user-nb6xo3bj6s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mjkim106
@mjkim106 Жыл бұрын
맨날 보는 얼굴들의 예능뿐이라...ㅇㅣ런 방송보면 힐링이 될정도.,
@kkcstv
@kkcstv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반갑습니다 덕분에 즐감했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감사합니다 ~~ 🪁🪁🪁🪁🪁
@user-fl7kn1eg9f
@user-fl7kn1eg9f 2 жыл бұрын
항상 이채널보면서 잠듭니다 감사합니다
@charliesangel1008
@charliesangel1008 10 ай бұрын
ㅋㅋ저둔데 맞아요 성우분 목소리 듣고 잠이솔솔ㅎㅎ
@nae_an
@nae_an 5 ай бұрын
저도..!
@user-pt4hf5wu5l
@user-pt4hf5wu5l 6 ай бұрын
엊그제 왕궁리유적에 수박 겉핧기 식으로 다녀와서 미비한 점이 있었는데 흥미롭고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유익한 자료예요
@jhsol93
@jhsol93 2 жыл бұрын
제석사가 불탔을때, 사리병, 내합은 그대로였다는데, 사리병 속에 사리가 없어진 건 또 신기하네요 ㄷㄷ
@jhh2034
@jhh2034 2 жыл бұрын
원래 없었던 건 아닐까요. 부처님 사리가 모두 우리나라로만 온 것도 아닐텐데 곳곳에 사리 모셨다는 곳이 너무 많아요.
@user-hi7qg7vg8t
@user-hi7qg7vg8t 2 жыл бұрын
@@jhh2034 진신사리와 법신사리 두 종류라서 그래요. 진신은 석가 사리고, 법신은 불경같은 걸 대신 넣는 거에요. 우리나라에 진신사리가 있는 절은 통도사 밖에 없을 거에요. 그래서 3보사찰 중 하나죠.
@jhh2034
@jhh2034 2 жыл бұрын
@@user-hi7qg7vg8t 아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z4dm1yi4i
@user-sz4dm1yi4i 23 күн бұрын
쥐가 파먹은거 아녜요??????????
@mykang6574
@mykang6574 2 жыл бұрын
유익하네요 킬링타임 굿굿
@user-vf2so2cb6f
@user-vf2so2cb6f 2 жыл бұрын
17년전 방송인데 그때는 KBS에 시청료를 냈었는데 지금은 안낸다 전기료에 강제로 부과되는 시청료를 빼달라고 전화해서 지금은 시청료가 강제로 나가지 않는다 물론 현재 TV가 없다 TV를 안보고 산지 10년이 되었다 !
@sin1231000
@sin1231000 2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hst2o5BenN2Wfmw.html 천부경 갑골문 봉인을 풀다.
@doccom9113
@doccom9113 2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 못할것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사내용을 선택적으로 진위를 가른다는것입니다 그러나 그 진위의 기준이 모호하며 고증이 대부분 안되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러니 더이상 믿을수가 없다는 것만으로 진위를 가르지 맙시다 크레타 문명도 18세기에 이르도록 전설이나 신화취급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왕궁터와 유물이 세상에 드러난 순간 그 신화는 역사가 되었습니다 홍산문명이 바로 그 크레타문명이 아닐까요
@jamesroh3247
@jamesroh3247 2 жыл бұрын
저곳을 경주 불국사처럼 재건하고 복원한다면 정말 웅대한 백제왕궁이 세워지고 큰 관광지가 되겠네요
@RP-qm5hm
@RP-qm5hm 5 ай бұрын
김대중기념관 지을 돈이면 가능하겠네요.
@Yes_Na
@Yes_Na 20 күн бұрын
@@RP-qm5hm정신차려..
@youngsang8do
@youngsang8do 2 жыл бұрын
우아,,,, 이거 신기하네
@user-wy9ud7um2i
@user-wy9ud7um2i 2 жыл бұрын
옛날에도이런기술이있었다니...
@hanryang4898
@hanryang4898 11 ай бұрын
사경장 김경호 선생님 나오는 영상이 이 영상이군요 감명깊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t.johngibbs9937
@st.johngibbs9937 3 ай бұрын
신라의 석탑들은 백제로부터 전해진 것들이다
@user-lt3uh5km4m
@user-lt3uh5km4m 2 жыл бұрын
와 순금으로...
@janghwasin526
@janghwasin526 3 ай бұрын
"역사스페셜'"담당자님 감사합니다. 저도 '고서' 가 있는데 한자를 잘 몰라 서예를 시작했습니다. 현제 쓰는 글씨와 달라 궁금했는데 이 프로크램 을보면서 보람을 느낍니 다.
@user-sb3md9mz1p
@user-sb3md9mz1p Ай бұрын
현제 → 현재
@bringing-9911
@bringing-9911 2 жыл бұрын
1999 04 03일분 역사스페셜 운주사 석탑 이야기도 보고싶네요 ㅠㅠㅠ 올려주셨으면..
@user-cr8vm1hm3g
@user-cr8vm1hm3g 2 жыл бұрын
왕궁리 백제무왕의 수도가 명백히 밝혀진 셈이네요! 수도를 다시 옮긴 백제 의자왕과 의자왕을 사로잡아 당나라에 바친 예식진의 파워게임이 백제멸망? 아닐까요?
@Jeong-eun
@Jeong-eun 2 жыл бұрын
너무 깨끗하고 선명한데
@user-vu1fi7xd7v
@user-vu1fi7xd7v 2 жыл бұрын
실재가보시면 약간 둔덕에 규모는 사찰정도 , 평지에 대규모 성곽 축조가 아니면 방어가 불가능한 지역, 평지성 산성 방어개념구조 자체도 없고, 그렇다고 대규모 평지성 흔적도 없음, 수도로 보는 자체가 고대 군사상식에 맞지않습니다, 왜 한국가의 수도라고 우기는지 이해불가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임 ㅉㅉㅉ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서울 한성 백재 박물관애 전시된 유물 50프로는 한국 유물들임 ㅉㅉㅉ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모두 한국풍이고 양나라 기술자들이 축조해준거 아님 백재 기술자들이 축조한거임 ㅉㅉㅉ 매지권 알지 ㅉㅉㅉ
@user-hp8ck9fj9h
@user-hp8ck9fj9h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바보냐 거의 100프로란말이 어딧니 무식은죄임ㅋㅋ 그리고 니가씨부리는 신라 알타리인지 뭔지 다허구라고 밝혀진지 오래임
@user-vw5kd4or6o
@user-vw5kd4or6o 2 жыл бұрын
매금이 가죽으로 금강경만들면 영웅등극 앙 기모띵
@user-yb1su3pc6l
@user-yb1su3pc6l 2 жыл бұрын
고두심 앵커님 무장 젊어지고 아름답습니다!
@user-qw9od8nq6y
@user-qw9od8nq6y Жыл бұрын
진짜 정교하네요
@TvYou
@TvYou Жыл бұрын
저도 얼마전에 갔다와서 영상으로 올려 났어요
@user-wv3ph8ic4q
@user-wv3ph8ic4q 2 жыл бұрын
양각으로 보인 이유가 거꾸로 새긴 거였군.
@SenseMachine
@SenseMachine 4 ай бұрын
이거 한창 일제강점기에 발굴되었으면 어디있는지 찾지도 못할듯
@user-jl4pe1vf8f
@user-jl4pe1vf8f 2 жыл бұрын
저의 고향 익산왕군면이 백제의 수도 였다는게 놀랍습니다.
@thilbong
@thilbong 2 жыл бұрын
7:10 지름 0.3mm면 구슬이 아니라 먼지 수준 아닌가요? 3mm겠죠?
@user-pt6uf5oi2t
@user-pt6uf5oi2t 2 жыл бұрын
와 개머싯다
@jsy1851
@jsy1851 Жыл бұрын
백제시대탑에서 저런 귀한유물이 나온거보면 신라시대 석탑들에게선 아직발굴안된곳이 몇개나 잠자고있을지 궁금해진다.
@seokinsong6154
@seokinsong6154 2 жыл бұрын
저는 나중에 은퇴하면 저기 발굴하시는 분들과 같은 일(인부?)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할 수 있나요?
@user-fw2hl5vc6n
@user-fw2hl5vc6n 2 жыл бұрын
발굴지 근방 어르신들입니다. 발굴 계획 잡히면 지자체에서 모집합니다.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50프로는 한국 유물들임 ㅉㅉㅉ 무덤 양식은 다 한국풍임 ㅉㅉㅉ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서울 한성 백재 박물관애 전시된 유물 50프로는 한국 유물들임 ㅉㅉㅉ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모두 한국풍이고 양나라 기술자들이 축조해준거 아님 백재 기술자들이 축조한거임 ㅉㅉㅉ 매지권 알지 ㅉㅉㅉ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금제금강경°° ᆢ 19장 경판 ᆢ 전북익산 왕궁리 백제국의 왕궁시설 ᆢ 왕궁리 오층석탑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식민사학의 계繼 보保 자者놈들... 제1세대 이병도 신석호 손진태 제2세대 김철준(전 서울대 교수) 제3세대 노태돈(서울대) 이기동(동국대) 주보돈(경북대) 잊지말라 한국 🇰🇷 역사왜곡 🇰🇷 바로 세우는 혁명입니다
@hyaho3729
@hyaho3729 Жыл бұрын
백제는 도대체ㄷㄷ
@user-lw5uv9xs4b
@user-lw5uv9xs4b 2 жыл бұрын
대답합니다 응원합니다 역사스폐셜!
@ggang21
@ggang21 Жыл бұрын
두심이 언니 젊은거 봐!❤
@VitorJKhan
@VitorJKhan 2 жыл бұрын
진품인지는 모르겠으나 장갑없이 맨손으로 만지나요?
@user-rz5my5eu1o
@user-rz5my5eu1o 2 жыл бұрын
어혀 자꾸 지우시네요. 링크도 아니니 지우지 마세요, 음각으로 좌우반서로 동판에 새겨 은판을 올려 망치로 50여회 쳐서 음입시켜 인출해 내면 양출된 글자가 나타납니다. 시청자에게 제대로 알려져야 합니다. 세계 유일의 유물에 대한 정학한 정보를.... 익산국립박물관에 상설전시되어 있으니 이 방송도 MBC경남서 제작한 영상처럼 제대로 제작되지 않으면 내려져야합니다.
@user-kn3jn6md6m
@user-kn3jn6md6m 9 ай бұрын
귀한 금속자료를 맨손으로 만지나요😢문화자료는 깨끗한 장갑을 착용하고 귀하게 다뤄주시길 바랍니다
@renovatio2946
@renovatio2946 8 ай бұрын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호음리(好音里), 신정리(新井里), 신흥리(新興里), 궁평리(宮坪里)의 전 지역과 탑리(塔里)의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왕궁면 왕궁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5월 10일 익산군과 이리시의 통합으로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가 되었다. 자연마을로는 호음, 궁평, 신정, 탑리 등 네 개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옛날부터 있던 지명도 아니구만 잘도 갖다 붙이네.
@user-le9dy5qy2e
@user-le9dy5qy2e 2 жыл бұрын
와 감동이네요 왕궁리 무왕 의자왕 금강경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한반도 약탈문화재를 반환해와야한다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몽유도원도를 가져와야 한다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10 ай бұрын
백제 사회가 기술 과학적으로 발전된 사회였음이 여러면에서 드러나네요.
@user-bg5zh1bg8z
@user-bg5zh1bg8z 2 жыл бұрын
유물은역사의진실잘간직하고대대로후손에게물려주어야됩니다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거의 전부 아니고 거의 절반은 다 한국 유물들임 ㅉㅉㅉ
@wantastudy
@wantastudy 2 жыл бұрын
58:32
@OYT0724
@OYT0724 2 жыл бұрын
삼국사기, 삼국유사 두 기록에서는 무왕이 천도를 했다는 기록이 없는데요? 630년 사비의 궁궐을 수리하고 왕은 웅진성으로 행차했다는 대목이 나오는데, 수리를 했다함은 원래 존재했다는 것이고, 왕이 웅진성으로 행차했다는 것은 왕이 사비성에 머무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사비천도는 성왕때 이루어 진걸로 알고 있는데 뭔가 삔트가 안맞는 내용이 많은 영상이네요... 46:16 관세음응험기는 일본쪽 기록인데, 일본서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도가 120년 씩이나 차이가 나는 등등 일본쪽 백제 기록은 이상한 점이 많아서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듭니다.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문화사적으로 고고학적으로 인류사학적으로 고구려 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전라왜구 아니고 전라한국이고 임나는 없었고 일본사 아니고 한국사임 ㅉㅉㅉ
@bamboo2659
@bamboo2659 2 жыл бұрын
신라개국은 본디 전라북도 익산 건마국에서 만들어졌음 경주가 아니라.... 진한이 본디 마한속국이고 신라건국(약 36년) 초기에도 마한왕한테 공물까지 받쳤으니
@user-vu1fi7xd7v
@user-vu1fi7xd7v 2 жыл бұрын
방어 성곽 자체가 없는데 무슨 백제 수도를 논하고있지? 딱봐도 규모가좀되는 사찰 수준이구만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백재의 첫 수도는 대방 현 황해도로 안 나오고 위례성 현 서울시로 나옴 ㅉㅉㅉ
@user-ol9rd7cp9f
@user-ol9rd7cp9f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대방현 위치도 모르는데 황해도 미친놈 내가 볼때는 황하북쪽으로 보는데 진나라 한나라의 강역이 황하남쪽으로 보는게 타당함 황하북쪽 요하강역이 조선으로 보는게 타당함
@jungheelee5055
@jungheelee5055 2 ай бұрын
은제에 금으로 도금한것이예요.
@ley766
@ley766 9 ай бұрын
이름만 들어도 왕궁이니..백제 수도가 맞겠죠.
@user-zh3uu5ux6d
@user-zh3uu5ux6d 2 жыл бұрын
금강경 내용을 설명해 주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user-em3fk5qv6k
@user-em3fk5qv6k 2 жыл бұрын
부처님과 수보리 제자가 부처의 길에 이르는 길에대한 응답 입니다ㆍ 유투부에도 많이 나와있으니 들어보시면 좋을거 같네요ㆍ^^
@ykpark5289
@ykpark5289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때 발견 안된게 천만다행이네
@dartmouthns8674
@dartmouthns8674 2 жыл бұрын
구슬이 아무리 봐도 mm이상이구만 0.3mm?
@user-it8dl6br4c
@user-it8dl6br4c 2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미래와 국부가 있ㅇ,ㅁ,러 박 가놈이 생각납니다!
@tv-rv2fy
@tv-rv2fy 2 жыл бұрын
통일신라시대는 백제 문화예술을 상당히 이어받았는데 백제풍이 당연히 계승되었겠지요 백제때 세운 탑이라도 통일신라때 개보수할 경우도 있고 처음 탑세울때 사리함 넣을수도있고 개보수때 사리함 넣을수도있고 처음탑세울때 금강경판 만들어 넣을수도있지만 그전에 절에서 내려오던 귀중품을 안장할수도 그렇게 생각되어지네요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통일신라시대 아니고 남북국시대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대진국 발해는 말갈족이 새운거 아니고 고구려인이 새운거니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임 ㅉㅉㅉ 그리고 문화사적으로 고고학적으로 인류사학적으로 고구려 백재는 중국사들 아니고 한국사들이며 전라왜구 아니고 전라한국이고 임나는 없었고 일본사 아니고 한국사임 ㅉㅉㅉ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신라는 스키타이 아리아인 흉노족 아니고 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지 ㅉㅉㅉㅉㅉㅉ
@tv-rv2fy
@tv-rv2fy 2 жыл бұрын
이리저리 따져보면 신라도 중국 역사 되어버림 남중국 백제 일본 한편 먹고 북중국 고구려 신라 한편먹고 그러다 친당파 김춘추 당나라 관리되어 싹 엎은거지 토착 세력 우두머리 김유신과 군사혁명 일으켜 화백제도 무력화 시키고 ㅋ
@user-gv2rt8mh8c
@user-gv2rt8mh8c 2 жыл бұрын
누가봐도 백제석탑이구만 무슨 통일신라?
@user-by4hd3qr1d
@user-by4hd3qr1d 2 жыл бұрын
王宮寺 왕의 절
@user-rz5my5eu1o
@user-rz5my5eu1o 2 жыл бұрын
경남MBC 제작처럼 제작 기법에 오류가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 모두 공개해 놓았습니다.
@psk1819
@psk1819 2 жыл бұрын
금제금강경은 인쇄물을 찍어내는 금속활자는 아닌지? 이거야 말로 금속활자의 시초로 보아야 할것 같다.
@user-rz5my5eu1o
@user-rz5my5eu1o 2 жыл бұрын
국보 제123호 은제도금금강경의 비의를 풀다 blog.naver.com/dlswkwo 목판본의 시조로 봐야 할 듯 합니다 좌우반서 음각으로 새겨 은판으로 인출한 기법이지요_()_
@user-if5zb5rc1o
@user-if5zb5rc1o 2 жыл бұрын
금제금강경 못 참치 ㅋㅋㅋㅋ 😆 ㅎㅎㅎㅎ
@Yes_Na
@Yes_Na 20 күн бұрын
통일되지 않고 삼국이 계속 존재 했다면 어땠을까..? 난 신라인이자 백제인 이었겠네
@user-ro4jg4hj1l
@user-ro4jg4hj1l Жыл бұрын
사리 녹색병이 설명이미스테리 백제유리병기술 없을텐데 신라가 유럽에서 대량으로 가져왔다는 명확한 증거가있는것같은데 ?
@seokgyunkim6804
@seokgyunkim6804 2 жыл бұрын
현재의 명칭조차 왕궁인데도 여지껏 방치하고 발굴해서 정리해 두지 않은 사학계... 과거 정부... 한심하다. 늦엊지만 지금부터라도 역사를 찾아 복원해 둘 필요가 있다.
@vela8956
@vela8956 2 жыл бұрын
꿀잼편 삼국사 나왓에
@user-ei1yc4hd7i
@user-ei1yc4hd7i 2 жыл бұрын
왕궁 5층석탑이 신라거 라구 백제것이 아니구?? 난 당연히 백제거라 알고 있었는디, 고향이라 옛날부터 많이 봤는디 거기에 그런 보물이 있었나벼 옛날에는 그냥 버려진듯 홀로 서있었는데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2 жыл бұрын
식민사관 다큐제작을
@miyoungcho3315
@miyoungcho3315 2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가죽가방도 명품이랍시고 면장갑 착용하는데 맨손으로 유물 꺼내고 만지는 건 좀 아니다. 사람의 손이 얼마나 더러운ㄷㅔ....
@user-ce2ks4si7e
@user-ce2ks4si7e Жыл бұрын
모형같아요
@user-gz6km7ov1c
@user-gz6km7ov1c 2 жыл бұрын
허걱 이런 대단한 유물이 왜 why, 알려지지 않았나요? 사리함 사리병 금으로 만든 경전 하물며 베르사이유 궁전에도 없었던 화장실 유적까지... 존경하는 고두심 선생님이 나레이터(? 코디네이터?)로 나오셔서 언제 방영되었던건가 찾아보니 16년전 방영되었던 거네요. 감명깊게 보았습니다. 시청자에게 시청료 인상을 요구하려면 이런 역사적 고고학적 사회 화합적인 방송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시청료 수십년간 강제납부 당해서 엄청 열받아 있었는데, 그래도 이런 대단한 컨텐츠도 왕년에는 있었네요. 공영방송 제발 제 역할만 하시기를.
@xkdzlf75
@xkdzlf75 2 жыл бұрын
역사학계에서 백제유물이라는것을 왜 아직도 확정을 못짓는건지 참 한심하네요 미륵사지석탑 사리장엄구 문양 비교해보니까 완전 판박이더라구요
@user-gz6km7ov1c
@user-gz6km7ov1c 2 жыл бұрын
@@xkdzlf75 무슨 말씀이신지?
@user-gz6km7ov1c
@user-gz6km7ov1c 2 жыл бұрын
더 구체적으로 말씀하시면???
@user-gz6km7ov1c
@user-gz6km7ov1c 2 жыл бұрын
@@xkdzlf75 사기(니혼쇼기, 고사기 , 삼국사기,등등 (기록물은 이긴자(승자)의 자기미화, 당위성 이런 것들을 적은거라) 진실을(호도?) 알 수 없고, 역사적 사실은 고고학이 증명해 줄 수 밖에 없는것 아닌가요? 이 컨텐츠도 그런 사실을 이야기하고 싶은거고.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거의 절반은 다 한국 유물들임 ㅉㅉㅉ
@user-rz5my5eu1o
@user-rz5my5eu1o Жыл бұрын
국보 제 123호 은제도금금강경 재현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불교미술초대전 아라아트센타에서 10월 19일-- 31일까지 공개됩니다 국보 제123호 은제도금금강경의 비의를 풀다 blog.naver.com/dlswkwo
@lkmb4483
@lkmb4483 2 жыл бұрын
신라위주 역사해석의 덪~~
@user-nz7kp5hk6x
@user-nz7kp5hk6x 2 жыл бұрын
그렇다기보다는 기록의 부재일겁니다.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때도 참고할 사료가 부족해서 답답한 마음을 적어놓았죠. 실제로 삼국사기 기사를 보면 역사적 공백기가 너무나도 많습니다. 사료가 통째로 소실되어버려 중국 사료를 참고해서 수십년의 기간중 조공했다는 기사만 몇줄 있을정도 있었으니까요.
@lkmb4483
@lkmb4483 2 жыл бұрын
@@user-nz7kp5hk6x 그렇군요
@ntbandyyang7897
@ntbandyyang7897 2 жыл бұрын
하나밖에 없는 귀한 보물을 저렇게 맨손으로 함부로 다루는걸 보니 담당자의 양식이 의심스럽다.더구나 공영방송에서 보여주기에 급해 저렇게 하나???
@user-lf8js4bs4o
@user-lf8js4bs4o 2 жыл бұрын
가짜 견본 이잖아...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아니 중국 유물들 복사 재품 아님 ㅉㅉㅉ 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거든 ㅉㅉㅉ
@vela8956
@vela8956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정신병자 또왓네 이정도면 진짜 역사에 관심은 있는넘인듯
@user-tp7ph4mb7n
@user-tp7ph4mb7n 2 жыл бұрын
@@vela8956 역사관련 유툽에 전문적으로 덤비는 댓글부대 있어요 각 분야마다 소속 댓글부대들이 있는듯
@user-tp7ph4mb7n
@user-tp7ph4mb7n 2 жыл бұрын
게다가 땅만 차지하고 있다해서 그 모든 역사가 내꺼 이런는 것도 웃기지 않니? 니네들이 그 땅에서 만든건 ㅋㄹㄴ가 최고지 안그래?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나무木拂목조 ᆢ 청동佛 괴산 원풍리 마애拂 ᆢ석불拂에 색칠하다 파르테논 신전 ᆢ 색칠되다 경북군위 배성혁 계명대 역사학자 👄 입질자 👄 삼존불 석불상 = 마애불상 ᆢ 채색흔적을 발견하다
@sin1231000
@sin1231000 2 жыл бұрын
kzfaq.info/get/bejne/hst2o5BenN2Wfmw.html 천부경 갑골문 봉인을 풀다.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Жыл бұрын
설명없이 딱봐도 백제유적이구만.. 신라는 공예수준이 저런거 못만듬
@user-ip9yu7lp1q
@user-ip9yu7lp1q 2 жыл бұрын
악랄한 세상.. 피 맺히는 음악..ㄹ
@jungheelee5055
@jungheelee5055 2 ай бұрын
순금이 아니예요.
@user-gg8su3ux3g
@user-gg8su3ux3g 2 жыл бұрын
백제 부흥의 무왕?? 찐 부자 망해도 3대는 간다는데.... 나라가 망해도 왕의 후손은 최소 3대는 가야 하는거... 그러면. 바로 무왕이 백제부흥을 위한다고 익산 왕궁리에 엄청난 공사를 하면서 백제가 망하기 시작한거로 봐야 하는거 아닐까? 무왕. 의자왕. 당에 항복한 의자왕 후손.. 의자왕 손자는 어찌 잘 살았는지 모르지만.. 의자왕 자손 까지는 잘살았던거... 따지면...망하는 나라 바로 세우려는 왕이면. 유적지에 나타나지 않고. 그 시대 백성을 위해서 왕궁은 작게 해야 하는데... 사비. 웅진의 왕성을 보수하는 정도가 아닌. 새로운 도읍지 익산을 만들려 했다면.. 오히려 백성의 고혈을 짠거.. 그래서 유적으로 남은거... 결국 무왕은 백제중흥을 꿈꾸던 왕이 아니라.. 자신의 자존심만 챙기며 백제를 말아 먹기 시작한 왕이라 해석 되어야 하는거 아닐까? ㅎㅎ
@user-gg8su3ux3g
@user-gg8su3ux3g 2 жыл бұрын
외화내빈의 왕이 무왕이라 이거지... 아니여? 아니면 말고..ㅎㅎ
@wa8514
@wa8514 2 жыл бұрын
공영방송에 사학자들 인터뷰좀 배제하고 방송해주세요 …나라에 도움이 안되고 순전 친일로 억사왜곡 을 주체하고있는 무리들은 우리나라의 도움이 안되는 좀벌레 같은 존재입니다.한정호 연구사님 대단한 발견이십니다.
@rezaamini8935
@rezaamini893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남한과 북한 모두의 자랑은 위대한 고구려뿐입니다.
@undaunted3202
@undaunted3202 Жыл бұрын
백제 서체가 원본이고 당나라가 따라 적다가 당나라 중놈이 피곤해서 잘못 적었겠지~~
@user-qg7xk5mc5d
@user-qg7xk5mc5d 2 жыл бұрын
백제 3대 도시 공주, 부여, 익산...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백재 4대 도시 서울 공주 부여 익산~~~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맞음 ㅉㅉㅉ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인 백재의 첫번째 수도는 대방 아니고 위례성 즉 현 서울시였음 ㅉㅉㅉ 중국 문헌 북사 수서애 다 안나옴 ㅉㅉㅉ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전라도는 전라왜구 아니고 전라한국이고 임나가 없던 지역임 ㅉㅉㅉ 즉 왜인들이 안살던곳 ㅉㅉㅉ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나재동맹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 백재 형님 나라 왜국 아니고 왜국 형님 나라 백재 ㅉㅉㅉ
@user-rz4lk1ks9d
@user-rz4lk1ks9d 2 жыл бұрын
어거지로 끼워 넣는 한국역사 그당시 사람 시끼가 말해주더나?
@user-ox6uy9vw2t
@user-ox6uy9vw2t 2 жыл бұрын
소설이다 백제의 다른 예들과 서체를 비교 해보시고 문양도 백제와 닮았지만 전체는 같지 않음 사리기의 기형도 백제 태가 아님 백제의 전통을 계승한 금마지역의 후삼국시대 작품
@user-wl9zp1gi8p
@user-wl9zp1gi8p 2 жыл бұрын
@user-gv2rt8mh8c
@user-gv2rt8mh8c 2 жыл бұрын
무슨 뜬금없는 통일신라석탑이냐. 전형적인 백제말기 석탑양식이구만. 정림사지석탑과도 비슷해보이고. 나온유물이 다 백제무왕시대인데 뜬금없이 석탑이 통일신라시대라고? 저런것들도 학자라고.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50퍼샌트 다 한국 유물들임 ㅉㅉㅉ 백재애서 발견되는 한국 유물들은 모두 중국 본토보다 시기가 한참 빠름 ㅉㅉㅉ
@user-ui3yy3wv7m
@user-ui3yy3wv7m Жыл бұрын
하나라를 최초로 세운 보석국가 마한이 번한과 진한을 하나로 통일해서 주나라때까지 삼국을 통치했다는 역사를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user-ol5mp1tm2y
@user-ol5mp1tm2y 2 жыл бұрын
젤 약한 신라놈들이 쨍깨를 등에 업고 못할짓을 해서 만주 왜국을 잃어버렸다 우리영토
@user-xf9ch4fk1o
@user-xf9ch4fk1o 2 жыл бұрын
@@user-qy6nw1cy7m 신라 김씨 왕족들은 스키타이 아리아인 흉노족 아니고 고구려 백재는 중국사 아니고 한국사고 전라왜구 아니고 전라한국이고 임나는 없었고 일본사 아니고 한국사임 ㅉㅉㅉ
@user-lo8ev6fi3b
@user-lo8ev6fi3b Жыл бұрын
연개소문이 김유신 목을 베었어야 했는데
@jonguklee5590
@jonguklee5590 2 жыл бұрын
김호철이는 동남아 배구영웅이다. 그런 I영웅이 IBK소유유라니?
@user-to7co1vf8p
@user-to7co1vf8p 2 жыл бұрын
KBS는 언제까지 통일신라시대라는 말을 사용할거요? 남북시대 아니오?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백제사의 수수께끼, 익산 / YTN 사이언스
49:19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508 М.
KBS HD역사스페셜 - 김유신이 왕이 된 까닭은 / KBS 2005.10.28. 방송
58:41
KBS 역사추적 - 의자왕 항복의 충격 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48:53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